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0512A - Eartips with air circula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Eartips with air circulation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0512A
KR20230090512A KR1020210179349A KR20210179349A KR20230090512A KR 20230090512 A KR20230090512 A KR 20230090512A KR 1020210179349 A KR1020210179349 A KR 1020210179349A KR 20210179349 A KR20210179349 A KR 20210179349A KR 20230090512 A KR20230090512 A KR 20230090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irculation
ear
fixing part
wing pieces
circula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3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이준
Original Assignee
홍이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이준 filed Critical 홍이준
Priority to KR1020210179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0512A/en
Publication of KR20230090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51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9Non-occlusive ear tips, i.e. leaving the ear canal open, for both custom and non-custom tip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이어팁에 관한 것으로, 이어폰 헤드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출력 방향으로 확장되면서 벌어진 프로펠러 형상의 복수의 날개편들을 포함하고, 귓구멍에 끼워질 때 상기 복수의 날개편들이 고정부 방향으로 말리면서 접혀져 귓구멍의 사이즈에 따라 신축되고 접혀진 날개편들 사이에 공기 순환 통로를 형성하는 탄성 착용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 tip having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comprising: a fixing portion inserted into and fixed to an earphone head; And a plurality of propeller-shaped wing pieces that are widened while extending in the output direction from the fixing part, and when inserted into the ear hole, the plurality of wing pieces are rolled and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part to expand and contrac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ar hole. It includes an elastic wearing part forming an air circulation passage between them.

Description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이어팁{EARTIPS WITH AIR CIRCULATION STRUCTURE}Eartips having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EARTIPS WITH AIR CIRCU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이어폰의 이어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어폰 캡에 부착되어 귓속에 착용시 귓구멍의 사이즈에 맞추어 착용할 수 있으며 공기 순환 구조로 귓속이 밀폐되어 발생하는 염증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이어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 tip of an earphon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attached to an earphone cap so that it can be wor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ar hole when worn in the ear, and the air circulation structure is air circulation that can prevent inflammation caused by sealing the inside of the ear. It relates to an ear tip having a structure.

일반적으로, 이어폰(Earphones)은 귀에 꽂아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개인적으로 음악 등의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해주는 기구를 총칭한다.In general, earphones (Earphones) is a generic term for a device that allows you to personally listen to sound, such as music, without harming others by inserting it into the ear.

이어폰은 모양에 따라 오픈형 이어폰과 커널형 이어폰으로 종류가 구분될 수 있다.Earphones can be classified into open type earphones and canal type earphones according to their shapes.

도 1은 일반적인 오픈형 이어폰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커널형 이어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open type earphone,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canal type earphone.

도 1에 나타낸 오픈형 이어폰(10)은 음향출력 유닛이 내장된 좌우 한쌍의 헤드(11)와, 외부의 음원제공장치(미도시)와 연결시키는 플러그(13)가 케이블(15)을 통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오픈형 이어폰(10)의 경우, 각 모델마다 이어폰 헤드(11)의 사이즈가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귓구멍 크기보다 이어폰 헤드(11)의 사이즈가 큰 경우에는 착용이 불가능하거나 통증을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착용자의 귓구멍 크기 보다 이어폰 헤드(11)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는 착용자의 귀에서 쉽게 빠지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open type earphone 10 shown in FIG. 1, a pair of left and right heads 11 with a built-in sound output unit and a plug 13 connected to an external sound source providing device (not shown) are connected through a cable 15, respectively. has been In the case of the open type earphone 10, since the size of the earphone head 11 is the same for each model, if the size of the earphone head 11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wearer's ear hole, it is impossible to wear or feels pain. In addition, when the size of the earphone head 11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wearer's ear ho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easily falls out of the wearer's ear.

도 2에 나타낸 커널형 이어폰(20)은 귀에 삽입하는 이어폰으로, 여러가지 크기의 팁을 교체할 수 있어 일반적으로 오픈형보다 착용감이 더 낫다. 커널형 이어폰(20)은 이어폰 헤드(21)에 플렉시블한 실리콘 팁으로 이루어진 이어팁(23)이 마련되어 귀에 꽂아서 사용하게 되므로, 도 1의 오픈형 이어폰(10)에 비해 착용감과 고정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커널형 이어폰(20)은 또한 오픈형 이어폰(10)에 비해 차음성이 좋아서 시끄러운 곳에서 듣기에 적합한다. The canal type earphone 20 shown in FIG. 2 is an earphone to be inserted into the ear, and since tips of various sizes can be replaced, it is generally more comfortable to wear than the open type. The canal type earphone 20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earphone head 21 is provided with an ear tip 23 made of a flexible silicon tip and is used by inserting it into the ear, so that the fit and fixation are firmly maintained compared to the open earphone 10 of FIG. there is. The canal type earphone 20 also has better sound insulation than the open type earphone 10, so it is suitable for listening in a noisy place.

그러나, 커널형 이어폰(20)의 경우에도 사용자의 귓구멍 사이즈에 맞는 형태와 사이즈의 이어팁을 골라서 이어폰 헤드(21)에 결합시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커널형 이어폰(20)은 귓구멍에 삽입되어 외이도와 밀착되면 외부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좋은 음질을 기대할 수 있지만, 장시간 외이도를 막으면 귀 속에 습기가 차면서 세균이 번식하고 외이도염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the canal type earphone 20, there is an inconvenient problem in that an ear tip of a shape and size suitable for the size of the user's ear hole must be selected and coupled to the earphone head 21 for use. In addition, when the canal-type earphone 20 is inserted into the ear canal and adhered to the ear canal, external noise can be effectively blocked and good sound quality can be expected. there is.

한국등록특허 제10-1960789호(2019.03.15)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60789 (2019.03.15) 한국등록특허 제10-2292926호(2021.08.18)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292926 (2021.08.18)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어폰 캡에 부착되어 귓속에 착용시 귓구멍의 사이즈에 맞추어 착용할 수 있으며 공기 순환 구조로 귓속이 밀폐되어 발생하는 염증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이어팁을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 tip having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that can be wor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ar hole when it is attached to the earphone cap and worn in the ear, and can prevent inflammation caused by sealing the inside of the ear with the air circulation structure.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로펠러 형상의 탄성 소재로 이루어져 귓속의 착용 시 프로펠러 형상이 안으로 말리면서 탄성 작용하여 귓 구멍속 사이즈에 맞추어 착용 가능하고 프로펠러들 사이로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이어팁을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propeller-shaped elastic material, so that when worn in the ear, the propeller shape is rolled inward and acts elastic, so that it can be wor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ar hole and air circulation structure that allows air to circulate between the propellers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ear tip having.

실시예들 중에서,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이어팁은 이어폰 헤드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출력 방향으로 확장되면서 벌어진 프로펠러 형상의 복수의 날개편들을 포함하고, 귓구멍에 끼워질 때 상기 복수의 날개편들이 고정부 방향으로 말리면서 접혀져 귓구멍의 사이즈에 따라 신축되고 접혀진 날개편들 사이에 공기 순환 통로를 형성하는 탄성 착용부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ear tip having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includes a fixing portion that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earphone head; And a plurality of propeller-shaped wing pieces that are widened while extending in the output direction from the fixing part, and when inserted into the ear hole, the plurality of wing pieces are rolled and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part to expand and contrac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ar hole. It includes an elastic wearing part forming an air circulation passage between them.

상기 이어팁은 실리콘 또는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ar tip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ncluding silicone or rubber.

상기 고정부는 중앙에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원통 형상의 홀이 성형되고 상기 이어폰 헤드를 상기 홀의 일측의 내부에 억지끼움 결합하고 상기 홀의 타측에 상기 탄성 착용부가 마련될 수 있다.A cylindrical hole penetrat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xing part may be formed, the earphone head may be press-fitted to the inside of one side of the hole, and the elastic wearing part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le.

상기 복수의 날개편들은 상기 이어폰 헤드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의 원통형상의 외주면과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며, 각각 안쪽으로 갈수록 크게 휘어지고 바깥쪽으로 갈수록 적게 휘어지는 비선형으로 형성되어 접혀졌을 때 상호 겹쳐지는 부분에 생기는 이격으로 상기 공기 순환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ing pieces have a constant angle of inclination with the cylindric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art in the direction of the earphone head, and are formed in a non-linear shape in which each is bent more toward the inside and less toward the outside, and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the overlapping portion when folded. To provide the air circulation passage.

상기 복수의 날개편들은 각각 두께가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얇아지고 상기 고정부에서부터 말단 방향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wing pieces may be formed so that the thickness becomes thinner from the center to the edge and gradually becomes thinner from the fixing part to the distal end.

상기 복수의 날개편들은 각각 서로 특정 간격을 갖고 일측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특정 간격 내에서 안으로 말려 서로 겹치지 않고 접혀지게 하여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wing pieces may be formed to be bent in one direction at a specific interval from each other, and may be rolled inward within the specific interval and folded without overlapping each other to induce air flow.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이어팁은 이어폰 캡에 부착되어 귓속에 착용시 귓구멍의 사이즈에 맞추어 착용할 수 있으며 공기 순환 구조로 귓속이 밀폐되어 발생하는 염증을 방지할 수 있다.The ear tip having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earphone cap and can be wor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ar hole when worn in the ear, and can prevent inflammation caused by the air circulation structure sealing the inside of the ea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이어팁은 프로펠러 형상의 탄성 소재로 이루어져 귓속의 착용 시 프로펠러 형상이 안으로 말리면서 탄성 작용하여 귓 구멍속 사이즈에 맞추어 착용 가능하고 프로펠러들 사이로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ear tip having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propeller-shaped elastic material, so that when worn in the ear, the propeller shape curls inward and acts elastically, so that it can be wor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ar hole, and air circulates between the propellers allow this to happe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이어팁은 공기의 순환으로 인해서 귓속의 고온다습을 건조하게 말리면서 외이도 진균을 없애 이어폰의 장시간 사용에 따른 이염을 예방할 수 있고 또한, 프리사이즈로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ear tip of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ear infection caused by prolonged use of the earphone by drying the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ear dryly due to air circulation and eliminating fungi in the ear canal, and can be used in a free size.

도 1은 일반적인 오픈형 이어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커널형 이어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이어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이어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이어탭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이어탭이 이어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이어탭의 공기 순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open type earphon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canal type earphone.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artab having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eartap of FIG. 3 .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eartab of FIG. 3 .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eartab of FIG. 3 is coupled to an earphone;
FIG. 7 is a diagram explaining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of the eartab of FIG. 3 .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intervening elements exist.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refer to an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follow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than specified.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이어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이어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이어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이어팁이 이어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ar tip having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ear tip of FIG. 3,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ar tip of FIG. 3, and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ear tip of 3 is coupled to the earphone.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팁(100)은 이어폰 헤드(200)에 마련되어 귓구멍에 끼워진 상태로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어팁(100)은 이어폰 헤드(200)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팁(100)은 또한, 고정부(110)에서 출력 방향으로 확장되면서 벌어진 프로펠러 형태로 마련되어, 귓구멍에 끼워질 때 고정부(110) 방향으로 말리면서 접혀서 귓구멍의 사이즈에 따라 신축되는 탄성 착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어팁(100)은 실리콘 또는 고무(rubber) 소재 기반의 연질의 탄성체 사출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to 6 , the ear t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earphone head 200 and can maintain airtightness while inserted into the ear hole. To this end, the ear tip 100 may include a fixing part 110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earphone head 200 . The ear tip 100 is also provided in the form of a propeller that expands in the output direction from the fixing part 110, and is folded while being rolled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part 110 when fitted into the ear hole. Elastic wearing part that expands and contract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ar hole ( 130) may be included. Here, the ear tip 100 may be composed of a soft elastic injection molding material based on silicone or rubber.

고정부(110)는 이어폰 헤드(200)의 고정부위에 대응되는 형상 및 두께를 갖는 림(Rim)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110)는 이어폰 헤드(200)의 출력 방향의 본체 테두리에 형성되는 환홈에 끼워지는 내향된 환형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반대로, 이어폰 헤드(200)의 출력 방향의 본체 테두리에 형성되는 환형 돌기에 끼워지는 내향된 환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fixing part 1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im having a shape and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art of the earphone head 200 . In one embodiment, the fixing part 110 may be made of an inward-turning annular protrusion fitted into an annular groove formed on the rim of the main body in the output direction of the earphone head 200, and conversely, the main body in the output direction of the earphone head 200. It may also consist of an inwardly turned annular groove fitted into an annular projection formed on the rim.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110)는 중앙에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관통 홀의 일측 내부에 이어폰 헤드(200)의 결합부위를 억지끼움 결합하여 이어폰 헤드(200)에 이어팁(100)을 고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xing part 1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hole penetrat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earphone head ( 200) may be fixed to the ear tip 100.

탄성 착용부(130)는 고정부(110)의 일측 면으로부터 출력 방향으로 확장되는 복수의 날개편들(13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날개편들(131)은 고정부(110)에 프로펠러 모양으로 배치되어 착용시 이들의 유기적인 작용에 의하여 본 발명의 특징적인 외이도 내부와 귀 외부 간의 공기 순환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프리사이즈로 사용할 수 있다. The elastic wearing part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wing pieces 131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fixing part 110 in the output direction. The plurality of wing pieces 131 are disposed in the shape of a propeller on the fixing part 110, and when worn, their organic action can form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between the inside of the external auditory meatus and the outside of the ear, which is characteristic of the present invention. Available in free size.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날개편들(131) 각각은 고정부(110)의 외주면과 일정한 경사각(θ)을 가지며, 고정부(110)에서 출력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날개편들(131)은 4개로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3개 혹은 6개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plurality of wing pieces 131 has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θ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and may extend from the fixing part 110 in the output direction. Here, the plurality of wing pieces 131 is composed of fou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mposed of variously, such as two, three, or six.

또한, 복수의 날개편들(131) 각각은 고정부(1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일측 방향으로 휘어지는 나선형 프로펠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날개편들(131) 각각의 휘어짐 각도는 인접한 날개편과의 겹쳐진 상태에서의 원활한 공기의 흐름 유도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날개편들(131) 각각은 날개를 안쪽으로 갈수록 크게 휘어지고 바깥쪽으로 갈수록 적게 휘어지게 형성하되 휘어지는 정도가 점점 작아지도록 비선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복수의 날개편들(131)이 접혀졌을 때 상호 겹쳐지는 부분에 생기는 이격으로 공기 순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날개편들(131) 각각은 고정부(110)의 관통 홀의 이어폰 헤드(200)가 고정되는 일측의 반대 일측 면으로부터 프로펠러 모양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날개편들(131) 각각의 양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후단 쪽으로 굽혀지고 사용자의 외이도의 내경 등 구조에 따라 굽혀지는 각도가 탄력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wing pieces 131 may be radially fix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ing part 110 and may be formed in a spiral propeller shape bent in one direction. Here, the bending angl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wing pieces 131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smooth air flow in the overlapped state with adjacent wing pieces. For example, each of the plurality of wing pieces 131 may be formed in a non-linear manner so that the wings are bent more inwardly and less bent toward the outside, but the degree of bending gradually decreases, and the plurality of wing pieces 131 When folded,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may be formed due to the space between overlapping portions.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plurality of wing pieces 131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propeller shape from one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of the fixing part 110 to which the earphone head 200 is fixed. Both sid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wing pieces 131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and bent toward the rear end toward the edge, and the bending angle may be elas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a structure such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user's external auditory canal.

복수의 날개편들(131) 각각의 두께는 날개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하고 고정부(110)에서부터 말단 방향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하여 날개편(131)이 말리면서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귓구멍에 착용시 이어팁(100)의 형상을 유지시키면서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외측 부분은 날개편(131)이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지거나 오므려지면서 직경이 가변되면서 신축될 수 있도록 한다.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wing pieces 131 becomes thinner from the center of the wing to the edge and gradually becomes thinner from the fixing part 110 toward the distal end, so that the wing piece 131 is rolled and the thickness is relatively thick The inner part maintains the shape of the ear tip 100 when worn in the ear hole, while the outer part, which has a relatively thin thickness, expands and contracts while the diameter changes as the wing piece 131 is unfolded or folded in a folded state. .

복수의 날개편들(131) 각각은 안으로 말렸을 때 날개들이 겹치지 않거나 최소로 겹쳐 날개들 사이로 공기 순환 통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날개 사이에 특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날개편들(131)의 날개 사이 특정 간격은 고정부(110)의 외측 둘레, 날개편의 개수 및 날개편의 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공기 순환 통로(133)는 이어팁(100)이 외이도 내측에 삽입시 복수의 날개편들(131)의 접이를 용이하게 하여 착용시 삽입이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접혀진 복수의 날개편들(131) 사이로 공기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복수의 날개편들(131)은 특정 간격 내에서 안으로 말려 서로 겹치지 않고 접혀지게 하여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도록 할 수도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wing pieces 131 may be formed to have a specific gap between the wings so that the wings do not overlap or overlap to a minimum when rolled inside, so that an air circulation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wings. Here, the specific distance between the blades of the plurality of wing pieces 131 may vary depending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ing part 110, the number of wing pieces, and the width of the wing pieces. The air circulation passage 133 facilitates the folding of the plurality of wing pieces 131 when the ear tip 100 is inserted into the outer ear canal, thereby facilitating insertion when worn, as well as passing between the folded plurality of wing pieces 131. Allow air circulation to occur. The plurality of wing pieces 131 may be rolled inside within a specific interval and folded without overlapping each other to induce a smooth flow of air.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팁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7 is a view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ar t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팁(100)은 고정부(110)의 이어폰 헤드(200)와 결합되는 말단의 반대 부위에 프로펠러 형태의 탄성 착용부(130)가 포함되는 구성을 통해 공기 순환 기능 및 프리사이즈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이어팁(100)은 고정부(110)을 이어폰 헤드(200)와 결합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탄성 착용부(130)를 통해 귓구멍에 끼워 이어폰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탄성 착용부(130)는 프로펠러 형상의 복수의 날개편들(131)이 귓구멍을 따라 안쪽으로 말리면서 귓구멍 사이즈에 맞춰 착용되게 된다. 복수의 날개편들(131)은 고정부(110)의 외주면과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므로 외이도로의 삽입이 용이하고 사용시 경사각을 가지는 날개편(131)의 작용으로 이어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복수의 날개편들(131) 사이의 간격에 의해 공기 순환 통로(30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귓구멍의 사이즈에 따라 복수의 날개편들(131)이 안으로 말리는 정도가 달라지게 되고 그에 따라 공기 순환 통로(300)의 사이즈로 달리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ear t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peller-type elastic wearing part 130 at the opposite part of the end coupled to the earphone head 200 of the fixing part 110, so that air can be released through the configuration. A circulation function and a free size function can be implemented. The ear tip 100 allows the earphone to be worn by inserting the fixing part 110 into the ear hole through the elastic wearing part 130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art 110 is coupled to the earphone head 200 and fixed. At this time, the elastic wearing part 130 is wor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ar hole while the plurality of propeller-shaped wing pieces 131 are rolled inward along the ear hole. Since the plurality of wing pieces 131 have a certain inclination angle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insertion into the external auditory meatus is easy, and the earphon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the action of the wing pieces 131 having an inclination angle during use. In this process, the air circulation passage 300 may be formed by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wing pieces 131 . Here, the degree to which the plurality of wing pieces 131 are rolled inside vari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ar hole, and accordingly, the size of the air circulation passage 300 can be changed.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이어팁은 프로펠러 형상의 탄성 착용부를 통해 다양한 크기의 귓속에 끼움이 가능하고 공기 순환에 의해 귓속의 고온다습 상태로 인한 곰팡이가 생겨 외이도 진균증으로 심한 가려움증이나 통증의 증상을 예방할 수 있다.Eartips having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be fitted into ears of various sizes through propeller-shaped elastic wearing parts, and mold is generated due to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ear due to air circulation, resulting in severe itching or pain due to mycosis of the ear canal. symptoms can be prevent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이어팁
110: 고정부 130: 탄성 착용부
131: 복수의 날개편들
200: 이어폰 헤드 300: 공기 순환 통로
100: ear tip having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110: fixing part 130: elastic wearing part
131: Multiple Wings
200: earphone head 300: air circulation passage

Claims (6)

이어폰 헤드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출력 방향으로 확장되면서 벌어진 프로펠러 형상의 복수의 날개편들을 포함하고, 귓구멍에 끼워질 때 상기 복수의 날개편들이 고정부 방향으로 말리면서 접혀져 귓구멍의 사이즈에 따라 신축되고 접혀진 날개편들 사이에 공기 순환 통로를 형성하는 탄성 착용부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이어팁.
A fixing part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earphone head;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propeller-shaped wing pieces that are widened while extending from the fixing part in the output direction, and when fitted into the ear hole, the plurality of wing pieces are rolled and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part to expand and contrac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ar hole. An ear tip having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including an elastic wearing portion forming an air circulation passage therebetw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팁은
실리콘 또는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이어팁.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ar tip
An ear tip having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containing silicone or rub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중앙에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원통 형상의 홀이 성형되고 상기 이어폰 헤드를 상기 홀의 일측의 내부에 억지끼움 결합하고 상기 홀의 타측에 상기 탄성 착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이어팁.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xing part
An ear tip having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cylindrical hole passing throug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is formed in the center, the earphone head is press-fitted to the inside of one side of the hole, and the elastic wearing par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날개편들은
상기 이어폰 헤드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의 원통형상의 외주면과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며, 각각 안쪽으로 갈수록 크게 휘어지고 바깥쪽으로 갈수록 적게 휘어지는 비선형으로 형성되어 접혀졌을 때 상호 겹쳐지는 부분에 생기는 이격으로 상기 공기 순환 통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이어팁.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wing pieces
It has a certain inclination angle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shape of the fixing part in the direction of the earphone head, and is formed in a non-linear shape that bends more toward the inside and less toward the outside, so that when folded, the air circulation passage is formed at the overlapp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n ear tip having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날개편들은
각각 두께가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얇아지고 상기 고정부에서부터 말단 방향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이어팁.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wing pieces
Eartips having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each thickness is gradually thinner from the center to the edge and progressively thinner from the fixing part to the 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날개편들은
각각 서로 특정 간격을 갖고 일측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특정 간격 내에서 안으로 말려 서로 겹치지 않고 접혀지게 하여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이어팁.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wing pieces
Eartips having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formed to be bent in one direction at a specific interval from each other, and are rolled inside within the specific interval to be folded without overlapping each other to induce air flow.
KR1020210179349A 2021-12-15 2021-12-15 Eartips with air circulation structure KR2023009051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349A KR20230090512A (en) 2021-12-15 2021-12-15 Eartips with air circulatio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349A KR20230090512A (en) 2021-12-15 2021-12-15 Eartips with air circulation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512A true KR20230090512A (en) 2023-06-22

Family

ID=86989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349A KR20230090512A (en) 2021-12-15 2021-12-15 Eartips with air circulation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0512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789B1 (en) 2017-11-29 2019-03-21 (주) 파켐코리아 Ear tip and earphone having the same
KR102292926B1 (en) 2020-08-27 2021-08-25 주식회사 알머스 Variable eartip for earpho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789B1 (en) 2017-11-29 2019-03-21 (주) 파켐코리아 Ear tip and earphone having the same
KR102292926B1 (en) 2020-08-27 2021-08-25 주식회사 알머스 Variable eartip for ear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2384B2 (en) Earphone cover
US20230239605A1 (en) Headphone eartips with internal support components for outer eartip bodies
US8573353B2 (en) Long-wearing deep-insertion ear tip
US5222151A (en) Earphone
US6695093B1 (en) Earplug
US20080298626A1 (en) Audio earbud carrier
US8532324B2 (en) Headphone
US8413663B2 (en) Push-in type of earplug with improved insertion stem
JP6462717B2 (en) Earpiece with flexible flap
KR101762142B1 (en) The ear-wing
JP2014524219A (en) Earpiece passive noise attenuation
ZA200404911B (en) Hearing protection device
EP2974360B1 (en) Behind the ear earphone
BRPI0618505B1 (en) STEM FOR AN EARPLUG, EARPLUG AND HEARING PROTECTOR
US20140355809A1 (en) Flexible eartip with retention base
US20240007778A1 (en) In-ear earpiece retaining structure
US20220312100A1 (en) Headphone and ear supporting thereof
US20150059776A1 (en) Earplug
KR20230090512A (en) Eartips with air circulation structure
KR101675016B1 (en) Ear tip of earphone
KR101702004B1 (en) Earphone with air flow structure and eartips used therefor
KR101063521B1 (en) Hear aid
US20180103310A1 (en) Light weight headphone
KR20150003920U (en) Noise-excluding earplug
KR101485005B1 (en) Eartip capable of allowing inflow of sound from outside and Earphon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