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3706A - Recessed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that can charge mobile devices - Google Patents

Recessed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that can charge mobile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3706A
KR20230083706A KR1020210171957A KR20210171957A KR20230083706A KR 20230083706 A KR20230083706 A KR 20230083706A KR 1020210171957 A KR1020210171957 A KR 1020210171957A KR 20210171957 A KR20210171957 A KR 20210171957A KR 20230083706 A KR20230083706 A KR 20230083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charging
mobile terminal
outle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9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44915B1 (en
Inventor
권창훈
정안묵
김형태
Original Assignee
권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창훈 filed Critical 권창훈
Priority to KR1020210171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915B1/en
Priority to PCT/KR2021/018507 priority patent/WO2023101076A1/en
Publication of KR20230083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7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9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adio transmiss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스크 상판의 두께와 상관 없이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전자기기에 상용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설치가 가능하되 이동단말기의 실행과 동시에 충전이 가능한 매립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스크에 천공형성된 설치공에 삽입 설치되는 매립브라켓 및 상기 매립브라켓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다른 전자기기에 인가가능한 콘센트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외면에 거치된 이동단말기의 충전을 위한 무선충전수단이 구비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ried outlet that can be installed to supply commercial power to an electronic device by receiving external power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a desk top plate, but which can charge a mobile terminal at the same ti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sk. An embedding bracket inserted into a perforated installation hol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embedding bracket, but equipped with an outlet that can be applied to other electronic devices by receiving external power, and is provided with a wireless charger for charging a mobile terminal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wer supply unit equipped with a charging means.

Description

이동단말기 충전이 가능한 데스크설치용 매립콘센트{Recessed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that can charge mobile devices}Recessed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that can charge mobile devices}

본 발명은 데스크 상판의 두께와 상관 없이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전자기기에 상용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설치가 가능하되 이동단말기의 실행과 동시에 충전이 가능한 매립콘센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ried outlet that can be installed to apply commercial power to an electronic device by receiving external power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a desk top plate, and can charge a mobile terminal simultaneously.

일반적으로, 가구의 판재에 전기 콘센트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가구의 판재를 관통하여 설치공을 형성하고, 이 설치공에 전기 콘센트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In general, in order to install an electrical outlet in a furniture board, an installation hole is formed through the furniture board, and the electrical outlet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그러나, 가구 설치 업자가 일정한 두께로 제작된 전기 콘센트를 구입하여 가구 설치현장에서 다양한 두께를 갖는 판재에 견고하게 조립하기는 어려움이 따른다. However, it is difficult for a furniture installer to purchase electrical outlets manufactured to a certain thickness and firmly assemble them to boards having various thicknesses at a furniture installation site.

브라켓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경우에도 가구의 판재 두께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브라켓의 형상과 브라켓을 고정할 수 있는 볼트의 길이가 다양한다. Even when fixing with brackets, the shape of the bracket that can be applied and the length of the bolt that can fix the bracket vary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late of the furniture.

따라서, 전기 콘센트 판매자는 설치될 상판의 두께를 미리 할 수 없기 때문에 적절한 브라켓과 이에 맞는 길이 규격의 볼트를 전기 콘센트와 함께 제공하기 어렵다. Accordingly, it is difficult for the electrical outlet seller to provide an appropriate bracket and a bolt having a length standard suitable for the bracket together with the electrical outlet because the electrical outlet seller cannot determine the thickness of the top plate to be installed in advance.

싱크대 상판, 테이블, 책상 등 가구의 판재 두께에 맞는 다양한 구조의 브라켓과 다양한 길이의 볼트를 모두 준비하여 제공하기 어렵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prepare and provide brackets of various structures and bolts of various lengths suitable for the plate thickness of furniture such as sink tops, tables, and desks.

일 예로 종래기술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4858호는, 두께가 다른 가구의 플레이트에 전기 콘센트를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삽입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삽입결합부를 구비하며 가구의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삽입통공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자리 배치되는 콘센트 기구본체 및 상기 가구의 내측에서 상기 가구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콘센트 기구본체에 체결되어 상기 콘센트 기구본체를 상기 가구의 플레이트 상에 고정시키는 로킹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For exampl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4858, which is a prior art, includes at least one plug insertion coupling portion into which a plug of an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and coupled to easily connect an electrical outlet to a plate of furniture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and An outlet mechanism body partially inserted into and placed in an insertion hole formed in a plate and fastened to the outlet mechanism body inserted into the furniture from the inside of the furniture to fix the outlet mechanism body on the plate of the furniture Discloses an outlet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locking nut.

이러한 종래기술에서의 콘센트 기구본체는 가구의 플레이트에 형성한 삽입통공을 통해 가구 내부에 배치되는 삽입 하우징부를 가지며, 삽입 하우징부의 외벽에는 상호간 대칭되는 면에 비연속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킹 너트의 내벽에는 상기 비연속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연속 나사부가 형성되어 로킹 너트를 돌림으로써 가구의 플레이트에 결합한다.The outlet mechanism body in the prior art has an insertion housing portion disposed inside the furniture through an insertion through hole formed in a plate of the furniture, and discontinuous threads are formed on mutually symmetrical surfaces on the outer wall of the insertion housing portion, and the locking nut A continuous threaded portion screwed into the non-continuous threaded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wall, and coupled to the plate of the furniture by turning a locking nut.

아울러, 전기 콘센트의 상판에 삽입되는 부분(삽입 하우징부)에 비연속 나사부를 형성하고, 이 나사부에 로킹 너트를 체결하는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로킹 너트의 내경과 외경은 삽입 하우징부의 폭보다 더 클 수 밖에 없다. In addition, since a method of forming a non-continuous threaded portion in the portion inserted into the upper plate of the electrical outlet (insertion housing portion) and fastening the locking nut to the threaded portion is used, the inner and outer diameters of the locking nut ar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inserted housing portion. can only be big

즉, 종래기술인 제20-0474858호에 따른 전기 콘센트를 가구의 플레이트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로킹 너트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That is, in order to install the electrical outl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No. 20-0474858 on the plate of the furniture, at least a space for installing the locking nut must be secured.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책상 하부 전후면의 지지벽, 도어, 서랍(drawer)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전기 콘센트를 설치시에 지지벽, 도어 및 서랍(drawer) 등으로부터 로킹 너트의 외경만큼 간격을 확보하여 전기 콘센트를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upport walls, doors, and drawers are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lower part of the desk, when installing the electrical outlet, the distance from the support walls, doors, drawers, etc. by the outer diameter of the locking nut It is not easy to secure and install electrical outlets.

또한 기존 가구용 매립형 무선 충전 콘센트는 설치 특성상 사용시 단일방향에 위치되어 사용자는 지정된 위치와 방향에서 제한적인 무선충전 및 콘센트 등의 기능 사용에 단점을 갖고 있다. In addition, existing embedded wireless charging sockets for furniture are located in a single direction when used due to their installation characteristics, and users have disadvantages in using functions such as wireless charging and outlets that are limited in a designated location and direction.

따라서, 다양한 두께의 가구의 판재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되 근래 들어 현대인의 필수품인 스마트 폰이나 테블릿 PC 등과 같은 이동단말기의 충전이 가능하고, 충전 중에도 스마트 폰이나 테블릿 PC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it can be easily bonded to furniture plates of various thicknesses, but it is possible to charge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which are necessities of modern people these days, and use smart phones or tablet PCs even during charging, It became necessary to develop a reversible electrical outlet.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책상의 두께와 상관 없이 전기 콘센트의 고정 설치가 용이하되 이동단말기의 사용과 충전을 병행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 충전이 가능한 데스크 설치용 매립콘센트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ried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which is easy to fix and install an electrical outlet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desk, but can charge a mobile terminal that can be used and charged at the same time. It has a purpose.

또한 종래 매립형 콘센트의 고정식 단일 방향으로 사용하는 단점을 해결하여 다양한 방향 전환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편리성을 제공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convenience so that a user can use it in various locations by solving the disadvantages of using a conventional flush-type outlet in a fixed single direction and providing various direction conversion functions.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 충전이 가능한 데스크 설치용 매립콘센트는 데스크(10)에 천공형성된 설치공(11)에 삽입 설치되는 매립브라켓(100) 및 상기 매립브라켓(10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다른 전자기기에 인가가능한 콘센트(212)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외면에 거치된 이동단말기(20)의 충전을 위한 무선충전수단(221)이 구비된 전원공급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embedded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capable of charg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bedded bracket 100 inserted into an installation hole 11 formed in a desk 10 and the embedded bracket 100 Equipped with an outlet 212 capable of being combined with and rotatable but receiving external power and applying it to other electronic devices, and a wireless charging means 221 for charging the mobile terminal 20 mounted on the inside is provid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wer supply unit (200).

또한, 상기 매립브라켓(100)은 외면이 설치공(11) 내면과 형상맞춤으로 결합하되 상부에는 데스크(10) 상면에 안착하며, 상기 전원공급부(200)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공(111)이 천공 형성된 플랜지(112)가 구비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 하면과 이어지게 하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되 일면은 상기 전원공급부(200)와 끼움 결합하는 연장가이드(120) 및 상기 플랜지(112)를 관통하여 상기 연장가이드(120) 타면까지 회전가능하게 관통 삽입되되 그 회전방향에 따라 데스크(10) 하면을 가압 또는 해지하여 상기 몸체(110)를 고정 또는 해지시키는 고정수단(13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embedded bracket 100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hole 11 in a form-fitting manner, but the upper portion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sk 10, and the insertion hole 111 into which the power supply unit 200 is rotatably inserted. A body 110 having a perforated flange 112, and at least one protruding downward in connection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10, but one side of the extension guide 120 fitted with the power supply unit 200 and a fixing means that is rotatably inserted through the flange 112 to the other surface of the extension guide 120 and fixes or releases the body 110 by pressurizing or releasing the lower surface of the desk 10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thereof. It is preferable to include (130).

또한, 상기 고정수단(130)은 상기 플랜지(112)에 천공 형성된 조절공(113)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연장가이드(120) 타면까지 이어지는 스크류(131) 및 상기 스크류(131) 외면과 서로 치(齒) 결합하여 상기 스크류(131)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하되 그 승강에 의해 데스크(10) 하면을 가압 또는 해지하는 가압편(13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130 is inserted through the adjustment hole 113 formed in the flange 112 and connect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extension guide 1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w 131 and the screw 131 (齒)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ressure piece 133 that is coupled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crew 131 and presses or releases the lower surface of the desk 10 by the lift.

또한, 상기 연장가이드(120)는 승강하는 상기 가압편(133)의 회전각도를 제한시키기 위해 양측이 소정각도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조절공(113)은 절곡 형성된 상기 연장가이드(120) 양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편향되게 천공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extension guide 120 ar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in order to limit the rotational angle of the lifting piece 133, and the adjustment hole 113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xtension guide 120 formed by bending. It is preferable to be perforated to be biased in one direction.

또한, 상기 플랜지(112) 상면에는 상기 전원공급부(20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전원공급부(200)에 삽입되는 회전돌기(114)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rotating protrusion 114 inserted into the power supply unit 200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112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power supply unit 200 .

또한, 상기 플랜지(112) 상면에는 상기 삽입공(11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마모방지돌기(115)가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anti-wear protrusions 115 protrude radially around the insertion hole 11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112 .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200)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매립브라켓(10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하부에는 전원플러그(211)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전원플러그(2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콘센트(212) 또는 충전단자(2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된 하부몸체(210) 및 상기 하부몸체(210) 일측과 힌지수단(23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그 회전에 의해 상기 콘센트(212)를 개폐하되 내부에는 상기 무선충전수단(221)이 구비된 상부몸체(220)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충전수단(221)의 동작에 필요한 필요전원은 전원플러그(211)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정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200 is formed in a columnar shape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mbedded bracket 100, but a power plug 211 is provided at the bottom and the outle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plug 211 at the top ( 212) or charging terminal 213, the lower body 210 equipped with, and one side of the lower body 210 is rotatably coupled by a hinge means 230, and the outlet 212 by the rotation , but includes an upper body 220 equipp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means 221 inside, but the necessar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eans 221 rectifies the power applied through the power plug 211 It is preferable to use

또한, 상기 하부몸체(210)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매립브라켓(10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락킹돌기(214) 및 상기 매립브라켓(100)과 상기 락킹돌기(214)가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매립브라켓(100)이 삽입되어 상기 하부몸체(210)가 소정의 회전반경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회전안내홈(215)을 포함하되, 상기 락킹돌기(214)는 상기 매립브라켓(100)에 띠 형태로 형성된 기어형성부(116)를 따라 그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부몸체(210)가 단계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회전안내홈(215)의 회전반경은 스토퍼(216)에 의해 최대 340도의 회전각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wer body 210 has a locking protrusion 214 detachably coupled to the embedding bracket 100 by an elastic force, and the embedding bracket 100 and the locking protrusion 214 are coupled to each other. It includes a rotation guide groove 215 for guiding the bracket 100 to be inserted so that the lower body 210 can rotate with a predetermined rotation radius, and the locking protrusion 214 is attached to the embedded bracket 100. The lower body 210 can be rotated step by step by the elastic force along the gear forming part 116 formed in the shape, and the rotation radius of the rotation guide groove 215 is up to 340 degrees by the stopper 216 It is desirable to have a rotation angle.

또한, 상기 상부몸체(220)는 상기 힌지수단(230)에 의해 단계별로 각도가 가변되게 회전하되 외면에는 이동단말기(20)가 거치되는 거치대(223)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body 220 is rotated so that the angle is variable step by step by the hinge means 230, but it is preferable that a cradle 223 on which the mobile terminal 20 is mounted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고정수단을 통해 데스크 상판의 두께와 상관 없이 전원공급부가 단계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매립브라켓을 데스크에 고정 설치함과 동시에 상부몸체에 구비된 무선충전수단 또는 충전단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이동단말기가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로 이동단말기의 실행과 동시에 충전을 구현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the embedded bracket in which the power supply unit is rotatably coupled step by step through a fixing means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desk top plate is fixedly installed on the desk, and at the same time, a wireless charging means or charger provided in the upper body is installed. Through any one of the terminals, the mobile terminal has an effect of realizing charging while running the mobile terminal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cradle.

기존 대부분의 출시 판매가 이뤄지는 단일 방향사용의 가구 매립형 콘센트류에서 벗어나 본 발명은 기어 단계방식의 각도조절 경첩과 본체 회전기능을 통한 다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Breaking away from furniture-embedded outlets for single-direction use, which are mostly marketed and sol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to users by enabling multi-directional use through a gear-level angle adjusting hinge and a main body rotation function. .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 충전이 가능한 데스크 설치용 매립콘센트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 충전이 가능한 데스크 설치용 매립콘센트에 대한 매립브라켓을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도3에 대한 고정수단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 충전이 가능한 데스크 설치용 매립콘센트에 대한 전원공급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대한 하부몸체에 형성된 락킹돌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6에 대한 상부몸체의 회전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6에 대한 하부몸체 하면에 형성된 회전안내홈을 나타낸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도 6에 대한 힌지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 충전이 가능한 데스크 설치용 매립콘센트에 대한 사용상태도.
1 and 2 are views showing a buried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capable of charg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buried bracket for a buried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capable of charg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showing the working relationship of the fixing means with respect to FIG.
6 is a view showing a power supply for a buried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capable of charg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lower body for Figure 6;
Figure 8 is a view showing the rotation of the upper body with respect to Figure 6;
Figure 9 is a view showing a rotation guide groov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ody for Figure 6;
10 and 11 are views showing the hinge means for FIG. 6;
12 is a state of use of a buried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capable of charg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Certain embodiments may be depic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various embodiments.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 terms. The terminology described above is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abbreviated or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 충전이 가능한 데스크 설치용 매립콘센트(이하, 간략하게 '매립콘센트'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하기에 기재된 데스크(10)는 책상은 물론, 주변에 전자기기가 구비될 수 있는 식탁, 싱크대 등을 모두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Hereinafter, a buried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capable of charg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buried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e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k 10 described below may be interpreted as referring to not only a desk, but also a table, a sink, and the like that may have electronic devices nearby.

본 발명은 콘센트 및 USB소켓이 구비된 바디와 기어 단계방식의 각도 조절 경첩이 구비되고 양방향 무선충전기능이 가능한 커버와 가구 매립시 시공의 편리성과 바디 결착후 회전기능이 구비된 매립형 회전 브라켓으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body equipped with an outlet and a USB socket, a cover equipped with an angle adjustment hinge of a gear step type and capable of bi-directional wireless charging, and a buried rotation bracket equipped with a rotation function after fastening the body and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when furniture is embedded. do.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립콘센트(1)는 크게 매립브라켓(100) 및 전원공급부(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First,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buried outle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nfigured to include a buried bracket 100 and a power supply unit 200 .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매립브라켓(10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면이 데스크(10)에 매립될 수 있게 관통 삽입되되 내측으로는 후에 설명하는 전원공급부(200)가 회전가능하게 고나통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몸체(110), 연장가이드(120) 및 고정수단(130)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3 to 5, the embedding bracket 100 is inserted so that the outer surface can be embedded in the desk 10, but the power supply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side. It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gonatrough, and includes a body 110, an extension guide 120, and a fixing means 130.

예컨대 몸체(1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외면이 데스크(10)에 천공 형성된 설치공(11) 내면과 형상맞춤으로 관통 삽입되되 상면에서 하면까지 수직으로 천공 형성된 삽입공(111)이 천공 형성되어 하부몸체(210)가 관통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figure,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1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hole 11 perforated in the desk 10 in a shape fit, but the insertion hole 111 vertically perforated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is perforated. The lower body 210 has a structure that can be inserted through.

이때, 삽입공(111) 내측으로는 띠 형상을 이루되 그 내주면을 따라 오목부와 볼록부가 서로 교번되게 형성된 기어형성부(116)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111) 내측으로 하부몸체(210)가 삽입 후, 회전시에 락킹돌기(214)가 상기 기어형성부(116)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락킹돌기(21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부몸체(210)의 단계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belt shape is formed inside the insertion hole 111, and a gear forming portion 116 formed by alternating concave and convex portion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so that the lower body 210 moves inside the insertion hole 111. After being inser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protrusion 214 moves along the gear forming part 116 during rotation so that the lower body 210 can be rotated step by step by the elastic force of the locking protrusion 214. .

몸체(110) 상면에는 설치공(11)에 상기 몸체(110)가 삽입된 이후에 그 하면이 데스크(10) 상면에 안착 지지될 수 있게 플랜지(112)가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112) 상면에는 조절공(113), 회전돌기(114) 및 마모방지돌기(115)가 형성되며, 하면에는 하방으로 연장가이드(120)가 돌출 형성된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after the body 110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11, a flange 112 is formed so that the lower surface can be seated and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sk 10. An adjustment ball 113, a rotating protrusion 114, and an anti-wear protrusion 115 are formed, and an extension guide 120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여기서, 조절공(113)은 연장가이드(120)와 연통되게 스크류(131)가 관통 삽입되기 위한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플랜지(112) 상면에 적어도 둘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adjusting hole 113 is configured to allow the screw 131 to be inserted through and communicate with the extension guide 120, and preferably at least two or more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112.

이때, 조절공(113)은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삽입된 스크류(131)가 연장가이드(120)에 절곡 형성된 양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편향되게 천공 형성되어 설치공(11) 내측으로 몸체(110)가 삽입시에 상기 스크류(131) 외면과 서로 치(齒) 결합하는 가압편(133)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s shown in the figure, the adjustment hole 113 is perforated so that the screw 131 inserted through it is bent in one direction of both sides of the extension guide 120 so that the body 110 is bent inside the installation hole 11. ) is preferably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w 131 and the pressing piece 133 coupled to each other when inserted.

회전돌기(114)는 플랜지(112) 상면에 상방으로 기둥형상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되 돌출된 상기 회전돌기(114)는 하부몸체(210) 하면에 형성된 회전안내홈(215) 내측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The rotating protrusion 114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112 to have a columnar shape, and the protruding protrusion 114 has a structure inserted into the rotation guide groove 215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ody 210. let it have

마모방지돌기(115)는 삽입공(11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플랜지(112) 상면에 다수가 돌출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회전안내홈(215)을 형성하는 테두리 상면과 수직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A plurality of anti-wear protrusions 115 protrude radi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112 around the insertion hole 111, preferably facing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rim forming the rotation guide groove 215. is formed in

하여, 회전돌기(114)가 회전안내홈(215) 내측으로 삽입시에 다수의 마모방지돌기(115)가 상기 회전안내홈(215)을 형성하는 테두리 상면에 우선적으로 면접하여 몸체(110)에 관통 삽입된 하부몸체(210)가 회전시에 상기 회전돌기(114)의 마모방지는 물론, 회전시에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등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Thus, when the rotating protrusion 114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guide groove 215, a plurality of wear-resistant protrusions 115 preferentially interview the upper surface of the rim forming the rotation guide groove 215 to the body 110 When the through-inserted lower body 210 rotates, the rotating protrusion 114 is prevented from being worn, as well as noise that may occur during rotation can be prevented.

또한, 연장가이드(1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10) 하면에서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110)를 형성하는 다수의 모서리부(도면상에서는 사각의 형상을 갖는 몸체에 총 4곳이 존재함) 중 적어도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두 곳의 모서리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고정수단(130)에 의해 상기 몸체(110)를 데스크(0에 고정시에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the extension guide 120 is forme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10, preferably a plurality of corner portions forming the body 110 (a body having a rectangular shape in the drawing) There are a total of four places in), at least two of which face each other in the diagonal direction are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corners, and the body 110 is stably fixed when the body 110 is fixed to the desk (0) by the fixing means 130 make this possible

이때, 각각의 연장가이드(120) 양측은 사선의 형상을 갖도록 소정 각도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연장가이드(120)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조절공(113)을 통해 관통 삽입된 스크류(131)의 회전에 의해 가압편(133)이 승강시에 상기 가압편(133)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both sides of each extension guide 120 ar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o have a diagonal shape, and the screw 131 inserted through the adjustment hole 113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guide 120. It is preferable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pressing piece 133 when the pressing piece 133 ascends and descends.

또한, 데스크(10)에 관통 삽입된 몸체(110)를 고정 또는 해지시키는 고정수단(130)은 스크류(131) 및 가압편(133)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130 for fixing or releasing the body 110 inserted through the desk 10 includes a screw 131 and a pressing piece 133.

여기서, 스크류(13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가이드(120)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조절공(113)에 회전가능하게 관통 삽입되며, 외면에는 가압편(133)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치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Here, as shown, the screw 131 is rotatably inserted through the adjustment hole 113 so that it can be disposed in the sam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guide 120, and the pressing pieces 133 rotate with each other on the outer surface. It is provided so that it can possibly be coupled with teeth.

이때, 스크류(131)의 수직길이는 한정하고 있지 않으나 적어도 몸체(110)가 관통 삽입되고자 하는 데스크(10)의 두께(H1,H2)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vertical length of the screw 131 is not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have a length longer than the thicknesses H1 and H2 of the desk 10 through which the body 110 is to be inserted.

아울러, 스크류(131)의 회전은 종래와는 달리, 사용자가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데스크(10) 하부가 아닌, 상부에서 조절공(113)에 관통 삽입된 상기 스크류(131)의 헤드 부분을 정방향(시계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회전방향에 따라 가압편(133)이 승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In addition, unlike the prior art, the rotation of the screw 131 is performed by the user using a tool such as a screwdriver, and the head portion of the screw 131 inserted through the adjustment hole 113 from the top, not the bottom, of the desk 10. is rotated in the forward (clockwise) or reverse direction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pressing piece 133 can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나아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131)에 의해 승강하는 가압편(133)은 승강시에 연장가이드(120) 양측의 절곡 부분분 어느 한 측과 면접하여 회전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한다.Furthermore, the pressing piece 133, which is elevated by the screw 131 rotating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interviews either side of the bent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extension guide 120 during elevation so that rotation can be limited.

일 예로, 사용자가 몸체(110)를 데스크(10)에 고정시키기 위해 공구를 이용하여 스크류(131)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스크류(131) 외면과 치 결합한 가압편(133)이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그 회전방향으로 존재하는 연장가이드(120)의 절곡된 일측과 면접하여 상기 가압편(133)의 회전이 제한되며,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상기 스크류(131)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가압편(133)은 상기 연장가이드(120)와 면접한 상태로 상승 또는 하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user rotates the screw 131 using a tool to fix the body 110 to the desk 10, the pressure piece 133 coupl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w 131 rotates together. The rotation of the pressure piece 133 is limited by interviewing the bent side of the extension guide 120 existing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and when the screw 131 is continuously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rotation is restricted, the pressure piece ( 133) is to be raised or lowered in a state of interview with the extension guide 120.

이를 통해, 데스크(10)의 두께(H1,H2)가 서로 상이한 경우라도 스크류(131)의 회전에 의해 가압편(133)이 해당 데스크(10) 하면을 가압함과 동시에 플랜지(112) 하면은 데스크(10) 상면을 함께 가압하여 몸체(110)의 고정설치가 가능하게 된다.Through this, even when the thicknesses H1 and H2 of the desk 1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pressing piece 133 presses the low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desk 10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131,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112 By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desk 10 together, the fixed installation of the body 110 is possible.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200)는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매립브라켓(100)에 관통 삽입되어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데스크(10) 주변에 존재하는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연결되어 해당 전자기기에 필요한 상용전원(필요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단말기(20)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부몸체(210), 상부몸체(220) 및 힌지수단(230)을 포함한다.And, as shown in FIGS. 6 to 11, the power supply unit 200 is inser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embedded bracket 100 to receive external power, and plugs of electronic devices existing around the desk 10 are connected. It is configured to allow the commercial power (required power) required for the electronic device to be applied and to charge the mobile terminal 20 possessed by the user at the same time, and the lower body 210, the upper body 220 and It includes a hinge means 230.

예컨대 하부몸체(210)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기둥형상으로 성형되어 삽입공(111) 내측으로 관통 삽입되되 상부에는 힌지수단(230)에 의해 상부몸체(22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하부에는 전자기기에 상용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원플러그(211)가 소정길이를 갖도록 구비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6 to 9, the lower body 210 is molded into a column shape as a whole and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1, but the upper body 220 is rotated by the hinge means 230 at the top Possibly coupled, at the bottom, a power plug 211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for applying commercial power to electronic devices is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하부몸체(210) 상부에는 회전하는 상부몸체(220)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되 전자기기에 구비된 플러그가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콘센트(212)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콘센트(212)와 근접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단자(213)가 형성된다.The upper part of the lower body 210 is opened and closed by the rotating upper body 220, and at least one outlet 212 is provided to electrically couple the plug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nd is provided in close proximity to the outlet 212. Thus, at least one charging terminal 213 is formed.

이때, 충전단자(213)는 통상의 USB 단자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harging terminal 213 preferably has a shape of a normal USB terminal.

하부몸체(210) 외면 즉, 상기 하부몸체(210)가 삽입공(111)에 관통 삽입된 이후에 몸체(110)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형성부(116)와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탄성력을 갖는 락킹돌기(214)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기어형성부(116)의 형상에 따라 상기 하부몸체(210)가 상기 몸체(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단계별 회전이 가능하게 한다.A locking protrusion having elasticit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body 210, that is, the surface facing each other with the gear forming part 116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0 after the lower body 210 is penetra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1 At least one 214 is formed to enable stepwise rotation of the lower body 210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body 11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gear forming part 116 .

아울러, 하부몸체(210) 하면에는 단계별로 회전시에 안정적으로 회전하되 그 회전반경이 제한될 수 있게 상술한 회전돌기(114)가 삽입되는 원형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안내홈(215)이 형성된다.In addi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ody 210, a rotation guide groove 215 formed in a circular belt shape into which the above-described rotation protrusion 114 is inserted so that the rotation radius can be limited while rotating stably in stages is formed. do.

이때, 회전안내홈(215) 내측에는 상기 회전안내홈(215)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돌기(114)가 면접하여 하부몸체(210)의 회전반경을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스토퍼(2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216)의 형성을 통해 상기 하부몸체(210)와 상부몸체(220)가 케이블 등을 통해 서로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side the rotation guide groove 215, a plurality of stoppers 216 that can control the rotation radius of the lower body 210 by interviewing the rotating protrusion 114 that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guide groove 215 and rotates It is formed, it is preferable to enable the lower body 210 and the upper body 22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stopper 216 through a cable or the like.

아울러, 회전안내홈(215)을 따라 회전하는 하부몸체(210)의 회전반경은 임의의 중심점(P)을 기준으로 한 쌍의 스토퍼(216)에 의해 최대 340도의 회전반경을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부몸체(210) 하부에 구비된 전원플러그(211)의 꼬임에 의한 파손 등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otation radius of the lower body 210 rotating along the rotation guide groove 215 has a rotation radius of up to 340 degrees by a pair of stoppers 216 based on an arbitrary center point (P), the lower Damage caused by twisting of the power plug 211 provided under the body 210 can be prevented.

또한, 상부몸체(2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수단(230)을 통해 하부몸체(210) 일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이동단말기(20)의 충전 및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무선충전수단(221) 및 거치대(223)를 포함한다.In addition, as shown, the upper body 220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body 210 through the hinge means 230, but charging and mounting the mobile terminal 20 Wireless charging in a configuration for enabling A means 221 and a cradle 223 are included.

여기서, 무선충전수단(221)은 상부몸체(220) 내부에 구비되어 거치대(223)에 거치된 이동단말기(20)의 근접을 통해 충전이 가능하게 한다.Here, the wireless charging means 221 is provided inside the upper body 220 to enable charging through proximity of the mobile terminal 20 mounted on the holder 223.

이때, 무선충전수단(221)은 통상의 전자기 유도방식을 이용하여 이동단말기(20)의 충전이 가능하게 하되 상술한 충전단자(2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기판 형태의 제어판넬(미도시)을 통해 전자기를 발생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받으며, 해당 제어판넬에 공급되는 전력은 하부몸체(210) 하부에 구비된 전원플러그(211)를 통해 인가된 외부전원을 정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wireless charging means 221 enables charging of the mobile terminal 20 using a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but a control panel (not shown) in the form of a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213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rectify and use the external power applied through the power plug 211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lower body 210 as the power supplied to the control panel.

아울러, 거치대(223)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몸체(220) 상면 일부가 회전가능하게 절개되어 그 회전에 의해 이동단말기(20)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radle 223 is cut so that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220 can rotate so that the mobile terminal 20 can be mounted by its rotation.

하여, 사용자는 거치대(223)를 통해 이동단말기(20)를 거치한 상태에서 영상이나 음악을 감상함과 동시에 무선충전수단(221)을 통해 충전이 함께 병행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해당 이동단말기(20)의 충전은 필요에 따라 충전단자(213)에 충전케이블을 연결하여 충전하는 것도 가능하다.Thus, the user enjoys video or music while holding the mobile terminal 20 through the cradle 223 and at the same time charges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means 221. (20) can be charged by connecting a charging cable to the charging terminal 213 if necessary.

또한, 힌지수단(23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몸체(220)가 하부몸체(210)와 단계별 회전이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돌기부재(231), 제2돌기부재(235) 및 탄성체(239)를 포함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hinge means 230 is configured to enable the upper body 220 to rotate with the lower body 210 in stages, and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31 ), a second protruding member 235 and an elastic body 239.

제1돌기부재(231)는 상부몸체(220) 일측에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제1돌기(233)가 방사상으로 다수 돌출형성된다.A pair of first protrusion members 231 ar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on one side of the upper body 220, but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33 are radially protruded on surfaces facing each other.

제2돌기부재(235)는 외면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 제2돌기(237)가 한 쌍의 제1돌기(233)와 각각 서로 면접할 수 있도록 하부몸체(210) 일측에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되 상기 제2돌기부재(235)는 코일스프링 형태의 탄성체(239)에 의해 탄성 복원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몸체(210)에 구비된다.The second protrusion member 235 is provided with a pair symmetrical to each other on one side of the lower body 210 so that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237 radial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can face each other with the pair of first protrusions 233. However,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235 is provided on the lower body 210 so as to be elastically restored by an elastic body 239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하여, 제1 및 제2돌기(233,237)가 서로 면접한 상태에서 상부몸체(220)를 회전시키면 상기 상부몸체(220)에 고정되게 형성된 상기 제1돌기(233)가 탄성체(239)에 의해 전후방으로 탄성 복원되는 상기 제2돌기(237)의 형상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몸체(220)의 단계별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us, when the upper body 220 is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ons 233 and 237 face each other, the first projection 233 formed to be fixed to the upper body 220 moves forward and backward by the elastic body 239. As it rotates along the shape of the second protrusion 237 that is elastically restored, the upper body 220 can be rotated step by step.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립콘센트(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스크(10)에 매립브라켓(100)을 우선적으로 설치 후, 상기 매립브라켓(100)에 전원공급부(200)가 관통할 수 있게 삽입설치하여 사용하되, 고정수단(130)을 통해 데스크(10)의 두께와 상관 없이 전원공급부(200)가 단계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매립브라켓(100)을 데스크(10)에 고정 설치함과 동시에 상부몸체(220)에 구비된 무선충전수단(221) 또는 충전단자(213)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이동단말기(20)가 거치대(223)에 거치된 상태로 이동단말기(20)의 실행과 동시에 충전을 구현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uried outle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2 differently from the prior art, first installs the embedded bracket 100 on the desk 10, then the embedded bracket 100 The embedded bracket 100, which is inserted and installed so that the power supply unit 200 can pass through, but the power supply unit 200 is rotatably coupled in stages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desk 10 through the fixing means 130 is fixed to the desk 10, and at the same time, the mobile terminal 20 is mounted on the cradle 223 through either the wireless charging means 221 or the charging terminal 213 provided in the upper body 220 As a result, the mobile terminal 20 has an effect of realizing charging simultaneously with execu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will be said that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all modifications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se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 충전이 가능한 데스크 설치용 매립콘센트
100: 매립브라켓
110: 몸체 111: 삽입공
112: 플랜지 113: 조절공
114: 회전돌기 115: 마모방지돌기
116: 기어형성부 120: 연장가이드
130: 고정수단 131: 스크류
133: 가압편
200: 전원공급부
210: 하부몸체 211: 전원플러그
212: 콘센트 213: 충전단자
214: 락킹돌기 215: 회전안내홈
216: 스토퍼 220: 상부몸체
221: 무선충전수단 223: 거치대
230: 힌지수단 231: 제1돌기부재
233: 제1돌기 235: 제2돌기부재
237: 제2돌기 239: 탄성체
10: 데스크
11: 설치공
20: 이동단말기
H1,H2: 데스크 상판의 두께
1: Embedded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capable of charg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embedded bracket
110: body 111: insertion hole
112: flange 113: adjusting hole
114: rotating protrusion 115: anti-wear protrusion
116: gear forming unit 120: extension guide
130: fixing means 131: screw
133: pressing piece
200: power supply unit
210: lower body 211: power plug
212: outlet 213: charging terminal
214: locking protrusion 215: rotation guide groove
216: stopper 220: upper body
221: wireless charging means 223: cradle
230: hinge means 231: first protrusion member
233: first projection 235: second projection member
237: second projection 239: elastic body
10: Desk
11: Installer
20: mobile terminal
H1,H2: Thickness of the desk top

Claims (9)

데스크(10)에 천공형성된 설치공(11)에 삽입 설치되는 매립브라켓(100); 및
상기 매립브라켓(10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다른 전자기기에 인가가능한 콘센트(212)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외면에 거치된 이동단말기(20)의 충전을 위한 무선충전수단(221)이 구비된 전원공급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충전이 가능한 데스크 설치용 매립콘센트.
A buried bracket 100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11 perforated in the desk 10; and
An outlet 212 rotatably coupled to the embedded bracket 100 and capable of receiving external power and applying to other electronic devices is provided, and a wireless charging means for charging the mobile terminal 20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is provided inside. A buried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capable of charging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200 equipped with (2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브라켓(100)은
외면이 설치공(11) 내면과 형상맞춤으로 결합하되 상부에는 데스크(10) 상면에 안착하며, 상기 전원공급부(200)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공(111)이 천공 형성된 플랜지(112)가 구비된 몸체(110);
상기 몸체(110) 하면과 이어지게 하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되 일면은 상기 전원공급부(200)와 끼움 결합하는 연장가이드(120); 및
상기 플랜지(112)를 관통하여 상기 연장가이드(120) 타면까지 회전가능하게 관통 삽입되되 그 회전방향에 따라 데스크(10) 하면을 가압 또는 해지하여 상기 몸체(110)를 고정 또는 해지시키는 고정수단(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충전이 가능한 데스크 설치용 매립콘센트.
According to claim 1,
The buried bracket 100 is
The outer surface is combin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hole 11 in a form-fitting manner, but the upper par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sk 10, and the flange 112 is formed with a perforated insertion hole 111 into which the power supply unit 200 is rotatably inserted. Equipped body 110;
At least one extension guide 120 protruding downward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10, one surface of which is fitted with the power supply unit 200; and
A fixing means that is rotatably inserted through the flange 112 to the other surface of the extension guide 120 and pressurizes or releases the lower surface of the desk 10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to fix or release the body 110 ( 130); A buried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capable of charging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30)은
상기 플랜지(112)에 천공 형성된 조절공(113)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연장가이드(120) 타면까지 이어지는 스크류(131); 및
상기 스크류(131) 외면과 서로 치(齒) 결합하여 상기 스크류(131)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하되 그 승강에 의해 데스크(10) 하면을 가압 또는 해지하는 가압편(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충전이 가능한 데스크 설치용 매립콘센트.
According to claim 2,
The fixing means 130 is
a screw 131 inserted through the adjustment hole 113 formed in the flange 112 and extending to the other surface of the extension guide 120; and
A pressing piece 133 that is coupl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w 131 and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crew 131 and presses or releases the lower surface of the desk 10 by the lift. A buried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that can charge mobile terminal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가이드(120)는
승강하는 상기 가압편(133)의 회전각도를 제한시키기 위해 양측이 소정각도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조절공(113)은 절곡 형성된 상기 연장가이드(120) 양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편향되게 천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충전이 가능한 데스크 설치용 매립콘센트.
According to claim 3,
The extension guide 120 is
Both sides ar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lifting piece 133,
The control hole 113 is a buried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capable of charging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foration is formed to be biased in one direction of both sides of the extension guide 120 formed by bend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12) 상면에는
상기 전원공급부(20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전원공급부(200)에 삽입되는 회전돌기(114)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충전이 가능한 데스크 설치용 매립콘센트.
According to claim 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112
A buried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capable of charging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protrusion 114 inserted into the power supply unit 200 protrudes upward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power supply unit 20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12) 상면에는
상기 삽입공(11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마모방지돌기(115)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충전이 가능한 데스크 설치용 매립콘센트.
According to claim 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112
A buried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capable of charging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anti-wear protrusions 115 protrude radially from the insertion hole 1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200)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매립브라켓(10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하부에는 전원플러그(211)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전원플러그(2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콘센트(212) 또는 충전단자(2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된 하부몸체(210); 및
상기 하부몸체(210) 일측과 힌지수단(23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그 회전에 의해 상기 콘센트(212)를 개폐하되 내부에는 상기 무선충전수단(221)이 구비된 상부몸체(220);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충전수단(221)의 동작에 필요한 필요전원은 전원플러그(211)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정류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충전이 가능한 데스크 설치용 매립콘센트.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supply unit 200
It is formed in a column shape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mbedded bracket 100, but a power plug 211 is provided at the bottom, and one of the outlet 212 or the charging terminal 213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plug 211 is provided at the top. A lower body 210 provided with at least one; and
An upper body 220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body 210 by a hinge means 230 and opens and closes the outlet 212 by its rotation, but has the wireless charging means 221 inside; Including,
The required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eans 221 is a buried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capable of charging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applied through the power plug 211 is rectified and us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210)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매립브라켓(10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락킹돌기(214); 및
상기 매립브라켓(100)과 상기 락킹돌기(214)가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매립브라켓(100)이 삽입되어 상기 하부몸체(210)가 소정의 회전반경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회전안내홈(215);을 포함하되,
상기 락킹돌기(214)는 상기 매립브라켓(100)에 띠 형태로 형성된 기어형성부(116)를 따라 그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부몸체(210)가 단계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회전안내홈(215)의 회전반경은 스토퍼(216)에 의해 최대 340도의 회전각도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충전이 가능한 데스크 설치용 매립콘센트.
According to claim 7,
The lower body 210 is
a locking protrusion 214 detachably coupled to the embedded bracket 100 by an elastic force; and
Rotation guide groove 215 for guiding the lower body 210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rotation radius by inserting the embedded bracket 100 in a state where the embedment bracket 100 and the locking protrusion 214 are coupled to each other. ); including,
The locking protrusion 214 allows the lower body 210 to rotate step by step by its elastic force along the gear forming part 116 formed in the form of a belt on the embedded bracket 100,
A buried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capable of charging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radius of the rotation guide groove 215 has a rotation angle of up to 340 degrees by the stopper 2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220)는
상기 힌지수단(230)에 의해 단계별로 각도가 가변되게 회전하되 외면에는 이동단말기(20)가 거치되는 거치대(223)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충전이 가능한 데스크 설치용 매립콘센트.
According to claim 7,
The upper body 220 is
A buried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capable of charging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radle 223 on which the mobile terminal 20 is mounted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while being rotated at a variable angle step by step by the hinge means 230.
KR1020210171957A 2021-12-03 2021-12-03 Recessed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that can charge mobile devices KR1026449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957A KR102644915B1 (en) 2021-12-03 2021-12-03 Recessed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that can charge mobile devices
PCT/KR2021/018507 WO2023101076A1 (en) 2021-12-03 2021-12-08 Buried electrical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capable of charging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957A KR102644915B1 (en) 2021-12-03 2021-12-03 Recessed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that can charge mobile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706A true KR20230083706A (en) 2023-06-12
KR102644915B1 KR102644915B1 (en) 2024-03-06

Family

ID=86612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957A KR102644915B1 (en) 2021-12-03 2021-12-03 Recessed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that can charge mobile device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4915B1 (en)
WO (1) WO2023101076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186Y1 (en) * 2002-04-30 2002-07-26 박영덕 a rotary outlet
KR20190099942A (en) * 2018-02-20 2019-08-28 주식회사 웰바스 Table mounted multi outlet device
KR20210002128U (en) * 2020-03-17 2021-09-27 (주)더모운 Furniture concent with easily couplable locking r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601394A (en) * 2014-06-26 2016-01-01 道格拉斯 J 伍斯特曼 Power receptacle assembly
KR101825003B1 (en) * 2017-06-30 2018-02-02 김훈이 Multi concent equipped with wireless charger
KR20210035432A (en) *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비아이에스 Automatic in and out apparatus of Multi Conc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186Y1 (en) * 2002-04-30 2002-07-26 박영덕 a rotary outlet
KR20190099942A (en) * 2018-02-20 2019-08-28 주식회사 웰바스 Table mounted multi outlet device
KR20210002128U (en) * 2020-03-17 2021-09-27 (주)더모운 Furniture concent with easily couplable locking 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1076A1 (en) 2023-06-08
KR102644915B1 (en) 202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4211B2 (en) Power and communications grommet
CN211790794U (en) Socket induction charging device
KR101825003B1 (en) Multi concent equipped with wireless charger
US9782003B2 (en) Rotating wall mount for display device
WO2016062219A1 (en) Bracket-type wireless charger
CN104786955B (en) A kind of automotive seat universal mount
KR101208860B1 (en) Stand for holding a smal electronics
CN107404091B (en) Wire clamp
US20170295923A1 (en) Rotary support and table assembly
KR20230083706A (en) Recessed outlet for desk installation that can charge mobile devices
US8184451B2 (en) Fixing structure for electronic card
CN210016308U (en) Hidden wireless charger and desk
JP2016024988A (en) Plug holding device
CA3008618C (en) Rotating wall mount for display device
CN214822690U (en) Intelligent charging station
CN217736798U (en) Supporting structure and flow adjusting machine
JP4568072B2 (en) Table wiring structure
AU2017101218A4 (en) Power strip
CN104183980A (en) Socket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falling of plug
CN214754541U (en) Electric automobile discharging gun and power supply plugboard integrated device
CN220342073U (en) Charging device
CN219322564U (en) Magnetic Bluetooth sound installation structure
CN208142483U (en) A kind of Multifunction wall plate
KR102074652B1 (en) Table having wireless recharger
KR101800675B1 (en) Desk able to moving a conc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