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3794A -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3794A
KR20230083794A KR1020210172122A KR20210172122A KR20230083794A KR 20230083794 A KR20230083794 A KR 20230083794A KR 1020210172122 A KR1020210172122 A KR 1020210172122A KR 20210172122 A KR20210172122 A KR 20210172122A KR 20230083794 A KR20230083794 A KR 20230083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ground document
control data
screen
learning
draw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주
Original Assignee
(주)풀이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풀이웨이 filed Critical (주)풀이웨이
Priority to KR1020210172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3794A/ko
Publication of KR20230083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7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시스템, 화면에 배경문서가 로딩되고, 상기 배경문서의 각 페이지마다 투명한 드로잉 레이어가 적층되며, 상기 배경문서를 전송하고,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제어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강사단말; 상기 강사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제어데이터를 전송하는 학습서버; 그리고 상기 학습서버로부터 상기 배경문서가 수신되면, 화면에 상기 배경문서를 로딩하고 상기 배경문서의 각 페이지마다 투명한 드로잉 레이어를 적층시키며, 상기 학습서버로부터 상기 제어데이터가 수신되면 화면의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를 상기 제어데이터에 따라 변환시키는 학생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user driven supporting a learning}
본 발명은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면에 표시되는 모든 데이터가 아니라, 화면의 배경문서와 함께 제어정보만을 전송하여 온라인 강의를 수행하기 때문에 전송되는 데이터 용량을 상당히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화면 제어 주도권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과 디지털 컨텐츠 산업의 확대로 교육 환경도 스마트 러닝으로 변화되고 있다. 즉, 프로젝트 학습법, 플립 러닝 등이 등장하면서 스마트 러닝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육 컨텐츠의 제작 방식도 하드웨어 및 서비스 플랫폼에 따라 SNS(social network service) 플랫폼과 더불어 카드뉴스, 꿀 팁 등과 같이 새로운 형태로 변화되고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고용량의 동영상 강의 콘텐츠에 대한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용량의 동영상 온라인 강의를 서비스할 경우, 많은 저장공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그 처리속도도 늦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기존의 문제 필기를 중심으로 하는 동영상 강의는 강사의 문제 필기 과정을 단순히 일방향으로 실시간 전송하여 주는 시스템이어서 학습자들을 지루하게 하거나 학습자의 집중력을 떨어뜨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28675호(2002.04.17.)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장공간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그 처리속도도 신속한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학습자들이 강의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학습자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시스템, 화면에 배경문서가 로딩되고, 상기 배경문서의 각 페이지마다 투명한 드로잉 레이어가 적층되며, 상기 배경문서를 전송하고,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제어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강사단말; 상기 강사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제어데이터를 전송하는 학습서버; 그리고 상기 학습서버로부터 상기 배경문서가 수신되면, 화면에 상기 배경문서를 로딩하고 상기 배경문서의 각 페이지마다 투명한 드로잉 레이어를 적층시키며, 상기 학습서버로부터 상기 제어데이터가 수신되면 화면의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를 상기 제어데이터에 따라 변환시키는 학생단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강사단말은, 상기 제어데이터의 전송을 중지하고 상기 학습서버로 주도자 아이디가 포함된 학습 주도권 전환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학생단말은, 상기 학습 주도권 전환신호를 수신한 때부터, 화면의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제2제어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2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제2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강사단말은, 상기 학습서버로부터 상기 제2제어데이터가 수신되면 화면의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를 상기 제2제어데이터에 따라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배경문서의 확대 신호 또는 위치 이동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배경문서의 스케일정보 및 화면상의 좌표정보 또는 상기 드로잉 레이어의 스케일정보 및 화면상의 좌표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드로잉 레이어에 대한 드로잉 정보가 포함된 드로잉 신호인 경우, 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드로잉 정보의 화면상의 좌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드로잉 레이어에 삽입되는 이미지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삽입 신호인 경우, 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이미지의 좌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은, 강사단말의 화면에 배경문서가 로딩되고 상기 배경문서의 각 페이지마다 투명한 드로잉 레이어가 적층되는 강의 준비단계; 상기 강사단말이 상기 배경문서를 학습서버로 전송하는 문서 전송단계; 학생단말이 상기 학습서버로부터 상기 배경문서를 수신하여 상기 학생단말의 화면에 배경문서를 로딩하고 상기 배경문서의 각 페이지마다 투명한 드로잉 레이어를 적층시키는 수강 준비단계; 상기 강사단말 화면의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제어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강사단말이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단계; 그리고 상기 학습서버로부터 상기 제어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학생단말 화면의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가 상기 제어데이터에 따라 변환되는 데이터 반영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은, 상기 강사단말이 상기 제어데이터의 전송을 중지하고 상기 학습서버로 주도자 아이디가 포함된 학습 주도권 전환신호를 전송하는 주도권 전송단계; 상기 학생단말이 상기 학습 주도권 전환신호를 수신한 때부터 화면의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제2제어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학생단말이 상기 제2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제2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단계; 그리고 상기 학습서버로부터 상기 제2제어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강사단말 화면의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가 상기 제2제어데이터에 따라 변환되는 데이터 반영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배경문서의 확대 신호 또는 위치 이동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배경문서의 스케일정보 및 화면상의 좌표정보 또는 상기 드로잉 레이어의 스케일정보 및 화면상의 좌표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드로잉 레이어에 대한 드로잉 정보가 포함된 드로잉 신호인 경우, 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드로잉 정보의 화면상의 좌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드로잉 레이어에 삽입되는 이미지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삽입 신호인 경우, 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이미지의 좌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은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시스템이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녹화재생 방법 및 시스템은 화면에 표시되는 모든 데이터가 아니라, 화면의 배경문서와 함께 제어정보만을 전송하여 온라인 강의를 수행하기 때문에 전송되는 데이터 용량을 상당히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화면 제어 주도권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강사의 문제 풀이 과정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드로잉 레이어에 표시됨으로써 학습자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단말기의 세부 블록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 예에 의한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의 주도권 변경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5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시스템(1)은 학습(의사 전달)의 주도권을 강의자뿐만 아니라 수강자에게도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 학습서버(10), 강사단말(20) 및 학생단말(30)을 포함한다. 학습서버(10), 강사단말(20) 및 학생단말(30)은 외부 통신 네트워크(5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한다.
학습서버(10)와 강사단말(20) 및 학생단말(30) 사이에는 게이트웨이 및 방화벽이 포함될 수 있다. 학습서버(10)는 확장 가능한 분산 서버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강사단말(20) 및 학생단말(30)은 학습서버(10)에 접속해서 온라인 강의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단말기의 세부 블록도다. 도 2에서 개시되는 단말기(100)는 강사단말(20) 및 학생단말(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강사단말(20) 및 학생단말(30)은 본 단말기(30)에 대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2의 단말기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2를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제어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통신부(140) 및 데이터베이스(150)는 전기적으로 또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며,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입력부(120), 출력부(130), 통신부(140) 및 데이터베이스(15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 모듈(121)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한다. 제어부(110)는 애플리케이션상에서 배경문서가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화면에 로딩되면 상기 배경문서의 각 페이지마다 투명한 드로잉 레이어를 적층시켜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화면상에 표시한다.
제어부(110)는 학습서버(10)로부터 상기 배경문서가 수신되면, 화면에 상기 배경문서를 로딩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상기 배경문서의 각 페이지마다 투명한 드로잉 레이어를 적층시킬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 모듈(121)을 통해 상기 배경문서에 대한 제어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드로잉 레이어를 상기 제어정보에 따라 변환시킨다. 이때, 제어부(110)는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의 스케일정보 및 화면상의 좌표정보를 산출하여, 학습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 모듈(121)을 통해 상기 드로잉 레이어에 대한 드로잉 정보가 포함된 드로잉 신호가 입력되면, 드로잉 정보의 화면상의 좌표정보를 산출하여, 학습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 모듈(121)을 통해 상기 드로잉 레이어에 삽입되는 이미지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삽입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미지의 화면상의 좌표정보를 산출하여, 학습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학습서버(10)로부터 제어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데이터에 따라 화면의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를 변환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의 스케일정보 및 화면상의 좌표정보에 따라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를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드로잉 정보의 좌표정보에 따라 상기 드로잉 정보를 상기 화면상의 상기 드로잉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이미지의 좌표정보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상기 화면상의 상기 드로잉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학습서버(10)에서 수신한 제어데이터가 배경문서 및 드로잉 레이어의 액선정보(변경한 페이지 번호정보, 확대축소비율의 스케일정보, 일측 상단 좌표정보와 반대측 하단 좌표정보)를 포함한 경우, 상기 배경문서 및 드로잉 레이어의 위치, 크기 또는 각도를 액션정보와 동일한 비율로 변환되어 화면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31)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학습서버(10)에서 수신한 제어데이터가 드로잉 정보(드로잉 선의 좌표 정보, 색상 정보, 굵기 정보, 질감 정보 등)가 있는 경우, 상기 드로잉 레이어에 상기 드로잉 정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31)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학습서버(10)에서 수신한 제어데이터가 이미지 정보(이미지의 크기, 좌표 정보 등)를 포함한 경우, 상기 드로잉 레이어에 상기 이미지 정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31)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마이크 모듈(122)을 통해 입력된 소리 정보를 학습서버(10)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입력 및 터치에 따른 입력 정보를 제어부(110)로 전송하며, 사용자 입력 모듈(121) 및 마이크 모듈(122)을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 모듈(121)은 문자를 입력하는 데 사용되거나, 애플리케이션의 시작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31) 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와 관련된 선택을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122)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소리 정보를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출력부(130)는 각종 정보를 화면 또는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31) 및 스피커 모듈(132)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스피커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소리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스피커모듈(132)을 통해 학습서버(10)로부터 전송된 소리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통신부(140)는 필요에 따라 외부 장치와 통신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데이터 메모리 및 대용량 스토리지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및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대용량 스토리지에는 동영상 파일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강사단말(20)은 학생들을 온라인상으로 교육하기 위해서 강의자가 사용하는 단말(태블릿, PC 등)이다. 강의자는 강사단말(20)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학습서버(10)에 강사 아이디로 접속할 수 있다.
강사단말(20)의 화면에는 강의자가 선택한 배경문서는 로딩되고, 상기 배경문서의 각 페이지마다 투명한 드로잉 레이어가 적층된다.
강사단말(20)은 상기 배경문서를 학습서버(10)로 전송한다. 강사단말(20)은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에 제어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학습서버(10)로 전송한다. 이때, 학습서버(10)는 강사단말(20)로부터 전송된 제어데이터를 학생단말(20)로 전송한다.
여기서, 강사단말(20)은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배경문서의 확대 신호 또는 위치 이동 신호인 경우, 상기 배경문서의 스케일정보 및 화면상의 좌표정보 또는 상기 드로잉 레이어의 스케일정보 및 화면상의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제어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강사단말(20)은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드로잉 레이어에 대한 드로잉 정보가 포함된 드로잉 신호인 경우, 상기 드로잉 정보의 화면상의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제어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강사단말(20)은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드로잉 레이어에 삽입되는 이미지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삽입 신호인 경우, 상기 이미지의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제어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강사단말(20)은 상기 제어데이터의 전송을 중지하고 학습서버(10)로 수강 아이디가 포함된 학습 주도권 전환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온라인 강의(의사 전달)의 주도권은 상기 수강 아이디에 해당되는 학생단말(30)로 넘어가게 된다. 여기서, 강사단말(20)은 주도권 복귀신호를 학습서버(10)로 전송함으로써 학습 주도권을 학생단말(30)로부터 다시 가져올 수 있다.
강사단말(20)은 학습서버로(10)부터 제2제어데이터가 수신되면 화면의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를 상기 제2제어데이터에 따라 변환시킬 수 있다.
학생단말(30)은 온라인으로 교육을 수강하기 위해서 수강자가 사용하는 단말(태블릿, PC 등)이다. 수강자는 학생단말(30)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학습서버(10)에 수강 아이디로 접속할 수 있다.
학생단말(30)은 학습서버(10)로부터 상기 배경문서가 수신되면, 화면에 상기 배경문서를 로딩하고 상기 배경문서의 각 페이지마다 투명한 드로잉 레이어를 적층시킨다.
학생단말(30)은 학습서버(10)로부터 상기 제어데이터가 수신되면 화면의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를 상기 제어데이터에 따라 변환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강사단말(20)을 통해 강의자가 수행했던 액션정보, 드로인정보, 이미지 정보 등이 학생단말(20)로 실시간 전송될 수 있다.
학생단말(30)은 상기 제어데이터의 수신을 차단하고, 수강자 본인이 수행했던 액션정보, 드로잉 정보, 이미지 정보 등이 배경문서 및 드로잉 레이어에 표시되도록 차단모드를 실행할 수도 있다.
한편, 학생단말(30)은 학습서버(10)로부터 주도권 전환신호를 수신하면 이때부터 학습의 주도권을 갖게 되며, 이때부터 강의자와 수강자의 역할이 바뀌게 된다. 즉, 학생단말(30)은 화면의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제2제어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2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제2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학습서버(1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강의자는 강사단말(20)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학습서버(10)에 강사 아이디로 로그인한다(S10).
다음으로, 수강자는 학생단말(30)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학습서버(10)에 수강 아이디로 로그인한다(S11).
다음으로, 강사단말(20)의 화면에는 강의자가 선택한 배경문서는 로딩되고, 상기 배경문서의 각 페이지마다 투명한 드로잉 레이어가 적층된다(S20).
다음으로, 강사단말(20)은 상기 배경문서를 학습서버(10)로 전송한다(S30)
다음으로. 학습서버(10)는 상기 배경문서를 학생단말(30)로 전송한다(S31)
다음으로, 학생단말(30)은 학습서버(10)로부터 상기 배경문서가 수신되면, 화면에 상기 배경문서를 로딩하고 상기 배경문서의 각 페이지마다 투명한 드로잉 레이어를 적층시킨다(S40). 이때부터 강사단말(20)의 마이크모듈(122)을 통해 입력된 강의자의 음성(또는 소리)은 학습서버(10)를 통해 학생단말(30)로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강사단말(20)은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에 제어신호가 발생하는지 판단한다(S50).
다음으로, 강사단말(20)은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학습서버(10)로 전송한다(S60)(S70).
다음으로, 학습서버(10)는 강사단말(20)로부터 전송된 제어데이터를 학생단말(20)로 전송한다(S71).
다음으로, 학생단말(30)은 학습서버(10)로부터 상기 제어데이터가 수신되면 화면의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를 상기 제어데이터에 따라 변환시킨다(S80). 이렇게 함으로써, 강사단말(20)을 통해 강의자가 수행했던 액션정보, 드로인정보, 이미지 정보 등이 학생단말(20)로 실시간 전송될 수 있다.
한편, 학생단말(30)은 상기 제어데이터의 수신을 차단하고, 수강자 본인이 수행했던 액션정보, 드로잉 정보, 이미지 정보 등이 배경문서 및 드로잉 레이어에 표시되도록 차단모드를 실행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강의자는 강사단말(20)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학습서버(10)에 강사 아이디로 로그인한다(S10).
다음으로, 수강자1 및 수강자2는 각각 학생단말1(31) 및 학생단말2(32)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학습서버(10)에 수강 아이디1 및 수강 아이디2로 로그인한다(S11)(S12).
다음으로, 강사단말(20)의 화면에는 강의자가 선택한 배경문서는 로딩되고, 상기 배경문서의 각 페이지마다 투명한 드로잉 레이어가 적층된다(S20).
다음으로, 강사단말(20)은 상기 배경문서를 학습서버(10)로 전송한다(S30)
다음으로. 학습서버(10)는 상기 배경문서를 학생단말1(31) 및 학생단말2(32)로 전송한다(S31)(S32)
다음으로, 학생단말1(31) 및 학생단말2(32)은 학습서버(10)로부터 상기 배경문서가 수신되면, 각각 화면에 상기 배경문서를 로딩하고 상기 배경문서의 각 페이지마다 투명한 드로잉 레이어를 적층시킨다(S41)(42). 이때부터 강사단말(20)의 마이크모듈(122)을 통해 입력된 강의자의 음성(또는 소리)은 학습서버(10)를 통해 학생단말1(31) 및 학생단말2(32)로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강사단말(20)은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에 제어신호가 발생하는지 판단한다(S50)
다음으로, 강사단말(20)은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학습서버(10)로 전송한다(S60)(S70).
다음으로, 학습서버(10)는 강사단말(20)로부터 전송된 제어데이터를 학생단말1(31) 및 학생단말2(32)로 전송한다(S71)(S72).
다음으로, 학생단말1(31) 및 학생단말2(32)는 학습서버(10)로부터 상기 제어데이터가 수신되면 각각 화면의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를 상기 제어데이터에 따라 변환시킨다(S80)(S81). 이렇게 함으로써, 강사단말(20)을 통해 강의자가 수행했던 액션정보, 드로인정보, 이미지 정보 등이 학생단말1(31) 및 학생단말2(32)로 실시간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실시 예에 의한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의 주도권 변경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강사단말(20)은 상기 제어데이터의 전송을 중지하고 학습서버(10)로 수강 아이디가 포함된 학습 주도권 전환신호를 전송한다(S100).
다음으로, 학습서버(10)는 상기 수강 아이디에 해당되는 학생단말1(30)로 주도권 전환신호를 전송한다(S110). 이때부터, 학생단1말(31)의 마이크모듈(122)을 통해 입력된 수강자의 음성(또는 소리)은 학습서버(10)를 통해 강사단말(20) 및 학생단말2(32)로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온라인 강의(의사 전달)의 주도권은 상기 수강 아이디에 해당되는 학생단말1(31)로 넘어가게 된다. 여기서, 강사단말(20)은 주도권 복귀신호를 학습서버(10)로 전송함으로써 학습 주도권을 학생단말1(31)로부터 다시 가져올 수도 있다.
다음으로, 학생단말1(31)은 화면의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에 제2제어신호가 발생하는지 판단한다(S120).
다음으로, 학생단말1(31)은 상기 제2제어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2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제2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학습서버(10)로 전송한다(S140).
다음으로, 학습서버(10)는 학생단말1(31)로부터 전송된 제어데이터를 강사단말(20) 및 학생단말2(32)로 전송한다(S141)(S142).
다음으로, 강사단말(20) 및 학생단말2(32)는 학습서버로(10)부터 제2제어데이터가 수신되면 각각 화면의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를 상기 제2제어데이터에 따라 변환시킨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은, 화면에 표시되는 모든 데이터가 아니라, 화면의 배경문서와 함께 제어정보만을 전송하여 온라인 강의를 수행하기 때문에 전송되는 데이터 용량을 상당히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화면 제어 주도권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시스템 10: 학습서버
20: 강사단말 30: 학생단말
100: 단말기 110: 제어부
111: 구동 모듈 112: 관리 모듈
113: 동기화 모듈 120: 입력부
121: 사용자 입력 모듈 122: 마이크 모듈
130: 출력부 131: 디스플레이 모듈
132: 스피커 모듈 140: 통신부
150: 데이터베이스

Claims (11)

  1. 화면에 배경문서가 로딩되고, 상기 배경문서의 각 페이지마다 투명한 드로잉 레이어가 적층되며, 상기 배경문서를 전송하고,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제어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강사단말;
    상기 강사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제어데이터를 전송하는 학습서버;및
    상기 학습서버로부터 상기 배경문서가 수신되면, 화면에 상기 배경문서를 로딩하고 상기 배경문서의 각 페이지마다 투명한 드로잉 레이어를 적층시키며, 상기 학습서버로부터 상기 제어데이터가 수신되면 화면의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를 상기 제어데이터에 따라 변환시키는 학생단말;을 포함하는,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사단말은, 상기 제어데이터의 전송을 중지하고 상기 학습서버로 주도자 아이디가 포함된 학습 주도권 전환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학생단말은, 상기 학습 주도권 전환신호를 수신한 때부터, 화면의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제2제어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2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제2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서버로 전송하고,
    상기강사단말은, 상기 학습서버로부터 상기 제2제어데이터가 수신되면 화면의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를 상기 제2제어데이터에 따라 변환시키는,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배경문서의 확대 신호 또는 위치 이동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배경문서의 스케일정보 및 화면상의 좌표정보 또는 상기 드로잉 레이어의 스케일정보 및 화면상의 좌표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드로잉 레이어에 대한 드로잉 정보가 포함된 드로잉 신호인 경우,
    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드로잉 정보의 화면상의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드로잉 레이어에 삽입되는 이미지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삽입 신호인 경우,
    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이미지의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시스템.
  6. 강사단말의 화면에 배경문서가 로딩되고 상기 배경문서의 각 페이지마다 투명한 드로잉 레이어가 적층되는 강의 준비단계;
    상기 강사단말이 상기 배경문서를 학습서버로 전송하는 문서 전송단계;
    학생단말이 상기 학습서버로부터 상기 배경문서를 수신하여 상기 학생단말의 화면에 배경문서를 로딩하고 상기 배경문서의 각 페이지마다 투명한 드로잉 레이어를 적층시키는 수강 준비단계;
    상기 강사단말 화면의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제어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강사단말이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단계;및
    상기 학습서버로부터 상기 제어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학생단말 화면의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가 상기 제어데이터에 따라 변환되는 데이터 반영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은,
    상기 강사단말이 상기 제어데이터의 전송을 중지하고 상기 학습서버로 주도자 아이디가 포함된 학습 주도권 전환신호를 전송하는 주도권 전송단계; 및
    상기 학생단말 화면의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제2제어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학생단말이 상기 제2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제2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단계;및
    상기 학습서버로부터 상기 제2제어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강사단말 화면의 상기 배경문서 및 상기 드로잉 레이어가 상기 제2제어데이터에 따라 변환되는 데이터 반영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배경문서의 확대 신호 또는 위치 이동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배경문서의 스케일정보 및 화면상의 좌표정보 또는 상기 드로잉 레이어의 스케일정보 및 화면상의 좌표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드로잉 레이어에 대한 드로잉 정보가 포함된 드로잉 신호인 경우,
    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드로잉 정보의 화면상의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드로잉 레이어에 삽입되는 이미지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삽입 신호인 경우,
    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이미지의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
  11.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시스템이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210172122A 2021-12-03 2021-12-03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837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122A KR20230083794A (ko) 2021-12-03 2021-12-03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122A KR20230083794A (ko) 2021-12-03 2021-12-03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794A true KR20230083794A (ko) 2023-06-12

Family

ID=86770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122A KR20230083794A (ko) 2021-12-03 2021-12-03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379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675A (ko) 2000-10-11 2002-04-17 김현일 실시간 원격 강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675A (ko) 2000-10-11 2002-04-17 김현일 실시간 원격 강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rbeil et al. Are you ready for mobile learning?
CN102460487B (zh) 混合课程教学的系统和方法
JP5721356B2 (ja) インターネットインタラクティブラーニング管理システム
Weller The use of Web 2.0 technology for pre-service teacher learning in science education
CN102881191A (zh) 一种支持智能终端设备的自主备课及互动教学系统
KR101460090B1 (ko)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n 스크린 스마트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Ahlfeld Poised to transform: Lessons learned from COVID-19 in a school library
CN103281347A (zh) 网络互动系统
US20090202970A1 (en) Single-Click Support for Curriculum
Caverly et al. Techtalk: Mobile learning and access
CN108353075B (zh) 多网络镜像系统和方法
KR101445922B1 (ko)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지식컨텐츠의 재생산방법
US20130224717A1 (en) Computerized learning methods and systems for use in group-learning settings
Lee et al. Supportive Learning: Linear Learn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KR20230083794A (ko) 사용자 주도형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Al-Okaily Device neutral assignments for mobile learning in an English language classroom
Appel et al. SpeakApps: New tools and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 of speaking skills in a second language
Khaddage et al. The teacher education evolution: the shift from online to mobile learning in curriculum, assessment and delivery
Adair et al. Cameras in Zoom: Should they be on
Isaksen How Video Lectures Can Free Up Time for Other Learning Activities
Priyatmojo et al. Learning English in the digital era
KR20010111862A (ko) 인터넷 원격교육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Rempel Instructional Design for Smartphones: Learning Pills for Smombies
Al-Okaily Guidelines for creating device neutral assignments in a BYOD English language classroom
KR20170025747A (ko) 전자칠판에서 이기종간 문서공유를 통한 다인 학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