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0691A - Apparatus and method for refin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refi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0691A
KR20230090691A KR1020210179666A KR20210179666A KR20230090691A KR 20230090691 A KR20230090691 A KR 20230090691A KR 1020210179666 A KR1020210179666 A KR 1020210179666A KR 20210179666 A KR20210179666 A KR 20210179666A KR 20230090691 A KR20230090691 A KR 20230090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unit
blowing
effluent
m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6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동
유종섭
김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10179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0691A/en
Publication of KR20230090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6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73Measuring and sampl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72Treatment with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2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 C21C2005/5288Measuring or sampl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련 장치 및 정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융물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정련 장치 및 정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련 장치는, 용융물을 정련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용기부;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노즐부; 상기 용기부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입력받아 상기 유출물의 양을 수치화하고, 수치화된 유출물의 양에 따라 상기 용융물의 취련 조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ining apparatus and a refin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ining apparatus and a refining method for removing impurities contained in a melt.
Ref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portion having an inner space capable of refining the melt; a nozzle unit movably installed toward the inner space and supplying gas to the inner space;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effluent flowing out of the container unit;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image obtain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digitizing the amount of the effluent, and controlling the blowing condition of the melt according to the digitized amount of the effluent.

Description

정련 장치 및 정련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FINING}Refining apparatus and refining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REFINING}

본 발명은 정련 장치 및 정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융물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정련 장치 및 정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ining apparatus and a refin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ining apparatus and a refining method for removing impurities contained in a melt.

일반적으로, 제강 공정은 용선 예비 처리 공정, 전로 정련 공정, 2차 정련 공정 및 연속 주조 공정 순으로 진행된다.In general, a steelmaking process proceeds in the order of a molten iron pretreatment process, a converter refining process, a secondary refining process, and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전로 정련 공정에서는 용선(hot metal)과 고철(scrap)을 전로에 장입하고, 랜스(lance)를 통해 고순도의 산소 가스를 취입하는 취련 조업을 통해 용선 중의 불순 원소를 배가스 및 슬래그와 같은 산화물의 형태로 제거한다. 취련 조업에서는 용선 중의 규소(Si) 성분, 생산하는 강종의 인(P) 성분, 전로 수명 등에 따라 취련이 종료될 때까지 취입하여야 할 총산소량이 계산되고, 계산된 총산소량 만큼의 산소 가스가 취입되면 취련 조업이 종료된다.In the converter refining process, impurity elements in the molten iron are removed in the form of oxides such as flue gas and slag through a blow refining operation in which hot metal and scrap are charged into the converter and high-purity oxygen gas is blown in through a lance. remove with In the blow tempering operation, the total amount of oxygen to be blown in until the blow tempering is completed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ilicon (Si) component in the molten iron, the phosphorus (P) component of the steel type to be produced, and the life of the converter, and oxygen gas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total oxygen amount is blown. When this happens, the drilling operation ends.

종래에는, 취련 조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취련사가 계산된 총산소량을 기준으로 상황에 맞게 산소 가스의 취입을 제어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취련사 별로 제어 방법에 차이가 있어 오차 범위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취련 조업 중에는 취련사가 전로 내부의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어렵기 때문에, 전로 내의 슬래그가 배가스와 함께 전로의 외부로 배출되는 슬로핑(slopping)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환경 문제 등을 야기하게 되므로, 취련사는 슬로핑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된 취련 패턴과 달리 취련 조업을 보수적으로 임의 조작하게 되어, 설정된 기준을 벗어난 조업이 진행되어 품질에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in proceeding with the blowing operation, the blowing of oxygen gas wa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oxygen calculated by the blowing agent.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rror range is large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ntrol method for each trainer. In addition, since it is difficult for the blower to monitor the internal conditions of the converter during the blower operation, slag in the conver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verter together with flue gas, and sloping frequently occurs. In this case, environmental problems are caused, so unlike the blowing pattern set so that sloping does not occur, the blowing operation is operated conservatively and arbitrarily, and the operation outside the set standard proceeds, resulting in deviations in quality. .

KRKR 10-2004-0049996 10-2004-0049996 AA

본 발명은 취련 조업을 자동화하기 위한 정련 장치 및 정련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ining apparatus and a refining method for automating a blow-up oper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련 장치는, 용융물을 정련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용기부;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노즐부; 상기 용기부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입력받아 상기 유출물의 양을 수치화하고, 수치화된 유출물의 양에 따라 상기 용융물의 취련 조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Ref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portion having an inner space capable of refining the melt; a nozzle unit movably installed toward the inner space and supplying gas to the inner space;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effluent flowing out of the container unit;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image obtain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digitizing the amount of the effluent, and controlling the blowing condition of the melt according to the digitized amount of the effluent.

상기 용기부는,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용융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1 개구; 및 상면에 마련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용융물을 장입하기 위한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는, 상기 제1 개구 및 제2 개구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이 촬영된 영상에 모두 포함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부의 측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container part,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opening for discharging the melted material from the inner space; and a second opening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for charging the melt into the inner space, wherein the photographing unit includes the container unit so that all of the effluent flowing out from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can be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It can b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side.

상기 용기부는,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용융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1 개구; 및 상면에 마련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용융물을 장입하기 위한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는, 상기 제1 개구의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개구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촬영하기 위한 제1 촬영부; 및 상기 제2 개구의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개구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촬영하기 위한 제2 촬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iner part,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opening for discharging the melted material from the inner space; and a second opening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to charge the melt into the inner space, wherein the photographing unit is installed on a side of the first opening and captures the effluent flowing out of the first opening. filming department; And it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econd opening, a second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outflow from the second opening; may include.

상기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부산물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height of the by-product present in the inner space.

상기 센서부는 음향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기 위한 음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may include an acoustic sensor for detecting an intensity of an acoustic signal.

상기 용기부의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로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감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수치화된 유출물의 양에 따라 상기 감시부를 통해 경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and a monitoring unit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storage unit and inputting a control command to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a warning signal through the monitoring unit according to the quantified amount of spillage.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련 방법은, 용융물을 용기부에 장입하는 과정; 상기 용융물의 취련을 개시하는 과정; 상기 용기부를 촬영하여, 상기 용기부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유출물의 양을 수치화하는 과정; 및 수치화된 유출물의 양에 따라, 상기 용융물의 취련 조건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f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harging the melt to the container portion; Initiating blowing of the melt; photographing the container unit and detecting spilled water flowing from the container unit; quantifying the amount of the effluent by using the photographed image; and controlling the blowing conditions of the melt according to the quantified amount of the effluent.

상기 유출물의 양을 수치화하는 과정은, 촬영된 영상에서 수치화 대상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수치화 대상 영역 내에 포함되고, 기준 값보다 높은 밝기를 가지는 픽셀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 of quantifying the amount of the spillage may include setting a target area for digitization in a captured image; and calculating the number of pixels included in the digitization target region and having brightness higher than a reference value.

상기 픽셀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은, 설정된 유지 시간 동안 기준 값보다 높은 밝기가 유지되는 픽셀의 개수만을 산출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number of pixels, only the number of pixels maintaining brightness higher than a reference value for a set holding time may be calculated.

상기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 전에, 상기 용기부 내에 존재하는 부산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Prior to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effluent,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height of the by-product present in the container unit; may include.

상기 부산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과정은, 취련시 용융물 상에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상기 용기부의 외부에서 수신하는 과정; 및 수신된 음향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여 부산물의 높이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 of detecting the height of the by-product may include receiving a sound signal generated on the melt during blowing from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unit; and calculating the height of the by-product by detecting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sound signal.

상기 유출물의 양을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용기부의 측면에 마련된 제1 개구로부터 유출되는 제1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용융물의 취련 조건을 제어하는 과정은, 수치화된 제1 유출물의 양이 제1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용융물로의 가스 공급 방식을 포함하는 취련 방식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 of detecting the amount of the effluent includes a process of detecting a first effluent flowing out of a first opening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part;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blowing condition of the melt includes a digitized first effluent. When the amount of the efflue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set value, a process of changing a blowing method including a gas supply method to the melt; may include.

상기 취련 방식을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용융물에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감소시키는 과정; 및 상기 가스의 공급 위치를 상기 용융물의 탕면에 가까워지도록 변화시키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 of changing the blowing method may include reducing the amount of gas supplied to the melt; and changing the supply position of the gas to be closer to the molten water surfa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m.

상기 취련 조건을 제어하는 과정 전에, 수치화된 제1 유출물의 양이 상기 제1 설정 값보다 작은 제2 설정 값 이상임이 확인되면, 제1 경고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Prior to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blowing conditions,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the digitized first efflue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set value smaller than the first set value, a step of sending a first warning signal; may include.

상기 취련 조건을 제어하는 과정은, 취련시 상기 용융물에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량을 감지하는 과정; 및 취련시 상기 용융물에 공급된 가스의 총 공급량이, 취련시에 공급하기로 설정된 제1 목표 가스량에 도달하면, 상기 용융물의 취련을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blowing conditions may include: detecting a supply amount of gas supplied to the melt during blowing; And when the total supply amount of the gas supplied to the melt during blowing reaches the first target gas amount set to be supplied during blowing, the step of terminating the blowing of the melt; may include.

상기 유출물의 양을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용기부의 상면에 마련된 제2 개구로부터 유출되는 제2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취련 조건을 제어하는 과정은, 수치화된 제2 유출물의 양이 제3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용융물의 취련을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 of detecting the amount of the effluent includes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second effluent flowing out of the second opening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and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blowing conditions includes the digitized second effluent. When the amount is greater than the third set value, the process of terminating the blowing of the melt; may include.

상기 취련 조건을 제어하는 과정 전에, 수치화된 제2 유출물의 양이 상기 제3 설정 값보다 작은 제4 설정 값 이상임이 확인되면, 제2 경고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Prior to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blowing conditions,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the second effluent digitiz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ourth set value smaller than the third set value, a step of transmitting a second warning signal; may include.

상기 용기부는 전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물은 상기 전로의 출강구 및 노구 중 적어도 하나에서 유출되는 전로 슬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iner unit may include a converter, and the effluent may include converter slag flowing out of at least one of a tap and a furnace of the convert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용기부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의 양에 따라 취련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정련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ining process can be automated by controlling blow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amount of effluent flowing out of the container unit.

즉, 촬영부로부터 획득한 유출물의 영상으로부터 용기부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의 양을 정확하게 수치화할 수 있으며, 유출물의 양에 따라 용융물로의 가스 공급 방식과 같은 취련 방식을 변경하거나 취련 종료 시점을 결정함으로써 조업 편차를 발생시키지 않고 일관적인 정련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quantify the amount of effluent flowing out of the storage part from the image of the effluent obtain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and according to the amount of effluent, by changing the blowing method such as the gas supply method to the melt or by determining the end point of blowing A consistent scouring process can be performed without causing operational variation.

또한, 전로의 노구를 통해 슬래그가 분출되는 슬로핑 현상의 발생 전에 이를 감지하여 슬로핑 현상을 예방하거나, 이와 같은 예방 조치에도 불구하고 슬로핑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에 즉각적으로 대처하여 대기 오염 및 조업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oping phenomenon in which slag is ejected through the furnace hole of the converter is detected before it occurs to prevent the sloping phenomenon, or if the sloping phenomenon occurs despite such preventive measures, it is immediately dealt with to prevent air pollution and operation. Accidents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련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용융물에 가스를 공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촬영부가 획득한 영상을 변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픽셀의 개수를 산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련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련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정련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정련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f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supplying a gas to the melt.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hotographing unit converts an acquired imag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the number of pixels is calculated from a photographed image;
5 schematically illustrates a refining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chematically shows a refin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fining metho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schematically shows a refining metho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will make the scope of the invention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you.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detail,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련 장치 및 정련 방법은 고로로부터 출선된 용선을 정련하여 용선 중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용융물은 용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용기부는 용선이 장입되고, 장입된 용선을 정련하여 불순 원소를 제거하기 위한 전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기부에 마련된 제1 개구는 불순물이 제거된 용강을 전로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는 출강구를 포함하고, 용기부에 마련된 제2 개구는 용선 등을 장입할 수 있는 노구를 포함할 수 있다.A refining apparatus and a ref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impurities in molten iron by refining molten iron extracted from a blast furnace. Therefore, the molten material described below may include molten iron, and the vessel portion may include a converter into which molten iron is charged and refining the charged molten iron to remove impurity elements. In addition, the first opening provided in the container part may include a tapping hole capable of discharging molten steel from which impurities are removed from the converter, and the second opening provided in the container part may include a furnace hole capable of charging molten iron or the like.

한편, 용기부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은 후술할 슬로핑(slopping) 현상에 의해 전로로부터 유출되는 슬래그 또는 슬래그와 용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부산물은 전로의 내부 공간에서 용선과 산소 가스가 반응하여 형성되는 슬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융물 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중 유출물이 용기부로부터 유출될 수 있는 다양한 공정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luent flowing out of the storage unit may include slag or slag and molten iron flowing out from the converter by a sloping phenomenon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by-product is formed by reacting molten iron and oxygen gas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verter. may contain slag.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processes in which effluent can flow out from the container part while removing impurities in the mel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련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용융물에 가스를 공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f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gas is supplied to a mel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련 장치는, 용융물(M)을 정련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용기부(100),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노즐부(200), 상기 용기부(10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300) 및 상기 촬영부(300)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입력받아 상기 유출물의 양을 수치화하고, 수치화된 유출물의 양에 따라 상기 용융물의 취련 조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ref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be movable toward the container portion 100 having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refining the melt (M), the internal space, The nozzle part 200 for supplying gas to the internal space, the photographing part 300 for photographing the outflow from the container part 100, and the image acquired from the photographing part 300 are input and the A control unit 400 for quantifying the amount of the effluent and controlling the blowing conditions of the melt according to the digitized amount of the effluent.

용기부(100)는 용융물(M)을 정련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진다. 또한, 용기부(100)는 제1 개구(110) 및 제2 개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용기부(100)는 측면에 마련되어 내부 공간으로부터 용융물(M)을 배출하기 위한 제1 개구(110) 및 상면에 마련되어 내부 공간에 용융물(M)을 장입하기 위한 제2 개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iner part 100 has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refining the melt (M). Also, the container part 100 may include a first opening 110 and a second opening 120 . That is, the container part 10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opening 110 for discharging the melt (M) from the inner space and the second opening 120 for charging the melt (M) in the inner spac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can include

노즐부(200)는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가스, 예컨대 산소 가스를 공급한다. 노즐부(200)는 용기부(100)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지지부(210)를 통해 측면이 지지된 상태에서 가스를 분사하는 하단부가 제2 개구(120)를 통해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노즐부(200)는 산소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랜스(lance)를 포함할 수 있으며, 노즐부(200)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210)는 용기부(100)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배가스를 포집하기 위한 배기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nozzle part 200 is movably installed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part 100, and supplies gas, for example, oxygen gas, to the inner space. The nozzle part 200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part 100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wer part for injecting gas while the side surface is supported through the support part 210 passes through the second opening 120 of the container part 200. It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unit 100 and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uch, the nozzle unit 200 may include a lance for supplying oxygen gas, and the support unit 210 supporting the side surface of the nozzle unit 200 covers the top of the container unit 100. It is installed and may include an exhaust duct for collecting exhaust gas gener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unit 100.

노즐부(200)를 통해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산소 가스가 공급되면, 공급된 산소와 용융물, 즉 용선 중의 불순물 간의 반응이 일어나며, 이에 따라 용선 중의 불순물이 제거될 수 있다. 즉, 노즐부(200)를 통해 취입된 산소는 용선 중 규소(Si), 탄소(C), 인(P)등의 불순물과 반응하여 산화물을 생성하며, 생성된 산화물은 배가스로 배출되거나, 슬래그(slag)를 형성할 수 있다. 생성된 슬래그는 정련 공정 중 또는 정련 공정이 종료된 후에 배제되며, 이에 의하여 불순물이 제거되거나 불순물의 함량이 조절된 용융물을 용강이라 한다.When oxygen gas is suppli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part 100 through the nozzle unit 200, a reaction between the supplied oxygen and the melt, that is, impurities in the molten iron, occurs, and thus the impurities in the molten iron can be removed. That is, oxygen blown in through the nozzle unit 200 reacts with impurities such as silicon (Si), carbon (C), and phosphorus (P) in molten iron to generate oxides, and the generated oxides are discharged as exhaust gas or slag. (slag) can be formed. The generated slag is excluded during the refining process or after the refining process is finished, and the molten material from which impurities are removed or the content of impurities is controlled is called molten steel.

또한, 용기부(100)의 하부에는 용융물의 교반을 위하여 가스, 예컨데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저취 노즐(130)이 마련될 수 있다. 저취 노즐(130)은 용기부(100)의 내부로 아르곤(Ar) 가스와 같은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며, 이에 따라 용기부(100)에 장입된 용융물을 교반시키고, 반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bottom blowing nozzle 130 for supplying a gas, for example, an inert gas,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part 100 to stir the melt. The bottom blowing nozzle 130 blows an inert gas such as argon (Ar) gas into the container part 100, thereby agitating the melt charged into the container part 100 and improving reactivity.

촬영부(300)는 용기부(10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촬영하기 위하여 마련된다.The photographing unit 300 is provided to photograph the outflow from the container unit 100 .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부(200)를 통해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산소 가스가 공급되면, 공급된 산소가 용선 중의 규소(Si), 탄소(C), 인(P)등의 불순물과 반응하여 산화물을 생성한다. 이때, 산소와 규소(Si)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이산화규소(SiO2)는 슬래그의 점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노즐부(200)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 및 이에 의하여 생성되는 배가스에 의하여 슬래그가 거품(foam) 형태로 부풀어올라 제2 개구(120) 즉, 노구를 통해 용기부(100)의 외부로 분출되는 슬로핑(slopping)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슬로핑 현상은 대기 오염을 유발하고, 작업 환경을 악화시키므로, 슬로핑 현상 발생시 최대한 신속하게 대응하여 이를 억제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슬로핑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기 위하여, 촬영부(300)가 용기부(10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 예컨대 슬래그 또는 슬래그와 용선을 촬영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oxygen gas is supplied to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part 100 through the nozzle part 200, the supplied oxygen is supplied as impurities such as silicon (Si), carbon (C), and phosphorus (P) in the molten iron. reacts with it to form oxides. At this time, since silicon dioxide (SiO 2 )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oxygen and silicon (Si) increases the viscosity of the slag, the slag is foamed by the gas supplied through the nozzle unit 200 and the exhaust gas generated thereby. A sloping phenomenon occurs in which it is inflated in the form of foam and eject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part 100 through the second opening 120, that is, the furnace. Since the sloping phenomenon causes air pollution and deteriorates the working environment, there is a need to respond and suppress it as quickly as possible when the sloping phenomenon occurs.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utomatically detect the occurrence of the sloping phenomenon, the photographing unit 300 photographs the effluent flowing out from the container unit 100, for example, slag or slag and molten iron.

촬영부(300)는 용기부(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용기부(100)의 제1 개구(110) 및 제2 개구(12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촬영한다. 슬로핑 현상은 용기부(100)의 제2 개구(120), 즉 노구로부터 슬래그가 유출되는 현상을 말하지만, 슬로핑 현상의 발생 전에는 노구의 하측에 마련된 제1 개구(110), 즉 출강구로부터 슬래그가 유출되게 된다. 따라서, 제1 개구(110)로부터 유출물이 유출되면, 곧이어 제2 개구(120)로부터 유출물이 유출될 것이 예상되므로, 촬영부(300)는 제1 개구(110) 및 제2 개구(12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이 촬영된 영상에 모두 포함될 수 있도록 용기부(100)의 측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영부(300)는 적외선 카메라 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련 공정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구획하는 벽체 등에 설치되어 용기부(10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촬영부(300)로부터 생성된 영상은 후술할 제어부(400)로 전달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300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unit 100 and takes pictures of spilled water flowing out from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econd opening 120 of the container unit 100 . The sloping phenomenon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slag flows out from the second opening 120 of the container part 100, that is, the furnace, but before the occurrence of the sloping phenomenon, from the first opening 110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urnace, that is, the tapping port. Slag will leak out. Therefore, when the outflow from the first opening 110, it is expected that the outflow from the second opening 120 immediately, the photographing unit 300 is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econd opening 120 ) It may b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container unit 100 so that all of the outflow from the captured image can be included. The photographing unit 300 may include an infrared camera or a CCD (Charge-Coupled Device) camera, and may be installed on a wall that divides the space where the refining process takes place to photograph the effluent flowing out of the container unit 100. can At this time, the image generated by the photographing unit 30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400 to be described later.

촬영부(300)는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개구(110) 및 제2 개구(12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동시에 촬영할 수도 있으나, 제1 개구(110)의 측방에 설치되어, 제1 개구(11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촬영하기 위한 제1 촬영부(310) 및 제2 개구(120)의 측방에 설치되어, 제2 개구(12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촬영하기 위한 제2 촬영부(3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촬영부(300)는 개구와 동일한 높이에서 개구의 측방에 설치되었을 때, 개구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유출 시작 시점부터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그런데, 용기부(100)의 측면에 마련되는 제1 개구(110)와 용기부(100)의 상면에 마련되는 제2 개구(120)는 그 높이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1 촬영부(310) 및 제2 촬영부(320)를 제1 개구(110) 및 제2 개구(120)와 각각 동일한 높이에서 측방에 배치함으로써, 제1 개구(110) 및 제2 개구(120)로부터 각각 유출되는 유출물을 유출 시작 시점부터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hotographing unit 300 includes one camera, and may simultaneously photograph the spillage flowing out of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econd opening 120, but on the side of the first opening 110. It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310 and the second opening 120 for photographing the outflow from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outflow from the second opening 120. It may also include a second photographing unit 320 for photographing. When the photographing unit 30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opening at the same height as the opening,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photograph the spilled water flowing out of the opening from the start of the outflow. However, the height of the first opening 11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opening 12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are different. Therefore, by arranging the first capturing unit 310 and the second capturing unit 320 at the side at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econd opening 120, respectively,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econd opening 110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photograph the spilled water flowing out of the opening 120 from the start of the flowing wat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련 장치는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부산물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촬영부(300)는 제1 개구(110) 또는 제2 개구(12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촬영하는 것으로, 촬영부(300)만으로는 용기부(100)로부터 유출되기 전의 부산물, 즉 슬래그가 용기부(100) 내에 어느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지는 알 수가 없다. 이에, 유출되기 전, 용기부(100) 내에 존재하는 부산물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하여 용기부(100)의 상부에는 센서부(600)가 설치될 수 있다.The ref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600 for detecting the height of by-products present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unit 100 . The above-described photographing unit 300 is to photograph the effluent flowing out from the first opening 110 or the second opening 120, and the by-product before flowing out from the container unit 100, that is, slag, is captured only by the photographing unit 300. It is not known what height is formed in the container part 100. Accordingly, the sensor unit 600 may b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ntainer unit 100 to detect the height of the by-products present in the container unit 100 before being discharged.

센서부(600)는 전술한 지지부(210)에 고정 설치되어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발생하는 음향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기 위한 음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부(200)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면, 가스는 용융물(M)의 탕면에 충돌하여 음향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음향 신호는 센서부(600)를 통하여 감지되는데,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에 거품 형태의 슬래그가 많이 존재할수록, 즉 슬래그의 높이가 높을수록 센서부(600)로부터 감지되는 음향 신호의 세기는 감소된다. 이에, 센서부(600)를 통해 이와 같은 음향 신호의 감소량이 확인될 수 있으며, 제어부(400)는 음향 신호의 감소량으로부터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부산물, 즉 슬래그의 높이를 예측하게 된다.The sensor unit 600 may include an acoustic sensor that is fixedly installed to the aforementioned support unit 210 and detects the intensity of an acoustic signal generat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unit 100 . When gas i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the gas collides with the melt surface of the melt (M) to generate a sound signal. The generated sound signal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unit 600. The more foamy slag exists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unit 100, that is, the higher the height of the slag, the higher the sound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unit 600. the intensity of is reduced. Accordingly, the amount of decrease in the sound signal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sensor unit 600, and the control unit 400 predicts the height of the by-product, that is, slag, existing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part 100 from the amount of decrease in the sound signal. will do

제어부(400)는 촬영부(300)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입력받아 유출물의 양을 수치화하고, 수치화된 유출물의 양에 따라 용융물의 취련 조건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400 receives the image generated by the photographing unit 300 and quantifies the amount of the effluent, and controls the blowing condition of the melt according to the digitized amount of the effluent.

제어부(400)는 촬영부(300)로부터 생성된 영상에서 기준 밝기(brightness) 이상의 밝기를 가지는 픽셀과 기준 밝기 미만의 밝기를 가지는 픽셀을 구분한다. 예를 들어, 영상의 밝기가 0 내지 255의 수치로 표현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185의 기준 밝기 이상의 밝기, 즉 185 내지 255의 밝기 값을 가지는 픽셀과 185 미만의 밝기, 즉 0 내지 184의 밝기 값을 가지는 픽셀로 구분한다. 이때, 제어부(400)는 기준 밝기 이상의 밝기 값을 가지는 픽셀을 최대 밝기 값인 255의 밝기 값으로 변환하고, 기준 밝기 미만의 밝기 값을 가지는 픽셀을 최소 밝기 값인 0의 밝기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0 distinguishes between pixels having a brightnes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tandard brightness and pixels having a brightness less than the standard brightness in the image generated by the photographing unit 300 . For example, when the brightness of an image is expressed as a numerical value between 0 and 255, the controller 400 controls brightness value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tandard brightness of 185, that is, pixels having brightness values between 185 and 255 and brightness values less than 185, that is, between 0 and 184. It is classified as a pixel having a brightness value of . At this time, the controller 400 may convert pixels having a brightness valu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tandard brightness value to a brightness value of 255, which is the maximum brightness value, and convert pixels having a brightness value less than the standard brightness value to a brightness value of 0, which is the minimum brightness value.

도 3은 촬영부가 획득한 영상을 변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촬영부(300)로부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이 제어부(400)에 입력되면, 제어부(400)는 도 4(b)에 도시된 영상과 같이 밝기 값을 변환하여 후술하는 감시부(500)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기준 밝기 값은 촬영 장소 및 카메라의 렌즈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hotographing unit converts an acquired image. When an image as shown in FIG. 4 (a) from the photographing unit 300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400, the control unit 400 converts the brightness value as shown in FIG. It can be displayed to the user through the unit 500. In this case, the reference brightness value may be set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a photographing location and a lens condition of a camera.

제어부(400)는 기준 밝기 이상의 밝기를 가지는 픽셀의 개수로부터 유출물의 양을 수치화한다. 즉, 제어부(400)는 기준 밝기 이상의 밝기를 가지는 픽셀의 집합을 유출물로 식별하고, 기준 밝기 이상의 밝기를 가지는 픽셀의 개수로 유출물의 양을 수치화한다.The control unit 400 digitizes the amount of spillage from the number of pixels having a brightnes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tandard brightness. That is, the control unit 400 identifies a set of pixels having brightnes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tandard brightness as the spill, and digitizes the amount of spill by the number of pixels having brightnes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tandard brightness.

도 4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픽셀의 개수를 산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4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밝기 이상의 밝기를 가지는 픽셀이 1000 개인 것으로 감지되면, 용기부(100)로부터 소량의 유출물이 유출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도 4(b),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밝기 이상의 밝기를 가지는 픽셀이 5000 개, 40000 개 및 250000 개로 증가하는 경우, 용기부(10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의 양이 픽셀의 개수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the number of pixels is calculated from a photographed image. As shown in FIG. 4(a), the control unit 400 determines that a small amount of effluent is leaking from the storage unit 100 when it is detected that 1000 pixels having a brightnes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tandard brightness are detected, and FIG. 4( b) As shown in FIGS. 4(c) and 4(d), when the number of pixels having a brightnes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tandard brightness increases to 5000, 40000, and 250000, the amount of effluent flowing out from the storage unit 100 It is determined that it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pixels.

제어부(400)는 이와 같이 수치화된 유출물의 양에 따라 용융물(M)의 취련 조건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취련 조건의 제어는 취련을 개시하기 전 또는 취련 개시시에 미리 설정된 취련 조건을 변경하는 모든 조작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취련 조건의 제어는 미리 설정된 용융물(M)로의 가스 공급량을 변경하거나, 가스 공급 위치를 변경하는 등 용융물(M)로의 가스 공급 방식, 즉 취련 방식을 변경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취련 조건의 제어는 미리 설정된 취련의 종료 시점을 변경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취련 조건의 제어는 미리 설정된 취련의 종료 시점보다 빠른 시점에 용융물(M)의 취련을 종료하거나, 미리 설정된 취련의 종료 시점보다 느린 시점에 용융물(M)의 취련을 종료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blowing condition of the melt (M) according to the amount of effluent digitized in this way. Here, the control of the blowing conditions may mean all operations of changing the blowing conditions set in advance before starting the blowing or at the start of the blowing. For example, the control of the blowing conditions may be achieved by changing a gas supply method to the melt M, that is, a blowing method, such as changing a preset gas supply amount to the melt M or changing a gas supply position. In addition, the control of the blowing conditions may be made by changing the end point of the preset blowing. That is, the control of the blowing conditions may be accomplished by terminating the blowing of the melt (M) at a time earlier than the end of the blowing, or by ending the blowing of the melt (M) at a time slower than the end of the preset blowing.

즉, 제어부(400)는 수치화된 유출물의 양이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용융물(M)로의 가스 공급 방식을 변경하거나, 용융물(M)의 취련을 중단하여 종료하는 등으로 취련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제1 개구(110)로부터 설정 값 이상의 양으로 유출물이 유출되는 경우, 노즐부(200)의 높이(h),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양(g)을 자동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저취 노즐(13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양(b)을 자동으로 변화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어부(400)는 제2 개구(120)로부터 설정 값 이상의 양으로 유출물이 유출되는 경우, 용융물의 취련을 자동으로 종료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수치화된 유출물의 양에 따라, 예를 들어 수치화된 유출물의 양이 설정 값에 도달하기 전에 후술하는 감시부(500)를 통하여 경고 신호를 송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400)가 수치화된 유출물의 양에 따라 용융물(M)의 취련 조건을 제어하는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련 방법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400 can control the blowing conditions by changing the gas supply method to the melt (M) when the amount of the digitized efflue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or by stopping and ending the blowing of the melt (M).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00 determines the height (h) of the nozzle unit 200 and the amount of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when the discharged water flows out from the first opening 110 in an amount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value. (g) can be changed automatically. At this tim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control unit 400 may automatically change the amount b of the gas supplied from the bottom blowing nozzle 130 . In addition, the controller 400 may automatically end the blowing of the molten material when the amount of the effluent flows out from the second opening 120 in an amount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value. Meanwhile, the control unit 400 may transmit a warning signal through the monitoring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before the amount of effluent reaches a set value,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amount of effluent that has been digitized. Details of the control unit 400 controlling the blowing conditions of the molten material M according to the amount of effluent digitized will be described later together with the refin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감시부(500)는 용기부(100)의 상태를 표시하고, 제어부(400)로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HMI; Human Machine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감시부(500)는 원격 감시 체계(TMS; Tele-Monitoring System)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감시부(500)는 용기부(100), 즉 정련 공정이 이루어지는 공간과, 예를 들어 수십 내지 수천 미터의 원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마련될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500 may include a human machine interface (HMI)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storage unit 100 and inputting a control command to the control unit 400 . That is, the monitoring unit 500 may be implemented as a tele-monitoring system (TMS), and the monitoring unit 500 may be implemented in the storage unit 100, that is, the space where the refining process is performed, and, for example, tens to They can be arranged remotely spaced thousands of meters apart.

감시부(500)는 제어부(400)로부터 변환된 영상을 입력받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거나, 기준 밝기 이상의 밝기를 가지는 픽셀의 개수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감시부(500)는 제어부(400)로부터 발생된 경고 신호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조업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monitoring unit 500 may receive the converted image from the control unit 400 and display it to the user or display the number of pixels having a brightnes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tandard brightness to the user. In addition, the monitoring unit 500 may visually or audibly deliver the warning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400 to the user, and display various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as well.

또한, 감시부(50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제어부(400)로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경고 신호만을 받고, 취련 조건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 이와 같이 동작되도록 제어부(400)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외에도, 취련 조건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준 밝기, 취련 조건의 제어시 변경되는 노즐부(200)의 높이(h),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양(g), 저취 노즐(13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양(b) 등을 입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으로 제어부(400)가 동작되도록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so, the monitoring unit 500 may input a user's control command to the control unit 400 . For example, if the user receives only a warning signal and does not want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blowing conditions, a control command may be input to the control unit 400 to operate in this way. In addition, the standard brightnes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blowing conditions, the height (h) of the nozzle unit 200 that is changed when controlling the blowing conditions, the amount of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g), and the low blowing nozzle 130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 control command may be input so that the control unit 400 operates in a setting desired by the user by inputting the amount (b) of gas supplied from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련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련 방법은 정련 장치를 사용하여 용융물을 정련하는 방법일 수 있으며, 이에 정련 장치와 관련하여 전술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ref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refin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ethod of refining the melt using a refining device, and since the above information regarding the refining device may be applied as it is,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련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fining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련 방법은, 용융물(M)을 용기부(100)에 장입하는 과정(S110), 상기 용융물(M)의 취련을 개시하는 과정(S120), 상기 용기부(100)를 촬영하여, 상기 용기부(10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S130),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유출물의 양을 수치화하는 과정(S140) 및 수치화된 유출물의 양에 따라, 상기 용융물(M)의 취련 조건을 제어하는 과정(S15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5, the refin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charging the melt (M) to the container portion 100 (S110), the process of starting the blowing of the melt (M) (S120 ), the process of photographing the container part 100 and detecting the outflow from the container part 100 (S130), the process of digitizing the amount of the outflow using the photographed image (S140), and digitization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effluent,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blowing conditions of the melt (M) (S150) is included.

용기부(100)에 장입하는 과정(S110)은 용융물(M)을 용기부(100)에 장입한다. 여기서, 용융물(M)은 용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용기부(100)는 용선이 장입되고, 장입된 용선을 정련하여 불순 원소를 제거하기 위한 전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용기부(100)에는 측면에 마련되는 제1 개구(110) 및 상면에 마련되는 제2 개구(120)가 형성되며, 용기부(100)에 장입하는 과정(S110)에서는 용융물(M)을 제2 개구(110)를 통해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에 장입한다.In the loading process (S110) into the container part 100, the molten material M is charged into the container part 100. Here, the molten material M may include molten iron, and the container unit 100 may include a converter into which molten iron is charged and refining the charged molten iron to remove impurity elements. At this time, the container part 100 is formed with a first opening 110 provided on the side and a second opening 12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in the process of charging the container part 100 (S110), the melt (M) is charg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part 100 through the second opening 110.

취련을 개시하는 과정(S120)은 용기부(100)의 상부에 마련된 노즐부(200)로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에 가스, 예컨대 산소 가스를 공급하여 취련을 개시한다. 이와 같은 노즐부(200)는 용기부(100)의 상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process of starting the blowing (S120) starts blowing by supplying gas, for example, oxygen gas,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part 100 to the nozzle part 200 provided on the top of the container part 100. The nozzle unit 200 as described above may be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container unit 100 .

취련을 개시하는 과정(S120) 이후에 용기부(100) 내에 존재하는 부산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부산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과정은 후술할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S130) 전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부산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과정은 취련시 용융물 상에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용기부(100)의 외부에서 수신하는 과정 및 수신된 음향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여 부산물의 높이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 process of detecting the height of by-products present in the container unit 100 after the process of initiating blowing (S120) may be performed.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height of the by-product may be performed before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effluent (S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height of the by-product receives an acoustic signal generated on the melt during blowing from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part 100. and calculating the height of the by-product by detecting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acoustic signal.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부(100)의 외부에는 지지부(210) 등에 고정 설치된 센서부(60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부(600)는 음향 센서를 포함하여 음향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게 된다. 취련을 개시하는 과정(S120)에서 노즐부(200)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면, 가스는 용융물(M)의 탕면에 충돌하여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데,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에 부산물, 즉 거품 형태의 슬래그가 많이 존재할수록 센서부(600)로부터 검출되는 음향 신호의 세기는 감소된다. 이에, 센서부(600)를 통해 용융물(M) 상에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용기부(100)의 외부에서 수신한 후, 제어부(400)는 수신된 음향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여 음향 신호의 감소량으로부터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부산물, 즉 슬래그의 높이를 예측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ensor unit 600 fixedly installed to the support unit 21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container unit 100 . The sensor unit 600 includes an acoustic sensor and detects the intensity of the acoustic signal. When the gas is supplied from the nozzle part 200 in the process of starting the blowing (S120), the gas collides with the molten material M to generate a sound signal. The intensity of the sound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unit 600 decreases as the amount of slag in the form increases. Accordingly, after receiving the sound signal generated on the melt M through the sensor unit 600 from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part 100, the control unit 400 detects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sound signal to determine the decrease in the sound signal. The height of the by-product, that is, the slag present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unit 100 is predicted.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S130)은 촬영부(300)로 용기부(100)를 촬영하여, 용기부(10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감지한다. 여기서, 촬영부(300)는 적외선 카메라 또는 CCD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S130)에서는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1 개구(110) 및 제2 개구(12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동시에 촬영하거나, 제1 개구(11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촬영하기 위한 제1 촬영부(310)와 제2 개구(12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촬영하기 위한 제2 촬영부(320)를 각각 제1 개구(110) 및 제2 개구(120)의 측방에 배치하여 제1 개구(110) 및 제2 개구(12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별개로 촬영할 수도 있다.In the step of detecting spillage (S130), the storage unit 100 is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300, and spillage flowing from the storage unit 100 is sensed. Here, the photographing unit 300 may include an infrared camera or a CCD camera, and in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spillage (S130), one camera is used to view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econd opening 120. A first photographing unit 310 for simultaneously photographing the spilled water or a photograph of the water flowing out of the first opening 110 and a second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water flowing out of the second opening 120 By placing the unit 320 on the side of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econd opening 120, respectively, the outflow from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econd opening 120 may be separately photographed.

유출물의 양을 수치화하는 과정(S140)은 촬영부(30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유출물의 양을 수치화한다. 이때, 유출물의 양을 수치화하는 과정(S140)은 촬영된 영상에서 수치화 대상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 및 수치화 대상 영역 내에 포함되고, 기준 값보다 높은 밝기를 가지는 픽셀을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quantifying the amount of spillage (S140), the amount of spillage is digitized using an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300. In this case, the step of quantifying the amount of spillage (S140) may include setting a target region for digitization in the captured image and a step for calculating pixels included in the target region for digitization and having higher brightness than a reference value.

수치화 대상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은 촬영된 영상에서 유출물이 유출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영역인 수치화 대상 영역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촬영부(300)로 제1 개구(110) 및 제2 개구(12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동시에 촬영하는 경우, 촬영된 영상에는 제1 개구(11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이 감지될 수 있는 영역과 제2 개구(12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이 감지될 수 있는 영역이 공존한다. 이에, 제어부(400)는 촬영된 영상에서 제1 개구(11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이 감지될 수 있는 영역과 제2 개구(12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이 감지될 수 있는 영역을 구분하여, 제1 개구(11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의 양을 수치화하기 위한 수치화 대상 영역과, 제2 개구(12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의 양을 수치화하기 위한 수치화 대상 영역을 각각 설정한다. 또한, 제1 촬영부(310) 및 제2 촬영부(320)를 통하여 제1 개구(110) 및 제2 개구(12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동시에 촬영하는 경우에도 수치화 대상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 촬영부(310) 또는 제2 촬영부(320)를 통하여 제1 개구(110) 및 제2 개구(12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각각 촬영하는 경우에도, 촬영된 각각의 영상에는 제1 개구(110) 또는 제2 개구(12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이 감지될 수 있는 영역 외의 주변 영역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이 불필요한 주변 영역에서 유출물의 양을 수치화하지 않기 위하여 수치화 대상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setting the target area for digitization, the target region for digitization, which is an area for detecting leakage of spillage in the captured image, is set. For example, in the case of simultaneously photographing the outflow from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econd opening 120 with one photographing unit 300, the captured image includes the outflow from the first opening 110. An area where water can be sensed and an area where spillage flowing out from the second opening 120 can be sensed coexist.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400 distinguishes between an area in which spillage flowing out from the first opening 110 can be detected and an area where spillage flowing out from the second opening 120 can be detected in the captured image, A digitization target region for digitizing the amount of spillage flowing out from the first opening 110 and a digitization target region for digitizing the amount of spillage flowing out from the second opening 120 are respectively set. In addition, a process of setting a digitization target area even when simultaneously photographing the outflow from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econd opening 120 through the first capturing unit 310 and the second capturing unit 320 this can be done That is, even when the spillage flowing out of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econd opening 120 is photographed through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310 or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320, each photographed image has Since the surrounding area other than the area where the spillage flowing out from the first opening 110 or the second opening 120 can be detected may be included, in order not to quantify the amount of spillage in this unnecessary surrounding area, the area to be digitized is selected. A setting process may be performed.

픽셀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은 수치화 대상 영역 내에 포함되고, 기준 값보다 높은 밝기를 가지는 픽셀의 개수를 산출한다. 즉, 픽셀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제어부(400)는 기준 밝기(brightness) 이상의 밝기를 가지는 픽셀과 기준 밝기 미만의 밝기를 가지는 픽셀을 구분한다. 예를 들어, 영상의 밝기가 0 내지 255의 수치로 표현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185의 기준 밝기 이상의 밝기, 즉 185 내지 255의 밝기 값을 가지는 픽셀과 185 미만의 밝기, 즉 0 내지 184의 밝기 값을 가지는 픽셀로 구분하고, 185의 기준 밝기 이상의 밝기를 가지는 픽셀의 개수를 산출한다. 이때, 픽셀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은 설정된 유지 시간 동안 기준 값, 즉 기준 밝기보다 높은 밝기가 유지되는 픽셀의 개수만을 산출할 수 있다. 기준 밝기가 설정된 유지 시간 미만으로 유지되는 픽셀의 경우, 노즐부(200)를 통한 가스 공급에 의하여 용기부(100)로부터 순간적으로 방출되는 미세 입자 등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1 개구(110) 또는 제2 개구(120)로부터 지속적으로 유출되는 유출물(100)로부터 발생하는 것이 아니므로, 픽셀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은 설정된 유지 시간 동안 기준 밝기보다 높은 밝기가 유지되는 픽셀의 개수만을 산출할 수 있다.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number of pixels calculates the number of pixels included in the digitization target region and having brightness higher than a reference value. That is,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number of pixels, the controller 400 distinguishes between pixels having a brightnes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tandard brightness and pixels having a brightness less than the standard brightness. For example, when the brightness of an image is expressed as a numerical value between 0 and 255, the controller 400 controls brightness value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tandard brightness of 185, that is, pixels having brightness values between 185 and 255 and brightness values less than 185, that is, between 0 and 184. It is divided into pixels having a brightness value of , and the number of pixels having brightnes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tandard brightness of 185 is calculated. At this time,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number of pixels may calculate only the number of pixels for which a brightness higher than a reference value, that is, a reference brightness, is maintained for a set holding time. In the case of pixels whose standard brightness is maintained for less than the set holding time, they correspond to fine particles momentarily emitted from the storage unit 100 by gas supply through the nozzle unit 200, and the first opening 110 or the second opening 110 Since it does not occur from the effluent 100 continuously flowing out from the second opening 120,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number of pixels can calculate only the number of pixels whose brightness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brightness for a set holding time. .

취련 조건을 제어하는 과정(S150)은 수치화된 유출물의 양, 즉 기준 밝기보다 높은 밝기가 유지되는 픽셀의 개수에 따라 용융물(M)의 취련 조건을 제어한다. 취련 조건을 제어하는 과정(S150)에서 제어부(400)는 수치화된 유출물의 양이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용융물(M)로의 가스 공급 방식을 변경하거나, 용융물(M)의 취련을 중단하여 종료하는 등으로 취련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blowing conditions (S150) controls the blowing conditions of the melt (M) according to the amount of quantified effluent, that is, the number of pixels for which brightness is maintained higher than the reference brightness. In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blowing conditions (S150), the control unit 400 changes the gas supply method to the melt (M) when the amount of the quantified effluent is greater than the set value, or stops and ends the blowing of the melt (M). Blowing conditions can be controlled.

예를 들어, 취련 조건을 제어하는 과정(S150)은 용기부(100)의 측면에 마련된 제1 개구(110)로부터 유출되는 제1 유출물의 양이 제1 설정 값 이상인 경우, 노즐부(200)를 통해 용융물(M)로 공급되는 산소 가스의 양을 감소시키거나, 노즐부(200)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산소 가스의 공급 위치를 용융물(M)의 탕면에 가까워지도록 변화시키는 등으로 취련 방식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산소 가스의 양을 감소시키는 과정과 산소 가스의 공급 위치를 변화시키는 과정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저취 노즐(13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감소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취련 방식을 변경하기 전에 수치화된 제1 유출물의 양이 상기 제1 설정 값보다 작은 제2 설정 값 이상임이 확인되면 제1 경고 신호를 송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blowing conditions (S150), when the amount of the first outflow flowing out from the first opening 11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part 10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set value, the nozzle part 200 By reducing the amount of oxygen gas supplied to the melt (M) through, or by moving the nozzle unit 200 downward to change the supply position of the oxygen gas so as to approach the melting surface of the melt (M) Blowing method can be changed At this time, the process of reducing the amount of oxygen gas and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upply position of the oxygen gas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and the amount of gas supplied from the bottom blowing nozzle 130 may also be reduced. On the other h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the first effluent digitized before changing the blowing metho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set value smaller than the first set value, it is of course possible to send out a first warning signal.

또한, 취련 조건을 제어하는 과정(S150)은 용기부(100)의 상면에 마련된 제2 개구(120)로부터 유출되는 제2 유출물의 양이 제3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용융물(M)의 취련을 종료할 수 있다. 이때, 용융물(M)의 취련을 종료하기 전에 수치화된 제2 유출물의 양이 상기 제3 설정 값보다 작은 제4 설정 값 이상임이 확인되면 제2 경고 신호를 송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수치화된 유출물의 양에 따라 정련 공정에서 용융물(M)의 취련 조건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blowing conditions (S150), when the amount of the second outflow flowing out from the second opening 12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portion 100 is greater than the third set value, the blowing of the melt (M) can be terminated At this tim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the second effluent digitized before the end of the blowing of the melt (M) is greater than the fourth set value smaller than the third set value, of course, a second warning signal may be sent out. In this way,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blowing condition of the melt (M) in the refi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amount of effluent digitized.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련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fin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련 방법은, 제1 개구(110)를 통해 유출되는 제1 유출물의 양을 감지하여, 취련 방식을 변경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refining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change the blowing method by detecting the amount of the first effluent flowing out through the first opening 110 .

용융물을 장입하는 과정(S21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process of charging the melt (S210)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취련을 개시하는 과정(S220)은 용기부(100)의 상부에 마련된 노즐부(200)로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에 가스, 예컨대 산소 가스를 공급하여 취련을 개시한다.The process of starting the blowing (S220) starts blowing by supplying gas, for example, oxygen gas,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part 100 to the nozzle part 200 provided on the top of the container part 100.

취련이 개시되면,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양(g)을 감지하는 과정(S230-A)이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취련 조업에서는 취련시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어야 하는 산소 가스의 총량(L)이 미리 설정된다. 이에, 취련이 개시되면,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양(g)이 취련시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어야 하는 산소 가스의 총량(L)에 도달하는지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When blowing is initiated, a process of detecting the amount (g) of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S230-A) is performed. In general, in the blowing operation, the total amount (L) of oxygen gas to be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during blowing is set in advance. Thus, when the blowing is started, the amount of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g) continuously detects whether or not the total amount of oxygen gas (L) to be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is reached during blowing.

이후, 취련시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양(g)과 취련시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어야 하는 산소 가스의 총량(L)을 비교하는 과정(S230-B)이 수행된다. 이때, 취련시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된 가스의 양(g)이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어야 하는 산소 가스의 총량(L) 미만이면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양(g)을 지속적으로 감지한다. 그러나, 취련시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된 가스의 양(g)이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어야 하는 산소 가스의 총량(L) 이상이 되면, 즉 취련시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된 가스의 양(g)이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어야 하는 산소 가스의 총량(L)에 도달하면, 취련을 종료하는 과정(S240)이 수행된다.Thereafter, a process of comparing the amount (g) of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during blowing and the total amount (L) of oxygen gas to be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during blowing (S230-B) is performed. At this time, when the amount (g) of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during blowing is less than the total amount (L) of oxygen gas to be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the amount of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g) ) is continuously detected. However, when the amount (g) of the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during blowing exceeds the total amount (L) of the oxygen gas to be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that is, the amount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during blowing When the amount of gas (g) reaches the total amount (L) of the oxygen gas to be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a process of terminating the blowing (S240) is performed.

취련을 개시하는 과정(S220) 이후, 취련을 종료하는 과정(S240) 전에 제1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S230-C)이 수행된다. 여기서, 제1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S230-C)으로부터 후술하는 취련 방식을 변경하는 과정(S230I)은 전술한 가스의 양(g)을 감지하는 과정(S230-A)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S230-C)으로부터 후술하는 취련 방식을 변경하는 과정(S230I)은 가스의 양(g)을 감지하는 과정(S230-A)이 진행되는 중에 가스의 양(g)을 감지하는 과정(S230-A)과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After the process of starting the blowing (S220), before the process of ending the blowing (S240),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first effluent (S230-C) is performed. Here, the process of changing the blowing method described below from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first effluent (S230-C) (S230I)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amount (g) of the gas described above (S230-A). there is. That is, the process of changing the blowing method described below from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first outflow (S230-C) (S230I) is the amount of gas while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amount (g) of gas (S230-A) is in progress. It may be performed separately from the process of detecting (g) (S230-A).

제1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S230-C)은 용기부(100)의 측면에 마련된 제1 개구(11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감지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제1 촬영부(310)를 통해 제1 개구(11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촬영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개구(11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촬영한 이후, 촬영된 영상을 통해 제1 유출물의 양을 수치화하는 과정(S230-C)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출물의 양을 수치화하는 과정(S230-C)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process of detecting the first spillage (S230-C) may be performed by detecting the spillage flowing out of the first opening 11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torage unit 100, which is performed by the first capturing unit 310. It can be made by photographing the outflow from the first opening 110 through the. After the spill flowing out of the first opening 110 is photographed, a process of quantifying the amount of the first spill through the photographed image (S230-C) may be performed. Here, since the process of digitizing the amount of the first effluent (S230-C)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이후, 수치화된 제1 유출물의 양(P1)과 미리 설정된 제1 설정 값(K1)을 비교하는 과정(S230-H)이 수행된다. 이때, 수치화된 제1 유출물의 양(P1)이 미리 설정된 제1 설정 값(K1) 이상이 되면, 취련 방식을 변경하게 되고, 수치화된 제1 유출물의 양(P1)이 미리 설정된 제1 설정 값(K1) 미만인 경우에는 제1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S230-C)이 다시 수행된다.Thereafter, a process of comparing the digitized amount of the first effluent P1 with the preset first set value K1 (S230-H) is performed. At this time, when the digitized amount of the first effluent (P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first set value (K1), the blowing method is changed, and the digitized amount of the first effluent (P1) is the preset first set value. If it is less than (K1),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first spill (S230-C) is performed again.

수치화된 제1 유출물의 양(P1)을 제1 설정 값(K1)과 비교하는 과정(S230-H) 전에 수치화된 제1 유출물의 양(P1)을 제1 설정 값(K1)보다 작은 제2 설정 값(K2)와 비교하는 과정(S230-E)이 수행될 수 있다. 수치화된 제1 유출물의 양(P1)이 제2 설정 값(K2)보다 작으면 제1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S230-C)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수치화된 제1 유출물의 양(P1)이 제2 설정 값(K2) 이상인 경우 제1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S230-G)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1 경고 신호의 발생은 설정된 시간(t1) 전에 제1 경고 신호가 이미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S230-F)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고 신호가 이미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설정된 시간(t1)이 30초인 경우, 수치화된 제1 유출물의 양(P1)이 제2 설정 값(K2) 이상인 경우라도 이전 30초 내에 제1 경고 신호가 이미 발생된 적이 있었다면 경고 신호가 이미 사용자에게 전달된 상태이므로 반복적인 제1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수치화된 제1 유출물의 양(P1)이 제2 설정 값(K2) 이상인 경우 이전 30초 내에 제1 경고 신호가 발생된 적이 없었다면, 즉각적으로 제1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S230-G)이 수행된다.Prior to the process of comparing the digitized amount P1 of the first effluent with the first set value K1 (S230-H), the digitized amount P1 of the first effluent was set to a second value smaller than the first set value K1. A process of comparing with the set value K2 (S230-E) may be performed. If the digitized amount of the first effluent (P1) is smaller than the second set value (K2),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first effluent (S230-C) is continuously performed, and the digitized amount of the first effluent (P1) When th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set value K2, a process of generating a first warning signal (S230-G) may be performed. At this time, generation of the first warning signal may be performed after a process of confirming whether the first warning signal has already been generated before the set time (t1) (S230-F). For example, if the time t1 set to check whether the first warning signal has already been generated is 30 seconds, even if the amount P1 of the digitized first efflue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set value K2, the previous 30 seconds If the first warning signal has already been generated within the first warning signal is not repeatedly generated because the warning signal has already been transmitted to the user. However, if the first warning signal has not been generated within the previous 30 seconds when the amount P1 of the digitized first effluent is greater than the second set value K2, the process of immediately generating the first warning signal (S230-G ) is performed.

수치화된 제1 유출물의 양(P1)이 미리 설정된 제1 설정 값(K1) 이상이 되면, 취련 방식을 변경하는 과정(S230-I)이 수행된다. 여기서, 취련 방식을 변경하는 과정(S230-I)은 노즐부(200)를 통해 용융물(M)로 공급되는 산소 가스의 양을 감소시키거나, 노즐부(200)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산소 가스의 공급 위치를 용융물(M)의 탕면에 가까워지도록 변화시키는 등 가스 공급 방식을 변경시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스 공급 방식의 변경을 통하여 슬로핑 현상은 예방될 수 있게 되며, 가스 공급 방식의 변경에도 불구하고 수치화된 제1 유출물의 양(P1)이 미리 설정된 제1 설정 값(K1) 이상임이 확인되는 경우 계속적으로 취련 방식을 변경하는 것은 조업 편차를 야기하게 되므로, 취련 방식을 변경하는 과정(S230-I)은 1회적으로만 수행됨이 바람직하다.When the amount P1 of the digitized first efflue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preset value K1, a process of changing the blowing method (S230-I) is performed. Here, the process of changing the blowing method (S230-I) reduces the amount of oxygen gas supplied to the melt (M) through the nozzle unit 200, or moves the nozzle unit 200 downward to increase the amount of oxygen gas. It may be performed by changing the gas supply method, such as changing the supply position to be closer to the molten material M. The slop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through such a change in the gas supply method,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digitized amount of the first effluent P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first set value K1 despite the change in the gas supply method. If continuously changing the blowing method causes operational variatio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blowing method (S230-I) is preferably performed only once.

취련 방식의 변경 없이 취련시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양(g)이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어야 하는 산소 가스의 총량(L)에 도달하거나, 취련 방식을 변경한 경우에도 취련시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양(g)이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어야 하는 산소 가스의 총량(L)에 도달하게 되면, 취련을 종료하는 과정(S240)이 수행된다.Even when the amount (g) of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reaches the total amount (L) of oxygen gas to be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during blowing without changing the blowing method, or the blowing method is changed, the blowing method When the amount (g) of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reaches the total amount (L) of oxygen gas to be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a process of terminating the blowing (S240) is performed.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정련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fining metho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정련 방법은, 제2 개구(120)를 통해 유출되는 제2 유출물의 양을 감지하여, 취련의 종료 시점을 결정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sco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determine an end point of blowing by detecting the amount of the second effluent flowing out through the second opening 120 .

용융물을 장입하는 과정(S210) 및 취련을 개시하는 과정(S22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process of charging the melt (S210) and the process of starting the blowing (S220) are the sam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취련이 개시되면,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양(g)을 감지하는 과정(S230-A)이 수행된다. 취련이 개시되면,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양(g)이 취련시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어야 하는 산소 가스의 총량(L)에 도달하는지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When blowing is initiated, a process of detecting the amount (g) of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S230-A) is performed. When blowing is initiated, it is continuously detected whether the amount of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g) reaches the total amount of oxygen gas (L) to be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during blowing.

이후, 취련시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양(g)과 취련시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어야 하는 산소 가스의 총량(L)을 비교하는 과정(S230-B)이 수행되며, 취련시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된 가스의 양(g)이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어야 하는 산소 가스의 총량(L) 미만이면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양(g)을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취련시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된 가스의 양(g)이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어야 하는 산소 가스의 총량(L) 이상이 되면 취련을 종료하는 과정(S240)이 수행된다.Thereafter, a process of comparing the amount (g) of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during blowing and the total amount (L) of oxygen gas to be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during blowing (S230-B) is performed, When the amount (g) of the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during blowing is less than the total amount (L) of the oxygen gas to be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the amount (g) of the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Continuously detecting, when the amount (g) of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during blowing is greater than the total amount (L) of oxygen gas to be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the process of ending the blowing (S240) is carried out

취련을 개시하는 과정(S220) 이후, 취련을 종료하는 과정(S240) 전에 제2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S230-J)이 수행된다. 여기서, 제2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S230-J)으로부터 후술하는 수치화된 제2 유출물의 양(P2)을 제3 설정 값(K3)과 비교하는 과정(S230-O)은 전술한 가스의 양(g)을 감지하는 과정(S230-A)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제2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S230-J)으로부터 후술하는 제3 설정 값(K3)과 비교하는 과정(S230-O)은 취련을 종료하는 과정(S240) 전에 가스의 양(g)을 감지하는 과정(S230-A)과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After the process of starting the blowing (S220), before the process of ending the blowing (S240),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second outflow (S230-J) is performed. Here, the process of comparing the quantity P2 of the second effluent, which is digitized from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second effluent (S230-J) to the third set value K3 (S230-O), is the It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amount (g) (S230-A). That is,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second outflow (S230-J) and the process of comparing with the third set value (K3) described later (S230-O) is the amount of gas (g) before the process of ending the blowing (S240) It may be performed separately from the process of detecting (S230-A).

제2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S230-J)은 용기부(100)의 상면에 마련된 제2 개구(11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감지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제2 촬영부(320)를 통해 제2 개구(11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촬영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개구(12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촬영한 이후, 촬영된 영상을 통해 제2 유출물의 양을 수치화하는 과정(S230-K)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유출물의 양을 수치화하는 과정(S230-K)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process of detecting the second spillage (S230-J) may be performed by detecting the spillage flowing out of the second opening 11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100, which is performed by the second capturing unit 320. It can be made by photographing the outflow from the second opening 110 through the. After the spill flowing out of the second opening 120 is photographed, a process of quantifying the amount of the second spill through the photographed image (S230-K) may be performed. Here, since the process of quantifying the amount of the second effluent (S230-K)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이후, 수치화된 제2 유출물의 양(P2)과 미리 설정된 제3 설정 값(K3)을 비교하는 과정(S230-O)이 수행된다. 이때, 수치화된 제1 유출물의 양(P2)이 미리 설정된 제3 설정 값(K3) 이상이 되면, 취련을 종료하는 과정(S240)이 수행된다. 즉, 수치화된 제1 유출물의 양(P2)이 미리 설정된 제3 설정 값(K3) 이상이 되면,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된 가스의 양(g)이 취련시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어야 하는 산소 가스의 총량(L) 미만인 경우에도 취련을 종료하는 과정(S240)이 수행된다.Thereafter, a process of comparing the digitized amount of the second effluent (P2) with the preset third set value (K3) (S230-O) is performed. At this time, when the amount (P2) of the digitized first efflue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third set value (K3), the process of ending the blowing (S240) is performed. That is, when the amount (P2) of the digitized first outflow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third set value (K3), the amount (g) of the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i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during blowing. Even if less than the total amount of oxygen gas to be (L), the process of ending the blowing (S240) is performed.

한편, 수치화된 제2 유출물의 양(P2)을 제3 설정 값(K3)과 비교하는 과정(S230-O) 전에 수치화된 제2 유출물의 양(P2)을 제3 설정 값(K3)보다 작은 제4 설정 값(K4)와 비교하는 과정(S230-L)이 수행될 수 있다. 수치화된 제2 유출물의 양(P2)이 제4 설정 값(K4)보다 작으면 제2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S230-J)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수치화된 제2 유출물의 양(P2)이 제4 설정 값(K4) 이상인 경우 제2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S230-N)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2 경고 신호의 발생 또한 설정된 시간(t2) 전에 제2 경고 신호가 이미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S230-M)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반복적인 제2 경고 신호의 발생을 피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efore the process of comparing the amount P2 of the digitized second effluent with the third set value K3 (S230-O), the amount P2 of the digitized second effluent is smaller than the third set value K3. A process of comparing with the fourth set value K4 (S230-L) may be performed. If the digitized amount of the second effluent (P2) is smaller than the fourth set value (K4),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second effluent (S230-J) is continuously performed, and the digitized amount of the second effluent (P2) If th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ourth set value K4, a process of generating a second warning signal (S230-N) may be performed. At this time, the generation of the second warning signal may also be performed after the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second warning signal has already been generated before the set time (t2) (S230-M), thereby avoiding the repeated generation of the second warning signal. can

수치화된 제2 유출물의 양(P2)이 미리 설정된 제3 설정 값(K3) 이상이 되거나, 취련시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산소 가스량(g)이 취련시 공급되어야 하는 산소 가스의 총량(L)에 도달하게 되면, 취련을 종료하는 과정(S240)이 수행된다.The amount (P2) of the digitized second outflow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ird preset value (K3), or the amount (g) of oxygen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during blowing is the total amount of oxygen gas to be supplied during blowing ( When reaching L), the process of ending the blowing (S240) is performed.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정련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fining metho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정련 방법은, 제1 개구(110) 및 제2 개구(120)를 통해 유출되는 제1 유출물 및 제2 유출물의 양을 각각 감지하여, 취련 방식 및 취련의 종료 시점을 결정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refining metho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amounts of the first and second effluent flowing out through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econd opening 120, respectively. However, it can be applied to determine the blowing method and the end point of blowing.

용융물을 장입하는 과정(S210) 및 취련을 개시하는 과정(S22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process of charging the melt (S210) and the process of starting the blowing (S220) are the same as in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취련이 개시되면,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양(g)을 감지하는 과정(S230-A)이 수행된다. 취련이 개시되면,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양(g)이 취련시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어야 하는 산소 가스의 총량(L)에 도달하는지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When blowing is initiated, a process of detecting the amount (g) of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S230-A) is performed. When blowing is initiated, it is continuously detected whether the amount of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g) reaches the total amount of oxygen gas (L) to be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during blowing.

이후, 취련시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양(g)과 취련시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어야하는 산소 가스의 총량(L)을 비교하는 과정(S230-B)이 수행되고, 취련시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된 가스의 양(g)이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어야하는 산소 가스의 총량(L) 이상이 되면, 취련을 종료하는 과정(S240)이 수행된다.Thereafter, a process of comparing the amount (g) of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during blowing and the total amount (L) of oxygen gas to be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during blowing (S230-B) is performed, When the amount (g) of the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during blowing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otal amount (L) of oxygen gas to be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the process of ending the blowing (S240) is performed.

이때, 취련을 개시하는 과정(S220) 이후, 취련을 종료하는 과정(S240) 전에 제1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S230-C)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S230-C)으로부터 후술하는 취련 방식을 변경하는 과정(S230I)은 가스의 양(g)을 감지하는 과정(S230-A)이 진행되는 중에 가스의 양(g)을 감지하는 과정(S230-A)과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1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S230-C)으로부터 후술하는 취련 방식을 변경하는 과정(S230I)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after the process of starting the blowing (S220) and before the process of ending the blowing (S240),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first effluent (S230-C)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blowing method described later from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first outflow (S230-C) (S230I) is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amount (g) of gas ( While S230-A) is in progress, it may be performed separately from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amount (g) of gas (S230-A). In addition, since the process of changing the blowing method (S230I) to be described later from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first effluent (S230-C)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한편, 취련을 개시하는 과정(S220) 이후, 취련을 종료하는 과정(S240) 전에 제2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S230-J)이 수행된다. 여기서, 제2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S230-J)으로부터 수치화된 제2 유출물의 양(P2)을 제3 설정 값(K3)과 비교하는 과정(S230-O)은 전술한 가스의 양(g)을 감지하는 과정(S230-A)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2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S230-J)으로부터 수치화된 제2 유출물의 양(P2)을 제3 설정 값(K3)과 비교하는 과정(S230-O)은, 제1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S230-C)으로부터 후술하는 취련 방식을 변경하는 과정(S230I)과 별개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제2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S230-J)으로부터 수치화된 제2 유출물의 양(P2)을 제3 설정 값(K3)과 비교하는 과정(S230-O)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process of starting the blowing (S220), before the process of ending the blowing (S240),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second outflow (S230-J) is performed. Here, the process of comparing the amount of the second effluent (P2) digitized from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second effluent (S230-J) with the third set value (K3) (S230-O) is the amount of the above-mentioned gas ( g)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process of detecting (S230-A). In addition, in the step of comparing the amount P2 of the second effluent, which is digitized from the step of detecting the second effluent (S230-J), with the third set value (K3) (S230-O), It may be performed separately from the process of sensing (S230-C) and the process of changing the blowing method (S230I) to be described later. Meanwhile, the process of comparing the amount P2 of the second effluent digitized from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second effluent (S230-J) with the third set value K3 (S230-O) is the third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in the example,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취련 방식의 변경 없이 취련시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양(g)이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어야하는 산소 가스의 총량(L)에 도달하거나, 취련 방식을 변경한 경우에도 취련시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양(g)이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어야하는 산소 가스의 총량(L)에 도달하게 되면, 취련을 종료하는 과정(S240)이 수행된다. 한편, 취련시 노즐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산소 가스량(g)이 취련시 공급되어야 하는 산소 가스의 총량(L)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도, 수치화된 제2 유출물의 양(P2)이 미리 설정된 제3 설정 값(K3) 이상이 되면, 취련을 종료하는 과정(S240)이 수행된다.Here, when the amount (g) of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during blowing without changing the blowing method reaches the total amount (L) of oxygen gas to be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or the blowing method is changed When the amount (g) of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during blowing also reaches the total amount (L) of oxygen gas to be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the process of ending the blowing (S240) is performed . 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amount (g) of oxygen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unit 200 during blowing does not reach the total amount (L) of oxygen gas to be supplied during blowing, the amount (P2) of the digitized second outflow is set in advance. When the third set value (K3) or more, the process of ending the blowing (S240) is perform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용기부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의 양에 따라 취련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정련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In this 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ining process can be automated by controlling the blow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amount of effluent flowing out of the storage unit.

즉, 촬영부로부터 획득한 유출물의 영상으로부터 용기부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의 양을 정확하게 수치화할 수 있으며, 유출물의 양에 따라 용융물로의 가스 공급 방식과 같은 취련 방식을 변경하거나 취련 종료 시점을 결정함으로써 조업 편차를 발생시키지 않고 일관적인 정련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quantify the amount of effluent flowing out of the storage part from the image of the effluent obtain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and according to the amount of effluent, by changing the blowing method such as the gas supply method to the melt or by determining the end point of blowing A consistent scouring process can be performed without causing operational variation.

또한, 전로의 노구를 통해 슬래그가 분출되는 슬로핑 현상의 발생 전에 이를 감지하여 슬로핑 현상을 예방하거나, 이와 같은 예방 조치에도 불구하고 슬로핑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에 즉각적으로 대처하여 대기 오염 및 조업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oping phenomenon in which slag is ejected through the furnace hole of the converter is detected before it occurs to prevent the sloping phenomenon, or if the sloping phenomenon occurs despite such preventive measures, it is immediately dealt with to prevent air pollution and operation. Accidents can be prevented.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using specific terms, such terms are only intended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nd described ter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following claims. And it is obvious that various change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용기부 110: 제1 개구
120: 제2 개구 200: 노즐부
300: 촬영부 310: 제1 촬영부
320: 제2 촬영부 400: 제어부
500: 감시부 600: 센서부
100: container part 110: first opening
120: second opening 200: nozzle part
300: photographing unit 310: first capturing unit
320: second capturing unit 400: control unit
500: monitoring unit 600: sensor unit

Claims (18)

용융물을 정련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용기부;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노즐부;
상기 용기부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입력받아 상기 유출물의 양을 수치화하고, 수치화된 유출물의 양에 따라 상기 용융물의 취련 조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련 장치.
A container part having an inner space capable of refining the melt;
a nozzle unit movably installed toward the inner space and supplying gas to the inner space;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effluent flowing out of the container unit; and
Refining apparatus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image acquir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digitizing the amount of the effluent, and controlling the blowing condition of the molten material according to the digitized amount of the efflu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용융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1 개구; 및
상면에 마련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용융물을 장입하기 위한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는,
상기 제1 개구 및 제2 개구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이 촬영된 영상에 모두 포함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부의 측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정련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iner part,
A first opening provided on a side surface to discharge melt from the inner space; and
It includes; a second opening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for charging the melt into the inner space;
the filming unit,
A refining devic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container unit so that all of the effluent flowing out of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can be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용융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1 개구; 및
상면에 마련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용융물을 장입하기 위한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는,
상기 제1 개구의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개구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촬영하기 위한 제1 촬영부; 및
상기 제2 개구의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개구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촬영하기 위한 제2 촬영부;를 포함하는 정련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iner part,
A first opening provided on a side surface to discharge melt from the inner space; and
It includes; a second opening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for charging the melt into the inner space;
the filming unit,
a first photographing unit installed at a side of the first opening and photographing the outflow from the first opening; and
and a second photographing unit installed at a side of the second opening to photograph the effluent flowing out of the second open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부산물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를 포함하는 정련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Refining apparatus comprising a;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height of the by-product present in the inner spa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음향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기 위한 음향 센서;를 포함하는 정련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sensor unit includes an acoustic sensor for detecting an intensity of an acoustic sig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로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감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수치화된 유출물의 양에 따라 상기 감시부를 통해 경고 신호를 송출하는 정련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monitoring unit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storage unit and inputting a control command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Refining device for sending a warning signal through the monitoring unit according to the amount of effluent quantified.
용융물을 용기부에 장입하는 과정;
상기 용융물의 취련을 개시하는 과정;
상기 용기부를 촬영하여, 상기 용기부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유출물의 양을 수치화하는 과정; 및
수치화된 유출물의 양에 따라, 상기 용융물의 취련 조건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정련 방법.
The process of charging the molten material to the container unit;
Initiating blowing of the melt;
photographing the container unit and detecting spilled water flowing from the container unit;
quantifying the amount of the effluent by using the photographed image; and
A refining method comprising: controlling blowing conditions of the melt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effluent quantified.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출물의 양을 수치화하는 과정은,
촬영된 영상에서 수치화 대상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수치화 대상 영역 내에 포함되고, 기준 값보다 높은 밝기를 가지는 픽셀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정련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process of quantifying the amount of the effluent,
Setting a target area for digitization in the captured image; and
and calculating the number of pixels included in the digitization target region and having brightness higher than a reference valu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픽셀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은,
설정된 유지 시간 동안 기준 값보다 높은 밝기가 유지되는 픽셀의 개수만을 산출하는 정련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number of pixels,
A refinement method that calculates only the number of pixels whose brightness is higher than a reference value for a set holding tim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 전에,
상기 용기부 내에 존재하는 부산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정련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Prior to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effluent,
Refining method comprising a; step of detecting the height of the by-products present in the container unit.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부산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과정은,
취련시 용융물 상에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상기 용기부의 외부에서 수신하는 과정; 및
수신된 음향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여 부산물의 높이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정련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height of the by-product,
Receiving a sound signal generated on the melt during blowing from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unit; and
A refinement method comprising: calculating the height of a by-product by detecting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acoustic signal.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출물의 양을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용기부의 측면에 마련된 제1 개구로부터 유출되는 제1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용융물의 취련 조건을 제어하는 과정은,
수치화된 제1 유출물의 양이 제1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용융물로의 가스 공급 방식을 포함하는 취련 방식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정련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amount of the effluent is,
A step of detecting a first outflow flowing out of a first opening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unit; includes,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blowing conditions of the melt,
A refining method comprising: changing a blowing method including a gas supply method to the melt when the amount of the quantified first efflue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set valu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취련 방식을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용융물에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감소시키는 과정; 및
상기 가스의 공급 위치를 상기 용융물의 탕면에 가까워지도록 변화시키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련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ocess of changing the blowing method,
reducing the amount of gas supplied to the melt; and
changing the supply position of the gas to be closer to the molten water surface; A refining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of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취련 조건을 제어하는 과정 전에,
수치화된 제1 유출물의 양이 상기 제1 설정 값보다 작은 제2 설정 값 이상임이 확인되면, 제1 경고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정련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Before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blowing conditions,
and transmitting a first warning signal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the digitized first efflue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set value smaller than the first set valu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취련 조건을 제어하는 과정은,
취련시 상기 용융물에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량을 감지하는 과정; 및
취련시 상기 용융물에 공급된 가스의 총 공급량이, 취련시에 공급하기로 설정된 제1 목표 가스량에 도달하면, 상기 용융물의 취련을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정련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blowing conditions,
Step of detecting the supply amount of the gas supplied to the melt during blowing; and
When the total amount of gas supplied to the melt during blowing reaches a first target gas amount set to be supplied during blowing, step of terminating the blowing of the melt; Refining method comprising a.
청구항 7 내지 1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물의 양을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용기부의 상면에 마련된 제2 개구로부터 유출되는 제2 유출물을 감지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취련 조건을 제어하는 과정은,
수치화된 제2 유출물의 양이 제3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용융물의 취련을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정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5,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amount of the effluent is,
Including; detecting a second outflow flowing out of a second opening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unit;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blowing conditions,
Refining method comprising: terminating the blowing of the melt when the amount of the digitized second efflue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ird set value.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취련 조건을 제어하는 과정 전에,
수치화된 제2 유출물의 양이 상기 제3 설정 값보다 작은 제4 설정 값 이상임이 확인되면, 제2 경고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정련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Before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blowing conditions,
and transmitting a second warning signal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the digitized second efflue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ourth set value smaller than the third set value.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전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물은 상기 전로의 출강구 및 노구 중 적어도 하나에서 유출되는 전로 슬래그를 포함하는 정련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tainer unit includes a converter,
The effluent includes converter slag flowing out of at least one of a tap and a furnace of the converter.
KR1020210179666A 2021-12-15 2021-12-15 Apparatus and method for refining KR202300906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666A KR20230090691A (en) 2021-12-15 2021-12-15 Apparatus and method for refi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666A KR20230090691A (en) 2021-12-15 2021-12-15 Apparatus and method for refin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691A true KR20230090691A (en) 2023-06-22

Family

ID=86989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666A KR20230090691A (en) 2021-12-15 2021-12-15 Apparatus and method for refi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069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996A (en) 2002-12-06 2004-06-14 주식회사 포스코 Method of depressing slop by calculating and controlling the retained slag in the oxygen converter after tapp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996A (en) 2002-12-06 2004-06-14 주식회사 포스코 Method of depressing slop by calculating and controlling the retained slag in the oxygen converter after tapp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2238B2 (en) Method for estimating melt level in vertical furnace
JP6164173B2 (en) Converter discharge flow determination device, converter discharge flow determination method, hot metal pretreatment method, and converter pretreatment operation method
CN102791399B (en) Converter splash prediction and oxygen lance optimization system
JP6764315B2 (en) Operation control system of electric furnace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of electric furnace and electric furnace
JP5444692B2 (en) Slag outflow detection method
JP2016006221A (en) Method for measuring slag amount in vertical furnace and measuring device therefor
KR2023009069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fining
CN106795573B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ignition time point in an oxygen converting process
KR1012016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inflowing of argon bubble into laddle
JP2002003959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ponge titanium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23114849A (en) Converter slag removal quantity estimation method and refining method in converter
KR101466920B1 (en) monitoring apparatus for discharging slag
JP4238165B2 (en) Measuring method of dredging diameter of blast furnace outlet
JP5417738B2 (en) Slag outflow detection method
JP6260559B2 (en) Method and device for charging slag forming sedative
CN113981170A (en) Converter mouth deslagging method
KR1020860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lime
KR20130057660A (en) Converter refining method and device of molten steel using residual slag
JPH0820813A (en) Method of blowing operation and apparatus therefor
JP5228414B2 (en) Slag outflow detection method
CN113981166B (en) Converter steelmaking deslagging method
KR102670728B1 (en) Method for identify of slag, method for slag skimming and apparatus for skimming slag
KR20120073412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geberation of naked molten metal
KR102115886B1 (en) Method for refining molten steel and refining equipment using converter
KR101168902B1 (en) Blowing apparatus of converter and blowing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