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654A -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품질을 모니터링하고 개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품질을 모니터링하고 개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5654A
KR20230085654A KR1020210174033A KR20210174033A KR20230085654A KR 20230085654 A KR20230085654 A KR 20230085654A KR 1020210174033 A KR1020210174033 A KR 1020210174033A KR 20210174033 A KR20210174033 A KR 20210174033A KR 20230085654 A KR20230085654 A KR 20230085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information
performance
terminal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174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5654A/ko
Publication of KR20230085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4Recurrent networks, e.g. Hopfiel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3Assignment of logical groups to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4Policy-based network configura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04L41/147Network analysis or design for predicting network behaviou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6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using machine learning or artificial intellig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Abstract

이동통신 환경에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장치가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NWDAF(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로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 분석(analytics)에 관한 구독 요청을 전송 하는 단계;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NWDAF로부터 상기 구독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에 기반하여 서비스 품질 이상을 경험하는 단말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이 속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성능 분석에 관한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액세스한 네트워크의 성능(performance)에 대한 네트워크 성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응답은 상기 네트워크의 각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해 관찰된 서비스 경험 정보 리스트를 포함하고, 및 상기 네트워크 성능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통계와 예측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품질을 모니터링하고 개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MONITORING AND IMPROVING NETWORK SLICE QUALITY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품질의 실시간 감시 및 보장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기술의 등장으로 인해 하나의 물리적인 인프라를 통해 여러 개의 논리적인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각 네트워크에 특정 사용자 요구를 맞는 고유한 특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이는 부족한 무선 주파수를 재사용해 단순한 연결 외에 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인프라를 보유한 제공자가 새로운 가치를 만들 수 있어 통신 대기업이 관심을 보이고 있고, 특히??5G??셀룰러 서비스를 도입하는 기업도 마찬가지다.
네트워크 슬라이싱에 관한 논의의 많은 부분이 5G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슬라이싱을 통해 통신사가 5G에 대해 광고했던 새로운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표준 관련하여 3GPP는 자동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위한 NWDAF를 표준화했다. 3GPP TS23.288 에서는 Network automation을 위한 기술을 정의하고 있고 특정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서비스의 observed experience 정보를 수집하는 방식(6.4)과 특정 단말이나 단말 그룹이 경험하는 Network Performance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6.6)이 정의되어 있다. 표준에서 제공하는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 서비스/네트워크 품질 모니터하고 개선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장치 대 장치(Device-to-Device; D2D) 통신이란 단말(User Equipment; UE)들 간에 직접적인 링크를 설정하여, 기지국(evolved NodeB; eNB)을 거치지 않고 단말 간에 음성, 데이터 등을 직접 주고 받는 통신 방식을 말한다. D2D 통신은 단말-대-단말(UE-to-UE) 통신, 피어-대-피어(Peer-to-Peer) 통신 등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2D 통신 방식은 M2M(Machine-to-Machine) 통신,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에 응용될 수 있다.
D2D 통신은 급속도로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에 따른 기지국의 부담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서 고려되고 있다. 예를 들어, D2D 통신에 의하면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과 달리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장치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과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D2D 통신을 도입함으로써, 기지국의 절차 감소, D2D에 참여하는 장치들의 소비 전력 감소, 데이터 전송 속도 증가, 네트워크의 수용 능력 증가, 부하 분산, 셀 커버리지 확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현재, D2D 통신에 연계된 형태로써,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V2X는 차량 단말들간의 V2V, 차량과 다른 종류의 단말간의 V2P, 차량과 RSU(roadside unit) 간의 V2I 통신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 2021-7024156호, 2019.01.08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품질 감시는 고객의 민원 대응하는 식으로 관리하거나 다양한 장비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에서 받은 Fault Management 정보와 Performance Management 정보를 수집하여 종합적으로 네트워크 서비스 문제를 판정하였다. 이 경우에 데이터를 각 장비에서 만들고 이를 통합 NMS(network management system) 장비에서 수집하여 장애를 판단하는 과정에 많은 시간 지연과 데이터 처리 부하를 경험하게 됨으로써 서비스 장애 시에 장애 복구가 지연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현재 5G 이동통신시스템은 대용량, 저지연, 고신뢰성 등의 특징을 갖고 이 기반으로 원격제어, 원격진료, VR/XR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수용하는 네트워크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고신뢰성을 갖는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의 품질의 실시간 감시 및 품질 문제에 대한 실시간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고신뢰성이 필요한 서비스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개선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술을 제공하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환경에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장치가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NWDAF(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로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 분석(analytics)에 관한 구독 요청을 전송 하는 단계;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NWDAF로부터 상기 구독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에 기반하여 서비스 품질 이상을 경험하는 단말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이 속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성능 분석에 관한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액세스한 네트워크의 성능(performance)에 대한 네트워크 성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응답은 상기 네트워크의 각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해 관찰된 서비스 경험 정보 리스트를 포함하고, 및 상기 네트워크 성능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통계와 예측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방법은 상기 성능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품질 문제 원인에 관련된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에 기반하여, PCF(Policy Control Function)로 상기 단말의 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한 QoS(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QoS 파라미터는 상기 PCF에서 정책 제어 요청(policy control request)이 수행됨으로써 변경이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응답 및 상기 성능 정보는 상기 NWDAF가 데이터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획득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소스는 AF(application function),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NF(network function)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통계와 예측은 기지국의 상태 정보, 상기 기지국의 리소스 사용량, 단말의 수, 통신 성능, 및 모빌리티 성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네트워크 성능은 인공 신경망 알고리즘 RNN(recurrent neural network)에 기반하여 예측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성능 분석에 관한 요청 정보는 관심 셀 리스트, 통계 또는 예측이 요청된 기간, 및 상기 통계 또는 예측이 요청된 기간 내 시점의 상기 관심 셀 리스트 지역에 위치한 단말들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의 서비스 품질은 상기 각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품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동통신 환경에서 NWDAF(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가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분석 소비자로부터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 분석(analytics)에 관한 구독 요청을 수신 하는 단계;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분석 소비자에게 상기 구독 요청에 대한 분석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분석 결과에 포함된 서비스 품질 이상을 경험하는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이 속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성능 분석에 관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액세스한 네트워크의 성능(performance)에 대한 네트워크 성능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응답은 상기 네트워크의 각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해 관찰된 서비스 경험 정보 리스트를 포함하고, 및 상기 네트워크 성능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통계와 예측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동통신 환경에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NWDAF(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로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 분석(analytics)에 관한 구독 요청을 전송;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NWDAF로부터 상기 구독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이 속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성능 분석에 관한 요청 정보를 전송; 및 상기 단말이 액세스한 네트워크의 성능(performance)에 대한 네트워크 성능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응답에 기반하여 서비스 품질 이상을 경험하는 상기 단말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응답은 상기 네트워크의 각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해 관찰된 서비스 경험 정보 리스트를 포함하고, 및 상기 네트워크 성능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통계와 예측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동통신 환경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NWDAF(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분석 소비자로부터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 분석(analytics)에 관한 구독 요청을 수신;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분석 소비자에게 상기 구독 요청에 대한 분석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을 전송; 상기 분석 결과에 포함된 서비스 품질 이상을 경험하는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이 속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성능 분석에 관한 요청 정보를 수신; 및 상기 단말이 액세스한 네트워크의 성능(performance)에 대한 네트워크 성능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응답은 상기 네트워크의 각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해 관찰된 서비스 경험 정보 리스트를 포함하고, 및 상기 네트워크 성능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통계와 예측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뢰성 있는 품질 보장이 중요한 어플리케이션과 네트워크 슬라이스(Network slice)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품질을 감시하고 서비스와 Network slice가 요구하는 품질을 만족하지 못할 때 실시간으로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EPC(Evolved Packet Core)를 포함하는 EPS(Evolved Packet System)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E-UTRAN과 EPC의 아키텍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제어 평면에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사용자 평면에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랜덤 액세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무선자원제어(RRC) 계층에서의 연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는 네트워크 슬라이싱의 개념이 예시되어 있다.
도 8은 UE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때 가능한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9는 5G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아키텍처 참조 모델(Architecture reference model)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절차에 대해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석(analytics)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품질 감시 및 개선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 장치에 대한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 계열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 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하여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3GPP LTE 및 3GPP LTE-A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3GPP에 의해서 개발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기반의 3 세대(Generation) 이동 통신 기술.
- EPS(Evolved Packet System):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PS(packet switched) 코어 네트워크인 EPC(Evolved Packet Core)와 LTE/UTRAN 등의 액세스 네트워크로 구성된 네트워크 시스템. UMTS가 진화된 형태의 네트워크이다.
- NodeB: GERAN/UTRAN의 기지국. 옥외에 설치하며 커버리지는 매크로 셀(macro cell) 규모이다.
- eNodeB: E-UTRAN의 기지국. 옥외에 설치하며 커버리지는 매크로 셀(macro cell) 규모이다.
- UE(User Equipment): 사용자 기기. UE는 단말(terminal), ME(Mobile Equipment), MS(Mobile Station) 등의 용어로 언급될 수도 있다. 또한, UE는 노트북,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 멀티미디어 기기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기기일 수 있고, 또는 PC(Personal Computer), 차량 탑재 장치와 같이 휴대 불가능한 기기일 수도 있다. MTC 관련 내용에서 UE 또는 단말이라는 용어는 MTC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 HNB(Home NodeB): UMTS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서 옥내에 설치하며 커버리지는 마이크로 셀(micro cell) 규모이다.
- HeNB(Home eNodeB): EPS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서 옥내에 설치하며 커버리지는 마이크로 셀 규모이다.
-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MM),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 SM) 기능을 수행하는 EPS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
- PDN-GW(Packet Data Network-Gateway)/PGW: UE IP 주소 할당, 패킷 스크리닝(screening) 및 필터링, 과금 데이터 취합(charging data collection) 기능 등을 수행하는 EPS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
- SGW(Serving Gateway): 이동성 앵커(mobility anchor), 패킷 라우팅(routing), 유휴(idle) 모드 패킷 버퍼링, MME가 UE를 페이징하도록 트리거링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는 EPS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
- NAS(Non-Access Stratum): UE와 MME간의 제어 플레인(control plane)의 상위 단(stratum). LTE/UMTS 프로토콜 스택에서 UE와 코어 네트워크간의 시그널링, 트래픽 메시지를 주고 받기 위한 기능적인 계층으로서, UE의 이동성을 지원하고, UE와 PDN GW 간의 IP 연결을 수립(establish) 및 유지하는 세션 관리 절차를 지원하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 한다.
- PDN(Packet Data Network): 특정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예를 들어,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서버,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서버 등)가 위치하고 있는 네트워크.
- PDN 연결: 하나의 IP 주소(하나의 IPv4 주소 및/또는 하나의 IPv6 프리픽스)로 표현되는, UE와 PDN 간의 논리적인 연결.
- RAN(Radio Access Network): 3GPP 네트워크에서 NodeB, eNodeB 및 이들을 제어하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를 포함하는 단위. UE 간에 존재하며 코어 네트워크로의 연결을 제공한다.
- HLR(Home Location Register)/HSS(Home Subscriber Server): 3GPP 네트워크 내의 가입자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HSS는 설정 저장(configuration storage), 아이덴티티 관리(identity management), 사용자 상태 저장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개인들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별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 Proximity Service (또는 ProSe Service 또는 Proximity based Service): 물리적으로 근접한 장치 사이의 디스커버리 및 상호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 또는 기지국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또는 제 3의 장치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서비스. 이때 사용자 평면 데이터(user plane data)는 3GPP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EPC)를 거치지 않고 직접 데이터 경로(direct data path)를 통해 교환된다.
EPC(Evolved Packet Core)
도 1은 EPC(Evolved Packet Core)를 포함하는 EPS(Evolved Packet System)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EPC는 3GPP 기술들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의 핵심적인 요소이다. SAE는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 간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구조를 결정하는 연구 과제에 해당한다. SAE는, 예를 들어, IP 기반으로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고 보다 향상된 데이터 전송 캐퍼빌리티를 제공하는 등의 최적화된 패킷-기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EPC는 3GPP LTE 시스템을 위한 IP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이며, 패킷-기반 실시간 및 비실시간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기존의 이동 통신 시스템(즉, 2 세대 또는 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을 위한 CS(Circuit-Switched) 및 데이터를 위한 PS(Packet-Switched)의 2 개의 구별되는 서브-도메인을 통해서 코어 네트워크의 기능이 구현되었다. 그러나, 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진화인 3GPP LTE 시스템에서는, CS 및 PS의 서브-도메인들이 하나의 IP 도메인으로 단일화되었다. 즉, 3GPP LTE 시스템에서는, IP 캐퍼빌리티(capability)를 가지는 단말과 단말 간의 연결이, IP 기반의 기지국(예를 들어, eNodeB(evolved Node B)), EPC, 애플리케이션 도메인(예를 들어, IMS(IP Multimedia Subsystem))을 통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EPC는 단-대-단(end-to-end) IP 서비스 구현에 필수적인 구조이다.
EPC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그 중에서 일부에 해당하는, SGW(Serving Gateway), PDN 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SN(Serving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ing Node), ePDG(enhanced Packet Data Gateway)를 도시한다.
SGW(또는 S-GW)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경계점으로서 동작하고, eNodeB와 PDN GW 사이의 데이터 경로를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 요소이다. 또한, 단말이 eNodeB에 의해서 서빙(serving)되는 영역에 걸쳐 이동하는 경우, SGW는 로컬 이동성 앵커 포인트(anchor point)의 역할을 한다. 즉, E-UTRAN (3GPP 릴리즈-8 이후에서 정의되는 Evolved-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내에서의 이동성을 위해서 SGW를 통해서 패킷들이 라우팅될 수 있다. 또한, SGW는 다른 3GPP 네트워크(3GPP 릴리즈-8 전에 정의되는 RAN, 예를 들어, UTRAN 또는 GERAN(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EDGE(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 Radio Access Network)와의 이동성을 위한 앵커 포인트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PDN GW(또는 P-GW)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를 향한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종료점(termination point)에 해당한다. PDN GW는 정책 집행 특징(policy enforcement features), 패킷 필터링(packet filtering), 과금 지원(charging support)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3GPP 네트워크와 비-3GPP 네트워크 (예를 들어, I-WLAN(Interwork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과 같은 신뢰되지 않는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나 WiMax와 같은 신뢰되는 네트워크)와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 앵커 포인트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의 네트워크 구조의 예시에서는 SGW와 PDN GW가 별도의 게이트웨이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지만, 두 개의 게이트웨이가 단일 게이트웨이 구성 옵션(Single Gateway Configuration Option)에 따라 구현될 수도 있다.
MME는, UE의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액세스,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 트래킹(tracking), 페이징(paging), 로밍(roaming) 및 핸드오버 등을 지원하기 위한 시그널링 및 제어 기능들을 수행하는 요소이다. MME는 가입자 및 세션 관리에 관련된 제어 평면(control plane) 기능들을 제어한다. MME는 수많은 eNodeB들을 관리하고, 다른 2G/3G 네트워크에 대한 핸드오버를 위한 종래의 게이트웨이의 선택을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한다. 또한, MME는 보안 과정(Security Procedures), 단말-대-네트워크 세션 핸들링(Terminal-to-network Session Handling), 유휴 단말 위치결정 관리(Idle Terminal Location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SGSN은 다른 3GPP 네트워크(예를 들어, GPRS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의 이동성 관리 및 인증(authentication)과 같은 모든 패킷 데이터를 핸들링한다.
ePDG는 신뢰되지 않는 비-3GPP 네트워크(예를 들어, I-WLAN, WiFi 핫스팟(hotspot) 등)에 대한 보안 노드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IP 캐퍼빌리티를 가지는 단말은, 3GPP 액세스는 물론 비-3GPP 액세스 기반으로도 EPC 내의 다양한 요소들을 경유하여 사업자(즉, 오퍼레이터(operator))가 제공하는 IP 서비스 네트워크(예를 들어, IMS)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다양한 레퍼런스 포인트들(예를 들어, S1-U, S1-MME 등)을 도시한다. 3GPP 시스템에서는 E-UTRAN 및 EPC의 상이한 기능 개체(functional entity)들에 존재하는 2 개의 기능을 연결하는 개념적인 링크를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라고 정의한다. 다음의 표 1은 도 1에 도시된 레퍼런스 포인트를 정리한 것이다. 표 1의 예시들 외에도 네트워크 구조에 따라 다양한 레퍼런스 포인트들이 존재할 수 있다.
레퍼런스 포인트 설명
S1-MME E-UTRAN와 MME 간의 제어 플레인 프로토콜에 대한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 for the control plane protocol between E-UTRAN and MME)
S1-U 핸드오버 동안 eNB 간 경로 스위칭 및 베어러 당 사용자 플레인 터널링에 대한 E-UTRAN와 SGW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 between E-UTRAN and Serving GW for the per bearer user plane tunnelling and inter eNodeB path switching during handover)
S3 유휴(idle) 및/또는 활성화 상태에서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간 이동성에 대한 사용자 및 베어러 정보 교환을 제공하는 MME와 SGSN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 이 레퍼런스 포인트는 PLMN-내 또는 PLMN-간(예를 들어, PLMN-간 핸드오버의 경우)에 사용될 수 있음) (It enables user and bearer information exchange for inter 3GPP access network mobility in idle and/or active state. This reference point can be used intra-PLMN or inter-PLMN (e.g. in the case of Inter-PLMN HO).)
S4 (GPRS 코어와 SGW의 3GPP 앵커 기능 간의 관련 제어 및 이동성 지원을 제공하는 SGW와 SGSN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 또한, 직접 터널이 수립되지 않으면, 사용자 플레인 터널링을 제공함(It provides related control and mobility support between GPRS Core and the 3GPP Anchor function of Serving GW. In addition, if Direct Tunnel is not established, it provides the user plane tunnelling.)
S5 SGW와 PDN GW 간의 사용자 플레인 터널링 및 터널 관리를 제공하는 레퍼런스 포인트. 단말 이동성으로 인해, 그리고 요구되는 PDN 연결성을 위해서 SGW가 함께 위치하지 않은 PDN GW로의 연결이 필요한 경우, SGW 재배치를 위해서 사용됨(It provides user plane tunnelling and tunnel management between Serving GW and PDN GW. It is used for Serving GW relocation due to UE mobility and if the Serving GW needs to connect to a non-collocated PDN GW for the required PDN connectivity.)
S11 MME와 SGW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
SGi PDN GW와 PDN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 PDN은, 오퍼레이터 외부 공용 또는 사설 PDN이거나 예를 들어, IMS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오퍼레이터-내 PDN일 수 있음. 이 레퍼런스 포인트는 3GPP 액세스의 Gi에 해당함(It is the reference point between the PDN GW and the packet data network. Packet data network may be an operator external public or private packet data network or an intra operator packet data network, e.g. for provision of IMS services. This reference point corresponds to Gi for 3GPP accesses.)
도 1에 도시된 레퍼런스 포인트 중에서 S2a 및 S2b는 비-3GPP 인터페이스에 해당한다. S2a는 신뢰되는 비-3GPP 액세스 및 PDN GW 간의 관련 제어 및 이동성 지원을 사용자 평면에 제공하는 레퍼런스 포인트이다. S2b는 ePDG 및 PDN GW 간의 관련 제어 및 이동성 지원을 사용자 평면에 제공하는 레퍼런스 포인트이다.
도 2는 일반적인 E-UTRAN과 EPC의 아키텍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eNodeB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이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 게이트웨이로의 라우팅, 페이징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브로드캐스터 채널(BCH)의 스케줄링 및 전송,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의 자원을 UE에게 동적 할당, eNodeB의 측정을 위한 설정 및 제공, 무선 베어러 제어, 무선 허가 제어(radio admission control), 그리고 연결 이동성 제어 등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EPC 내에서는 페이징 발생, LTE_IDLE 상태 관리, 사용자 평면이 암호화, SAE 베어러 제어, NAS 시그널링의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제어 평면에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사용자 평면에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3GPP 무선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다.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평적으로 물리계층(Physical Layer), 데이터링크계층(Data Link Layer) 및 네트워크계층(Network Layer)으로 이루어지며, 수직적으로는 데이터정보 전송을 위한 사용자평면(User Plane)과 제어신호(Signaling) 전달을 위한 제어평면(Control Plane)으로 구분된다.
상기 프로토콜 계층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기준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 (제1계층), L2 (제2계층), L3(제3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도 3에 도시된 제어 평면의 무선프로토콜과, 도 4에 도시된 사용자 평면에서의 무선 프로토콜의 각 계층을 설명한다.
제1 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정보전송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상기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송 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의 데이터가 전달된다. 그리고, 서로 다른 물리계층 사이, 즉 송신측과 수신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전달된다.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은 시간축 상에 있는 여러 개의 서브프레임과 주파수축상에 있는 여러 개의 서브 캐리어(Sub-carrier)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나의 서브프레임(Sub-frame)은 시간 축 상에 복수의 심볼 (Symbol)들과 복수의 서브 캐리어들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들로 구성되며, 하나의 자원블록은 복수의 심볼(Symbol)들과 복수의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된다.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위시간인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1개의 서브프레임에 해당하는 1ms이다.
상기 송신측과 수신측의 물리계층에 존재하는 물리 채널들은 3GPP LTE에 따르면, 데이터 채널인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와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및 제어채널인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및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로 나눌 수 있다.
제2계층에는 여러 가지 계층이 존재한다.
먼저 제2계층의 매체접속제어 (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은 다양한 논리채널 (Logical Channel)을 다양한 전송채널에 매핑시키는 역할을 하며, 또한 여러 논리채널을 하나의 전송채널에 매핑시키는 논리채널 다중화 (Multiplexing)의 역할을 수행한다. MAC 계층은 상위계층인 RLC 계층과는 논리채널 (Logical Channel)로 연결되어 있으며, 논리채널은 크게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제어평면(Control Plane)의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채널(Control Channel)과 사용자평면(User Plane)의 정보를 전송하는 트래픽채널(Traffic Channel)로 나뉜다.
제2 계층의 무선링크제어 (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은 상위계층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분할 (Segmentation) 및 연결 (Concatenation)하여 하위계층이 무선 구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적합하도록 데이터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 계층의 패킷데이터수렴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은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 전송시에 대역폭이 작은 무선 구간에서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고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담고 있는 IP 패킷 헤더 사이즈를 줄여주는 헤더압축 (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LTE 시스템에서는 PDCP 계층이 보안 (Security) 기능도 수행하는데, 이는 제 3자의 데이터 감청을 방지하는 암호화 (Ciphering)와 제 3자의 데이터 조작을 방지하는 무결성 보호 (Integrity protection)로 구성된다.
제3 계층의 가장 상부에 위치한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약칭함)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되며, 무선 운반자(Radio Bearer; RB라 약칭함)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 채널, 전송 채널 및 물리 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이때, RB는 단말과 E-UTRAN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상기 단말의 RRC와 무선망의 RRC계층 사이에 RRC 연결(RRC connection)이 있을 경우, 단말은 RRC연결상태(Connected Mode)에 있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RRC유휴 모드(Idle Mode)에 있게 된다.
이하 단말의 RRC 상태 (RRC state)와 RRC 연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RRC 상태란 단말의 RRC가 E-UTRAN의 RRC와 논리적 연결(logical connection)이 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말하며, 연결되어 있는 경우는 RRC_CONNECTED 상태(state),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RRC_IDLE 상태라고 부른다. RRC_CONNECTED 상태의 단말은 RRC 연결이 존재하기 때문에 E-UTRAN은 해당 단말의 존재를 셀 단위에서 파악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RRC_IDLE 상태의 단말은 E-UTRAN이 단말의 존재를 파악할 수는 없으며, 셀 보다 더 큰 지역 단위인 TA(Tracking Area) 단위로 핵심망이 관리한다. 즉, RRC_IDLE 상태의 단말은 셀에 비하여 큰 지역 단위로 해당 단말의 존재여부만 파악되며, 음성이나 데이터와 같은 통상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해당 단말이 RRC_CONNECTED 상태로 천이하여야 한다. 각 TA는 TAI(Tracking area identity)를 통해 구분된다. 단말은 셀에서 방송(broadcasting)되는 정보인 TAC(Tracking area code)를 통해 TAI를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의 전원을 맨 처음 켰을 때, 단말은 먼저 적절한 셀을 탐색한 후 해당 셀에서 RRC 연결을 맺고, 핵심망에 단말의 정보를 등록한다. 이 후, 단말은 RRC_IDLE 상태에 머무른다. RRC_IDLE 상태에 머무르는 단말은 필요에 따라서 셀을 (재)선택하고,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나 페이징 정보를 살펴본다. 이를 셀에 캠프 온(Camp on)한다고 한다. RRC_IDLE 상태에 머물러 있던 단말은 RRC 연결을 맺을 필요가 있을 때 비로소 RRC 연결 과정 (RRC connection procedure)을 통해 E-UTRAN의 RRC와 RRC 연결을 맺고 RRC_CONNECTED 상태로 천이한다. RRC_IDLE 상태에 있던 단말이 RRC 연결을 맺을 필요가 있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의 통화 시도, 데이터 전송 시도 등이 필요하다거나, 아니면 E-UTRAN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 전송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RRC 계층 상위에 위치하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연결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아래는 도 3에 도시된 NAS 계층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NAS 계층에 속하는 eSM (evolved Session Management)은 Default Bearer 관리, Dedicated Bearer관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여, 단말이 망으로부터 PS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제어를 담당한다. Default Bearer 자원은 특정 Packet Data Network(PDN)에 최초 접속 할 시에 망에 접속될 때 망으로부터 할당 받는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때, 네트워크는 단말이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단말이 사용 가능한 IP 주소를 할당하며, 또한 default bearer의 QoS를 할당해준다. LTE에서는 크게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특정 대역폭을 보장해주는 GBR(Guaranteed bit rate) QoS 특성을 가지는 bearer와 대역폭의 보장 없이 Best effort QoS 특성을 가지는 Non-GBR bearer의 두 종류를 지원한다. Default bearer의 경우 Non-GBR bearer를 할당 받는다. Dedicated bearer의 경우에는 GBR또는 Non-GBR의 QoS특성을 가지는 bearer를 할당 받을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단말에게 할당한 bearer를 EPS(evolved packet service) bearer라고 부르며, EPS bearer를 할당 할 때 네트워크는 하나의 ID를 할당하게 된다. 이를 EPS Bearer ID라고 부른다. 하나의 EPS bearer는 MBR(maximum bit rate) 또는/그리고 GBR(guaranteed bit rate)의 QoS 특성을 가진다.
도 5는 3GPP LTE에서 랜덤 액세스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랜덤 액세스 과정은 UE가 기지국과 UL 동기를 얻거나 UL 무선자원을 할당받기 위해 사용된다.
UE는 루트 인덱스(root index)와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설정 인덱스(configuration index)를 eNodeB로부터 수신한다. 각 셀마다 ZC(Zadoff-Chu) 시퀀스에 의해 정의되는 64개의 후보(candidate)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이 있으며, 루트 인덱스는 단말이 64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생성하기 위한 논리적 인덱스이다.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전송은 각 셀마다 특정 시간 및 주파수 자원에 한정된다. PRACH 설정 인덱스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전송이 가능한 특정 서브프레임과 프리앰블 포맷을 지시한다.
UE는 임의로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eNodeB로 전송한다. UE는 64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중 하나를 선택한다. 그리고, PRACH 설정 인덱스에 의해 해당되는 서브프레임을 선택한다. UE는 은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선택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한다.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한 eNodeB는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RAR)을 UE로 보낸다. 랜덤 액세스 응답은 2단계로 검출된다. 먼저 UE는 RA-RNTI(random access-RNTI)로 마스킹된 PDCCH를 검출한다. UE는 검출된 PDCCH에 의해 지시되는 PDSCH 상으로 MAC(Medium Access Control) PDU(Protocol Data Unit) 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다.
도 6은 무선자원제어(RRC) 계층에서의 연결 과정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RRC 연결 여부에 따라 RRC 상태가 나타나 있다. 상기 RRC 상태란 UE의 RRC 계층의 엔티티(entity)가 eNodeB의 RRC 계층의 엔티티와 논리적 연결(logical connection)이 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말하며, 연결되어 있는 경우는 RRC 연결 상태(connected state)라고 하고,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RRC 유휴 모드(idle state)라고 부른다.
상기 연결 상태(Connected state)의 UE는 RRC 연결(connection)이 존재하기 때문에 E-UTRAN은 해당 단말의 존재를 셀 단위에서 파악할 수 있으며, 따라서 UE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유휴 모드(idle state)의 UE는 eNodeB가 파악할 수는 없으며, 셀 보다 더 큰 지역 단위인 트래킹 지역(Tracking Area) 단위로 핵심망(Core Network)이 관리한다. 상기 트래킹 지역(Tracking Area)은 셀들의 집합단위이다. 즉, 유휴 모드(idle state) UE는 큰 지역 단위로 존재여부만 파악되며, 음성이나 데이터와 같은 통상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단말은 연결 상태(connected state)로 천이해야 한다.
사용자가 UE의 전원을 맨 처음 켰을 때, 상기 UE는 먼저 적절한 셀을 탐색한 후 해당 셀에서 유휴 모드(idle state)에 머무른다. 상기 유휴 모드(idle state)에 머물러 있던 UE는 RRC 연결을 맺을 필요가 있을 때 비로소 RRC 연결 과정(RRC connection procedure)을 통해 eNodeB의 RRC 계층과 RRC 연결을 맺고 RRC 연결 상태(connected state)로 천이한다.
상기 유휴 모드(Idle state)에 있던 UE가 RRC 연결을 맺을 필요가 있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의 통화 시도 또는 상향 데이터 전송 등이 필요하다거나, 아니면 EUTRAN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 전송 등을 들 수 있다.
유휴 모드(idle state)의 UE가 상기 eNodeB와 RRC 연결을 맺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RRC 연결 과정(RRC connection procedure)을 진행해야 한다. RRC 연결 과정은 크게, UE가 eNodeB로 RRC 연결 요청 (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 전송하는 과정, eNodeB가 UE로 RRC 연결 설정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그리고 UE가 eNodeB로 RRC 연결 설정 완료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유휴 모드(Idle state)의 UE는 통화 시도, 데이터 전송 시도, 또는 eNodeB의 페이징에 대한 응답 등의 이유로 RRC 연결을 맺고자 할 경우, 먼저 상기 UE는 RRC 연결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eNodeB로 전송한다.
2) 상기 UE로부터 RRC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eNB는 무선 자원이 충분한 경우에는 상기 UE의 RRC 연결 요청을 수락하고, 응답 메시지인 RRC 연결 설정(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상기 UE로 전송한다.
3) 상기 UE가 상기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eNodeB로 RRC 연결 설정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UE가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전송하면, 비로소 상기 UE는 eNodeB과 RRC 연결을 맺게 되고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한다.
한편, EPS에서는 유휴 모드인 UE의 reachability 및 location을 관리하기 위해 UE로 하여금 TAU(Tracking Area Update)를 수행토록 한다. TAU 대한 상세한 사항은 3GPP TS 23.401의 4.3.5절 (Mobility management functions), 5.3.3절 (Tracking Area Update procedures) 및 TS 24.301의 5.5.3절 (Tracking area updating procedure (S1 mode only)) 등을 참고하며, 본 명세서의 내용을 산입된다. UE는 MME가 UE의 위치를 track하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더라도 주기적으로 TAU (periodic TAU 또는 P-TAU)를 수행한다. 이 때 주기적인 위치 등록 관련 타이머에 기반하여 P-TAU를 수행한다.
다음 표 2는 periodic tracking area update timer (T3412, TS 24.301 참조)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타이머 값은 네트워크에서 ATTACH ACCEPT, TRACKING AREA UPDATE ACCEPT 메시지에 포함시켜 UE에게 제공한다.
TIMER NUM. TIMER VALUE STATE CAUSE OF START NORMAL STOP ON
EXPIRY
T3412 Default 54 min.
NOTE 2
NOTE 5
EMM-REGISTERED In EMM-REGISTERED, when EMM-CONNECTED mode is left. When entering state EMM-DEREGISTERED or when entering EMM-CONNECTED mode. Initiation of the periodic TAU procedure if the UE is not attached for emergency bearer services or T3423 started under the conditions as specified in subclause 5.3.5.

Implicit detach from network if the UE is attached for emergency bearer services.
NOTE 2: The value of this timer is provided by the network operator during the attach and tracking area updating procedures.
NOTE 5: The default value of this timer is used if the network does not indicate a value in the TRACKING AREA UPDATE ACCEPT message and the UE does not have a stored value for this timer.
네트워크는 P-TAU 시그널링으로부터 네트워크 load를 줄이고자 longer periodic tracking area update timer를 UE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TS 23.401 4.3.17.3 절을 참조한다.
다음 표 3은 TS 24.301에 기술된 TAU Accept 메시지 포맷이다. 표에서 9.x, 9.x.x.x 등의 표시는 TS 24.301 문서 내 인덱스이다.
IEI Information Element Type/Reference Presence Format Length
Protocol discriminator Protocol discriminator 9.2 M V 1/2
Security header type Security header type 9.3.1 M V 1/2
Tracking area update accept message identity Message type 9.8 M V 1
EPS update result EPS update result 9.9.3.13 M V 1/2
Spare half octet Spare half octet 9.9.2.9 M V 1/2
5A T3412 value GPRS timer 9.9.3.16 O TV 2
50 GUTI EPS mobile identity 9.9.3.12 O TLV 13
54 TAI list Tracking area identity list 9.9.3.33 O TLV 8-98
57 EPS bearer context status EPS bearer context status 9.9.2.1 O TLV 4
13 Location area identification Location area identification 9.9.2.2 O TV 6
23 MS identity Mobile identity 9.9.2.3 O TLV 7-10
53 EMM cause EMM cause 9.9.3.9 O TV 2
17 T3402 value GPRS timer 9.9.3.16 O TV 2
59 T3423 value GPRS timer 9.9.3.16 O TV 2
4A Equivalent PLMNs PLMN list 9.9.2.8 O TLV 5-47
34 Emergency number list Emergency number list 9.9.3.37 O TLV 5-50
64 EPS network feature support EPS network feature support 9.9.3.12A O TLV 3
F- Additional update result Additional update result 9.9.3.0A O TV 1
5E T3412 extended value GPRS timer 3 9.9.3.16B O TLV 3
6A T3324 value GPRS timer 2 9.9.3.16A O TLV 3
6E Extended DRX parameters Extended DRX parameters 9.9.3.46 O TLV 3
MME는 T3412 value IE를 노멀 및 combined TAU 절차에서 포함해야만 한다. 그리고, MME는 T3412 value IE를 주기적인 TAU 절차에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longer periodic tracking area update timer를 UE에게 제공하기 위해 T3412 extended value IE를 포함할 수 있다. P-TAU 타이머인 T3412 및 longer P-TAU 타이머인 T3412 extended value는 TS 24.008에 개시된 GPRS Timer, GPRS Timer 3 등 다양한 크기의 값으로 설정되어 UE에게 제공될 수 있다. 기존 LTE/LTE-A 시스템에서는 통합적인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네트워크 기능들이 수행되던 것과 대비해, 차세대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5G 시스템 등)에서는 네트워크 슬라이싱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다.
도 7에는 네트워크 슬라이싱의 개념이 예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슬라이싱은 서비스 인스턴스 계층,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 계층, 자원 계층의 3 개 계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서비스 인스턴스 계층은 지원될 서비스 (최종 사용자 서비스 또는 비즈니스 서비스)를 나타낸다. 이러한 각각의 서비스는 서비스 인스턴스로 표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서비스는 네트워크 운영자 또는 제3자에 의해 제공 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인스턴스는 오퍼레이터 서비스 또는 제3자 제공 서비스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는 서비스 인스턴스에 필요한 네트워크 특성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여러 서비스 인스턴스간에 공유 될 수 있다. (이외 네트워크 슬라이싱에 관한 상세한 내용들은 TR 23.799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UE는 도 7에 예시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UE가 다수의 슬라이스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고, 동시에 여러 슬라이스를 통해 트래픽을 주고받을 수 있지만, 어떤 시점에 하나의 슬라이스만을 통해 트래픽을 주고받을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예컨대 Service#1은 Slice#1로, Service#2는 Slice#2로 서비스를 제공 받은 경우 UE는 Service#1에 대한 mobile originated (MO) traffic이 생성된 바, 이를 Slice#1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UE가 주고받는 트래픽이 아예 없는 상태에서 (기존의 EPS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경우 UE가 IDLE 상태로 있을 수 있음), Service#2에 대한 mobile terminated (MT) traffic이 발생한 경우, 이는 Slice#2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도 8은 UE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때 가능한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UE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데, 이는 도 8에 예시된 것과 같은 3가지 시나리오 중 하나에 의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그룹 A는 UE가 상이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및 상이한 CN 인스턴스들로부터 서비스를 획득하고, CN 인스턴스들 간의 논리적 분리/격리를 목표로 한다. 이 그룹은 UE를 다루는 각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해 독립적인 서브스크립션 관리/이동성 관리를 특징으로 하며, 네트워크 및 무선에서 추가적인 시그널링에 의한 잠재적 부작용 가능성이 있다. 반면 네트워크의 CN 부분에서 격리는 이루기 가장 쉽다. 그룹 B는 일부 네트워크 기능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사이에서 공통적인 반면 다른 기능은 개별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있다고 가정한다. 그룹 C는 사용자 평면이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처리되는 동안 제어 평면 처리가 슬라이스간에 공통적이라고 가정한다.
종래 EPC에서 MME는 5G CN(Core Network)에서는 AMF(Core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와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로 분리되었다. 이에 UE와의 NAS interaction 및 MM(Mobility Management)은 AMF가, 그리고 SM(Session Management)은 SMF가 수행하게 된다. 또한 SMF는 user-plane 기능을 갖는, 즉 user traffic을 라우팅하는 gateway인 UPF(User Plane Function)를 관리하는데, 이는 종래 EPC에서 S-GW와 P-GW의 control-plane 부분은 SMF가 담당하고, user-plane 부분은 UPF가 담당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User traffic의 라우팅을 위해 RAN과 DN(Data Network) 사이에 UPF는 하나 이상이 존재할 수 있다. 종래 EPS에서의 PDN connection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5G system에서는 PDU(Protocol Data Unit) session이 정의되었다. PDU session은 IP type 뿐만 아니라 Ethernet type 또는 unstructured type의 PDU connectivity service를 제공하는 UE와 DN 간의 association을 일컫는다. 그 외에 UDM(Unified Data Management)은 EPC의 HSS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며, PCF(Policy Control Function)은 EPC의 PCRF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5G system의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그 기능들이 확장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5G system architecture, 각 function, 각 interface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TS 23.501을 준용한다.
도 9는 5G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아키텍처 참조 모델(Architecture reference model)을 도시한다.
앞서, UE가 다수개의 network 슬라이스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경우 Group A, Group B, Group C와 같이 3개의 예제 시나리오에 의해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하다고 기술하였다. 도 9에 도시한 next generation system (즉, 5G system)의 스터디 결과 도출된 architecture를 Group A, Group B, Group C에 대입해 보면 다음과 같다. 특히, UE가 서비스를 받는 관점에서 AMF, SMF, UPF가 가장 주요한 역할을 하는 바, 이들 function이 어떻게 슬라이스에 포함되는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Group A에서, 모든 control-plane function과 user-plane function이 각 슬라이스에 포함된다. 이에 AMF, SMF, UPF 모두 각 슬라이스에 포함된다.
Group B의 경우, 다음 세가지 예시적 형태의 시나리오가 가능하다.
첫번째로, Mobility Management를 담당하는 AMF는 슬라이스 마다 포함하는 대신 common하게 위치한다. 즉, UE가 몇 개의 슬라이스에 의해 서비스를 받는 지와 무관하게 공통적으로 하나의 AMF가 존재한다. 반면, Session Management를 담당하는 SMF와 gateway인 UPF는 각 슬라이스에 포함된다. 두번째로, Session Management를 담당하는 SMF는 슬라이스 마다 포함하는 대신 common하게 위치한다. 즉, UE가 몇 개의 슬라이스에 의해 서비스를 받는 지와 무관하게 공통적으로 하나의 SMF가 존재한다. 반면, Mobility Management를 담당하는 SMF와 gateway인 UPF는 각 슬라이스에 포함된다. 세번째로, AMF의 기능 중에서 UE가 최초 등록시 인증을 수행하는 Access Management 기능을 슬라이스와 무관하게 공통적으로 두고, AMF의 기능 중에서 reachability, location tracking 등의 기능을 슬라이스에 포함시킨다. 그리고, SMF와 UPF도 슬라이스에 포함시킨다.
Group C 에서, 모든 control-plane function이 common하게 위치한다. 이에 AMF와 SMF가 각 슬라이스에 포함되지 않고 UE가 몇 개의 슬라이스에 의해 서비스를 받는 지와 무관하게 공통적으로 하나씩 존재한다. 반면에 UPF는 각 슬라이스에 포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절차에 대해 도시한다.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기능(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 이하 NWDAF)은 3GPP SA2 워킹그룹에서 정의한 5G 코어 네트워크 제어 플래인의 네트워크 기능 중 하나로 네트워크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NWDAF는 수집된 네트워크 데이터를 바탕으로 머신러닝과 같은 지능 기술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 값을 다른 5G 코어 네트워크 기능들에 제공하여 각 네트워크 기능의 최적화 및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준다.
도 10을 참고하면, Analytics Consumer (NF/AF)는 analytics data를 NWDAF에 요청한다(request for specific analytics).
이를 위해 NWDAF는 Analytics Consumer 로부터 특정 NW analytics ID에 대한 요청을 받고 해당 analytics 생성을 위해 데이터 소스(NF/OAM/AF)로 데이터 수집 요청을 한다(request network events monitoring related to the analytics). 데이터 수집 요청을 받은 데이터 소스는 모니터링한 네트워크 이벤트와 관련된 데이터를 NWDAF에 전송한다(monitor the network events and send the result of monitoring). 즉, 데이터 수집 기능을 사용하면 NWDAF가 네트워크 분석 계산의 기초로 다양한 소스(예: AMF, SMF, PCF 및 AF와 같은 NF, OAM)에서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NWDAF는 수집한 데이터를 알고리즘을 통해 학습하여 analytics 생성을 위한 모델을 개발하고, 개발한 모델을 기반으로 analytics를 생성한다(produce the analytics).
그리고 NWDAF는 생성된 analytics를 요청한 consumer에게 전송한다(send the analytics).
NWDAF의 observed quality analytics 기능 관련하여, NWDAF가 데이터 소스로부터 수집하는 데이터 형식은 아래 표 4와 같다(3GPP TS 23.288 참조).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NWDAF의 observed quality analytics 기능 관련하여, NWDAF는 데이터 소스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로부터 하기 표 5와 같은 형식의 analytics 를 생성한다(3GPP TS 23.288 참조).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NWDAF의 Network Performance analytics 기능과 관련하여, NWDAF는 Data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며 데이터 형식은 아래 표 6과 같다(3GPP TS 23.288 참조).
Figure pat00006
NWDAF의 Network Performance analytics 기능과 관련하여, NWDAF는 수집한 데이터로부터 하기 표 7과 같은 형식의 analytics 를 생성한다(3GPP TS 23.288 참조).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analytics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품질 감시 및 개선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분석 소비자인 NMS(network management system) AF(application function)는 NWDAF에게 관리하고자 하는 서비스(또는 Network Slice)에 대한 서비스 품질 관련 이슈에 대해 구독 요청하여 품질이슈가 있을 때 Notify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분석 소비자는 NWDAF(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로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 분석(analytics)에 관한 구독 요청을 전송하고,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NWDAF로부터 구독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응답은 네트워크의 각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해 관찰된 서비스 경험 정보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NWDAF(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는 다양한 데이터 소스인 AF(application function),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NF(network function) 등으로부터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서비스(또는 Network Slice)의 품질이슈가 발생할 때 NMS로 Notify를 전달한다.
NMS는 Notify 정보에 있는 단말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단말이 경험하고 있는 액세스한 네트워크의 품질 정보를 NWDAF에게 요청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분석 소비자(NMS)는 NWDAF로부터 수신한 응답에 기반하여 서비스 품질 이상을 경험하는 단말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이 속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성능 분석에 관한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이 액세스한 네트워크의 성능(performance)에 대한 네트워크 성능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액세스한 네트워크의 품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성능 분석에 관한 요청 정보는 관심 지역, 통계 또는 예측이 요청된 기간, 및 통계 또는 예측이 요청된 기간 내 시점의 관심 지역에 위치한 단말들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심 지역은 TA(tracking area) 또는 셀 리스트 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성능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통계와 예측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통계와 예측은 기지국의 상태 정보, 상기 기지국의 리소스 사용량, 단말의 수, 통신 성능, 및 모빌리티 성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성능은 인공 신경망 알고리즘 RNN(recurrent neural network)에 기반하여 예측될 수 있다.
NMS는 NWDAF로부터 받은 액세스한 네트워크의 품질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 품질 문제가 액세스한 네트워크가 원인인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액세스한 네트워크의 자원 부족이 문제라고 판단되면, NMS는 해당 단말 품질에 대한 우선순위를 높일 수 있도록 PCF에게 요청한다.
PCF(Policy Control Function)는 해당 단말의 설정 변경(Policy Control Request)을 통해 특정 단말의 서비스 품질 문제를 개선한다.
상세하게는, NMS는 NWDAF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의 성능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품질 문제 원인에 관련된 결과를 도출하고, 도출한 결과에 기반하여, PCF(Policy Control Function)로 상기 단말의 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한 QoS(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 변경을 요청한다. QoS 파라미터는 상기 PCF에서 정책 제어 요청(policy control request)이 수행됨으로써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3GPP 표준 NF(network function)인 NWDAF를 통해 취득한 정보(Observed experience & Network performance)를 활용하여 서비스(또는 Network Slice)의 품질 이상을 실시간 감시하고 또한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개시한 방법에 따르면, 신뢰성이 필요한 서비스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서비스(또는 Network Slice) 품질에 문제가 있는 사용자를 찾고 만약 자원의 부족으로 인한 서비스 품질 문제일 경우에 실시간으로 QoS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서비스 품질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노드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송수신장치(110),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장치(110)은 외부 장치로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송신하고, 외부 장치로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단말 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송수신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단말 또는 장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 장치(200)는, 송수신장치(210), 프로세서(220) 및 메모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장치(210)은 외부 장치로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송신하고, 외부 장치로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 장치(200)는 외부 장치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네트워크 노드 장치(2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노드 장치(200)가 외부 장치와 송수신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네트워크 노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20)는 상기 송수신 장치를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 분석(analytics)에 관한 구독 요청을 전송하고,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구독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 응답에 기반하여 서비스 품질 이상을 경험하는 단말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이 속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성능 분석에 관한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단말이 액세스한 네트워크의 성능(performance)에 대한 네트워크 성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단말 장치(100) 및 네트워크 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장치,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100 : 단말 장치
110 : 송수신 장치
120 : 프로세서
130 : 메모리
200 : 네트워크 노드 장치
210 : 송수신 장치
220 : 프로세서
230 : 메모리

Claims (15)

  1. 이동통신 환경에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장치가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NWDAF(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로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 분석(analytics)에 관한 구독 요청을 전송 하는 단계;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NWDAF로부터 상기 구독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에 기반하여 서비스 품질 이상을 경험하는 단말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이 속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성능 분석에 관한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액세스한 네트워크의 성능(performance)에 대한 네트워크 성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응답은 상기 네트워크의 각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해 관찰된 서비스 경험 정보 리스트를 포함하고, 및
    상기 네트워크 성능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통계와 예측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품질 문제 원인에 관련된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에 기반하여, PCF(Policy Control Function)로 상기 단말의 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한 QoS(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QoS 파라미터는 상기 PCF에서 정책 제어 요청(policy control request)이 수행됨으로써 변경이 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및 상기 성능 정보는 상기 NWDAF가 데이터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획득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소스는 AF(application function),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NF(network function)중 어느 하나인,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통계와 예측은 기지국의 상태 정보, 상기 기지국의 리소스 사용량, 단말의 수, 통신 성능, 및 모빌리티 성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성능은 인공 신경망 알고리즘 RNN(recurrent neural network)에 기반하여 예측되는,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성능 분석에 관한 요청 정보는 관심 셀 리스트, 통계 또는 예측이 요청된 기간, 및 상기 통계 또는 예측이 요청된 기간 내 시점의 상기 관심 셀 리스트 지역에 위치한 단말들의 수를 포함하는, 방법.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서비스 품질은 상기 각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품질을 포함하는, 방법.
  9. 이동통신 환경에서 NWDAF(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가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분석 소비자로부터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 분석(analytics)에 관한 구독 요청을 수신 하는 단계;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분석 소비자에게 상기 구독 요청에 대한 분석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분석 결과에 포함된 서비스 품질 이상을 경험하는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이 속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성능 분석에 관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액세스한 네트워크의 성능(performance)에 대한 네트워크 성능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응답은 상기 네트워크의 각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해 관찰된 서비스 경험 정보 리스트를 포함하고, 및
    상기 네트워크 성능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통계와 예측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및 상기 성능 정보는 상기 NWDAF가 데이터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획득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소스는 AF(application function),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NF(network function)중 어느 하나인,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통계와 예측은 기지국의 상태 정보, 상기 기지국의 리소스 사용량, 단말의 수, 통신 성능, 및 모빌리티 성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성능은 인공 신경망 알고리즘 RNN(recurrent neural network)에 기반하여 예측되는, 방법.
  13. 제9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성능 분석에 관한 요청 정보는 관심 셀 리스트, 통계 또는 예측이 요청된 기간, 및 상기 통계 또는 예측이 요청된 기간 내 시점의 상기 관심 셀 리스트 지역에 위치한 단말들의 수를 포함하는, 방법.
  14. 이동통신 환경에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NWDAF(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로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 분석(analytics)에 관한 구독 요청을 전송;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NWDAF로부터 상기 구독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이 속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성능 분석에 관한 요청 정보를 전송; 및
    상기 단말이 액세스한 네트워크의 성능(performance)에 대한 네트워크 성능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응답에 기반하여 서비스 품질 이상을 경험하는 상기 단말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응답은 상기 네트워크의 각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해 관찰된 서비스 경험 정보 리스트를 포함하고, 및
    상기 네트워크 성능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통계와 예측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장치.
  15. 이동통신 환경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NWDAF(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분석 소비자로부터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 분석(analytics)에 관한 구독 요청을 수신;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분석 소비자에게 상기 구독 요청에 대한 분석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을 전송;
    상기 분석 결과에 포함된 서비스 품질 이상을 경험하는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이 속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성능 분석에 관한 요청 정보를 수신; 및
    상기 단말이 액세스한 네트워크의 성능(performance)에 대한 네트워크 성능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응답은 상기 네트워크의 각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해 관찰된 서비스 경험 정보 리스트를 포함하고, 및
    상기 네트워크 성능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통계와 예측을 포함하는, NWDAF 장치.
KR1020210174033A 2021-12-07 2021-12-07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품질을 모니터링하고 개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300856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033A KR20230085654A (ko) 2021-12-07 2021-12-07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품질을 모니터링하고 개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033A KR20230085654A (ko) 2021-12-07 2021-12-07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품질을 모니터링하고 개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654A true KR20230085654A (ko) 2023-06-14

Family

ID=86744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033A KR20230085654A (ko) 2021-12-07 2021-12-07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품질을 모니터링하고 개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56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0524B2 (en) Method for performing a procedure related to AMF registration by UD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US11160134B2 (en) Method for performing RRC connection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06817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RC connection resu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660022B2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questing connection to network
US20190037636A1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location registration-related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EP31452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hss/m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80136912A (ko) 요청에 대한 응답 방법 및 네트워크 장치
KR101901953B1 (ko) 보고 수신 방법 및 네트워크 장치, 그리고 보고 수행 방법 및 기지국
JP682514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multi−homing基盤のpsa追加に関連して信号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KR10222053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nas 시그널링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76997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のplmn選択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10623990B2 (en)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and network node and method for receiving data
EP3407667A1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data,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data
US20200213819A1 (en) Method for supporting sms transmission for user equipment that can receive service from 3gpp 5g system and from ep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EP3410814A1 (en) Method for initiating tracking area update, and user equipment
KR20180088477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기지국과,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코어 노드
EP3435694A1 (en) Method for performing operation related to v2x message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10192503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plmn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652793B2 (en) Method by which PGW processes data for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20230085654A (ko)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품질을 모니터링하고 개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