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6930A - 블루투스 통신 기반의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통신 기반의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6930A
KR20230086930A KR1020210175383A KR20210175383A KR20230086930A KR 20230086930 A KR20230086930 A KR 20230086930A KR 1020210175383 A KR1020210175383 A KR 1020210175383A KR 20210175383 A KR20210175383 A KR 20210175383A KR 20230086930 A KR20230086930 A KR 20230086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de
access
common entrance
entranc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미진
김상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좋은친구 아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좋은친구 아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좋은친구 아띠
Priority to KR1020210175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6930A/ko
Publication of KR20230086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입주자가 소지하는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출입인증을 진행하여 공동출입문에 대한 출입통제를 할 수 있는 블루투스 통신 기반의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이 제공된다.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은, 사용자가 별도의 출입카드를 소지하지 않더라도 자신이 소지하는 단말기를 통해 출입인증을 진행할 수 있어 공동출입문에 대한 출입통제의 편리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블루투스 통신 기반의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방법{System and method for access controlling of collaboration gate based on bluetooth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입주자가 소지하는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출입인증을 진행하여 공동출입문에 대한 출입통제를 할 수 있는 블루투스 통신 기반의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이나 사무용 또는 산업용 건물에는 다수의 사용자들, 즉 입주자나 관계자들의 출입에 이용되는 공동출입문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공동출입문은 특정 사용자들, 예컨대 해당 건물의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기존에는 불특정 사용자들이 함께 이용하고 있어 공동출입문에 대한 출입통제가 필요하였다.
이에, 최근에는 식별카드 태그방식 또는 비밀번호 입력방식을 통해 공동출입문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하여 사용자들의 출입통제를 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식별카드 태그방식의 출입통제방법은 사용자가 식별카드를 공동출입문에 설치된 태그에 접촉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호주머니나 가방으로부터 식별카드를 꺼내서 접촉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식별카드 태그방식은 사용자가 항시 카드를 소지해야 하므로, 카드의 분실이나 미소지 시 건물의 관리사무소를 통해 카드 재발급 등이 이루어져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비밀번호 입력방식의 출입통제방법은 사용자가 공동출입문에 설치된 키패드를 통해 출입문 비밀번호를 직접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뿐만 아니라, 비밀번호의 외부 누출로 인해 주기적으로 변경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RFID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공동출입문에 근접되었을 때 RFID 카드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통해 공동출입문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출입통제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RFID 기술의 출입통제방법 역시 사용자가 RFID카드를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66526호(2010.06.21)
본 발명은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입주자가 소지하는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출입인증을 진행하여 공동출입문에 대한 출입통제를 할 수 있는 블루투스 통신 기반의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은, 공동출입문 출입을 위한 사용자코드가 저장된 사용자단말기;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방식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통신채널이 연결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공동출입문에 대한 사용자 출입인증을 수행하며, 출입인증의 결과에 따라 상기 공동출입문을 개방하는 출입제어장치;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등록을 진행하고,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코드를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통제방법은, 통신모듈을 통해 공동출입문의 전방으로 페어링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페어링신호에 응답하는 사용자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객체감지모듈을 통한 상기 공동출입문에 근접된 사용자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사용자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사용자코드와 기 저장된 대표코드 간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따라 출입문 개방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공동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통제방법은, 객체감지모듈을 통해 공동출입문의 전방으로 감지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객체감지모듈이 사용자를 감지하면,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로 페어링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사용자코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사용자코드와 기 저장된 대표코드 간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따라 출입문 개방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공동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은, 사용자가 별도의 출입카드를 소지하지 않더라도 자신이 소지하는 단말기를 통해 출입인증을 진행할 수 있어 공동출입문에 대한 출입통제의 편리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은 상태이거나 또는 단말기를 통한 출입인증이 실패하더라도,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통해 공동출입문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함으로써, 공동출입문에 대한 출입통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에 의한 출입통제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사용자 출입인증 단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사용자 출입인증 단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에 의한 출입통제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일 수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 요소를 모두 도시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 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름을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성,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10)은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 또는 회사 등의 건물에서 승인된 사용자, 즉 입주자들에 대한 공동출입문(1) 출입통제를 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구비하는 사용자단말기(200)와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 출입인증을 수행하고, 그에 따라 공동출입문(1)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하여 출입통제를 할 수 있다. 이러한 공동출입문 통제시스템(10)은 출입제어장치(100), 사용자단말기(200) 및 관리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제어장치(100)는 공동출입문(1)의 일측에 배치되고, 사용자단말기(200)와의 통신을 통한 출입인증을 수행하여 공동출입문(1)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공동출입문(1)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통제를 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200)는 공동출입문(1)이 있는 건물 내 다수의 사용자들 각각이 소지하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200)는 관리서버(300)에 사용자 등록을 수행하고, 그에 따라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코드를 통해 전술된 출입제어장치(100)와 사용자 출입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서버(300)는 출입제어장치(100)에 의한 사용자 출입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코드, 예컨대 출입제어장치(100)에 저장되는 대표코드와 다수의 사용자단말기(200) 각각에 저장되는 사용자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대표코드는 출입인증을 위한 코드일 수 있고, 사용자코드는 상기 대표코드에 기반하여 해당 건물의 각 세대별로 서로 다른 형태로 생성되는 코드일 수 있다.
이에, 관리서버(300)는 하나의 공동출입문(1)에 대한 대표코드를 설정하여 해당 공동출입문(1)의 출입통제를 하는 출입제어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300)는 해당 공동출입문(1)을 이용하는 다수의 사용자들 각가에 대하여 기 설정된 대표코드에 기반한 세대별 다수의 사용자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각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서버(300)는 아파트 등의 관리사무소 또는 회사 내 구비되는 출입관리서버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출입제어장치(100)는 통신모듈(110), 객체감지모듈(120), 출입인증모듈(130), 번호입력모듈(140), 출입문구동모듈(150) 및 음성출력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110)은 사용자단말기(200)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방식으로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모듈(110)은 공동출입문(1)의 전방, 즉 실외측 방향으로 소정 범위, 예컨대 3~4m의 범위로 페어링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페어링신호에 응답하는 사용자단말기(200)와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사용자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10)은 관리서버(300)와 유/무선 통신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300)로부터 공동출입문(1)에 대한 대표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객체감지모듈(120)은 공동출입문(1)에 소정 거리로 근접되는 객체, 즉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객체감지모듈(120)은 공동출입문(1)의 전방으로 소정 범위의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공동출입문(1)에 근접되는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감지모듈(120)은 공동출입문(1)의 전방으로 1~2m의 범위로 감지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범위 내의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객체감지모듈(120)은 감지신호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와 공동출입문(1)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객체감지모듈(120)은 판단된 사용자와 공동출입문(1) 간 거리정보를 후술될 출입문구동모듈(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객체감지모듈(120)은 하나 이상의 레이저센서 또는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출입인증모듈(130)은 통신채널이 연결된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코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공동출입문(1)에 대한 출입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출입인증모듈(130)은 후술될 번호입력모듈(140)을 통해 제공된 번호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공동출입문(1)에 대한 출입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출입인증모듈(130)은 사용자코드에 기초한 출입인증을 선순위로 수행하고, 이의 결과에 따라 번호입력신호에 기초한 출입인증을 후순위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출입인증모듈(130)은 대표코드저장부(131), 출입코드추출부(132), 출입코드생성부(133) 및 출입인증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대표코드저장부(131)는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된 공동출입문(1)에 대한 대표코드, 즉 공동출입문(1)에 대한 사용자 출입인증을 위한 대표코드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출입코드추출부(132)는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코드에서 특정위치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코드를 출입코드, 예컨대 제1출입코드로 추출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들, 즉 건물 내 각 세대에 대한 사용자코드는 대표코드를 기반으로 사용자별 다른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코드 내 대표코드는 설정된 규칙에 따라 특정위치에 존재하므로, 출입코드추출부(132)는 설정규칙을 참고하여 해당 사용자코드에서 대표코드를 포함하는 제1출입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출입코드생성부(133)는 후술될 번호입력모듈(140)에서 전송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자리수의 출입코드, 예컨대 제2출입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출입인증부(134)는 출입코드추출부(132)에서 추출된 제1출입코드와 저장된 대표코드 간 일치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공동출입문(1)에 대한 출입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출입인증부(134)는 출입코드생성부(133)에서 생성된 제2출입코드와 대표코드 간 일치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공동출입문(1)에 대한 출입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출입코드 또는 제2출입코드가 대표코드와 일치하는 경우에, 출입인증부(134)는 사용자의 출입인증 성공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출입문 개방신호를 생성하여 출입문구동모듈(150)로 출력할 수 있다. 반면에, 제1출입코드 또는 제2출입코드가 대표코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출입인증부(134)는 사용자의 출입인증 실패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출입인증부(134)는 음성출력모듈(160)을 통해 사용자에게 인증실패를 통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출입인증모듈(130)은 사용자코드에 기초한 출입인증이 선순위로 수행되므로, 출입인증부(134)는 제1출입코드와 대표코드 간 일치여부 판단에 따른 출입인증을 먼저 수행할 수 있다.
번호입력모듈(140)은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 예컨대 공동출입문(1) 개방을 위한 소정 자리수의 비밀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번호입력모듈(140)은 버튼식 또는 터치식의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번호입력모듈(140)은 사용자의 키패드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를 조합한 번호입력신호를 출입인증모듈(130)로 출력할 수 있다.
출입문구동모듈(150)은 출입인증모듈(130)을 통한 사용자의 출입인증 결과에 따라 공동출입문(1)의 개방 또는 폐쇄를 할 수 있다. 이에, 출입문구동모듈(150)은 출입인증모듈(130)에서 출력되는 출입문 개방신호에 따라 공동출입문(1)이 개방되도록 상기 공동출입문(1)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양방향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출입문구동모듈(150)은 객체감지모듈(120)에서 판단된 거리, 즉 사용자와 공동출입문(1) 간 거리에 기초하여 공동출입문(1)의 개방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객체감지모듈(120)에 의해 공동출입문(1)에 대한 사용자의 통과여부가 감지되고, 출입문구동모듈(150)은 객체감지모듈(120)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서용자가 공동출입문(1)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공동출입문(1)을 폐쇄할 수 있다.
음성출력모듈(160)은 출입인증모듈(130)을 통한 사용자의 출입인증결과를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출입인증모듈(130)에 의한 제1출입코드 또는 제2출입코드의 인증이 성공하면, 음성출력모듈(160)은 출입문구동모듈(150)에 의해 공동출입문(1)이 개방됨과 동시에 출입인증성공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출입인증모듈(130)에 의한 제1출입코드 또는 제2출입코드의 인증이 실패하면, 음성출력모듈(160)은 출입인증실패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1출입코드의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는 음성출력모듈(160)은 출입인증실패을 출력함과 함께, 사용자에게 번호입력모듈(140)을 통한 비밀번호 입력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200)는 공동출입문(1)이 있는 건물 내 세대에 생활하는 입주자들 각각이 소지하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단말기(200)는 출입제어장치(100)와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통신채널을 연결하거나 관리서버(300)와 와이파이(Wifi) 또는 무선인터넷 통신 방식으로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통신부(210) 및 상기 관리서버(300)로부터 사용자코드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통신부(210)가 출입제어장치(100)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통신채널이 연결되었을 때, 저장된 사용자코드를 상기 출입제어장치(100)로 출력하는 사용자코드저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300)는 대표코드설정부(310) 및 사용자코드생성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대표코드설정부(310)는 건물의 공동출입문(1)에 대한 대표코드를 설정하고, 이를 출입제어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코드생성부(320)는 다수의 사용자단말기(200) 각각에서 사용자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등록을 진행하고,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전화번호, 거주위치, 즉 거주세대에 대한 호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코드생성부(320)는 대표코드에 기반하여 각 사용자별 사용자코드, 즉 사용자별 서로 다른 형태의 사용자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코드에는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특정위치에 대표코드가 위치할 수 있다.
아래의 [표1]에서와 같이, 공동출입문(1)이 존재하는 건물이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인 경우에, 사용자코드생성부(320)는 각 세대별 서로 다른 사용자코드를 생성하되, 사용자코드 내에서 규칙, 예컨대 특수문자 "!"에 의해 정의되는 특정위치에 대표코드가 위치되도록 생성할 수 있다.
대표코드 사용자코드
A1234 101호 !A1234!5678
102호 6789!A1234!
201호 78!A1234!90
.
.
.
.
.
.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사용자코드생성부(320)는 특정위치에 대표코드를 포함하는 사용자코드를 각 사용자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전술된 출입인증모듈(130)에서는 설정된 규칙에 따라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코드로부터 특정위치의 대표코드를 제1출입코드로 추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에 의한 출입통제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출입제어장치(100)의 통신모듈(110)은 공동출입문(1)의 전방 소정 범위로 페어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페어링신호의 출력범위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단말기(200)에서 상기 페어링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출입제어장치(100)와 사용자단말기(200) 간 통신채널을 연결할 수 있다(S10).
여기서, 페어링신호는 출입제어장치(100)와 사용자단말기(200) 간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10)은 소정 주기, 예컨대 1~5초의 주기마다 전술된 페어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200)와 통신채널이 연결된 상태에서, 객체감지모듈(120)은 공동출입문(1)의 전방 소정 범위로 감지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범위 내에서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S20).
여기서, 객체감지모듈(120)의 감지신호 출력범위는 전술된 통신모듈(110)의 페어링신호 출력범위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객체감지모듈(120)에서 출력된 감지신호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에, 그 사용자는 공동출입문(1)의 출입을 위해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객체감지모듈(120)은 감지된 사용자와 공동출입문(1) 간 거리를 판단하고, 이를 출입문구동모듈(150)로 출력할 수 있다.
객체감지모듈(120)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면, 통신모듈(110)은 사용자단말기(200)와의 통신채널 연결을 확인할 수 있다(S30). 그리고, 통신채널이 연결된 상태로 확인되면, 통신모듈(110)은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S50).
반면에, 통신채널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확인되면, 통신모듈(110)은 해당 사용자단말기(200)로 다시 한번 페어링신호를 전송하여 통신채널 연결을 재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통신모듈(110)과 사용자단말기(200) 간 통신채널이 연결되지 않으면, 출입제어장치(100)는 번호입력모듈(14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에 대한 번호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40).
계속해서, 출입인증모듈(130)은 사용자코드 또는 번호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공동출입문(1)에 대한 출입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60). 이때, 출입인증모듈(130)은 사용자코드에 따른 출입인증을 선진행하고, 이의 결과에 따라 번호입력신호에 따른 출입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사용자 출입인증 단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사용자 출입인증 단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제어장치(100)의 통신모듈(110)은 기 연결된 통신채널을 통해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 출입인증모듈(130)의 출입코드추출부(132)는 수신된 사용자코드에서 특정위치에 있는 코드를 제1출입코드로 추출할 수 있다(S61).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코드에는 규칙에 따라 특정위치에 대표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출입코드추출부(132)는 사용자코드로부터 상기 규칙에 기초하여 특정위치에 있는 대표코드를 제1출입코드로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출입인증모듈(130)의 출입인증부(134)는 제1출입코드와 기 저장된 대표코드 간의 일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2).
이때, 제1출입코드와 대표코드가 일치하면, 출입인증부(134)는 사용자의 출입인증의 성공을 판단하고, 출입문 개방신호를 생성하여 출입문구동모듈(150)로 출력할 수 있다(S63).
이에, 출입문구동모듈(150)은 상기 개방신호에 따라 공동출입문(1)을 개방하여 사용자 출입하도록 할 수 있다(S70).
여기서, 출입문구동모듈(150)은 객체감지모듈(120)에 의해 판단된 거리정보, 즉 사용자와 공동출입문(1) 간 거리정보를 제공받고, 이에 기초하여 공동출입문(1)의 개방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출입문구동모듈(150)은 객체감지모듈(12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공동출입문(1) 통과여부에 따라 공동출입문(1)의 개방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반면, 출입인증부(134)의 판단결과, 제1출입코드가 대표코드와 일치하지 않으면, 출입인증부(134)는 사용자의 출입인증 실패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출입인증부(134)는 음성출력모듈(160)을 통해 사용자에게 인증실패를 출력함과 함께 번호입력모듈(140)을 통한 비밀번호 입력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제어장치(100)의 통신모듈(110)과 사용자단말기(200) 간 통신채널이 연결되지 않으면, 출입제어장치(100)는 번호입력모듈(14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에 따른 번호입력신호를 출입인증모듈(130)로 출력할 수 있다. 이어, 출입인증모듈(130)의 출입코드생성부(133)는 수신된 번호입력신호로부터 제2출입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S66).
다음으로, 출입인증부(134)는 제2출입코드와 대표코드 간의 일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7).
이때, 제2출입코드와 대표코드가 일치하면, 출입인증부(134)는 사용자의 출입인증의 성공을 판단하고, 출입문 개방신호를 생성하여 출입문구동모듈(150)로 출력할 수 있다(S68).
이에, 출입문구동모듈(150)은 상기 개방신호에 따라 공동출입문(1)을 일정시간 개방하여 사용자 출입하도록 할 수 있다(S70).
반면, 제2출입코드와 대표코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출입인증부(134)는 사용자의 출입인증 실패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출입인증부(134)는 음성출력모듈(160)을 통해 사용자에게 인증실패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출입코드는 제1출입코드가 추출되지 않은 경우, 즉 사용자단말기(200)와 통신채널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되는 코드이므로, 출입인증부(134)에 의한 인증실패는 최종 인증이 실패된 경우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동출입문 출입통제방법은 사용자단말기(200)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저장된 사용자코드로부터 공동출입문(1)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별도의 출입카드를 소지하지 않더라도 자신의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출입인증을 진행할 수 있어 공동출입문(1)의 출입통제의 편리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200)를 소지하지 않은 상태이거나 또는 사용자코드로부터 출입인증이 실패하더라도, 사용자에게 버튼키 등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하여 이로부터 공동출입문(1)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함으로써, 공동출입문(1)의 출입통제의 편리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에 의한 출입통제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객체감지모듈(120)은 공동출입문(1)의 전방 소정 범위로 감지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범위 내에서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S110).
다음으로, 객체감지모듈(120)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면, 통신모듈(110)은 감지된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200)로 페어링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의 응답에 기초하여 출입제어장치(100)와 사용자단말기(200) 간 통신채널, 즉 블루투스 방식의 통신채널을 연결할 수 있다(S120).
또한, 객체감지모듈(120)은 사용자 감지에 따라 사용자와 공동출입문(1) 간 거리를 판단하여 거리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출입문구동모듈(150)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모듈(110)에 의해 사용자단말기(200)와 통신채널이 연결되면, 통신모듈(110)은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S130).
또한, 통신모듈(110)에 의해 사용자단말기(200)와 통신채널이 연결되지 안히으면, 번호입력모듈(14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에 대한 번호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40).
계속해서, 출입인증모듈(130)은 사용자코드 또는 번호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공동출입문(1)에 대한 출입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150). 이때, 출입인증모듈(130)은 사용자코드에 따른 출입인증을 선진행하고, 이의 결과에 따라 번호입력신호에 따른 출입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출입인증모듈(130)의 출입코드추출부(132)는 사용자코드에서 특정위치에 있는 코드를 제1출입코드로 추출하고, 출입인증부(134)는 추출된 제1출입코드와 기 저장된 대표코드 간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출입인증의 성공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입인증부(134)는 출입문 개방신호를 생성하여 출입문구동모듈(150)로 출력함으로써, 출입문구동모듈(150)이 상기 개방신호에 따라 공동출입문(1)을 일정시간 개방하여 사용자 출입하도록 할 수 있다(S160).
여기서, 출입문구동모듈(150)은 객체감지모듈(120)에서 출력된 거리정보에 기초하여 공동출입문(1)의 개방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출입인증모듈(130)의 출입코드생성부(133)는 번호입력신호로부터 제2출입코드를 생성하고, 출입인증부(134)는 생성된 제2출입코드와 대표코드 간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출입인증 성공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입인증부(134)는 출입문 개방신호를 생성하여 출입문구동모듈(150)로 출력함으로써, 출입문구동모듈(150)이 상기 개방신호에 따라 공동출입문(1)을 일정시간 개방하여 사용자 출입하도록 할 수 있다(S160).
여기서, 출입문구동모듈(150)은 객체감지모듈(120)에서 출력된 거리정보에 기초하여 공동출입문(1)의 개방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코드에서 추출된 제1출입코드를 통한 출입인증이 선진행되므로, 출입인증부(134)의 판단결과 제1출입코드와 대표코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출입인증부(134)는 음성출력모듈(160)을 통해 인증실패를 출력함과 함께 번호입력모듈(140)을 통한 비밀번호 입력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번호입력신호에서 생성된 제2출입코드를 통한 출입인증 실패, 즉 제2출입코드와 대표코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출입인증부(134)는 음성출력모듈(160)을 통해 최종인증실패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출입통제방법은 객체감지모듈(120)에 의해 공동출입문(1)에 근접되어 감지된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200)와 블루투스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사용자코드로부터 공동출입문(1)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동출입문(1)의 출입을 위해 이동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출입인증을 수행함으로써, 통신채널 연결을 위한 페어링신호의 불필요한 출력을 방지할 수 있어 출입제어장치(100)의 전력소모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200)를 소지하지 않은 상태이거나 또는 사용자코드로부터 출입인증이 실패하더라도, 사용자에게 버튼키 등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하여 이로부터 공동출입문(1)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함으로써, 공동출입문(1)의 출입통제의 편리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전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1: 공동출입문 10: 공동출입문 통제시스템
100: 출입제어장치 110: 통신모듈
120: 객체감지모듈 130: 출입인증모듈
140: 번호입력모듈 150: 출입문구동모듈
160: 음성출력모듈 200: 사용자단말기
300: 관리서버

Claims (12)

  1. 공동출입문 출입을 위한 사용자코드가 저장된 사용자단말기;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방식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통신채널이 연결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공동출입문에 대한 사용자 출입인증을 수행하며, 출입인증의 결과에 따라 상기 공동출입문을 개방하는 출입제어장치;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등록을 진행하고,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코드를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사용자코드와 기 저장된 대표코드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출입문 개방신호를 출력하는 출입인증모듈; 및
    상기 출입문 개방신호에 따라 상기 공동출입문을 개방시키는 출입문구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출입문에 근접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객체감지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객체감지모듈은 감지된 사용자와 상기 공동출입문 간 거리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인증모듈은,
    상기 사용자코드 내 특정위치의 코드를 제1출입코드로 추출하는 출입코드추출부; 및
    상기 제1출입코드와 상기 대표코드 간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출입인증을 수행하는 출입인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설정된 규칙에 따라 특정위치에 상기 대표코드가 포함된 상기 사용자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
  6. 통신모듈을 통해 공동출입문의 전방으로 페어링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페어링신호에 응답하는 사용자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객체감지모듈을 통한 상기 공동출입문에 근접된 사용자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사용자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사용자코드와 기 저장된 대표코드 간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따라 출입문 개방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공동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을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감지모듈이 사용자를 감지하면,
    상기 통신모듈과 상기 사용자단말기 간 상기 통신채널의 연결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감지모듈이 사용자를 감지하면,
    상기 공동출입문과 사용자 간 거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동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동출입문의 개방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코드에서 특정위치의 코드를 제1출입코드로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제1출입코드와 상기 대표코드 간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방법.
  10. 객체감지모듈을 통해 공동출입문의 전방으로 감지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객체감지모듈이 사용자를 감지하면,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로 페어링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사용자코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사용자코드와 기 저장된 대표코드 간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따라 출입문 개방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공동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을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감지모듈이 사용자를 감지하면,
    상기 공동출입문과 사용자 간 거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동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동출입문의 개방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코드에서 특정위치의 코드를 제1출입코드로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제1출입코드와 상기 대표코드 간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방법.
KR1020210175383A 2021-12-09 2021-12-09 블루투스 통신 기반의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KR202300869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383A KR20230086930A (ko) 2021-12-09 2021-12-09 블루투스 통신 기반의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383A KR20230086930A (ko) 2021-12-09 2021-12-09 블루투스 통신 기반의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930A true KR20230086930A (ko) 2023-06-16

Family

ID=86948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383A KR20230086930A (ko) 2021-12-09 2021-12-09 블루투스 통신 기반의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693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526B1 (ko) 2008-09-29 2010-06-29 주식회사 케이벨 비접촉식 도어록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526B1 (ko) 2008-09-29 2010-06-29 주식회사 케이벨 비접촉식 도어록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4288B1 (ko)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U2014331198B2 (en) Access control us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570601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
JP2013089242A (ja) アクセス制御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1960799B1 (ko)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출입통제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22154B1 (ko) 태그 리더와 개인 인증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CN204833296U (zh) 利用虹膜识别的门锁和系统、移动通信终端和网关
KR20180062692A (ko) 출입문 개폐 통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도어락 장치 및 출입 보안 시스템
KR20230086930A (ko) 블루투스 통신 기반의 공동출입문 출입통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KR2017002441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KR101706041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방법 및 그의 도어락 장치
KR20160010009A (ko) 원격 방문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27461B1 (ko) 멀티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잠금해제 방법
KR2018005515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
KR102340398B1 (ko) 출입 통제 제어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473189B1 (ko) 출입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장치
KR100485650B1 (ko) 무선망을 이용한 도어 개폐 확인 장치 및 방법
KR101563584B1 (ko) 난수에 대응하는 모션을 인증하여 문을 오픈하는 도어 오픈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9303A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하는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