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3411A - System for transaction and management in metaverse service - Google Patents

System for transaction and management in metaverse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3411A
KR20230083411A KR1020210171388A KR20210171388A KR20230083411A KR 20230083411 A KR20230083411 A KR 20230083411A KR 1020210171388 A KR1020210171388 A KR 1020210171388A KR 20210171388 A KR20210171388 A KR 20210171388A KR 20230083411 A KR20230083411 A KR 20230083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metaverse
service
ownership
manag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3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지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딩
Priority to KR1020210171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3411A/en
Publication of KR20230083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4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실시예의 메타버스 서비스 내 동영상 거래 및 활용 시스템은,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을 갖는 소유권자 기기와, 상기 동영상의 소유권자를 식별하기 위한 NFT 구매를 통해 상기 동영상을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소비자 기기와, 상기 동영상의 소유권자를 식별하기 위한 토큰 생성과 관리를 수행하는 블록체인 서버와, 상기 동영상이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구현가능하도록 하면서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구현가능한 동영상의 거래 및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메타버스 운영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버스 운영서버는, 상기 동영상의 소유권을 NFT를 기반으로 하여 관리하는 소유권 관리부와,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의 정보를 관리하는 유저 관리부와,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동영상이 구현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동영상의 소유권을 보유한 유저에 의한 동영상 배포인지 여부를 관리하는 동영상 관리부와,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 동영상이 구현가능하도록 동영상을 처리하는 동영상 구현부를 포함한다. The video transaction and utilization system in the metaverse service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n owner device having ownership of video content and a consumer device that wants to implement the video in the metaverse service through NFT purchase to identify the owner of the video. And, a blockchain server that generates and manages tokens to identify the owner of the video, and allows the video to be implement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while enabling the transaction and utilization of the video that can be implement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It includes a metaverse operating server, wherein the metaverse operating server includes an ownership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ownership of the video based on NFT, a user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information of users using the metaverse service, and the metaverse It includes a video management unit that checks whether a video can be implemented in the service or manages whether the video is distributed by a user who owns the video, and a video implementation unit that processes the video so that the video can be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ervice.

Description

메타버스 서비스 내 동영상 거래 및 활용 시스템{System for transaction and management in metaverse service}Video transaction and utilization system in metaverse service {System for transaction and management in metaverse service}

본 발명은 메타버스 서비스 내 동영상 거래 및 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동영상의 거래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면서, 거래를 통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transaction and utilization system within a metaverse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capable of stably performing video transactions within a metaverse service and providing various services through transaction.

최근 다양한 콘텐츠나 상품 등 다양한 객체들에 대한 자산 가치가 생겨나고, 이를 통해 자산을 관리하거나 투자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과거에 생성된 고대 주화나 예술품과 같은 객체는 실질적인 자산적인 가치를 측정하기 어렵고, 과거에 비해 현 상황에서 자산적인 가치가 급증하여 투자의 대상으로써 관심을 받고 있다.Recently, asset values for various objects such as various contents or products have been created, and through this, the case of managing or investing in assets is increasing.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actual asset value of objects such as ancient coins or works of art created in the past, and their asset value is rapidly increasing compared to the past, attracting attention as an investment target.

이와 같은 고대 주화나 예술품과 같은 객체의 경우, 해당 객체의 자산적인 가치를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제 3 기관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제 3 기관들을 통해 해당 객체의 자산적인 가치가 평가되어 투자를 원하는 고객들에게 안내되고 있다.In the case of objects such as ancient coins or works of art, various third parties exist to determine the asset value of the object. are being guided

또한, 제 3 기관들에 의해 판단된 자산적인 가치를 넘어서 해당 객체를 소유하기 위한 경매 절차를 진행하여 자산적인 가치에 상응하는 가격이 결정되기도 한다.In addition, a price corresponding to the asset value may be determined by proceeding with an auction procedure for owning the object beyond the asset value judged by third parties.

다만, 해당 객체는 자산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어, 타인과의 거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해당 객체를 거래하는 과정에서는 명확한 소유권을 확인 후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를 이용하여 해당 객체에 대한 소유권 정보를 검증하거나 거래할 수 있는 기술이나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However, since the corresponding object has an asset value, it can be a subject of transaction with another person, and in the process of trading the object, a method for clearly confirming ownership and then delivering it is required. To this end, a technology or method capable of verifying or transacting ownership information for a corresponding object using a blockchain-based NFT (NonFungible Token) has been proposed.

메타버스(Metaverse)란, 가상,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세계, 우주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과 연동된 3차원 가상 세계를 의미한다. Metaverse is a compound word of 'meta', which means virtual and transcendence, and 'universe', which means world and universe, and means a three-dimensional virtual world linked to reality.

이러한 메타버스 서비스는 메타버스 환경을 구성하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하는데, 사용자는 이러한 기능을 활용하여, 물리적인 제약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메타버스 환경을 구성하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다양하게 변경시키거나 장식 효과를 적용시킴으로써, 재미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These metaverse services support a function that enables the user to change the interface design constituting the metaverse environment. Users can use these functions to design various interface designs that configure the metaverse environment as the user wants without physical limitations. You can get a sense of fun and satisfaction by changing them to different colors or applying decorative effects.

본 발명은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는 동영상에 대한 거래를 활발히 하고, 특히, 동영상 거래를 위한 소유권을 NFT를 이용하여 명확히 소유권자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의 무단 복제를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동영상의 NFT 소유권자들로 하여금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이윤을 창출하거나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ctively trades for videos that can be implement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and in particular, by enabling ownership for video transactions to be clearly identified by using NFT, unauthorized copying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is prevented. At the same time as preventing it, we would like to propose a system that allows NFT owners of videos to generate profits or provide special services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본 실시예의 메타버스 서비스 내 동영상 거래 및 활용 시스템은,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을 갖는 소유권자 기기와, 상기 동영상의 소유권자를 식별하기 위한 NFT 구매를 통해 상기 동영상을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소비자 기기와, 상기 동영상의 소유권자를 식별하기 위한 토큰 생성과 관리를 수행하는 블록체인 서버와, 상기 동영상이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구현가능하도록 하면서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구현가능한 동영상의 거래 및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메타버스 운영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버스 운영서버는, 상기 동영상의 소유권을 NFT를 기반으로 하여 관리하는 소유권 관리부와,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의 정보를 관리하는 유저 관리부와,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동영상이 구현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동영상의 소유권을 보유한 유저에 의한 동영상 배포인지 여부를 관리하는 동영상 관리부와,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 동영상이 구현가능하도록 동영상을 처리하는 동영상 구현부를 포함한다. The video transaction and utilization system in the metaverse service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n owner device having ownership of video content and a consumer device that wants to implement the video in the metaverse service through NFT purchase to identify the owner of the video. And, a blockchain server that generates and manages tokens to identify the owner of the video, and allows the video to be implement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while enabling the transaction and utilization of the video that can be implement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It includes a metaverse operating server, wherein the metaverse operating server includes an ownership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ownership of the video based on NFT, a user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information of users using the metaverse service, and the metaverse It includes a video management unit that checks whether a video can be implemented in the service or manages whether the video is distributed by a user who owns the video, and a video implementation unit that processes the video so that the video can be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ervice.

그리고, 상기 동영상 관리부는 상기 메타버스 운영서버에 업로드된 동영상 중 소유권이 확인된 동영상들에 대해서 리스트하고, 소비자 기기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동영상의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video managemen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lists videos whose ownership has been confirmed among the videos uploaded to the metaverse operation server, and allows transactions of selected videos to be made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onsumer device.

그리고, 상기 동영상 구현부는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재생 요청이 수신된 동영상에 대해서 해당 동영상에 대한 소유권이 있는지 여부를 상기 소유권 관리부를 통해 확인하고, 해당 동영상의 재생을 요청한 유저가 확인된 소유권자와 일치하는 여부를 상기 유저 관리부를 통해 확인한 다음, 소유권자와 재생을 요청한 유저가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재생 요청된 동영상의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video implementation unit checks whether there is ownership of the video for which the playback request is receiv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through the ownership management unit, and the user who requested playback of the video matches the identified owner. After confirming through the user management unit whether or not to pla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y-requested video is reproduced only when the owner and the user requesting play match.

그리고, 상기 블록체인 서버는, 동영상에 대한 소유권을 나타내는 NFT를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여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NFT 생성부와, 생성된 NFT 정보를 관리하면서 동영상 거래를 위한 NFT 소유권 이전과 관한 상기 소유권자 기기 및 소비자 기기 정보를 저장하는 NFT 관리부와, 블록체인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blockchain server includes an NFT generation unit that serves to generate an NFT representing ownership of a video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and the NFT ownership transfer for video transaction while managing the generated NFT information. It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NFT management unit, which stores the owner's device and consumer device information, and the blockchain network.

그리고, 상기 메타버스 운영서버는,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배포되거나 재생될 수 있는 동영상들에 대한 분류를 수행하고 분류된 동영상들을 유저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이벤트 생성 및 관리부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etaverse operating server further includes an event generation and management unit that classifies videos that can be distributed or play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and allows users to access the classified videos.

제안되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서,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의 동영상 소유권 거래가 가능해지고, 이를 통해 동영상의 무분별한 복제와 배포를 막을 수 있으며, 동영상이라는 콘텐츠의 거래를 유도해 보다 높은 질의 콘텐츠 생산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makes it possible to trade video ownership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thereby preventing indiscriminate copying and distribution of videos, and inducing the production of higher quality content by inducing transaction of video content. There are advantages to being able to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비스 내 동영상 거래 및 활용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구입과,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의 구현에 관한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ideo transaction and utilization system in the metaverse ser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2 to 4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purchasing a video and implementation in a metavers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follows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on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ne embodiment in another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블록들이나 흐름도의 단계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등 데이터 프로세싱이 가능한 장비의 프로세서나 메모리에 탑재되어 지정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instructions)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컴퓨터 장치에 구비된 메모리 또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록도의 블록들 또는 흐름도의 단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이를 수행하는 명령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로 생산될 수도 있다. 아울러,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가능한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정해진 순서와 달리 실행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일부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생략된 채로 수행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locks of the accompanying block diagram or the steps of the flowchart ar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at perform designated functions by being loaded into a processor or memory of a device capable of data processing, such as a general-purpose computer, a special purpose computer, a portable notebook computer, and a network computer.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Since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a memory included in a computer device or in a computer readable memory, the functions described in blocks of a block diagram or steps of a flowchart are produced as a product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m. It could be. Further,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Also, it should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functions mentioned in blocks or steps may be executed out of a predetermined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in reverse order, and in some cases, some blocks or steps may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실행 또는 구현되는 동영상 파일을 메타버스 유저들끼리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메타버스 서비스를 더욱 활성화시키면서 동영상 컨텐츠의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metaverse users to trade video files that are executed or implement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thereby further activating the metaverse service and enabling various utilization of video contents.

이를 위한 구성을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여 본다. The configuration for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비스 내 동영상 거래 및 활용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ideo transaction and utilization system in the metaverse ser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다양한 동영상, 예를 들면, 연주 영상, 훈련 영상, 교육/강의 영상 등의 영상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을 갖는 소유권자 기기(1)와, 상기 소유권자 기기(1)측에서 생성한 동영상의 소유권자를 식별하기 위한 NFT 구매를 통해 해당 동영상을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 기기(2)와, 상기 동영상의 소유권자를 식별하기 위한 토큰 생성과 관리를 수행하는 블록체인 서버(10)와, 상기 동영상이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구현가능하도록 하면서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구현가능한 동영상의 거래 및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메타버스 운영서버(1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system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n owner device 1 having ownership of video contents such as various videos, for example, performance videos, training videos, and education/lecture videos, and the owner device 1 A consumer device (2) that wants to purchase the video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through NFT purchase to identify the owner of the video created by ) side, and a block that generates and manages tokens to identify the owner of the video. It includes a chain server 10 and a metaverse operating server 100 that enables the transaction and utilization of videos that can be implement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while enabling the video to be implement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상기 소유권자 기기(1)는 동영상에 대한 소유권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NFT를 구매한 자로서, 해당 동영상을 생성한 저작권자이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동영상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거나 구매한 동영상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 서버(10)에 등록한 자 또는 그 자가 사용하는 기기(예를 들면, PC나 스마트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소유권자 기기(1)는 상기 블록체인 서버(10)에 검증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 검증이 완료된 동영상 정보에 대한 소유권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The owner device 1 is a person who purchases an NFT containing information on the owner of a video, and does not have to be a copyright holder who created the video. In addition, it includes a person who has video content or has registered information about a purchased video in the blockchain server 10 or a device (eg, a PC or a smart device) used by that person. The owner device 1 may transmit a verification request to the blockchain server 10, and may receive ownership information for video information for which verification has been completed.

또한, 소유권자 기기(1)는 동영상 컨텐츠의 동영상 파일을 메타버스 운영서버(100)에 업로드할 수 있으며, 소비자 기기(2)로부터 구매 요청이 들어오는 경우나 메타버스 운영서버(100)로부터 검증을 위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 소유권 정보를 나타내는 NFT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wner's device 1 can upload a video file of video content to the metaverse operation server 100, and when a purchase request comes from the consumer device 2 or for verification from the metaverse operation server 100 When a request is received, NFT information indicating ownership information may be delivered.

한편, 상기 메타버스 운영서버(100)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블록체인 서버(10)는, 상기 메타버스 운영서버(100) 내에서 동영상 소유권의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NFT 생성부(11), NFT 관리부(12) 및 블록체인 관리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lockchain server 10 network-connected to the metaverse operation server 100 is for enabling a transaction of ownership of a video within the metaverse operation server 100, NFT generation unit 11, NFT It may include a management unit 12 and a blockchain management unit 13.

여기서, 블록체인(Block chain)의 원천기술은 바로 네트워크 참여자 간의 합의 메커니즘으로 볼 수 있으며,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따라 그 특성이 분리되는데, 전자의 블록체인의 합의 메커니즘으로는 컴퓨팅 파워에 의존하는 작업증명(PoW : Proof of Work), 암호화폐 보유량에 의존하는 지분증명(PoS : Proof ofStake), 평판 및 투표에 의해 일종의 국회를 구성하는 방식인 위임지분방식(DPoS : Delegated Proof of Stake) 등을 포함하며, 프라이빗 블록체인 합의 방식으로 대표적인 것이 비잔틴장군 문제를 해결하는 솔루션인 PBFT(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은 고유한 특성과 가치를 제공하는 NFT(Non-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하며, 신뢰성 확보 기술을 적용하는데, 신뢰성이란 상호 신뢰하지 않는 네트워크 참여자 간의 장부의 무결성(immutability)을 의미한다. 즉,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한다는 것이며, 비밀성, 인증, 무결성, 부인봉쇄서비스를 제공한다.Here, the original technology of the block chain can be seen as a consensus mechanism between network participants, and its characteristics are separated depending on the public block chain and the private block chain. The consensus mechanism of the former block chain is based on computing power. Relying on Proof of Work (PoW), Proof of Stake (PoS) relying on cryptocurrency holdings, Delegated Proof of Stake (DPoS), a method of forming a kind of National Assembly by reputation and voting Including, etc., and a representative private blockchain consensus method may include PBFT (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method, which is a solution to the Byzantine Generals problem. In addition, the block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NFT (Non-Fungible Token), which provides unique characteristics and values, and applies reliability assurance technology. Reliability is a ledger between network participants who do not trust each other. means the immutability of In other words, it guarantees data integrity, and provides confidentiality, authentication, integrity, and non-repudiation services.

NFT 생성부(11)는 동영상 파일에 대한 소유권을 나타내는 NFT를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여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NFT generation unit 11 serves to generate an NFT representing ownership of a video file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NFT 관리부(12)는 발생한 NFT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동영상 거래를 위한 NFT 소유권 이전과 관련하여 소유권자 기기(1), 또는 소비자 기기(2) 정보가 저장된다.The NFT management unit 12 serves to manage generated NFT information, and stores owner device 1 or consumer device 2 information in relation to NFT ownership transfer for video trading.

블록체인 관리부(13)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블록체인 서버(10)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의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구성요소이다.The blockchain management unit 13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blockchain network and is a component that manages the interface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blockchain server 10.

특히, 상기 메터버스 운영서버(100)는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유저들이 동영상 컨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하면서, 해당 동영상에 대한 거래와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In particular, the metaverse operation server 100 allows users to enjoy video contents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while enabling transactions and utilization of the corresponding video.

상세히, 상기 메타버스 운영서버(100)는, 동영상의 소유권을 NFT를 기반으로 하여 관리하는 소유권 관리부(110)와, 메타버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의 정보를 관리하는 유저 관리부(120)와,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동영상이 구현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동영상의 소유권을 보유한 유저에 의한 동영상 배포인지 여부를 관리하는 동영상 관리부(130)와,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 동영상이 구현가능하도록 동영상을 처리하는 동영상 구현부(140)와,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배포되거나 재생될 수 있는 동영상이 소유권자에 의한 배포 또는 재생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따라 이벤트를 생성하고 이벤트 내에서의 동영상 컨텐츠 시청과 거래를 유도하는 이벤트 생성 및 관리부(150)를 포함한다. In detail, the metaverse operating server 100 includes an ownership management unit 110 that manages ownership of videos based on NFTs, a user management unit 120 that manages information of users using the metaverse service, and a metaverse A video management unit 130 that checks whether a video can be implemented in the service or manages whether the video is distributed by a user who owns the video, and a video implementation unit that processes the video so that the video can be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ervice ( 140), and an event creation and management unit that creates an event depending on whether a video that can be distributed or play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is distributed or played by the owner, and induces viewing and trading of video content within the event ( 150).

메타버스 운영서버(100)는 메타버스 서비스의 유저에 해당하는 소유권자 기기(1) 및 소유자 기기(2)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회원 가입, 인증의 검증을 위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블록체인 서버(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소유권자 기기(1)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블록체인 기법으로 암호화 하여 저장 및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metaverse operation server 100 is connected to the owner device 1 and owner device 2 corresponding to the user of the metaverse service through a network,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for member registration and authentication verification. It is connected to the chain server 10 through a network and encrypts various data transmitted from the owner's device 1 with a blockchain technique so that it can be stored and managed.

상기 소유권 관리부(110)는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 구현될 수 있는 동영상들에 대해서 NFT 정보들을 관리하며, NFT 정보에 관한 인증이나 확인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블록체인 서버(10)에 해당 NFT 정보의 확인 또는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The ownership management unit 110 manages NFT information for videos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ervice, and when authentication or confirmation is to be performed on the NFT information, the NFT information is sent to the blockchain server 10. Verification or authentication may be requested.

그리고, 상기 소유권 관리부(110)는 동영상 각각에 대해서 NFT 정보의 유무를 상기 블록체인 서버(10)에 요청하여 확인 및 관리/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wnership management unit 110 may request the presence or absence of NFT information for each video to the blockchain server 10 to confirm and manage/store it.

상기 유저 관리부(120)는 각 유저별로 동영상 소유권에 관한 NFT를 보유한 유저들과, 보유하지 않은 유저들로 구분하여 관리하며,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자주 시청하는 동영상에 대해서 해당 동영상의 구매를 제안하거나 소유권을 보유한 동영상에 대해서 판매를 제안하는 등의 유저별 맞춤형 제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user management unit 120 divides and manages each user into users who have NFTs related to video ownership and users who do not, and proposes the purchase of videos that are frequently view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or A customized offer for each user, such as a proposal to sell a video owned by the user, may be made.

상기 동영상 관리부(130)는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구현가능한 동영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동영상에 대한 거래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해당 동영상의 구현 또는 재생 가능 여부,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재생이 가능하도록 업로드된 동영상에 대해서 소유권을 보유한 유저에 의한 업로드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 The video management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video can be implement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or if there is a transaction request for the video, whether the video can be implemented or reproduced, uploaded to be playable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It is possible to manage whether a video has been uploaded by a user who has ownership.

그리고, 상기 동영상 관리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유권 확인이 완료된 동영상들에 대해서 리스트시키고, 소비자가 구매를 원하는 동영상을 확인 및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And, as shown in FIG. 2 , the video management unit 130 lists videos for which ownership verification has been completed and provides an interface through which consumers can check and select a video they want to purchase.

상기 동영상 구현부(140)는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 동영상이 구현가능하도록 동영상을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유저가 상기 메타버스 운영서버(100)에 동영상을 업로드할 때 영상처리, 예를 들면, 크로마키 촬영 후 녹색 배경을 제거한 다음 업로드할 수 있으나, 이러한 동영상 처리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동영상 구현부(140)는 동영상 내의 특정 색상을 제거 또는 투명화하는 영상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The video implementation unit 140 serves to process video so that the video can be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ervice. When a user uploads a video to the metaverse operating server 100, it can be uploaded after image processing, for example, chroma key shooting and green background removal, but if this video processing is not performed, the video implementation unit (140) may perform image processing to remove or transparent a specific color in the video.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기를 연주하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때에 크로마키 기법으로 배경 색을 특정 단일 색으로 하여 촬영한 다음, 해당 특정 단일색을 제거함으로써, 메타버스 서비스 내의 다양한 환경에서 해당 동영상이 구현되도록 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 3, when shooting a video of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the background color is photographed with a specific single color using the chroma key technique, and then the specific single color is removed. Make the video come tru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가상 공간들이 존재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동영상 소유권을 구매한 소비자들이 해당 동영상을 구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umers who have purchased ownership of a video within a metaverse service in which various virtual spaces exist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the corresponding video.

예를 들어,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 형성된 헬스장에서 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유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영상 관리부(130)가 제공하는 구매가능한 동영상 리스트를 확인하고, 원하는 동영상의 소유권을 구매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운동하는 장면을 찍어 업로드한 동영상을 구매한 유저는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동영상에 대한 소유권 주장과 함께 구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exercising at a gym form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the user checks the purchasable video list provided by the video management unit 130 as shown in FIG. 2, and takes ownership of the desired video. buy And, as shown in Figure 4, a user who purchases a video uploaded by taking a real exercise scene is configured to be able to implement along with claiming ownership of the video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이때,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동영상 소유권 구매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소유권 관리부(110)는 상기 블록체인 서버(1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소유권자와 해당 유저(소비자) 사이의 NFT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구매자인 유저는 해당 동영상을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구현가능해진다. At this time, when there is a request for video ownership purchase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the ownership management unit 110 makes NFT transactions between the owner and the corresponding user (consumer) through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blockchain server 10, and the buyer In-users can implement the video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즉, 메타버스 서비스에 따라서는, 유저들이 자신이 촬영한 동영상을 업로드하고 이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으며, 해당 동영상의 거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동영상 소유권이 없는 유저의 경우에는 구매가능한 동영상들을 보면서 원하는 장소, 또는 원하는 내용의 컨텐츠가 포함된 동영상을 구매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해당 구매한 동영상에 대한 소유권을 나타내는 NFT는 블록체인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위변조가 어려운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That is, depending on the metaverse service, users can upload videos they have taken and claim ownership of them, and the videos are traded. It is configured to purchase a video with desired location or desired content, and the NFT representing ownership of the purchased video can maintain security that is difficult to forge and alter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blockchain server.

이러한 동작들을 통해,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these operations, various services can be provid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예를 들어, 타인의 저작권 등의 권리를 침해할 가능성이 높은 동영상이 구현/재생이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이루어지기 어렵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 유저들이 시청할 수 있는 동영상은 소유권이 확인된 것들에 한해 재생/구현되도록, 상기 동영상 구현부(140)는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재생 요청이 수신된 동영상에 대해서 해당 동영상의 소유권이 있는지 여부를 상기 소유권 관리부(110)를 통해 확인하고, 해당 동영상의 재생을 요청한 유저가 소유권자와 일치하는 여부를 상기 유저 관리부(120)를 통해 확인한 다음, 소유권자와 재생을 요청한 유저가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동영상의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so tha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replay videos that are likely to infringe other people's rights, such as copyrights,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That is, the video implementer 140 controls the ownership of the video for which the playback request is received in the metaverse service so that videos that users can watch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are played/implemented only for those whose ownership has been confirmed. is confirmed through the ownership management unit 110, and whether the user requesting playback of the corresponding video matches the owner through the user management unit 120, and then, if the owner and the user requesting playback match It is possible to play the corresponding video only for

그리고, 강의와 같은 컨텐츠의 경우는, 강의를 시청하기 위해서 강의료 대신에 해당 동영상 소유권을 구입하거나, 해당 동영상 소유권의 일부 지분을 구입해야 구현이 되도록 구성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동영상의 무분별한 복제와 배포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ntent such as lectures,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implementation so that the ownership of the video is purchased instead of the lecture fee or a portion of the ownership of the video is purchased in order to watch the lecture, and through this service, indiscriminate copying of the video and distribution can be prevented.

한편, 메타버스 운영서버(100)를 구성하는 이벤트 생성 및 관리부(150)는, 소유권이 확인되는 동영상들에 대해서 각 동영상의 내용에 따라 분류하고, 각 분류된 카테고리별로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유저는 특정 분야, 예를 들면 운동이나 수학 강의 등의 동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이벤트 생성 및 관리부(150)는 동영상들을 분류하여 유저가 보다 원활히 동영상의 구입과, 구현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vent generation and management unit 150 constituting the metaverse operation server 100 may classify the videos whose ownership is confirm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each video, and create an event for each classified category. When a user wants to watch a video in a specific field, for example, exercise or math lecture, the event creation and management unit 150 classifies the video so that the user can more smoothly purchase and implement the video. can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seek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all modifications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se claim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do it

Claims (5)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을 갖는 소유권자 기기와,
상기 동영상의 소유권자를 식별하기 위한 NFT 구매를 통해 상기 동영상을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소비자 기기와,
상기 동영상의 소유권자를 식별하기 위한 토큰 생성과 관리를 수행하는 블록체인 서버와,
상기 동영상이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구현가능하도록 하면서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구현가능한 동영상의 거래 및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메타버스 운영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버스 운영서버는, 상기 동영상의 소유권을 NFT를 기반으로 하여 관리하는 소유권 관리부와,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의 정보를 관리하는 유저 관리부와,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동영상이 구현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동영상의 소유권을 보유한 유저에 의한 동영상 배포인지 여부를 관리하는 동영상 관리부와,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 동영상이 구현가능하도록 동영상을 처리하는 동영상 구현부를 포함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내 동영상 거래 및 활용 시스템.
an owner device having ownership of the video content;
A consumer device that intends to implement the video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through NFT purchase to identify the owner of the video;
A blockchain server that generates and manages tokens to identify the owner of the video;
Including a metaverse operation server that enables the transaction and utilization of videos that can be implement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while enabling the video to be implement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The metaverse operating server includes an ownership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ownership of the video based on NFT, a user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information of users using the metaverse service, and whether the video can be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ervice. A video transaction and utilization system in the metaverse service including a video management unit that checks or manages whether the video is distributed by a user holding ownership of the video, and a video implementation unit that processes the video so that the video can be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ervice.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관리부는 상기 메타버스 운영서버에 업로드된 동영상 중 소유권이 확인된 동영상들에 대해서 리스트하고, 소비자 기기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동영상의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내 동영상 거래 및 활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video management unit lists the videos whose ownership has been confirmed among the videos uploaded to the metaverse operation server, and makes the transaction of the selected video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onsumer device. syste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구현부는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재생 요청이 수신된 동영상에 대해서 해당 동영상에 대한 소유권이 있는지 여부를 상기 소유권 관리부를 통해 확인하고, 해당 동영상의 재생을 요청한 유저가 확인된 소유권자와 일치하는 여부를 상기 유저 관리부를 통해 확인한 다음, 소유권자와 재생을 요청한 유저가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재생 요청된 동영상의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내 동영상 거래 및 활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video implementation unit checks whether there is ownership of the video for which a playback request is received within the metaverse service through the ownership management unit, and whether the user who requested playback of the video matches the identified owner. After confirming through the user management unit, the video transaction and utilization system in the metaverse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yback of the requested video is made only when the owner and the user who requested playback match.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서버는, 동영상에 대한 소유권을 나타내는 NFT를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여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NFT 생성부와, 생성된 NFT 정보를 관리하면서 동영상 거래를 위한 NFT 소유권 이전과 관한 상기 소유권자 기기 및 소비자 기기 정보를 저장하는 NFT 관리부와, 블록체인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블록체인 관리부를 포함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내 동영상 거래 및 활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blockchain server includes an NFT generator that plays a role in generating an NFT representing ownership of a video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and the owner device related to NFT ownership transfer for video transaction while managing the generated NFT information. And a video transaction and utilization system in the metaverse service including an NFT management unit for storing consumer device information and a blockchain management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 blockchain network.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버스 운영서버는,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배포되거나 재생될 수 있는 동영상들에 대한 분류를 수행하고 분류된 동영상들을 유저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이벤트 생성 및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내 동영상 거래 및 활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metaverse operation server further includes an event creation and management unit that classifies videos that can be distributed or played in the metaverse service and allows users to access the classified videos. Video trading and utilization system.
KR1020210171388A 2021-12-03 2021-12-03 System for transaction and management in metaverse service KR202300834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388A KR20230083411A (en) 2021-12-03 2021-12-03 System for transaction and management in metaverse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388A KR20230083411A (en) 2021-12-03 2021-12-03 System for transaction and management in metaverse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411A true KR20230083411A (en) 2023-06-12

Family

ID=8677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388A KR20230083411A (en) 2021-12-03 2021-12-03 System for transaction and management in metaverse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341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721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online music marketplace
Chevet Blockchain technology and non-fungible tokens: Reshaping value chains in creative industries
KR102112288B1 (en) Server for creating content with cooperation based on blockcahin, server for distributing content and system there of
US7249139B2 (en) Secure virtual marketplace for virtual objects and services
US11244032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creation and the exchange of a copyright for each AI-generated multimedia via a blockchain
Raman et al. The world of NFTs (non-fungible tokens): the future of blockchain and asset ownership
US20230070586A1 (en) Methods for Evolution of Tokenized Artwork, Content Evolution Techniques, Non-Fungible Token Peeling, User-Specific Evolution Spawning and Peeling,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mplex Token Development and Simulation
US11948132B2 (en) Cryptographically secure booster packs in a blockchain
TWM622824U (en) Non-fungible digital token trading device
US2023012047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non-fungible tokens
Robinson et al. Digitization, the Internet, and the Arts: eBay, Napster, SAG, and e-Books
US20230118312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moting and validating a non-fungible token
WO2022270551A1 (en) Nf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nft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KR20230083411A (en) System for transaction and management in metaverse service
US202201500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virtual goods
US202301538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ypto token linked assets
CN115809440A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copyrighted works based on block chain
CN115170109A (en) Digital art creation, issuance and transaction platform system based on block chain
JP2023061082A (en) Ownership management system for article and identification code for ownership management
Parker New Kids On The Blockchain: How Nfts Might Bring About A Digital First Sale Doctrine
Kale et al. Non-Fungible Tokens (NFT’s): The Future of Digital Collectibles
JP7489674B2 (en) Video data transmission method, video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video data transmission program
Herinckx et al. The Use of Blockchain to Fight Counterfeiting in the Second-Hand Luxury Fashion Market
JP2001325534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sales
Galphat et al. Blockchain based Music Streaming Platform using NF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