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6942A - Vibration reduction high place painting robot capable of driving - Google Patents

Vibration reduction high place painting robot capable of driv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6942A
KR20230086942A KR1020210175399A KR20210175399A KR20230086942A KR 20230086942 A KR20230086942 A KR 20230086942A KR 1020210175399 A KR1020210175399 A KR 1020210175399A KR 20210175399 A KR20210175399 A KR 20210175399A KR 20230086942 A KR20230086942 A KR 20230086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ibration
painting
paint spraying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3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정규
김민수
이성건
우광호
송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피
Priority to KR1020210175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6942A/en
Publication of KR20230086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9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75Manipulators for painting or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electric
    • B25J9/123Linear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은, 특정 시설의 내벽면을 도장하는데 있어서 진동을 저감시켜 도장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로봇으로, 도장이 필요한 특정 시설의 내벽면을 향하여 이동 가능한 주행부; 도료를 분사하기 위한 도료분사부; 상기 도료분사부가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료분사부를 지지하는 이동지지부; 및 상기 주행부가 상기 내벽면이 도장되기 위한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이동지지부 상에서 상기 도료분사부의 상기 전후 방향 또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내벽면의 제1 영역이 도장되면, 상기 제1 영역의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에 해당하는 제2 영역이 도장되도록, 상기 주행부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지지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이동지지부의 진동을 저감시켜 상기 도장의 품질이 보장되도록, 일측 방향 및 타측 방향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이동지지부와 연결되는 제1 승강부 및 제2 승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vibration-reducing travel-type aerial paint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bot for reducing vibration and guaranteeing the quality of painting in painting the inner wall of a specific facility, and a driving unit capable of moving toward the inner wall of a specific facility that requires painting. ; a paint spraying unit for spraying paint; a moving support unit supporting the paint spraying unit so that the paint spraying unit can be moved in a front-back direction or a left-right direction; and when the first region of the inner wall surface is painted by moving the driving part to a position for painting the inner wall surface, and then moving the position of the paint spraying part in the front-back direction or the left-right direction on the moving support part, and an elevating unit mounted on the traveling part to elevate the moving support unit so that the second area corresponding to the upper or lower direction of the first area is painted, wherein the lifting unit reduces vibration of the moving support unit. It may be characterized by having a first lifting part and a second lifting part respectively loc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moving support part so that the quality of the painting is guaranteed.

Description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Vibration reduction high place painting robot capable of driving}Vibration reduction high place painting robot capable of driving

본 발명은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폐수처리시설 등의 내벽면을 자동으로 도장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reducing travel-type aerial painting rob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bration-reduction travel-type aerial painting robot capable of automatically painting inner walls of sewage/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플랜트 설비의 가동 시 발생되는 폐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폐수 처리용 수조에 저장된 후 처리되는데, 이러한 폐수 처리용 수조는 상기 폐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방수 처리가 되어야 한다.Wastewater generated during plant operation is stored in a wastewater treatment tank providing a predetermined space and then treated. The wastewater treatment tank must be waterproofed to prevent the wastewater from leaking out.

이러한 폐수 처리용 수조의 방수를 위해 수조의 내면은 다양한 처리를 하게 되며, 예를 들어 방수 도료의 도포 면적을 넓히기 위한 그라인딩 공정 및 그라인딩 공정이 완료된 내면에 방수 도료를 도포하는 도장 공정이 대표적이다.To waterproof the wastewater treatment tank, the inner surface of the tank is subjected to various treatments. For example, a grinding process to expand the application area of the waterproof paint and a painting process of applying the waterproof paint to the inner surface after the grinding process are representative.

여기서, 종래의 도장 공정은 내벽면에 비계를 설치하고, 작업자가 비계를 발판 삼아 도장작업을 하고 있으며, 이는 고소 작업에 해당되어 추락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큰 작업이다.Here, in the conventional painting process, scaffolding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urface, and workers are painting using the scaffolding as a stepping stone.

또한, 도장의 위해 필요한 비계는 일단 설치된 상태에서는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넓은 면적을 도장하기 위해서는 벽면의 넓이에 맞게 비계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비계의 설치 및 해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비계를 설치하기 위한 자재비 역시 상당히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caffolding required for painting cannot be moved once installed, scaffolding must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wall in order to paint a large area.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requires a lot of material cost to do it.

또한, 종래의 도장 작업은 대부분 밀폐된 공간 내에서 행해지는 작업이라는 점에서 작업자는 장시간 작업 시 호흡에 곤란을 느껴 30분 작업 후 30분의 휴게시간이 필수여서 하루 4시간 이상의 작업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며, 이로 인해 공사기간이 오래 걸리고 공사단가도 매우 높아지게 된다.In addition, since most of the conventional painting work is performed in an enclosed space, workers have difficulty breathing when working for a long time, so a 30-minute break is required after 30 minutes of work, making it difficult to work for more than 4 hours a day. As a result, the construction period is long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very high.

또한, 종래의 도장 작업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작업 생산성의 차이가 크며, 작업의 위험요소 때문에 숙련공의 확보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ainting work has a large difference in work productivity depending on the skill level of the operator,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skilled workers due to the risk factors of the work.

상기와 같은 이유로 도장 공정의 자동화가 가능한 장치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For the above reasons,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device capable of automating the painting process.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폐수처리시설 등의 내벽면을 자동으로 도장하는 동시에 전체 영역의 도장 품질을 보장하고, 안전사고 방지, 공사 시간 및 공사 비용 등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paint the inner wall surface of sewage /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etc., while guaranteeing the painting quality of the entire area, preventing safety accidents, and significantly reducing construction time and construction costs. It is to provide a painting robot.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은, 특정 시설의 내벽면을 도장하는데 있어서 진동을 저감시켜 도장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로봇으로, 도장이 필요한 특정 시설의 내벽면을 향하여 이동 가능한 주행부; 도료를 분사하기 위한 도료분사부; 상기 도료분사부가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료분사부를 지지하는 이동지지부; 및 상기 주행부가 상기 내벽면이 도장되기 위한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이동지지부 상에서 상기 도료분사부의 상기 전후 방향 또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내벽면의 제1 영역이 도장되면, 상기 제1 영역의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에 해당하는 제2 영역이 도장되도록, 상기 주행부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지지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이동지지부의 진동을 저감시켜 상기 도장의 품질이 보장되도록, 일측 방향 및 타측 방향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이동지지부와 연결되는 제1 승강부 및 제2 승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vibration-reducing travel-type aerial paint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bot for reducing vibration and guaranteeing the quality of painting in painting the inner wall of a specific facility, and a driving unit capable of moving toward the inner wall of a specific facility that requires painting. ; a paint spraying unit for spraying paint; a moving support unit supporting the paint spraying unit so that the paint spraying unit can be moved in a front-back direction or a left-right direction; and when the first region of the inner wall surface is painted by moving the driving part to a position for painting the inner wall surface, and then moving the position of the paint spraying part in the front-back direction or the left-right direction on the moving support part, and an elevating unit mounted on the traveling part to elevate the moving support unit so that the second area corresponding to the upper or lower direction of the first area is painted, wherein the lifting unit reduces vibration of the moving support unit. It may be characterized by having a first lifting part and a second lifting part respectively loc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moving support part so that the quality of the painting is guaranteed.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의 상기 제1 승강부 및 상기 제2 승강부는, 각각 체인, 벨트, 모터,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순차적으로 승강 가능한 계단식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lifting unit and the second lifting unit of the vibration-reducing traveling type aerial coat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step-type lifting device capable of sequentially lifting and lowering by a chain, a belt, a motor, hydraulic pressure or pneumatic pressure, respectively. there is.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의 상기 도료분사부는, 상기 이동지지부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료 분사 범위가 확장되도록 다축으로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aint spraying unit of the vibration-reduction travel type aerial paint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ulti-axis controllable so as to expand the paint spraying range while being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moving support unit.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은, 상기 주행부의 이동 동작, 상기 승강부의 승강 동작 또는 상기 도료분사부에 의한 도료 분사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이동지지부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입력성형기법이 적용된 입력성형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on-reducing travel-type aerial painting robot uses an input molding technique to reduce vibration of the moving support unit generated by the moving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ing unit, or the paint spraying operation by the paint spraying uni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input shaping filter unit to which this is applied.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은, 상기 이동지지부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부; 및 상기 진동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진동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성형필터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vibration-reducing travel-type aerial paint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bra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vibration of the moving support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input shaping filter unit based on the vibration detected by the vibration sensor.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료분사부에 의해 도장된 현재의 단계에 기초하여 상기 승강부에 의한 1회 승강 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of the vibration-reduction travel type aerial paint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adjusts the width of the one-time lifting by the lifting unit based on the current stage of painting by the paint spray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의 단계가 정벌 단계 또는 상도 단계인 경우, 상기 승강부에 의한 1회 승강 폭을 그 이전 단계보다 줄어들도록, 상기 승강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of the vibration-reduction travel type aerial coat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elevation unit so that the width of one movement by the elevation unit is reduced from that of the previous stage, when the current stage is the leveling stage or the top coating stage. It can be characterized by doing.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에 의하면, 하수/폐수처리시설 등의 내벽면을 자동으로 도장하는 동시에 진동을 저감시켜 전체 영역의 도장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ibration-reducing travel-type aerial paint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paint the inner wall surface of a sewage/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etc. and at the same time reduce vibration to ensure the painting quality of the entire area.

또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공사 시간 및 공사 비용 등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afety accidents of workers can be prevented, and construction time and construction cost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에 제공되는 승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1 is a block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vibration-reducing travel type aerial coat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bration-reduction travel type aerial coat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unit provided in the vibration-reducing traveling type aerial coat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change, delete, etc. other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through other degenerative inventions or the present invention.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idea can be easily proposed, but it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appearing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ar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1 is a block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vibration reducing traveling type aerial coat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bration reducing traveling type aerial coat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100)은 특정 시설, 예를 들면, 하수/폐수처리시설 등의 내벽면을 방수 도장하는데 있어서 진동을 저감시켜 도장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로봇일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vibration-reducing travel type aerial painting robo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vibration when waterproofing the inner wall surface of a specific facility, for example, a sewage/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There are robots to ensure the quality of

여기서, 상기 하수/폐수처리시설은 플랜트 설비의 가동 시 발생되는 폐수를 저장하기 위한 폐수 처리용 수조일 수 있다.Here, the sewage/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may be a wastewater treatment tank for storing wastewater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plant facilities.

다만, 상기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100)은 상기 하수/폐수처리시설의 도장 뿐만 아니라 벽면의 도장이 필요한 모든 시설 또는 건축물 등에 사용될 수 있다.However, the vibration-reduction driving type aerial painting robot 100 can be used for painting of sewage/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as well as all facilities or buildings requiring wall painting.

상기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100)에 의해 분사되는 도료는 방수 처리를 위한 방수용 도료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색상의 잉크일 수도 있다.The paint sprayed by the vibration-reduction travel type aerial painting robot 100 may be a waterproof paint for waterproof treatment,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k of various colors.

그리고, 상기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100)은 특정 벽면에 물 또는 세척제 등의 액체를 분사하여 상기 특정 벽면을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는 일종의 자동 세척 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Also, the vibration-reducing travel-type aerial painting robot 100 may refer to a kind of automatic clean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cleaning a specific wall surface by spraying a liquid such as water or a cleaning agent on the specific wall surfa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10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vibration-reducing travel type aerial coating robo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100)은 주행부(110), 도료분사부(120), 이동지지부(130) 및 승강부(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vibration-reducing travel type aerial coating robo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raveling part 110, a paint spraying part 120, a moving support part 130, and an elevating part 140.

상기 주행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100)이 도장이 필요한 특정 시설의 내벽면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수단의 일종으로, 이동을 위한 바퀴(1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10 is a kind of driving means for moving the vibration-reducing traveling type aerial painting robo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ward the inner wall surface of a specific facility requiring painting, and includes wheels 112 for movement. can do.

상기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100)은 작업자에 의해 상기 특정 시설의 복수의 내벽면에 대하여 도장 순서 등을 포함하는 도장 관련 명령을 입력 받으면 상기 주행부(110)는 제어부(150)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되게 된다.When the vibration-reducing travel-type aerial painting robot 100 receives a painting-related command including a painting order for a plurality of inner walls of the specific facility by an operator, the driving unit 11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50. will be moved automatically.

상기 주행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등의 감지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부는 위치 감지, 거리 감지 또는 높이 감지 등을 위한 센서일 수 있다.The driving unit 110 may include a sensing unit such as at least one sensor, and the sensing unit may be a sensor for position detection, distance detection, or height detection.

상기 감지부는 상기 주행부(110)의 4개의 꼭지점 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부(110)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한다.The sensing unit may be located at four vertices of the driving unit 110, and the control unit 150 precisely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110 based on the sensing result of the sensing unit.

물론, 상기 감지부의 장착 위치 및 장착 개수는 도장 상황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the mounting position and number of the sensing units may be variously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painting situation.

상기 도료분사부(120)는 도료를 고압으로 분사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The paint spraying unit 120 is a component for spraying paint at high pressure,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nozzle.

상기 도료분사부(120)는 도료가 저장된 미도시된 도료 저장부로부터 상기 도료가 공급되어 고압으로 상기 도료를 벽면에 분사할 수 있다.The paint spraying unit 120 may inject the paint onto a wall surface at a high pressure by supplying the paint from a paint storage unit (not shown) in which the paint is stored.

상기 도료분사부(120)는 후술할 이동지지부(130)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료 분사 범위가 확장되도록 다축으로 제어가 가능할 수 있으며, 일종의 다축 제어 관절형 로봇일 수 있다.The paint spraying unit 120 may be multi-axis controllable so as to expand the paint spraying range while being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moving support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a kind of multi-axis control articulated robot.

상기 도료분사부(120)는 다축 제어가 가능함으로 인하여 특정 시설의 천장 등에 대한 도장도 간단하게 가능할 수 있다.Since the paint spraying unit 120 is capable of multi-axis control, it is possible to simply paint the ceiling of a specific facility.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10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도료에 의한 도장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항온 및/또는 항습 기능 등이 추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prove the coating performance by the paint sprayed from the at least one nozzle, the vibration-reduction travel type aerial painting robo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ed with a constant temperature and/or constant humidity function.

상기 항온 기능은 상기 노즐의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노즐의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constant temperature function may be implemented by a temperature sensor located around the nozzle and detecting the temperature around the nozzle.

그리고, 상기 항습 기능은 상기 노즐의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노즐의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 센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ti-humidity function may be implemented by a humidity sensor located around the nozzle and detecting humidity around the nozzle.

상기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노즐의 주변의 온도가 비정상적인 상태임이 감지되면, 상기 노즐의 주변의 온도가 정상 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냉각수단 또는 발열수단이 동작될 수 있으며, 상기 냉각수단 또는 상기 발열수단은 공지의 수단, 예를 들어, 펠티어 소자 등의 열전 소자, 방열소자, 팬 등일 수 있다.When the temperature sensor detects that the temperature around the nozzle is in an abnormal state, the cooling means or the heating means may be operated so that the temperature around the nozzle returns to a normal state. The means may be a known means, for example, a thermoelectric element such as a Peltier element, a heat dissipation element, a fan,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습도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노즐의 주변의 습도가 비정상적인 상태임이 감지되면, 상기 노즐의 주변의 습도가 정상 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제습수단 또는 가습수단이 동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제습수단 또는 상기 가습수단은 공지의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Further, when it is detected by the humidity sensor that the humidity around the nozzle is in an abnormal state, a dehumidifying unit or a humidifying unit may be operated so that the humidity around the nozzle returns to a normal state, and the dehumidifying unit or As the humidifying means, known means may be applied.

한편, 상기 항온 기능 및/또는 상기 항습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는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자동적으로 실시간으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a series of processes for implementing the constant temperature function and/or the constant humidity function may be automatically implemented in real time by the controller 150 .

이동지지부(130)는 상기 도료분사부(120)가 전후 방향(D1) 및 좌우 방향(D2)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도료분사부(12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상기 도료분사부(120)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레일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support part 130 is a component for supporting the paint spraying part 120 so that the paint spraying part 120 can move in the front-back direction D1 and the left-right direction D2, and the paint spraying part It may include a configuration such as a rail for implementing the positional movement of (120).

다만, 상기 도료분사부(120)의 위치 이동은 반드시 상기 레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벨트, 기어 등의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However,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paint spraying unit 12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rail, and may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means such as a belt or a gear.

상기 도료분사부(120)의 위치 이동은 상기 주행부(110)가 특정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료분사부(120)에 의한 도장의 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사 시간 및 공사 비용 등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The movement of the paint spraying part 120 can maximize the range of painting by the paint spraying part 120 in a state where the driving part 110 is located at a specific position, thereby reducing construction time and construction cos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승강부(140)는 상기 주행부(110)가 내벽면이 도장되기 위한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이동지지부(130) 상에서 상기 도료분사부(120)의 상기 전후 방향(D1) 또는 상기 좌우 방향(D2)으로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내벽면의 제1 영역이 도장되면, 상기 제1 영역의 상측 방향(D3) 또는 하측 방향(D4)에 해당되는 제2 영역이 도장되도록, 상기 주행부(110)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지지부(130)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After the driving part 110 is moved to the position where the inner wall surface is to be painted, the lifting part 140 moves in the front-back direction D1 or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paint spraying part 120 on the moving support part 130. When the first area of the inner wall surface is painted by the position movement in (D2), the driving part ( 110) and may be a component for elevating the moving support unit 130.

여기서, 상기 승강부(140)는 상기 이동지지부(130)의 진동을 저감시켜 상기 도장의 품질이 보장되도록, 일측 방향 및 타측 방향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이동지지부(130)와 연결되는 제1 승강부(142) 및 제2 승강부(144)를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lifting part 140 is a first lifting part connected to the moving supporting part 130, loc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respectively, so as to reduce the vibration of the moving supporting part 130 and ensure the quality of the painting. 142 and a second elevation part 144 may be provided.

상기 제1 승강부(142) 및 상기 제2 승강부(144)는 각각 각각 체인, 벨트, 모터,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순차적으로 승강 가능한 계단식 승강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저스 타입 등의 공지의 승강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first elevation unit 142 and the second elevation unit 144 may each include a step-type elevation device capable of sequentially ascending and descending by means of a chain, belt, motor, hydraulic pressure or pneumatic pressure,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 known elevating device such as scissor type may be included.

다만, 상기 승강부(14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승강 시 발생될 수 있는 이동지지부(130)의 진동, 주행부(110)의 이동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이동지지부(130)의 진동, 도료분사부(120)에 의한 도료 분사 동작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이동지지부(130)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However, the elevating unit 14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vibrations of the moving support unit 130 that may occur during elevation, vibration of the moving support unit 130 that may occur during the movement of the traveling unit 110, and paint spraying unit. Vibration of the moving support unit 130 that may be generated by the paint spraying operation by the 120 can be reduced.

상기 승강부(140)는 순차적인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도장이 필요한 내벽면의 모든 영역이 도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작업 환경에 따라 상승 및 하강이 혼재되거나 상승 또는 하강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The elevation part 140 can be sequentially raised or lowered so that all areas of the inner wall requiring painting can be painted, and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ay be mixed or the order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working environmen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100)은 제1 승강부(142) 및 제2 승강부(144)로 인한 진동 저감의 효과에 더하여 입력성형기법을 도입하여 진동 저감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하여 후술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reducing vibration due to the first lifting part 142 and the second lifting part 144, the vibration reducing traveling type aerial coating robo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n input molding technique to reduce vibration. is being maximiz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에 제공되는 승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다.3 and 4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unit provided in the vibration-reducing travel type aerial coat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100)은 승강부(140)의 승하강에 의해 도장이 될 수 있는 영역을 변화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vibration-reduction travel type aerial coating robo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area where painting can be performed by moving the elevation unit 140 up and down.

여기서, 상기 승강부(140)가 확장되어 이동지지부(130)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필연적으로 상기 이동지지부(130)는 진동에 취약할 수 밖에 없으며, 이는 주행부(110)가 주행하는 경우 또는 도료분사부(120)에 의해 도료가 분사된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Here, as the elevation part 140 expands and the movement support part 130 becomes higher, the movement support part 130 is inevitably vulnerable to vibration. The same may be true even when the paint is sprayed by the spraying unit 120 .

상기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행부(110)의 이동 동작, 상기 승강부(140)의 승강 동작 또는 상기 도료분사부(120)에 의한 도료 분사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이동지지부(130)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입력성형기법이 적용된 입력성형필터부를 포함하고 있다.For the above reason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support unit 130 generated by the moving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10,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ing unit 140, or the paint spraying operation by the paint spraying unit 120 It includes an input shaping filter unit to which an input shaping technique is applied so that the vibration of is reduced.

입력성형기법이란 입력이 시스템 주파수 성분을 자극하지 않도록 기준 입력에다 임펄스 열을 컨벌루션시키는 것으로, 진동을 없애기 위해 반 주기 후 감쇠된 진폭 만큼 임펄스를 추가하여 잔류 진동을 상쇄시키는 기법이다.The input shaping technique convolves the impulse train with the reference input so that the input does not excite the system frequency component. It is a technique that cancels the residual vibration by adding an impulse equal to the damped amplitude after a half cycle to eliminate the vibration.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입력성형기법이 적용된 필터가 입력성형필터부인 것이다.And, the filter to which the above input shaping technique is applied is the input shaping filter unit.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100)은 이동지지부(130)의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의 일종인 진동감지부(160, 도 1 참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상기 진동감지부(160)에 의해 감지된 진동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성형필터부(170, 도 1 참조)를 제어하여 이동지지부(130)에 발생되는 진동을 상쇄시킬 수 있다.Here, the vibration-reducing travel-type aerial coating robo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ibration sensing unit 160 (see FIG. 1), which is a kind of sensor that detects vibration of the moving support unit 130, and the control unit 150 ) can cancel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moving support unit 130 by controlling the input shaping filter unit 170 (see FIG. 1) based on the vibration detected by the vibration sensor 160.

한편, 내벽면을 도장하는 경우 도장 단계는 도장 목적에 따라 복수로 구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도 단계, 중도 단계 및 상도 단계 등을 포함하거나 초벌 단계, 재벌 단계 및 정벌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ainting the inner wall surface, the painting step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painting. can

여기서, 모든 도장 단계에서의 도장은 모두 도장의 품질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단계이긴 하나 하도 단계 또는 초벌 단계에서는 상대적으로 도장의 품질 보다는 도장의 속도가 더 중요한 요소이며, 상도 단계 또는 정벌 단계에서는 상대적으로 도장의 속도보다는 도장의 품질이 더 중요한 요소일 수 있다.Here, painting in all painting stages is an important step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painting, but in the undercoating stage or roughing stage, the speed of painting is relatively more important than the quality of painting, and in the topcoating stage or leveling stage, relatively The quality of painting may be a more important factor than the speed of painting.

상기와 같은 각각의 도장 단계의 특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100)을 최적 제어해야 하며,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상기 도료분사부(120)에 의해 도장된 현재의 단계에 기초하여 상기 승강부(140)에 의한 1회 승강 폭을 조절할 수 있다.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inting step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optimally control the vibration-reduction traveling type aerial painting robo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current step, the one-time lifting width by the lifting unit 140 may be adjusted.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현재의 단계가 정벌 단계 또는 상도 단계인 경우, 상기 승강부(140)에 의한 1회 승강 폭을 그 이전 단계보다 줄어들도록, 상기 승강부(140)를 제어하여 도장의 품질을 보장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current step is the leveling step or the top coat step,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lifting unit 140 so that the width of one lift by the lifting unit 140 is smaller than that of the previous step. The quality of the paint is guarante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100)에 의하면, 하수/폐수처리시설 등의 내벽면을 자동으로 도장하는 동시에 승강부(140) 및 입력성형필터부(170) 등을 통해 진동을 저감시켜 전체 영역의 도장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vibration-reducing travel type aerial painting robo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wall surface of sewage/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is automatically painted, and at the same time, the elevation part 140 and the input shaping filter part 170, etc. Through this, vibration can be reduced to ensure the painting quality of the entire area.

또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공사 시간 및 공사 비용 등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afety accidents of workers can be prevented, and construction time and construction cost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
110: 주행부
120: 도료분사부
130: 이동지지부
140: 승강부
150: 제어부
100: Vibration-reduction driving aerial coating robot
110: driving unit
120: paint spraying unit
130: moving support
140: lifting part
150: control unit

Claims (7)

특정 시설의 내벽면을 도장하는데 있어서 진동을 저감시켜 도장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에 있어서,
도장이 필요한 특정 시설의 내벽면을 향하여 이동 가능한 주행부;
도료를 분사하기 위한 도료분사부;
상기 도료분사부가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료분사부를 지지하는 이동지지부; 및
상기 주행부가 상기 내벽면이 도장되기 위한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이동지지부 상에서 상기 도료분사부의 상기 전후 방향 또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내벽면의 제1 영역이 도장되면, 상기 제1 영역의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에 해당하는 제2 영역이 도장되도록, 상기 주행부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지지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이동지지부의 진동을 저감시켜 상기 도장의 품질이 보장되도록, 일측 방향 및 타측 방향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이동지지부와 연결되는 제1 승강부 및 제2 승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
In the vibration reduction traveling type aerial painting robot for guaranteeing the quality of painting by reducing vibration in painting the inner wall surface of a specific facility,
A traveling unit movable toward the inner wall surface of a specific facility requiring painting;
a paint spraying unit for spraying paint;
a moving support unit supporting the paint spraying unit so that the paint spraying unit can be moved in a front-back direction or a left-right direction; and
After the driving part is moved to a position for painting the inner wall surface, when the first area of the inner wall surface is painted by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paint spraying part in the front-back direction or the left-right direction on the moving support part, the first area of the inner wall surface is painted. A lifting unit mounted on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moving support unit up and down so that a second area corresponding to the upper or lower direction of the first area is painted,
The lift part,
A vibration reduction travel type characterized by having first and second elevations loc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movement support unit, to reduce vibration of the movement support unit and ensure the quality of the painting. high altitude coating rob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부 및 상기 제2 승강부는,
각각 체인, 벨트, 모터,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순차적으로 승강 가능한 계단식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ifting part and the second lifting part,
A vibration-reducing travel-type aerial painting robo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tep-like elevator that can be sequentially moved up and down by chain, belt, motor, hydraulic pressure or pneumatic press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분사부는,
상기 이동지지부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료 분사 범위가 확장되도록 다축으로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
According to claim 1,
The paint spraying part,
A vibration-reducing travel-type aerial painting robot, characterized in that multi-axis control is possible so that the paint spraying range is expanded in a stat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moving suppor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의 이동 동작, 상기 승강부의 승강 동작 또는 상기 도료분사부에 의한 도료 분사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이동지지부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입력성형기법이 적용된 입력성형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
According to claim 1,
An input shaping filter unit to which an input shaping technique is applied to reduce vibration of the moving support unit generated by the moving operation of the traveling uni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ing unit, or the paint spraying operation by the paint spray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ibration-reduction travel type aerial coating robo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부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부; 및
상기 진동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진동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성형필터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
According to claim 4,
a vibra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vibration of the moving support unit; and
A vibration reducing driving type aerial painting robot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put shaping filter unit based on the vibration detected by the vibration sensing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료분사부에 의해 도장된 현재의 단계에 기초하여 상기 승강부에 의한 1회 승강 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
According to claim 5,
The control unit,
A vibration reduction travel type aerial painting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time lifting width by the lifting unit is adjusted based on the current stage of painting by the paint spraying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의 단계가 정벌 단계 또는 상도 단계인 경우, 상기 승강부에 의한 1회 승강 폭을 그 이전 단계보다 줄어들도록, 상기 승강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주행형 고소 도장 로봇.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unit,
When the current step is a leveling step or a top coat step, the vibration reduction traveling type aerial painting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the lifting unit so that the lifting width of one time by the lifting unit is smaller than that of the previous step.
KR1020210175399A 2021-12-09 2021-12-09 Vibration reduction high place painting robot capable of driving KR202300869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399A KR20230086942A (en) 2021-12-09 2021-12-09 Vibration reduction high place painting robot capable of driv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399A KR20230086942A (en) 2021-12-09 2021-12-09 Vibration reduction high place painting robot capable of driv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942A true KR20230086942A (en) 2023-06-16

Family

ID=86948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399A KR20230086942A (en) 2021-12-09 2021-12-09 Vibration reduction high place painting robot capable of driv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694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618757U (en) The automated system of wall for coated building
JP5599979B2 (en) Equipment for painting workpieces
KR101516689B1 (en) Maintenance device
KR102264318B1 (en) Painting equipment of building outer wall and pain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322270B1 (en) Painting apparatus of building outer wall
US5408407A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work point
JP2019098482A (en) Surface treatment system for large object
JP2018126728A (en) Automated maskless paint applicator
WO1995004203A1 (en) Method for surface treatment, mean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nd the use thereof
KR102490880B1 (en) Paint spray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086942A (en) Vibration reduction high place painting robot capable of driving
KR20110104660A (en) Automatic painting equipment with rotating arm for a side wall of cylindrical tank
KR100751701B1 (en) The movable type automatic painting system for hull shell which consists of the telescopic columns
KR102554605B1 (en) Structure wall painting robot
KR102561437B1 (en) High place painting robot capable of driving
KR101152731B1 (en) Painting machine for ship
JPH07324475A (en) Exterior wall automatic spray device
KR20120105831A (en) Painting apparatus
KR101191506B1 (en) Movable Automatic Equipment for Dryness in Hermetic State
KR20170041550A (en) Painting Devices for Hull
JP2005103420A (en) Coating apparatus and coating method
JP3527383B2 (en) painting booth
JP2019157396A (en) Adhesion inhibitor spraying device
JPH05104043A (en) Structure painting robot
KR20230060013A (en) Building painting robot with corner ca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