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6083A - Air safety mat - Google Patents

Air safety m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6083A
KR20230086083A KR1020210174389A KR20210174389A KR20230086083A KR 20230086083 A KR20230086083 A KR 20230086083A KR 1020210174389 A KR1020210174389 A KR 1020210174389A KR 20210174389 A KR20210174389 A KR 20210174389A KR 20230086083 A KR20230086083 A KR 20230086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edge
connection part
air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3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64884B1 (en
Inventor
이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디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디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디앤에스
Priority to KR1020210174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884B1/en
Publication of KR20230086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0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8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jumping devices, e.g. jumping-sheets, jumping-mattr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안전매트는 상면이 개방된 3차원 형태로 구비되어 공기를 공급받는 하단부와, 상기 하단부의 개방된 상면에 얹혀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하단부와 결합하는 중간부와, 하면이 개방된 3차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중간부와 결합하는 상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An air safety ma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end portion provid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supplied with air, and a middle portion provided in a form resting on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and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It is provided in a three-dimensional form with a lower surface open and may have an upper end coupled to the middle part.

Description

공기안전매트{Air safety mat}Air safety mat {Air safety mat}

본 발명은 공기안전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안전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safety ma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safety mat capable of improving portability.

화재 등과 같은 긴급 상황의 발생시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각종 구명 기구, 소화 및 방화 기구, 그리고 긴급 피난을 위한 긴급 비상구의 설비를 법령으로 의무적으로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fire, various life-saving appliances, fire extinguishing and fire prevention appliances, and emergency exit facilities for emergency evacuation are strictly regulated by law.

화재 등의 재난 시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인명을 보호하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의 인명구조 용구가 알려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이 공기 안전 매트(air safety mat)이다.BACKGROUND ART Various types of lifesaving tools are known to protect people falling from high places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fire, and among them, an air safety mat is widely used.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 안전 매트는 공기 주입 방식에 따라 팬(fan) 식 공기 안전 매트와 실린더 식 공기 안전 매트로 분류할 수 있다.Air safety mats according to the prior art can be classified into fan-type air safety mats and cylinder-type air safety mats according to air injection methods.

그 중에서 팬 식 공기 안전 매트에 의하면, 팬을 구동하여 안전 매트의 내부로 공기를 불어 넣어 주면, 상부 매트 및 하부 매트가 부풀어 오르면서 펼쳐지게 됨으로써 쿠션의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Among them, according to the fan-type air safety mat, when air is blown into the safety mat by driving a fan, the upper mat and the lower mat are inflated and unfolded to serve as a cushion.

따라서, 높은 건물이나 다리 난간 등 높은 곳에서 사람이 떨어질 시 상부 매트의 공기쿠션 작용에 의해 추락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여 부상이나 생명을 잃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a person falls from a high place such as a tall building or a bridge railing, the air cushion action of the upper mat relieves the shock caused by the fall, thereby preventing injury or loss of life.

그러나 종래 기술들은 송전탑과 같은 차량 진입이 어려운 산이나 논 등에 이송 및 설치가 용이하지 않아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ologies have a problem in that they cannot protect the safety of workers because they are not easy to transport and install in mountains or rice fields where vehicles are difficult to enter, such as transmission towers.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0019333호(2000.11.15)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0-0019333 (November 15, 200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안전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safety mat capable of improving portability.

그리고 낙하 후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안전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d to provide an air safety mat that can prevent bouncing off after fall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안전매트는 상면이 개방된 3차원 형태로 구비되어 공기를 공급받는 하단부와, 상기 하단부의 개방된 상면에 얹혀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하단부와 결합하는 중간부와, 하면이 개방된 3차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중간부와 결합하는 상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An air safety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with an open top and a lower end for receiving air, and a form resting on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It may include a middle portion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coupled to the middle portion provid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with an open lower surface.

상기 하단부는 판 형상의 제1베이스와, 상기 제1베이스의 테두리에 일단이 맞대어져 상 방향으로 기립하여 구비되는 제1테두리와, 상기 제1베이스와 상기 제1테두리에 의해 형성되는 제1내부공간과. 상기 제1베이스에서 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상단부의 평탄화를 유지하는 다수의 제1지지대와, 상기 제1테두리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내부공간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하는 주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부는 판 형상의 제2베이스와, 상기 제2베이스의 테두리에 중심부가 맞대어져 상하방향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제2테두리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2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지대가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홀과, 상기 다수의 관통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1내부공간에 주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통기홀을 구비하고, 상기 상단부는 판 형상의 제3베이스와, 상기 제3베이스의 테두리에 일단이 맞대어져 하 방향으로 기립하여 구비되는 제3테두리와, 상기 제3베이스와 상기 제3테두리에 의해 형성되는 제2내부공간과, 상기 제3베이스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지지대와 연결되어 상기 제3베이스의 평탄화를 유지하는 다수의 제2지지대와, 상기 제3테두리의 일면에 구비되어 완충역할을 하는 완충창과, 상기 제3테두리의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통기홀을 통해 이동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풍창을 구비할 수 있다.The lower part has a plate-shaped first base, a first edge provided with one end facing the edge of the first base and standing upward, and a first inner portion formed by the first base and the first edge. space and. A plurality of first supports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base a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to maintain flatness of the upper end, and an inle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dge to inject air into the first inner space.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is provided on the second base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 base in the form of a plate, and the second edge provided in the form of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center abutting the edge of the second base.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first support rod passes, and a ventilation hole provided in the second base so as to be loc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through which air injected into the first inner space moves, and the upper end portion A third base having a plate shape, a third border having one end facing the edge of the third base and standing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 second inner space formed by the third base and the third border, ,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hird base and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to maintain the flatness of the third base, a buffer window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hird edge and serving as a buffer, A ventilation window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third rim to discharge air moved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may be provided.

상기 제1테두리에는 상기 제2테두리측 일단을 따라 구비되는 제1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테두리에는 상기 제1테두리측 일단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와 체결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3테두리측 일단을 따라 구비되는 제3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테두리에는 상기 제2테두리측 일단을 따라 구비되어 제3연결부와 체결되는 제4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부 내지 상기 제4연결부는 지퍼타입 또는 벨크로타입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first border is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on part provided along one end of the second edge side, the second border is provided along one end of the first border side and is fastened with the first connection part; A third connection part located above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provided along one end of the third edge side, and a fourth connection part provided along one end of the second edge side and fastened to the third connection part on the third edge. Provide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o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may be any one of a zipper type or a Velcro type.

상기 제1지지대에는 상기 제2지지대측 일단에 구비되는 제5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대에는 상기 제1지지대측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5연결부와 체결되는 제6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5연결부와 상기 제6연결부는 지퍼타입, 벨크로타입 또는 D-링타입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first support is provided with a fifth connection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is provided with a sixth connection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and fastened with the fifth connection, The fifth connection part and the sixth connection part may be any one of a zipper type, a Velcro type, or a D-ring type.

상기 하단부, 상기 중간부 및 상기 상단부가 분리되었을 시 상기 하단부, 상기 중간부 및 상기 상단부를 각각 보관수납하여 휴대하는 수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하단부가 보관수납되는 제1수납공간과, 상기 제1수납공간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중간부가 보관수납되는 제2수납공간과, 상기 제2수납공간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상단부가 보관수납되는 제3수납공간과, 상기 제1수납공간, 상기 제2수납공간 또는 상기 제3수납공간에 연결되어 휴대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끈을 구비할 수 있다.When the lower part, the middle part, and the upper part are separated, the lower part, the middle part, and the upper part are further provided with a storage part for storing and carrying, respectively, the storage part having a first storage space in which the lower part is stored and stored; A second storage spac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storage space and storing the middle portion, a third storage spac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storage space and storing the upper portion, and the first storage space, A portable strap connected to the second storage space or the third storage space so as to be portable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따른 공기안전매트에 의하면,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ir safety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ortability can be improved.

그리고 낙하 후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nd it can prevent bouncing after fall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안전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안전매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안전매트의 절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안전매트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safety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safety mat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cutaway view of the air safety mat shown in Figure 1;
4 is a view showing part A shown in FIG. 3;
5 is a view showing part B shown in FIG. 3;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unit in which the air safety mat shown in FIG. 1 is accommodat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안전매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ir safety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안전매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안전매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안전매트의 절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safety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safety mat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cutaway view of the air safety mat shown in FIG.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안전매트(10)는 하단부(100), 중간부(200) 및 상단부(300)로 이루어질 수 있다.1 to 3 , an air safety ma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ower part 100, a middle part 200, and an upper part 300.

하단부(100)는 상면이 개방된 3차원 형태로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The lower part 100 is provid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can receive air from the outside.

하단부(10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하단부(100)는 제1베이스(110), 제1테두리(120), 제1내부공간(130), 제1지지대(140) 및 주입구(150)를 구비할 수 있다.Looking in detail at the lower end 100, the lower end 100 may include a first base 110, a first edge 120, a first inner space 130, a first support 140 and an inlet 150. can

제1베이스(1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을 가지며, 공기안전매트(10)가 설치되는 위치의 지면과 맞대어질 수 있다.The first base 110 has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ay face the ground where the air safety mat 10 is installed.

제1테두리(120)는 제1베이스(110)의 테두리에 일단이 맞대어지고 상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제1베이스(110)의 테두리를 따라 상 방향으로 기립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edge 12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one end faces the edge of the first base 110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in an upward direction to stand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first base 110 .

제1내부공간(130)은 제1베이스(110)와 제1테두리(120)에 의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공기가 채워질 수 있다.The first inner space 130 is formed by the first base 110 and the first rim 120 and can be filled with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여기서, 제1테두리(120)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공기가 제1내부공간(130)에 채워짐에 따라 제1베이스(110)로부터 상 방향으로 기립한 형태가 될 수 있다.Here, the first rim 120 may be in the form of standing upward from the first base 110 as the first inner space 130 is filled with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제1지지대(140)는 일단이 제1베이스(1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다수가 구비되어 상단부(300)와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공기가 제1내부공간(130)에 채워짐에 따라 기립한 형태가 되며, 타단과 연결된 상단부(300)를 하단부(100)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발휘하여 상단부(300)의 평탄화를 유지시킴으로써 낙하자가 상단부(300)에서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1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in a form in which one end is fixed to the first base 110 and the other end extends upward,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300, and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supplied to the first inner space ( 130), it becomes an upright form, and the upper end 300 connected to the other end exerts a pull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end 100 to maintain the flatness of the upper end 300, so that the falling person is bounced off the upper end 300 that can be prevented

주입구(150)는 제1테두리(120)의 일면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제1내부공간(130)에 공기가 주입되며, 제1내부공간(130)에 공기가 채워진 후에는 주입구(150)를 막아 제1테두리(120)와 제1지지대(140)가 상 방향으로 기립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과도한 공기주입으로 공기안전매트(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inlet 15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edge 120 so that air is injected into the first inner space 130 from the outside, and after the first inner space 130 is filled with air, the inlet 150 is block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ir safety mat 10 from being damaged due to excessive air injection while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rim 120 and the first support 140 stand upward.

한편, 중간부(200)는 하단부(100)의 개방된 상면에 얹혀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하단부(100)와 결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iddle portion 200 is provided in a form resting on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100 can be combined with the lower portion (100).

중간부(20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중간부(200)는 제2베이스(210), 제2테두리(220), 관통홀(230) 및 통기홀(240)을 구비할 수 있다.Looking closely at the middle portion 200 , the middle portion 200 may include a second base 210 , a second edge 220 , a through hole 230 and a ventilation hole 240 .

제2베이스(2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을 가지며, 제1베이스(110)와 동일한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base 210 may have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ay have the same size as the first base 110 .

제2테두리(220)는 제2베이스(210)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되 중심부가 제2베이스(210)의 테두리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하방향 즉, 하단부(100)와 상단부(300)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border 220 is provided along the edge of the second base 210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end 100 and the upper end 300, in a state where the center faces the edge of the second base 210. It can be provided in the form of

관통홀(230)은 제1지지대(14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고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2베이스(210)에 구비되며, 관통홀(230)을 통해 제1지지대(140)가 제2베이스(210)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through-holes 230 ar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first supports 140 and are provided on the second base 210 to maintain a certain interval, and the first supports 140 are provided through the through-holes 230. 2 may be exposed to the top of the base 210.

통기홀(240)은 제2베이스(210)에 구비된 다수의 관통홀(2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2베이스(210)에 구비되어 제1내부공간(130)에 채워진 공기가 제2베이스(210)의 상부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The ventilation hole 240 is provided on the second base 210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30 provided on the second base 210, so that the air filled in the first inner space 130 passes through the second base ( 210) can be moved to the top.

한편, 상단부(300)는 하면이 개방된 3차원 형태로 구비되어 중간부(200)와 결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part 300 is provided in a three-dimensional form with an open lower surface and can be combined with the middle part 200.

상단부(30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상단부(300)는 제3베이스(310), 제3테두리(320), 제2내부공간(330), 제2지지대(340), 완충창(350) 및 배충창(360)을 구비할 수 있다.Looking closely at the upper part 300, the upper part 300 includes a third base 310, a third border 320, a second inner space 330, a second support 340, a buffer window 350, and a ship. A chungchang 360 may be provided.

제3베이스(310)는 제2베이스(2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을 가지고, 제2베이스(210)와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며, 낙하자가 제3베이스(310)의 상면에 낙하 될 수 있다.The third base 310 has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provided in the same size as the second base 210, and a falling person is to fal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base 310. can

제3테두리(320)는 제3베이스(310)의 테두리에 일단이 맞대어져 제3베이스(310)의 테두리를 따라 하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third edge 32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one end faces the edge of the third base 310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ownward direction along the edge of the third base 310 .

제2내부공간(330)은 제3베이스(310)와 제3테두리(320)에 의해 형성되어 통기홀(240)을 통해 제2베이스(210)의 상부로 이동된 공기가 채워질 수 있다.The second inner space 330 is formed by the third base 310 and the third rim 320 and can be filled with air moved to the top of the second base 210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240 .

여기서, 제3테두리(320)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공기가 제2내부공간(330)에 채워짐에 따라 기립한 형태가 될 수 있다.Here, the third border 320 may be in a standing shape as the second inner space 330 is filled with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제2지지대(340)는 제1지지대(140)와 동일한 위치와 개수로 제3베이스(310)에서 하 방향으로 다수가 연장되고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제1지지대(140)의 타단과 각각 연결되어 제1지지대(140)와 제2지지대(340)의 연결을 통해 제3베이스(310)에 하단부(100)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전달함으로써 제3베이스(310)의 평탄화를 유지시켜 낙하자의 제3베이스(310)에서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plurality of second supports 340 extend downward from the third base 310 in the same position and number as the first supports 140 and ar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140 located on the same line, respectively.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first support 140 and the second support 340, a pull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third base 310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end 100, thereby maintaining the flattening of the third base 310 to prevent falling persons. 3 It is possible to prevent bouncing out of the base 310.

완충창(350)은 제3테두리(320)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단부(300)의 완충역할을 하고, 배충창(360)은 제3테두리(320)의 타면에 구비되어 통기홀(240)을 통해 제2내부공간(330)으로 이동된 공기가 소량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buffer window 35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hird rim 320 to act as a buffer for the upper end 300, and the insecticide window 36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ird rim 320 to open the ventilation hole 240. Through this, a small amount of air moved to the second inner space 330 may be discharged.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안전매트(10)의 상단부(300), 중간부(200) 및 하단부(100)의 연결부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Next, connection parts of the upper part 300, the middle part 200, and the lower part 100 of the air safety ma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described in detail,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or extremely similar parts are omitted.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part A shown in FIG. 3 , and FIG. 5 is a view showing part B shown in FIG. 3 .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안전매트(10)는 상면이 개방된 3차원 형태로 구비되어 공기를 공급받는 하단부(100), 하단부(100)의 개방된 상면에 얹혀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하단부(100)와 결합하는 중간부(200) 및 하면이 개방된 3차원 형태로 구비되어 중간부(200)와 결합하는 상단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1 to 5, the air safety ma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includes a lower part 100 receiving air and an open upper part 100 of the lower part 100.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being placed on the upper surface and coupled to the lower end portion 100 and the middle portion 200 and the lower surface is provided in an open three-dimensional form to be provided with the upper portion 300 coupled to the middle portion 200 may be provided.

그리고 하단부(100)는 판 형상의 제1베이스(110), 제1베이스(110)의 테두리에 일단이 맞대어져 상 방향으로 기립하여 구비되는 제1테두리(120), 제1베이스(110)와 제1테두리(120)에 의해 형성되는 제1내부공간(130). 제1베이스(110)에서 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부(300)와 연결되어 상단부(300)의 평탄화를 유지하는 다수의 제1지지대(140) 및 제1테두리(120)의 일면에 구비되어 제1내부공간(130)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하는 주입구(150)를 구비하고, 중간부(200)는 판 형상의 제2베이스(210), 제2베이스(210)의 테두리에 중심부가 맞대어져 상하방향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제2테두리(220),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2베이스(210)에 구비되어 제1지지대(140)가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홀(230) 및 다수의 관통홀(2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2베이스(210)에 구비되어 제1내부공간(130)에 주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통기홀(240)을 구비하며, 상단부(300)는 판 형상의 제3베이스(310), 제3베이스(310)의 테두리에 일단이 맞대어져 하 방향으로 기립하여 구비되는 제3테두리(320), 제3베이스(310)와 제3테두리(320)에 의해 형성되는 제2내부공간(330), 제3베이스(310)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지지대(140)와 연결되어 제3베이스(310)의 평탄화를 유지하는 다수의 제2지지대(340), 제3테두리(320)의 일면에 구비되어 완충역할을 하는 완충창(350) 및 상기 제3테두리(320)의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통기홀(240)을 통해 이동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충창(360)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end 100 has a plate-shaped first base 110, a first edge 120, a first base 110 provided with one end facing the edge of the first base 110 and standing up in the upward direction. A first inner space 130 formed by the first border 120 . A plurality of first supports 140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base 110 a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300 to maintain the flatness of the upper end 300 and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dge 120, the first It is provided with an inlet 150 through which air is injected into the inner space 130, and the middle portion 200 has a plate-shaped second base 210 and a central portion abutting the rim of the second base 2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edge 220 provided in an extended form, a plurality of through-holes 230 and a plurality of through-holes 230 provided on the second base 210 so a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rough which the first support 140 passes. ) It is provided on the second base 210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vent holes 240 through which the air injected into the first inner space 130 moves, and the upper end 300 has a plate-shaped third base 310. ), the third edge 320 provided by standing up in the downward direction with one end facing the edge of the third base 310, and the second inner space formed by the third base 310 and the third edge 320 330,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s 340, third edges 3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hird base 310 and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140 to maintain the flatness of the third base 310 )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uffer window 350 serving as a buffer and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ird edge 320 to discharge the air moved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240. can

한편, 제1테두리(120)에는 제2테두리(220)측 일단을 따라 구비되는 제1연결부(121)가 구비되고, 제2테두리(220)에는 제1테두리(120)측 일단을 따라 구비되어 제1연결부(121)와 체결되는 제2연결부(221)와 제2연결부(221)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3테두리(320)측 일단을 따라 구비되는 제3연결부(222)를 구비하며, 제3테두리(320)에는 제2테두리(220)측 일단을 따라 구비되어 제3연결부(222)와 체결되는 제4연결부(321)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border 120 is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or 121 provided along one end of the second border 220 side, and the second border 220 is provided along one end of the first border 120 side, It has a second connection part 221 fasten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21 and a third connection part 222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221 and provided along one end of the third edge 320 side, The third edge 320 may include a fourth connection part 321 provided along one end of the second edge 220 side and fastened with the third connection part 222 .

여기서, 서로 연결되는 제1연결부(121)와 제2연결부(221), 제3연결부(222)와 제4연결부(321)는 지퍼타입 또는 벨크로타입 등이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first connection part 12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21, the third connection part 222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 321 connected to each other may be of a zipper type or a Velcro type.

한편, 제1지지대(140)에는 제2지지대(340)측 일단에 구비되는 제5연결부(141)를 구비되고, 제2지지대(340)에는 제1지지대(140)측 일단에 구비되어 제5연결부(141)와 체결되는 제6연결부(341)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upport 140 is provided with a fifth connection part 141 provided at one end on the second support 340 side, and the second support 340 is provided on one end on the first support 140 side to form a fifth A sixth connection part 341 fastened with the connection part 141 may be provided.

여기서, 제5연결부(141)와 제6연결부(341)는 지퍼타입, 벨크로타입 또는 D-링타입 등이 적용될 수 있다.Here, a zipper type, a Velcro type, or a D-ring type may be applied to the fifth connection part 141 and the sixth connection part 341.

이와 같이, 서로 연결되는 제1연결부(121)와 제2연결부(221), 제3연결부(222)와 제4연결부(321)에 지퍼타입 또는 벨크로타입 등을 적용하고, 제5연결부(141)와 제6연결부(341)에 지퍼타입, 벨크로타입 또는 D-링타입 등을 적용함으로써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하므로 신속한 설치 또는 해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way, a zipper type or a Velcro type is appli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2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21, the third connection part 222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 321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fth connection part 141 By applying a zipper type, Velcro type, or D-ring type to the and sixth connection parts 341, connection and separation are easy, so that rapid installation or disassembly can be achieved.

또한, 각각 편리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어 차량 진입이 어려운 산악지역 등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송전탑 등과 같은 장소에서의 작업 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each of them can be conveniently carried and stored, it is possible to move to mountainous areas where vehicle access is difficult, so it can be easily used when working in places such as transmission towers.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안전매트(10)가 수납 및 보관되는 수납부(4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Next, the storage unit 400 in which the air safety ma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and stored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described in detail,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or extremely similar parts are omitted.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안전매트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unit in which the air safety mat shown in FIG. 1 is accommodated.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안전매트(10)는 상면이 개방된 3차원 형태로 구비되어 공기를 공급받는 하단부(100), 하단부(100)의 개방된 상면에 얹혀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하단부(100)와 결합하는 중간부(200) 및 하면이 개방된 3차원 형태로 구비되어 중간부(200)와 결합하는 상단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1 to 6, the air safety ma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includes a lower part 100 receiving air and an open upper part 100 of the lower part 100.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being placed on the upper surface and coupled to the lower end portion 100 and the middle portion 200 and the lower surface is provided in an open three-dimensional form to be provided with the upper portion 300 coupled to the middle portion 200 may be provided.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안전매트(10)는 하단부(100), 중간부(200) 및 상단부(300)가 분리되었을 시 하단부(100), 중간부(200) 및 상단부(300)를 각각 보관수납하여 휴대하는 수납부(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ir safety ma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ower part 100, the middle part 200, and the upper part 300 are separated, the lower part 100, the middle part 200, and the upper part 300 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400 for storing and carrying each.

수납부(40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수납부(400)는 하단부(100)가 보관수납되는 제1수납공간(410), 제1수납공간(410)의 상단에 구비되어 중간부(200)가 보관수납되는 제2수납공간(420) 및 제2수납공간(420)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단부(300)가 보관수납되는 제3수납공간(430)을 구비할 수 있다.Looking closely at the storage unit 400, the storage unit 400 is provid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410 in which the lower part 100 is stored and stored, an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orage space 410, so that the middle part 200 is formed. A second storage space 420 for storage and storage and a third storage space 430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torage space 420 and storing and storing the upper part 300 may be provided.

제1수납공간(410) 내지 제3수납공간(430)은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며, 겉감을 서로 다른 색으로 함으로써 육안으로 쉽게 상단부(300), 중간부(200) 및 하단부(100)를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storage space 410 to the third storage space 430 can be combined or separated, and the upper part 300, the middle part 200, and the lower part 100 can be easily identified with the naked eye by using different colors for the outer surface. can make it

그리고 수납부(400)는 제1수납공간(410), 제2수납공간(420) 또는 제3수납공간(430)에 연결되어 휴대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끈(440)을 구비할 수 있다.Also, the storage unit 400 may include a portable strap 440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storage space 410 , the second storage space 420 , or the third storage space 430 so as to be portable.

휴대용 끈(440)은 제1수납공간(410), 제2수납공간(420) 또는 제3수납공간(430)에 연결되어 휴대 시 어깨에 메거나 손으로 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납부(400)의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The carrying strap 440 is connected to the first storage space 410, the second storage space 420, or the third storage space 430 so that it can be carried on the shoulder or carried by hand when carrying, so that the storage part 400 Portability can be increased.

이와 같이, 수납부(400)를 구비함에 따라 하단부(100), 중간부(200) 및 상단부(300)를 용이하게 각각 보관수납하고 휴대할 수 있다.In this way, as the storage unit 400 is provided, the lower portion 100, the middle portion 200, and the upper portion 300 can be easily stored and stored, respectively, and carri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안전매트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air safety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by adding, changing, deleting, adding, etc.,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but it can be said that this also falls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10: 공기안전매트 100: 하단부
110: 제1베이스 120: 제1테두리
121: 제1연결부 130: 제1내부공간
140: 제1지지대 141: 제5연결부
150: 주입구 200: 중간부
210: 제2베이스 220: 제2테두리
221: 제2연결부 222: 제3연결부
230: 관통홀 240: 통기홀
300: 상단부 310: 제3베이스
320: 제3테두리 321: 제4연결부
330: 제2내부공간 340: 제2지지대
341: 제6연결부 350: 완충창
360: 배풍창 400: 수납부
410: 제1수납공간 420: 제2수납공간
430: 제3수납공간 440: 휴대용 끈
10: air safety mat 100: lower part
110: first base 120: first edge
121: first connection part 130: first inner space
140: first support 141: fifth connection
150: inlet 200: middle part
210: second base 220: second edge
221: second connection part 222: third connection part
230: through hole 240: ventilation hole
300: upper part 310: third base
320: third border 321: fourth connection portion
330: second inner space 340: second support
341: sixth connection part 350: buffer window
360: ventilation window 400: storage unit
410: first storage space 420: second storage space
430: third storage space 440: portable strap

Claims (5)

상면이 개방된 3차원 형태로 구비되어 공기를 공급받는 하단부와,
상기 하단부의 개방된 상면에 얹혀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하단부와 결합하는 중간부와,
하면이 개방된 3차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중간부와 결합하는 상단부를 포함하는 공기안전매트.
A lower part provid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to receive air;
An intermediate portion provided in a form resting on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and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An air safety mat including an upper part provid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with a lower surface open and coupled to the middle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는 판 형상의 제1베이스와, 상기 제1베이스의 테두리에 일단이 맞대어져 상 방향으로 기립하여 구비되는 제1테두리와, 상기 제1베이스와 상기 제1테두리에 의해 형성되는 제1내부공간과. 상기 제1베이스에서 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상단부의 평탄화를 유지하는 다수의 제1지지대와, 상기 제1테두리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내부공간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하는 주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부는 판 형상의 제2베이스와, 상기 제2베이스의 테두리에 중심부가 맞대어져 상하방향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제2테두리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2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지대가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홀과, 상기 다수의 관통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1내부공간에 주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통기홀을 구비하고,
상기 상단부는 판 형상의 제3베이스와, 상기 제3베이스의 테두리에 일단이 맞대어져 하 방향으로 기립하여 구비되는 제3테두리와, 상기 제3베이스와 상기 제3테두리에 의해 형성되는 제2내부공간과, 상기 제3베이스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지지대와 연결되어 상기 제3베이스의 평탄화를 유지하는 다수의 제2지지대와, 상기 제3테두리의 일면에 구비되어 완충역할을 하는 완충창과, 상기 제3테두리의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통기홀을 통해 이동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풍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안전매트.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part has a plate-shaped first base, a first edge provided with one end facing the edge of the first base and standing upward, and a first inner portion formed by the first base and the first edge. space and. A plurality of first supports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base a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to maintain flatness of the upper end, and an inle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dge to inject air into the first inner space. to provide,
The intermediate portion is provided on the second base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 base in the shape of a plate, and a second edge provided in a form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center portion facing the edge of the second base,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support passes, and a ventilation hole provided in the second base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through which air injected into the first inner space moves,
The upper end portion has a plate-shaped third base, a third edge provided with one end facing the edge of the third base and standing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 second inner portion formed by the third base and the third edge. A space,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hird base and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to maintain the flatness of the third base, and a buff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hird edge to act as a buffer An air safety ma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window and a ventilation window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third edge and through which the air moved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is discharg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테두리에는 상기 제2테두리측 일단을 따라 구비되는 제1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테두리에는 상기 제1테두리측 일단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와 체결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3테두리측 일단을 따라 구비되는 제3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테두리에는 상기 제2테두리측 일단을 따라 구비되어 제3연결부와 체결되는 제4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부 내지 상기 제4연결부는 지퍼타입 또는 벨크로타입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안전매트.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border is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on portion provided along one end of the second border side,
In the second border, a second connection part provided along one end of the first edge side and fasten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a third connection part located above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provided along one end of the third edg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equipped,
The third border is provided with a fourth connection part provided along one end of the second border side and fastened with the third connection part,
The air safety ma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nection part to the fourth connection part is either a zipper type or a Velcro typ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에는 상기 제2지지대측 일단에 구비되는 제5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대에는 상기 제1지지대측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5연결부와 체결되는 제6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5연결부와 상기 제6연결부는 지퍼타입, 벨크로타입 또는 D-링타입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안전매트.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support is provided with a fifth connection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The second support is provided with a sixth connection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and fastened with the fifth connection part,
The air safety ma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fth connection part and the sixth connection part are any one of a zipper type, a Velcro type, or a D-ring typ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 상기 중간부 및 상기 상단부가 분리되었을 시 상기 하단부, 상기 중간부 및 상기 상단부를 각각 보관수납하여 휴대하는 수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하단부가 보관수납되는 제1수납공간과, 상기 제1수납공간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중간부가 보관수납되는 제2수납공간과, 상기 제2수납공간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상단부가 보관수납되는 제3수납공간과, 상기 제1수납공간, 상기 제2수납공간 또는 상기 제3수납공간에 연결되어 휴대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안전매트.
According to claim 4,
The lower part, the middle part, and the upper part are further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for storing and carrying the lower part, the middle part, and the upper part, respectively, when the upper part is separated,
The storage unit includes a first storage space in which the lower end is stored and stored, a second storage spac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storage space and stored in the middle portion, and a second storage spac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storage space so that the upper end is provided. An air safety ma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third storage space for storage and storage, and a portable strap connected to the first storage space, the second storage space, or the third storage space so as to be portable.
KR1020210174389A 2021-12-08 2021-12-08 Air safety mat KR1026648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389A KR102664884B1 (en) 2021-12-08 2021-12-08 Air safety m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389A KR102664884B1 (en) 2021-12-08 2021-12-08 Air safety m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083A true KR20230086083A (en) 2023-06-15
KR102664884B1 KR102664884B1 (en) 2024-05-09

Family

ID=86764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389A KR102664884B1 (en) 2021-12-08 2021-12-08 Air safety m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88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333U (en) 1999-04-09 2000-11-15 김종원 Fan type air safety ma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333U (en) 1999-04-09 2000-11-15 김종원 Fan type air safety m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4884B1 (en) 202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8824B2 (en) Treepod assembly
TWI635998B (en) Apparatus for providing safety netting on manlifts
CN107050677A (en) High-rise rescue buffers canopy cloth air cushion
US20080251322A1 (en) Elevated work platform
EP0983776B1 (en) Building safety system
US3393769A (en) Floating scaffold
WO2003095350A8 (en) Safety fence at upper part of cab
CN111576242A (en) Bridge construction anti-falling device with side handrails
KR20230086083A (en) Air safety mat
KR101726989B1 (en) Airbounce with a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safety insurance
KR101683245B1 (en) Descending Life Lines Experience Apparatus for Education
KR100723047B1 (en) Safty mat for rescue moving type
KR20000019333U (en) Fan type air safety mat
US5722642A (en) Standing privacy fence with a deployable bench
CA3195452A1 (en) Bollard fence
CN206792824U (en) High-rise rescue buffers canopy cloth air cushion
KR101447141B1 (en) Air injection type lifesaving mats
KR20000019121U (en) cylinder type air safety mat
US4923049A (en) Wing extension for roof ladder
CN220080867U (en) Folding type tunnel portal protection device
KR102436059B1 (en) Gas inflatable type lifesaving safety mat
CN111803862A (en) Multifunctional expanding and teaching training combined device
CN207209722U (en) A kind of device for being used to prevent children from falling on escalator
KR102219131B1 (en) Lifesaving mat
CN211158225U (en) House building escap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