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8040A -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 Google Patents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8040A
KR20230088040A KR1020210176855A KR20210176855A KR20230088040A KR 20230088040 A KR20230088040 A KR 20230088040A KR 1020210176855 A KR1020210176855 A KR 1020210176855A KR 20210176855 A KR20210176855 A KR 20210176855A KR 20230088040 A KR20230088040 A KR 20230088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lectric vehicle
crushing
pack
recycling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8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희두
이용성
이명원
최주환
김민수
박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비트프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비트프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비트프리텍
Priority to KR1020210176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8040A/en
Publication of KR20230088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04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전기차 배터리를 분해 및 해체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은, 복수개의 배터리 팩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된 방전용 랙을 구비하고 상기 방전용 랙의 각 수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배터리 팩을 방전시키는 방전 단계; 방전된 배터리 팩을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과 각 부품으로 해체하는 팩 해체 단계; 상기 배터리 모듈에서 각 배터리 셀을 연결 고정하는 결합 부분을 커팅하여 절단하는 절단 단계; 상기 배터리 셀을 파분쇄하고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파분쇄 단계; 상기 파분쇄 단계에서 파쇄물을 화재가 발생되지 않도록 공조 시설이 구비된 보관장에서 일정시간 보관하는 안정화 단계; 및 안정화된 파쇄물로부터 불순물이 제거된 파우더를 확보하는 분급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Disclosed is an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capable of efficiently and safely dis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nd recycl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n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charge step of discharging the battery pack in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rack having a space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battery packs is provided and seated in each accommodation space of the discharge rack; A pack disassembly step of disassembling the discharged battery pack into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nd each part; A cutting step of cutting and cutting a coupling portion connecting and fixing each battery cell in the battery module; a crushing step of crushing the battery cell and removing the organic solvent; A stabilization step of storing the crushed materials in the crushing step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 storage cabinet equipped with air conditioning facilities so that a fire does not occur; and a classification step of securing powder from which impurities are removed from the stabilized pulverized material.

Description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본 발명은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전기차 배터리를 분해 및 해체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that can efficiently and safely disassemble and dismantle and recycle electric vehicle batteries. it's about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이차 전지는 스마트폰 폰, 랩탑 컴퓨터, 캠코더와 같은 소형의 모바일 디바이스나,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전기 자전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등과 같은 중대형의 디바이스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In general, a secondary battery is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not be charged. Secondary batteries are used as energy sources for small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laptop computers, and camcorders, as well as medium and large-sized devices such as electric vehicles, hybrid electric vehicles, electric bicycles, and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UPS). do.

대표적인 이차 전지인 리튬 이차 전지는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 전지와, 폴리머 전해질 전지로 분류할 수 있다.Lithium secondary batteries, which are representative secondary batteries, can be classified into liquid electrolyte batteries and polymer electrolyte batteries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rolyte solution.

상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라 하고, 폴리머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폴리머 전지라고 한다.A battery using the liquid electrolyte is referred to as a lithium ion polymer battery, and a battery using the polymer electrolyte is referred to as a lithium polymer battery.

한편 리튬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서 원통형 및 각형으로 된 캔 타입 이차전지와, 유연성을 가지는 파우치 타입 이차 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Meanwhil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can be classified into cylindrical and prismatic can-type secondary batteries and flexible pouch-type secondary batteries according to the shape of a case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파우치 타입 이차 전지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고 가격경쟁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파손에 약한 문제점이 부각되고 있다.Pouch-type secondary batteries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and have the advantage of being highly competitive in price, but are vulnerable to breakage.

한편 캔 타입 이차 전지는 내구성이 우수하여 신뢰성이 높고, 대량생산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Meanwhile, the can-type secondary battery has excellent durability, high reliability, and easy mass production.

최근 전기자동차(EV) 내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의 생산이 증가함에 따라 자동차용 리튬 이차 전지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자동차용 리튬 이차 전지는 파우치 타입에서 캔 타입으로 전환되는 추세에 있다.Recently, as the production of electric vehicles (EVs) or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increases, the use of lithium secondary batteries for automobiles is increasing, and th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for automobiles tend to be converted from a pouch type to a can type.

향후 전기자동차 등에서 폐기되는 캔 타입 리튬 이차전지 역시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캔 타입 폐배터리의 처리방법에 대해서는 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Although can-typ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discarded from electric vehicles are expected to increase rapidly in the future, the research on the disposal method of can-type waste batteries is insufficient.

등록특허공보 제10-1764382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64382

본 발명에 따르면 대형 및 대용량의 전기차 배터리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해체 및 분리함으로써 배터리를 재활용할 수 있는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capable of recycling batteries by safely and quickly disassembling and separating large and large-capacity electric vehicle batteries.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은, 복수개의 배터리 팩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된 방전용 랙을 구비하고 상기 방전용 랙의 각 수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배터리 팩을 방전시키는 방전 단계; 방전된 배터리 팩을 기계적 쇼트를 거쳐, 0 볼트까지 전압을 낮춘 후, 케이블을 통해 인위적인 쇼트 공정을 유지하는 단계; 방전된 배터리 팩을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과 각 부품으로 해체하는 팩 해체 단계; 상기 배터리 모듈에서 각 배터리 셀을 연결 고정하는 결합 부분을 커팅하여 절단하는 절단 단계; 상기 배터리 셀을 파분쇄하고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파분쇄 단계; 상기 파분쇄 단계에서 화재가 발생되지 않도록 화재감지기를 통해 소화약재와 배출 호퍼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파분쇄 단계에서 파쇄물을 공조 시설이 구비된 보관장에서 일정시간 보관하는 안정화 단계; 및 안정화된 파쇄물로부터 불순물이 제거된 파우더를 확보하는 분급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charge rack having spaces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battery packs and discharging the battery packs while seated in each receiving space of the discharge rack. step; subjecting the discharged battery pack to mechanical shorting, reducing the voltage to zero volts, and then maintaining the artificial shorting process through the cable; A pack disassembly step of disassembling the discharged battery pack into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nd each part; A cutting step of cutting and cutting a coupling portion connecting and fixing each battery cell in the battery module; a crushing step of crushing the battery cell and removing the organic solvent; Controlling the extinguishing agent and the discharge hopper through a fire detector so that a fire does not occur in the crushing step; A stabilization step of storing the crushed materials in the crushing step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 storage cabinet equipped with air conditioning facilities; and a classification step of securing powder from which impurities are removed from the stabilized pulverized material.

이때, 상기 방전용 랙의 내부에는 냉각수 순환 라인이 형성되어 방전 과장에서 생기는 발열 처리할 수 있다.At this time, a cooling water circulation line is formed inside the discharge rack to treat heat generated in the discharge exaggeration.

이때, 상기 방전 단계는, 상기 배터리 팩의 케이스를 탈거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팩을 상기 방전용 랙의 수용 공간에 안착시키고 전기적인 방전이 이루어지는 단계; 상기 배터리 팩이 방전되면서, 기계적 쇼트 공정을 통해 0 볼트까지 전압을 낮추는 단계; 상기 배터리 팩이 케이블을 이용한 인위적 쇼트 공정을 통해 24시간 쇼트가 유지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팩이 일정시간 쇼트 공정이 유지되고, 일정온도 이하까지 냉각되면 상기 팩 해제 단계를 위한 작업대로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charging step may include removing a case of the battery pack; seating the battery pack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rack for electrical discharge and electrically discharging; lowering the voltage to 0 volt through a mechanical shorting process while the battery pack is being discharged; maintaining the battery pack short for 24 hours through an artificial shorting process using a cable; and transferring the battery pack to a work table for releasing the pack when the battery pack is maintained in the shorting process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cooled down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less.

이때, 상기 팩 해체 단계는, 상기 배터리 팩을 해제하여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을 탈거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모듈을 해체하여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회수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상기 절단 단계의 작업대로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assembling of the pack may include disassembling the battery pack to remove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recover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by disassembling the battery module; and transferring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to a work table in the cutting step.

이때, 상기 팩 해체 단계 및 파분쇄 단계는 부품들이 낙하하여 선별될 수 있도록 작업대 하부에는 망이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pack disassembly step and crushing step, a net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workbench so that the parts can fall and be sorted.

이때, 상기 팩 해체 단계 및 파분쇄 단계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배출되는 부품을 회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ck disassembly step and the crushing step may recover the discharged parts using an electromagnet.

이때, 상기 파분쇄 단계는 1차 펀칭과 2차 파쇄의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crushing step may be performed in the order of primary punching and secondary crushing.

이때, 상기 파분쇄 단계는 수중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crushing step may be performed in water.

이때, 상기 파분쇄 단계는 밀폐식 설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crushing step may be performed in a closed facility.

이때, 상기 파분쇄 단계는 파분쇄 시 불활성 물질 분위기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crushing step may be performed in an inert material atmosphere during crushing.

이때, 상기 파분쇄 단계에서 화재가 발생되지 않도록 화재감지기를 통해 소화약재와 배출 호퍼를 제어하는 단계는, 파분쇄 시 화재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1 이동 통로로 파분쇄물이 계속 이송되고, 화재가 감지되면 제2 이동 통로로 파분쇄물이 이송되도록 배출 호퍼의 배출 통로를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and the discharge hopper through the fire detector so that a fire does not occur in the crushing step, if the fire is not detected during crushing, the shredded material is continuously transported to the first moving passage, and the fire When detected, the discharge passage of the discharge hopper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pulverized materials are transported to the second moving passage.

이때, 상기 제 2 이동 통로는 수조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moving passage may be a water tank.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은, 배터리 팩을 입고 즉시 분해, 분리, 파쇄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하고, 배터리 팩을 보관할 보관 부지가 필요 없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recycling by immediately disassembling, separating, and shredding the battery pack, and does not require a storage site to store the battery pac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을 도시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을 도시한 상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의 일부 단계인 배터리 셀 파쇄 후 이송 경로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의 모듈 해체 작업장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ycling an electric vehicl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n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transport path after battery cells are destroyed, which is a partial step of an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dule disassembly workshop of an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ords and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construed as limited in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s can define terms and concepts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ir invention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that corresponds to the technical idea.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correspond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s are various to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crib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A component being in the "front", "rear", "above" or "below" of another component means that it is in direct contact with another component,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and is "in front", "rear", "above" or "below". It includes not only those disposed at the lower part, but also cases in which another component is disposed in the middle. In addition, the fact that certain components are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includes cases where they are not only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현재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많은 폐배터리가 조만간 축적될 것으로 예상된다. 내연기관 자동차에서의 연료인 가솔린, 디젤은 운행을 위한 하나의 도구에 불과했으나, 전기차의 연료 역할을 하는 배터리는 전기차의 가장 핵심 부품이다. 그만큼 배터리 제조사의 영향력이 높아졌고, 전기차 제조사들은 배터리 업체와 협력을 통해 보다 높은 주행거리를 갖춘 전기차 출시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리튬 계열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는 전기차 배터리는 내부 양극활물질에 따라 종류를 분류할 수 있지만, 외부 패키징의 모양에 따라 원통형, 각형, 파우치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셀들을 모아서 기본적인 충격, 진동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프레임에 넣어 조립하면 배터리 모듈이 되고, 여러 개의 모듈과 냉각 설계, BMS(Battery management System)까지 설계를 완료한 배터리 팩이 되어 전기차에 탑재된다. In the current electric vehicle battery market, many waste batteries are expected to accumulate sooner or later. Gasoline and diesel, which are fuels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were only a tool for driving, but the battery, which serves as fuel for an electric vehicle,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an electric vehicle. As such, the influence of battery makers has increased, and electric car manufacturers are working hard to launch electric cars with higher mileage through cooperation with battery makers. Electric vehicle batteries using lithium-based batterie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ternal cathode active material, but can be divided into cylindrical, prismatic, and pouch typ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xternal packaging. When these cells are collected and assembled in a frame to protect them from basic shock and vibration, they become a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pack with several modules, cooling design, and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designed to be mounted on an electric vehicle.

이때, 원통형 배터리는, 흔히 주변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형태로 리모컨, 완구 등 다양한 곳에서 볼 수 있다. 다만 전기차에 주로 사용 중인 원통형 배터리는 18650 규격으로 지름 18mm, 길이 65mm인 2차 전지다. 이미 오래전부터 규격화됐고,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을 정도로 보편적인 2차 전지다. 원통형 배터리는 현재 가장 많은 수의 전기차를 판매하고 있는 업체에서 주력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파우치형 배터리는, 현재 다양한 전기차에서 사용되고 있고, 파우치형 배터리는 국내 제조사에서 주력으로 제작하고 있다. 파우치형은 스태킹 방식으로 제작하고, 그 형태를 그대로 패키징 하기 때문에 내부 빈 공간이 없고, 에너지 밀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원통형, 각형과 달리 유연한 외부 포장재 특성상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파우치형 배터리도 전기차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At this time, the cylindrical battery is commonly seen in various places such as remote controllers and toys in a form that can be seen most often around. However, the cylindrical battery mainly used in electric vehicles is a secondary battery with a diameter of 18 mm and a length of 65 mm in 18650 standard. It has been standardized for a long time and is a universal secondary battery that is used in various fields. Cylindrical batteries are currently being used as a mainstay by companies that sell the largest number of electric vehicles. Pouch-type batteries are currently used in various electric vehicles, and pouch-type batteries are mainly produced by domestic manufacturers. The pouch type is produced by the stacking method and is packaged in its original form, so there is no empty space inside and high energy density. In addition, unlike cylindrical and prismatic products, i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due to the nature of the flexible outer packaging. Pouch-type batteries are also gaining strength in the electric vehicle market.

한 개의 배터리 팩 중량은 약 450kg 육박하여 적재 불가한 실정이다. 또한 배터리 팩의 부피는 예를 들면, 1.5 X 2.0 X 0.3m 수준으로, 적재를 하지 않을 경우 방전을 위한 다량의 부지가 필요한 실정이다.The weight of one battery pack is close to about 450 kg, so it is impossible to load it. 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battery pack is, for example, 1.5 X 2.0 X 0.3 m, and when not loaded, a large amount of land for discharging is required.

따라서, 재활용을 위한 배터리 팩이 입고되면 그 즉시 분해 및 재활용 처리가 이루어지면 이러한 부지의 필요성이 없어질 수 있다.Therefore, if the battery pack for recycling is immediately disassembled and recycled when it is received, the need for such a site may be elimina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방전 단계(S1), 팩 해체 단계(S2), 절단 단계(S3), 파분쇄 단계(S4), 안정화 단계, 그리고 분급 단계(S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charging step (S1), a pack disassembly step (S2), a cutting step (S3), a crushing step (S4), and stabilization. step, and a classification step (S5).

상기 방전 단계(S1)는,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복수개의 배터리 팩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된 방전용 랙을 구비하고 상기 방전용 랙의 각 수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배터리 팩을 방전시킬 수 있다.In the discharging step (S1), referring to FIGS. 1 and 2, a discharging rack having a space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battery packs is provided and the battery pack is seated in each receiving space of the discharging rack. can discharge.

이때, 상기 방전용 랙의 내부에는 냉각수 순환 라인이 형성되어 수냉 또는 공냉을 통해 방전 과정에서 생기는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At this time, a cooling water circulation line is formed inside the rack for discharging, and heat generated during the discharging process can be suppressed through water cooling or air cooling.

이때, 상기 방전 단계(S1)는, 상기 배터리 팩의 케이스를 탈거하는 단계(S11)와, 상기 배터리 팩을 상기 방전용 랙의 수용 공간에 안착시키고 전기적인 방전이 이루어지는 단계(S12)와, 상기 방전 단계에서 0 볼트까지 방전 후, 쇼트시키는 단계, 상기 쇼트 단계에서 케이블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쇼트 과정을 유지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팩을 공조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 보관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배터리 팩이 보관장에서 쇼트를 위한 일정 시간 및 일정온도 이하까지 냉각되면 상기 팩 해제 단계(S16)를 위한 작업대로 이송시키는 단계(S15)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charging step (S1) includes the steps of removing the case of the battery pack (S11), placing the battery pack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discharge rack and electrically discharging (S12), After discharging to 0 volts in the discharging step, short-circuiting, artificially maintaining the short circuit using a cable in the shorting step, moving the battery pack to a storage area where an air conditioning system is installed, placing the battery pack in a storage area When cooled down to a predetermined time and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less for the shot, a step (S15) of transferring the pack to the worktable for the pack releasing step (S16) may be included.

이때, 방전 단계(S1)는 케이스를 탈거하고 전기적으로 방전시킨 다음(S12), 보관장에 적재하고(S13), 그 적재물에서 발생되는 냉각수를 배출하는 단계(S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냉각수의 배출은 공정 부산물로서 압축기 등의 공기 주입 설비로 외부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냉각수 배출이 가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charging step (S1) may further include removing the case, electrically discharging it (S12), loading it into a storage closet (S13), and discharging the coolant generated from the loaded object (S14). The cooling water may be discharged as a process by-product by injecting external air into an air injection facility such as a compressor.

이때, 상기 방전용 랙을 통해 각각 4개의 배터리 팩이 적재 가능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of four battery packs may be loaded through the rack for discharging.

이때, 상기 방전용 랙은 우천 및 습기 등으로부터 팩을 보호하기 위한 밀폐형 구조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SOC 이하 방전 과정에서 배터리 팩은 발열 증상 동반하게 되는 바, 상기 방전용 랙 내 순환펌프를 이용한 냉각수 순환으로 방전 공정 내 냉각 장치 구현 가능하다. 이때 방전수 순환 라인은 팩 자체에 이미 구성되어 있는 상태이다.At this time, the rack for discharge can be implemented as a closed structure for protecting the pack from rain and moisture. In addition, since the battery pack is accompanied by fever during the discharging process below the SOC,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ooling device in the discharging process by circulating cooling water using a circulation pump in the discharging rack. At this time, the discharge water circulation line is already configured in the pack itself.

상기 팩 해체 단계(S2)는,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방전된 배터리 팩을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과 각 부품으로 해체할 수 있다(S16).In the pack disassembly step (S2),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discharged battery pack may be disassembled into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nd each component (S16).

이때, 상기 팩 해체 단계(S2)는, 상기 배터리 팩을 해제하여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을 탈거하는 단계(S17)와, 상기 배터리 모듈을 해체(S18)하여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회수하는 단계(S19)와,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상기 절단 단계(S3)의 작업대로 이송시키는 단계(S25)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ck disassembly step (S2) includes the step of disassembling the battery pack and removing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S17), and the step of disassembling the battery module (S18) and coll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S19). and transferring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to the worktable of the cutting step (S3) (S25).

이때, 상기 팩 해체 단계(S2) 및 파분쇄 단계(S4)는 부품들이 낙하하여 선별될 수 있도록 작업대 하부에는 망이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pack disassembly step (S2) and crushing step (S4), a net may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work table so that the parts can be dropped and sorted.

이때, 상기 팩 해체 단계(S2) 및 파분쇄 단계(S4)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배출되는 부품을 회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ck disassembly step (S2) and crushing step (S4) can recover the discharged parts using an electromagnet.

이때, 상기 배터리 팩은 복수개의 모듈과 고전압 부품, 통신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 팩의 해체 공정은 다수의 감전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battery pack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odules, high voltage parts, and communication parts, and the disassembling process of the battery pack presents a number of risks of electric shock.

따라서, 전기의 구성을 파악하고 안전한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해체할 수 있는 기술 필요하다. 예를 들면, 고전압 케이블 제거, 통신 케이블 제거, 주요 부품 제거 등의 순서로 해체해야만 위험 요소 제거된 안전 해체 가능할 수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capable of grasping the configuration of electricity and sequentially disassembling it in a safe way. For example, it may be possible to safely dismantle without risk factors only by disassembling in the order of removing a high voltage cable, removing a communication cable, and removing a main part.

상기 절단 단계(S3)는,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배터리 모듈에서 각 배터리 셀을 연결 고정하는 결합 부분을 커팅하여 절단할 수 있다(S31).Referring to FIGS. 1 and 2 , in the cutting step (S3), a coupling portion for connecting and fixing each battery cell in the battery module may be cut and cut (S31).

이때, 배터리 셀은, 2개의 셀, 혹은 3개의 셀이 용접을 통해 전극으로 결합되어 있는 형태이고, 용접부를 단일 커팅하여 해체 공정을 수행할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ttery cell is in the form of two cells or three cells coupled to an electrode through welding, and when the disassembly process is performed by single cutting the welded portion, it may take a lot of time.

따라서 절단기를 통해 셀 결합 부분을 커팅할 경우 짧은 시간에 손 쉽게 단일의 배터리 셀 회수가 가능할 수 있다(S32).Therefore, when the cell coupling part is cut through a cutter, a single battery cell can be easily recovered in a short time (S32).

이때, 절단기는 여러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톱 형태나, 그라인더 형태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cutter may exist in various forms, and may be in the form of a saw or a grinder.

또한, 철제 프레임이 제거된 모듈 형태에서 절단을 통해 셀 회수 공정 효율 증대가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cell recovery process efficiency may be increased through cutting in the form of a module in which the steel frame is removed.

이때, 회수된 배터리 셀은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배터리 셀 파쇄를 위한 공정으로 이송된다(S33).At this time, the recovered battery cells are transferred to a process for crushing battery cells by a transfer conveyor (S33).

이때, 해체 공정에서 다수의 볼트가 발생하며 단일 재질 Fe계열이다.At this time, a number of bolts are generated in the dismantling process and are of a single material Fe series.

따라서 해체 공정에서 발생되는 볼트는 셀 회수 과정에서 공정 방해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Therefore, bolts generated in the disassembly process may act as process obstacles in the cell recovery process.

이때, 작업대 내 하부는 망 형태로 제거되는 볼트 등이 해체와 동시에 바닥으로 낙하되어 물질 별 선별 가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part of the workbench may be sorted by material by dropping to the floor at the same time as bolts, etc., which are removed in the form of a net, are dismantled.

또한, Fe 계의 소재는 자성체로 자성을 이용하여 분류 가능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모듈의 해체 작업대 내 전자식 자석을 이용하여 모듈 해체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볼트를 회수 할 수 있으며, 폐기물 처리에도 용이하다.In addition, the Fe-based material may be classified as a magnetic material using magnetism. Accordingly, the bolts discharged from the module disassembly process can be recovered by using the electronic magnet in the module disassembly work table, and waste disposal is also easy.

상기 파분쇄 단계(S3)는,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배터리 셀을 파분쇄하고 유기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S41).In the crushing step (S3),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battery cell may be crushed and the organic solvent may be removed (S41).

이때, 상기 파분쇄 단계(S3)는 1차 펀칭과 2차 파쇄의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crushing step (S3) may be made in the order of primary punching and secondary crushing.

이때, 상기 파분쇄 단계(S3)는 수중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rushing step (S3) may be made in water.

이때, 상기 파분쇄 단계(S3)는 밀폐된 공간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파분쇄 시 불활성 물질(질소 등) 분위기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crushing step (S3) may be performed in an enclosed space, and may be performed in an inert material (eg, nitrogen) atmosphere during crushing.

이때, 상기 파분쇄 단계(S3)는 배터리 셀의 자원 회수를 위해 필수적인 공정이고, 또한, 내부에 포함된 유기용매 등 화재 유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이기도 하다. At this time, the crushing step (S3) is an essential process for resource recovery of the battery cell, and is also a process for removing fire-causing substances such as organic solvents contained therein.

이때, 상기 파분쇄 단계(S3) 과정에서 화재나 폭발 위험이 다분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1차 펀칭, 2차 파쇄의 순으로 구현 가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re is a high risk of fire or explosion in the crushing step (S3), and as a solution to this,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order of primary punching and secondary crushing.

이때, 2차 파쇄를 통해 배출되는 스크랩은 파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와 잔류 유기용매와의 반응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화재감지기 센서를 통해 화재가 감지될 시, 배출 호퍼 제어를 통해 수중으로 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scrap discharged through secondary crushing may cause a fire due to the reaction between sparks and residual organic solvents that may occur during the crushing process.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when a fire is detected through a fire detector sensor, The discharge hopper control allows discharge into water.

이때, 2차 파쇄를 통해 배출되는 스크랩은 파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와 잔류 유기용매와의 반응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화재감지기 센서를 통해 화재가 감지될 시, 내부에 구축된 소화재가 분사될 수 있다. At this time, scrap discharged through secondary crushing may cause a fire due to the reaction between sparks and residual organic solvents that may occur during the crushing process.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when a fire is detected through a fire detector sensor, Extinguishing material built inside can be sprayed.

이때, 2차 파쇄물에서 발생되는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 호퍼 제어를 통해 보관장이 아닌, 구비되어 있는 수조로 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occurring in the secondary shredded material, it may be discharged into a water tank provided instead of a storage area through a discharge hopper control.

즉,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배터리 파쇄가 이루어진 다음(S41), 파쇄물 이송부의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된다(S42). 이때 이 부분에서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며, 화재감지기를 통해 화재를 감지(S43)할 수 있다. 통상의 경우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이송 경로 1(44)을 통하여 파쇄물이 배출되고 그 하부의 컨베이어(50)를 타고 보관장으로 이송되어 적재된다(S5). 만약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도 4에서 개폐장치(47)가 개방되어 파쇄물은 이송 경로 2(46)로 이송되어 배출된(S45) 다음 하부의 수조(48)로 떨어져 화재가 진압될 것이다. 이때 화재 경보 알람(S46)이 울릴 수 있을 것이다.That is, referring to FIGS. 3 and 4, after the battery is shredded (S41), it is transported on the conveyor of the shredded material transfer unit (S42). At this time, a fire may occur in this part, and the fire may be detected through a fire detector (S43). In the normal case, if it is not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the crushed materials are discharged through the transfer path 1 (44) and transported to the storage area on the lower conveyor (50) and loaded (S5). If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by detecting a fire, in FIG. 4,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47 is opened, and the crushed materials are transferred to the transfer path 2 (46) and discharged (S45), and then fall into the lower water tank 48. The fire will be extinguished. At this time, a fire alarm alarm (S46) may sound.

한편, 이 외에도 전술한 수중 파쇄, 밀폐식 파쇄, 불활성 물질(질소 등) 등을 활용한 파쇄 공정 등이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is, the above-described underwater crushing, closed crushing, crushing processes using inert materials (eg, nitrogen), etc. may be implemented.

상기 보관 단계(S5)인 안정화 단계는,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분쇄 및 분급 설비 장입 단계(S6)에서 파쇄물의 화재가 발생되지 않도록 공조 시설이 구비된 보관장에서 일정시간 보관할 수 있다(S5).In the stabilization step of the storage step (S5), referring to FIGS. 1 and 2, in the crushing and classifying facility charging step (S6), the crushed materials may be stor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 storage cabinet equipped with air conditioning facilities to prevent fire. (S5).

한편, 방전된 배터리 팩의 보관을 위해 보관장 운영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storage room to store discharged battery packs.

만약 적재를 하지 않을 경우, 보관을 위한 부지 면적 증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배터리 팩 보관을 위해 적재 가능한 보관 랙으로 구현 가능할 수 있다.If not loaded, the area of the site for storage may be increased. To this end, it may be possible to implement a loadable storage rack for storing the battery pack.

이때, 상기 보관용 랙을 통해 4개 이상의 배터리 팩 적재 가능할 수 있다.At this time, four or more battery packs may be loaded through the storage rack.

이때, 방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발열 증상을 효율적으로 제어 하기 위한 냉각시설 및 유기용매 제거를 위한 공조시설 구현 가능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may be possible to implement a cooling facility for efficiently controlling the fever symptoms generated during the discharge process and an air conditioning facility for removing the organic solvent.

상기 소재 선별 단계(S6)는, 분쇄 및 분급 설비 장입 단계로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안정화된 파쇄물로부터 불순물이 제거된 파우더를 확보할 수 있다.The material selection step (S6) is a step of charging grinding and classifying equipment, and referring to FIGS. 1 and 2, it is possible to secure powder from which impurities are removed from the stabilized crushed material.

이때, 배터리 셀 파쇄물을 안정화시키도록 보관하는 공정이 또한 필요하다.At this time, a process of storing the shredded battery cells to stabilize them is also required.

이때, 파쇄된 배터리 셀은 내부의 화재 유발 물질 표면 잔류하고, 유기 용매 또한 다량 존재하여 가스상 물질로 대기에 체류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At this time, there is a risk that the shredded battery cell may remain on the surface of the internal fire-causing material, and a large amount of organic solvent may remain in the atmosphere as a gaseous material.

이때, 보관장 내 공조 시설 및 냉각 시설 구현 가능하며, 가스 측정기를 통해 가스 농도 제어를 통한 화재 억제 기능 구현 가능하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ir conditioning and cooling facilities in the storage room, a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fire suppression function through gas concentration control through a gas meter.

한편, 분쇄 및 분급 설비 장입 후, 유가 금속을 추가로 회수할 수 있는 공정(S7)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step (S7) of additionally recovering valuable metals may be included after charging the pulverization and classification equipment.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파 분쇄 설비의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원료 이송부(10)로부터 해체된 배터리 셀들이 컨베이어(11)를 타고 올라가 파분쇄부(30)로 공급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3 ,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ve crushing facility for implementing an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First, the battery cells dismantled from the raw material transfer unit 10 go up on the conveyor 11 and are supplied to the crushing unit 30 .

이때, 파분쇄부(30)의 상부에는 펀칭부(31)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파쇄부(3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공급된 배터리 셀들은 펀칭부(31)에 의해 1차 펀칭 작업이 이루어지고, 파쇄부(32)에 의해 2차로 파쇄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발생되는 가스는 가스 제어부(33)에 의해 배기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파분쇄부(30)의 상부에는 배기부(30)가 설치되어 발생되는 가스를 처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unching unit 31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rushing unit 30, and the crushing unit 32 is installed on the bottom thereof. Accordingly, the supplied battery cells are first punched by the punching unit 31 and secondarily shredded by the shredding unit 32 . Exhaust of the gas generated here may be controlled by the gas control unit 33 . In addition, an exhaust unit 30 is installed above the crushing unit 30 to treat the generated gas.

이때, 파분쇄부(30) 하부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파쇄물 이송부(40)가 설치되고, 그 파쇄물 이송부(40) 상부에는 호퍼(41)가 설치되며, 호퍼(41)의 안내에 의해 이송 컨베이어에 낙하한 파쇄물은 반대편까지 서서히 이동한다.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가스는 가스 제어부(42)로 배기되고,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소화약재 분사부(43)가 설치된다. 또한 VOC 측정부 및 화재감지기(44)가 설치되어 그 측정값을 작업자에게 알려주게 되어 대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crushed material transfer unit 40 formed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installed under the crushing unit 30, and the hopper 41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rushed material transfer unit 40, and the transport conveyor is guided by the hopper 41. The debris that has fallen on the side moves gradually to the other side. Gas generated while moving is exhausted to the gas control unit 42, and an extinguishing agent spray unit 43 is installed in case a fire occurs. In addition, a VOC measuring unit and a fire detector 44 are installed to inform the operator of the measured value so that he can respond.

이때, 이송 컨베이어의 끝단에 도착한 파쇄물은 보관장으로 연결되어 있는 컨베이어로 낙하한다. 떨어진 파쇄물은 대기 중에 노출되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화재감지기를 통해 소화약재 분사부가 제어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crushed materials arriving at the end of the transfer conveyor fall onto the conveyor connected to the storage area. Fallen debris is exposed in the air, and a fire may occur.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njection unit is controlled through a fire detector to extinguish the fire.

이때,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화재감지기를 통해 호퍼(45, 46)의 배출방향을 제어하여, 화재감지 시, 구비되어 있는 수조(48)로 배출시켜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hoppers 45 and 46 is controlled through a fire detector, so that when a fire is detected, the fire is discharged into the provided water tank 48 to prevent the sprea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or change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Other embodiments can be easily proposed by adding, deleting, adding, etc., but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1 : 방전 단계 S2 : 팩 해체 단계
S3 : 절단 단계 S4 : 파 분쇄 단계
S5 : 보관 단계 10 : 원료 이송부
11 : 컨베이어 20 : 배기부
30 : 파분쇄부 31 : 펀칭부
32 : 파쇄부 40 : 파쇄물 이송부
50 : 컨베이어
S1: discharging step S2: pack dismantling step
S3: cutting step S4: green onion crushing step
S5: storage step 10: raw material transfer unit
11: conveyor 20: exhaust unit
30: crushing unit 31: punching unit
32: shredding unit 40: shredding transfer unit
50: conveyor

Claims (12)

복수개의 배터리 팩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된 방전용 랙을 구비하고 상기 방전용 랙의 각 수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배터리 팩을 전기 방전시키는 방전 단계;
방전된 배터리 팩을 기계적 쇼트를 거쳐, 0 볼트까지 전압을 낮춘 후, 케이블을 통해 인위적인 쇼트 공정을 유지하는 단계;
방전된 배터리 팩을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과 각 부품으로 해체하는 팩 해체 단계;
상기 배터리 모듈에서 각 배터리 셀을 연결 고정하는 결합 부분을 커팅하여 절단하는 절단 단계;
상기 배터리 셀을 파분쇄하고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파분쇄 단계;
상기 파분쇄 단계에서 화재가 발생되지 않도록 화재감지기를 통해 소화약재와 배출 호퍼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파분쇄 단계에서 파쇄물을 공조 시설이 구비된 보관장에서 일정시간 보관하는 안정화 단계;
안정화된 파쇄물로부터 불순물이 제거된 파우더를 확보하는 분급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
A discharging step of providing a discharge rack having a space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battery packs and electrically discharging the battery pack while seated in each accommodation space of the discharge rack;
subjecting the discharged battery pack to mechanical shorting, reducing the voltage to zero volts, and then maintaining the artificial shorting process through the cable;
A pack disassembly step of disassembling the discharged battery pack into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nd each part;
A cutting step of cutting and cutting a coupling portion connecting and fixing each battery cell in the battery module;
a crushing step of crushing the battery cell and removing the organic solvent;
Controlling the extinguishing agent and the discharge hopper through a fire detector so that a fire does not occur in the crushing step;
A stabilization step of storing the crushed materials in the crushing step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 storage cabinet equipped with air conditioning facilities;
A classification step of securing powder from which impurities are removed from the stabilized pulverized material;
Including,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용 랙의 내부에는 냉각수 순환 라인이 형성되어 방전 과장에서 생기는 발열을 처리하는,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n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in which a coolant circulation line is formed inside the discharge rack to treat heat generated during discharg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단계는,
상기 배터리 팩의 케이스를 탈거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팩을 상기 방전용 랙의 수용 공간에 안착시키고 전기적인 방전이 이루어지는 단계;
상기 배터리 팩이 방전되면서, 기계적 쇼트 공정을 통해 0 볼트까지 전압을 낮추는 단계;
상기 배터리 팩에 케이블을 이용한 인위적 쇼트 공정을 통해 24시간 쇼트가 유지되는 단계;
상기 배터리 팩이 일정시간 쇼트 공정이 유지되고, 일정온도 이하까지 냉각되면 상기 팩 해제 단계를 위한 작업대로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ing step is
removing the case of the battery pack;
seating the battery pack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rack for electrical discharge and electrically discharging;
lowering the voltage to 0 volt through a mechanical shorting process while the battery pack is being discharged;
Maintaining the battery pack for 24 hours through an artificial shorting process using a cable;
and transferring the battery pack to a work table for releasing the pack when the short process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cool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l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팩 해체 단계는,
상기 배터리 팩을 해제하여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을 탈거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모듈을 해체하여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회수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상기 절단 단계의 작업대로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ack disassembly step,
removing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by releasing the battery pack;
recover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by disassembling the battery module; and
Containing, an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comprising: transferring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to a work table of the cutting ste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분쇄 단계는 1차 펀칭과 2차 파쇄의 순서로 이루어지는,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rushing step is an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consisting of the order of primary punching and secondary crushing.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파분쇄 단계는 수중에서 이루어지는,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
According to claim 5,
The crushing step is an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made in wat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파분쇄 단계는 밀폐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
According to claim 5,
The crushing step is performed in an enclosed space, an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파분쇄 단계는 파분쇄 시 불활성 물질 분위기에서 이루어지는,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
According to claim 5,
The crushing step is an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made in an inert material atmosphere during crush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팩 해체 단계 및 파분쇄 단계는 부품들이 낙하하여 선별될 수 있도록 작업대 하부에는 망이 설치된,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pack disassembly step and crushing step, a net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workbench so that the parts can fall and be sor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팩 해체 단계 및 파분쇄 단계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배출되는 부품을 회수하는,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in which the pack disassembly step and the crushing step recover the discharged parts using an electromagn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분쇄 단계에서 화재가 발생되지 않도록 화재감지기를 통해 소화약재와 배출 호퍼를 제어하는 단계는, 파분쇄 시 화재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1 이동 통로로 파분쇄물이 계속 이송되고, 화재가 감지되면 제2 이동 통로로 파분쇄물이 이송되도록 배출 호퍼의 배출 통로를 제어하는,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and the discharge hopper through a fire detector so that a fire does not occur in the crushing step, if a fire is not detected during crushing, the shredded material is continuously transported to the first moving passage, and when a fire is detected An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for controlling a discharge passage of a discharge hopper so that shredded materials are transferred to a second moving passag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 통로는 수조인,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The second moving passage is a water tank,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KR1020210176855A 2021-12-10 2021-12-10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KR2023008804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855A KR20230088040A (en) 2021-12-10 2021-12-10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855A KR20230088040A (en) 2021-12-10 2021-12-10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040A true KR20230088040A (en) 2023-06-19

Family

ID=86988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855A KR20230088040A (en) 2021-12-10 2021-12-10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804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382B1 (en) 2017-03-13 2017-08-14 나석영 Apparatus for processing waste lithium batte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382B1 (en) 2017-03-13 2017-08-14 나석영 Apparatus for processing waste lithium batt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bbico et al. Hazardous scenarios identification for Li-ion secondary batteries
Doughty Vehicle battery safety roadmap guidance
Sonoc et al. Opportunities to improve recycling of automotive lithium ion batteries
US9869726B2 (en) Wireless battery management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Mikolajczak et al. Lithium-ion batteries hazard and use assessment
Grandjean et al. The experimental evaluation of lithium ion batteries after flash cryogenic freezing
Ferg et al. The challenges of a Li-ion starter lighting and ignition battery: A review from cradle to grave
KR102104562B1 (en) Method for separating anode active material
Zhang et al. A method for pre-determining the optimal remanufacturing point of lithium ion batteries
Jaguemont et al. A critical review of lithium-ion battery safety testing and standards
KR101539584B1 (en)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Safety
Bhar et al. A review on spent lithium-ion battery recycling: from collection to black mass recovery
CN107017442B (en) Processing method in power battery recovery process
KR20230088040A (en) Electric vehicle battery recycling method
Schatz et al. Using modern battery systems in light duty mining vehicles
Zhou et al. Discussion on international standards related to testing and evaluation of lithium battery energy storage
McDowall A guide to lithium-ion battery safety
Valio Critical review on Li ion battery recycling technologies
US9705123B2 (en) Battery packaging system
Brandt et al. General overview of li-secondary battery safety issues
Al AWANA LITHIUM-POLYMER BATTERIES SWOT ANALYSIS
Van Genechten Fast deep discharging using a controllable load as pretreatment for EV battery recycling: A study on efficacy, speed, and safety
Hend Recycling of li-ion Battery for E-Mobility transportation
KR102492363B1 (en) Management module devic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Rangel Jr 2019 Nobel Prize in Chemistry were announced: John Goodenough, Michael Stanley Whittingham, and Akira Yoshiro, for developing lithium-ion (Li-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