KR20230090913A - Drawer - Google Patents

Dra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0913A
KR20230090913A KR1020210180098A KR20210180098A KR20230090913A KR 20230090913 A KR20230090913 A KR 20230090913A KR 1020210180098 A KR1020210180098 A KR 1020210180098A KR 20210180098 A KR20210180098 A KR 20210180098A KR 20230090913 A KR20230090913 A KR 20230090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gear arm
drawer body
protrus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0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순도
구관서
김봉준
신연지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10180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0913A/en
Publication of KR20230090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91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6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73Braking devices, e.g. linear or rotational dampers or friction brakes; Buffers; End 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97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other guiding mechanisms, e.g. scissor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47B2210/0048Pin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서랍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랍은,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하며, 일면에 인입 형성되는 함몰부가 마련된 서랍 본체 및 함몰부에 위치되며, 서랍 본체가 케이스로부터 인출될 때 서랍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틸팅되도록 하는 틸팅 구동부를 포함하고, 함몰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틸팅 구동부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위치가 고정된 틸팅 구동부를 서랍 본체의 인입 및 인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하는 장착부를 포함한다.
A drawer is opened.
A dra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with one side open, which is drawn into or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case, and is located in a drawer body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and located in the recessed portion, and when the drawer body is withdrawn from the case. Includes a tilting driving unit that allows at least a portion of the tilting unit to be tilted, protrudes from one surface of the recessed part, fixes the position of the tilting driving unit, and includes a mounting unit that supports the tilting driving unit at a fixed position so as to slide in the inflow and outflow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do.

Description

서랍{DRAWER}drawer {DRAWER}

본 발명은 서랍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서랍에 수용된 물체를 꺼내기 위하여 서랍의 인입 또는 인출이 용이한 서랍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w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awer in which a user can easily withdraw or withdraw an object stored in the drawer.

일반적으로 서랍(drawer)은 뚜껑이 없는 상자로서, 책상, 장롱, 화장대, 문갑 등과 같은 가구나 냉장고, 조리기구, 전자제품 등에 입출(入出)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내부에 물체를 수용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한 것을 의미한다. In general, a drawer is a box without a lid, and is provided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furniture such as a desk, wardrobe, dressing table, door box, refrigerator, cooking utensils, and electronic products, and to accommodate or take out objects therein. means that

이러한, 서랍에는 의약품, 의복, 음식물, 조리기구 등 다양한 물체가 저장될 수 있다. Such drawers may store various objects such as medicines, clothing, food, and cooking utensils.

서랍이 적용되는 제품이나 내부에 수용하고자 하는 물체에 따라 재질이 달라질 수 있고, 수용 공간의 밀폐를 위한 패킹(packing) 등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서랍이 적용되는 제품 및 수용되는 물체에 따라 크기 및 형태가 달라지고 그에 따라 서랍의 크기와 깊이가 달라질 수 있다. The material may vary depending on the product to which the drawer is applied or the object to be accommodated therein, and a packing or the like for sealing the accommodation space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addition, the size and shape of the drawer may vary depending on the product to which the drawer is applied and the object to be accommodated, and the size and depth of the drawer may vary accordingly.

즉, 서랍이 적용되는 제품, 서랍 내 수용하고자 하는 물체의 종류, 서랍의 재질 등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서랍을 개폐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That is, it may be difficult for the user to open and close the drawer due to the product to which the drawer is applied, the type of object to be accommodated in the drawer, and the material of the drawer.

이에, 서랍이 적용되는 제품, 수용하고자 하는 물체의 종류, 서랍의 재질 등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손쉽게 개폐할 수 있는 서랍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drawer that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by a user regardless of the product to which the drawer is applied, the type of object to be accommodated, and the material of the drawer.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4272호(등록일: 2008.02.11.)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804272 (registration date: 2008.02.11.)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서랍을 개폐할 수 있는 서랍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wer in which a user can open and close the drawer with little for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하며, 일면에 인입 형성되는 함몰부가 마련된 서랍 본체 및 함몰부에 위치되며, 서랍 본체가 케이스로부터 인출될 때 서랍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틸팅되도록 하는 틸팅 구동부를 포함하고, 함몰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틸팅 구동부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위치가 고정된 틸팅 구동부를 서랍 본체의 인입 및 인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서랍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with one side open, being drawn into or drawn out of the case, a drawer body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formed on one side, and located in the recessed portion, and the drawer body is drawn out from the case. including a tilting drive unit for til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drawer body when the drawer body is tilted,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recessed portion to fix the position of the tilting drive unit, and supporting the tilting drive unit with the fixed position to slide in the drawing-in and pulling-out directions of the drawer body. This can be achieved by means of a drawer, including a mount.

서랍 본체는 함몰부 및 장착부와 일체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The drawer body may be integrally injection-molded with the recessed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이때, 함몰부에는 체결홈이 마련되고, 체결홈에는 함몰부를 덮는 마감커버가 체결되며, 서랍 본체의 일면에 대해 마감커버가 결합된 함몰부는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At this time, a fastening groove is provided in the recessed portion, a closing cover covering the recessed portion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and the recessed portion to which the finishing cover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drawer body may have the same height.

마감커버의 내측면에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결합부는 함몰부에 틸팅 구동부가 배치된 상태에서 장착부와 결합될 수 있다. A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losing cover, and the coupling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tilting driving unit is disposed in the recessed portion.

이때, 결합부는 함몰부에 형성된 장착부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upling part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mounting part formed in the recessed part.

한편, 장착부의 높이는 함몰부의 깊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height of the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a height lower than the depth of the recessed portion.

또한, 결합부의 높이는 함몰부의 깊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to a height lower than the depth of the depression portion.

특히, 결합부 및 장착부가 결합된 전체 높이는 함몰부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mbined height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may be equal to or lower than the depth of the recessed portion.

여기서, 마감커버에는 체결홈에 대응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Here, fastening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grooves may be formed on the finish cover.

한편, 서랍 본체는,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에 위치되는 전면부, 전면부의 각 단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측면부 및 전면부 및 복수 개의 측면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틸팅 구동부는 복수 개의 측면부 중에서 전면부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에 위치되며, 전면부는 틸팅 구동부에 의해 일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rawer body includes a front portion located on one open side of the case,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coupled to each end of the front portion, and a bottom portion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and the tilting driv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Among the side parts, at least one side part coupled to the front part is located, and the front part may be tiltably coupled in one direction by a tilting driving unit.

이때, 틸팅 구동부는 복수 개의 측면부 중에서 전면부의 양 측에 결합된 한 쌍의 측면부에 각각 마련되고, 전면부는 한 쌍의 틸팅 구동부에 의해 일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ilting driver may be provided on a pair of side surface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part among the plurality of side parts, and the front part may be tiltably supported in one direction by the pair of tilting driving parts.

여기서, 바닥부의 양 측단부가 전면부의 양 측에 위치된 한 쌍의 측면부에 각각 결합되며, 측면부의 측단면과 바닥부의 측단면에는 측면부와 바닥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Here, both side ends of the bottom portion are respectively coupled to a pair of side surface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and a first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side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side end surface of the side portion and the side end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there is.

이러한, 제1 지지부재는 "ㄴ" 자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Such, the first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b" shape.

서랍 본체에는, 전면부와 바닥부 사이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A second support membe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drawer main body to support a space between the front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또한, 서랍 본체에는, 서랍 본체가 케이스로부터 인출되어 전면부가 틸팅될 때, 서랍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물체가 서랍 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a blocking membe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drawer body to block an object accommodated inside the drawer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drawer body when the front portion is tilted after the drawer body is withdrawn from the case.

한편, 장착부는, 서랍 본체의 인입 및 인출 방향을 따라 패여진 형태를 갖는 제1 슬롯, 제1 슬롯과 소정 간격을 두고, 서랍 본체의 인입 및 인출 방향을 따라 패여진 형태를 갖는 제2 슬롯 및 제1 슬롯과 제2 슬롯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장착돌기를 포함하고, 제1 슬롯에는 전면부를 지지하는 틸팅 구동부의 제1 기어암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슬롯에는 틸팅 구동부의 제2 기어암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3 장착돌기에는 제1 기어암과 제2 기어암을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일부분은 제1 기어암과 맞물리고 다른 일부분은 제2 기어암과 맞물리도록 결합된 센터 기어가 장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unit includes a first slot having a shape concave along the drawing-in and drawing-out directions of the drawer body, a second slot having a shape concave along the drawing-in and drawing-out directions of the drawer bod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slot, and It includes a third mounting protrusion formed between the first slot and the second slot, a first gear arm of the tilting driving unit supporting the front part is movably mounted in the first slot, and a second gear arm of the tilting driving unit is movably mounted in the second slot. The gear arm is movably mounted, and a part of the third mounting protrusion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arm and the other part is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arm so that the first gear arm and the second gear arm are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A combined center gear may be mounted.

더욱이, 장착부에는, 서랍 본체가 인출되어 전면부가 틸팅 될 때 제1 기어암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 및 전면부가 틸팅되어 서랍 본체가 입입될 때 제1 기어암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제1 스토퍼는 제1 기어암의 일측 하단부에 돌출 형성된 제1 돌기가 걸려서 제1 기어암의 이동을 제한하고, 제2 스토퍼는 제1 기어암의 타측 하단부에 돌출 형성된 제2 돌기가 걸려서 제1 기어암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Furthermore, in the mounting part, a first stopper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gear arm when the drawer body is pulled out and the front portion is tilted, and a second stopper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gear arm when the front portion is tilted and the drawer body is retracted. Further, the first stopper limits the movement of the first gear arm by hanging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gear arm, and the second stopper has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gear arm. The protrusion may be caught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first gear arm.

또한, 함몰부에 마련되되 제2 기어암의 단부와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서랍 본체가 인출될 때 제1 기어암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기어암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함몰부와 제2 기어암의 충돌을 방지하는 제1 댐퍼를 더 포함하고, 장착부는 제1 댐퍼가 장착되는 제1 장착돌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ovided in the recess and is form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end of the second gear arm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second gear arm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gear arm when the drawer body is withdrawn, or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second gear arm in the recess and the second gear.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amper preventing arm collision, and the mount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mounting protrusion on which the first damper is mounted.

한편, 케이스에는 제2 기어암과 접촉되도록 배치된 픽스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제2 기어암의 하단부에는 제3 돌기가 추가로 마련되며, 픽스 브라켓은 서랍 본체가 인출되거나 인입될 때 제2 기어암의 제3 돌기를 밀어주도록 마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ase further includes a fix bracket disposed to contact the second gear arm, a third protrusion is additionally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gear arm, and the fix bracket is the second gear when the drawer body is pulled out or retracted. It may be provided to push the third protrusion of the arm.

이때, 픽스 브라켓에는 픽스 브라켓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점차적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블레이드가 마련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x bracket may be provided with blades extending from one surface of the fix bracket and gradually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이러한, 블레이드는 픽스 브라켓의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These blades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x bracket, respectively.

또한, 함몰부에 마련되되 적어도 일부분이 서랍 본체의 측면부로부터 돌출 되도록 배치되어 서랍 본체가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될 때 전면부와 측면부의 충격을 방지하는 제2 댐퍼를 더 포함하고, 장착부에는 제2 댐퍼가 위치되는 제2 장착돌기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damper provided in the recessed portion is arrang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protrudes from the side portion of the drawer body to prevent shock from the front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when the drawer body is drawn into the case, and the mount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damper. A second mounting protrusion on which the damper is positioned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한편, 제1 기어암의 단부에는 푸쉬부재가 마련되고, 푸쉬부재는 전면부와 연결되며, 푸쉬부재는 서랍 본체가 인출되어 전면부가 틸팅될 때 제1 기어암과 함께 전면부를 밀어주도록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a push member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first gear arm, the push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portion, and the push member may be provided to push the front portion together with the first gear arm when the drawer body is pulled out and the front portion is tilted. there is.

여기서, 푸쉬부재는 고정편을 매개로 전면부와 연결되고, 고정편은 푸쉬부재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Here, the push member is connected to the front part via a fixing piece, and the fixing piece may be rotatably coupled with the push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의 서랍은, 서랍에 틸팅 구동부를 마련하여 서랍을 인출할 때 서랍의 전면부가 틸팅됨으로써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서랍을 인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서랍의 인출뿐만 아니라 인입할때에도 서랍의 전면부만 밀면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서랍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draw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can withdraw the drawer with little force as the front portion of the drawer is tilted when the drawer is pulled out by providing a tilting driving unit in the drawer. Moreover, since only the front part of the drawer is pushed when the drawer is drawn in as well as drawn out,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convenience in using the drawer.

또한, 본 발명의 서랍은, 틸팅 구동부가 서랍 본체와 일체로 사출 형성되기 때문에, 서랍을 제작하기 위한 부품의 수가 현저하게 줄어들어서 구조가 간편해지고 서랍의 제작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ilting drive part of the draw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injection-molded with the drawer body, the number of parts for manufacturing the drawer is significantly reduced,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significantl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drawer. .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서랍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서랍의 측면부를 제외하고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마감커버 및 틸팅 구동부를 제외한 서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마감커버의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서랍에 장착되는 틸팅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한 서랍에 도 7에 도시한 틸팅 구동부가 장착된 서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의 인출 및 인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a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rawer shown in FIG. 1 .
FIG. 4 is a view of the drawer shown in FIG. 1 except for the side portion.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awer excluding the closing cover and the tilting driving unit shown in FIG. 4 .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nish cover shown in Figure 4.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tilting driving unit mounted on the drawer shown in FIG. 5;
FIG. 8 is a view showing a drawer in which the tilting driving unit shown in FIG. 7 is mounted on the drawer shown in FIG. 5 .
9 and 1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withdrawing and withdrawing operations of a dra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is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It is advised that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not drawn to scale. Relative dimensions and proportions of parts in the drawings are shown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drawings, and any dimensions are illustrative only and not limiting. And like structures, elements or parts appearing in two or mor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like featur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represent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rawings are expected. Therefore,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 of the illustrated area, and includes, for example, modification of the shape by manufacturing.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1000)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draw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1000)은 케이스(1100), 서랍 본체(1200) 및 틸팅 구동부(1300)를 포함한다. A draw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100, a drawer body 1200, and a tilting driving unit 1300.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스(1100)는 박스(box) 형태로서, 내부에 공간(미도시) 형성된다. 이때, 케이스(1100)의 내부 공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랍 본체(1200)가 장착된다. Referring to FIG. 1 , a case 1100 has a box shape, and a space (not shown) is formed therein. At this time, at least one drawer body 1200 is moun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100 .

또한, 케이스(1100)는 일측이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case 1100 has a shape in which one side is open.

이와 같이, 케이스(1100)는 전면이 개방됨으로써, 상부 프레임(1111), 상부 프레임(1111)의 양 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1112,1113)과 한 쌍의 측면 프레임(1112,1113) 사이에 결합되는 후면 프레임(1114) 및 한 쌍의 측면 프레임(1112,1113)과 후면 프레임(1114)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 프레임(1115)으로 구성된다. As such, the case 1100 has an open front surface, so that an upper frame 1111, a pair of side frames 1112 and 1113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1111 and a pair of side frames 1112 and 1113 ) It consists of a rear frame 1114 coupled between a pair of side frames 1112 and 1113 and a bottom frame 1115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frame 1114.

여기서, 케이스(1100)의 개방된 전면은 내부 공간에 삽입된 서랍 본체(1200)에 의해 폐쇄되며, 케이스(1100)의 개방된 전면에는 서랍 본체(1200)의 전면부(1202)가 노출된다. Here, the open front of the case 1100 is closed by the drawer body 1200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and the front portion 1202 of the drawer body 1200 is exposed on the open front of the case 1100.

참고로, 케이스(1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서랍 본체(1200)의 개수에 따라, 2단 서랍(또는 서랍장), 3단 서랍(또는 서랍장), 4단 서랍(또는 서랍장)으로 불릴 수 있다. For reference, depending on the number of drawer bodies 1200 mounted inside the case 1100, it may be called a 2-tier drawer (or chest of drawers), a 3-tier drawer (or chest of drawers), or a 4-tier drawer (or chest of drawers).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서랍 본체(1200)는 내부에 물체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수용 공간(미도시)이 형성되어 케이스(1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며, 케이스(110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된다. Referring to FIGS. 2 to 4 , the drawer body 1200 has an accommodation space (not shown) formed therein so as to accommodate objects, and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100, and goes into the case 1100. being brought in or taken out

서랍 본체(1200)는 외측 하단부에 복수 개로 마련된 레일부(1290)에 의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케이스(1100)로부터 인출되거나 케이스(1100)의 내부로 인입되게 된다. The drawer body 1200 is drawn out of the case 1100 or drawn into the case 1100 in a sliding manner by means of a plurality of rails 1290 provided at the outer lower end.

이러한 서랍 본체(1200)는 케이스(1100)의 개방된 일측에 위치되는 전면부(1202), 전면부(1202)의 각 단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측면부(1203,1204,1205) 및 전면부(1202)와 복수 개의 측면부(1203,1204,1205)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1206)를 포함한다. The drawer body 1200 includes a front part 1202 located on one open side of the case 1100, a plurality of side parts 1203, 1204, and 1205 coupled to each end of the front part 1202, and a front part 1202. ) and a bottom portion 1206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1203 , 1204 , and 1205 .

상기한 바와 같이, 서랍 본체(1200)는 전면부(1202), 복수 개의 측면부(1203,1204,1205) 및 바닥부(1206)에 의해 물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 개의 측면부(1203,1204,1205) 중에서 한 쌍의 측면부(1203,1204) 사이에 위치된 하나의 측면부(1204)는 후면부라고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drawer body 1200 has a front portion 1202, a plurality of side portions 1203, 1204, and 1205, and a bottom portion 1206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objects. For referenc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e side part 1204 located between the pair of side parts 1203 and 1204 among the plurality of side parts 1203 , 1204 and 1205 is referred to as a rear part.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바닥부(1206)의 양 측단부가 전면부(1202)의 양 측에 위치된 한 쌍의 측면부(1203,1204)에 각각 결합된다. Here, referring to FIG. 2, both side ends of the bottom portion 1206 are coupled to a pair of side portions 1203 and 1204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1202, respectively.

다시 말해서, 바닥부(1206)가 결합될 때, 바닥부(1206)의 양 측단부가 한 쌍의 측면부(1203,1204)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된다. In other words, when the bottom portion 1206 is coupled, both side ends of the bottom portion 1206 are inserted into the pair of side portions 1203 and 1204 and coupled.

이를 위해, 측면부(1203,1204)에는 바닥부(1206)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1207)이 형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at least one insertion groove 1207 may be formed in the side portions 1203 and 1204 to allow the bottom portion 1206 to be inserted.

이때, 바닥부(1206)가 한 쌍의 측면부(1203,1204)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됨에 따라 바닥부(1206)와 측면부(1203,1204)의 결합 부분이 약해질 수 있다. At this time, as the bottom part 1206 is inserted into the pair of side parts 1203 and 1204 and coupled,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bottom part 1206 and the side parts 1203 and 1204 may be weakened.

바닥부(1206)와 측면부(1203,1204)의 결합 부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제1 지지부재(126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In order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bottom portion 1206 and the side portions 1203 and 1204, a first support member 126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참고로, 제1 지지부재(1260)는 바닥부(1206)와 측면부(1203,1204)의 결합 부분의 강도를 보강해야 하므로 강도를 가지는 철(iron) 재질이나 스틸(steel)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지지부재(1260)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스틸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260)는 측면부(1203,1204)의 측단면과 바닥부(1206)의 측단면에 걸쳐서 장착되며, 바닥부(1206)와 측면부(1203,1204)의 결합 부분의 강도 보강은 물론이고 결합 부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도 함께 차단할 수 있다. For reference, since the first support member 1260 need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joint between the bottom part 1206 and the side parts 1203 and 1204, it may include an iron material or a steel material having strength.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first support member 1260 may be made of a commonly used steel material. The first support member 1260 is mounted over the side end surface of the side parts 1203 and 1204 and the side end surface of the bottom part 1206, and the strength of the joint between the bottom part 1206 and the side parts 1203 and 1204 is reinforced.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coupling part.

여기서, 제1 지지부재(1260)는 측면부(1203,1204)와 바닥부(1206)의 결합 부분의 형태에 따라 'ㄴ' 자형 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 the first support member 1260 may be provided in an 'b'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side parts 1203 and 1204 and the bottom part 1206,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또한, 서랍 본체(1200)에는 걸이대(1280)가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a hanger 1280 may be provided in the drawer body 1200 .

걸이대(1280)는 서랍 본체(1200)의 내부에 수용되는 물체를 구분하거나,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추가로 수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스켓(미도시)을 걸기 위한 부분이다. The hanger 1280 is a part for hanging at least one or more baskets (not shown) so that objects accommodated inside the drawer body 1200 can be separated or the user can additionally store them as needed.

참고로, 걸이대(1280)가 서랍 본체(1200)의 전면부(1202)의 내측면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서랍 본체(1200)의 측면부(1203,1204)에 마련될 수도 있다. For reference, the hanger 1280 is illustrated as being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art 1202 of the drawer body 1200, but may be provided on the side parts 1203 and 1204 of the drawer body 1200 if necessary.

또한, 서랍 본체(1200)에는 제2 지지부재(127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support member 127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drawer body 1200 .

제2 지지부재(1270)는 서랍 본체(1200)의 전면부(1202)와 바닥부(1206) 사이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The second support member 1270 is a member for supporting between the front part 1202 and the bottom part 1206 of the drawer body 1200 .

제2 지지부재(1270)는 서랍 본체(1200)의 전면부(1202)가 일 방향으로 틸팅될 때, 서랍 본체(1200)의 전면부(1202)가 서랍 본체(1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The second support member 1270 supports the front portion 1202 of the drawer body 1200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drawer body 1200 when the front portion 1202 of the drawer body 1200 is tilted in one direction. do.

제2 지지부재(1270)는 서랍 본체(1200)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마련되는 개수가 달라질 수 있으나, 2개 정도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number of second support members 1270 provided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and shape of the drawer body 1200, but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bout two.

이때, 제2 지지부재(1270)는 여닫이 문을 설치할 때에 문틀과 문짝에 고정되어 문딱을 여닫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경첩(hinge)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t this time, the second support member 1270 may be fixed to the door frame and the door leaf when installing the casement door, and may be provided as a hinge generally us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더욱이, 서랍 본체(1200)에는 차단부재(1282)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Furthermore, a blocking member 1282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drawer body 1200 .

차단부재(1282)는 서랍 본체(1200)가 케이스(1100)로부터 인출되어 전면부(1202)가 틸팅될 때에 서랍 본체(1200)의 내부에 수용된 물체가 서랍 본체(1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The blocking member 1282 blocks an object accommodated inside the drawer body 1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drawer body 1200 when the drawer body 1200 is withdrawn from the case 1100 and the front part 1202 is tilted. .

이러한 차단부재(1282)는 한 쌍의 측면부(1203,1204) 사이에 마련되나, 필요에 따라 전면부(1202)와 한 쌍의 측면부(1203,1204) 사이에 결합되는 하나의 측면부(1205) 사이에 마련될 수 도 있다. This blocking member 1282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side parts 1203 and 1204, but between the front part 1202 and one side part 1205 coupled between the pair of side parts 1203 and 1204, if necessary. may also be provided.

또한, 차단부재(1282)는 걸이대(1280)에 걸리는 바스켓이 서랍 본체(1200)의 바닥부(1206)와의 접촉을 방지함과 동시에 바스켓을 지지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blocking member 1282 may prevent the basket caught on the hanger 1280 from contacting the bottom portion 1206 of the drawer body 1200 and support the basket at the same time.

참고로, 차단부재(1282)는 철(iron) 재질, 스틸(steel)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스틸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blocking member 1282 may include an iron material or a steel material,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de of a commonly used steel material.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서랍 본체(120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1203,1204,1205)에는 함몰부(1210)가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5 , a depression 1210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side portion 1203 , 1204 , and 1205 of the drawer body 1200 .

특히, 함몰부(1210)는 서랍 본체(1200)의 전면부(1202)의 양측면에 결합된 측면부(1203,1204)에 마련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recessed portion 1210 may be provided on side portions 1203 and 1204 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front portion 1202 of the drawer body 1200 .

함몰부(1210)는 서랍 본체(1200)의 일면에 대해 인입 형성된다. The depression 1210 is drawn into one surface of the drawer body 1200 .

또한, 함몰부(1210)에는 장착부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moun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recessed portion 1210 .

장착부는 함몰부(12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The mounting portion protrudes from one surface of the recessed portion 1210 .

이러한 장착부는 틸팅 구동부(1300)의 위치를 함몰부(1210)에 고정시키고, 위치가 고정된 틸팅 구동부(1300)를 서랍 본체(1200)의 인입 및 인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한다. The mounting portion fixes the position of the tilting driving unit 1300 to the depression 1210 and allows the tilting driving unit 1300 having a fixed position to slide in the drawing-in and pulling-out directions of the drawer body 1200 .

더욱이, 장착부는 서랍 본체(1200)가 케이스(1100)로부터 인출될 때, 틸팅 구동부(1300)에 의하여 전면부(1202)가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1203,1204)로부터 일 방향을 향해서 틸팅되도록 지지한다. Moreover, when the drawer main body 1200 is withdrawn from the case 1100, the mounting part supports the front part 1202 to tilt toward one direction from at least one side part 1203 or 1204 by the tilting driving part 1300. .

참고로, 장착부는 틸팅 구동부(1300)를 구성하는 부품의 개수 및 그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number and shape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tilting driving unit 1300 may vary.

한편, 서랍 본체(1200)는 함몰부(1210) 및 장착부와 일체로 사출 형성된다. Meanwhile, the drawer body 1200 is integrally injection-molded with the recessed portion 1210 and the mounting portion.

구체적으로, 함몰부(1210) 및 장착부를 서랍 본체(1200)와 별도로 형성하여 서랍 본체(1200)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서랍 본체(1200)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사출 성형 방식을 이용하여, 전면부(1202), 함몰부(1210)와 장착부가 형성된 하나의 측면부(1203,1204)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한 쌍의 측면부(1203,1204)에 전면부(1202), 후면부(1205) 및 바닥부(1206)를 조립하여 하나의 서랍 본체(1200)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상기한 바와 같이, 서랍 본체(1200)를 구성하는 측면부(1203,1204)에 함몰부(1210) 및 장착부를 함께 사출 성형함에 따라, 틸팅 구동부(1300)가 함몰부(1210)에 형성된 장착부에 의하여 조금 더 안정적으로 서랍 본체(1200)의 측면부(1203)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Specifically, the depression 1210 and the mounting portion are not formed separately from the drawer body 1200 and installed on the drawer body 1200, but the front portion is formed by using an injection molding metho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drawer body 1200. 1202, a recessed portion 1210 and one side portion 1203, 1204 formed with a mounting portion are formed. The front part 1202, the rear part 1205, and the bottom part 1206 are assembled to the pair of side parts 1203 and 1204 thus formed to form one drawer body 1200. As described above, As the recessed part 1210 and the mounting part are injection-molded together on the side parts 1203 and 1204 constituting the drawer body 1200, the tilting drive unit 1300 can move the drawer more stably by the mounting part formed on the recessed part 1210. It can be positioned on the side part 1203 of the main body 1200.

참고로, 서랍 본체(1200)의 측면부(1203,1204)의 내측면에는 공간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For reference, space parts (not shown) may be formed on inner surfaces of the side parts 1203 and 1204 of the drawer body 1200 .

공간부는 서랍 본체(1200)를 사출 성형 방식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과정에서 측면부(1203,1204)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측면부(1203,1204)의 일면에 대해 인입 형성한다. 공간부는 함몰부(1210)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of the side parts 1203 and 1204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drawer body 1200 using an injection molding method, the space part is drawn in and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ide parts 1203 and 1204 . The space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recessed portion 1210 .

이때, 공간부는 함몰부(1210)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함몰부 커버(1204a)에 의해 덮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측면부(1203,1204)의 내측면에 공간부가 형성되더라도, 측면부(1203,1204)의 내측면의 높이는 모두 동일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space portion is covered by a separate depression cover 1204a, similar to the depression 1210. Accordingly, even if the spac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side surfaces 1203 and 1204, the heights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side surfaces 1203 and 1204 are all the same.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틸팅 구동부(1300)는 서랍 본체(1200)에 마련되어 서랍 본체(1200)가 케이스(1100)로부터 인출될 때 적어도 일부분이 틸팅(tilting) 되도록 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 the tilting driver 1300 is provided on the drawer body 1200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drawer body 1200 is tilted when the drawer body 1200 is withdrawn from the case 1100 .

특히, 틸팅 구동부(1300)는 서랍 본체(1200)의 복수 개의 측면부(1203,1204)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1203,1204)에 결합되어, 서랍 본체(1200)가 케이스(1100)로부터 인출될 때 서랍 본체(1200)의 전면부(1202)가 일 방향으로 틸팅되도록 지지한다. In particular, the tilting drive unit 1300 is coupled to at least one side surface portion 1203 or 1204 of the plurality of side surface portions 1203 or 1204 of the drawer body 1200, so that when the drawer body 1200 is withdrawn from the case 1100 The front part 1202 of the drawer body 1200 is supported to be tilted in one direction.

한편, 틸팅 구동부(1300)는 서랍 본체(1200)의 전면부(1202)에 결합된 한 쌍의 측면부(1203,1204)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서랍 본체(1200)의 전면부(1202)가 일 방향으로 틸팅될 때, 전면부(120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Meanwhile, the tilting driving unit 1300 is preferably provided on a pair of side parts 1203 and 1204 coupled to the front part 1202 of the drawer body 1200, respectively. This is because when the front part 1202 of the drawer body 1200 is tilted in one direction, the front part 1202 can be stably supported.

한편, 함몰부(1210)에는 복수 개의 체결홈(1212,1213,1214,1215)이 마련된다. Meanwhile,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1212 , 1213 , 1214 , and 1215 are provided in the depression 1210 .

다시 말해서, 복수 개의 체결홈(1212,1213,1214,1215)은 함몰부(1210)에 결합되는 마감커버(1230)가 체결되는 부분이다. In other words, the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1212 , 1213 , 1214 , and 1215 are portions to which the closing cover 1230 coupled to the recessed portion 1210 is fastened.

특히, 복수 개의 체결홈(1212,1213,1214,1215)에는 마감커버(1230)의 체결돌기(1233,1234,1235)가 결합된다. In particular, the fastening protrusions 1233 , 1234 , and 1235 of the closing cover 1230 ar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1212 , 1213 , 1214 , and 1215 .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체결홈(1212,1213,1214,1215,1216)는 함몰부(121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1 체결홈(1213,1214), 함몰부(1210)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제2 체결홈(1212) 및 함몰부(1210)의 타측면에 마련되는 제3 체결홈(1215,1216)을 포함한다. 제1 체결홈(1213,1214), 제2 체결홈(1212) 및 제3 체결홈(1215,1216)의 개수는 마감커버(1230)에 형성되는 체결돌기(1233,1234,1235)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마감커버(1230)에 형성된 체결돌기(1233,1234,1235)와 함몰부(12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홈(1212,1213,1214,1215,1216)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1212 , 1213 , 1214 , 1215 , and 1216 are first fastening grooves 1213 and 1214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ecessed portion 1210 an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cessed portion 1210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212 and the third fastening grooves 1215 and 1216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depression 1210 are included. The number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s 1213 and 1214, the second fastening grooves 1212 and the third fastening grooves 1215 and 1216 depends on the number of fastening protrusions 1233, 1234 and 1235 formed on the closing cover 1230. may vary depending on In addition, the fastening protrusions 1233, 1234, and 1235 formed on the closing cover 1230 and the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1212, 1213, 1214, 1215, and 1216 formed on the recessed portion 1210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re is.

한편, 마감커버(1230)가 결합된 함몰부(1210)는 서랍 본체(1200)의 일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게 된다. Meanwhile, the depression 1210 to which the closing cover 1230 is coupled has the same height as one surface of the drawer body 1200.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1000)을 사용할 때에 함몰부에 의해 느끼는 불편함이나 이질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함몰부(1210)의 내부로 틸팅 구동부(1300)의 작동에 방해가 될 수 있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a user uses the draw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discomfort or heterogeneity felt by the recessed por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that may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tilting driving unit 1300 into the depression 1210 .

한편, 마감커버(1230)의 내측면에는 결합부가 마련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losing cover 123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마감커버(1230)가 함몰부(1210)에 결합되면, 결합부는 틸팅 구동부(1300)가 함몰부(1210)에 위치되도록 하는 장착부와 결합된다. When the closing cover 1230 is coupled to the recessed portion 1210, the coupling unit is coupled with a mounting portion allowing the tilting driving unit 1300 to be positioned in the recessed portion 1210.

이에 따라, 마감커버(1230)에 형성된 결합부는 함몰부(1210)에 형성된 장착부와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Accordingly, the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closing cover 1230 is prepared to correspond to the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recessed portion 1210.

결합부와 장착부는 위치, 크기 및 형태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upling part and the mounting part may have the same location, size, and shape,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여기서, 마감커버(1230)의 결합부 및 함몰부(1210)의 장착부의 높이는 함몰부(1210)의 깊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height of the coupling part of the closing cover 1230 and the mounting part of the recessed part 1210 may be formed to a height lower than the depth of the recessed part 1210 .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마감커버(1230)의 결합부와 함몰부(1210)의 장착부와 결합되기 때문에, 함몰부(121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upling part of the closing cover 1230 and the mounting part of the recessed part 1210 are combined, it is preferable to form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recessed part 1210.

참고로, 마감커버(1230)의 결합부와 장착부가 결합된 전체 높이는 함몰부(1210)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total height of the combination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of the closing cover 1230 may be equal to or lower than the depth of the recessed portion 1210 .

이에 따라, 틸팅 구동부(1300)가 함몰부(1210)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고, 마감커버(1230)를 함몰부(1210)에 덮었을 때 마감커버(1230)가 서랍 본체(1200)의 전면부(1202)의 일면에 대해 돌출되지 않게 된다. Accordingly, the tilting driving unit 1300 can be stably positioned in the recessed part 1210, and when the closing cover 1230 is covered on the recessed part 1210, the closing cover 1230 is placed on the front side of the drawer body 1200. It does not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portion 1202.

한편, 장착부는 서랍 본체(1200)의 인입 및 인출 방향을 따라 패여진 형태를 갖는 제1 슬롯(1221), 제1 슬롯(1221)과 소정 간격을 두고, 서랍 본체(1200)의 인입 및 인출 방향을 따라 패여진 형태를 갖는 제2 슬롯(1222) 및 제1 슬롯(1221)과 제2 슬롯(1222)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장착돌기(1227)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portion has a first slot 1221 having a shape concave along the incoming and outgoing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120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lot 1221 in the incoming and outgoing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1200. It includes a second slot 1222 having a shape dented along and a third mounting protrusion 1227 formed between the first slot 1221 and the second slot 1222 .

제1 슬롯(1221)에는 전면부(1202)를 지지하는 틸팅 구동부(1300)의 제1 기어암(1310)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 슬롯(1222)에는 틸팅 구동부(1300)의 제2 기어암(1320)이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제3 돌기(1322)에는 제1 기어암(1310)과 제2 기어암(1320)을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일부분은 제1 기어암(1310)과 맞물리고 다른 일부분은 제2 기어암(1320)과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센터 기어(1330)가 장착된다. The first gear arm 1310 of the tilting driving unit 1300 supporting the front part 1202 is movably mounted in the first slot 1221 . The second gear arm 1320 of the tilting driving unit 1300 is movably mounted in the second slot 1222 . A part of the third protrusion 1322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arm 1310 and the other part is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arm so that the first gear arm 1310 and the second gear arm 1320 move in opposite directions. 1320) is mounted with a center gear 1330 coupled to mesh with it.

또한, 장착부에는 서랍 본체(1200)가 인출되어 전면부(1202)가 틸팅 될 때, 제1 기어암(131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1223) 및 전면부(1202)가 틸팅되어 서랍 본체(1200)가 입입될 때 제1 기어암(131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1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rawer main body 1200 is pulled out and the front part 1202 is tilted, the first stopper 1223 and the front part 1202, which limit the movement of the first gear arm 1310, are tilted in the mounting part, so that the drawer A second stopper 1224 for limiting movement of the first gear arm 1310 when the main body 1200 is inserted may be further included.

특히, 제1 스토퍼(1223)는 제1 기어암(1310)의 일측 하단부에 돌출 형성된 제1 돌기(1311)가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기어암(1310)이 서랍 본체(1200)의 인출 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동되고 나면, 제1 기어암(1310)의 제1 돌기(1311)가 제1 스토퍼(1223)에 걸리게 됨으로써 더 이상 제1 기어암(1310)이 이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In particular, the first stopper 1223 is caught by the first protrusion 1311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gear arm 1310 . Accordingly, after the first gear arm 1310 is moved to some extent in the pull-out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1200, the first protrusion 1311 of the first gear arm 1310 is caught by the first stopper 1223. The first gear arm 1310 is no longer moved.

또한, 제2 스토퍼(1224)는 제1 기어암(1310)의 타측 하단부에 돌출 형성된 제2 돌기(1312)가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기어암(1310)이 서랍 본체(1200)의 인입 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동되고 나면, 제1 기어암(1310)의 제2 돌기(1312)가 제2 스토퍼(1224)에 걸리게 됨으로써 더 이상 제1 기어암(1310)이 이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second stopper 1224 is caught by the second protrusion 1312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gear arm 1310 . Accordingly, after the first gear arm 1310 is moved to some extent in the pull-in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1200, the second protrusion 1312 of the first gear arm 1310 is caught by the second stopper 1224, thereby The first gear arm 1310 is no longer mov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서랍(1000)은 제1 댐퍼(1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raw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amper 1240 .

제1 댐퍼(1240)는 함몰부(1210)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함몰부(1210)의 장착부에는 제1 댐퍼(1240)가 장착되는 제1 장착돌기(1225)가 추가로 마련된다.The first damper 1240 is provided in the depression 1210 . Accordingly, a first mounting protrusion 1225 to which the first damper 1240 is mounted is additionally provided at the mounting portion of the recessed portion 1210 .

제1 장착돌기(1225)는 제1 댐퍼(1240)의 양 단부가 장착되도록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부재로 마련된다. The first mounting protrusion 1225 is provided as a pair of member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both ends of the first damper 1240 are mounted.

제1 댐퍼(1240)는 함몰부(1210)에 마련되어 제2 기어암(1320)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제2 기어암(1320)과 함몰부(1210)의 일면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The first damper 1240 is provided on the recessed portion 1210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second gear arm 1320 or to prevent a collision between the second gear arm 1320 and one surface of the recessed portion 1210 am.

구체적으로, 제1 댐퍼(1240)는 제2 기어암(1320)의 단부와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서랍 본체(1200)가 인출될 때 제1 기어암(1310)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기어암(132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더욱이, 제1 댐퍼(1240)는 제2 기어암(1320)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제2 기어암(1320)과 함몰부(1210)의 충돌을 방지하게 된다. Specifically, the first damper 1240 is form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end of the second gear arm 1320 and mov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gear arm 1310 when the drawer body 1200 is withdrawn. The movement of the gear arm 1320 is restricted. Moreover, the first damper 1240 prevents a collision between the second gear arm 1320 and the depression 1210 by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gear arm 1320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1000)은 제2 댐퍼(1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aw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amper 1250.

제2 댐퍼(1250)는 제1 댐퍼(1240)과 함께 함몰부(1210)에 마련된다. The second damper 1250 is provided in the depression 1210 together with the first damper 1240 .

이에 따라, 함몰부(1210)의 장착부에는 제2 댐퍼(1250)가 장착되는 제2 장착돌기(1226)가 추가로 마련된다. Accordingly, a second mounting protrusion 1226 to which the second damper 1250 is mounted is additionally provided at the mounting portion of the recessed portion 1210 .

제2 장착돌기(1226)는 제2 댐퍼(1250)의 양 단부가 장착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부재로 마련된다. The second mounting protrusion 1226 is provided as a pair of member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both ends of the second damper 1250 can be mounted.

특히, 제2 댐퍼(1250)는 함몰부(1210)에 마련되되, 적어도 일부분이 서랍 본체(1200)의 측면부(1203,1204)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서랍 본체(1200)가 케이스(1100)의 내부로 인입될 때에 전면부(1202)와 측면부(1203,1204)의 충격을 방지하게 된다. In particular, the second damper 1250 is provided on the recessed portion 121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damper 1250 protrudes from the side surfaces 1203 and 1204 of the drawer body 1200, so that the drawer body 1200 is inside the case 1100. When introduced into the front portion 1202 and the side portion (1203, 1204) to prevent impact.

참고로, 제1 댐퍼(1240) 및 제2 댐퍼(1250)는 적어도 일부분이 입출 가능한 실린더 형태로 마련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형태면 어떠한 것으로든 변형될 수 있다. For referenc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damper 1240 and the second damper 1250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cylinder that can be moved in and out,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can be deformed into any form as long as it can mitigate impact.

또한, 장착부에는 마감커버(1230)를 한번더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돌기(1228)가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oupling protrusion 1228 for fixing the finishing cover 1230 once more may be provided on the mounting portion.

결합돌기(1228)는 제3 장착돌기(1227)을 기준으로 양 측에 마련되되, 함몰부(1210)의 일면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The coupling protrusion 1228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hird mounting protrusion 1227 and ma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recessed portion 1210 .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함몰부(1210)에 형성되는 장착부는 마감커버(1230)의 내측면에 동일한 형태의 결합부로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6 , the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recessed portion 1210 may be provided as a coupling portion of the same shap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losing cover 1230 .

결합부에는 장착부와 마찬가지로, 제1 슬롯(1231), 제1 슬롯(1231)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 슬롯(1232), 제1 슬롯(1231)과 제2 슬롯(1232) 사이에 마련되어 센터 기어(1330)가 되도록 하는 제3 장착돌기(1227)가 마련될 수 있다. Similar to the mounting portion, the coupling portion includes a first slot 1231, a second slot 1232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slot 1231, and provided between the first slot 1231 and the second slot 1232. A third mounting protrusion 1227 to become the center gear 1330 may be provided.

또한, 결합부에는 제1 댐퍼(12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장착돌기(1239), 제2 댐퍼(125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2 장착돌기(1236)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mounting protrusion 1239 for fixing the first damper 1240 and a second mounting protrusion 1236 for fixing the second damper 125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coupling part.

더욱이, 결합부에는 함몰부에 마감커버(12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돌기(1238)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238)는 장착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228)와 함께 함몰부(1210)에 대해 마감커버(123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Furthermore, a coupling protrusion 1238 for fixing the closing cover 1230 to the recessed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The coupling protrusion 1238 formed on the coupling part allows the closing cover 1230 to be stably coupled to the recessed portion 1210 together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1228 formed on the mounting portion.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 구동부(13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7 to 10 , the tilting driving unit 1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술한 바와 같이, 틸팅 구동부(1300)는 서랍 본체(1200)가 케이스(1100)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될 때, 전면부(1202)의 틸팅시킨다. As described above, the tilting driver 1300 tilts the front part 1202 when the drawer main body 1200 is pulled in or out from the case 1100 .

틸팅 구동부(1300)는 제1 기어암(1310), 제2 기어암(1320) 및 센터 기어(13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ilting driving unit 1300 may include a first gear arm 1310 , a second gear arm 1320 and a center gear 1330 .

제1 기어암(1310)은 제1 슬롯(1221)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서랍 본체(1200)가 틸팅될 때에 전면부(1202)를 밀어주는 부분이다. The first gear arm 1310 is mounted to be linearly movable along the first slot 1221 and pushes the front part 1202 when the drawer body 1200 is tilted.

제1 기어암(1310)의 하단부에는 기어가 형성되고, 기어는 제1 기어암(1310)의 길이 방향, 즉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A gear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gear arm 1310 , and the gear may be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gear arm 1310 , that is, along a linear movement direction.

제1 기어암(1310)의 하단부에는 제1 돌기(1311) 및 제2 돌기(1312)가 이격 형성된다. 제1 돌기(1311) 및 제2 돌기(1312)는 제1 기어암(1310)의 하단부의 기어가 미형성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돌기(1311)는 제1 기어암(1310)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2 돌기(1312)는 제2 기어암(1320)의 타측에 형성된다. A first protrusion 1311 and a second protrusion 131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gear arm 1310 . The first protrusion 1311 and the second protrusion 1312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gear arm 1310 where no gear is formed. In particular, the first protrusion 13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gear arm 1310, and the second protrusion 131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gear arm 1320.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돌기(1311) 및 제2 돌기(1312)는 함몰부(1210)에 형성된 제1 스토퍼(1223) 및 제2 스토퍼(1224)와 각각 접촉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rotrusion 1311 and the second protrusion 1312 contact the first stopper 1223 and the second stopper 1224 formed in the depression 1210 , respectively.

제1 기어암(1310)이 제1 슬롯(1221)을 따라 서랍 본체(1200)의 인출 방향(도 7에서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동되면, 제1 돌기(1311)가 제1 스토퍼(1223)에 걸리게 된다. 이때, 제1 돌기(1311)가 제1 스토퍼(1223)에 걸리는 위치가 제1 기어암(1310)의 인출 방향 최대 이동 거리를 의미하며, 제1 기어암(1310)은 제1 돌기(1311)가 제1 스토퍼(1223)에 걸리는 위치까지만 이동되게 된다. When the first gear arm 1310 is moved along the first slot 1221 to some extent in the pull-out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1200 (in the direction of the dotted line arrow in FIG. 7 ), the first protrusion 1311 is the first stopper 1223 ) will be caught. At this time,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protrusion 1311 is caught by the first stopper 1223 means the maximum moving distance of the first gear arm 1310 in the withdrawal direction, and the first gear arm 1310 is the first protrusion 1311 is moved only to the position where it is caught by the first stopper 1223.

반대로, 제1 기어암(1310)이 제1 슬롯(1221)을 따라 서랍 본체(1200)의 인입 방향(도 7에서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동되면, 제2 돌기(1312)가 제2 스토퍼(1224)에 걸리게 된다. 이대, 제2 돌기(1312)가 제2 스토퍼(1224)에 걸리는 위치가 제1 기어암(1310)의 인입 방향 최대 이동 거리를 의미하며, 제1 기어암(1310)은 제2 돌기(1312)가 제2 스토퍼(1224)에 걸리는 위치까지만 이동되게 된다. Conversely, when the first gear arm 1310 moves along the first slot 1221 to a certain extent in the pull-in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1200 (in the direction of the solid line arrow in FIG. 7 ), the second protrusion 1312 is the second stopper (1224).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protrusion 1312 is caught by the second stopper 1224 means the maximum moving distance of the first gear arm 1310 in the retraction direction, and the first gear arm 1310 is the second protrusion 1312 is moved only to the position where it is caught by the second stopper 1224.

제2 기어암(1320)의 상단부에는 기어가 형성되는데, 기어는 제2 기어암(1320)의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A gear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gear arm 1320, and the gear may be formed alo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gear arm 1320.

제2 기어암(1320)은 제2 슬롯(1222)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제2 기어암(1320)은 제1 기어암(1310)이 인출 방향(도 7에서 점선 방향)으로 이동되면 이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1 기어암(1310)이 인입 방향(도 7에서 실선 방향)으로 이동되면 이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The second gear arm 1320 is mounted to be linearly movable along the second slot 1222 . At this time, the second gear arm 1320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the first gear arm 1310 is moved in the pull-out direction (dotted line direction in FIG. 7), and the first gear arm 1310 is moved in the pull-in direction (shown in 7), it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이때, 제1 기어암(1310)과 제2 기어암(1320)은 센터 기어(1330)에 맞물려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gear arm 1310 and the second gear arm 1320 are engaged with the center gear 1330 and move in opposite directions.

센터 기어(1330)는 제1 기어암(1310)과 제2 기어암(1320) 사이에 배치되되, 함몰부(1210)에 형성된 제3 장착돌기(1227)에 결합된다. The center gear 133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gear arm 1310 and the second gear arm 1320 and coupled to the third mounting protrusion 1227 formed in the recessed portion 1210 .

이때, 센터 기어(1330)는 제1 슬롯(1221)과 제2 슬롯(1222)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중심축을 기준으로 내측 기어(1332) 및 외측 기어(1334)를 가지는 이중 기어로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center gear 1330 is formed as a double gear having an inner gear 1332 and an outer gear 1334 based on the central axis in a state located between the first slot 1221 and the second slot 1222. .

센터 기어(1330)의 내측 기어(1332)에는 제1 기어암(1310)이 맞물리고, 센터 기어(1330)의 외측 기어(1334)에는 제2 기어암(1320)이 맞물리게 된다. The first gear arm 1310 is engaged with the inner gear 1332 of the center gear 1330, and the second gear arm 1320 is engaged with the outer gear 1334 of the center gear 1330.

예를 들어, 서랍 본체(1200)가 케이스(1100)로부터 인출되면, 제1 기어암(1310)은 내측 기어(1332)의 시계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왼쪽으로 직선 이동된다. 제2 기어암(1320)은 내측 기어(1332)의 시계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오른쪽으로 직선 이동된다. For example, when the drawer body 1200 is withdrawn from the case 1100, the first gear arm 1310 is linearly moved to the left by rotation of the inner gear 1332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second gear arm 1320 is linearly moved to the right by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inner gear 1332 .

반대로, 서랍 본체(1200)가 케이스(1100)의 내부로 인입되면, 제1 기어암(1310)은 내측 기어(1332)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오른쪽으로 직선 이동된다. 제2 기어암(1320)은 내측 기어(1332)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왼쪽으로 직선 이동된다. Conversely, when the drawer body 1200 is drawn into the case 1100, the first gear arm 1310 is linearly moved to the right by clockwise rotation of the inner gear 1332. The second gear arm 1320 is linearly moved to the left by clockwise rotation of the inner gear 1332 .

한편, 서랍 본체(1200)가 케이스(1100)로부터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과정에서 제2 기어암(1320)은 케이스(1100)에 배치된 픽스 브라켓(1120)과 접촉된다. Meanwhile, while the drawer body 1200 is pulled out or retracted from the case 1100 , the second gear arm 13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x bracket 1120 disposed in the case 1100 .

이를 위해, 픽스 브라켓(1120)은 케이스(1100)의 측면 프레임(1112,1113)의 내측면에 제2 기어암(1320)의 단부와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To this end, the fix bracket 1120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frames 1112 and 1113 of the case 1100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end of the second gear arm 1320.

참고로, 하나의 측면 프레임(1112)에 배치된 픽스 브라켓(1120)은 케이스(1110)의 다른 하나의 측면 프레임(1113)에 배치된 픽스 브라켓(1120)과 대칭되도록 측면 프레임(1112,1113)의 내부에 배치된다.For reference, the fix bracket 1120 disposed on one side frame 1112 is symmetrical with the fix bracket 1120 disposed on the other side frame 1113 of the case 1110. The side frames 1112 and 1113 is placed inside

이에 따라, 픽스 브라켓(1120)은 케이스(1100)로부터 서랍 본체(1200)가 인출되거나 인입될 때에 제2 기어암(1320)을 밀어줌으로써 케이스(1100)에 대한 서랍 본체(1200)의 인출 및 인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x bracket 1120 pushes the second gear arm 1320 when the drawer body 1200 is drawn out or drawn in from the case 1100, so that the drawer body 1200 is drawn in and out of the case 1100. can facilitate

한편, 제2 기어암(1320)의 하단부에는 제3 돌기(1322)가 추가로 마련된다. Meanwhile, a third protrusion 1322 is additionally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gear arm 1320 .

제2 기어암(1320)의 제3 돌기(1322)는 픽스 브라켓(1120)의 양 단부와 접촉된다. The third protrusion 1322 of the second gear arm 1320 contacts both ends of the fix bracket 1120 .

이때, 픽스 브라켓(1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1121,1122)가 마련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x bracket 112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blade (1121, 1122).

블레이드(1121,1122)는 픽스 브라켓(1120)의 단부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이때, 블레이드(1121,1122)는 픽스 브라켓(1120)의 단부와 점차적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레이드(1121,1122)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플렉시블(flexible) 한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The blades 1121 and 1122 extend from one end surface of the fix bracket 1120. At this time, the blades 1121 and 1122 may be provided so as to be gradually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fix bracket 1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is end, the blades 1121 and 1122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as to be bent in at least one direction.

이와 같이, 블레이드(1121,1122)와 픽스 브라켓(112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됨에 따라, 제2 기어암(1320)의 제3 돌기(1322)와 접촉되더라도 픽스 브라켓(11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as a gap is formed between the blades 1121 and 1122 and the fix bracket 1120, even if they come into contact with the third protrusion 1322 of the second gear arm 1320, the impact applied to the fix bracket 1120 is reduced. can be alleviated.

참고로, 도면에는 픽스 브라켓(1120)의 양 단부의 각각에 블레이드(1121,1122)가 모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레이드(1121,1122)는 픽스 브라켓(1120)이 설치되는 측면 프레임(1112,1113)의 위치에 따라 하나의 단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For reference, although the drawings show that both ends of the fix bracket 1120 are provided with both blades 1121 and 1122, the fix bracket 112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fix bracket 1120 is installed on the blades 1121 and 1122.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side frames 1112 and 1113 to be, it may be formed at only one end.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서랍 본체(1200)와 픽스 브라켓(1120)의 접촉 관계를 설명한다. 참고로, 도 9 및 도 10은 서랍 본체(1200)의 전면부(1202)에 결합된 한 쌍의 측면부(1203,1204) 중에서 전면부(1202)의 일 측에 결합된 측면부(1203)에 설치된 틸팅 구동부(1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A contact relationship between the drawer body 1200 and the fix bracket 1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 For reference, FIGS. 9 and 10 are installed on the side part 1203 coupled to one side of the front part 1202 among a pair of side parts 1203 and 1204 coupled to the front part 1202 of the drawer body 1200. It is a drawing showing the tilting driving unit 1300.

또한,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픽스 브라켓(1120)의 일단부에 형성된 블레이드를 제1 블레이드(1121)라 하고, 픽스 브라켓(1120)의 타단부에 형성된 블레이드를 제2 블레이드(1122)라 한다.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blade formed at one end of the fix bracket 1120 is referred to as a first blade 1121, and the blad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x bracket 1120 is referred to as a second blade 1122. do.

전면부(1202)를 제외한 서랍 본체(1200)가 케이스(1100)로부터 인출되고 전면부(1202)가 일 방향으로 틸팅될 때, 제2 기어암(1320)은 오른쪽으로 이동되고 제2 기어암(1320)의 제3 돌기(1322)는 픽스 브라켓(1120)의 제1 블레이드(1121)와 접촉된다. 그러면, 픽스 브라켓(1120)이 제3 돌기(1322)를 밀어주게 되고, 제3 돌기(1322)에 가해진 힘은 제2 기어암(1320)과 맞물린 센터 기어(1330)를 통해서 제1 기어암(1310)으로 전달됨으로써, 서랍 본체(1200)가 케이스(1100)로부터 인출되는 동작을 보조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When the drawer body 1200 excluding the front part 1202 is withdrawn from the case 1100 and the front part 1202 is tilted in one direction, the second gear arm 1320 is moved to the right and the second gear arm ( The third protrusion 1322 of 132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blade 1121 of the fix bracket 1120. Then, the fix bracket 1120 pushes the third protrusion 1322, and the force applied to the third protrusion 1322 passes through the center gear 1330 meshed with the second gear arm 1320 to the first gear arm ( 1310), the drawer body 1200 generates a force assisting the operation of being withdrawn from the case 1100.

또한, 전면부(1202)를 제외한 서랍 본체(1200)가 케이스(1100)로 입입되어 전면부(1202)가 타 방향으로 틸팅될 때, 제2 기어암(1320)은 왼쪽으로 이동되고 제2 기어암(1320)의 제3 돌기(1322)는 픽스 브라켓(1120)의 제1 블레이드(1121)와 접촉된다. 그러면, 픽스 브라켓(1120)으로부터 제3 돌기(1322)에 가해진 힘은 제2 기어암(1320)과 맞물린 센터 기어(1330)를 통해서 제1 기어암(1310)으로 전달됨으로써, 서랍 본체(1200)가 케이스(1100)로 인입되는 동작을 보조하는 힘을 발생시키킨다. In addition, when the drawer body 1200 excluding the front part 1202 is inserted into the case 1100 and the front part 1202 is til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second gear arm 1320 is moved to the left and the second gear arm 1320 moves to the left. The third protrusion 1322 of the arm 1320 contacts the first blade 1121 of the fix bracket 1120. Then, the force applied from the fix bracket 1120 to the third protrusion 1322 is transmitted to the first gear arm 1310 through the center gear 1330 meshed with the second gear arm 1320, so that the drawer body 1200 generates a force assisting the operation of being drawn into the case 1100.

여기서, 틸팅 구동부(1300)가 서랍 본체(1200)의 하나의 측면부(1203)에 마련되는 경우, 제2 기어암(1320)이 오른쪽으로 이동되거나 왼쪽으로 이동되더라도 픽스 브라켓(1120)의 제2 블레이드(1122)는 제2 기어암(1320)과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제2 기어암(1320)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Here, when the tilting driving unit 1300 is provided on one side surface 1203 of the drawer body 1200, even if the second gear arm 1320 moves to the right or left, the second blade of the fix bracket 1120 1122 has no effect on the second gear arm 1320 because it is not in contact with the second gear arm 1320.

반대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는 다르게, 틸팅 구동부(1300)가 서랍 본체(1200)의 다른 측면부(1204)에 마련되는 경우, 전면부(1202)를 제외한 서랍 본체(1200)가 케이스(1100)로부터 인출되면 제2 기어암(1320)이 오른쪽으로 이동되어 제2 기어암(1320)의 제3 돌기(1322)가 픽스 브라켓(1120)의 제2 블레이드(1122)와 접촉된다. 그러면, 픽스 브라켓(1120)이 제3 돌기(1322)를 밀어주게 되어 서랍 본체(1200)의 인출 동작을 보조한다. Conversely, unlike those shown in FIGS. 9 and 10 , when the tilting driving unit 130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part 1204 of the drawer body 1200, the drawer body 1200 excluding the front part 1202 is a case. When withdrawn from 1100, the second gear arm 1320 is moved to the right so that the third protrusion 1322 of the second gear arm 13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blade 1122 of the fix bracket 1120. Then, the fix bracket 1120 pushes the third protrusion 1322 to assist the withdrawal operation of the drawer body 1200.

또한, 전면부(1202)를 제외한 서랍 본체(1200)가 케이스(110)로 인입되고 전면부(1202)가 틸팅되기 전의 위치로 이동되면 제2 기어암(1320)이 왼쪽으로 이동되어 제2 기어암(1320)의 제3 돌기(1322)가 픽스 브라켓(110)의 제2 블레이드(1122)와 접촉된다. 그러면, 픽스 브라켓(1120)이 제3 돌기(1322)를 밀어주게 되어 서랍 본체(1200)의 인입 동작을 보조한다. In addition, when the drawer main body 1200 excluding the front part 1202 is drawn into the case 110 and the front part 1202 is moved to a position before being tilted, the second gear arm 1320 is moved to the left and the second gear arm 1320 moves to the left. The third protrusion 1322 of the arm 1320 contacts the second blade 1122 of the fix bracket 110. Then, the fix bracket 1120 pushes the third protrusion 1322 to assist the drawing-in operation of the drawer body 1200 .

여기서, 틸팅 구동부(1300)가 서랍 본체(1200)의 다른 측면부(1204)에 마련되는 경우, 제2 기어암(1320)이 오른쪽으로 이동되거나 왼쪽으로 이동되더라도 픽스 브라켓(1120)의 제1 블레이드(1121)는 제2 기어암(1320)과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제2 기어암(1320)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Here, when the tilting driver 130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part 1204 of the drawer body 1200, even if the second gear arm 1320 moves to the right or left, the first blade of the fix bracket 1120 ( 1121 has no effect on the second gear arm 1320 because i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gear arm 1320.

한편, 제1 기어암(1310)의 일단부는 서랍 본체(1200)의 전면부(1202)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후술할 푸쉬부재(1314) 및 고정편(1315)에 의해 전면부(1202)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Meanwhile, one end of the first gear arm 131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front part 1202 of the drawer body 1200, and the front part 1202 and It may also be indirectly connected.

여기서, 제1 기어암(1310)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푸쉬부재(1314)는 막대(stick), 로드(rod)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 the push member 1314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gear arm 1310 may be formed of a stick or ro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서랍 본체(1200)가 인출될 때, 푸쉬부재(1314)는 제1 기어암(1310)이 제1 슬롯(1221)을 따라 인출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 기어암(1310)과 함께 서랍 본체(1200)의 전면부(1202)를 함께 밀어주게 된다. When the drawer body 1200 is withdrawn, the push member 1314 is moved along the first slot 1221 along the first slot 1221 in the drawer body (with the first gear arm 1310). The front part 1202 of 1200 is pushed together.

한편, 푸쉬부재(1314)에는 고정편(1315)이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a fixing piece 1315 may be connected to the push member 1314 .

이에 따라, 전면부(1202)에는 고정편(1315), 푸쉬부재(1314) 및 제1 기어암(1310) 순으로 연결된다. Accordingly, the fixing piece 1315, the push member 1314, and the first gear arm 1310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front part 1202.

여기서, 고정편(1315)의 힌지축(미도시)이 형성된다. Here, a hinge shaft (not shown) of the fixing piece 1315 is formed.

고정편(1315)에 힌지축이 형성됨에 따라, 푸쉬부재(1314)와 고정편(1315) 사이는 고정편(1315)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형성된다. As the hinge shaft is formed at the fixing piece 1315, a space between the push member 1314 and the fixing piece 1315 is formed to be til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hinge axis of the fixing piece 1315.

참고로, 서랍 본체(1200)의 전면부(1202) 틸팅 각도는 서랍 본체(1200)가 사용되는 분야, 제품, 내부에 수용되는 물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tilting angle of the front part 1202 of the drawer body 1200 may vary depending on the field in which the drawer body 1200 is used, the product, and the object accommodated therein.

서랍 본체(1200)의 틸팅 각도는 푸쉬부재(1314)의 길이에 따라 조절 가능할 수 있는데, 푸쉬부재(1314)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전면부(1202)의 틸팅 각도는 증가되고, 푸쉬부재(1314)의 길이가 ?아질수록 전면부(1202)의 틸팅 각도는 감소된다. The tilting angle of the drawer body 1200 may be adjustabl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ush member 1314. As the length of the push member 1314 increases, the tilting angle of the front part 1202 increases, and the push member 1314 As the length of is increased, the tilting angle of the front part 1202 is reduced.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1000)은 서랍 본체(1200)의 전면부(1202) 틸팅 각도가 최대 100도를 넘지 않도록 하고 대략 20도 정도의 틸팅 각도를 형성하도록 푸쉬부재(1314)의 길이가 형서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 the draw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ush member 1314 so that the tilting angle of the front part 1202 of the drawer body 1200 does not exceed a maximum of 100 degrees and forms a tilting angle of about 20 degrees. ) is forme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서랍 본체(1200)이 케이스(1100)로부터 인출되거나, 케이스(1100)로 인입되는 동작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 an operation in which the drawer main body 1200 is withdrawn from the case 1100 or drawn into the case 1100 will be briefly described.

사용자는 서랍 본체(1200)를 케이스(1100)로부터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전면부(1202)를 당긴다(도 9에서 전면부의 왼쪽 방향).When the user wants to withdraw the drawer body 1200 from the case 1100, the user pulls the front part 1202 (left direction of the front part in FIG. 9).

전면부(1202)가 당겨지면, 센터 기어(1330)의 내측 기어(133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센터 기어(1330)의 외측 기어(1334)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When the front portion 1202 is pulled, the inner gear 1332 of the center gear 1330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outer gear 1334 of the center gear 1330 rotates clockwise.

이에 따라, 제1 기어암(1310)은 제1 슬롯(1221)을 따라 서랍 본체(1200)의 인출 방향(도 7에서 제1 기어암 상에 표시된 점선 화살표 참조)으로 이동되고, 제2 기어암(1320)은 제1 기어암(1310)과 반대되는 방향(도 7에서 제2 기어암 상에 표시된 점선 화살표 참조)으로 이동된다. Accordingly, the first gear arm 1310 is moved along the first slot 1221 in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1200 (refer to the dotted line arrow indicated on the first gear arm in FIG. 7 ), and the second gear arm 1320 is 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gear arm 1310 (refer to the dotted line arrow indicated on the second gear arm in FIG. 7 ).

서랍 본체(1200)가 케이스(1100)로부터 인출될 때, 제1 기어암(1310)은 제1 돌기(1311)가 제1 스토퍼(1223)에 걸리는 위치까지만 이동되고, 제2 기어암(1320)의 타단부가 제1 댐퍼(1240)와 접촉되는 위치까지만 이동된다. When the drawer body 1200 is withdrawn from the case 1100, the first gear arm 1310 moves only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protrusion 1311 is caught by the first stopper 1223, and the second gear arm 1320 The other end of is moved only to a position where it contacts the first damper 1240.

참고로, 서랍 본체(1200)가 케이스(1100)로부터 인출되어 전면부(1202)가 일 방향으로 틸팅된 상태에서 전면부(1202)를 더 당기면, 서랍 본체(1200)가 레일부(1290)에 의해 케이스(1100)로부터 완전히 인출되고 전면부(1202)의 틸팅 각도가 서랍 본체(1200)의 바닥부와 평행해지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For reference, when the drawer body 1200 is withdrawn from the case 1100 and the front portion 1202 is tilted in one direction, when the front portion 1202 is further pulled, the drawer body 1200 is attached to the rail portion 1290. It may be completely drawn out from the case 1100 and the tilting angle of the front part 1202 may be parallel to the bottom part of the drawer body 1200.

또한, 사용자는 서랍 본체(1200)를 케이스(1100)의 내부로 인입하고자 하는 경우, 일방향으로 틸팅된 전면부(1202)를 밀어준다. Also, when the user wants to bring the drawer main body 1200 into the case 1100, the user pushes the tilted front part 1202 in one direction.

전면부(1202)를 밀어주게 되면 서랍 본체(1200)가 레일부(1290)를 따라서 케이스(1100)의 내부로 인입되게 된다. 이때, 센터 기어(1330)의 내측 기어(133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센터 기어(1330)의 외측 기어(1334)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When the front part 1202 is pushed, the drawer main body 1200 is drawn into the case 1100 along the rail part 1290 . At this time, the inner gear 1332 of the center gear 1330 rotates clockwise and the outer gear 1334 of the center gear 1330 rotates counterclockwise.

이에 따라, 제1 기어암(1310)은 제1 슬롯(1221)을 따라 서랍 본체(1200)의 인입 방향(도 7에서 제1 기어암 상에 표시된 실선 화살표 참조)으로 이동되고, 제2 기어암(1320)은 제1 기어암(1310)과 반대되는 방향(도 7에서 제2 기어암 상에 표시된 실선 화살표 참조)으로 이동된다. Accordingly, the first gear arm 1310 is moved along the first slot 1221 in the pull-in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1200 (refer to the solid line arrow shown on the first gear arm in FIG. 7), and the second gear arm 1320 is 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gear arm 1310 (refer to the solid line arrow indicated on the second gear arm in FIG. 7 ).

서랍 본체(1200)가 케이스(1100)로 인입될 때, 제1 기어암(1310)은 제2 돌기(1312)가 제2 스토퍼(1224)에 걸리는 위치까지만 이동되고, 제2 기어암(1320)의 타단부는 제1 기어암(1310)의 이동 위치에 따라 전면부(1202)를 향해서 이동되게 된다. When the drawer body 1200 is retracted into the case 1100, the first gear arm 1310 moves only to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protrusion 1312 is caught by the second stopper 1224, and the second gear arm 1320 The other end of is moved toward the front part 1202 according to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first gear arm 1310.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1000)은 틸팅 구동부(1300)를 마련하여 서랍 본체(1200)를 인출할 때에 서랍 본체(1200)의 전면부(1202)가 틸팅됨으로써,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서랍 본체(1200)를 인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서랍 본체(1200)의 인출뿐만 아니라 인입할때에도 서랍 본체(1200)의 전면부(1202)만 밀면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draw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tilting driving unit 1300 so that when the drawer body 1200 is pulled out, the front portion 1202 of the drawer body 1200 is tilted. ,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can withdraw the drawer body 1200 with little force. Moreover, since only the front part 1202 of the drawer body 1200 is pushed when the drawer body 1200 is drawn in as well as withdrawn, user convenience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서랍은, 틸팅 구동부(1300)가 서랍 본체(1200)와 일체로 사출 형성되기 때문에, 서랍을 제작하기 위한 부품의 수가 현저하게 줄어들어서 구조가 간편해지고 제작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draw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ilting driving unit 1300 is integrally injection-molded with the drawer body 1200, the number of parts for manufacturing the drawer is significantly reduced,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significantl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There is an effec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but this is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ot limi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all things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서랍
1100: 케이스
1120: 픽스 브라켓 1121,1122: 블레이드
1200: 서랍 본체
1202: 전면부 1203,1204: 측면부
1205: 측면부(후면부) 1206: 바닥부
1210: 함몰부 1230: 마감커버
1240: 제1 댐퍼 1250: 제2 댐퍼
1260: 제1 지지부재 1270: 제2 지지부재
1280: 걸이대 1282: 차단부재
1300: 틸팅 구동부
1310: 제1 기어암 1320: 제2 기어암
1330: 센터기어
1000: drawer
1100: case
1120: fix bracket 1121, 1122: blade
1200: drawer body
1202: front part 1203, 1204: side part
1205: side part (rear part) 1206: bottom part
1210: depression 1230: closing cover
1240: first damper 1250: second damper
1260: first support member 1270: second support member
1280: hanger 1282: blocking member
1300: tilting driving unit
1310: first gear arm 1320: second gear arm
1330: center gear

Claims (24)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하며, 일면에 인입 형성되는 함몰부가 마련된 서랍 본체; 및
함몰부에 위치되며, 서랍 본체가 케이스로부터 인출될 때 서랍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틸팅되도록 하는 틸팅 구동부;
를 포함하고,
함몰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틸팅 구동부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위치가 고정된 틸팅 구동부를 서랍 본체의 인입 및 인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서랍.
a case with one side open;
Drawer body so that it is drawn into or drawn out of the case, and has a recessed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drawer; and
a tilting drive unit positioned in the recessed portion and configured to tilt at least a portion of the drawer body when the drawer body is withdrawn from the case;
including,
A drawer, comprising: a mounting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recessed portion, fixing a position of the tilting driving unit, and supporting the tilting driving unit having the fixed position so as to slide in the drawing-in and drawing-out directions of the drawer body.
제1항에 있어서,
서랍 본체는 함몰부 및 장착부와 일체로 사출 형성되는, 서랍.
According to claim 1,
The drawer body is injection-formed integrally with the recessed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함몰부에는 체결홈이 마련되고,
체결홈에는 함몰부를 덮는 마감커버가 체결되며,
서랍 본체의 일면에 대해 마감커버가 결합된 함몰부는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서랍.
According to claim 1,
A fastening groove is provided in the recessed portion,
A closing cover covering the depression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A drawer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depressed portion to which the closing cover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drawer body.
제3항에 있어서,
마감커버의 내측면에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결합부는 함몰부에 틸팅 구동부가 배치된 상태에서 장착부와 결합되는, 서랍.
According to claim 3,
A coupling part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losing cover,
The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mount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tilting driving portion is disposed in the recessed portion, the drawer.
제4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함몰부에 형성된 장착부와 대응되도록 마련된, 개페가 용이한 서랍.
According to claim 4,
A drawer that is easy to open and close, wherein the coupling part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mounting part formed in the recessed part.
제5항에 있어서,
장착부의 높이는 함몰부의 깊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개페가 용이한 서랍.
According to claim 5,
A drawer that is easy to open and close, wherein the height of the mounting portion is lower than the depth of the recessed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결합부의 높이는 함몰부의 깊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서랍.
According to claim 6,
The height of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a height lower than the depth of the depression portion, the drawer.
제7항에 있어서,
결합부 및 장착부가 결합된 전체 높이는 함몰부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서랍.
According to claim 7,
A drawer in which the total height of the coupled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depth of the recessed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마감커버에는 체결홈에 대응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서랍.
According to claim 3,
A drawer in which a fasten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groove is formed in the closing cover.
제1항에 있어서,
서랍 본체는,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에 위치되는 전면부;
전면부의 각 단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측면부; 및
전면부 및 복수 개의 측면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틸팅 구동부는 복수 개의 측면부 중에서 전면부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에 위치되며,
전면부는 틸팅 구동부에 의해 일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랍.
According to claim 1,
drawer body,
A front portion located on one open side of the case;
A plurality of side parts coupled to each end of the front part; and
Including a bottom portion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The tilting driving unit is located on at least one side part coupled to the front part among a plurality of side parts,
The front part is coupled to be tiltable in one direction by the tilting drive unit, the drawer.
제10항에 있어서,
틸팅 구동부는 복수 개의 측면부 중에서 전면부의 양 측에 결합된 한 쌍의 측면부에 각각 마련되고,
전면부는 한 쌍의 틸팅 구동부에 의해 일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는, 서랍.
According to claim 10,
The tilting driving unit is provided on a pair of side part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part among a plurality of side parts,
The front part is supported by a pair of tilting driving units to be able to tilt in one direction, the drawer.
제10항에 있어서,
바닥부의 양 측단부가 전면부의 양 측에 위치된 한 쌍의 측면부에 각각 결합되며,
측면부의 측단면과 바닥부의 측단면에는 측면부와 바닥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가 추가로 마련되는, 서랍.
According to claim 10,
Both side ends of the bottom part are coupled to a pair of side part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art, respectively,
A drawer, wherein a first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side surface and the bottom is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side end surface of the side part and the side end surface of the bottom part.
제12항에 있어서,
제1 지지부재는 "ㄴ" 자 형태를 포함하는, 서랍.
According to claim 12,
The first support member includes a "b" shape, the drawer.
제10항에 있어서,
서랍 본체에는,
전면부와 바닥부 사이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가 추가로 마련되는, 서랍.
According to claim 10,
In the drawer body,
A drawer further provided with a second support member supporting between the front part and the bottom part.
제10항에 있어서,
서랍 본체에는,
서랍 본체가 케이스로부터 인출되어 전면부가 틸팅될 때, 서랍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물체가 서랍 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추가로 마련되는, 서랍.
According to claim 10,
In the drawer body,
A drawer, wherein a blocking member is additionally provided to block an object accommodated inside the drawer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drawer body when the drawer body is withdrawn from the case and the front portion is tilted.
제10항에 있어서,
장착부는,
서랍 본체의 인입 및 인출 방향을 따라 패여진 형태를 갖는 제1 슬롯;
제1 슬롯과 소정 간격을 두고, 서랍 본체의 인입 및 인출 방향을 따라 패여진 형태를 갖는 제2 슬롯; 및
제1 슬롯과 제2 슬롯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장착돌기를 포함하고,
제1 슬롯에는 전면부를 지지하는 틸팅 구동부의 제1 기어암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슬롯에는 틸팅 구동부의 제2 기어암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3 장착돌기에는 제1 기어암과 제2 기어암을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일부분은 제1 기어암과 맞물리고 다른 일부분은 제2 기어암과 맞물리도록 결합된 센터 기어가 장착되는, 서랍.
According to claim 10,
mounting part,
A first slot having a shape dented along the drawing-in and drawing-out directions of the drawer body;
a second slot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slot and formed along the drawing-in and drawing-out directions of the drawer body; and
And a third mounting protrusion formed between the first slot and the second slot,
A first gear arm of a tilting drive unit supporting a front portion is movably mounted in the first slot,
A second gear arm of the tilting driving unit is movably mounted in the second slot,
The third mounting protrusion has a center gear coupled to the first gear arm and the second gear arm so that the first gear arm and the second gear arm are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and the other part is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arm. .
제16항에 있어서,
장착부에는,
서랍 본체가 인출되어 전면부가 틸팅 될 때 제1 기어암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 및
전면부가 틸팅되어 서랍 본체가 입입될 때 제1 기어암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제1 스토퍼는 제1 기어암의 일측 하단부에 돌출 형성된 제1 돌기가 걸려서 제1 기어암의 이동을 제한하고, 제2 스토퍼는 제1 기어암의 타측 하단부에 돌출 형성된 제2 돌기가 걸려서 제1 기어암의 이동을 제한하는, 서랍.
According to claim 16,
In the mounting part,
a first stopper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gear arm when the drawer body is drawn out and the front portion is tilted;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topper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gear arm when the front part is tilted and the drawer body is inserted,
The first stopper has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gear arm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first gear arm, and the second stopper has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gear arm. A drawer that limits the movement of the gear arm.
제17항에 있어서,
함몰부에 마련되되 제2 기어암의 단부와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서랍 본체가 인출될 때 제1 기어암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기어암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함몰부와 제2 기어암의 충돌을 방지하는 제1 댐퍼를 더 포함하고,
장착부는 제1 댐퍼가 장착되는 제1 장착돌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서랍.
According to claim 17,
It is provided in the recess and is form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end of the second gear arm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second gear arm, which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gear arm when the drawer body is withdrawn, or to separate the recess and the second gear arm. Further comprising a first damper to prevent collision,
The drawer further comprises a first mounting protrusion on which a first damper is mounted.
제17항에 있어서,
케이스에는 제2 기어암과 접촉되도록 배치된 픽스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제2 기어암의 하단부에는 제3 돌기가 추가로 마련되며,
픽스 브라켓은 서랍 본체가 인출되거나 서랍 본체가 인입될 때 제2 기어암의 제3 돌기를 밀어주도록 마련된, 서랍.
According to claim 17,
The case further includes a fix bracket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gear arm,
A third protrusion is additionally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gear arm,
The fix bracket is provided to push the third protrusion of the second gear arm when the drawer body is withdrawn or retracted.
제19항에 있어서,
픽스 브라켓에는 픽스 브라켓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점차적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블레이드가 마련되는, 서랍.
According to claim 19,
The fix bracket is provided with blades extending from one surface of the fix bracket and gradually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제20항에 있어서,
블레이드는 픽스 브라켓의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서랍.
According to claim 20,
Blade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x bracket, respectively, the drawer.
제10항에 있어서,
함몰부에 마련되되 적어도 일부분이 서랍 본체의 측면부로부터 돌출 되도록 배치되어 서랍 본체가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될 때 전면부와 측면부의 충격을 방지하는 제2 댐퍼를 더 포함하고,
장착부에는 제2 댐퍼가 위치되는 제2 장착돌기가 추가로 마련되는, 서랍.
According to claim 10,
A second damper provided in the recessed portion and arrang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protrudes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drawer body to prevent impact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when the drawer body is retracted into the case;
The draw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cond mounting protrusion in which a second damper is located in the mounting portion.
제16항에 있어서,
제1 기어암의 단부에는 푸쉬부재가 마련되고,
푸쉬부재는 전면부와 연결되며,
푸쉬부재는 서랍 본체가 인출되어 전면부가 틸팅될 때 제1 기어암과 함께 전면부를 밀어주도록 마련된, 서랍.
According to claim 16,
A push member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first gear arm,
The push member is connected to the front part,
The push member is provided to push the front part together with the first gear arm when the drawer body is pulled out and the front part is tilted.
제23항에 있어서,
푸쉬부재는 고정편을 매개로 전면부와 연결되고,
고정편은 푸쉬부재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랍.
According to claim 23,
The push member is connected to the front part via a fixing piece,
The drawer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fixing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ush member.
KR1020210180098A 2021-12-15 2021-12-15 Drawer KR2023009091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098A KR20230090913A (en) 2021-12-15 2021-12-15 Dra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098A KR20230090913A (en) 2021-12-15 2021-12-15 Draw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913A true KR20230090913A (en) 2023-06-22

Family

ID=86989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098A KR20230090913A (en) 2021-12-15 2021-12-15 Dra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091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272B1 (en) 2002-05-14 2008-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Drawer type door open/close structure for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272B1 (en) 2002-05-14 2008-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Drawer type door open/close structure for 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968B2 (en) Support beam for a cabinet drawer
KR101315651B1 (en) Sliding shelves for refrigerators and freezers
EP3059534B1 (en) Shelf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110191994B (en) Guiding system for a door leaf
US8083303B2 (en) Built-in sliding rotating element for modular corner cabinets
US10939758B2 (en) Refrigerator
KR20230113714A (en) Refrigerator
EP2225510B1 (en) Refrigerator
EP2292998B1 (en) Refrigerator draw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3190369B1 (en) Refrigerator
WO2013158627A1 (en) Freezer slide rack alignment
US20150150432A1 (en) Domestic appliance having a locking arrangement and a door-weight-compensation system
EP3864244B1 (en) A guiding device for sliding doors
CN110573044A (en) Cabinet
KR20230090913A (en) Drawer
KR200390556Y1 (en) sliding rail
CN111050602B (en) Drawer pull-out guide system
KR20230074270A (en) refrigerator
KR200492419Y1 (en) Receiving device
KR100807869B1 (en) A door open/close apparatus for a showcase
CN110167393A (en) For can move to gear control the corner cabinet accessory of ground supporting tray in corner cabinet
KR102591710B1 (en) Drawer assembly
DK2250931T3 (en) Box Interior Object.
KR102609598B1 (en) Hinged device
JP2021503324A (en) Drawer guide for drawers,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