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8945A - 무게감지 기능을 갖는 뜰채 - Google Patents

무게감지 기능을 갖는 뜰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8945A
KR20230088945A KR1020210177210A KR20210177210A KR20230088945A KR 20230088945 A KR20230088945 A KR 20230088945A KR 1020210177210 A KR1020210177210 A KR 1020210177210A KR 20210177210 A KR20210177210 A KR 20210177210A KR 20230088945 A KR20230088945 A KR 20230088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weight
unit
information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성
Original Assignee
정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성 filed Critical 정준성
Priority to KR1020210177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8945A/ko
Publication of KR20230088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9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for counting by weig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G01G19/60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combined with fishing equipment, e.g. with fishing r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6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 G01G23/37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 G01G23/3728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with wireless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6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 G01G23/37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 G01G23/3728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with wireless means
    • G01G23/3735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with wireless means using a digital network
    • G01G23/3742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with wireless means using a digital network using a mobile telephone networ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게감지 기능을 갖는 뜰채에 관한 것으로, 뜰채를 이용해 물고기를 들어올리면 자동으로 무게정보를 추출하여 뜰채 사용자 이외에 손님 등 타인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물고기 종류에 따라 가격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가격정보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물고기를 계량하기 위해 수족관 등에 뜰채의 그물망을 담그는 경우 활어 상태의 물고기 생존환경도 함께 감지 및 확인할 수 있는 무게감지 기능을 갖는 뜰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게감지 기능을 갖는 뜰채 { scoop net with weight sensing function }
본 발명은 무게감지 기능을 갖는 뜰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뜰채를 이용해 물고기를 들어올리면 자동으로 물고기의 무게정보를 추출하여 뜰채 사용자 이외에 손님 등 타인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물고기 종류에 따라 가격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가격정보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활어 상태의 물고기 생존환경도 함께 감지 및 확인할 수 있는 무게감지 기능을 갖는 뜰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뜰채는 물고기를 담아 떠올리기 위한 그물망의 일단에 파이프 형상의 손잡이가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수족관 등에 보관된 활어 상태의 물고기를 건져 올리거나 낚시를 통해 잡은 물고기를 수면 밖으로 안전하게 끌어내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이다.
특히 횟집이나 일식집 등에 설치되는 수족관의 경우 물고기의 판매가를 책정하기 위하여 뜰채로 수족관이나 수조의 물고기를 건져내어 별도의 저울을 통해 계량함에 따라 계량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이러한 물고기 개량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그물망이 구비된 뜰채로 물고기를 떠올림과 동시에 그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뜰채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0416727호(참고문헌 1)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참고문헌 1은 저울이 부설된 뜰채에 관한 것으로, 관체 내부에 로드셀을 설치하여 손잡이의 일측에 결합된 그물망의 고기 등의 중량을 표시하는 정보표시수단을 가지는 뜰채에 있어서, 그물망의 일측에 결합부재로 결합되어 일정 길이를 가지는 결합관체와; 상기 결합관체의 타측에 결합되고, 내장된 로드셀에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이중으로 밀폐부재가 결합된 저울장치부와; 상기 저울장치부의 타측에 결합되며, 로드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로드셀의 데이터 신호를 수치로 나타내고, 전원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인가/단속시키는 전원스위치와, 로드셀의 영점을 세팅하는 영점조절스위치가 설치된 신호처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뜰채의 전기, 전자적인 구성은 그물망에 떠올려진 물고기의 중량에 의해 미세하게 형상변화되는 상기 로드셀과, 로드셀의 변화된 형상을 데이터 신호로 수신받아 이를 수치신호로 변환시키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신호를 수치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여 전원스위치 및 저울의 영점을 세팅하기 위한 영점조절 스위치가 설치된 버튼조작부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참고문헌 1의 뜰채는 단순히 물고기의 무게를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부로만 표시할 수 있어 시력이 낮은 사용자의 경우 확인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설령 뜰채 사용자 자신은 물고기의 무게를 확인할 수 있다고는 해도 손님 등의 타인은 계량된 물고기의 무게를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더해 상기 참고문헌 1의 뜰채는 단순히 물고기의 무게만을 측정할 뿐 손님, 고객 등의 타인에게 계량된 물고기의 종류와, 무게, 현재가격 등의 정보를 전혀 제공하지 못하므로 손님 등 타인에게 제공하는 정보가 제한적이고 제공되는 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예를 들어 물고기의 종류와 무게를 고려한 현재가격을 별도로 계산하여 알려주어야 하므로 물고기 가격 산정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신뢰성 역시 낮다.
아울러 참고문헌 1의 뜰채는 물고기를 단순 계량만 가능할 뿐 물고기의 생존을 위해 필요한 수족관이나 수조 내의 환경을 전혀 감지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참고문헌 1 : 등록특허 제10-0416727호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뜰채를 이용해 계량된 물고기의 무게정보를 뜰채 사용자는 물론 손님 등 타인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무게감지 기능을 갖는 뜰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고기를 계량시 종류에 따라 가격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가격정보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무게감지 기능을 갖는 뜰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물고기를 계량하기 위해 수족관 등에 뜰채의 그물망을 담그는 경우 활어 상태의 물고기 생존환경도 함께 감지 및 확인할 수 있는 무게감지 기능을 갖는 뜰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그물망에 손잡이대가 연결되는 뜰채에 있어서, 물고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부와, 상기 무게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무게를 수치화하고 물고기 무게정보 또는 물고기 가격정보를 산출하는 연산처리부와, 상기 연산처리부를 통해 산출된 물고기 무게정보 또는 물고기 가격정보를 표시하도록 전광판 또는 사용자 휴대단말기로 무선 송출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연산처리부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감지 기능을 갖는 뜰채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뜰채에는 물고기 선택버튼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연산처리부에는 물고기 이름과 kg당 단가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연산처리부는 상기 물고기 선택버튼으로부터 물고기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kg당 단가 데이터를 검색하여 물고기의 무게정보를 산출한 후 상기 kg당 단가 데이터를 이용해 물고기 가격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산처리부를 통해 연산된 물고기 무게정보 또는 물고기 가격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무게측정부에서 측정되는 무게정보를 영점조정하기 위한 영점조정 버튼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그물망에는 온도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연산처리부는 상기 온도센서(90)에서 측정되는 온도정보를 상기 물고기 무게정보 또는 물고기 가격정보와 함께 상기 전광판 또는 사용자 휴대단말기로 무선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뜰채를 이용해 계량된 물고기 무게정보 또는 물고기 가격정보를 자동으로 계산하여 뜰채 사용자는 물론 손님 등 타인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물고기 계량에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물고기 가격정보를 별도로 계산하지 않아도 되므로 활어매장 등에서의 업무부담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뜰채를 이용해 물고기를 건지기 위해 뜰채의 그물망을 물에 담그면 온도(수온)을 감지하고 이를 더 표시해줌으로서 물고기를 건져올리는 과정에서 물고기의 생존환경을 함께 확인할 수 있어 손님 등 타인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고기의 신선도를 관리하는데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감지 기능을 갖는 뜰채를 포함하는 전체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감지 기능을 갖는 뜰채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감지 기능을 갖는 뜰채의 제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게감지 기능을 갖는 뜰채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해 그 특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게감지 기능을 갖는 뜰채(1)는 수족관 등에 보관된 활어 상태의 물고기를 건져 올리거나 낚시를 통해 잡은 물고기를 수면 밖으로 안전하게 끌어내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물고기를 담아 떠올리기 위한 그물망(10)의 일단에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손잡이대(2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그물망(10)은 원형링, 사각링, 삼각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틀부(11)에 물고기가 담기는 주머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그물(12)이 지지된 공지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그물망(10)의 일단에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막대 형상의 손잡이대(20)가 구비된다. 상기 그물(12)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뜰채(1)는 물고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부(30)와, 상기 무게측정부(30)를 통해 측정된 물고기의 무게를 수치화된 무게정보로 환산하는 연산처리부(40)와, 상기 연산처리부(40)를 통해 연산된 무게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0)와, 상기 연산처리부(40)를 통해 연산된 무게정보를 외부의 전광판(2) 또는 사용자 휴대단말기(3)로 무선 송출하는 무선통신부(60)와, 상기 연산처리부(4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7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뜰채(1)는 상기 전원부(70)의 전원을 상기 연산처리부(40)로 투입 또는 차단을 하기 위한 전원버튼(71)과, 영점조정과 상기 뜰채(1)로 건져올리는 물고기를 선택할 수 있는 조작부(80)와, 활어 상태의 물고기 생존환경도 함께 감지 및 확인할 수 있도록 온도센서(90)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무게측정부(30)는 물고기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로드셀(Load cel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물고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부(30)를 구성하는 로드셀은 등록특허 제10-0416727호에서와 같이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상기 무게측정부(30)는 뜰채(1)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함도 가능하나 그물망(10) 부분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손잡이대(20)의 전단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무게측정부(30)를 통해 측정되는 물고기의 무게 감지신호는 연산처리부(40)에서 수치화된 무게정보로 환산된다.
이때 상기 무게측정부(30)는 아날로그 형태의 무게 감지신호를 디지털 신호형태로 변환하는 신호변환 기능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산처리부(40)는 무게측정부(30)에서 측정된 무게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무게정보를 산출하는 것으로, 무게 감지신호를 킬로그램(Kg) 또는 그램(g)단위로 수치화된 무게정보를 산출하는 구동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가 내장된 마이컴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연산처리부(40)에서 산출된 무게정보는 디스플레이부(50)로 표시된다.
한편, 상기 연산처리부(40)에서 산출된 무게정보는 뜰채(1)로 물고기를 뜬 상태의 무게는 그물망(10)의 무게를 포함하고 있어 부정확하며 이에 영점조정을 할 필요가 있다. 이에 상기 조작부(80)를 통해 영점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영점조정은 물고기를 뜨지 않은 상태에서 무게측정부(30)에서 감지되어 산출된 무게정보를 보정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물고기를 뜬 상태의 무게가 2.1kg인데 물고기를 뜨지 않은 상태에서 무게측정부(30)에서 감지되어 산출된 무게정보가 0.8kg인 경우, 0.8kg를 빼 '0'으로 조정하여 최종적인 물고기만의 무게는 1.3kg만을 물고기의 무게정보로 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조작부(80)는 영점조정을 위한 영점조정 버튼(81)과, 상기 뜰채(1)로 건져올리는 물고기를 선택하는 물고기 선택버튼(82)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원버튼(71)을 켜서 연산처리부(40)가 초기화된 이후 산출된 무게정보가 '0'이 아닌 경우 영점조정 버튼(81)을 눌러 연산처리부(40)에 영점조정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연산처리부(40)는 기산출된 무게정보를 '0'으로 조정하여 디스플레이부(50)로 표시하며, 이후 물고기를 뜰채(1)로 들어올려 증가된 무게정보인 증가분을 물고기의 무게정보로 산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영점조정 버튼(81)은 손님이 보는 앞에서 직접 눌러 해당 물고기의 무게를 확인시키 주는 경우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물고기 선택버튼(82)은 물고기를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물고기 가격정보를 함께 산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연산처리부(40)에는 물고기 이름과 kg당 단가 데이터가 저장되며, 이에 뜰채(1)의 사용자는 전원버튼(71)을 켜서 연산처리부(40)가 초기화된 이후 물고기 선택버튼(82)을 1회 이상 눌러 연산처리부(40)에 물고기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연산처리부(40)는 메모리에 저장된 kg당 단가 데이터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물고기 이름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며 원하는 물고기가 선택 표시된 상태로 뜰채(1)를 이용해 물고기를 뜰채(1)로 들어올리면 연산처리부(40)가 물고기의 무게정보를 산출하여 kg당 단가 데이터를 이용해 물고기 가격정보를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물고기 선택버튼(82)을 눌러, "1. 광어", "2. 우럭", "3. 농어", "4. 도미" 등을 선택할 수 있으며, "1. 광어"를 선택한 상태에서 뜰채(1)로 물고기를 들어올리면 연산처리부(40)가 "1. 광어"의 무게정보(예를 들어 1.1kg)를 산출하여 kg당 단가 데이터(예를 들어 광어 kg당 20,000원)를 추출해 물고기 가격정보(예를 들어 광어 1.1kg, 22,000원)를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연산처리부(40)를 통해 연산된 무게정보는 무선통신부(60)를 통해 외부의 전광판(2) 또는 사용자 휴대단말기(3)로 전송되어 표시된다.
이 경우 전광판(2)은 예를 들어 수족관 상측에 손님이 쉽게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일종의 모니터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전광판(2)은 상기 뜰채(1)로부터 수신되는 무게정보 또는 물고기 가격정보를 무선수신하는 무선수신부(2a)와, 상기 무선수신부(2a)를 통해 수신되는 무게정보 또는 물고기 가격정보를 표시하는 표시패널(2b)과, 상기 무선수신부(2a)와 표시패널(2b)을 제어하는 전광판 제어부(2c)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휴대단말기(3)는 상기 뜰채(1)로부터 수신되는 무게정보 또는 물고기 가격정보를 무선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뜰채(1)와의 연동을 위해 사용자 휴대단말기(3)에는 응용앱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사용자 휴대단말기(3)는 응용앱을 구동하여 뜰채(1)로부터 수신되는 무게정보 또는 물고기 가격정보를 표시함은 물론, 시시각각으로 입고되거나 변경되는 물고기의 kg당 단가 데이터(물고기 이름 및 kg당 단가를 포함, 이 경우 물고기의 무게범위에 따라 kg당 단가를 달리 설정할 수 있음)를 사용자가 입력하여 상기 뜰채(1)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사용자 휴대단말기(3)를 이용해 물고기의 kg당 단가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는 경우 뜰채(1)의 무선통신부(60)를 통해 연산처리부(40)로 입력되어 메모리에 해당 물고기의 kg당 단가 데이터가 업데이트된다.
한편, 상기 뜰채(1)는 연산처리부(4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70)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부(70)는 어댑터(72)로 충전가능한 2차 전지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뜰채(1)는 전원접속단자가 구비되어 가정용 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어댑터(72)의 전원잭을 연결하여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상기 뜰채(1)에는 활어 상태의 물고기 생존환경도 함께 감지 및 확인할 수 있도록 온도센서(90)를 더 포함하며, 이에 상기 연산처리부(40)는 온도센서(90)를 통해 감지되는 온도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물고기 무게정보 또는 물고기 가격정보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함과 동시에 전광판(2) 또는 사용자 휴대단말기(3)로 전송하여 전광판(2) 또는 사용자 휴대단말기(3)로 표시한다.
이 경우 상기 온도센서(90)는 상기 뜰채(1)의 그물망(10)을 구성하는 틀부(11)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물고기를 뜨는 경우 틀부(11)는 물속에 넣게 되므로 물의 온도를 측정 가능하기 때문이며, 이를 통해 물고기가 생존하는 수질의 온도 상태를 사용자 및 손님 등이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신선도를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무게감지 기능을 갖는 뜰채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예를 들어 활어 상태의 횟감용 물고기를 판매하는 활어매장에서 수족관 상측에 손님이 쉽게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전광판(2)이 설치된 경우를 설명한다.
점포의 관리자(사용자)는 손님이 수조관 내의 물고기를 선택하면 뜰채(1)를 사용하기 위해 뜰채(1)의 전원버튼(71)을 눌러 전원을 켜면 연산처리부(40)가 초기화된 이후 산출된 무게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0'이 아닌 경우 영점조정 버튼(81)을 누르면 해당 산출된 무게정보를 '0'으로 조정하여 표시된다.
이후 물고기를 뜰채(1)로 들어올리면 무게측정부(30)에서 측정된 무게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연산처리부(40)는 무게정보를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함과 동시에 전광판(2) 또는 사용자 휴대단말기(3)로 전송하여 전광판(2) 또는 사용자 휴대단말기(3)로 무게정보를 표시한다.
한편, 물고기 가격정보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관리자(사용자)는 손님이 선택한 물고기를 검색하기 위해 뜰채(1)의 물고기 선택버튼(82)을 눌러 검색하며 원하는 물고기가 선택 표시된 상태로 뜰채(1)를 이용해 물고기를 뜰채(1)로 들어올리면 연산처리부(40)가 물고기의 무게정보를 산출하여 연산처리부(40)의 메모리에 저장된 kg당 단가 데이터를 이용해 물고기 가격정보를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함과 동시에 전광판(2) 또는 사용자 휴대단말기(3)로 전송하여 전광판(2) 또는 사용자 휴대단말기(3)로 물고기 가격정보를 표시한다.
이 경우 상기 뜰채(1)에는 온도센서(90)가 구비되어 물고기를 뜨는 경우 감지되는 온도정보 역시 상기 디스플레이부(50)에 상기 물고기 무게정보 또는 물고기 가격정보와 함께 표시함은 물론 전광판(2) 또는 사용자 휴대단말기(3)로 전송하여 전광판(2) 또는 사용자 휴대단말기(3)로 상기 물고기 무게정보 또는 물고기 가격정보와 함께 표시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뜰채 2: 전광판
3: 사용자 휴대단말기 10: 그물망
20: 손잡이대 30: 무게측정부
40: 연산처리부 50: 디스플레이부
60: 무선통신부 70: 전원부
71: 전원버튼 80: 조작부
90: 온도센서

Claims (4)

  1. 그물망(10)에 손잡이대(20)가 연결되는 뜰채(1)에 있어서,
    물고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부(30)와, 상기 무게측정부(30)를 통해 측정된 무게를 수치화하고 물고기 무게정보 또는 물고기 가격정보를 산출하는 연산처리부(40)와, 상기 연산처리부(40)를 통해 산출된 물고기 무게정보 또는 물고기 가격정보를 표시하도록 전광판(2) 또는 사용자 휴대단말기(3)로 무선 송출하는 무선통신부(60)와, 상기 연산처리부(4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감지 기능을 갖는 뜰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뜰채(1)에는 물고기 선택버튼(82)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연산처리부(40)에는 물고기 이름과 kg당 단가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연산처리부(40)는 상기 물고기 선택버튼(82)으로부터 물고기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kg당 단가 데이터를 검색하여 물고기의 무게정보를 산출한 후 상기 kg당 단가 데이터를 이용해 물고기 가격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감지 기능을 갖는 뜰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처리부(40)를 통해 연산된 물고기 무게정보 또는 물고기 가격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0)와, 상기 무게측정부(30)에서 측정되는 무게정보를 영점조정하기 위한 영점조정 버튼(8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감지 기능을 갖는 뜰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10)에는 온도센서(9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연산처리부(40)는 상기 온도센서(90)에서 측정되는 온도정보를 상기 물고기 무게정보 또는 물고기 가격정보와 함께 상기 전광판(2) 또는 사용자 휴대단말기(3)로 무선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감지 기능을 갖는 뜰채.
KR1020210177210A 2021-12-13 2021-12-13 무게감지 기능을 갖는 뜰채 KR202300889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210A KR20230088945A (ko) 2021-12-13 2021-12-13 무게감지 기능을 갖는 뜰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210A KR20230088945A (ko) 2021-12-13 2021-12-13 무게감지 기능을 갖는 뜰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945A true KR20230088945A (ko) 2023-06-20

Family

ID=86995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210A KR20230088945A (ko) 2021-12-13 2021-12-13 무게감지 기능을 갖는 뜰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894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727B1 (ko) 2001-10-18 2004-01-31 주식회사 네가트론 저울이 부설된 뜰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727B1 (ko) 2001-10-18 2004-01-31 주식회사 네가트론 저울이 부설된 뜰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5855A (en) Electronic fish scale for coding and storing weights and displaying same in inverse order
US6236001B1 (en) Scoop with weigh scale
US7550684B2 (en) Portable handheld electronic scale
CA2567837C (en) Travel bags
GB2425037A (en) Indicating the amount of water in a kettle
WO2011094039A2 (en) Handheld electronic luggage scale
US20080087475A1 (en) Weighing scale
KR20230088945A (ko) 무게감지 기능을 갖는 뜰채
CN204330099U (zh) 一种具有秤脚支撑状况检测功能的电子秤
CN205537852U (zh) 一种手持水位尺
US20130037363A1 (en) Handle
JP2010122083A (ja) 計量器
CN212232772U (zh) 一种自动测量鱼获重量的控鱼器装置
KR101081866B1 (ko) 착탈이 가능한 전자저울 외장 케이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JPH01262746A (ja) 重量測定装置を有するたも
KR20010080803A (ko) 저울 달린 뜰채
CN207585742U (zh) 多功能的电子称
JP2000146664A (ja) 電子計量スプーン及び電子計量装置
CN217006027U (zh) 一种用于银鲳养殖的快速称量体重和测量体长的工具
CN210697609U (zh) 一种生理信息识别装置
CN210400580U (zh) 一种分离式蓝牙电子秤
CN108125681A (zh) 一种具有非平衡姿态检测的体脂秤及其检测方法
CN102735211A (zh) 单人可操作式全天候水准仪
CN210953081U (zh) 一种带称重功能的提手
CN209879011U (zh) 一种带反向标定功能的钢筋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