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8089A -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8089A
KR20230088089A KR1020210176946A KR20210176946A KR20230088089A KR 20230088089 A KR20230088089 A KR 20230088089A KR 1020210176946 A KR1020210176946 A KR 1020210176946A KR 20210176946 A KR20210176946 A KR 20210176946A KR 20230088089 A KR20230088089 A KR 20230088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output
building
serial conn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9224B1 (ko
Inventor
박완혁
박규제
강효성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76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224B1/ko
Publication of KR20230088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19Switching between serial connection and parallel connection of battery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40DC to AC converters
    • B60L2210/46DC to AC converters with more than three ph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대의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직렬로 연결하여 특정 건물이 요구하는 수전 용량을 충족하는 전력을 충분한 시간동안 공급할 수 있고, 비상발전기, 무정전 변압기차 등의 역할을 대체하여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 및 방법 {V2B MULTIPLE SERIES CONNETC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전기전기차를 직병렬 연결하여 건물 등에서 활용하기에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배기가스에 대한 국제 환경규제 강화, 석유의 고갈 가능성, 고유가 지속 등으로 세계 자동차시장은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전기자동차로 눈을 돌리고 있다. 특히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는 효과적인 글로벌 온실가스 감축수단이자,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한 유력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선진국들은 전기 자동차 보급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고, 최근 우리나라 또한 국가정책으로 전기자동차를 지속 도입하여 전기자동차의 활용성이 확대되고 있다.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전력으로 모터를 구동한다. 또한, 최근 이러한 전기자동차를 이용한 전력 수요 관리를 위한 V2G(Vehicle to Grid)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에 있다.
V2G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있는 전력을 평상시에는 차를 주행하는데 사용하고, 전력 사용이 많은 피크 발생시에는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전력망을 통해 반대로 송전하여 전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전기차 운전자는 전기요금이 저렴한 시간대에 배터리를 가득 충전해 놓고, 피크 시간대에 배터리에 남아 있는 전력을 전력회사에 되팔 수 있다. 그러면 전기차 운전자는 차액으로 수익을 얻고, 전력회사는 피크 시간대 발전소 가동률을 줄일 수 있다. 즉, V2G를 통해 자연스럽게 전력 수요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V2G는 V2H(Vehicle to Home), V2B(Vehicle to Building), V2D(Vehicle to Device)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V2H, V2B는 전기자동차를 정전 등의 경우 건물의 비상발전기 대용으로 사용하는 것이며, V2D는 전기자동차로 TV, 전등, 컴퓨터, 냉장고 등과 같은 전자제품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 중, V2B는, 전기자동차를 이용하여 배전 선로 및 건물 단위에서의 국부적 전력계통 피크 부하 절감 및 전력 수요 관리에 활용될 수 있어, 그 활용 방안이 다각도로 모색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V2B 개념으로는 건물에 충분한 전력을 공급하는데 있어 한계가 있다. 즉,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의 용량 및 출력 전력을 고려할 때 건물의 요구 전력에 비해 소량의 전력 공급만이 가능한 바, 일반 건물 전체의 수전 용량 규모 이상의 전원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V2B 기술을 활용하여 다수의 전기자동차로 정전, 공사 등 유사시 건물에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국부적 전력계통 피크 부하 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하나의 건물의 수전 용량을 충족하는 전력을 충분한 시간동안 제공할 수 있는 V2B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은, 배터리가 구비된 전기자동차; 복수 개의 상기 전기자동차와 접속되어, 복수 개의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입력 받는 입력부; 복수 개의 상기 배터리를 직렬로 연결시키는 직렬 연결부; 및 상기 직렬 연결부에서 공급된 전력을 출력하는 1 개의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직렬 연결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직류에서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은, 상기 인버터에 의해 교류로 변환된 전력을 삼상 변환하는 위상 변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은,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된 전력을 상기 입력부가 구비된 건물의 요구 전력 범위로 전압을 제어하는 전력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부에서 제어된 전력은 상기 건물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V2B 다중 직렬 연결 방법은
복수 개의 전기자동차에 포함된 복수 개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입력 받는 입력 단계; 상기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복수 개의 배터리에서 입력된 전력을 직렬로 연결시키는 직렬 연결 단계; 및 상기 직렬 연결 단계에서 공급된 전력을 소정 전력 범위 내에서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직렬 연결 단계에서 공급된 전력을 직류에서 교류로 변환하는 교류 변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교류 변환 단계에서 교류로 변환된 전력을 삼상 변환하는 위상 변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V2B 다중 직렬 연결 방법은, 상기 출력 단계에서 출력된 전력이 건물의 요구 전력 범위의 하한보다 낮은 경우 전압을 승압하고, 출력된 전력이 건물의 요구 전력 범위의 상한보다 높은 경우 전압을 강압하여,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 제어 단계; 및 상기 전력 제어 단계에서 제어된 전력을 상기 건물에 공급하는 공급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 및 방법 의하면, 정전이나 공사 등 유사시 전기자동차를 활용해 특정 건물의 수전 용량을 충족할 수 있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충분한 시간동안 건물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의 출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의 전력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B 다중 직렬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B 다중 직렬 연결 방법의 출력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1)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선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1)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1)은, 전기자동차(2), 배터리, 입력부(11), 직렬 연결부(12), 출력부(13), 전력 제어부(14) 및 건물(B)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2)에는 전기자동차(2)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원으로 배터리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1)은 건물(B)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건물(B)의 전력 피크 타임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건물(B) 근처 배선 관련 공사가 진행되는 경우 필요한 무정전 변압기차 공법을 대체하거나, 정전 등의 경우 긴급 전기 공급용 비상 발전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한편, 건물(B)이 필요로 하는 전력 즉, 수전 용량은 건물(B)의 종류, 크기, 용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런데 전기자동차(2) 배터리의 기술 발전에도 불구하고, 그 배터리 용량(25kWh ~ 64kWh)은 건물(B) 하나의 수전 용량을 고려할 때 매우 소량의 전기를 전송할 수밖에 없어 필요한 전력을 제공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 전기자동차(2)를 여러 대 구비하여 배터리 용량을 확보한다 하여도 종래 V2B 기술로는 여러 대의 전기자동차(2)의 전력을 하나의 출력으로 합쳐 건물(B)에 공급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1)은, 복수 개의 전기자동차(2)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이를 직렬로 연결하여 건물(B)에 필요한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전기자동차(2)의 배터리의 전력은 입력부(11)로 입력되고, 직렬 연결부(12)로 전송될 수 있다.
입력부(11)는, 전기자동차(2)에 구비된 충전단자에 접속될 수 있어야 하므로, 종래 전기자동차(2)의 충전기와 동일한 규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11)는, 전기자동차(2)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입력받을 수 있게 단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는 한편, 전기자동차(2)의 충전시설에 구비된 양방향 충전기의 일부로서 충전기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전기자동차(2) 충전시설은 건물(B)의 주차장에 구비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입력부(11)또한 전기자동차(2) 충전시설이 구비된 주차장에 설치되어, 전기자동차(2)의 충전기와 별도 또는 일체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직렬 연결부(12)는 입력부(11)로부터 입력된 복수 개의 전기자동차(2)의 전력을 하나의 출력으로 출력부(1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전기자동차(2)의 전력이 직렬로 연결되므로, 전압이 상승되어 전력이 상승될 수 있다. 이렇게 상승된 전력은 전력을 공급받는 건물(B)의 요구 전력을 충족시킬 수 있다.
한편, 입력부(11)는 전기자동차(2)와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므로, 전기자동차(2) 충전기와 마찬가지로, 건물(B) 외부에서 전기자동차(2) 사용자가 접근 가능하게 구비될 필요가 있다. 반면, 입력부(11)를 제외한 직렬 연결부(12), 출력부(13), 전력 제어부(14) 등의 구성은 반드시 외부로 드러날 필요는 없고, 입력부(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주차장의 저면이나 건물(B) 내부 등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전기자동차(2)의 전력이 건물(B)의 요구 전력을 초과할 경우, 더 높은 전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일부의 전기자동차(2)는 병렬로 연결되어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한도에서 전력 공급 시간을 확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직렬 연결부(12)는 전부 또는 일부의 전기자동차(2)의 접속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직병렬 전환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8 개의 전기자동차(2)가 구비된 경우, 건물(B)의 수전용량이 2 개의 전기자동차(2)의 직렬 연결로 확보될 경우라면, 2 직렬 4 병렬로 연결될 수 있고, 4 개 이상의 전기자동차(2)의 직렬 연결이 있어야 수전 용량이 확보되는 경우라면, 4 직렬 2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복수 개의 전기자동차의 전력을 유동적으로 직병렬 전환하면, 건물(B)의 수전 용량을 확보하면서 전력 공급 시간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1)의 출력부(13)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선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1)의 출력부(13)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출력부(13)는, 인버터(131) 및 위상 변환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2)의 배터리는 직류전류만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전력이 건물(B)에서 사용되기 위해서는, 교류 변환 및 삼상 변환이 필요하다. 따라서 출력부(13)는, 직류 전류를 교류 전류로 변환하는 인버터(131), 교류 전류의 상을 삼상으로 변환하는 위상 변환기(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131)와 위상 변환기(132)는 공지된 기술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1)의 전력 제어부(14)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선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1)의 전력 제어부(14)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력 제어부(14)는, 출력부(13)로부터 출력 전력을 공급받고, 제어하여, 건물(B)에 제어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전기자동차(2)로부터 공급된 전력은 건물(B)의 수전 용량 범위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건물(B)에 전력이 공급되기 전, 수전 용량 범위로 전력의 크기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일례로, 제어부는, 출력부(13)에서 출력된 전력이 건물(B)의 요구 전력 범위의 하한보다 낮은 경우 전압을 승압하고, 출력된 전력이 건물(B)의 요구 전력 범위의 상한보다 높은 경우 전압을 강압하는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변압을 위해, 제어부는 변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어는 폐루프 피드백 제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B 다중 직렬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B 다중 직렬 연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B 다중 직렬 연결 방법은, 입력 단계(S10), 직렬 연결 단계(S20), 출력 단계(S30), 전력 제어 단계(S40), 공급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단계(S10)는 복수 개의 전기자동차(2)의 복수 개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처음 공급되는 단계이다. 입력 단계(S10)를 거친 전력은 직렬 연결 단계(S20)에서 각각 직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출력으로 합쳐질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전력은 건물(B)에 공급되기 충분할 정도로 높아질 수 있다.
출력 단계(S30)에서는, 직렬 단계에서 공급된 전력이 소정 전력 범위 내로 출력될 수 있다. 소정 전력 범위는 건물(B)의 수전 용량에 근접할 수 있다.
전력 제어 단계(S40)에서는, 출력 전력이 수전 용량의 범위로, 적정 전력으로 제어될 수 있다. 출력 전력의 제어는,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도 3에서 제어부의 전력 제어 설명 부분을 원용하기로 한다.
공급 단계(S50)에서는, 수전 용량 범위로 제어된 전력이 건물(B)에 공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B 다중 직렬 연결 방법의 출력 단계(S30)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B 다중 직렬 연결 방법의 출력 단계(S3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출력 단계(S30)는, 교류 변환 단계(S31) 및 위상 변환 단계(S32)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에서, 직렬 연결 단계(S20)에서 공급된 전류가 직류 전류 건물(B) 등에서 사용되는 교류 및 삼상 전류로 변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 및 방법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V2B 다중 연결 시스템 및 방법
11: 입력부
12: 직렬 연결부
13: 출력부
131: 인버터
132: 위상 변환기
14: 전력 제어부
2: 전기 자동차
B: 건물

Claims (8)

  1. 배터리가 구비된 전기자동차;
    복수 개의 상기 전기자동차와 접속되어, 복수 개의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입력 받는 입력부;
    복수 개의 상기 배터리를 직렬로 연결시키는 직렬 연결부; 및
    상기 직렬 연결부에서 공급된 전력을 출력하는 1 개의 출력부;
    를 포함하는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직렬 연결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직류에서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
    를 더 포함하는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인버터에 의해 교류로 변환된 전력을 삼상 변환하는 위상 변환기;
    를 더 포함하는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된 전력을 상기 입력부가 구비된 건물의 요구 전력 범위로 전압을 제어하는 전력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부에서 제어된 전력은 상기 건물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
  5. 복수 개의 전기자동차에 포함된 복수 개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입력 받는 입력 단계;
    상기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복수 개의 배터리에서 입력된 전력을 직렬로 연결시키는 직렬 연결 단계; 및
    상기 직렬 연결 단계에서 공급된 전력을 소정 전력 범위 내에서 출력하는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V2B 다중 직렬 연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직렬 연결 단계에서 공급된 전력을 직류에서 교류로 변환하는 교류 변환 단계;
    를 더 포함하는 V2B 다중 직렬 연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교류 변환 단계에서 교류로 변환된 전력을 삼상 변환하는 위상 변환 단계;
    를 더 포함하는 V2B 다중 직렬 연결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에서 출력된 전력이 건물의 요구 전력 범위의 하한보다 낮은 경우 전압을 승압하고, 출력된 전력이 건물의 요구 전력 범위의 상한보다 높은 경우 전압을 강압하여,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 제어 단계; 및
    상기 전력 제어 단계에서 제어된 전력을 상기 건물에 공급하는 공급 단계;
    를 더 포함하는 V2B 다중 직렬 연결 방법.
KR1020210176946A 2021-12-10 2021-12-10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102639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946A KR102639224B1 (ko) 2021-12-10 2021-12-10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946A KR102639224B1 (ko) 2021-12-10 2021-12-10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089A true KR20230088089A (ko) 2023-06-19
KR102639224B1 KR102639224B1 (ko) 2024-02-22

Family

ID=86988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946A KR102639224B1 (ko) 2021-12-10 2021-12-10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2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0165A (ja) * 2008-08-15 2012-01-05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二次電源管理を備えたエレベータおよびビル電力システム
JP2017028787A (ja) * 2015-07-17 2017-02-02 エイディシ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車両電力管理装置
KR20210055109A (ko) * 2019-11-05 2021-05-17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스마트 에너지저장부가 포함된 이동식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0165A (ja) * 2008-08-15 2012-01-05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二次電源管理を備えたエレベータおよびビル電力システム
JP2017028787A (ja) * 2015-07-17 2017-02-02 エイディシ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車両電力管理装置
KR20210055109A (ko) * 2019-11-05 2021-05-17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스마트 에너지저장부가 포함된 이동식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9224B1 (ko)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fi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f DC fast-charging stations with energy storage: Architectures, power converters, and analysis
US10857897B2 (en) Energy generation and storage system with electric vehicle charging capability
AU2016368287B2 (en) Renewable energy system with integrated home power supply system
Maroti et al. The state-of-the-art of power electronics converters configurations in electric vehicle technologies
Bauer et al.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and impact on the grid
US20200031238A1 (en) Vehicle-Solar-Grid Integration for Back up Power
US20110234150A1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KR20100101994A (ko)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
US9676287B2 (en) Electric battery charging installation and method
US20050006958A1 (en) Grid-connected power systems having back-up power sources and methods of providing back-up power in grid-connected power systems
WO2012144358A1 (ja) 電力供給装置、電力供給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直流給電システム
KR20130054754A (ko) 태양광 발전 장치 연계형 전원공급시스템
KR20120125886A (ko) 인버터 및 충전 회로 통합 장치
KR102400639B1 (ko) 다중발전원을 갖는 전기차 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3031243A (ja) 充電用の電力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電力管理装置
Capasso et al. Charging architectures integrated with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for sustainable mobility
Gurkaynak et al. A novel grid-tied, solar powered residential home with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loads
Brombach et al. Grid-integration of high power charging infrastructure
Chaudhry et al. A V2G application using DC fast charging and its impact on the grid
KR102639224B1 (ko) V2b 다중 직렬 연결 시스템 및 방법
EP4351914A1 (en) Electric vehicle solar charging system
KR102659333B1 (ko) 원코드 전원플러그를 이용한 전력 동기화 방법을 구비한 자동차
CN219339388U (zh) 车辆供电系统及车辆
Nipin et al. A review on concept of electric springs with electric vehicle on power networks
Valavala et al. DC Rapid Charging Architecture in a Microgrid for Vehicle-To-Grid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