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7709A - Auxiliary apparatus guide unit for endoscopic procedures - Google Patents

Auxiliary apparatus guide unit for endoscopic procedur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7709A
KR20230087709A KR1020210176182A KR20210176182A KR20230087709A KR 20230087709 A KR20230087709 A KR 20230087709A KR 1020210176182 A KR1020210176182 A KR 1020210176182A KR 20210176182 A KR20210176182 A KR 20210176182A KR 20230087709 A KR20230087709 A KR 20230087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scope
guide
auxiliary instrument
auxiliary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1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44493B1 (en
Inventor
박진한
김일환
김예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이브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이브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이브트리
Priority to KR1020210176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493B1/en
Publication of KR20230087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7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4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82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54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guiding arrangements for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2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22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flexible, e.g. fabrics, meshes, or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2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 A61B2017/3464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with means acting on inner surface of valve or seal for expanding or protecting, e.g. inner pivoting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2017/348Means for supporting the trocar against the body or retaining the trocar inside the body
    • A61B2017/3482Means for supporting the trocar against the body or retaining the trocar inside the body inside
    • A61B2017/3484Anchoring means, e.g. spreading-out umbrella-like structure
    • A61B2017/3486Ballo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 시술시 사용되는 보조 기구를 내시경 내부의 채널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내시경 시술용 보조기구 가이드 유닛에 관한 것으로, 내시경 시술시 카테터와 같은 다양한 의료용 보조기구를 내부 채널 뿐만 아니라 외부 채널을 이용하여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내시경을 체내에서 제거한 후에도 약물 투입이나 지혈과 같은 특수 목적의 카테터는 제거되지 않고 체내에 잔류될 수 있게 하여 그 목적에 맞는 추가적인 시술을 가능하게 하여 시술 편리성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와, 연결부재와 내시경 간의 고정 및 분리를 별도의 수단에 의하지 않고 공기 주입 여부에 따른 벌룬 타입 고정부재의 팽창ㆍ수축 동작에 의해 가능하도록 하여, 부품 간 상호 연결 및 분리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고 제품의 슬림화 및 구성의 간소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istive instrument guide unit for endoscopic surgery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an auxiliary instrument used during endoscopic surgery can be used not only in an internal channel of an endoscope but also outside, and various medical auxiliary instruments such as catheters are internally provided during endoscopic surgery. It enables smooth use by using external channels as well as channels, and even after the endoscope is removed from the body, cathete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drug injection or hemostasis remain in the body without being removed, enabling additional procedures tailored to the purpose. By doing so,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the procedure, and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alloon-type fixing member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ir is injected without using a separate means to fix and separate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endoscop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terconnection and separation between parts, and to expect the effect of enabling slimming and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oduct.

Description

내시경 시술용 보조기구 가이드 유닛{Auxiliary apparatus guide unit for endoscopic procedures}Auxiliary apparatus guide unit for endoscopic procedures}

본 발명은 내시경 시술용 보조기구 가이드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시경 시술시 사용되는 보조 기구를 내시경 내부의 채널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내시경 시술용 보조기구 가이드 유닛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instrument guide unit for endoscopic surg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xiliary instrument guide unit for endoscopic surgery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an auxiliary instrument used during endoscopic surgery can be used not only in an internal channel of an endoscope but also outside. it's about

일반적으로 내시경의 내부에는, 시술의 용도나 목적에 따라 카테터나 포셉 등 다양한 보조기구를 환부에 접근시킬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이 형성되어 있다. In general, at least one channel is formed inside the endoscope to allow various auxiliary instruments such as catheters and forceps to approach the affected part according to the use or purpose of the procedure.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내시경의 외경을 크게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채널의 크기와 개수가 제한적이어서 여러 가지의 카테터의 사용이 어렵고, 내시경을 채내에서 제거하게 되면 채널 안에서 작동하던 카테터도 함께 제거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according to this prior art, 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endoscope cannot be secured large, the size and number of channels are limited, making it difficult to use various catheters. There was a problem with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52683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45268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시경 시술시 카테터와 같은 다양한 의료용 보조기구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내시경을 체내에서 제거한 후에도 특정 용도의 보조기구는 제거되지 않고 체내에 잔류시켜서 그 용도에 맞는 추가적인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내시경 시술용 보조기구 가이드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smooth use of various medical aids such as catheters during endoscopic procedures, and even after the endoscope is removed from the body, assistive devices for specific purposes are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assistive device guide unit for endoscopic procedures that remains in the body without being removed and enables additional procedures suitable for its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내시경 시술용 보조기구 가이드 유닛은, 내시경 시술시 그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는 보조기구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내시경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내시경이 통과되는 연결구멍을 가지는 연결부재; 상기 내시경의 내부 채널과는 별도로 그 내시경의 외측에서 상기 보조기구의 환부 측에 대한 접근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기구가 통과되는 안내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와 내시경을 선택적으로 고정 및 분리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에 결합되어서, 팽창시 내시경과 연결부재 간의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수축시 내시경의 연결부재에 대한 분리를 원활하게 하는 벌룬 타입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auxiliary instrument guide unit for endoscopic proced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 guiding an auxiliary instrument used together with the endoscope during an endoscopic procedure, so that it can be disposed in a form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endoscope. a connection member having a connection hole through which an endoscope passes; A guid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member and having a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auxiliary instrument passes, for guiding access to the affected part of the auxiliary instrument from the outside of the endoscope separately from the inner channel of the endoscope absence; And for selectively fixing and separating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endoscope, it is formed of a contractible and expandable material and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so that a fixing force between the endoscope and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secured dur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lloon-type fixing member for facilitating separa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endoscope.

상기 가이드부재는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수축시 인체 내 조직과의 간섭을 억제시킬 수 있게 하고 팽창시 상기 보조기구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안내구멍의 크기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guide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contraction and expansion, so as to suppress interference with tissues in the human body when contracted, and to secure the size of a guide hole guiding the insertion of the auxiliary device when expanded. .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연결부재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링 형상의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팽창시 보조기구와 가이드부재 간의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수축시 보조기구의 가이드부재에 대한 분리를 원활하게 하는 벌룬 타입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The guide member may include a ring-shaped main body having a smaller outer diameter than that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a balloon-type guide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contracted and expanded to secure a fixing force between the auxiliary device and the guide member when inflated and to facilitate separation of the auxiliary device from the guide member when contracted.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시경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내시경이 통과되는 연결구멍을 구비하는 연결부재; 상기 내시경의 내부 채널과는 별도로 그 내시경의 외측에서 상기 보조기구의 환부 측에 대한 접근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기구가 통과되는 안내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와 보조기구를 선택적으로 고정 및 분리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에 결합되어서, 팽창시 가이드부재와 보조기구 간의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수축시 보조기구의 가이드부재에 대한 분리를 원활하게 하는 벌룬 타입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be disposed in a form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endoscope, the connection member having a connection hole through which the endoscope passes; A guid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member and having a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auxiliary instrument passes, for guiding access to the affected part of the auxiliary instrument from the outside of the endoscope separately from the internal channel of the endoscope absence; And for selectively fixing and separating the guide member and the auxiliary device, it is formed of a contractible and expandable material and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guide member, so that a fixing force between the guide member and the auxiliary device can be secured during expansion, It may include; a balloon-type fixing member that facilitates the separation of the auxiliary device from the guide member during contrac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시경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내시경이 통과되는 연결구멍을 구비하는 연결부재; 상기 내시경의 내부 채널과는 별도로 그 내시경의 외측에서 상기 보조기구의 환부 측에 대한 접근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기구가 통과되는 안내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내시경과 연결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와 보조기구를 동시에 고정ㆍ분리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일측은 상기 연결부재 측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부재 측에 배치되며 일측과 타측 사이의 부분은 상기 연결부재와 가이드부재를 관통하여 가로질러 배치되어서, 팽창시 연결부재의 내시경에 대한 고정력 및 보조기구의 가이드부재에 대한 고정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게 하고, 수축시 반대로 분리를 원할하게 하는 벌룬 타입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be disposed in a form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endoscope, the connection member having a connection hole through which the endoscope passes; A guid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member and having a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auxiliary instrument passes, for guiding access to the affected part of the auxiliary instrument from the outside of the endoscope separately from the internal channel of the endoscope absence; And for simultaneously fixing and separating the endoscope and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guide member and the auxiliary device, formed of a contractible and expandable material, one side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other side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guide member The portion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disposed across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guide member so as to simultaneously secure the fixing force of the connecting member to the endoscope and the auxiliary instrument to the guide member when inflated, and conversely when contracted.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a balloon-type fixing member that facilitates separ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내시경 시술용 보조기구 가이드 유닛은 내시경 시술시 카테터와 같은 다양한 의료용 보조기구를 내부 채널 뿐만 아니라 외부 채널을 이용하여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내시경을 체내에서 제거한 후에도 약물 투입이나 지혈과 같은 특수 목적의 카테터는 제거되지 않고 체내에 잔류될 수 있게 하여 그 목적에 맞는 추가적인 시술을 가능하게 하여 시술 편리성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와, 연결부재와 내시경 간의 고정 및 분리를 별도의 수단에 의하지 않고 공기 주입 여부에 따른 벌룬 타입 고정부재의 팽창ㆍ수축 동작에 의해 가능하도록 하여, 부품 간 상호 연결 및 분리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고 제품의 슬림화 및 구성의 간소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The auxiliary instrument guide unit for endoscopic surg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enables smooth use of various medical auxiliary instruments such as catheters by using an external channel as well as an internal channel during endoscopic surgery, and allows the endoscope to be operated inside the body. Even after removal, the catheter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drug injection or hemostasis is not removed and remains in the body, enabling additional procedures tailored to the purpose,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the procedure, and the connection member and endoscope It is possible to fix and separate the liver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alloon-type fixing member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ir is injected without using a separate means,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interconnection and separation work between parts, slimming and configuring the product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enabling the simplification 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보조기구 가이드 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보조기구 가이드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보조기구 가이드 유닛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Ⅵ-Ⅵ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보조기구 가이드 유닛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보조기구 가이드 유닛의 평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instrument guide unit for endoscopic proced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II-II sectional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instrument guide unit for endoscopic surg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IV-IV sectional view of Figure 3;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instrument guide unit for endoscopic procedur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VI sectional view of FIG. 5;
7 is a plan view of an auxiliary instrument guide unit for endoscopic surg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of an auxiliary instrument guide unit for endoscopic surg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In order to clarify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s of known techniques for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e following examples are detailed descriptions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will be natural that they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equivalent invention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대한 기재 내용과 중복되는 이하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관한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identification symbol means the same configuration, and unnecessary redundant descriptions and descriptions of known technologie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description of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w, which overlaps with the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omit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보조기구 가이드 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auxiliary instrument guide unit for endoscopic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보조기구 가이드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instrument guide unit for endoscopic proced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II-II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보조기구 가이드 유닛은 내시경(A) 시술시 그 내시경(A)과 함께 사용되는 보조기구(B)(ex. 카테터, 포셉)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부재(12)와 가이드부재(14)와 벌룬 타입 고정부재(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assistive device guide unit for endoscopic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ssistive device (B) (ex. catheter, forceps) used together with the endoscope (A) during an endoscope (A) procedure. ), and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12, a guide member 14, and a balloon-type fixing member 16.

상기 연결부재(12)는, 예컨대 링(ring) 형상과 같이 내시경(A)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그 내시경(A)이 통과되는 연결구멍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2)는 리지드(rigid)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인체 내부의 조직이나 기관과 접촉에 의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인체에 무해하고 탄성을 가진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nection member 12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hole through which the endoscope A passes so that it can be dispos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endoscope A, for example, in a ring shape. Here, the connection member 12 may be formed of a rigid synthetic resin material, but i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silicone having elasticity so as not to cause problems due to contact with tissues or organs inside the human body. It is desirable to form

상기 가이드부재(14)는 상기 내시경(A)의 내부 채널과는 별도로 그 내시경(A)의 외측에서 상기 보조기구(B)의 환부에 대한 접근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12)의 외면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기구(B)가 통과되는 안내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The guide member 14 is for guiding the access of the auxiliary device B to the affected part from the outside of the endoscope A separately from the internal channel of the endoscope A, and the connection member 12 A guide hol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and through which the auxiliary device (B) passes is formed.

이러한 가이드부재(14)는, 예컨대 의료용 풍선((baloon) 카테터와 같이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서 수축시(도 1,2의 a) 내시경(A)의 원활한 체내 삽입을 가능하게 하고 팽창시(도 1,2의 b) 보조기구(B)에 대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탄성을 가진 튜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guide member 14 is formed of a contractible and expandable material, such as a medical balloon catheter, so that the endoscope A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body when contracted (Figs. 1 and 2 a), and when expanded. (b in FIGS. 1 and 2)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provide a fixing force for the auxiliary device (B), but it can be formed in the form of a tube having elasticity, of course.

상기 벌룬 타입 고정부재(16)는 상기 연결부재(12)와 내시경(A)을 선택적으로 고정 및 분리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재(14)와 마찬가지로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12)의 내측에 결합되어서, 도 2의 (b)와 같이 팽창시 내시경(A)과 연결부재(12) 간의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도 2의 (a)와 같이 수축시 내시경(A)의 연결부재(12)에 대한 분리를 원활하게 한다.The balloon-type fixing member 16 is for selectively fixing and separating the connecting member 12 and the endoscope A, and is formed of a contractible and expandable material like the guide member 14, and the connecting member It is coupled to the inside of (12), so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a fixing force between the endoscope (A) and the connecting member 12 when expanded as shown in FIG. 2 (b), and when contracted as shown in FIG. 2 (a), the endoscope ( It facilitates the separ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2 of A).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보조기구 가이드 유닛은 내시경(A) 시술시 카테터와 같은 다양한 의료용 보조기구(B)를 내부 채널 뿐만 아니라 외부 채널을 이용하여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내시경(A)을 체내에서 제거한 후에도 약물 투입이나 지혈과 같은 특수 목적의 카테터는 제거되지 않고 체내에 잔류될 수 있게 하여 그 목적에 맞는 추가적인 시술을 가능하게 하여 시술 편리성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The auxiliary instrument guide unit for endoscopic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smoothly use various medical auxiliary instruments (B) such as catheters during an endoscope (A) procedure using an external channel as well as an internal channel. Even after the endoscope (A) is removed from the body, the catheter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drug injection or hemostasis is not removed and remains in the body, enabling additional procedures suitable for that purpose,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the procedur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그리고, 본 실시예는 연결부재(12)와 내시경(A) 간의 고정 및 분리를 별도의 수단에 의하지 않고 공기 주입 여부에 따른 벌룬 타입 고정부재(16)의 팽창ㆍ수축 동작에 의해 가능하도록 하여, 부품 간 상호 연결 및 분리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고 제품의 슬림화 및 구성의 간소화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enables fixation and separation between the connection member 12 and the endoscope A by the expansion/contraction operation of the balloon-type fixing member 16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ir is injected without using a separate means, It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terconnection and separation work between parts, and enabling slimming and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oduct.

본 실시예는 상기 가이드부재(14) 자체의 구조에 기인하여 시술용 보조기구(B)를 내시경(A)에 견고히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벌룬 타입 고정부재(16)와 마찬가지로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In this embodiment, due to the structure of the guide member 14 itself, it can be contracted and expandable like the balloon type fixing member 16 so that the assistive device B for the procedure can be firmly fixed to the endoscope A. made of material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도 2의 (a)와 같이 가이드부재(14)의 수축시 인체 내 조직과의 간섭을 억제시킬 수 있게 하고 도 2의 (b)와 같이 가이드부재(14)의 팽창시 상기 보조기구(B)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안내구멍의 크기를 확보할 수 있게 하여, 결국 구성의 간소화를 가능하게 하고 시술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This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makes it possible to suppress interference with tissues in the human body when the guide member 14 is contracted as shown in (a) of FIG. 2, and as shown in (b) of FIG. When inflate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ize of the guide hole for guiding the insertion of the auxiliary device (B), so that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the operator's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한편, 도 1 및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벌룬 타입 고정부재(16)와 가이드부재(14)를 팽창시킬 수 있도록, 각각에 연결되는 공기 주입 라인(17)(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as well shown in FIGS. 1 and 2, in this embodiment, the balloon-type fixing member 16 and the guide member 14 can be inflated, and the air injection lines 17 and 18 respectively connected thereto. ), including

상기 공기 주입 라인(17)(18)은 내시경과 함께 체내에 위치된 벌룬 타입 고정부재(16)를 체외에서 팽창 또는 수축시킬 수 있게 하는 기능에 더하여, 시술 중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이 내시경으로부터 분리되어서 이탈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게 하고 가이드 유닛이 내시경으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도 체외로 안전하게 빼낼 수 있게 하는 안전선 기능을 한다. The air injection lines 17 and 18 have a function to inflate or contract the balloon-type fixing member 16 located inside the body together with the endoscope outside the body, and the guid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uring the procedure It functions as a safety line that can be separated from the endoscope to prevent it from being separated and can be safely taken out of the body even when the guide unit is separated from the endoscope.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보조기구 가이드 유닛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3 and 4 , an auxiliary instrument guide unit for endoscopic surg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보조기구 가이드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 단면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instrument guide unit for endoscopic surg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IV-IV sectional view of FIG. 3 .

본 실시예에 채용된 연결부재(22)와 벌룬 타입 고정부재(26)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나, 가이드부재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 자체의 구조에 기인하여 보조기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과는 달리, 링 형상의 본체부(24)와 벌룬 타입 가이드부(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onnection member 22 and the balloon-type fixing member 26 employed in this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but the guide member is configured to fix the auxiliary device due to its structure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Unlike that, it comprises a ring-shaped body portion 24 and a balloon-type guide portion 28.

상기 링 형상의 본체부(24)는 연결부재(22)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되고, 리지드(rigid)한 합성수지 재질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서 링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 ring-shaped body portion 24 is formed of a structure having a smaller outer diameter than the connecting member 22, and is formed of a rigid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silicone, so that the ring shape can be maintained. .

상기 벌룬 타입 가이드부(28)는, 상기 본체부(24)의 내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풍선(baloon) 카테터와 같이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팽창시 보조기구와 가이드부재 간의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수축시 보조기구의 가이드부재에 대한 분리를 원활하게 한다.The balloon-type guide part 28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24 and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contracted and expanded like a balloon catheter, and can secure a fixing force between the auxiliary device and the guide member when inflated. and facilitates the separation of the guide member of the auxiliary device during contraction.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링 형상의 본체부(24)가 보조기구를 내시경에 원활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게 하고, 벌룬 타입 가이드부(28)가 공기 주입 여부에 따른 팽창ㆍ수축 동작에 의해 보조기구를 본체부(24)에 원활하게 분리 및 고정시켜 줄 수 있게 하여, 결국 다양한 보조기구를 활용하여 시술이나 처치를 원활하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고, 보조기구의 내시경에 대한 선택적인 결합 및 분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In this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ring-shaped body part 24 enables the auxiliary instrument to be smoothly fixed to the endoscope, and the balloon-type guide part 28 expands and contract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ir is injected. It is possible to smoothly separate and fix the auxiliary device to the body part 24, so that various auxiliary devices can be used to perform procedures or treatments smoothly and precisely, and selective coupling of the auxiliary device to the endoscope and the separation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보조기구 가이드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 단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instrument guide unit for endoscopic procedur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VI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

본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 연결부재와 내시경 간의 고정을 위한 벌룬 타입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과는 달리, 연결부재(32)는 벌룬 타입 고정부재 없이 자체의 구조에 기인하여 내시경(A)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가이드부재(34)와 보조기구 간의 선택적인 결합 및 분리를 위한 벌룬 타입 고정부재(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this embodiment,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which a balloon-type fixing member for fixing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endoscope is provided, the connecting member 32 is fixed to the endoscope A due to its own structure without a balloon-type fixing member It is configured to be, and includes a balloon-type fixing member 36 for selective coupling and separation between the guide member 34 and the auxiliary device.

즉, 상기 연결부재(32)는 상기 내시경(A)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내시경(A)이 통과되는 연결구멍을 구비하고, 예컨대 인체에 무해하고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서 자체의 구조에 기인하여 내시경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at is, the connection member 32 has a connection hole through which the endoscope A passes so that it can be disposed in a form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endoscope A, and is made of, for example, a material such as silicone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has elasticity. It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endoscope due to its structure.

상기 가이드부재(34)는 내시경(A)의 내부 채널과는 별도로 그 내시경(A)의 외측에서 상기 보조기구의 환부 측에 대한 접근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32)의 외면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기구가 통과되는 안내구멍이 형성되어 있다.The guide member 34 is for guiding access to the affected part of the auxiliary instrument from the outside of the endoscope A separately from the internal channel of the endoscope A, and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member 32 And, a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auxiliary device passes is formed.

그리고, 상기 벌룬 타입 고정부재(36)는 상기 가이드부재(34)와 보조기구를 선택적으로 고정 및 분리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34)의 내측에 결합되어서, 팽창시 가이드부재(34)와 보조기구 간의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수축시 보조기구를 가이드부재(34)로부터 원활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the balloon-type fixing member 36 is for selectively fixing and separating the guide member 34 and the auxiliary device, and is formed of a contractible and expandable material and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guide member 34. , It is possible to secure a fixing force between the guide member 34 and the auxiliary device during expansion and to smoothly separate the auxiliary device from the guide member 34 during contraction.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보조기구 가이드 유닛의 평면도이다.Meanwhile, FIG. 7 is a plan view of an auxiliary instrument guide unit for endoscopic surg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구조와 유사한 연결부재(42)와 가이드부재(44)를 포함하고,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리 하나의 벌룬 타입 고정부재(46)를 이용하여 두 개의 유닛, 즉 상기 연결부재(42)와 가이드부재(44)를 동시에 고정 및 분리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The embodiment shown in this figure includes a connection member 42 and a guide member 44 similar to the structure of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 and unlike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 two balloon-type fixing members 46 are used. It is configured to fix and separate two units, that is, the connecting member 42 and the guide member 44 at the same time.

즉, 본 실시예에 채용된 벌룬 타입 고정부재(46)는 상기 내시경과 연결부재(42) 및 상기 가이드부재(44)와 보조기구를 동시에 고정ㆍ분리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일측은 상기 연결부재(42) 측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부재(44) 측에 배치되며 일측과 타측 사이의 부분은 상기 연결부재(42)와 가이드부재(44)를 관통하여 가로질러 배치되어서, 팽창시 연결부재(42)의 내시경에 대한 고정력 및 보조기구의 가이드부재(44)에 대한 고정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게 하고, 수축시 반대로 연결부재(42)와 보조기구를 원활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 That is, the balloon-type fixing member 46 employed in this embodiment is for simultaneously fixing and separating the endoscope and the connection member 42 and the guide member 44 and the auxiliary device, and is made of a contractible and expandable material. formed, one side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42, the other side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guide member 44, and the portion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passes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42 and the guide member 44 and is horizontally When inflated, the fixing force of the connecting member 42 for the endoscope and the fixing force of the auxiliary device for the guide member 44 can be secured at the same time, and when contracted, the connecting member 42 and the auxiliary device smoothly make it possible to separate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보조기구 가이드 유닛의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of an auxiliary instrument guide unit for endoscopic surg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구조가 유사하나, 두 개의 벌룬 타입 고정부재(56)(58)를 이용하여 각각 연결부재(52)와 가이드부재(54)를 개별적으로 고정 및 분리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This embodiment is similar in structure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but the connection member 52 and the guide member 54 are individually fixed and separated using two balloon-type fixing members 56 and 58, respectively. It is structured so that it can be done.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Alth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is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only clearly show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all modified example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2:연결부재 14:가이드부재
16:벌룬 타입 고정부재 17,18:공기 주입 라인
A:내시경 B:보조기구
12: connection member 14: guide member
16: balloon type fixing member 17, 18: air injection line
A: Endoscope B: Auxiliary device

Claims (5)

내시경 시술시 그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는 보조기구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내시경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내시경이 통과되는 연결구멍을 가지는 연결부재;
상기 내시경의 내부 채널과는 별도로 그 내시경의 외측에서 상기 보조기구의 환부 측에 대한 접근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기구가 통과되는 안내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와 내시경을 선택적으로 고정 및 분리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에 결합되어서, 팽창시 내시경과 연결부재 간의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수축시 내시경의 연결부재에 대한 분리를 원활하게 하는 벌룬 타입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술용 보조기구 가이드 유닛.
It is for guiding an auxiliary instrument used with the endoscope during an endoscopy procedure,
a connection member having a connection hole through which the endoscope is passed so as to be disposed in a form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endoscope;
A guid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member and having a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auxiliary instrument passes, for guiding access to the affected part of the auxiliary instrument from the outside of the endoscope separately from the internal channel of the endoscope absence; and
It is for selectively fixing and separating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endoscope, and is formed of a contractible and expandable material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to secure a fixing force between the endoscope and the connecting member when inflated, and when contracted, the endoscope An auxiliary instrument guide unit for endoscopic procedures comprising a; balloon-type fixing member for facilitating separ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수축시 인체 내 조직과의 간섭을 억제시킬 수 있게 하고 팽창시 상기 보조기구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안내구멍의 크기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술용 보조기구 가이드 유닛.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contraction and expansion, so that when it contracts, it can suppress interference with tissues in the human body, and when it expands, it is configured to secure the size of the guide hole that guides the insertion of th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uxiliary instrument guide unit for endoscopic procedur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연결부재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링 형상의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팽창시 보조기구와 가이드부재 간의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수축시 보조기구의 가이드부재에 대한 분리를 원활하게 하는 벌룬 타입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술용 보조기구 가이드 유닛.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member is
a ring-shaped main body having a smaller outer diameter than the connecting member; and
A balloon-type guide portion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contraction and expansion, ensuring a fixing force between the auxiliary device and the guide member when inflated and facilitating separation of the auxiliary device from the guide member when contracted; Auxiliary instrument guide unit for endoscopic procedures,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내시경 시술시 그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는 보조기구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내시경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내시경이 통과되는 연결구멍을 구비하는 연결부재;
상기 내시경의 내부 채널과는 별도로 그 내시경의 외측에서 상기 보조기구의 환부 측에 대한 접근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기구가 통과되는 안내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와 보조기구를 선택적으로 고정 및 분리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에 결합되어서, 팽창시 가이드부재와 보조기구 간의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수축시 보조기구의 가이드부재에 대한 분리를 원활하게 하는 벌룬 타입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술용 보조기구 가이드 유닛.
It is for guiding an auxiliary instrument used with the endoscope during an endoscopy procedure,
a connection member having a connection hole through which the endoscope is passed so as to be disposed in a form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endoscope;
A guid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member and having a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auxiliary instrument passes, for guiding access to the affected part of the auxiliary instrument from the outside of the endoscope separately from the inner channel of the endoscope absence; and
It is for selectively fixing and separating the guide member and the auxiliary device, and is formed of a contractible and expandable material and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guide member so that a fixing force between the guide member and the auxiliary device can be secured dur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An auxiliary instrument guide unit for endoscop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lloon-type fixing member that facilitates separation of the auxiliary instrument from the guide member.
내시경 시술시 그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는 보조기구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내시경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내시경이 통과되는 연결구멍을 구비하는 연결부재;
상기 내시경의 내부 채널과는 별도로 그 내시경의 외측에서 상기 보조기구의 환부 측에 대한 접근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기구가 통과되는 안내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내시경과 연결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와 보조기구를 동시에 고정ㆍ분리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일측은 상기 연결부재 측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부재 측에 배치되며 일측과 타측 사이의 부분은 상기 연결부재와 가이드부재를 관통하여 가로질러 배치되어서, 팽창시 연결부재의 내시경에 대한 고정력 및 보조기구의 가이드부재에 대한 고정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게 하고, 수축시 반대로 분리를 원할하게 하는 벌룬 타입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술용 보조기구 가이드 유닛.
It is for guiding an auxiliary instrument used with the endoscope during an endoscopy procedure,
a connection member having a connection hole through which the endoscope is passed so as to be disposed in a form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endoscope;
A guid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member and having a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auxiliary instrument passes, for guiding access to the affected part of the auxiliary instrument from the outside of the endoscope separately from the inner channel of the endoscope absence; and
It is for simultaneously fixing and separating the endoscope and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guide member and the auxiliary device, and is made of a contractible and expandable material, one side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other side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guide member and one side The part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guide member is disposed across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guide member,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s fixing force for the endoscope and the auxiliary instrument's fixing force for the guide member can be simultaneously secured during expansion, and sepa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during contraction. An auxiliary instrument guide unit for endoscop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lloon-type fixing member to smoothly.
KR1020210176182A 2021-12-10 2021-12-10 Auxiliary apparatus guide unit for endoscopic procedures KR1026444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182A KR102644493B1 (en) 2021-12-10 2021-12-10 Auxiliary apparatus guide unit for endoscopic procedur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182A KR102644493B1 (en) 2021-12-10 2021-12-10 Auxiliary apparatus guide unit for endoscopic procedu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709A true KR20230087709A (en) 2023-06-19
KR102644493B1 KR102644493B1 (en) 2024-03-07

Family

ID=86988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182A KR102644493B1 (en) 2021-12-10 2021-12-10 Auxiliary apparatus guide unit for endoscopic procedur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49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672B2 (en) * 1984-04-16 1987-06-22 Ikegai Tetsuko Kk
JP2011067532A (en) * 2009-09-28 2011-04-07 Japan Health Science Foundation Assisting instrument for endoscope, and endoscope
KR101452683B1 (en) 2014-03-11 2014-10-22 (주)세원메디텍 Balloon catheter and Catheter device having the balloon cathet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598B1 (en) * 2013-11-04 2015-05-29 최재홍 The device and method of fixing and shortening of intestine during endoscop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672B2 (en) * 1984-04-16 1987-06-22 Ikegai Tetsuko Kk
JP2011067532A (en) * 2009-09-28 2011-04-07 Japan Health Science Foundation Assisting instrument for endoscope, and endoscope
KR101452683B1 (en) 2014-03-11 2014-10-22 (주)세원메디텍 Balloon catheter and Catheter device having the balloon cath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493B1 (en)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7251B2 (en) Access assembly insertion device
EP2478859B1 (en) Inflatable access assembly
ES2315976T3 (en) INSTRUMENT INTRODUCER.
US8968191B2 (en) Expandable access assembly including an internal thread mechanism
JP4017689B2 (en) Endoscopic access assembly
US8672950B2 (en) Uterus-manipulator
CN101919737B (en) Medical appliance for interventional treatment of gallbladder diseases
US8080030B2 (en) Endoscopic sheath having a biomimetic retractor
EP2481355B1 (en) Medical device
JPH04263870A (en) Medical apparatus and endermic arrange- ment thereof in body cavity
US9622828B2 (en) Introducer device
US9055907B2 (en) Surgical access port
JP2010005412A (en) Adjustable balloon anchoring trocar
EP3095389B1 (en) Surgical tool insertion aid
JP6317836B1 (en) Trocar assembly
ES2384203T3 (en) Guide wire fixing
JP2013513461A (en) Low length one-way valve
KR20230087709A (en) Auxiliary apparatus guide unit for endoscopic procedures
KR20160104445A (en) Cap for photodynamic therapy and endoscope
JP2006334222A (en) Balloon catheter
EP3634275B1 (en) Surgery multichannel device
JP5431166B2 (en) Protective measures especially for non-invasive surgery
JP2001238888A (en) Medical instrument
JP6259942B6 (en) Trocar assembly
JP2021142243A (en) Abdominal cavity expansion maintenan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