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973A - Connector assembly - Google Patents

Connecto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973A
KR20230089973A KR1020210178808A KR20210178808A KR20230089973A KR 20230089973 A KR20230089973 A KR 20230089973A KR 1020210178808 A KR1020210178808 A KR 1020210178808A KR 20210178808 A KR20210178808 A KR 20210178808A KR 20230089973 A KR20230089973 A KR 20230089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mponent
coupling
connection 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8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연혁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8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9973A/en
Publication of KR20230089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97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커넥터 사이의 접속 시 접속 위치의 보정이 가능한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1 부품에 설치되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부품과 조립되는 제2 부품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 조립 시 상기 제1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되는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2 부품에 상기 제2 커넥터와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는 삽입부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커넥터가 외부 힘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 조립 시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 사이의 접속 위치가 보정되도록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a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assembly capable of correcting a connection position when connecting two connectors.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or installed on a first component; a second connector installed on a second component assembled with the first componen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when assembling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nd a bracket provided to the second component to be coupled with the second connector, wherein the second connector includes a coupling portion inserted into an insertion portion formed in the bracket,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includes the second connector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nector may be elastically deformed to be mov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a connection posi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may be corrected whe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re assembled.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 {Connector assembly}Connector assembly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커넥터 사이의 접속 시 접속 위치의 보정이 가능한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a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assembly capable of correcting a connection position when connecting two connectors.

커넥터는 두 부품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접속 기구로서, 일반적으로 커넥터 어셈블리는 암단자를 갖는 소위 소켓 커넥터와 수단자를 갖는 소위 플러그 커넥터가 서로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며, 커넥터는 그 형태에 따라 환형 커넥터, 각형 커넥터, 동축 커넥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를 가지게 된다.A connector is a connection mechanism that allows two part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Generally, a connector assembly has a structure in which a so-called socket connector having a female terminal and a so-called plug connector having a male termina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Depending on the shape, it has various types such as an annular connector, an angled connector, and a coaxial connector.

이때, 두 부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두 부품의 조립 공정과 별도로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서로 접속되도록 하는 공정이 필요로 하게 되어 전체적인 전체적인 조립 공정이 증가하게 된다.At this time,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wo parts, a process of connecting the socket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to each other is required separately from the assembly process of the two parts, so the overall assembly process is increased.

따라서, 두 부품의 조립 과정에서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별도의 접속 공정 없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조립 공정이 간소화되도록 하면서도 조립 공차나 제조 공차 등에 의해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위치가 서로 어긋나는 경우에도 접속 위치가 보정되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two parts, the socket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are electrically connected without a separate connection process to simplify the overall assembly process, but if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socket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is misaligned due to assembly tolerance or manufacturing tolerance, etc. Also, a method for correcting the connection position is required.

등록특허공보 제10-1632708호(2016.06.22. 공고)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32708 (Announced on June 22, 201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두 커넥터의 접속 위치가 서로 어긋나는 경우에도 접속 위치의 보정을 통해 정상적인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that enables normal connection through correction of the connection position even when the connection position of two connectors is shift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1 부품에 설치되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부품과 조립되는 제2 부품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 조립 시 상기 제1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되는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2 부품에 상기 제2 커넥터와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는 삽입부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커넥터가 외부 힘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 조립 시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 사이의 접속 위치가 보정되도록 할 수 있다.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irst connector installed on a first component; a second connector installed on a second component assembled with the first componen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when assembling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nd a bracket provided to the second component to be coupled with the second connector, wherein the second connector includes a coupling portion inserted into an insertion portion formed in the bracket,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includes the second connector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nector may be elastically deformed to be mov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a connection posi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may be corrected whe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re assembled.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개구로부터 상기 제2 커넥터의 결합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삽입 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sertion part may include an insertion groove extending from an opening into which the coupling part is inserted along a coupling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or.

상기 삽입 홈은, 상기 제2 커넥터의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의 두께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삽입 시 상기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The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smaller than a thickness of the coupling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or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조립 시 상기 제1 커넥터의 접속 위치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접속 위치가 일치하도록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may include at least one guide part for guiding a connection position of the first connector and a connection position of the second connector to match whe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re assembled.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조립 시 상기 제2 커넥터가 삽입되어 위치되는 삽입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는, 상기 삽입 공간의 개구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may include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second connector is inserted and positioned whe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re assembled, and the at least one guide part may be formed at an opening edge of the insertion space. there is.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는, 상기 삽입 공간의 개구 테두리에 연결되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이 제2 커넥터를 향하도록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삽입 공간의 개구 테두리에 연결되는 일측이 타측에 비하여 상기 삽입 공간의 개구에 더 가깝게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guide part extends from one side connected to the rim of the opening of the insertion space toward the second connector, and at the same time, one side connected to the rim of the opening of the insertion space extends further toward the opening of the insertion space than the other side. It can be formed to be located close.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몸체와 서로 다른 탄성 변형율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body of the second connecto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deformation rate different from that of the body of the second connector.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커넥터의 몸체에 비하여 높은 탄성 변형율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part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elastic deformation rate than the body of the second connector.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 리브; 및 상기 결합부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삽입부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돌출 리브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may include a protruding rib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dy of the second connector; and at least one contact rib protruding from the protruding rib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when the coupl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리브 및 상기 돌출 리브 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2 커넥터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may elastically deform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contact rib and the protruding rib to allow the second connector to move in at least one direction.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두 커넥터 중 브라켓에 결합되는 커넥터의 결합 부위가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접속 위치의 보정이 가능하여 조립 공차나 제조 공차 등으로 인하여 두 커넥터의 접속 위치가 서로 어긋나는 경우에도 정상적인 접속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Since the coupling part of the connector coupled to the bracket of the two connectors is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the connection position can be corrected, so that even when the connection positions of the two connectors are out of alignment due to assembly tolerances or manufacturing tolerances, normal connection is possible. .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도시된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접속 위치가 도시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결합된 제2 커넥터가 도시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의 결합부와 브라켓의 삽입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위치의 보정을 위하여 이동되는 제2 커넥터가 도시된 개략도.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econd connector coupled to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upling portion of a second connector and an insertion portion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second connector that is moved to correct a connection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process steps, well-known structures and well-known techniques have not been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ther than the mentioned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It is used in the sense of not being excluded.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ite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or schematic views, which are ideal exemplary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illustrative drawings may be modified due to manufacturing techniques and/or tolerances. Theref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shapes generated according to manufacturing processes. In addition, in each drawing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shown somewhat enlarged or reduced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커넥터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for explaining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to 5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는 제1 커넥터(100), 제2 커넥터(200) 및 브라켓(3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5 , a connector assembl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connector 100 , a second connector 200 and a bracket 300 .

제1 커넥터(100)는 제1 부품에 설치되고, 제2 커넥터(200)는 제2 부품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는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조립 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100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component, the second connector 200 may be installed on the second component, and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nnector. When assembling the parts, they may be connected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즉,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는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조립 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제1 부품과 제2 부품이 조립되는 과정에서 별도의 조립 과정 없이 자동으로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are install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n assembling the first and second component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omponents are assembled without a separate assembly process. It is automatically connected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제1 부품과 제2 부품 각각은 단일의 부품으로 구성되거나 둘 이상의 부품이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부품과 제2 부품이 조립된 조립품이 차량에 설치되는 헤드 램프, 테일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브레이크 램프, 포그 램프, 백업 램프, 포지션 램프 등과 같이 조명 기능이나 신호 기능을 하는 램프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부품과 제2 부품은 서로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필요가 있는 다양한 조립품을 구성하는 부품일 수 있다.Each of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may be composed of a single part or two or more parts may be assembled, 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dlamp in which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assembled is installed in a vehicle. , Tail lamps, turn signal lamps, brake lamps, fog lamps, backup lamps, position lamps, etc.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constituting at least a part of a lamp that serves a lighting function or a signal function, but this will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s only one example for this, but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may be parts constituting various assemblies that ne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과 적어도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차량 외부에 조사되도록 하는 커버 렌즈 등을 포함하는 커버 렌즈 어셈블리이고, 제2 부품은 커버 렌즈 어셈블리와 조립되어 그 내부에 각종 구성 요소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램프 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등을 포함하는 하우징 어셈블리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is a cover lens assembly including at least one light source and a cover lens for irradiating light generated from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to the outside of a vehicle, and a second component is a cover lens assembly. The case of a housing assembly including a lamp housing assembled with and forming a space in which various components can be accommodated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light sour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이때,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조립 시 제어 장치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 부품과 제2 부품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필요가 있으며,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가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조립 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되어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대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in order to control at least one light source by the control device when assembling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ne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during assembly of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to enable control of at least one light source.

제1 커넥터(100)는 제1 몸체(110) 및 제1 몸체(110)에 형성되는 복수의 단자 홈(120)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단자 홈(120)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대한 전원 공급이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광원과 와이어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100 may include a first body 110 and a plurality of terminal grooves 120 formed in the first body 110,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 grooves 120 may correspond to at least one light source. For power supply or operation control, it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light source through a wire.

제2 커넥터(200)는 제2 몸체(210) 및 제2 몸체(210)에 형성되는 복수의 단자 핀(220)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단자 핀(220)은 와이어를 통해 제어 장치와 연결되어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가 접속될 때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대한 전원 공급이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or 200 may include a second body 210 and a plurality of terminal pins 220 formed on the second body 210,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 pins 220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through wires. When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are connected, power supply or operation control for at least one light source may be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커넥터(100)가 복수의 단자 홈(120)을 포함하고, 제2 커넥터(200)가 복수의 단자 홈(120) 각각에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 핀(220)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or 100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 grooves 12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 pins 220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terminal grooves 120, respectively. Although the case of including is described as an example,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ice versa is also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에 각각 형성되는 단자가 홈과 핀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가 서로 접속 가능하게 하는 단자의 종류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erminals respectively formed in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have the shape of a groove and a pi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is will not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s only an example for assistance, the type or shape of terminals enabling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may be variously changed.

한편,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의 조립 시 제조 공차나 조립 공차가 발생되는 경우 제1 커넥터(100)의 접속 위치와 제2 커넥터(200)의 접속 위치가 서로 어긋날 수 있고, 이 경우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조립 시 복수의 단자 핀(220) 각각이 복수의 단자 홈(120) 중 대응되는 단자 홈에 정상적으로 삽입되지 못하여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Meanwhile, when manufacturing tolerances or assembly tolerances occur during assembly of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second connector 200 may be misaligned. When assembling the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pins 220 is not normally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groove among the plurality of terminal grooves 120, so that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 may be cases where it is not connected and damaged.

이때, 제1 커넥터(100)이 접속 위치는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조립 시 복수의 단자 홈(120)의 위치를 의미하고, 제2 커넥터(200)의 접속 위치는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조립 시 복수의 단자 핀(220)의 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제1 커넥터(100)의 접속 위치와 제2 커넥터(200)의 접속 위치가 서로 어긋난다는 것은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조립 시 복수의 단자 핀(220)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단자 홈(120) 중 대응되는 단자 홈과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진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0 means the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grooves 120 whe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re assembled, and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second connector 200 is the position of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It means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pins 220 when assembling the two parts, and the misalignment between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second connector 200 means that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It may be understood tha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pins 220 has a position different from a corresponding terminal groove among the plurality of terminal grooves 120 during assembly.

즉, 도 6과 같이 제1 커넥터(100)의 접속 위치와 제2 커넥터(200)의 접속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단자 홈(120) 각각에 복수의 단자 핀(220) 중 대응되는 단자 핀이 삽입 가능하게 위치하게 되나, 제1 커넥터(100)의 접속 위치와 제2 커넥터(200)의 접속 위치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단자 홈(120)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단자 핀(220) 중 대응되는 단자 핀과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여 정상적인 접속이 어렵게 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6 , when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second connector 200 coincide, the corresponding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terminal pins 220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grooves 120 The pin is positioned to be inserted, but when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second connector 200 do not matc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grooves 120 becomes the plurality of terminal pins 220. ), it is positioned misaligned with the corresponding terminal pin, making normal connection difficul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의 조립 시 제조 공차나 조립 공차가 발생되는 경우라도 제1 커넥터(100)의 접속 위치와 제2 커넥터(200)의 접속 위치가 서로 일치되도록 접속 위치를 보정함으로써,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조립 시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의 정상적인 접속을 가능하게 하여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 중 적어도 하나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게 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manufacturing tolerances or assembly tolerances occur when assembling the first and second parts, the connection positions of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connection positions of the second connector 200 are connected so that they coincide with each other. By correcting the position, normal conn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is possible when assembling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so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This will prevent one from breaking.

브라켓(300)은 제2 커넥터(20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230)가 삽입되어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3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커넥터(200)에 복수의 결합부(230)가 형성되고, 브라켓(300)에 복수의 결합부(230)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삽입부(310)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bracket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insertion part 310 into which at least one coupling part 230 formed in the second connector 200 is inserted, 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nector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coupling parts 230 are formed in 200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parts 310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arts 230 are formed in bracket 3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결합부(230) 및 복수의 삽입부(310) 중 서로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결합부와 삽입부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나머지 결합부와 삽입부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coupling portion and insertion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coupling portions 230 and the plurality of insertion portions 31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nd the remaining coupling portions and insertion portions are the same. can be applied

결합부(230)는 제2 몸체(210)와 서로 다른 탄성 변형율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예로 결합부(230)가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결합부(230)가 형성되는 제2 몸체(210)는 플라스틱 등과 같이 결합부(230)에 비하여 낮은 탄성 변형율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upling part 23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different elastic deformation rate from the second body 210. For example, the coupling part 230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and the coupling part 230 is formed. 2 The body 21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wer elastic deformation rate than the coupling part 230, such as plastic.

탄성 변형율은 외부 힘이 가해지는 경우 변형되는 정도를 나타내며, 동일한 크기의 외부 힘이 가해질 때 변형되는 정도가 클수록 탄성 변형율이 높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Elastic strain indicates the degree of deforma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deformation when the same magnitude of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higher the elastic strain.

결합부(230)는 전체적으로 제2 몸체(210)에 비하여 높은 탄성 변형율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부가 제2 몸체(210)에 비하여 높은 탄성 변형율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결합부(230)의 일부가 제2 몸체(210)에 비하여 높은 탄성 변형율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나머지는 제2 몸체(210)와 마찬가지로 낮은 탄성 변형율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23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elastic deformation rate than the second body 210 as a whole, or a part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elastic deformation rate than the second body 210, and the coupling portion ( 23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elastic deformation rate than the second body 210, the rest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wer elastic deformation rate similarly to the second body 210.

이때, 결합부(230)가 제2 몸체(210)에 비하여 높은 탄성 변형율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결합부(230)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 변형되어 제2 커넥터(200)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조립 시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 사이의 접속 위치가 서로 어긋나는 경우라도 제2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의 접속 위치가 일치되도록 접속 위치의 보정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t this time, when the coupling portion 23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elastic deformation rate than the second body 210,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230 is elastically deformed by a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thereby forming the second connector 200. can be moved in at least one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connector 100 can be moved even when the connection positions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are misaligned when assembling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nd it is to enable correction of the connection position so that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second connector 200 coincide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제2 몸체(210)가 결합부(230)에 비하여 낮은 탄성 변형율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제2 몸체(210)가 탄성 변형되는 경우 복수의 단자 핀(220)의 위치가 달라지게 되어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 사이의 접속 위치를 일치시키기 어렵기 때문이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body 21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wer elastic deformation rate than the coupling part 230, when the second body 210 is elastically deformed by a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plurality of terminal pins 220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match the connection positions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because the position of the is changed.

제2 몸체(210)와 결합부(220)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이중 사출 등의 공정을 통해 제2 커넥터(200)의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second body 210 and the coupling part 220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the second connector 200 may be manufactured through a process such as double injec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결합된 제2 커넥터가 도시된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econd connector coupled to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230)는 삽입부(310)의 삽입 홈(311)에 삽입될 때 적어도 일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끼워질 수 있으며, 결합부(230)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 변형될 때 발생되는 복원력에 의해 제2 커넥터(200)를 브라켓(300)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기 이전에 제2 커넥터(200) 및 브라켓(300)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7 , when the coupling portion 2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11 of the insertion portion 310, at least a portion thereof may be fitted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coupling portion 230 The second connector 200 and the bracket 300 are coupled before a force of a certain size or more is applied to separate the second connector 200 from the bracket 300 by a restoring force generated when at least a part of the status can be maintained.

이때, 결합부(230)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것은 제조 공차나 조립 공차 등으로 인하여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조립 시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의 접속 위치가 서로 어긋나는 경우에도 결합부(23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제2 커넥터(200)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의 접속 위치가 서로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가 정상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t this time, at least a part of the coupling part 230 is elastically deformable due to manufacturing tolerances or assembly tolerances, etc., when assembling the first and second parts, the connection positions of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Even when are misaligned, elastic deformation of the coupling part 230 enables the second connector 200 to move in at least one direction, so that the connection positions of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coincide with each other This is so that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can be normally connected.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브라켓(30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브라켓(300)에 결합되는 제2 커넥터(200)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의 접속 위치가 서로 어긋나는 경우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의 접속 위치가 서로 일치하도록 접속 위치가 보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300 remains fixed,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coupled to the bracket 300 moves in at least one direction so that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are moved. When the connection positions of the two connectors 200 are shifted from each other, the connection positions of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can be corrected so that they coincide with each other.

이때, 제2 커넥터(200)에 결합부(230)가 형성되는 방향과 브라켓(300)에 삽입부(310)가 형성되는 방향은 접속 위치의 보정을 위하여 제2 커넥터(200)가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upling part 230 is formed in the second connector 200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sertion part 310 is formed in the bracket 300 allow the second connector 200 to move in order to correct the connection position.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direction you are taking it.

한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브라켓(300)이 제2 부품에 구비되기 때문에 제2 커넥터(200)가 브라켓(300)에 결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브라켓(300)이 제1 부품에 구비되는 경우 제1 커넥터(100)가 브라켓(3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커넥터(200) 대신 제1 커넥터(100)에 결합부(230)가 형성되어 제1 커넥터(100)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since the bracket 300 is provided in the second component, the case where the second connector 200 is coupled to the bracket 300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racket 300 ) is provided in the first part, the first connector 100 can be coupled to the bracket 300, in this case, the coupling part 230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or 100 instead of the second connector 200 The first connector 100 may be mov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삽입 홈(311)은 결합부(230)의 삽입을 위한 개구로부터 제2 커넥터(200)의 결합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도 8과 같이 삽입 홈(311)의 폭(w), 즉 제2 커넥터(200)의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폭(w)이 결합부(230)의 두께(t)보다 작게 형성되어 결합부(230)가 삽입 홈(311)에 삽입될 때 결합부(230)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억지 끼움되어 제2 커넥터(200)와 브라켓(300)이 서로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insertion groove 311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or 200 from an opening for inse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230, and as shown in FIG. 8, the width w of the insertion groove 311, that is, When the second connector 200 has a width (w)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upling direction and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coupling portion 230, the coupling portion 2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11. At least a portion of the portion 230 is elastically deformed and forcibly fitted so that the second connector 200 and the bracket 30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이때, 결합부(230)의 두께(t)는 제2 커넥터(200)의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양단 사이의 거리 중 가장 긴 거리로 이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hickness t of the coupling portion 230 may be understood as the longest distance among the distances between both 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or 200 .

한편, 제1 커넥터(100)는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의 접속 위치가 서로 어긋난 경우 제2 커넥터(200)의 접속 위치가 제1 커넥터(100)의 접속 위치와 일치하도록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first connector 100, when the connection positions of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are misaligned,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second connector 200 coincides with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0. It may include at least one guide part 240 for guiding to do so.

즉, 제2 커넥터(200)는 제1 커넥터(100)의 복수의 단자 홈(120) 주변으로부터 제2 커넥터(200)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격벽(130)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 공간(S)에 삽입되면서 복수의 단자 핀(220)이 복수의 단자 홈(120)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의 접속 위치가 서로 어긋난 경우에는 제2 커넥터(100)가 삽입 공간(S)에 삽입되지 못하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140)에 의해 제2 커넥터(200)를 삽입 공간(S)으로 안내하게 되는 것이며, 이 경우 결합부(230)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제2 커넥터(200)의 접속 위치가 보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second connector 200 has an insertion space S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130 formed to protrude from the periphery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grooves 120 of the first connector 100 toward the second connector 200. , the plurality of terminal pins 220 may b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terminal grooves 120, and when the connection positions of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are misaligned, the second connector 100 ) is no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 so the second connector 200 is guided to the insertion space (S) by at least one guide part 140, and 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 coupling part 230 Since a portion is elastically deformable,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second connector 200 can be correc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140)는 제2 커넥터(200)가 삽입 공간(S)에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개구의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고, 삽입 공간의 개구 테두리에 연결되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이 제2 커넥터(200)를 향하도록 연장되되, 삽입 공간(S)의 개구 테두리에 연결되는 일측이 타측에 비하여 삽입 공간이 개구에 더 가깝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guide part 140 may be formed on an edge of an opening formed so that the second connector 200 is inserted into and positioned in the insertion space S, and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opening of the insertion space. The other side extends from one side toward the second connector 200, and one side connected to the opening rim of the insertion space S may be inclined so that the insertion space is closer to the opening than the other side.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140)가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제2 커넥터(200)의 접속 위치가 제1 커넥터(100)와 서로 어긋나는 경우라도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140)의 경사면에 의해 제2 커넥터(200)가 삽입 공간(S)에 삽입 가능하게 위치가 보정될 수 있으며, 이는 결합부(230)의 탄성 변형에 의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s the at least one guide part 140 is formed inclined in this way, even when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second connector 200 and the first connector 100 are misaligned, the second connector 200 is inclined b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at least one guide part 140. The position of the connector 200 may be correct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 which may be understood as due to elastic deformation of the coupling part 230.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커넥터(200)의 접속 위치가 보정되어 제2 커넥터(200)가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제2 커넥터(200)는 격벽(130)에 형성되는 결합 홈(131)에 제2 몸체(210)로부터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장되는 결합 리브(240)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second connector 200 is corrected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the second connector 200 is positioned in the coupling groove 131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130. 2 ends of the coupling ribs 240 extending elastically deformable from the body 210 are inserted to maintain a coupled state.

또한, 제2 커넥터(200)가 삽입 공간에 삽입될 때 제2 커넥터(200)의 제2 몸체(210)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211)에 격벽(130)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32)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됨에 따라 제2 커넥터(200)가 삽입 공간에 삽입될 때 삽입 방향이 안내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connector 2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the guide protrusion 132 formed on the partition wall 130 is formed in the guide groove 211 formed on the second body 210 of the second connector 200. As it is movably inserted, when the second connector 2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 insertion direction may be guided.

결합부(230)는 제2 몸체(21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돌출 리브(231)와, 결합부(230)가 삽입 홈(311)에 삽입된 경우 삽입 홈(311)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돌출 리브(23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접촉 리브(2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230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210 and contacts the protruding rib 23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311 when the coupling portion 2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11. A contact rib 232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protruding rib 231 may be included.

이때, 돌출 리브(231)는 삽입 홈(3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접촉 리브(232)는 돌출 리브(231)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truding rib 231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311 , and at least one contact rib 232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rotruding rib 231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돌출 리브(231) 및 접촉 리브(232)가 고무 등과 같이 제2 몸체(210)에 비하여 높은 탄성 변형율을 가지는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he protruding rib 231 and the contact rib 232 are made of a possible material having a higher elastic deformation rate than the second body 210, such as rubb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이와 같이, 돌출 리브(231) 및 접촉 리브(232)가 높은 탄성 변형율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결합부(230)가 삽입 홈(311)에 삽입되는 경우 삽입 홈(311)의 내측면에 의해 접촉 리브(232)의 단부에 힘이 가해지고, 이로 인해 돌출 리브(231) 및 접촉 리브(232) 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 변형되면서 결합부(230)가 삽입 홈(311)에 삽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when the protruding rib 231 and the contact rib 232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elastic deformation rate, when the coupling part 2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11, by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311 Force is applied to the end of the contact rib 232, and as a result, at least one of the protruding rib 231 and the contact rib 232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coupling part 23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11 will be.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위치의 보정을 위하여 이동되는 제2 커넥터가 도시된 개략도이다.9 and 10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second connector that is moved to correct a connection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결합부(230)가 삽입 홈(3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의 접속 위치가 서로 어긋나는 경우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140)에 의해 제2 커넥터(200)에 외부 힘이 가해지게 되고, 이 경우 돌출 리브(231) 및 접촉 리브(232) 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 힘에 탄성 변형되면서 제2 커넥터(200)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커넥터(200)가 격벽(130)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 공간(S)에 삽입 가능한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의 접속 위치가 서로 일치하도록 접속 위치가 보정되어 복수의 단자 핀(220) 각각이 복수의 단자 홈(120) 중 대응되는 단자 홈에 삽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S. 9 and 10 , when the connection positions of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are displaced from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part 2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11, at least one of the aforementioned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econd connector 200 by the guide portion 140, and 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 protruding rib 231 and the contact rib 232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external force,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is moved in at least one direction to a position where the second connector 20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130, and thereby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 200) is corrected so that the connection positions coincide with each other, so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pins 220 can be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groove among the plurality of terminal grooves 120.

이때, 도 10의 점선은 제2 커넥터(200)에 외부 힘이 가해지기 이전의 돌출 리브(231)와 접촉 리브(232)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도 10에서는 접촉 리브(232)가 탄성 변형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 리브(231)와 접촉 리브(232)가 모두 탄성 변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otted line in FIG. 10 is to indicate the protruding rib 231 and the contact rib 232 befor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econd connector 200, and in FIG. 10, the contact rib 232 is elastically deformed. One cas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both the protruding rib 231 and the contact rib 232 may be elastically de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접촉 리브(232)가 돌출 리브(231)의 양면에 서로 교대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촉 리브(232)가 형성되는 위치나, 개수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where the contact ribs 232 are formed to be alternat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rib 231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ocation or number of contact ribs 232 are formed may be variously chang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결합부(230)의 전체, 즉 돌출 리브(231) 및 접촉 리브(232)가 높은 탄성 변형율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부(230)는 일부가 높은 탄성 변형율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른 일부는 낮은 탄성 변형율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where the entire coupling part 230, that is, the protruding rib 231 and the contact rib 232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elastic deformation rat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upling part 230 may be partiall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elastic deformation rate, and the other portion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w elastic deformation rate.

예를 들어, 돌출 리브(231) 및 접촉 리브(232) 중 어느 하나가 높은 탄성 변형율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돌출 리브(231) 및 접촉 리브(232) 중 다른 하나는 제2 몸체(210)와 마찬가지로 낮은 탄성 변형율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결합부(230)가 삽입 홈(311)에 삽입될 때 돌출 리브(231) 및 접촉 리브(232) 중 어느 하나가 탄성 변형되면서 끼워질 수 있고,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의 조립 시 돌출 리브(231) 및 접촉 리브(232) 중 어느 하나가 탄성 변형되어 제2 몸체(210)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의 접속 위치가 일치되도록 접속 위치가 보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any one of the protruding rib 231 and the contact rib 232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elastic deformation rate, the other one of the protruding rib 231 and the contact rib 232 is the second body 210 Similarly,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w elastic deformation rate, and in this case, when the coupling part 2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11, any one of the protruding rib 231 and the contact rib 232 is elastically deformed and inserted. When assembling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one of the protruding rib 231 and the contact rib 232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second body 210 moves in at least one direction and the first connector 100 ) and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second connector 200 can be corrected so that they coincid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1)는 브라켓(300)에 제2 커넥터(200)의 접속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구조를 별도로 형성되지 않고도 제2 커넥터(200) 자체로 접속 위치가 보정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브라켓(300)의 용이한 제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브라켓(300)에 형성되는 보정 구조로 인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nector assembly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second connector 200 itself is corrected without a separate correction structure for correcting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second connector 200 to the bracket 300. Since this can be done, not only can the bracket 300 be easily manufactured, but also damage due to the correction structure formed on the bracket 300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제1 커넥터
110: 제1 몸체
120: 단자 홈
130: 격벽
131: 결합 홈
132: 가이드 돌기
140: 가이드부
200: 제2 커넥터
210: 제2 몸체
220: 단자 핀
230: 결합부
231: 돌출 리브
232: 접촉 리브
300: 브라켓
310: 삽입부
311: 삽입 홈
100: first connector
110: first body
120: terminal groove
130: bulkhead
131: coupling groove
132: guide projection
140: guide unit
200: second connector
210: second body
220: terminal pin
230: coupling part
231: protruding rib
232: contact rib
300: bracket
310: insertion part
311: insertion groove

Claims (10)

제1 부품에 설치되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부품과 조립되는 제2 부품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 조립 시 상기 제1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되는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2 부품에 상기 제2 커넥터와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는 삽입부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커넥터가 외부 힘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 조립 시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 사이의 접속 위치가 보정되도록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 first connector installed on the first part;
a second connector installed on a second component assembled with the first componen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when assembling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nd
A bracket provided to the second part to be coupled with the second connector,
The second connector,
Including a coupl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formed in the bracket,
The coupling part,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or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second connector is mov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a connection posi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s corrected whe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re assembled. connector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개구로부터 상기 제2 커넥터의 결합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삽입 홈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insertion part,
A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n insertion groove extending along a coupling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or from an opening into which the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홈은,
상기 제2 커넥터의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의 두께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삽입 시 상기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 변형되도록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2,
The insertion groove,
A connector assembly formed to have a width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upling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or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조립 시 상기 제1 커넥터의 접속 위치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접속 위치가 일치하도록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nector,
A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t least one guide part for guiding a connection position of the first connector and a connection position of the second connector to coincide with each other whe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re assembl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조립 시 상기 제2 커넥터가 삽입되어 위치되는 삽입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는,
상기 삽입 공간의 개구 테두리에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connector,
An insertion space in which the second connector is inserted and positioned whe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re assembled,
The at least one guide part,
A connector assembly formed on an opening rim of the insertion spa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는,
상기 삽입 공간의 개구 테두리에 연결되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이 제2 커넥터를 향하도록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삽입 공간의 개구 테두리에 연결되는 일측이 타측에 비하여 상기 삽입 공간의 개구에 더 가깝게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4,
The at least one guide part,
A connector assembly extending from one side connected to the opening rim of the insertion space toward the second connector and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opening rim of the insertion space positioned closer to the opening of the insertion space than the other side.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몸체와 서로 다른 탄성 변형율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art,
It is formed on the body of the second connector,
At least a part of the coupling part,
A connector assem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deformation rate different from that of the body of the second connecto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커넥터의 몸체에 비하여 높은 탄성 변형율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7,
The coupling part,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nector assem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elastic deformation rate than the body of the second conn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 리브; 및
상기 결합부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삽입부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돌출 리브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리브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art,
a protruding rib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dy of the second connector; and
and at least one contact rib formed to protrude from the protruding rib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when the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리브 및 상기 돌출 리브 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2 커넥터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9,
The coupling part,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contact rib and the protruding rib is elastically deformed to allow the second connector to move in at least one direction.
KR1020210178808A 2021-12-14 2021-12-14 Connector assembly KR2023008997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808A KR20230089973A (en) 2021-12-14 2021-12-14 Connect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808A KR20230089973A (en) 2021-12-14 2021-12-14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973A true KR20230089973A (en) 2023-06-21

Family

ID=86989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808A KR20230089973A (en) 2021-12-14 2021-12-14 Connector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997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708B1 (en) 2016-01-26 2016-06-22 주식회사 씨케이텍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708B1 (en) 2016-01-26 2016-06-22 주식회사 씨케이텍 Connector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2937B2 (en) Lever type connector
WO2018163788A1 (en) Shielded terminal and shielded connector
EP2245708B1 (en) Lighting system and cap for such lighting system
CN109478745B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US7223130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0331745A (en) Connector
JP6539634B2 (en) connector
EP2333406B1 (en) Vehicle headlamp
KR20120052328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horting bar operation device
KR20230089973A (en) Connector assembly
GB2393045A (en) Connector structure
US11196214B2 (en) Connector
WO2018105251A1 (en) Connector
US9780477B1 (en) Box terminal with insertion limiter
WO2023171239A1 (en) Connector
US11394153B2 (en) Connector and terminal
KR950004367B1 (en) Electrical connector
JP6852600B2 (en) Standby connector
CN219040829U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JP7393386B2 (en) connector
CN117613588A (en) MiniFakra connector
KR20220122407A (en) Joint connector
JP2023023763A (en) Male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2075506A (en) Terminal lock mechanism for connector
KR20220030634A (en) Connector having terminal positioning assurance membe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