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6644A - Microwave sensor that blocks electromagnetic waves in a specific band and electrical equipment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icrowave sensor that blocks electromagnetic waves in a specific band and electrical equipment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6644A
KR20230086644A KR1020230071478A KR20230071478A KR20230086644A KR 20230086644 A KR20230086644 A KR 20230086644A KR 1020230071478 A KR1020230071478 A KR 1020230071478A KR 20230071478 A KR20230071478 A KR 20230071478A KR 20230086644 A KR20230086644 A KR 20230086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rol unit
band
electromagnetic waves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14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광희
Original Assignee
이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희 filed Critical 이광희
Priority to KR1020230071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6644A/en
Publication of KR20230086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6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23Interference mitigation, e.g. reducing or avoiding non-intentional interference with other HF-transmitters, base station transmitters for mobile communication or other radar systems, e.g. us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reduction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01S13/58Velocity or trajectory determination systems; 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systems
    • G01S13/62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12Bandpass or bandstop filters with adjustable bandwidth and fixed centre frequenc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특정 대역 전자기파를 차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특정 대역 전자파를 차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는 각종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는 기판부, 기판부에 실장되고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전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복수의 단자 중 일부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가 연결되고 센서로 수신된 전자파 중 특정 대역을 차단하는 대역 차단 필터부 및 기판부에 설치되서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를 송수신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송수신 안테나를 포함한다.Disclosed is a microwave sensor that blocks electromagnetic waves of a specific band. The microwave sensor for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of a specific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ard part on which various electronic parts are mounted, a control part mounted on the board part and detecting the motion of an object to generate various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electric devices, and a control part. An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are connecte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band cut filter unit for blocking a specific band among the electromagnetic waves received by the sensor, and a microwav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installed on the substrate unit to transmit and receive microwave signals.

Description

특정 대역 전자기파를 차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Microwave sensor that blocks electromagnetic waves in a specific band and electrical equipment having the same}Microwave sensor that blocks electromagnetic waves in a specific band and lighting device having the same {Microwave sensor that blocks electromagnetic waves in a specific band and electrical equipmen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전기 기기에 관한 것으로써, 센서 주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적 간섭 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전기 기구등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특정 대역의 전자기파를 차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전기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wave sensor and an electric device having the same, and relates to a microwave sensor that blocks electromagnetic waves of a specific band to prevent malfunctions of electric appliances, etc. caused by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ccurring around the sensor, and It relates to an electric device having the same.

최근 다양한 센서 기술, 네트워킹 기술 및 사물 인터넷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가정이나 회사 등에서 스마트 조명 기구를 적용하는 사례가 늘어가고 있다. 스마트 조명 기구는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조명을 켜거나 끄도록 동작할 수 있다. 스마트 조명 기구에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가 탑재됨으로써 사용자가 근접하는 상황을 인지하여 조명 기구를 켜거나 끌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조명 기구 이외에도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전기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센서로 마이크로웨이브 센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sensor technologies, networking technologies, and Internet of Things technologies, cases in which smart lighting fixtures are applied in homes or companies are increasing. The smart lighting fixture may recognize a user's motion and operate to automatically turn on or off the light. Since the microwave sensor is mounted on the smart lighting fixture, the user can recognize an approaching situation and turn the lighting fixture on or off. In addition, in addition to smart lighting fixtures, microwave sensors are widely used as sensor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devices by detecting a user's approach.

도 1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방향으로 근접하게 이동하면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는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고 조명 기구를 턴-온(Turn-on)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Looking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as shown in FIG. 1 (a), when the user moves close to the microwave sensor, the microwave sensor recognizes the user's approach and turns on the lighting fixture. ) generates a control signal that controls to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로부터 멀어지고, 임계 거리를 벗어나게 되면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는 사용자의 벗어남을 인식하고 조명기구를 턴-오프(Turn-off)함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조명 기구를 제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b), when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microwave sensor and moves out of the critical distance, the microwave sensor recognizes the user's departure and controls the lighting fixture to turn off. A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to control the lighting device.

문제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가 오작동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도 2(a)에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가 설치되는 조명 기구는 주변에 전선이나 전기 기기가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조명 기구의 주변 전기 기기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적 영향으로 인하여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상황이 아님에도 전자기적 영향으로 인하여 조명 기구가 턴온되는 오작동이 발생하게 된다.Problems can arise if the microwave sensor malfunctions. Figure 2 (a) shows an example in which electric wires or electric devices are located adjacent to the lighting fixture in which the microwave sensor is installed. Due to the electromagnetic influence generated from electric devices around the lighting fixture, the microwave sensor may malfunction in that the lighting fixture is turned on due to the electromagnetic influence even when the motion of the object is not sensed.

기존에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의 오작동 문제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이뤄졌다. 선행문헌 1은 온도, 습도, 햇빛, 먼지 등 주위 환경의 영향과 무관하게 작동할 수 있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움직임 검출 센서를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선행문헌 2는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하는 인체나 동물 또는 사물을 감지하여 환경적 요인에 의한 오경보나 고장상태를 감시하고 판단하는 생체신호 감지에 따른 오보율을 개선한 보안 감시용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다. 선행문헌 3은 RF수신기 및 RF 신호의 간섭과 제거 방법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다.In the past,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solve the malfunction problem of microwave sensors. Prior Document 1 discloses a technology for providing a motion detection sensor using microwaves that can operate regardless of the influence of surrounding environment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sunlight, and dust. Prior Document 2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microwave sensor for security monitoring that detects a human body, animal, or object approaching within a certain distance to monitor and determine false alarms or malfunctions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and improves the false alarm rate according to biosignal detection. Initiate. Prior Document 3 discloses a technique related to an RF receiver and an RF signal interference and cancellation method.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연구를 통해서는 앞서 제기한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으며, 이러한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방식의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these existing studies cannot solve the existing problems raised above, and in order to solve these existing problem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new type of microwave sensor is required.

선행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1114820호(공고일 : 2012년02월15일)Prior 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14820 (Announcement Date: February 15, 2012) 선행문헌 2 : 한국등록특허 제10-2122636호(공고일 : 2020년06월15일)Prior Docum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22636 (Announcement Date: June 15, 2020) 선행문헌 3 :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12052호(공개일 : 2009년10월28일)Prior Document 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112052 (published on October 28, 2009)

상술한 필요성에 의해서 안출된 본 발명은 조명 기구와 같은 전기 기기가 설치되는 환경에서 외부 전기기기의 전자기적 영향으로 인하여 전기 기기의 오작동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특정 대역 전자기파를 차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전기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hich was made by the above-described need, is a microwave sensor that blocks electromagnetic waves of a specific band to prevent malfunction of electrical devices due to electromagnetic influence of external electrical devices in an environment where electrical devices such as lighting fixtures are installe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device hav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정 대역 전자파를 차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에 있어서, 각종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에 실장되고,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전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복수의 단자 중 일부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가 연결되고, 센서로 수신된 전자파 중 특정 대역을 차단하는 대역 차단 필터부; 및 상기 기판부에 설치되서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를 송수신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송수신 안테나;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microwave sensor for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of a specific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trate portion on whic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mounted; a control unit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generating various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electric devices by detecting motion of an object; a band blocking filter unit having an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controller and blocking a specific band among electromagnetic waves received by the sensor; and a microwav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installed on the substrate to transmit and receive microwave signals.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서 물체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송신하고, 상기 물체로부터 반사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수신하여 상기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microwaves to an object through the microwave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 and receive microwaves reflected from the object to sense the motion of the object.

이 경우에, 상기 대역 차단 필터부는, 상기 제어부의 OPIN 단자와 제1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OPOUT 단자와 제2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VOUT 단자와 출력 단자가 연결되는 노치 필터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band cut filter unit has a notch to which the OPIN terminal and the first input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are connected, the OPOUT terminal and the second input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are connected, and the VO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are connected. Include filters.

이 경우에, 상기 OPIN 단자는 상기 제어부의 내부에 실장된 증폭기(amplifier)의 입력 단자이고, 상기 OPOUT 단자는 상기 증폭기의 출력 단자로 구성한다.In this case, the OPIN terminal is an input terminal of an amplifier mounted inside the control unit, and the OPOUT terminal constitutes an out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이 경우에, 상기 기판부는, 마이크로웨이브 송수신 안테나의 감지 거리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버튼형 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버튼형 스위치는 버튼을 누르면 기 결정된 최대 감지 거리까지 순차적으로 증가시키고, 최대 감지 거리에 도달한 상태에서 추가적인 버튼이 눌러지면 감지 거리를 초기화시킨다.In this case, the substrate unit further includes a button-type switch capable of adjusting the sensing distance of the microwave transceiving antenna in stages, and the button-type switch sequentially increases to a predetermined maximum sensing distance when a button is pressed, and reaches the maximum sensing distance. If an additional button is pressed in the reached state, the detection distance is initialized.

이 경우에, 상기 OPIN 단자는 상기 제어부의 내부에 실장된 증폭기(amplifier)의 입력 단자이고, 상기 OPOUT 단자는 상기 증폭기의 출력 단자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OPIN terminal may be an input terminal of an amplifier mounted inside the controller, and the OPOUT terminal may be an out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한편, 상기 노치 필터는, 60Hz 내지 120 Hz 대역의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다.Meanwhile, the notch filter may block electromagnetic waves in a band of 60 Hz to 120 Hz.

이 경우에, 상기 노치 필터는 트윈 T형 노치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notch filter may be configured as a twin T-type notch filter.

한편, 상기 대역 차단 필처부는, 상기 노치 필터에 연결되는 저역 통과 필터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band blocking filt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low pass filter circuit connected to the notch filter.

이 경우에, 상기 트윈 T형 노치 필터 회로는 입력이 상기 제어부의 OPOUT 단자와 연결되고, 출력이 상기 저역 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저역 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는 상기 트윈 T형 노치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저역 통과 필터 회로는, 상기 트윈 T형 노치 필터의 출력 노드인 제1 노드에 일측이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상기 제1 커패시터의 타측이 연결되는 제2 노드에 일측이 연결되는 제1 저항, 상기 제1 저항의 타측이 연결되는 제3 노드에 일측이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상기 제2 커패시터(C2)의 타측이 연결되는 상기 제어부의 VOUT 단자에 일측이 연결되는 제2 저항(R2), 상기 제2 저항(R2)의 타측이 연결되는 상기 제2 노드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접지되는 제3 커패시터(C3)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twin T-type notch filter circuit has an input connected to the OPOUT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an output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low-pass filter circuit, and an input terminal of the low-pass filter circuit to the twin T-type notch filter circuit. It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a notch filter circuit, and the low-pass filter circuit includes a first capacito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a first node that is an output node of the twin T-type notch filter, and a second capacitor having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first capacitor. A first resisto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a node, a second capacito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a third node 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esistor is connected, and one side to the VOUT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apacitor C2 is connected. A second resistor R2 connected thereto, and a third capacitor C3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esistor R2 is connected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ground.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특정 대역 전자파를 차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는 각종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에 실장되고,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전기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복수의 단자 중 일부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가 연결되고, 센서로 수신된 전자파 중 특정 대역을 차단하는 대역 차단 필터부; 및 상기 기판부에 설치되서 마이크로웨이브를 송수신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송수신 안테나;를 포함한다.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microwave sensor that blocks electromagnetic waves of a specific b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portion on whic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mounted; a control unit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generating various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electric devices by detecting motion of an object; a band blocking filter unit having an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controller and blocking a specific band among electromagnetic waves received by the sensor; and a microwave transmitting/receiving antenna installed on the substrate to transmit/receive microwav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특정 대역 전자파를 차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구비하는 조명 기구는 각종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에 실장되고,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전기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복수의 단자 중 일부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가 연결되고, 센서로 수신된 전자파 중 특정 대역을 차단하는 대역 차단 필터부; 및 상기 기판부에 설치되서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를 송수신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송수신 안테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ing apparatus having a microwave sensor for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of a specific band includes a substrate portion on whic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mounted; a control unit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generating various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electric devices by detecting motion of an object; a band blocking filter unit having an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controller and blocking a specific band among electromagnetic waves received by the sensor; and a microwav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installed on the substrate to transmit and receive microwave signal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장착한 조명 기구의 주변 환경 영향 중에서 전자기적 영향으로부터 강인한 특성을 나타내므로 오작동이 감소하는 효과를 발휘하고,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ing fixture equipped with the microwave sensor exhibits robust characteristics from electromagnetic influence among the environmental influences, thereby exhibiting an effect of reducing malfunctions,

또한, 특정 대역을 차단하기 위한 필터를 제어부의 증폭기의 출력으로부터 흘러나온 신호를 입력받아 대역 차단을 한 뒤 다시 증폭기의 입력 단자로 입력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출력 감소 등에 영향이 없이도 특정 대역의 노이즈만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작동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In addition, by adopting a structure in which a filter for blocking a specific band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output of the amplifier of the control unit, blocks the band, and then inputs it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again, only noise in a specific band is removed without affecting the output reduction. Since it can be removed, it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operational reliability.

도 1은 종래의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의 동작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의 오작동의 일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의 오작동의 다른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정 대역 전자파를 차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의 외관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정 대역 전자파를 차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의 회로 블럭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의 대역 차단 필터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대역 주파수의 차단 효과를 종래 센서와 비교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에 의해서 특정 대역 전자파를 차단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대역 차단 필터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조명 등기구의 전면부에 설치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마이크로웨이브 센서가 설치된 조명 등기구에 안정기를 설치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그리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조명 등기구의 후면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a conventional microwave sensor;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alfunction of a conventional microwave sensor by way of example;
3 is a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alfunction of a conventional microwave sensor by way of example;
4 is a diagram illustratively illustrating the appearance of a microwave sensor that blocks electromagnetic waves of a specific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vely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microwave sensor for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of a specific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vely illustrating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microwav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vely illustrating a band blocking filter unit of a microwav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vely explaining the blocking effect of a specific band frequ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mparison with a conventional sensor;
9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in detail a band blocking filter unit performing an operation of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of a specific band by a microwav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installing a microwav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front side of a lighting fixture;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installing a ballast in the lighting luminaire in which the microwave sensor shown in FIG. 10 is installed, and
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a rear portion of the lighting fixture shown in FIG. 11 by way of example;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 중에 하나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s only one of various embodiment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microwave sensor

도 4를 참고하면,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는 마이크로웨이브 송수신 안테나(170)를 포함하는 각종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는 기판부(110)와 기판부(110)에 실장되고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각종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130) 및 제어부(130)의 복수의 단자 중 일부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가 연결되고, 마이크로웨이브 송수신 안테나(170)를 통해서 수신된 전자파 중 특정 대역을 차단하는 대역 차단 필터부(150)를 포함한다. 도 4(a)를 참고하면 특정 대역 전자기파를 차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의 평면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b)를 참고하면 특정 대역 전자기파를 차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의 저면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microwave sensor 100 is mounted on a substrate 110 and a substrate 110 on whic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including a microwave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 170 are mounted and detects the motion of an object. An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are connecte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control unit 130 and the control unit 130 that generate various control signals and block a specific band among electromagnetic waves received through the microwa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170 It includes a band blocking filter unit 150. Referring to FIG. 4 (a), it is possible to check the planar structure of the microwave sensor 100 that blocks electromagnetic waves of a specific band. Referring to FIG. 4 (b), it is possible to check the bottom structure of the microwave sensor 100 that blocks electromagnetic waves of a specific band.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는, 조명 기구(200)의 조립용 패널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는 마이크로웨이브 송수신 안테나(170)를 통해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명 기구(200)에 의해서 조명되는 공간에 존재하는 사람, 동물, 자동차 등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는 기판부(110)에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발진부와, 발진된 고주파를 증폭시키는 증폭부와, 증폭된 고주파를 공중으로 전파하는 송신안테나와,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에 일체로 형성되어 마이크로웨이브 송수신 안테나(150)는 전파된 고주파 또는 물체에 부딪혀 반사된 고주파를 수신하는 수신안테나와, 물체에 부딪쳐 반사되는 신호와 전파되는 고주파를 합성하는 주파수합성부와, 이 주파수합성부에서 합성된 주파수로부터 중간대역의 주파수로 변환시켜 신호를 출력하는 중간주파수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icrowave sens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assembly panel of the lighting fixture 200. The microwave sensor 100 can sense the motion of people, animals, cars, etc. existing in a space illuminated by the microwave light fixture 200 through the microwave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 170 . The microwave sensor 100 includes a high-frequency oscillation unit for generating high-frequency waves on the substrate unit 110, an amplification unit for amplifying the oscillated high-frequency waves, a transmission antenna for propagating the amplified high-frequency waves into the air, and a microwave sensor 100. The microwa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150 is integrally formed with a reception antenna for receiving propagated high frequencies or high frequencies that collide with and reflect on objects, a frequency synthesizer for synthesizing signals that collide with and reflect on objects and high frequencies that propagate, and this frequency synthesis. It may include an intermediate frequency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ignal by converting the frequency synthesized in the unit into a frequency of the intermediate band.

이와 같이,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는 도플러 원리(Doppler principle)를 이용하여 방사된 마이크로웨이브 주파수 및 중간 주파수에 의해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주파수는 마이크로웨이브(㎓) 범주 영역을 사용하며, 중간 주파수는 방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 주파수와 물체에 의해 반사되는 주파수가 합성된 주파수를 의미한다.In this way, the microwave sensor 100 may detect a moving object by the radiated microwave frequency and the intermediate frequency using the Doppler principle. The frequency used at this time uses the range of microwave (GHz), and the intermediate frequency means a frequency obtained by synthesizing a microwave frequency to be radiated and a frequency reflected by an object.

이러한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는, 복수의 안테나, 신호 생성기, 신호 분배기, 신호 믹스기, 필터, 복수의 증폭기 및 디지털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 송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기판부에 안테나, 증폭, 필터, 통신, 기능 설정 등의 모든 기능부들이 하나로 모듈화되어 설계된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The microwave sensor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ntennas, a signal generator, a signal divider, a signal mixer, a filter, a plurality of amplifiers, and a digital convert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al feature in that all functional units such as an antenna, amplification, filter, communication, and function setting are modularized into one and designed on a substrate including a microwa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정 대역 전자파를 차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기판부(110)에 마련된 복수의 안테나 중 제1 안테나는 외부로의 신호 출력을 위한 것이고, 제2 안테나는 외부로부터의 신호 입력을 위한 것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ve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icrowave sensor for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of a specific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plurality of antennas provided on the substrate unit 110, a first antenna is for outputting a signal to the outside, and a second antenna is for inputting a signal from the outside.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는 제1 및 제2 안테나를 이용하여 외부 피사체(예컨대, 사람)과의 인식 거리가 향상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는 제1 및 제2 안테나를 하나의 안테나로 통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The microwave sensor 100 may improve a recognition distance with an external subject (eg, a person)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microwave sensor 100 may be configured by integrating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into one antenna.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는 마이크로스트립 2X1 페이즈드 어레이 안테나(Phased array antenna)로 설계될 수 있다. 안테나의 방사특성은 배열 형태, 소자의 상대적 위치, 각 소자의 방사 패턴, 단위소자 분포전류의 상대적 크기와 위상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may be designed as microstrip 2X1 phased array antennas.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may vary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typ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elements, the radiation pattern of each element, and the relative size and phase of the unit element distribution current.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의 배열을 형성할 때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 간의 거리는 안테나의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며, 이는 이득(gain), 지향성(directivity), 빔폭(beam width), 그레이팅 로브(grating lobe)의 위치 등을 결정짓는 요소가 된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 사이의 간격이 너무 가까우면 상호 결합이 일어나 안테나의 이득과 효율이 나빠질 수 있고, 즉, 부엽(side lobe level)을 증가하게 하여 주빔을 어긋나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고, 영점(null)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 간의 거리에 따른 상호 간섭에 의하여 안테나 특성의 변화 및 이득의 차가 발생되므로 변화의 특성을 해석하여 최적의 거리로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 간의 간격이 결정될 수 있다.When forming an array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greatly affect the efficiency of the antennas, which are gain, directivity, and beam width. width) and the location of the grating lobe. For exampl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is too close, mutual coupling may occur and the gain and efficiency of the antenna may be deteriorated, that is, the side lobe level may be increased and the main beam may be shifted. can be, and a zero point (null) can be generated. Therefore, since a change in antenna characteristics and a difference in gain are caused by mutual interference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can be determined as an optimal distance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 .

바람직하게,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는 설계시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을 최적화 하여 매칭 손실이 최소한이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1 안테나는 신호 생성기에서 생성된 신호 중 신호 분배기를 통하여 분배된 일부의 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제1 안테나에 의하여 외부로 출력된 신호는 외부의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고, 제2 안테나는 외부의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입력 받는다. 제1 증폭기는 제2 안테나에 의하여 입력된 신호를 증폭한다. 사람 또는 사물과 같은 외부의 피사체로 부터 반사되어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는 매우 작고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다. 이때 반사되는 주파수는 매우 작으며, 이를 if 신호라고 한다. 사람이 걷는 속도 및 저속(30km/s의 속도)의 차량의 IF 주파수는 수 Hz에서 수백 Hz 대역 범위를 갖으므로 제1 증폭기는 제2 안테나에 의하여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 레벨을 증폭한다. Preferably, the microwave sensor 100 may be designed to minimize matching loss by optimizing impedance matching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during design. The first antenna outputs a part of the signals distributed through the signal splitter among the signals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to the outside. A signal output to the outside by the first antenna is reflected from an external subject and returned, and the second antenna receives a signal reflected from an external subject and returned. The first amplifier amplifies the signal input by the second antenna. The size of a signal reflected from an external subject such as a person or object is very small and uses the Doppler effect. At this time, the reflected frequency is very small, and this is called an if signal. Since the IF frequency of a human walking speed and a vehicle at low speed (30 km/s) has a band range of several Hz to hundreds of Hz, the first amplifier amplifies the frequency level of the signal input by the second antenna.

본 발명의 경우에는 증폭기(Amplifier)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대역 차단 필터부(150)의 입력으로 넣어주고, 대역 차단 필터부(150)에 의해서 처리된 신호를 증폭기(Amplifier)의 입력으로 다시 넣어주는 방식으로 안테나를 통해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 중에서 특정 대역을 필터링함으로써 조명 기구의 오작동을 발생시키는 특정 대역의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다. 신호 믹스기는 증폭기를 통하여 증폭된 신호와 신호 분배기를 통하여 분배된 나머지 신호를 믹싱한다. 즉, 신호 믹스기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통하여 송신된 신호와 수신된 신호를 믹싱하는 것으로서, 신호 생성기에서 생성된 신호 중 신호 분배기를 통하여 분배되고, 제1 안테나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되지 않은 나머지 신호와, 제2 안테나를 통하여 입력되고 증폭기를 통하여 증폭된 신호를 믹싱한다. 여기에서, 송신된 신호와 외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수신된 신호를 믹싱하면 두 신호 간의 주파수 차이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주파수 차이값을 이용하면, 제어부(130)는 외부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대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피사체가 근접하는지 멀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ier is input to the input of the band-stop filter unit 150, and the signal processed by the band-stop filter unit 150 is put back into the input of the amplifier.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amplify a signal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nd filter a specific band among the amplified signals, thereby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of a specific band causing malfunction of the lighting fixture. The signal mixer mixes the signal amplified through the amplifier and the remaining signals distributed through the signal divider. That is, the signal mixer mixes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microwave sensor and the received signal, and among the signals generated in the signal generator, the remaining signals distributed through the signal divider and not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antenna, A signal input through the second antenna and amplified through the amplifier is mixed. Here, a frequency difference between the two signals can be obtained by mixing the transmitted signal and the received signal reflected from the external subject. Using the frequency difference value thus obtained, the controller 130 may obtain information about a distance to an external subjec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ubject is approaching or moving away.

필터부는 신호 믹스기로부터 믹싱된 신호를 입력 받아 특정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를 검출한다. 바람직하게, 필터부는 발진기의 하모닉 주파수에 의해 발생되는 스퓨리어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원하는 주파수만 검출하는 것으로서, LPF(Low Pass Filter)로 설계될 수 있다. 제2 증폭기는 필터로부터 검출된 특정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컨버터가 수신할 수 있는 입력 레벨로 신호의 주파수를 증폭시킨다.The filter unit receives the mixed signal from the signal mixer and detect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frequency. Preferably, the filter unit detects only a desired frequency in order to remove a spurious signal generated by the harmonic frequency of the oscillator, and may be designed as a low pass filter (LPF). The second amplifier receive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frequency detected by the filter and amplifies the frequency of the signal to an input level that can be received by the digital converter.

디지털 컨버터는 제2 증폭기로부터 증폭된 신호를 입력 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는 처리기로 입력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는 신호 생성기에서 생성된 신호 중 일부를 외부로 출력하고, 외부의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 생성기에서 생성된 신호 중 나머지와 믹싱한다. 여기에서, 믹싱된 신호는 외부로 송신된 신호와 외부로부터 수신된 신호 간의 주파수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이를 기초로 측정거리가 산출될 수 있다. The digital converter receives the amplified signal from the second amplifier and converts it into a digital signal.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microwave sensor 100 is input to the processor. As described above, the microwave sensor 100 outputs some of the signals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to the outside, receives signals reflected from an external subject and mixes them with the rest of the signals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Here, the mixed signal has information about a difference in frequency between a signal transmitted to the outside and a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a measurement distance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is information.

따라서, 믹싱된 신호는 필터, 제2 증폭기, 및 디지털 컨버터를 통하여 처리된 다음, 처리기에 제공하여 외부의 피사체와의 거리, 즉, 측정거리 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처리기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의 디지털 컨버터에 의하여 디지털로 변환된 신호를 제공받아 측정거리를 산출한다. 바람직하게, 처리기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기초로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이용하여 차이 주파수를 산출하고, 차이 주파수를 기초로 측정거리를 산출한다.Accordingly, the mixed signal may be processed through a filter, a second amplifier, and a digital converter, and then provided to a processor to calculate a distance to an external subject, that is, a measurement distance. The processor receives the signal converted to digital by the digital converter of the microwave sensor 100 and calculates the measurement distance. Preferably, the processor calculates a difference frequency using FFT (Fast Fourier Transform) based on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microwave sensor 100, and calculates a measurement distance based on the difference frequency.

여기서, 차이 주파수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를 통하여 송신된 신호와 수신된 신호 간의 주파수 차이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 차이 주파수를 산출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로부터 거리 R 만큼 떨어진 곳에 외부의 피사체가 정지해 있다고 가정하는 경우,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가 선형(Linear)으로 주파수가 변조된 신호를 송신하면 거리 R에 있는 피사체에 반사되어 2R/c의 시간 지연(time delay)이후에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에 수신된다. 이 때 송신한 신호와 수신한 신호, 즉 제1 안테나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된 신호와 제2 안테나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믹싱(mixing)되면, 처리기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차이 주파수를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Here, the difference frequency corresponds to a frequency difference between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microwave sensor 100 and a signal received. Preferably,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difference frequency is, for example, when it is assumed that an external subject is stationary at a distance R away from the microwave sensor 100, the microwave sensor 100 is linearly When a frequency-modulated signal is transmitted, it is reflected by a subject at a distance R and received by the microwave sensor 100 after a time delay of 2R/c. At this time, when the transmitted signal and the received signal, that is, the signal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antenna and the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antenna are mixed, the processor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microwave sensor The difference frequency can be calculated as in Equation 1 below.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fr은 시간 지연으로 인한 주파수 편이, 즉 차이 주파수이며, B는 스윕 대역포, Tm은 스윕 시간(sweep time)이고, C는 라운드 트립 지연(round trip delay)이다. 그 다음으로, 처리기는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된 fm을 기초로 하여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하여 피사체와의 거리 R을 산출할 수 있다.Here, fr is a frequency shift due to time delay, that is, a difference frequency, B is a sweep bandwidth, Tm is a sweep time, and C is a round trip delay. Next, the processor may calculate the distance R to the subject by Equation 2 based on fm calculated by Equation 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여기에서, R은 거리, B는 스윕 대역폭, Tm은 스윕 시간, C는 라운드 트립 지연, fr은 시간 지연으로 인한 주파수 편이를 나타낸다.Here, R is the distance, B is the sweep bandwidth, Tm is the sweep time, C is the round trip delay, and fr is the frequency shift due to the time delay.

대역 차단 필터부band cut filter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의 회로 블럭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는 특정 대역을 차단하기 위한 대역 차단 필터(15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microwav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Referring to FIG. 6 , the microwave sensor 100 may further include a band blocking filter 150 for blocking a specific band.

대역 차단 필터(150)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의 제어부(130)의 증폭기 출력 단자(OPOUT)와 연결되고, 이를 통해서 전달된 신호에 포함된 전기에서 발생하는 험노이즈 60Hz(일부 국가의 경우에는 50Hz)의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험노이즈는 수십 Hz에서 수백 Hz 주파수 대역에 위치하므로 본 발명의 대역 차단 필터부는 노치 필터로 구현하여 이러한 험노이즈 신호를 제거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The band cut filter 150 is connected to the amplifier output terminal (OPOUT) of the controller 130 of the microwave sensor 100, and hum noise generated from electricity included in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it is 60 Hz (in some countries, 50 Hz) can be filtered. Since the hum noise is located in a frequency band of several tens of Hz to several hundred Hz, the band blocking filt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notch filter to remove the hum noise signal.

즉, 본 발명의 대역 차단 필터(150)는 특정 대역(수십 Hz ~ 수백 Hz)은 전기 기기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적 간섭 신호의 주요 주파수 대역이고, 이러한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신호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에 처리하는 신호 대역과 중첩되는 영역이 아니며 오작동을 발생시키는 대역이므로 이를 노치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대역 차단 필터(150)를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에 내장함으로써 별도의 외부 회로를 구성하지 않아도 험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외부 전자기적 영향으로부터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의 오동작을 예방할 수 있다.That is, in the band blocking filter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band (tens of Hz to hundreds of Hz) is the main frequency band of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ignal generated in the electrical device, and the signal belonging to this frequency band is the microwave sensor 100 Since it is not an area overlapping with the signal band to be processed and it is a band that causes malfunction, it can be removed using a notch filter. By embedding the band-stop filter 150 in the microwave sensor 100, it is possible to block hum noise without configuring a separate external circuit,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microwave sensor from external electromagnetic influences.

이러한 대역 차단 필터부(150)는 앞서 설명한 필터부와는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즉, 대역 차단 필터부(150)는 특정 대역(수십 헤르츠(Hz) 에서 수백 헤르츠(Hz))의 전자기 간섭 신호를 차단하기 위하여 동작하지만, 필터부의 경우에는 특정 대역을 선택하기 위하여 필터링 동작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기능상의 차이가 있다.This band blocking filter unit 150 performs a different function from the filter unit described above. That is, the band blocking filter unit 150 operates to block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ignals of a specific band (tens of hertz (Hz) to hundreds of hertz (Hz)), but in the case of the filter unit, a filter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select a specific band There is a functional difference in that

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은 대역 차단 필터부(150)를 제어부(130)의 증폭기의 출력 단자와 연결하고, 특정 대역이 삭제된 신호를 증폭기의 입력 단자로 넣어주면서 동시에 제어부(130)의 출력 단자로 연결시킴으로써 특정 대역의 차단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출력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A featur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band cut filter unit 150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of the control unit 130, and a signal from which a specific band has been deleted is input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while at the same time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130 is connected. By connecting to , it is configured so that output loss does not occur while faithfully blocking a specific ban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의 대역 차단 필터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기판부(110)의 일 영역에는 대역 차단 필터부(150)를 구성할 수 있다. 대역 차단 필터부(150)의 세부 구성은 이하에서 별도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7 is a diagram illustratively illustrating a band blocking filter unit of a microwav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 a band blocking filter unit 150 may be formed in one region of the substrate unit 110 .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band blocking filter unit 15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separate drawings.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대역 주파수의 차단 효과를 종래 센서와 비교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대역(예컨대, 수십 헤르츠(HZ) 에서 수백 헤르츠(HZ))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를 차단함으로써, 특정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에 의해서 발생되는 험노이즈을 줄여줌으로써 전기 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발휘한다.8 is a diagram illustratively explaining the blocking effect of a specific band frequ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mparison with a conventional sensor. Referring to FIG. 8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lectromagnetic waves having a frequency in a specific band (eg, tens of hertz (HZ) to hundreds of hertz (HZ)) are blocked, thereby generating electromagnetic waves having a frequency of a specific band. By reducing hum noise, it has a remarkable effect of preventing malfunction of electrical equipment.

반면 도 8(b)를 참고하면 종래의 방식에 따른 특정 대역에서의 차단 비율이 본 발명에 비하여 높지 않으므로 험노이즈를 줄여주는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8(b), since the blocking ratio in a specific ban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is not higher than tha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 of reducing the hum noise reduction effect still exists.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에 의해서 특정 대역 전자파를 차단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대역 차단 필터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대역 차단 필터부(150)는 노치 필터와 저역 통과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노치 필터는 특정 대역인 수십 Hz에서 수백 Hz의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하여 구성되고, 저역 통과 필터는 특정 대역이 제거된 신호 중 저역 영역의 신호를 출력하기 위하여 구성된다.9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in detail a band blocking filter unit performing an operation of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of a specific band by a microwav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 the band-stop filter unit 150 may include a notch filter and a low-pass filter. The notch filter is configured to filter signals of several tens of Hz to hundreds of Hz, which is a specific band, and the low pass filter is configured to output signals in a low-pass region among signals from which a specific band has been removed.

노치 필터는 트윈 T형 노치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증폭기의 출력 단자(VOUT)에는 2개의 저항(RE 14, RE 15)와 1개의 커패시터(C 26)를 T형 방식으로 결선시킨 제1 회로와 2개의 커패시터(C 18, C 22)와 1개의 저항(RE 15)을 T형 방식으로 결선시킨 제2 회로를 트윈 방식으로 결선함으로써 트윈 T형 노치 필터를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노치 필터는 특정 대역(예컨대, 수십 Hz 에서 수백 Hz)의 전자파를 차단시킬 수 있다. 이렇게 특정 대역이 차단된 신호에 대해서 저역 통과 필터를 통과시킨다. The notch filter may be composed of a twin T-shaped notch filter. At the output terminal (VOUT) of the amplifier, a first circuit in which two resistors (RE 14 and RE 15) and one capacitor (C 26) are connected in a T-type manner, two capacitors (C 18 and C 22) and one A twin T-type notch filter can be configured by connecting the second circuit in which the resistor RE 15 is connected in a T-type manner in a twin manner. The notch filter configured in this way can block electromagnetic waves of a specific band (eg, tens of Hz to hundreds of Hz). In this way, a low-pass filter passes through a signal for which a specific band is blocked.

저역 통과 필터는 제1 노드(Node 1)와 제2 노드(Node2) 사이에 제1 커패시터(C27)를 결선하고, 제2 노드(Node2)와 제3 노드(Node3) 사이에는 제1 저항(RE 18)을 결선한다. 제2 노드(Node2)와 접지 사이에는 제2 커패시터(C29)를 결선하고, 제2 노드(Node2)와 제어부(120)의 출력 단자(VOUT) 사이에는 제2 저항(RE 23)을 결선한다. 제3 노드(Nodd3)과 제어부(120)의 출력 단자(VOUT) 사이에는 제3 커패시터(C28)를 결선한다.In the low-pass filter, a first capacitor C27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node Node 1 and the second node Node2, and a first resistor RE is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node Node2 and the third node Node3. 18) is wired. A second capacitor C29 is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node Node2 and the ground, and a second resistor RE 23 is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node Node2 and the output terminal VOUT of the controller 120. A third capacitor C28 is connected between the third node Nodd3 and the output terminal VOUT of the control unit 120 .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조명 등기구의 전면부에 설치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는 표준 통신 인터페이스(예, I2C)을 지원하므로 별도의 회로 추가 없이 조명 등기구(200)에 직접 설치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명 등기구 판넬(210) 상에 복수의 조명 소자(220)가 방사형태로 배열된다. 조명 등기구 판넬(210)의 중심에는 홀이 가공되어 있고, 해당 홀에 조명 소자(22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온/오프 제어를 위한 전자 부품이 포함된 조명 PCB 기판(230)을 포함하는 컨트롤부를 구성한다. 조명 PCB 기판(230)의 일부에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240)를 구비하고 있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installing a microwav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front side of a lighting fixture. Referring to FIG. 10 , since the microwave sens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standard communication interface (eg, I2C), it can be confirmed that it can be directly installed in the lighting fixture 200 without adding a separate circuit. Specifically, a plurality of lighting elements 220 are arranged radially on the lighting luminaire panel 210 . A control unit including a lighting PCB board 230 having a hole processed in the center of the lighting luminaire panel 210 and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s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ing device 220 or controlling on/off to the corresponding hole. make up A portion of the lighting PCB board 230 has a connector 24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wave sensor 100 .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마이크로웨이브 센서가 설치된 조명 등기구에 안정기를 설치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조명 PCB 기판(230) 상에 설치된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를 덮도록 커버하는 커버부(250)로 마감될 수 있다. FIG.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installing a ballast in a lighting luminaire in which the microwave sensor shown in FIG. 10 is installed. Referring to FIG. 11 , the cover portion 250 covering the microwave sensor 100 installed on the lighting PCB substrate 230 may be finished.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조명 등기구의 후면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조명 등기구 판넬(210)의 반대면에는 조명 등기구를 설치면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 하우징부(260)를 포함하고, 설치 하우징부(260)의 뒷면에는 전원 공급부(2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전원 공급부(270)와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 사이의 거리가 상당히 근접하도록 구성하여도, 전원 공급부(270)에 의해서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의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00)는 기존의 조명 등기구에 별도의 추가 부품을 설치하지 않고도 험노이즈로 인한 동작 오류가 감소되는 현저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a rear portion of the lighting fixture shown in FIG. 11 by way of example. Referring to FIG. 12, the opposite side of the lighting luminaire panel 210 includes an installation housing part 260 so that the lighting fixture can be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the back side of the installation housing part 26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270. do.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power supply 270 and the microwave sensor 100 is configured to be fairly close, the power supply 270 does not cause malfunction of the microwave sensor 100, s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wave sensor 100 of can exert a remarkable effect of reducing operation errors due to hum noise without installing additional components to existing lighting fixtures.

100 :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110 : 기판부
130 : 제어부
150 : 대역 차단 필터부
170 : 마이크로웨이브 송수신 안테나
190 : 커넥터
200 : 조명 등기구
100: microwave sensor
110: board part
130: control unit
150: band cut filter unit
170: microwave transmit and receive antenna
190: connector
200: lighting luminaires

Claims (4)

특정 대역 전자파를 차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에 있어서,
각종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에 실장되고,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전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복수의 단자 중 일부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가 연결되고, 센서로 수신된 전자파 중 특정 대역을 차단하는 대역 차단 필터부; 및
상기 기판부에 설치되서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를 송수신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송수신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서 물체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송신하고, 상기 물체로부터 반사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수신하여 상기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상기 대역 차단 필터부는, 상기 제어부의 OPIN 단자와 제1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OPOUT 단자와 제2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VOUT 단자와 출력 단자가 연결되서 60Hz 내지 120 Hz 대역의 전자파를 차단하는 트윈 T형 노치 필터와 상기 트윈 T형 노치 필터에 연결되는 저역 통과 필터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OPIN 단자는, 상기 제어부의 내부에 실장된 증폭기(amplifier)의 입력 단자이고, 상기 OPOUT 단자는 상기 증폭기의 출력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대역 전자파를 차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In the microwave sensor for blocking specific band electromagnetic waves,
a substrate portion on whic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mounted;
a control unit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generating various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electric devices by detecting motion of an object;
a band blocking filter unit having an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controller and blocking a specific band among electromagnetic waves received by the sensor; and
A microwa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installed on the substrate to transmit and receive microwave signals;
The control unit transmits microwaves to an object through the microwa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receives microwaves reflected from the object, and senses the motion of the object;
The band-cutting filter unit connects the OPIN terminal and the first input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connects the OPOUT terminal and the second input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and connects the VO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to 60 Hz to 120 Hz band. A twin T-type notch filter for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and a low-pass filter circuit connected to the twin T-type notch filter,
The OPIN terminal is an input terminal of an amplifier mounted inside the controller, and the OPOUT terminal is a microwave sensor for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of a specific b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윈 T형 노치 필터 회로는 입력이 상기 제어부의 OPOUT 단자와 연결되고, 출력이 상기 저역 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저역 통과 필터 회로의 입력 단자는 상기 트윈 T형 노치 필터 회로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저역 통과 필터 회로는, 상기 트윈 T형 노치 필터의 출력 노드인 제1 노드에 일측이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상기 제1 커패시터의 타측이 연결되는 제2 노드에 일측이 연결되는 제1 저항, 상기 제1 저항의 타측이 연결되는 제3 노드에 일측이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상기 제2 커패시터(C2)의 타측이 연결되는 상기 제어부의 VOUT 단자에 일측이 연결되는 제2 저항(R2), 상기 제2 저항(R2)의 타측이 연결되는 상기 제2 노드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접지되는 제3 커패시터(C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대역 전자파를 차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According to claim 1,
The twin T-type notch filter circuit has an input connected to the OPOUT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and an output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low-pass filter circuit,
The input terminal of the low-pass filter circu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twin T-type notch filter circuit,
The low-pass filter circuit includes a first capacito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a first node which is an output node of the twin T-type notch filter, a first resisto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a second node 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pacitor is connected, A second capacito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a third node 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esistor is connected, a second resistor R2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VOUT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apacitor C2 is connect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capacitor (C3),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esistor (R2) is connected and the other side is grounded.
A microwave sensor that blocks specific band electromagnetic waves.
각종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에 실장되고,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전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복수의 단자 중 일부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가 연결되고, 센서로 수신된 전자파 중 특정 대역을 차단하는 대역 차단 필터부; 및
상기 기판부에 설치되서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를 송수신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송수신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서 물체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송신하고, 상기 물체로부터 반사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수신하여 상기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상기 대역 차단 필터부는, 상기 제어부의 OPIN 단자와 제1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OPOUT 단자와 제2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VOUT 단자와 출력 단자가 연결되서 60Hz 내지 120 Hz 대역의 전자파를 차단하는 트윈 T형 노치 필터와 상기 트윈 T형 노치 필터에 연결된느 저역 통과 필터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OPIN 단자는, 상기 제어부의 내부에 실장된 증폭기(amplifier)의 입력 단자이고, 상기 OPOUT 단자는 상기 증폭기의 출력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대역 전자파를 차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a substrate portion on whic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mounted;
a control unit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generating various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electric devices by detecting motion of an object;
a band blocking filter unit having an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controller and blocking a specific band among electromagnetic waves received by the sensor; and
A microwa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installed on the substrate to transmit and receive microwave signals;
The control unit transmits microwaves to an object through the microwa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receives microwaves reflected from the object, and senses the motion of the object;
The band-cutting filter unit connects the OPIN terminal and the first input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connects the OPOUT terminal and the second input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and connects the VO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to 60 Hz to 120 Hz band. A twin T-type notch filter for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and a low-pass filter circuit connected to the twin T-type notch filter,
The OPIN terminal is an input terminal of an amplifier mounted inside the control unit, and the OPOUT terminal is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microwave sensor for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of a specific b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각종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에 실장되고,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전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복수의 단자 중 일부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가 연결되고, 센서로 수신된 전자파 중 특정 대역을 차단하는 대역 차단 필터부; 및
상기 기판부에 설치되서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를 송수신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송수신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서 물체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송신하고, 상기 물체로부터 반사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수신하여 상기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상기 대역 차단 필터부는, 상기 제어부의 OPIN 단자와 제1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OPOUT 단자와 제2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VOUT 단자와 출력 단자가 연결되서 60Hz 내지 120 Hz 대역의 전자파를 차단하는 트윈 T형 노치 필터와 상기 트윈 T형 노치 필터에 연결된느 저역 통과 필터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OPIN 단자는, 상기 제어부의 내부에 실장된 증폭기(amplifier)의 입력 단자이고, 상기 OPOUT 단자는 상기 증폭기의 출력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대역 전자파를 차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구비하는 조명 기구.
a substrate portion on whic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mounted;
a control unit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generating various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electric devices by detecting motion of an object;
a band blocking filter unit having an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controller and blocking a specific band among electromagnetic waves received by the sensor; and
A microwa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installed on the substrate to transmit and receive microwave signals;
The control unit transmits microwaves to an object through the microwa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receives microwaves reflected from the object, and senses the motion of the object;
The band-cutting filter unit connects the OPIN terminal and the first input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connects the OPOUT terminal and the second input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and connects the VO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to 60 Hz to 120 Hz band. A twin T-type notch filter for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and a low-pass filter circuit connected to the twin T-type notch filter,
The OPIN terminal is an input terminal of an amplifier mounted inside the control unit, and the OPOUT terminal is a lighting fixture having a microwave sensor for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of a specific b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KR1020230071478A 2021-04-27 2023-06-02 Microwave sensor that blocks electromagnetic waves in a specific band and electrical equipment having the same KR202300866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1478A KR20230086644A (en) 2021-04-27 2023-06-02 Microwave sensor that blocks electromagnetic waves in a specific band and electrical equipment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659A KR20220147456A (en) 2021-04-27 2021-04-27 Microwave sensor that blocks electromagnetic waves in a specific band and electrical equipment having the same
KR1020230071478A KR20230086644A (en) 2021-04-27 2023-06-02 Microwave sensor that blocks electromagnetic waves in a specific band and electrical equipment hav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659A Division KR20220147456A (en) 2021-04-27 2021-04-27 Microwave sensor that blocks electromagnetic waves in a specific band and electrical equipment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644A true KR20230086644A (en) 2023-06-15

Family

ID=840407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659A KR20220147456A (en) 2021-04-27 2021-04-27 Microwave sensor that blocks electromagnetic waves in a specific band and electrical equipment having the same
KR1020230071478A KR20230086644A (en) 2021-04-27 2023-06-02 Microwave sensor that blocks electromagnetic waves in a specific band and electrical equipment hav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659A KR20220147456A (en) 2021-04-27 2021-04-27 Microwave sensor that blocks electromagnetic waves in a specific band and electrical equipment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147456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052A (en) 2008-04-23 2009-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jecting blocker of RF signal
KR101114820B1 (en) 2010-09-02 2012-02-15 (주) 텔트론 Moving detection sensor using microwave
KR102122636B1 (en) 2015-06-09 2020-06-12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Battery, battery pack, electronic instrument, electric car, power storage device and power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052A (en) 2008-04-23 2009-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jecting blocker of RF signal
KR101114820B1 (en) 2010-09-02 2012-02-15 (주) 텔트론 Moving detection sensor using microwave
KR102122636B1 (en) 2015-06-09 2020-06-12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Battery, battery pack, electronic instrument, electric car, power storage device and pow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456A (en)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2901A (en) Built-in radiation structure for a millimeter wave radar sensor
JP3883847B2 (en) In-vehicle signal processor
US9341509B2 (en) Frequency modulation continuous wave radar level meter and signal-tracking and phase-locking method for the same
JP2010511150A (en) Radio wave detection method and radio wave detection module for illegal radio device, and mobile device having radio wave detection function using the same
US10107709B2 (en) Water sensors with multi-value outpu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JP6457968B2 (en) Pulse radar device and its parts
US5600253A (en) Electromagnetic wave reflective type, low cost, active proximity sensor for harsh environments
US10381722B2 (en) Tuned grounding arm for near field radio coexistence
KR102594133B1 (en) Motion sensor and monito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30086644A (en) Microwave sensor that blocks electromagnetic waves in a specific band and electrical equipment having the same
KR101998360B1 (en) Sensor module
JP2009290275A (en) Antenna system and load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KR101090836B1 (en) Motion sensor using a Single Circular-Polarized Antenna
US3668703A (en) Motion detector
KR910000108B1 (en) High frequeney anti-theft system
TWI545533B (en) Sensor for detecting parking lot by integrating microwave sensing, bluetooth communication and solar power
US20080174471A1 (en) Uwb signal transmitter for radars and sensors
KR101219902B1 (en) Network measurement system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US5999090A (en) Alarm sensor and antenna arrangement
JP2021153234A (en) Proximity sensor
KR102594136B1 (en) Motion sensor and monito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457961Y1 (en) Microwave motion sensor module having differential IF output
KR20140087472A (en) Omni-directional microwave doppler sensor
JP5047059B2 (en) Antenna device and load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CN219087400U (en) Millimeter wave detection device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