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7810A - Method for providing a certification video for the process of direct sales of seafood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a certification video for the process of direct sales of seafo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7810A
KR20230087810A KR1020210176369A KR20210176369A KR20230087810A KR 20230087810 A KR20230087810 A KR 20230087810A KR 1020210176369 A KR1020210176369 A KR 1020210176369A KR 20210176369 A KR20210176369 A KR 20210176369A KR 20230087810 A KR20230087810 A KR 20230087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urchase
product
aquatic
aquatic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3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봉현
Original Assignee
김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성 filed Critical 김우성
Priority to KR1020210176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7810A/en
Publication of KR20230087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81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은,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버에서 구매자 단말과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기초로 거래 대상 수산물의 인증영상을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구매영상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수산물을 가공하는 과정을 촬영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공영상을 상기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획득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에 대한 상기 구매영상과 상기 가공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구매영상 및 상기 가공영상을 포함하는 인증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 선택시 상기 생성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n authentication image for a direct sales process of aquatic products is an aquatic product mediation platform server that transmits an authentication image of a trade target aquatic product to a consumer terminal based on images obtained from a buyer terminal and a marine product processing monitoring device. As a method for providing, obtaining at least one purchase image for the trade target seafood from the purchaser terminal; Classifying and storing the acquired purchased images according to at least one category; Obtaining and storing at least one processing image of a process of processing the aquatic product from the aquatic product processing monitoring device; Extracting the purchase image and the processed image for the trade target marine product; generating an authentication image including the extracted purchase image and the processed image; and providing the generated authentication image when the trade target marine product is selected from the consumer terminal.

Description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METHOD FOR PROVIDING A CERTIFICATION VIDEO FOR THE PROCESS OF DIRECT SALES OF SEAFOOD}How to provide a certification video for direct sales of seafood {METHOD FOR PROVIDING A CERTIFICATION VIDEO FOR THE PROCESS OF DIRECT SALES OF SEAFOOD}

본 발명은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n authentication video for a seafood direct sales process.

농축수산물은 환경, 기후 조건, 획득 시기, 가공 조건 등 주변 환경에 의해 그 품질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같은 물품이라도 품질이나 영양 등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The quality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environment, climatic conditions, acquisition period, and processing conditions. Therefore, even the same product can have a lot of difference in quality or nutrition.

최근에는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건강 및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농축수산물의 품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바른 먹거리를 찾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standard of living has improved and interest in health and environment has increased, interest in the quality of agricultural, livestock and marine products has increased, and consumers seeking the right food are increasing.

이를 위해 안전한 먹거리를 위한 국가적 차원의 강력한 관리 및 기준이 제시되어 있지만, 그동안의 다양한 제도의 도입 및 운영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상품이 아닌 농축수산물에는 여전히 적용되는 데에 한계가 있어 소비자의 높아진 식품안전에 대한 기대에는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To this end, strong national management and standards for safe food have been proposed, but despite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various systems, there is still a limit to their application to agricultural, livestock and marine products, which are not general products, so consumers' increased food safety. is not living up to expectations.

통상적으로, 원산지 및 품질검사에 민감한 농축수산물의 경우 관련 정보를 기재한 상세설명 등을 제품 판매 페이지에 게재하는데, 이는 소비자가 직관적으로 농축수산물의 품질을 판단하도록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존재한다.Usually, in the case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country of origin and quality inspection, detailed descriptions with relevant information are posted on the product sales page,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making it difficult for consumers to intuitively judge the quality of agricultural, livestock and marine products.

또한, 구매/가공/포장/운송 등의 영상을 각각 획득한다고 하더라도, 해당 영상에 등장하는 농축수산물 관련 정보를 일일히 대조하여야 하고 동일 상품에 해당하는지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In addition, even if images such as purchase/processing/packaging/transportation are acquired, information related to agricultural, livestock and fishery products appearing in the images must be compared one by one, and it may be difficult to visually confirm whether the product corresponds to the same product. There is a need for countermeasures to solve the same problems.

KRKR 10-2171778 10-2171778 B1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농축수산물의 원산지 및 품질검사 등과 관련한 정보를 소비자가 직관적으로 판단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as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provides an authentication video for a direct sales process of aquatic products that allows consumers to intuitively determine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igin and quality inspection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다만,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은,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버에서 구매자 단말과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기초로 거래 대상 수산물의 인증영상을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구매영상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수산물을 가공하는 과정을 촬영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공영상을 상기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획득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에 대한 상기 구매영상과 상기 가공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구매영상 및 상기 가공영상을 포함하는 인증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 선택시 상기 생성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n authentication image for a direct sales process of aquatic products is an aquatic product mediation platform server that transmits an authentication image of a trade target aquatic product to a consumer terminal based on images obtained from a buyer terminal and a marine product processing monitoring device. As a method for providing, obtaining at least one purchase image for the trade target seafood from the purchaser terminal; Classifying and storing the acquired purchased images according to at least one category; Obtaining and storing at least one processing image of a process of processing the aquatic product from the aquatic product processing monitoring device; Extracting the purchase image and the processed image for the trade target marine product; generating an authentication image including the extracted purchase image and the processed image; and providing the generated authentication image when the trade target marine product is selected from the consumer terminal.

또한,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을 구매하는 과정을 촬영한 영상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cquiring of at least one purchase image of the aquatic product to be traded from the buyer terminal includes an image of a process of purchasing the aquatic product to be traded.

또한,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에 대한 상기 구매영상과 상기 가공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는, 저장된 구매영상들과 가공영상들 중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의 코드를 기초로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의 구매영상과 가공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in the step of extracting the purchase image and the processed image for the trade target marine product, the purchase image and the processed image of the trade target fishery product are selected based on the code of the trade target fishery product among the stored purchase images and processed images. It includes an extraction step.

또한, 상기 저장된 구매영상들과 가공영상들 중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의 코드를 기초로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의 구매영상과 가공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의 하나의 구매영상에 대하여 서로다른 가공과정에 대한 복수의 가공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extracting the purchase image and processed image of the transaction target fishery product based on the code of the transaction target fishery product among the stored purchase images and processed images, The method further includes extracting a plurality of processed images for the processing process.

또한, 상기 추출한 구매영상 및 상기 가공영상을 포함하는 인증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영상에서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이 복수인 경우, 상기 구매영상에서 상기 복수의 거래 대상 수산물 중 제1 수산물을 검출하고, 상기 구매영상에서 상기 제1 수산물을 강조하는 편집구매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가공영상 중 상기 제1 수산물을 가공하는 제1 가공영상과 상기 편집구매영상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수산물에 대한 제1 인증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generating an authentication image including the extracted purchase image and the processed image detects a first aquatic product among the plurality of aquatic products to be traded in the purchase imag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aquatic products to be traded in the purchased image. and generating an edited purchase image emphasizing the first aquatic product in the purchase image, including a first processed image for processing the first aquatic product and the edited purchase image among the obtained processed images. and generating a first authentication image for the marine produ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은, 소비자가 구입한 수산물의 실제 유통 과정을 영상으로 인증함으로써 구매 및 가공 등의 유통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여 상품의 신선도 및 청결도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n authentication video for a direct sales process of aquatic products by a consumer authenticates the actual distribution process of aquatic products purchased by a consumer as an image, thereby transparently disclosing the distribution process such as purchase and processing, thereby ensuring freshness of the product. And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consumer confidence in cleanlines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은, 수산물의 유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생산, 가공 및 운송정보의 오류 및 누락을 방지함으로써 수산물과 관련된 정보를 객관적으로 기록하여 거래 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providing an authentication image for the direct sales process of aquatic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errors and omissions in production, processing, and transportation information that may occur in the distribution process of aquatic products, thereby providing objective information related to aquatic products. This has the effect of reducing confusion that may occur during transac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은, 수산물의 품질검사 절차를 대체하는 인증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양질의 상품을 소비자에게 신속하게 배송함과 동시에 보다 직관적인 방법으로 소비자에게 수산물의 우수한 품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for providing an authentication video for the direct sales process of aquatic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authentication video that replaces the quality inspection procedure of aquatic products, so that high-quality products are quickly delivered to consumers and at the same time more intuitive. In this method, there is an effect of explaining the excellent quality of marine products to consumer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은, 수산물의 유통 경로를 축소함으로써 유통업자의 부당한 이익 취득을 방지하여 소비자가 부담하는 가격을 낮추고 신속한 배송을 실현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providing an authentication video for the direct sale of aquatic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distribution route of aquatic products to prevent distributors from acquiring unfair profits, lowers the price borne by consumers, and realizes prompt delivery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consumer satisfa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은, 수산물의 유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통 참여자의 소비자 기만 행위를 감소시킴으로써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수산물의 중량 및 부위 등과 관련한 품질을 보증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providing an authentication video for the direct sale of aquatic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consumer deception of distribution participants that may occur in the distribution process of aquatic products, thereby reducing the weight and parts of aquatic products provided to consumers. It has the effect of guaranteeing related quality.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수산물 중개 플랫폼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구매자 단말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소비자 단말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서 구매과정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세부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서 구매과정정보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서 인증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세부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서 소비자 단말에 인증영상이 출력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eafood mediation platform that provides an authentication video for a seafood direct sales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buyer's terminal for providing an authentication image for a seafood direct sales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consumer terminal for providing an authentication image for a seafood direct sales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afood mediation platform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an authentication video for a seafood direct sales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purchase process information in a method of providing an authentication video for a direct sale of seafood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purchase process information in a method of providing an authentication video for a seafood direct sales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n authentication image in a method of providing an authentication image for a direct sales process of aquatic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how an authentication image is output to a consumer terminal in a method of providing an authentication image for a direct sales process of aquatic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authentication image for a seafood direct sales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without limiting meaning. Also, 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at features or ele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elements may be added.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ize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ethod of providing an authentication image for a seafood direct sales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구매자 단말(100),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버(200), 수산물 가공처리 모니터링 장치(300) 및 소비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system for providing a seafood mediation platform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rchaser terminal 100, aquatic product mediation platform server 200, aquatic product processing monitoring device 300, and a consumer terminal 400. ) may be included.

이러한 도 1의 각 구성요소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구매자 단말(100),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버(200), 수산물 가공처리 모니터링 장치(300) 및 소비자 단말(400) 등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UWB(Ultra Wide Band)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의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Each component of FIG. 1 may b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nodes such as the purchaser terminal 100, the aquatic product mediation platform server 200, the aquatic product processing monitoring device 300, and the consumer terminal 400, such as Examples of networks include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network, the Internet,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Bluetooth network, UWB (Ultra Wide Band)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etc. It may include a network, but is not limited thereto.

- 구매자 단말(100) - Buyer terminal (10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서 구매자 단말(100)의 내부 블록도이다.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purchaser terminal 100 in a method for providing an authentication image for a seafood direct sales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매자란, 경매중개사로부터 수산물을 구매하여 해당 수산물을 구입하기 희망하는 소비자에게 수산물 중개 플랫폼을 통해 판매하는 판매자의 역할을 담당하는 자를 의미할 수 있다.Prior to the descrip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yer may mean a person who plays the role of a seller who purchases aquatic products from an auction broker and sells the aquatic products to consumers who wish to purchase the aquatic products through the aquatic products brokerage platform.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단말(100)은, 수산물 중개 플랫폼을 통해 판매하는 수산물의 일련의 유통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영상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구매자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purcha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a terminal installed with a purchaser application capable of easily producing an image for confirming a series of distribution processes of aquatic products sold through a seafood mediation platform.

이러한 구매자 단말(100)은, 스마트 글라스(smart glasses display)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와 같은 웨어러블 타입의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The purchaser terminal 100 may be a wearable type computing device such as a smart glasses display or a head mounted display (HM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서는, 구매자 단말(100)을 스마트 글라스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기준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스마트 폰(smart phone) 및 휴대폰 등의 모바일 타입 컴퓨팅 디바이스로 구현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Hereinafter, in the method of providing an authentication image for the direct sale of aquatic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rchaser terminal 100 is described based on a smart glasses type wearable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not limited to a smart phone (smart phone) Various embodiments may exist, such as being implemented in a mobile type computing device such as a phone) and a mobile phone.

구매자 단말(100)은, 착용되는 동안 사용자가 주변 물리적 공간을 볼 수 있도록 광을 투과하면서 사용자의 시야 상에 증강현실 콘텐츠(예컨대, 가상객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글라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을 포함할 수 있다.Buyer terminal 100, display system 170 including glass for display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eg, virtual object image) on the user's field of view while transmitting light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surrounding physical space while being worn can include

자세히, 실시예의 구매자 단말(100)은, 주변 물리적 공간으로부터의 광이 사용자의 눈에 도달하도록 투과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에 의해 표시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사용자의 눈을 향해 반사시키는 투명한 글래스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buyer terminal 100 of the embodiment is a transparent glass that reflects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displayed by the display system 170 toward the user's eyes while transmitting light from the surrounding physical space to reach the user's eyes. may include a display.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구매자 단말(100)의 구매자용 애플리케이션(111)은, 주변 물리적 공간에서 실제객체와 실제객체 내 태그 등을 이미지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태그에 대응되는 구매자의 시야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 the purchaser application 111 of the purchaser terminal 100 may recognize a real object and a tag within the real object as an image in a surrounding physical space, and the purchaser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tag. It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the field of view.

실시예에서 구매자용 애플리케이션(111)은, 상술된 구매자 단말(100)에 설치될 수 있고, 구매자 단말(100)에서 수행하는 각종 기능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purchaser application 111 may be installed in the above-described purchaser terminal 100 and may perform various functional operations performed in the purchaser terminal 100 .

또한, 구매자용 애플리케이션(111)은, 학습된 실제객체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실제객체의 위치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시야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urchaser application 111 may recognize the learned real object, and may control to display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the user's field of view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cognized real object.

자세히, 구매자 단말(100)은 구매자용 애플리케이션(111)을 포함하는 메모리(110), 프로세서 어셈블리(120), 통신 프로세서(130), 인터페이스부(140), 입력 시스템(150), 센서 시스템(160)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요소들은 구매자 단말(100)의 하우징 내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In detail, the purchaser terminal 100 includes a memory 110 including a purchaser application 111, a processor assembly 120, a communication processor 130, an interface unit 140, an input system 150, and a sensor system 160. ) and a display system 170 . In addition, the abov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to be included in the housing of the purchaser terminal 100 .

메모리(110)에는, 구매자용 애플리케이션(111)이 저장되며, 구매자용 애플리케이션(111)에는 증강현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증강현실 콘텐츠, 이미지 버퍼, 위치 엔진, 증강현실 콘텐츠 디스플레이 엔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메모리(110)는 증강현실 환경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110 stores a purchaser application 111, and the purchaser application 111 may include augmented reality content, an image buffer, a location engine,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display engine, and the like to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 That is, memory 110 may store commands and data that may be used to create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또한, 메모리(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와,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mory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and tempora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example, the memory may be various storage devices such as ROM, EPROM, flash drive, hard drive,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on the Internet.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증강현실 환경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110)에 저장된 구매자용 애플리케이션(111)의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or assembly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capable of executing commands of the buyer application 111 stored in the memory 110 in order to perform various tasks for generating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실시예에서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메모리의 구매자용 애플리케이션(111)을 통해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assembly 12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components through the buyer's application 111 in memory in order to provide a seafood mediation platform service.

예를 들어,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이미지 센서를 기반으로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실제객체를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실제객체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매칭한 증강현실 영상을 생성하고 표시하도록 구매자 단말(10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assembly 120 may recognize a real object from an image obtained based on an image sensor, and generate and display an augmented reality image match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the recognized real object to the purchaser terminal ( 100) can be controlled.

이러한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중앙처리장치(CPU) 및/또는 그래픽 프로세서 장치(GPU)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processor assembly 120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or a graphic processor unit (GPU). In addition, the processor assembly 120 include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controllers. ),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통신 프로세서(130)는, 다른 컴퓨팅 장치(예컨대, 수산물 가공처리 모니터링 장치(300))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프로세서(13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Communications processor 130 may include one or more devices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computing devices (eg, seafood processing monitoring device 300 ). Such a communication processor 130 may communicate through a wireless network.

자세히, 통신 프로세서(130)는, 수산물 중개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수산물의 유통과정을 인증하기 위한 영상관련 데이터를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버(200)와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In detail, the communication processor 130 may serve to transmit and receive image-related data for authenticating the distribution process of aquatic products sold on the aquatic products mediation platform to and from the aquatic products mediation platform server 200.

실시예에서 통신 프로세서(130)는, 네트워크 속도 반응형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와 관련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서버 시스템(500) 및/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와 송수신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processor 130 may transmit/receive communication data related to the network speed responsive seafood mediation platform service to/from the server system 500 and/or other computing devices.

이러한 통신 프로세서(13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5G NR(New Radio), WIFI) 또는 근거리 통신방식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장치를 통해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임의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is communication processor 130,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scheme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5G NR (New Radio), WIFI) Alternatively, data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relessly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n arbitrary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ed through a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센서 시스템(160)은, 이미지 센서, 위치 센서(IMU), 오디오 센서, 거리 센서, 근접 센서, 접촉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system 160 may include various sensors such as an image sensor, a position sensor (IMU), an audio sensor, a distance sensor, a proximity sensor, and a contact sensor.

상기 센서 시스템(160)을 포함하는 구매자 단말(100)은, 실시간 타임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일정간격 단위로 송출할 수 있다. The purchaser terminal 100 including the sensor system 160 may transmit a radio signal including real-time time information at regular intervals.

이미지 센서(161)는, 구매자 단말(100) 주위의 물리적 공간 및 구매하려는 수산물에 대한 이미지 및/또는 영상을 캡처할 수 있다. The image sensor 161 may capture images and/or videos of the physical space around the purchaser terminal 100 and the seafood to be purchased.

실시예에서 이미지 센서(161)는,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에 관련된 영상을 촬영하여 획득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image sensor 161 may capture and obtain an image related to the aquatic product mediation platform service.

또한, 실시예에서 이미지 센서(161)는, 구매자 단말(100)의 전면 또는/및 후면에 배치되어 배치된 방향측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구매자 단말(100)의 외부를 향해 배치된 카메라를 통해 작업 현장과 같은 물리적 공간을 촬영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image sensor 161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or / and rear of the purchaser terminal 100 to obtain an image by photographing the direction side of the purchaser terminal 100, and dispo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purchaser terminal 100. A physical space such as a work site can be filmed through a camera equipped with a camera.

예컨대, 상기 작업 현장은 수산물 경매장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물리적 공간을 촬영함으로써 구매하려는 수산물에 대한 이미지 및/또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ork site may be a seafood auction house, and images and/or videos of seafood to be purchased may be obtained by photographing such a physical space.

이러한 이미지 센서(161)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이미지 센서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The image sensor 161 may include an image sensor and an image processing module. In detail, the image sensor may process a still image or moving image obtained by an image sensor (eg, CMOS or CCD).

또한, 이미지 센서(161)는, 영상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해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서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sensor 161 may extract necessary information by processing a still image or moving image acquired through the image sensor using an image processing module, and transmit the extracted information to a processor.

이러한 이미지 센서(16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어셈블리일 수 있다. 카메라 어셈블리는, 가시광선 대역을 촬영하는 일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외선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 등의 특수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mage sensor 161 may be a camera assembly including one or more cameras. The camera assembly may include a general camera that captures a visible light band, and may further include a special camera such as an infrared camera and a stereo camera.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163)는, 구매자 단말(100)의 움직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자력계와 같은 다양한 위치 센서의 조합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통신 프로세서의 GPS와 같은 위치 통신 프로세서와 연동하여, 구매자 단말(100) 주변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공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163 may detect at least one of movement and acceleration of the purchaser terminal 100 . For example, it may be made of a combination of various position sensors such as accelerometer, gyroscope, and magnetometer. In addition, in conjunction with a location communication processor such as GPS of the communication processor, it is possible to recognize spatial information about the physical space around the purchaser terminal 100 .

또한, IMU(163)는, 검출된 위치 및 방향을 기초로 구매자의 시선 방향 및 머리 움직임을 검출 및 추적하는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Also, the IMU 163 may detect information for detecting and tracking the gaze direction and head movement of the buyer based on the detected location and direction.

또한, 일부 구현들에서, 구매자용 애플리케이션은 이러한 IMU(163) 및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여 물리적 공간 내의 구매자의 위치 및 방향을 결정하거나 물리적 공간 내의 특징 또는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Also, in some implementations, a shopper application may use this IMU 163 and image sensor to determine the shopper's location and orientation within the physical space or to recognize a feature or object within the physical space.

오디오 센서(165)는, 구매자 단말(100) 주변의 소리를 인식할 수 있다. The audio sensor 165 may recognize sounds around the purchaser terminal 100 .

자세히, 오디오 센서(165)는, 구매자 단말(100)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audio sensor 165 may include a microphone capable of detecting a user's voice input of the purchaser terminal 100 .

실시예에서 오디오 센서(165)는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전송할 커뮤니케이션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를 구매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audio sensor 165 may receive voice data of communication data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aquatic product mediation platform service from the buyer.

인터페이스부(140)는, 구매자 단말(100)를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자세히, 인터페이스부(140)는, 하나 이상의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과 호환되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40 may communicatively connect the purchaser terminal 100 with one or more other devices. In detail, the interface unit 140 may include wired and/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ompatible with one or more different communication protocols.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구매자 단말(100)은, 여러 입출력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다. Through this interface unit 140, the purchas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various input/output devices.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40)는, 헤드셋 포트나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출력장치와 연결되어,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40 may output audio by being connected to an audio output device such as a headset port or a speaker.

예시적으로 오디오 출력장치가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구매자 단말(100) 내부에 설치되는 실시예도 포함될 수 있다.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audio output device is exemplarily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140, an embodiment installed inside the purchaser terminal 100 may also be included.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4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전력 증폭기, RF 회로, 송수신기 및 기타 통신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40 connects a device equipped with a wired/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an identification module. Ports, audio I/O (Input/Output) ports, video I/O (Input/Output) ports, earphone ports, power amplifiers, RF circuits, transceivers and other communication circuits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입력 시스템(150)은 네트워크 속도 반응형 증강현실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어, 제스처, 음성 명령, 버튼의 작동 또는 다른 유형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The input system 150 may detect a user's input related to the network speed responsive augmented reality communication service (eg, gesture, voice command, button operation, or other type of input).

자세히, 입력 시스템(150)은 버튼, 터치 센서 및 사용자 모션 입력을 수신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input system 150 may include buttons, touch sensors, and image sensors that receive user motion inputs.

또한, 입력 시스템(150)은,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외부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put system 15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controller through the interface unit 140 to receive a user's input.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은, 구매자 단말(100) 주변 물리적 공간으로부터의 광이 사용자의 눈에 도달하도록 투과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에 의해 표시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사용자의 눈을 향해 반사시키는 투명한 글래스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system 170 is transparent to reflect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displayed by the display system 170 toward the user's eyes while transmitting the light from the physical space around the purchaser terminal 100 to reach the user's eyes. A glass display may be included.

이러한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은, 구매자 단말(100)을 착용한 사용자의 좌안에 대응되는 좌측 디스플레이와, 우안에 대응되는 우측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좌측 디스플레이와 우측 디스플레이는 시차에 오프셋을 둔 서로 다른 이미지를 증강현실 콘텐츠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3차원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다. This display system 170 may include a left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left eye of the user wearing the purchaser terminal 100 and a right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right eye, and the left display and the right display are offset from each other with a parallax. By outputting another image as augmented reality content, the user can recogniz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s a 3D image.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은,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the display system 170 may output a variety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aquatic product mediation platform service as a graphic image.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uch displays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 a 3D display, and an e-ink display.

이러한 구매자 단말(100)은, 작업 현장(실시예에서, 수산물 경매장)과 같은 물리적 공간에 위치한 구매자가 현장 작업을 수행하며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purchaser terminal 100 may be worn and used by a purchaser located in a physical space such as a work site (in the embodiment, a seafood auction house) while performing field work.

-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버(200) - Aquatic product mediation platform server (200)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버(200)(이하, 서버(200))는, 데이터 통신부(210), 데이터베이스(220), 제어부(230), 온라인 판매 서비스부(240) 및 영상 관리 서비스부(25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seafood mediation platform server 200 (hereinafter, the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communication unit 210, a database 220, a control unit 230, and an online sales service. A unit 240 and an image management service unit 250) may be included.

데이터 통신부(210)는, 구매자 단말(100),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300) 및/또는 소비자 단말(400) 등과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The data communication unit 210 may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for performing the aquatic product mediation platform service to the buyer terminal 100, the aquatic product processing monitoring device 300, and/or the consumer terminal 400 through a network.

실시예에서, 데이터 통신부(210)는, 구매자 단말(100)로부터 구매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촬영한 각종 영상 및 이미지, 상기 영상 및 이미지가 담고 있는 정보(예컨대, QR코드 이미지 인식에 따른 수산물의 고유일련번호, 수산물 관련 이력정보 등) 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the data communication unit 210, various videos and images taken from the purchaser terminal 100 using the purchaser terminal 100,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images and images (eg, aquatic products according to QR code image recognition) unique serial number, history information related to marine products, etc.) can be obtained through the network.

또한, 실시예에서 데이터 통신부(210)는,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300)로부터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300)를 이용하여 촬영한 각종 영상 및 이미지, 상기 영상 및 이미지가 담고 있는 정보 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data communication unit 210 transmits various videos and images taken using the aquatic product processing monitoring device 300 from the aquatic product processing monitoring device 300, and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images and images through a network. can be obtained

또한, 실시예에서 데이터 통신부(210)는, 소비자 단말(400)로부터 소비자 단말(400)을 이용하여 촬영한 각종 영상 및 이미지, 상기 영상 및 이미지가 담고 있는 정보 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the data communication unit 210 may acquire various videos and images captured using the consumer terminal 400 and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videos and images from the consumer terminal 400 through a network. .

상술한 구매자 단말(100),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300) 및 소비자 단말(400)이 서버(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각종 정보들은 후술되는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above-described purchaser terminal 100, aquatic product processing monitoring device 300, and consumer terminal 400 through the server 200 and a network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an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220)는, 구매자 단말(100),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300) 및/또는 소비자 단말(400) 등이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한 각종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22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database 220 stores various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purchaser terminal 100, the aquatic product processing monitoring device 300, and/or the consumer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on the database 220. can

또한, 데이터베이스(220)는,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tabase 220 may store and manage various data related to the aquatic product mediation platform service.

실시예로, 데이터베이스(220)는, 수산물 경매장 현장 이미지, 수산물 구매영상(10), 수산물 구매영상(10) 내 인식한 수산물 이미지, 수산물정보(11), 수산물 근접 이미지, 태그 이미지(12), 태그정보(13), 구매과정정보(14), 수산물 가공영상(20), 편집구매영상(30), 인증영상(31) 및 식별코드(40)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 및 관리되는 정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As an embodiment, the database 220 includes a scene image of a seafood auction site, a seafood purchase image 10, a seafood product image recognized in the aquatic product purchase image 10, aquatic product information 11, a close-up image of aquatic product, a tagged image 12, It is possible to store and manage tag information 13, purchase process information 14, seafood processed image 20, edited purchase image 30, authentication image 31, identification code 40, and the lik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formation stored and managed in the database 220 will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데이터베이스(220)는,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22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 This database 220 may be a variety of storage devices such as ROM, RAM, EPROM, flash drive, hard drive, etc., and may b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the storage function of the database 220 on the Internet. may be

또한, 제어부(230)는,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전술한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3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component described above to implement the aquatic product mediation platform service.

이러한 제어부(23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ler 230 include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controllers,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200)는, 온라인 판매 서비스부(240) 및 영상 관리 서비스부(250)을 이용하여 경매중개사로부터 구매한 수산물이 소비자에게 도달하는 과정을 투명하게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200 providing the aquatic product mediation platform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online sales service unit 240 and the video management service unit 250 to reach the consumer with aquatic products purchased from the auction broker. We can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necessary to provide a transparent process.

실시예로,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는, 온라인 수산물 판매 서비스 및 수산물 인증영상 관리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aquatic product mediation platform service may include an online aquatic product sales service and aquatic product certification image management service.

여기서, 온라인 수산물 판매 서비스란, 판매자(실시예에서, 구매자) 및 소비자 사이의 거래를 운영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Here, the online seafood sales service may be a service that provides a function for operating a transaction between a seller (in an embodiment, a buyer) and a consumer.

자세히, 온라인 수산물 판매 서비스는, 온라인 판매 서비스부(240)이 수행하는 서비스로서, 웹(Web)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상에서 판매자의 상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소비자에게 신선한 수산물의 직배송을 진행하기 위해 결제 전반을 수행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In detail, the online aquatic product sales service is a service performed by the online sales service unit 240, and the entire payment process is performed to directly deliver fresh aquatic products to consumers who want to purchase products from the seller on the web or application. It may be a service that performs

즉, 온라인 수산물 판매 모듈(240)은 상기 데이터 통신부(210)를 통해 수산물 거래와 관련하여 구매자 단말(100) 및 소비자 단말(400)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That is, the online seafood sales module 240 may receive input of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rom the buyer terminal 100 and the consumer terminal 400 in relation to seafood transactions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unit 210 .

이때, 입력될 수 있는 정보는 1) 거래되는 수산물의 종류, 가격, 중량 등과 같은 수산물 관련 정보, 2) 거래되는 수산물을 수령하는 소비자의 이름, 연락처, 주문 품목 및 수량, 수령 주소와 같은 소비자 관련 정보, 3) 거래되는 수산물의 배송 가능 지역, 배송 현황, 운송장번호 등 배송 관련 정보 등을 포함하나, 상술한 바에 한정하지 않고 수산물 거래와 관련한 정보라면 어떠한 정보든 포함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that can be entered is 1) aquatic product-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price, and weight of the aquatic product traded, 2) consumer-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contact information, order items and quantity of the consumer receiving the traded aquatic product, and the receiving address information, 3) including delivery-related information such as shipping area, delivery status, waybill number, etc. of traded fishery products, but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any information related to fishery product transactions may be included.

또한, 수산물 인증영상 관리 서비스란, 수산물 구매 및 가공 현장에 설치된 소정의 센서를 이용하여 수산물 인증영상(31)을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quatic product authentication image management service may be a service that provides a function of managing the aquatic product authentication image 31 using a predetermined sensor installed at a site where aquatic product is purchased and processed.

여기서 인증영상(31)이란,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수산물의 이력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당일 조업된 수산물임을 인증하기 위한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authentication image 31 may refer to an image for transparently disclosing the history of aquatic products that consumers want to purchase and authenticating that they are aquatic products operated on the same day.

자세히, 수산물 인증영상 관리 서비스는, 영상 관리 서비스부(250)이 수행하는 서비스로서, 수산물 구매 및 가공 현장으로부터 획득한 각종 영상 및 이미지의 카테고리별 분류, 저장, 매칭, 편집 및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인증영상(31) 생성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In detail, the aquatic product certification video management service is a service performed by the video management service unit 250, and classifies, stores, matches, edits, and finally provides to consumers various videos and images obtained from aquatic product purchase and processing sites by category. It may be a service that plays a role such as generating an authentication image 31 that is to be used.

이때, 수산물 구매 및 가공 현장으로부터 획득한 각종 영상 및 이미지의 카테고리별 분류 및 매칭 등을 위하여, 데이터베이스(220)에는 카테고리별 개별 각 폴더가 포함되어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classify and match by category of various videos and images obtained from the purchase and processing of fishery products, individual folders for each category may be included in the database 220.

다시 말해, 영상 관리 서비스부(250)은 상기 데이터 통신부(210)를 통해 수산물 영상과 관련하여 구매자 단말(100) 및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300)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아 카테고리별 분류 등 영상 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video management service unit 250 receives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purchaser terminal 100 and the aquatic product processing monitoring device 300 in relation to the aquatic product image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unit 210, and manages the image such as classification by category. It can perform various related functions.

또한, 수산물 콘텐츠 링크 서비스란, 거래 대상이 되는 수산물과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는 콘텐츠를, 소정의 조건(실시예에서, 구매자 단말(100) 및 소비자 단말(400)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코드(예컨대, QR코드 및/또는 바코드 등)를 센싱하는 경우 등)을 충족하는 디바이스로 링크를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quatic product content link service refers to content containing information related to aquatic products to be traded under predetermined conditions (in the embodiment, a code in which the buyer terminal 100 and the consumer terminal 400 are dispos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 For example, a case of sensing a QR code and/or a barcode, etc.) may be a service provided through a link to a device that satisfies the requirements.

상술한 서버(200)가 수행하는 서비스 전반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서 후술되는 실시예에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Details of the overall service performed by the above-described server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an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method of providing an authentication image for the direct sale of seafood products.

또한, 서버(200)는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200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recognition algorithm.

자세히, 서버(200)는 구매자 단말(100) 및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300)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20)에 구성된 카테고리별 개별 각 폴더에 자동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게 설치된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server 200 automatically classifies and stores a plurality of digital data photographed by the purchaser terminal 100 and the aquatic product processing monitoring device 300 in each folder for each category configured in the database 220, and image recognition installed to store them. Algorithms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은,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인식 처리로서 전처리, 형상추출, 및 출력의 과정으로 처리되되, SVM(Support Vector Machines)이라는 학습 알고리즘이 이용되고, 이미지 인식 처리에 있어 엣지 감지기가 이용되되, 이미지에 관한 식별에 있어,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 SIFT(Scal0Invariant Feature Transform), SURF(Speeded Up Robust Feature)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상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image recognition algorithm, as image recognition processing for the digital data, is processed in the process of preprocessing, shape extraction, and output, and a learning algorithm called SVM (Support Vector Machines) is used, and an edge detector is used in the image recognition processing. However, in the identification of the image, shape extraction may be performed using any one of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 (HOG),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IFT), and Speeded Up Robust Feature (SURF).

즉, 이와 같은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을 위해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복수 개의 폴더를 기저장할 수 있다.That is, in an embodiment for such an image recognition algorithm, the server 200 may pre-store a plurality of folders classified by category in the database 220 .

예컨대, 상기 폴더는 일시별 및/또는 수산물의 어종별 등으로 구분되어 데이터베이스(220)에 기저장되어있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folder may be pre-stored in the database 220 by dividing by date and time and/or by type of fish.

또한, 실시예로 서버(200)는, 구매 및 가공 현장으로부터 획득한 각종 영상 및 이미지들을 수산물 별로 분류 및 저장하기 위하여, 수산물의 견본 이미지 및 상기 견본 이미지에 합치하는 어종 등을 데이터베이스(220)에 기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the server 200 stores sample images of aquatic products and fish species matching the sample images in the database 220 in order to classify and store various images and images obtained from purchasing and processing sites for each aquatic product. can be stored.

위와 같이 기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딥러닝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구매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 정보를 분석 및 분류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 정보를 카테고리별 폴더에 저장할 수 있다.Based on the above pre-stored information, in the embodiment, the server 200 analyzes and classifies the digital data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urchaser terminal 100 based on a deep learning algorithm, and stores the digital data information in a folder for each category.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버(200)에서 상술된 바와 같은 기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상술된 기능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구매자 단말(100),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300) 및/또는 소비자 단말(400) 등에서 수행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server 200 can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al operation, bu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t least a part of the above-described functional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purchaser terminal 100 and the aquatic product processing monitoring device 300 ) and/or the consumer terminal 400, etc., various embodiments may be possible.

-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300) - Aquatic product processing monitoring device (300)

한편,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300)(이하, 모니터링 장치(300))는, 구매된 수산물을 가공하는 가공영역 및 가공자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Meanwhile, the aquatic product processing monitoring device 300 (hereinafter, the monitor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a terminal used for the purpose of monitoring a processing area and a processor for processing purchased aquatic products.

이때, 모니터링 장치(300)는, 복수의 수산물 가공 영역 및 가공자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에 편리하게 배치되는 단말로, 이동이 용이한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 또는 복수의 수산물 가공 영역마다 고정 설치된 CCTV 타입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onitoring device 300 is a terminal conveniently placed in an optimal position for monitoring a plurality of aquatic product processing areas and processors, and is a mobile type computing device that is easy to move or a CCTV type fixed to each of a plurality of aquatic product processing areas.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모니터링 장치(300)를 상기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에 기준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 the monitoring device 300 is described based on the mobile type computing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모바일 타입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 중 중복되는 내용은 웨어러블 타입 컴퓨팅 디바이스인 구매자 단말(100)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구매자 단말(100)과의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overlapping descriptions of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type computing device will be replaced with descriptions of the components of the purchaser terminal 100, which is a wearable type computing device. Only the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은, 상술된 모니터링 장치(300)에 설치될 수 있고, 모니터링 장치(300)에서 수행하는 각종 기능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monitoring application may be installed in the above-described monitoring device 300 and may perform various functional operations performed by the monitoring device 300 .

또한,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장치(300)는, 수산물 가공자가 태그가 부착된 수산물을 가공하는 모습 등을 촬영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monitoring device 300 may take a picture of a fishery product processor processing a fishery product to which a tag is attach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태그란, 경매중개사로부터 구매한 수산물 개별마다 구매자가 부착하는 일종의 고유일련번호(예컨대, 바코드 또는 QR코드 등)가 부여된 이름표로, 구매한 수산물을 타 수산물과 구분하고 상기 구매한 수산물에 대한 정보를 부여하기 위해 부착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ag is a name tag to which a unique serial number (e.g., barcode or QR code, etc.) is attached by a buyer to each aquatic product purchased from an auction broker, and distinguishes the purchased aquatic product from other aquatic products and the above It can be attached to give information about purchased seafoo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산물 가공이란, 구매자의 구매 이후 껍질 및 뼈 등을 분류하는 손질 및 손질된 수산물을 포장용 용기에 담는 패키징 등을 포함하는 행위로, 생선 등을 포함하는 수산물을 소비자가 취식하기 용이하도록 처리하는 과정 전반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quatic product processing is an act that includes trimming of skins and bones after purchase by a buyer and packaging of the trimmed aquatic product in a packaging container. It may mean the entire process of processing to make it easy to eat.

즉, 모니터링 장치(300)는, 태그가 부착된 수산물을 가공하는 영상 등과 같은 모니터링 영상을 획득하여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monitoring device 300 may obtain a monitoring image, such as an image of processing a fishery product to which a tag is attached, and provide the obtained monitoring image to the server 200 .

- 소비자 단말(400) - Consumer Terminal (40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서 소비자 단말(400)의 내부 블록도이다.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consumer terminal 400 in a method for providing an authentication image for a seafood direct sales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단말(400)은, 소비자용 애플리케이션(411)이 설치된 모바일 타입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a consumer terminal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 mobile type computing device in which a consumer application 411 is installed.

상기 모바일 타입 컴퓨팅 디바이스에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태블릿 PC(tablet PC)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mobile type computing device may include, for example,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digital broadcast terminal,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a tablet PC.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서는, 소비자 단말(400)을 스마트 폰 타입의 모바일 타입 컴퓨팅 디바이스에 기준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Hereinafter, in the method of providing an authentication image for the direct sales of sea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umer terminal 400 is described based on a smart phone type mobile type computing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implementations Examples may exist.

또한, 모바일 타입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 중 중복되는 내용은 웨어러블 타입 컴퓨팅 디바이스인 구매자 단말(100)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웨어러블 타입 컴퓨팅 디바이스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In addition, overlapping descriptions of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type computing device will be replaced with descriptions of the components of the purchaser terminal 100, which is a wearable type computing device. mainly explained.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소비자 단말(400)은, 메모리(410), 프로세서 어셈블리(420), 통신 모듈(430), 인터페이스 모듈(440), 입력 시스템(450), 센서 시스템(460)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4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소비자 단말(400)의 하우징 내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consumer terminal 400 according to an exemplary implementation includes a memory 410, a processor assembly 420, a communication module 430, an interface module 440, an input system 450, a sensor system 460, and a display system ( 470) may be included. These components may be configured to be included within the housing of the consumer terminal 400 .

이러한 소비자 단말(400)의 하우징 내에는 상기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상에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mponents may be disposed within the housing of the consumer terminal 400, and 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a touch sensor on a display configured to receive a user touch input.

자세히, 디스플레이 시스템(470)은,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471)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473)를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display system 470 may include a display 471 that outputs an image and a touch sensor 473 that detects a user's touch input.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소비자 단말(4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소비자 단말(400)과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by forming a mutual layer structure or integrally with the touch sensor. Such a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providing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consumer terminal 400 and the user, and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consumer terminal 400 and the user.

또한, 센서 시스템(460)은, 이미지 센서(461)를 포함하며, 예시적으로 이미지 센서는 소비자 단말(400)의 하우징에 일측 면과 타측 면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or system 460 includes an image sensor 461, and the image sensors may be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of the consumer terminal 400 by way of example.

-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 Aquatic product mediation platform service system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서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aquatic product mediation platform service system in a method of providing an authentication video for a direct sales process of aquatic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구매자 단말(100)은 수산물 구매영상(10)을 촬영하고 태그정보(13)를 획득할 수 있다. (S101)Referring to FIG. 4 , the purchaser terminal 100 may capture a purchase image 10 of aquatic product and obtain tag information 13 . (S101)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매자란,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여 경매중개사나 어부로부터 구매한 수산물을 소비자에게 판매하려는 자를 의미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yer may mean a person who intends to sell aquatic products purchased from an auction broker or a fisherman to consumers using the aquatic product mediation platform service.

또한, 구매자는,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비스에 직접 고용되어 플랫폼을 통해 판매되는 수산물을 구매하는 직원을 의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uyer may refer to an employee who is directly employed by the aquatic product mediation platform service and purchases aquatic products sold through the platform.

그리고 구매영상(10)이란, 구매자 단말(100)에서 수산물을 구매하는 과정을 촬영한 영상일 수 있다. 자세히, 구매자 단말(100)을 이용(실시예에서, 착용)하는 구매자가 경매중개사로부터 수산물을 구매하는 당시의 상황을 담은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rchase image 10 may be an image of a process of purchasing marine products in the purchaser terminal 100 . In detail, it may mean an image containing a situation at the time when a buyer using (in an embodiment, wearing) the buyer terminal 100 purchases aquatic products from an auction broker.

예컨대, 구매영상(10)은, 수산물 경매장의 현장 이미지 및 그 현장으로부터 획득(실시예에서, 구매)된 수산물의 이미지, 획득된 수산물이 포장되는 이미지 및 포장된 수산물이 가공 전까지 운반되는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urchase image 10 includes an on-site image of an aquatic product auction house, an image of aquatic products acquired (in the embodiment, purchased) from the site, an image of the acquired aquatic product being packaged, and an image of the packaged aquatic product being transported until processing. can include

또한, 구매자 단말(100)이 획득한 수산물 구매영상(10)은, 일시 및 어종에 따라 구분되어 데이터베이스(220)에 기저장된 일시별 및/또는 수산물의 어종별 등으로 구분된 폴더로 분류 및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rchase image 10 of aquatic products obtained by the purchaser terminal 100 is classified and stored in folders classified according to date and time and/or fish species of aquatic products pre-stored in the database 220 according to date and time and fish species. It can b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서 구매과정정보(14)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세부흐름도이다.5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purchase process information 14 in a method of providing an authentication video for a direct sales process of aquatic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구매자 단말(100)은 수산물 구매영상(10) 내 수산물을 인식할 수 있다. (S203)Referring to FIG. 5 , in the embodiment, the purchaser terminal 100 may recognize aquatic product in the aquatic product purchase image 10 . (S203)

여기서 수산물은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수산물을 뜻하며, 또한 수산물 인식은, 구매자 단말(100)을 이용하는 구매자의 수동 조작 및 구매자 단말(100)의 자동 인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aquatic product refers to the aquatic product that the purchaser wants to purchase, and the aquatic product recognition may be performed by manual manipulation of the buyer using the purchaser terminal 100 and automatic recognition of the purchaser terminal 100 .

구매자 단말(100)이 자동 인식을 수행하는 경우, 서버(200)에는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이 더 포함될 수 있다.When the purchaser terminal 100 performs automatic recognition, the server 200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recognition algorithm.

또한, 실시예에서 구매자 단말(100)은 수산물정보(11)를 획득할 수 있다. (S205)Also, in the embodiment, the purchaser terminal 100 may acquire marine product information 11. (S205)

자세히, 구매자 단말(100)은, 인식한 수산물에 대한 어종(魚種: 물고기의 종류) 및 마릿수 등을 파악한 수산물정보(11)를 획득할 수 있다.In detail, the purchaser terminal 100 may acquire aquatic product information 11 identifying the fish species (type of fish) and the number of fish for the recognized aquatic produ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정보(11)는, 어종 및 마릿수와 같이 이미지 상에서 획득할 수 있는 정보뿐만 아니라, 구매자가 수산물 구매영상(10)을 촬영한 일시(예컨대, 년/월/일/시/분/초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quatic product information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ot only information that can be obtained from an image, such as the species of fish and the number of fish, but also the date and time (eg, year/month/day/ hours/minutes/seconds, etc.)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구매자는 인식한 수산물을 실구매한 뒤 구매한 수산물에 태그를 부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yer can attach a tag to the purchased fishery product after actually purchasing the recognized fishery product.

태그는 구매자 및 구매자 단말(100)이 인지하기 용이한 위치라면 상기 수산물 어디에도 부착될 수 있으며, 구매한 수산물 개별(예컨대, 광어 한 마리당) 또는 패키지(예컨대, 새우 10마리가 든 한 패키지당)에 부착될 수 있다.The tag may be attached anywhere on the aquatic product as long as it is easily recognizable by the purchaser and the purchaser terminal 100, and may be attached to the purchased aquatic product individually (eg, per flounder) or package (eg, per package containing 10 shrimp). can be attached

이어서, 구매자 단말(100)은, 구매한 수산물에 부착된 태그 이미지(12)를 인식할 수 있다. (S207)Subsequently, the purchaser terminal 100 may recognize the tag image 12 attached to the purchased seafood. (S207)

자세히, 구매자 단말(100)은, 구매한 수산물 개별에 부착된 태그의 고유일련번호 부분을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다.In detail, the purchaser terminal 100 may recognize the unique serial number portion of the tag attached to each purchased marine product as an image.

다시 말해, 태그 이미지(12)란, 구매한 수산물 개별에 부착된 태그의 고유일련번호 부분의 이미지를 뜻하며, 구매한 수산물 개별은 각각 상이한 고유일련번호를 부여받아 그에 따라 각각 상이한 고유의 태그 이미지(12)를 가질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tag image 12 refers to the image of the unique serial number portion of the tag attached to each purchased aquatic product, and each purchased aquatic product is given a different unique serial number, and accordingly, each different unique tag image ( 12) can have.

이로 인해, 상술한 구매영상(10)에는 수산물 경매장의 현장 이미지, 현장으로부터 획득된 수산물 이미지 및 수산물 개별에 부착된 태그의 태그 이미지(12)가 더 포함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above-described purchase image 10 may further include an on-site image of a seafood auction site, an image of aquatic product acquired from the site, and a tag image 12 of a tag attached to an individual aquatic product.

또한, 구매영상(10)의 촬영은 시간적으로 구매자 단말(100)이 태그 이미지(12)를 인식한 이후라면 언제든 종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oting of the purchase image 10 may be terminated at any time after the purchaser terminal 100 recognizes the tag image 12 .

다시 돌아와서, 구매자 단말(100)은, 태그 이미지(12)에 수산물정보(11)를 매칭하여 태그정보(13)를 획득할 수 있다. (S209)Returning again, the purchaser terminal 100 may obtain the tag information 13 by matching the fishery product information 11 to the tag image 12 . (S209)

여기서 태그정보(13)란, 수산물 개별로 인식한 고유의 태그 이미지(12)에 S205 단계에서 기획득한 수산물정보(11)를 매칭한 정보일 수 있다.Here, the tag information 13 may be information obtained by matching the aquatic product information 11 obtained in step S205 to the unique tag image 12 recognized as an individual aquatic product.

또한, 구매자 단말(100)이 획득한 태그정보(13)는, 구매영상(10)과 마찬가지로 일시 및 어종에 따라 구분되어 데이터베이스(220)에 기저장된 일시별 및/또는 수산물의 어종별 등으로 구분된 폴더로 분류 및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g information 13 acquired by the purchaser terminal 100 is divided according to the date and time and fish species, as in the purchase image 10, and divided into the date and/or fish species of marine products pre-stored in the database 220. can be classified and saved in a folder.

또한, 한 마리의 개별 수산물 당 하나의 태그정보(13)가 매칭되나, 상술한 바와 같이 태그는 복수의 동일 어종이 묶인 패키지에 부착될 수도 있으므로, 동일 종류의 복수개의 수산물이 하나의 태그정보(13)에 매칭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tag information 13 is matched for each individual fish product, bu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ag may be attached to a package in which a plurality of the same fish species are bundled, a plurality of fish products of the same kind are combined with one tag information ( 13) can be matched.

이어서, 구매자 단말(100)은, 태그정보(13)를 매칭하고 구매과정정보(14)를 생성할 수 있다. (S211)Subsequently, the purchaser terminal 100 may match the tag information 13 and generate purchase process information 14 . (S211)

자세히, 구매자 단말(100)은, 획득한 태그정보(13)를 해당 구매영상(10)과 매칭한 정보인 구매과정정보(14)를 생성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urchaser terminal 100 may generate purchase process information 14 that is information obtained by matching the acquired tag information 13 with the corresponding purchase image 10 .

여기서, 구매과정정보(14)란,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수산물 각각의 수산물정보(11) 및 태그 이미지(12)를 포함하는 태그정보(13)를, 해당 수산물을 촬영한 구매영상(10)에 매칭한 정보일 수 있다.Here, the purchasing process information 14 is the tag information 13 including the aquatic product information 11 and the tag image 12 of each aquatic product that the buyer wants to purchase, in the purchase image 10 photographed of the aquatic product. It may be matching informa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서 구매과정정보(14)를 도식화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purchase process information 14 in a method of providing an authentication video for a seafood direct sales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구매과정정보(14)는, 구매영상(10)으로부터 인식된 수산물의 마릿수에 상응하는 개수만큼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in the embodiment, purchase process information 14 may be generated and stored by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fish products recognized from the purchase image 10 .

이때, 구매영상(10) 하나 당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정보(13)가 매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과정정보(14)가 생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t least one purchase process information 14 matched with at least one tag information 13 per purchase image 10 may be generated.

예컨대, “2021년 11월 1일 오전 5시”에 촬영한 하나의 구매영상(10)에서, 어종이 “뽈락”이며 마릿수가 “4마리”인 구매과정정보(14)는 수산물 각각 하나씩 총 4개가 생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one purchase video 10 filmed at “5:00 am on November 1, 2021”, the purchase process information 14 in which the fish species is “pop” and the number of fish is “4” is a total of 4 fish, one for each aquatic product. Dogs can spawn.

고유일련번호 “1234501”에 해당하는 뽈락만을 예시로 들어 자세히 설명하자면, 해당 뽈락에 “어종: 뽈락, 일시: 2021/11/1 05:00, 마릿수: 4마리”와 같은 수산물정보(11)와, 고유일련번호 “1234501”에 해당하는 태그 이미지(12)를 포함하는 태그정보(13)에 “구매영상1”에 해당하는 구매영상(10)이 매칭된 구매과정정보(14)가 생성될 수 있다.To explain in detail, taking only the pollock corresponding to the unique serial number “1234501” as an example, the fish product information (11) such as “fish species: pollock, date: 2021/11/1 05:00, number of fish: 4” , Purchase process information 14 in which the purchase image 10 corresponding to “purchase image 1” is matched to the tag information 13 including the tag image 12 corresponding to the unique serial number “1234501” can be generated. there is.

즉, 구매자 단말(100)은, 구매영상(10) 하나 당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정보(13)를 매칭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과정정보(14)를 생성할 수 있다.That is, the purchaser terminal 100 may generate at least one purchase process information 14 by matching at least one tag information 13 per purchase image 10 .

다시 도 4로 돌아와서, 구매자 단말(100)은 상기 생성된 구매과정정보(14)를 저장(S103)한 뒤 상기 구매과정정보(14)를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S105)Returning to FIG. 4 , the purchaser terminal 100 may transmit the purchase process information 14 to the server 200 after storing the generated purchase process information 14 (S103). (S105)

복수의 구매과정정보(14)를 수신한 서버(200)는, 복수의 구매과정정보(14)를 수산물 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S107)The server 200 receiving the plurality of purchase process information 14 may classify and store the plurality of purchase process information 14 for each marine product. (S107)

자세히, 서버(200)는, 복수의 구매과정정보(14)에 포함된 구매영상(10)으로부터 추출한 수산물의 실물 이미지를 바탕으로 복수의 구매과정정보(14)를 수산물 별로 분류할 수 있다. In detail, the server 200 may classify the plurality of purchase process information 14 for each aquatic product based on the actual image of the aquatic product extracted from the purchase image 10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purchase process information 14 .

이때, 서버(200) 파트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20)에는 수산물의 어종을 구분하기 위한 수산물의 견본 이미지 및 상기 견본 이미지에 따른 어종과, 구분된 수산물의 실물 이미지를 분류 및 저장할 어종별 폴더가 기존재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in the server 200 part, the database 220 of the server 200 includes sample images of aquatic products for classifying fish species of aquatic products, fish species according to the sample images, and actual images of classified aquatic products. Folders for each type of fish to be classified and stored may already exist.

즉, 서버(200)는 딥러닝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구매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구매과정정보(14)에 포함된 수산물의 실물 이미지를 분석하고, 기저장된 수산물의 견본 이미지와 비교하여 구매과정정보(14)에 포함된 수산물의 어종을 추정할 수 있다.That is, the server 200 analyzes the actual image of the aquatic product included in the purchasing process information 14 received from the purchaser terminal 100 based on the deep learning algorithm, and compares the purchased process information with a pre-stored sample image of the aquatic product. The fish species of the aquatic products included in (14) can be estimated.

또한, 서버(200)는, 분류된 구매과정정보(14)를 데이터베이스(220)에 포함된 어종별 폴더에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200 may store the classified purchase process information 14 in a folder by fish type included in the database 220 .

한편, 모니터링 장치(300)는 태그가 부착된 수산물의 가공영상(20)을 촬영할 수 있다. (S109)On the other hand, the monitoring device 300 may take a processed image 20 of the tagged marine product. (S109)

여기서, 모니터링 장치(300)는, 수산물 가공 영역의 분리 여부 및 수산물 가공에 참여하는 인원에 따라 단수 혹은 복수일 수 있다.Here, the number of monitoring devices 300 may be singular or plural,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aquatic product processing area is separated and the number of persons participating in processing the aquatic product.

즉, 실시예에서 가공영상(20)이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장치(300)가 촬영하는 영상으로써 가공자가 수산물을 가공하는 당시의 상황을 담은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That is, in the embodiment, the processed image 20 is an image captured by at least one monitoring device 300 and may mean an image containing a situation at the time when the processor processes the seafood.

예컨대, 가공영상(20)은, 수산물 가공장의 현장 이미지 및 그 현장에서 가공되는 수산물의 근접 이미지, 수산물 가공자 이미지 및 수산물에 부착된 태그의 태그 이미지(12)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ed image 20 may include at least one image of a field image of a seafood processing plant, a close-up image of aquatic products being processed at the site, an image of a seafood processor, and a tag image 12 of a tag attached to the aquatic product. there is.

이때, 가공자는, 가공 대상이 되는 상기 수산물의 근접 이미지 및 상기 수산물에 부착된 태그의 태그 이미지(12)를 정확히 포함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산물을 모니터링 장치(300)와 근접한 곳에 위치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may place the aquatic product close to the monitoring device 300 in order to accurately include the close-up image of the aquatic product to be processed and the tag image 12 of the tag attached to the aquatic product.

즉, 모니터링 장치(300)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300)와 근접한 곳에 위치한 제1 수산물의 태그(예컨대, 바코드 또는 QR코드 등과 같은 고유일련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제1 수산물의 태그정보(13)를 획득할 수 있다. That is, the monitoring device 300 recognizes the tag (eg, a unique serial number such as a barcode or QR code) of the first aquatic product located in close proximity to the monitoring device 300, and the tag information 13 of the first aquatic product can be obtained.

이때, 상기 제1 수산물의 태그정보(13)는 태그 이미지(12) 및 수산물정보(11)를 포함하므로, 가공자는 제1 수산물의 수산물정보(11)와 가공 대상인 수산물의 실수량 및 어종을 비교하여 검수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tag information 13 of the first aquatic product includes the tag image 12 and aquatic product information 11, the processor compares the aquatic product information 11 of the first aquatic product with the real amount and fish species of the aquatic product to be processed. can be inspected.

또한, 가공자는, 태그가 부착된 수산물의 마릿수 및 패키지에 비례하는 수만큼 상기 수산물을 모니터링 장치(300)에 인식시키는 행위를 반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repeat the act of recognizing the aquatic products to the monitoring device 300 as many times as the number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agged aquatic products and packages.

따라서, 모니터링 장치(300)는, 상기 가공자의 행위 반복 횟수에 비례하는 복수 개의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가공영상(20)을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nitoring device 300 may obtain a plurality of processed images 20 including a plurality of tag information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action of the processor.

또한, S109 단계는 구매자로부터 수산물이 구매되고 태그가 부착된 뒤에 수행될 수 있는 단계이므로, S101 단계 및 S111 단계 사이라면 모니터링 장치(300)에 의해 언제든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step S109 is a step that can be performed after purchasing aquatic product from a buyer and attaching a tag, so it can be performed at any time by the monitoring device 300 between steps S101 and S111.

이어서, 모니터링 장치(300)는, 복수 개의 가공영상(20)을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S111)Subsequently, the monitoring device 300 may transmit a plurality of processed images 20 to the server 200 . (S111)

즉, 모니터링 장치(300)는, 수산물의 신선도, 수산물 가공 영역 및 가공자의 청결도, 수산물 가공자의 비정상적 행위 등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모니터링 영상을 획득하여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monitoring device 300 may acquire and provide monitoring images to the server 200 to easily observe the freshness of the seafood, the cleanliness of the aquatic product processing area and processor, and the abnormal behavior of the aquatic product processor.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300)에 의해 특정 부위 바꿔치기 및 중량 속임 등 가공자가 범할 수 있는 비정상적인 행위를 검출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수산물의 품질에 대한 신뢰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quatic product processing monitoring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bnormal actions that a processor may commit, such as changing a specific part and cheating in weight,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quality of aquatic products provided to consumer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300)에 의해 수산물 가공영역 및 가공자의 위생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수산물의 청결도를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grasping the hygiene level of the aquatic product processing area and the processor by the aquatic product processing monitoring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ensuring the cleanliness of the aquatic product provided to consumer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300)에 의해 수산물에 부착된 태그 이미지(12)를 스캔함으로써, 해당 수산물의 당일 구매 여부를 확인하고 수산물의 신선도를 인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scanning the tag image 12 attached to the aquatic product by the aquatic product processing monitor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confirming whether the aquatic product is purchased on the same day and authenticating the freshness of the aquatic product. there is.

다음으로, 복수 개의 가공영상(20)을 수신한 서버(200)는, 수산물 구매영상(10) 및 가공영상(20)을 자동으로 편집하여 인증영상(31)을 생성할 수 있다. (S113)Next, the server 200 receiving the plurality of processed images 20 may generate an authentication image 31 by automatically editing the seafood purchase image 10 and the processed image 20 . (S113)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서 인증영상(31)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세부흐름도이다.7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n authentication image 31 in a method of providing an authentication image for a seafood direct sales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제1 가공영상의 제1 수산물을 인식할 수 있다. (S301)Referring to FIG. 7 , the server 200 may recognize a first aquatic product of a first processed image. (S301)

자세히, 서버(200)는 제1 가공영상에 포함된 제1 수산물의 근접 이미지 및 상기 수산물에 부착된 태그의 태그 이미지(12)를 토대로 제1 가공영상의 제1 수산물을 인식할 수 있다.In detail, the server 200 may recognize the first aquatic product of the first processed image based on the close-up image of the first aquatic product included in the first processed image and the tag image 12 of the tag attached to the aquatic product.

이어서, 서버(200)는, 수산물 구매영상(10) 내 제1 수산물을 검색할 수 있다. (S303)Subsequently, the server 200 may search for the first aquatic product in the aquatic product purchase image 10 . (S303)

자세히,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수산물 구매영상(10) 내에 인식된 복수의 수산물 근접 이미지 및 태그 이미지(12)와 제1 가공영상에서 인식된 제1 수산물의 근접 이미지 및 태그 이미지(12)를 대조하여 검색할 수 있다.In detail, the server 200 includes a plurality of aquatic product close-up images and tag images 12 recognized in the aquatic product purchase image 10 stored in the database 220 and a close-up image and tag of the first aquatic product recognized in the first processed image. The image 12 can be collated and searched.

또한, 서버(200)는, 제1 수산물과 매칭되는 이미지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S305) In addition, the server 200 may detect an image object matching the first marine product. (S305)

자세히,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카테고리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모든 수산물 구매영상(10) 내에서 제1 수산물과 매칭되는 이미지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In detail, the server 200 may detect an image object matching the first aquatic product in all aquatic product purchase images 10 classifi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220 by category.

여기서 서버(200)는, 구매영상(10) 및 태그정보(13)를 포함하는 구매과정정보(14)를 토대로 제1 수산물의 수산물정보(11)도 획득할 수 있으므로, 수산물 구매영상(10) 내에서 제1 수산물과 매칭되는 이미지 객체를 검출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제1 수산물과 매칭되는 태그정보(13)까지 검출할 수 있다.Here, since the server 200 can also acquire the aquatic product information 11 of the first aquatic product based on the purchase process information 14 including the purchase image 10 and the tag information 13, the aquatic product purchase image 10 In addition to detecting an image object matching the first aquatic product, it is possible to detect even the tag information 13 matching the first aquatic product.

이어서, 서버(200)는, 상기 검출된 이미지 객체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편집구매영상(30)을 생성할 수 있다. (S307)Subsequently, the server 200 may generate an edited purchase image 30 in which a highlight is displayed on the detected image object. (S307)

자세히,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수산물 구매영상(10) 내에서 제1 수산물과 매칭되어 검출된 상기 이미지 객체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편집구매영상(30)을 생성할 수 있다. In detail, in the embodiment, the server 200 may generate an edited purchase image 30 in which highlights are displayed on the image object detected by matching with the first aquatic product in the aquatic product purchase image 10 .

다시 말해, 실시예에서 편집구매영상(30)이란,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구매영상(10)에서 제1 수산물이 출연한 부분을 강조하여 편집한 영상을 의미한다.In other words, in the embodiment, the edited purchase image 30 refers to an image edited by emphasizing the portion where the first marine product appeared in the purchase image 10 stored in the database 220.

예컨대, 편집구매영상(30)에서 하이라이트는 소비자가 구매하게 되는 수산물의 테두리를 형광색 등과 같이 색상으로 강조하는 방법, 화살표로 가리키는 방법, 상기 검출된 이미지 객체가 등장하는 영상 부분만을 남기고 나머지 영상 부분을 잘라내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edited purchase image 30, the highlight is a method of emphasizing the edge of aquatic products to be purchased by a consumer with a color such as a fluorescent color, a method of pointing with an arrow, leaving only the image portion where the detected image object appears, and the remaining image portion. It may be displayed using a cutting method or the like.

편집구매영상(30)에서 하이라이트를 표시하는 방법은, 소비자가 구매하게 되는 수산물이 구매영상(10) 내에서 어디에 등장하는지 용이하게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느 방법도 사용될 수 있으며, 설명한 예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s a method of displaying highlights in the edited purchase image 30, any method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easily show where the aquatic product that the consumer will purchase appears in the purchase image 10, and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xample. It is not.

또한, 서버(200)는, 하나의 수산물 구매영상(10)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집구매영상(30)을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200 may generate at least one edited purchase image 30 from one aquatic product purchase image 10 .

예컨대, 하나의 수산물 구매영상(10)에서 해당 구매영상(10)에 등장하는 수산물이 복수(예컨대, 제1, 제2, … 제n)라면, 그 개수에 비례하는 복수의 편집구매영상(30)을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f a plurality of aquatic products appearing in the purchase image 10 in one aquatic product purchase image 10 (eg, the first, second, ... nth), a plurality of edited purchase images 30 proportional to the number ) can be created.

이어서, 서버(200)는, 편집구매영상(30) 및 제1 가공영상을 통합하여 제1 인증영상(31)을 생성할 수 있다. (S309)Subsequently, the server 200 may generate a first authentication image 31 by integrating the edited purchase image 30 and the first processed image. (S309)

자세히, 서버(200)는, 제1 가공영상에 인식된 제1 수산물이 등장하는 부분을 하이라이트 표시한 편집구매영상(30) 및 제1 가공영상을 통합하여 제1 인증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In detail, the server 200 may generate a first authentication image by integrating the edited purchase image 30 in which a portion in which the first aquatic product recognized in the first processed image appears is highlighted, and the first processed image.

실시예에서 인증영상(31)이란, 소비자가 구입한 수산물의 구매 시기, 가공 환경 및 절차 등 소비자가 파악하기 어려운 수산물의 실제 유통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인증하기 위해 구매 및 가공 과정을 담은 영상을 통합한 영상을 의미한다. In the embodiment, the authentication video 31 is a video containing the purchase and processing process in order to transparently disclose and authenticate the actual distribution process of aquatic products that are difficult for consumers to grasp, such as the purchase time, processing environment and procedure of the aquatic product purchased by the consumer. This means integrated video.

또한,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하나의 편집구매영상(3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공영상(20)을 통합하여 인증영상(31)을 생성할 수 있다.Also, in the embodiment, the server 200 may generate an authentication image 31 by integrating one or more processed images 20 into one edited purchase image 30 .

이는, 수산물 가공 과정의 세분화로 가공 영역 및 가공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경우에는 제1 수산물에 대한 가공영상(20)이 복수개일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re may be a plurality of processed images 20 for the first aquatic product when there are at least one processing area and at least one processor due to subdivision of the aquatic product processing process.

예컨대, 하나의 편집구매영상(30)에 복수 개의 가공영상(20)이 통합되는 경우, 서버(200)는 소비자가 가공 과정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가공영상(20)을 시간 순으로 앞선 영상부터 순차적인 순서로 정렬하여 통합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processed images 20 are integrated into one edited purchase image 30, the server 200 advances the plurality of processed images 20 in chronological order so that consumers can easily understand the processing process. It can be integrated by arranging in sequential order from the images.

다시 도 4로 돌아와서, 다음으로 서버(200)는, 인증영상(31)으로 연결되는 식별코드(40)를 생성할 수 있다. (S115)Returning to FIG. 4 again, the server 200 may generate an identification code 40 connected to the authentication image 31 next. (S115)

자세히,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인증영상(31)을 담은 수산물 콘텐츠 링크(예컨대, 홈페이지 URL 등)로 연결되는 식별코드(40)(예컨대, 소비자 단말(400)에서 용이하게 스캔이 가능한 QR코드 등)를 생성할 수 있다.In detail, in the embodiment, the server 200 has an identification code 40 (eg, a consumer terminal 400) connected to a link to aquatic product content (eg, homepage URL, etc.) containing the authentication image 31, which can be easily scanned QR codes, etc.) can be generated.

이때, 실시예에서 인증영상(31)은 수산물 콘텐츠 링크 내 포함되어 자동 재생 및 상기 인증영상(31)을 보고자 하는 자의 소정의 입력에 의해 수동 재생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the authentication image 31 is included in the seafood content link and can be automatically reproduced or manually reproduced by a predetermined input of a person who wants to view the authentication image 31.

또한, 서버(200)에 의해 생성된 식별코드(40)는, 소비자에게 수산물이 상품으로서 제공되었을 때 소비자 단말(400)이 용이하게 스캔이 가능한 소정의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code 40 generated by the server 200 may be outpu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here the consumer terminal 400 can easily scan when the seafood is provided to the consumer as a product.

예컨대, 식별코드(40)는 수산물 상품을 포장한 패키지, 수산물 상품에 동봉되는 별도의 안내문 및 수산물 상품을 수령하는 자의 정보가 포함된 송장 등에 출력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code 40 may be output on a package in which the aquatic product is wrapped, a separate notice enclosed with the aquatic product, and an invoice containing information of a recipient of the aquatic product.

한편, 소비자 단말(400)은, 수령한 수산물 상품의 소정의 위치에 출력된 식별코드(40)를 스캔할 수 있다. (S117)Meanwhile, the consumer terminal 400 may scan the identification code 40 output at a predetermined location of the received seafood product. (S117)

이때, 식별코드(40)를 스캔하는 행위는 시간적으로 서버(200)가 식별코드(40)를 생성한 이후라면 언제든 수행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ct of scanning the identification code 40 may be performed at any time after the server 200 generates the identification code 40 in time.

또한, 실시예에서 소비자 단말(400)은, 식별코드(40) 스캔 감지 시 서버(200)에 인증영상(31) 요청 신호를 보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consumer terminal 400 may send an authentication image 31 request signal to the server 200 upon detec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40 scanning.

또한, 다른 실시예예서 소비자 단말(400)은, 식별코드(40)를 스캔함으로써 인증영상(31)을 포함하는 수산물 콘텐츠 링크로 연결되어 해당 홈페이지 등에 접속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sumer terminal 400 is connected to the aquatic product content link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image 31 by scanning the identification code 40 and can access the corresponding homepage.

이어서,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인증영상(31)을 소비자 단말(400)로 송신할 수 있다. (S119)Subsequently, the server 200 may transmit the authentication image 31 stored in the database 220 to the consumer terminal 400 . (S119)

이에 따라, 소비자 단말(400)은, 주문한 수산물 상품에 대한 인증영상(31)을 출력할 수 있다. (S121)Accordingly, the consumer terminal 400 may output an authentication image 31 for the ordered seafood product. (S121)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서 소비자 단말(400)에 인증영상(31)이 출력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diagram showing how an authentication image 31 is output to a consumer terminal 400 in a method of providing an authentication image for a seafood direct sales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소비자 단말(400)은, 주문한 수산물 상품을 포장한 패키지에 표시된 식별코드(40)를 스캔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인증영상(31)을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consumer terminal 400 may output an authentication image 31 on a display by scanning an identification code 40 displayed on a package in which an ordered seafood product is packed.

실시예에서 인증영상(31) 출력은, 소비자에게 인증영상(31)이 제공되는 방식이라면 어떠한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은 식별코드(40)의 모양, 위치 및 소비자 단말(400)의 디스플레이 화면 등의 형식 자체에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embodiment, the authentication image 31 output can be implemented in any method as long as the authentication image 31 is provided to the consumer, and the shape, location and consumer terminal 400 of the identification code 40 as shown It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or limited to the format itself, such as a display screen of.

또한, 상술한 S117 내지 S121 단계에서는 식별코드(40) 스캔 및 인증영상(31) 출력을 수행하는 주체를 소비자 단말(400)로 기준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steps S117 to S121, the consumer terminal 400 is the subject performing the scanning of the identification code 40 and the output of the authentication image 31,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embodiments may exist.

-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 How to provide authentication video for the seafood direct sales process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authentication image for a seafood direct sales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서버(200)는, 구매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촬영된 복수의 수산물 구매영상(10)을 획득할 수 있다. (S501)Referring to FIG. 9 , the server 200 may acquire a plurality of aquatic product purchase images 10 photographed using the purchaser terminal 100 . (S501)

실시예예서 서버(200)는, 구매자 단말(100)로부터 복수의 구매과정정보(14)를 수신함으로써 해당 구매과정정보(14)에 포함된 복수의 수산물 구매영상(10)을 획득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server 200 may acquire a plurality of aquatic product purchase images 10 included in the purchase process information 14 by receiving a plurality of purchase process information 14 from the purchaser terminal 100 .

또한, 서버(200)는, 획득한 복수의 구매과정정보(14) 중 동일 어종이 포함된 경우, 중복되는 복수의 구매영상(10)을 단일한 하나의 구매영상(10)으로 간주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200 may regard a plurality of overlapping purchase images 10 as a single purchase image 10 when the same fish species is included among the plurality of purchase process information 14 obtained. .

즉,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종을 포함하는 복수의 수산물 구매영상(10)을 획득할 수 있다.That is, the server 200 may obtain a plurality of aquatic product purchase images 10 including at least one species of fish.

다음으로 서버(200)는, 복수의 수산물 구매영상(10)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할 수 있다. (S503)Next, the server 200 may classify the plurality of aquatic product purchase images 10 by category. (S503)

자세히, 서버(200)는, 복수의 수산물 구매영상(10)에 매칭된 수산물 각각의 수산물정보(11) 및 태그 이미지(12)를 토대로 상기 복수의 수산물 구매영상(10)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할 수 있다.In detail, the server 200 may classify the plurality of aquatic product purchase images 10 by category based on the aquatic product information 11 and the tag image 12 of each aquatic product matched to the plurality of aquatic product purchase images 10. there is.

이때,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수산물정보(11)에 포함된 일시 및 어종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수산물 구매영상(10)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the server 200 may classify the plurality of aquatic product purchase images 10 by category by using the date and time and information about the fish species included in the aquatic product information 11 .

다시 도 6을 참조하여 고유일련번호가 “1234501”에 해당하는 수산물을 예로 들자면, 서버(200)는, 고유일련번호 “1234501”의 구매과정정보(14)에 포함된 “어종: 뽈락, 일시: 2021/11/1 05:00”라는 수산물정보(11)를 이용하여, 해당 구매영상(10)을 어종이 “뽈락”이며 일시가 “2021/11/1”인 폴더로 분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gain, taking a marine product having a unique serial number of “1234501” as an example, the server 200 includes “fish species: porpoise, date and time: Using the seafood information 11 of 2021/11/1 05:00, the purchase video 10 can be classified into a folder with the fish species “Polak” and the date and time “2021/11/1”.

또한, 서버(200)는, 상술한 S501 단계에서 복수의 구매과정정보(14)에 매칭된 복수의 구매영상(10)이 중복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중복되는 수산물들이 동일한 어종에 해당함을 인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er 200 uses the fact that the plurality of purchase images 10 matched to the plurality of purchase process information 14 in step S501 may overlap, and determines that the overlapping marine products correspond to the same fish species. Recognizable.

다음으로, 서버(200)는, 개별 수산물의 가공영상(20)을 획득할 수 있다. (S505)Next, the server 200 may acquire processed images 20 of individual marine products. (S505)

자세히, 서버(200)는, 태그 이미지(12)를 포함하는 태그가 부착된 개별 수산물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장치(300)에 의해 가공되는 과정을 촬영한 가공영상(20)을 획득할 수 있다.In detail, the server 200 may acquire a processing image 20 photographing a process in which an individual tagged fish product including the tag image 12 is processed by at least one monitoring device 300 .

또한,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수산물 가공 영역의 분리 여부 및 수산물 가공에 참여하는 인원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공영상(20)을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server 200 may obtain at least one processed image 20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processing area for aquatic product is separated and the number of persons participating in processing the aquatic product.

예를 들자면, 동일한 뽈락 한 마리에 대해 이를 “손질”하는 자와 “포장”하는 자가 상이한 경우, 서버(200)는 2개의 가공영상(20)을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person who “grooms” and the person who “packs” the same pollock is different, the server 200 may obtain two processed images 20 .

다음으로, 서버(200)는, 가공된 수산물에 대한 구매영상(10)을 추출할 수 있다. (S507)Next, the server 200 may extract the purchase image 10 for processed marine products. (S507)

자세히, 서버(200)는, 가공영상(20)에 포함된 태그 이미지(12)를 인식하여 가공된 수산물에 대한 구매영상(10)을 추출할 수 있다.In detail, the server 200 may recognize the tag image 12 included in the processed image 20 and extract the purchase image 10 for the processed marine product.

보다 상세히, 서버(200)는, 가공영상(20)에 포함된 태그 이미지(12)를 인식함으로써 해당 수산물의 수산물정보(11)를 파악하고, 수산물정보(11)에 따라 카테고리별로 분류되어 저장된 폴더를 검출해내는 방법으로 가공된 수산물에 대한 구매영상(10)을 추출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erver 200 recognizes the aquatic product information 11 of the corresponding aquatic product by recognizing the tagged image 12 included in the processed image 20, and the aquatic product information 11 is classified by category according to the stored folder.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purchase image 10 for processed seafood by a method of detecting.

예컨대, 다시 도 6을 참조하여 고유일련번호가 “1234501”에 해당하는 수산물을 예로 들자면, 서버(200)는, 가공영상(20)에 포함된 고유일련번호 “1234501”의 태그 이미지(12)를 인식함으로써 “어종: 뽈락, 일시: 2021/11/1 05:00”라는 수산물정보(11)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어종이 “뽈락”이며 일시가 “2021/11/1”인 폴더를 검출하여 해당 폴더로부터 고유일련번호 “1234501”의 구매영상(10)을 추출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6 again, taking a marine product having a unique serial number of “1234501” as an example, the server 200 displays the tag image 12 of the unique serial number “1234501” included in the processed image 20. By recognizing, the fishery product information (11) of “fish species: polok, date and time: 2021/11/1 05:00” is identified, and through this, a folder with the fish species “pollack” and the date and time of “2021/11/1” is detected. A purchase image 10 having a unique serial number “1234501” can be extracted from the corresponding folder.

다음으로, 서버(200)는, 추출된 구매영상(10) 및 가공영상(20)을 편집하여 인증영상(31)을 생성할 수 있다. (S509)Next, the server 200 may generate an authentication image 31 by editing the extracted purchase image 10 and processed image 20 . (S509)

실시예에서, 추출된 구매영상 및 가공영상은 무편집본 및 편집본(예컨대, 편집구매영상(30))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영상(10) 및 가공영상(20)을 편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증영상(31)을 생성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extracted purchased video and processed video may be unedited and edited (eg, edited purchased video 30), and in this case, the server 200 includes at least one purchased video 10 and processed video 20. ) to generate at least one authentication image 31.

또한, 실시예예서 서버(200)는, 상술한 S505 단계에서 개별 수산물로부터 복수의 가공영상(20)을 획득한 경우, 상기 복수의 가공영상(20)을 시간순으로 배열하여 하나의 가공영상(20)으로 편집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when the server 200 acquires a plurality of processed images 20 from individual fishery products in the above-described step S505, the plurality of processed images 20 are arranged in chronological order to form one processed image 20. ) can be edited.

예컨대, 서버(200)는 구매영상 및 가공영상을 시간순으로 단순히 이어붙이거나, 각 영상의 재생 배속만을 조절하거나, 특정 행위만을 담은 장면만을 짜깁기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인증영상(31)을 생성할 수 있다. 인증영상에 포함되는 영상의 개수 및 유형은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200 generates the authentication image 31 using a method such as simply splicing the purchased image and the processed image in chronological order, adjusting only the playback speed of each image, or stitching together only scenes containing only specific actions. can do. The number and type of images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image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exist.

다음으로, 서버(200)는, 인증요청신호 수신 시 인증영상(31)을 제공할 수 있다. (S511)Next, the server 200 may provide an authentication image 31 upon receiving a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S511)

실시예예서 서버(200)는,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해 인증을 요구하는 소정의 컴퓨팅 장치(예컨대, 소비자 단말(400) 등)로부터 인증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rver 200 may receive a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from a predetermined computing device (eg, the consumer terminal 400, etc.) requesting authentication for a seafood direct sales process.

예컨대, 서버(200)는, 소정의 컴퓨팅 장치의 인증요청신호 수신 시 수산물 콘텐츠 링크를 연결하여 소정의 컴퓨팅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인증영상(31)을 포함하는 홈페이지를 노출시키는 방법 등으로 인증영상(31)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rver 200 receives a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from a predetermined computing device, the authentication image 31 is exposed by a method of exposing a homepage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image 31 on the display of the predetermined computing device by connecting a link to aquatic product content. ) can be provid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은, 소비자가 구입한 수산물의 실제 유통 과정을 영상으로 인증함으로써 구매 및 가공 등의 유통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여 상품의 신선도 및 청결도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providing an authentication video for the direct sales process of aquatic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henticates the actual distribution process of the aquatic product purchased by the consumer as an image, thereby transparently disclosing the distribution process such as purchase and processing.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consumer confidence in the freshness and cleanliness of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은, 수산물의 유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생산, 가공 및 운송정보의 오류 및 누락을 방지함으로써 수산물과 관련된 정보를 객관적으로 기록하여 거래 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providing an authentication image for the direct sales process of aquatic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errors and omissions in production, processing, and transportation information that may occur in the distribution process of aquatic products, thereby providing objective information related to aquatic products. This has the effect of reducing confusion that may occur during transac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은, 수산물의 품질검사 절차를 대체하는 인증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양질의 상품을 소비자에게 신속하게 배송함과 동시에 보다 직관적인 방법으로 소비자에게 수산물의 우수한 품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for providing an authentication video for the direct sales process of aquatic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authentication video that replaces the quality inspection procedure of aquatic products, so that high-quality products are quickly delivered to consumers and at the same time more intuitive. In this method, there is an effect of explaining the excellent quality of marine products to consumer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은, 수산물의 유통 경로를 축소함으로써 유통업자의 부당한 이익 취득을 방지하여 소비자가 부담하는 가격을 낮추고 신속한 배송을 실현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providing an authentication video for the direct sale of aquatic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distribution route of aquatic products to prevent distributors from acquiring unfair profits, lowers the price borne by consumers, and realizes prompt delivery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consumer satisfa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은, 수산물의 유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통 참여자의 소비자 기만 행위를 감소시킴으로써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수산물의 중량 및 부위 등과 관련한 품질을 보증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providing an authentication video for the direct sale of aquatic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consumer deception of distribution participants that may occur in the distribution process of aquatic products, thereby reducing the weight and parts of aquatic products provided to consumers. It has the effect of guaranteeing related quality.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um),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generated by a compiler. A hardware device may be modified with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For brevity of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mponent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f lines or connecting member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examples of functional connections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which can be replaced in actual devices or additional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if there is no specific reference such as “essential” or “important”, it may not be a component necessarily requir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will fi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5)

수산물 중개 플랫폼 서버에서 구매자 단말과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기초로 거래 대상 수산물의 인증영상을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구매영상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수산물을 가공하는 과정을 촬영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공영상을 상기 수산물 가공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획득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에 대한 상기 구매영상과 상기 가공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구매영상 및 상기 가공영상을 포함하는 인증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 선택시 상기 생성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As a method for providing an authentication image of a trade target aquatic product to a consumer terminal based on an image obtained from a purchaser terminal and a fishery product processing monitoring device in the aquatic product mediation platform server,
Obtaining at least one purchase image of the target marine product from the purchaser terminal;
Classifying and storing the acquired purchased images according to at least one category;
Obtaining and storing at least one processing image of a process of processing the aquatic product from the aquatic product processing monitoring device;
Extracting the purchase image and the processed image for the trade target marine product;
generating an authentication image including the extracted purchase image and the processed image; and
Providing the generated authentication image when selecting the target marine product from the consumer terminal
A method of providing authentication videos for direct sales of seafood produc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을 구매하는 과정을 촬영한 영상을 포함하는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cquiring at least one purchase image for the trade target marine product from the purchaser terminal,
Including a video of the process of purchasing the trade target aquatic product
A method of providing authentication videos for direct sales of seafo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에 대한 상기 구매영상과 상기 가공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는,
저장된 구매영상들과 가공영상들 중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의 코드를 기초로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의 구매영상과 가공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extracting the purchase image and the processed image for the trade target marine product,
Extracting the purchase image and processed image of the transaction target fishery product based on the transaction target fishery product code among the stored purchase images and processed images
A method of providing authentication videos for direct sales of seafoo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구매영상들과 가공영상들 중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의 코드를 기초로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의 구매영상과 가공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의 하나의 구매영상에 대하여 서로다른 가공과정에 대한 복수의 가공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3,
In the step of extracting the purchase image and processed image of the transaction target fishery product based on the code of the transaction target fishery product among the stored purchase images and processed image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extracting a plurality of processed images for different processing processes for one purchase image of the trade target marine product
A method of providing authentication videos for direct sales of seafoo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구매영상 및 상기 가공영상을 포함하는 인증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영상에서 상기 거래 대상 수산물이 복수인 경우, 상기 구매영상에서 상기 복수의 거래 대상 수산물 중 제1 수산물을 검출하고, 상기 구매영상에서 상기 제1 수산물을 강조하는 편집구매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가공영상 중 상기 제1 수산물을 가공하는 제1 가공영상과 상기 편집구매영상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수산물에 대한 제1 인증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산물 직판매 과정에 대한 인증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3,
In the step of generating an authentication image including the extracted purchase image and the processed image, when the number of aquatic products to be traded is plural in the purchase image, a first aquatic product among the plurality of aquatic products to be traded is detected in the purchase image, generating an edited purchase image emphasizing the first aquatic product in the purchase image;
Generating a first authentication image for the first aquatic product including a first processed image for processing the first aquatic product and the edited purchase image among the obtained processed images
A method of providing authentication videos for direct sales of seafood.
KR1020210176369A 2021-12-10 2021-12-10 Method for providing a certification video for the process of direct sales of seafood KR2023008781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369A KR20230087810A (en) 2021-12-10 2021-12-10 Method for providing a certification video for the process of direct sales of seaf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369A KR20230087810A (en) 2021-12-10 2021-12-10 Method for providing a certification video for the process of direct sales of seafo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810A true KR20230087810A (en) 2023-06-19

Family

ID=86988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369A KR20230087810A (en) 2021-12-10 2021-12-10 Method for providing a certification video for the process of direct sales of seafo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781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778B1 (en) 2020-03-05 2020-10-29 유병만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rect Transaction Interconnect Service of Marine produc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778B1 (en) 2020-03-05 2020-10-29 유병만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rect Transaction Interconnect Service of Marine produc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8654B2 (en) Offline shopping guide method and apparatus
US111642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embering held items and finding lost items using wearable camera systems
US97475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cloud-based analytics for surveillance systems with unmanned aerial devices
US9508175B2 (en) Intelligent cropping of images based on multiple interacting variables
TWI615776B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virtual message onto a moving object and searching the same
US9892133B1 (en) Verifying item attribut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US10747991B2 (en) People stream analysis method, people stream analysis apparatus, and people stream analysis system
US20110052012A1 (en) Security and Monetization Through Facial Recognition in Social Networking Websites
US20180232799A1 (en) Exhibition device, display control device and exhibition system
US20130286048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ata in terminal-server environments
KR1017568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tention using photographing image
KR101620938B1 (en) A cloth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A cloth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ever communicating to the appartus, a server recommending a product related the cloth, a A cloth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N109615029A (en) RFID enhancing and position detection in jewelry shopping experience
US9600720B1 (en) Using available data to assist in object recognition
CN108197621A (en) Company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s and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EP3605428A1 (en) Image-based transactio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method
CN105993029A (en) Shopping support device and shopping support method
CN107148628A (en) The system and method being authenticated for feature based
JP7161209B2 (en) Trading system and trading method
US2020011110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henticating products
KR20230087810A (en) Method for providing a certification video for the process of direct sales of seafood
KR101683830B1 (en) Store location guiding method and device therof
KR20230087811A (en) Method for purchasing certified seafood through a seafood brokerage platform
KR20230087809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afood brokerage platform service
KR20180036083A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a registration of a fraudulent product for sa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