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676A - Pole type display stand - Google Patents

Pole type display st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5676A
KR20230085676A KR1020210174085A KR20210174085A KR20230085676A KR 20230085676 A KR20230085676 A KR 20230085676A KR 1020210174085 A KR1020210174085 A KR 1020210174085A KR 20210174085 A KR20210174085 A KR 20210174085A KR 20230085676 A KR20230085676 A KR 20230085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holder
contact
locking ring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0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07266B1 (en
Inventor
박기대
조창민
최영재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주)세아메카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아메카닉스 filed Critical (주)세아메카닉스
Priority to KR1020210174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266B1/en
Publication of KR20230085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6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2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는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구비되는 후방브라켓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한쌍의 결합대를 갖추어 상기 결합대를 매개로 디스플레이와 결합되는 홀더 ; 상기 홀더에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공에 삽입배치되고, 상기 홀더의 하부면과 접하여 상기 홀더를 받침지지하는 받침브라켓을 갖추어 천정면에 상단이 접하여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대 ; 및 상기 조립공과 대응하는 홀더의 내부에 배치되는 락킹박스를 갖추고, 상기 조립공에 배치되는 폴대의 외부면과 내부면이 대응하는 락킹링을 갖추며, 상기 락킹링의 내부면이 폴대의 외부면과 접하거나 이격되어 밀착고정력을 발생시키거나 해제하도록 상기 락킹링과 몸체 일부가 접하여 회동하는 작동부재를 갖추어 상기 폴대에 조립된 홀더의 회전을 구속하는 락킹부 ; 를 포함할 수 있다.
A pole-type display cradle is disclosed.
The pole-type display cradl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ar bracket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and a pair of coupling rods that are detachably assembled and coupled to the display via the coupling rod holder; At least one pole inserted into at least one assembly hole penetrating the holder, having a support bracket for abutting and supporting the holder in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holder, and vertically fixed with an upper end in contact with a ceiling surface; And a locking box disposed inside the holder corresponding to the assembly hole, and a locking ring having an outer surface and an inner surface of the pole disposed in the assembly hol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ring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ole. Or spaced apart locking portion for restraining the rotation of the holder assembled to the pole equipped with an operating member that rotates in contact with the locking ring and a part of the body to generate or release the close fixing force; can include

Description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Pole type display stand}Pole type display stand {Pole type display stand}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거치하는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정면과 하부면인 바닥면과의 사이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폴대에 디스플레이를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으며, 거치된 디스플레이의 회전이동 및 디스플레이의 상하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한편, 수직한 폴대의 고정력을 확실히 보장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for mounting a display, and more particularly, a display can be conveniently mounted on a pole fixed vertically between a ceiling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which is a lower surface, and rotational move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e-type display cradle capable of easily adjusting the vertical height of a display and ensuring stability by ensuring the fixing force of a vertical pole.

일반적으로 60~70인치 이상의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대형 모니터, 전자칠판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는 그 자체만으로 지면이나 벽면에 설치할 수 없어서 통상 거치대를 이용하고 있다. In general, a display such as a large display panel of 60 to 70 inches or more, a large monitor, or an electronic blackboard cannot be installed on the ground or wall by itself, so a cradle is usually used.

이러한 거치대는 크게 바닥면 또는 벽면에 지지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와 디스플레이를 연결하여 디스플레이의 시야각을 조절하게 하는 연결암과 상기 연결암을 디스플레이에 고정하는 브라켓으로 구성된다. This cradle is largely composed of a base supported on a floor or wall, a connection arm connecting the base and the display to adjust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and a bracket fixing the connection arm to the display.

상기 거치대는 디스플레이의 설치 위치에 따라 그 구조가 결정되고 결정된 구조에 따라 각각의 작동 용도가 결정되게 된다. The structure of the cradl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isplay, and the operating purpose of each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ructure.

예를 들어 스탠드 형태의 거치대는 베이스가 바닥면에 설치됨에 따라 연결암이 틸팅되게 하거나 연결암을 이용해 디스플레이장치를 회전시키는 등의 동작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 시야각에 맞게 최적화시킬 수 있게 하고 있다.For example, a cradle in the form of a stand enables a display device to be optimized according to a user's viewing angle through operations such as tilting a connection arm as a base is installed on a floor or rotating a display device using a connection arm.

(특허문헌 1) KR10-1803722 B1 (Patent Document 1) KR10-1803722 B1

특허문헌 1에는, 일정한 높이로 바닥면에서 떨어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의 시청 높이를 조절하고, 그 설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조절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중량물인 디스플레이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전체적인 구성부품수가 많아 제조원가를 절감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position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viewing height of a display and moving its installation position in a state away from the floor at a certain height,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lifting means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display, which is a heavy object, is It is very complex and has a large number of overall components, so there is a limit to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면인 천정면과 하부면인 바닥면과의 사이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폴대에 디스플레이를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으며, 거치된 디스플레이의 회전이동 및 디스플레이의 상하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한편, 수직한 폴대의 고정력을 확실히 보장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veniently mount the display on a pole fixed vertically between the upper surface, the ceiling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the floor surface, and the mounted display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ole-type display cradle that can easily adjust the rotational movement and the vertical height of the display, while ensuring stability by ensuring the fixing force of the vertical pole.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구비되는 후방브라켓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한쌍의 결합대를 갖추어 상기 결합대를 매개로 디스플레이와 결합되는 홀더 ; 상기 홀더에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공에 삽입배치되고, 상기 홀더의 하부면과 접하여 상기 홀더를 받침지지하는 받침브라켓을 갖추어 천정면에 상단이 접하여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대 ; 및 상기 조립공과 대응하는 홀더의 내부에 배치되는 락킹박스를 갖추고, 상기 조립공에 배치되는 폴대의 외부면과 내부면이 대응하는 락킹링을 갖추며, 상기 락킹링의 내부면이 폴대의 외부면과 접하거나 이격되어 밀착고정력을 발생시키거나 해제하도록 상기 락킹링과 몸체 일부가 접하여 회동하는 작동부재를 갖추어 상기 폴대에 조립된 홀더의 회전을 구속하는 락킹부 ; 를 포함하는,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bracket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and a pair of coupling rods that are detachably assembled and coupled to the display via the coupling rod holder; At least one pole inserted into at least one assembly hole penetrating the holder, having a support bracket for abutting and supporting the holder in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holder, and vertically fixed with an upper end in contact with a ceiling surface; And a locking box disposed inside the holder corresponding to the assembly hole, and a locking ring having an outer surface and an inner surface of the pole disposed in the assembly hol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ring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ole. Or spaced apart locking portion for restraining the rotation of the holder assembled to the pole equipped with an operating member that rotates in contact with the locking ring and a part of the body to generate or release the close fixing force; Including, it provides a pole-type display cradle.

이때,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폴대의 외부면과 내부면이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락킹링의 하부면과 대응하여 접해지도록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ng member may include a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ole ar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ring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이때, 상기 락킹박스는 상기 락킹링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우한쌍의 지지축을 구비하고, 상기 락킹링의 하부에 배치되는 작동부재를 구비하는 내부박스와, 상기 작동부재와 결합되는 노브를 외부노출시키는 외부장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내부박스와 결합되는 외부박스 및 상기 내부박스의 상부면에 조립되는 상판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cking box has a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 shafts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locking ring, and an inner box having an operating member disposed under the locking ring and exposing a knob coupled to the operating member to the outside. It may include an outer box coupled to the inner box and a top plate assemb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box by forming an outer long hole to penetrate.

이때, 상기 락킹박스는 상기 외부박스와 상부면이 접하여 받침지지하면서 상기 폴대가 통과하는 원형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홀더의 개방된 하부를 덮는 하부판에 고정설치되는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cking box may include a pedestal fixed to the lower plate covering the open lower part of the holder by forming a circular hole through which the pole passes while the outer box and the upper surface are supported and supported.

이때, 상기 폴대는 상기 홀더가 설치되고 상기 천정면에 상단이 접해지는 상부폴대와, 상기 상부폴대의 하부단이 상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바닥면에 하부단이 접해지는 하부폴대를 포함하고, 상기 폴대를 가압고정하는 폴대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대고정부는 상기 상부폴대에 결합되는 상부브라켓을 갖추고, 상기 하부폴대에 결합되는 하부브라켓을 갖추며, 상기 상부브라켓에 선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조작손잡이를 갖추고 상기 조작손잡이의 길이중간에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상기 하부브라켓의 수직장공에 하단이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링크부재를 갖추어 상기 조작손잡이의 하강시 하부폴대에 대하여 상부폴대를 직상부로 상대이동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ole includes an upper pole in which the holder is installed and the upp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and a lower pol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upper pole is movably assembled to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a pole fixing part for pressurizing and fixing the pole, wherein the pole fixing part has an upper bracket coupled to the upper pole and a lower bracket coupled to the lower pole, and the tip of the upper bracket is rotatable. It has an operating handle that is assembled so that the upper end can rotate in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operating knob, and a link member that is assembled so that the lower end can move vertically in the vertical hole of the lower bracket. When the operating knob is lowered, the upper pole relative to the lower pole can be moved relative to the direct upper part.

이때, 상기 폴대는 상기 상부폴대의 개방된 상단 외부면에 구비되는 상부접촉부재의 요홈에 상단이 접해지고, 상기 상부폴대의 개방된 상단 내부면에 조립되는 캡에 하단이 접해져 압축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pole is in contact with the groove of the upper contact member provided on the open upper outer surface of the upper pole, and the low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cap assembled on the open upper inner surface of the upper pole, thereby providing elastic restoring force during compression. It may include an elastic body that generates.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는, 천정면과 하부면인 바닥면과의 사이에 폴대를 수직하게 고정설치하고, 수직한 폴대에 디스플레이를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고, 폴대에 거치된 디스플레이를 시청방향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간편하게 회전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한편, 수직하게 설치되는 폴대의 고정력을 확실히 보장하여 폴대의 전도에 기인하는 고가의 디스플레이의 파손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ole-type display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e is vertically fixed and installed between the ceiling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which is the lower surface, and the display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vertical pole. The mounted display can be easily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ccording to the viewing direction, increasing convenience in use, while ensuring the fixing force of the vertically installed pole to prevent damage to expensive displays caused by pole overturn. This can be prevented to ensure stability.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a 와 도 1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디스플레이를 거치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사시도이다.
도 2a 와 도 2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적용되는 락킹부를 내장한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적용되는 홀더와 락킹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적용되는 홀더와 락킹부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적용되는 락킹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적용되는 락킹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적용되는 락킹부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a 와 도 10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홀더에 내장된 락킹부의 락킹 및 언락킹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a 와 도 11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락킹부에 구비되는 락킹링과 작동부재에 의한 락킹과 언락킹을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적용되는 폴대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적용되는 폴대 고정부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4a 와 도 14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적용되는 폴대 고정부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15a 와 도 15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를 책상에 적용하여 다른 디스플레이를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of a state in which a display is mounted and used on a pole-type display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ole-type display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le-type display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lder having a built-in locking unit applied to a pole-type display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lder and a locking part applied to a pole-type display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lder and a locking part applied to a pole-type display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cking unit applied to a pole-type display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unit applied to a pole-type display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cking unit applied to a pole-type display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and 10B are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locked and unlocked states of a locking unit built into a holder of a pole-type display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and 11B are operating state diagrams illustrating locking and unlocking by a locking ring provided in a locking part of a pole-type display cradle and an opera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le fixing unit applied to a pole-type display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le fixing unit applied to a pole-type display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A and 14B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pole fixing unit applied to a pole-type display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A and 15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other display is mounted by applying the pole-type display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desk.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is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the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ords and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construed as limited in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s can define terms and concepts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ir invention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that corresponds to the technical idea.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correspond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s are various to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crib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A component being in the "front", "rear", "above" or "below" of another component means that it is directly adjacent to another component and is "front", "rear", "above" or "below"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includes not only those disposed at the lower part, but also cases in which another component is disposed in the middle. In addition, the fact that certain components are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includes cases where they are not only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 장치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대형 디스플레이 거치대(100)는 도 1a, 도 1b, 도 2a, 도 2b 및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형패널, 전자칠판과 같은 디스플레이(D)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홀더(10), 폴대(20) 및 락킹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a, 1b, 2a, 2b and 3, the pole-type display cradle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s a display D such as a large panel or an electronic blackboard. It may include a holder 10, a pole 20 and a locking part 30 so that it can be used.

상기 홀더(10)는 도 4, 도 5 및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거치대상물인 디스플레이(D)의 후면에 구비되는 후방브라켓(B)과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한쌍의 결합대(11)를 갖추어 상기 디스플레이와 결합되는 구조물이다.As shown in FIGS. 4, 5 and 6, the holder 10 is a pair detachably assembled by a rear bracket (B)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 which is a mounting object,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It is a structure that is coupled with the display by having a coupling table 11 of.

이러한 홀더(10)는 도 4, 도 5 및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결합대(11)가 상부에서 하부로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공(15)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폴대(20)가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조립공(12)을 관통형성하여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4, 5 and 6, the holder 10 has a pair of fixing holes 15 through which the pair of coupling tables 11 are inserted and fix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t least the assembly hole 12 into which the pole 20 is inserted and fixed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상기 결합대(11)는 상기 홀더와 대응하는 후면에 상기 홀더(10)의 상부면에 접하여 걸리도록 형성하는 단차부(11a)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방브라켓(B)에 형성된 베사홀(H1,H2)과 체결부재에 의해서 결합되는 복수개의 체결공을 구비하는 수지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upling table 11 has a stepped portion 11a formed on a rea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holder so as to be hook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10, and a vesa hole formed in the rear bracket (B) of the display ( It may be made of a resin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coupled by H1 and H2) and fastening members.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방브라켓(B)은 상기 결합대를 매개로 하여 홀더와 결합되어 조립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상기 홀더의 전면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조립될 수 있다.At this time, although the rear bracket (B) of the display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s being coupled to and assembled with the holder via the coupling table,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rectly coupled to and assemb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er.

그리고 상기 홀더(10)는 상기 락킹부를 내장할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추며, 상기 락킹부를 내장하는 내부공간을 개폐하도록 하부로 개방된 입구를 개폐하는 하부판(13)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lder 10 may include an inner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o accommodate the locking part and a lower plate 13 for opening and closing an inlet opened downward to open and close the inner space containing the locking part.

상기 하부판(13)은 상기 폴대가 삽입되는 조립공(12)과 대응하는 다른 조립공과, 상기 결합대가 삽입되는 고정공(15)과 대응하는 다른 고정공을 각각 관통형성한 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ower plate 13 may be formed of a plate body in which another assembly hole corresponding to the assembly hole 12 into which the pole is inserted and another fix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 15 into which the coupling table is inserted are formed through each penetration.

이러한 홀더(10)는 복수개의 조립공 중 상기 폴대(20)가 결합되지 않는 조립공을 덮어 차단하는 차단부재(16)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30)에 구비되는 노브(33)가 외부노출되도록 노브작동용 장공(17)을 후면에 관통형성할 수 있다. The holder 10 includes a blocking member 16 covering and blocking an assembly hole to which the pole 20 is not coupled among a plurality of assembly holes, and the knob 33 provided in the locking part 30 is exposed to the outside. A long hole 17 for operating the knob may be formed through the rear surface.

상기 폴대(20)는 도 1a, 도 1b, 도 2a, 도 2b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홀더(10)에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공(12)에 삽입배치되고, 실내의 천정면에 상단이 접해지고 바닥면이나 책상에 하단이 접하여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수직구조물이다. As shown in FIGS. 1A, 1B, 2A, 2B and 3 , the pole 20 is inserted into at least one assembly hole 12 penetrating the holder 10 and plac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room. It is a vertical structure that is vertically fixed with the top in contact and the bottom in contact with the floor or desk.

이러한 폴대(20)는 상기 홀더(10)의 하부면과 상부면이 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와 결합된 홀더(10)를 받침지지하는 받침브라켓(27)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브라켓(27)에는 상기 폴대의 외부면에 받침브라켓의 내부면이 밀착고정되거나 이격되도록 받침브라켓에 수직하게 절개 형성된 슬릿을 벌림오므림시키는 고정나사(27a)를 구비할 수 있다.The pole 20 includes a support bracket 27 for supporting the holder 10 coupled with the display by contacting the lower and upper surfaces of the holder 10, and the support bracket 27 includes the pole It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screw (27a)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lit formed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bracket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bracket is fixed or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bracket.

상기 폴대(20)는 상기 홀더(10)가 위치고정되고 상단이 천정면에 접해지는 일정길이의 상부폴대(21)를 갖추고, 상기 상부폴대의 하단이 내부공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하단이 바닥면에 접해지는 일정길이의 하부폴대(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le 20 has an upper pole 21 of a certain length in which the holder 10 is fixed in position and the upp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pole is movably assembled to the inner hole and the lower end is It may include a lower pole 22 of a certain length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상기 상부폴대(21)는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는 상부접촉부재(23)를 구비하는 상단이 천정면에 탄력적으로 접해지는 중공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하부폴대(22)는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는 상부접촉부재(23)를 구비하는 하단이 바닥면에 탄력적으로 접해지고, 상기 상부폴대(21)의 하부단이 내부공에 대응삽입되어 상부단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중공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pper pole 21 may be made of a hollow pipe member having an upper end having an upper contact member 23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and elastically contacting the ceiling surface, and the lower pole 22 is such as rubber. A hollow pipe member in which the lower end having an upper contact member 23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elastically contacted with the bottom surface,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pole 21 is inserted into the inner hole to correspond to a part of the upper end overlapping each other. It can be done.

이에 따라, 상기 폴대와 결합되는 홀더는 홀더 받침대에 의해서 하부로 낙하되지 않도록 받침지지되어 고정설치되고, 상기 홀더 받침대에 받침지지되는 홀더와 결합된 디스플레이의 높이는 상기 폴대를 따라 상기 홀더 받침대의 고정위치를 상하방향으로 가변시켜 사용자의 시청높이에 맞추어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holder coupled to the pole is supported and fixed so as not to fall downward by the holder pedestal, and the height of the display combined with the holder supported by the holder pedestal is the fixed position of the holder pedestal along the pole. It can be properly adjusted according to the viewing height of the user by varying the up and down direction.

상기 락킹부(30)는 도 5, 도 6, 도 7, 도 8 및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c천정면과 바닥면과의 사이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폴대(20)와 조립된 홀더(10)의 회전을 구속하여 상기 홀더와 결합된 디스플레이의 회전이동을 허락하거나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립공(12)과 대응하는 홀더(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락킹박스(30a)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5, 6, 7, 8 and 9, the locking part 30 is a holder assembled with the pole 20 provided vertically between the c ceiling surface and the floor surface ( 10) may include a locking box 30a disposed inside the holder 10 corresponding to the assembly hole 12 so as to allow or restrict rotation of the display combined with the holder by restricting rotation. .

이러한 락킹박스(30a)에는 상기 조립공(12)에 배치되는 폴대(20)의 외부면과 내부면이 대응하는 락킹링(31)을 포함하고, 상기 락킹링(31)의 내부면이 폴대의 외부면과 선택적으로 접하거나 이격되어 접촉시 밀착고정력을 발생시키거나 이격시 밀착고정력을 해제하도록 상기 락킹링(31)과 몸체 일부가 접하여 외력에 의해서 회동하는 작동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cking box 30a includes a locking ring 31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ole 20 disposed in the assembly hole 1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ring 31 is the outer surface of the pole. It may include an operating member 32 that rotates by an external force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locking ring 31 and the body so as to selectively contact or be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to generate a close fixing force when in contact or to release the close fixing force when separated.

상기 락킹링(31)은 상기 폴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추어 상기 폴대의 상부폴대의 외부면과 내부면이 일정간격(T)을 두고 이격되는 원형의 링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작동부재(32)는 상기 락킹링(31)의 하부면과 대응하여 접해지도록 상부면에 대략 산단면상의 돌출부(32a)를 갖는 반원단면상의 링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The locking ring 31 has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ole and is provided with a circular ring member in which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of the upper pole of the pole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 and the operating member 32 ) may be provided as a ring member having a semi-circular cross-section having a protrusion 32a on the upper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ring 31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ring 31.

상기 락킹박스(30a)는 상기 락킹링(31)의 양단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폴대와 직교하는 수평회전축을 형성하는 좌우한쌍의 지지축(37)을 구비하고, 상깅 락킹링의 하부면에 접해지는 돌출부를 갖는 작동부재(32)를 상기 락킹링의 하부에 배치하여 구비하는 내부박스(34)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박스와 결합되고 상기 작동부재(32)와 결합되는 노브(33)를 외부노출시키는 외부장공(35c)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홀더에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외부박스(35)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박스(34)의 상부면에 조립되는 상판(3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ocking box (30a) is provided with a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 shafts (37) forming a horizontal axis of rotation orthogonal to the pole while rotatably supporting both ends of the locking ring (31), an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angging locking ring. It includes an inner box 34 having an operating member 32 having a protrud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ring, and a knob 33 coupled to the inner box and coupled to the operating member 32 It includes an outer box 35 that is detachably fixed to the holder by forming an external long hole 35c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and is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box 34. 36) may be included.

상기 내부박스(34)는 상기 락킹링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좌우한쌍의 지지축(37)을 상기 폴대가 삽입배치되는 내부공에 구비하는 내부원통체(34a)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재와 결합된 노브(33)가 외부노출되는 내부장공(34c)을 관통형성한 내부 원통체의 상단에 구비되는 내부 사각판체(34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ner box 34 includes an inner cylindrical body 34a having a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 shafts 37 on which the locking ring is rotatably assembled in an inner hole into which the pole is inserted and disposed, and the operating member and The coupled knob 33 may include an inner rectangular plate body 34b provided at an upper end of an inner cylindrical body through which an internal long hole 34c exposed to the outside is penetrated.

상기 외부박스(35)는 상기 내부장공과 대응하여 상기 노브가 외부노출되는 외부장공(35c)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내부 원통체가 삽입배치되는 외부 원통체(35a)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사각판체(34b)와 중첩되면서 상기 홀더의 천정면에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도록 상기 외부 원통체의 상단에 구비되는 외부 사각판체(35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uter box 35 includes an outer cylindrical body 35a into which the inner cylindrical body is inserted and disposed by penetrating an outer long hole 35c through which the knob is exposed to the outside corresponding to the inner long hole, and the inner rectangular plate body ( 34b) may include an external rectangular plate body 35b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external cylindrical body so as to be detachably assembled to the ceiling surface of the holder by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상기 작동부재와 연결된 노브(33)는 상기 내부박스(34)의 내부장공과 상기 외부박스(35)의 외부장공(35c)을 경유하여 상기 홀더에 관통형성된 노브작동용 장공(17)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The knob 33 connected to the operating member passes through the long hole 17 for operating the knob formed through the holder through the long hole 35c of the long hole 35c of the outer box 35 and the long hole 34 of the inner box 34. exposed as

상기 상판(36)은 상기 폴대가 대응삽입되는 조립공과 대응하는 원형리브(36a)를 포함하고, 상기 원형리브의 외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부 사각판체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연장판체(36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plate 36 includes a circular rib 36a corresponding to an assembly hole into which the pole is inserted, and extends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ircular rib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square plate body. ) may be included.

이때, 상기 락킹박스는 상기 외부박스(35)의 하부단과 상부면이 접하여 받침지지하면서 상기 폴대가 통과하는 원형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홀더의 개방된 하부를 덮는 하부판에 고정설치되는 받침대(38)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cking box forms a circular hole through which the pole passes while the lower en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box 35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form a circular hole through which the pole passes. Pedestal 38 fixed to the lower plate covering the open lower part of the holder can include

상기 받침대(38)에는 상기 폴대가 삽입배치되는 원형공의 내부면과 상기 폴대의 외부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수직하게 절개 형성된 슬릿(38a)을 벌림오므림시키는 고정나사(38b)를 구비할 수 있다.In the pedestal 38, a fixing screw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ertically cut slit 38a so as to adjust the gap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ircular ball into which the pole is inserted and disposed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ole ( 38b) may be provided.

상기 홀더(10)의 노브작동용 장공(17)을 통하여 외부노출되는 노브(33)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락킹링(31)의 내부면을 폴대의 외부면에 밀착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와 결합된 홀더(10)가 수직한 폴대에 대하여 일방향 회전이동하는 것을 구속하는 반면에 상기 락킹링의 내부면을 폴대의 외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고정력을 해제함으로써 디스플레이와 결합된 홀더가 수직한 폴대에 대하여 일방향 회전이동하는 것을 허락하게 된다. By operating the knob 33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ng hole 17 for operating the knob of the holder 10, the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ring 3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ole to generate a fixing force, thereby combining with the display. While the holder 10 restrains rotation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ole, the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ring is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ole to release the fixing force, so that the holder coupled with the display moves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ole. rotation is allowed.

도 10a 와 도 10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홀더에 내장된 락킹부의 락킹 및 언락킹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11a 와 도 11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락킹부에 구비되는 락킹링과 작동부재에 의한 락킹과 언락킹을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10A and 10B are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s showing locked and unlocked states of a locking unit built into a holder of a pole-type display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1A and 11B are po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locking and unlocking by the locking ring provided in the locking part of the type display cradle and the operating member.

사용자가 상기 노브를 도면상 우측인 락킹방향으로 밀어 상기 노브와 결합된 작동부재가 락킹박스의 내부에서 폴대의 외부면을 따라 정방향 회전되면, 도 10a 와 도 11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락킹링의 하부면과 접해지는 돌출부는 좌우한쌍의 지지축(37) 중 일측 지지축에 최대한 근접하기 때문에 상기 내부박스와 폴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락킹링(31)은 수평축인 지지축(37)을 기준으로 하여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전환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락킹링의 내부면과 폴대의 외부면이 서로 접하여 상기 폴대에 대한 고정력을 발생시킨다.When the user pushes the knob in the locking direction, which is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and the operating member coupled with the knob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pole in the inside of the locking box, as shown in FIGS. 10A and 11A, the locking ring Since the protrusion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pair of support shafts 37 is closest to one support shaft as much as possible, the locking ring 31 dispos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box and the pole is a horizontal shaft support shaft. As it rotates in a direction that is converted from a horizontal state to a vertical state based on (37), the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ring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ole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generate a fixing force for the pole.

이때, 상기 락킹링(31)의 하부면과 접해지는 돌출부(32a)의 상부면은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락킹링(31)의 내부면에는 상기 폴대의 외부면과의 접촉시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고무소재로 이루어지는 마찰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art 32a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ring 31 is made of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at a certain angl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ring 31 has a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ole. It is preferable to have a friction material made of a rubber material so as to generate frictional force upon contact.

반대로 도 10b 와 도 11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노브(33)를 도면상 좌측인 언락킹방향으로 밀어 상기 노브와 결합된 작동부재가 락킹박스의 내부에서 폴대의 외부면을 따라 역방향 회전되면, 상기 락킹링의 하부면과 접해지는 돌출부는 좌우한쌍의 지지축(37) 중 일측 지지축으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상기 내부박스와 폴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락킹링(31)은 수평축인 지지축(37)을 기준으로 하여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환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락킹링의 내부면과 폴대의 외부면이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폴대에 고정력을 해제하게 된다. Conversely, as shown in FIGS. 10B and 11B, the user pushes the knob 33 in the unlocking direction, which is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and the operating member coupled with the knob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pole inside the locking box. In this case, since the protrusion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ring moves away from one of the left and right pair of support shafts 37, the locking ring 31 dispos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box and the pole While rotating in a direction that is converted from a vertical state to a horizontal state based on the support shaft 37, which is a horizontal axis, the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ring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ol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release the fixing force on the pole.

이에 따라, 상기 노브의 언락킹방향 조작에 의해서 상기 폴대에 대한 고정력을 해제하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결합된 홀더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조작하여 디스플레이의 방향을 적절히 회전조작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fixing force on the pole is released by manipulating the unlocking direction of the knob, the user can properly rotate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by rotating the holder coupled with the display in a horizontal direction.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와 결합된 홀더(10)가 설치되는 폴대(20)의 수직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가압고정하는 폴대고정부(40)를 포함하고, 이러한 폴대고정부(40)에 의해서 가압고정되는 폴대(20)는 상기 홀더(10)가 설치되고 천정면에 탄력적으로 접해지는 상부접촉부재(23)를 상부단에 구비하는 일정길이의 상부폴대(21)와, 상기 상부폴대의 하부단이 개방된 상단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바닥면에 탄력적으로 접해지는 하부접촉부재(24)를 하부단에 구비하는 일정길이의 하부폴대(22)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ncludes a pole fixing part 40 for pressurizing and fixing to stably maintain the vertical state of the pole 20 on which the holder 10 coupled with the display is installed, and is pressurized and fixed by the pole fixing part 40 The pole 20 is an upper pole 21 of a certain length having an upper contact member 23 at the upper end of which the holder 10 is installed and elastically in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and a lower end of the upper pole It may include a lower pole 22 of a certain length having a lower contact member 24 that is assemb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t the open top and elastically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t the lower end.

상기 상,하부접촉부재(24)에는 상기 천정면과 바닥면과의 접촉시 마찰력을 발생시켜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하도록 패드부재(23a)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and lower contact members 24 each have pad members 23a to prevent slipping by generating frictional force when contacting the ceiling surface and the floor surface.

상기 폴대고정부(40)는 도 12 및 도 1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폴대(21)의 외부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브라켓(41)을 갖추고, 상기 하부폴대(22)의 외부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브라켓(42)을 갖추며, 상기 상부브라켓(41)에 선단이 핀부재(43a)를 매개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조작손잡이(43)를 갖추고, 상기 조작손잡이(43)의 길이중간에 상단이 상부핀(44a)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하부브라켓(42)의 일측테두리에 형성된 수직장공(45)에 하단이 하부핀(44b)을 매개로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링크부재(44)를 갖춤으로써 상기 조작손잡이를 상기 핀부재를 매개로 하여 하강시켜 상기 하부폴대(22)에 대하여 상부폴대(21)를 직상부로 일정높이 상대이동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pole fixing part 40 has an upper bracket 41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pole 2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ole 22 Equipped with a lower bracket 42 detachably coupled to the surface, and equipped with an operating handle 43 of a certain length, the tip of which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upper bracket 41 via a pin member 43a, In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operating handle 43, the upper end is rotatably assembled through the upper pin 44a, and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long hole 45 formed on one edge of the lower bracket 42 through the lower pin 44b. By having a link member 44 of a certain length assembl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the operation handle is lowered via the pin member to raise the upper pole 21 directly above the lower pole 22 at a certain height opponent can be moved.

상기 상부브라켓(41)은 상기 상부폴대(21)의 외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공 중 하나의 고정공에 조립되는 상부볼트(41a)에 의해서 상기 상부폴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하부브라켓(42)은 몸체 외부면에 관통형성되는 체결공을 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하부폴대의 외부면이나 고정되는 복수개의 하부볼트(42a)에 의해서 상기 하부폴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The upper bracket 41 is attached to the upper pole by an upper bolt 41a assembled to one of a plurality of fixing holes forme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pole 21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detachably assembled, and the lower bracket 42 is fastened through a fastening hole forme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is detachable from the lower pole by a plurality of lower bolts 42a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ole. can be assembled

상기 폴대(20)는 상기 상부폴대의 개방된 상단 외부면에 구비되는 상부접촉부재(23)에 형성된 요홈(23b)에 상단이 접해지고, 상기 상부폴대의 개방된 상단 내부면에 조립되는 캡(28)에 하단이 접해져 압축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체(2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le 20 has an upper end in contact with the groove 23b formed in the upper contact member 23 provided on the open upper outer surface of the upper pole, and a cap assembled to the open upper inner surface of the upper pole ( 28) may include an elastic body 25 such as a coil spring that generates an elastic restoring force when compressed.

여기서, 상기 탄성체(25)와 캡(28)은 상기 상부폴대의 상단과 상부접촉부재와의 사이에 적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부폴대의 하단과 하부접촉부재와의 사이에도 동일한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 Here, the elastic body 25 and the cap 28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s being appli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upper pole and the upper contact membe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lower pole and the lower contact member. The same configuration can also be applied to .

상기 조작손잡이의 하강시 하부폴대에 대하여 상부폴대가 일정높이 상승되면서 상기 탄성체가 압축변형됨으로써 발생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상부접촉부재와 천정면사이의 밀착고정력을 증대시켜 수직구조물인 폴대의 고정력을 확고히 보장할 수 있다.As the upper pole rises to a certain height with respect to the lower pole when the operation handle is lowere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generated by the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elastic body increases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upper contact member and the ceiling surface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of the pole, which is a vertical structure. can be firmly guaranteed.

도 14a 와 도 14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적용되는 폴대 고정부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상태도로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손잡이(43)를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전환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하여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하부브라켓(42)에 형성된 수직장공(45)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던 링크부재의 하부단인 하부핀(44b)이 직하부로 안내이동되면서 상기 수직장공의 하단에 접하여 일시정지되고, 상기 조작손잡이는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14a and 14b are operating stat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ole fixing unit applied to the pole-type display crad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art so that the user converts the operation knob 43 from a horizontal state to a vertical state When pressurized downward and rotated clockwise in the drawing, the lower pin 44b, which is the lower end of the link member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long hole 45 formed in the lower bracket 42, is guided and moved directly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hole 45. It is temporarily stopped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long hole, and the operation handle maintains an inclined s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연속하여, 사용자가 일정각도 경사진 조작손잡이의 외측단을 눌러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링크부재의 하부단인 하부핀(44b)이 상기 수직장공의 하단에 접하여 더이상의 하강이 곤란하도록 정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조작손잡이에 전달되는 외력은 상부브라켓과 결합된 상부폴대 측으로 전달되면서 하부폴대(22)의 개방된 상단 내부면에 하단 외부면이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된 상부폴대(21)를 일정높이 상승시키고, 상기 상부폴대의 상승과 동시에 상기 조작손잡이는 수직상태로 전환된다. Continuously, when the user presses the outer end of the operating handle inclined at a certain angle and rotates it clockwise in the drawing, the lower pin 44b, which is the lower end of the link memb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long hole so that further descent is difficult. Since it is stationary,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the handle is transmitted to the upper pole side coupled with the upper bracket, and the upper pole 21 is assembled so that the lower outer surface can move up and down on the open upper inner surface of the lower pole 22. It is raised to a certain height, and at the same time as the upper pole is raised, the operation handle is converted to a vertical state.

상기 상부폴대가 조작손잡이의 선회작동에 의해서 일정높이 상승되면 상기 상부접촉부재와 상부폴대사이에 구비된 탄성체의 압축시 발생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천정면과 상부접촉부재와의 사이에 발생되는 가압 밀착고정력을 증대시켜 수직하게 설치된 폴대의 수직고정력을 확고히 보장할 수 있다. When the upper pole is raised to a certain height by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handl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generated during compression of the elastic body provided between the upper contact member and the upper pole causes pressure and close contact between the ceiling surface and the upper contact member. By increasing the fixing force, the vertical fixing force of the vertically installed pole can be firmly guaranteed.

한편, 상기 폴대(20)는 실내의 천정면에 상단이 접해지고 실내의 바닥면에 하단이 접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책상과 같은 구조물의 평탄한 상부면에 폴대의 하단이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ole 20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s being vertically installed with the upper end in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of the room and the lower end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of the room,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le is placed on the flat upper surface of a structure such as a desk. The lower end may be contacted and fixed.

도 14a 와 도 14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적용되는 폴대 고정부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15a 와 도 15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를 책상에 적용하여 다른 디스플레이를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4a and 14b are operating stat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a pole fixing unit applied to a pole-type display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5a and 15b are a pole-type display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other display is mounted after being applied to a desk.

상기 폴대의 하단은 책상의 상판 일측모서리부에 고정설치되는 책상브라켓과 접하여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책상브라켓은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폴대의 하단이 수평한 상부면에 접해지는 절곡판(61)을 갖추고, 상기 절곡판의 수직한 내측면에 조립되는 수평판(62)을 갖추며, 상기 책상의 상판하부면 접해지는 밀착판을 가압하도록 회전조작되는 회전손잡이(6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pole can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a desk bracket fixed to one corner of the top plate of the desk, and the desk bracket is bent at a right angle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pole is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Equipped with a horizontal plate 62 assembled on the vertical inner surface of the bending plate, and may include a rotation knob 64 that is operated to rotate to press the contact plat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the desk.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B)의 후면에 구비되는 후방브라켓(B)과 조립되는 다른 브라켓(B1)을 상기 홀더의 결합대에 조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홀더에 결합하여 거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ar bracket (B)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B) and another bracket (B1) assembled to the coupling table of the holder may be assembled so that the display is coupled to the holder and moun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or change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Other embodiments can be easily proposed by adding, deleting, adding, etc., but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부처명] 경상북도[Name of department] Gyeongsangbuk-do

[연구관리전문기관] 경상북도 경제진흥원[Research management institution] Gyeongsangbuk-do Economic Promotion Agency

[연구사업명] 경북형 기업수요공모패키지 사업[Research project name] Gyeongbuk-type corporate demand public offering package project

[연구과제명] OLED의 회전각(90)조절 및 전도력(100N)이 적용된 스마트형 디스플레이 서포팅 시스템 개발[Research Project Title] Development of a smart display supporting system applied with OLED rotation angle (90) adjustment and conductivity (100N)

[주관기관] 경상북도 경제진흥원[Organizer] Gyeongsangbuk-do Economic Promotion Agency

[기여율] 50%[Contribution rate] 50%

[연구기간] 2021.05.20 ~ 2021.12.31[Research period] 2021.05.20 ~ 2021.12.31

10 : 홀더
11 : 결합대 12 : 조립공
20 : 폴대
21 : 상부폴대 22 : 하부폴대
30 : 락킹부
31 : 락킹링 32 : 작동부재
33 : 노브 34 : 내부박스
35 : 외부박스 36 : 상판
40 : 폴대 고정부
41 : 상부브라켓 42 : 하부브라켓
43 : 조작손잡이 44 : 링크부재:
10: Holder
11: bonding table 12: assembler
20: Pole
21: upper pole 22: lower pole
30: locking part
31: locking ring 32: operating member
33: knob 34: inner box
35: outer box 36: top plate
40: pole fixing part
41: upper bracket 42: lower bracket
43: operation handle 44: link member:

Claims (6)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구비되는 후방브라켓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한쌍의 결합대를 갖추어 상기 결합대를 매개로 디스플레이와 결합되는 홀더 ;
상기 홀더에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공에 삽입배치되고, 상기 홀더의 하부면과 접하여 상기 홀더를 받침지지하는 받침브라켓을 갖추어 천정면에 상단이 접하여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대 ; 및
상기 조립공과 대응하는 홀더의 내부에 배치되는 락킹박스를 갖추고, 상기 조립공에 배치되는 폴대의 외부면과 내부면이 대응하는 락킹링을 갖추며, 상기 락킹링의 내부면이 폴대의 외부면과 접하거나 이격되어 밀착고정력을 발생시키거나 해제하도록 상기 락킹링과 몸체 일부가 접하여 회동하는 작동부재를 갖추어 상기 폴대에 조립된 홀더의 회전을 구속하는 락킹부 ; 를 포함하는,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
A holder having a rear bracket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and a pair of coupling rods that are detachably assembled and coupled to the display via the coupling rods;
At least one pole inserted into at least one assembly hole penetrating the holder, having a support bracket for abutting and supporting the holder in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holder, and vertically fixed with an upper end in contact with a ceiling surface; and
It has a locking box disposed inside the holder corresponding to the assembly hole, and has a locking ring corresponding to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of the pole disposed in the assembly hol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ring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ole or A locking unit for restraining the rotation of the holder assembled to the pole with an operating member that rotates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locking ring and the body so as to generate or release the close fixing force by being spaced apart; Including, pole-type display cra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폴대의 외부면과 내부면이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락킹링의 하부면과 대응하여 접해지도록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ng member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ole ar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ring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pole-type display cra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박스는 상기 락킹링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우한쌍의 지지축을 구비하고, 상기 락킹링의 하부에 배치되는 작동부재를 구비하는 내부박스와, 상기 작동부재와 결합되는 노브를 외부노출시키는 외부장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내부박스와 결합되는 외부박스 및 상기 내부박스의 상부면에 조립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box has a pair of right and left support shafts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locking ring, an inner box having an operating member disposed below the locking ring, and an outer box exposing a knob coupled to the operating member to the outside. A pole-type display cradle comprising an outer box coupled to the inner box by forming a long hole through and a top plate assemb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inner box.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박스는 상기 외부박스와 상부면이 접하여 받침지지하면서 상기 폴대가 통과하는 원형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홀더의 개방된 하부를 덮는 하부판에 고정설치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3,
The locking box includes a pedestal fixed to the lower plate covering the open lower part of the holder by forming a circular hole through which the pole passes while the outer box and the upper surface are supported and suppo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는 상기 홀더가 설치되고 상기 천정면에 상단이 접해지는 상부폴대와, 상기 상부폴대의 하부단이 상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바닥면에 하부단이 접해지는 하부폴대를 포함하고,
상기 폴대를 가압고정하는 폴대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대고정부는 상기 상부폴대에 결합되는 상부브라켓을 갖추고, 상기 하부폴대에 결합되는 하부브라켓을 갖추며, 상기 상부브라켓에 선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조작손잡이를 갖추고 상기 조작손잡이의 길이중간에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상기 하부브라켓의 수직장공에 하단이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링크부재를 갖추어 상기 조작손잡이의 하강시 하부폴대에 대하여 상부폴대를 직상부로 상대이동시키는,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pole includes an upper pole in which the holder is installed and the upper end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and a lower pol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upper pole is movably assembled to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Including a pole fixing part for pressurizing and fixing the pole,
The pole fixing part has an upper bracket coupled to the upper pole, a lower bracket coupled to the lower pole, and a manipulation handle to which the front end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upper bracket, and has an upper end in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manipulation knob. A pole-type display cradle having a link member, the lower end of which is movably assembled in the vertical hole of the lower bracket so as to be rotatable, and moves the upper pole to the upper pole relative to the lower pole when the operation handle is lower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는 상기 상부폴대의 개방된 상단 외부면에 구비되는 상부접촉부재의 요홈에 상단이 접해지고, 상기 상부폴대의 개방된 상단 내부면에 조립되는 캡에 하단이 접해져 압축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폴타입 디스플레이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5,
The upper end of the pole is in contact with the groove of the upper contact member provided on the open upper outer surface of the upper pole, and the low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cap assembled on the open upper inner surface of the upper pole to generate elastic restoring force during compression. A pole-type display cradle that includes an elastic body.
KR1020210174085A 2021-12-07 2021-12-07 Pole type display stand KR1026072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085A KR102607266B1 (en) 2021-12-07 2021-12-07 Pole type display st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085A KR102607266B1 (en) 2021-12-07 2021-12-07 Pole type display sta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676A true KR20230085676A (en) 2023-06-14
KR102607266B1 KR102607266B1 (en) 2023-11-30

Family

ID=86745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085A KR102607266B1 (en) 2021-12-07 2021-12-07 Pole type display st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26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9307U (en) * 1983-03-25 1984-10-05 松田 貞次郎 Hanging tool
WO2007137905A1 (en) * 2006-05-31 2007-12-06 Colebrook Bosson Saunders Products Limited Flat-screen monitor support
KR200466464Y1 (en) * 2013-02-19 2013-04-18 주식회사 위드 supporting equipment for wall mounting type tv
CN205090155U (en) * 2015-10-27 2016-03-16 南通市久正人体工学股份有限公司 Desktop computer suppor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9307U (en) * 1983-03-25 1984-10-05 松田 貞次郎 Hanging tool
WO2007137905A1 (en) * 2006-05-31 2007-12-06 Colebrook Bosson Saunders Products Limited Flat-screen monitor support
KR200466464Y1 (en) * 2013-02-19 2013-04-18 주식회사 위드 supporting equipment for wall mounting type tv
CN205090155U (en) * 2015-10-27 2016-03-16 南通市久正人体工学股份有限公司 Desktop computer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7266B1 (en)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37090B (en) Display device
KR101253569B1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
US7679890B2 (en) Portable computer
US20050002155A1 (en) Computer monitor lift and storage mechanism
JP2004522920A (en) Support device for flat type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US20190376639A1 (en) Height-adjustable display support
KR20150026755A (en) prop
GB2433196A (en) Monitor support apparatus
US6247673B1 (en) Counterweight for stands
KR20230085676A (en) Pole type display stand
KR101701558B1 (en)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JP2004528942A (en) Armrest device for computer work installed on chair
JP2006208834A (en) Display mounting device and article storage structure having same
JP2010107746A (en) Support device of display
JP2008220533A (en) Furniture with slide hold function for thin television
JP4256001B2 (en) OA equipment built-in desk
KR20110018576A (en) Computer desk
JP2010107745A (en) Support device of display
KR102223541B1 (en) Folding desk
JP4834586B2 (en) Portable antenna support device
JP4552149B2 (en) Simple fixing support device
KR102590129B1 (en) Display apparatus
JP3541341B2 (en) Keyboard storage device fo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esk
KR20230094517A (en) Floor type display stand
JP2013221392A (en) Earthquake-sensitive drive unit of seismic automatic unloc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