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3553A - 검색 결과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검색 결과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3553A
KR20230083553A KR1020210171661A KR20210171661A KR20230083553A KR 20230083553 A KR20230083553 A KR 20230083553A KR 1020210171661 A KR1020210171661 A KR 1020210171661A KR 20210171661 A KR20210171661 A KR 20210171661A KR 20230083553 A KR20230083553 A KR 20230083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answer
query
ord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근재
이원문
정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음에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음에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음에이아이
Priority to KR1020210171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3553A/ko
Publication of KR20230083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5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3Query optimisation
    • G06F16/24532Query optimisation of paralle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3Query optimisation
    • G06F16/24534Query rewriting; Transformation
    • G06F16/24547Optimisations to support specific applications; Extensibility of optim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5Query execution
    • G06F16/24564Applying rules; Deductive queries
    • G06F16/24566Recursive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질의에 따라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변경하여 답변을 검색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은, 질의 문자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질의 문자열에 대한 응답의 검색에 사용되는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사용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검색 방식들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질의 문자열에 대한 답변인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을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검색 결과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providing search results}
본 발명은 질의에 따라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변경하여 답변을 검색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단말들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은 기본적인 음성 통신 기능에서 더 나아가 최근에는 데이터 통신,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음악 또는 동영상 파일 재생, 게임, 방송 시청 등 다양한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말을 통하여 질의를 시스템상에 업로드함으로써 답을 얻고자 하는 사용자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른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일 예로 다수의 서비스 제공 업체들이 상담사에 의한 답변을 제공하는 방식에서 사용자가 검색을 통해 원하는 답변을 검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방식의 도입에 따라 사용자의 검색 과정이 복잡해지고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이와 같은 답변을 검색하는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의 검색에도 불구하고 질의 사항과 무관한 답변이 제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질의에 따라 복수의 검색 방식(또는 검색 엔진)의 사용 순서를 변경하여 답변을 검색하고, 그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정확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질의에 따라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변경하여 답변을 검색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은, 질의 문자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질의 문자열에 대한 응답의 검색에 사용되는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사용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검색 방식들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질의 문자열에 대한 답변인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을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은 상기 질의 문자열을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복수의 질의 응답 세트들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검색 방식들 각각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질의 응답 세트들에 포함된 질의들에 대한 답변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답변들과 상기 복수의 질의 응답 세트들에 포함된 답변들과의 유사도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검색 방식들 각각에 대한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합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질의 분야들 별 질의 응답 세트들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질의 분야들 각각에 대한 상기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질의 문자열에 기반하여 상기 질의의 질의 분야를 결정하는 단계; 및 기 결정된 질의 분야 별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들 중 상기 질의 분야에 대응되는 사용 순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인된 사용 순서는 제1 검색 방식 및 제2 검색 방식을 순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을 검색하는 단계는 제1 검색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질의 문자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답변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답변 중 정확도가 임계 값을 초과하는 답변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검색 방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답변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답변 중 정확도가 임계 값을 초과하는 답변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검색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질의 문자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답변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으로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 순서에 따른 잔여 검색 방식들을 이용하여 상기 질의 문자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답변을 검색하고, 검색된 답변의 정확도가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검색 방식에 대한 적합도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은 상기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확인 된 사용 순서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 순서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질의 문자열을 송신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프로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 순서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질의 문자열을 수신한 시각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 순서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의에 따라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변경하여 답변을 검색하는 검색 결과 제공 서버는, 질의 문자열을 수신하고, 상기 질의 문자열에 대한 응답의 검색에 사용되는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검색 방식들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질의 문자열에 대한 답변인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을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을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복수의 질의 응답 세트들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검색 방식들 각각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질의 응답 세트들에 포함된 질의들에 대한 답변들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답변들과 상기 복수의 질의 응답 세트들에 포함된 답변들과의 유사도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검색 방식들 각각에 대한 적합도를 산출하고, 상기 적합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복수의 질의 분야들 별 질의 응답 세트들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질의 분야들 각각에 대한 상기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질의 문자열에 기반하여 상기 질의의 질의 분야를 결정하고, 기 결정된 질의 분야 별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들 중 상기 질의 분야에 대응되는 사용 순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된 사용 순서는 제1 검색 방식 및 제2 검색 방식을 순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제1 검색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질의 문자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답변을 검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답변 중 정확도가 임계 값을 초과하는 답변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검색 방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답변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으로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답변 중 정확도가 임계 값을 초과하는 답변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검색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질의 문자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답변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 순서에 따른 잔여 검색 방식들을 이용하여 상기 질의 문자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답변을 검색하고, 검색된 답변의 정확도가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검색 방식에 대한 적합도 보정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확인 된 사용 순서를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는 상기 질의 문자열을 송신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프로필 및 상기 질의 문자열을 수신한 시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 순서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질의에 따라 복수의 검색 방식(또는 검색 엔진)의 사용 순서를 변경하여 답변을 검색하고, 그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정확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별 질의 분야에 보다 부합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서버(100)가 분야 별로 검색 방식의 사용 순서를 결정함에 있어서 사용하는 질의 응답 세트들(410, 420, 43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가 복수의 검색 방식들(SE_1, SE_2, SE_3)을 이용하여 답변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가 답변의 적합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분야 별 검색 방식들의 예시적인 사용 순서(5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가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에 검색 결과가 표시된 화면(6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에 의해 수행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은 질의의 내용 및/또는 분야에 따라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변경하여 답변을 검색할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은 질의의 분야가 제1 분야일 때와 질의의 분야가 제2 분야일 때, 해당 질의에 대한 답변을 검색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검색 방식들의 순서(또는 우선순위)를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검색 방식'은 기 저장된 데이터(또는 기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의 질의와 관련된 데이터를 찾는 방식을 의미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색 방식은 가령 키워드의 유사도, 즉 질의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와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 간의 유사도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검색하는 키워드 매칭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색 방식은 질의에 포함된 형태소의 수량, 형태소의 카테고리 별 수량 및 형태소의 카테고리와 데이터에 포함된 형태소의 수량, 형태소의 카테고리 별 수량 및 형태소의 카테고리 간의 유사도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검색하는 형태소 기준 매칭 방식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검색 방식은 질의와 데이터 각각을 벡터화 하고, 벡터 간의 유사도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검색하는 벡터 매칭 방식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방식들은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검색 방식'과 '검색 엔진'은 모두 검색 방식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제1 검색 방식과 제2 검색 방식과 같은 기재는 양자의 검색 방식이 상이함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1 검색 엔진과 제2 검색 엔진과 같은 기재도 양자의 검색 방식이 상이함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통신망(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에 의해 제공되는 질의응답 제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와 서버(100)를 매개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질의 및 그에 대한 답변과 관련된 데이터를 서버(100)와 송수신 하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201, 202, 203)을 의미할 수도 있고, 컴퓨터(204)를 의미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콘텐츠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이러한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입력수단 및 표시수단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가령 입력수단은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마이크, 버튼, 터치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300)은 시스템의 각 구성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하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통신망(300)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질의의 내용 및/또는 분야에 따라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변경하여 답변을 검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및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입/출력부, 프로그램 저장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외부장치(미도시)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30)는 서버(10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메모리(130)는 분야 별 질의 응답 세트들에 해당하는 데이터들을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서버(100)가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분야 별 질의 응답 세트들에 기반하여 분야 별로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분야'는 질의 및/또는 질의 응답이 속하는 카테고리를 의미하는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이 사용되는 분야에 따라 결정되는 것 일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이 금융 업무 처리 분야에 사용되는 경우, 분야는 '신규 상품 가입', '사용자 인증', '이체', '조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서버(100)가 분야 별로 검색 방식의 사용 순서를 결정함에 있어서 사용하는 질의 응답 세트들(410, 420, 43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에는 분야 별 질의 응답 세트들(410, 420, 430)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가령 서버(100)에는 첫 번째 분야에 대한 질의 응답 세트들(410), 두 번째 분야에 대한 질의 응답 세트들(420) 및 N 번째 분야에 대한 질의 응답 세트들(430)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질의 응답 세트들(410, 420, 430)은 신규 상품 가입 분야에 해당하는 질의 응답 세트들, 사용자 인증 분야에 해당하는 질의 응답 세트들 및 이체 분야에 해당하는 질의 응답 세트들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질의 응답 세트는 질의와 그에 대한 응답이 서로 매칭된 형태의 데이터 일 수 있다. 가령 첫 번째 분야에 대한 질의 응답 세트들(410)은 질의들(411)과 응답들(412)을 포함하며, 질의들(411)과 응답들(412)은 서로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복수의 검색 방식들 각각을 이용하여 복수의 질의 응답 세트들에 포함된 질의들에 대한 답변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가 복수의 검색 방식들(SE_1, SE_2, SE_3)을 이용하여 답변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가 답변의 적합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복수의 검색 방식들(SE_1, SE_2, SE_3) 각각을 이용하여 복수의 질의 응답 세트들에 포함된 질의들에 대한 답변들을 생성할 수 있다. 가령 서버(100)는 복수의 검색 방식들(SE_1, SE_2, SE_3) 각각을 이용하여 첫 번째 분야에 대한 질의 응답 세트들(410)에 포함된 질의들(411)에 대한 답변들(430, 440, 450)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복수의 검색 방식들(SE_1, SE_2, SE_3) 각각이 첫 번째 분야에 대한 질의 응답 세트들(410)에 포함된 모든 질의들(411)에 대한 답변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성된 답변들(430, 440, 450) 각각은 첫 번째 분야에 대한 질의 응답 세트들(410)에 포함된 모든 질의들(411)에 대한 답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생성된 답변들(430, 440, 450)과 첫 번째 분야에 대한 질의 응답 세트들(410)에 포함된 응답들(412)과의 유사도에 기반하여 복수의 검색 방식들 각각의 해당 질의 분야에 대한 적합도(460)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양자에 포함된 키워드의 일치 정도에 기반하여 유사도를 산출할 수도 있고, 각각으로부터 생성된 특징 벡터의 거리에 기반하여 유사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방식은 예시적인것으로, 텍스트 콘텐츠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방식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상술한 과정에 따라 산출된 적합도(460)에 기반하여 첫 번째 분야에 대한 질의 응답 세트들(410)이 속하는 분야에 대한 복수의 검색 방식들(SE_1, SE_2, SE_3)의 사용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분야 별 검색 방식들의 예시적인 사용 순서(500)를 도시한 도면이다.
가령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는 첫 번째 분야에 대한 질의 응답 세트들(410)로부터, 첫 번째 분야에 해당하는 질의에 대해서는 10 번째 검색 방식, 3 번째 검색 방식, 6 번째 검색 방식, 2 번째 검색 방식을 사용하는 순서(510)로 검색 방식의 사용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서버(100)는 두 번째 분야에 대한 질의 응답 세트들(420)로부터 두 번째 분야에 해당하는 질의에 대한 검색 방식의 순서를, 세 번째 분야에 대한 질의 응답 세트들(430)로부터 세 번째 분야에 해당하는 질의에 대한 검색 방식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과정에 따라 각 분야 별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500)가 미리 결정되어 있음을 전제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답변을 요하는 질의 문자열을 수신할 수 있다. 가령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질의 문자열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OTP 등록 방법이 궁금합니다"와 같은 질의 문자열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질의 문자열을 수신함에 따라, 질의 문자열에 대한 응답의 검색에 사용되는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질의 문자열의 내용에 기반하여 질의의 분야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질의 분야 별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들 중 질의 분야에 대응되는 사용 순서를 확인할 수 있다. 가령 서버(100)는 질의의 분야를 '신규 상품 가입 분야'로 결정하고, 결정된 분야에 해당하는 순서인 'SE_10, SE_3, SE_6, SE_2,..'를 사용 순서로써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상술한 과정에 따라 확인 된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질의 문자열을 송신한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의 프로필에 기초하여 사용 순서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질의 문자열을 수신한 시각에 기반하여 사용 순서를 보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의 질의 응답 과정에 따라 발생 된 적합도 보정치를 이용하여 사용 순서를 보정할 수도 있다. '적합도 보정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확인된 사용 순서에 따라 복수의 검색 방식들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질의 문자열에 대한 답변인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가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가령 전술한 예시에서와 같이, 서버(100)가 질의(Q1)의 분야를 신규 상품 가입 분야'로 결정하고, 결정된 분야에 해당하는 순서인 'SE_10, SE_3, SE_6, SE_2,..'를 사용 순서로써 확인한 경우를 가정해보자.
상술한 가정 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순서에 따른 가장 첫 번째 검색 방식인 10 번째 검색 방식(SE_10)을 이용하여 질의(Q1)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답변(520)을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답변(520) 중 정확도가 임계 값을 초과하는 답변이 존재하는 경우, 10 번째 검색 방식(SE_10)을 이용하여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답변(520)을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두 번째 답변에 대한 정확도(Accuracy_10_2)가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답변(520) 전체를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10 번째 검색 방식(SE_10)을 이용하여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답변(520) 중 정확도가 임계 값을 초과하는 답변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순서에 따른 두 번째 검색 방식인 3 번째 검색 방식(SE_3)을 이용하여 질의(Q1)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답변(530)을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질의(Q1)와 적어도 하나의 답변(530)에 포함된 키워드의 일치 정도에 기반하여 정확도를 산출할 수도 있고, 각각으로부터 생성된 특징 벡터의 거리에 기반하여 정확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00)는 미리 생성된 소정의 인덱스에 기반하여 정확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방식은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상술한 과정에 따라 순서에 따른 검색 방식들을 순차적으로 사용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상술한 과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이 결정된 이후에도, 적합도 보정치의 산출을 위해 상술한 과정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바꾸어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사용 순서에 따른 잔여 검색 방식들을 이용하여 질의(Q1)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답변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검색된 답변의 정확도가 소정의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검색 방식에 대한 적합도 보정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적합도 보정치는 도 5에서 서버(100)가 특정 분야에 대해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결정함에 있어서 참조되는 항목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검색 결과가 결정된 이후에도, 차순위 검색 방식을 이용한 검색을 마저 수행함으로써 검색 방식이 사용되는 순서의 적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을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가령 서버(100)는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에 검색 결과가 표시된 화면(6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질의 문자열 및 그에 대한 검색 결과(610, 620) 각각이 채팅방에서 메시지의 형태로 표시되도록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적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제공 답변을 검색한 검색 방식과 상이한 검색 방식에 의한 검색 결과(620)를 제공 답변을 검색한 검색 방식에 의한 검색 결과(610)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추가적인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이한 검색 방식을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가령 서버(100)는 질의가 속하는 분야에 대한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에서 가장 첫 순서에 해당하는 검색 방식을 추가적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질의가 속하는 분야에 대한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에서, 제공 답변을 제공한 검색 방식 이후의 검색 방식으로써 정확도가 제공 답변을 제공한 검색 방식 보다 높은 답변을 제공한 검색 방식을 추가적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로써 본 발명은 개별 분야에 보다 부합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에 의해 수행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되, 도 1 내지 도 8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분야 별 질의 응답 세트들에 기반하여 분야 별로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S910)
본 발명에서 '분야'는 질의 및/또는 질의 응답이 속하는 카테고리를 의미하는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이 사용되는 분야에 따라 결정되는 것 일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이 금융 업무 처리 분야에 사용되는 경우, 분야는 '신규 상품 가입', '사용자 인증', '이체', '조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서버(100)가 분야 별로 검색 방식의 사용 순서를 결정함에 있어서 사용하는 질의 응답 세트들(410, 420, 43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에는 분야 별 질의 응답 세트들(410, 420, 430)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가령 서버(100)에는 첫 번째 분야에 대한 질의 응답 세트들(410), 두 번째 분야에 대한 질의 응답 세트들(420) 및 N 번째 분야에 대한 질의 응답 세트들(430)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질의 응답 세트들(410, 420, 430)은 신규 상품 가입 분야에 해당하는 질의 응답 세트들, 사용자 인증 분야에 해당하는 질의 응답 세트들 및 이체 분야에 해당하는 질의 응답 세트들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질의 응답 세트는 질의와 그에 대한 응답이 서로 매칭된 형태의 데이터 일 수 있다. 가령 첫 번째 분야에 대한 질의 응답 세트들(410)은 질의들(411)과 응답들(412)을 포함하며, 질의들(411)과 응답들(412)은 서로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복수의 검색 방식들 각각을 이용하여 복수의 질의 응답 세트들에 포함된 질의들에 대한 답변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가 복수의 검색 방식들(SE_1, SE_2, SE_3)을 이용하여 답변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가 답변의 적합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복수의 검색 방식들(SE_1, SE_2, SE_3) 각각을 이용하여 복수의 질의 응답 세트들에 포함된 질의들에 대한 답변들을 생성할 수 있다. 가령 서버(100)는 복수의 검색 방식들(SE_1, SE_2, SE_3) 각각을 이용하여 첫 번째 분야에 대한 질의 응답 세트들(410)에 포함된 질의들(411)에 대한 답변들(430, 440, 450)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복수의 검색 방식들(SE_1, SE_2, SE_3) 각각이 첫 번째 분야에 대한 질의 응답 세트들(410)에 포함된 모든 질의들(411)에 대한 답변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성된 답변들(430, 440, 450) 각각은 첫 번째 분야에 대한 질의 응답 세트들(410)에 포함된 모든 질의들(411)에 대한 답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생성된 답변들(430, 440, 450)과 첫 번째 분야에 대한 질의 응답 세트들(410)에 포함된 응답들(412)과의 유사도에 기반하여 복수의 검색 방식들 각각의 해당 질의 분야에 대한 적합도(460)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양자에 포함된 키워드의 일치 정도에 기반하여 유사도를 산출할 수도 있고, 각각으로부터 생성된 특징 벡터의 거리에 기반하여 유사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방식은 예시적인것으로, 텍스트 콘텐츠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방식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상술한 과정에 따라 산출된 적합도(460)에 기반하여 첫 번째 분야에 대한 질의 응답 세트들(410)이 속하는 분야에 대한 복수의 검색 방식들(SE_1, SE_2, SE_3)의 사용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분야 별 검색 방식들의 예시적인 사용 순서(500)를 도시한 도면이다.
가령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는 첫 번째 분야에 대한 질의 응답 세트들(410)로부터, 첫 번째 분야에 해당하는 질의에 대해서는 10 번째 검색 방식, 3 번째 검색 방식, 6 번째 검색 방식, 2 번째 검색 방식을 사용하는 순서(510)로 검색 방식의 사용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서버(100)는 두 번째 분야에 대한 질의 응답 세트들(420)로부터 두 번째 분야에 해당하는 질의에 대한 검색 방식의 순서를, 세 번째 분야에 대한 질의 응답 세트들(430)로부터 세 번째 분야에 해당하는 질의에 대한 검색 방식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과정에 따라 각 분야 별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500)가 미리 결정되어 있음을 전제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답변을 요하는 질의 문자열을 수신할 수 있다.(S920) 가령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질의 문자열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OTP 등록 방법이 궁금합니다"와 같은 질의 문자열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질의 문자열을 수신함에 따라, 질의 문자열에 대한 응답의 검색에 사용되는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확인할 수 있다. (S9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질의 문자열의 내용에 기반하여 질의의 분야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질의 분야 별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들 중 질의 분야에 대응되는 사용 순서를 확인할 수 있다. 가령 서버(100)는 질의의 분야를 '신규 상품 가입 분야'로 결정하고, 결정된 분야에 해당하는 순서인 'SE_10, SE_3, SE_6, SE_2,..'를 사용 순서로써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상술한 과정에 따라 확인 된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보정할 수 있다.(S9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질의 문자열을 송신한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의 프로필에 기초하여 사용 순서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질의 문자열을 수신한 시각에 기반하여 사용 순서를 보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의 질의 응답 과정에 따라 발생 된 적합도 보정치를 이용하여 사용 순서를 보정할 수도 있다. '적합도 보정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확인된 사용 순서에 따라 복수의 검색 방식들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질의 문자열에 대한 답변인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을 결정할 수 있다.(S95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가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가령 전술한 예시에서와 같이, 서버(100)가 질의(Q1)의 분야를 신규 상품 가입 분야'로 결정하고, 결정된 분야에 해당하는 순서인 'SE_10, SE_3, SE_6, SE_2,..'를 사용 순서로써 확인한 경우를 가정해보자.
상술한 가정 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순서에 따른 가장 첫 번째 검색 방식인 10 번째 검색 방식(SE_10)을 이용하여 질의(Q1)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답변(520)을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답변(520) 중 정확도가 임계 값을 초과하는 답변이 존재하는 경우, 10 번째 검색 방식(SE_10)을 이용하여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답변(520)을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두 번째 답변에 대한 정확도(Accuracy_10_2)가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답변(520) 전체를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10 번째 검색 방식(SE_10)을 이용하여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답변(520) 중 정확도가 임계 값을 초과하는 답변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순서에 따른 두 번째 검색 방식인 3 번째 검색 방식(SE_3)을 이용하여 질의(Q1)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답변(530)을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질의(Q1)와 적어도 하나의 답변(530)에 포함된 키워드의 일치 정도에 기반하여 정확도를 산출할 수도 있고, 각각으로부터 생성된 특징 벡터의 거리에 기반하여 정확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00)는 미리 생성된 소정의 인덱스에 기반하여 정확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방식은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상술한 과정에 따라 순서에 따른 검색 방식들을 순차적으로 사용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상술한 과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이 결정된 이후에도, 적합도 보정치의 산출을 위해 상술한 과정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바꾸어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사용 순서에 따른 잔여 검색 방식들을 이용하여 질의(Q1)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답변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검색된 답변의 정확도가 소정의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검색 방식에 대한 적합도 보정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적합도 보정치는 도 5에서 서버(100)가 특정 분야에 대해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결정함에 있어서 참조되는 항목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검색 결과가 결정된 이후에도, 차순위 검색 방식을 이용한 검색을 마저 수행함으로써 검색 방식이 사용되는 순서의 적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을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S960) 가령 서버(100)는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에 검색 결과가 표시된 화면(6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질의 문자열 및 그에 대한 검색 결과(610, 620) 각각이 채팅방에서 메시지의 형태로 표시되도록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적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제공 답변을 검색한 검색 방식과 상이한 검색 방식에 의한 검색 결과(620)를 제공 답변을 검색한 검색 방식에 의한 검색 결과(610)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추가적인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이한 검색 방식을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가령 서버(100)는 질의가 속하는 분야에 대한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에서 가장 첫 순서에 해당하는 검색 방식을 추가적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질의가 속하는 분야에 대한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에서, 제공 답변을 제공한 검색 방식 이후의 검색 방식으로써 정확도가 제공 답변을 제공한 검색 방식 보다 높은 답변을 제공한 검색 방식을 추가적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로써 본 발명은 개별 분야에 보다 부합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서버
110: 통신부
120: 제어부
130: 메모리
200: 사용자 단말
300: 통신망

Claims (10)

  1. 서버가 질의에 따라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변경하여 답변을 검색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에 있어서,
    질의 문자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질의 문자열에 대한 응답의 검색에 사용되는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사용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검색 방식들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질의 문자열에 대한 답변인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을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은
    상기 질의 문자열을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복수의 질의 응답 세트들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검색 방식들 각각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질의 응답 세트들에 포함된 질의들에 대한 답변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답변들과 상기 복수의 질의 응답 세트들에 포함된 답변들과의 유사도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검색 방식들 각각에 대한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합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질의 분야들 별 질의 응답 세트들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질의 분야들 각각에 대한 상기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결정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질의 문자열에 기반하여 상기 질의의 질의 분야를 결정하는 단계; 및
    기 결정된 질의 분야 별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들 중 상기 질의 분야에 대응되는 사용 순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사용 순서는
    제1 검색 방식 및 제2 검색 방식을 순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을 검색하는 단계는
    제1 검색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질의 문자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답변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답변 중 정확도가 임계 값을 초과하는 답변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검색 방식을 이용하여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답변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답변 중 정확도가 임계 값을 초과하는 답변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검색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질의 문자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답변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공 답변으로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 순서에 따른 잔여 검색 방식들을 이용하여 상기 질의 문자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답변을 검색하고, 검색된 답변의 정확도가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검색 방식에 대한 적합도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은
    상기 복수의 검색 방식들의 사용 순서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확인 된 사용 순서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용 순서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질의 문자열을 송신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프로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 순서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질의 문자열을 수신한 시각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 순서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
  10. 컴퓨터를 이용하여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71661A 2021-12-03 2021-12-03 검색 결과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083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661A KR20230083553A (ko) 2021-12-03 2021-12-03 검색 결과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661A KR20230083553A (ko) 2021-12-03 2021-12-03 검색 결과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553A true KR20230083553A (ko) 2023-06-12

Family

ID=8677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661A KR20230083553A (ko) 2021-12-03 2021-12-03 검색 결과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35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4333B2 (en) Combining machine-learning and social data to generate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US10706100B2 (en) Method of and system for recommending media objects
US9418128B2 (en) Linking documents with entities, actions and applications
US9223851B2 (en) Recommending queries when searching against keywords
US20170199943A1 (en) User interface for multivariate searching
US8393002B1 (en) Method and system for testing an entity
US20120284307A1 (en) String Searching Systems and Methods Thereof
US20110202533A1 (en) Dynamic Search Interaction
CN110991187A (zh) 一种实体链接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08153909B (zh) 关键词投放拓词方法、装置及电子设备、存储介质
US9916384B2 (en) Related entities
US20170161391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video recommendation
US7801889B2 (en) Search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keyword input frequency by category and method thereof
CN111159563A (zh) 用户兴趣点信息的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0296635B2 (en) Auditing and augmenting user-generated tags for digital content
KR101970293B1 (ko) 답변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00060993A (ko) 사용자 맞춤형 추천 콘텐츠 정보의 출력 방법
CN112836126A (zh) 基于知识图谱的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30083553A (ko) 검색 결과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5277499B2 (ja) 情報検索装置
US20140372480A1 (en) Interactive content search using comparisons
JP2016110260A (ja) コンテンツ検索結果提供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検索結果提供方法
KR102471063B1 (ko) 답변 제공 장치
JP7088644B2 (ja) 提供装置、提供方法及び提供プログラム
JP698518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