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0010A -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량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량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0010A
KR20230090010A KR1020210178881A KR20210178881A KR20230090010A KR 20230090010 A KR20230090010 A KR 20230090010A KR 1020210178881 A KR1020210178881 A KR 1020210178881A KR 20210178881 A KR20210178881 A KR 20210178881A KR 20230090010 A KR20230090010 A KR 20230090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mount
power supply
unit price
supply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7697B1 (ko
Inventor
허재행
Original Assignee
라온프렌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온프렌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온프렌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8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697B1/ko
Priority to PCT/KR2022/016789 priority patent/WO2023113215A1/ko
Publication of KR20230090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07Adapted for special tariff measu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8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involving trading of energy or energy transmission righ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0Energy trading, including energy flowing from end-user application to gr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P2P 전력 공급원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량을 결정하는 방법은, 제1 사용자가 단위 기간 동안 사용하는 전력량인 기준 전력량을 산출하는 단계; 복수의 전력 공급원 각각의 전력 단가를 확인하는 단계로써, 적어도 일부 전력 공급원의 전력 단가는 누진적이고; 상기 복수의 전력 공급원 각각의 전력 단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전력 공급원 각각의 상기 기준 전력량에 대한 분담 전력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분담 전력량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량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an amount of power supplied from each of multiple power source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P2P 전력 공급원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량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것이다.
최근 들어 개인 간 전력을 공유하는 시스템이 전력 자유화가 이루어진 지역에서 시범적으로 사업화되고 있다.
한국전력과 같은 전력회사를 거치지 않는 개인 간 전력 거래는 아직 초기 단계이나, 공유경제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마이크로그리드가 확산되면서 점차 그 범위 또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전력 공급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간편하게 다른 사용자의 전력을 구매하거나, 자신의 전력을 다른 사용자에게 판매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P2P 전력 공급원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량을 결정하는 방법은, 제1 사용자가 단위 기간 동안 사용하는 전력량인 기준 전력량을 산출하는 단계; 복수의 전력 공급원 각각의 전력 단가를 확인하는 단계로써, 적어도 일부 전력 공급원의 전력 단가는 누진적이고; 상기 복수의 전력 공급원 각각의 전력 단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전력 공급원 각각의 상기 기준 전력량에 대한 분담 전력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분담 전력량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력 공급원은 누진적 단가로 과금 하는 제1 전력 공급원 및 고정된 한계 전력량에 대해서 고정적 단가로 과금하는 제2 전력 공급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 공급원은 상기 제1 사용자가 사용을 개시하여 제1 전력량 미만으로 사용할 때 까지는 제1 단가로 과금하고, 상기 제1 전력량 이상 제2 전력량 미만의 사용에 대해서는 제2 단가로 과금하고, 상기 제2 전력 공급원은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상기 한계 전력량만큼 까지만 전력을 제공하며 제3 단가로 과금하고, 상기 제1 단가가 상기 제3 단가보다 작고, 상기 제3 단가가 상기 제2 단가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분담 전력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력 공급원이 상기 기준 전력량 중 제1 전력량만큼만 분담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담 전력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전력량에서 상기 제1 전력량을 제외한 제1 나머지 전력량이 상기 제2 전력 공급원의 한계 전력량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전력 공급원이 상기 기준 전력량 중 상기 제1 나머지 전력량 만큼 분담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전력량에서 상기 제1 전력량을 제외한 제1 나머지 전력량이 상기 제2 전력 공급원의 한계 전력량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전력 공급원이 상기 기준 전력량 중 상기 한계 전력량만큼 분담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담 전력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나머지 전력량에서 상기 한계 전력량을 제외한 제2 나머지 전력량을 산출하고, 전력 단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나머지 전력량을 분담하는 전력 공급원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공급량 결정 방법은, 상기 복수의 전력 공급원 각각의 전력 단가 및 상기 기준 전력량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에게 공급 가능한 공급 전력량 및 상기 공급 전력량의 판매 단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력 공급원은 누진적 단가로 과금 하는 제1 전력 공급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 공급원은 상기 제1 사용자가 사용을 개시하여 제1 전력량 미만으로 사용할 때 까지는 제1 단가로 과금하고, 상기 기준 전력량이 상기 제1 전력량 미만인 경우, 상기 공급 전력량 및 상기 공급 전력량의 판매 단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력량과 상기 기준 전력량의 차이 만큼을 상기 공급 전력량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급 전력량의 단가의 최소값을 상기 제1 단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력 공급원은 상기 제1 전력량 이상 제2 전력량 미만의 사용에 대해서는 제2 단가로 과금하고, 상기 기준 전력량이 상기 제1 전력량 이상이고 상기 제2 전력량 미만인 경우, 상기 공급 전력량 및 상기 공급 전력량의 판매 단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전력량과 상기 기준 전력량의 차이만큼을 상기 공급 전력량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급 전력량의 단가의 최소 가격을 상기 제2 단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 전력량 및 상기 공급 전력량의 판매 단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공급 전력량에 대해서 고정적 단가로 과금하는 신규 전력 공급원을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량 및 공급 전력량을 제1 전력 공급원의 누진적 과금 체계와 함께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제1 사용자의 공급 전력량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제1 사용자의 판매 단가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기 제1 사용자의 예상 수익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및 하나 이상의 전력 구매 희망자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담 전력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복수의 전력 공급원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전력 공급원 별 사용조건 및 단가가 표시되는 선택 인터페이스; 및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산출된 예상 요금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2P 전력 공급원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량을 결정하는 전력 공급량 결정 장치는 제1 사용자가 단위 기간 동안 사용하는 전력량인 기준 전력량을 산출하고, 복수의 전력 공급원 각각의 전력 단가를 확인하고, 적어도 일부 전력 공급원의 전력 단가는 누진적이고, 상기 복수의 전력 공급원 각각의 전력 단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전력 공급원 각각의 상기 기준 전력량에 대한 분담 전력량을 결정하고, 상기 분담 전력량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력 공급원은 누진적 단가로 과금 하는 제1 전력 공급원 및 고정된 한계 전력량에 대해서 고정적 단가로 과금하는 제2 전력 공급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 공급원은 상기 제1 사용자가 사용을 개시하여 제1 전력량 미만으로 사용할 때 까지는 제1 단가로 과금하고, 상기 제1 전력량 이상 제2 전력량 미만의 사용에 대해서는 제2 단가로 과금하고, 상기 제2 전력 공급원은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상기 한계 전력량만큼 까지만 전력을 제공하며 제3 단가로 과금하고, 상기 제1 단가가 상기 제3 단가보다 작고, 상기 제3 단가가 상기 제2 단가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력 공급량 결정 장치는 상기 제1 전력 공급원이 상기 기준 전력량 중 제1 전력량만큼만 분담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공급량 결정 장치는 상기 기준 전력량에서 상기 제1 전력량을 제외한 제1 나머지 전력량이 상기 제2 전력 공급원의 한계 전력량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전력 공급원이 상기 기준 전력량 중 상기 제1 나머지 전력량 만큼 분담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기준 전력량에서 상기 제1 전력량을 제외한 제1 나머지 전력량이 상기 제2 전력 공급원의 한계 전력량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전력 공급원이 상기 기준 전력량 중 상기 한계 전력량만큼 분담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공급량 결정 장치는 상기 제1 나머지 전력량에서 상기 한계 전력량을 제외한 제2 나머지 전력량을 산출하고, 전력 단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나머지 전력량을 분담하는 전력 공급원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공급량 결정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전력 공급원 각각의 전력 단가 및 상기 기준 전력량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에게 공급 가능한 공급 전력량 및 상기 공급 전력량의 판매 단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력 공급원은 누진적 단가로 과금 하는 제1 전력 공급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 공급원은 상기 제1 사용자가 사용을 개시하여 제1 전력량 미만으로 사용할 때 까지는 제1 단가로 과금하고, 상기 기준 전력량이 상기 제1 전력량 미만인 경우, 상기 전력 공급량 결정 장치는 상기 제1 전력량과 상기 기준 전력량의 차이 만큼을 상기 공급 전력량으로 결정하고, 상기 공급 전력량의 단가의 최소값을 상기 제1 단가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력 공급원은 상기 제1 전력량 이상 제2 전력량 미만의 사용에 대해서는 제2 단가로 과금하고, 상기 기준 전력량이 상기 제1 전력량 이상이고 상기 제2 전력량 미만인 경우, 상기 전력 공급량 결정 장치는 상기 제2 전력량과 상기 기준 전력량의 차이만큼을 상기 공급 전력량으로 결정하고, 상기 공급 전력량의 단가의 최소 가격을 상기 제2 단가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공급량 결정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공급 전력량에 대해서 고정적 단가로 과금하는 신규 전력 공급원을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량 및 공급 전력량을 제1 전력 공급원의 누진적 과금 체계와 함께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제1 사용자의 공급 전력량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제1 사용자의 판매 단가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기 제1 사용자의 예상 수익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및 하나 이상의 전력 구매 희망자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공급량 결정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복수의 전력 공급원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전력 공급원 별 사용조건 및 단가가 표시되는 선택 인터페이스; 및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산출된 예상 요금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유롭게 전력 공급원을 선택하여 자신의 전력 사용 요금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간편하게 다른 사용자의 전력을 구매하거나, 자신의 전력을 다른 사용자에게 판매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력 공급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력 공급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가 분담 전력량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가 제2 사용자에게 공급 가능한 공급 전력량 및 단가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제1 사용자를 제2 전력 공급원으로 드ㅇ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예시적 화면(7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1 사용자의 단말에 복수의 전력 공급원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예시적 화면(8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에 의해 수행되는 전력 공급량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시스템은 개별 부하(또는 개별 사용자)에 대해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전력 공급원은 가령 발전소와 같은 전력 공급원뿐만 아니라 P2P 전력 공급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전력 인프라(300) 및 통신망(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개별 부하에 대한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량을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0)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 공급원 결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와 서버(100)를 매개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201, 202, 203)을 의미할 수도 있고, 컴퓨터(204)를 의미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콘텐츠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이러한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입력수단 및 표시수단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가령 입력수단은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마이크, 버튼, 터치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인프라(300)는 다양한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부하까지의 경로를 구성하는 다양한 형태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인프라(300)는 제한 없는 전력량에 대해서 누진적 단가로 과금하는 제1 전력 공급원(320, 330), 고정된 한계 전력량에 대해서 고정적 단가로 과금하는 제2 전력 공급원(3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전력 공급원(340)은 예를 들어 제1 전력 공급원(320, 33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하며 누진 구간 내의 잉여 전력을 다른 부하에 제공하는 주택 형태의 부하(341), 빌딩 형태의 부하(342) 및 생산설비 형태의 부하(34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부하의 형태는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인프라(300)는 전력 인프라(300) 내에서의 전력 이동을 모니터링하는 EMS(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S(310)는 제1 전력 공급원(320, 330)에서 제2 전력 공급원(340)으로 이동된 전력량을 측정 및/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EMS(310)는 제2 전력 공급원(340) 상호 간에 주고받은 전력량을 측정 및/또는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400)은 전력 시스템의 각 구성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통신망(400)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및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입/출력부, 프로그램 저장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서버(100)가 EMS(310) 및 사용자 단말(200)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음향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30)는 서버(10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메모리(130)는 개별 전력 공급원의 전력 공급 조건(전력량, 단가 등)을 영구적 및/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력 공급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1 전력 공급원'은 제한 없는 전력량에 대해서 누진적 단가로 과금하는 전력 공급원일 수 있다. 가령 제1 전력 공급원은 국가, 지방자체단체 등에서 선정된 전력 공급자에 의해 제공되거나 운영되는 전력 공급원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력 공급원은 부하(또는 개별 사용자)가 사용한 전력량에 따라 '누진적 단가로 과금'하는 전력 공급원일 수 있다. 가령 제1 전력 공급원은 제1 전력량(W1) 미만으로 사용할 때 까지는 사용한 전력량에 대해 제1 단가(P1)로 과금하고, 제1 전력량(W1) 이상 제2 전력량(W2) 미만의 사용에 대해서는 제2 단가(P2)로 과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하(또는 개별 사용자)가 전력량(WRef1)만큼 전력을 사용한 경우, 제1 전력 공급원은 제1 전력량(W1)까지의 사용에 대해서는 제1 단가(P1)로 과금하고, 나머지 사용(즉 제1 전력량(W1) 부터 전력량(WRef1)량 까지의 사용)에 대해서는 제2 단가(P2)로 과금할 수 있다.
마찬가지 원리로 부하(또는 개별 사용자)가 전력랑(WRef2)만큼 전력을 사용한 경우, 제1 전력 공급원은 제1 전력량(W1)까지의 사용에 대해서는 제1 단가(P1)로 과금하고, 제1 전력량(W1)부터 제2 전력량(W2) 미만의 사용에 대해서는 제2 단가(P2)로 과금하고, 나머지 사용(즉 제2 전력량(W2)부터 전력량(WRef2)량 까지의 사용)에 대해서는 제4 단가(P4)로 과금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누진적 단가가 3단계로 구성되는 것으로 되시되었지만, 이는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누진적 단가는 2단계로 구성될 수도 있고, 4단계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력 공급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2 전력 공급원'은 고정된 한계 전력량에 대해서 고정적 단가로 과금하는 전력 공급원일 수 있다. 가령 제2 전력 공급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전력 공급원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부하(또는 개별 사용자)로써, 자신의 전력 사용량이 속하는 누진 구간의 최대값과 자신의 전력 사용량의 차이만큼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 공급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력 공급원은 한계 전력량(W3)에 대해 제3 단가(P3)로 공급할 수 있는 전력 공급원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2 전력 공급원에 의한 '전력의 공급'은 실제 전기 에너지의 공급이나 제공을 수반함이 없이 단지 부하(전력을 공급받는)에서 사용된 전력을 제2 전력 공급원이 사용한 것으로 처리하는 과정 만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력 공급원이 도 3의 전력량(WRef0)량 까지만 사용하였고, 부하(또는 개별 사용자)는 전력량(WRef1)까지 전력을 사용하였으며, 제2 전력 공급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의 제3 단가(P3)가 제1 단가(P1) 보다는 크고, 제2 단가(P2)보다는 작은 상황을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 하에, 부하(또는 개별 사용자)가 제1 전력 공급원으로부터만 전력을 공급받는다면 제1 전력량(W1)부터 전력량(WRef1)까지의 사용에 대해서는 제2 단가(P2)로 과금될 수 있다.
그러나 부하(또는 개별 사용자)가 제1 전력량(W1)부터 전력량(WRef1)량 까지의 사용에 대해 제2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면 해당 구간에 대해서는 제3 단가(P3)로 과금되어 제2 단가(P2)에 의한 과금보다 적게 과금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력 공급원의 입장에서는 누진적 과금이 적용되지 않는 선에서 제1 단가(P1)보다 높은 제3 단가(P3)로 잉여 전력을 판매함으로써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버(100)가 개별 부하(또는 사용자)에 대해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량을 결정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부하'와 '사용자'는 서로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제1 사용자가 단위 기간 동안 사용하는 전력량인 기준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제1 사용자가 단위 기간 동안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력량을 기준 전력량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가령 서버(100)는 과거의 사용 이력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의 사용 예상 전력량을 기준 전력량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제1 사용자가 단위 기간 동안 사용한, 즉 이미 과거에 사용한 전력량을 기준 전력량으로 산출할 수도 있다. 가령 서버(100)는 제1 사용자의 전력 계량기 등을 참조하여 제1 사용자의 사용 전력량인 기준 전력량을 산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단위 기간'은 제1 전력 공급원이 사용자들에게 과금하는 주기에 따른 기간으로 가령 1개월, 1주일 또는 1년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복수의 전력 공급원 각각의 전력 단가를 확인할 수 있다. 가령 서버(100)는 제1 전력 공급원의 누진적 단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제2 전력 공급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 단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때 서버(100)는 제2 전력 공급원에 의해 공급 가능한 최대 전력량인 한계 전력량을 단가와 함께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하나 이상의 제2 전력 공급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 단가는 하나 이상의 제2 전력 공급원의 사용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가령 어떤 사용자는 자신의 전력 사용량이 속하는 구간의 단가와 다음 구간의 단가의 중간값으로 단가를 결정할 수도 있고, 어떤 사용자는 자신의 전력 사용량이 속하는 구간의 단가에 근접하도록 단가를 결정할 수도 있고, 또 어떤 사용자는 다음 구간의 단가에 근접하도록 단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2 전력 공급원의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단가 및 한계 전력량은 서버(100)에 의해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복수의 전력 공급원 각각의 전력 단가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력 공급원 각각의 기준 전력량에 대한 분담 전력량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가 분담 전력량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예시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전력 공급원은 도 3의 전력량(WRef0)량 까지만 사용하였고, 제1 사용자의 기준 전력량은 전력량(WRef1)에 해당하며, 제2 전력 공급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의 제3 단가(P3)가 제1 단가(P1) 보다는 크고, 제2 단가(P2)보다는 작은 상황을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 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제1 전력 공급원이 전력량(WRef1) 중 제1 전력량(W1)만큼만 분담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00)는 전력량(WRef1) 중 제1 전력량(W1)에 해당하는 부분(510)에 대해서는 제1 단가(P1)로 과금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전력량(WRef1)에서 제1 전력량(W1)을 제외한 제1 나머지 전력량이 제2 전력 공급원의 한계 전력량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나머지 전력량이 제2 전력 공급원의 한계 전력량 미만인 경우 제2 전력 공급원이 전력량(WRef1) 중 제1 나머지 전력량만큼 분담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00)는 전력량(WRef1) 중 제1 나머지 전력량에 해당하는 부분(520)에 대해서는 제2 단가(P2) 보다 낮은 제3 단가(P2)로 과금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0)는 상술한 제1 나머지 전력량이 제2 전력 공급원의 한계 전력량 이상인 경우, 제2 전력 공급원이 전력량(WRef1) 중 한계 전력량만큼만 분담 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전력량(WRef1)의 분담이 완료될 때 까지 하나 이상의 제2 전력 공급원을 추가 하면서 상술한 과정에 따른 분담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제1 나머지 전력량에서 첫 번째 제2 전력 공급원의 한계 전력량을 제외한 제2 나머지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제2 전력 공급원의 전력 단가에 기초하여 제2 나머지 전력량을 분담하는 전력 공급원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제1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게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복수의 전력 공급원 각각의 전력 단가 및 기준 전력량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제1 사용자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사용자)에게 공급 가능한 공급 전력량 및 공급 전력량의 판매 단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가 제2 사용자에게 공급 가능한 공급 전력량 및 단가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전력 공급원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누진적 단가로 과금하는 제1 전력 공급원을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기준 전력량인 전력량(WRef3)이 제1 전력량(W1) 미만인 경우, 제1 전력량(W1)과 전력량(WRef3)의 차이만큼을 공급 전력량(Ws1)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공급 전력량(Ws1)의 단가의 최소값을 제1 단가(P1)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서버(100)는 소정의 과정(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한 단가 결정 과정)에 따라 최소값인 제1 단가(P1) 이상의 특정 값으로 단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전력량(WRef4)이 제1 전력량(W1) 이상이고 제2 전력량(W2) 미만인 경우, 제2 전력량(W2)과 전력량(WRef4)의 차이만큼을 공급 전력량(Ws2)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공급 전력량(Ws2)의 단가의 최소 가격을 제2 단가(P2)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서버(100)는 소정의 과정(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한 단가 결정 과정)에 따라 최소값인 제2 단가(P2) 이상의 특정 값으로 단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상술한 과정에 따라 결정된 공급 전력량에 대해서 고정적 단가로 과금하는 신규 전력 공급원을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꾸어말하면 서버(100)는 제1 사용자를 제2 전력 공급원으로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제1 사용자를 제2 전력 공급원으로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예시적 화면(7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는 제1 사용자의 사용량 및 공급 전력량을 제1 전력 공급원의 누진적 과금 체계와 함께 제공하는 인터페이스(710), 제1 사용자의 공급 전력량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720), 제1 사용자의 판매 단가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730), 제1 사용자의 예상 수익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740) 및 하나 이상의 전력 구매 희망자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7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710)를 통하여 제1 전력 공급원의 누진적 과금 체계에 해당하는 그래프와 그래프 상에 공급 전력량에 해당하는 개체(711)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인터페이스(720, 730)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인터페이스(740)에 표시되는 예상 수익을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서버(100)는 인터페이스(720, 730)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사용자를 제2 전력 공급원으로써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분담 전력량을 결정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1 사용자의 단말에 복수의 전력 공급원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제1 사용자의 단말에 복수의 전력 공급원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예시적 화면(8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는 제1 사용자의 기준 전력량 및 각 전력 공급자의 분담 현황을 제1 전력 공급원의 누진적 과금 체계와 함께 제공하는 인터페이스(810), 제1 사용자와 관련된 전력량을 수치적으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820), 제1 사용자의 예상 절감 비용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830) 및 하나 이상의 전력 판매 희망자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8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인터페이스(810) 상에 분담이 완료된 부분에 대응되는 개체(811, 812)와 분담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개체(813)를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개체(813)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분담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전력 공급원을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인터페이스(840)를 통해 분담이 필요한 부분과 조건에 부합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전력 공급원을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상술한 과정에 따라 결정된 분담 전력량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가령 서버(100)는 제1 사용자가 사용한 전력의 일부에 대해 제2 전력 공급원에게 과금되도록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EMS(31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에 의해 수행되는 전력 공급량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제1 사용자가 단위 기간 동안 사용하는 전력량인 기준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S9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제1 사용자가 단위 기간 동안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력량을 기준 전력량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가령 서버(100)는 과거의 사용 이력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의 사용 예상 전력량을 기준 전력량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제1 사용자가 단위 기간 동안 사용한, 즉 이미 과거에 사용한 전력량을 기준 전력량으로 산출할 수도 있다. 가령 서버(100)는 제1 사용자의 전력 계량기 등을 참조하여 제1 사용자의 사용 전력량인 기준 전력량을 산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단위 기간'은 제1 전력 공급원이 사용자들에게 과금하는 주기에 따른 기간으로 가령 1개월, 1주일 또는 1년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복수의 전력 공급원 각각의 전력 단가를 확인할 수 있다. (S920) 가령 서버(100)는 제1 전력 공급원의 누진적 단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제2 전력 공급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 단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때 서버(100)는 제2 전력 공급원에 의해 공급 가능한 최대 전력량인 한계 전력량을 단가와 함께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하나 이상의 제2 전력 공급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 단가는 하나 이상의 제2 전력 공급원의 사용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가령 어떤 사용자는 자신의 전력 사용량이 속하는 구간의 단가와 다음 구간의 단가의 중간값으로 단가를 결정할 수도 있고, 어떤 사용자는 자신의 전력 사용량이 속하는 구간의 단가에 근접하도록 단가를 결정할 수도 있고, 또 어떤 사용자는 다음 구간의 단가에 근접하도록 단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2 전력 공급원의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단가 및 한계 전력량은 서버(100)에 의해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복수의 전력 공급원 각각의 전력 단가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력 공급원 각각의 기준 전력량에 대한 분담 전력량을 결정할 수 있다. (S93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가 분담 전력량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예시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전력 공급원은 도 3의 전력량(WRef0)량 까지만 사용하였고, 제1 사용자의 기준 전력량은 전력량(WRef1)에 해당하며, 제2 전력 공급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의 제3 단가(P3)가 제1 단가(P1) 보다는 크고, 제2 단가(P2)보다는 작은 상황을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 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제1 전력 공급원이 전력량(WRef1) 중 제1 전력량(W1)만큼만 분담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00)는 전력량(WRef1) 중 제1 전력량(W1)에 해당하는 부분(510)에 대해서는 제1 단가(P1)로 과금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전력량(WRef1)에서 제1 전력량(W1)을 제외한 제1 나머지 전력량이 제2 전력 공급원의 한계 전력량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나머지 전력량이 제2 전력 공급원의 한계 전력량 미만인 경우 제2 전력 공급원이 전력량(WRef1) 중 제1 나머지 전력량만큼 분담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00)는 전력량(WRef1) 중 제1 나머지 전력량에 해당하는 부분(520)에 대해서는 제2 단가(P2) 보다 낮은 제3 단가(P2)로 과금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0)는 상술한 제1 나머지 전력량이 제2 전력 공급원의 한계 전력량 이상인 경우, 제2 전력 공급원이 전력량(WRef1) 중 한계 전력량만큼만 분담 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전력량(WRef1)의 분담이 완료될 때 까지 하나 이상의 제2 전력 공급원을 추가 하면서 상술한 과정에 따른 분담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제1 나머지 전력량에서 첫 번째 제2 전력 공급원의 한계 전력량을 제외한 제2 나머지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제2 전력 공급원의 전력 단가에 기초하여 제2 나머지 전력량을 분담하는 전력 공급원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분담 전력량을 결정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1 사용자의 단말에 복수의 전력 공급원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제1 사용자의 단말에 복수의 전력 공급원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예시적 화면(8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는 제1 사용자의 기준 전력량 및 각 전력 공급자의 분담 현황을 제1 전력 공급원의 누진적 과금 체계와 함께 제공하는 인터페이스(810), 제1 사용자와 관련된 전력량을 수치적으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820), 제1 사용자의 예상 절감 비용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830) 및 하나 이상의 전력 판매 희망자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8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인터페이스(810) 상에 분담이 완료된 부분에 대응되는 개체(811, 812)와 분담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개체(813)를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개체(813)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분담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전력 공급원을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인터페이스(840)를 통해 분담이 필요한 부분과 조건에 부합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전력 공급원을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제1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게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복수의 전력 공급원 각각의 전력 단가 및 기준 전력량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제1 사용자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사용자)에게 공급 가능한 공급 전력량 및 공급 전력량의 판매 단가를 결정할 수도 있다.(S940)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가 제2 사용자에게 공급 가능한 공급 전력량 및 단가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전력 공급원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누진적 단가로 과금하는 제1 전력 공급원을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기준 전력량인 전력량(WRef3)이 제1 전력량(W1) 미만인 경우, 제1 전력량(W1)과 전력량(WRef3)의 차이만큼을 공급 전력량(Ws1)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공급 전력량(Ws1)의 단가의 최소값을 제1 단가(P1)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서버(100)는 소정의 과정(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한 단가 결정 과정)에 따라 최소값인 제1 단가(P1) 이상의 특정 값으로 단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전력량(WRef4)이 제1 전력량(W1) 이상이고 제2 전력량(W2) 미만인 경우, 제2 전력량(W2)과 전력량(WRef4)의 차이만큼을 공급 전력량(Ws2)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공급 전력량(Ws2)의 단가의 최소 가격을 제2 단가(P2)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서버(100)는 소정의 과정(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한 단가 결정 과정)에 따라 최소값인 제2 단가(P2) 이상의 특정 값으로 단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상술한 과정에 따라 결정된 공급 전력량에 대해서 고정적 단가로 과금하는 신규 전력 공급원을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꾸어말하면 서버(100)는 제1 사용자를 제2 전력 공급원으로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제1 사용자를 제2 전력 공급원으로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예시적 화면(7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는 제1 사용자의 사용량 및 공급 전력량을 제1 전력 공급원의 누진적 과금 체계와 함께 제공하는 인터페이스(710), 제1 사용자의 공급 전력량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720), 제1 사용자의 판매 단가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730), 제1 사용자의 예상 수익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740) 및 하나 이상의 전력 구매 희망자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7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710)를 통하여 제1 전력 공급원의 누진적 과금 체계에 해당하는 그래프와 그래프 상에 공급 전력량에 해당하는 개체(711)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인터페이스(720, 730)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인터페이스(740)에 표시되는 예상 수익을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서버(100)는 인터페이스(720, 730)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사용자를 제2 전력 공급원으로써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상술한 과정에 따라 결정된 분담 전력량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950) 가령 서버(100)는 제1 사용자가 사용한 전력의 일부에 대해 제2 전력 공급원에게 과금되도록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EMS(31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서버
110: 통신부
120: 제어부
130: 메모리
200: 사용자 단말
201, 202, 203, 204: 사용자 단말
300: 전력 인프라
310: EMS
320, 330: 제1 전력 공급원
340: 제2 전력 공급원
400: 통신망

Claims (5)

  1. 서버가 P2P 전력 공급원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량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가 단위 기간 동안 사용하는 전력량인 기준 전력량을 산출하는 단계;
    복수의 전력 공급원 각각의 전력 단가를 확인하는 단계로써, 적어도 일부 전력 공급원의 전력 단가는 누진적이고;
    상기 복수의 전력 공급원 각각의 전력 단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전력 공급원 각각의 상기 기준 전력량에 대한 분담 전력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분담 전력량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량 결정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공급원은 누진적 단가로 과금 하는 제1 전력 공급원 및 고정된 한계 전력량에 대해서 고정적 단가로 과금하는 제2 전력 공급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 공급원은 상기 제1 사용자가 사용을 개시하여 제1 전력량 미만으로 사용할 때 까지는 제1 단가로 과금하고,
    상기 제1 전력량 이상 제2 전력량 미만의 사용에 대해서는 제2 단가로 과금하고,
    상기 제2 전력 공급원은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상기 한계 전력량만큼 까지만 전력을 제공하며 제3 단가로 과금하고,
    상기 제1 단가가 상기 제3 단가보다 작고,
    상기 제3 단가가 상기 제2 단가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분담 전력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력 공급원이 상기 기준 전력량 중 제1 전력량만큼만 분담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량 결정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담 전력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전력량에서 상기 제1 전력량을 제외한 제1 나머지 전력량이 상기 제2 전력 공급원의 한계 전력량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전력 공급원이 상기 기준 전력량 중 상기 제1 나머지 전력량 만큼 분담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전력량에서 상기 제1 전력량을 제외한 제1 나머지 전력량이 상기 제2 전력 공급원의 한계 전력량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전력 공급원이 상기 기준 전력량 중 상기 한계 전력량만큼 분담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공급량 결정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담 전력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나머지 전력량에서 상기 한계 전력량을 제외한 제2 나머지 전력량을 산출하고, 전력 단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나머지 전력량을 분담하는 전력 공급원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공급량 결정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량 결정 방법은,
    상기 복수의 전력 공급원 각각의 전력 단가 및 상기 기준 전력량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에게 공급 가능한 공급 전력량 및 상기 공급 전력량의 판매 단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공급량 결정 방법.
KR1020210178881A 2021-12-14 2021-12-14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량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97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881A KR102597697B1 (ko) 2021-12-14 2021-12-14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량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CT/KR2022/016789 WO2023113215A1 (ko) 2021-12-14 2022-10-31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량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881A KR102597697B1 (ko) 2021-12-14 2021-12-14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량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010A true KR20230090010A (ko) 2023-06-21
KR102597697B1 KR102597697B1 (ko) 2023-11-03

Family

ID=86772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881A KR102597697B1 (ko) 2021-12-14 2021-12-14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량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97697B1 (ko)
WO (1) WO202311321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8369A (ko) * 2013-01-31 2014-08-08 한국전력공사 변동비 반영시장의 시간대별 계통한계가격을 이용한 실시간 요금제 운영 장치 및 방법
KR20160129462A (ko) * 2015-04-30 2016-1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력자원 공유 공동주거 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
KR20190055719A (ko) * 2017-11-15 2019-05-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가격 정보에 의한 에너지원 선택 기반의 수요 관리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00103502A (ko) * 2019-02-25 2020-09-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에너지 비용 최적화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에너지 거래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1828A (en) * 2015-03-24 2016-05-04 Intelligent Energy Ltd An energy resource network
KR102284516B1 (ko) * 2019-08-27 2021-08-0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2p 방식을 이용한 전력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94900A (ko) * 2020-01-22 2021-07-30 주식회사 케이티 전력 거래를 위한 전력 판매 가격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8369A (ko) * 2013-01-31 2014-08-08 한국전력공사 변동비 반영시장의 시간대별 계통한계가격을 이용한 실시간 요금제 운영 장치 및 방법
KR20160129462A (ko) * 2015-04-30 2016-1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력자원 공유 공동주거 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
KR20190055719A (ko) * 2017-11-15 2019-05-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가격 정보에 의한 에너지원 선택 기반의 수요 관리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00103502A (ko) * 2019-02-25 2020-09-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에너지 비용 최적화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에너지 거래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697B1 (ko) 2023-11-03
WO2023113215A1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61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vanced energy settlements, network-based messaging, and software applications for electric power grids, microgrids, grid elements, and/or electric power networks
Le Cadre et al. Peer-to-peer electricity market analysis: From variational to generalized Nash equilibrium
US114365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vanced energy settlements, network-based messaging, and applications supporting the same
Ryan et al. Coordinating a supply chain with a manufacturer-owned online channel: A dual channel model under price competition
KR102094137B1 (ko) 전력거래 중계방법
US10839436B2 (en) Cloud computing smart solar configurator
KR102483037B1 (ko) 이용가능한 자원 할당량에 대한 블록체인-기반 세트 교환 방법 및 장치
CN103475495A (zh) 一种云计算虚拟机资源使用计费方法
US20070214025A1 (en) Business engagement management
CA3089153A1 (en) Blockchain-bas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exchanging available resource quotas
KR20230090010A (ko) 복수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량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06008B1 (ko) 네일 아트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일샵 및 디자이너 중개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Bapna et al. A clock-and-offer auction market for grid resources when bidders face stochastic computational needs
JP695429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989238B (zh) 数据交互方法及装置
Kalmar et al. What does I (o) T cost?
CN107632887A (zh) 资源分配方法及装置
CN108711092B (zh) 基于区块链的确权方法及装置
KR20160131374A (ko) 회원제 쇼핑몰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90082057A (ko) 전력 거래 중개 장치 및 방법
CN112270542B (zh) 交易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系统
Bello et al. Cloud utility price models
JP2018055170A (ja) 課金方法、課金装置および課金プログラム
Pinto et al. Multiagent Simulation of Demand Flexibility Integration in Local Energy Markets
Perez et al. Transmission System Operator Regulation for Electric Vehicle Fleets: A Survey of the Iss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