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427A - 독서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독서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5427A
KR20230085427A KR1020210173583A KR20210173583A KR20230085427A KR 20230085427 A KR20230085427 A KR 20230085427A KR 1020210173583 A KR1020210173583 A KR 1020210173583A KR 20210173583 A KR20210173583 A KR 20210173583A KR 20230085427 A KR20230085427 A KR 20230085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advertisements
image
user terminal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기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랑스
Priority to KR1020210173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5427A/ko
Priority to PCT/KR2022/018106 priority patent/WO2023106674A1/ko
Publication of KR20230085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4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06F16/434Query formulation using image data, e.g. images, photos, pictures taken by a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2Query formulation, e.g. graphical 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2Query for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2Query formulation
    • G06F16/7328Query by example, e.g. a complete video frame or video sequ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88Image or video recognition using optical means, e.g. reference filters, holographic masks, frequency domain filters or spatial domain fil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서대의 카메라 렌즈에 노출되는 책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책 동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촬영된 책 동영상의 책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하나 이상의 단어와 복수의 광고 각각에 맵핑되어 있는 키워드 리스트 사이의 연관도에 따라 복수의 광고 중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광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고를 촬영된 책 동영상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독서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광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독서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ADVERTISEMENT METHOD AND ADVERTISEMENT SYSTEM USING IMAGES CAPTURED AT THE BOOK STAND}
본 발명은 독서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독서대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와 관련되는 연관 광고를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연관 광고를 촬영된 영상(이미지)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독서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노안은 작은 글씨를 볼 때 어려움을 겪는 퇴행성 질병이다. 현대인들은 어린 나이부터 정보통신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장시간 노출되기 때문에 40대부터, 심지어는 30대부터 노안의 고통을 겪기 시작한다. 또한,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기 때문에, 과거와 달리 중년이 되어서도 은퇴 없이 계속 일을 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하지만, 책을 포함한 각종 출판물은 노안을 가진 사람들이 읽기에 불편하다.
이런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고전적 방법은 확대경을 사용하는 것인데, 한 손으로 확대경을 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독서하는 과정에서 기억해야 할 내용을 따로 기록하거나 컴퓨터와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할 필요가 있을 때도 있는데, 이런 경우엔 책장을 스마트폰 카메라로 찍어서 컴퓨터 저장 매체로 옮겨야 한다. 하지만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수행되어야 할 일련의 과정들이 너무 불편하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책장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독서인)는 편리하게 디스플레이에서 임의의 크기로 책을 확대하여 읽을 수 있고 자유롭게 두 손을 활용할 수 있는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 등에 의해서 책 페이지의 내용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가 다양한 서비스를 추가로 받을 수 있는 점에 착안하였다. 예를 들어, 책 페이지의 내용에 따라 관련되는 광고를 제공하여 광고의 효용성을 높이거나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나아가 현재 읽고 있는 책과 관련되는 커뮤니티에 접속 및 토론하는 등의 기능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책의 페이지의 촬영에 따라 캡쳐링되는 이미지로부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하면 매우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촬영되는 책 페이지의 이미지로부터 관련되는 광고를 검색하고 검색된 광고를 책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는, 독서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되는 책 페이지의 이미지에서 추출되는 키워드 기반으로 관련 광고를 자동 검색하고 검색된 광고를 책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하여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독서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책 페이지의 이미지에서 추출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온라인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는, 독서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독서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광고 방법은 독서대의 카메라 렌즈에 노출되는 책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책 동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촬영된 책 동영상의 책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하나 이상의 단어와 복수의 광고 각각에 맵핑되어 있는 키워드 리스트 사이의 연관도에 따라 복수의 광고 중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광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하나 이상의 광고를 상기 촬영된 책 동영상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광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책 동영상의 책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는, (a) 설정된 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촬영된 책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인 상기 책 이미지를 구성하고 구성된 책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고는 상기 책 동영상이 표시되는 책 영역 옆의 광고영역에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또는 HTML 문서로 표시된다.
상기한 광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책 동영상의 책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는, (b)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촬영된 책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인 상기 책 이미지를 구성하고 구성된 책 이미지의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드래그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고는 상기 책 동영상이 표시되는 책 영역 옆의 광고영역에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또는 HTML 문서로 표시된다.
상기한 광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사용자 단말기가 설정된 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촬영된 책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인 상기 책 이미지를 구성하고 구성된 책 이미지를 광고서버로 전송하고 광고서버가 수신된 책 이미지에서 광학문자인식 기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명사 단어를 추출한다.
상기한 광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광고를 선택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책 이미지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단어와 복수의 광고 각각에 맵핑되어 있는 키워드 리스트 사이의 비교에 따라 산출되는 유사도에 따라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광고를 선택한다.
상기한 광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광고를 선택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책 이미지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단어와 복수의 광고 각각에 맵핑되어 있는 키워드 리스트 사이의 비교에 따라 산출되는 유사도와 복수의 광고 각각의 클릭률에 따라 하나 이상의 광고를 선택한다.
상기한 광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책 동영상의 책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촬영된 책 동영상의 책 이미지를 광고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광고서버가 상기 책 이미지로부터 책 정보와 상기 책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광고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결정된 하나 이상의 커뮤니티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커뮤니티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광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책 동영상의 책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책 이미지에서 페이지 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최종 페이지 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가입한 커뮤니티에 기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커뮤니티의 정보는 상기 커뮤니티에 가입한 사용자들의 최종 페이지 번호의 평균 페이지 번호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독서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광고 시스템은 카메라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모듈의 카메라 렌즈에 노출되는 책을 촬영하는 독서대; 및 상기 독서대에서 촬영된 책 동영상의 책 이미지에서 추출되는 하나 이상의 단어와 복수의 광고 각각에 맵핑되어 있는 키워드 리스트 사이의 연관도에 따라 복수의 광고 중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광고를 선택하는 광고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고는 상기 촬영된 책 동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상기한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 촬영된 책 동영상과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촬영된 책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인 상기 책 이미지를 구성하고, 상기 광고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책 이미지에서 광학문자인식 기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명사 단어를 추출한다.
상기한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광고서버는 하나 이상의 책 이미지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단어와 복수의 광고 각각에 맵핑되어 있는 키워드 리스트 사이의 비교에 따라 산출되는 유사도에 따라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광고를 선택한다.
상기한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광고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촬영된 책 동영상의 책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책 이미지로부터 책 정보와 상기 책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티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결정된 하나 이상의 커뮤니티의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커뮤니티의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한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광고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책 이미지에서 페이지 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최종 페이지 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가입한 커뮤니티에 기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커뮤니티의 정보는 상기 커뮤니티에 가입한 사용자들의 최종 페이지 번호의 평균 페이지 번호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다.
상기한 독서대는, 책의 외측에 위치하는 래치부(110); 일단이 상기 래치부(110)와 결합한 후 책위로 연장되는 연장로드(120); 및 상기 연장로드(120)에 결합되어 펼쳐진 책의 상방을 누르는 누름부재(130);를 구비하는 책장누름모듈(100);을 포함하는 구성되며, 상기 연장로드(120) 및 상기 누름부재(130)는 상기 래치부(110)에 있는 회동축(111)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가능하되, 상기 래치부(110)에 의해서 회동이 록킹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독서대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110)는, 원주를 따라 일련의 톱니들(112a)을 가진 래치기어(112); 상기 일련의 톱니들(112a)중 하나 이상에 치합할 수 있는 래치스토퍼(1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래치스토퍼(113)가 상기 일련의 톱니들(113a) 중 하나 이상에 치합하는 경우 상기 연장로드(120) 및 상기 누름부재(130)의 상방 회동을 록킹할 수 있다.
상기한 독서대에 있어서, 상기 책장누름모듈(100)은, 상기 연장로드(120)를 따라 연장되되, 상기 누름부재(130)와 상기 래치부(110) 사이의 일지점을 중심으로 양쪽이 시소처럼 거동하는 언록킹부(14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언록킹부(140)의 타단을 누르는 경우 상기 언록킹부(140)의 일단이 상기 래치기어(112)에 치합된 상기 래치스토퍼(113)를 들어서 상기 연장로드(120) 및 상기 누름부재(130)의 상방 회동이 가능하게 되도록 언록킹할 수 있다.
상기한 독서대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톱니들(112a)은 원주의 360도 각도범위 중 그 일부인 각도범위(A) 내에서만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장로드(120) 및 상기 누름부재(130)가 일정 각도를 넘어서 상방 회동하면 상기 언록킹부(140)의 일단을 누르지 않더라도 상기 연장로드(120) 및 상기 누름부재(130)의 회동이 록킹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독서대에 있어서, 상기 래치스토퍼(113)는, 스토퍼 회동축(113d)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스토퍼 바디(113a); 상기 스토퍼 바디(113a)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일련의 톱니들(112a) 사이에 안착될 수 있는 스토퍼 웨지(113b); 상기 스토퍼 바디(113a)에 결합되며 상기 언록킹부(140)의 일단에 접촉될 수 있는 스토퍼 롤러(113c); 일단이 상기 스토퍼 바디(113a)에 고정되어 상기 스토퍼 웨지(113b)를 상기 톱니들(112a)의 방향으로 당기는 인장 스프링(113f)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독서대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130)는, 제안된 범위내에서 상기 연장로드(12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132); 상기 슬라이더(132)와 결합하고 책의 좌우로 연장하는 누름바(1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독서대에 있어서, 지지받침(210)으로부터 수직으로 입설되는 포스트(22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책장누름모듈(100)은, 상기 래치부(110)의 회동축(111)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ㄷ'자 모양의 프레임부(160); 상기 프레임부(160)의 허리부분에 형성된 나사공을 관통하고 상기 나사공에 나사결합하는 연결부(172)와, 상기 프레임부(16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연결부(172)의 일단에 결합된 노브(171)와, 상기 프레임부(16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연결부(172)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포스트(220)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는 압착고정 푸셔(173)를 구비하는 프레임고정부(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160)는 상기 포스트(220)를 따라 상하로 이동된 후 상기 프레임고정부(170)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독서대에 있어서, 책과 이격하여 책의 상방에 위치하며, 하방으로 빛으로 조사하는 LED 조명과 책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붐헤드(230); 책과 이격하여 책의 상방에 위치하는 더블 카메라부(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블 카메라부(300)는,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한 제 1 카메라 모듈(350a); 및 펼쳐진 책을 촬영하기 위한 제 2 카메라 모듈(350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은 촬영되는 책 페이지의 이미지로부터 관련되는 광고를 검색하고 검색된 광고를 책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은 촬영되는 책 페이지의 이미지에서 추출되는 키워드 기반으로 관련 광고를 자동 검색하고 검색된 광고를 책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하여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은 책 페이지의 이미지에서 추출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온라인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책장을 고정하되 책장의 넘김 동작이 보다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손으로도 책장누름모듈을 조작하고 다른 손으로 책장을 넘길 수 있는데, 책장누름모듈의 언록킹 및 회동 이후에 책장을 넘기로 책장누름모듈의 반대 회동 및 가압으로 동작이 축소된다. 또한, 톱니들이 원주의 360도 각도범위 중 그 일부인 각도범위(A) 내에서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동작이 축소됨에도 불구하고 고정의 안정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는 노안을 가진 사람들 등이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독서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광고 시스템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독서대의 전자적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 단말기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광고서버의 광고 콘텐츠 검색 관련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독서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활용하여 광고를 출력하는 주요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자동 수집 과정에서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프레임 이미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사용자 입력기반 수집 과정에서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프레임 이미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의 책장누름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의 책장누름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의 책장누름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에서 래치부를 중심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독서대에서 책장누름모듈의 2가지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a)는 록킹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언록킹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독서대에서 책장누름모듈을 조작하고 있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의 더블 카메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에서 더블 카메라부의 제 1 카메라 모듈이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독서대(1)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광고 시스템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광고 시스템은 독서대(1) 및 광고서버(3)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기(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독서대(1)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2)는 인터넷(4)을 통해 광고서버(3)에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1의 광고 시스템의 동작을 간단히 살펴보면, 사용자는 독서대(1) 아래에 책을 놓고 독서대(1)는 구비된 카메라모듈(12)을 통해 아래의 책을 촬영하고 촬영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로 출력한다. 독서대(1) 또는 독서대(1)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2)는 독서대(1)로부터의 촬영된 동영상을 LCD 또는 LED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을 볼 수 있고 독서대(1)의 입력 인터페이스나 사용자 단말기(2)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에 대한 각종 동작이나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촬영된 동영상의 확대, 축소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독서대(1) 또는 사용자 단말기(2)(설계 응용에 따라, 생략 가능함)는 촬영된 동영상에 대한 책 이미지(정지 영상)를 구성하고 책 이미지 또는 책 이미지에서 추출되는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를 광고서버(3)로 전송할 수 있다.
광고서버(3)는 수신되는 이미지 정보에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광고를 선택하고 선택된 광고를 독서대(1) 또는 사용자 단말기(2)로 전송한다. 독서대(1) 또는 사용자 단말기(2)는 수신되는 광고를 촬영된 책 동영상과 함께 연결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광고 시스템은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읽고 있는 책을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책(구체적으로 특정 책 페이지)과 연관되는 광고를 실시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는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 광고주에게는 특정 타겟군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광고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독서대(1)의 전자적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독서대(1)는 제어부(11), 카메라모듈(12), 조명(13), 스위치부(14) 및 외부 연결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의 전자적 구성 블록도를 간단히 살펴보면, 카메라모듈(12)은 카메라 렌즈를 포함하여 카메라 렌즈에 노출되는 책(의 페이지 또는 책장)을 촬영한다. 카메라모듈(12)은 CCD, CMOS 센서 등을 포함하여 예를 들어, 카메라 렌즈를 통해 아래 방향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책을 촬영한다.
조명(13)은 발광 LED, 발광 램프, 형광등 등을 포함하여 외부로(바람직하게는 아래 방향으로) 빛을 출력한다.
스위치부(14)는 독서대(1)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스위치부(14)는 조명(13)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터치 스위치, 조명(13)이나 독서대(1)를 온/오프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1)로 출력한다.
외부 연결부(15)는 디스플레이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2)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외부 연결부(15)는 USB 인터페이스나 HDMI 단자 등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로 이미지 신호를 출력하거나 사용자 단말기(2)로 촬영된 동영상을 출력한다.
제어부(11)는 독서대(1)를 제어한다. 제어부(11)는 스위치부(14)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조명(13) 및/또는 카메라모듈(12)을 제어하고 외부 연결부(15)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마이컴, CPU, MPU, 프로세서 등을 나타내거나 지칭될 수 있다.
설계 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2)를 생략하여 구성될 수 있는 데 이 경우, 제어부(11)는 도 3의 사용자 단말기(2)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어부(11)는 HDMI 단자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로 이미지 신호를 출력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여 인터넷(4)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광고서버(3)로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도록 더 구성된다.
도 3은 사용자 단말기(2)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블록도는 기능 블록도로서 사용자 단말기(2)에 구비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된다.
도 3에 따르면,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는 사용자 단말기(2)는 독서대(1)에서 촬영된 책 동영상과 광고서버(3)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사용자 단말기(2)는 프로세서, 하드디스크 등의 저장매체, 인터넷(4)에 연결하는 통신 칩셋,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등)와 독서대(1)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USB 단자/HDMI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독서대(1)에서 촬영된 책 동영상과 광고서버(3)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는 카메라 제어부(21), 단말기 제어부(22), 자동 정보수집 모듈(23), 입력기반 정보수집 모듈(24), 인터넷 접속 모듈(25) 및 광고 표시 모듈(26)과 같은 프로그램 모듈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설계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의 기능 블록들은 독서대(1)의 제어부(11)에 구현될 수도 있다.
카메라 제어부(21)는 독서대(1)의 카메라모듈(12)을 제어한다. 카메라 제어부(21)는 사용자 단말기(2)의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제어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독서대(1)의 제어부(11)로 전달하여 제어부(11)를 통해 카메라모듈(12)을 제어할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21)는 예를 들어 오토포커싱 설정, 리셋, 줌 콘트롤 관련 제어 명령을 독서대(1)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제어부(21)는 카메라모듈(12)로부터 동영상의 카메라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단말기 제어부(22)로 출력한다.
단말기 제어부(22)는 책 동영상과 광고의 표시를 위해 다른 기능 블록들을 제어하고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로 출력한다. 단말기 제어부(22)는 책 동영상, 책 동영상과 관련되는 광고의 이미지를 프레임에 배치하여 영상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자동 정보수집 모듈(23)은 자동으로 사용자가 읽고 있는 책(의 페이지)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자동 정보수집 모듈(23)은 설정된 주기(예를 들어, 1분, 5분, 10분, 30분 등)에 따라 주기적으로 동작( 시작)하여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책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인 책 이미지를 구성(캡쳐)한다. 자동 정보수집 모듈(23)은 책 이미지로부터 하나 이상의 단어를 추출하고 책 이미지 또는 추출된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자동 정보수집 모듈(23)은 구성된 이미지 정보를 인터넷 접속 모듈(25)을 통해 광고서버(3)로 전송한다.
입력기반 정보수집 모듈(24)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읽고 있는 책(의 페이지)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입력기반 정보수집 모듈(24)은 사용자의 입력(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 등)에 따라 촬영되는 책 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인 책 이미지를 구성한다. 입력기반 정보수집 모듈(24)은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어, 후속하는 입력)에 따른 드래그 영역의 이미지 또는 드래그 영역의 이미지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입력기반 정보수집 모듈(24)은 구성된 이미지 정보를 인터넷 접속 모듈(25)을 통해 광고서버(3)로 전송한다.
인터넷 접속 모듈(25)은 통신 칩셋 등을 통해 인터넷(4)에 접속하여 광고서버(3)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인터넷 접속 모듈(25)은 인터넷용 접속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성되어 이미지 정보를 광고서버(3)로 전송하고 광고서버(3)로부터 하나 이상의 광고를 수신할 수 있다.
광고 표시 모듈(26)은 인터넷 접속 모듈(25)로부터 하나 이상의 광고를 수신하고 수신된 광고를 재구성한다. 광고 표시 모듈(26)은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또는 HTML 문서의 광고를 영상 프레임의 광고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광고서버(3)의 광고 콘텐츠 검색 관련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광고서버(3)는 인터넷(4)에 연결되기 위한 통신 칩셋(예를 들어, 이더넷이나 무선랜 등에 연결하기 위한 통신 칩셋), 하드디스크,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여 그 하드웨어 구성을 가진다. 광고서버(3)는 다양한 형태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서버(3)는 전용 서버로 구현되거나 클라우드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광고 데이터베이스(31)는 하나 이상의 광고 아이템을 포함하고 광고 아이템은 광고주 ID, 광고콘텐츠 ID, 키워드 리스트를 포함한다. 광고주 ID는 광고주를 특정하기 위한 ID(식별자)이고 광고콘텐츠 ID는 광고서버(3) 내에서 광고콘텐츠(32)를 특정하기 위한 ID이다. 키워드 리스트는 광고콘텐츠(32)에 관련되는 키워드를 하나 이상 포함한다. 키워드 리스트는 광고주에 의해 등록되거나 광고콘텐츠(32)로부터 자동 추출될 수 있다. 키워드 리스트는 해당 광고콘텐츠(32)의 용도, 목적, 사용층 등의 주요한 명사 단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키워드 리스트의 키워드는 소위 광고 키워드일 수 있다.
광고 아이템은 그 외 클릭률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한다. 클릭률은 사용자에게 광고로 출력되는 횟수에서 사용자가 선택한(클릭한) 횟수의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광고서버(3)는 다수의 광고콘텐츠(32)를 저장한다. 각각의 광고콘텐츠(32)는 특정 하나의 광고콘텐츠 ID에 맵핑되고 하드디스크 등에 저장된다. 광고콘텐츠(32)는 예를 들어,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또는 HTML 문서 등이거나 이들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정보 추출 모듈(33)은 사용자 단말기(2) 또는 독서대(1)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정보에서 텍스트를 추출한다. 정보 추출 모듈(33)은 광학문자인식(OCR) 기법에 따라 이미지 정보의 책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단어를 추출하고 그 중 책 이미지의 키워드로 이용할 주요한 명사 단어들을 추출한다. 이미지 정보가 추출된 단어를 포함하는 경우, 정보 추출 모듈(33)은 광학문자인식(OCR) 기법을 이용한 추출 기능이 생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추출은 사용자 단말기(2)에서 수행된다.
연관성 검색 모듈(34)은 광고 데이터베이스(31)의 광고들 각각과 추출된 단어 사이의 연관성을 검색한다. 연관성 검색 모듈(34)은 책 이미지에서 추출된 단어들과 광고 아이템 각각의 키워드 리스트의 키워드들과의 비교로 연관도(예를 들어,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광고선택 모듈(35)은 사용자 단말기(2) 또는 독서대(1)로 전송할 광고를 선택한다. 광고선택 모듈(35)은 연관성 검색 모듈(34)에서 산출된 연관도(예를 들어, 유사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광고를 선택할 수 있다.
광고전송 모듈(36)은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고를 사용자 단말기(2)로 전송한다. 광고전송 모듈(36)은 이미지 정보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인터넷(4)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로 전송할 수 있다.
광고서버(3)는 그 외,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책정보 데이터베이스, 커뮤니티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아이템을 포함한다. 사용자 아이템은 사용자 ID를 포함하고 현재 읽고 있는 책 ID, 현재 읽고 있는 책에서 인식된 최종 페이지 번호 및 사용자가 가입한 커뮤니티 ID를 포함할 수 있다. 책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하나 이상의 책 아이템을 포함하고 각각의 책 아이템은 책 ID와 책 표지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책 표지 이미지를 이용하여 ISBN등 책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 제목, 작가, 출판사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커뮤니티(community) 데이터베이스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티 아이템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읽고 있는 책 관련한 커뮤니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커뮤니티 아이템은 커뮤니티 ID와 커뮤니티에서 공통의 관심사인 책의 책 ID를 포함하고 가입한 사용자들의 사용자 ID 및 해당 사용자의 최종 페이지 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한다. 커뮤니티 아이템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최종 페이지 번호의 평균을 나타내는 평균 페이지 번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커뮤니티 아이템의 커뮤니티 ID를 통해 사용자는 특정 온라인 커뮤니티에 접속하거나 가입할 수 있다.
살펴본 구성을 통해 광고서버(3)는 독서대(1)에서 촬영된 책 동영상의 책 이미지에서 추출되는 하나 이상의 단어와 광고들 각각에 맵핑되어 있는 키워드 리스트 사이의 연관도에 따라 여러 광고들 중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광고를 선택하고 선택된 광고를 사용자 단말기(2)나 독서대(1)로 출력한다. 광고서버(3)는 또한 사용자가 읽고 있는 책의 특정 페이지에 관련되는 광고를 검색하고 사용자가 읽고 있는 책과 관련되는 커뮤니티를 추천할 수 있다.
도 5는 독서대(1)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활용하여 광고를 출력하는 주요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제어 흐름에서, 독서대(1)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은 제어부(11)에 의한 제어로 이루어지고, 사용자 단말기(2)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은 프로그램의 단말기 제어부(22)에 의한 제어로 다른 기능 블록을 제어하여 이루어지고 광고서버(3)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은 광고서버(3)의 각각의 기능 블록에 의해서 이루어지거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관리 프로그램이 각각의 기능 블록이나 다른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의 주요 제어 흐름은 도 1 내지 4에서 살펴본 광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 이미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광고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았으므로 이하에서는 주요 흐름과 살펴보지 않은 내용을 위주로 좀 더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독서대(1)는 카메라모듈(12)의 카메라 렌즈에 노출되는 책을 촬영(S101)한다. 독서대(1)는 스위치부(14)를 통한 제어 입력에 따라 카메라모듈(12)을 온시켜 카메라 렌즈에 노출되는 책을 촬영한다.
독서대(1) 또는 사용자 단말기(2)는 촬영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S103)한다. 독서대(1) 또는 사용자 단말기(2)는 카메라모듈(12)에 의해 촬영된 책 동영상의 일련의 이미지 신호를 디스플레이로 출력할 수 있다. 독서대(1) 또는 사용자 단말기(2)는 프레임 이미지의 책 영역(도 6 및 7의 ① 참조)에 촬영된 동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독서대(1) 또는 사용자 단말기(2)는 커뮤니티 설정 모드인 지를 결정(S105)한다. 예를 들어, 독서대(1) 또는 사용자 단말기(2)는 사용자로부터의 제어 입력에 따라 커뮤니티 설정 모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제어 입력에 따른 커뮤니티 설정 모드에서, 독서대(1) 또는 사용자 단말기(2)는 책 동영상에서 정지 영상인 책 이미지를 구성(캡쳐링)하고 책 이미지를 인터넷(4)을 통해 광고서버(3)로 전송(S107)한다. 책 이미지는 바람직하게는 책의 표지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고 구성된 책 이미지는 커뮤니티 검색 요청에 포함되어 광고서버(3)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독서대(1) 또는 사용자 단말기(2)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촬영된 책 동영상의 책 이미지를 광고서버(3)로 전송한다. 사용자는 로그인 과정을 통해 광고서버(3)에 접속한 상태에서 커뮤니티 검색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광고서버(3)는 책 이미지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검색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책 이미지에서 책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책 정보에 대응하는 커뮤니티를 결정(S109)한다. 광고서버(3)는 수신된 책 이미지(책 표지 이미지)에서 광학문자인식 기법으로 책 제목, 작가, 출판사 등의 책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광고서버(3)는 수신된 책 표지 이미지 및 책 제목과, 공개된 온라인 책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책 표지 이미지 및 책 제목과의 유사도 분석을 수행하여 가장 유사도가 높은 책 아이템의 책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광고서버(3)는 추출된 책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티를 커뮤니티 데이터베이스에서 결정한다. 광고서버(3)는 결정된 책 정보에 대응하는 책 ID를 가지는 커뮤니티 아이템을 검색하고 검색에 따라 결정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티 아이템의 커뮤니티의 정보를 독서대(1) 또는 사용자 단말기(2)로 전송(S111)한다.
결정된 커뮤니티 아이템으로부터 구성되는 커뮤니티 정보는 커뮤니티 ID, 책 ID 및 책 정보를 포함하고 나아가 커뮤니티의 통계 정보를 더 포함한다. 통계 정보는 예를 들어, 가입자 수나 평균 페이지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평균 페이지 번호는 해당 커뮤니티에 가입한 사용자들의 현재 최종 페이지 번호들을 평균화한 페이지 번호이다.
독서대(1) 또는 사용자 단말기(2)는 평균 페이지 번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티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에 표시(S113)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신과 진도가 비슷한 특정 커뮤니티에 가입(S115)할 수 있다. 가입 과정을 통해, 광고서버(3)는 사용자의 ID를 가입한 커뮤니티 ID의 커뮤니티 아이템에 추가하여 업데이트한다.
독서대(1) 또는 사용자 단말기(2)의 사용자는 가입된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책 관련 각종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책에서 필요한 정보나 궁금한 점 등을 자신과 유사한 진도(페이지)를 가지는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가입한 온라인 커뮤니티는 채팅방일 수 있고 채팅방은 일정한 제약을 가지고 다른 사용자와 정보 공유가 가능한 채팅방일 수 있다. 사용자는 독서대(1) 또는 사용자 단말기(2)를 통해 채팅방에 연결되고 채팅방은 일정한 시간 단위로 채팅이 온되고 오프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채팅방은 채팅방에 가입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지정된 제1 기간(예를 들어, 50분 등)에 사용자간 채팅이 오프되고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예를 들어, 10분 등)에 다른 사용자와의 채팅이 온되도록 설정된다.
커뮤니티 설정 모드가 아닌 경우, 광고 시스템은 책 이미지에서 광고 검색을 위해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단어를 추출(S117)한다.
단어 추출 과정을 다양한 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독서대(1) 또는 사용자 단말기(2)(자동 정보수집 모듈(23))는 설정된 주기(예를 들어, 1분, 5분, 10분, 30분 등)에 따른 주기 도래에 따라 자동으로 촬영된 책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인 책 이미지를 구성(캡쳐링)한다. 독서대(1) 또는 사용자 단말기(2)는 책 이미지 또는 책 이미지에서 추출되는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를 광고서버(3)로 전송한다. 책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 광고서버(3)는 책 이미지에서 광학문자인식 기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명사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또한), 독서대(1) 또는 사용자 단말기(2)(입력기반 정보수집 모듈(24))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촬영된 책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인 책 이미지를 먼저 구성한다. 독서대(1) 또는 사용자 단말기(2)는 구성된 책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드래그 영역(도 7의 ④ 참조)의 책 이미지 또는 드래그 영역에서 추출되는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를 광고서버(3)로 전송한다. 드래그 영역의 책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 광고서버(3)는 책 이미지에서 광학문자인식 기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명사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단어 추출을 위해, 광고서버(3)는 OCR(광학문자인식) 기법을 적용하여 책 이미지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에서 해당 책 이미지를 대표하는 주요 명사 단어를 하나 이상 추출할 수 있다. 광고서버(3)는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주요 명사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광고서버(3)는 수신된 책 이미지에서 페이지 번호를 추출한다.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는 광고서버(3)는 책 이미지에서 모서리를 인식하고 모서리 사이의 특정 위치에서 읽고 있는 책의 페이지 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광고서버(3)는 추출된 책의 페이지 번호를 사용자(로그인을 통해 확인되는 사용자)가 가입한 커뮤니티 아이템의 사용자 ID에 매칭되는 최종 페이지 번호로 기록하고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 아이템에 또한 기록한다.
하나 이상의 단어 추출에 후속하여, 광고서버(3)는 책 이미지에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광고를 선택(S119)한다. 광고서버(3)는 추출된 하나 이상의 단어와 복수의 광고 각각에 맵핑되어 있는 키워드 리스트 사이의 연관도에 따라 복수의 광고 중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광고를 선택한다.
광고서버(3)는 (자동 수집에 따라)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복수의 책 이미지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단어들과 복수의 광고 각각에 맵핑되어 있는 키워드 리스트 사이의 연관도에 따라 복수의 광고 중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광고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책 이미지 중 최신의 책 이미지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단어에 연관도(유사도) 계산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광고서버(3)(연관성 검색 모듈(34))는 추출된 하나 이상의 단어와 광고 데이터베이스(31)의 광고 아이템 각각의 키워드 리스트를 비교하고 광고 아이템과 하나 이상의 단어 사이의 유사도(연관도)를 산출한다.
광고서버(3)는 하나 이상의 단어와 키워드 리스트의 키워드들 각각과의 동일 여부(또는 키워드 리스트의 키워드의 시소러스(thesaurus) 사전(유의의 사전)에서의 동일 여부)로 각각의 광고의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유사도는 점수로 산출되거나 확률로 산출될 수 있다. 유사도는 검출된 단어와 광고의 키워드 리스트 사이의 관련성을 나타내고 관련성이 높을 수록(예를 들어, 검출된 단어들이 광고의 키워드 리스트(의 시소러스 사전)에 많이 포함될 수록) 높은 점수를 가진다. 광고서버(3)는 인공지능 기술 또는 설계된 알고리즘에 따라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광고서버(3)는 산출된 각각의 광고들의 유사도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 또는 독서대(1)를 통해 디스플레이로 출력된 하나 이상의 광고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광고서버(3)는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가지는 N(N은 1 이상의 정수) 개의 광고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광고서버(3)는 각 광고에 대해 산출된 유사도와 각 광고의 클릭률에 따라 하나 이상의 광고를 선택한다. 광고서버(3)는 산출된 유사도에 클릭률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장 높은 점수나 확률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광고를 선택할 수 있다.
광고서버(3)는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고를 독서대(1) 또는 사용자 단말기(2)로 전송한다. 사용자의 입력기반으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 경우, 광고서버(3)는 추출된 단어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추출된 단어의 뜻 등)를 더 전송할 수 있다.
독서대(1) 또는 사용자 단말기(2)는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고를 수신하고 광고를 촬영된 책 동영상과 함께 표시(S121)한다. 선택된 광고는 책 동영상이 표시되는 책 영역 옆의 광고영역에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또는 HTML 문서등이나 이들이 복합된 것으로 표시되고 사용자가 광고를 선택(클릭)할 수 있다.
도 6은 자동 수집 과정에서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프레임 이미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인데, 광고서버(3)는 주기적으로 책 영역(① 참조)의 이미지를 수신하고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주요 단어(ⓐ 및 ⓑ)를 추출하고 추출된 명사 단어와 광고의 키워드 리스트의 비교로 연관된 하나 이상의 광고를 생성하여 독서대(1) 또는 사용자 단말기(2)로 전송한다. 독서대(1) 또는 사용자 단말기(2)는 책 영역 옆의 광고영역(② 참조)에 하나 이상의 광고를 표시한다.
도 7은 사용자 입력기반 수집 과정에서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프레임 이미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인데, 광고서버(3)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책 영역(① 참조)의 드래그 이미지(④ 참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주요 단어(ⓒ)를 추출한다. 광고서버(3)는 추출된 명사 단어와 광고의 키워드 리스트의 비교로 연관된 하나 이상의 광고를 생성하여 독서대(1) 또는 사용자 단말기(2)로 전송한다. 독서대(1) 또는 사용자 단말기(2)는 책 영역 옆의 광고영역(② 참조)에 하나 이상의 광고를 표시한다. 또한, 광고서버(3)는 추출된 단어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추출된 단어의 뜻 등)를 더 전송하고 독서대(1) 또는 사용자 단말기(2)는 정보영역(③ 참조)에 표시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광고는 일정한 기간 동안에만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서대(1) 또는 사용자 단말기(2)는 채팅이 허용된 제2 기간(예를 들어, 10분 등)에 광고를 출력하고 제2 기간 전 제1 기간(예를 들어, 50분 등)에 광고를 출력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고는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미 선택시 광고는 이미지의 형태로 광고영역에 표시되고 사용자의 선택시(클릭시)에는 광고가 재생되어 동영상으로 표시되거나 링크로 연결되거나 광고의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이하,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상기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제 1 실시예의 독서대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는 책장누름모듈(100), 지지받침(210), 포스트(220) 및 붐헤드(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받침(210)은 바닥면으로부터 떠있거나 입설되어 있는 독서대의 타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레이이트 형상을 가진다. 포스트(220)는 지지받침(210)의 후방측에서 지지받침(210)과 그 하단이 결합된 후 수직으로 입설되어 상방으로 연장된다. 붐헤드(230)는 포스트(220)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됨으로써 책과 거리를 두고 책의 상방에 위치한다. 붐헤드(230)의 내부에는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LED 조명(도면부호 없음)과 책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도면부호 없으며, 도 2의 카메라 모듈로 이용됨)을 구비하며, 붐헤드(230)의 하면을 통하여 LED 조명이 조사되고, 카메라 모듈의 수광면이 노출된다.
책장누름모듈(100)은 펼쳐진 책의 책장을 누르기 위한 것으로서, 여기서 '책장을 누른다'는 것은 펼쳐진 책장이 다시 닫히거나 펼쳐진 페이지이외의 다른 페이지로 넘어가버리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책장누름모듈(100)은 래치부(110: 111, 112, 113, 114), 연장로드(120), 누름부재(130), 언록킹부(140: 141, 142, 143), 프레임부(160: 161, 162), 범위제한부(150: 151, 152) 및 프레임 고정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책장누름모듈(100)은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서 포스트(220)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된 후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부(160)는 대략 'ㄷ'자 모양을 하고 있는 프레임(161)과, 프레임(161)의 양쪽 날개부분에서 날개부분의 내측면에 복수의 볼트를 이용하여 각각 결합하고 있으며 두께를 가진 플레이트(162)로 구성된다. 프레임부(160)는 포스트(220)에 기타 구성요소들 결합시키기 위한 골격을 제공하며, 프레임부(160)의 양쪽 플레이트(162)는 래치부의 회동축(111)의 양단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며, 또한, 래치 스토퍼(113)의 스토퍼 회동축(113d)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프레임부(160)는 프레임고정부(170)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 고정부(170)는 노브(171), 연결부(172) 및 압착고정 푸셔(1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부(172)는 프레임부(160)에서 'ㄷ'모양인 프레임(161)의 허리부분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고 암나사가 형성된 프레임의 나사공을 관통하되 이러한 나사공에 나사결합한다. 노브(171)는 프레임(16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부(172)의 일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압착고정 푸셔(173)는 프레임(161)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부(172)의 타단에 결합되고 포스트(220)의 일측벽(후방 측벽)에 압접하여 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포스트(220)의 일측벽에는 압착고정 푸셔(173)가 접하며, 포스트(220)의 반대쪽 측벽은 플레이트(162)의 측면에 접한다. 사용자가 노브(171)을 억지 회전시킴으로써 압착고정 푸셔(173)와 플레이트(162)의 측면 사이에 포스트(220)를 압착함으로써 원하는 높이에서 포스트(220)에 책장누름모듈(100)을 고정한다.
프레임부(160), 포스트(220) 및 래치부(110)는 책의 외측, 구체적으로 책을 기준으로 할때 책의 위쪽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연장로드(120)는 책의 외측에 있는 래치부(110)와 일단이 결합하고 이로부터 책의 위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구성을 가지는데, 바람직하기로는 사용자가 독서대에 책을 정상적 사용상태로 정렬시킨 경우, 펼쳐진 책에서 골부분을 따라 연장로드(120)가 연장될 수 있도록 한다.
연장로드(120)는 단면적에 비하여 긴 길이를 가진 단일 또는 복수의 봉, 바 또는 프레임등으로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로드(120)는 2개의 봉 또는 바로 구성되는 것이 선호되며, 어떤 실시 형태이든지 상관없이 연장로드(120)로 인해서 펼펴진 책의 내용부분이 가려지지 않을 정도의 폭을 가지는 것이 선호된다.
누름부재(130)는 연장로드(120)의 타단이나, 중앙에서 래치부(100)가 결합되는 쪽의 반대쪽에서 연장로드(120)에 결합되어 있으며, 펼쳐진 책의 상방을 누르는 부분이다. 누름부재(130)는 슬라이더(132)와 누름바(13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슬라이더(132)는 범위제한부(150:151,152)에 의해서 제안된 범위내에서 연장로드(12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것으로서, 연장로드(120)가 관통되는 한쌍의 관통공을 구비하며, 연장로드(120)와 슬라이드(132) 사이에 약간의 마찰력을 부여하여 사용자에 의해서 슬라이딩 가능하되 중력등에 의해서 자연적으로는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연장로드(120)의 외경과 관통공의 내경이 설계된다.
누름바(131)는 슬라이더(132)와 일체로 결합하고 연장로드(120)를 중심으로 책의 좌우로 연장하며, 하면이 펼쳐진 양쪽 페이지에 접촉하여 누르기 위한 것이다. 누름바(131)는 연장로드(120)로부터 양팔을 벌린 것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으며, 벌린 양팔로 펼쳐진 양쪽 페이지를 동시에 눌러서 펼쳐진 페이지가 닫히거나 다른 페이지로 넘어가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누름바(131)가 상방으로 회동해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기능과, 록킹을 간편하게 해제하는 언록킹 기능 등의 수행을 위한 구성이 구비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범위제한부(150: 151, 152)는 누름부재(130)의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리미터(151) 및 제 2 리미터(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리미터(151)는 연장로드(120)의 끝단을 마감하면서 연장로드(120)와 일체로 결합하여 고정되며, 제 2 리미터(152)는 누름부재(130)의 슬라이딩 범위에 대응하여 제 1 리미터(152)와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연장로드(120)가 관통되되 연장로드(120)와 일체로 결합하여 고정된다.
연장로드(120)와 이에 결합된 누름부재(130)는 래치부(110)에 있는 회동축(111)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가능하되, 래치부(110)에 의해서 회동이 록킹되거나 언록킹될 수 있다.
래치부(110: 111~114)는 결합된 연장로드(120)의 일단을 지지하고 회동의 중심을 제공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누름부재(130)의 상방 회동, 즉 누름부재(130)이 들어 올려지는 회동을 제한하거나 언록킹부(140)를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받아 제한을 풀수 있도록 한다.
래치부(110)는 회동축(111), 래치기어(112), 래치스토퍼(113) 및 래치바디(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래치바디(114)는 그 하측에 연장로드(120)가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는 2개의 결합공이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그 상부의 양측에는 2개의 측벽이 연장하여 형성되는데, 상기 2개의 측벽 사이에는 언록킹부(140)의 언록킹액터(141c)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래치기어(112)는 두께가 있는 대락 원반모양을 하고 있으며, 2개의 래치기어(112)는 래치바디(114)의 양쪽 측면에서 각각 래치바디(114)와 일체로 결합하고 있다. 각각의 래치기어(112)에서는 그 원주를 따라 일련의 톱니들(112a)을 가진다. 각 톱니(112a)는 원반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삼각형 모양이되 삼각형의 일측 빗변의 경사가 동일 삼각형의 타측 빗변의 경사보다 급한(큰) 톱니 모양이다(도 12 및 도 13 참조). 록킹상태에서 누름부재(130)가 상방 회동하려 할때,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톱니(112a)의 급한 경사를 가진 빗변은 래치 스토퍼(113)의 래치 웨지(113b)와 만나서 더 이상 회동할 수 없도록 한다.
톱니(112a)는 원주의 360도 전체 범위에 형성되지는 않고 일정 각도 범위(A; 도 13(a) 참조)에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연장로드 및 가압부재가 누르는 상태를 록킹할 수 있는 범위(예를 들면 연장로드가 수평으로부터 - 30도 ~ + 10도인 범위)에 대응하여 래치기어에 톱니를 형성하고 기타의 범위에 대응해서는 래치기어에 톱니를 형성하지 않는다.
도시된 것과 같이 톱니가 형성되지 않은 곳에서 회전중심으로부터 원주면까지의 거리는, 회전중심으로부터 톱니의 첨단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하는 것이 선호된다.
각 래치기어(112)의 중심에는 회동축(111)이 각각 일체로 입설되며, 각 회동축(110)은 프레임(160)의 양쪽 플레이트(162)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도면번호 없음)에 삽입됨으로써 프레임(160)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동가능하게 된다.
래치스토퍼(113)는 래치기어(112)의 톱니등를 이용하여 일방향 회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련의 톱니들(112a)중 하나 이상에 치합할 수 있는 부분을 가지며, 래치기어(112)의 옆에 위치한다. 래치스토퍼(113)는 스토퍼바디(113a), 스토퍼 웨지(113b), 스토퍼 롤러(113c), 스토퍼 회동축(113d) 및 제 1 스프링 고정부(113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래치스토퍼(113)의 스토퍼 바디(113a)는 대략 'ㄱ'자 모양을 하고 있는데, 'ㄱ'자 모양의 일단에는 스토퍼 회동축(113d)이 입설되어 있고 'ㄱ'자 모양의 타단에는 스토퍼 웨지(113b)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회동축(113d)의 각각은 스토퍼 바디(113a)의 일단에서 그 측면에 결합하고 있으며 프레임(160)의 플레이트(162)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스토퍼 바디(113a)는 스토퍼 회동축(113d)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스토퍼 웨지(113b)는 스토퍼 바디(113a)의 타단에서 스토퍼 바디(113a)로부터 연장되고 일련의 톱니들(112a) 사이에 안착되도록 첨부가 톱니들 사이를 향하는 쐐기 모양이되, 대략 삼각형 모양이 두께 반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하고 있다.
스토퍼 롤러(113c)는 스토퍼 바디(113a)에 결합되는데, 구체적으로 2개의 스토퍼 바디(113a) 사이를 연결하면서 2개의 스토퍼 바디(113a)와 결합하며, 언록킹부(140)의 일단, 즉 언록킹 액터(141c)에 접촉될 수 있는 부분이다. 스토퍼 롤러(113c)는 구름동작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개의 스토퍼 바디(113a)와 그 양단이 결합하는 축봉과, 상기 축봉이 내삽되고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원통형 롤러로 구성되어도 좋다.
인장 스프링(113f)의 일단은 스토퍼 바디(113a)에 고정되어 스토퍼 웨지(113b)가 톱니들(112a) 사이로 안착되게끔 래치 스토퍼(113)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제공한다. 인장 스프링(113f)의 일단은 스토퍼 바디(113a)의 제 1 스프링 고정부(113e)에 결합하고 타단은 프레임(160)의 제 2 스프링 고정부(163)에 결합한다.
또한, 책장누름모듈(100)은 언록킹부(140)를 구비하는데, 언록킹부(140)는 연장로드(120)를 따라 연장되되, 누름부재(130)와 래치부(110) 사이의 일지점을 중심으로 양쪽이 시소처럼 거동한다. 언록킹부(140)의 타단을 누르는 경우 언록킹부(140)의 일단(언록킹 액터(141c))이 래치기어(112)에 치합된 래치스토퍼(113)를 들어서(상방으로 회전시켜서) 연장로드(120) 및 누름부재(130)의 상방 회동이 가능하게 되도록 언록킹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언록킹부(140)는 언록킹 시소(114: 114a, 114b, 114c), 시소 축(143), 시소 결합구(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언록킹 시소(114: 114a, 114b, 114c)는 연장로드(120)를 따라 길게 연장되는 언록킹 로드(141a)와, 상기 언록킹 로드(141a)의 타단에서 한 몸으로 결합하고 있는 언록킹 리셉터클(141b)과, 상기 언록킹 로드(141a)의 일단에서 한 몸으로 결합하고 있는 언록킹 액터(14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언록킹 리셉터클(141b)은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접촉되어 눌려지기 위한 것으로서 눌려지지 전의 상태에서는 2개의 연장로드(120)보다 위쪽으로 올라와 있어서 사용자가 누르기 쉽도록 한다. 언록킹 액터(141c)는 언록킹 리셉터클(141b)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언록킹 액터(141c)와 언록킹 리셉터클(141b)은 대략 실제 시소에서의 양쪽 좌석과 같은 것이 된다.
언록킹 액터(141c)는 스토퍼 롤러(113c)의 하부에 위치하되, 언록킹 리셉터클(141b)이 눌려지지 전의 상태에서는 언록킹 액터(141c)가 스토퍼 롤러(113c)와 간격을 두거나 접촉하지 않도록 하며, 언록킹 리셉터클(141b)이 눌려지면 스토퍼 롤러(113c)에 접촉하여 래치 스토퍼(113)을 회동시킨다. 언록킹 액터(141c)는 두께를 가진 원반의 일부, 또는 상부측에 곡률을 가진 플레이트와 같은 모양을 하고 있어서, 언록킹을 위해 스토퍼 롤러(113c)를 밀어 올리는 과정을 보다 부드럽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독서대에서 책장누름모듈(100)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본다.
책장누름모듈(100)의 연장로드(120), 누름부재(130) 및 언록킹부(140)('회동 부분'이라 한다) 등이 포스트(220)쪽에 근접하도록 세워져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독서대의 지지받침(210)에 책을 올려 놓고 원하는 페이지를 펼친 후, 회동축(111)를 중심으로 회동부분을 회동시켜서 펼쳐진 책의 상부를 누르도록 한다. 이때 팔을 펼친 것과 같은 모양을 하여 페이지의 양쪽으로 연장하는 누름부재(130)가 페이지의 양쪽을 살짝 가압하도록 누르는 것이 선호된다.
사용자가 책과 가까워지는 방향(이하 '근접 방향'이라고도 한다)으로 회동시킬 때에는 래치 스토퍼(113)의 스토퍼 웨지(113b)가 래치 기어(112)의 톱니(112a)를 만나더라도 래치 기어(112)의 톱니(112a)를 타고 넘으면서 원할하게 회동된다. 그리고, 래치 기어(112)의 톱니들(112a) 사이에 스토퍼 웨지(113b)가 치합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누름부재(130)에서 손을 완전히 떼더라도 펼쳐진 책의 자체적인 힘에 의해서 누름부재(130)가 들려서 근접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버리지는 않게 된다. 래치스토퍼(113)가 일련의 톱니들(113a) 중 하나 이상에 치합하는 경우 연장로드(120) 및 누름부재(130)의 상방 회동을 록킹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책이나 책장누름모듈(100)에서 완전히 손을 떼더라도 책의 펼쳐진 상태와 펼쳐진 페이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래치스토퍼에 2이상의 스토퍼 웨지(113b)를 동일 원주상에 구성하고 이러한 2이상의 스토퍼 웨지(113b)가 동시에 2이상의 톱니들(113a)에 치합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누름바(131)로 인해서 펼쳐진 책내용의 일부분이 가려질 수 있는데, 가려진 부분을 카메라로 촬영하고자 할 때에는 범위제한수단(150)이 제한 하고 있는 이동범위내에서 누름부재(130)를 살짝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가려진 부분을 변경함으로써, 모든 부분을 순차적으로 읽을 수 있다.
한편, 페이지를 넘겨서 다른 페이지를 읽고자 할 때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예를 들면 검지 손가락)으로 언록킹부(140)의 언록킹 리셉터클(141b)을 하방으로 누르면, 시소 중심축(143)을 중심으로 언록킹 리셉터클(141b)의 반대쪽에 있는 언록킹 액터(141c)가 상방으로 올라가게 된다(도 13(b) 참조). 이에 따라 언록킹 액터(141c)는 래치 스토퍼(113)의 스토퍼 롤러(113c)를 위로 들어 올리게 되고 스토퍼 웨지(113b)도 들게 된다. 보다 상세히 보면, 스토퍼 롤러(113c)를 위로 들어 올리게 되면 스토퍼 회동축(113d)를 중심으로 근접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래치 스토퍼(113)를 회동시키고 이에 따라 스토퍼 웨지(113b)도 회동하여 톱니들 사이에서 빠져 나오게 된다.
스토퍼 웨지(113b)가 톱니들 사이에서 빠져 나온 후, 사용자는 근접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부분을 자유롭게 회동시킬 수 있다. 책의 페이지를 넘기는데 방해되지 않을 정도로, 회동부분을 회동시킨 다음 페이지를 넘기며, 그 이후 회동부분을 근접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살짝 가압하여 책장을 누른다.
한편, 일련의 톱니들(112a)은 원주의 360도 각도범위 중 그 일부인 각도범위(A) 내에서만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서, 연장로드(120) 및 누름부재(130)가 일정 각도를 넘어서 상방 회동하면 언록킹부(140)의 일단을 누르지 않더라도 연장로드(120) 및 상기 누름부재(130)의 회동이 록킹되지 않도록 한다. 도시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도 13(b)의 상태에서 약간만 더 상방으로 회동시키면 스토퍼 웨지(113b)는 톱니들의 어레이 중에서 마지막 톱니를 지나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언록킹 리셉터클(141b)를 더이상 누르지 않더라도 이후의 상방 회전이 자유롭게 가능하게 된다. 톱니들이 원주의 360도 각도범위 중 그 일부인 각도범위(A) 내에서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정하여 톱니들이 원주의 360도 각도범위 전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페이지를 넘길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동부분을 포스트 근처까지 회동시키는 과정의 전체에서 사용자가 언록킹 리셉터클(141b)을 지속적으로 누르고 있어야 하는 불편이 있는 문제가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를 도시한 것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의 더블 카메라부(300)를 도시한 것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에서 더블 카메라부(300)의 제 1 카메라 모듈(350a)이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에서 책장누름모듈(100) 등의 구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더블 카메라부(300)는 책과 이격하여 책의 상방에 위치하는 데 예를 들면, 붐헤드(230)의 좌우로 붐헤드(230)를 가로지르도록 결합된다. 더블 카메라부(300)는, 좌우 양측으로 대칭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양단에는 제 1 카메라 모듈(350a) 및 제 2 카메라 모듈(350b)이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 모듈(350a)은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한 것이고, 제 2 카메라 모듈(350b)은 펼쳐진 책을 촬영하기 위한 것이다(도 2의 카메라 모듈로 이용됨). 따라서 원격학습이나 원격미팅 등에서 상대방이 사용자의 모습(얼굴)과 사용자의 책(자료)를 동시에 볼 수 있도록 2개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또는 2개의 카메라 모듈의 전부는 촬영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더블 카메라부(300)는, 붐헤드(230)와의 결합을 위한 'ㄷ'자 모양의 결합구(S)와 결합구(S)의 양측으로 연장하는 연장날개(W1,W2)를 가진 결합 프레임(310)과, 전후방으로 연장하는 제 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A1의 방향으로 상기 연장날개(W1,W2)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날개결합구(320a,320b)와, 상기 날개결합구(320a,320b)와 한 몸으로 결합하고 있는 제 1 축결합구(330a, 330b)와, 제 1 회전축(C1)과는 수직인 제 2 회전축(C2)을 중심으로 A2의 방향으로 상기 제 1 축결합구(330a, 330b)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는 제 2 축결합구(340a, 340b)와, 상기 제 2 축결합구(340a, 340b)와 한 몸으로 결합하고 있는 제 3 축결합구(360a, 360b)와, 제 1 회전축(C1) 및 제 2 회전축(C2)의 모두와 수직인 제 3 회전축(C3)을 중심으로 A3의 방향으로 상기 제 3 축결합구(360a, 360b)와 회동가능하게 각각 결합하고 있는 제 1 카메라 모듈(350a) 및 제 2 카메라 모듈(350b)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축결합구(330a)와 제 2 축결합구(340a) 사이의 상대적 회동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상체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각도로 제 1 카메라 모듈을 셋팅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 독서대 2 : 사용자 단말기
3 : 광고서버 4 : 인터넷
11 : 제어부 12 : 카메라모듈
13 : 조명 14 : 스위치부
15 : 외부 연결부
21 : 카메라 제어부 22 : 단말기 제어부
23 : 자동 정보수집 모듈 24 : 입력기반 정보수집 모듈
25 : 인터넷 접속 모듈 26 : 광고 표시 모듈
31 : 광고 데이터베이스 32 : 광고콘텐츠
33 : 정보 추출 모듈 34 : 연관성 검색 모듈
35 : 광고선택 모듈 36 : 광고전송 모듈
100 : 책장누름모듈 110 : 래치부
111 : 회동축 112 : 래치기어
113 : 래치 스토퍼 114 : 래치바디
120 : 연장로드 130 : 누름부재
131 : 누름바 132 : 슬라이더
140 : 언록킹부 141 : 언록킹 시소
142 : 시소 결합구 143 : 시소 중심축
150 : 범위제한부 151 : 제 1 리미터
152 : 제 2 리미터 160 : 프레임부
161 : 프레임 162 : 프레임 플레이트
170 : 프레임 고정부 171 : 노브
172 : 연결부 173 : 압착고정 푸셔
210 : 지지받침 220 : 포스트
230 : 헤드 300 : 더블 카메라부
310 : 결합 프레임(310) 320a, 320b : 날개결합구
330a, 330b : 제 1 축결합구 340a, 340b : 제 2 축결합구
350a, 350b : 카메마 모듈 360a, 360b : 제 3 축결합구

Claims (14)

  1. 독서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광고 방법으로서, 광고 시스템이 수행하는 상기 광고 방법은,
    독서대의 카메라 렌즈에 노출되는 책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책 동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촬영된 책 동영상의 책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하나 이상의 단어와 복수의 광고 각각에 맵핑되어 있는 키워드 리스트 사이의 연관도에 따라 복수의 광고 중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광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하나 이상의 광고를 상기 촬영된 책 동영상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책 동영상의 책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는, (a) 설정된 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촬영된 책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인 상기 책 이미지를 구성하고 구성된 책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고는 상기 책 동영상이 표시되는 책 영역 옆의 광고영역에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또는 HTML 문서로 표시되는,
    광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책 동영상의 책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는, (b)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촬영된 책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인 상기 책 이미지를 구성하고 구성된 책 이미지의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드래그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고는 상기 책 동영상이 표시되는 책 영역 옆의 광고영역에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또는 HTML 문서로 표시되는,
    광고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사용자 단말기가 설정된 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촬영된 책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인 상기 책 이미지를 구성하고 구성된 책 이미지를 광고서버로 전송하고 광고서버가 수신된 책 이미지에서 광학문자인식 기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명사 단어를 추출하는,
    광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광고를 선택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책 이미지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단어와 복수의 광고 각각에 맵핑되어 있는 키워드 리스트 사이의 비교에 따라 산출되는 유사도에 따라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광고를 선택하는,
    광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광고를 선택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책 이미지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단어와 복수의 광고 각각에 맵핑되어 있는 키워드 리스트 사이의 비교에 따라 산출되는 유사도와 복수의 광고 각각의 클릭률에 따라 하나 이상의 광고를 선택하는,
    광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책 동영상의 책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촬영된 책 동영상의 책 이미지를 광고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광고서버가 상기 책 이미지로부터 책 정보와 상기 책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광고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결정된 하나 이상의 커뮤니티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커뮤니티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책 동영상의 책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책 이미지에서 페이지 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최종 페이지 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가입한 커뮤니티에 기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커뮤니티의 정보는 상기 커뮤니티에 가입한 사용자들의 최종 페이지 번호의 평균 페이지 번호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광고 방법.
  9. 독서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광고 시스템으로서,
    카메라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모듈의 카메라 렌즈에 노출되는 책을 촬영하는 독서대; 및
    상기 독서대에서 촬영된 책 동영상의 책 이미지에서 추출되는 하나 이상의 단어와 복수의 광고 각각에 맵핑되어 있는 키워드 리스트 사이의 연관도에 따라 복수의 광고 중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광고를 선택하는 광고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고는 상기 촬영된 책 동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광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촬영된 책 동영상과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촬영된 책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인 상기 책 이미지를 구성하고,
    상기 광고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책 이미지에서 광학문자인식 기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명사 단어를 추출하는,
    광고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서버는 하나 이상의 책 이미지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단어와 복수의 광고 각각에 맵핑되어 있는 키워드 리스트 사이의 비교에 따라 산출되는 유사도에 따라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광고를 선택하는,
    광고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촬영된 책 동영상의 책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책 이미지로부터 책 정보와 상기 책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티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결정된 하나 이상의 커뮤니티의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커뮤니티의 정보를 표시하는,
    광고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책 이미지에서 페이지 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최종 페이지 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가입한 커뮤니티에 기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커뮤니티의 정보는 상기 커뮤니티에 가입한 사용자들의 최종 페이지 번호의 평균 페이지 번호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광고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서대는,
    책의 외측에 위치하는 래치부(110);
    일단이 상기 래치부(110)와 결합한 후 책위로 연장되는 연장로드(120); 및
    상기 연장로드(120)에 결합되어 펼쳐진 책의 상방을 누르는 누름부재(130);를 구비하는 책장누름모듈(100);을 포함하는 구성되며,
    상기 연장로드(120) 및 상기 누름부재(130)는 상기 래치부(110)에 있는 회동축(111)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가능하되, 상기 래치부(110)에 의해서 회동이 록킹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시스템.
KR1020210173583A 2021-12-07 2021-12-07 독서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 KR2023008542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583A KR20230085427A (ko) 2021-12-07 2021-12-07 독서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
PCT/KR2022/018106 WO2023106674A1 (ko) 2021-12-07 2022-11-16 독서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583A KR20230085427A (ko) 2021-12-07 2021-12-07 독서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427A true KR20230085427A (ko) 2023-06-14

Family

ID=86730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583A KR20230085427A (ko) 2021-12-07 2021-12-07 독서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85427A (ko)
WO (1) WO202310667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9439A (ko) * 2008-03-17 2009-09-22 강민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메타 정보 기반 키워드광고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JP2009253712A (ja) * 2008-04-08 2009-10-29 Panasonic Corp 拡大読書器システム
KR101116261B1 (ko) * 2009-08-20 2012-03-15 배진우 영상 해석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31595A (ko) * 2010-02-22 2010-03-23 김명열 독자간 의사소통이 가능한 전자책과 그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696558B1 (ko) * 2015-12-02 2017-01-13 에스케이 주식회사 증강현실형 hmd를 활용한 독서/학습 보조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6674A1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ltonen et al. Extending large-scale event participation with user-created mobile media on a public display
Bakhshi et al. Faces engage us: Photos with faces attract more likes and comments on instagram
Liu et al. Let your photos talk: Generating narrative paragraph for photo stream via bidirectional attention recurrent neural networks
Le et al. Impact of video summary viewing on episodic memory recall: Design guidelines for video summarizations
Constantin et al. Computational understanding of visual interestingness beyond semantics: literature survey and analysis of covariates
US201901740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ly Recording a Visual Media
Martin Inhabiting the image: Photography, therapy and re-enactment phototherapy
Fawns Cued recall: Using photo-elicitation to examine the distributed processes of remembering with photographs
Agarwal et al. Egoshots, an ego-vision life-logging dataset and semantic fidelity metric to evaluate diversity in image captioning models
Gilligan et al. Migration and divisions: Thoughts on (anti-) narrativity in visual representations of mobile people
KR20230085427A (ko) 독서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
Widholm et al. Celebrating with the celebrities: television in public space during two royal weddings
Sera–Shriar Anthropometric portraiture and Victorian anthropology: Situating Francis Galton’s photographic work in the late 1870s
Kalessopoulou Capturing the untold: Photography as a tool for empowering children to interpret their embodied experiences in museums
JP6958795B1 (ja) 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Lin et al. ViewBricks: a participatory system to increase social connectedness for the elderly in care homes
Whitaker et al. Surrender, catch, and the imp of fieldwork
Davis et al. Researchers as proxies for informal carers: Photo sharing with older adults to mediate wellbeing
Subramaniam et al. Digital technology and qualitative research
Qian Textual and Visual Narratives of Travel Experiences on Instagram in a Social Performance Context
Chiu Documentary power: Women documentary filmmakers and new subjectivities in contemporary Taiwan
Butler Principles for Cultivating Rhetorics and Research Studies within Communities
Dalziell et al. Google comes to Life: Researching digital photographic archives
Goodwin Slower Sociologies for the Sociology of the Future
Longstaff ‘Self, Self, Self’: Masculine Modes of Sexual Self-Representation and the Disruptive Politics of Jouissance on OnlyFans. c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