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769A -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769A
KR20230089769A KR1020210178440A KR20210178440A KR20230089769A KR 20230089769 A KR20230089769 A KR 20230089769A KR 1020210178440 A KR1020210178440 A KR 1020210178440A KR 20210178440 A KR20210178440 A KR 20210178440A KR 20230089769 A KR20230089769 A KR 20230089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creator
information
system server
comprehen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정
유진호
Original Assignee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78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9769A/ko
Publication of KR20230089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2Distributed file systems
    • G06F16/1834Distributed file systems implemented based on peer-to-peer networks, e.g. gnutell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28Indexing structures
    • G06F16/2246Trees, e.g. B+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창작자의 창작 결과로 창작된 그림, 음악, 영상, 텍스트, 소설, 만화를 포함하는 저작물을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사이트상에 업로드하되, 상기 온라인 사이트상에 업로드되는 저작물에 대하여 NFT를 발행하여 각각의 저작물에 토큰이 생성된 저작물을 업로드하는 창작자 단말기, 상기 창작자 단말기를 통해 업로드되는 저작물에 대한 창작자(권리자) 이름, 창작 일자, 창작 내용, 저작권 등록 완료시 등록번호, 해당 저작물이 매매되었을 경우 매수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물 종합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 서버,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생성된 저작물 종합정보에 대한 블록의 해쉬값과 트랜잭션을 저장하고, 상기 창작자 단말기를 통해 온라인 사이트상에 업로드된 창작물의 열람이나 대여,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수익에 대한 결제정보 블록의 해쉬값과 트랜잭션을 저장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상기 시스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창작자가 업로드한 창작물의 열람, 대여, 사용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고 창작물 사용허가가 승인되면 해당 창작물을 승인 형태에 따라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The creator's work history management system to which NFT issuance was applied}
본 발명은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창작자의 저작물에 대한 열람, 감상, 매도/매수 등 저작물에서 발생되는 모든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을 활용하여 저작물의 이력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저작물의 가치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제고됨에 따라 음악, 영화, 동영상 등의 저작물을 정상적인 유통경로를 통해 대가를 지불하고 이용하고자 하는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온라인상에서 배포된 저작물은 아무런 제약 없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불법으로 저작물을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또한, 대가를 지불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일반인들이 저작권자를 찾아 저작권료를 지불하는 것에는 번거로운 절차가 따르게 된다.
근래에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제고되고 있어, 종래의 저작권자를 알 수 없는 저작물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감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상적인 유통 경로를 통해 저작권에 대한 가치를 지불하고 이용하고자 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그러나 저작권이 있는 저작물이라 하더라도 저작권의 항목이 다양하고, 이에 따라 정상적인 유통 경로로 저작물을 구입했을지라도 저작권자가 소비자에게 허여한 범위와 소비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범위가 달라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의 주요인은 저작권 항목별 거래를 진행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과 복잡한 과정일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저작권 관리를 수행할 경우 스마트 컨트랙트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종래의 다양한 분쟁요소가 해결되고 저작권 관련 거래에 있어서 보다 편리함을 얻을 것으로 기대되는 바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이용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블록체인은 탈중앙화의 특징을 갖기 때문에 네트워크상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에 대하여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누구나 공개된 거래 기록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거래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블록체인 기술은 중앙 시스템이 운영하는 것이 아닌 분산된 컴퓨팅 자원을 이용하므로 탈중앙화의 특징을 갖는다. 또한 블록체인은 네트워크상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에 대하여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다. 모든 거래는 거래 발생시점부터 추적이 가능하고, 누구나 공개된 거래 기록에 접근할 수 있으며 거래의 양성화와 규제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은 위변조가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블록체인은 이전 블록의 정보를 이용하여 블록을 생성한다. 블록은 사슬처럼 모두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블록의 특정 거래를 조작하려면 이후에 생성된 모든 블록의 정보도 변경해야 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51%를 동시에 해킹하는 일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위변조에 대한 가장 신뢰있는 기술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또한 블록체인은 확장성의 특징을 갖는다. 대부분의 블록체인 기술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로 높은 확장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의 특징들을 살펴볼 때 블록체인은 항만, 의료, 저작권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저작권 문제를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시도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8878호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관리 시스템'(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서는 저작물의 정보 및 거래내역 정보를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여 저작권자에게 저작권료를 배분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저작권 확인 및 저작권료를 배분하기 위해 저작물 자체를 서버에 제공하여야 하며, 저작물은 서버로부터 제공받기 때문에 토렌트, 웹하드 등에 배포되어 있는 파일은 보호를 받을 수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또한, 창작자는 디지털 상에서 작품(음악, 그림, 영상, 텍스트 외)을 생성한다. 디지털 상의 작품은 도용당하기 쉬우며, 도용이 아니더라도 작품 사용에 대한 인정과 수익창출이 어렵다. 이에 따라, 최근 NFT를 이용하여 창작물의 소유권을 인정받을 수 있는 기술이 활용되고 있으며 소유권이 거래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장 환경을 바탕으로 저작물의 관리와 체계적인 운영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887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5538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2372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4430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작권자와 소비자간의 저작권 항목별 저작물 거래를 가능하게 하되, 이에 대한 기록을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여 신뢰를 구축함으로써, 저작권자와 소비자간의 저작권 거래를 보다 손쉽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저작물에 대한 소비자 거래를 제공하고, 거래 기록을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며, 해당 거래가 발생됨에 대응하여 즉시 저작권자에게 저작권료를 암호화폐로 지급함에 따라 콘텐츠 거래가 유통되는 구조에서 오는 저작권자의 불이익을 방지하고 저작권자로 하여금 직접 자신의 저작물에 대한 거래 내역을 확인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목적은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여 원본임과 소유권이 인정된 창작물에 대하여 열람 및 감상, 소유권 이전 등의 이력 관리를 통해 창작활동에 대한 소유권 인정과 정당한 보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작자의 창작 결과로 창작된 그림, 음악, 영상, 텍스트, 소설, 만화를 포함하는 저작물을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사이트상에 업로드하되, 상기 온라인 사이트상에 업로드되는 저작물에 대하여 NFT를 발행하여 각각의 저작물에 토큰이 생성된 저작물을 업로드하는 창작자 단말기, 상기 창작자 단말기를 통해 업로드되는 저작물에 대한 창작자(권리자) 이름, 창작 일자, 창작 내용, 저작권 등록 완료시 등록번호, 해당 저작물이 매매되었을 경우 매수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물 종합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 서버,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생성된 저작물 종합정보에 대한 블록의 해쉬값과 트랜잭션을 저장하고, 상기 창작자 단말기를 통해 온라인 사이트상에 업로드된 창작물의 열람이나 대여,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수익에 대한 결제정보 블록의 해쉬값과 트랜잭션을 저장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상기 시스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창작자가 업로드한 창작물의 열람, 대여, 사용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고 창작물 사용허가가 승인되면 해당 창작물을 승인 형태에 따라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스템 서버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되는 블록의 해쉬값과 트랜잭션을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을 머클루트(merkle Root)로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스템 서버는,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 수신된 상기 저작물 종합정보의 열람기록(수신기록)을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별 저작물 종합정보의 열람기록과 열람기록에 해당하는 해쉬값, 그룹의 머클트리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스템 서버는, 관리자 권한 변경기록을 그룹화하여 상기 그룹별 권한 변경기록과 권한 변경기록의 해쉬값, 그룹의 머클트리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스템 서버는, 저장된 상기 저작물 종합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관리자 권한 변경 요청이 발생한 경우 상기 시스템 서버에 권한 변경 요청과 관리자 인증정보를 전송하고, 관리자 권한 변경기록을 그룹화하여 상기 그룹별 권한 변경기록과 권한 변경기록의 해쉬값, 그룹의 머클트리를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스템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저작물 종합정보의 위변조 확인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저작물 종합정보의 해쉬값을 전송받아 상기 시스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저작물 종합정보로부터 해쉬값을 계산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받은 해쉬값과 비교하여 저작물 종합정보의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위변조 여부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저작물 종합정보에서 위변조로 확인된 경우 상기 창작자 단말기와 시스템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로 위변조가 발생되었다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 저작물에 대하여 대여 요청이 발생한 경우 대여에 따른 사용 목적, 사용 장소, 사용 기간(대여 시작일과 대여 종료일)을 포함하는 대여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대여 정보에 따른 대여 요금을 결제받아 대여를 승인하며, 상기 대여 정보 블록의 해쉬값과 트랜잭션을 저장하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 서버는, 상기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저작물이 업로드될 경우 상기 저작물에 해당하는 저작물 ID를 할당하고, 상기 저작물 ID 블록의 해쉬값과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함께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작물 ID는, 창작자 이름, 창작물 제목, 창작 시기(날짜 정보), 업로드 시간에 해당하는 용량 정보값과 해당 창작물(디지털 파일 용량)의 용량 정보값을 획득하고, 상기 용량 정보값에 대한 블록의 해쉬값과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함께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저작권자와 소비자간의 저작권 항목별 저작물 거래를 가능하게 하되, 이에 대한 기록을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여 신뢰를 구축함으로써, 저작권자와 소비자간의 저작권 거래를 보다 손쉽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저작물에 대한 소비자 거래를 제공하고, 거래 기록을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며, 해당 거래가 발생됨에 대응하여 즉시 저작권자에게 저작권료를 암호화폐로 지급함에 따라 콘텐츠 거래가 유통되는 구조에서 오는 저작권자의 불이익을 방지하고 저작권자로 하여금 직접 자신의 저작물에 대한 거래 내역을 확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 높은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으며, 블록체인 상에 기록함과 동시에 저작물 생성에 따른 NFT를 함께 발행하고 NFT 정보를 통해 저작물을 관리할 수 있어 보다 신뢰성 높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작물에 대하여 원본임과 소유권이 인정된 창작물에 대하여 열람 및 감상, 소유권 이전 등의 이력 관리를 통해 창작활동에 대한 소유권 인정과 정당한 보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최근 많은 작품들이 디지털로 생성되고 있는데, 디지털로 생성한 작품은 쉽게 접할 수 있고 복제가 가능하여 그 가치가 축소되거나 훼손되는 문제를 해소하고, 창작자와 소유자에 대한 권리를 인정하고 지속적인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에서 시스템 서버의 세부 동작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전체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에서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블록체인 저장 과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따른 열람 요청의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은, 창작자의 창작 결과로 창작된 그림, 음악, 영상, 텍스트, 소설, 만화를 포함하는 저작물을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사이트상에 업로드하되, 상기 온라인 사이트상에 업로드되는 저작물에 대하여 NFT를 발행하여 각각의 저작물에 토큰이 생성된 저작물을 업로드하는 창작자 단말기, 상기 창작자 단말기를 통해 업로드되는 저작물에 대한 창작자(권리자) 이름, 창작 일자, 창작 내용, 저작권 등록 완료시 등록번호, 해당 저작물이 매매되었을 경우 매수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물 종합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 서버,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생성된 저작물 종합정보에 대한 블록의 해쉬값과 트랜잭션을 저장하고, 상기 창작자 단말기를 통해 온라인 사이트상에 업로드된 창작물의 열람이나 대여,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수익에 대한 결제정보 블록의 해쉬값과 트랜잭션을 저장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상기 시스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창작자가 업로드한 창작물의 열람, 대여, 사용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고 창작물 사용허가가 승인되면 해당 창작물을 승인 형태에 따라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은 창작자로부터 창작된 그림, 음악, 영상, 텍스트, 소설, 만화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작물에 대하여 무단 사용이나 거래에 따른 거래 신뢰성 확보(소유주 변경 등), 거래에 따른 수익성 확보 등과 같은 저작물의 효율성인 관리와 창작자의 권리보호를 위하여 블록체인 기반으로 해당 저작물의 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이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력 관리 시스템은, 창작자가 창작의 결과로 만들어진 다양한 형태의 저작물을 온라인상에 업로드하는 창작자 단말기(100)와, 상기 창작자 단말기(100)와 상기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되는 저작물 종합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시스템 서버(200)와 관리자 단말기(210), 상기 시스템에 서버에 저장된 저작물 종합정보 블록의 해쉬값과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및 온라인상에 업로드된 저작물의 사용이나 대여, 매매를 결정하는 사용자(소비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저작물(또는 저작권)은 저작 재산권과 저작 인격권이 있으며, 저작 재산권은 방송권, 복제권, 배포권, 전시권, 2차 저작물 저작권을 포함하고, 저작 인격권은 공포권, 성명표시권, 동일성 유지권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창작자는 본인이 창작의 결과로 생성된 다양한 창작물들을 안전하고 신뢰적으로 보호받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임의의 온라인 사이트상에 상기 창작물 단말기(100)를 통해 업로드한다. 업로드 시에는 저작물의 세부 정보를 모두 입력하여 업로드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창작자 이름, 영문이름, 창작 시기(날짜), 창작물 내용(그림, 영상, 음악, 텍스트 등) 정보 등 창작물에 해당하는 상세 정보를 모두 입력하여 업로드를 완료한다.
또한, 온라인상에 업로드되는 창작물에는 각각에 NFT를 발행해 고유의 토큰을 각각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창작물의 원본 증명과 전반적인 저작물 보호를 위한 증명 정보로 활용되며, NFT에는 저작물의 소유권 변동과 같은 주요 변경사항이 발생되었을 경우 관련 정보를 NFT로 모두 저장하게 된다.
상기 시스템 서버(200)는 저작물 종합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저작물 종합정보는 창작자 이름, 창작시기, 창작 내용, 저작권 등록번호, 해당 저작물의 거래(매매) 발생 시 거래 발생에 따른 매수인의 이름, 거래 시기, 거래 시기, 거래금액 등 거래에 따른 모든 정보를 포함하여 하나의 저작물 종합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생성된 송신 저작물 종합정보에 대한 블록의 해쉬값과 트랜잭션을 저장하며, 이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저작권에 대한 사용이나 사용에 따른 결제 정보, 매매에 따른 이전 등의 정보가 발생하면 이에 대한 저작물 종합정보에 대한 블록의 해쉬값과 트랜잭션을 저장한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창작자의 저작물을 열람, 사용, 대여, 매수하기 위하여 온라인상에 업로드된 창작물의 사용 권한을 허가받고 이에 따른 금전적 지불을 수행한다.
이때, 열람, 사용, 대여, 매수에 따른 사용 조건은 창작자의 조건부 설정에 따라 결정되며, 사용자는 창작자가 제시한 조건부에 따라 저작물의 사용 여부를 상기 시스템 서버(200)로부터 승인받은 후 사용하여야 하며,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저작물 사용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와 창작자는 토큰 지갑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토큰 거래를 통해 창작물 사용에 대한 비용을 지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저작물 사용에 따른 비용 정산을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사용 요청이 발생한 경우 사용료를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자동으로 정산될 수 있기 때문에 창작물이 존재하는 동안 별도의 절차 없이도 저작물료를 자동 정산 및 지급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시스템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 저작물에 대하여 대여 요청이 발생한 경우 대여에 따른 사용 목적, 사용 장소, 사용 기간(대여 시작일과 대여 종료일)을 포함하는 대여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대여 정보에 따른 대여 요금을 결제받아 대여를 승인하며, 상기 대여 정보 블록의 해쉬값과 트랜잭션을 저장하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시스템 서버는, 상기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저작물이 업로드될 경우 상기 저작물에 해당하는 저작물 ID를 할당하고, 상기 저작물 ID 블록의 해쉬값과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함께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저작물 ID는, 창작자 이름, 창작물 제목, 창작 시기(날짜 정보), 업로드 시간에 해당하는 용량 정보값과 해당 창작물(디지털 파일 용량)의 용량 정보값을 획득하고, 상기 용량 정보값에 대한 블록의 해쉬값과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함께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창작자는 하나의 저작물(창작물) 또는 다수의 창작물을 창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창작물은 상기 시스템 서버(200)에 업로드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작자 A는 하나의 창작물에 대해 단일 소유자 또는 복수의 소유자로 등록될 수 있으며, 창작자 B의 경우 두 개의 창작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각각의 소유자가 다르기 때문에 해당 소유자의 이름을 등록하고 있다.
창작자 C의 경우는 동일한 창작물이되, 해당 창작물에 대하여 다수의 소유자가 등록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소유자 이름과 소유일시 등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에서 시스템 서버의 세부 동작 구성도이다.
시스템 서버(200)에 등록된 창작자들의 저작물은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사용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단순한 열람, 청취, 시청 등의 경우 해당 저작물을 대여하여 전시회, 콘서트, 박람회 등에 사용 시 대여 요청, 매매 요청이 발생하였을 경우 매매 요청을 통해 저작물의 사용이나 거래 요청이 발생되고, 여기서 발생되는 사용, 대여, 거래에 관한 모든 정보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정보가 모두 저장되며, 사용, 대여, 거래에 따른 사용료 지불에 대한 정보도 일체 저장되어 블록체인 기반으로 관리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저작물에 관한 모든 정보가 저장됨과 동시에 NFT 발행에 따른 NFT 정보에도 저작물에 관한 모든 정보가 함께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전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생성된 저작물 종합정보에 대한 블록의 해쉬값을 저장한다. 블록체인(block-chain)은 데이터 정보를 기록한 원장을 특정 기관의 중앙 서버가 아닌 P2P 네트워크에 분산하여, 네트워크에 참여한 컴퓨팅장치가 공동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기술이다. 기존 시스템은 임의의 중앙관리자가 있어 쌍방 간의 데이터를 확정하고 청산하며 거래기록을 보관하는 역할을 했지만, 블록체인은 궁극적으로 이러한 중앙관리자의 역할을 불필요하게 만들어 시스템의 인프라 비용이 적고, 블록체인에 참여한 컴퓨팅장치가 많을수록 데이터의 무결성이 증대되는 장점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블록에서는 다수의 트랜잭션이 생성되어 저장되며, 이 트랜잭션으로 상기 저작물 종합정보가 저장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되는 블록의 해쉬값을 머클트리 형태로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에서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블록체인 저장 과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서버는 머클루트를 데이터로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는 방법을 통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머클루트를 저장한다. 상기 시스템 서버(200)는 상기 그룹별로 상기 트랜잭션의 트랜잭션ID 또는 상기 트랜잭션을 생성하는데 사용한 블록체인 주소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트랜잭션ID 또는 상기 블록체인 주소를 검색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 해당 머클루트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ID 또는 상기 블록체인 주소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해당 트랜잭션을 특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정보로 상기 시스템 서버는 상기 트랜잭션ID와 상기 블록체인 주소 중 하나만 저장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상기 트랜잭션ID를 알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트랜잭션을 확인하여 상기 블록체인 주소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블록체인 주소를 알면 상기 트랜잭션ID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머클트리(Merkle tree)란, 저작물 종합정보를 위조하려는 시도가 있어도 머클트리의 머클경로를 따라가면 해쉬값이 다른 것이 나오게 되어 금방 기록의 위변조를 알 수 있게 되고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작물에 대한 종합정보는 그룹화하여 저장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는 그룹별로 하나의 해쉬값인 머클루트가 저장된다. 그룹화를 하는데 있어서 머클트리 구조를 사용하지 않으면 저작물 종합정보가 위변조된 경우 그룹 내 위변조된 종합정보가 존재한다는 것만 확인할 수 있을 뿐 위변조된 종합정보를 특정할 수 없다.
상기 머클트리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그룹의 머클루트만 저장하고 모든 저작물 종합정보 해쉬값을 저장하지 않아도 그룹 내 위변조된 종합정보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저작물 종합정보를 머클트리 구조로 구성하여 저장/관리하게 된다. 종합정보를 그룹화하지 않아 머클트리 구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시스템 서버는 종합정보를 저장하고 이 기록에 대한 해쉬값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한다. 상기 시스템 서버는 상기 해쉬값을 데이터로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는 방법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해쉬값을 저장한다. 상기 시스템 서버는 상기 종합정보별로 상기 트랜잭션의 트랜잭션ID 또는 상기 트랜잭션을 생성하는데 사용한 블록체인 주소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트랜잭션ID 또는 상기 블록체인 주소를 검색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 해당 해쉬값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스템 서버는 상기 저작물 종합정보의 위변조 확인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저작물 종합정보의 해쉬값을 전송받아 상기 시스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저작물 종합정보로부터 해쉬값을 계산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받은 해쉬값과 비교하여 저작물 종합정보의 위변조 여부를 확인한다.
외부 침입이나 고의적인 조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저작물 종합정보에 대한 위변조 여부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시스템 서버는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여 이를 제공하게 된다.
관리자 단말기(210)는 저작물에 따른 종합정보를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로써, 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 서버를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관리 기관의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관리자 단말기(210)는 저작물 종합정보에 대한 위변조 시도 발생, 외부 공격 등과 같은 일련의 상황에서 각각의 정보 변동 발생 시 각각의 정보를 변경하여 업로드 하는 각 기관의 담당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자 단말기(210)는 상기 저작물 종합정보를 관리하는 기관일 수 있으며, 직접 블록체인 노드에 참여하는 복수의 관리자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생성된 저작물 종합정보에 대하여 시스템 서버(200)는 입력된(생성된) 저작물 종합정보를 입력하는 1-1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저작물 종합정보를 그룹화하여 그룹별로 종합정보, 종합정보 해쉬값, 머클트리를 저장하는 제 1-2단계와, 상기 종합정보에 대한 해쉬값과 머클트리를 저장하는 제1-3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 서버(200)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머클루트를 저장을 요청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머클루트를 저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따른 열람 요청의 흐름도이다.
상기 시스템 서버는,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저작물 종합정보 열람 요청이 발생한 경우 상기 시스템 서버에 종합정보의 열람 요청과 관리자 인증정보를 전송하고, 종합정보의 열람기록을 그룹화하여 상기 그룹별 종합정보의 열람기록과 종합정보의 열람기록의 해쉬값, 그룹의 머클트리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관리자 권한 변경 요청이 발생한 경우 상기 시스템 서버에 권한 변경 요청과 관리자 인증정보를 전송하고, 관리자 권한 변경기록을 그룹화하여 상기 그룹별 권한 변경기록과 권한 변경기록의 해쉬값, 그룹의 머클트리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종합정보의 위변조 확인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종합정보의 해쉬값을 전송받아 상기 시스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종합정보로부터 해쉬값을 계산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받은 해쉬값과 비교하여 종합정보의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위변조 여부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창작자 단말기
200 : 시스템 서버
210 : 관리자 단말기
300 : 블록체인 네트워크
400 : 사용자 단말기

Claims (11)

  1. 창작자의 창작 결과로 창작된 그림, 음악, 영상, 텍스트, 소설, 만화를 포함하는 저작물을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사이트상에 업로드하되, 상기 온라인 사이트상에 업로드되는 저작물에 대하여 NFT를 발행하여 각각의 저작물에 토큰이 생성된 저작물을 업로드하는 창작자 단말기;
    상기 창작자 단말기를 통해 업로드되는 저작물에 대한 창작자(권리자) 이름, 창작 일자, 창작 내용, 저작권 등록 완료시 등록번호, 해당 저작물이 매매되었을 경우 매수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물 종합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 서버;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생성된 저작물 종합정보에 대한 블록의 해쉬값과 트랜잭션을 저장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상기 시스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창작자가 업로드한 창작물의 열람, 대여, 사용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서버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되는 블록의 해쉬값과 트랜잭션을 그룹화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서버는,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 수신된 상기 저작물 종합정보의 열람기록(수신기록)을 그룹화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서버는,
    관리자 권한 변경기록을 그룹화하여 상기 그룹별 권한 변경기록과 권한 변경기록의 해쉬값을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
  5. 창작자의 창작 결과로 창작된 그림, 음악, 영상, 텍스트, 소설, 만화를 포함하는 저작물을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사이트상에 업로드하되, 상기 온라인 사이트상에 업로드되는 저작물에 대하여 NFT를 발행하여 각각의 저작물에 토큰이 생성된 저작물을 업로드하는 창작자 단말기;
    상기 창작자 단말기를 통해 업로드되는 저작물에 대한 창작자(권리자) 이름, 창작 일자, 창작 내용, 저작권 등록 완료시 등록번호, 해당 저작물이 매매되었을 경우 매수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물 종합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 서버;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생성된 저작물 종합정보에 대한 블록의 해쉬값과 트랜잭션을 저장하고, 상기 창작자 단말기를 통해 온라인 사이트상에 업로드된 창작물의 열람이나 대여,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수익에 대한 결제정보 블록의 해쉬값과 트랜잭션을 저장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상기 시스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창작자가 업로드한 창작물의 열람, 대여, 사용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고 창작물 사용허가가 승인되면 해당 창작물을 승인 형태에 따라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서버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되는 블록의 해쉬값과 트랜잭션을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을 머클루트(merkle Root)로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서버는,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 수신된 상기 저작물 종합정보의 열람기록(수신기록)을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별 저작물 종합정보의 열람기록과 열람기록에 해당하는 해쉬값, 그룹의 머클트리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서버는,
    관리자 권한 변경기록을 그룹화하여 상기 그룹별 권한 변경기록과 권한 변경기록의 해쉬값, 그룹의 머클트리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
  9. 제 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서버는,
    저장된 상기 저작물 종합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관리자 권한 변경 요청이 발생한 경우 상기 시스템 서버에 권한 변경 요청과 관리자 인증정보를 전송하고, 관리자 권한 변경기록을 그룹화하여 상기 그룹별 권한 변경기록과 권한 변경기록의 해쉬값, 그룹의 머클트리를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저작물 종합정보의 위변조 확인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저작물 종합정보의 해쉬값을 전송받아 상기 시스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저작물 종합정보로부터 해쉬값을 계산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받은 해쉬값과 비교하여 저작물 종합정보의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위변조 여부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저작물 종합정보에서 위변조로 확인된 경우 상기 창작자 단말기와 시스템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로 위변조가 발생되었다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
KR1020210178440A 2021-12-14 2021-12-14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 KR20230089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440A KR20230089769A (ko) 2021-12-14 2021-12-14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440A KR20230089769A (ko) 2021-12-14 2021-12-14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769A true KR20230089769A (ko) 2023-06-21

Family

ID=86989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440A KR20230089769A (ko) 2021-12-14 2021-12-14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976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380B1 (ko) 2005-07-20 2006-12-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Mpεg-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에 기반한 디지털컨버젼스 플랫폼
KR101938878B1 (ko) 2018-06-14 2019-01-15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관리 시스템
KR102144302B1 (ko) 2016-03-01 2020-08-1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323722B1 (ko) 2019-09-09 2021-11-08 정규용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보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380B1 (ko) 2005-07-20 2006-12-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Mpεg-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에 기반한 디지털컨버젼스 플랫폼
KR102144302B1 (ko) 2016-03-01 2020-08-1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938878B1 (ko) 2018-06-14 2019-01-15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관리 시스템
KR102323722B1 (ko) 2019-09-09 2021-11-08 정규용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보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878B1 (ko)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관리 시스템
KR102388233B1 (ko)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Zhang et al. A design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mechanism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KR101983529B1 (ko) 저작권 침해 방지를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 시스템
KR101628005B1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리 위변조 감지시스템
US8606673B1 (en) Escrowing digital property in a secure information vault
US7587366B2 (en) Secure information vault, exchange and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20130030941A1 (en) Method of providing cash and cash equivalent for electronic transactions
US20080195499A1 (en) Method Of Providing Cash And Cash Equivalent For Electronic Transctions
US20050154608A1 (en) Digital media distribution and trading system used via a computer network
US20040059683A1 (en) Automated multi-level marketing system
CN100555299C (zh) 一种数字版权保护方法和系统
US200400346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distribution and reselling
KR101983530B1 (ko) 블록체인에 저작물을 저장하는 등록 시스템
KR102252954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식재산권거래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US20080109249A1 (en) Digital media distribution and trading system used via a computer network
WO2001086527A1 (fr) Systeme de transactions de donnees numeriques
KR102323722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보호 시스템
US20100218239A1 (en) Digital Content Counting System and Method
US20130067602A1 (en) Copyrights with Post-Payments for P2P File Sharing
TW201327440A (zh) 雲端數位版權商品交易平台與雲端數位版權管理方法
WO2022270551A1 (ja) Nft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nft情報管理プログラム
US20060229989A1 (en) Valuating rights for 2nd hand trade
KR20230089769A (ko) Nft 발행을 적용한 창작자의 저작물 이력 관리 시스템
Brown Coded Copyright?: How Copyright Enforcement, Remuneration, and Verification Terms in Blockchain-Enhanced Contract Models for Online Art Sales Compare to Their Traditional Counterp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