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8188A - Vial having vent function - Google Patents

Vial having vent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8188A
KR20230088188A KR1020210177120A KR20210177120A KR20230088188A KR 20230088188 A KR20230088188 A KR 20230088188A KR 1020210177120 A KR1020210177120 A KR 1020210177120A KR 20210177120 A KR20210177120 A KR 20210177120A KR 20230088188 A KR20230088188 A KR 20230088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hole
vial
filter
hole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1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63933B1 (en
Inventor
이정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77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933B1/en
Publication of KR20230088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1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9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61J1/065Rigid ampoules, e.g. glass ampo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06Septums, pierce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43Containers with means for dispensing liquid medicaments in a filtered or sterile way, e.g. with bacterial filters
    • A61J1/145Containers with means for dispensing liquid medicaments in a filtered or sterile way, e.g. with bacterial filters using air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68Containers characterised by specific material 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벤트 바늘이나 바이알 엑세스 디바이스 등과 같은 별도의 기구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약물 추출시 바이알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벤트 기능을 갖는 바이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벤트 기능을 갖는 바이알은, 약제저장부; 상기 약제저장부의 입구를 막으며, 주사바늘이 삽입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1벤트홀이 형성되는 격막부; 상기 격막부를 감싸며, 상기 제1벤트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벤트홀이 형성되는 캡; 상기 캡 상단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캡 상단에 결합 고정된 경우 상기 제2벤트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벤트홀을 막는 마개부가 구비되며, 제거시 상기 캡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격막부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커버; 상기 제1벤트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약제저장부 내부와 연통하는 제3벤트홀이 형성되는 필터고정부재; 및 상기 제1벤트홀과 상기 필터고정부재 상단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벤트홀과 상기 제3벤트홀 사이로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al having a vent function capable of preventing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vial during drug extraction without using a separate instrument or device such as a vent needle or a vial access device. A vial having a v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ug storage unit; a diaphragm portion that blocks an inlet of the drug storage unit, is made of a material into which an injection needle can be inserted, and has a first vent hole; a cap surrounding the diaphragm and having a second vent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vent hole; It is coupled and fixed to the top of the cap, and when coupled and fixed to the top of the cap, a stopper is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vent hole and block the first vent hole. exposed cover; a filter fixing member provided under the first vent hole and having a third ven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medicine storage unit; and a filt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vent hole and an upper end of the filter fixing member to allow air to flow between the first vent hole and the third vent hole.

Description

벤트 기능을 갖는 바이알 {Vial having vent function}Vial having vent function {Vial having vent function}

본 발명은 약제를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바이알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벤트 바늘이나 바이알 엑세스 디바이스 등과 같은 별도의 기구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약물 추출시 바이알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벤트 기능을 갖는 바이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al used to store a drug,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vial during drug extraction without using a separate mechanism or device such as a vent needle or a vial access device. It relates to a vial having a vent function.

의료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이알은 밀봉 상태에서 외부의 오염으로부터 약제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약제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주사기 등으로 약제를 빠르게 옮겨 사용할 수 있다.Vials, which are widely used in the medical field, safely store drugs from external contamination in a sealed state, and can quickly transfer drugs with a syringe or the like when necessary.

일반적으로 의료용 약제를 보관하고 있는 바이알의 경우 유리로 된 병의 입구 부분을 의료용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체로 된 격막(septum)으로 덮고, 이를 알루미늄 커버로 고정하여 밀봉하며, 알루미늄 커버의 상부는 플라스틱 커버로 감싸고 있다가 사용자가 플라스틱 커버를 제거하게 되면 결합되어 있던 알루미늄 커버의 일부가 함께 제거되면서 주사기 바늘을 삽입할 수 있는 탄성체 격막의 일부가 노출되고, 이 부분에 주사기 바늘을 삽입하여 약제를 추출할 수 있다.In general, in the case of vials containing medical drugs, the mouth of a glass bottle is covered with a septum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medical rubber or silicone, and sealed by fixing it with an aluminum cover, and the upper part of the aluminum cover is plastic. When the user removes the plastic cover after it is wrapped with a cover, a part of the aluminum cover that was attached is removed together, exposing a part of the elastic diaphragm into which a syringe needle can be inserted, and a syringe needle is inserted into this part to extract the drug. can do.

바이알은 주로 액체 상태의 약제나 분말 상태의 약제를 보관하는데, 액체 상태의 약제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주사기로 바로 추출할 수 있으며, 분말 상태의 약제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주사기로 주사액이나 생리식염수 등의 수액을 바이알 내로 주입하여 분말 상태의 약제를 녹인 뒤 다시 추출하는 방식을 이용한다.Vials mainly store drugs in liquid state or powder state. In the case of storing liquid state drugs, they can be extracted directly with a syringe. The solution is injected into a vial to dissolve the powdered drug and then extracted again.

그러나, 이와 같이 약물을 주입하거나 추출하기 위해서 바이알의 탄성체 격막을 통해 바늘이 삽입되더라도 밀봉 상태는 유지되므로, 주사기로 약제를 추출할 때는 바이알 내부에 음압이 발생하게 되고, 수액을 주입하게 되면 바이알 내부에 양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even if a needle is inserted through the elastic diaphragm of the vial to inject or extract the drug, the sealed state is maintained. Therefore,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side the vial when the drug is extracted with a syringe, and when the fluid is injected, the inside of the vial is maintained. There is a problem in which positive pressure is generated.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약제를 추출하기 전에 미리 조금의 공기를 주입하여 내부 압력을 올린 뒤 약제를 추출하기도 하지만, 내부의 약제를 전량 추출하기 위해서는 마지막에 상당히 높은 음압이 형성되므로 매우 강한 힘으로 주사기를 잡아당기거나 여러 번 나누어 추출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간호 업무나 약제 업무에서 상당한 노동강도를 주는 작업으로 알려져 있다.To prevent this, a little air is injected in advance to raise the internal pressure before extracting the drug, but in order to extract the entire amount of the drug, a very high negative pressure is formed at the end, so hold the syringe with very strong force. It is known as a work that gives considerable labor intensity in nursing work or drug work because it requires work such as pulling or dividing and extracting several times.

또한 분말 상태의 약제를 보관하고 있는 바이알의 경우 분말 약제를 용해하기 위해 주사액을 주입하게 되는데, 이 경우 내부의 상당히 높은 양압이 형성되어 약제가 용해된 후 약제를 다시 추출하기 위해 주사기를 조작하는 경우 의도하지 않게 약제가 분출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항암제와 같이 독성이 강한 약제의 경우 간호사나 약제사에게 약물이 노출되는 위험이 존재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vials containing powdered drugs, an injection solution is injected to dissolve the powdered drugs. Accidents in which the drug is unintentionally ejected may also occur. In the case of highly toxic drugs such as anticancer drugs, there is a risk of drug exposure to nurses or pharmacists.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벤트바늘(Vent Needle)이나 바이알 엑세스 디바이스(Vial access device) 등의 제품들을 별도로 꽂아 압력을 완화하기도 하는데, 이는 바이알 외에 별도의 제품(1회용)을 사용해야 한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conventionally, products such as a vent needle or a vial access device are inserted separately to relieve pressure, which requires the use of a separate product (disposable) in addition to the vial. has limitations

US2020/0093695A (공개일: 2020-03-26, 발명의 명칭: Pressure-regulating vial access devices)US2020/0093695A (published date: 2020-03-26, title of invention: Pressure-regulating vial access devic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약물 추출시 바이알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기구나 장치가 필요없는 바이알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al tha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instrument or device for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vial during drug extraction.

또한, 본 발명은 커버를 개방하는 것과 동시에 필터를 통해 공기가 통할 수 있는 벤트가 개방되도록 하여 약제가 외부 공기로 인해 오염되지 않으면서도 내외부 압력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바이알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al capable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without contaminating the drug due to external air by opening a vent through which air can flow through a filter at the same time as opening the cover. .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벤트 기능을 갖는 바이알은, 약제저장부; 상기 약제저장부의 입구를 막으며, 주사바늘이 삽입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1벤트홀이 형성되는 격막부; 상기 격막부를 감싸며, 상기 제1벤트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벤트홀이 형성되는 캡; 상기 캡 상단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캡 상단에 결합 고정된 경우 상기 제2벤트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벤트홀을 막는 마개부가 구비되며, 제거시 상기 캡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격막부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커버; 상기 제1벤트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약제저장부 내부와 연통하는 제3벤트홀이 형성되는 필터고정부재; 및 상기 제1벤트홀과 상기 필터고정부재 상단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벤트홀과 상기 제3벤트홀 사이로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A vial having a v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ug storage unit; a diaphragm portion that blocks an inlet of the drug storage unit, is made of a material into which an injection needle can be inserted, and has a first vent hole; a cap surrounding the diaphragm and having a second vent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vent hole; It is coupled and fixed to the top of the cap, and when coupled and fixed to the top of the cap, a stopper is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vent hole and block the first vent hole. exposed cover; a filter fixing member provided under the first vent hole and having a third ven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medicine storage unit; and a filt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vent hole and an upper end of the filter fixing member to allow air to flow between the first vent hole and the third vent hol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벤트 기능을 갖는 바이알은, 상기 격막부는 상기 약제저장부의 입구 테두리에 걸림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입구에 삽입되는 돌출부와, 상기 제1벤트홀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필터고정부재는 상기 제1밴트홀과 사이에 상기 필터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결합홈에 결합하여 상기 격막부 형상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vial having a v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phragm portion is formed in a flange portion caught on the inlet rim of the drug storage portion, a protrus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inlet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vent hole A coupling groove may be provided, and the filter fixing member may form a part of the shape of the diaphragm unit by being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vent hole and the filter.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벤트 기능을 갖는 바이알은, 상기 결합홈은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부 영역으로부터 함몰형성되고, 상기 필터고정부재는 상기 플랜지부의 일부를 이루어 상기 약제저장부의 입구 테두리에 걸림되는 단턱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부를 이루도록 상기 단턱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약제저장부의 입구에 삽입되는 길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vial having a v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groove is recessed from a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filter fixing member forms a part of the flange portion to store the drug. It may include a stepped portion caught on an inlet rim of the unit and a length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tepped portion to form a part of the protruding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inlet of the drug storage unit.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벤트 기능을 갖는 바이알은, 상기 제1벤트홀은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3벤트홀은 상기 길이부에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의 상부에는 상기 제1벤트홀과 상기 제3벤트홀을 연결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홀이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vial having a v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vent hole is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the third vent hole is formed in the length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tepped portion is formed in the first vent hole. A space formation hole may be provided to form a space connecting the first vent hole and the third vent hol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벤트 기능을 갖는 바이알은, 상기 필터는 상기 공간형성홀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공간형성홀에는 상기 필터를 지지하는 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3벤트홀은 상기 공간형성홀의 밑면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vial having a v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is located above the space forming hole, the space forming hole is provided with a rib supporting the filter, and the third vent hole is provided in the space forming hole. It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ormation hol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벤트 기능을 갖는 바이알은, 상기 리브에는 상기 리브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3벤트홀은 상기 다수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 밑면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vial having a v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ssage is formed in the rib so that a plurality of spaces formed by the rib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third vent hole i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paces. It can be formed on the bottom of one spac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벤트 기능을 갖는 바이알은, 상기 필터고정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제1벤트홀과 상기 제3벤트홀을 연결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홀이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vial having a v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ace forming hole forming a space connecting the first vent hole and the third vent hole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lter fixing member. .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벤트 기능을 갖는 바이알은, 상기 필터는 상기 공간형성홀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공간형성홀에는 상기 필터를 지지하는 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3벤트홀은 상기 공간형성홀의 밑면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vial having a v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is located above the space forming hole, the space forming hole is provided with a rib supporting the filter, and the third vent hole is provided in the space forming hole. It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ormation hol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벤트 기능을 갖는 바이알은, 상기 리브에는 상기 리브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3벤트홀은 상기 다수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 밑면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vial having a v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ssage is formed in the rib so that a plurality of spaces formed by the rib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third vent hole i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paces. It can be formed on the bottom of one spac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벤트 기능을 갖는 바이알은, 상기 필터는 공기만 투과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vial having a v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can only transmit air.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벤트 기능을 갖는 바이알은, 상기 마개부에는 상기 제1벤트홀을 밀폐시키는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vial having a v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aling member for sealing the first vent hole may be provided at the stopper.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벤트 기능을 갖는 바이알에 의하면, 커버를 개방하는 것과 동시에 필터를 통해 공기가 통할 수 있는 벤트홀이 개방됨으로써 바이알 내부 압력이 외부 압력과 맞춰지게 되어 주사기 바늘을 통해 바이알 내부의 약물을 추출하거나 바이알 내부로 약물을 주입할 때 내외부 압력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vial having a v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vent hole through which air can flow through the filter is opened at the same time as the cover is opened,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vial is matched with the external pressure. It can solve the difficulty caused by the difference in pressur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when extracting the drug from the inside of the vial through the syringe needle or injecting the drug into the inside of the vial.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벤트 기능을 갖는 바이알에 의하면, 벤트 바늘이나 바이알 엑세스 디바이스 등과 같은 별도의 기구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약물 취출시 음압 또는 양압으로 인한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vial having a v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iculties due to negative or positive pressure during drug extraction can be solved without using a separate mechanism or device such as a vent needle or a vial access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벤트 기능을 갖는 바이알에 의하면, 커버를 개방하는 것과 동시에 필터를 통해 공기가 통할 수 있는 벤트홀이 개방되도록 하여 약제가 외부 공기로 인해 오염되지 않으면서도 바이알 내외부 압력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vial having a v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is opened and the vent hole through which air can pass through the filter is open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medicine is not contaminated by the outside air, bu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vial pressure difference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벤트 기능을 갖는 바이알에 의하면, 사용자가 커버를 개방함과 동시에 막혀 있던 벤트홀이 개방되기 때문에, 사용전 바이알 보관시에는 벤트홀을 통해 약제가 누출되거나 오염될 염려가 없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vial having a v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locked vent hole is opened at the same time as the user opens the cover, the drug leaks through the vent hole or contamination when the vial is stored before use. no fear of becoming

본 발명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You will be able to.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벤트 기능을 갖는 바이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바이알을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상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바이알을 아래에서 위로 바라본 상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바이알의 부분 절개 단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바이알의 부분 수직단면도이고,
도 6은 캡이 격막부를 감싼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격막부를 아래에서 위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격막부에 필터고정부재와 필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필터고정부재를 위에서 아래로 바로본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따른 필터고정부재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따른 필터고정부재를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상태의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al having a v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ial according to Figure 1 viewed from above,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ial according to Figure 1 viewed from the bottom up,
Figure 4 is a partially cut-away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vial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5 is a partial vertical section of the vial according to Figure 1;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p covers a diaphragm;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removed;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diaphragm is viewed from bottom to t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filter fixing member and a filter are coupled to the diaphragm according to FIG. 8;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fixing member viewed from top to bott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fixing member according to FIG. 10 viewed from the side;
FIG. 12 is a plan view of the filter fixing member according to FIG. 10 viewed from top to bottom.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트 기능을 갖는 바이알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vial having a v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elem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 또는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도시된 상대적인 크기나 두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r size of each layer (film), region, pattern, or structure may be modified or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relative size or thicknes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한편, 각 실시예는 독립적으로 실시되거나 함께 실시될 수 있으며,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게 일부 구성요소는 제외될 수 있다.Meanwhile, each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r together, and some components may be exclud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invention.

또한,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일측', '타측', '상면', '밑면', '상방', '하방'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directional terms such as 'upper', 'lower', 'upper', 'lower', 'one', 'the other', 'upper', 'bottom', 'upper', 'lower', etc. refer to the orientation of the disclosed drawings. may be used in connection with As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ositioned in a variety of orientations, directional terms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not limitation.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terms and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벤트 기능을 갖는 바이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바이알을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상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바이알을 아래에서 위로 바라본 상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바이알의 부분 절개 단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바이알의 부분 수직단면도이고, 도 6은 캡이 격막부를 감싼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al having a v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ial of FIG. 1 viewed from above, and FIG. 3 is the vial of FIG. 1 from below.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ate viewed from above, Figure 4 is a partially cut-away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vial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5 is a partial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vial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 is wrapped around the septum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removed.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바이알(10)은 약제저장부(20), 격막부(30), 캡(40), 커버(5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7, the vi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ug storage unit 20, a septum unit 30, a cap 40, and a cover 50.

상기 약제저장부(20)는 의료용 약제를 보관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입구(23)가 좁고 길쭉하게 나온 형태를 가지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병이 사용될 수 있다.The drug storage unit 20 is a configuration that provides a space for storing medical drugs. For example, a glass or plastic bottle having a narrow and elongated inlet 23 may be used.

상기 격막부(30)는 상기 약제저장부(20)의 입구(23)를 막는 구성으로서, 상기 입구(23) 테두리(25)에 걸림되는 플랜지부(31)와, 상기 입구(23)에 삽입되는 돌출부(32)가 구비될 수 있다.The diaphragm part 30 is configured to block the inlet 23 of the drug storage part 20, and is inserted into the flange part 31 caught on the rim 25 of the inlet 23 and the inlet 23. A protrusion 32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격막부(30)는 주사바늘이 삽입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격막부(30)는 의료용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aphragm portion 30 may be made of a material into which an injection needle can be inserted. For example, the diaphragm part 3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medical rubber or silicone.

상기 캡(40)은 상기 격막부(30)를 감싸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격막부(30)를 감싸 고정하여 밀봉하는 알루미늄 캡이 사용될 수 있다.The cap 4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diaphragm portion 30, and for example, an aluminum cap that wraps around and fixes the diaphragm portion 30 may be used.

상기 커버(50)는 상기 캡(40) 상단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약제저장부(20)에 저장된 약제를 취출시에는 사용자에 의해 제거되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쉽게 제거가 가능하도록 플라스틱 커버가 사용될 수 있다. The cover 50 is coupled and fixed to the top of the cap 40, and is configured to be removed by the user when taking out the medicine stored in the medicine storage unit 20, for example, to be easily removed by the user. A plastic cover may be used.

또한, 상기 커버(50)는 제거시 상기 캡(40)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격막부(30)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Also, when the cover 50 is removed, a portion of the cap 40 may be removed to expose a portion of the diaphragm portion 30 .

예를 들어,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캡(40)의 상단 중심부에는 중심영역(42)을 둘러싸도록 복수의 후크삽입홀(44)이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50)의 하단 중심부에는 상기 복수의 후크삽입홀(44) 각각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복수의 후크부(42)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hook insertion holes 44 are form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cap 40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surround the central region 42, and in FIG. As can be seen, a plurality of hook parts 42 that are inserted into and caught in each of the plurality of hook insertion holes 44 may be form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cover 50 .

그러면, 사용자가 상기 커버(50)를 제거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후크부(42)에 의해 상기 복수의 후크삽입홀(44)로 둘러싸인 상기 중심영역(42)이 뜯겨져 제거되면서,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격막부(30)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노출된 격막부(30)로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상기 약제저장부(20)에 저장된 약제를 추출하거나 또는 상기 약제저장부(20)에 저장된 약제를 추출하기 위한 주사액이나 생리식염수 등의 수액을 주입할 수 있다.Then, when the user removes the cover 50, the central region 42 surrounded by the plurality of hook insertion holes 44 by the plurality of hook parts 42 is torn off and removed, in FIG. As can be seen, a portion of the diaphragm portion 30 may be exposed, and the user inserts a needle into the exposed diaphragm portion 30 to extract the drug stored in the drug storage unit 20 or the drug An injection solution for extracting a drug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 or an infusion solution such as physiological saline may be injecte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벤트 기능을 갖는 바이알(10)은 상기 커버(50)를 제거하는 것과 동시에 필터를 통해 상기 약제저장부(20)의 내부와 공기가 통할 수 있는 벤트홀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ial 10 having a v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nt hole through which air can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drug storage unit 20 through a filter at the same time as removing the cover 50 It can be configured to be open.

이를 위해, 상기 격막부(30)에는 제1벤트홀(33)이 형성되고, 상기 캡(40)에는 상기 제1벤트홀(33)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벤트홀(45)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40)에는 상기 캡(40) 상단에 결합고정된 경우 상기 제2벤트홀(45)을 관통하여 상기 제1벤트홀(33)을 막는 마개부(53)가 구비될 수 있다. To this end, a first vent hole 33 is formed in the diaphragm part 30, and a second vent hole 45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vent hole 33 in the cap 40. , The cover 40 may be provided with a stopper 53 that passes through the second vent hole 45 and blocks the first vent hole 33 when coupled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cap 40 .

상기 마개부(53)는 상기 커버(50) 밑면의 상기 제1벤트홀(33)과 상기 제2벤트홀(45)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개부(53)에는 상기 제1벤트홀(33)에 삽입된 경우 상기 제1벤트홀(33)을 밀폐시키는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링부재는 오링(O-ring)이 사용될 수 있다.The stopper 53 may protrud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vent hole 33 and the second vent hole 45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50, and the stopper 53 may have the When inserted into the first vent hole 33, a sealing member sealing the first vent hole 33 may be provided. For example, an O-ring may be used as the sealing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바이알(10)은 상기 제1벤트홀(33)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약제저장부(20) 내부와 연통하는 제3벤트홀(61)이 형성되는 필터고정부재(60)와, 상기 제1벤트홀(33)과 상기 필터고정부재(60) 상단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벤트홀(33)과 상기 제3벤트홀(61) 사이로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필터(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under the first vent hole 33 and a filter fixing in which a third vent hole 61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drug storage unit 20 is formed. A member 60,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vent hole 33 and the upper end of the filter fixing member 60 to allow air to flow between the first vent hole 33 and the third vent hole 61 A filter 70 may be further included.

그러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커버(50)가 제거되기 전에는, 상기 마개부(53)에 의해 상기 제1벤트홀(33)이 실링된 상태로 막혀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사용전 바이알 보관시에는 상기 제1벤트홀(33)을 통해 약제가 누출되거나 오염될 염려가 없다.Then, before the cover 50 is removed by the user, the first vent hole 33 is sealed and blocked by the stopper 53, so when storing the vial before use, There is no fear of leakage or contamination of the drug through the first vent hole 33 .

반면, 사용자가 상기 커버(50)를 제거하게 되면, 상기 커버(50)를 제거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제1벤트홀(33)이 개방되고, 상기 필터(70)를 통해 상기 제1벤트홀(33)과 상기 제3벤트홀(61)이 연통됨에 따라 상기 약제저장부(20)의 내부와 외부는 공기가 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약제저장부(20) 내부 압력이 외부 압력과 맞춰지게 되어 주사바늘을 통해 상기 약제저장부(20) 내부의 약물을 추출하거나 상기 약제저장부(20) 내부로 약물을 주입할 때 내외부 압력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removes the cover 50, the first vent hole 33 is opened at the same time as the cover 50 is removed, and the first vent hole 33 passes through the filter 70. ) and the third vent hole 61 communicat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drug storage unit 20 can communicate with air, and accordingl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rug storage unit 20 is matched with the external pressure It is possible to solve difficulties caused by a difference in internal and external pressure when extracting a drug from the inside of the drug storage unit 20 or injecting a drug into the inside of the drug storage unit 20 through an injection needle.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벤트 기능을 갖는 바이알(20)에 의하면, 벤트 바늘이나 바이알 엑세스 디바이스 등과 같은 별도의 기구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약물 취출시 음압 또는 양압으로 인한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vial 20 having a v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iculties caused by negative or positive pressure during drug extraction can be solved without using a separate mechanism or device such as a vent needle or vial access device. there is.

또한, 상기 필터(70)는 액체와 입자는 통과하지 못하고 공기만 투과하는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lter 70 may be a filter that does not pass liquid and particles and only transmits air.

그러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커버(50)가 제거된 후에도, 상기 약제저장부(20)에 저장된 약제가 누출되거나 외부 이물질이 상기 약제저장부(20)로 유입되어 상기 약제가 오염되는 등의 문제가 상기 필터(70)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Then, even after the cover 50 is removed by the user, the drug stored in the drug storage unit 20 leaks or external foreign substances flow into the drug storage unit 20 to cause contamination of the drug. This can be prevented by the filter 70.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격막부를 아래에서 위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격막부에 필터고정부재와 필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필터고정부재를 위에서 아래로 바로본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따른 필터고정부재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따른 필터고정부재를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상태의 평면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aphragm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bottom up,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filter fixing member and a filter are coupled to the diaphragm unit according to FIG. 8, and FIG.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top and bottom,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fixing member according to FIG. 10 viewed from the side, and FIG. 12 is a filter fixing member according to FIG. 10 This is a top-down plan view.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격막부(30)의 하부에는 상기 필터(70)와 상기 필터고정부재(60)가 결합하는 결합홈(34)이 형성될 수 있다.8 to 12, a coupling groove 34 for coupling the filter 70 and the filter fixing member 60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iaphragm uni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상기 결합홈(34)은 상기 제1벤트홀(33)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고정부재(60)는 상기 제1벤트홀(33)과 사이에 상기 필터(70)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결합홈(34)에 결합하여 상기 격막부(30) 형상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The coupling groove 34 may be formed below the first vent hole 33, and the filter fixing member 60 has the filter 70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vent hole 33 and the filter fixing member 60. It can form part of the shape of the diaphragm part 30 by being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34 in a state.

예를 들어, 상기 결합홈(34)은 상기 플랜지부(31)와 상기 돌출부(32)의 일부 영역으로부터 함몰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고정부재(60)는 상기 플랜지부(31)의 일부를 이루어 상기 약제저장부(20)의 입구(23) 테두리(25)에 걸림되는 단턱부(62)와, 상기 돌출부(32)의 일부를 이루도록 상기 단턱부(6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약제저장부(20)의 입구(23)에 삽입되는 길이부(63)를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upling groove 34 may be recessed from a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31 and the protruding portion 32, and the filter fixing member 60 is a part of the flange portion 31.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tepped portion 62 so as to form a part of the stepped portion 62 and the protruding portion 32 to be caught on the border 25 of the inlet 23 of the drug storage portion 20 and store the drug. A length portion 63 inserted into the inlet 23 of the portion 20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필터고정부재(60)의 상단 즉, 상기 단턱부(62)의 상부에는 상기 제1벤트홀(33)과 상기 제3벤트홀(61)을 연결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홀(64)이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 space forming hole forming a space connecting the first vent hole 33 and the third vent hole 61 at the upper end of the filter fixing member 60, 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stepped portion 62 ( 64) can be provided.

상기 커버(50)가 제거된 경우, 상기 약제저장부(20)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1벤트홀(33), 상기 필터(70) 및 상기 제3벤트홀(61)을 통해 외부와 공기가 통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필터(70) 하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공간형성홀(64)을 마련하면 상기 공기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약제저장부(20)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 차이는 쉽게 해소될 수 있다.When the cover 50 is removed, the internal space of the medicine storage unit 20 is supplied with ai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vent hole 33, the filter 70, and the third vent hole 61. At this time, if the space forming hole 64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is provided under the filter 70, the air flow can be made smoothly, and accordingly, the internal pressure and The external pressure difference can be easily resolved.

또한, 상기 제1벤트홀(33)은 상기 플랜지부(31)에 형성되고, 상기 제3벤트홀(61)은 상기 길이부(63)에 형성되고, 상기 제1벤트홀(33)과 상기 제3벤트홀(61)은 상기 공간형성홀(6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vent hole 33 is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31, the third vent hole 61 is formed in the length portion 63, and the first vent hole 33 and the The third vent hole 61 may be connected by the space formation hole 64 .

상기 제1벤트홀(33)과 상기 제3벤트홀(61)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격막부(30)의 중심영역은 상기 커버(50) 제거시 노출되어 주사바늘이 삽입되는 영역이기 때문에, 상기 제1벤트홀(33)은 상기 중심영역의 주변영역인 상기 플랜지부(31)에 형성될 수 밖에 없는 반면, 상기 제3벤트홀(61)은 상기 약제저장부(20) 내부와 연통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약제저장부(20)의 입구(23)에 삽입되는 상기 길이부(63)에 형성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벤트홀(33)과 상기 제3벤트홀(61)은 수직적으로 서로 일렬로 정렬된 상태가 아닌 수평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어긋난 상태로 형성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발생한다.In forming the first vent hole 33 and the third vent hole 61, since the central region of the diaphragm portion 30 is exposed when the cover 50 is removed and the injection needle is inserted, The first vent hole 33 must be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31, which is a peripheral area of the central area, while the third vent hole 61 must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medicine storage unit 20. Therefore, there is a limitation that must be formed in the length part 63 inserted into the inlet 23 of the medicine storage part 20, and therefore the first vent hole 33 and the third vent hole ( 61), there is a limitation that cannot but be formed in a displaced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horizontall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stead of vertically aligned in a line.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바이알(10)은 상기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제1벤트홀(33)과 상기 제3벤트홀(61)을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하더라도 상기 제1벤트홀(33)과 상기 제3벤트홀(61) 사이에서 공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고정부재(60)의 상단에 상기 공간형성홀(64)를 형성한 것이다.In the vi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limitations, the first vent hole 33 and the third vent hole 61 are formed at positions that are offset from each other. The space forming hole 64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lter fixing member 60 so that air can flow smoothly between the 33 and the third vent hole 61 .

또한, 상기 필터(70)는 상기 공간형성홀(64)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공간형성홀(64)에는 상기 필터(70)를 지지하는 리브(65)가 구비되고, 상기 제3벤트홀(61)은 상기 공간형성홀(64)의 밑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70 is located above the space forming hole 64, the space forming hole 64 is provided with a rib 65 supporting the filter 70, and the third vent hole 61 )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e forming hole 64.

그러면, 상기 필터(70) 하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벤트홀(33)과 상기 제3벤트홀(61)은 상기 공간형성홀(6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Then, a predetermined space may be formed under the filter 70, and the first vent hole 33 and the third vent hole 61 may be connected by the space forming hole 64.

또한, 상기 리브(65)에는 상기 리브(65)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공간(66)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통로(6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벤트홀(61)은 상기 다수의 공간(66) 중 어느 하나의 공간 밑면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assage 67 may be formed in the rib 65 so that the plurality of spaces 66 formed by the rib 65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third vent hole 61 is formed in the plurality of spaces 66. (66) can be formed on the bottom of any one of the spaces.

상기 공간형성홀(64)에 상기 필터(70)를 지지하는 리브(65)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형성홀(64) 상부에 상기 필터(70)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공간형성홀(64)에는 서로 연통하지 않는 다수의 공간(66)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공간형성홀(64) 내에서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여 상기 제1벤트홀(33)과 상기 제3벤트홀(61)이 서로 연통되지 않을 염려가 있다. When a rib 65 supporting the filter 70 is provided in the space forming hole 64 and the filter 70 is positioned above the space forming hole 64, the space forming hole 64 A plurality of spaces 66 that do 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may be formed, which blocks the air flow in the space forming hole 64, thereby opening the first vent hole 33 and the third vent hole 61. There is a concern that these will 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그러나, 도 10 및 도 1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리브(65)에 상기 다수의 공간(66)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통로(67)를 형성하면, 상기 공간형성홀(64)에 상기 필터(70)를 지지하는 상기 리브(65)를 형성하더라도 상기 공간형성홀(64)에서의 공기 흐름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1벤트홀(33)과 상가 제3벤트홀(61) 사이에서의 공기 흐름은 원활하게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S. 10 and 12, when a passage 67 is formed in the rib 65 so that the plurality of spaces 66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filter 70 is formed in the space forming hole 64. Even if the rib 65 supporting the ) is formed, the air flow in the space forming hole 64 can be smoothly performed, and thus between the first vent hole 33 and the third vent hole 61 The air flow in can occur smoothly.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벤트 바늘이나 바이알 엑세스 디바이스 등과 같은 별도의 기구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약물 추출시 바이알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벤트 기능을 갖는 바이알에 관한 것으로서, 그 실시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변경 가능한 모든 형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al having a vent function capable of preventing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vial during drug extraction without using a separate instrument or device such as a vent needle or a vial access device. , It will be said that the embodiment can be changed into various form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nd all forms changea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바이알 20 : 약제저장부
23 : 약제저장부 입구 25 : 약제저장부 입구 테두리
30 : 격막부 31 : 플랜지부
32 : 돌출부 33 : 제1벤트홀
34 : 결합홈 40 : 캡
42 : 중심영역 44 : 후크삽입홀
45 : 제2벤트홀 50 : 커버
52 : 후크부 53 : 마개부
60 : 필터고정부재 61 : 제3벤트홀
62 : 단턱부 63 : 길이부
64 : 공간형성홀 65 : 리브
66 : 공간 67 : 통로
70 : 필터
10: vial 20: drug storage unit
23: drug storage unit entrance 25: drug storage unit entrance border
30: diaphragm part 31: flange part
32: protrusion 33: first vent hole
34: coupling groove 40: cap
42: center area 44: hook insertion hole
45: second vent hole 50: cover
52: hook part 53: stopper part
60: filter fixing member 61: third vent hole
62: stepped portion 63: length portion
64: space formation hole 65: rib
66: space 67: passage
70: filter

Claims (11)

약제저장부;
상기 약제저장부의 입구를 막으며, 주사바늘이 삽입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1벤트홀이 형성되는 격막부;
상기 격막부를 감싸며, 상기 제1벤트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벤트홀이 형성되는 캡;
상기 캡 상단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캡 상단에 결합 고정된 경우 상기 제2벤트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벤트홀을 막는 마개부가 구비되며, 제거시 상기 캡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격막부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커버;
상기 제1벤트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약제저장부 내부와 연통하는 제3벤트홀이 형성되는 필터고정부재; 및
상기 제1벤트홀과 상기 필터고정부재 상단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벤트홀과 상기 제3벤트홀 사이로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바이알.
drug storage unit;
a diaphragm portion that blocks an inlet of the drug storage unit, is made of a material into which an injection needle can be inserted, and has a first vent hole;
a cap surrounding the diaphragm and having a second vent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vent hole;
It is coupled and fixed to the top of the cap, and when coupled and fixed to the top of the cap, a stopper is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vent hole and block the first vent hole. exposed cover;
a filter fixing member provided under the first vent hole and having a third ven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medicine storage unit; and
A vial comprising a filt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vent hole and an upper end of the filter fixing member to allow air to flow between the first vent hole and the third vent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부는 상기 약제저장부의 입구 테두리에 걸림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입구에 삽입되는 돌출부와, 상기 제1벤트홀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필터고정부재는 상기 제1밴트홀과 사이에 상기 필터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결합홈에 결합하여 상기 격막부 형상의 일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알.
According to claim 1,
The diaphragm portion has a flange portion caught on the inlet rim of the drug storage unit, a protrus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inlet, and a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vent hole,
The filter fix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vent hole and the vial,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a part of the shape of the septu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부 영역으로부터 함몰형성되고,
상기 필터고정부재는 상기 플랜지부의 일부를 이루어 상기 약제저장부의 입구 테두리에 걸림되는 단턱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부를 이루도록 상기 단턱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약제저장부의 입구에 삽입되는 길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알.
According to claim 2,
The coupling groove is recessed from a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The filter fixing member comprises a stepped portion that forms a part of the flange portion and is caught on the inlet rim of the drug storage unit, and a length portion that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stepped portion to form a part of the protruding por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inlet of the drug storage unit. A vial characterized in tha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벤트홀은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3벤트홀은 상기 길이부에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의 상부에는 상기 제1벤트홀과 상기 제3벤트홀을 연결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알.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vent hole is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The third vent hole is formed in the length portion,
A vial, characterized in that a space forming hole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stepped portion to form a space connecting the first vent hole and the third vent ho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공간형성홀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공간형성홀에는 상기 필터를 지지하는 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3벤트홀은 상기 공간형성홀의 밑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알.
According to claim 4,
The filter is located above the space forming hole,
A rib supporting the filter is provided in the space forming hole,
The v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vent hol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e forming ho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에는 상기 리브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3벤트홀은 상기 다수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 밑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알.
According to claim 5,
A passage is formed in the rib so that a plurality of spaces formed by the rib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third vent hole is a vi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pac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고정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제1벤트홀과 상기 제3벤트홀을 연결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알.
According to claim 1,
A vial, characterized in that a space forming hole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lter fixing member to form a space connecting the first vent hole and the third vent ho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공간형성홀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공간형성홀에는 상기 필터를 지지하는 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3벤트홀은 상기 공간형성홀의 밑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알.
According to claim 7,
The filter is located above the space forming hole,
A rib supporting the filter is provided in the space forming hole,
The v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vent hol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e forming hol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에는 상기 리브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3벤트홀은 상기 다수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 밑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알.
According to claim 8,
A passage is formed in the rib so that a plurality of spaces formed by the rib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third vent hole is a vi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pac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공기만 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알.
According to claim 1,
The v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permeates only ai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에는 상기 제1벤트홀을 밀폐시키는 실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알.
According to claim 1,
The v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for sealing the first vent hole.
KR1020210177120A 2021-12-10 2021-12-10 Vial having vent function KR1026639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120A KR102663933B1 (en) 2021-12-10 2021-12-10 Vial having vent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120A KR102663933B1 (en) 2021-12-10 2021-12-10 Vial having vent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188A true KR20230088188A (en) 2023-06-19
KR102663933B1 KR102663933B1 (en) 2024-05-03

Family

ID=8698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120A KR102663933B1 (en) 2021-12-10 2021-12-10 Vial having vent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933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9534A (en) 2000-01-24 2000-10-31 Bracco Diagnostics, Inc. Vial access adapter
KR100660676B1 (en) 2002-04-04 2006-12-21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Chemical container
JP4869039B2 (en) 2006-11-27 2012-02-01 ニプロ株式会社 Chemical container
US20200410444A1 (en) 2018-03-01 2020-12-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ersonal protection equipment identif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2020/0093695A (공개일: 2020-03-26, 발명의 명칭: Pressure-regulating vial access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3933B1 (en) 2024-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0788B2 (en) System for closed transfer of fluids
JP6840107B2 (en) Systems with adapters for closed transfer of fluids
KR101298462B1 (en) Liquid medicine preparation kit
US5036992A (en) Medicine vial cap for needleless syringe
JP2726035B2 (en) Resealable vial with connector assembly with membrane and pusher
JP6393755B2 (en) System having an adapter for closed transfer of fluid
ES2215359T3 (en) FLUID TRANSFER PROCEDURE.
US20150290079A1 (en) Drug container storage device, drug container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sucking drug
JP2005529685A5 (en)
JP2009189861A (en) Port, container and method for accessing port
SE463849B (en) MEDICAL CONTAINER
SG192151A1 (en) Medical administering set
US11697527B1 (en) Tamper evident closure assembly
KR20230088188A (en) Vial having vent function
US20190038887A1 (en) Medical drain unit having luer-lock connection structure
KR102570478B1 (en) Needle spike
JPH11267201A (en) Medicine injector
JPH05200095A (en) Transfusion vessel
KR20170142416A (en) Pouch for packing intravenous fluid bag
BR202014001327U2 (en) closed infusion system sealing cap
BR202014003400U2 (en) constructive arrangement applied in sealing 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