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7141A -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능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능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7141A
KR20230087141A KR1020210175830A KR20210175830A KR20230087141A KR 20230087141 A KR20230087141 A KR 20230087141A KR 1020210175830 A KR1020210175830 A KR 1020210175830A KR 20210175830 A KR20210175830 A KR 20210175830A KR 20230087141 A KR20230087141 A KR 20230087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present disclosure
scs
logica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섭
장재혁
아닐 에기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5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7141A/ko
Priority to PCT/KR2022/020053 priority patent/WO2023106891A1/ko
Publication of KR20230087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은 신규 단말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를 기지국에 보고하여, 단말이 버퍼(buffer) 오버 플로우(overflow)로 인한 패킷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레이어 2 버퍼 사이즈(layer 2 (L2) buffer size)를 줄이기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능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terminal capability in a next-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본 개시는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능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단말에게 필요한 토탈 레이어 2 버퍼 크기(total L2 buffer size)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에게 필요한 토탈 레이어 2 버퍼 크기(total L2 buffer size)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신규 단말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를 제안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은 신규 단말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를 기지국에 보고하여, 단말이 버퍼(buffer) 오버 플로우(overflow)로 인한 패킷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레이어 2 버퍼 사이즈(layer 2 (L2) buffer size)를 줄일 수 있다.
도 1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NR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및 NR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단말 능력(capability) 정보를 요청 및 보고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UECapabilityEnquiry를 통해 RAT(Radio Access Technology) 타입(type)이 nr(new radio)인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단말 능력(capability) 보고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지원하는 특정 밴드 조합(band combination)과, 이에 적용되는 기능 세트 조합(Feature set combination)에 대해 토탈 레이어 2 버퍼 사이즈(total layer 2 (L2) buffer size)를 계산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리 채널 (Logical Channel)을 비대칭적 SCS(subcarrier spacing)를 사용하는 캐리어(Carrier)들에게 동시에 매핑(mapping)시키는 것에 제약을 가했을 때, 요구되는 토탈 레이어 2 버퍼 사이즈(total layer 2 (L2) buffer size)가 감소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매핑에 제한을 두는 새로운 UE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가 도입되었을 때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시그널링 동작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논리 채널 (Logical Channel)을 비대칭적 SCS(subcarrier spacing)를 사용하는 캐리어(Carrier)들에게 동시에 매핑(mapping)시키는 것에 제약이 있음을 기지국에게 알리기 위해 정의된 UE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매핑(mapping)에 제한을 두는 새로운 UE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 값 설정 및 보고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10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매핑(mapping)에 제한을 두는 새로운 UE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를 기지국이 수신 했을 때 이를 기반으로 단말에게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설정을 수행하는 동작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11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맵핑(mapping)에 제한을 두는 새로운 UE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가 주어졌을 때 토탈 레이어 2 버퍼 사이즈(total layer 2 (L2) buffer size)를 계산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면,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과 신호(signal)는 데이터 혹은 제어 신호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물리 채널을 지칭하는 용어이지만, PDSCH는 데이터를 지칭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서, '물리 채널을 송신한다'는 표현은 '물리 채널을 통해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신한다'는 표현과 동등하게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서, 상위 시그널링은 기지국에서 물리 계층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로, 또는 단말에서 물리 계층의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신호 전달 방법을 뜻한다. 상위 시그널링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또는 MAC(media access control)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개시는 3GPP NR(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R (New Radio)) 또는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개시가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gN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eNB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eNB로 설명한 기지국은 gNB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단말이라는 용어는 핸드폰, MTC 기기, NB-IoT 기기, 센서뿐만 아니라 또 다른 무선 통신 기기들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기지국은 단말의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gNodeB (gNB), eNode B (eNB), NodeB, BS (Base Station),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말(terminal)은 UE (User Equipment), MS (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능력(UE capability)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3GPP 5G NR (New Radio) 에서, 단말이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을 비대칭적 SCS (Subcarrier Spacing) 를 갖는 carrier (예를 들면, 서로 다른 SCS 값을 갖는 복수 개의 캐리어) 들에게 매핑 시키는 것과 관련된 능력을 보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메모리 사용에 제약이 있는 단말이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을 비대칭적 SCS (Subcarrier Spacing)를 갖는 carrier 들에게 매핑시키는 것과 관련된 UE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를 보고함으로써, 요구되는 L2 buffer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개시를 통해, 메모리 사용에 제약이 있는 단말은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을 비대칭적 SCS (Subcarrier Spacing)를 갖는 carrier 들에게 매핑시키는 것과 관련된 UE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를 보고할 수 있고, 기지국은 이에 기반하여 단말의 능력을 고려한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설정을 수행 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의 능력을 고려한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설정을 통해, 단말이 버퍼(buffer) 오버 플로우(overflow)로 인한 패킷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해야 하는 레이어 2 버퍼 사이즈(layer 2 (L2) buffer size)가 작아 질 수 있다.
도 1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NR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여러 개의 기지국들(예: gNB(a-05), ng-eNB(a-10), ng-eNB(a-15), gNB(a-20))과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a-25) 및 UPF (User Plane Function) (a-30)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a-35)은 기지국들(예: gNB(a-05), ng-eNB(a-10), ng-eNB(a-15), gNB(a-20)) 및 UPF(a-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에서, 기지국들(예: gNB(a-05), ng-eNB(a-10), ng-eNB(a-15), gNB(a-20))은 셀룰러 망의 접속 노드로서 망에 접속하는 단말들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지국들(예: gNB(a-05), ng-eNB(a-10), ng-eNB(a-15), gNB(a-20))은 사용자들의 트래픽을 서비스하기 위해 단말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쥴링을 하여 상기 단말들과 코어 망(CN, Core network; 특히 NR의 CN을 5GC라 칭함)간에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통신에서 실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과 관련된 사용자 평면(User Plane, UP)과 연결 관리 등과 같은 제어 평면(Control Plane, CP)이 나누어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gNB(a-05) 및 gNB(a-20)는 NR 기술에서 정의한 UP 및 CP 기술을 사용하며, ng-eNB(a-10) 및 ng-eNB(a-15)는 비록 5GC와 연결되어 있으나 LTE 기술에서 정의한 UP 및 CP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MF(a-25)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들과 연결되며, UPF(a-30)는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일종의 게이트웨이 장치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NR 무선 통신 시스템은,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를 포함할 수도 있다. SMF는 단말에게 제공되는 PDU(protocol data unit) 세션과 같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및/또는 NR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eNB에서 각각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b-05)(b-40), RLC(Radio Link Control)(b-10)(b-35), MAC (Medium Access Control)(b-15)(b-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b-05)(b-40)는 IP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하고,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한다)(b-10)(b-35)는 PDCP PDU(Protocol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한다. MAC(b-15)(b-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물리(physical, PHY) 계층(b-20)(b-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 또한 물리 계층에서도 추가적인 오류 정정을 위해, HARQ (Hybrid ARQ)를 사용하고 있으며, 수신단에서는 송신단에서 전송한 패킷의 수신여부를 1 비트로 전송한다. 상기 1비트 정보를 HARQ ACK/NACK 정보라 한다. 업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다운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LTE의 경우 PHICH (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NR의 경우 하향링크/상향링크 자원할당 등이 전송되는 채널인 PDCCH(Physical Dedicated Control CHannel)에서 해당 단말의 스케쥴링 정보를 통해 재전송이 필요한지, 새전송을 수행하면 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NR에서는 비동기 HARQ를 적용하기 때문이다.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업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나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PUCCH는 일반적으로 후술할 PCell의 상향링크에서 전송이 되지만, 기지국은 단말이 지원하는 경우, 해당 단말에게 후술할 SCell에 추가로 전송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PUCCH SCell이라 칭한다.
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과 기지국의 PDCP 계층의 상위에는 각각 RRC (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이 존재하며, 상기 RRC 계층은 무선 자원 제어를 위해 접속, 측정 관련 설정 제어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PHY 계층은 하나 혹은 복수 개의 주파수/반송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주파수를 동시에 설정하여 사용하는 기술을 반송파 집적 기술 (carrier aggregation, 이하 CA라 칭함)이라 한다. CA 기술이란 단말 (혹은 User Equipment, UE) 과 기지국 (E-UTRAN NodeB, eNB) 사이의 통신을 위해 하나의 반송파만 사용하던 것을, 주반송파와 하나 혹은 복수개의 부차반송파를 추가로 사용하여 부차반송파의 갯수만큼 전송량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다. 한편, LTE에서는 주반송파를 사용하는 기지국 내의 셀을 주셀 혹은 PCell (Primary Cell)이라 하며, 부반송파를 사용하는 기지국 내의 셀을 부셀 혹은 SCell (Secondary Cell)이라 칭한다.
도 3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단말 능력(capability) 정보를 요청 및 보고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단말(c-05)은 네트워크(또는 서빙 기지국)(c-10)(이하, 기지국(c-10)에 연결한 상태에서 해당 기지국(c-10)에게 단말이 지원하는 능력(capability)을 보고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c-15 단계에서, 기지국(c-10)은 연결 상태의 단말(c-05)에게 능력(capability) 보고를 요청하는 단말 능력 요청(UECapabilityEnquiry)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기지국(c-10)은 상기 UECapabilityEnquiry 메시지에 RAT 타입(type) 별 단말 능력(capability) 요청을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RAT 타입(type) 별 요청에는, 요청하는 주파수 밴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UECapabilityEnquiry 메시지는 하나의 RRC 메시지 컨테니어(container)에서 복수의 RAT type을 요청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c-10)은 각 RAT 타입(type) 별 요청을 포함한 UECapabilityEnquiry 메시지를 복수 번 포함해서 단말(c-05)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c-15 단계의 UECapabilityEnquiry 메시지가 한 번 전송되거나 복수 번 반복 될 수 있다.
c-20 단계에서, 단말(c-05)은 UECapabilityEnquiry 메시지에 대응하는 단말 능력 정보(UECapabilityInformation) 메시지를 구성하여, 해당 요청에 대한 응답을 매칭하여 기지국(c-10)에게 보고할 수 있다. 차세대 이통 통신 시스템에서는 NR, LTE, EN-DC를 비롯한 MR-DC에 대한 단말 능력(capability)이 요청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단말 능력 요청(UECapabilityEnquiry) 메시지는 단말(c-05)이 연결을 하고 기지국(c-10)이 안 이후, 초기에 전송될 수 있다. 다만, 기지국(c-10)이 필요할 때 어떤 조건에서도, 기지국(c-10)은 단말(c-05)에게 단말 능력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c-15 단계에서 기지국(c-10)이 단말(c-05)에게 UECapabilityInformation 메시지의 생성을 요청할 때, 조건 및 제한사항을 지시할 수 있는 필터링(filtering)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단말(c-05)이 가지고 있는 능력이 크더라도 기지국(c-10)에서 해당 능력을 처리하고 지원하지 못한다면, 해당 단말(c-05)의 능력을 보고받는 것은 의미가 없을 수 있다. 그러므로 기지국(c-10)은, 기지국(c-10)에게 필요한 단말 능력 정보만을 받기 위해 단말(c-05)이 보고하는 단말 능력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지국(c-10)이 단말(c-05)이 보고하는 단말 능력을 제한함으로써, 단말(c-05)이 보고하는 UECapabilityInformation 메시지의 사이즈가 줄어들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UECapabilityEnquiry를 통해 RAT 타입(type)이 nr(new radio)인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단말 능력(capability) 보고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 d-05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에 캠프 온(camp on)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셀에 캠프 온 할 수 있다.
- d-10 단계에서, 캠프 온을 완료한 단말은 네트워크와의 RRC 연결을 맺을 수 있다(establish RRC connection). 네트워크는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 모드)에 있는 단말의 무선 엑세스 능력(radio access capability) 정보가 필요한 경우, 단말에게 UECapabilityEnquiry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하나의 UECapabilityEnquiry 메시지에서 복수 개의 RAT 타입(type)을 요청할 수 있다. 다만, 도 4에는 RAT 타입(type)이 nr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도시되었다. 만약, nr 이외의 다른 RAT 타입(type)들이 함께 요청되는 경우, 요청된 정보는 각각의 RAT 타입(type)에 대응하는 표준에서 정의하는 단말 능력(UE capability) 정보를 수납하는 메시지 형태로 UECapabilityInformation에 함께 포함될 수 있다.
- d-15 단계에서, 단말은 RAT 타입(type)이 nr인 UE-CapabilityRAT-Request를 포함하는 UECapabilityEnquiry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 d-20 단계에서, 단말은 UECapabilityInformation 메시지에 포함되는 ue-CapabilityRAT-ContainerList 안에, 하나의 엔트리(entry)로서 UE-NR-Capability를 포함시킬 수 있고, 이때의 RAT 타입(type)을 nr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supportedBandCombinationList, featureSets 그리고 featureSetCombinations의 정보를 UECapabilityInformation 메시지에 포함 및 설정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도 4에서는 supportedBandCombinationList의 설정 과정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다. supportedBandCombinationList는 지원하는 밴드 조합(band combination)들로 구성된 리스트이며, 각 엔트리(entry)는 하나의 밴드 조합(band combination)에 관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단말은 필터링 정보인 capabilityRequestFilterCommon가 포함되어 있다면, 상기 필드에 포함된 필터링 기준에 따라 후보 밴드 조합 리스트(list of candidate band combinations)을 만들(compile)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밴드(band)는 frequencyBandListFilter에 포함된 밴드(band)이며 frequencyBandListFilter의 순서에 따라 우선순위가 정해질 수 있다. 또한 각 밴드 조합(band combination, BC)내의 각 밴드(band)의 파라미터 값들이 설정될 때, maxBandwidthRequestedDL, maxBandwidthRequestedUL, maxCarriersRequestedDL, maxCarriersRequestedUL, ca-BandwidthClassDL-EUTRA 또는 ca-BandwidthClassUL-EUTRA이 수신되었다면, 각 파라미터 값은 상기 수신된 값을 넘을 수 없다.
- d-3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후보 밴드 조합 리스트(list of candidate band combinations)로부터 가능한 한 많은 수의 NR-only band combinations을 추려 supportedBandCombinationList에 포함시킬 수 있다.
- d-35 단계에서, 단말은 featureSetCombinations와 featureSets를 포함하여 완성된 UECapabilityInformation 메시지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규격 TS 38.305에 정의된 5G NR에서 단말에게 요구되는 토탈 레이어 2 버퍼 사이즈(Total layer 2 buffer size)를 계산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표 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단말에게 요구되는 Total layer 2 buffer size는 모든 라디오 베어러(radio bearer) 에 대해 RLC transmission windows, RLC reception widnow, RLC reassembly window, PDCP reordering window 를 모두 저장하는데 필요한 바이트(byte) 수의 총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전술된 정의에 따라 요구되는 total layer 2 buffer size의 계산식은 MR-DC 및 NR-DC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나누어서 정의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용이를 위해 <표 1>에서 밑줄이 쳐져 있는 계산식 (MR-DC 및 NR-DC가 아닌 경우)에 초점을 맞춰서 발명의 주요 실시예들이 서술되지만, 하기 서술된 모든 내용들은 MR-DC 및 NR-DC인 경우에도 같은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단말에게 요구되는 total layer 2 buffer size는, 상기 도 4에서와 같이 단말이 기지국에게 보고한 UECapability information내 여러 밴드 조합(band combination) 및 이에 대응되는 기능 세트 조합(feature set combination) 각각에 대해 계산된 layer 2 buffer size 값 중 최대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표 1에서 밑줄로 표시된 total layer 2 buffer 계산식을 보면, Layer 2 buffer size는 DL Date rate 최대값과 RLC RTT를 곱해서 얻은 값에, UL Data rate 최대값과 RLC RTT를 곱해서 얻은 값을 더하는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이때, 계산식에서 사용되는 RLC RTT (round trip time) 값은 해당 밴드 조합(band combination)과 이에 대응되는 기능 세트 조합(feature set combination)에서 가장 작은 SCS (Subcarrier Spacing)에 해당되는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작은 SCS 값이 30KHz인 경우, 이에 대응되는 RLC RTT 값인 40ms가 total layer 2 buffer size 계산식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지원하는 특정 밴드 조합(band combination)과, 이에 적용되는 기능 세트 조합(Feature set combination)에 대해 토탈 레이어 2 버퍼 사이즈(total layer 2 buffer size)를 계산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예시로 주어진 밴드 조합(band combination) 및 이에 대응되는 기능 세트 조합(feature set combination)에 포함된 캐리어(Carrier)(e-10)는 C1, C2, C3로 3개이며, 각각 밴드(Band)(e-05) B1, B2, B3에서 운용될 수 있다. 이때, L2 버퍼 사이즈(buffer size)(e-35)를 결정하는 수식 내의 MaxDLDataRate(e-40)는 각 캐리어(carrier)들의 MaxDLDataRate(e-15)의 총합을 의미할 수 있고, MaxULDataRate(e-45)는 각 캐리어(carrier) 들의 MaxULDataRate(e-20)의 총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마지막 RLC RTT(e-50)는 캐리어(Carrier) C1, C2, C3 의 SCS(e-25) 값 중 가장 작은 값인 15kHz에 대응되는 RLC RTT 값이 될 수 있다.
3GPP Rel-17에서는 NR의 동작 범위를 52.6GHz에서 71GHz까지 확장하기 위한 규격 정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해당 Work Item (WI)은 하기 표 2와 같이 정의되어 있다.
From WID RP-210862
In addition to 120kHz SCS, specify new SCS, 480kHz and 960kHz, and define maximum bandwidth(s), for operation in this frequency range for data and control channels and reference signals, only NCP supported.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52.6GHz 이상으로 NR의 동작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해 새로운 SCS 값 480kHz 및 960kHz를 도입하고, 최대 대역폭(bandwidth)을 새로 정의하는 것이 WI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RAN1에서 새로 도입된 480kHz 및 960kHz SCS를 사용하면서 기존과 같이 최대 275PRB(physical resource block)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다. 이는 기존과 같이 사용 가능한 최대 PRB 수는 275로 같게 유지되어도 더 큰 SCS 값에 의해 symbol duration이 짧아지면서 더 높은 Data rate을 제공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960kHz는 15kHz에 비해 64배 짧은 symbol duration을 갖고 최대 64배 이상의 Data rate을 제공 할 수 있다.) 이는 전술된 Total L2 buffer size 계산식에서 MaxDLDataRate 및 MaxULDataRate 값이 매우 커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국, 이에 따라 단말에게 요구되는 Total L2 buffer size가 기존보다 매우 커질 수 있다.
한편, 전술된 Total L2 buffer 계산식에서 RLC RTT 값은 새로 도입된 SCS 480kHz 및 960kHz에서 더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RLC RTT 값은 Data Rate의 증가를 상쇄 시킬 수도 있다. 하지만, 실제 SCS 값 증가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Data rate에 비해 RLC RTT 값은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요구되는 Total L2 buffer size는 기존보다 매우 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5의 예와 같이, 해당 밴드 조합(band combination) 및 기능 세트 조합(feature set combination)에 포함된 캐리어(carrier)의 SCS 중 가장 작은 값의 SCS에 대응되는 RLC RTT 값이 L2 buffer size 계산식에서 사용된다. 그래서 경우에 따라 RLC RTT는 그대로 유지되면서 MaxDataRate은 기하급수적으로 커질 수 있고 결국 L2 buffer size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커질 수 있다.
단말에 요구되는 토탈 레이어 2 버퍼 사이즈(total layer 2 (L2) buffer size)가 커지지는 경우, 단말이 레이어 2 버퍼 사이즈를 위해 준비해야 하는 메모리의 크기가 증가하면서 단말의 제조 단가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능력에 제한에 있는 단말의 경우 메모리 부족으로 인해 52.6GHz 이상에서 120kHz 이상의 SCS를 갖고 운용되는 캐리어(carrier)가 포함된 밴드 조합(band combination)은 지원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단말 능력에 따라 요구되는 토탈 레이어 2 버퍼 사이즈(total layer 2 (L2) buffer size)를 줄이기 위해,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을 비대칭적 SCS (Subcarrier spacing)를 갖는 캐리어(Carrier)들에게 동시에 매핑 시키는 것에 제약을 요구 할 수 있도록 하는 UE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를 새롭게 정의한다. 단말이 새롭게 정의된 UE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를 기지국에게 보고하면, 기지국은 이를 기반으로 단말이 실제 논리 채널 매핑(Logical channel mapping)시 지원 가능한 SCS (Subcarrier spacing) 조합을 판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리 채널 (Logical Channel)을 비대칭적 SCS(subcarrier spacing)를 사용하는 캐리어(Carrier)들에게 동시에 매핑시키는 것에 제약을 가했을 때 요구되는 토탈 레이어 2 버퍼 사이즈(total layer 2 (L2) buffer size)가 감소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을 비대칭적 SCS (Subcarrier spacing)를 갖는 캐리어(Carrier)들에게 동시에 매핑 시키는 것에 제약을 가했을 때 요구되는 Total L2 buffer size가 감소되는 예시를 확인 할 수 있다. 기존과 같이 논리 채널 매핑(Logical channel mapping)에 아무런 제약이 없는 경우 RLC entity1(f-05)에 대응되는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이 15 kHz SCS를 갖는 CC (Component Carrier) 1 (f-15)과 960 kHz SCS를 갖는 CC2 (f-20)에 동시에 매핑 된다. 이때 상기 도 5에서 전술된 레이어 2 버퍼 크기(L2 buffer size) 계산 방법에 따라 이 캐리어 조합에서 요구되는 레이어 2 버퍼 크기는 약 957Mbytes (f-45)로 계산된다. 반면,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을 비대칭적 SCS (Subcarrier spacing)를 갖는 캐리어(Carrier)들로 동시에 매핑 시키는 것에 제약을 주면, RLC entity1(f-25)과 RLC entity2(f-30)에 대응되는 논리 채널(logical channel)들을 각각 15 kHz SCS (Subcarrier spacing)를 갖는 CC (Component Carrier) 1 (f-35)과 960 kHz SCS를 갖는 CC2 (f-40)에 분리해서 매핑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5에서 전술된 레이어 2 버퍼 크기(L2 buffer size) 계산 방법에 따라 이 캐리어 조합에서 요구되는 2 버퍼 크기(L2 buffer size)는 약 115Mbytes (f-50)로 계산된다. 상기 예시에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을 비대칭적 SCS (Subcarrier spacing)를 갖는 캐리어(Carrier)들로 동시에 매핑 시키는 것에 제약을 주었을 때, 요구되는 전체 레이러 2 버퍼 크기(Total L2 buffer size)가 약 88% 감소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도 6에서 레이어 2 버퍼 크기(L2 buffer size)를 계산 할 때 사용된 캐리어(Carrier) 별 상향/하향링크 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의 상세 계산 식은 하기 표 3의 내용과 같다. (하기 data rate 계산식은 3GPP 규격 TS 38.306을 참조하였다.)
[표 3]
Figure pat00002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단말에게 요구되는 토탈 레이어 2 버퍼 크기(Total L2 buffer size)를 줄일 수 있도록 논리 채널 (Logical Channel)을 비대칭적 SCS(subcarrier spacing)를 사용하는 캐리어(Carrier)들에게 동시에 매핑시키는 것에 제약을 주기 위해 새로운 UE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를 도입할 때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도 7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매핑에 제한을 두는 새로운 UE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가 도입되었을 때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시그널링 동작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를 참조하면,
- g-15 단계에서 기지국(g-10)은 단말(g-05)에게 단말의 능력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UECapabilityEnquiry를 전송 할 수 있다.
- g-20 단계에서 단말(g-05)은 새롭게 정의된 단말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를 UECapabilityInformation 메시지에 포함시켜 기지국(g-10)에게 보고 할 수 있다.
- g-25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이 보고한 UECapabilityInformation 메시지를 바탕으로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을 비대칭적 SCS를 갖는 캐리어(Carrier)들에게 동시에 매핑시키는 것에 대해 단말단 제약이 있는지 확인 후,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설정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해당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설정 정보를 포함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달 할 수 있다.
- g-30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이 지시한 설정을 성공적으로 적용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단말이 보고한 논리 채널 매핑(Logical channel mapping) 관련 UE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를 고려한 무선 베어러 (Radio Bearer) 설정이 완료될 수 있다.
도 8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논리 채널 (Logical Channel)을 비대칭적 SCS(subcarrier spacing)를 사용하는 캐리어(Carrier)들에게 동시에 매핑시키는 것에 제약이 있음을 기지국에게 알리기 위해 정의된 UE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를 참조하면, 새롭게 정의된 단말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rameter)는 크게 두 가지 방식 (h-05 또는 h-20)으로 정의 될 수 있다.
- 첫 번째 방식 (h-05)의 경우에는 단말이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을 모든 캐리어(carrier) 들에게 제약 없이 동시에 매핑 할 수 있도록 지원 하는지, 아니면 단말이 논리 채널을 모든 캐리어에 제약 없이 동시에 매핑하는 것을 지원하지 못해서, 규격에서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에 함께 매핑이 가능한 SCS(Subcarrier spacing)의 조합을 미리 정의하고, 해당 SCS 조합에 해당되는 캐리어(carrier)들만 함께 매핑 되도록 제약이 필요한지 여부를 알려주는 1bit 지시자로 단말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가 정의될 수 있다. 이때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에 함께 매핑 가능한 SCS의 조합을 나누는 방식에 따라 두 가지 세부 방식 (h-10 또는 h-15)으로 정의가 가능하다.
■ 선택 A형 방식(h-10)의 경우 SCS를 120 kHz 이하 (15 kHz, 30kHz, 60kHz, 120kHz)와 480 kHz 이상 (480 kHz, 960 kHz) 두 가지 조합으로 나누는 경우이다. 기존에 정의된 FR1 (Frequency Range 1: 410MHz ~ 7.125GHz), FR2-1 (Frequency Range 2-1: 24.25 ~ 52.6 GHz)에서 지원되던 SCS 값들과 새롭게 도입된 FR2-2 (Frequency Range2-2: 52.6 ~ 71 GHz)에서 새롭게 도입된 SCS (Subcarrier spacing) 값들을 묶어서 두 개의 조합을 만드는 방식이다.
■ 선택 B형 방식 (h-15)의 경우 SCS 값들을 모두 분리시켜서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이 특정 SCS 값을 사용하는 캐리어(carrier) 들로만 매핑 될 수 있도록 제한하는 방식이다.
첫 번째 방식 (h-05)에서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에 함께 매핑 가능한 SCS 조합을 구성하는 방식은 상기 제시된 두 가지 세부 방식 (h-10 및 h-15) 이외에도 다양하게 정의 될 수 있다.
- 두 번째 방식 (h-20)은 단말이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에 함께 매핑(mapping) 할 수 있는 지원 가능한 모든 SCS (Subcarrier spacing) 조합을 기지국에게 알려 줄 수 있도록 정의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새롭게 정의된 단말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는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에 함께 매핑(mapping)이 가능한 SCS 조합을 List 형태로 지시하도록 정의 될 수 있다. 두 번째 방식은 첫 번째 방식과 달리 고정된 SCS 조합을 사용하지 않고 단말이 가변적으로 지원 가능한 SCS 조합을 설정 및 보고할 수 있기 때문에 논리 채널 매핑(logical channel mapping)에 대한 제약을 보고할 때 첫 번째 방식보다 큰 자유를 갖게 된다. 반면에 1bit 지시자로 정의되는 첫번째 방식에 비해 시그널링 부하는 증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단말이 비대칭적 SCS를 사용하는 캐리어(carrier)에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을 매핑시키는데 있어서 제약이 있음을 기지국에게 알리기 위한 단말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는 다양한 타입으로 정의 될 수 있다. 해당 파라미터가 보고하는 제약 사항을 단말이 보고하는 모든 밴드 조합(band combination)과, 이에 적용되는 기능 세트 조합(Feature set combination)에 적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파라미터를 3GPP 규격 TS 38.306에서 정의하는 General Parameter 로 정의 할 수 있다. 반면, 해당 제약사항을 특정 밴드 조합(band combination)과, 이에 적용되는 기능 세트 조합(Feature set combination) 별로 따로 보고하고자 하면 해당 파라미터를 BandCombinationList 파라미터 또는 FeatureSetDownlink 파라미터로도 정의 할 수 있다. 상기 서술된 파라미터 타입 이외에도 요구되는 제한 설정 범위에 따라 본 개시에서 정의되는 파라미터는 다양한 타입으로 정의 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매핑(mapping)에 제한을 두는 새로운 UE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 값 설정 및 보고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 i-01 단계에서 단말은 도 4의 d-30 단계의 결과물로 생성된 supportedBandCombinationList(i-01)를 입력 인자로 받아서 동작을 시작 할 수 있다.
- i-05 단계에서 단말은 각 밴드 조합(band combination)과, 이에 적용되는 기능 세트 조합(Feature set combination) 별로 필요한 레이어 2 버퍼 크기(L2 buffer size)를 계산할 수 있다.
- i-10 단계에서 단말은 각 밴드 조합(band combination)에 대해 계산된 L2 buffer size 중 가장 큰 값을 Total L2 buffer size로 결정 할 수 있다.
- i-15 단계에서, 단말은 지원되는 메모리의 크기(supported memory size)와 상기 i-10 단계에서 결정된 Total L2 buffer size를 비교할 수 있다.
- i-15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가 'Yes' 인 경우, 예를 들어, 요구되는 토탈 레이어2 버퍼 크기(total L2 buffer size)가 지원 가능한 메모리 크기(supported memory size) 보다 작거나 같으면, i-2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도 8에서 정의된 논리 채널 매핑(Logical channel mapping) 관련 단말 능력 파라미터 (UE capability parameter)를 포함하지 않고, 기지국에게 단말 능력(UE capability)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 반면, 상기 i-15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가 'No' 인 경우, 예를 들어 required total L2 buffer size가 supported memory size 보다 큰 경우, i-25 단계에서 단말은 지원되는 메모리의 크기를 기반으로, 상기 도 8에서와 같이 정의된 논리 채널 매핑(Logical channel mapping) 관련 단말 능력 파라미터 (UE capability parameter)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밴드 조합(band combination)과, 이에 적용되는 기능 세트 조합(Feature set combination)에 대해 요구되는 L2 buffer size를 상기 도 5에서 전술된 방식으로 계산하였을 때 계산된 Required L2 buffer size 값이 단말이 지원 가능한 메모리 크기를 초과하였다면, 단말은 해당 밴드 조합(band combination)과, 이에 적용되는 기능 세트 조합(Feature set combination)에 대해서는 비대칭적 SCS를 동일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에 매핑 시키는 것을 지원하지 않음으로써 요구되는 L2 buffer size를 감소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h-10 방식으로 새로운 단말 능력 파라미터 (UE capability parameter)가 정의되었다면, 120 kHz 이하 SCS를 사용하는 carrier와 480 kHz SCS를 갖는 carrier를 동시에 포함하는 Band Combination에서 요구되는 L2 buffer size가 단말이 지원 가능한 메모리의 크기를 초과했을 때, 해당 밴드 조합(Bandcombination)에 대해 단말은 능력 파라미터를 'Not supported'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단말은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이 120 kHz 이하 SCS를 사용하는 캐리어(carrier)와 480 kHz 이상 SCS를 사용하는 carrier에 동시에 매핑(mapping) 되는 것에 제약을 가함으로써 도 6의 도면부호 f-50에서와 같이 계산된 L2 buffer size 를 줄일 수 있다.
도 10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매핑(mapping)에 제한을 두는 새로운 UE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를 기지국이 수신 했을 때 이를 기반으로 단말에게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설정을 수행하는 동작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0를 참조하면,
- j-01 단계에서 기지국은 UE로부터 UECapabilityInformation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 이후 j-05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이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을 비대칭적 SCS를 사용하는 캐리어(carrier)들에게 동시에 매핑(mapping) 시키는 것과 관련해서 단말이 보고한 제약 사항이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제약 사항은 상기 도 8에서와 같이 새롭게 정의된 단말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를 통해서 단말로부터 보고 될 수 있다.
- j-05 단계에서 기지국이 UECapabilityInformation을 확인 했을 때 만약 논리 채널 매핑(Logical channel mapping)에 관해 단말로부터 보고된 제약 사항이 없었다면, j-15단계에서 기지국은 기존 방식대로 별다른 제약 사항 없이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j-25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j-15 단계에서 결정한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설정 정보를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에 담아서 전송 할 수 있다.
- 반대로 j-05 단계에서 기지국이 UECapabilityInformation을 확인 했을 때 만약 논리 채널 매핑(Logical channel mapping)에 대해 단말로부터 보고된 제약사항이 있었다면, j-10 단계에서 기지국은 이러한 제약사항을 고려해서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을 설정 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이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별로 설정 정보에 해당 채널을 특정 SCS 값을 사용하는 캐리어(carrier)들에게 매핑 시키기 위한 정보를 포함해서 단말에게 전달 할 수 있다. 이때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설정의 경우 기지국이 자체적으로 논리 채널(logical channel)과 하위단에 존재하는 캐리어(carrier) 사이의 매핑 관계를 설정하고 단말에게는 따로 이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 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상향링크 데이터의 경우 해당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단말이 수행하기 때문에 단말에게 해당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을 어떤 carrier에 매핑(mapping) 시켜야 하는지 알려주기 위한 시그널링이 필요하다. 상기 시그널링을 위해서 기지국은 3GPP TS 38.331 규격에 정의된 LogicalChannelConfig IE에 포함되어있는 allowedSCS-List 또는 allowedSCS-List 파라미터를 사용 할 수 있다. 하기 표 4는 TS38.331에 정의된 LogicalChannelConfig IE의 ASN.1 코드와 allowedSCS-List 및 allowedSCS-List 파라미터에 대한 설명을 보여 준다.
[표 4]
Figure pat00003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LogicalChannelConfig IE 안에 포함된 allowedSCS-List 파라미터를 통해서 기지국은 특정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List에서 지시된 SCS 값들을 갖는 캐리어(Carrier)들로만 매핑(mapping) 시킬 수 있다. 다만, 현재 규격상 allowedSCS-List 안에 포함 될 수 있는 SCS 값의 범위가 FR2-2 (Frequency Range 2-2: 52.6 ~71 GHz)에서 지원되는 480 kHz, 960 kHz 값을 포함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포함시키기 위한 규격 변경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필요에 따라 allowedServingCells 파라미터를 통해서 특정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지시된 특정 serving cell로도 매핑(mapping) 시킬 수 있다. 그러나 allowedServingCells 파라미터의 ASN.1 Code를 보면 '-- Cond PDCP-CADuplication' 라는 TAG가 붙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해당 TAG는 allowedServingCells 파라미터가 PDCP-CA Duplication에 대한 설정이 있는 경우에만 함께 설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PDCP-CA Duplication 동작 시 PDCP 단에서 복사된 두 개의 패킷을 서로 다른 두 개의 RLC entity를 통해 각각 전송할 때, 각 RLC entity가 서로 다른 serving cell들 (서로 다른 캐리어들)에 매핑(mapping) 되도록 설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allowedServingCells 파라미터가 처음 정의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기 도 8에서와 같이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매핑(mapping)에 제한을 두는 새로운 UE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 도입되고, 상기 도입을 기반으로 기지국이 단말에게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데이터를 특정 serving cell 들로만 매핑(mapping) 하도록 지시하고자 하면 allowedServingCells 파라미터의 설정 조건에 대한 수정이 필요 할 수 있다.
도 11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맵핑에 제한을 두는 새로운 UE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가 주어졌을 때 토탈 레이어 2 버퍼 사이즈(total layer 2 (L2) buffer size)를 계산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 표 k-01은 도 8에서 선택 A 방식 (h-10)으로 UE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가 정의 되었을 때의 Total Layer 2 buffer size 계산 방식을 나타낸다. 선택 A 방식이 선택된 경우 동일 논리 채널(Logical Channel)로 함께 매핑 가능한 SCS 조합을 120 kHz 이하와 480 kHz 이상의 두 조합으로 나뉘게 된다. 따라서 각 조합에 대해서 요구되는 L2 buffer size를 각각 계산 할 수 있다. 120 kHz 이하 SCS를 갖는 캐리어 조합 (k-05)에 대해서 요구되는 L2 buffer size와 480 kHz 이상 SCS를 갖는 캐리어 조합 (k-10)에 대해서 요구되는 L2 buffer size를 각각 계산 한 후, 두 값을 더하는 방식으로 L2 단에서의 buffer overflow를 방지하기 위한 Total Layer2 buffer size를 계산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변형으로 좀 더 단순하게 두 조합 각각에 대해서 계산된 L2 buffer size 중에 최대값을 Total Layer2 buffer size로 사용 할 수도 있다. 다만 최대값을 Total Layer2 buffer size로 사용하는 경우, L2 단에서의 buffer overflow가 발생 할 수 있다.
- 표 k-02은 도 8에서 선택 B 방식 (h-15)으로 UE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가 정의 되었을 때의 Total Layer 2 buffer size 계산 방식을 나타낸다. 선택 B 방식이 선택된 경우 각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은 동일 SCS를 갖는 캐리어(carrier)들로만 매핑(mapping)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각 SCS별로 이에 해당되는 캐리어(carrier)조합에 대해서 요구되는 L2 buffer size를 각각 계산 할 수 있다. k-03 예시에서와 같이 15kHz SCS를 사용하는 캐리어 조합 (k-15), 60 kHz SCS를 사용하는 캐리어 조합 (k-20), 480kHz SCS를 사용하는 캐리어 조합 (k-25)에 대해서 요구되는 L2 buffer size를 각각 계산 한 후, 모든 값을 더하는 방식으로 L2 단에서의 buffer overflow를 방지하기 위한 Total Layer2 buffer size를 계산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변형으로 좀 더 단순하게 모든 조합 각각에 대해서 계산된 L2 buffer size 중에 최대값을 Total Layer2 buffer size로 사용 할 수도 있다. 다만 최대값을 Total Layer2 buffer size로 사용하는 경우, L2 단에서의 buffer overflow가 발생 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단말은 RF(Radio Frequency)처리부(12-10), 기저대역(baseband)처리부(12-20), 저장부(12-30), 및 제어부(12-4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의 구성은 도 12에 도시된 예시적 구성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12에 도시된 구성보다 더 적은 구성을 포함하거나, 더 많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RF 처리부(12-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F 처리부(12-10)는 기저대역처리부(12-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할 수 있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처리부(12-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에서는,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 되었으나, 단말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RF처리부(12-10)는 복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RF처리부(12-10)는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을 위해, RF처리부(12-10)는 복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RF처리부(12-10)는 MIMO를 수행할 수 있으며, MIMO 동작 수행 시 여러 개의 레이어를 수신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12-2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2-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2-20)는 RF처리부(12-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2-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2-20)는 RF처리부(12-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12-20) 및 RF처리부(1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저대역처리부(12-20) 및 RF처리부(12-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또는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나아가, 기저대역처리부(12-20) 및 RF처리부(12-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복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복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저대역처리부(12-20) 및 RF처리부(12-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무선 랜(예: IEEE 802.11), 셀룰러 망(예: L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NRHz, NR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기저대역처리부(12-20) 및 RF처리부(12-10)를 이용하여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신호는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30)는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2-30)는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2-30)는 제어부(12-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2-30)는 롬 (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30)는 복수 개의 메모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2-30)는 본 개시에 따른 핸드 오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12-40)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40)는 기저대역처리부(12-20) 및 RF처리부(12-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40)는 저장부(12-30)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고, 읽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4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2-40)는 다중 연결 모드로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다중 연결 처리부(12-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 내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2-40)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신규로 정의된 단말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를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2-40)는 상기 UE Capability Parameter를 UECapabilityInformation 메시지에 포함시켜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40)는 상기 UE Capability Parameter를 수신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UE Capability Parameter에 기반하여 설정된 논리 채널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4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설정 정보를 성공적으로 적용한 뒤에,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응답 메시지의 전송에 따라, 단말이 보고한 논리 채널 매핑 관련 UE Capability Parameter를 고려한 무선 베어러의 설정이 완료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의 기지국은 전술한 네트워크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RF처리부(13-10), 기저대역처리부(13-20), 백홀통신부(13-30), 저장부(13-40) 및 제어부(13-5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의 구성은 도 13에 도시된 예시적 구성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지국은 도 13에 도시된 구성보다 더 적은 구성을 포함하거나, 더 많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RF처리부(13-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F처리부(13-10)는 기저대역처리부(13-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할 수 있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처리부(13-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 되었으나, RF처리부(13-10)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RF처리부(13-10)는 복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RF처리부(13-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을 위해, RF처리부(13-10)는 복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RF처리부(13-10)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전송함으로써 하향 MIMO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13-20)는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3-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3-20)는 RF처리부(13-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FDM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3-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3-20)은 RF처리부(13-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13-20) 및 RF처리부(1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저대역처리부(13-20) 및 RF처리부(13-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통신부 또는 무선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은 기저대역처리부(13-20) 및 RF처리부(13-10)을 이용하여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신호는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백홀통신부(13-30)는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홀통신부(13-30)는 상기 주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보조기지국,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할 수 있다.
저장부(13-40)는 주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3-40)는 접속된 단말에 할당된 베어러에 대한 정보, 접속된 단말로부터 보고된 측정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40)는 단말에게 다중 연결을 제공하거나, 중단할지 여부의 판단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40)는 제어부(13-5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3-40)는 롬 (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40)는 복수 개의 메모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3-40)는 본 개시에 따른 핸드 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13-50)는 주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50)는 기저대역처리부(13-20) 및 RF처리부(13-10)를 통해 또는 백홀통신부(13-3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50)는 저장부(13-40)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고, 읽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50)는 다중 연결 모드로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다중 연결 처리부(13-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50)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에게 단말의 능력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UECapabilityEnquiry를 전송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로부터 신규로 정의된 단말 능력 파라미터(UE Capability Parameter)가 수신되면, 제어부(13-50)는 단말이 보고한 UECapabilityInformation 메시지를 바탕으로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을 비대칭적 SCS를 갖는 캐리어(Carrier)들에게 동시에 매핑시키는 것에 대해 단말단 제약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50)는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논리 채널 설정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50)는 상기 논리 채널 설정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용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 또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um)"는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설치된 하드 디스크, 및 신호 등의 매체를 전체적으로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본 개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능력을 보고하는 방법에 제공되는 구성 이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다른 일 실시예의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기지국과 단말이 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도 적용 가능하며,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 또한 실시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실시예들은 LTE 시스템, 5G, NR 시스템 또는 6G 시스템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05, a-10, a-15, a-20: 기지국
a-35: 단말

Claims (1)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신호 처리 방법.
KR1020210175830A 2021-12-09 2021-12-09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능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87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830A KR20230087141A (ko) 2021-12-09 2021-12-09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능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PCT/KR2022/020053 WO2023106891A1 (ko) 2021-12-09 2022-12-09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능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830A KR20230087141A (ko) 2021-12-09 2021-12-09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능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141A true KR20230087141A (ko) 2023-06-16

Family

ID=86731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830A KR20230087141A (ko) 2021-12-09 2021-12-09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능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87141A (ko)
WO (1) WO2023106891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82431B (zh) * 2017-12-28 2023-04-21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选择用于随机接入程序的带宽部分的方法和设备
EP3815450A1 (en) * 2018-06-28 2021-05-05 Convida Wireless, Llc Prioritization procedures for nr v2x sidelink shared channel data transmission
US11844147B2 (en) * 2019-01-10 2023-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for network coord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6891A1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4699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及び装置
US115337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327163B2 (en) User equipment and protocol and method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KR10250192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CN107667559B (zh) 在无线通信系统中使用不同的无线连接技术提供多连接的装置和方法
US114454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34024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to multip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s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51062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te-무선랜 병합 시 버퍼 상태를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US113166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artial frequency ban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3504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embedded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resume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12683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73626A (ko)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조건부 핸드오버의 실패 타이머 운용방법
CN111567095B (zh)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无线通信的方法和装置
KR2020011496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rlc 계층 장치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87141A (ko)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능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2536534A (ja) 切捨て識別インジケータ
KR20230094644A (ko)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발열 및 절전 모드 동작에 관련된 단말 보조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70024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40121688A1 (en) User equipment triggered l1 measurement and reporting for l1/l2 inter-cell mobility
KR10255228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02151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능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05234A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송수신 포인트를 통해 pucch 반복 전송이 적용될 경우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KR20230061853A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송수신포인트를 통해 pdcch 반복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287537A1 (en) Secret key verif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KR20210055471A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시에 여러 개의 pucch 자원과 연관된 빔을 업데이트 하는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