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361A - 택배 배달 시스템 - Google Patents

택배 배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361A
KR20230089361A KR1020210177920A KR20210177920A KR20230089361A KR 20230089361 A KR20230089361 A KR 20230089361A KR 1020210177920 A KR1020210177920 A KR 1020210177920A KR 20210177920 A KR20210177920 A KR 20210177920A KR 20230089361 A KR20230089361 A KR 20230089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de
courier
encryption code
user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호
김소희
양유진
서봉석
전수현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77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9361A/ko
Publication of KR20230089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3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기술은 택배 배달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러한 본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구현 예는 택배정보에 대해 다단계 암호화를 통해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른 접근권한 별로 택배정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노출시킴에 따라 택배정보에 대한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고, 개인정보 노출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택배 배달 시스템{COURIER DELIVERTY SYSTEM}
본 발명은 택배 배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택배정보에 대해 다단계로 암호화된 QR 코드를 통해 수행되는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른 접근 권한 별로 택배정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노출함에 따라 택배정보의 노출에 따른 개인정보의 노출 사고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택배 배송 또는 배달 시스템의 경우 개인 정보가 쉽게 노출되어 있어 수령인 이외의 사람들에게 개인 정보가 노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코로나 19로 인해 언택트를 기반으로 한 주문 및 배달, 배송 서비스가 급격히 늘어나게 되어 택배 배송 관련 사업은 거대한 시장으로 성장하고 있어 배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보 표시 방법에 한계가 있어 개인 정보가 유출되어 사고 또는 범죄에 악용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택배정보에 대한 다단계 암호화를 통해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른 사용자의 접근권한 별로 택배정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노출시킴에 따라 택배정보의 노출에 따른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택배정보에 대한 다단계 암호화를 통해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른 접근권한 별로 택배정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노출시킴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고, 개인정보 노출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 배송 시스템은,
의뢰인 단말에 의거 제작되어 택배에 부착된 다단계 암호화된 QR 코드를 통신망을 통해 전달받아 저장하는 암호화 코드 생성부;
상기 다단계 암호화된 QR 코드 중 1단계 암호화 코드를 해독하여 배송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 및
상기 배송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 성공 시 QR 코드 중 2단계 암호화 코드를 디코딩하여 택배정보의 배송지정보 및 수령자 연락처를 배송자에게 전달하는 택배정보 노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인증부는,
상기 택배에 부착된 QR 코드 중 1단계 암호화 코드를 해독하여 상기 배송자에 의거 전달된 택배를 수령한 수령자에 대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택배정보 노출부는,
상기 수령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 성공 시 QR 코드 중 2단계 암호화 코드를 디코딩하여 택배정보의 배송품 정보, 배송자 정보, 및 의뢰인 정보를 수령자 단말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암호화 코드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1단계 암호화 코드를 QR(Quick Response) 코드의 100% 검은색과 100% 흰색으로 제작하고, 택배정보를 암호화하여 기록하기 위한 2단계 암호화 코드를 QR 코드의 100% 검은색과 95% 검은색 및 100% 흰색과 95% 흰색으로 제작하며,
상기 1단계 암호화 코드는, 2단계 암호화 코드가 기록되는 QR 코드의 셀 블록의 중앙에 배치되고 1단계 암호화 코드와 2단계 암호화 코드 사이는 셀 블록은 공란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인증부는,
1단계 암호화 코드 및 2단계 암호화 코드가 합성된 QR 코드의 이미지로부터 1단계 암호화 코드를 독출하고
입력된 택배 배송을 수행하는 배송자가 소지한 단말을 이용하여 입력된 배송자 정보와 QR 코드의 1단계 암호화 코드의 배송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배송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성공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택배정보 노출부는,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합성된 QR 코드의 이미지와, 합성된 QR 코드의 이미지에 대해 기 정해진 임계치 밝은 이미지, 및 합성된 QR 코드의 이미지에 대해 기 정해진 임계치 어두운 이미지를 각각 분리한 다음 밝은 이미지에서 100% 검은색과 95% 검은색을 분리하고, 어두운 이미지에서 100% 흰색과 95%의 흰색을 분리한 다음 디코딩하여 2단계 암호화 코드를 독출하고,
독출된 2단계 암호화 코드에 기록된 배송지 정보 및 수령자 연락처를 배송자 단말로 전달하거나 배송품 정보, 배송자 정보, 및 의뢰인 정보를 수령자 단말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택배정보에 대해 다단계 암호화를 통해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른 접근권한 별로 택배정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노출시킴에 따라 택배정보에 대한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고, 개인정보 노출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택배 배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송자 단말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인증 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인증 장치의 처리 알고리즘을 보인 도이다.
도 5는 도 2의 인증 장치의 다단계로 암호화된 QR 코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QR 코드를 디코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택배 배송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송자 단말의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인증 장치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인증 장치의 처리 알고리즘을 보인 도이며, 도 5는 도 2의 인증 장치의 다단계로 암호화된 QR 코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QR 코드를 디코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택배 배달 시스템은, 의뢰인 단말(1), 인증장치(2), 배송자 단말(3) 및 수령자 단말(4)를 포함한다. 여기서, 의뢰인은 택배 배송을 의뢰한 자이고, 배송자는 의뢰인으로부터 의뢰받은 택배를 배달하는 자이며, 수령인은 배송자에 의거 배달된 의뢰인의 택배를 수령하는 자이다.
이에 택배 배달 시스템은, 의뢰인 단말(1)에 의거 작성된 다단계 암호화 코드를 택배에 부착한 다음 통신망을 통해 인증장치(2)로 전달하고 다단계 암호화 코드를 인증장치(2)에 등록한 다음 등록된 다단계 암호화 코드가 배송자 단말(3) 또는 수령자 단말(4)에 의해 독출되면, 독출된 배송자 또는 수령자 정보와 입력된 배송자 정보 또는 수령자 정보가 각각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 성공으로 판단하고, 배송자 또는 수령자 각각의 접근 권한에 따라 암호화 코드로 등록된 택배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디코딩하여 노출시킨다.
일 례로, 배송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 성공 시 배송 정보 중 배송지 정보 및 수령자 연락처가 노출되고, 수령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 성공 시 배송 정보 중 배송품 정보, 배송자 정보, 및 의뢰인 정보 등이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암호화 코드는 QR 코드인 것을 일 례로 설명하고 있으나 바코드, RF, 비컨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아울러, 의뢰인 단말(1)은 의뢰인 정보, 배송자 정보 및 수령자 정보의 1단계 암호화 코드와 배송품 정보 및 배송지 정보의 택배정보를 2단계 암호화 코드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제작 가능한 단말이고, 제작된 QR 코드는 택배에 부착되고 통신망을 통해 인증장치(2)로 전달된다.
그리고, 배송자 단말(3)은 택배의 QR 코드를 스캔하여 배송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 성공 시 배송자 접근 권한에 의거 디코딩된 택배정보 중 배송지 정보 및 수령자 연락처를 노출시키는 단말이며, 수령자 단말(4)은 암호화된 QR 코드를 스캔하여 수령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 성공 시 수령자 접근 권한에 의거 디코딩된 택배정보 중 배송품정보, 배송자 정보 및 의뢰인 정보를 노출시키는 단말이다.
여기서 단말은 일 예로,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TV, PC(Personal Computer), 데스크탑(Desktop) PC, 노트북(Notebook), 스마트 보드(Smart Board), 태블릿(Tablet) PC,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 핸드헬드(handheld) 기기 또는 핸드헬드 컴퓨터, 미디어 플레이어, 전자북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터치 기반의 사용자의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및 디지털 CE(Consumer Electronics, 예를 들어, 이미지 디스플레이 및 터치 기반의 사용자의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장치) 등이 될 수 있고, 다른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R(Augmented Reality) 글래스, 카메라 및 AR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AR HMD(Head mounted Display)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AR HMD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QR 코드의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기반으로 AR HMD와 인증장치 간에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인증장치에 등록된 QR 코드에 기록된 사용자 인증 성공된 택배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수신된 택배정보는 AR 디스플레이를 활용하여 3차원 객체로 가상 공간 상에 맵지도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AR HMD의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 또는 별도로 마련된 단말과 연동하여 수령자 간의 연락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택배정보는 배송자 단말(3) 또는 수령자 단말(4)의 가상 공간 상에서 3차원 객체로 노출될 수 있다.
인증장치(2)는 도 3을 참조하면, 암호화 코드 등록부(21), 사용자 인증부(22), 및 택배정보 노출부(23)을 포함하며, 인증장치(2)는 의뢰인 단말(1)을 통해 제작되어 택배에 부착된 QR 코드를 통신망을 통해 전달받아 암호화 코드 등록부(21)에 등록한 다음 부착된 QR 코드로부터 독출된 배송자 정보 또는 수령자 정보와 입력된 배송자 단말(3) 또는 수령자 단말(4)의 정보를 토대로 배송자 단말(3) 또는 수령자 단말(4) 각각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각각의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배송자 접근 권한 또는 수령자 접근 권한 별로 등록된 QR 코드의 택배정보 중 일부 또는 전체를 사용자 인증 성공한 배송자 단말(3) 또는 수령자 단말(4)로 각각 전달한다.
여기서, 입력된 배송자 단말 또는 수령자 단말의 정보는,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QR 코드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기반으로 연결된 인증장치(2)로부터 수신될 수 있고, 또한, 웹 페이지 상의 화면을 통해 입력된 배송자의 지문 또는 홍채 등의 생체 정보일 수 있으며, 배송자 단말(3) 또는 수령자 단말(4)의 입력장비(미도시됨)를 통해 직접 입력된 비밀번호일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인증장치(2)의 동작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암호화 코드 등록부(21)는 의뢰인 단말(1)에 의해 제작된 QR 코드를 통신망을 전달받아 등록한다. 여기서, QR 코드는 의뢰인 정보, 배송자 정보, 및 수령자 정보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1단계 암호화 코드와 인증 성공한 배송자 또는 수령자 각각의 접근 권한 별로 QR 코드의 택배정보 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2단계 암호화 코드가 포함된다. 즉, 1단계 암호화 코드는, 의뢰인 정보, 배송자 정보, 및 수령자 정보가 암호화되어 기록되고, 2단계 암호화 코드는 택배정보, 예를 들어 배송자 정보, 배송품 정보, 의뢰인 정보 등, 이 암호화되어 기록된다.
하기 1단계 암호화 코드는 100% 검은색과 100% 희색의 이미지를 가지며, 2단계 암호화 코드는 100% 검은색, 95% 검은색, 100% 흰색, 및 95%의 흰색으로 나타낸다. 이에 표 1을 참조하면, 환산된 1단계 암호화 코드 11은 100% 검은색으로 10은 100% 희색으로 기록되고, 환산된 2단계 암호화 코드 11은 100% 검은색, 10은 95% 검은색, 00은 100% 흰색, 및 01은 95%의 흰색으로 기록된다.
또한, QR 코드는 하기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 40 버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버전마다 셀 구성(셀 수)이 정해져 있다. QR 코드는 기록하고자 하는 코드의 데이터량이 증가하면 많은 셀(cell)의 QR 코드가 요구되고, 이에 QR 코드의 크기는 커진다.
이에 일 실시예에서 1단계 암호화 코드는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의뢰인 정보, 배송자 정보, 및 수령자 정보를 기록하여야 하므로 하기 표 2의 7 ~ 10 버전의 셀 수가 포함된 셀 블럭이 요구되고, 2단계 암호화 코드는 택배정보를 기록하여야 하므로 1단계 암호화 코드의 3배수 이상인 하기 표 2의 35 ~ 40 버전의 셀 수가 포함된 셀 블럭이 요구된다. 또한 1단계 암호화 코드의 하나의 셀 블럭이 2단계 암호화 코드의 9개 셀 블럭과 매칭되고, 1단계 암호화 코드는 2단계의 암호화 코드의 중앙부에 배치하여 1단계 암호화 코드와 2단계 암호화 코드 사이는 공란으로 기록된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2]
Figure pat00002
도 5을 참조하면, (1)에 도시된 1단계 암호화 코드의 셀 블럭은 (2)에 도시된 2단계 암호화 코드 보다 데이터 수가 작음에 따라 셀 블록이 작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증부(22)는 암호화 코드 등록부(21)의 QR 코드를 배송자 단말(3)에 의거 스캔하여 1단계 암호화 코드의 배송자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배송자 정보와 배송자 단말(3)을 통해 입력된 배송자 정보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 독출된 배송자 정보 및 입력된 배송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배송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성공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1단계의 암호화 코드는 QR 코드의 중앙부에 위치한 100% 검은색과 100% 흰색을 분리하여 디코딩되어 배송자 정보가 독출되고, 그리고 배송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 결과는 택배정보 노출부(23)로 전달된다.
택배정보 노출부(23)는 QR 코드의 2단계 암호화 코드를 디코딩한다. 즉, QR 코드의 합성된 이미지와, 합성된 이미지에 대해 기 정해진 임계치 밝은 이미지, 및 합성된 이미지에 대해 기 정해진 임계치 어두운 이미지는 QR 코드에서 각각 분리된 다음 밝은 이미지에서 100% 검은색과 95% 검은색을 분리하고 어두운 이미지에서 100% 흰색과 95%의 흰색을 분리한 후 디코딩하여 2단계 암호화 코드가 독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a)는 도 3의 (1)의 1단계 암호화 코드와 도 3의 (2)의 2단계의 암호화 코드를 합성한 QR 코드이고, (b)는 (a)에 도시된 합성한 QR 코드의 50% 밝은 이미지이고, (c)는 (a)에 도시된 합성한 QR 코드의 50% 어두운 이미지이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a)의 합성한 QR 코드와, (b)의 합성한 QR 코드의 50% 밝은 이미지와 (c)의 합성한 QR 코드의 50% 어두운 이미지를 분리한 다음 2단계 암호화 코드가 디코딩된다. 즉, 50% 밝은 이미지로부터 11과 10 (검은색 100%와 검은색 95%)를 구별하고 50% 어두운 이미지로부터 01과 00 (흰색 95%와 흰색 100%)를 구별하여 2단계 암호화 코드가 독출된다.
또한 택배정보 노출부(23)는 독출된 2단계 암호화 코드의 택배 정보 중 배송자 단말(3)의 접근 권한에 의거 배송지 정보 및 수령인 연락처 등을 독출하고 도출된 배송지 정보 및 수령자 연락처를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배송자 단말(3)로 전달한다. 이에 배송자 단말(3)은 배송지 정보 및 수령자 연락처가 화면창에 노출된다. 이 후 배송지 정보를 획득한 배송자 단말(3)은 수령자와의 통화를 통해 배송 일정 등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배송지에 도착한 택배의 QR 코드가 수령자 단말(4)에 의거 획득되어 1 단계 암호화 코드의 수령자 정보가 독출되면, 사용자 인증부(22)는 수령자 단말(4)의 입력된 수령자 정보와 독출된 수령자 정보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입력된 수령자 정보와 독출된 수령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수령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성공으로 판단하고 수령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 결과는 택배정보 노출부(23)로 전달된다.
택배정보 노출부(23)는 수령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 성공 시 QR 코드의 2단계 암호화 코드를 디코딩하여 배송품 정보, 배송자 정보 및 의뢰인 정보를 독출하고 도출된 배송품 정보 및 의뢰인 정보를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수령자 단말(4)로 전달한다. 이에 수령자 단말(3)은 수신된 배송품 정보, 배송자 정보 및 의뢰인 정보를 화면창에 노출시킨다.
한편 사용자 인증부(22)의 수령자의 인증 결과 사용자 인증 실패인 경우 택배정보 노출부(23)은 사용자 인증 실패와 택배의 수령자가 아님을 인증 시도한 단말로 전송한다.
택배정보에 대해 다단계 암호화를 통해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른 접근권한 별로 택배정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노출시킴에 따라 택배정보에 대한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고, 개인정보 노출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택배정보에 대해 다단계 암호화를 통해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른 접근권한 별로 택배정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노출시킴에 따라 택배정보에 대한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고, 개인정보 노출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택배 배달 시스템에 대한 운용의 정확성 및 신뢰도 측면, 더 나아가 성능 효율 면에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의 적용할 수 있고, AR 기반의 택배 시스템의 핵심 기술을 확보함에 따라 관련 산업분야의 환경 모니터링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AR 기반의 택배 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 의뢰인 단말
2 : 인증장치
21 : 암호화 코드 등록부
22 : 사용자 인증부
23 : 택배정보 노출부
3 : 배송자 단말
4 : 수령자 단말

Claims (5)

  1. 의뢰인 단말에 의거 제작되어 택배에 부착된 다단계 암호화된 QR 코드를 통신망을 통해 전달받아 저장하는 암호화 코드 생성부;
    상기 다단계 암호화된 QR 코드 중 1단계 암호화 코드를 해독하여 배송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 및
    상기 배송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 성공 시 QR 코드 중 2단계 암호화 코드를 디코딩하여 택배정보의 배송지정보 및 수령자 연락처를 배송자에게 전달하는 택배정보 노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 배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부는,
    상기 택배에 부착된 QR 코드 중 1단계 암호화 코드를 해독하여 상기 배송자에 의거 전달된 택배를 수령한 수령자에 대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택배정보 노출부는,
    상기 수령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 성공 시 QR 코드 중 2단계 암호화 코드를 디코딩하여 택배정보의 배송품 정보, 배송자 정보, 및 의뢰인 정보를 수령자 단말로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 배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코드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1단계 암호화 코드를 QR(Quick Response) 코드의 100% 검은색과 100% 흰색으로 제작하고, 택배정보를 암호화하여 기록하기 위한 2단계 암호화 코드를 QR 코드의 100% 검은색과 95% 검은색 및 100% 흰색과 95% 흰색으로 제작하며,
    상기 1단계 암호화 코드는, 2단계 암호화 코드가 기록되는 QR 코드의 셀 블록의 중앙에 배치되고 1단계 암호화 코드와 2단계 암호화 코드 사이는 셀 블록은 공란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 배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부는,
    1단계 암호화 코드 및 2단계 암호화 코드가 합성된 QR 코드의 이미지로부터 1단계 암호화 코드를 독출하고
    입력된 택배 배송을 수행하는 배송자가 소지한 단말을 이용하여 입력된 배송자 정보와 QR 코드의 1단계 암호화 코드의 배송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배송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성공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 배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택배정보 노출부는,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합성된 QR 코드의 이미지와, 합성된 QR 코드의 이미지에 대해 기 정해진 임계치 밝은 이미지, 및 합성된 QR 코드의 이미지에 대해 기 정해진 임계치 어두운 이미지를 각각 분리한 다음 밝은 이미지에서 100% 검은색과 95% 검은색을 분리하고, 어두운 이미지에서 100% 흰색과 95%의 흰색을 분리한 다음 디코딩하여 2단계 암호화 코드를 독출하고,
    독출된 2단계 암호화 코드에 기록된 배송지 정보 및 수령자 연락처를 배송자 단말로 전달하거나 배송품 정보, 배송자 정보, 및 의뢰인 정보를 수령자 단말로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 배달 시스템.
KR1020210177920A 2021-12-13 2021-12-13 택배 배달 시스템 KR202300893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920A KR20230089361A (ko) 2021-12-13 2021-12-13 택배 배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920A KR20230089361A (ko) 2021-12-13 2021-12-13 택배 배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361A true KR20230089361A (ko) 2023-06-20

Family

ID=8699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920A KR20230089361A (ko) 2021-12-13 2021-12-13 택배 배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93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9094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US9830588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smartphone payments
US9965756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smartphone payments
US7508954B2 (en) System and method of generic symbol recognition and user authentication using a communication device with imaging capabilities
US9213931B1 (en) Matrix barcode enhancement through capture and use of neighboring environment image
US20100223663A1 (en) Authenticating server device, terminal device, authenticating system and authenticating method
US8251290B1 (en) Bar code validation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140258110A1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smartphone payments and transactions
US9070000B2 (en) Secondary information for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matrix bar code function
US20140244514A1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smartphone payments and transactions
US20120138679A1 (en) Secure two dimensional bar codes for authentication
US9479914B2 (en) Intuitive computing methods and systems
EP2962262A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smartphone payments and transactions
US20140245019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privacy-protecting documen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method of performing privacy-protecting document authentication using the same
US10268938B2 (en) Managing privacy of information during shipments
CN103532960B (zh) 解密装置
EP3151180A1 (en)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US10805501B2 (en) Converting biometric data into two-dimensional images for use in authentication processes
CN108964921A (zh) 认证系统、认证方法和服务服务器
US20130090059A1 (en) Identity verification
CN106406787A (zh) 信息提供系统、计算机程序以及印刷物
KR20230089361A (ko) 택배 배달 시스템
JP6541311B2 (ja) 暗号情報コードを利用した復号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US20220156475A1 (en) Synthetic standardized wave identifiers for representing and classifying entities
US20140143858A1 (en) Processing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in a machine-to-human communications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