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4716A -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적자원개발 역량진단평가 시스템 - Google Patents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적자원개발 역량진단평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4716A
KR20230084716A KR1020210172714A KR20210172714A KR20230084716A KR 20230084716 A KR20230084716 A KR 20230084716A KR 1020210172714 A KR1020210172714 A KR 1020210172714A KR 20210172714 A KR20210172714 A KR 20210172714A KR 20230084716 A KR20230084716 A KR 20230084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etency
diagnosis
information
terminal
diagno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잇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잇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잇컴퍼니
Priority to KR1020210172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4716A/ko
Publication of KR20230084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471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적자원개발 역량진단평가 시스템으로써, 사용자단말기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피진단자에 대한 역량진단을 수행하고, 그 진단결과를 제공하는 메인서버, 성명, 부서, 직무, 계층, 직급 및 로그인정보를 포함하는 역량진단 대상집단 구성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구성원정보 DB, 역량군 및 각 역량군에 포함된 각각의 역량별로 분류된 문항이 저장되고, 역량군 및 역량은 부서, 직무, 계층 및 직급에 따라 설정되는 역량평가문항 DB 및 진단결과분석부에 의해 산출된 진단결과를 저장하는 역량진단결과 DB를 포함하고, 메인서버는 진단자단말기로부터 로그인정보가 전송되면 구성원정보 DB를 참조하여 로그인인증을 수행하는 로그인인증부, 로그인인증부에 의해 로그인인증된 진단자의 정보를 구성원정보 DB에서 추출하고, 진단자의 부서, 직무, 계층 및 직급에 해당되는 문항을 역량평가문항 DB로부터 진단자단말기로 제공하여 진단자 본인에 대한 역량진단을 수행하는 진단수행부 및 진단수행부에 의해 제공된 문항에 대한 응답신호를 진단자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그 문항이 해당하는 역량별 및 역량군별 진단결과를 산출하고, 산출된 진단결과를 역량진단결과 DB에 저장하는 진단결과분석부를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적자원개발 역량진단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단자 본인뿐만 아니라 진단자의 상사, 동료, 부하에 대한 역량진단을 동시에 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진단자 본인, 상사, 동료, 부하에 대한 진단을 객관적으로 행할 수 있는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진단 평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적자원개발 역량진단평가 시스템{Human Resource Development Capability Diagnosis Evaluation System Using Big Data}
본 발명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적자원개발 역량진단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단자 본 인에 국한되지 않고 진단자의 상사, 동료, 부하에 관한 역량진단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객관적이고 손쉬운 역량진단을 행할 수 있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적자원개발 역량진단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진단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직에서 효과적인 업무를 수행하고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정 규모 이상의 회사들은 자신의 회사에 가 장 적합한 역량모델링을 설정하는데, 기존의 역량진단 시스템은 역량진단 시스템 사용업체의 각 직무별로 필요 로 하는 역량을 산출하여 각 역량별 정의, 주요지표, 요구수준, 문항 등을 제시해 주면 그 업체의 직원으로 하 여금 자신의 역량을 진단하기 위해 주어진 문항에 응답하게 한다.
그리고 문항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여 그 직원의 역량진단결과를 산출하는 것이다.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시스템은 진단자 본인의 역량진단만을 하는데 그치고 있어, 진단자 본인의 상사, 동료, 부하 등의 타인을 진단하는데 불편함이 있어 왔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단자 본인뿐만 아니라 진단자의 상사, 동료, 부하에 대한 역량진단을 동시에 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진단자 본인, 상사, 동료, 부하에 대한 진단을 객관적으로 행 할 수 있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적자원개발 역량진단평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스템관리자에 의해서 역량진단 평가 시스템을 사용하는 회사의 직무 및 계층 등 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적자원개발 역량진단평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와 네트워크 연결되 어 피진단자에 대한 역량진단을 수행하고, 그 진단결과를 제공하는 메인서버, 성명, 부서, 직무, 계층, 직급 및 로그인정보를 포함하는 역량진단 대상집단 구성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구성원정보 DB, 역량군 및 각 역량군 에 포함된 각각의 역량별로 분류된 문항이 저장되고, 역량군 및 역량은 부서, 직무, 계층 및 직급에 따라 설정 되는 역량평가문항 DB 및 진단결과분석부에 의해 산출된 진단결과를 저장하는 역량진단결과 DB를 포함하고, 상 기 메인서버는 진단자단말기로부터 로그인정보가 전송되면 구성원정보 DB를 참조하여 로그인인증을 수행하는 로 그인인증부, 로그인인증부에 의해 로그인인증된 진단자의 정보를 구성원정보 DB에서 추출하고, 진단자의 부서, 직무, 계층 및 직급에 해당되는 문항을 역량평가문항 DB로부터 진단자단말기로 제공하여 진단자 본인에 대한 역 량진단을 수행하는 진단수행부 및 진단수행부에 의해 제공된 문항에 대한 응답신호를 진단자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아 그 문항이 해당하는 역량별 및 역량군별 진단결과를 산출하고, 산출된 진단결과를 역량진단결과 DB에 저장 하는 진단결과분석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단수행부는 진단자 본인의 상사, 동료 또는 부하 중 상기 진단자단말기로 제공되는 각 문항으로 진단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진단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피진단자를 진단자단말기에 표시하고, 상기 피진단자에 대한 역량진단을 진단자 본인에 대한 역량진단과 함께 수행하고, 상기 진단결과분석부는 상기 진단 수행부에 의해 제공된 문항에 대한 응답신호를 진단자 본인 및 상기 피진단자에 대해 각각 전송받고, 각각의 진 단자 본인 및 상기 피진단자별로 진단결과를 산출하여, 산출된 진단결과를 역량진단결과 DB에 저장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원정보 DB는 시스템관리자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로그인인증부는 관리자단말기로부터 로그인 정보가 전송되면 구성원정보 DB를 참조하여 시스템관리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진 단 평가 시스템은 로그인인증부에 의해 시스템관리자 인증된 관리자단말기로부터 구성원정보 수정요청신호가 전 송되면, 상기 구성원정보 수정요청신호에 따라 구성원정보 DB에 저장된 정보를 수정하는 정보수정부를 더 포함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로그인인증부가, 진단자단말기로부터 로그인정보가 전송되면 구성원정보 DB를 참조하여 로그인 인증을 수행하는 로그인인증 단계, 진단수행부가, 상기 로그인인증 단계에서 로그인인증된 진단자의 정보를 구 성원정보 DB에서 추출하고, 진단자의 부서, 직무, 계층 및 직급에 해당되는 문항을 역량평가문항 DB로부터 진단 자단말기로 제공하여 진단자 본인에 대한 역량진단을 수행하는 역량진단수행 단계 및 진단결과분석부가, 상기 역량진단수행 단계에서 제공된 문항에 대한 응답신호를 진단자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그 문항이 해당하는 역량 별 및 역량군별 진단결과를 산출하고, 산출된 진단결과를 역량진단결과 DB에 저장하는 진단결과분석 단계를 포 함한다.
또한, 상기 역량진단수행 단계는 진단자 본인의 상사, 동료 또는 부하 중 상기 진단자단말기로 제공되는 각 문 항으로 진단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진단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피진단자를 진단자단말기에 표시하 고, 상기 피진단자에 대한 역량진단을 진단자 본인에 대한 역량진단과 함께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단결과분석 단계는 상기 역량진단수행 단계에서 제공된 문항에 대한 응답신호를 진단자 본인 및 상기 피진단자에 대해 각각 전송받고, 각각의 진단자 본인 및 상기 피진단자별로 진단결과를 산출하여, 산출된 진단결과를 역량진단결과 DB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그인인증 단계는 관리자단말기로부터 로그인정보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구성원정보 DB를 참조하여 시스템관리자 인증을 수행하는 관리자인증 단계 및 정보수정부가, 상기 관리자인증 단계에서 시스템관리자 인증 된 관리자단말기로부터 구성원정보 수정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구성원정보 수정요청신호에 따라 구성원정보 DB에 저장된 정보를 수정하는 시스템관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진단자 본인뿐만 아니라 진단자의 상사, 동료, 부하에 대한 역량진단 을 동시에 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진단자 본인, 상사, 동료, 부하에 대한 진단을 객관적으로 행할 수 있는 인 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진단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관리자에 의해서 역량진단 평가 시스템을 사용하는 회사의 직무 및 계층 등을 손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진단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 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진단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진단 평가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진단 평가 시스템은 메인서버(10), 구성원정보
DB(20), 역량평가문항 DB(22), 역량진단결과 DB(24)를 포함한다.
메인서버(10)는 사용자단말기(40)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피진단자에 대한 역량진단을 수행하고, 그 진단결과를 제공한다.
사용자단말기(40)는 메인서버(10)에 네트워크 접속되어 진단자가 역량진단을 수행하는 기기로서, 퍼스널 컴퓨터 인 것이 바람직하나,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폰, 스마트 폰 등과 같이 소정의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소정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 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이면 족하다.
또한, 사용자단말기(40)는 이하 편의상 역량진단 평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진단자가 진단자 본인 및 상사, 동료, 부하 등의 피진단자를 진단하는 진단자단말기(미도시)와 역량진단 평가 시스템 관리자의 사용자단말기를 나타내 는 관리자단말기(미도시)로 나누어 표현되나, 역량진단 대상집단의 구성원 중 진단자는 관리자도 될 수 있음은 자명한 바이다.
사용자단말기(40)와 메인서버(10)간의 네트워크는 인터넷 네트워크인 것이 바람직하나, 역량진단 평가 시스템을 사용하는 회사 등의 역량진단 대상집단에 별도로 설치되는 근거리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등 데이터 송 신이 가능한 통신망이면 무방하다.
구성원정보 DB(20)는 역량진단 대상집단 구성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데, 역량진단 대상집단은 역량진단 평가 시스템을 이용하는 조직으로서 예컨대 역량진단이 필요한 회사, 연구소, 각종 기관을 포함한다.
또한, 저장되는 정보는 역량진단 대상집단의 구성원에 대한 성명, 부서, 직무, 계층, 직급 등의 개인정보를 포 함하고, 역량진단 평가 시스템 로그인에 필요한 아이디(ID, Identification) 및 패스워드(Password)로 구성되는 로그인정보를 포함한다.
역량평가문항 DB(22)는 역량진단을 위해 진단자에게 제공되는 문항이 저장되는 것으로, 역량진단 대상집단 구성 원의 부서, 직무, 계층, 직급 등을 반영하여 설정된 역량군 및 각 역량군에 포함된 각각의 역량을 포함하고, 각 역량의 수준을 진단하기 위한 문항이 각 역량별로 분류되어 저장된다.역량진단결과 DB(24)는 진단결과분석부(16)에 의해 산출된 진단결과를 저장한다. 메인서버(10)는 로그인인증부(12), 진단수행부(14) 및 진단결과분석부(16)를 포함한다.
로그인인증부(12)는 진단자단말기로부터 로그인정보가 전송되면 구성원정보 DB(20)에 저장된 진단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에 진단자로써 로그인을 허용한다.
진단수행부(14)는 로그인한 진단자의 로그인정보를 참조하여 구성원정보 DB(20)에서 진단자의 정보(부서, 직무, 계층 및 직급 등)를 추출하고, 진단자의 부서, 직무, 계층 및 직급 등에 해당되는 문항을 역량평가문항 DB(22) 로부터 진단자단말기로 제공하여 진단자 본인에 대한 역량진단을 수행한다.
진단결과분석부(16)는 진단수행부(14)에 의해 제공된 문항에 대한 응답신호를 진단자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각 문항이 해당하는 역량별 및 역량군별 진단결과를 산출하고, 산출된 진단결과를 역량진단결과 DB(24)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진단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진단수행부(14)는 진 단자 본인 이외에도 진단자의 상사, 동료 또는 부하 중 진단자단말기로 제공되는 각 문항으로 진단가능한 적어 도 하나 이상의 피진단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존재하는 피진단자를 진단자단말기에 표시하고, 상기 피진단자에 대한 역량진단을 진단자 본인에 대한 역량진단과 함께 수행한다.
또한, 진단결과분석부(16)는 진단수행부(14)에 의해 제공된 문항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받아 각각의 진단자 본 인 및 상기 피진단자별로 진단결과를 산출하는데, 이때에도 각 역량별 및 역량군별로 진단결과를 산출함은 물론 이고, 산출된 진단결과도 역량진단결과 DB(24)에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진단 평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량진단을 위한 초기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 한 실시예에 따른 진단명, 진단기간, 진단자의 개인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단수행부에 의해 수행되는 역량진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단결과분석부에 의해 산출된 진단결과를 나타낸 표 형태의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단결과분석부에 의해 산출된 진단결과를 나타낸 레이더 차트 형태의 도면 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진단 평가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는 역량진단 평가 방법의 구체적 인 실시예를 도 2 내지 7을 참고하여 이하 살펴본다.
역량진단 평가 시스템을 사용하는 A회사의 구성원인 광개토대왕(성명)의 부서는 아이엔터이고, 직무는 시스템개 발이고, 계층은 팀원, 직급은 과장으로 가정한다.이러한 정보는 구성원정보 DB(20)에 저장되며, 광개토대왕의 로그인에 필요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도 저장된다. 광개토대왕의 정보에 따라 역량평가문항 DB(22)에 포함되는 역량군은 공통역량, 직무역량, 리더십역량이고, 공 통역량군에 포함되는 역량은 변화주도, 고객마인드, 창의성이고, 직무역량에 포함되는 역량은 기획력, 분석적사 고, 대인관계, 프로젝트관리, 시스템 분석능력, 프로그래밍능력, 시스템운용지식이며, 리더십역량군에 포함되는 역량은 팀웍지향, 개선의식, 자기관리이다.
이러한 역량군 및 역량은 진단자의 부서, 직무, 계층, 또는 직급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우선 광개토대왕은 역량진단을 위해 자신의 진단자단말기를 통해 메인서버(10)로 접속하는데, 웹브라우저 주소 창에 특정 도메인을 입력하여 접속가능하다.
이때 역량진단 평가 시스템을 이용하는 각 집단을 구별하기 위하여 별도의 도메인 네임을 사용할 수도 있고, 회 사번호(Company Number)를 주소 뒤에 부가하여 구별할 수도 있다.
광개토대왕이 메인서버(10)를 나타내는 특정 도메인을 입력하여 메인서버(10)에 접속하면, 로그인인증 단계 (S100)가 시작되고, 로그인인증을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 입력창이 출력된다.
이때 입력되는 로그인정보가 관리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인 경우에는 구성원정보 DB(20)을 참조하여 시스템관리 자 인증을 수행하는 관리자인증 단계를 수행하고, 인증된 시스템관리자는 시스템관리 단계(S112)로 들어간다.
또한, 이때 입력되는 로그인정보가 관리자 권한이 없는 진단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인 경우에는 역량진단수행 단계(S110)가 진행된다. 따라서 광개토대왕이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구성원정보 DB(20)에 저장된 로 그인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에는 도 3와 같은 역량진단을 위한 초기화면을 출력한다.
광개토대왕은 아직 진단중인 2009년 역량진단 테스트 002를 계속 진단하기 위하여 계속진단 탭을 클릭한다. 그러면, 도 4과 같은 진단명, 진단기간, 진단자의 개인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창이 출력된다.
상기 창에서 현수준진단 탭을 클릭하면 진단자본인 및 상사, 동료, 부하 등의 피진단자에 대한 역량진단이 진단 수행부(14)에 의해 수행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광개토대왕의 부서, 직무, 계층이 좌측 화면에 표시되며, 역량진단을 위한 문항 1(변화의 방 향과 필요성, 변화의 영향, 변화 계획을 부서원과 공유하여 동참을 유도한다)이 표시된다.
또한, 광개토대왕이 진단가능한 상사(논개), 동료(관리자)가 표시되며, 광개토대왕의 부하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실선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문항 1의 진단대상인 광개토대왕 본인과 논개 부장에 대한 응답체크란이 우측에 표시된다.
응답체크란은 5단계로 이루어지는데, 1.전혀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다. 3.보통이다. 4.그렇다. 5. 매우 그렇 다. 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 응답은 해당 번호만큼의 점수를 가지며 추후 진단결과분석부(16)에 의해 수치화된다.
광개토대왕은 문항 1에 대하여 자신에 대하여는 4. 그렇다 를, 논개 부장에 대하여는 5. 매우 그렇다 를 선택하 였다.
이때 광개토대왕의 선택을 포함하여 문항 1에 대한 진단통계를 원형 그래프로 나타내는데, 도 5에서는 아직 광 개토대왕 외에 다른 진단자의 진단이 없었으므로 광개토대왕의 선택만 표시된다.
이후, 다음 문항을 클릭하여 문항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역량진단을 완료하면, 진단결과분석 단계(S120)에 진 입된다.
도 6를 참조하면, 이때 진단결과분석부(16)는 역량진단이 완료되면 각 문항이 나타내는 역량을 5점 만점을 기준 으로 응답체크란의 점수를 평균점수로 환산하여 나타낸다.
이때, 각 역량의 요구수준, 자가진단, 상사평균, 동료평균, 부하평균, 전체평균, 계층평균, 직무평균, 본인결과 등으로 카테고리를 분류하여 자세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6와 같은 표로 나타내지 않고, 도 7과 같이 레이더 차트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진단결과분석부(16)는 이와 같은 진단결과를 역량진단결과 DB(24)에 저장하여(S130), 추후 진단결과에 대한 조 회 요청이 있을 시 진단결과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관리창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명세서 관리 중 직무 및 계층 관리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진단 평가 시스템은 정보수정부(미도시)를 더 포 함하고, 구성원정보 DB(20)는 시스템관리자정보를 더 저장한다.
또한, 로그인인증부(12)는 관리자단말기로부터 로그인정보가 전송되면 구성원정보 DB를 참조하여 시스템관리자 인증을 수행한다.
구성원정보 DB(20)에 더 저장되는 시스템관리자정보는 관리자의 개인정보 및 관리자 인증을 위한 아이디, 패스 워드를 포함한다.
시스템관리자는 역량진단 대상집단의 구성원과 별개인 시스템 개발 회사의 구성원이어도 되나, 시스템관리자는 역량진단 대상집단의 구성원이어도 무방하므로, 이 경우에는 별도의 아이디, 패스워드가 불필요하고, 진단자의 정보에 관리자라는 별도 기록만 추가되면 족하다.
시스템관리자가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서버(10)에 접속하여 아이디,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구성원정보 DB(20)에 저장된 관리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에는 시스템관리자로서 인증을 하고, 시스템 관리창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시스템관리자로서 인증되면 정보수정부는 관리자단말기로부터 구성원정보 수정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구성원정보 수정요청신호에 따라 구성원정보 DB(20)에 저장된 정보를 수정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역량평가문항 DB(22) 및 역량진단결과 DB(24)에 대한 정보도 수정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시스템 관리창을 이용하여 설정가능한 요소는 기본관리에서 부서정보관리 및 직원정보를 관리 할 수 있으며, 역량 맵핑관리에서는 역량군, 역량, 행동지표 및 진단문항을 관리할 수 있으며, 명세서 관리, 역 량 맵핑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진단관리에서는 진단실시관리, 역량진단대상자설정, 진단자설정, 현황보기 등을 관리 가능하다.
특히 도 9를 참조하면, 명세서 관리에서 역량진단 대상집단의 직무관리 및 계층관리가 가능하여, 각 집단에 맞 게 직무, 계층을 일괄적으로 손쉽게 변경할 수 있으며, 직무명, 직무정의, 주요업부, 사용여부를 설정할 수 있 고, 마찬가지로 계층명, 계층정의, 주요업무, 사용여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관리자에 의하여 역량진단 대상집단의 직무 및 계층 등이 변화하더라도 이를 손쉽고 일괄적으로 재설정할 수 있으므로, 대상집단에 최적화된 역량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 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 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사용자단말기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피진단자에 대한 역량진단을 수행하고, 그 진단결과를 제공하는 메인서버; 성명, 부서, 직무, 계층, 직급 및 로그인정보를 포함하는 역량진단 대상집단 구성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구
    성원정보 DB;
    역량군 및 각 역량군에 포함된 각각의 역량별로 분류된 문항이 저장되고, 역량군 및 역량은 부서, 직무, 계층 및 직급에 따라 설정되는 역량평가문항 DB; 및
    진단결과분석부에 의해 산출된 진단결과를 저장하는 역량진단결과 DB; 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서버는,
    진단자단말기로부터 로그인정보가 전송되면 구성원정보 DB를 참조하여 로그인인증을 수행하는 로그인인증부; 로그인인증부에 의해 로그인인증된 진단자의 정보를 구성원정보 DB에서 추출하고, 진단자의 부서, 직무, 계층 및 직급에 해당되는 문항을 역량평가문항 DB로부터 진단자단말기로 제공하여 진단자 본인에 대한 역량진단을 수 행하는 진단수행부; 및
    진단수행부에 의해 제공된 문항에 대한 응답신호를 진단자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그 문항이 해당하는 역량별 및 역량군별 진단결과를 산출하고, 산출된 진단결과를 역량진단결과 DB에 저장하는 진단결과분석부; 를 포함하는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진단 평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수행부는,
    진단자 본인의 상사, 동료 또는 부하 중 상기 진단자단말기로 제공되는 각 문항으로 진단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 상의 피진단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피진단자를 진단자단말기에 표시하고, 상기 피진단자에 대한 역량진단 을 진단자 본인에 대한 역량진단과 함께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진단 평가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결과분석부는,
    상기 진단수행부에 의해 제공된 문항에 대한 응답신호를 진단자 본인 및 상기 피진단자에 대해 각각 전송받고, 각각의 진단자 본인 및 상기 피진단자별로 진단결과를 산출하여, 산출된 진단결과를 역량진단결과 DB에 저장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진단 평가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원정보 DB는,
    시스템관리자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로그인인증부는,
    관리자단말기로부터 로그인정보가 전송되면 구성원정보 DB를 참조하여 시스템관리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진단 평가 시스템은,
    로그인인증부에 의해 시스템관리자 인증된 관리자단말기로부터 구성원정보 수정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구성 원정보 수정요청신호에 따라 구성원정보 DB에 저장된 정보를 수정하는 정보수정부; 를 더 포함하는 인적자원 개 발을 위한 역량진단 평가 시스템.
  5. 로그인인증부가, 진단자단말기로부터 로그인정보가 전송되면 구성원정보 DB를 참조하여 로그인인증을 수행하는 로그인인증 단계;
    진단수행부가, 상기 로그인인증 단계에서 로그인인증된 진단자의 정보를 구성원정보 DB에서 추출하고, 진단자의 부서, 직무, 계층 및 직급에 해당되는 문항을 역량평가문항 DB로부터 진단자단말기로 제공하여 진단자 본인에 대한 역량진단을 수행하는 역량진단수행 단계; 및
    진단결과분석부가, 상기 역량진단수행 단계에서 제공된 문항에 대한 응답신호를 진단자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그 문항이 해당하는 역량별 및 역량군별 진단결과를 산출하고, 산출된 진단결과를 역량진단결과 DB에 저장하는 진단결과분석 단계; 를 포함하는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진단 평가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역량진단수행 단계는,
    진단자 본인의 상사, 동료 또는 부하 중 상기 진단자단말기로 제공되는 각 문항으로 진단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 상의 피진단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피진단자를 진단자단말기에 표시하고, 상기 피진단자에 대한 역량진단 을 진단자 본인에 대한 역량진단과 함께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진단 평가 방 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결과분석 단계는,
    상기 역량진단수행 단계에서 제공된 문항에 대한 응답신호를 진단자 본인 및 상기 피진단자에 대해 각각 전송받 고, 각각의 진단자 본인 및 상기 피진단자별로 진단결과를 산출하여, 산출된 진단결과를 역량진단결과 DB에 저 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진단 평가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인증 단계는,
    관리자단말기로부터 로그인정보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구성원정보 DB를 참조하여 시스템관리자 인증을 수행하는 관리자인증 단계; 및
    정보수정부가, 상기 관리자인증 단계에서 시스템관리자 인증된 관리자단말기로부터 구성원정보 수정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구성원정보 수정요청신호에 따라 구성원정보 DB에 저장된 정보를 수정하는 시스템관리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진단 평가 방법.
KR1020210172714A 2021-12-06 2021-12-06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적자원개발 역량진단평가 시스템 KR202300847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714A KR20230084716A (ko) 2021-12-06 2021-12-06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적자원개발 역량진단평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714A KR20230084716A (ko) 2021-12-06 2021-12-06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적자원개발 역량진단평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4716A true KR20230084716A (ko) 2023-06-13

Family

ID=86763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714A KR20230084716A (ko) 2021-12-06 2021-12-06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적자원개발 역량진단평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47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2647A (ko)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진단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Robert Jr et al. Are you satisfied yet? Shared leadership, individual trust, autonomy, and satisfaction in virtual teams
US20220005373A1 (en) Dynamically Adapting Cybersecurity Training Templates Based on Measuring User-Specific Phishing/Fraud Susceptibility
Hsu et al. The effect of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nd deindividuation in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privacy
Isaac et al. Intellectual capital management enabler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Zinko et al. Personal reputation in organizations: Two‐study constructive replication and extension of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Fielding et al. Reassurance policing, community policing and measuring police performance
JP5854988B2 (ja) 診断システム
Roy IJV partner trustworthy behaviour: The role of host country governance and partner selection criteria
Cho et al. An integrative approach to empowerment: Construct definition, measurement, and validation
Akbulut-Bailey Information sharing between local and state governments
US20020065709A1 (en) System for analyzing results of an employee survey to determine effective areas of organizational improvement
JP2007109184A (ja) 目標管理システムと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及び、人事システム
Holland Self‐assessment by nonprofit boards
Rochel et al. Getting into the engine room: a blueprint to investigate the shadowy steps of AI ethics
JP3580497B2 (ja) 企業診断システム、企業診断方法、企業診断用サーバ、および記録媒体
JP2005018274A (ja) 人材マッチング方法及び人材マッチングシステム
JP2002024451A (ja) 技術力評価システムおよび技術力評価方法
US7346541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acquiring and analyzing personal history information
Kent et 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contributing to expertise in audit judgment
WO2019235333A1 (ja) 行動改善システムおよび行動改善方法
KR20230084716A (ko)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적자원개발 역량진단평가 시스템
Sugianto et al. A practical measure of employee satisfaction with B2E portals
Østby et al. Maturity Modelling to Prepare for Cyber Crisis Escalation and Management.
Keus A framework for analysis of decision processes in te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