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7211A - Backpack - Google Patents

Backp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7211A
KR20230087211A KR1020210175954A KR20210175954A KR20230087211A KR 20230087211 A KR20230087211 A KR 20230087211A KR 1020210175954 A KR1020210175954 A KR 1020210175954A KR 20210175954 A KR20210175954 A KR 20210175954A KR 20230087211 A KR20230087211 A KR 20230087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pack
poles
fixing
securing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9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태환
Original Assignee
유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태환 filed Critical 유태환
Priority to KR1020210175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7211A/en
Publication of KR20230087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2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003/001Accessories

Landscapes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낭에 수용되는 물품 등을 배낭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물품의 부피나 하중이 클 경우 배낭이 처지지 않도록 하는 고박수단을 구비하는 배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낭(600)은 배낭 등판(615)의 양측에 어깨끈(630,630)을 구비하는 배낭부재(610,620)와, 상기 배낭부재를 고정하는 벨트(658,671,672)와, 상기 배낭부재가 어깨로 부터 처지지 않도록 상기 배낭을 고박하는 고박수단을 구비한다.
특히, 상기 고박수단은 상기 배낭의 등판에 고정되어 상기 배낭의 상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노출되어 연장되게 구성되는 고박용 돌출프레임(7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박용 돌출프레임(700)은 제1 폴대 결합부(2900)를 개재하여 길이 방향으로 인입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각각 한쌍의 좌,우측 폴대(710,720)(730,740)와, 제2 폴대 결합(755,765)부를 개재하여 상기 양측의 좌,우측 폴대 상단을 연결하여 상기 배낭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가로 폴대(77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폴대 결합부는 인접 폴대의 양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서로 인접하는 폴대가 회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ckpack equipped with a fastening means capable of easily and stably fixing items accommodated in the backpack to the backpack and preventing the backpack from sagging when the volume or load of the items is large.
The backpack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ackpack members 610 and 620 having shoulder straps 630 and 630 on both sides of a backpack back panel 615, belts 658, 671 and 672 for fixing the backpack member, and the backpack member from the shoulder. A securing means for securing the backpack so that it does not sag is provided.
In particular, the securing means is composed of a protruding frame 700 for securing, which is fixed to the back of the backpack and is configured to be exposed and extend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ckpack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protruding frame 700 for fixing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poles 710 and 720 and 730 and 740 configured to be drawn in and o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first pole coupling part 2900, and the second pole coupling 755 and 765 It consists of a horizontal pole 770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ckpack by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poles on both sides through a part,
The second pole coupling part is configured to enable diffraction of the poles adjacent to each other based on both ends of the adjacent poles.

Description

배낭{BACKPACK}Backpack {BACKPACK}

본 발명은 배낭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배낭에 수용되는 물품 등을 배낭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물품의 부피나 하중이 클 경우 배낭이 처지지 않도록 고박할 수 있는 배낭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pack,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backpack structure capable of easily and stably fixing items accommodated in the backpack to the backpack and securing the backpack so that the backpack does not sag when the volume or load of the item is large. it's about doing

일반적으로 물품을 담아 간편하게 보관 및 휴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배낭은,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그 용도 및 형태가 다양화 되고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Backpacks, which are generally used for the purpose of conveniently storing and carrying goods, are diversifying in use and form according to the needs of consumers.

한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162883호에 기재된 종래 배낭(500)은 도 1과 같이 양측에 어깨끈(530)을 구비하는 제1 배낭부재(510)와, 상기 제1 배낭부재 배면에 구성되는 제2 배낭부재(520)와, 상기 제1 배낭부재와 제2 배낭부재의 저면에 소정의 폭을 갖도록 고정되는 보조적재부(540)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배낭부재(510)와 상기 제2 배낭부재(520)의 양측부를 서로 결합하는 버클(550)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적재부(540)는 적어도 하부가 상기 제1 배낭부재와 제2 배낭부재의 외부로 상시 노출되고, 그 보조적재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노끈 유도로(541a,542a)에 끼워진 노끈(541,542)의 양단을 잡아당겨 상기 보조적재부의 폭을 콤팩트하게 축소하여 고정하거나, 상기 노끈 유도로에 끼워진 노끈의 양단을 잡아당겨 상기 보조적재부의 폭이 임의의 폭이 되도록 고정한 상태에서도 상기 제1 배낭부재와 제2 배낭부재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펼침 가능하며 상기 노끈에 의하여 임의의 폭으로 고정된 보조적재부에 물품을 적재하였을 때 상기 배낭의 무게 중심이 변형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1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511,521은 슬라이드파스너이고, 512,522은 배낭의 수납부재(수납공간부)를 나타낸다.As an example, the conventional backpack 500 describ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62883 includes a first backpack member 510 having shoulder straps 530 on both sides as shown in FIG. 1, and a rear surface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A second backpack member 520 and an auxiliary loading part 540 fixed to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and the second backpack member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re provided. A buckle 55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510 and the second backpack member 520 is provided, and the auxiliary loading part 540 has at leas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and the second backpack member 520. It is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ckpack member, and pulls both ends of the strings 541 and 542 inserted into the string guideways 541a and 542a formed at both edges of the auxiliary loading part to reduce and fix the width of the auxiliary loading part compactly, or the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width of the auxiliary loading part is fixed to an arbitrary width by pulling both ends of the twine inserted into the twine guideway, the first backpack member and the second backpack member can be unfolded in opposite directions, and the twine has an arbitrary width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ackpack is not deformed when items are loaded into the auxiliary loading unit fixed to . Reference numerals 511 and 521 not described in FIG. 1 denote slide fasteners, and 512 and 522 denote storage members (storage spaces) of a backpack.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배낭(500)은 보조적재부에 부피가 크거나 중량이 무거운 물품을 적재하는 경우 어깨에 멘 배낭이 아래로 처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backpack 5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bulky or heavy items are loaded into the auxiliary loading unit, a backpack worn on the shoulder may sag downward.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162883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16288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낭의 수납공간부에 들어가지 못하는 사이즈가 큰 물품을 배낭에 적재하거나 부상자를 운반하는 경우 그 적재 물품이나 부상자를 간편하게 고정하여 운반할 수 있고, 배낭이 처지지 않도록 하는 고박수단을 구비하는 배낭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loading large items that cannot fit into the storage space of a backpack into a backpack or carrying an injured person, the loaded items or the injured person can be easily fixed and transport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ckpack structure having a fastening means that prevents the backpack from sagging.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배낭은, 배낭 등판의 양측에 어깨끈을 구비하는 배낭부재와, 상기 배낭부재를 고정하는 벨트와, 상기 배낭부재가 어깨로 부터 처지지 않도록 상기 배낭을 고박하는 고박수단을 구비하는 배낭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ack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ckpack member having shoulder straps on both sides of the back of the backpack, a belt for fixing the backpack member, and a fastener for securing the backpack so that the backpack member does not sag from the shoulder. In a backpack having means,

상기 고박수단은 상기 배낭의 등판에 고정되어 상기 배낭의 상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노출되어 연장되게 구성되는 고박용 돌출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The securing means is made of a protruding frame for securing that is fixed to the back of the backpack and is configured to be exposed and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backpack,

상기 고박용 돌출프레임은 제1 폴대 결합부를 개재하여 길이 방향으로 인입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각각 한쌍의 좌,우측 폴대와, The protruding frame for fixing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poles configured to be drawn in and o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first pole coupling part,

제2 폴대 결합부를 개재하여 상기 양측의 좌,우측 폴대 상단을 연결하여 상기 배낭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가로 폴대로 이루어지고,It consists of a horizontal pol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ckpack by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poles on both sides through the second pole coupling part,

상기 제2 폴대 결합부는 인접 폴대의 양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서로 인접하는 폴대가 회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pole coupl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es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figured to diffract based on both ends of the adjacent poles.

또, 상기 제1 폴대 결합부는 서로 인접하는 인접 폴대의 인입출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pole coupling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topper is configured to regulate the withdrawal of adjacent poles adjacent to each other.

또, 상기 고박용 돌출프레임은 상기 배낭의 등판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frame for secur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achably fixed to the back of the backpack.

또, 상기 배낭의 상측으로 노출된 가로 폴대에는 적어도 상기 배낭의 벨트가 지지되는 1곳 이상의 벨트 지지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ransverse pol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ckpack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belt support is provided in which the belt of the backpack is supported.

본 발명의 배낭의 고박수단은 상기 배낭의 등판에 고정되어 상기 배낭의 상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노출되어 연장되게 구성되는 고박용 돌출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박용 돌출프레임은 제1 폴대 결합부를 개재하여 길이 방향으로 인입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각각 한쌍의 좌,우측 폴대와, The securing means of the back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protruding frame for securing that is fixed to the back of the backpack and is configured to be exposed and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upper side of the backpack, and the protruding frame for securing is configured to extend through a first pole coupling part A pair of left and right poles configured to be drawn in and o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제2 폴대 결합부를 개재하여 상기 양측의 좌,우측 폴대 상단을 연결하여 상기 배낭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가로 폴대로 이루어지고,It consists of a horizontal pol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ckpack by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poles on both sides through the second pole coupling part,

상기 제2 폴대 결합부는 인접 폴대의 양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서로 인접하는 폴대가 회절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이즈가 큰 물품을 배낭에 적재하거나 부상자를 운반하는 경우 그 적재 물품이나 부상자를 간편하게 고정하여 운반할 수 있고, 배낭이 처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second pole coupling part is configured so that the poles adjacent to each other can diffract based on both ends of the adjacent poles, so that when loading large-sized items in a backpack or carrying an injured person, the loaded items or the injured person can be easily fixed and transported.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backpack from sagging can be obtained.

또, 본 발명의 배낭의 고박수단은 다수의 폴대를 일체로 연결하여 필요할 때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고박수단의 설치, 분리가 쉽고, 분리 후에는 고박수단을 구성하는 일부 폴대 등의 부품을 분실할 염려 없이 부피 및 사이즈를 줄여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astening means of the back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only when necessary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oles integrally, it is easy to install and separate the fastening means, and there is a concern about losing parts such as some poles constituting the fastening means after separation.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safely stored by reducing the volume and size without the need.

도 1은 종래 배낭의 한 예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낭을 뒤쪽 우측에서 바라본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낭을 뒤쪽 좌측에서 바라본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낭을 앞쪽 우측에서 바라본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보조적재부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배낭에 구성되는 고박용 돌출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배낭에 구성되는 고박용 돌출프레임의 좌,우측 폴대를 구성하는 한쌍의 세로 폴대 사이에 구성되는 폴대 결합부가 조여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배낭에 구성되는 고박용 돌출프레임의 좌,우측 폴대를 구성하는 한쌍의 세로 폴대 사이에 구성되는 폴대 결합부가 풀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배낭에 구성되는 고박용 돌출프레임을 분리하여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보조적재부에 적재되는 물품을 고정하는 보조적재부용 메인 고정벨트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허리지지대 및 등지지대 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배낭부재에 구성된 수납공간부를 복수의 수납공간으로 구획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배낭부재에 구성된 수납공간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나타내는 입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배낭부재에 구성된 수납공간부의 덮개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배낭부재에 구성된 수납공간부의 이용 상태로 배낭을 어깨에 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고박용 돌출프레임에 머리 받침대가 구성된 형태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 18은 도 17의 머리 받침대가 구성된 배낭에 있어서 제2 배낭부재의 수납공간부와 보조적재부에 물품을 적재한 상태로 어깨에 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고박용 돌출프레임에 다른 예의 머리 받침대가 구성된 형태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 20은 도 19의 머리 받침대가 구성된 배낭에 있어서 제2 배낭부재의 수납공간부와 보조적재부에 물품을 적재한 상태로 어깨에 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1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backpack;
Figure 2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back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right side.
Figure 3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back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left side.
Figure 4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back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right.
Figure 5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load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osed.
Figure 6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coupled state of the protruding frame for fixing constructed in the back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le coupling part constructed between a pair of vertical poles constituting the left and right poles of the protruding frame for securing the back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ightened.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le coupling part constructed between a pair of vertical poles constituting the left and right poles of the protruding frame for securing the back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eased.
Figure 9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folded state by separating the protruding frame for fixing constructed in the back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main fixing belt for the auxiliary loading unit for fixing the articles loaded on the auxiliary load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ist support and the back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12 and 13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artitioning the storage space configured in the second backpack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Fig. 14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n unfolded state of a storage space constructed in a second backpack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member of the storage space portion constructed in the second backpack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16 is a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a backpack is worn on a shoulder in a state in which a storage space configured in a second backpack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17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a headrest is configured in a protruding frame for fix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the backpack having the headrest of FIG. 17 is carried on the shoulder in a state in which items are load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second backpack member and the auxiliary loading unit;
19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other example of a headrest in the protruding frame for fix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is a view showing a form of a backpack with a headrest of FIG. 19 carried on a shoulder in a state in which items are loaded in the storage space and the auxiliary loading unit of the second backpack member;

이하, 본 발명의 배낭의 기술구성 및 작용은 도 2 내지 도 20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back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20.

본 발명의 배낭(600)은 도 2, 도 3, 도 4, 도 5와 같이 제1 배낭부재(610)와, 제2 배낭부재(620), 제1 배낭부재의 등판(615)에 구성되는 한쌍의 어깨끈(630), 상기 제1 배낭부재와 제2 배낭부재의 저면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보조적재부(64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2, 3, 4, and 5, the backpack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irst backpack member 610, a second backpack member 620, and a back plate 615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It consists of a pair of shoulder straps 630 and an auxiliary loading part 640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and the second backpack member.

제1 배낭부재(610)는 파스너(611) 등에 의하여 개방이 가능한 수납공간부(612)가 구성된다. 상기 제1 배낭부재의 수납공간부(612)에 구성되는 파스너(611)는 수납공간부의 외측면 중앙을 따라 구성되어야 보조적재부의 사용에 관계 없이 상기 제1 배낭부재의 수납공간부(612)에 물품을 용이하게 반입하거나 반출할 수 있다. 제1 배낭부재(610)의 하단 양측면에는 물품을 외측에서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보조 주머니(619)가 구성된다.The first backpack member 610 includes a storage space 612 that can be opened by a fastener 611 or the like. The fastener 611 formed in the storage space 612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should be formed along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so that it can be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612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regardless of the use of the auxiliary loading part. Goods can be easily brought in or out. Auxiliary pockets 619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610 so that items can be inserted and fixed from the outside.

또, 제1 배낭(610)의 어깨끈(630,630)이 구성된 등판(615) 상측에서 중앙부에 걸쳐 양쪽으로 어깨지지대(641,642)가 고정된다. 제1 배낭부재(610)의 어깨끈(630,630)이 구성된 등판 하측에는 도 11과 같이 허리지지대(650)가 등판(615)으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shoulder supports 641 and 642 are fixed on both sides from the upper side of the back panel 615 where the shoulder straps 630 and 630 of the first backpack 610 are formed to the central portion. A waist support 650 is detachable from the back plate 615 as shown in FIG.

허리지지대를(650)를 착탈식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제1 배낭부재(610)의 등판(615) 중앙과 허리지지대(650)의 배면에는 벨크로(650a,650b)가 각각 구성된다.In order to detachably fix the waist support 650, Velcros 650a and 650b ar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ack plate 615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610 and on the rear surface of the waist support 650, respectively.

허리지지대(650)의 중앙에는 제1 배낭부재(610)의 등판(615)에 고정된 허리지지벨트(656)를 끼워 체결할 수 있도록 허리지지벨트 고정구(657)가 일정 간격으로 구성된다. 상기 허리지지대(650)의 중앙에는 등지지대(655)가 구성된다.In the center of the waist support 650, waist support belt fixtures 657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waist support belt 656 fixed to the back plate 615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610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A back support 655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waist support 650.

또, 제1 배낭부재(610)와 제2 배낭부재(620) 사이에는 보조적재부(640)가 구성된다. 이 보조적재부(640)는 제1 배낭부재(610)와 제2 배낭부재(620)의 양쪽 하단부에 재봉이나 별도의 힌지(도시생략)를 결합하여 고정된다. 상기 보조적재부(640)는 표면이 노출가능한 상태에서 제1 배낭부재(610)와 제2 배낭부재(6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펼침 가능하게 구성된다.In addition, an auxiliary loading unit 64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ackpack member 610 and the second backpack member 620. The auxiliary loading part 640 is fixed to both lower ends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610 and the second backpack member 620 by sewing or by combining separate hinges (not shown). The auxiliary loading part 64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backpack member 610 and the second backpack member 620 can be unfolded in opposite directions in a state where the surface can be exposed.

상기 보조적재부(640)는 정해진 폭 범위 내에서 그 간격 조정이 가능하도록 본 발명의 발명자가 출원하여 선등록 받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162883호에 기재된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The auxiliary loading unit 640 may use a structure describ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62883, which was filed and previously registered b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distance can be adjusted within a predetermined width range.

본 발명의 보조적재부(640)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162883호에 기재된 구조 외에 도 5와 같이 중앙부(점선 표시부)를 기준으로 반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한쌍의 얇은 패널(640a,640b)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structure describ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62883, the auxiliary loading part 640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air of thin panels 640a and 640b to be folded in half based on the central part (dotted line display part) as shown in FIG. can be configured.

상기 보조적재부를 구성하는 얇은 패널(640a,640b)은 접혀혔을 때 그 접힌 위치가 제1 배낭부재(610)와 제2 배낭부재(62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내측으로 접혀 포개질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When the thin panels 640a and 640b constituting the auxiliary loading part are folded, the folded positions do not protrude outward from the first backpack member 610 and the second backpack member 620, but are folded inward and overlapped. do.

도 5의 구조를 보면 보조적재부(640)가 제1 배낭부재(610)와 제2 배낭부재(620)의 하측 끝단에 고정된 형태로 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structure of FIG. 5 , the auxiliary loading part 640 is fix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610 and the second backpack member 620 .

보조적재부(640)의 고정 위치는 도 5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보조적재부(640)에 물품을 적재하였을 때 그 보조적재부가 물품 하중의 영향으로 아래 방향으로 처져 제1 배낭부재(610)와 제2 배낭부재(620)의 하단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감안하여 제1 배낭부재(610)와 제2 배낭부재(620)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상측 위치에 고정되는 구조로 구성하여도 된다.The fixing position of the auxiliary loading part 640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FIG. 5, and when goods are loaded on the auxiliary loading part 640, the auxiliary loading part sags downward under the influence of the load of the goods, causing the first backpack member 610 to And considering th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ackpack member 620 is exposed to the outside, it may be configured in a structure fixed at an upper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s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610 and the second backpack member 6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보조적재부(64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제1 배낭부재(610)와 제2 배낭부재(620)를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배낭부재(610)와 제2 배낭부재(620)의 고정은 도 5와 같이 제1 배낭부재(610)에 구성된 다수의 보조 고정벨트(658)와, 상기 보조 고정벨트(658)에 대응하여 제2 배낭부재(610)에 구성된 다수의 버클(659)을 서로 체결하여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보조 고정벨트(658)는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When the auxiliary loading part 640 is not in use, the first backpack member 610 and the second backpack member 620 are closely attached to each other and can be fixed. The fixation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610 and the second backpack member 620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auxiliary fixing belts 658 configured in the first backpack member 610 and the auxiliary fixing belt 658, as shown in FIG. It is made by fastening a plurality of buckles 659 configured in the second backpack member 610 to each other. Of course, the auxiliary fixing belt 658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상기 보조적재부(64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제1 배낭부재(610)와 제2 배낭부재(620)를 서로 고정하는 다른 방법은 도 14와 같이 제1 배낭부재(610)의 배면 테두리(610b)와 제2 배낭부재(620)의 전면 테두리(620b) 부분에 파스너(631)를 설치하여 고정할 수 있다.Another method of fixing the first backpack member 610 and the second backpack member 620 to each other when the auxiliary loading part 640 is not used is the rear edge 610b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610 as shown in FIG. ) and the front edge 620b of the second backpack member 620 may be fixed by installing fasteners 631.

설명되지 않은 보조적재부용 메인 고정벨트(671,672)는 보조적재부(640)에 물품을 적재할 때 주로 사용될 수 있다.The main fixing belts 671 and 672 for the auxiliary loading unit, which have not been described, may be mainly used when loading articles in the auxiliary loading section 640 .

상기 보조적재부용 메인 고정벨트(671,672)는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제1 배낭부재(610)의 등판(615)과 보조적재부(640) 하측, 제2 배낭부재(620)의 전면(620a) 내측을 거치도록 배치된다. 즉, 보조적재부(640)에 적재되는 물품을 제1 배낭부재의 배면(610a)과 제2 배낭부재의 전면(620a), 보조적재부(640) 사이에서 완전히 감싸 제1 배낭부재(610)에 고박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main fixing belts 671 and 672 for the auxiliary loading part are the back plate 615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610, the lower side of the auxiliary loading part 640, and the front surface 620a of the second backpack member 620. ) is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inner side. That is, the first backpack member 610 completely wraps the goods loaded in the auxiliary loading unit 640 between the rear surface 610a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the front surface 620a of the second backpack member, and the auxiliary loading unit 640. It is composed of a structure that can be fastened to.

특히 본 발명의 배낭(600)은 도 5와 같이 상기 보조적재부(64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배낭부재(610)의 배면(610a)의 테두리(610b)와, 상기 제2 배낭부재(620)의 전면(620a)의 테두리(620b)에 U자형의 탄성봉(680,690)이 각각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U자형의 탄성봉은 강철로 구성하는 경우 지름이 3mm 정도면 충분하지만 배낭의 사이즈나 강도에 따라 3~10mm범위 내의 지름을 갖는 강철을 이용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backpack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includes the rim 610b of the rear surface 610a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610 with the auxiliary loading part 64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second backpack member ( U-shaped elastic rods 680 and 690 are inserted and fixed to the edge 620b of the front surface 620a of the 620, respectively. When the U-shaped elastic bar is made of steel, a diameter of about 3 mm is sufficient, but steel having a diameter in the range of 3 to 10 mm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size or strength of the backpack.

상기 제1 배낭부재(610)의 배면(610a)과 제2 배낭부재(620)의 전면(620a)은 직물, 부직포, 가죽 등 얇고 가변운 재질을 사용하여 구성한다.The rear surface 610a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610 and the front surface 620a of the second backpack member 620 are made of thin and variable materials such as fabric, nonwoven fabric, and leather.

상기 제1 배낭부재(610)의 배면(610a)과 제2 배낭부재(620)의 전면(620a)을 구성하는 재질은 얇고 가변운 것을 사용하더라도 U자형의 탄성봉(680,690)이 제1 배낭부재의 배면(610a)과 제2 배낭부재의 전면(620a)을 외측으로 작용하는 탄성에 의하여 평탄하게 잡아당기므로 제1 배낭부재의 배면(610a)과 제2 배낭부재의 전면(620a)이 항상 평탄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물품의 적재로 인하여 제1 배낭부재(610)의 배면(610a)과 제2 배낭부재(620)의 전면(620a)의 형상이 일시적으로 변형되더라도 물품이 제거된 후에는 곧바로 원위치로 복귀하여 배낭의 본래 모습을 유지하는 장점이있다. 또, 상기 제1 배낭부재(610)의 배면(610a)과 제2 배낭부재(620)의 전면(620a)을 두꺼운 패널 등의 재질로 구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배낭의 무게가 가벼워지는 장점이 있다.Even if thin and variable materials are used for the rear surface 610a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610 and the front surface 620a of the second backpack member 620, the U-shaped elastic bars 680 and 690 are the first backpack member. Since the back surface 610a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and the front surface 620a of the second backpack member are pulled flat by the elasticity acting outward, the rear surface 610a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and the front surface 620a of the second backpack member are always flat. It can keep its shape. Even if the shapes of the rear surface 610a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610 and the front surface 620a of the second backpack member 620 are temporarily deformed due to the loading of items, they immediately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fter the items are removed, and It has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its original appearance. In addition, since the rear surface 610a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610 and the front surface 620a of the second backpack member 620 do not need to be made of a thick panel or the like, the weight of the backpack is reduced.

또, 도 5 및 도 11과 같이 배낭의 등판(615)에 고정되어 배낭의 상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게 구성되는 고박용 돌출프레임(700)으로 이루어진 고박수단이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5 and 11, a securing means composed of a protruding frame 700 for securing is fixed to the back plate 615 of the backpack and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upper side of the backpack.

상기 고박수단을 구성하는 고박용 돌출프레임(700)은 상기 배낭의 등판(615) 양쪽에 좌,우측 폴대를 구성하는 한쌍의 세로 폴대(710,720, 730,740)을 길게 억지끼움하여 등판(615)에 고정할 수 있는 주머니형 홈(도시 생략)을 구비한다. 고박용 돌출프레임(700)은 상기 주머니형 홈에 착탈식으로 끼울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1 배낭부재 및 제2 배낭부재에 적재되는 물품의 중량이 무겁거나 부피가 커서 배낭이 처지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protruding frame 700 for securing, constituting the securing means, is fixed to the back panel 615 by forcibly fitting a pair of vertical poles 710, 720, 730, 740 constituting the left and right poles on both sides of the back panel 615 of the backpack. It is provided with a pocket-type groove (not shown) that can be used. The protruding frame 700 for fixing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bag-type groove and can be selectively used only when the backpack sags due to the heavy weight or bulkiness of the items loaded on the first backpack member and the second backpack member. there is.

상기 고박용 돌출프레임(700)은 한 예로 도 5, 도 6 및 도 9와 같이 양측에 일자로 세워 각각 한쌍의 세로 폴대를 구성하는 좌,우측 폴대(710,720,730,740)와 최상단을 가로질러 결합되는 가로 폴대(770)와, 상기 배낭의 상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좌,우측 폴대(710,730) 상단 또는 가로 폴대(770)에 제1 배낭부재 및 제2 배낭부재를 고정하는 보조적재용 메인 고정벨트(671)와 보조 고정벨트(658) 중 선택되는 벨트가 지지되는 벨트 지지구(751,761)가 1곳 이상 구성될 수 있다.The protruding frame 700 for securing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5, 6 and 9, the left and right poles 710, 720, 730, 740 constituting a pair of vertical poles, respectively, standing on both sides, and a horizontal pole coupled across the top. 770 and a main fixing belt 671 for auxiliary loading that fixes the first backpack member and the second backpack member to the top of the left and right poles 710 and 730 or to the horizontal pole 770 protruding up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backpack One or more belt supports 751 and 761 supporting a belt selected from among the and auxiliary fixing belts 658 may be configured.

상기 벨트 지지구(751,761)는 가로 폴대(770) 및 좌,우측 폴대(710,730)를 고정하기 위한 폴대 결합뭉치(750,760)에 구성될 수 있다.The belt supports 751 and 761 may be configured in pole coupling bundles 750 and 760 for fixing the horizontal poles 770 and the left and right poles 710 and 730.

폴대 결합뭉치(750,760)는 폴대 결합부를 겸하는 것으로 우측의 폴대 결합뭉치(750)와 우측의 폴대(710)는 양쪽 단부가 회동축(755)를 개재하여 결합되고, 좌측의 폴대 결합뭉치(760)와 좌측의 폴대(730)는 양쪽 단부가 회동축(765)를 개재하여 결합된다. 상기 회동축(755,765)은 좌,우측의 폴대(710,730)를 회동시켜 접었을 때 좌,우측의 폴대(710,730)가 서로 었긋나 교차할 수 있도록 좌,우측의 폴대(710,730)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갖도록 구성하여 폴대(710,730)의 고정 단부가 회동축(755,765)의 길이 방향으로 약간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ole coupling bundle (750,760) serves as a pole coupling portion, and the pole coupling bundle 750 on the right and the pole 710 on the right have both ends coupled via the pivot shaft 755, and the pole coupling bundle 760 on the left Both ends of the pole 730 on the left side and the pivot shaft 765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rotation shafts 755 and 765 have a width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left and right poles 710 and 730 so that the left and right poles 710 and 730 can cross each other when folded by rotating the left and right poles 710 and 730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so that the fixed ends of the poles 710 and 730 can slightly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vot shafts 755 and 765.

가로 폴대(770)는 양쪽에 반대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폴대 결합뭉치(750,760)의 나사홈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Horizontal pole 770 is threa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n both sides are formed coupled to the threaded groove of the pole coupling bundle (750 760), or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상기와 같이 폴대 결합부를 구성하는 이유는 배낭으로부터 고박용 돌출프레임(700)을 분리하여 해체하였을 때 배낭에 넣어 보관이 가능한 정도로 부피를 작게할 수 있고 부품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why the pole joint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o reduce the volume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stored in a backpack when the protruding frame 700 for fixing is separated from the backpack and dismantled, and to prevent loss of parts.

폴대 결합부에 구성되는 회동축(755,765)은 가로 폴대와 인접하는 좌,우측의 세로 폴대(710,730)의 회절수단로 작용한다.The rotation shafts 755 and 765 formed in the pole coupling part act as diffraction means of the left and right vertical poles 710 and 730 adjacent to the horizontal poles.

또, 각각 한쌍의 좌,우측 폴대(폴대(710,720)(730,740) 사이에는 폴대의 길이 방향으로 어느 일측의 폴대가 인입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폴대 결합부(2900)가 구성된다.In addition, between a pair of left and right poles (poles 710 and 720 and 730 and 740), a pole coupling part 2900 is configured so that the pole on either side can be drawn in and o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le.

폴대 결합부(2900)는 한 예로 도 7 및 도 8과 같이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세로 폴대(710,720)(730,740)의 양단부에 링크되어 그 인접 폴대의 양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서로 인접하는 세로 폴대(710,720)와 인접하는 세로 폴대(730,740)가 그 폴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인입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pole coupling part 2900 is linked to both ends of a pair of vertical poles 710 and 720 and 730 and 740 adjacent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S. 7 and 8, for example, and the vertical poles 710 and 720 adjacent to each other based on both ends of the adjacent poles. ) And the adjacent vertical poles (730,740) are configured to be drawn in and o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le.

예를 들어 하측의 세로 폴대(720,740)가 상측의 세로 폴대(710,730) 내측으로 인입출 가능하도록 폴대 결합부(2900)가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le coupling part 29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lower vertical poles 720 and 740 are drawn in and out of the upper vertical poles 710 and 730.

폴대 결합부(2900)는 하측의 세로 폴대(720,740)의 상단에 억지끼움 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 凸 모양의 베이스체(850) 및 봉체(852)가 구성된다. 상기 봉체(852)는 대략 2등분하여 상측에 나사산(851)이 형성되는 영역과, 하측의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으로 구분된다.The pole coupling part 2900 is configured with a convex-shaped base body 850 and a rod body 852 that are firmly fixed by being force-fitted to the top of the vertical poles 720 and 740 on the lower side. The rod body 852 is divided into approximately two equal parts, and is divided into an area where the screw thread 851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an area where the screw thread is not formed on the lower side.

나사산(851)이 형성되는 영역의 봉체에는 가압부재(840)가 체결되고,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과 베이스체(850) 사이에는 가압 스토퍼(860)가 구성된다.The pressing member 840 is fastened to the rod body in the area where the screw thread 851 is formed, and the pressure stopper 860 is configured between the base body 850 and the area where the screw thread is not formed.

봉체(852)의 상단에는 가압부재(84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부재(853)가 결합된다. 가압부재(840)와 가압 스토퍼(860)가 서로 접촉되는 면(840a,860a)은 경사면을 이루어 면접촉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 fixing member 853 is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rod body 852 so that the pressing member 840 does not escape. The surfaces 840a and 860a where the pressure member 840 and the pressure stopper 86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form inclined surfaces and are configured to make surface contac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폴대 결합부(2900)는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가압부재(840)가 가압 스토퍼(860)를 압박하여 가압 스토퍼 외면이 상측의 세로 폴대(710,730)의 내면을 압박할 수 있도록 하측의 세로 폴대(720,740)를 회전 시키면 하측의 세로 폴대(720,740)는 상측의 세로 폴대(710,730)에 고정되어 스토퍼 된다. In the pole coupling part 29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the pressure member 840 presses the pressure stopper 860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e stopper can press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vertical poles 710 and 730 When the lower vertical poles 720 and 740 are rotated so that the lower vertical poles 720 and 740 are fixed to the upper vertical poles 710 and 730 as stoppers.

반대로 도 8과 같이 하측의 세로 폴대(720,740)를 역방향으로 회전 시키면 가압 스토퍼(860)에 의한 세로 폴대(710,730)의 내면 압박이 해제되어 하측의 세로 폴대(720,740)를 상측의 세로 폴대(710,730) 내로 자유롭게 인입출 할 수 있다. 즉, 폴대 결합부(2900)를 이용하여 좌,우측 폴대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Conversely, as shown in FIG. 8, when the lower vertical poles 720 and 740 are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inner pressure of the vertical poles 710 and 730 by the pressure stopper 860 is released, and the lower vertical poles 720 and 740 are moved to the upper vertical poles 710 and 730 It can be drawn in and out freely. That is, the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poles can be freely adjusted and used as needed by using the pole coupling part 2900.

상기와 같이 세로 폴대 사이에 폴대 결합부(2900)을 구성함으로써 도 6과 같이 세로 폴대(710,720)(730,740)를 직선으로 세워 수직을 이루도록 지지하거나 도 9와 같이 좌,우측의 상측 폴대(710,720) 내에 좌,우측의 하측 폴대(730,740)를 끼워 넣은 후 좌,우측 폴대를 가로 폴대(770) 방향으로 회절시켜 간단히 접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configuring the pole coupling part 2900 between the vertical poles, as shown in FIG. 6, the vertical poles 710, 720, 730, 740 are erected in a straight line to support them vertically, or as shown in FIG. 9, the left and right upper poles 710 and 720 After inserting the left and right lower poles (730, 740) inside, the left and right poles can be diffracted in the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ole (770) and simply folded.

한편, 제2 배낭부재(620)는 파스너(621) 등에 의하여 개방이 가능한 덮개부재(625)를 구비하는 수납공간부(622)가 구성된다. 상기 제2 배낭부재의 수납공간부(622)에 구성되는 파스너(621)는 수납공간부 앞쪽 가장자리 쪽을 따라 구성한다. 즉, 파스너(621)를 이동시켜 덮개부재(625)를 완전히 개방하였을 때 제2 배낭부재(620)의 수납공간부(622)의 앞면 전체가 노출되는 구조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backpack member 620 is composed of a storage space portion 622 having a cover member 625 that can be opened by a fastener 621 or the like. The fastener 621 formed in the storage space 622 of the second backpack member is formed along the front edge of the storage space. That is, when the cover member 625 is completely opened by moving the fastener 621,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622 of the second backpack member 620 is exposed.

제2 배낭부재(620)에 구성되는 수납공간부(622)의 기술 구성 및 작용은 도 12 및 도 15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technica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torage space 622 of the second backpack member 6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5 .

상기 수납공간부(622)는, 제2 배낭부재(620)의 전면(620a)과 일체로 구성되는 배면(베이스부재)에 적어도 일단이 고정되어 펼침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메인 칸막이패드(320)와, 상기 메인 칸막이패드(320)의 상하면에 고정되어 펼침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보조 칸막이패드(331,332)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칸막이패드(320)는 제2 배낭부재(620)의 전면과 일체로 구성되는 배면의 베이스부재의 중앙부에 일측 단면을 재봉 등에 의하여 고정함으로써 상하측으로 회전시켜 펼침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storage space portion 622 includes a main partition pad 320 having at least one end fixed to the rear surface (bas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ont surface 620a of the second backpack member 620 to be expandable, A plurality of auxiliary partition pads 331 and 332 ar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partition pad 320 so as to be expandable. The main partition pad 320 is configured to be rotated vertically and unfolded by fixing one end surface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member on the rear surfac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ackpack member 620 by sewing or the like.

보조 칸막이패드(331)는 메인 칸막이패드(320)의 상측 중앙부에 일측 단면을 재봉 등에 의하여 고정함으로써 좌우측으로 회전시켜 펼침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auxiliary partition pad 331 is configured to be unfolded by rotating left and right by fixing one end surface to the upper central part of the main partition pad 320 by sewing or the like.

보조 칸막이패드(332)는 메인 칸막이패드(320)의 하측 중앙부에 일측 단면을 재봉 등에 의하여 고정함으로써 좌우측으로 회전시켜 펼침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auxiliary partition pad 332 is configured to be unfolded by rotating left and right by fixing one end surface to the lower central part of the main partition pad 320 by sewing or the like.

즉, 메인 칸막이패드(320)의 상하측에 구성된 보조 칸막이패드(331,332)를 회전시켜 접은 후 메인 칸막이패드(320)를 제2 배낭부재(620)의 전면(620a)과 일체로 구성되는 배면의 베이스부재 쪽으로 접으면 도 12와 같은 구조가 된다.That is, after rotating and folding the auxiliary partition pads 331 and 332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partition pad 320, the main partition pad 320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ont surface 620a of the second backpack member 620. When folded toward the base member, the structure shown in FIG. 12 is obtained.

도 12의 상태에서 메인 칸막이패드(320)를 90도 회전시켜 펼친 후 상하측의 보조 칸막이패드(331,332)를 좌우측으로 90도 회전시켜 펼치면 도 13과 같은 구조로 수납공간부(622)가 복수의 소형 수납공간부(622a,622b,622c,622d)로 구획된다.In the state of FIG. 12, when the main partition pad 320 is rotated by 90 degrees to unfold, and the upper and lower auxiliary partition pads 331 and 332 are rotated to the left and right by 90 degrees to unfold, the storage space portion 622 has a structure as shown in FIG. It is divided into small storage spaces 622a, 622b, 622c, and 622d.

소형 수납공간부(622a,622b,622c,622d)로 구획하기 위해 메인 칸막이패드(320)와 보조 칸막이패드(331,332)를 펼친 후에는 보조 칸막이패드(331,332)의 일측 단부와 상기 수납공간부의 베이스부재(제2 배낭부재의 전면(620a)과 일체로 구성되는 배면부)와 만나는 당접부는 도시되지 않은 벨크로 또는 고리 등을 이용하여 서로 착탈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fter unfolding the main partition pad 320 and the auxiliary partition pads 331 and 332 to divide them into small storage space parts 622a, 622b, 622c and 622d, one end of the auxiliary partition pad 331 and 332 and the base member of the storage space The contact portion that meets (the rear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ont surface 620a of the second backpack member)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fixed to each other using Velcro or a hook (not shown).

또, 상기 메인 칸막이패드(320) 및 보조 칸막이패드(331,332)가 펼쳐진 상태에서 수납공간부의 베이스부재를 둘러싸는 수납공간부(622)의 상하측부재(351,352)와 좌우측부재(361,362)와 만나는 당접부도 도시되지 않은 벨크로 또는 고리 등을 이용하여 서로 착탈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ain partition pad 320 and the auxiliary partition pads 331 and 332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members 351 and 352 and the left and right members 361 and 362 of the storage space part 622 surrounding the base member of the storage space part in a unfolded state. The parts are also configured to be detachably fixed to each other using Velcro or hooks (not shown).

수납공간부(622)가 접혀있는 상태에서는 제1 배낭부재(620)가 콤팩트한 구조를 갖도록 상하측부재(351,352) 및 좌우측부재(361,362)가 반으로 접힌다. 반으로 접힌 상하측부재(351,352) 및 좌우측부재(361,362)는 도 14, 도 15와 같이 상하측부재(351,352) 및 좌우측부재(361,362)에 구성된 벨크로(335)를 이용하여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When the storage space 622 is folded, the upper and lower members 351 and 352 and the left and right members 361 and 362 are folded in half so that the first backpack member 620 has a compact structure. The upper and lower members 351 and 352 and the left and right side members 361 and 362 folded in half are fixed to maintain the folded state using the Velcro 335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members 351 and 352 and the left and right side members 361 and 362 as shown in FIGS. 14 and 15 can do.

상기 메인 칸막이패드(320)는 수납공간부의 베이스부재에 재봉 등에 의하여 펼침 가능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메인 칸막이패드(320) 및 보조 칸막이패드(331,332)의 분실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 메인 칸막이패드(320) 및 보조 칸막이패드(331,332)의 펼침 및 접힘이 매우 간단하다.Since the main partition pad 320 is fixed to the base member of the storage space so as to be expandable by sewing or the lik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re is no fear of loss of the main partition pad 320 and the auxiliary partition pads 331 and 332. In addition, unfolding and folding of the main partition pad 320 and the auxiliary partition pads 331 and 332 are very simple.

배낭의 수납공간부(622)를 이용할 때는 벨크로(335)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하측부재(351,352) 및 좌우측부재(361,362)를 펼치면 된다.When using the storage space 622 of the backpack, the fixation of the Velcro 335 may be released and the upper and lower members 351 and 352 and the left and right members 361 and 362 may be unfolded.

상기 상하측부재(351,352) 및 좌우측부재(361,362)는 각각 상하로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패드들이 구성되어 그 상하측부재(351,352) 및 좌우측부재(361,362)가 반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upper and lower members 351 and 352 and the left and right side members 361 and 362 are composed of a pair of support pads disposed vertically, respectively, so that the upper and lower members 351 and 352 and the left and right side members 361 and 362 can be folded in half.

한 예로 천으로 구성되는 상측부재(351) 내에는 상하로 배치되는 지지패드(351a,351b)가 구성되고, 하측부재(352) 내에는 상하로 배치되는 지지패드(352a,352b)가 구성되고, 좌측부재(361) 내에는 상하로 배치되는 지지패드(361a,361b)가 구성되고, 우측부재(362) 내에는 상하로 배치되는 지지패드(362a,362b)가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upper member 351 made of cloth, support pads 351a and 351b are arranged vertically, and in the lower member 352, support pads 352a and 352b are arranged vertically, Support pads 361a and 361b disposed vertically in the left member 361 may be configured, and support pads 362a and 362b disposed vertically in the right member 362 may be configured.

상기와 같이 천 등으로 구성되는 상하측부재(351,352) 및 좌우측부재(361,362) 내에 한쌍의 지지패드를 상하로 배치함으로써 상하측부재(351,352) 및 좌우측부재(361,362)는 지지패드가 마주하는 경계부분을 기준으로 반으로 쉽게 접힐 수 있도로 틀을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As described above, by arranging a pair of support pads vertically within the upper and lower members 351 and 352 and the left and right members 361 and 362 made of cloth, etc., the upper and lower members 351 and 352 and the left and right members 361 and 362 are the boundary portions where the support pads face each other. Based on , it acts to maintain the frame so that it can be easily folded in half.

상기와 같이 상하측부재(351,352) 및 좌우측부재(361,362)가 반으로 접히거나 펴지도록 구성함으로서 제2 배낭부재(620)의 수납공간부(622)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제2 배낭부재(620)를 콤팩트하게 수납공간부의 베이스부재(620a의 배면부) 쪽으로 밀착시킬 수 있고, 수납공간부(622)를 사용할 때는 수납공간부(622)가 쉽게 펼쳐지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side members 351 and 352 and the left and right side members 361 and 362 are configured to be folded or unfolded in half, so that when the storage space 622 of the second backpack member 620 is not used, the second backpack member 620 can compactly adhere to the base member (rear surface of 620a) of the storage space, and when using the storage space 622, the storage space 622 can be easily unfolded.

상하측부재(351,352) 및 좌우측부재(361,362)가 접혀 수납공간부의 베이스부재 쪽으로 밀착된 후에는 벌어지지 않도록 상하측부재(351,352) 및 좌우측부재(361,362)의 표면에 구성된 다수의 벨크로(335)를 이용하여 고정된다.A plurality of Velcros 335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members 351 and 352 and the left and right members 361 and 362 are installed so that they do not unfold after the upper and lower members 351 and 352 and the left and right members 361 and 362 are folde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se member of the storage space. fixed using

상기 지지패드는 상하측부재(351,352) 및 좌우측부재(361,362)가 반으로 접혔을 때 서로 접촉하거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하측부재(351,352)의 각 지지패드(351a,351b,352a,352b)의 양단부가 대각선 방향으로 절단되어 제거된다.The support pad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pads 351a, 351b, 352a, and 352b of the upper and lower members 351 and 352 to prevent contact or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when the upper and lower members 351 and 352 and the left and right side members 361 and 362 are folded in half. is cut diagonally and removed.

도 12 내지 도 15에는 수납공간부(622)에 구성되는 메인 칸막이패드(320)가 베이스부재의 중앙에 1개만 구성된 구조가 예시되어 있으나 메인 칸막이패드(320)를 배낭의 사이즈에 따라 상하로 복수개 구성하여 소형 수납공간의 수를 확장할 수 있다.12 to 15 illustrate a structure in which only one main partition pad 320 configured in the storage space 62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se member, but a plurality of main partition pads 320 are arranged vertical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ackpack. It can be configured to expand the number of small storage spaces.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배낭(600)은 제2 배낭부재(620)의 수납공간부(622)에 물품을 넣어 사용하는 상태로 배낭을 꾸려 어깨에 메면 도 16과 같은 구조가 된다. 물론 도 16은 제2 배낭부재(620)의 수납공간부(622)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배낭의 적재 중량이 적어 배낭이 처질 염려가 없을 경우 고박용 돌출프레임(700)을 배낭으로터 분리하여도 된다.The backpack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as shown in FIG. Of course, since FIG. 16 uses only the storage space 622 of the second backpack member 620, the protruding frame 700 for securing the backpack may be separated from the backpack if there is no fear of sagging of the backpack due to the low loading weight of the backpack. .

본 발명의 고박수단을 구성하는 고박용 돌출프레임(700)은 도 6 및 도 9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도 17, 도 18, 도 19, 도 20과 같이 배낭의 상부로 돌출된 가로 폴대(770)에 다양한 구조의 머리 받침대(800)를 설치하여 배낭 이용자의 머리나 목을 받쳐줄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The securing protruding frame 700 constituting the secur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FIGS. 6 and 9, and the transverse pole (770) protrudes upward from the backpack as shown in FIGS. 17, 18, 19, and 20. ), it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head or neck of the backpack user by installing the headrest 800 of various structures.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배낭(600)은 상기 예시된 도면 구조 및 설명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목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backpack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structure and description,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배낭에 수용되는 물품 등을 배낭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물품의 부피나 하중이 클 경우 배낭이 처지지 않도록 고박하는데 이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easily and stably fix items, such as items accommodated in a backpack, to the backpack, and to secure the backpack so that the backpack does not sag when the volume or load of the item is large.

320 - 메인 칸막이패드
331,332 - 보조 칸막이패드
335,650a,650b - 벨크로
351 - 상측부재
351a,351b - 상측부재의 지지패드
352 - 하측부재
352a,352b - 하측부재의 지지패드
361 - 좌측부재
361a,361b - 좌측부재의 지지패드
362 - 우측부재
362a,362b - 우측부재의 지지패드
500,600 - 배낭
510,610 - 제1 배낭부재
511,521,611,621,631 - 파스너
512,522,612,622 - 수납공간부
622a,622b,622c,622d - 소형 수납공간부
520,620 - 제2 배낭부재
530,630 - 어깨끈
540,640 - 보조적재부
550,659 - 버클
610a - 제1 배낭부재의 배면
610b - 제1 배낭부재의 배면의 테두리
615 - 등판
619 - 보조 주머니
620a - 제2 배낭부재의 전면
620b - 제2 배낭부재의 전면의 테두리
641,642 - 어깨지지대
640a,640b - 보조적재부의 패널
650 - 허리지지대
655 - 등지지대
656 - 허리지지벨트
657 - 허리지지벨트 고정구
658 - 보조 고정벨트
671,672 - 보조적재부용 메인 고정벨트
680,690 - U자형 탄성봉
700 - 고박용 돌출프레임
710,720,730,740,770 - 폴대
750,760 - 폴대 결합뭉치.
751,761 - 벨트 지지구
755,765 - 회동축
800 - 머리 받침대
840 - 가압부재
850 - 베이스체
851 - 나사산
852 - 봉체
853 - 고정부재
860 - 가압 스토퍼
2900 - 폴대 결합부재
320 - Main partition pad
331,332 - Auxiliary partition pad
335,650a,650b - Velcro
351 - upper member
351a, 351b - Support pad of upper member
352 - lower member
352a, 352b - Support pad of the lower member
361 - Left member
361a, 361b - Support pad of the left member
362 - right side member
362a, 362b - Support pad of the right side member
500,600 - Backpack
510,610 - 1st backpack member
511,521,611,621,631 - fasteners
512,522,612,622 - storage space
622a, 622b, 622c, 622d - small storage space
520,620 - 2nd backpack member
530,630 - shoulder strap
540,640 - Auxiliary loading part
550,659 - Buckle
610a - the back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610b - rim of the rear side of the first backpack member
615 - Climb
619 - Auxiliary Pouch
620a -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backpack member
620b - front edge of the second backpack member
641,642 - shoulder support
640a, 640b - Panel of auxiliary loading part
650 - Lumbar Support
655 - Back Support
656 - Lumbar support belt
657 - Lumbar Support Belt Fixture
658 - Auxiliary fastening belt
671,672 - Main fixing belt for auxiliary loading part
680,690 - U-shaped elastic bar
700 - Protruding frame for fixing
710,720,730,740,770 - pole
750,760 - Pole joint bundle.
751,761 - Belt support
755,765 - Pivot shaft
800 - Headrest
840 - Pressing member
850 - base body
851 - Thread
852 - Bongche
853 - Fixing member
860 - Pressurization Stopper
2900 - pole coupling member

Claims (3)

배낭 등판의 양측에 어깨끈을 구비하는 배낭부재와, 상기 배낭부재를 고정하는 벨트와, 상기 배낭부재가 어깨로 부터 처지지 않도록 상기 배낭을 고박하는 고박수단을 구비하는 배낭에 있어서,
상기 고박수단은 상기 배낭의 등판에 고정되어 상기 배낭의 상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노출되어 연장되게 구성되는 고박용 돌출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박용 돌출프레임은 제1 폴대 결합부를 개재하여 길이 방향으로 인입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각각 한쌍의 좌,우측 폴대와,
제2 폴대 결합부를 개재하여 상기 양측의 좌,우측 폴대 상단을 연결하여 상기 배낭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가로 폴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폴대 결합부는 인접 폴대의 양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서로 인접하는 폴대가 회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
A backpack having a backpack member having shoulder straps on both sides of a backpack backboard, a belt for fixing the backpack member, and a securing means for securing the backpack so that the backpack member does not sag from the shoulder,
The securing means is made of a protruding frame for securing that is fixed to the back of the backpack and is configured to be exposed and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backpack,
The protruding frame for fixing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poles configured to be drawn in and o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first pole coupling part,
It consists of a horizontal pol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ckpack by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poles on both sides through the second pole coupling part,
The second pole coupling part is configured so that the poles adjacent to each other are diffracted based on both ends of the adjacent po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대 결합부는 서로 인접하는 폴대의 인입출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ole coupling part is a backpack, characterized in that a stopper for regulating the withdrawal of the poles adjacent to each other is configu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박용 돌출프레임은 상기 배낭의 등판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
According to claim 1,
The backp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frame for fixing is detachably fixed to the back of the backpack.
KR1020210175954A 2021-12-09 2021-12-09 Backpack KR202300872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954A KR20230087211A (en) 2021-12-09 2021-12-09 Back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954A KR20230087211A (en) 2021-12-09 2021-12-09 Backpa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211A true KR20230087211A (en) 2023-06-16

Family

ID=86948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954A KR20230087211A (en) 2021-12-09 2021-12-09 Backp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721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883B1 (en) 2020-01-21 2020-10-07 유태환 Backpa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883B1 (en) 2020-01-21 2020-10-07 유태환 Backp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4265A (en) Rucksack
US6651853B2 (en) Backpack frame, suspension, seat and cot
KR102424292B1 (en) Backpack
US8950644B2 (en) Backpack frame system
US6626342B1 (en) Backpack having a modular frame
US20060207956A1 (en) Hanging organizer
US6135334A (en) Backpack attachment device
US20020153402A1 (en) Ergonomic bookpack
US5533654A (en) Support apparatus
KR20090108663A (en) System for cinching a resilient luggage case
US5792083A (en) Arm sling
KR20000075957A (en) Chair pack
US4392598A (en) Convertible backpack chair
US5570829A (en) Backpack for carrying a foldable chair
US5562204A (en) Foldable carrying case
CA2166316A1 (en) Expanded carrying system
US20130043292A1 (en) Load management system for backpacks and other wearable packs with shoulder straps
KR102342208B1 (en) Backpack
KR20230087211A (en) Backpack
US20160051054A1 (en) Foldable chair with strap
US8376102B2 (en) Garment organizing assembly and method
US4809896A (en) Backpack harness
KR102384461B1 (en) Backpack
US20130020368A1 (en) Ergonomic backpack
KR20230087185A (en) Back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