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879A - Location sharing system and location sharing method at construction site - Google Patents

Location sharing system and location sharing method at construction si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879A
KR20230089879A KR1020210178624A KR20210178624A KR20230089879A KR 20230089879 A KR20230089879 A KR 20230089879A KR 1020210178624 A KR1020210178624 A KR 1020210178624A KR 20210178624 A KR20210178624 A KR 20210178624A KR 20230089879 A KR20230089879 A KR 20230089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site
terminal
area
worker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6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윤곤
박상혁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8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9879A/en
Publication of KR20230089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87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상기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건설 현장 위치 공유 시스템은, 건설 현장에 대한 작업자들의 작업 데이터를 갖고, 상기 작업자들의 작업 도구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 단말기, 상기 건설 현장의 제1 구역의 출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태그 단말기의 접근을 인식하여 상기 작업자의 상기 건설 현장의 출입 여부를 확인하여 송신하는 제1 중계 단말기, 상기 건설 현장의 상기 제1 구역의 특정 작업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태그 단말기의 접근을 인식하여 상기 작업자의 상기 특정 작업 영역의 출입 여부를 확인하여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중계 단말기, 및 상기 제1 구역과 다른 제2 구역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중계 단말기로부터 상기 작업자들의 상기 건설 현장의 출입 여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중계 단말기로부터 상기 작업자들의 상기 특정 작업 영역의 출입 여부를 수신하여 상기 작업자들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단말기를 포함한다.The construction site location sharing system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or achieving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tag terminal having work data of workers on the construction site and attached to the work tools of the workers, the construction A first relay terminal provided at the entrance of the first zone of the site to recognize the approach of the tag terminal and confirm whether the worker has entered or exited the construction site and transmit the data to a specific work area of the first zone of the construction site at least one second relay terminal installed to recognize the approach of the tag terminal, confirm whether the worker enters or leaves the specific work area, and transmit the message; and installed in a second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wherein the first and a control terminal for receiving whether or not the workers enter or exit the construction site from a relay terminal and whether or not the workers enter or exit the specific work area from the second relay terminal, and displaying the locations of the workers.

Description

건설 현장의 위치 공유 시스템 및 위치 공유 방법{LOCATION SHARING SYSTEM AND LOCATION SHARING METHOD AT CONSTRUCTION SITE}Location sharing system and location sharing method of construction site {LOCATION SHARING SYSTEM AND LOCATION SHARING METHOD AT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은 건설 현장의 위치 공유 시스템 및 위치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 작업자의 위치를 공유하는 건설 현장의 위치 공유 시스템 및 위치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sharing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sharing at a construction si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ation sharing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a location of a construction worker.

반도체 제조 공정에 있어서 반도체 장치를 각각의 공정 장치로 운반하기 위해 FOUP(Front Opening Unified Pod)에 탑재하여 이동시키고 있고 다른 층에 있는 공정 장치를 이용하기 위해서 층간 리프터를 이용하여 운반하고 있다. 이러한 층간 리프터는 최대 50m 높이로 설치될 수 있으며, 건물 골조가 구성된 후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층간 리프터의 구성품을 차례대로 올리는 방식이 아닌 상부 층에서 하부 층으로 내리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고 상부에서 낙하하는 중량물에 의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semiconductor devices are mounted on FOUPs (Front Opening Unified Pods) to be transported to each process equipment and transported using interlayer lifters to use process equipment on different floors. These interfloor lifters can be installed at a height of up to 50 m, and can be installed after the building frame is construct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mponents of the interfloor lifter can be installed in a way that lowers them from the upper floor to the lower floor instead of sequentially raising them, and accidents can occur due to heavy objects falling from the top.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일정한 영역에서 작업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중계 단말기를 포함하는 건설 현장 위치 공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site location sharing system including a relay terminal for recognizing a location of a worker in a certain area.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술한 건설 현장 위치 공유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using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site location sharing system.

상기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건설 현장 위치 공유 시스템은, 건설 현장을 출입하는 작업자들의 데이터를 갖고, 상기 작업자들의 작업 도구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 단말기, 상기 건설 현장의 제1 구역의 출입구에 구비되고, 상기 태그 단말기의 접근을 인식하여 상기 작업자의 상기 제1 구역의 출입 여부를 확인하여 송신하는 제1 중계 단말기, 상기 제1 구역의 특정 작업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태그 단말기의 접근을 인식하여 상기 작업자의 상기 특정 작업 영역의 출입 여부를 확인하여 송신하는 제2 중계 단말기, 및 상기 제1 구역과 다른 제2 구역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중계 단말기로부터 상기 작업자의 상기 제1 구역의 출입 여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중계 단말기로부터 상기 작업자의 상기 특정 작업 영역의 출입 여부를 수신하여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다른 작업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제어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말기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특정 작업 영역에 출입하는 경우 경고 신호를 발생시킨다.The construction site location sharing system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or achieving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ata of workers entering and exiting the construction site, and has at least one tag terminal attached to the work tools of the workers, the construction A first relay terminal provided at the entrance of the first zone of the site, recognizing the approach of the tag terminal, confirming whether the operator has entered or exited the first zone, and transmitting the data, provided in a specific work area of the first zone, , a second relay terminal for recognizing the approach of the tag terminal and confirming whether the operator has entered or exited the specific work area and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and provided in a second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and a control terminal for receiving whether or not an operator enters or exits the first area, receiving whether or not the operator enters or exits the specific work area from the second relay terminal, and displaying the location of the operator to another operator, wherein the control terminal The terminal generates a warning signal when the worker enters or exits the specific work area.

상기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건설 현장 위치 공유 방법은, 건설 현장의 제1 구역에 출입하는 제1 작업자들의 태그 단말기들을 인식, 상기 태그 단말기들 중에서 상기 제1 구역의 특정 작업 영역에 위치하는 태그 단말기들을 인식, 상기 특정 작업 영역이 위험 지역인지 판단, 그리고 상기 특정 작업 영역이 상기 위험 지역에 해당하는 경우, 제1 구역과 다른 제2 구역에 위치하는 제2 작업자에게 상기 제1 작업자들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A construction site location sharing method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or achieving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ognizing tag terminals of first workers entering and exiting a first zone of a construction site, and among the tag terminals, the first zone Recognizing tag terminals located in a specific work area, determining whether the specific work area is a dangerous area, and if the specific work area corresponds to the dangerous area, a second operator located in a second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It includes displaying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workers to the.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르면, 건설 현장 위치 공유 시스템은, 건설 현장을 출입하는 작업자들의 데이터를 갖고, 상기 작업자들의 작업 도구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 단말기, 상기 건설 현장의 제1 구역의 출입구에 구비되고, 상기 태그 단말기의 접근을 인식하여 상기 작업자의 상기 제1 구역의 출입 여부를 확인하여 송신하는 제1 중계 단말기, 상기 제1 구역의 특정 작업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태그 단말기의 접근을 인식하여 상기 작업자의 상기 특정 작업 영역의 출입 여부를 확인하여 송신하는 제2 중계 단말기, 및 상기 제1 구역과 다른 제2 구역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중계 단말기로부터 상기 작업자의 상기 제1 구역의 출입 여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중계 단말기로부터 상기 작업자의 상기 특정 작업 영역의 출입 여부를 수신하여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다른 작업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제어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말기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특정 작업 영역에 출입하는 경우 경고 신호를 발생시킨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a construction site location sharing system has data of workers entering and exiting a construction site, and includes at least one tag terminal attached to a work tool of the workers, and provided at an entrance and exit of a first area of the construction site. and a first relay terminal for recognizing the approach of the tag terminal and confirming whether the operator has entered or exited the first zone and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A second relay terminal for confirming and transmitting whether or not the operator enters or exits the specific work area, and provided in a second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and whether or not the operator enters or exits the first area from the first re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for displaying the location of the operator to another operator by receiving whether or not the operator enters or exits the specific work area from the second relay terminal, wherein the control terminal allows the operator to perform the specific task Generates a warning signal when entering or exiting an area.

이에 따라, 상기 작업자들이 이용하는 상기 작업 도구에 부착된 상기 태그 단말기가 상기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은 상기 태그 단말기를 인식할 수 있고 상기 제어 단말기에 상기 작업자들의 상기 특정 작업 영역의 출입 여부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 단말기를 운용하는 관리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은 상기 작업자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상기 작업자가 특정 위치에 출입한 경우 건설 작업을 중단하여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tag terminals attached to the work tools used by the workers approach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can recognize the tag terminal and the control Whether or not the workers enter or exit the specific work area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erefore, a manager or other workers who operate the control terminal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workers, and when the worker enters or exits a specific location, the construction work can be stopped to ensure safety.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may be variously exten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건설 현장 위치 공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층간 리프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건설 현장의 층간 리프터의 설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도 1의 태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b는 도 1의 제어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의 인식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1의 건설 현장 위치 공유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건설 현장의 위치 공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struction site location sharing system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2 is a view showing an interlayer lifter.
3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inter-floor lifter in the construction site.
4A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ag terminal of FIG. 1;
Figure 4b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terminal of Figure 1;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recognition areas of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of FIG. 1 .
6 to 9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construction site location sharing system of FIG. 1 .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ocation sharing method of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건설 현장 위치 공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층간 리프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건설 현장의 층간 리프터의 설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도 1의 태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b는 도 1의 제어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의 인식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1의 건설 현장 위치 공유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struction site location sharing system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2 is a view showing an interlayer lifter. 3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inter-floor lifter in the construction site. 4A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ag terminal of FIG. 1; Figure 4b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terminal of Figure 1;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recognition areas of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of FIG. 1 . 6 to 9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construction site location sharing system of FIG. 1 .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건설 현장 위치 공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태그 단말기(100), 제1 중계 단말기(200), 제2 중계 단말기(300) 및 제어 단말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9, the construction site location sharing system 10 includes at least one tag terminal 100, a first relay terminal 200, a second relay terminal 300, and a control terminal 400. can do.

건설 현장 위치 공유 시스템(10)은 건설 현장에 근무하는 작업자들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즉, 건설 현장 위치 공유 시스템(10)은 상기 건설 현장의 작업자들의 안전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작업자들의 위치를 서로 다른 층에서 작업 중인 관리자 또는 다른 작업자가 쉽게 파악하기 위한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건설 현장 위치 공유 시스템(10)은 층간 리프터(12) 설치 작업에 있어서 상부층에서 작업중인 상기 관리자 또는 상기 다른 작업자가 하부층에서 근무하는 상기 작업자들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부에서 낙하하는 중량물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The construction site location sharing system 10 may refer to a system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workers working at a construction site. That is, the construction site location sharing system 10 is a system for the safety of workers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may mean a system for a manager or other workers working on different floors to easi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workers. In the construction site location sharing system 10, in the installation of the interfloor lifter 12, the manager or the other worker working on the upper floor locates the workers working on the lower floor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heavy objects falling from the top. It can mean a system for

건설 현장 위치 공유 시스템(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층간 리프터(12)를 설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층간 리프터(12)는 웨이퍼와 같은 반도체 장치들이 탑재된 웨이퍼 캐리어로서의 FOUP(Front Opening Unified Pod)를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는 반도체 제조 장치들로 운반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층간 리프터(12)는 건물 골조가 구성된 후 설치가 가능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리프터(12)는 상부층(U)에서 하부층(D)으로 중량물을 내리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층(D)에서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자(O)는 상기 중량물에 의한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construction site location sharing system 10 may be used to install the inter-floor lifter 12 . The interlayer lifter 12 may mean a device for transporting a FOUP (Front Opening Unified Pod) as a wafer carrier on which semiconductor devices such as wafers are mounted to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s located on different layers. The interfloor lifter 12 may be installed after the building frame is constructed. As shown in FIG. 3, the interfloor lifter 12 may be installed in such a way as to lower a weight from the upper layer U to the lower layer D. Therefore, the worker O who works on the lower layer D may be exposed to danger due to the heavy weight.

상기 건설 현장은 인가되지 않은 외부 기기의 출입이 제한되는 보안 구역에 해당할 수 있고, 태그 단말기(100),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 및 상기 제어 단말기(400)는 상기 건설 현장의 외부와 단절된 독자적인 통신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건설 현장 위치 공유 시스템(10)은 KTF, SKT 등과 같은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구축된 외부 통신망을 이용하지 않고 독자적인 시스템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보 유출의 방지가 필요한 보안 구역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The construction site may correspond to a security area in which access of unauthorized external devices is restricted, and the tag terminal 100,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200 and 300, and the control terminal 400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using an independent communication network that is disconnected from the outside of the construction site. Therefore, since the construction site location sharing system 10 uses its own system without using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established by mobile communication operators such as KTF and SKT, it can be used within a security area requiring prevention of information leakag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태그 단말기(100)는 태그 송신부(102), 코드부(104), 태그 정보 생성부(106), 메모리부(108), 배터리(110) 및 제어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 단말기(100)는 상기 작업자들이 상기 건설 작업에 이용하는 작업 도구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작업 도구는 안전모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태그 단말기(100)는 상기 작업자들의 신체를 감싸는 띠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tag terminal 100 includes a tag transmission unit 102, a code unit 104, a ta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6, a memory unit 108, a battery 110, and a control unit 112. can include The tag terminal 100 may be attached to work tools used by the workers for the construction work. For example, the work tool may include a hard hat. Alternatively, the tag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in a form attached to a belt covering the bodies of the workers.

태그 단말기(100)는 상기 건설 현장에 대한 작업자들의 작업자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작업자 데이터는 작업자 식별 정보, 작업자 권한 정보, 건설 장비 정보, 소속 회사 정보, 작업자 신분 정보, 현재 위치 정보, 유휴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 데이터는 후술할 제어 단말기(400)로 입력되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The tag terminal 100 may have worker data of workers for the construction site. The worker data may include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orker authority information, construction equipment information, belonging company information, worker identity information,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d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operator data may be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400 to be described later and stored and managed in a database.

태그 단말기(100)는 상기 작업자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태그 단말기(100)는 상기 작업 도구에 부착되어 일정한 시간 단위로 상기 작업자 데이터를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태그 단말기(100)는 상기 작업자 데이터에서 작업자 식별 정보, 작업자 신분 정보와 같은 상기 작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단순화된 데이터만을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태그 단말기(100)는 2,4GHz대역의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The tag terminal 100 may transmit the worker data to the outside. The tag terminal 100 may be attached to the work tool and transmit the worker data to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200 and 300 at regular intervals. Alternatively, the tag terminal 100 may transmit only simplified data for identifying the worker, such as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worker identity information, from the worker data to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200 and 300 . For example, the tag terminal 100 may transmit the worker data using a Zigbee communication method of 2 and 4 GHz bands.

태그 송신부(102)는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로서,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로 상기 작업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태그 송신부(102)는 통신망에 정의된 프로토콜 스택을 기반으로 제어 단말기(400) 및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과 소정의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통신 프로그램에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본 시스템 구동을 위한 상기 작업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태그 송신부(102)는 각각의 데이터를 제어 단말기(400)로 전송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을 거칠 수 있다.The tag transmission unit 102 is a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with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200 and 300, and may transmit the operator data to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200 and 300. The tag transmitter 102 connects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control terminal 400 and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200 and 300 based on the protocol stack defined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mmunication protocol defined in the communication program.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the worker data for driving the present system by using. The tag transmitter 102 may pas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200 and 300 to transmit each data to the control terminal 400 .

예를 들면, 태그 송신부(102)는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과 2,4GHz대역의 상기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와이파이(wifi)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IEEE802.15.4(Zigbee), P1415.5(Wireless Sensor Interface Standard), 3G, 4G, LTE, LTE-A 방식 및 그 등가 방식 등의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tag transmitter 10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200 and 300 using the Zigbe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2 and 4 GHz ban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of network is selected. It is not limited to, but Wi-Fi method, Bluetooth method, IEEE802.15.4 (Zigbee), P1415.5 (Wireless Sensor Interface Standard), 3G, 4G, LTE, LTE-A method and equivalent methods, etc. Variou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may be applied.

코드부(104)는 상기 작업자의 상기 작업자 식별 정보가 저장된 RFID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ID 태그(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은 전기적인 접촉 없이 자기적 또는 전기적 필드(Field)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기계적인 접촉이 필요 없기 때문에 마찰로 인한 손상이 없고 오염이나 환경의 영향이 적으며 비금속 재료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ID 태그는 고속 인식이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고속으로 움직이는 이동체 인식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RFID 태그는 각각 고유한 그리고 복제가 불가능한 식별 코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RFID 태그를 통해서 상기 작업자들을 구분할 수 있다. 상기 RFID 태그는 중장거리용의 전자기파 방식을 사용할 수 있고 고주파 안테나를 이용해서 무선 접속할 수 있다.The code unit 104 may include an RFID tag storing the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orker. The RFID ta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enables data transmission using a magnetic or electric field without electrical contact, and since it does not require mechanical contact, there is no damage due to friction and no contamination or contamination. It is less affected by the environment and can pass through non-metallic materials. In addition, since the RFID tag can be capable of high-speed recognition, it can also recognize a moving object moving at high speed. The RFID tags may each have a unique and non-replicabl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workers may be identified through the RFID tags. The RFID tag may use an electromagnetic wave method for medium and long distances and may be wirelessly connected using a high frequency antenna.

전자기파 방식의 상기 RFID 태그는 장거리 인식을 위한 추가적인 전지를 포함하는 능동형 타입으로 15V의 통상적인 배터리(110)로부터 상기 RFID 태그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110)는 최소 1개월 이상 별도의 충전 없이 동작할 수 있는 충전 가능한 이차 전지 또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일 수 있다. 상기 RFID 태그는 이동 노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제어부(112)의 제어 하에 작업장 내에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고정 노드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과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electromagnetic wave type RFID tag is an active type including an additional battery for long-distance recognition, and can receive power for operation of the RFID tag from a 15V battery 110 . Meanwhile, the battery 110 may be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or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capable of operating for at least one month or more without separate charging. The RFID tag may serve as a mobile node, and is fixedly disposed in a workpla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2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200 and 300 serving as fixed nodes. Wireless signal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예를 들면, RFID 주파수는 135kHz, 13.56MHz, 433 MHz, 860~960MHz. 2.45 GHz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저주파 13.56MHz RFID 시스템은 제품에 부착된 태그를 약 2m 거리 내의 근거리 영역(near field)에서 인식할 수 있고, 900MHz UHF 대역 RFID 시스템은 100m 이내의 원거리까지 인식이 가능할 수 있다.For example, RFID frequencies are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The 2.45 GHz band is available. A low-frequency 13.56MHz RFID system can recognize a tag attached to a product in a near field within a distance of about 2m, and a 900MHz UHF band RFID system can recognize a tag attached to a product at a distance of less than 100m.

상기 RFID 태그는 후술할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의 RFID 리더기가 안테나를 통해 발사하는 무선 주파수에 반응할 수 있다. 태그 단말기(100)의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무선 주파수를 수신 받아 동작되어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된 상기 작업자 데이터를 상기 RFID 리더기의 안테나로 전송할 수 있다.The RFID tag may respond to a radio frequency emitted through an antenna by an RFID reader of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200 and 300 to be described later. The RFID tag of the tag terminal 100 receives the radio frequency and operates to transmit the worker data stored in the RFID tag to the antenna of the RFID reader.

상기 RFID 리더기와 상기 RFID 태그는 정보의 전송 방향에 따라 순방향 링크(forward link) 및 역방향 링크(reverse link)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순방향 링크는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태그로 태그의 고유한 정보를 얻기 위해 명령 신호 및 태그로 전원을 공급하는 CW(Continuous Wave)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역방향 링크는 태그가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수신한 CW 신호를 바탕으로 역산란 과정을 거쳐 RFID 리더기로 태그 신호를 도달할 때까지의 과정일 수 있다. 상기 RFID 태그는 고유의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칩과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전원 공급 방식에 따라 능동형 태그(active tag)와 수동형 태그(passive tag)로 분류될 수 있다.The RFID reader and the RFID tag may be composed of a forward link and a reverse link according to a transmission direction of information. The forward link may transmit a continuous wave (CW) sig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tag and a command signal to obtain unique information of the tag from the RFID reader to the tag. The reverse link may be a process until the tag signal reaches the RFID reader through an inverse scattering process based on the CW signal received from the RFID reader. The RFID tag may include a tag chip including unique product information and an antenna, and may be classified into an active tag and a passive tag according to a power supply method.

상기 태그 정보 생성부(106)는 상기 작업자 식별 정보, 상기 작업자 권한 정보, 상기 건설 장비 정보, 상기 소속 회사 정보, 상기 작업자 신분 정보, 상기 현재 위치 정보, 상기 유휴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하는 상기 작업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태그 정보 생성부(106)는 코드부(104)에 의한 상기 작업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모든 상기 작업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ta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6 includes the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worker authority information, the construction equipment information, the belonging company information, the worker identity informati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e worker data including the id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can create That is, the ta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6 may generate all of the worker data including the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the code unit 104 .

메모리부(108)는 태그 정보 생성부(106)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작업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로서, RAM,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또는 HDD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emory unit 108 is a device for storing the worker data generated by the ta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6, and includes RAM,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DRAM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or It may be configured as an HD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어부(112)는 태그 단말기(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과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해 상기 작업자 데이터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는 제어 단말기(400) 또는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로부터 송신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시간에 관계없이 즉시 상기 작업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2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tag terminal 100, and transmits the worker data at regular time intervals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200 and 300. can be controlled to transmit. In addition, upon receiving transmission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terminal 400 or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200 and 300, the control unit 112 may immediately transmit the worker data regardless of tim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중계 단말기(200)는 상기 건설 현장의 제1 구역(A1)의 출입구(E)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입구(E)는 상기 건설 현장의 제1 구역(A1)을 출입하기 위한 모든 출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입구(E)가 복수 개인 경우 제1 중계 단말기(200)는 각 출입구에 구비되어 제1 구역(A1)에 출입하는 모든 상기 작업자들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구역(A1)은 층간 리프터(12)의 설치 작업에서 상기 상부층(U)에서 중량물을 전달 받는 하부층(D)을 의미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first relay terminal 200 may be provided at the entrance E of the first area A1 of the construction site. The entrance (E) may include all entrances and exits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first area (A1) of the construction site. Accordingly,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entrances E, the first relay terminal 200 is provided at each entrance and can recognize all the workers entering and exiting the first zone A1. For example, the first area A1 may refer to a lower layer D receiving a heavy load from the upper layer U in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interfloor lifter 12 .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중계 단말기(200)는 태그 단말기(100)의 접근을 인식하여 상기 작업자의 상기 건설 현장의 출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 the first relay terminal 200 recognizes the approach of the tag terminal 100 and can check whether the worker has entered or exited the construction site.

제1 중계 단말기(200)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태그 단말기(100)에 에너지와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무선 주파수를 발사할 수 있고 태그 단말기(100)가 상기 무선 주파수를 수신 받아 동작되어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된 상기 작업자 데이터를 제1 중계 단말기(200)의 상기 안테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중계 단말기(200)는 태그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지그비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작업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중계 단말기(200)는 직렬로 연결이 가능하며, 한 대 이상의 태그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relay terminal 200 can emit the radio frequency to transmit energy and signals to the tag terminal 100 through the antenna, and the tag terminal 100 receives the radio frequency and operates to operate the RFID tag. The worker data stored in may be transmitted to the antenna of the first relay terminal 200 . For example, the first relay terminal 200 may receive the worker data from the tag terminal 100 through the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 first relay terminal 200 can be connected in series and can be connected to one or more tag terminals 100 .

제1 중계 단말기(200)는 상기 근접식 및 상기 무선식 RFID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식 RFID 리더기는 3.5m 내지 100m 이내의 범위에서 상기 태그 단말기(100)의 접근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중계 단말기(200)는 상기 출입구(E)를 통과하는 모든 상기 작업자들의 태그 단말기(100)를 인식할 수 있다.The first relay terminal 200 may include the proximity type and the wireless type RFID reader. The wireless RFID reader can recognize the approach of the tag terminal 100 within a range of 3.5 m to 100 m. Accordingly, the first relay terminal 200 can recognize the tag terminals 100 of all workers passing through the entrance E.

제1 중계 단말기(200)는 상기 작업자 데이터 및 상기 제1 구역(A1)의 출입 여부를 제어 단말기(4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중계 단말기(200)는 제어 단말기(400)와 2,4GHz대역의 상기 지그비 통신 방식, 상기 와이파이 방식, 상기 블루투스 방식, 상기 IEEE802.15.4, 상기 P1415.5, 상기 3G, 상기 4G, 상기 LTE, 상기 LTE-A 방식 및 그 등가 방식 등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first relay terminal 200 may transmit the operator data and whether or not the first area A1 is entered to the control terminal 400 . For example, the first relay terminal 200 connects the control terminal 400 with the ZigBee communication method, the Wi-Fi method, the Bluetooth method, the IEEE802.15.4, the P1415.5, the 3G, and the 3G band. The worker data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using 4G, the LTE, the LTE-A method, and an equivalent method.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중계 단말기(300)는 상기 건설 현장의 제1 구역(A1)의 특정 작업 영역(P)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작업 영역(P)은 상기 건설 현장의 제1 구역(A1)에서 상기 작업자들이 직접 건설 작업을 진행하는 특정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중계 단말기(300)는 특정 작업 영역(P)에 구비되어 특정 작업 영역(P)에 출입하는 모든 상기 작업자들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작업 영역(P)은 층간 리프터(12)의 설치 작업에서 상기 상부층(U)에서 중량물을 전달 받는 특정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second relay terminal 300 may be installed in a specific work area P of the first area A1 of the construction site. The specific work area P may refer to a specific area in which the workers directly perform construction work in the first area A1 of the construction site. Accordingly, the second relay terminal 300 is provided in the specific work area P and can recognize all the workers entering and exiting the specific work area P. For example, the specific work area (P) may mean a specific position to receive a heavy load from the upper layer (U) in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interfloor lifter (12).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중계 단말기(300)는 태그 단말기(100)의 접근을 인식하여 상기 작업자의 상기 특정 작업 영역(P)의 출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the second relay terminal 300 recognizes the approach of the tag terminal 100 and can check whether the operator enters or exits the specific work area P.

제2 중계 단말기(300)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태그 단말기(100)에 에너지와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무선 주파수를 발사할 수 있고 태그 단말기(100)가 상기 무선 주파수를 수신 받아 동작되어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된 상기 작업자 데이터를 제2 중계 단말기(300)의 상기 안테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중계 단말기(300)는 태그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지그비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작업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중계 단말기(300)는 직렬로 연결이 가능하며, 한 대 이상의 태그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relay terminal 300 can emit the radio frequency to transmit energy and signals to the tag terminal 100 through the antenna, and the tag terminal 100 receives and operates the radio frequency to operate the RFID tag. The operator data stored in may be transmitted to the antenna of the second relay terminal 300. For example, the second relay terminal 300 may receive the worker data from the tag terminal 100 through the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 second relay terminal 300 can be connected in series and can be connected to one or more tag terminals 100 .

제2 중계 단말기(300)는 상기 근접식 및 상기 무선식 RFID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식 RFID 리더기는 3.5m 내지 100m 이내의 범위에서 상기 태그 단말기(100)의 접근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중계 단말기(300)는 특정 작업 영역(P)에 존재하는 모든 상기 작업자들의 태그 단말기(100)를 인식할 수 있다.The second relay terminal 300 may include the proximity type and the wireless type RFID reader. The wireless RFID reader can recognize the approach of the tag terminal 100 within a range of 3.5 m to 100 m. Accordingly, the second relay terminal 300 can recognize the tag terminals 100 of all workers existing in the specific work area P.

제2 중계 단말기(300)는 상기 작업자 데이터 및 상기 작업자(O)의 특정 작업 영역(P)의 출입 여부를 제어 단말기(4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중계 단말기(200)는 제어 단말기(400)와 2,4GHz대역의 상기 지그비 통신 방식, 상기 와이파이 방식, 상기 블루투스 방식, 상기 IEEE802.15.4, 상기 P1415.5, 상기 3G, 상기 4G, 상기 LTE, 상기 LTE-A 방식 및 그 등가 방식 등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second relay terminal 300 may transmit the worker data and whether the worker O enters or exits the specific work area P to the control terminal 400 . For example, the first relay terminal 200 connects the control terminal 400 with the ZigBee communication method, the Wi-Fi method, the Bluetooth method, the IEEE802.15.4, the P1415.5, the 3G, and the 3G band. The worker data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using 4G, the LTE, the LTE-A method, and an equivalent method.

이와 다르게,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은 소출력 무선기기(AP, 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AP와 같은 근거리 통신 장비는 AP 상호 간에 무선 통신도 가능한 라우터 역할을 지원하면서, 유선 네트워크로서의 연결을 지원하는 게이트웨이의 기능도 갖고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장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는 상기 건설 현장의 각 지역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일정 존(Zone) 내에서 무선 근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태그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작업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 단말기(400)로 송신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200 and 300 may include low power wireless devices (APs, Access Points).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n AP may mean a device supporting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having a gateway function supporting a connection as a wired network while supporting a role of a router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P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200 and 300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each area of the construction site to enable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in a certain zone, and the tag terminal ( The worker data may be received from 100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terminal 400 .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어 단말기(400)는 통신부(402), 데이터 생성부(404), 위험 지역 판단부(406), 저장부(408) 및 표시 장치(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단말기(400)는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이 설치된 제1 구역(A1)과 다른 제2 구역(A2)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구역(A2)은 층간 리프터(12)의 설치 작업에서 상기 하부층(D)으로 상기중량물을 전달 하는 상부층(U)을 의미할 수 있다. In example embodiments, the control terminal 4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402, a data generator 404, a danger area determination unit 406, a storage unit 408, and a display device 410. . The control terminal 400 may be installed in a second area A2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A1 where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200 and 300 are installed. For example, the second zone A2 may refer to an upper layer U delivering the heavy weight to the lower layer D in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interfloor lifter 12 .

제어 단말기(400)는 제1 중계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작업자들(O)의 상기 제1 구역(A1)의 출입 여부를 수신할 수 있고 제2 중계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작업자들(O)의 상기 특정 작업 영역(P)의 출입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단말기(400)는 건설 현장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건설 현장 관리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terminal 400 may receive whether or not the workers O enter or exit the first area A1 from the first relay terminal 200, and may receive the workers O from the second relay terminal 300. It is possible to receive whether or not to enter the specific work area (P) of. The control terminal 400 has a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program installed thereon, and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system by executing the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program.

통신부(402)는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로부터 상기 작업자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써, 본 시스템의 동작에 수반되는 일체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통신부(402)는 통신망에 정의된 프로토콜 스택을 기반으로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과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에 구비된 통신 프로그램에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본 시스템의 구동을 위한 상기 작업자 식별 정보 및 제어 명령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02)는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과 RS-232 또는 RS-485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와이파이 방식, 상기 지그비 방식, 상기 블루투스 방식, 상기 IEEE802.15.4, 상기 P1415.5, 상기 3G, 상기 4G, 상기 LTE, 상기 LTE-A 방식 및 그 등가 방식 등의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402 is a device for receiving the worker data from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200 and 300,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all information accompany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system. 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402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200 and 300 wit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channel based on the protocol stack defined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200 and 300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the oper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for driving the present system using a communication protocol defined in a communication program provided in ).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40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200 and 300 in an RS-232 or RS-485 manner, but the type of network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i-Fi method, the ZigBee method, the Bluetooth method, the IEEE802.15.4, the P1415.5, the 3G, the 4G, the LTE, the LTE-A method, and equivalent methods.

데이터 생성부(404)는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작업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구역(A1)의 상기 특정 작업 영역(P)에 존재하는 상기 작업자들을 분류할 수 있다. 데이터 생성부(404)는 제1 중계 단말기(200)에서 인식한 복수 개의 태그 단말기들(100) 중에서 제2 중계 단말기(300)에서 인식한 태그 단말기(100)를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생성부(404)는 태그 단말기(100)를 보유한 상기 작업자(O)가 특정 작업 영역(P)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 data generator 404 uses the worker data received by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200 and 300 to determine the worker existing in the specific work area P of the first area A1. can be classified. The data generator 404 may classify the tag terminal 100 recognized by the second relay terminal 300 among the plurality of tag terminals 100 recognized by the first relay terminal 200 . Accordingly, the data generator 404 can determine whether the operator O holding the tag terminal 100 is in a specific work area P.

위험 지역 판단부(406)은 수신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가 기 설정된 위험 지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위험 지역은 제2 중계 단말기(300)가 설치되어 태그 단말기(100)를 인식하는 특정 작업 영역(P) 중에서 위험하다고 판단된 지역을 의미할 수 있다. 위험 지역 판단부(406)는 데이터 생성부(404)에서 분류한 상기 작업자(O)의 위치가 상기 기 설정된 위험 지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danger area determining unit 406 may determine whether the operator is located in a predetermined danger area using received code information. The preset dangerous area may refer to an area determined to be dangerous among a specific work area P in which the second relay terminal 300 is installed and recognizes the tag terminal 100 . The danger area determining unit 406 may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of the worker O classified by the data generating unit 404 is located in the preset danger area.

저장부(408)는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작업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로서, RAM, ROM, EEPROM, SDRAM 또는 HDD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저장부(408)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storage unit 408 is a device for storing the worker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200 and 300, and may be composed of RAM, ROM, EEPROM, SDRAM or HDD, but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type of section 408 is not limited.

표시 장치(410)은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작업자 데이터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len),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및 EPD(Electric Paper Display)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이나, 스피커 등과 같은 음성 출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410 is a device for displaying the worker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200 and 300, and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len (PDP),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EPD (Electric Paper Display), it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means having any one method or an audio output means such as a speaker.

표시 장치(410)는 데이터 생성부(404)에서 분류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410)는 특정 작업 영역(P)에 위치하는 상기 작업자들(O)의 상기 작업자 식별 정보, 상기 작업자 권한 정보, 상기 건설 장비 정보, 상기 소속 회사 정보, 상기 작업자 신분 정보, 상기 현재 위치 정보, 상기 유휴 식별 정보 등을 디지털 데이터 또는 그래픽 데이터로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410)는 특정 작업 영역(P)에 위치하는 상기 작업자들(O)의 인원을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410 may display data classified by the data generator 404 . The display device 410 displays the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worker authority information, the construction equipment information, the belonging company information, the worker identity inform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orkers O located in a specific work area P. Information, the id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can be variously displayed as digital data or graphic data. The display device 410 may display the number of workers O located in the specific work area P.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410)는 제어 단말기(400)를 운용하는 상기 관리자 또는 상기 다른 작업자(O2)에게 경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경고 신호는 소리를 통해 전달되는 경고음 및 시각적 자극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경고 표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410)는 상기 작업자(O)가 특정 작업 영역(P)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경고음 또는 상기 경고 표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구역(A2)에 위치하는 상기 관리자 또는 상기 다른 작업자(O2)는 상기 경고 신호를 통해 특정 작업 현장(P)에 사람이 위치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고 건설 작업을 중단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the display device 410 may generate a warning signal to the manager or the other operator O2 operating the control terminal 400 . The warning sign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arning sound transmitted through sound and a warning display displaying visual stimuli on a screen. The display device 410 may generate the warning sound or the warning display when the operator O is located in the specific work area P. The manager or the other worker O2 located in the second area A2 can recognize that a person is located at the specific work site P through the warning signal and can stop the construction work.

표시 장치(410)는 데이터 생성부(404) 및 위험 지역 판단부(406)를 통해 판단된 상기 작업자(O)의 특정 작업 영역(P)에 존재 여부를 특정한 기호, 사각형, 문구 등을 활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410)는 특정 작업 영역(P)에 위치하는 상기 작업자(O)에 대하여 사각형 테두리를 이용하여 강조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표시 장치(410)는 특정 작업 영역(P)에 위치하는 상기 작업자(O)에 대하여 경고 문구를 표시하여 나타낼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410 determines whether the operator O exists in the specific work area P determined through the data generator 404 and the danger area determination unit 406 by using a specific symbol, rectangle, phrase, etc. can be displayed The display device 410 may emphasize the operator O located in the specific work area P using a rectangular frame. Alternatively, the display device 410 may display a warning message for the operator O located in the specific work area P.

표시 장치(410)는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에서 인식한 태그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작업자(O)가 특정 작업 영역(P)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경고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경고는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화면의 색체 변경, 경고 이미지 표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410 displays the warning when the worker O is located in a specific work area P through the tag terminal 100 recognized by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200 and 300. can The warning may include constantly repeating screen color change, display of a warning image, and the like.

표시 장치(410)는 소리를 통해 제어 단말기(400)를 운용하는 상기 관리자 또는 상기 다른 작업자(O2)에게 경고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표시 장치(410)는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에서 인식한 태그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작업자(O)가 특정 작업 영역(P)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경고음은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알람음, 음성 인식 안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410 may generate a warning notification to the manager or the other worker O2 operating the control terminal 400 through sound. The display device 410 generates the warning sound when the worker O is located in a specific work area P through the tag terminal 100 recognized by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200 and 300. can The warning sound may include a constantly repeating alarm sound, voice recognition guidance, and the lik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O)가 특정 작업 현장(P)으로부터 이탈한 경우, 제2 중계 단말기(300)는 특정 작업 현장(P)에 작업자(O)가 위치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상기 작업자 데이터를 제어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관리자 또는 상기 다른 작업자(O2)는 상기 건설 작업을 다시 진행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9 , when the worker O leaves the specific work site P, the second relay terminal 300 includes information that the worker O is not located at the specific work site P. The worker data to be performed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terminal 400, and the manager or the other worker O2 can proceed with the construction work again.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작업자들(O)이 이용하는 작업 도구에 부착된 태그 단말기(100)가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에 접근하는 경우,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은 태그 단말기(100)를 인식할 수 있고 제어 단말기(400)에 상기 작업자들(O)의 특정 작업 영역(P)의 출입 여부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단말기(400)를 운용하는 상기 관리자 또는 상기 다른 작업자(O2)는 상기 작업자들(O)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상기 작업자가 특정 위치에 출입한 경우 건설 작업을 중단하여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ag terminal 100 attached to the work tool used by the workers O approaches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200 and 300,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Steps 200 and 300 can recognize the tag terminal 100 and transmit to the control terminal 400 whether or not the workers O enter or exit the specific work area P. Therefore, the manager or the other worker O2 operating the control terminal 400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workers O, and when the worker enters or exits a specific location, the construction work is stopped to ensure safety. can

이하에서는, 도 1의 건설 현장 위치 공유 시스템을 이용한 건설 현장 위치 공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onstruction site location sharing method using the construction site location sharing system of FIG. 1 will be described.

도 10은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건설 현장의 위치 공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ocation sharing method of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건설 현장의 제1 구역에 출입하는 제1 작업자의 태그 단말기를 인식할 수 있다(S110).Referring to FIGS. 1 to 10 , first, a tag terminal of a first worker entering and exiting a first area of a construction site may be recognized (S110).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태그 단말기(100)는 제1 작업자(O)의 작업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태그 단말기(100)는 상기 제1 작업자(O)의 안전모에 부착되어 일정한 시간 단위로 상기 작업자 데이터를 제1 중계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중계 단말기(200)는 제1 구역(A1)의 출입문(E)에 설치되어 제1 구역(A1)에 출입하는 제1 작업자(O)의 태그 단말기(100)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구역(A1)은 층간 리프터(12)의 설치 작업에서 상기 상부층(U)에서 중량물을 전달 받는 하부층(D)을 의미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tag terminal 100 may transmit worker data including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worker O to the outside. The tag terminal 100 may be attached to the safety helmet of the first worker O and transmit the worker data to the first relay terminal 200 at regular intervals. The first relay terminal 200 is installed at the door E of the first area A1 and can recognize the tag terminal 100 of the first operator O entering and exiting the first area A1. For example, the first area A1 may refer to a lower layer D receiving a heavy load from the upper layer U in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interfloor lifter 12 .

이어서, 상기 태그 단말기가 상기 제1 구역 내의 특정 작업 영역에 위치하는 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S120).Subsequently, it is possible to recognize whether the tag terminal is located in a specific work area within the first area (S120).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태그 단말기(100)는 상기 제1 작업자(O)의 상기 안전모에 부착되어 일정한 시간 단위로 상기 작업자 데이터를 제2 중계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중계 단말기(300)는 제1 구역(A1)의 특정 작업 영역(P)에 설치되어 상기 특정 작업 영역(P)에 출입하는 제1 작업자(O)의 태그 단말기(100)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특정 작업 영역(P)은 상기 건설 현장의 제1 구역(A1)에서 상기 작업자들이 직접 건설 작업을 진행하는 특정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tag terminal 100 may be attached to the hard hat of the first worker O and transmit the worker data to the second relay terminal 300 at regular intervals. The second relay terminal 300 is installed in a specific work area P of the first area A1 and can recognize the tag terminal 100 of the first operator O entering and exiting the specific work area P. there is. For example, the specific work area P may refer to a specific area in which the workers directly perform construction work in the first area A1 of the construction site.

이어서, 상기 특정 작업 영역이 위험 지역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0).Subsequently,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specific work area is a dangerous area (S130).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작업자가 기 설정된 위험 지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위험 지역은 제2 중계 단말기(300)가 설치되어 태그 단말기(100)를 인식하는 특정 작업 영역(P) 중에서 위험하다고 판단된 지역을 의미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operator is located in a preset danger area. The preset dangerous area may refer to an area determined to be dangerous among a specific work area P in which the second relay terminal 300 is installed and recognizes the tag terminal 100 .

이어서, 상기 특정 작업 영역이 상기 위험 지역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구역과 다른 제2 구역에 위치하는 제2 작업자에게 상기 제1 작업자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140).Subsequently, when the specific work area corresponds to the danger area, information of the first operator may be displayed to a second operator located in a second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S140).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작업자(O)가 상기 건설 현장의 제1 구역(A1)에 출입하고 상기 기 설정된 위험 지역으로 판단된 상기 특정 작업 영역(P)에 위치하는 경우 제2 작업자(O2)에게 경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when a first worker (O) enters the first area (A1) of the construction site and is located in the specific work area (P) determined to be the preset dangerous area, a second worker (O) (O2) can generate a warning signal.

제2 작업자(O2)는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200, 300)로부터 상기 경고 신호를 수신한 제어 단말기(400)를 통해 제1 작업자(O)가 상기 기 설정된 위험 지역에 위치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제2 작업자(O2)는 제1 구역(A1)과 다른 제2 구역(A2)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구역(A2)은 층간 리프터(12)의 설치 작업에서 상기 하부층(D)으로 상기 중량물을 전달 하는 상부층(U)을 의미할 수 있다. The second operator O2 detects that the first operator O is located in the preset danger area through the control terminal 400 that has received the warning signal from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200 and 300. can figure it out The second worker O2 may be located in a second area A2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A1. For example, the second zone A2 may refer to an upper layer U that transfers the weight to the lower layer D in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interfloor lifter 12 .

제어 단말기(400)는 제2 작업자(O2)에게 제1 작업자(O1)의 작업자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 단말기(400)는 경고 신호 또는 경고 알림을 통해 제2 작업자(O2)에게 상기 기 설정된 위험 지역에 제1 작업자(O1)가 위치하는 것을 경고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작업자(O2)는 상기 기 설정된 위험 지역에 출입한 제1 작업자(O1)의 안전을 위해 건설 작업을 중단시킬 수 있다.The control terminal 400 may display operator data of the first operator O1 to the second operator O2. The control terminal 400 may warn the second worker O2 that the first worker O1 is located in the preset dangerous area through a warning signal or a warning notification. Accordingly, the second worker O2 may stop the construction work for the safety of the first worker O1 who has entered the preset dangerous area.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 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 건설 현장 위치 공유 시스템 100: 태그 단말기
102: 태그 송신부 104: 코드부
106: 태그 정보 생성부 108: 메모리부
110: 배터리 120: 제어부
200: 제1 중계 단말기 300: 제2 중계 단말기
400: 제어 단말기 402: 통신부
404: 데이터 생성부 406: 위험 지역 판단부
408: 저장부 410: 표시 장치
10: construction site location sharing system 100: tag terminal
102: tag transmission unit 104: code unit
106: ta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8: memory unit
110: battery 120: control unit
200: first relay terminal 300: second relay terminal
400: control terminal 402: communication unit
404: data generating unit 406: dangerous area determination unit
408: storage unit 410: display device

Claims (10)

건설 현장을 출입하는 작업자의 작업 도구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 단말기;
상기 건설 현장의 제1 구역의 출입구에 구비되고, 상기 태그 단말기의 접근을 인식하여 상기 작업자의 상기 제1 구역의 출입 여부를 확인하여 송신하는 제1 중계 단말기;
상기 제1 구역의 특정 작업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태그 단말기의 접근을 인식하여 상기 작업자의 상기 특정 작업 영역의 출입 여부를 확인하여 송신하는 제2 중계 단말기; 및
상기 제1 구역과 다른 제2 구역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중계 단말기로부터 상기 작업자의 상기 제1 구역의 출입 여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중계 단말기로부터 상기 작업자의 상기 특정 작업 영역의 출입 여부를 수신하여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다른 작업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제어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말기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특정 작업 영역에 출입하는 경우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건설 현장 위치 공유 시스템.
at least one tag terminal attached to a work tool of a worker entering and exiting a construction site;
a first relay terminal provided at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first zone of the construction site, recognizing the approach of the tag terminal, confirming whether the worker has entered or exiting the first zone, and transmitting the data;
a second relay terminal provided in a specific work area of the first zone, recognizing the approach of the tag terminal, confirming whether the operator has entered or exited the specific work area,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and
It is provided in a second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and receives whether or not the operator enters or exits the first area from the first relay terminal, and receives whether or not the operator enters or exits the specific work area from the second re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for displaying the location of the worker to other workers,
Wherein the control terminal generates a warning signal when the worker enters or exits the specific work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 현장은 복수 층을 갖는 건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건물의 하부 층을 의미하고,
상기 제2 구역은 상기 건물의 상기 하부 층보다 높은 상부 층을 의미하는 건설 현장 위치 공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struction site includes a building having multiple floors,
The first zone refers to the lower floor of the building,
The second zone is a construction site location sharing system that means an upper floor higher than the lower floor of the buil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도구는 안전모인 건설 현장 위치 공유 시스템.The construction site location shar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ork tool is a helm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태그 단말기의 접근을 인식하는 건설 현장 위치 공유 시스템.The construction site location shar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recognize the approach of the tag terminal using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말기는 상기 특정 작업 영역에 출입한 상기 작업자들의 인원 및 상기 작업자들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건설 현장 위치 공유 시스템.The construction site location shar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terminal displays the number of workers and data of the workers who have entered and exited the specific work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신호는 소리를 통해 전달되는 경고음 및 시각적 자극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경고 표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설 현장 위치 공유 시스템.The construction site location shar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rning sig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 warning sound transmitted through sound and a warning display displaying visual stimuli on a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 현장은 인가되지 않은 외부 기기의 출입이 제한되는 보안 구역에 해당하고,
상기 태그 단말기, 상기 제1 및 제2 중계 단말기들 및 상기 제어 단말기는 상기 건설 현장의 외부와 단절된 독자적인 통신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건설 현장 위치 공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struction site corresponds to a security area in which access of unauthorized external devices is restricted,
The tag terminal, the first and second relay terminals, and the control terminal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an independent communication network disconnected from the outside of the construction site.
건설 현장의 제1 구역에 출입하는 제1 작업자의 태그 단말기를 인식하고;
상기 태그 단말기가 상기 제1 구역 내의 특정 작업 영역에 위치하는 지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특정 작업 영역이 위험 지역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특정 작업 영역이 상기 위험 지역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구역과 다른 제2 구역에 위치하는 제2 작업자에게 상기 제1 작업자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설 현장 위치 공유 방법.
recognizing a tag terminal of a first worker entering and exiting a first area of the construction site;
recognizing whether the tag terminal is located in a specific work area in the first area;
determining whether the specific work area is a danger area; and
and displaying information of the first worker to a second worker located in a second region different from the first region when the specific work region corresponds to the danger reg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 현장은 복수 층을 갖는 건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건물의 하부 층을 의미하고,
상기 제2 구역은 상기 건물의 상기 하부 층보다 높은 상부 층을 의미하는 건설 현장 위치 공유 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construction site includes a building having multiple floors,
The first zone refers to the lower floor of the building,
Wherein the second zone means an upper floor higher than the lower floor of the building.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소리를 통해 전달되는 경고음 및 시각적 자극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경고 표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발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건설 현장 위치 공유 방법.The method of claim 8 , wherein displaying the information further comprises generating at least one of a warning sound delivered through sound and a warning display displaying visual stimuli on a screen.
KR1020210178624A 2021-12-14 2021-12-14 Location sharing system and location sharing method at construction site KR2023008987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624A KR20230089879A (en) 2021-12-14 2021-12-14 Location sharing system and location sharing method at construction si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624A KR20230089879A (en) 2021-12-14 2021-12-14 Location sharing system and location sharing method at construction si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879A true KR20230089879A (en) 2023-06-21

Family

ID=86989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624A KR20230089879A (en) 2021-12-14 2021-12-14 Location sharing system and location sharing method at construction si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987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527B1 (en) Smart port system for BLE beacon-based port incoming and outgoing vehicle management
US10021552B2 (en) Route management
EP3477913A1 (en) An elevator system having a multichannel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ality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multichannel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ality for an elevator system
US10440758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ctivating wireless connection
CN110228483B (en) Intellig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guided vehicle
JP2012203616A (en) Alarm system
EP3791237B1 (en) Zone passage control in worksite
KR101946616B1 (en) Intelligent fire recogni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EP3663251B1 (en) A hoist system and methods for operating a hoist located at a work site
CN103217976A (en) Self-driven shift unit
CN1316326C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ing an electronic device
KR20220016431A (en) Data classification system for utilization of multiple data collected at construction sites
KR20230089879A (en) Location sharing system and location sharing method at construction site
US89472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estricted areas below bucket trucks, lineworkers on power distribution poles or other elevated loads
KR101967588B1 (en) System managing for physical distribution container
EP3664004A1 (en) A system and methods for changing display information provided to the workers at a work site
CN105230058A (en) For the technology of the loss and theft that control cellular Ad hoc network medium-long range wireless device
KR20070091876A (en) Entrance and exit control system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KR102001112B1 (en) A commun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moving an elevator apparatus using an electronic tag
KR101272405B1 (en) System and device for container security based on multi hop
JP2018036865A (en) Unmanned travel vehicle, travel system for unmanned travel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unmanned travel vehicle
CN105809221A (en) Construction safety locating and monitoring system
CN213450502U (en) Mining personnel management system based on UWB technology
KR102344734B1 (en) A method of generating tracker information based on beacon signals collected at construction sites
KR20130040446A (en) Entrance management system of ships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