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7811A -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7811A
KR20230087811A KR1020210176370A KR20210176370A KR20230087811A KR 20230087811 A KR20230087811 A KR 20230087811A KR 1020210176370 A KR1020210176370 A KR 1020210176370A KR 20210176370 A KR20210176370 A KR 20210176370A KR 20230087811 A KR20230087811 A KR 20230087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urchase
aquatic
purchasing
aquatic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현
Original Assignee
김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성 filed Critical 김우성
Priority to KR1020210176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7811A/ko
Publication of KR20230087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8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은, 수산물 중개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거래 대상 수산물을 구입한 소비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수산물 중개 플랫폼에서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을 구매하는 단계; 상기 구매한 거래 대상 수산물 상에 부착된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한 식별코드에 매칭된 콘텐츠 링크로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링크를 통해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의 구매과정을 촬영한 구매영상과,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을 가공하는 가공영상을 포함하는 인증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 {METHOD FOR PURCHASING CERTIFIED SEAFOOD THROUGH A SEAFOOD BROKERAGE PLATFORM}
본 발명은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축수산물은 환경, 기후 조건, 획득 시기, 가공 조건 등 주변 환경에 의해 그 품질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같은 물품이라도 품질이나 영양 등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최근에는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건강 및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농축수산물의 품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바른 먹거리를 찾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안전한 먹거리를 위한 국가적 차원의 강력한 관리 및 기준이 제시되어 있지만, 그동안의 다양한 제도의 도입 및 운영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상품이 아닌 농축수산물에는 여전히 적용되는 데에 한계가 있어 소비자의 높아진 식품안전에 대한 기대에는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농축수산물의 유통 이력을 확인하려는 경우 소비자가 직접 홈페이지를 검색하는 등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 관련 정보를 검색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또한, 유통 이력 정보를 영상으로 확인한다고 하더라도, 판매자 측에서 악의적으로 실제 유통 과정에 해당하는 영상이 아닌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소비자가 해당 영상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171778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판매자 측이 제공한 유통 이력 영상의 진위 여부를 소비자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은, 수산물 중개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거래 대상 수산물을 구입한 소비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수산물 중개 플랫폼에서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을 구매하는 단계; 상기 구매한 거래 대상 수산물 상에 부착된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한 식별코드에 매칭된 콘텐츠 링크로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링크를 통해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의 구매과정을 촬영한 구매영상과,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을 가공하는 가공영상을 포함하는 인증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증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의 구매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의 구매영상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영상을 촬영한 일시와 위치 및 상기 구매영상에서 촬영된 수산물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증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영상에 복수의 수산물이 촬영된 경우, 상기 복수의 수산물 중 거래 대상 수산물을 하이라이트한 편집구매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증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영상정보의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의 정보와, 상기 가공영상의 수산물의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은, 소비자가 구입한 수산물의 실제 유통 과정을 영상으로 인증함으로써 구매 및 가공 등의 유통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여 상품의 신선도 및 청결도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은, 수산물의 유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생산, 가공 및 운송정보의 오류 및 누락을 방지함으로써 수산물과 관련된 정보를 객관적으로 기록하여 거래 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은, 수산물의 품질검사를 대체할 수 있는 이력 인증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양질의 상품을 소비자에게 신속하게 배송하여 최종적으로 거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은, 수산물의 유통 경로를 축소함으로써 유통업자의 부당한 이익 취득을 방지하여 소비자가 부담하는 가격을 낮추고 신속한 배송을 실현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은, 수산물의 유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통 참여자의 소비자 기만 행위를 감소시킴으로써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수산물의 중량 및 부위 등과 관련한 품질을 보증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은, 상품으로 다루어지는 개별 수산물의 이미지를 인식하고 고유일련번호를 부여함으로써 개별 수산물과 관련된 정보를 일일히 대조하는 작업에 드는 시간을 감소시켜 유통과정에 포함된 업무의 효율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수산물 중개 플랫폼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에서 구매영상을 획득하는 구매자 단말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에서 수산물을 구매하는 소비자 단말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하는 수산물 중개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중개 플랫폼을 통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에서 구매과정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세부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중개 플랫폼을 통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에서 구매과정정보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중개 플랫폼을 통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에서 인증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세부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에서 소비자 단말에 인증영상이 출력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구매자 단말(100),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버(200), 수산물 가공처리 모니터링 장치(300) 및 소비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 1의 각 구성요소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구매자 단말(100),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버(200), 수산물 가공처리 모니터링 장치(300) 및 소비자 단말(400) 등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UWB(Ultra Wide Band)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의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 구매자 단말(10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에서 구매자 단말(100)의 내부 블록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매자란, 경매중개사로부터 수산물을 구매하여 해당 수산물을 구입하기 희망하는 소비자에게 수산물 중개 플랫폼을 통해 판매하는 판매자의 역할을 담당하는 자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단말(100)은, 수산물 중개 플랫폼을 통해 판매하는 수산물의 일련의 유통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영상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구매자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일 수 있다.
이러한 구매자 단말(100)은, 스마트 글라스(smart glasses display)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와 같은 웨어러블 타입의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에서는, 구매자 단말(100)을 스마트 글라스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기준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스마트 폰(smart phone) 및 휴대폰 등의 모바일 타입 컴퓨팅 디바이스로 구현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100)은, 착용되는 동안 사용자가 주변 물리적 공간을 볼 수 있도록 광을 투과하면서 사용자의 시야 상에 증강현실 콘텐츠(예컨대, 가상객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글라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의 구매자 단말(100)은, 주변 물리적 공간으로부터의 광이 사용자의 눈에 도달하도록 투과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에 의해 표시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사용자의 눈을 향해 반사시키는 투명한 글래스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구매자 단말(100)의 구매자용 애플리케이션(111)은, 주변 물리적 공간에서 실제객체와 실제객체 내 태그 등을 이미지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태그에 대응되는 구매자의 시야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구매자용 애플리케이션(111)은, 상술된 구매자 단말(100)에 설치될 수 있고, 구매자 단말(100)에서 수행하는 각종 기능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용 애플리케이션(111)은, 학습된 실제객체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실제객체의 위치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시야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구매자 단말(100)은 구매자용 애플리케이션(111)을 포함하는 메모리(110), 프로세서 어셈블리(120), 통신 프로세서(130), 인터페이스부(140), 입력 시스템(150), 센서 시스템(160)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요소들은 구매자 단말(100)의 하우징 내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10)에는, 구매자용 애플리케이션(111)이 저장되며, 구매자용 애플리케이션(111)에는 증강현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증강현실 콘텐츠, 이미지 버퍼, 위치 엔진, 증강현실 콘텐츠 디스플레이 엔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메모리(110)는 증강현실 환경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와,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증강현실 환경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110)에 저장된 구매자용 애플리케이션(111)의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메모리의 구매자용 애플리케이션(111)을 통해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이미지 센서를 기반으로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실제객체를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실제객체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매칭한 증강현실 영상을 생성하고 표시하도록 구매자 단말(10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중앙처리장치(CPU) 및/또는 그래픽 프로세서 장치(GPU)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통신 프로세서(130)는, 다른 컴퓨팅 장치(예컨대, 수산물 가공처리 모니터링 장치(300))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프로세서(13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자세히, 통신 프로세서(130)는, 수산물 중개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수산물의 유통과정을 인증하기 위한 영상관련 데이터를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버(200)와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통신 프로세서(130)는, 네트워크 속도 반응형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와 관련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서버 시스템(500) 및/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와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프로세서(13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5G NR(New Radio), WIFI) 또는 근거리 통신방식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장치를 통해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임의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센서 시스템(160)은, 이미지 센서, 위치 센서(IMU), 오디오 센서, 거리 센서, 근접 센서, 접촉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시스템(160)을 포함하는 구매자 단말(100)은, 실시간 타임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일정간격 단위로 송출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61)는, 구매자 단말(100) 주위의 물리적 공간 및 구매하려는 수산물에 대한 이미지 및/또는 영상을 캡처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미지 센서(161)는,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에 관련된 영상을 촬영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이미지 센서(161)는, 구매자 단말(100)의 전면 또는/및 후면에 배치되어 배치된 방향측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구매자 단말(100)의 외부를 향해 배치된 카메라를 통해 작업 현장과 같은 물리적 공간을 촬영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작업 현장은 수산물 경매장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물리적 공간을 촬영함으로써 구매하려는 수산물에 대한 이미지 및/또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161)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이미지 센서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161)는, 영상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해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서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16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어셈블리일 수 있다. 카메라 어셈블리는, 가시광선 대역을 촬영하는 일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외선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 등의 특수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163)는, 구매자 단말(100)의 움직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자력계와 같은 다양한 위치 센서의 조합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통신 프로세서의 GPS와 같은 위치 통신 프로세서와 연동하여, 구매자 단말(100) 주변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공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IMU(163)는, 검출된 위치 및 방향을 기초로 구매자의 시선 방향 및 머리 움직임을 검출 및 추적하는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현들에서, 구매자용 애플리케이션은 이러한 IMU(163) 및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여 물리적 공간 내의 구매자의 위치 및 방향을 결정하거나 물리적 공간 내의 특징 또는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오디오 센서(165)는, 구매자 단말(100) 주변의 소리를 인식할 수 있다.
자세히, 오디오 센서(165)는, 구매자 단말(100)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오디오 센서(165)는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전송할 커뮤니케이션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를 구매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40)는, 구매자 단말(100)를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자세히, 인터페이스부(140)는, 하나 이상의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과 호환되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구매자 단말(100)은, 여러 입출력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40)는, 헤드셋 포트나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출력장치와 연결되어,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오디오 출력장치가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구매자 단말(100) 내부에 설치되는 실시예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4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전력 증폭기, RF 회로, 송수신기 및 기타 통신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시스템(150)은 네트워크 속도 반응형 증강현실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어, 제스처, 음성 명령, 버튼의 작동 또는 다른 유형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히, 입력 시스템(150)은 버튼, 터치 센서 및 사용자 모션 입력을 수신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시스템(150)은,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외부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은, 구매자 단말(100) 주변 물리적 공간으로부터의 광이 사용자의 눈에 도달하도록 투과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에 의해 표시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사용자의 눈을 향해 반사시키는 투명한 글래스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은, 구매자 단말(100)을 착용한 사용자의 좌안에 대응되는 좌측 디스플레이와, 우안에 대응되는 우측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좌측 디스플레이와 우측 디스플레이는 시차에 오프셋을 둔 서로 다른 이미지를 증강현실 콘텐츠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3차원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은,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매자 단말(100)은, 작업 현장(실시예에서, 수산물 경매장)과 같은 물리적 공간에 위치한 구매자가 현장 작업을 수행하며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버(200)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버(200)(이하, 서버(200))는, 데이터 통신부(210), 데이터베이스(220), 제어부(230), 온라인 판매 서비스부(240) 및 영상 관리 서비스부(250))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210)는, 구매자 단말(100),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300) 및/또는 소비자 단말(400) 등과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데이터 통신부(210)는, 구매자 단말(100)로부터 구매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촬영한 각종 영상 및 이미지, 상기 영상 및 이미지가 담고 있는 정보(예컨대, QR코드 이미지 인식에 따른 수산물의 고유일련번호, 수산물 관련 이력정보 등) 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데이터 통신부(210)는,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300)로부터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300)를 이용하여 촬영한 각종 영상 및 이미지, 상기 영상 및 이미지가 담고 있는 정보 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데이터 통신부(210)는, 소비자 단말(400)로부터 소비자 단말(400)을 이용하여 촬영한 각종 영상 및 이미지, 상기 영상 및 이미지가 담고 있는 정보 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구매자 단말(100),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300) 및 소비자 단말(400)이 서버(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각종 정보들은 후술되는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220)는, 구매자 단말(100),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300) 및/또는 소비자 단말(400) 등이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한 각종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22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20)는,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로, 데이터베이스(220)는, 수산물 경매장 현장 이미지, 수산물 구매영상(10), 수산물 구매영상(10) 내 인식한 수산물 이미지, 수산물정보(11), 수산물 근접 이미지, 태그 이미지(12), 태그정보(13), 구매과정정보(14), 수산물 가공영상(20), 편집구매영상(30), 인증영상(31) 및 식별코드(40)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 및 관리되는 정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220)는,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22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전술한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3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200)는, 온라인 판매 서비스부(240) 및 영상 관리 서비스부(250)을 이용하여 경매중개사로부터 구매한 수산물이 소비자에게 도달하는 과정을 투명하게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로,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는, 온라인 수산물 판매 서비스 및 수산물 인증영상 관리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 수산물 판매 서비스란, 판매자(실시예에서, 구매자) 및 소비자 사이의 거래를 운영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자세히, 온라인 수산물 판매 서비스는, 온라인 판매 서비스부(240)이 수행하는 서비스로서, 웹(Web)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상에서 판매자의 상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소비자에게 신선한 수산물의 직배송을 진행하기 위해 결제 전반을 수행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즉, 온라인 수산물 판매 모듈(240)은 상기 데이터 통신부(210)를 통해 수산물 거래와 관련하여 구매자 단말(100) 및 소비자 단말(400)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입력될 수 있는 정보는 1) 거래되는 수산물의 종류, 가격, 중량 등과 같은 수산물 관련 정보, 2) 거래되는 수산물을 수령하는 소비자의 이름, 연락처, 주문 품목 및 수량, 수령 주소와 같은 소비자 관련 정보, 3) 거래되는 수산물의 배송 가능 지역, 배송 현황, 운송장번호 등 배송 관련 정보 등을 포함하나, 상술한 바에 한정하지 않고 수산물 거래와 관련한 정보라면 어떠한 정보든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수산물 인증영상 관리 서비스란, 수산물 구매 및 가공 현장에 설치된 소정의 센서를 이용하여 수산물 인증영상(31)을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여기서 인증영상(31)이란,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수산물의 이력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당일 조업된 수산물임을 인증하기 위한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자세히, 수산물 인증영상 관리 서비스는, 영상 관리 서비스부(250)이 수행하는 서비스로서, 수산물 구매 및 가공 현장으로부터 획득한 각종 영상 및 이미지의 카테고리별 분류, 저장, 매칭, 편집 및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인증영상(31) 생성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이때, 수산물 구매 및 가공 현장으로부터 획득한 각종 영상 및 이미지의 카테고리별 분류 및 매칭 등을 위하여, 데이터베이스(220)에는 카테고리별 개별 각 폴더가 포함되어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상 관리 서비스부(250)은 상기 데이터 통신부(210)를 통해 수산물 영상과 관련하여 구매자 단말(100) 및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300)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아 카테고리별 분류 등 영상 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산물 콘텐츠 링크 서비스란, 거래 대상이 되는 수산물과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는 콘텐츠를, 소정의 조건(실시예에서, 구매자 단말(100) 및 소비자 단말(400)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코드(예컨대, QR코드 및/또는 바코드 등)를 센싱하는 경우 등)을 충족하는 디바이스로 링크를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상술한 서버(200)가 수행하는 서비스 전반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에서 후술되는 실시예에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서버(200)는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서버(200)는 구매자 단말(100) 및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300)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20)에 구성된 카테고리별 개별 각 폴더에 자동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게 설치된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은,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인식 처리로서 전처리, 형상추출, 및 출력의 과정으로 처리되되, SVM(Support Vector Machines)이라는 학습 알고리즘이 이용되고, 이미지 인식 처리에 있어 엣지 감지기가 이용되되, 이미지에 관한 식별에 있어,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 SIFT(Scal0Invariant Feature Transform), SURF(Speeded Up Robust Feature)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상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을 위해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복수 개의 폴더를 기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폴더는 일시별 및/또는 수산물의 어종별 등으로 구분되어 데이터베이스(220)에 기저장되어있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로 서버(200)는, 구매 및 가공 현장으로부터 획득한 각종 영상 및 이미지들을 수산물 별로 분류 및 저장하기 위하여, 수산물의 견본 이미지 및 상기 견본 이미지에 합치하는 어종 등을 데이터베이스(220)에 기저장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기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딥러닝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구매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 정보를 분석 및 분류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 정보를 카테고리별 폴더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버(200)에서 상술된 바와 같은 기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상술된 기능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구매자 단말(100),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300) 및/또는 소비자 단말(400) 등에서 수행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
-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300)
한편,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300)(이하, 모니터링 장치(300))는, 구매된 수산물을 가공하는 가공영역 및 가공자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 장치(300)는, 복수의 수산물 가공 영역 및 가공자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에 편리하게 배치되는 단말로, 이동이 용이한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 또는 복수의 수산물 가공 영역마다 고정 설치된 CCTV 타입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모니터링 장치(300)를 상기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에 기준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모바일 타입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 중 중복되는 내용은 웨어러블 타입 컴퓨팅 디바이스인 구매자 단말(100)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구매자 단말(100)과의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은, 상술된 모니터링 장치(300)에 설치될 수 있고, 모니터링 장치(300)에서 수행하는 각종 기능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장치(300)는, 수산물 가공자가 태그가 부착된 수산물을 가공하는 모습 등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태그란, 경매중개사로부터 구매한 수산물 개별마다 구매자가 부착하는 일종의 고유일련번호(예컨대, 바코드 또는 QR코드 등)가 부여된 이름표로, 구매한 수산물을 타 수산물과 구분하고 상기 구매한 수산물에 대한 정보를 부여하기 위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산물 가공이란, 구매자의 구매 이후 껍질 및 뼈 등을 분류하는 손질 및 손질된 수산물을 포장용 용기에 담는 패키징 등을 포함하는 행위로, 생선 등을 포함하는 수산물을 소비자가 취식하기 용이하도록 처리하는 과정 전반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 장치(300)는, 태그가 부착된 수산물을 가공하는 영상 등과 같은 모니터링 영상을 획득하여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 소비자 단말(40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에서 소비자 단말(400)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단말(400)은, 소비자용 애플리케이션(411)이 설치된 모바일 타입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상기 모바일 타입 컴퓨팅 디바이스에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태블릿 PC(tablet P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에서는, 소비자 단말(400)을 스마트 폰 타입의 모바일 타입 컴퓨팅 디바이스에 기준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타입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 중 중복되는 내용은 웨어러블 타입 컴퓨팅 디바이스인 구매자 단말(100)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웨어러블 타입 컴퓨팅 디바이스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소비자 단말(400)은, 메모리(410), 프로세서 어셈블리(420), 통신 모듈(430), 인터페이스 모듈(440), 입력 시스템(450), 센서 시스템(460)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4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소비자 단말(400)의 하우징 내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소비자 단말(400)의 하우징 내에는 상기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상에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디스플레이 시스템(470)은,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471)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47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소비자 단말(4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소비자 단말(400)과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시스템(460)은, 이미지 센서(461)를 포함하며, 예시적으로 이미지 센서는 소비자 단말(400)의 하우징에 일측 면과 타측 면에 배치될 수 있다.
-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매자 단말(100)은 수산물 구매영상(10)을 촬영하고 태그정보(13)를 획득할 수 있다. (S101)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매자란,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여 경매중개사나 어부로부터 구매한 수산물을 소비자에게 판매하려는 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는,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에 직접 고용되어 플랫폼을 통해 판매되는 수산물을 구매하는 직원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구매영상(10)이란, 구매자 단말(100)에서 수산물을 구매하는 과정을 촬영한 영상일 수 있다. 자세히, 구매자 단말(100)을 이용(실시예에서, 착용)하는 구매자가 경매중개사로부터 수산물을 구매하는 당시의 상황을 담은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구매영상(10)은, 수산물 경매장의 현장 이미지 및 그 현장으로부터 획득(실시예에서, 구매)된 수산물의 이미지, 획득된 수산물이 포장되는 이미지 및 포장된 수산물이 가공 전까지 운반되는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단말(100)이 획득한 수산물 구매영상(10)은, 일시 및 어종에 따라 구분되어 데이터베이스(220)에 기저장된 일시별 및/또는 수산물의 어종별 등으로 구분된 폴더로 분류 및 저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에서 구매과정정보(14)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세부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구매자 단말(100)은 수산물 구매영상(10) 내 수산물을 인식할 수 있다. (S203)
여기서 수산물은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수산물을 뜻하며, 또한 수산물 인식은, 구매자 단말(100)을 이용하는 구매자의 수동 조작 및 구매자 단말(100)의 자동 인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매자 단말(100)이 자동 인식을 수행하는 경우, 서버(200)에는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구매자 단말(100)은 수산물정보(11)를 획득할 수 있다. (S205)
자세히, 구매자 단말(100)은, 인식한 수산물에 대한 어종(魚種: 물고기의 종류) 및 마릿수 등을 파악한 수산물정보(11)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정보(11)는, 어종 및 마릿수와 같이 이미지 상에서 획득할 수 있는 정보뿐만 아니라, 구매자가 수산물 구매영상(10)을 촬영한 일시(예컨대, 년/월/일/시/분/초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는 인식한 수산물을 실구매한 뒤 구매한 수산물에 태그를 부착할 수 있다.
태그는 구매자 및 구매자 단말(100)이 인지하기 용이한 위치라면 상기 수산물 어디에도 부착될 수 있으며, 구매한 수산물 개별(예컨대, 광어 한 마리당) 또는 패키지(예컨대, 새우 10마리가 든 한 패키지당)에 부착될 수 있다.
이어서, 구매자 단말(100)은, 구매한 수산물에 부착된 태그 이미지(12)를 인식할 수 있다. (S207)
자세히, 구매자 단말(100)은, 구매한 수산물 개별에 부착된 태그의 고유일련번호 부분을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태그 이미지(12)란, 구매한 수산물 개별에 부착된 태그의 고유일련번호 부분의 이미지를 뜻하며, 구매한 수산물 개별은 각각 상이한 고유일련번호를 부여받아 그에 따라 각각 상이한 고유의 태그 이미지(12)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술한 구매영상(10)에는 수산물 경매장의 현장 이미지, 현장으로부터 획득된 수산물 이미지 및 수산물 개별에 부착된 태그의 태그 이미지(1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구매영상(10)의 촬영은 시간적으로 구매자 단말(100)이 태그 이미지(12)를 인식한 이후라면 언제든 종료될 수 있다.
다시 돌아와서, 구매자 단말(100)은, 태그 이미지(12)에 수산물정보(11)를 매칭하여 태그정보(13)를 획득할 수 있다. (S209)
여기서 태그정보(13)란, 수산물 개별로 인식한 고유의 태그 이미지(12)에 S205 단계에서 기획득한 수산물정보(11)를 매칭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구매자 단말(100)이 획득한 태그정보(13)는, 구매영상(10)과 마찬가지로 일시 및 어종에 따라 구분되어 데이터베이스(220)에 기저장된 일시별 및/또는 수산물의 어종별 등으로 구분된 폴더로 분류 및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한 마리의 개별 수산물 당 하나의 태그정보(13)가 매칭되나, 상술한 바와 같이 태그는 복수의 동일 어종이 묶인 패키지에 부착될 수도 있으므로, 동일 종류의 복수개의 수산물이 하나의 태그정보(13)에 매칭될 수 있다.
이어서, 구매자 단말(100)은, 태그정보(13)를 매칭하고 구매과정정보(14)를 생성할 수 있다. (S211)
자세히, 구매자 단말(100)은, 획득한 태그정보(13)를 해당 구매영상(10)과 매칭한 정보인 구매과정정보(14)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과정정보(14)란,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수산물 각각의 수산물정보(11) 및 태그 이미지(12)를 포함하는 태그정보(13)를, 해당 수산물을 촬영한 구매영상(10)에 매칭한 정보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에서 구매과정정보(14)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구매과정정보(14)는, 구매영상(10)으로부터 인식된 수산물의 마릿수에 상응하는 개수만큼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구매영상(10) 하나 당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정보(13)가 매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과정정보(14)가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2021년 11월 1일 오전 5시”에 촬영한 하나의 구매영상(10)에서, 어종이 “뽈락”이며 마릿수가 “4마리”인 구매과정정보(14)는 수산물 각각 하나씩 총 4개가 생성될 수 있다.
고유일련번호 “1234501”에 해당하는 뽈락만을 예시로 들어 자세히 설명하자면, 해당 뽈락에 “어종: 뽈락, 일시: 2021/11/1 05:00, 마릿수: 4마리”와 같은 수산물정보(11)와, 고유일련번호 “1234501”에 해당하는 태그 이미지(12)를 포함하는 태그정보(13)에 “구매영상1”에 해당하는 구매영상(10)이 매칭된 구매과정정보(14)가 생성될 수 있다.
즉, 구매자 단말(100)은, 구매영상(10) 하나 당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정보(13)를 매칭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과정정보(14)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도 4로 돌아와서, 구매자 단말(100)은 상기 생성된 구매과정정보(14)를 저장(S103)한 뒤 상기 구매과정정보(14)를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S105)
복수의 구매과정정보(14)를 수신한 서버(200)는, 복수의 구매과정정보(14)를 수산물 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S107)
자세히, 서버(200)는, 복수의 구매과정정보(14)에 포함된 구매영상(10)으로부터 추출한 수산물의 실물 이미지를 바탕으로 복수의 구매과정정보(14)를 수산물 별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0) 파트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20)에는 수산물의 어종을 구분하기 위한 수산물의 견본 이미지 및 상기 견본 이미지에 따른 어종과, 구분된 수산물의 실물 이미지를 분류 및 저장할 어종별 폴더가 기존재할 수 있다.
즉, 서버(200)는 딥러닝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구매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구매과정정보(14)에 포함된 수산물의 실물 이미지를 분석하고, 기저장된 수산물의 견본 이미지와 비교하여 구매과정정보(14)에 포함된 수산물의 어종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분류된 구매과정정보(14)를 데이터베이스(220)에 포함된 어종별 폴더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 장치(300)는 태그가 부착된 수산물의 가공영상(20)을 촬영할 수 있다. (S109)
여기서, 모니터링 장치(300)는, 수산물 가공 영역의 분리 여부 및 수산물 가공에 참여하는 인원에 따라 단수 혹은 복수일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가공영상(20)이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장치(300)가 촬영하는 영상으로써 가공자가 수산물을 가공하는 당시의 상황을 담은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가공영상(20)은, 수산물 가공장의 현장 이미지 및 그 현장에서 가공되는 수산물의 근접 이미지, 수산물 가공자 이미지 및 수산물에 부착된 태그의 태그 이미지(12)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공자는, 가공 대상이 되는 상기 수산물의 근접 이미지 및 상기 수산물에 부착된 태그의 태그 이미지(12)를 정확히 포함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산물을 모니터링 장치(300)와 근접한 곳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모니터링 장치(300)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300)와 근접한 곳에 위치한 제1 수산물의 태그(예컨대, 바코드 또는 QR코드 등과 같은 고유일련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제1 수산물의 태그정보(13)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수산물의 태그정보(13)는 태그 이미지(12) 및 수산물정보(11)를 포함하므로, 가공자는 제1 수산물의 수산물정보(11)와 가공 대상인 수산물의 실수량 및 어종을 비교하여 검수할 수 있다.
또한, 가공자는, 태그가 부착된 수산물의 마릿수 및 패키지에 비례하는 수만큼 상기 수산물을 모니터링 장치(300)에 인식시키는 행위를 반복할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링 장치(300)는, 상기 가공자의 행위 반복 횟수에 비례하는 복수 개의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가공영상(20)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S109 단계는 구매자로부터 수산물이 구매되고 태그가 부착된 뒤에 수행될 수 있는 단계이므로, S101 단계 및 S111 단계 사이라면 모니터링 장치(300)에 의해 언제든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모니터링 장치(300)는, 복수 개의 가공영상(20)을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S111)
즉, 모니터링 장치(300)는, 수산물의 신선도, 수산물 가공 영역 및 가공자의 청결도, 수산물 가공자의 비정상적 행위 등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모니터링 영상을 획득하여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300)에 의해 특정 부위 바꿔치기 및 중량 속임 등 가공자가 범할 수 있는 비정상적인 행위를 검출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수산물의 품질에 대한 신뢰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300)에 의해 수산물 가공영역 및 가공자의 위생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수산물의 청결도를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300)에 의해 수산물에 부착된 태그 이미지(12)를 스캔함으로써, 해당 수산물의 당일 구매 여부를 확인하고 수산물의 신선도를 인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복수 개의 가공영상(20)을 수신한 서버(200)는, 수산물 구매영상(10) 및 가공영상(20)을 자동으로 편집하여 인증영상(31)을 생성할 수 있다. (S113)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에서 인증영상(31)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세부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제1 가공영상의 제1 수산물을 인식할 수 있다. (S301)
자세히, 서버(200)는 제1 가공영상에 포함된 제1 수산물의 근접 이미지 및 상기 수산물에 부착된 태그의 태그 이미지(12)를 토대로 제1 가공영상의 제1 수산물을 인식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200)는, 수산물 구매영상(10) 내 제1 수산물을 검색할 수 있다. (S303)
자세히,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수산물 구매영상(10) 내에 인식된 복수의 수산물 근접 이미지 및 태그 이미지(12)와 제1 가공영상에서 인식된 제1 수산물의 근접 이미지 및 태그 이미지(12)를 대조하여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제1 수산물과 매칭되는 이미지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S305)
자세히,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카테고리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모든 수산물 구매영상(10) 내에서 제1 수산물과 매칭되는 이미지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200)는, 구매영상(10) 및 태그정보(13)를 포함하는 구매과정정보(14)를 토대로 제1 수산물의 수산물정보(11)도 획득할 수 있으므로, 수산물 구매영상(10) 내에서 제1 수산물과 매칭되는 이미지 객체를 검출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제1 수산물과 매칭되는 태그정보(13)까지 검출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200)는, 상기 검출된 이미지 객체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편집구매영상(30)을 생성할 수 있다. (S307)
자세히,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수산물 구매영상(10) 내에서 제1 수산물과 매칭되어 검출된 상기 이미지 객체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편집구매영상(30)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실시예에서 편집구매영상(30)이란,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구매영상(10)에서 제1 수산물이 출연한 부분을 강조하여 편집한 영상을 의미한다.
예컨대, 편집구매영상(30)에서 하이라이트는 소비자가 구매하게 되는 수산물의 테두리를 형광색 등과 같이 색상으로 강조하는 방법, 화살표로 가리키는 방법, 상기 검출된 이미지 객체가 등장하는 영상 부분만을 남기고 나머지 영상 부분을 잘라내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편집구매영상(30)에서 하이라이트를 표시하는 방법은, 소비자가 구매하게 되는 수산물이 구매영상(10) 내에서 어디에 등장하는지 용이하게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느 방법도 사용될 수 있으며, 설명한 예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서버(200)는, 하나의 수산물 구매영상(10)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집구매영상(30)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수산물 구매영상(10)에서 해당 구매영상(10)에 등장하는 수산물이 복수(예컨대, 제1, 제2, … 제n)라면, 그 개수에 비례하는 복수의 편집구매영상(30)을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200)는, 편집구매영상(30) 및 제1 가공영상을 통합하여 제1 인증영상(31)을 생성할 수 있다. (S309)
자세히, 서버(200)는, 제1 가공영상에 인식된 제1 수산물이 등장하는 부분을 하이라이트 표시한 편집구매영상(30) 및 제1 가공영상을 통합하여 제1 인증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인증영상(31)이란, 소비자가 구입한 수산물의 구매 시기, 가공 환경 및 절차 등 소비자가 파악하기 어려운 수산물의 실제 유통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인증하기 위해 구매 및 가공 과정을 담은 영상을 통합한 영상을 의미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하나의 편집구매영상(3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공영상(20)을 통합하여 인증영상(31)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수산물 가공 과정의 세분화로 가공 영역 및 가공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경우에는 제1 수산물에 대한 가공영상(20)이 복수개일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하나의 편집구매영상(30)에 복수 개의 가공영상(20)이 통합되는 경우, 서버(200)는 소비자가 가공 과정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가공영상(20)을 시간 순으로 앞선 영상부터 순차적인 순서로 정렬하여 통합할 수 있다.
다시 도 4로 돌아와서, 다음으로 서버(200)는, 인증영상(31)으로 연결되는 식별코드(40)를 생성할 수 있다. (S115)
자세히,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인증영상(31)을 담은 수산물 콘텐츠 링크(예컨대, 홈페이지 URL 등)로 연결되는 식별코드(40)(예컨대, 소비자 단말(400)에서 용이하게 스캔이 가능한 QR코드 등)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인증영상(31)은 수산물 콘텐츠 링크 내 포함되어 자동 재생 및 상기 인증영상(31)을 보고자 하는 자의 소정의 입력에 의해 수동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서버(200)에 의해 생성된 식별코드(40)는, 소비자에게 수산물이 상품으로서 제공되었을 때 소비자 단말(400)이 용이하게 스캔이 가능한 소정의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식별코드(40)는 수산물 상품을 포장한 패키지, 수산물 상품에 동봉되는 별도의 안내문 및 수산물 상품을 수령하는 자의 정보가 포함된 송장 등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소비자 단말(400)은, 수령한 수산물 상품의 소정의 위치에 출력된 식별코드(40)를 스캔할 수 있다. (S117)
이때, 식별코드(40)를 스캔하는 행위는 시간적으로 서버(200)가 식별코드(40)를 생성한 이후라면 언제든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소비자 단말(400)은, 식별코드(40) 스캔 감지 시 서버(200)에 인증영상(31) 요청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예서 소비자 단말(400)은, 식별코드(40)를 스캔함으로써 인증영상(31)을 포함하는 수산물 콘텐츠 링크로 연결되어 해당 홈페이지 등에 접속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인증영상(31)을 소비자 단말(400)로 송신할 수 있다. (S119)
이에 따라, 소비자 단말(400)은, 주문한 수산물 상품에 대한 인증영상(31)을 출력할 수 있다. (S121)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에서 소비자 단말(400)에 인증영상(31)이 출력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소비자 단말(400)은, 주문한 수산물 상품을 포장한 패키지에 표시된 식별코드(40)를 스캔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인증영상(31)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인증영상(31) 출력은, 소비자에게 인증영상(31)이 제공되는 방식이라면 어떠한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은 식별코드(40)의 모양, 위치 및 소비자 단말(400)의 디스플레이 화면 등의 형식 자체에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술한 S117 내지 S121 단계에서는 식별코드(40) 스캔 및 인증영상(31) 출력을 수행하는 주체를 소비자 단말(400)로 기준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소비자 단말(400)은 상품에 포함된 식별코드(40)를 인식할 수 있다. (S701)
자세히, 실시예에서 소비자 단말(400)은, 소비자가 수산물 중개 플랫폼을 통해 구입 및 수령한 수산물 상품에 포함된 식별코드(40)를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소비자 단말(400)은, 소정의 이미지 센서(461)를 이용하여 QR코드 등의 고유일련번호 이미지를 스캔하거나, 소비자용 애플리케이션(411) 상에 소정의 번호를 입력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식별코드(40)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식별코드(40)의 인식 방법은 상술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소비자 단말(400)은, 식별코드(40)에 매칭된 콘텐츠 링크로 접속할 수 있다. (S703)
자세히, 소비자 단말(400)은, 수산물 상품에 포함된 식별코드(40)를 인식하여 상기 식별코드(40)에 매칭되며 인증영상을 포함하는 콘텐츠 링크로 접속할 수 있다.
이어서, 소비자 단말(400)은, 인증영상을 기초로 구매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705)
자세히, 소비자 단말(400)은, 인증영상에 포함된 구매영상(10) 또는 편집구매영상(30)에 나타난 수산물 상품에 대한 구매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영상정보는, 인증영상에 포함된 구매영상(10) 또는 편집구매영상(30)에 나타난 수산물 상품의 수산물정보(11), 실물 및 태그 이미지(12) 및 구매영상 저장 주소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소비자 단말(400)은, 인증영상을 기초로 구매영상 추출 경로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구매영상 저장 주소란, 소비자 단말(400)과 연동된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20)에서 구매영상이 저장되어있는 위치를 의미하며, 구매영상이 포함된 일시별 폴더명 및 어종별 폴더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 단말(400)은, 인증영상을 기초로 가공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705)
자세히, 소비자 단말(400)은, 인증영상에 포함된 가공영상(20)에 나타난 수산물 상품에 대한 가공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가공영상정보는, 인증영상에 포함된 가공영상(20)에 나타난 수산물 상품의 수산물정보(11), 실물 및 태그 이미지(12) 및 구매영상 추출 경로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이때, 구매영상 추출 경로란, 가공영상(20)에서 인식한 이미지 객체를 기초로 소비자 단말(400)과 연동된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구매영상을 추출한 경로로, 구매영상 저장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S705 및 S707 단계는, 단계 수행의 순서가 바뀌거나 동시에 행해질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소비자 단말(400)은, 구매영상정보 및 가공영상정보의 일치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S709)
자세히, 소비자 단말(400)은, 구매영상정보 및 가공영상정보 각각의 정보에 포함된 수산물정보(11), 실물 및 태그 이미지(12)가 일치하는지 비교함으로써 일치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소비자 단말(400)은 구매영상정보 및 가공영상정보에 포함되는 정보가 모두 일치하는 경우 상기 두 정보를 일치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소비자 단말(400)은 구매영상정보 및 가공영상정보에 포함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라도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두 정보를 불일치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수산물정보(11)에 있어서 구매영상정보 측은 어종이 “뽈락”, 일시가 “2021/11/01”이며, 가공영상정보 측은 어종이 “뽈락”, 일시가 “2021/11/02”인 경우, 어종은 일치하나 일시가 불일치하므로 상기 두 정보를 불일치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 단말(400)은, 가공영상정보 측 구매영상 추출 경로에 구매영상정보 측 구매영상 저장 주소가 포함되어있는지 확인하여 일치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소비자 단말(400)은, 상술한 S709 단계에서 일치 정보인 경우에 한해 식별코드에 매칭된 인증영상(31)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소비자 단말(400)은, 수산물 콘텐츠 링크 내 포함된 인증영상(31) 자동 재생하거나 상기 인증영상(31)을 보고자 하는 자의 소정의 입력에 의한 수동 재생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상에 인증영상(31)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은, 소비자가 구입한 수산물의 실제 유통 과정을 영상으로 인증함으로써 구매 및 가공 등의 유통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여 상품의 신선도 및 청결도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은, 수산물의 유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생산, 가공 및 운송정보의 오류 및 누락을 방지함으로써 수산물과 관련된 정보를 객관적으로 기록하여 거래 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은, 수산물의 품질검사를 대체할 수 있는 이력 인증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양질의 상품을 소비자에게 신속하게 배송하여 최종적으로 거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은, 수산물의 유통 경로를 축소함으로써 유통업자의 부당한 이익 취득을 방지하여 소비자가 부담하는 가격을 낮추고 신속한 배송을 실현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은, 수산물의 유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통 참여자의 소비자 기만 행위를 감소시킴으로써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수산물의 중량 및 부위 등과 관련한 품질을 보증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은, 상품으로 다루어지는 개별 수산물의 이미지를 인식하고 고유일련번호를 부여함으로써 개별 수산물과 관련된 정보를 일일히 대조하는 작업에 드는 시간을 감소시켜 유통과정에 포함된 업무의 효율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5)

  1. 수산물 중개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거래 대상 수산물을 구입한 소비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수산물 중개 플랫폼에서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을 구매하는 단계;
    상기 구매한 거래 대상 수산물 상에 부착된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한 식별코드에 매칭된 콘텐츠 링크로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링크를 통해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의 구매과정을 촬영한 구매영상과,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을 가공하는 가공영상을 포함하는 인증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의 구매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의 구매영상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영상을 촬영한 일시와 위치 및 상기 구매영상에서 촬영된 수산물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영상에 복수의 수산물이 촬영된 경우, 상기 복수의 수산물 중 거래 대상 수산물을 하이라이트한 편집구매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영상정보의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의 정보와, 상기 가공영상의 수산물의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
KR1020210176370A 2021-12-10 2021-12-10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 KR202300878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370A KR20230087811A (ko) 2021-12-10 2021-12-10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370A KR20230087811A (ko) 2021-12-10 2021-12-10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811A true KR20230087811A (ko) 2023-06-19

Family

ID=86988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370A KR20230087811A (ko) 2021-12-10 2021-12-10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781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778B1 (ko) 2020-03-05 2020-10-29 유병만 수산물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778B1 (ko) 2020-03-05 2020-10-29 유병만 수산물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8654B2 (en) Offline shopping guide method and apparatus
US10942967B1 (en) Verifying item attribut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US20190294862A1 (en) Facial Recognition Pet Identifying System
US11138420B2 (en) People stream analysis method, people stream analysis apparatus, and people stream analysis system
JP2021099852A (ja) 顔認識アプリケーションにおけるフォールスポジティブの最小化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4584033B (zh) 在线商店中的交互式服装搜索
CN108292425A (zh) 自动引导的图像捕获和展示
US20180232799A1 (en) Exhibition device, display control device and exhibition system
TW201823983A (zh) 移動物件的虛擬訊息建立方法、搜尋方法與應用系統
KR101620938B1 (ko) 의류 제품 판매 지원 장치와 이와 통신 가능한 의류 제품 정보 관리 서버, 의류 연관 제품 추천 서버 및 의류 제품 정보 제공 방법
CN105022773B (zh) 包括图像优先级的图像处理系统
CN105005982B (zh) 包括对象选择的图像处理
KR20200128927A (ko) O2O(On-line to Off-line) 기반 고객 맞춤 정보를 제안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40233854A1 (en) Real time object scanning using a mobile phone and cloud-based visual search engine
US9600720B1 (en) Using available data to assist in object recognition
US20160350826A1 (en) High-quality image marketplace
CN105183739B (zh) 图像处理方法
CN107148628A (zh) 用于基于特征进行认证的系统和方法
EP3605428A1 (en) Image-based transactio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method
WO2018193805A1 (ja) 取引システム及び取引方法
KR20230087811A (ko) 구매와 가공과정이 인증된 수산물을 구매하는 방법
KR101683830B1 (ko) 상점 위치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230087809A (ko)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87810A (ko)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KR20180036083A (ko) 허위매물 등록 방지 시스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