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360A - Bakeout device using tqcm sensor - Google Patents

Bakeout device using tqcm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360A
KR20230089360A KR1020210177919A KR20210177919A KR20230089360A KR 20230089360 A KR20230089360 A KR 20230089360A KR 1020210177919 A KR1020210177919 A KR 1020210177919A KR 20210177919 A KR20210177919 A KR 20210177919A KR 20230089360 A KR20230089360 A KR 20230089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bundles
capillary
senso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9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수환
박성욱
서희준
이상훈
조혁진
이혜진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77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9360A/en
Publication of KR20230089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3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20Arrangement of controlling, monitoring, alarm or lik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14Arrangements of he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7/00Furnaces of a kind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 F27B17/0016Chamber type furnaces
    • F27B17/0025E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semiconductor waf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2014/0837Coo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크 아웃 장치에 있어서, 챔버, 상기 챔버 내에 위치하고, 상부에 베이크 아웃되는 시편이 배치되는 선반부, 상기 챔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시편 상부에 위치하는 베이크 아웃에서 발생하는 탈기체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측정부, 상기 챔버 내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고, 상기 측정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냉각부는, 일측의 증발 영역은 상기 측정부에 접촉하고, 타측의 응축 영역은 상기 챔버 외부에 위치하는, 폐루프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모세관 다발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모세관 다발은 내부에 작동 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유체는 액상 슬러그와 기포 플러그의 형태로 진동하면서 상기 증발 영역으로부터 상기 응축 영역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In the bake-o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chamber, a shelf located in the chamber and on which a specimen to be baked out is disposed, located in the chamber, and measuring degassing generated during bake-out located above the specimen It may include a measuring unit including a sensor,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located in the chamber, and a cooling unit for cooling the measuring unit, wherein an evaporation region of one side contacts the measurement unit, and a condensation region of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measurement unit.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pillary bundles constituting a closed loop located outside the chamber, wherein the capillary bundles contain a working fluid therein, and the working fluid vibrates in the form of liquid slugs and bubble plugs to form the evaporation region. Heat may be transferred from the condensation zone to the condensation zone.

Description

TQCM 센서를 이용하는 베이크 아웃 장치{BAKEOUT DEVICE USING TQCM SENSOR}Bakeout device using TQCM sensor {BAKEOUT DEVICE USING TQCM SENSOR}

이하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TQCM 센서를 이용하는 베이크 아웃 장치에 관한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below relate to a bake-out device using a TQCM sensor.

베이크 아웃(Bakeout)은 여러 산업분야에서 고온의 열과 가능하다면 진공을 이용하여 베이크 아웃 대상으로부터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즉 이는 인위적으로 가속된 탈기체(outgassing) 과정이다.Bakeout is, in many industries, the process of removing volatile substances from a baked-out object using high-temperature heat and possibly vacuum. That is, it is an artificially accelerated outgassing process.

TQCM 센서(Thermoelectric Quartz Crystal Microbalance Sensor)는 위성체 및 우주 부품의 베이크아웃 과정에서 발생하는 탈기체 및 오염 물질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우주 산업에 있어 세계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TQCM 센서는 부품의 베이크 아웃 정도를 측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TQCM sensor (Thermoelectric Quartz Crystal Microbalance Sensor) is widely used worldwide in the space industry to measure the amount of outgassing and contaminants generated during the bake-out process of satellites and space parts. Accordingly, the TQCM sensor can be used to measure the degree of baking out of the part.

TQCM 센서는 진공 챔버 내에 위치한 시편에서 발생하는 오염 분자를 포집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센서이고, TQCM 센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센서의 측정부 표면을 일정 온도(통상적으로 약 -20 ℃)로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내부에 열전소자(Thermoelectric Module)가 내장되어 있다. 측정부 표면을 -20 ℃ 수준의 저온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TQCM 센서의 측정부와 연결된 본체 부분의 온도는 상온 수준으로 유지되어야 한다.The TQCM sensor is a sensor that collects and quantitatively measures contaminant molecules generated from a specimen located in a vacuum chamber. , a thermoelectric module is embedded inside. In order to constantly maintain the surface of the measurement part at a low temperature of the level of -20 ℃, the temperature of the body part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part of the TQCM sensor must be maintained at room temperature.

상기 언급한 것과 같이 본체 부분의 온도를 상온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냉각 시스템이 필요하다.As mentioned above, a cooling system is required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body part at room temperature.

한편, TQCM 센서는 우주 산업 외에도 아니라 반도체 공정, 배터리 개발, 바이오 산업 등 유망 산업 분야들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Meanwhile, TQCM sensors are widely used not only in the space industry but also in promising industries such as semiconductor processing, battery development, and the bio industry.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The above background art is possessed or acquired by the inventor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art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TQCM 센서를 냉각시킬 수 있는 베이크 아웃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 bake-out device capable of cooling a TQCM sensor.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누수가 발생되지 않는 베이크 아웃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 bake-out device in which leakage does not occur.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크 아웃 장치에 있어서, 챔버, 상기 챔버 내에 위치하고, 상부에 베이크 아웃되는 시편이 배치되는 선반부, 상기 챔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시편 상부에 위치하는 베이크 아웃에서 발생하는 탈기체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측정부, 상기 챔버 내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고, 상기 측정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냉각부는, 일측의 증발 영역은 상기 측정부에 접촉하고, 타측의 응축 영역은 상기 챔버 외부에 위치하는, 폐루프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모세관 다발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모세관 다발은 내부에 작동 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유체는 액상 슬러그와 기포 플러그의 형태로 진동하면서 상기 증발 영역으로부터 상기 응축 영역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In the bake-o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chamber, a shelf located in the chamber and on which a specimen to be baked out is disposed, located in the chamber, and measuring degassing generated during bake-out located above the specimen It may include a measuring unit including a sensor,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located in the chamber, and a cooling unit for cooling the measuring unit, wherein an evaporation region of one side contacts the measurement unit, and a condensation region of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measurement unit.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pillary bundles constituting a closed loop located outside the chamber, wherein the capillary bundles contain a working fluid therein, and the working fluid vibrates in the form of liquid slugs and bubble plugs to form the evaporation region. Heat may be transferred from the condensation zone to the condensation zone.

상기 모세관 다발들은 이웃하게 배열될 수 있고, 상기 모세관 다발들 중 최외곽에 위치한 두 다발들의 일 단부들은 다른 다발들을 우회하여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모세관 다발들 중 상기 두 다발들 외의 나머지 다발들의 일 단부는 이웃한 다발의 일 단부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나머지 다발들의 타 단부는 다른 이웃한 다발의 타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The capillary bundles may be arranged next to each other, one ends of two outermost bundles of the capillary bundles may be connected by bypassing other bundles, and one ends of the remaining bundles other than the two bundles of the capillary bundles may be connected.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a neighboring bundle, and the other end of the remaining bundles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another neighboring bundle.

상기 측정부는, 상기 센서와 연결되는 센서 몸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센서 몸체는 상기 모세관 다발의 상기 증발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The measur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body connected to the sensor, and the sensor body may be connected to the evaporation region of the capillary bundle.

상기 증발 영역의 상부에 상기 응축 영역이 위치하여, 상기 작동 유체는 중력 방향 및 중력 반대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Since the condensation region is located above the evaporation region, the working fluid may vibrate in a gravitational direction and an opposite gravitational direction.

상기 냉각부는, 상기 모세관 다발의 상기 응축 영역의 열을 방열시키도록 상기 응축 영역에 접촉하는 히트 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ol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heat sink contacting the condensation region to dissipate heat from the condensation region of the capillary bundle.

상기 히트 싱크는 상기 모세관 다발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 개의 금속판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금속판들은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The heat sink may include a plurality of metal plates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apillary bundle, and the plurality of metal plates may be arranged at intervals.

상기 작동 유체는, 수소불화탄소 또는 질소를 포함할 수 있다.The working fluid may include hydrofluorocarbon or nitrogen.

상기 센서 몸체는, 상기 히트 싱크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증발 영역 수용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히트 싱크는, 상기 센서 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응축 영역 수용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응축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응축 영역 수용 공간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증발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증발 영역 수용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The sensor body may have an evaporation region accommodating space that opens in a direction toward the heat sink, and the heat sink may have a condensation region accommodating space that opens in a direction toward the sensor body. At least a portion may be accommodated in the condensation region accommodating spac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evaporation region may be accommodated in the evaporation region accommodating space.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크 아웃 장치는 TQCM 센서를 냉각시킬 수 있다.A bake-o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ool the TQCM sensor.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크 아웃 장치는 누수가 발생되지 않는 베이크 아웃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bake-o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provides a bake-out device that does not leak.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크 아웃 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bake-o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크 아웃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크 아웃 장치의 모세관 다발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크 아웃 장치의 모세관 다발의 일 부분(도 2의 A 부분)을 도시한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ake-o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llustrates a capillary bundle of a bake out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3 shows a portion (portion A in FIG. 2 ) of a capillary bundle of a bake-o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can be made to the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to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rights.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at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another element between the ele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including common function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stated to the contrary, descriptions described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to the extent of overlap.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크 아웃 장치(100)의 개략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크 아웃 장치(100)는 베이크 아웃 대상과 센서(131)가 내부에 위치되는 챔버(110), 챔버(110) 내에 위치되는 선반부(120), 탈기체를 측정하는 TQCM 센서(131)를 포함하는 측정부(130), 측정부(130)를 냉각시키는 냉각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ake o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ake-o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hamber 110 in which a bake-out object and a sensor 131 are located, a shelf 120 located in the chamber 110, and a TQCM sensor for measuring degassing. It may include a measuring unit 130 including 131 and a cooling unit 140 cooling the measuring unit 130 .

챔버(110)는 도 1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110)는 육면체의 형태일 수 있고, 원통형일 수 있다. 또한 시험대상인 시편(T)은 반도체 부품부터 항공우주 부품까지 종류와 크기가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시편(T)을 내부에 수용해야하는 챔버(110)의 크기도 다양할 수 있다.Although the chamber 110 is shown schematically in FIG. 1, its shape may vary. For example, the chamber 110 may have a hexahedral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In addition, since the type and size of the specimen T to be tested may vary from semiconductor parts to aerospace parts, the size of the chamber 110 to accommodate the specimen T therein may also vary.

선반부(120)는 챔버(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110)의 바닥면 상에 배치되어 챔버(110)의 상부를 향해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선반부(120)가 챔버(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높이는 다양할 수 있다. 선반부(120)의 상부에는 탈기체 측정 대상인 시편(T)이 배치될 수 있다.The shelf 1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hamber 110 . For example, it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110 and extend toward the top of the chamber 110 . The height of the shelf 120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110 may vary. A specimen T to be measured for degassing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helf 120 .

측정부(130)는 챔버(110) 내부 및 선반부(120) 상부에 배치되는 시편(T)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부(130)는 선반부(120) 상부에 배치되는 시편(T)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상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The measuring unit 130 may be located above the specimen T disposed inside the chamber 110 and above the shelf 120 . For example, the measurement unit 130 may be spaced up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pecimen T disposed on the shelf unit 120 .

측정부(130)는 TQCM 센서(131) 및 TQCM 센서(131)가 안착되는 센서 몸체(1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unit 130 may include a TQCM sensor 131 and a sensor body 132 on which the TQCM sensor 131 is seated.

TQCM 센서(131)는 진공 챔버(110) 내에 위치한 시편(T)에서 발생하는 오염 분자를 포집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센서(131)이다. 예를 들어, 탈기체된 오염물질 등은 휘발성 물질로 탈기체 후 상부로 확산되므로 TQCM 센서(131)는 시편(T)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TQCM sensor 131 is a sensor 131 that collects and quantitatively measures contaminant molecules generated from the specimen T located in the vacuum chamber 110 . For example, since degassed contaminants are volatile substances and diffuse upward after degassing,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TQCM sensor 131 is positioned above the specimen T.

한편, TQCM 센서(131)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센서(131)의 측정부(130) 표면을 일정 온도(약 -20 ℃)로 유지해야하기 때문에, TQCM 센서(131)의 측정부(130)와 연결된 본체 부분의 온도는 상온 수준(약 20 ℃)으로 유지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use the TQCM sensor 131, since the surface of the measurement unit 130 of the sensor 131 must be maintained at a constant temperature (about -20 ° C), the measurement unit 130 of the TQCM sensor 131 is connected. The temperature of the main body part should be maintained at room temperature level (about 20 ℃).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센서 몸체(132)를 냉각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TQCM 센서(131)를 냉각시키기 위해서,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크 아웃 장치(100)는 측정부(130)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in order to cool the TQCM sensor 131 as a result of cooling the sensor body 132, the bake-ou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cooling unit capable of cooling the measuring unit 130. (140).

냉각부(140)는 센서 몸체(132)의 열을 방열기능을 하는 히트 싱크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모세관 다발(141) 및 모세관 다발(141)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히트 싱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oling unit 140 may include a capillary bundle 141 serving to transfer heat from the sensor body 132 to a heat sink having a heat dissipation function and a heat sink dissipating heat received from the capillary bundle 141 to the outside. can

예를 들어, 히트 싱크는 챔버(110)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모세관 다발(141)은 적어도 일 부분이 챔버(110) 내부에 배치되고, 나머지 부분이 챔버(11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세관 다발(141)은 측정부(130) 상부에 배치되고, 히트 싱크는 모세관 다발(141) 상부에 배치되어서, 측정부(130), 모세관 다발(141) 및 히트 싱크는 중력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heat sink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hamber 110, at least a portion of the capillary bundle 141 may be disposed inside the chamber 110, and the remaining portion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hamber 110. . For example, the capillary bundle 141 is disposed above the measurement unit 130, and the heat sink is disposed above the capillary bundle 141, so that the measurement unit 130, the capillary bundle 141, and the heat sink ar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can be arranged as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크 아웃 장치(100)의 모세관 다발(141)을 도시한다. 도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복수 개의 모세관 다발(141)은 일측이 측정부(130)에 접촉하고 타측은 챔버(110) 외부에서 히트 싱크와 접촉한다. 2 shows a capillary bundle 141 of a bake o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Referring to FIGS. 1 and 2 together,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capillary bundles 141 contacts the measuring unit 130 and the other side contacts the heat sink outside the chamber 110 .

예를 들어, 모세관 다발(141)의 일측은 측정부(130)와 효과적으로 접촉하기 위해, 측정부(130)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용 공간에 수용됨으로써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모세관 다발(141)의 타측은 히트 싱크와 효과적으로 접촉하기 위해, 히트 싱크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용 공간에 수용됨으로써 접촉할 수 있다.For example, one side of the capillary bundle 141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measurement unit 130 by being accommodated in a receiving space concavely formed on one side of the measurement unit 130 to effectively contact the measurement unit 130 . 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capillary bundle 141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heat sink by being accommodated in a receiving space concavely formed on one side of the heat sink in order to effectively contact the heat sink.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세관 다발(141)들은 복수 개가 연결되어 폐루프를 구성할 수 있고, 모세관 다발(141)들의 수는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모세관 다발(141)이 이웃하게 배열되어 폐루프를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a plurality of capillary bundles 141 may be connected to form a closed loop, and the number of capillary bundles 141 is not limited and may vary. For example, two capillary bundles 141 may be arranged adjacently to form a closed loop.

2개를 초과하는 모세관 다발(141)을 포함하는 경우에, 이웃한 모세관 다발(141)들 중 최외곽에 위치한 두 다발(141)들의 일 단부들이 다른 다발(141)들을 우회하여 연결되고, 나머지 다발(141)들의 일 단부는 이웃한 다발(141)의 일 단부와 연결되고, 나머지 다발(141)들의 타 단부는 다른 이웃한 다발(141)의 타 단부와 연결됨으로써 복수 개의 모세관 다발(141)들은 폐루프를 구성할 수 있다.In the case of including more than two capillary bundles 141, one ends of the two outermost bundles 141 among the neighboring capillary bundles 141 are connected by bypassing the other bundles 141, and the remaining capillary bundles 141 are connected. One end of the bundles 141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neighboring bundle 141, and the other end of the remaining bundles 141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other neighboring bundle 141, thereby forming a plurality of capillary bundles 141 can constitute a closed loop.

모세관 다발(141) 내부는 진공 상태일 수 있고, 모세관 다발(141) 내부를 흐르면서 센서 몸체(132)의 열을 히트 싱크로 직접 전달하는 작동 유체가 포함될 수 있다. 모세관 다발(141)은 폐루프를 구성하기 때문에, 내부의 작동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을 수 있다.The inside of the capillary bundle 141 may be in a vacuum state, and a working fluid that directly transfers heat from the sensor body 132 to the heat sink while flowing inside the capillary bundle 141 may be included. Since the capillary bundle 141 constitutes a closed loop, the working fluid therein may not leak to the outside.

다만, 모세관 다발(141)이 파손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작동 유체는 예를 들어 물이 아닌 질소 또는 수소화 불화 탄소(Hydrofluorocarbon) 계열 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유체는 R-134a, R-143a 또는 R-245ca일 수 있다. 이러한 수소화 불화 탄소 계열 냉매는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되어 있고 상온에서 기체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모세관 다발(141)에서 누수되었을 때 챔버(110) 및 시편(T)을 오염시키지 않을 수 있다.However,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the capillary bundle 141 is damaged, the working fluid may include, for example, nitrogen or a hydrofluorocarbon-based refrigerant other than water. For example, the working fluid may be R-134a, R-143a or R-245ca. Since this hydrofluorocarbon-based refrigerant is chemically very stable and exists in a gaseous state at room temperature, it may not contaminate the chamber 110 and the specimen T when it leaks from the capillary bundle 141.

모세관 다발(141)들의 일측은 냉각 대상인 센서 몸체(132)에 접촉되어 가열될 수 있고, 이러한 가열로써 모세관 내부의 작동 유체가 증발하여 기체 상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증발 영역(1413)이라고 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capillary bundles 141 may be heated in contact with the sensor body 132 to be cooled, and by this heating, the working fluid inside the capillary may evaporate and become a gaseous state, so this part is referred to as the evaporation area 1413 can be said

반대로, 모세관 다발(141)들의 타측은 방열 수단인 히트 싱크에 연결되어 냉각될 수 있고, 이러한 냉각으로써 모세관 내부의 작동 유체가 응축되어 액체 상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응축 영역(1414)이라고 할 수 있다.Conversely, the other side of the capillary bundles 141 can be cooled by being connected to a heat sink, which is a heat dissipation means, and by this cooling, the working fluid inside the capillaries can be condensed to become a liquid state, so this part is called the condensation area 1414. can be said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크 아웃 장치(100)의 모세관 다발(141)의 일 부분을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 유체는 모세관 다발(141) 내부에서 증발 영역(1413)에서 가열되고, 응축 영역(1414)에서 냉각됨에 따라 액체 상태와 기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3 shows a portion of a capillary bundle 141 of a bake o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working fluid may exist in a liquid state or a gaseous state as it is heated in the evaporation region 1413 and cooled in the condensation region 1414 inside the capillary bundle 141 .

예를 들어, 기체 상태인 기포 플러그(1412)(vapor plug)와 액체 상태인 액상 슬러그(1411)(liquid slug)가 모세관 다발(141) 내부에서 차례로 배열되는 슬러그(1411) 트레인 유닛(slug train unit)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 slug 1411 train unit in which a vapor plug 1412 in a gaseous state and a liquid slug 1411 in a liquid state are sequentially arranged inside the capillary bundle 141 ) can be formed.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중력 방향으로 배열된 측정부(130)와 히트 싱크 사이에서 이들을 열적(thermal)으로 연결하는 모세관 다발(141)에 있어서, 응축 영역(1414)은 증발 영역(141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증발 영역(1413)에 열이 가해지면 별도로 동력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내부에 존재하는 슬러그(1411)와 플러그(1412)들이 위아래로 수십 헤르츠의 진동수로 진동하면서 설치한 위치 및 형상과 무관하게 열을 이동시킨다. As mentioned above, in the capillary bundle 141 that thermally connects the measuring part 130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the heat sink, the condensation region 1414 is located on top of the evaporation region 1413. can be placed. At this time, when heat is applied to the evaporation area 1413, even if power is not supplied separately, the slugs 1411 and plugs 1412 existing inside vibrate up and down at a frequency of several tens of Hertz, regardless of the installed position and shape. move the heat

응축 영역(1414)에 접촉하는 히트 싱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 몸체(132)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챔버(110) 외부로 방열시킬 수 있다. 히트 싱크는 모세관 다발(141)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 개의 금속판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금속판들을 포함함으로써 챔버(110) 외부의 공간에 노출되는 표면적이 넓어지게 되고 더욱 빠른 방열이 가능해진다.The heat sink contacting the condensation area 1414 may dissipate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sensor body 132 to the outside of the chamber 110 as described above. The heat sink may include a plurality of metal plates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apillary bundle 141, and they may be arranged at intervals. By including a plurality of metal plates, the surface area exposed to the space outside the chamber 110 is widened and faster heat dissipation is possible.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100),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at describe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100,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manner different from that described;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even when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T : 시편
100 : 베이크 아웃 장치
110 : 챔버
120 : 선반부
130 : 측정부
140 : 냉각부
131 : TQCM 센서
132 : 센서 몸체
141 : 모세관 다발
142 : 히트 싱크
1411 : 액상 슬러그
1412 : 기포 플러그
1413 : 증발 영역
1414 : 응축 영역
T: specimen
100: bake-out device
110: chamber
120: shelf
130: measurement unit
140: cooling unit
131: TQCM sensor
132: sensor body
141: capillary bundle
142: heat sink
1411: liquid slug
1412: bubble plug
1413: evaporation area
1414: condensation area

Claims (7)

탈기체를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는 베이크 아웃 장치에 있어서,
챔버;
상기 챔버 내에 위치하고, 상부에 베이크 아웃되는 시편이 배치되는 선반부;
상기 챔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시편 상부에 위치하고, 베이크 아웃에서 발생하는 탈기체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측정부;
상기 챔버 내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고, 상기 측정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는,
일측의 증발 영역은 상기 측정부에 접촉하고, 타측의 응축 영역은 상기 챔버 외부에 위치하는, 폐루프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모세관 다발들;
을 포함하고,
상기 모세관 다발은 내부에 작동 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유체는 액상 슬러그와 기포 플러그의 형태로 진동하면서 상기 증발 영역으로부터 상기 응축 영역로 열을 전달하는,
베이크 아웃 장치.
In the bake-out device using a sensor for detecting degassing,
chamber;
a shelf located in the chamber and on which a specimen to be baked is disposed;
a measurement unit located in the chamber, located above the specimen, and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degassing generated during bake-out;
a cooling unit at least partially located within the chamber and cooling the measuring unit;
including,
the cooling unit,
a plurality of capillary bundles constituting a closed loop, wherein an evaporation region on one side contacts the measurement unit and a condensation region on the other side is located outside the chamber;
including,
The capillary bundle contains a working fluid therein, and the working fluid transfers heat from the evaporation region to the condensation region while vibrating in the form of a liquid slug and a bubble plug.
Bakeou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 다발들은 이웃하게 배열되고,
상기 모세관 다발들 중 최외곽에 위치한 두 다발들의 일 단부들은 다른 다발들을 우회하여 연결되고,
상기 모세관 다발들 중 상기 두 다발들 외의 나머지 다발들의 일 단부는 이웃한 다발의 일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나머지 다발들의 타 단부는 다른 이웃한 다발의 타 단부와 연결되는,
베이크 아웃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apillary bundles are arranged next to each other,
One ends of the two outermost bundles of the capillary bundles are connected by bypassing the other bundles,
Of the capillary bundles, one end of the remaining bundles other than the two bundles is connected to one end of a neighboring bundle, and the other end of the remaining bundles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another neighboring bundle,
Bakeout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센서와 연결되는 센서 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몸체는 상기 모세관 다발의 상기 증발 영역과 연결되는,
베이크 아웃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measurement unit further includes a sensor body connected to the sensor,
The sensor body is connected to the evaporation region of the capillary bundle,
Bakeout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 영역의 상부에 상기 응축 영역이 위치하여, 상기 작동 유체는 중력 방향 및 중력 반대 방향으로 진동하는,
베이크 아웃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condensation region is located above the evaporation region, so that the working fluid vibrates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gravity.
Bakeout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모세관 다발의 상기 응축 영역의 열을 방열시키도록 상기 응축 영역에 접촉하는 히트 싱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트 싱크는 상기 모세관 다발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 개의 금속판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금속판들은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베이크 아웃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cooling unit,
a heat sink contacting the condensation region to dissipate heat of the condensation region of the capillary bundle;
Including more,
The heat sink includes a plurality of metal plates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apillary bundle,
The plurality of metal plates are arranged at intervals,
Bakeout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유체는, 수소불화탄소 또는 질소를 포함하는,
베이크 아웃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working fluid includes hydrofluorocarbon or nitrogen,
Bakeout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몸체는, 상기 히트 싱크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증발 영역 수용 공간을 갖고,
상기 히트 싱크는, 상기 센서 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응축 영역 수용 공간을 갖고,
상기 응축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응축 영역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증발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증발 영역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베이크 아웃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sensor body has an evaporation region accommodating space that is open in a direction toward the heat sink,
The heat sink has a condensation region accommodating space that opens in a direction toward the sensor body,
At least a part of the condensation region is accommodated in the condensation region accommodating space;
At least a part of the evaporation region is accommodated in the evaporation region accommodating space,
Bakeout device.
KR1020210177919A 2021-12-13 2021-12-13 Bakeout device using tqcm sensor KR202300893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919A KR20230089360A (en) 2021-12-13 2021-12-13 Bakeout device using tqcm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919A KR20230089360A (en) 2021-12-13 2021-12-13 Bakeout device using tqcm sen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360A true KR20230089360A (en) 2023-06-20

Family

ID=86995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919A KR20230089360A (en) 2021-12-13 2021-12-13 Bakeout device using tqcm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936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sieh et al. Thermal performance of flat vapor chamber heat spreader
US200602568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ucting performance test to heat pipe
TWI784962B (en) Thermosiphons for use with temperature-regulated storage devices
EP1309986A2 (en) Chuck with heat exchanger and temperature control fluid
JP2007071806A (en)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electronic component, and handler device
US11808803B2 (en) Standalone thermal chamber for a temperature control component
KR20230089360A (en) Bakeout device using tqcm sensor
TW201411082A (en) Vacuum filling and degasification system
de Bock et al. On the Charging and Thermal Characterization of a micro/nano structured Thermal Ground Plane
Ramaswamy et al. Thermal performance of a compact two-phase thermosyphon: response to evaporator confinement and transient loads
Alsaati et al. A mechanistic model to predict saturated pool boiling Critical Heat Flux (CHF) in a confined gap
Dhanalakota et al. A novel integrated flat thermosyphon heat sink for energy-efficient chip-level thermal management in data centers
Gillot et al. Experimental study of a flat silicon heat pipe with microcapillary grooves
Cai et al. Design, development and tests of a compact thermofluid system
Alsaati et al. Vapor stem bubbles dominate heat transfer enhancement in extremely confined boiling
Bérut et al. Experimental study of operating regimes in a vapor chamber with integrated hollow fins
Ganguly et al. Recommended best practices in freeze dryer equipment performance qualification: 2022
KR102031616B1 (en) Equipment and Method for Mesuring the Conductivity of Ultrathin Thermal Sheet
Hanks Evaporation from nanoporous membranes for high heat flux thermal management
Adera et al. Experimental Characterization and Modeling of Capillary-Pumped Thin-Film Evaporation From Micropillar Wicks
KR102246339B1 (en) Heat sink for chamber contamination measuring sensor
JPH11145226A (en) Wafer housing chamber for reliability test
Seiler et al. Capillary-assisted evaporation of water from finned tubes: Impacts of dynamics and experimental setups
US115986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formation measurement
CN114755259A (en) Thermal performance measuring device for non-contact thin type temperature-equalizing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