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7857A - The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 Google Patents

The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7857A
KR20230087857A KR1020210176461A KR20210176461A KR20230087857A KR 20230087857 A KR20230087857 A KR 20230087857A KR 1020210176461 A KR1020210176461 A KR 1020210176461A KR 20210176461 A KR20210176461 A KR 20210176461A KR 20230087857 A KR20230087857 A KR 20230087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unit
print
printed
har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4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진홍
Original Assignee
(주)씨.아이.제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아이.제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씨.아이.제이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176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7857A/en
Publication of KR20230087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85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3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rk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341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rking conductors or cables using marking wheels, discs, rollers, drums, ball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08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 B41F17/1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on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wires, hoses, tubes, ya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니스 케이블 마킹장치는 복수 개의 핀으로 이루어진 커넥터가 양단에 연결되는 하니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와이어 피복에 상기 핀의 위치에 따라 인쇄될 인쇄내용을 설정하는 인쇄제어부, 상기 와이어 피복의 양단에 동시에 인쇄내용을 인쇄하는 프린터헤드부, 상기 인쇄제어부로부터 상기 인쇄내용을 전달받아 상기 프린터헤드부의 작동을 지시하는 PLC부, 상기 와이어 피복이 안착되어 이동하는 컨베이어부, 상기 와이어 피복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프린터헤드부와 연결되며, 상기 PLC부의 지시에 의해 상기 프린터헤드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int control unit that sets the printing content to be prin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ins on a plurality of wire sheaths located inside a harness to which connectors made of a plurality of pins are connected at both ends. , a printer head unit for simultaneously printing the printed contents on both ends of the wire sheath, a PLC unit receiving the print contents from the print control unit and instructing the operation of the print head unit, a conveyor unit on which the wire sheath is seated and moving, the It may include a fixing part fixing both ends of the wire sheath and a moving part connected to the print head and moving the print head according to instructions from the PLC.

Description

하니스 케이블 마킹장치{The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The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본 발명은 하니스 케이블 마킹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자동차의 전장부품이 늘어나면서 '신경망' 역할을 하는 하니스는 더 복잡해지고 그 수가 증가하는 추세다. 하니스는 말 그대로 배선 뭉치를 연결해 등산군용조끼(harness) 모양으로 엮은 부품이다. As the number of electrical components in automobiles increases, harnesses that play the role of 'neural networks' are becoming more complex and increasing in number. A harness is literally a part made by connecting bundles of wires and weaving them together in the shape of a mountaineering military vest.

하니스는 자동차 전장(電裝)부품을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고, 전기 신호를 각 제어장치나 연산장치에 전달한다. 자동차 신경망인 셈으로 일반적으로 차체 조립 전에 미리 필요 위치에 하니스를 미리 설치된다. 하니스는 메인하니스, 프론트하니스, 콘트롤하니스, 플로어하니스 등과 같이 그 위치와 역할에 따라 구분되고 그 수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The harness supplies power to operate automotive electrical components and transmits electrical signals to each control unit or arithmetic unit. As a car neural network, the harness is generally pre-installed in the required location before body assembly. Harness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and roles, such as a main harness, a front harness, a control harness, and a floor harness, and the number of harnesses tends to increase.

최근 전기차자율주행차 등 기능을 위한 센서가 많아지면서 이 신경망 역시 과거 차와 비교하기 어려울 만큼 복잡해지고 있으며, 전장부품 사용이 증가할 수록 이들을 연결하는 하니스 및 기타 케이블의 설계가 복잡해지는 추세이다. Recently, as the number of sensors for functions such as self-driving electric vehicles increases, this neural network is also becoming complex enough to be difficult to compare with past cars.

하니스는 사람이 일일이 꼬아 묶고 연결해야하는 매우 노동집약적인 산업으로 하니스는 500종류의 와이어로 이뤄지는 등 매우 많은 와이어로 이뤄진다. Harness is a very labor-intensive industry in which people have to twist and connect each other, and the harness is made of a lot of wires, such as 500 kinds of wires.

이러한 하니스 작업을 위해 현재 와이어 피복 색상을 달리하여 구별하고 있다. 그러나, 색상을 달리하여도 와이어의 수가 매우 많아 색상이 겹칠 수 있으며, 굵기가 다른 와이어의 구별이 어렵다. For this harness work, the current wire sheathing color is differentiated. However, even if the colors are different, the number of wires may be very large, and the colors may overlap, and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wire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또한, 피복색상이 다른 와이어를 생산하기 위해, 피복색상별 재료 교체가 용이해야 하나, 색상의 혼합방지를 위해 적지 않은 수를 용융시켜 배출하는 작업을 해야 하므로 와이어 피복 생산 가동률이 55%정도로 저조한 상황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produce wires with different sheath colors, it should be easy to replace materials for each sheath color, but to prevent color mixing, it is necessary to melt and discharge a large number of them, so the utilization rate of wire sheath production is low at about 55%. am.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하니스를 이루는 와이어 피복색상을 통일하면서도 각 와이어의 핀넘버를 인지할 수 있고, 와이어의 양단에 동시에 핀넘버를 마킹하여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하니스 케이블 마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with the above technical backgroun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rness cable that can recognize the pin number of each wire while unifying the wire coating color constituting the harness, and can increase manufacturing efficiency by marking the pin number on both ends of the wire at the same time. It's about marking devic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니스 케이블 마킹장치는 복수 개의 핀으로 이루어진 커넥터가 양단에 연결되는 하니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와이어 피복에 상기 핀의 위치에 따라 인쇄될 인쇄내용을 설정하는 인쇄제어부, 상기 와이어 피복의 양단에 동시에 인쇄내용을 인쇄하는 프린터헤드부, 상기 인쇄제어부로부터 상기 인쇄내용을 전달받아 상기 프린터헤드부의 작동을 지시하는 PLC부, 상기 와이어 피복이 안착되어 이동하는 컨베이어부, 상기 와이어 피복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프린터헤드부와 연결되며, 상기 PLC부의 지시에 의해 상기 프린터헤드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int control unit that sets the printing content to be prin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ins on a plurality of wire sheaths located inside a harness to which connectors made of a plurality of pins are connected at both ends. , a printer head unit for simultaneously printing the printed contents on both ends of the wire sheath, a PLC unit receiving the print contents from the print control unit and instructing the operation of the print head unit, a conveyor unit on which the wire sheath is seated and moving, the It may include a fixing part fixing both ends of the wire sheath and a moving part connected to the print head and moving the print head according to instructions from the PLC.

복수의 와이어 피복은 상기 컨베이어부에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안착되고, 상기 컨베이어부의 회전에 의해 순차적으로 상기 프린터헤드부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내용이 인쇄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wire sheaths are seated side by sid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conveyor unit, and are sequentially arranged at the lower end of the printer head unit by rotation of the conveyor unit so that the printed contents can be printed.

프린터헤드부는 상기 와이어 피복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 제1 프린터헤드부 및 제2 프린터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inter head unit may include a first printer head unit and a second printer head unit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wire sheath.

이동부는 상기 제1 프린터헤드부 및 제2 프린터헤드부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The moving unit may simultaneously move the first print head unit and the second print head unit.

고정부의 후면에 결합된 회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rotating member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니스 케이블 마킹장치는 하니스를 이루는 와이어 피복색상을 통일하면서도 각 와이어의 핀넘버를 인지할 수 있고, 와이어의 양단에 동시에 핀넘버를 마킹하여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the pin number of each wire while unifying the wire coating color constituting the harness, and can increase manufacturing efficiency by marking the pin number on both ends of the wire at the same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니스 케이블 마킹장치로 제작된 케이블 하니스 커넥터에 연결된 와이어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니스 케이블 마킹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를 A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를 B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내용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wires connected to a cable harness connector manufactured by a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FIG. 2 viewed from the direction A;
4 is a side view of FIG. 2 viewed from a direction B;
5 is a view showing a fix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printing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is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on” the other part,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the middle. Conversely,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under"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below" the other part, but also the case where another part exists in the midd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니스 케이블 마킹장치로 제작된 케이블 하니스 커넥터에 연결된 와이어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wires connected to a cable harness connector manufactured by a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100)는 케이블 하니스 커넥터(200)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 피복(110)은 동일한 색상의 피복 색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wi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a cable harness connector 200 . The wire sheath 110 may have the same sheath color.

케이블 하니스 커넥터(200)는 자동차 및 전자제품의 각 부위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 및 전류를 부품 상호간에 전달하여 각 시스템이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배선의 총 집합체이다. 케이블 하니스 커넥터(200)는 자동차에 탑재된 수많은 전장품들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여 발전기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에너지를 각 전장품에 전달하고, 각종 스위치 및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해당 부품에 전달시켜 주는 중간 매체물로써 전기통로의 역할을 한다. The cable harness connector 200 is a total assembly of wires that enables each system to perform its proper role by transferring electrical signals and currents generated in each part of automobiles and electronic products between parts. The cable harness connector 200 is an intermediate medium that electrically interconnects numerous electrical components mounted in a vehicle, transfers electrical energy generated from a generator to each electrical component, and transmits various information generated from various switches and sensors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 As such, it serves as an electrical pathway.

케이블 하니스 커넥터(200)의 내부에는 복수의 핀(210)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핀(210) 각각은 복수의 와이어(100)와 일대일 연결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pins 2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ble harness connector 200 . Each of the plurality of pins 210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wires 100 one-to-one.

일 예에 따른 와이어(100)의 단부에는 상기 와이어(100)의 둘레를 따라 와이어 마킹장치로 인쇄된 인쇄내용(120)이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내용(120)은 복수의 컬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쇄내용(120)은 각 컬러마다 두께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와이어 피복(110)에 복수개의 인쇄내용(120)이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인쇄내용(120)은 하나의 와이어 피복(110)의 일단부 및 후단부에 대칭적으로 인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100)의 일단에 연결되는 하니스 커넥터(200) 및 후단에 연결되는 후단커넥터에서 동일한 인쇄내용(120)을 확인할 수 있다.At the end of the wire 100 according to an example, printed contents 120 printed by a wire marking devic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ire 100 may be printed. For example, the printed contents 120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colors. In addition, the printed content 120 may be formed by varying the thickness for each color. In addition, a plurality of printed contents 120 may be formed on one wire sheath 110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printed contents 120 may be symmetrically printed on one end and the rear end of one wire sheath 110 . Accordingly, the same printed contents 120 can be confirmed in the harness connector 20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re 100 and the rear end connector connected to the rear end.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니스를 이루는 와이어 피복색상을 통일하면서도 각 와이어의 핀넘버를 인지할 수 있는 와이어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으므로, 하니스의 유지보수가 가능할 수 있다. 도한, 하니스를 전면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abricate a wire capable of recognizing the pin number of each wire while unifying the coating color of the wire constituting the harness. In addition, since the wires can be easily distinguished, maintenance of the harness can be performed. Also,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completely replace the harness, costs can be reduced.

다른 예로, 하나의 와이어 피복(110)의 일단부 및 후단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의 인쇄내용(120)이 인쇄될 수 있다. 즉, 와이어(100)의 길이가 긴 경우, 와이어(100)의 중간 중간에 일단부 및 후단부와 동일한 인쇄내용(120)이 인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길이가 긴 와이어(100)에서도 보다 용이하게 와이어를 구별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 plurality of printed contents 120 may be printed by being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one end and the rear end of one wire covering 110 . That is, when the length of the wire 100 is long, the same printed content 120 as one end and the rear end may be printed in the middle of the wire 100. Accordingly, the wires can be more easily distinguished even in the long wire 100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니스 케이블 마킹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를 A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2를 B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2 is a plan view of a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of FIG. 2 viewed from A direction, and FIG. 4 is a side view of FIG. 2 viewed from B direction.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니스 케이블 마킹장치(300)는 인쇄제어부(310), 프린터헤드부(320), PLC부(330), 컨베이어부(340), 고정부(350) 및 이동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2 to 4, the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nt control unit 310, a print head unit 320, a PLC unit 330, a conveyor unit 340, A fixed part 350 and a moving part 360 may be included.

인쇄제어부(310)는 복수의 핀으로 이루어진 커넥터가 양단에 연결되는 하니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와이어 피복(110)의 양단에 상기 핀의 위치에 따라 인쇄될 인쇄내용을 설정할 수 있다. 인쇄제어부(310)는 와이어 피복(110)의 인쇄지점을 설정하는 인쇄구간제어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int control unit 310 may set the printing content to be printed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pins on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wire sheaths 110 located inside the harness to which connectors made of a plurality of pins are connected at both ends. The print control unit 310 may include a print section control unit 311 that sets a printing point of the wire covering 110 .

인쇄구간제어부(311)는 인쇄지점 전에 인쇄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인쇄구간은 커넥터에 삽입될 길이, 커넥터와 이격되어 인쇄내용이 인쇄될 길이 및 상기 커넥터와 이격되는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The print section control unit 311 may set a print section before a printing point. The print section may be set to a length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or, a length to be printed apart from the connector, and a length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or.

커넥터에 삽입될 길이는 커넥터에 와이어를 연결할 때, 핀과 연결되기위하여 커넥터에 와이어가 삽입되는 길이일 수 있다. 인쇄내용이 인쇄될 길이는 인쇄내용이 잘 관찰될 수 있도록 커넥터와 소정의 간격 이격되는 부분으로 인쇄내용이 인쇄되는 영역일 수 있다. 커넥터와 이격되는 길이는 커넥터에 와이어가 삽입되는 길이와 인쇄내용이 인쇄되는 길이 사이의 길이일 수 있다. The length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or may be the length in which the wire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to be connected to the pin when connecting the wire to the connector. The length to be printed is a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printed content can be observed well, and may be an area where the printed content is printed. The distance apart from the connector may be a length between a length in which the wire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and a length in which printed contents are printed.

하나의 와이어 피복(110)의 양단에는 동일한 인쇄내용이 인쇄될 수 있다. 이경우, 인쇄내용은 와이어 피복(110)의 중심으로부터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내용은 와이어 피복(110)의 양단부에 복수의 컬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분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와이어 피복(110) 각각에 서로 다른 색의 인쇄내용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내용은 각 컬러마다 두께를 달리하여 와이어 피복(110)에 형성될 수 있다. 인쇄내용은 각 컬러마다 얇게 또는 두껍게 형성된 복수개의 인쇄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내용의 두께와 개수는 와이어 피복(110)의 종류와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복수개의 와이어 피복(110)의 각각을 용이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인쇄내용이 중복되지 않을 수 있다. The same printed contents may be printed on both ends of one wire sheath 110 . In this case, the printed contents may be formed symmetr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wire covering 110 . For example, printed contents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colors on both ends of the wire sheath 110 . In addition, printed contents of different colors may be form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wire sheaths 110 so as to be easily distinguished. For example, printed contents may be formed on the wire sheath 110 by varying the thickness for each color. The printed contents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inted contents formed thinly or thickly for each color. The thickness and number of printed contents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type and number of wire sheaths 110 . However, in order to easily distinguish each of the plurality of wire coverings 110, the printed contents may not overlap.

다른 예로, 인쇄내용은 컬러의 부호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내용은 복잡하지 않은 부호형태일 수 있다. 부호는 모르스부호, 별, 삼각형 및 사각형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두께가 서로 다른 인쇄내용과 부호형태의 인쇄내용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printed contents may be made in the form of color codes. For example, the printed contents may be in the form of uncomplicated codes. The code may be variously formed such as Morse code, star, triangle, and square.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printing content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nd the printing contents in the form of codes may be mixed.

상술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쇄내용을 다양하게 설정함으로써, 하니스를 이루는 와이어 피복색상을 통일하면서도 각 와이어의 핀넘버를 인지할 수 있는 와이어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으므로, 하니스의 유지보수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하니스를 전면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abricate a wire capable of recognizing the pin number of each wire while unifying the coating color of the wire constituting the harness by setting the contents of printing in various ways. In addition, since the wires can be easily distinguished, maintenance of the harness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since the entire harness does not need to be replaced, costs can be reduced.

프린터헤드부(320)는 와이어 피복(110)의 양단부에 인쇄내용(120)을 인쇄할 수 있다. 프린터헤드부(320)는 제1 프린터헤드부(321) 및 제2 프린터헤드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린터헤드부(321) 및 제2 프린터헤드부(322)는 소정의 거리 이격되며, 와이어 피복(1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프린터헤드부(321) 및 제2 프린터헤드부(322)는 이동부(360)에 연결되며, PLC부(330)의 지시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 피복(110)의 중심부로부터 제1 프린터헤드부(321)까지의 거리와 와이어 피복(110)의 중심부로부터 제2 프린터헤드부(322)까지의 거리는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 피복(110) 양단의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동일한 인쇄내용이 동시에 인쇄될 수 있다. The print head unit 320 may print the print contents 120 on both ends of the wire covering 110 . The print head unit 320 may include a first print head unit 321 and a second print head unit 322 . The first print head unit 321 and the second print head unit 32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wire covering 110 . The first print head unit 321 and the second print head unit 322 are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360 and may move in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 to instructions from the PLC unit 330 . For example,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wire sheath 110 to the first printhead unit 321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wire sheath 110 to the second printhead unit 322 may be set to be the same. Accordingly, the same printed contents can be simultaneously printed at symmetrical positions on both ends of the wire covering 11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케이블 색을 통일하고, 케이블에 서로 굵기가 다른 선 또는 부호를 마킹하여 와이어를 구분하기 때문에, 양단에 구비된 두 개의 프린터헤드부 만으로 와이어 피복(110)의 개수에 상관없이 다양한 형태의 인쇄내용을 인쇄하고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린터헤드부(320)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와이어 피복(110)의 길이에 따라 설정된 다양한 인쇄구간에 용이하게 인쇄내용을 인쇄할 수 있다. Sinc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ifies the color of the cables and distinguishes the wires by marking lines or codes of different thicknesses on the cables, the number of wire sheaths 110 is correlated with only the two printer heads provided at both ends. It can print and distinguish various types of print contents without In addition, since the print head unit 320 can be 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inting contents can be easily printed in various printing sections set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wire covering 110 .

PLC부(330)는 인쇄구간제어부(311)으로부터 인쇄구간을 전달받아, 이동부(360)에 연결된 프린터헤드부(320)를 인쇄구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제어부(310)에 저장된 와이어 피복(110)의 길이에 따라, 인쇄구간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PLC부(330)는 와이어 피복(110)의 길이에 따라, 프린터헤드부(320)가 인쇄구간에 위치하도록 프린터헤드부(3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PLC부(330)는 각각의 와이어 피복(110)에 인쇄될 인쇄내용을 전달받아 프린터헤드부(320)의 작동을 지시할 수 있다. The PLC unit 330 may receive a printing section from the printing section control unit 311 and move the print head 320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360 to the printing section. For example, a print section may be set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wire covering 110 stored in the print control unit 310 . In this case, the PLC unit 330 may move the printer head unit 320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wire covering 110 so that the printer head unit 320 is located in the printing section. In addition, the PLC unit 330 may receive print contents to be printed on each wire covering 110 and instruct the operation of the print head unit 320 .

컨베이어부(340)는 복수의 와이어 피복(110)을 지지하며, 프린터헤드부(320)가 구비된 인쇄진행방향으로 복수의 와이어 피복(1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와이어 피복(110) 다발은 동시에 하니스 케이블 마킹장치(300)로 주입될 수 있다. 먼저, 복수의 와이어 피복(110)은 컨베이어부(340)에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안착될 수 있다. 다음, 컨베이어부(340)의 회전에 의해 순차적으로 프린터헤드부(320) 하단에 배치됨으로써, 인쇄구간에 인쇄내용이 인쇄될 수 있다. The conveyor unit 340 supports the plurality of wire sheaths 110 and may move the plurality of wire sheaths 110 in the printing direction in which the print head unit 320 is provided. For example, a bundle of a plurality of wire sheaths 110 may be simultaneously injected into the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300 . First, the plurality of wire sheaths 110 may be seated side by side on the conveyor unit 34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Next, as the conveyor unit 340 is rotated and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printer head unit 320 sequentially, printing contents can be printed in the printing section.

고정부(350)는 와이어 피복(110) 양단에 구비되어, 와이어 피복(110) 양단을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니스 케이블 마킹장치(300)에 와이어 피복(110)이 공급될 때, 와이어 피복(110)의 두께가 얇을수록 와이어가 휘어지거나 뒤틀릴 수 있다. 이 경우, 와이어 피복(110)에 인쇄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부(350)는 와이어 피복(110)의 상부 및 하부에서 와이어 피복(110)을 잡아줄 수 있다. 이 때, 고정부(350)의 폭은 와이어 피복(11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와이어 피복(110)이 휘어지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fixing part 350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wire sheath 110 to fix both ends of the wire sheath 110 . For example, when the wire sheath 110 is supplied to the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300, the wire may be bent or twisted as the thickness of the wire sheath 110 becomes thinner. In this case, printing defects may occur on the wire covering 110 . To prevent this, the fixing part 350 may hold the wire sheath 110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wire sheath 110 .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fixing part 350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wire covering 110 . 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print quality by preventing the wire sheath 110 from being bent or distorted.

이동부(360)는 프린터헤드부(320)와 연결되며, PLC부(330)의 지시에 의해 프린터헤드부(3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부(360)의 일단에는 제1 프린터헤드부(321)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2 프린터헤드부(322)가 연결될 수 있다. 이동부(360)는 PLC부(330)로부터 와이어 피복(110) 양단부의 인쇄구간을 각각 전달받아, 제1 프린터헤드부(321) 및 제2 프린터헤드부(322)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프린터헤드부(321) 및 제2 프린터헤드부(32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여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 피복(110) 양단부에 동일한 인쇄내용이 대칭으로 인쇄될 수 있다. The moving unit 360 is connected to the printer head unit 320 and can move the printer head unit 320 according to instructions from the PLC unit 330 . The first print head 321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oving unit 360 and the second print head 322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The moving unit 360 may receive the printing section of both ends of the wire sheathing 110 from the PLC unit 330, respectively, and move the first printer head unit 321 and the second printer head unit 322 at the same time. In this case, the first print head 321 and the second print head 322 may move in different directions and be symmetrically arranged. Accordingly, the same printed contents can be symmetrically printed on both ends of the wire covering 110 .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니스를 이루는 와이어 피복색상을 통일하면서도 각 와이어의 핀넘버를 인지할 수 있는 와이어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와이어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차량의 무게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으므로 하니스의 유지보수가 가능할 수 있고, 유지보수 시 하니스를 전면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abricate a wire capable of recognizing the pin number of each wire while unifying the coating color of the wire constituting the harness. 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number of wires, there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vehicle. In addition, since the wires can be easily distinguished, maintenance of the harness can be performed, and cost can be reduced because the entire harness does not need to be completely replaced during maintenan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와이어 피복을 다발로 마킹장치에 주입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 피복의 로딩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두 개의 프린터헤드부를 이용하여 양단부에 동시에 인쇄내용을 인쇄함으로써 인쇄시간을 줄일 수 있어, 작업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re coating can be injected into the marking device in a bundle, the loading time of the wire coating can be reduced.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inting time can be reduced by simultaneously printing the contents on both ends using two printer heads, thereby improving work yiel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a fix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350)는 후면에 구비된 회전부재(35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재(355)는 고정부(350)의 후면 중앙에 결합되어 와이어 피복(110)을 180°회전시킬 수 있다. 먼저, 프린터헤드부(320)는 와이어 피복(110)의 진행방향에 따라, 와이어 피복(110)의 상면에 인쇄내용(120)을 인쇄할 수 있다. 다음, 와이어 피복(110)에 링마킹 하기 위하여, 회전부재(355)는 와이어 피복(110)을 180°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 피복(110)의 하면이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음, 와이어 피복(110)의 하면에 상면과 동일한 인쇄내용(120)을 인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fixing part 3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otating member 355 provided on the rear side. For example, the rotating member 355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art 350 to rotate the wire sheath 110 by 180°. First, the print head unit 320 may print the printed content 1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 covering 110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ire covering 110 . Next, in order to ring-mark the wire sheath 110, the rotating member 355 may rotate the wire sheath 110 by 180°. Accordingly, the lower surface of the wire sheath 110 may be disposed to face upward. Next, the same printed content 120 as the upper surface may be pri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ire sheathing 11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회전부재(355)가 구비됨으로써, 와이어 피복(110)의 하부에 프린터헤드부를 추가하지 않으면서 링마킹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면서 복수의 와이어 피복 다발에 인쇄내용을 인쇄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tating member 355 is provided, ring marking can be performed without adding a printer hea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ire sheath 110. Accordingly, printing contents can be printed on a plurality of wire-covering bundles while reducing cost and tim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내용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printing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내용(110)은 와이어(100)의 단부에 상기 와이어(100)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컬러로 형성될 수 있다. 인쇄내용(110)은 각 컬러마다 두께를 달리하여 상기 와이어 피복(10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 피복(100)의 핀넘버(PIN NO.)에 따라 두께를 달리할 수 있다. 핀넘버가 1 내지 4인 경우, 두께가 얇은 인쇄내용을 1개 내지 4개 인쇄할 수 있다. 핀넘버가 5인 경우 1 내지 4에 사용된 것보다 두꺼운 인쇄내용 1개 인쇄될 수 있다. 핀넘버가 6인 경우, 5에 사용된 두꺼운 인쇄내용 1개와 1에 사용된 얇은 인쇄내용 1개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핀넘버가 10인 경우, 5에 사용된 두꺼운 인쇄내용 2개가 사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printed contents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color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ire 100 at the end of the wire 100 . The printed contents 110 may be formed on the wire covering 100 by varying the thickness for each color. For example, the thickness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pin number (PIN NO.) of the wire covering 100. When the pin number is 1 to 4, 1 to 4 thinly printed contents can be printed. If the pin number is 5, one print content thicker than that used for 1 to 4 can be printed. If the pin number is 6, one thick print content used for 5 and one thin print content used for 1 may be combined and used. If the pin number is 10, 2 of the thick print content used for 5 can be used.

다른 예로, 인쇄내용(110)은 컬러의 부호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와이어 피복의 핀넘버에 따라 부호형태를 달리할 수 있다. 핀넘버가 1 내지 4인 경우, 속이 빈 별형태의 인쇄내용(☆)이 1개 내지 4개 인쇄될 수 있다. 핀넘버가 5인 경우 속이 꽉찬 별형태의 인쇄내용(★)이 1개 인쇄될 수 있다. 핀넘버가 6인 경우, 5에 사용된 속이 꽉찬 별형태의 인쇄내용(★) 1개와 1에 사용된 속이 빈 별형태의 인쇄내용(☆) 1개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핀넘버가 10인 경우, 5에 사용된 속이 꽉찬 별형태의 인쇄내용(★) 2개가 사용(★★)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printed contents 1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color codes. That is, the code form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in number of the wire sheath. When the pin numbers are 1 to 4, 1 to 4 blank star-shaped printed contents (☆) may be printed. If the pin number is 5, one printed content (★) in a star shape can be printed. If the pin number is 6, one full star-shaped printed content (★) used for 5 and one hollow star-shaped printed content (☆) used for 1 can be combined and used (★☆). If the pin number is 10, 2 printed contents (★) in the form of a solid star used for 5 can be used (★★).

다른 예로, 인쇄내용(110)은 컬러의 모르스부호(Morse code)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르스부호는 점과 선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시지 전달용 부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핀넘버가 1이 경우, 하나의 점과 네 개의 선이 인쇄될 수 있고, 핀넘버가 5인 경우 다섯개의 점이 인쇄될 수 있으며, 핀넘버가 0인 경우 다섯개의 선이 인쇄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printed content 1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lor Morse code. The Morse code may be a code for transmitting message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dots and lines. For example, if the pin number is 1, one dot and four lines may be printed, if the pin number is 5, five dots may be printed, and if the pin number is 0, five lines may be printed. ca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니스를 이루는 와이어 피복색상을 통일하면서도 각 와이어의 핀넘버를 인지할 수 있는 와이어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으므로, 하니스의 유지보수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하니스를 전면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abricate a wire capable of recognizing the pin number of each wire while unifying the coating color of the wire constituting the harness. In addition, since the wires can be easily distinguished, maintenance of the harness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since the entire harness does not need to be replaced, costs can be reduc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the addition of components, Other embodiments may be easily suggested by changes, deletions, additions, etc., but these will also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와이어 110: 와이어 피복
200: 커넥터 210: 핀
300: 하니스 케이블 마킹장치
310: 인쇄제어부 311: 인쇄구간제어부
320: 프린터헤드부 321: 제1 프린터헤드부
322: 제2 프린터헤드부 330: PLC부
340: 컨베이어부 350: 고정부
355: 회전부재 360: 이동부
100: wire 110: wire sheath
200: connector 210: pin
300: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310: print control unit 311: print section control unit
320: print head unit 321: first print head unit
322: second print head unit 330: PLC unit
340: conveyor part 350: fixing part
355: rotating member 360: moving unit

Claims (5)

복수 개의 핀으로 이루어진 커넥터가 양단에 연결되는 하니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와이어 피복에 상기 핀의 위치에 따라 인쇄될 인쇄내용을 설정하는 인쇄제어부;
상기 와이어 피복의 양단에 동시에 인쇄내용을 인쇄하는 프린터헤드부;
상기 인쇄제어부로부터 상기 인쇄내용을 전달받아 상기 프린터헤드부의 작동을 지시하는 PLC부;
상기 와이어 피복이 안착되어 이동하는 컨베이어부;
상기 와이어 피복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프린터헤드부와 연결되며, 상기 PLC부의 지시에 의해 상기 프린터헤드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하니스 케이블 마킹장치.
a print control unit which sets the printing content to be printed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pins on the plurality of wire sheaths located inside the harness to which connectors made of a plurality of pins are connected at both ends;
a printer head unit that simultaneously prints print contents on both ends of the wire sheath;
a PLC unit for receiving the print content from the print control unit and instructing the operation of the print head unit;
a conveyor unit on which the wire covering is seated and moved;
a fixing unit for fixing both ends of the wire sheath; and
A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comprising a moving unit connected to the printer head unit and moving the printer head unit according to instructions of the PLC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와이어 피복은,
상기 컨베이어부에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안착되고, 상기 컨베이어부의 회전에 의해 순차적으로 상기 프린터헤드부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내용이 인쇄되는 하니스 케이블 마킹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wire coatings,
The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is seated side by si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conveyor unit, and is sequentially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printer head unit by rotation of the conveyor unit to print the printed conten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헤드부는,
상기 와이어 피복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 제1 프린터헤드부 및 제2 프린터헤드부를 포함하는 하니스 케이블 마킹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int head unit,
A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and second printer head parts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wire sheath.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프린터헤드부 및 제2 프린터헤드부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하니스 케이블 마킹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moving part,
A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for simultaneously moving the first print head and the second print hea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후면에 결합된 회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하니스 케이블 마킹장치.
According to claim 1,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rotating member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unit.
KR1020210176461A 2021-12-10 2021-12-10 The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KR2023008785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461A KR20230087857A (en) 2021-12-10 2021-12-10 The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461A KR20230087857A (en) 2021-12-10 2021-12-10 The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857A true KR20230087857A (en) 2023-06-19

Family

ID=86988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461A KR20230087857A (en) 2021-12-10 2021-12-10 The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785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34990B1 (en) Flexible and lightweight seat-to-seat cabin cable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EP2267727A1 (en) Wire harness
US20100294533A1 (en) Shielded electric wire and method of identifying shielded wire
CN103370200A (en) Ink jet printing device and printing method thereof
KR20230087857A (en) The Harness Cable Marking Device
JP2002347230A5 (en)
DE102018127019B4 (en) Electric connection system for a seat
EP1393920A3 (en) Ink jet printing apparatus, ink jet printing method, and ink jet print head
US9061517B2 (en) Ink jet printing apparatus, ink jet printing method, data genera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8550587B2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ng method
CN1287988C (en) Method for printing color image by ink jet printer
US7482539B2 (en) Electric wire
CN102205705B (en) Printing process of forming two images on print medium in overlapping manner
US9505246B2 (en) Control device
US6153832A (en) Z-fold printhead carriage trailing cable for optimized panelization
CN102233722B (en) Print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printing device
JP4987332B2 (en) Cable and cable manufacturing method
EP1548756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rking wire
CN209921223U (en) Interior wiring harness butt-joint structure of car A post
CN216649136U (en) Wear-resistant adjustable automobile wire harness with flexible protective sleeve
EP1477994A1 (en) Electric wire and wire coloring apparatus
CN214476551U (en) Wire harness with protective structure
US20150103111A1 (en) Printing device and printing method
JPS61106290A (en) Serial-type color printer
KR20220119809A (en) A light, low-priced extension cable of arc welding machine using CO2 ga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xtension c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