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120A -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 - Google Patents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120A
KR20230089120A KR1020210177511A KR20210177511A KR20230089120A KR 20230089120 A KR20230089120 A KR 20230089120A KR 1020210177511 A KR1020210177511 A KR 1020210177511A KR 20210177511 A KR20210177511 A KR 20210177511A KR 20230089120 A KR20230089120 A KR 20230089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moisture
housing
dischar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일에이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일에이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일에이씨에스
Priority to KR1020210177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9120A/ko
Publication of KR20230089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1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01D45/1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generated by rotating vanes, discs, drums or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6Filtration; Moisture sepa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하단에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설치되며 양측에 흡기구와 배기구가 구비되는 연결캡이 포함된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캡에 연결되며, 상기 흡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와류시켜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수분이 제거되면서 상승되는 공기가 상기 배기구로 이동될 수 있도록 중심에 관통된 배출부가 형성되는 와류 생성 부재와, 상단은 상기 와류 생성 부재의 배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캡에 고정되며, 하단은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며, 표면에는 수분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승하는 공기가 이동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공기배출공이 형성되는 수분 차단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Filter for condensate draining device}
본 발명은 에어 드라이어에 설치되는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응축수 배출 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를 사이클론 방식의 필터로 구성함에 따라 응축수의 효과적인 배출을 통해 에어 드라이어의 성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공기압축설비는 에어 콤푸레셔(air compressor), 에어 드라이어(air dryer), 에어 필터(air filter) 등으로 구성되어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한 다음 소정 압력으로 압축시킨 후, 이 압축된 공기를 라인을 통해 각종 공압기기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에어 콤푸레셔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에는 이물질을 포함한 오일성분, 수분 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생산라인과 각종 공압기기의 시스템 수명 및 기능저하로 생산성이나 품질 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에어 콤푸레셔에 의해 압축된 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응축시키고 또 수분을 제거하여 공기를 건조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는 에어 드라이어의 라인 상에 설치되는 응축수 배출 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응축수 배출 장치의 내부에는 미세 다공질부로 구성된 필터엘레멘트(Filter Element)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압축공기가 필터엘레멘트를 통과할 때 수분이 필터엘레멘트의 미세구멍에 걸려 포집되도록 하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필터엘레멘트형 응축수 배출 장치는 수분을 어느 정도 제거하는데는 효과가 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종래의 필터엘레멘트형은 일정 기간 사용하게 되면 필터 알맹이에 이물질이 포집되어 압력 손실이 증가함으로써 응축수 제거의 초기 성능이 저하된다.
즉, 종래의 필터엘레멘트형은 부직포 등의 미세 다공질 구조로 이루어져 분진 또는 세균의 번식 등에 의한 이물질 막힘 현상이 필연적으로 발생하므로, 초기 어느 정도는 정상적인 성능을 발휘하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미세구멍의 막힘이 진행되며, 막힘이 진행될수록 압축공기의 통과 단면적이 감소되어 압축공기가 통과하기 어렵게 되면서 압축공기가 포화상태인 응축수를 통과하게 되어 청정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필터엘레멘트형은 정기적인 점검이나 교체 작업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부품의 교체에 따른 비용 및 인력의 소모가 많아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정확한 교체 시기를 파악하기 위해 압력계를 설치하여 압축공기의 압력차를 파악하는 등, 관련된 설비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설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유지 및 보수의 측면에서 여러가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94558(2006.08.30.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 된 것으로, 응축수 배출 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사이클론 방식의 필터로 사용함에 따라 필터의 제작성 및 유지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면서, 청정율이 우수한 고성능의 응축수 분리 작업을 수행하여 에어 드라이어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는,
하단에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설치되며 양측에 흡기구와 배기구가 구비되는 연결캡이 포함된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캡에 연결되며, 상기 흡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와류시켜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수분이 제거되면서 상승되는 공기가 상기 배기구로 이동될 수 있도록 중심에 관통된 배출부가 형성되는 와류 생성 부재와,
상단은 상기 와류 생성 부재의 배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캡에 고정되며, 하단은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며, 표면에는 수분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승하는 공기가 이동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공기배출공이 형성되는 수분 차단 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와류 생성 부재는 상기 배출부의 외측둘레에 동심원을 이루어 외곽링이 이격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의 외측둘레와 상기 외곽링 사이에 복수의 경사진 와류 날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외곽링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와류 날개는 상기 배출부가 회전 중심이 되어 상기 외곽링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와류 생성 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와류 생성 부재를 통해 와류되어 아래쪽으로 이동되는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향하도록 안내하고, 수분이 제거되어 상승되는 공기는 관통된 중심부를 통해 상기 와류 생성 부재의 배출부로 이동되도록 공기 흐름 안내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흐름 안내 부재는 상단에 상기 와류 생성 부재의 배출부 하단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수분이 제거되어 상승되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는 관체로 구성되며, 중간 외측둘레에는 바깥쪽으로 환형을 이루어 경사면을 이루면서 돌출되는 경사 안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끼움부는 중심부에 상기 연결 부재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면서 복수의 공기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 안내부의 경사면에는 공기의 흐름을 가속시켜 상기 하우징의 내면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 부재의 하단에는 나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분 차단 부재는 관통된 중심부에 너트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 부재의 나선부와 나사결합되면서 나사결합정도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수분 차단 부재의 설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수분 차단 부재는 중심부에서 바깥 테두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공기배출공은 상기 연결 부재를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본 발명은 응축수 배출 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응축수를 제거해주는 필터가 사이클론 방식의 필터로 개선됨에 따라 필터의 제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점검이나 교체 등의 유지 관리에 따른 효율성이 높아지고, 응축수의 효과적은 분리 및 제거를 통해 응축수 배출 효과를 높여 청정율이 우수한 고성능의 응축수 분리 작업을 통해 에어 드라이어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의 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응축수 배출 장치에 설치되는 필터의 구성을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응축수 배출 장치에 설치되는 필터의 구성을 예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응축수 배출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판단되어야 한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의 구성은 하우징과 연결캡으로 구성되는 응축수 배출 장치에 구비되어 수분이 포함된 상태로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와류시켜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와류 생성 부재와, 하우징 내부에서 상단이 연결캡에 고정되는 일정 길이의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하단에 설치되어 수분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승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해주는 수분 차단 부재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분되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필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필터가 설치되는 응축수 배출 장치는 에어 드라이어 등에 설치되어 압축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며,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500)과 연결캡(600)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고, 하우징(500)은 내부에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면서 하단에는 응축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510)가 형성되며, 하우징(5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연결캡(600)은 한쪽에 흡기관과 연결되는 흡기구(610)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 배기관과 연결되는 배기구(620)가 형성되면서 압축된 공기가 흡기관을 통해 흡기구(610)로 유입되어 하우징(500) 내부에서 수분이 제거된 후 배기구(620)를 거쳐 배기구(620)와 연결된 배기관으로 배출된다.
한편, 필터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와류 생성 부재(100)는,
하우징(500)의 내부에서 연결캡(600)의 하측에 결합되며, 연결캡(600)의 흡기구(610)를 통해 수분이 포함된 상태로 유입되는 공기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연결캡(600)의 흡기구(6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와류 생성 부재(100)를 거치게 되면서 와류를 일으킴과 동시에 아래쪽으로 이동되고, 이 과정에서 원심력에 의해 수분이 제거되며,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다시 상승하여 연결캡(600)의 배기구(620)로 배출된다.
와류 생성 부재(100)의 구체적인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즉,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와류 생성 부재(100)는 원통형의 배출부(110)를 중심으로 배출부(110)의 외측둘레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외곽링(120)이 형성되면서 배출부(110)와 외곽링(120)은 동심원을 이룬다.
그리고 배출부(110)와 외곽링(120)의 사이는 다수의 경사진 와류 날개(13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와류 날개(130)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되고, 그러한 간격을 통해 공기가 이동될 수 있으며, 와류 날개(130)의 각도에 따라 와류 날개(13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가 와류를 일으키면서 아래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와류 날개(130)의 각도는 와류 생성 부재(100)가 설치되는 하우징(500)의 내경 및 하우징(500)의 내부 구조나 와류 생성 부재(100)의 설치 환경에 따라 공기가 효과적인 와류를 일으킬 수 있도록 다양한 각도로 조절되어 구성될 수 있다.
배출부(110)와 외곽링(120) 사이에 설치되는 와류 날개(130)는 그 개수를 조절하여 와류 날개(130)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연결캡(600)의 흡기구(6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외곽링(120)은 바람직하게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광하협의 형태, 위쪽의 직경보다 아래쪽의 직경을 작게 구성하거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와류 날개(13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가 외곽링(120)의 내면 형상에 따라 가속되면서 공기로부터 수분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도 있다.
와류 날개(130)는 배출부(110)와 외곽링(120) 사이에 조립 또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면서 와류 날개(130)가 고정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지만, 공기의 와류 성능이 향상될 nt 있도록 와류 날개(130)가 배출부(110)와 외곽링(120) 사이에서 배출부(110)의 축 중심과 동일한 축 중심을 가지면서 회전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면 도면으로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외곽링(120)과 일단이 연결되는 와류 날개(130)의 타단을 외곽링(120)과 동심원을 이루는 내측링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이러한 내측링을 배출부(110)의 외측둘레에 베어링 등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게 되면 배출부(110)를 축 중심으로 내측링과 와류 날개(130)와 외곽링(120)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와류 생성 부재(100)를 통해 와류를 형성하면서 아래쪽으로 이동되는 공기가 보다 효과적인 와류를 일으키면서 공기로부터 수분이 분리될 수 있도록 와류 생성 부재(100)에는 공기 흐름 안내 부재(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흐름 안내 부재(200)는 일 예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중심이 관통된 원통형 관체로 구성되되, 상단은 끼움부(210)로 구성되어 와류 생성 부재(100)의 배출부(110)에 끼움 결합되고, 하단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 유입부(230)로 구성되면서 공기 유입부(230)로 유입되는 공기는 끼움부(210)를 거쳐 와류 생성 부재(100)의 배출부(110)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끼움부(210)는 중심에 후술되는 연결 부재(300)가 관통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구멍(211)이 형성되고 그러한 구멍(211)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면서 복수의 공기통로(21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멍(211)을 통해 설치되는 연결 부재(300)는 불필요한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어 연결 부재(300)가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이며, 수분이 제거된 공기가 공기 유입부(230)로 유입되어 와류 생성 부재(100)의 배출부(110)로 이동될 때 공기통로(212)를 통과하게 됨에 따라 만약 공기 중에 수분이 남아 있더라도 이러한 공기통로(21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수분이 제거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공기 중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이 이러한 공기통로(212)에 의해 차단될 수 있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흐름 안내 부재(200)의 중앙부위 외측둘레에는 외측으로 환형을 이루어 돌출되는 경사 안내부(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사 안내부(220)는 위쪽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경사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와류 생성 부재(100)의 와류 날개(130)를 거쳐 아래쪽으로 이동되는 공기는 공기 흐름 안내 부재(200)의 경사 안내부(220)를 타고 하우징(500)의 내면쪽으로 확산 이동됨에 따라 공기의 와류 현상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기로부터 수분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여기서, 경사 안내부(220)의 경사진 표면에는 경사 안내부(220)를 타고 이동되는 공기의 흐름을 가속시킬 수 있도록 방사형으로 가이드 돌기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가이드 돌기는 직선형은 물론 유선형 등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와류 생성 부재(100)와 공기 흐름 안내 부재(200)는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억지끼움의 형태로 조립되거나, 나사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와류 생성 부재(100)와 공기 흐름 안내 부재(200)가 일체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연결 부재(300)는,
후술되는 수분 차단 부재(400)를 하우징(500)의 내부 아래쪽에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봉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단은 하우징(500)의 내부에서 연결캡(600)에 고정되며, 하단은 와류 생성 부재(100)의 배출부(110)를 관통하면서 하우징(500)의 배출구(510)쪽을 향해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되고, 이러한 하단에는 후술될 수분 차단 부재(400)가 결합된다.
수분 차단 부재(400)는,
전술한 연결 부재(300)의 하단에 설치되면서 하우징 내부의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고, 하우징 내부에서 와류를 일으키며 하강된 공기가 수분이 분리된 상태에서 다시 상승하게 될 때 공기 중에 남아 있는 수분을 추가적으로 제거해주는 역할을 한다.
수분 차단 부재(400)의 표면에는 공기배출공(410)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기배출공(410)은 연결 부재(300)를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면서 다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됨에 따라 수분이 제거된 공기가 상승될 때 이러한 공기배출공(410)을 통과하게 되면서 공기에 남아 있는 수분이 제거될 수 있으며, 공기 중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 또한 걸러낼 수 있다.
수분 차단 부재(400)는 표면에 공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떨어질 경우, 수분이 표면을 따라 흘러내려 하우징(500)의 배출구(510)로 이동될 수 있도록 연결 부재(300)를 중심으로 외측 테두리를 향해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수분 차단 부재(400)의 표면에 형성되는 공기배출공(410)은 크기나 개수가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수분 차단 부재(400)를 통과하게 되는 공기의 양이나 이물질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표면에 형성되는 공기배출공(410)의 배열 또한 방사형은 물론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수분 차단 부재(400)와 연결 부재(300)는 일 예로 연결 부재(300)의 하단에 수분 차단 부재(400)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연결 부재(300)의 하단에 수분 차단 부재(400)가 끼움방식 또는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연결 부재(300)의 하단 일부 구간을 나선부(310)로 구성하고, 수분 차단 부재(400)의 중심은 관통된 상태에서 너트부(420)로 구성함에 따라 연결 부재(300)의 나선부(310)에 수분 차단 부재(400)의 너트부(420)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연결 부재(300)의 나선부(310)에 수분 차단 부재(400)의 너트부(420)를 회전시킴에 있어 정방향 회전 내지 역방향의 회전에 따라 나선부(310)에 너트부(420)가 체결되거나 풀리면서 연결 부재(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분 차단 부재(400)의 설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수분 차단 부재(400)의 위치가 하우징(500)의 배출구(510)에 필요 이상 근접될 경우, 수분이 분리된 공기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배출구(510)에 모인 수분이 다시 포함될 수 있으므로 수분 차단 부재(400)의 위치를 배출구(510)의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하우징(500)의 내부 하단에는 스토퍼(도면부호 미표기)가 설치되면서 연결 부재(300)에 설치된 수분 차단 부재(400)가 하우징(500)의 배출구(510)에 불필요하게 근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라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수분이 제거되면서 응축수로 배출되고,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흡기관과 연결된 연결캡(600)의 흡기구(610)로 수분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면 유입된 공기는 연결캡(600)의 격벽(630)에 의해 와류 생성 부재(100)쪽으로 이동되어 와류 날개(130)의 안내를 받아 와류를 일으키면서 하향 이동되고, 와류 생성 부재(100)에 공기 흐름 안내 부재(200)가 설치되는 경우, 와류 날개(130)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가 공기 흐름 안내 부재(200)의 경사 안내부(220)를 따라 가속되면서 하우징(500)의 내면으로 이동되어 공기 속의 수분이 원심력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며, 분리된 수분은 하우징(500)의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배출구(510)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수분이 분리된 공기는 상승하는 과정 중 수분 차단 부재(400)의 공기배출공(410)을 통과하게 되면서 공기에서 미처 분리되지 못한 수분이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으며, 수분 차단 부재(400)의 공기배출공(410)으로 배출된 공기는 공기 흐름 안내 부재(200)의 공기 유입부(230)로 유입된 후 와류 생성 부재(100)의 배출부(110)로 이동된 다음 연결캡(600)의 배기구(620)를 통해 배기관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응축수 배출 장치에 이와 같은 사이클론 방식의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공기 중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필터의 제작이나 설치는 물론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에어 드라이어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에어 드라이어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하기에 적합한 특징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와류 생성 부재 110 : 배출부
120 : 외곽링 130 : 와류 날개
200 : 공기 흐름 부재 210 : 끼움부
211 : 구멍 212 : 공기통로
220 : 경사 안내부 230 : 공기 유입부
300 : 연결 부재 310 : 나선부
400 : 수분 차단 부재 410 : 공기배출공
420 : 너트부 500 : 하우징
510 : 배출구 600 : 연결캡
610 : 흡기구 620 : 배기구
630 : 격벽

Claims (10)

  1. 하단에 배출구(510)가 형성된 하우징(500) 및 상기 하우징(500)의 상측에 설치되며 양측에 흡기구(610)와 배기구(620)가 구비되는 연결캡(600)이 포함된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00)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캡(600)에 연결되며, 상기 흡기구(6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와류시켜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수분이 제거되면서 상승되는 공기가 상기 배기구(620)로 이동될 수 있도록 중심에 관통된 배출부(110)가 형성되는 와류 생성 부재(100);
    상단은 상기 와류 생성 부재(100)의 배출부(110)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캡(600)에 고정되며, 하단은 상기 하우징(500)의 배출구(51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연결 부재(300); 및
    상기 연결 부재(300)의 하단에 결합되며, 표면에는 수분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승하는 공기가 이동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공기배출공(410)이 형성되는 수분 차단 부재(400);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류 생성 부재(100)는,
    상기 배출부(110)의 외측둘레에 동심원을 이루어 외곽링(120)이 이격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110)의 외측둘레와 상기 외곽링(120) 사이에 복수의 경사진 와류 날개(13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곽링(120)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류 날개(130)는 상기 배출부(110)가 회전 중심이 되어 상기 외곽링(120)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류 생성 부재(100)의 하부에는 상기 와류 생성 부재(100)를 통해 와류되어 아래쪽으로 이동되는 공기를 상기 하우징(500)의 내면을 향하도록 안내하고, 수분이 제거되어 상승되는 공기는 관통된 중심부를 통해 상기 와류 생성 부재(100)의 배출부(110)로 이동되도록 공기 흐름 안내 부재(2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흐름 안내 부재(200)는,
    상단에 상기 와류 생성 부재(100)의 배출부(110) 하단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부(210)가 형성되고, 하단에 수분이 제거되어 상승되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 유입부(230)가 형성되는 관체로 구성되며, 중간 외측둘레에는 바깥쪽으로 환형을 이루어 경사면을 이루면서 돌출되는 경사 안내부(2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210)는 중심부에 상기 연결 부재가 관통되는 구멍(211)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211)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면서 복수의 공기통로(2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경사 안내부(220)의 경사면에는 공기의 흐름을 가속시켜 상기 하우징(500)의 내면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300)의 하단에는 나선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수분 차단 부재(400)는 관통된 중심부에 너트부(420)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 부재(300)의 나선부(310)와 나사결합되면서 나사결합정도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30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수분 차단 부재(400)의 설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분 차단 부재(400)는 중심부에서 바깥 테두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공기배출공(410)은 상기 연결 부재(300)를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
KR1020210177511A 2021-12-13 2021-12-13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 KR202300891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511A KR20230089120A (ko) 2021-12-13 2021-12-13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511A KR20230089120A (ko) 2021-12-13 2021-12-13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120A true KR20230089120A (ko) 2023-06-20

Family

ID=8699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511A KR20230089120A (ko) 2021-12-13 2021-12-13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912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4558A (ko) 2005-02-25 2006-08-30 주식회사 지에프지 공기압축설비용 드레인 유닛의 응축수 배출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4558A (ko) 2005-02-25 2006-08-30 주식회사 지에프지 공기압축설비용 드레인 유닛의 응축수 배출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2220B2 (en) Assembly for collecting material entrained in a gas stream
KR101159555B1 (ko) 원심 분리 장치
JP6246950B2 (ja) 圧縮空気用浄化装置
CA2687349C (en) Induced vortex particle separator
US2894600A (en) Air filtering device
US3516551A (en) Cyclone separator
KR20070101056A (ko) 사이클론 및 사이클론 공기청정기
KR920004041A (ko) 가스 살포식 원심 장치
JPS6318447Y2 (ko)
JP2015182075A (ja) 気液分離器
JP3149762U (ja) 圧縮空気用除湿機
US2580317A (en) Purger
KR102318010B1 (ko) 원심 분리와 필터를 이용한 집진장치
US2575607A (en) Cyclone separator
KR101702555B1 (ko) 원심 분리형 집진기
KR20230089120A (ko) 응축수 배출 장치용 필터
WO1983003556A1 (en) Cyclone separator with filter unit
TWI558462B (zh) Tornado filter
KR100780839B1 (ko) 컴프레서용 필터
RU169127U1 (ru) Фильтр-циклон с конической вставкой и картриджным фильтром
RU2520467C1 (ru) Золоуловитель
KR100556440B1 (ko) 다중 사이클론 집진장치
RU164866U1 (ru) Фильтр-циклон с конической вставкой
RU85366U1 (ru) Пылеуловитель-классификатор
KR100547415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