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0840A - manufacturing method of edible gintonin-enriched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crude ginseng total saponin fraction from ginseng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edible gintonin-enriched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crude ginseng total saponin fraction from ginse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0840A
KR20230090840A KR1020210179948A KR20210179948A KR20230090840A KR 20230090840 A KR20230090840 A KR 20230090840A KR 1020210179948 A KR1020210179948 A KR 1020210179948A KR 20210179948 A KR20210179948 A KR 20210179948A KR 20230090840 A KR20230090840 A KR 20230090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fraction
tonin
polysaccharide
superna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9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승열
이라미
조희정
조한성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79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0840A/en
Publication of KR20230090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84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8Fraction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으로부터, 진토닌 분획(gintonin-enriched fraction),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인체에 해로운 유기 용매를 이용하지 않고, 주정(fermented ethanol)과 물만을 이용하여, 인삼으로부터 식용 가능한 세 가지 분획을 유효성분의 폐기 없이 고수율로 대량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유효 성분의 종류에 따라 각각 분리하던 방법을 벗어나, 본 발명의 진폴린 방법[진토닌 분획(GEF)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 분리방법]으로 한 번에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제조가 가능한 바,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쉽게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3 가지 인삼 유효 성분을 단 시간에 고수율로 대량 제조할 수 있고, 인삼의 뿌리는 물론, 인삼 열매, 인삼박, 홍삼 추출 후 버려지는 홍삼박, 인삼 수확 후 버려지는 인삼의 줄기 또는 잎 등을 활용할 수 있는 바, 폐자원을 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가격 경쟁력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gintonin-enriched fraction, a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a ginseng ginseng saccharide fraction from ginseng, and more particularly, without using an organic solvent harmful to the human body, alcohol ( It relates to a method for mass-producing three edible fractions from ginseng in high yield using only fermented ethanol) and water without discarding active ingredi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beyond the conventional method of separating each according to the type of active ingredient, As it can be prepared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at once by the ginpoline method [separation method of ginseng tonin fraction (GEF)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ginseng saccharide fraction fraction], three different kinds of It is possible to mass-produce active ingredients of ginseng in a short time with high yield, and to utilize not only ginseng root, but also ginseng fruit, ginseng night, red ginseng night discarded after red ginseng extraction, and ginseng stem or leaves discarded after ginseng harvest. It is economical because it can utilize waste resources and has price competitiveness because it can reduce costs.

Description

인삼으로부터 식용 가능한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edible gintonin-enriched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crude ginseng total saponin fraction from ginseng}Manufacturing method of edible gintonin-enriched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crude ginseng total saponin fraction from ginseng}

본 발명은 인삼으로부터, 진토닌 분획(gintonin-enriched fraction),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인체에 해로운 유기 용매를 이용하지 않고, 주정(fermented ethanol)과 물만을 이용하여, 인삼으로부터 식용 가능한 세 가지 분획을 유효성분의 폐기 없이 고수율로 대량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gintonin-enriched fraction, a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a ginseng ginseng saccharide fraction from ginseng, and more particularly, without using an organic solvent harmful to the human body, alcohol ( It relates to a method for mass-producing three edible fractions from ginseng in high yield using only fermented ethanol) and water without discarding active ingredients.

인삼은 일반적으로 아답토젠(adqptogen) 또는 생명연장을 위한 강장제(tonic)로 이용되고 있으며, 뇌 기능 활성, 스트레스, 피로, 질병, 암, 당뇨병 등 각종 질환에 대항하여 생체 기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삼은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 및 일본에서도 수백 년 동안 사용해왔으며, 현재까지도 세계에서 소비되는 약초 중 가장 유명한 것 중 하나이다. Ginseng is generally used as an adaptogen or tonic for life extension. do. The ginseng has been used for hundreds of years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China and Japan, and is still one of the most famous medicinal herbs consumed in the world.

상기 인삼은 여러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삼에서 처음 발견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는 1960 년대 초반에 분리되었고, 이때에는 진세노사이드 외 다른 성분들은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상기 진세노사이드는 인삼의 생리학적, 약리학적 연구에서 대표적인 성분으로 많이 인용되었다. 진세노사이드의 분리 다음으로, 인삼은 면역활성 작용을 지닌 인삼 다당류(ginseng polysaccharides)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최근에는 인삼에도 G 단백질과 연결된 리소포스파티딘산 수용체 리간드인 진토닌(gintonin)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그 외 알려지지 않은 다른 성분들도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밝혀졌다. The ginseng is known to contain several components. Ginsenoside, which was first discovered in ginseng, was isolated in the early 1960s, and at this time, other components other than ginsenoside were not found. It has been cited a lot. Following the isolation of ginsenosides, it has been reported that ginseng contains ginseng polysaccharides with immunoactive activity.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ginseng also contains gintonin, a lysophosphatidic acid receptor ligand linked to G protein, and it has been found that other unknown components are also contained.

인삼의 개별 진세노사이드 성분은 양이 적고, 분리과정이 복잡하며, 순수 분리한 개별 진세노사이드의 경우 고가인 바, 인삼의 뿌리에서 유기 용매인 메탄올 및 부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조총사포닌 분획(crude ginseng total saponin fraction, cGSF)을 사용하여 왔다. The amount of individual ginsenoside components of ginseng is small, the separation process is complicated, and pure isolated individual ginsenosides are expensive. ginseng total saponin fraction, cGSF) has been used.

상기 메탄올 및 부탄올 등의 유기 용매는 인체에 해로워 상기 메탄올 및 부탄올을 이용하여 추출된 조총사포닌 분획은 식용보다도 주로 연구 용도로 이용되어 왔고, 나아가, 상기 추출 타겟인 조사포닌 분획을 제외한 다른 생리활성 성분들은 유기용매가 사용된 이유로, 분리과정에서 대부분 폐기되었다. Organic solvents such as methanol and butanol are harmful to the human body, so the crude saponin fraction extracted using methanol and butanol has been mainly used for research purposes rather than food, and furthermore, other phys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except for the extraction target, the irradiated saponin fraction Most of them were discarded in the separation process because organic solvents were used.

한편, 종래 활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인삼 다당체 분획의 분리 방법 또는 진토닌 분획(GEF)의 분리 방법 역시, 에탄올 및 물 등의 용매를 이용하나, 분리 타겟인 인삼 다당체 분획 또는 진토닌 분획(GEF)의 분리 후, 나머지 생리활성 유효 성분들을 활용하는 것 없이 폐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On the other hand, most conventional methods of separating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s or ginseng tonin fractions (GEF) also use solvents such as ethanol and water. After separation, the remaining physiologically active ingredients are discarded without being utilized.

인삼을 기능성 식품이나 의약품 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최소 4 년 내지 6 년을 재배하여야 한다. 장기 재배에 따른 생산 원가의 상승은 원료 인삼의 가격을 다른 천연물 약재에 비하여 매우 고가로 설정되게 하는 이유 중 하나이다. In order to use ginseng as a raw material for functional foods or medicines, it must be cultivated for at least 4 to 6 years. The increase in production cost due to long-term cultivation is one of the reasons why the price of raw ginseng is set very high compared to other natural medicines.

따라서, 상술한 해로운 유기 용매 사용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인삼의 유효성분의 폐기를 방지하고, 원료 인삼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새로운 분리 방법이 요구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imple, economical, and novel separation method that can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using harmful organic solvents, prevent the disposal of active ingredients of ginseng, and minimize the loss of raw ginseng.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603294 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603294

본 발명의 목적은 인삼 주정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인삼 주정 추출물을 농축 및 건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농축 및 건조된 주정 추출물을 물에 용해한 후, 저온에서 침전시켜 제 1 상층액 및 제 1 하층액으로 분리하는 단계(단계 3); 상기 제 1 하층액으로부터 진토닌 분획(gintonin-enriched fraction; GEF)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4); 상기 제 1 상층액에 주정을 첨가하고, 저온에서 침전시켜 제 2 상층액 및 제 2 하층액으로 분리하는 단계(단계 5); 상기 제 2 하층액으로부터 인삼 다당체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6); 및 상기 제 2 상층액으로부터 인삼 조사포닌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7);를 포함하는 인삼으로부터 식용 가능한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pare a ginseng alcohol extract (step 1); Concentrating and drying the ginseng alcohol extract (step 2); Dissolving the concentrated and dried alcohol extract in water and precipitating at low temperature to separate a first supernatant and a first lower layer (step 3); obtaining a gintonin-enriched fraction (GEF) from the first lower layer (step 4); Adding alcohol to the first supernatant and precipitating at a low temperature to separate the second supernatant and the second lower layer (step 5); obtaining a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from the second lower layer (step 6); and obtaining a ginseng irradiation fraction from the second supernatant (step 7).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또는 인삼 조사포닌 분획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inseng tonin fraction, a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or a ginseng irradiation fraction prepared by the above preparation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진토닌 분획을 함유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thrombotic diseases containing the gin and tonin fra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인삼 다당체 분획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면역활성 증가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increasing antioxidant or immune activity containing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본 발명은 인삼 주정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인삼 주정 추출물을 농축 및 건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농축 및 건조된 주정 추출물을 물에 용해한 후, 저온에서 침전시켜 제 1 상층액 및 제 1 하층액으로 분리하는 단계(단계 3); 상기 제 1 하층액으로부터 진토닌 분획(gintonin-enriched fraction; GEF)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4); 상기 제 1 상층액에 주정을 첨가하고, 저온에서 침전시켜 제 2 상층액 및 제 2 하층액으로 분리하는 단계(단계 5); 상기 제 2 하층액으로부터 인삼 다당체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6); 및 상기 제 2 상층액으로부터 인삼 조사포닌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7);를 포함하는 인삼으로부터 식용 가능한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ginseng alcohol extract (step 1); Concentrating and drying the ginseng alcohol extract (step 2); Dissolving the concentrated and dried alcohol extract in water and precipitating at low temperature to separate a first supernatant and a first lower layer (step 3); obtaining a gintonin-enriched fraction (GEF) from the first lower layer (step 4); Adding alcohol to the first supernatant and precipitating at a low temperature to separate the second supernatant and the second lower layer (step 5); obtaining a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from the second lower layer (step 6); and obtaining a ginseng irradiation fraction from the second supernatant (step 7).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또는 인삼 조사포닌 분획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inseng tonin fraction, a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or a ginseng irradiation fraction prepared by the above preparation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토닌 분획을 함유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thrombotic diseases containing the gintonin frac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삼 다당체 분획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면역활성 증가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increasing antioxidant or immune activity containing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본 발명은 제 1 인삼 유효 성분 분리 후 나머지 분획을 이용하여, 제 2 인삼 유효 성분을 분리하고, 상기 제 2 인삼 유효 성분을 분리 후 나머지 분획을 이용하여 제 3 인삼 유효 성분을 분리함으로써, 종래 인삼에서 한 가지 유효 성분 분리 후 나머지 분획을 폐기하여 인삼의 유효성분을 낭비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second ginseng active ingredient using the remaining fraction after separating the first ginseng active ingredient, and separates the third ginseng active ingredient using the remaining fraction after separating the second ginseng active ingredien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wasting the active ingredient of ginseng by separating one active ingredient and discarding the remaining fraction.

또한, 종래, 유효 성분의 종류에 따라 각각 분리하던 방법을 벗어나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을 한 번에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제조가 가능한 바,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쉽게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3 가지 인삼 유효 성분을 단 시간에 고수율로 대량 제조할 수 있고, 인삼의 뿌리는 물론, 인삼 열매, 인삼박, 홍삼 추출 후 버려지는 홍삼박, 인삼 수확 후 버려지는 인삼의 줄기 또는 잎 등을 활용할 수 있는 바, 폐자원을 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가격 경쟁력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ginseng tonin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ginseng ginseng ginseng saccharide fraction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at once,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of separating them according to the type of active ingredient. Three types of ginseng active ingredients can be mass-produced in a short time with high yield, and not only ginseng root, but also ginseng fruit, ginseng meal, red ginseng meal discarded after red ginseng extraction, and ginseng stem or leaf discarded after ginseng harvest It is economical because it can utilize waste resources and has price competitiveness because it can reduce costs.

또한, 주정(에탄올)과 물만 사용하여 제조하는 바, 식용이 가능하며 별도의 안정성(독성) 검사 없이 바로 실용화가 가능하고,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이용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it is prepared using only alcohol (ethanol) and water, it is edible, can be put into practical use without a separate stability (toxicity) test, and can be used a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의 제조방법(=진폴린 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에 함유된 갈라토우로닉산(a) 및 갈산(b)의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의 세포질 내 일시적 칼슘 동원([Ca2+]i transient) 능력을 비교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의 ABTS+ 라디칼(radical) 제거 능력을 비교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의 항-혈소판 작용을 비교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의 면역 활성 능력을 비교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의 세포 생존에 미치는 영향 및 ROS에 의한 세포 사멸 방어 작용을 비교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에 함유된 아르기닌(arginine)의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1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preparing a ginseng tonin fraction, a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a ginseng ginseng saccharide fr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chematically shows a method for preparing a gintonin fraction, a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a ginseng ginsenoside saccharide fraction (= ginse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the contents of galatouronic acid (a) and gallic acid (b) contained in a ginseng tonin fraction, a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a ginseng ginsenoside saccharide f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cytoplasmic transient calcium mobilization ([Ca 2+ ] i transient) abilities of a ginseng tonin fraction, a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a ginseng irradiation frac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ABTS +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of a ginseng tonin fraction, a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a ginseng saccharide frac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anti-platelet activity of the ginseng tonin fractio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the ginseng xoxoponin f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immune activation abilities of a ginseng tonin fraction, a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a ginseng xoxoponin f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effects of ginseng tonin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ginseng irradiation fraction on cell survival and protection against cell death by RO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the content of arginine contained in a ginseng tonin fraction, a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a ginseng ginseng saccharide f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덧붙여,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포함'한다는 것은 구성요소를 단독으로 사용한다는 것 역시 의미한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ertain elemen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he 'include' also means that the component is used alone.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을 제공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 ginseng fraction, a polysaccharide fraction of ginseng, and a fraction of a ginseng irradiated ginseng, and a ginseng tonin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ginseng ginseng saccharide fraction prepare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eparing a ginseng tonin fraction, a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a ginseng ginseng saccharide fr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의 제조방법은 인삼 주정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인삼 주정 추출물을 농축 및 건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농축 및 건조된 주정 추출물을 물에 용해한 후, 저온에서 침전시켜 제 1 상층액 및 제 1 하층액으로 분리하는 단계(단계 3); 상기 제 1 하층액으로부터 진토닌 분획(gintonin-enriched fraction; GEF)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4); 상기 제 1 상층액에 주정을 첨가하고, 저온에서 침전시켜 제 2 상층액 및 제 2 하층액으로 분리하는 단계(단계 5); 상기 제 2 하층액으로부터 인삼 다당체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6); 및 상기 제 2 상층액으로부터 인삼 조사포닌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7);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method for producing a ginseng tonin fraction, a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a ginseng ginsenoside fr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ginseng alcohol extract (step 1); Concentrating and drying the ginseng alcohol extract (step 2); Dissolving the concentrated and dried alcohol extract in water and precipitating at low temperature to separate a first supernatant and a first lower layer (step 3); obtaining a gintonin-enriched fraction (GEF) from the first lower layer (step 4); Adding alcohol to the first supernatant and precipitating at a low temperature to separate the second supernatant and the second lower layer (step 5); obtaining a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from the second lower layer (step 6); and obtaining a ginseng irradiation fraction from the second supernatant (step 7).

본 발명은 인삼 주정 추출물로부터 유효성분의 폐기 없이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유효성분 손실(loss)를 최소화하여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을 수득하는 방법으로서, 이하, gintonin의 “gin”, polysaccharide의 “pol” 및 saponin의 “in”에서 유래하는 “진폴린(ginpolin)” 방법으로 명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obtaining a gintonin fraction, a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a ginseng saccharide fraction by minimizing the loss of active ingredients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without discarding active ingredients from a ginseng alcohol extract. ”, “Pol” in polysaccharide and “in” in saponi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이란, 인삼에서 추출되는 서로 다른 성분 및 특성을 함유하는 3 종류의 분획을 각각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intonin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ginseng saccharide fraction" may refer to three types of fractions extracted from ginseng and containing different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먼저, 본 발명의 진폴린 방법은 인삼 주정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및 진폴린 방법은 인삼 주정 추출물을 농축 및 건조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한다. First, the Ginpolin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preparing a ginseng alcohol extract (step 1) and a step of concentrating and drying the ginseng alcohol extract (step 2).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추출액, 정제물, 희석액, 농축액 및 건조물을 모두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 includes all extracts, purified products, diluted solutions, concentrated solutions, and dried produc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삼은 산삼, 장뇌삼, 재배삼, 미국삼, 서양삼, 중국인삼, 홍삼, 수삼, 백삼, 배양삼 및 기타 인삼박, 홍삼박을 포함하는 인삼 부산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예를 들면, 4 내지 6 년근 백삼(Panax ginseng C. A. Meyer)일 수 있고, 상기 인삼은 인삼의 뿌리, 잎, 줄기, 열매, 및 꽃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inseng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ild ginseng, camphor ginseng, cultivated ginseng, American ginseng, western ginseng, Chinese ginseng, red ginseng, fresh ginseng, white ginseng, cultured ginseng, and other ginseng by-products including ginseng meal and red ginseng meal. It may be any one or more, for example, 4- to 6-year-old white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and the ginseng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roots, leaves, stems, fruits, and flowers of ginseng.

본 발명의 진폴린 방법은 인삼의 뿌리는 물론, 인삼 열매, 인삼박, 홍삼 추출 후 버려지는 홍삼박, 인삼 수확 후 버려지는 인삼의 줄기 또는 잎 등을 활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바, 폐자원을 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The ginse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using not only ginseng root, but also ginseng fruit, ginseng meal, red ginseng meal discarded after red ginseng extraction, and ginseng stem or leaves discarded after ginseng harvest, thereby reducing waste resource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conomic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1 및 단계 2는 건조된 인삼 분말을 시료 중량의 약 1 내지 20 배, 예를 들면, 1 내지 10 배, 예를 들면, 1 내지 5 배의 부피의 주정을 이용하여, 60 ℃ 내지 120 ℃, 예를 들면, 70 ℃ 내지 100 ℃, 예를 들면, 70 ℃ 내지 90 ℃, 예를 들면, 75 ℃ 내지 85 ℃에서 약 0.1 내지 48 시간, 예를 들면, 1 내지 24 시간, 예를 들면, 5 내지 12 시간 동안 교반 추출, 열수추출, 냉침추출, 가온추출, 환류 냉각추출 및 초음파 추출 중 어느 하나의 추출방법, 예를 들면, 환류 냉각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회수하고, 상술한 추출방법을 수 회, 예를 들면, 1 내지 10 회, 예를 들면, 2 내지 5 회 반복하여 수행한 후, 상층액을 모아 감압 농축하여 수행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s 1 and 2, the dried ginseng powder is mixed with alcohol in a volume of about 1 to 20 times, for example, 1 to 10 times, for example, 1 to 5 times the weight of the sample. 60 ℃ to 120 ℃, for example, 70 ℃ to 100 ℃, for example, 70 ℃ to 90 ℃, for example, from about 0.1 to 48 hours at 75 ℃ to 85 ℃, for example, 1 to 24 hours, for example, for 5 to 12 hours, using any one of the following extraction methods, for example, reflux cooling extraction method, among stirring extraction, hot water extraction, cold brew extraction, warming extraction, reflux cooling extraction and ultrasonic extraction After extraction, it is recovered by filtration, and the above extraction method is repeated several times, for example, 1 to 10 times, for example, 2 to 5 times, and then the supernatant is collected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정은 물 및 에탄올이 약 1: 0.1 내지 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 용매로, 예를 들면, 50 % 내지 90 %, 예를 들면, 60 % 내지 80 %, 예를 들면, 60 % 내지 70 % 에탄올 또는 이에 준하는 에탄올 함량을 가지는 알콜을 의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cohol is a mixed solvent of water and ethanol having a mixing ratio of about 1: 0.1 to 10, for example, 50% to 90%, for example, 60% to 80%, for example For example, it may mean an alcohol having 60% to 70% ethanol or an ethanol content equivalent thereto.

다음으로, 본 발명의 상기 농축 및 건조된 주정 추출물을 물에 용해한 후, 저온에서 침전시켜 제 1 상층액 및 제 1 하층액으로 분리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제 1 하층액으로부터 진토닌 분획(gintonin-enriched fraction; GEF)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한다. Next, dissolving the concentrated and dried alcoho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ater and precipitating at a low temperature to separate the first supernatant and the first lower layer (step 3); and obtaining a gintonin-enriched fraction (GEF) from the first lower layer (step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3 및 단계 4는 주정과 물만을 이용하여, 진토닌 분획(GEF)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식품에 이용이 불가능한 유기 용매를 이용하는 방법 또는 고가의 음이온 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지 않고 진토닌 분획(GEF)를 수득할 수 있는 방법에 해당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s 3 and 4 relate to a method for producing a gin and tonin fraction (GEF) using only alcohol and water, using an organic solvent that is not available for conventional food or expensive This corresponds to a method capable of obtaining a gintonin fraction (GEF) without performing anion exchange resin chromatography.

상기 단계 3 및 단계 4의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빠르고, 비용도 저렴하며, 높은 수율로 식용 가능한 진토닌 분획(GEF)을 대량 제조할 수 있게 된다.By carrying out the processes of steps 3 and 4, it is possible to mass-produce edible gintonin fraction (GEF) in a fast, inexpensive, and high yiel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수득한 농축 및 건조된 주정 추출물을 상기 주정 추출물의 약 10 배 내지 20 배의 물, 예를 들면, 3 차 증류수에 용해한 후, 0 ℃ 내지 8 ℃, 예를 들면, 2 ℃ 내지 6 ℃, 예를 들면, 3 ℃ 내지 5 ℃에서, 12 시간 내지 120 시간, 예를 들면, 24 시간 또는 120 시간, 예를 들면, 48 시간 내지 96 시간 동안 보관하여, 침전을 유도하고, 제 1 상층액 및 제 1 하층액으로 분리시켜 수행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 1 하층액은 제 1 하층 침전물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3 is performed by dissolving the concentrated and dried alcohol extract obtained in step 2 in about 10 to 20 times the amount of water, for example, tertiary distilled water, 12 hours to 120 hours, eg 24 hours or 120 hours, eg 48 hours to 96 hours, at 2 °C to 6 °C, eg 3 °C to 5 °C. It may be stored for a period of time, inducing precipitation, and separated into a first supernatant and a first lower layer, and at this time, the first lower layer may include the first lower layer precipit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4는 상기 단계 3에서 수득한 제 1 하층액을 원심분리를 통하여 제 1 하층 침전물을 수득하고, 이를 동결 건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4 may be performed by centrifuging the first lower layer obtained in step 3 to obtain a first lower layer precipitate and freeze-drying i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진폴린 방법은, 상기 단계 3에서 분리된 제 1 상층액에 주정을 첨가하고, 저온에서 침전시켜 제 2 상층액 및 제 2 하층액으로 분리하는 단계(단계 5); 상기 제 2 하층액으로부터 인삼 다당체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6); 및 상기 제 2 상층액으로부터 인삼 조사포닌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7);를 포함한다.Next, the ginpolin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dding alcohol to the first supernatant separated in step 3 and precipitating at a low temperature to separate the second supernatant and the second lower layer (step 5); obtaining a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from the second lower layer (step 6); and obtaining a ginseng irradiation fraction from the second supernatant (step 7).

상기 제 1 상층액은 상술한 단계 4에서, 진토닌 분획을 수득하고 남게 되는 것으로, 종래, 진토닌 분획을 수득한 후에는 폐기되는 물질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The first supernatant remains after obtaining the gin and tonin fraction in step 4, and conventionally corresponds to a material that is discarded after obtaining the gin and tonin fraction.

본 발명자들은, 상기 진토닌 분획을 수득하고 남은 물질에서, 인삼의 유효 생리활성 성분을 분리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ound that the effective phys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of ginseng could be separated from the remaining material after obtaining the ginseng and tonin fraction,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5는 상기 단계 3에서 수득한 제 1 상층액의 주정을 첨가하고, 0 ℃ 내지 8 ℃, 예를 들면, 2 ℃ 내지 6 ℃, 예를 들면, 3 ℃ 내지 5 ℃에서, 12 시간 내지 120 시간, 예를 들면, 24 시간 또는 120 시간, 예를 들면, 48 시간 내지 96 시간 동안 보관하여, 침전을 유도하고, 제 2 상층액 및 제 2 하층액으로 분리시켜 수행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 2 하층액은 제 2 하층 침전물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5, the alcohol of the first supernatant obtained in step 3 is added, and the temperature is 0 ° C to 8 ° C, for example, 2 ° C to 6 ° C, for example, 3 ° C. to 5° C. for 12 to 120 hours, such as 24 hours or 120 hours, such as 48 to 96 hours, to induce precipitation and to separate into a second supernatant and a second lower layer. In this case, the second lower layer solution may include the second lower layer precipit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5는 제 1 상층액에 주정 함량이 80 % 이상, 예를 들면, 80 % 내지 99 %가 되도록 상기 주정을 첨가하여 수행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5 may be performed by adding the alcohol to the first supernatant so that the alcohol content is 80% or more, for example, 80% to 99%.

상기 단계 5에서, 제 1 상층액에 주정 함량이 80 % 미만인 경우, 침전이 잘 일어나지 않아 제 2 상층액 및 제 2 하층액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In step 5, when the alcohol content in the first supernatant is less than 80%, precipitation may not occur easily, and thus separation of the second supernatant and the second lower layer may not occu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6은 상기 단계 5에서 수득한 제 2 하층 침전물을 물, 예를 들면, 3 차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6 may be performed by dissolving the second lower layer precipitate obtained in step 5 in water, for example, tertiary distilled water, and then freeze-dry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7은 상기 단계 5에서 수득한 제 2 상층액을 감압 농축하여 수행될 수 있다. Also,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7 may be performed by concentrating the second supernatant obtained in step 5 under reduced press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6 및 단계 7은 어느 것을 먼저 수행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상기 단계 5에서 제 2 상층액 및 제 2 하층액이 분리된 이후, 상기 단계 7을 먼저 수행하고, 상기 단계 6을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 단계 6 및 단계 7을 동시에 수행하여도 무방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s 6 and 7 may be performed first. For example, after the second supernatant and the second lower layer are separated in step 5, step 7 may be performed first, then step 6 may be performed, or steps 6 and 7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fre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폴린 방법은, 인삼으로부터, 폐기되는 유효성분 없이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서로 다른 성분 및 특성을 함유하는 3 종류의 분획, 즉,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을 모두 수득할 수 있는 바, 상기 단계 4에서 수득되는 진토닌 분획, 단계 6에서 수득되는 인삼 다당체 분획 및 단계 7에서 수득되는 인삼 조사포닌 분획은 각각 다른 성분 및 특성을 가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ginfolin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from ginseng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without discarded active ingredients, and three types of fractions containing different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namely, gintonin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ginseng Since all of the sasaponin fractions can be obtained, the ginseng tonin fraction obtained in step 4,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obtained in step 6, and the ginseng sasaponin fraction obtained in step 7 may have different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4에서 수득한 진토닌 분획은 상기 단계 6 및 단계 7에서 각각 수득된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 대비 Rb1, Rb2, Rc 및 Rd를 포함하는, 다이올(diol) 진세노사이드를 더 많이 함유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inseng and tonin fraction obtained in step 4 is a diol containing Rb1, Rb2, Rc and Rd compared to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the ginseng saccharide fraction obtained in steps 6 and 7, respectively. (diol) may contain more ginsenosides.

또한, 상기 진토닌 분획은 항 혈소판 작용을 지닌 성분 또는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세포 보호를 할 수 있는 성분을 함유할 수 있어, 하기 양태에서,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설명은 후술한다. In addition, the gintonin fraction may contain a component having an anti-platelet action or a component capable of protecting cells from oxidative stress, and thus may be used a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thrombotic diseases in the following aspects. there is. A description in this regard will be given lat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7에서 수득한 인삼 조사포닌 분획은, 상기 단계 4 및 단계 6에서 각각 수득된 진토닌 분획 및 인삼 다당체 분획 대비 Rg1 및 Re를 포함하는 트리올(triol) 진세노사이드를 더 많이 함유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inseng irradiation fraction obtained in step 7 is a triol (triol containing Rg1 and Re) compared to the ginseng tonin fraction and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obtained in steps 4 and 6, respectively. ) can contain more ginsenosid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6에서 수득한 인삼 다당체 분획은 상기 단계 4 및 단계 7에서 각각 수득된 진토닌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 대비 아르기닌(arginine)을 더 많이 함유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obtained in step 6 may contain more arginine than the ginseng tonin fraction and ginseng saccharide fraction obtained in steps 4 and 7, respectively. .

또한, 상기 인삼 다당체 분획은 산성 다당체 성분, 항산화 성분 및 면역 활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어, 하기 양태에서, 항산화 또는 면역활성 증가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설명은 후술한다. In additio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may contain an acidic polysaccharide component, an antioxidant component, and an immune active component, and thus may be used a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antioxidant or immune activity enhancement in the following aspects. A description in this regard will be given later.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기 양태에서 수득한 진토닌 분획을 함유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thrombotic diseases containing the gintonin fraction obtained in the above asp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lth food composition may include food additives acceptable food additiv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진토닌 분획을 첨가할 수 있는 건강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식품류 등이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alth foods to which the gin and tonin fraction can be added include, for example, various foods, beverages, chewing gum, tea, vitamin complexes, and health functional foods.

또한, 혈전성 질환의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진토닌 분획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added to foods or beverages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rombotic diseases. At this time, the amount of the gin and tonin fraction in the food or beverage may be added at 0.01 to 15% by weight of the total food weight, and the health drink composition is 0.02 to 5 g, preferably 0.3 to 1 g, based on 100 mL. can be applied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진토닌 분획을 함유하는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의 추가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들어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솔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인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예를 들어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The health beverag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other ingredients except for containing the gin and tonin fraction as an essential ingredient in the indicated ratio, and may contain additional ingredients such as various flavoring agents or natural carbohydrates like conventional beverages. there is. Examples of the aforementioned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the lik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conventional sugars such as dextrins, cyclodextrins, and the like,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Examples of flavoring agent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include natural flavoring agents such as thaumatin and stevia extracts such as rebaudioside A and glycyrrhizin;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such as saccharin, aspartame, and the like can advantageously be used. The proportion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s generally about 1 to 20 g, preferably about 5 to 12 g per 100 mL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진토닌 분획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및 천연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진토닌 분획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첨가제의 비율은 그다지 중요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진토닌 분획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gintonin fr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synthetic and natural flavors, colorants and enhancers (cheese, chocolate, etc.), pectic acid and its salts,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It may contain a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 a pH adjusting agent, a stabilizer, a preservative, glycerin, alcohol, a carbonating agent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gintonin fr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natural fruit juice, fruit juice beverages, and fruit flesh for producing vegetable beverages.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At this time, the ratio of additives is not very important, but is gener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 to about 2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gin and tonin fr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기 양태에서 수득한 인삼 다당체 분획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면역활성 증가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ood composition for increasing antioxidant or immune activity containing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obtained in the above asp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lth food composition may include food additives acceptable food additiv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삼 다당체 분획을 첨가할 수 있는 건강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식품류 등이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alth foods to which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can be added include, for example, various foods, beverages, chewing gum, tea, vitamin complexes, and health functional foods.

또한, 항산화 또는 면역활성 증가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인삼 다당체 분획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added to food or beverages for the purpose of antioxidant or immune activity increasing effect. At this time, the amount of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in the food or beverage may be added at 0.01 to 15% by weight of the total food weight, and the health drink composition is 0.02 to 5 g, preferably 0.3 to 1 g based on 100 mL. can be applied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인삼 다당체 분획을 함유하는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의 추가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들어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솔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인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예를 들어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The health beverag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other ingredients except for containing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s an essential ingredient in the indicated ratio, and may contain additional ingredients such as various flavoring agents or natural carbohydrates like conventional beverages. there is. Examples of the aforementioned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the lik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conventional sugars such as dextrins, cyclodextrins, and the like,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Examples of flavoring agent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include natural flavoring agents such as thaumatin and stevia extracts such as rebaudioside A and glycyrrhizin;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such as saccharin, aspartame, and the like can advantageously be used. The proportion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s generally about 1 to 20 g, preferably about 5 to 12 g per 100 mL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인삼 다당체 분획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및 천연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인삼 다당체 분획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첨가제의 비율은 그다지 중요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인삼 다당체 분획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synthetic and natural flavors, colorants and enhancers (cheese, chocolate, etc.), pectic acid and its salts,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It may contain a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 a pH adjusting agent, a stabilizer, a preservative, glycerin, alcohol, a carbonating agent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fruit flesh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 fruit juice beverages, and vegetable beverages.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At this time, the ratio of the additive is not very important, but it is generally selected from 0 to about 2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어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These examples are only for exemplify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and interpreted by these examples.

실시예 Example

실시예 1. 인삼으로부터 진토닌 분획(GEF),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 제조Example 1. Preparation of ginseng tonin fraction (GEF),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ginseng irradiation fraction from ginseng

도 2는 본 발명의 진폴린 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Figure 2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the ginpholin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진폴린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2, the ginpolin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 인삼 주정 추출물의 제조- Preparation of ginseng alcohol extract

한국 인삼공사(대전, 한국)에서 구입한 4 년근 인삼의 일종인 백삼(Panax ginseng C.A. Meyer) 분말 1,000 g에 60 내지 70 %(w/v) 주정 5 L를 가하여 8 시간 동안 약 80 ℃에서 환류 냉각 추출하여 여과(3 회 반복)하고, 진공농축기에서 농축한 다음 3 차 증류수에 녹인 후 동결 건조하여 주정 추출물 330 g(70 % 주정 추출물, 4 회 실시 평균값)을 수득하였다. 5 L of 60 to 70% (w/v) alcohol was added to 1,000 g of white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powder, a type of 4-year-old ginseng purchased from Korea Ginseng Corporation (Daejeon, Korea), and refluxed at about 80 ° C for 8 hours. Extraction was cooled, filtered (repeated 3 times), concentrated in a vacuum concentrator, dissolved in tertiary distilled water and freeze-dried to obtain 330 g of alcohol extract (70% alcohol extract, average value of 4 runs).

-- 진토닌 분획(GEF),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 제조Preparation of ginseng tonin fraction (GEF),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ginseng ginseng irradiation fraction

상기 주정 추출물에 약 10 배 내지 20 배의 3 차 증류수를 첨가하고, 동결 건조된 추출물이 물에 모두 용해되도록 섞어주었다. 상기 3 차 증류수에 용해된 주정 추출물을 4 ℃에서 2 일 내지 4 일 동안 냉장 보관하면서 자연스럽게 중력에 의한 침전을 유도하여 제 1 상층액 및 제 1 하층액으로 분리하고, 원심분리를 통하여 제 1 하층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About 10 to 20 times of tertiary distilled water was added to the alcohol extract, and the lyophilized extract was mixed so that it was completely dissolved in water. The alcohol extract dissolved in the tertiary distilled water was refrigerated at 4 ° C. for 2 to 4 days, naturally inducing precipitation by gravity to separate the first supernatant and the first lower layer, and centrifugation to obtain a first lower layer. A precipitate was obtained.

상기 제 1 하층 침전물을 재 원심분리한 후, 동결 건조하여 진토닌 분획 14.8 g(4 회 실시 평균값)을 수득하였다. After re-centrifuging the first lower layer precipitate, 14.8 g of gintonin fraction (average value of 4 runs) was obtained by freeze-drying.

상기 제 1 상층액 대비 주정을 4 배로 가하여, 제 1 상층액 대비 80 % 주정이 되도록 혼합하고, 4 ℃에서 2 일 내지 4 일 동안 냉장 보관하면서 자연스럽게 중력에 의한 침전을 유도하여 제 2 상층액 및 제 2 하층액으로 분리하고, 원심분리를 통하여 제 2 하층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Add 4 times the alcohol to the first supernatant, mix to make 80% alcohol compared to the first supernatant, and refrigerate at 4 ℃ for 2 to 4 days to naturally induce precipitation by gravity to obtain a second supernatant and It was separated into a second lower layer liquid, and a second lower layer precipitate was obtained through centrifugation.

상기 제 2 하층 침전물을 3 차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인삼 다당체 분획 54.2 g(4 회 실시 평균값)을 수득하였다. The second lower layer precipitate was dissolved in tertiary distilled water and then freeze-dried to obtain 54.2 g of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verage value of 4 runs).

또한, 상기 제 2 상층액을 감압 농축하여 최종 조사포닌 분획 185 g(4 회 실시 평균값)을 수득하였다. In addition, the second supernatant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a final irradiation fraction of 185 g (an average value of 4 runs).

인삼 1 kg에 대한 상기 진토닌 분획(GEF),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의 총 수득량은 254.3 g로, 수득률은 25.4 %이었고, 각 분획별 수득률은 인삼 조사포닌 분획(18.5 %)> 인삼 다당체 분획(5.42 %)> 진토닌 분획(1.48 %)의 순이었다. The total yield of the ginseng tonin fraction (GEF),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ginseng ginsenoside saponin fraction relative to 1 kg of ginseng was 254.3 g, and the yield was 25.4%.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5.42%) > gintonin fraction (1.48%) followed in order.

주정 추출물 330 g에 대한 수득율의 경우, 약 77 % 이상의 높은 수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case of the yield of 330 g of the alcohol extract, it was confirmed that a high yield of about 77% or more was exhibited.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측정 예 1. galacturonic acid 정량 측정Measurement example 1. Quantitative measurement of galacturonic acid

표준물질로 galacturonic acid(인삼 산성 다당체 지표물질)을 사용하여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에 함유되어 있는 galacturonic acid을 정량 하였다.Galacturonic acid contained in the ginseng tonin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ginseng saxophonin fraction was quantified using galacturonic acid (ginseng acid polysaccharide indicator) as a standard material.

표준물질 galacturonic acid을 3 차 증류수에 1 mg/mL 농도로 만들어서 0, 10, 20, 30, 40 및 50 μg/mL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2 mL tube에 미리 제조한 각각의 농도 별 표준물질을 20 μL 첨가 후 3차 증류수 80 μL을 넣어준 후, 100 % EtOH을 사용하여 제조한 0.1 % carbazol(카르바졸) 용액을 50 μL 첨가 후 마지막으로 황산(H2SO4) 용액을 600 μL 혼합하여 표준물질을 준비하였다. The standard galacturonic acid was diluted to 0, 10, 20, 30, 40, and 50 μg/mL in tertiary distilled water at a concentration of 1 mg/mL. After adding 20 μL of each concentration standard prepared in advance to a 2 mL tube, add 80 μL of tertiary distilled water, add 50 μL of 0.1% carbazol (carbazole) solution prepared using 100% EtOH, and finally A standard material was prepared by mixing 600 μL of a sulfuric acid (H 2 SO 4 ) solution.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또는 인삼 조사포닌 분획에 함유되어 있는 galacturonic acid를 정량하기 위하여 먼저 세 가지 시료를 각각 100 mg/mL 농도로 stock 용액을 준비하였다. 2 mL tube에 각각의 세 가지 시료 20 μL를 첨가하고, 3 차 증류수 80 μL넣어준 후, 100 % EtOH을 사용해 만든 0.1 % carbazol(카르바졸) 용액 50 μL를 첨가 후 마지막으로 황산 용액 600 μL를 혼합하였다. In order to quantify the galacturonic acid contained in the ginseng tonin fractio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or the ginseng saccharide fraction, stock solutions were first prepared at a concentration of 100 mg/mL for each of the three samples. Add 20 μL of each of the three samples to a 2 mL tube, add 80 μL of tertiary distilled water, add 50 μL of 0.1% carbazol (carbazole) solution made using 100% EtOH, and finally add 600 μL of sulfuric acid solution. mixed.

농도 별 표준물질 및 세 가지 시료를 함께 85 ℃에서 15 분간 반응시킨 후 각각의 표준물질들과 각 시료들을 96 well plate에 각각 100 μL/well씩 첨가하여 ELISA reader(Molecular Devices Co., CA, USA)을 통해 525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 후 나온 optical density(OD) 값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표준물질에 대한 표준곡선의 r2 값은 0.99 이상이었다.After reacting the standards for each concentration and three samples together at 85 ° C for 15 minutes, each standard substance and each sample were added at 100 μL / well to a 96 well plate, and ELISA reader (Molecular Devices Co., CA, USA) ) was calculated using the optical density (OD) value obtained after measuring the 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525 nm. The r2 value of the standard curve for the standard material was 0.99 or more.

측정 예 2. gallic acid 정량 측정Measurement example 2. Quantitative measurement of gallic acid

표준물질로 gallic acid(인삼 총 폴리페놀 지표물질)을 사용하였다. 표준물질 gallic acid(갈산)을 3 차 증류수에 1 mg/mL 농도로 만들어서 0, 10, 20, 30, 40 및 50 μg/mL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2 mL tube에 희석된 각 농도별 표준물질을 준비하였다. Gallic acid (ginseng total polyphenol indicator) was used as a standard material. The standard substance gallic acid (gallic acid) was diluted to 0, 10, 20, 30, 40, and 50 μg/mL by making a concentration of 1 mg/mL in tertiary distilled water. Standard materials for each concentration diluted in a 2 mL tube were prepared.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또는 인삼 조사포닌 분획에 함유되어 있는 gallic acid를 정량하기 위하여 먼저 세 가지 시료를 각각 100 mg/mL 농도로 stock 용액을 준비하였다. 2 mL tube에 희석된 각 농도 별 표준물질과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또는 인삼 조사포닌 분획에 80 μL 첨가 후 Folin-Ciocalteu 시약을 20 μL 넣어 혼합 후 상온에서 5 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2 % 탄산나트륨용액(NaCO3) 100μL 가하여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표준물질들과 시료를 96 well plate에 100 μL/well 씩 첨가하여 ELISA reader(Molecular Devices Co., CA, USA)을 통해 75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 후 나온 optical density (OD) 값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표준물질에 대한 표준곡선의 r2 값은 0.99 이상이었다.In order to quantify the gallic acid contained in the ginseng tonin fractio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or the ginseng saccharide fraction, stock solutions were first prepared at a concentration of 100 mg/mL for each of the three samples. After adding 80 μL of the standard material for each concentration diluted in a 2 mL tube and the ginseng tonin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or ginseng saccharide fraction, 20 μL of Folin-Ciocalteu reagent was added, mixed,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5 minutes. After that, 100 μL of 2% sodium carbonate solution (NaCO 3 ) was added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Standard substances and samples were added at 100 μL/well to a 96 well plate and then read through an ELISA reader (Molecular Devices Co., CA, USA). The 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750 nm was measured and calculated using the optical density (OD) value. The r2 value of the standard curve for the standard material was 0.99 or more.

측정 예 3. 배양한 해마 신경세포(HT22 cell)에서 세포 내 유리 칼슘([CaMeasurement Example 3. Intracellular free calcium ([Ca] in cultured hippocampal neurons (HT22 cell) 2+2+ ]] ii )의 일시적인 증가 측정) measures the transient increase in

해마 유래 신경 세포(HT 22 cell)를 Cho et al(2021)의 방법에 따라 배양하였다. Hippocampus-derived neurons (HT 22 cells) were cultu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Cho et al (2021).

- Fura 2-AM 및 뇌 해마 유래 신경 세포(HT22 cell)의 혼합- Mix of Fura 2-AM and brain hippocampus-derived nerve cells (HT22 cells)

본 발명에서는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이 해마 HT22 cell에서 [Ca2+]i의 일시적 증가에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Fura-2AM로 전처리한 HT22 cell(2~4×106/mL)를 1.5 mM Ca2+ 함유 완충액(buffer) 또는 Ca2+ 미 함유 완충액에 현탁 하여 37 ℃에서 30 분간 배양한 후 각각의 분획(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 뇌 해마 유래 신경 세포에서 세포 내 칼슘 [Ca2+]i 증가에 대해 실험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ginseng tonin fractio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the ginseng irradiation fraction show an effect on the transient increase in [Ca 2+ ] i in hippocampal HT22 cells, HT22 cells (2 to 4 ×10 6 /mL) was suspended in a 1.5 mM Ca 2+ -containing buffer or Ca 2+ -free buffer, incubated at 37 °C for 30 minutes, and then each fraction (gintonin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ginseng saccharide fraction) Fraction) An increase in intracellular calcium [Ca 2+ ] i in brain hippocampus-derived neurons was tested.

구체적으로, Jø등의 방법에 따라 NaCl 120 mM, KCl 5 mM, MgCl2 1 mM, CaCl2 1.5 mM, 글루코오스 10 mM, 및 HEPES 25 mM로 구성된 Ca2+ 함유 완충액(pH 7.4)과 NaCl 120 mM, KCl 5 mM, MgCl2 1 mM, EGTA 0.2 mM, 글루코오스 10 mM, 및 HEPES 25 mM로 구성된 Ca2+ 미 함유 완충액(pH 7.4)을 사용하여 37 ℃ 배양기에서 30 분간 진탕하면서 2.5 μM Fura 2-AM에 astrocytes 혹은 뇌 해마 유래 신경 HT22 세포(1~2×106/mL)를 혼합하고, 과량의 fura-2AM는 세포를 Ca2+ 함유 완충액 또는 Ca2+ 미 함유 완충액으로 3 번 세척하여 제거하였다.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method of Jø et al., a Ca 2+ containing buffer (pH 7.4) composed of NaCl 120 mM, KCl 5 mM, MgCl 2 1 mM, CaCl 2 1.5 mM, glucose 10 mM, and HEPES 25 mM and NaCl 120 mM , KCl 5 mM, MgCl 2 1 mM, EGTA 0.2 mM, glucose 10 mM, and HEPES 25 mM Ca 2+ -free buffer (pH 7.4) was used, and 2.5 μM Fura 2- AM was mixed with astrocytes or brain hippocampus-derived neuronal HT22 cells (1~2×10 6 /mL), and excess fura-2AM was removed by washing the cells three times with Ca 2+ containing buffer or Ca 2+ non-containing buffer. did

- 세포 부유물 내 [Ca- [Ca in the cell suspension 2+2+ ]] ii 의 형광 측정Fluorescence measurement of

[Ca2+]i는 RF-5300PC 세포내 이온 측정 시스템(Intracellular Ion Measurement System; Shimadzu Corporation, Japan)을 사용하여 Fura 2-loaded cell에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Fura 2-loaded cell은 최종적으로 2~4×106/mL 실험 완충액에서 희석한 후, 폴리스틸렌 큐벳(Elkay Ultra-UV)으로 옮겼다. 세포는 테플론 코팅된 자석을 사용하여 교반 하였으며, 큐벳 하우징은 37 ℃로 조절하였다. 여기 파장들(excitation wavelengths)들은 컴퓨터 제어 하에서 340 nm 및 380 nm 사이를 교대하였고, 방출(emission)은 510 nm에서 검출하였다. 이때, 여기 및 방출 틈새 너비는 3 nm로 하였으며, 배경 보정은 Jø등의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되, 디지토닌(digitonin) 및 EGTA는 fura-2AM가 완전하게 Ca2+와 화합하고 Ca2+로부터 해리되는 상태를 만들기 위한 Ca2+ 농도 조절 시약(concentration adjustment reagent)으로 사용하였다.[Ca 2+ ] i was measured in a Fura 2-loaded cell using an RF-5300PC Intracellular Ion Measurement System (Shimadzu Corporation, Japan). Specifically, the Fura 2-loaded cells were finally diluted in 2-4×10 6 /mL test buffer and then transferred to a polystyrene cuvette (Elkay Ultra-UV). The cells were agitated using a Teflon-coated magnet, and the cuvette housing was adjusted to 37 °C. Excitation wavelengths were alternated between 340 nm and 380 nm under computer control, and emission was detected at 510 nm.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excitation and emission gap was set to 3 nm, and the background correc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Jø et al., but digitonin and EGTA ensured that fura-2AM was completely combined with Ca 2+ and dissociated from Ca 2+ It was used as a Ca 2+ concentration adjustment reagent to create a state of being.

- Fura 2 측정값으로부터 [Ca- [Ca from Fura 2 measurements 2+2+ ]] ii 의 추정estimation of

측정된 340 nm 대 380 nm의 비율값(ratio value)은 하기의 식 1로 표시되는 Hounsell 등의 식을 사용하여 [Ca2+]i의 값으로 변환하였다:The measured ratio value of 340 nm to 380 nm was converted to the value of [Ca 2+ ] i using the equation of Hounsell et al., represented by Equation 1 below:

[식 1][Equation 1]

[Ca2+] = Kd [(R - Rmin)/(Rmax - R)](Sf380/Sb380)[Ca 2+ ] = K d [(R - R min )/(R max - R)](S f380 /S b380 )

상기 식에서, Kd는 해리 상수(224 nM)이고, In the above formula, K d is the dissociation constant (224 nM),

R은 측정된 340 nm 대 380 nm의 형광비(fluorescence ratio)이고, R is the measured fluorescence ratio of 340 nm to 380 nm;

Rmax 및 Rmin는 각각 50 μg/ml 디지토닌을 첨가한 Ca2+포화 농도에서의 R 값 및 20 mM EGTA를 첨가한 Ca2+ 미함유 배지에서의 R 값이고, R max and R min are the R value at a Ca 2+ saturated concentration with 50 μg/ml digitonin added and the R value in a Ca 2+ -free medium with 20 mM EGTA added, respectively;

Sf380 및 Sb380는 각각 디지토닌과 EGTA를 첨가했을 때 380 nm에서의 Fura-2AM 형광 강도(fluorescene intensity)이다. S f380 and S b380 are Fura-2AM fluorescence intensities at 380 nm when digitonin and EGTA are added, respectively.

- 데이터 분석- Data analysis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또는 인삼 조사포닌 분획을 포함하는 농도 반응 곡선을 얻기 위해, 관찰된 첨두(peak)의 진폭을 표준화 및 도표화한 후 Origin software(Northampton, MA)를 사용하여 하기의 식 2로 표시되는 Hill 식에 대응시켰다:In order to obtain a concentration response curve including the ginseng tonin fractio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or the ginseng saccharide fraction, the amplitude of the observed peak was normalized and plotted, and then using Origin software (Northampton, MA) to obtain the following formula 2 Corresponded to the Hill equation, denoted by

[식 2][Equation 2]

y/ymax = [A]n/([A]n + [EC50]n) y/y max = [A] n /([A] n + [EC 50 ] n )

상기 식에서, y는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또는 인삼 조사포닌 분획의 주어진 농도에서의 % 활성이고, In the above formula, y is the % activity at a given concentration of the ginseng fractio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or the ginseng saccharide fraction,

ymax는 최대 첨두 세포내 칼슘농도 변화(maximum peak intracellular calcium mobilization)이고, y max is the maximum peak intracellular calcium mobilization,

[EC50]은 최대 반응의 50 %를 나타낼 수 있는 주정 추출 각 분획 농도이고, [EC 50 ] is the concentration of each fraction of the alcohol extraction that can exhibit 50% of the maximum response,

[A]는 주정 추출 각 분획 농도이고, [A] is the concentration of each fraction of alcohol extraction,

n은 상호 계수(interaction coefficient)이다. n is the interaction coefficient.

모든 값은 평균 ± 표준오차로 나타내었고, 대조군과 주정 추출 각 분획 처리군 데이터 사이의 평균차는 unpaired Student's t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성은 p<0.05에서 검정하였다. All values were expressed as mean ± standard error, and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the data of the control group and each fraction treatment group of alcohol extraction was analyzed using unpaired Student's t 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at p<0.05.

측정 예 4. 세포 생존율 검증Measurement example 4. Verification of cell viability

해마 유래 신경 세포(HT 22 cell)를 Cho et al(2021)의 방법에 따라 배양하였다. Hippocampus-derived neurons (HT 22 cells) were cultu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Cho et al (2021).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에 의한 세포독성은 WST assa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iodoacetic acid(IAA)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생존률 및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또는 인삼 조사포닌 분획 시료들에 의한 보호 효과도 WST assay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The cytotoxicity of the ginseng tonin fractio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the ginseng saccharide fraction was analyzed using the WST assay. In addition, the cell viability and protective effects of ginseng tonin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or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or ginseng ginsenoside fraction by oxidative stress induced by iodoacetic acid (IAA) were also verified using the WST assay.

96 well plate에 1X104 cells/mL로 세포를 분주하고 24 시간 동안 세포를 배양하였다. 그 후 각각의 시료(0.1, 0.3, 1, 3, 10, 30, 100 및 300 μg/mL) 또는 IAA (2 μg/mL)를 각각 처리하여 24 시간 배양한 후 1/10 WST 용액이 첨가된 배지로 교체하였다. 2 시간 후 ELISA reader(Molecular Devices Co., CA, USA)를 이용하여 57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 후 나온 optical density(OD) 값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The cells were dispensed at 1X10 4 cells/mL in a 96 well plate and the cells were cultured for 24 hours. Thereafter, each sample (0.1, 0.3, 1, 3, 10, 30, 100 and 300 μg/mL) or IAA (2 μg/mL) was treated and incubated for 24 hours, and then 1/10 WST solution was added. medium was replaced. After 2 hours,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a wavelength of 570 nm using an ELISA reader (Molecular Devices Co., CA, USA) and calculated using the optical density (OD) value obtained.

측정 예 5. Nitric oxide (NO) 생성 측정Measurement example 5. Nitric oxide (NO) production measurement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에 의한 NO 생성을 측정하였다.NO production by the ginseng tonin fractio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the ginseng saccharide fraction was measured.

RAW 264.7 세포를 96 well plate에 1X105 cells/mL로 분주한 후 24 시간 동안 정치시켜 안정시켰다. 그 후 각각의 시료(0.01, 0.03, 0.1, 0.3, 1, 3, 10, 30, 100 및 300 μg/mL) 또는 LPS(2 μg/mL)를 처리하여 24 시간을 더 배양한 후 200 μL의 배양액을 수집하여 배양배지를 원심분리(12,000 rpm, 3 분) 한 후, 상측액을 취하여 동량의 Griess reagent(Sigma)을 가하여 상온에서 15 분간 반응시킨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RAW 264.7 cells were dispensed at 1X10 5 cells/mL into a 96 well plate and allowed to stand for 24 hours to stabilize. After that, each sample (0.01, 0.03, 0.1, 0.3, 1, 3, 10, 30, 100 and 300 μg/mL) or LPS (2 μg/mL) was further incubated for 24 hours, and 200 μL of After collecting the culture medium and centrifuging the culture medium (12,000 rpm, 3 minutes), the supernatant was taken, the same amount of Griess reagent (Sigma) was adde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15 minutes,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40 nm.

Standard NO (sodium nitrite)에 대한 표준곡선의 r2 값은 0.99 이상이었다.The r2 value of the standard curve for standard NO (sodium nitrite) was more than 0.99.

측정 예 6.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Measurement example 6.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에 의한 ABTS+ 항산화 활성도는 모두 100 mg/mL 농도로 에탄올을 가한 후, 3,000 rpm, 10 분 동안 원심분리 후 얻은 상층액을 시료로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는 Shiddhuraju P(2002) 등의 방법을 참고하여 변형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ABTS + antioxidant activities by ginseng tonin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ginseng ginseng saccharide fraction were all measured using the supernatant obtained after adding ethanol at a concentration of 100 mg/mL and then centrifuging at 3,000 rpm for 10 minutes using the supernatant as a sample. . This was measured by a modified method by referring to the method of Shiddhuraju P (2002) et al.

증류수에 용해한 ABTS 14 mM에 증류수에 용해한 Potassium persulfate 4.9 mM을 혼합한 후 12~16 시간 동안 암소에 방치하였다. ABTS+ radical이 생성된 용액을 734 nm에서 측정하여 0.700 (±0.02)의 흡광도를 갖도록 조정하였으며, 본 용액 180 μL와 시료액 20 μL를 혼합하여 734 nm에서 1 분 간격으로 6 분간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After mixing ABTS 14 mM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with Potassium persulfate 4.9 mM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it was left in the dark for 12-16 hours. The ABTS + radical-generated solution was measured at 734 nm and adjusted to have an absorbance of 0.700 (±0.02). 180 μL of this solution and 20 μL of the sample solution were mixed and the absorbance change was measured at 734 nm at 1 minute intervals for 6 minutes did

측정 예 7. Cytokines 생성량 측정Measurement Example 7. Measurement of Cytokines Production

배지로 희석시킨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을 농도 별로(0.1, 0.3, 1, 3, 10,30, 100 및 300 μg/mL)에 처리하여 37 ℃, 5 % CO2배양기에서 24 시간 배양한 후, 상등액으로 분비된 IL-6 및 Tumor Necrosis Factor(TNF)-α의 양을 ELISA kit(BD Biosciences, San Diego, CA, USA and Invitrogen, San Diego, CA,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The ginseng tonin fractio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the ginseng ginsenoside fraction diluted with the culture medium were treated at different concentrations (0.1, 0.3, 1, 3, 10,30, 100, and 300 μg/mL) in a 37 °C, 5% CO 2 incubator. After culturing for 24 hours, the amount of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α secreted into the supernatant was measured using an ELISA kit (BD Biosciences, San Diego, CA, USA and Invitrogen, San Diego, CA, USA). was measured.

96-well plate에 1X105 cells/mL로 분주한 후 24 시간 동안 정치시켜 안정시킨 후,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 또는 LPS(2 μg/mL)를 처리하여 24 시간을 더 배양하고, 배양액을 수집하여 배양배지를 원심분리(12,000 rpm, 3 분) 한 후, 상층액을 취하였다. After dispensing at 1X10 5 cells/mL in a 96-well plate, let it stand for 24 hours to stabilize, and then treat the ginseng tonin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or LPS (2 μg/mL) for another 24 hours. After culturing, collecting the culture medium and centrifuging the culture medium (12,000 rpm, 3 minutes), the supernatant was taken.

IL-6 정량에서는 그 중 50 μL의 시료 및 standard를 각 well에 넣고, 2 시간을 상온에 방치하였으며, wash Buffer (300 μL/well)로 5 회 세척하였다. 그 후 100 μL의 working detector를 넣고 1 시간동안 상온에 방치한 후 다시 7 회 반복 세척한 후, substrate solution(TMB One-Step Substrate Reagent)를 100 μL/well씩 넣은 후 암소에서 30 분 동안 방치하였다. Stop solution 50 μL를 넣어 반응을 중지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측정한 값을 450 nm에서 측정한 값에서 제하여 정량 하였다. For IL-6 quantification, 50 μL of sample and standard were put into each well,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and washed 5 times with wash buffer (300 μL/well). Then, 100 μL of the working detector was added,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washed 7 times, and substrate solution (TMB One-Step Substrate Reagent) was added at 100 μL/well and left in the dark for 30 minutes. . After stopping the reaction by adding 50 μL of Stop solution, the value measured at 570 nm was subtracted from the value measured at 450 nm using an ELISA reader and quantified.

TNF-α 정량을 위해서는 50 μL의 시료 및 standard를 각 well에 넣고, 50 μL의 biotin-conjugate를 넣은 후, 상온에서 2 시간을 방치한 후 400 μL/well로 6 회 세척한 후, 100 μL의 streptavidin-HRP를 넣고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암소에 방치하였다. 6 회 추가 세척 후, 100 μL의 TMB substrate solution을 넣고 암소에 30 분을 방치한 후 100 μL의 stop Solution을 넣은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For TNF-α quantification, 50 μL of sample and standard were put into each well, 50 μL of biotin-conjugate was added,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washed 6 times with 400 μL/well, and 100 μL of Streptavidin-HRP was added and left in the dark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After additional washing six times, 100 μL of TMB substrate solution was added, left in the dark for 30 minutes, 100 μL of stop solution was added, and absorbance was measured at 450 nm using an ELISA reader.

측정 예 8. Phagocytosis (Neutral Red Uptake)Measurement Example 8. Phagocytosis (Neutral Red Uptake)

배지로 희석시킨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을 농도 별로(0.1, 0.3, 1, 3, 10, 30, 100 및 300 μg/mL)에 처리하여 37 ℃, 5 % CO2 배양기에서 24 시간 배양한 후, 10 mM의 PBS에 녹인 neutral red 용액 (N4638-1G, Sigma) 100 μL을 최종농도 0.075 %로 하여 1 시간동안 상온에 방치한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PBS로 2 회 세척한 후 EtOH:0.01 % acetic acid(1:1) 용액 100 μL/well을 넣고 상온에서 16~18 시간 방치한 후 ELISA reader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The ginseng tonin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ginseng ginsenoside fraction diluted with medium were treated at concentrations (0.1, 0.3, 1, 3, 10, 30, 100, and 300 μg/mL) in a 37 °C, 5% CO 2 incubator. After culturing for 24 hours, add 100 μL of neutral red solution (N4638-1G, Sigma) dissolved in 10 mM PBS to a final concentration of 0.075%, leave it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remove the supernatant, and wash twice with PBS. After that, 100 μL/well of EtOH: 0.01% acetic acid (1:1) solution was added,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16 to 18 hours, and absorbance was measured at 540 nm with an ELISA reader.

측정 예 9. 항-혈소판 응집 작용 측정Measurement Example 9. Anti-platelet aggregation action measurement

7주령 된 백서를 이용하였다. 상기 백서를 마취시킨 다음 혈소판을 얻기 위하여 백서 심장에서 혈액을 채취하였다. 항응고제로 acid citrate dextrose(ACD)를 이용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1,000 rpm에서 7 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platelet rich plasma(PRP)를 수득하였고, 상기 PRP를 다시 2,000 rpm에서 7 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침전 전 혈소판(pelleted platelets)을 수득하였다. 상기 Pelleted platelets를 Tyrode's buffer(137 mM NaCl, 12 mM NaHCO3, 5.5 mM glucose, 2 mM KCl, 1 mM MgCl2 및 0.3 mM NaHPO4, pH 7.4)에 세스펜션(suspension)시켜 최종 혈소판(washed platelets)을 수득하였다. Seven-week-old rats were used. After anesthetizing the white paper,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white paper's heart to obtain platelets. Acid citrate dextrose (ACD) was used as an anticoagulant. The collected blood was centrifuged at 1,000 rpm for 7 minutes to obtain platelet rich plasma (PRP), and the PRP was further centrifuged at 2,000 rpm for 7 minutes to obtain pre-settling platelets (pelleted platelets). The pelleted platelets were suspended in Tyrode's buffer (137 mM NaCl, 12 mM NaHCO 3 , 5.5 mM glucose, 2 mM KCl, 1 mM MgCl 2 and 0.3 mM NaHPO 4 , pH 7.4) to obtain washed platelets. was obtained.

혈소판 응집실험은 혈소판 응집 측정기기(Aggregometer, Chrono-log, Havertown, PA, USA)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먼저 1 mM CaCl2에 첨가한 후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 각각을 혈소판이 들어 있는 셀(cell) 추가로 넣었다. 1 분 동안 혈소판을 37 ℃에서 stirring하면서 혈소판 응집을 유도하기 위하여 콜라겐(2.5 μg/mL) 넣고 5 분 동안 응집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고, 5 분 뒤에 혈소판 응집 정도(degree of aggregation)을 측정하였다.  The platelet aggregation test was performed using a platelet aggregation measuring device (Aggregometer, Chrono-log, Havertown, PA, USA). First, after adding 1 mM CaCl 2 , each of the ginseng tonin fractio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the ginseng ginsenoside saccharide fraction was added to cells containing platelets. Collagen (2.5 μg/mL) was added to induce platelet aggregation while stirring the platelets at 37° C. for 1 minute, and aggregation was allowed to occur for 5 minutes. After 5 minutes, the degree of aggregation was measured.

측정 예 10. 유리(free) 아르기닌(arginine) 정량Measurement Example 10. Quantification of free arginine

각 분획에 함유된 유리(free) 아르기닌은 Amino Acid Annalyzer(SYKAM, No. S433, Sykam GmbH, Gewerbering 15, 86922 Eresing, Germany)를 이용하여 분석 및 정량 하였다. 표준 아미노산은 stock solution(100 μM, Sykam Catalog No. S000031)을 이용하였다(Kim et al., 2019). Free arginine contained in each fraction was analyzed and quantified using Amino Acid Annalyzer (SYKAM, No. S433, Sykam GmbH, Gewerbering 15, 86922 Eresing, Germany). A stock solution (100 μM, Sykam Catalog No. S000031) was used as the standard amino acid (Kim et al., 2019).

각 분획 샘플을 3 차 증류수에 100 mg/10 mL에 녹인 후 25 ℃에서 3 시간 동안 흔들면서 녹였다. 그 후 원심 분리를 실시하여 상층액을 0.22 μm filter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동결 건조하였다. 동결 건조한 각 분말들을 5 mL의 3 차 증류수를 추가로 더해 희석하였다. 각 분획의 200 μL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chromatographic analysis를 위하여 세 가지 다른 농도의 표준 아르기닌과 각각 샘플들을 lithium citrate buffer에 녹이고 이동상(mobile phase)에 이용하였다. Ninhydrine reagent는 실온에서 0.35 mL/min의 속도로 분리 펌프를 작동하였다. 아미노산 검출(detection)은 570 nm와 440 nm에서 하였다. 사용한 컬럼은 TLCA K07/Li, 4.6ⅹ mm를 이용하였다. 각 세 분획의 아르기닌 함량은 각 분획별 %로 표시하였다.Each fraction sample was dissolved at 100 mg/10 mL in tertiary distilled water and then dissolved at 25 °C for 3 hours while shaking. Thereafter, centrifugation was performed, and the supernatant was filtered using a 0.22 μm filter and freeze-dried. Each freeze-dried powder was further diluted by adding 5 mL of tertiary distilled water. 200 μL of each fraction was used for analysis. For chromatographic analysis, thre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tandard arginine and each sample were dissolved in lithium citrate buffer and used as a mobile phase. The ninhydrine reagent operated a separation pump at room temperature at a rate of 0.35 mL/min. Amino acid detection was performed at 570 nm and 440 nm. The column used was TLCA K07/Li, 4.6ⅹ mm. The arginine content of each of the three fractions was expressed as % for each fraction.

실험예 1. LPA C18:2 및 phosphatidic acid(PA C16:0-C18:2) 함량 확인Experimental Example 1. LPA C18: 2 and phosphatidic acid (PA C16: 0-C18: 2) content confirmation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에 함유되어 있는 LPA C18:2 및 PA 함량 분석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질량분석 시스템(LC-MS/MS system)을 이용하여 Cho et al(2019)의 방법에 따라 정량하고, 하기의 표 1에 그 결과를 도시하였다(4 회 실시 평균값):Analysis of the LPA C18:2 and PA content contained in the ginseng tonin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ginseng ginseng saccharide fraction obtained in Example 1 and the PA content was performed using a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mass spectrometry system (LC-MS/MS system) was quantifi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Cho et al (2019),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average value of 4 runs):

LPA (μ/mg)LPA (μ/mg) PA (μg/mg)PA (μg/mg) 진토닌 분획(GEF)Gintonin Fraction (GEF) 1.951±0.1061.951±0.106 10.6±0.64910.6±0.649 인삼 다당체 분획(GPF)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GPF) N.D. (Not detected)N.D. (Not detected) N.D. (Not detected)N.D. (Not detected) 조사포닌 분획(cGTSF)Razoponin fraction (cGTSF) 0.659±0.00200.659±0.0020 0.837±0.0670.837±0.067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진토닌 분획이 LPA C18:2 및 PA를 제일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인삼 조사포닌 분획에서는 두 성분 함량이 진토닌 분획에 약 30 %에 해당되는 양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삼 다당체 분획에서는 상기 두 가지 성분을 거의 함유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Referring to Table 1 above, it was confirmed that the gintonin fraction contained LPA C18:2 and PA the most, and in the ginseng sagoponin fraction, the two components contained an amount corresponding to about 30% of the gintonin fraction, It was found that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contained almost none of the above two components.

실험예 2. 진세노사이드 함량 확인Experimental Example 2. Confirmation of ginsenoside content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에 함유되어 있는 개별 진세노사이드 함량 분석은 Park et al(2017)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고, 하기의 표 2에 그 결과를 도시하였다(4 회 실시 평균값):Analysis of the individual ginsenoside contents contained in the ginseng tonin fractio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the ginseng ginseng saccharide fraction obtained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method of Park et al (2017),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is plotted (average of 4 runs):

진토닌 분획(GEF)Gintonin Fraction (GEF) 인삼 다당체 분획(GPF)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GPF) 인삼 조사포닌 분획(cGTSF)Ginseng Josaponin Fraction (cGTSF) Rg1 (mg/g)Rg1 (mg/g) 6.54±0.786.54±0.78 0.14±0.010.14±0.01 11.73±0.5011.73±0.50 Rb1 (mg/g)Rb1 (mg/g) 60.17±10.0260.17±10.02 0.25±0.040.25±0.04 15.04±2.415.04±2.4 Rg3 (mg/g)Rg3 (mg/g) 1.94±1.041.94±1.04 N.D. (Not detected)N.D. (Not detected) 0.17±0.120.17±0.12 Re (mg/g)Re (mg/g) 4.18±0.044.18±0.04 N.D. (Not detected)N.D. (Not detected) 8.04±0.208.04±0.20 Rf (mg/g)RF (mg/g) 4.53±0.014.53±0.01 N.D. (Not detected)N.D. (Not detected) 2.74±0.252.74±0.25 Rg2 (mg/g)Rg2 (mg/g) 1.01±0.061.01±0.06 N.D. (Not detected)N.D. (Not detected) 0.29±0.040.29±0.04 Rc (mg/g)Rc (mg/g) 24.45±3.9024.45±3.90 N.D. (Not detected)N.D. (Not detected) 5.53±1.585.53±1.58 Rb2 (mg/g)Rb2 (mg/g) 19.95±2.1419.95±2.14 N.D. (Not detected)N.D. (Not detected) 3.76±1.343.76±1.34 Rb3 (mg/g)Rb3 (mg/g) 2.56±0.262.56±0.26 N.D. (Not detected)N.D. (Not detected) 0.63±0.010.63±0.01 Rd (mg/g)Rd (mg/g) 6.01±0.996.01±0.99 N.D. (Not detected)N.D. (Not detected) 1.48±0.171.48±0.17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진토닌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에는 대표적인 인삼 진세노사이드 대부분이 존재하며, 인삼 다당체 분획에서는 미량만 검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ring to Table 2, it was confirmed that most representative ginsenosides of ginseng were present in the ginseng tonin fraction and the ginseng ginsenoside fraction, and only trace amounts were detected i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특히, 진토닌 분획에서 인삼 진세노사이드 다이올(diol) 계통인 Rb1, Rb2, Rc 및 Rd를 인삼 조사포닌 분획보다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의 함량 순서는 Rb1> Rc> Rb2 순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diol 계통의 인삼 진세노사이드가 진토닌 분획에 다량 농축됨을 알 수 있었다.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ginsenoside diols of ginseng, Rb1, Rb2, Rc and Rd, were contained more in the ginsenoside fraction than in the ginseng ginsenoside fraction, and the order of their content was in the order of Rb1 > Rc > Rb2.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used, diol-type ginseng ginsenosides were highly concentrated in the gintonin fraction.

반면, 인삼 조사포닌 분획에서는 진세노사이드 트라이올(triol) 계통인 Rg1 및 Re를 진토닌 분획보다 더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ginseng saxophonin fraction contained more Rg1 and Re, which are ginsenoside triols, than the gintonin fraction.

실험예 3. 갈락토우론닉산(galacturonic acid) 및 갈산(gallic acid) 함량 확인Experimental Example 3. Confirmation of galacturonic acid and gallic acid content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에 함유되어 있는 갈락토우론닉산의 함량을 Do et al(1993) 방법에 따라 비교 정량하고, 결과를 도 3의 a)에 도시하였다.The content of galacturonic acid contained in the ginseng tonin fractio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the ginseng saccharide fraction obtained in Example 1 was comparatively quantifi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Do et al (1993),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3 a) shown in

도 3의 a)를 참조하면, 인삼 산성 다당체 지표 물질인 갈락토우론닉산(galacturonic acid)는 인삼 다당체 분획에서 진토닌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 대비 2 배 이상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인삼 산성 다당체 성분은 인삼 다당체 분획에 제일 많이 농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ring to a) of FIG. 3, it was confirmed that galacturonic acid, a ginseng acidic polysaccharide indicator substance, was contained i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more than twice as much as the gintonin fraction and the ginseng ginseng saccharide fra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cidic polysaccharide component was most concentrated i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에 함유되어 있는 총 페놀 함량을 Shin et al(2001)의 방법에 따라 지표물질 갈산(gallic acid)을 이용하여 비교 정량하고, 결과를 도 3의 b)에 도시하였다. The total phenol content contained in the ginseng tonin fractio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the ginseng saccharide fraction obtained in Example 1 was comparatively quantified using gallic acid as an indicator substance according to the method of Shin et al (2001), , the results are shown in b) of FIG. 3 .

도 3의 b)를 참조하면, 갈산의 함량은 진토닌 분획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에서는 갈산 함유량이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ring to b) of FIG. 3 , the gallic acid content was found to be the highest in the ginseng and tonin fraction, and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gallic acid content was similar i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the ginseng ginsenoside ponin fraction.

실험예 4. [CaExperimental Example 4. [Ca 2+2+ ]] ii transient 유도 비교 transient induction comparison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에 의한 LPA 수용체가 풍부하게 발현된 것으로 알려진 해마 신경세포(HT22 cell) [Ca2+]i transient 유발 능력을 확인하고, 결과를 도 4에 도시하였다. Hippocampal neurons (HT22 cells) known to have abundantly expressed LPA receptors by the ginseng tonin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ginseng irradiation fraction obtained in Example 1 [Ca 2+ ] i transient induction ability was confirmed, Results are shown in FIG. 4 .

도 4의 a)를 참조하면,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을 각각 0.3 μg/ml를 처리한 경우,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조사포닌 분획에서는 효과가 없었으나, 진토닌 분획에서, [Ca2+]i transient를 유도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ring to a) of FIG. 4, when 0.3 μg/ml of each of the ginseng tonin fractio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the ginseng irradiation fraction was treated, there was no effect o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the ginsenoside fraction, but in the gintonin fraction, It was confirmed that [Ca 2+ ] i transient was induced.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각각의 분획에서, 각각의 분획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Ca2+]i transient를 유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인삼 다당체 분획의 경우, [Ca2+]i transient를 유도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ring to b) of FIG. 4, it was confirmed that [Ca 2+ ] i transient was induced in each frac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but in the case of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Ca 2+ ] i It was confirmed that transient was not induced.

조사포닌 분획의 경우, 진토닌 분획만큼 [Ca2+]i transient를 유도하지 않았으나, 1 μg/ml에서 [Ca2+]i transient를 유도하였고, 그 농도에서 포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case of the irradiated ponin fraction, [Ca 2+ ] i transient was not induced as much as the gintonin fraction, but [Ca 2+ ] i transient was induced at 1 μg/ml, and saturation was confirmed at that concentration.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조사포닌 분획의 [Ca2+]i transient 유도 능력 정도는 상기 표 1에 표시된 각 분획의 LPA C18:2 함유량과 비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Ca 2+ ] i transient induction ability of the ginseng tonin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irradiation fraction was proportional to the LPA C18:2 content of each fraction shown in Table 1 above.

실험예 5. 항산화 작용 비교Experimental Example 5.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on

인삼 다당체 성분은 항산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a et al., 2017). Ginseng polysaccharide components are known to have antioxidant activity (Ha et al., 2017).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의 ABTS+ 라디칼(radical) 제거 정도로 확인하고, 결과를 도 5에 도시하였다. ABTS + radical removal levels of the ginseng tonin fractio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the ginseng saccharide fraction obtained in Example 1 were confirm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5 .

도 5를 참조하면,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라디칼을 제거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ring to FIG. 5 , it was confirmed that the ginseng tonin fractio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the ginseng ginsenoside fraction all removed radical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그러나, 인삼 다당체 분획에서 ABTS+ 라디칼 제거 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나, 같은 농도에서 진토닌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 대비 2 배 이상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owever,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ABTS +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more than twice as high as the ginseng tonin fraction and the ginseng irradiation fraction at the same concentration.

실험예 6. 항-혈소판 작용 비교Experimental Example 6. Comparison of anti-platelet action

인삼은 항-혈소판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rfan et al., 2019). Ginseng is known to have anti-platelet activity (Irfan et al., 2019).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의 항-혈소판 작용을 비교하기 위하여, 혈소판 응집 유발 물질로 콜라겐(collagen)을 사용(Irfan et al. 2019)하고, 항-혈소판 작용을 비교하여 결과를 도 6에 도시하였다. In order to compare the anti-platelet action of the ginseng tonin fractio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the ginseng irradiation fraction obtained in Example 1, collagen was used as a platelet aggregation-inducing substance (Irfan et al. 2019), and the anti-platelet activity - The platelet activity was compa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6 .

도 6을 참조하면, 콜라겐 단독 또는 콜라겐 및 각각의 분획을 동시에 혈소판에 처리하는 경우, 진토닌 분획의 경우, 콜라겐에 의한 혈소판 응집을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으나,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의 경우, 콜라겐에 의한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세 종류의 분획 중 진토닌 분획만이 항-혈소판 작용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ring to FIG. 6, when platelets were treated with collagen alone or collagen and each fraction at the same time, in the case of the gintonin fraction, platelet aggregation by collagen was statistically inhibited, but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the ginseng irradiation fraction In the case of , it was confirmed that platelet aggregation by collagen was not inhibited, and only the gintonin fraction among the three types of fractions had an anti-platelet action.

실험예 7. 면역 활성 관련 지표 비교Experimental Example 7. Comparison of indicators related to immune activity

인삼 다당체 성분은 면역력 활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et al., 2002). Ginseng polysaccharide components are known to induce immune activity (Kim et al., 2002).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에 의한 면역 세포 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대식 세포(macrophage)에서 nitric oxide(NO) 생성, IL6, TNF-α 생성 및 포식 작용(phagocytosis) 능력을 비교하고, 결과를 도 7에 도시하였다. 이때, lipopolysaccharide(LPS)를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사용하였다. In order to compare the immune cell activity by the ginseng tonin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ginseng irradiation fraction obtained in Example 1, nitric oxide (NO) production, IL6, TNF-α production and phagocytosis in macrophages (phagocytosis) ability was compa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7 . At this time, lipopolysaccharide (LPS)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도 7의 a)를 참조하면, NO 생성 능력의 경우, 인삼 다당체 분획(300 μg/ml)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진토닌 분획GEF)에서는 NO 생성 능력이 거의 없으며, 인삼 조사포닌 분획은 인삼 다당체 분획보다 낮으나, 약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ring to a) of FIG. 7, in the case of NO production ability,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300 μg/ml) showed the highest level, and the gintonin fraction (GEF) had little NO production ability, and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showed ginseng polysaccharide It was lower than the fraction,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little.

또한, 도 7의 b)를 참조하면, IL-6 생성 능력의 경우, 인삼 다당체 분획(300 μg/ml)에서 IL-6 생성을 증가시켰지만, 같은 농도의 진토닌 분획은 되레 억제했으며, 인삼 조사포닌 분획은 IL-6 생성 증가 능력을 보여주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b) of FIG. 7, in the case of IL-6 production ability,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300 μg/ml) increased IL-6 production, but the same concentration of gintonin fraction was suppressed, and ginseng crude It was confirmed that the saponin fraction did not show an ability to increase IL-6 production.

또한, 도 7의 c)를 참조하면, TNF-α 생성 능력에 경우, 인삼 다당체가 농도 의존적으로 가장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진토닌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에서는 효과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LPS는 TNF-α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c) of FIG. 7, in the case of the ability to produce TNF-α, ginseng polysaccharide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effect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effect on the ginseng tonin fraction and the ginseng ginsenoside fraction. . It was confirmed that LPS used as a positive control increased TNF-α production.

다만, 도 7의 d)를 참조하면, 대식 세포 포식 작용(phagocytosis)는 인삼 조사포닌 분획에서 가장 크게 나왔고, 그 다음으로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진토닌 분획 순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owever, referring to d) of FIG. 7 , macrophage phagocytosis was found to be greatest in the ginseng irradiation fraction, followed by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the gintonin fraction.

종합적으로, 면역세포 활성 작용에 대한 지표 연구 결과들은 인삼 다당체 분획에서 제일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Overall, it was confirmed that the index study results for immune cell activity were the highest i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실험예 8. 세포 사멸 방어 및 활성산호(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 물질에 의한 세포 보호 능력 비교Experimental Example 8. Comparison of cell protection ability by cell death defense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ng substances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의 세포 생존에 미치는 영향 및 ROS에 의한 세포 사멸 방어 작용을 비교하기 위하여, 해마 유래 HT-22 신경 세포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고, 결과를 도 8에 도시하였다.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hippocampal-derived HT-22 neurons 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s of ginseng tonin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ginseng irradiation fraction obtained in Example 1 on cell survival and defense against cell death by RO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ure 8.

도 8의 a)를 참조하면,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은 세포 사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FIG. 8 ,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ginseng tonin fractio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the ginseng ginseng saccharide fraction do not affect cell death.

도 8의 b)를 참조하면, 신경 세포내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에서 ROS를 생성하여 ATP 생성을 차단하여 세포를 죽이는 물질로 알려진 iodoacetic acid(IAA)(3 μM)를 24 시간 단독 처리한 경우(대조군, control)들이 세포가 사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진토닌 분획을 IAA와 동시에 처리하는 경우 처리 농도별로 세포 사멸을 방지하는 작용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삼 조사포닌 분획의 경우, IAA와 동시에 처리하는 경우, IAA 단독 처리에 의한 세포 사멸을 방지하는 작용이 있으나, 인삼 다당체 분획의 경우, 진토닌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에 비하여 효과가 미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ring to b) of FIG. 8, when iodoacetic acid (IAA) (3 μM), known as a substance that kills cells by generating ROS in mitochondria in nerve cells and blocking ATP production, was treated alone for 24 hours (control group , control), it was confirmed that the cells died, but when the gintonin fraction was simultaneously treated with IAA,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preventing cell death increased for each treatment concentration. In the case of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when treated simultaneously with IAA,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cell death by IAA treatment alone, but in the case of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effect is weaker than that of the ginseng tonin fraction and the ginseng irradiation fraction. could

실험예 9. 아르기닌(arginine) 함량 비교Experimental Example 9. Comparison of arginine content

아르기닌은 아미노산의 하나로, 인삼은 다른 아미노산들에 비하여 유리 아르기닌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Yoon et al., 2015), 백삼의 경우 상기 아르기닌을 약 1 % 내외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o et al., 2008). Arginine is one of the amino acids, and ginseng is known to contain more free arginine than other amino acids (Yoon et al., 2015), and white ginseng is known to contain about 1% of the arginine (Cho et al., 2008).

심혈관계에서 인삼 아르기닌은 NO donor 역할을 하여 혈관을 확장하여 혈압을 낮추고(Lee et al., 2016), 면역계에서는 인삼에 함유된 아르기닌은 대식 세포로 하여금 NO 생성을 자극하여 면역 활성을 유도(Hyun et al., 2018)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In the cardiovascular system, ginseng arginine acts as a NO donor to dilate blood vessels and lowers blood pressure (Lee et al., 2016). et al., 2018) has been reported.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의 아르기닌 함량을 측정하고, 결과를 도 9에 도시하였다. The arginine content of the ginseng tonin fractio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the ginseng saccharide fraction obtained in Example 1 was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9 .

도 9를 참조하면, 인삼 다당체 분획에서 진토닌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 대비 아르기닌을 4 배 내지 5 배 이상 많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ring to FIG. 9 , it was confirmed that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contained 4 to 5 times more arginine compared to the ginseng tonin fraction and the ginseng ginsenoside fraction.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with respect to its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인삼 주정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인삼 주정 추출물을 농축 및 건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농축 및 건조된 주정 추출물을 물에 용해한 후, 저온에서 침전시켜 제 1 상층액 및 제 1 하층액으로 분리하는 단계(단계 3);
상기 제 1 하층액으로부터 진토닌 분획(gintonin-enriched fraction; GEF)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4);
상기 제 1 상층액에 주정을 첨가하고, 저온에서 침전시켜 제 2 상층액 및 제 2 하층액으로 분리하는 단계(단계 5);
상기 제 2 하층액으로부터 인삼 다당체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6); 및
상기 제 2 상층액으로부터 인삼 조사포닌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7);
를 포함하는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의 제조방법.
Preparing a ginseng alcohol extract (step 1);
Concentrating and drying the ginseng alcohol extract (step 2);
Dissolving the concentrated and dried alcohol extract in water and precipitating at low temperature to separate a first supernatant and a first lower layer (step 3);
obtaining a gintonin-enriched fraction (GEF) from the first lower layer (step 4);
Adding alcohol to the first supernatant and precipitating at a low temperature to separate the second supernatant and the second lower layer (step 5);
obtaining a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from the second lower layer (step 6); and
Obtaining a ginseng irradiation fraction from the second supernatant (step 7);
A method for producing a ginseng tonin fraction, a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a ginseng irradiation fraction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0 ℃ 내지 8 ℃에서, 12 시간 내지 120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tep 3 is performed at 0 ° C. to 8 ° C. for 12 hours to 120 hou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는, 상기 제 1 상측액에 주정 함량이 80 % 내지 99 %가 되도록 상기 주정을 첨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Step 5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lcohol is added to the first supernatant so that the alcohol content is 80% to 9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는, 0 ℃ 내지 8 ℃에서, 12 시간 내지 120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tep 5 is performed at 0 ° C to 8 ° C for 12 hours to 120 hou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산삼, 장뇌삼, 재배삼, 미국삼, 서양삼, 중국인삼, 홍삼, 수삼, 백삼 및 배양삼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ginseng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wild ginseng, camphor ginseng, cultivated ginseng, American ginseng, Western ginseng, Chinese ginseng, red ginseng, fresh ginseng, white ginseng and cultured ginseng.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인삼의 뿌리, 잎, 줄기, 열매 및 꽃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5,
Th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ginseng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roots, leaves, stems, fruits and flowers of ginse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인삼박 및 홍삼박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인삼 부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ginseng is at least one ginseng by-product selected from ginseng meal and red ginseng me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에서 수득한 진토닌 분획은 상기 단계 6 및 단계 7에서 각각 수득된 인삼 다당체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 대비 다이올(diol) 진세노사이드를 더 많이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ginseng tonin fraction obtained in step 4 contains more diol ginsenosides than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ginseng saxophonin fraction obtained in steps 6 and 7, respectivel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올 진세노사이드는 Rb1, Rb2, Rc 및 R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ol ginsenoside comprises Rb1, Rb2, Rc and 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7에서 수득한 인삼 조사포닌 분획은, 상기 단계 4 및 단계 6에서 각각 수득된 진토닌 분획 및 인삼 다당체 분획 대비 트리올(triol) 진세노사이드를 더 많이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ginseng irradiation fraction obtained in step 7 contains more triol ginsenosides than the gintonin fraction and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obtained in steps 4 and 6, respectively.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올 진세노사이드는 Rg1 및 R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0,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iol ginsenoside comprises Rg1 and 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6에서 수득한 인삼 다당체 분획은 상기 단계 4 및 단계 7에서 각각 수득된 진토닌 분획 및 인삼 조사포닌 분획 대비 아르기닌(argininge)을 더 많이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obtained in step 6 contains more arginine than the ginseng tonine fraction and ginseng saccharide fraction obtained in steps 4 and 7, respectively.
제 1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진토닌 분획, 인삼 다당체 분획 또는 인삼 조사포닌 분획.
A ginseng tonin fraction, a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or a ginseng irradiation fraction prepared by the method of claim 1.
제 13 항의 진토닌 분획을 함유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A health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thrombotic diseases containing the gin and tonin fraction of claim 13.
제 13 항의 인삼 다당체 분획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면역활성 증가용 건강식품 조성물.A health food composition for increasing antioxidant or immune activity containing the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of claim 13.
KR1020210179948A 2021-12-15 2021-12-15 manufacturing method of edible gintonin-enriched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crude ginseng total saponin fraction from ginseng KR2023009084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948A KR20230090840A (en) 2021-12-15 2021-12-15 manufacturing method of edible gintonin-enriched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crude ginseng total saponin fraction from ginse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948A KR20230090840A (en) 2021-12-15 2021-12-15 manufacturing method of edible gintonin-enriched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crude ginseng total saponin fraction from ginse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840A true KR20230090840A (en) 2023-06-22

Family

ID=86989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948A KR20230090840A (en) 2021-12-15 2021-12-15 manufacturing method of edible gintonin-enriched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crude ginseng total saponin fraction from ginse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084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294B1 (en) 2014-02-28 2016-03-14 (주)라누베 Ginsenoside extract method from the damaged wild ginse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294B1 (en) 2014-02-28 2016-03-14 (주)라누베 Ginsenoside extract method from the damaged wild ginse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035B1 (en) Method of preparing for aroina juice with an improved extraction yield
Gündüz et al.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jujube (Ziziphus jujuba Mill.) fruits at different maturation stages
KR101682552B1 (en) Antioxidant composition comprising red ginseng extracts and berrylike mixtures
Liang et al. Analysis of edible characteristics, antioxidant capacities, and phenolic pigment monomers in Lilium bulbs native to China
KR101382594B1 (en) Bokbunja vinegar beverage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12872B1 (en) High concentrate for beverage containing black raspberry, plantaginis asiatica l., schizandra chinensis, lycii fructus and torilis japonica decandolle and the high concentrate for beverage prepared from the same
KR100948332B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s of Lysimachia clethroide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KR101871169B1 (en) New kimchi lactic acid bacteria Weissella cibaria MFST and composition using concentrated extract of Ziziphus jujuba seed
KR102191409B1 (en) Food compositions containing red ginseng and lactic acid fermentation broth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704123B1 (en) Method for seperating bee venom containing active amines and food composition thereof
KR102511861B1 (en) Composition for strengthening muscle strength comprising a complex extract of Angelica keiskei and Morus alba leaves
KR101581240B1 (en) Preparation method of extract of licorice containing Glycyrrhizic acid and Liquiritin
KR20230090840A (en) manufacturing method of edible gintonin-enriched fraction, ginseng polysaccharide fraction and crude ginseng total saponin fraction from ginseng
KR10140916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ed ginseng extract with enhanced function and the extact thereof
CN102217755B (en) Production method of Kusamaki seed extract and product
KR102386574B1 (en) Health functional drink comprising fermented steam-dreid ginseng berry
KR101929664B1 (en) Fermented-white ginseng extracts containing increased ginsenoside Rd, Rg3 and Rg5 and method thereof
KR20130017431A (en) An antioxidantive composition of persimmom wine powder using monascus purpureus spp. strain
Tapera et al. Matrix solid phase dispersion extraction and screening of phytochemicals from Dioscorea steriscus tubers of Mashonaland Central Province
KR20110081435A (en) Chrysanthemum indicum extract with improved anti-inflammatory activity by far infrared ray drying proces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1481778B1 (en)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ginseng berry containing increased ginsenoside Re for improving sexual function
KR102474046B1 (en) Method for producing Hovenia dulcis beverage for eliminating hangover and improving blood circulation
Argade et al. Influence of different fermentation conditions on the formulation and development of Amla (Emblica officinalis Gaertin.) wine
KR101413492B1 (en) Manufacturing method and makgeolli using red ginseng and lactic acid bacteria
KR101596006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