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3260A - Dummy and its transfer robot - Google Patents
Dummy and its transfer rob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83260A KR20230083260A KR1020230061583A KR20230061583A KR20230083260A KR 20230083260 A KR20230083260 A KR 20230083260A KR 1020230061583 A KR1020230061583 A KR 1020230061583A KR 20230061583 A KR20230061583 A KR 20230061583A KR 20230083260 A KR20230083260 A KR 202300832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dummy
- vehicle body
- coupling portion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0
- 238000011076 safety tes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245 forear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94 hip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03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0 propel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81 safety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30—Anatomical models
- G09B23/32—Anatomical models with mov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안전성 테스트시 사용되는 테스트용 보행자 더미 및 그 이송 로봇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rian dummy for testing used in a driving safety test of a vehicle and a transfer robot thereof.
차량의 주행 안전성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시된다.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는 가장 대표적인 기술로, 차량에 구비된 센서가 위험상황을 감지하여 사고의 위험을 운전자에게 경고하고 운전자가 판단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안전장치이다. Various technologies for vehicle driving safety are disclosed. 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is the most representative technology, and it is a safety device that helps the driver to cope with the judgment by warning the driver of the risk of an accident by detecting a dangerous situation with a sensor provided in the vehicle.
ADAS에는 전방 충돌 경고 기능(FCW : Forward Collision Warning), 자동 긴급제동 시스템(AEB : Advanced Emergency Braking system), 차로 이탈 방지 보조 시스템(LKA : Lane Keeping Assist System),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LDW :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후측방 충돌 방지 보조(BCA : Blind-spot Collision-avoidance Assist), 안전 하차 보조(SEA : Safety Exit Assist) 및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 : Smart Cruise Control) 등 다양한 기능이 포함된다. ADAS는 운전자의 안전한 주행을 돕기 위해 마련된 위의 기능들 또는 여기에 소개되지 않은 다른 기능들의 집합체라고 이해될 수 있다. ADAS includes Forward Collision Warning (FCW), Advanced Emergency Braking (AEB), Lane Keeping Assist (LKA), and Lane Departure Assist (LDW). Warning System), Blind-spot Collision-avoidance Assist (BCA), Safety Exit Assist (SEA), and Smart Cruise Control (SCC). ADAS can be understood as a collection of the above functions or other functions not introduced here designed to help the driver drive safely.
차량의 생산은 위와 같은 ADAS를 테스트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특히 ADAS 중 전방 충돌 경고, 자동 긴급 제동, 후측방 충돌 방지 보조 및 안전 하차 보조 등 차량 외부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들의 테스트 과정은 주행 중인 차량의 외부에 보행자 등이 등장하는 상황을 상정한다. The production of the vehicle includes the process of testing the above ADAS. In particular, the test process for functions to prevent collisions with the outside of the vehicle, such as forward collision warning, automatic emergency braking, rear-side collision avoidance assistance, and safe exit assistance among ADAS, assumes a situation where a pedestrian appears outside the vehicle in motion. .
테스트 방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ADAS를 온(on)한 상태로 차량을 주행시킨다. 주행중인 차량의 전방에 보행자 역할을 수행하는 더미를 등장시킨다. 더미의 등장은 차량의 주행 경로에 미리 더미를 준비해 두는 방식 외에 차량의 주행경로를 경유하도록 더미를 이동시키는 방식에 의할 수도 있다. The test method is as follows. First, the vehicle is driven with the ADAS of the vehicle turned on. A dummy acting as a pedestrian appears in front of the running vehicle. The appearance of the dummy may be based on a method of moving the dummy so as to pass through the driving route of the vehicle other than a method of preparing the dummy in advance in the driving route of the vehicle.
도 1은 기존의 더미(10)를 이용한 테스트 양상을 도시한 것이다.1 shows a test aspect using a
도 2는 기존의 더미(10)를 도시한 것이다.2 shows a
도 1 및 도2를 참조하여 보면 테스트가 진행되는 도로에는 더미(10)의 이동 경로에 따라 레일(20)이 마련되어 있다. 더미(10)는 레일(20)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송부재(40)에 적재 및 고정되어 레일(20)의 경로를 따라 이송될 수 있다. 도로의 양측 또는 일측에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레일(20)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송부재(40)는 이러한 구동장치(30)와 벨트 따위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구동장치(30)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하여 레일(20)의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 a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더미(10)는 주행중인 차량의 전방에 등장할 수 있게 되고, 주행중인 차량에 마련된 ADAS는 등장한 더미(10)를 인식하는 순간 차량을 급제동 시키는 등 그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자동 긴급제동 시스템의 테스트는 ADAS가 더미(10)를 인식한 후 자동으로 차량을 제동시킴으로써 차량이 더미(10)와 충돌하지 않고 정지하는 것에 성공하였는지 따위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더미(10)는 ADAS의 테스트 뿐만 아니라 차량의 주행 안전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폭 넓게 이용될 수 있다.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그런데 위와 같은 레일(20)에 의한 이동은 도로에 레일(20) 및 구동장치(30) 등을 설치하고 설치된 레일(20)에 다시 더미(10)와 이송부재(40)를 배치하는 등의 과정이 필요하여 시험 준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movement by the
한편 상술한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이러한 차량 주행 안전성 테스트용 더미(10)는 차량과의 충돌을 상정하고 있다. 반복되는 테스트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차량과 충돌한 더미(10)를 재활용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더미(10)에서 인체의 관절부분 등 충격에 약한 부분은 차량과의 충돌에 의하여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 결과적으로 다음 테스트에서의 재활용률이 낮은 문제가 있다.Meanwhile,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한편 차량의 테스트는 주행 충돌 규정(예를 들면 European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의 ARTICULATED PEDESTRIAN TARGET SPECIFICATIONS)에 의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행자 더미는 하체 부분이 보행중인 사람의 하체와 같은 양상으로 동작할 것을 요할 수 있다(ARTICULATED PEDESTRIAN TARGET SPECIFICATIONS/2.4 ARTICUATION 참조). On the other hand, the test of the vehicle may need to comply with driving crash regulations (eg, ARTICULATED PEDESTRIAN TARGET SPECIFICATIONS of the European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 More specifically, the pedestrian dummy may require the lower body portion to operate in the same manner as the lower body of a walking person (see ARTICULATED PEDESTRIAN TARGET SPECIFICATIONS/2.4 ARTICUATION).
따라서 기존의 더미(10)는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이송부재(4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30)로부터의 동력을 이송부재(40)에 적재된 더미(10)에까지 전달하여 이를 통해 더미(10)가 상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동력의 전달을 위한 동력전달구조체(도 2에서는 보행자의 다리 및 발 부분)는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여 유지 보수가 어려운데, 차량과 더미(10)가 충돌한 경우 이러한 동력전달구조체가 파괴되어 재활용이 더욱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Therefore, as shown in FIG. 2, the existing
본 발명은 테스트의 준비를 보다 간결하게 하고, 재활용률이 높은 더미 및 그 이송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시도에서 착안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과의 충돌로 인한 더미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테스트를 위한 별도의 테스트 장비들의 설치과정을 최소화한 차량 주행 안전성 테스트용 더미 및 그 이송수단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an attempt to simplify the preparation of the test and to provide a dummy and its transportation means with a high recycling rate. It is an invention related to a dummy for vehicle driving safety test that minimizes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est equipment and its transportation means.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호 결합 가능한 복수개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모듈은 각각 외형을 구성하는 하우징 및 다른 모듈과의 상호 결합을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부를 마련하고, 상기 각 결합부는 자성을 띔으로써 다른 극의 자성을 띄는 다른 결합부와 자력에 의하여 상호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주행 안전성 테스트용 더미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plurality of modules that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are included, and the plurality of modules are provided with a coupling unit that enables mutual coupling with a housing and other modules constituting an external shape, respectively. In addition, a dummy for a driving safety test may be provided in which each of the coupling parts has magnetism so that it can be mutually coupled with other coupling parts having magnetism of a different polarity by magnetic force.
상기 복수개의 모듈 중 어느 하나는 제1결합부를 마련하는 제1피동모듈이고, 상기 제1피동모듈을 제외한 상기 복수개의 모듈 중 어느 하나는 제2결합부를 마련하는 제2피동모듈이고, 상기 제1피동모듈 및 상기 제2피동모듈을 제외한 상기 복수개의 모듈 중 어느 하나는 제3결합부 및 제4결합부를 마련하는 구동모듈이고, 상기 구동모듈은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제1모터; 상기 제1모터를 제어하는 제1프로세서; 및 상기 구동모듈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제3결합부 및 상기 제4결합부를 마련하여 상기 제1모터가 제공하는 동력을 상기 제3결합부 및 상기 제4결합부를 통해 전달 가능한 동력전달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3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4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제1피동모듈 및 상기 제2피동모듈은 상기 구동모듈이 제공하는 동력에 의하여 상호 교차되어 전진 및 후퇴하는 거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One of the plurality of modules is a first driven module for providing a first coupling part, an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odules other than the first driven module is a second driven module for providing a second coupling part, and the firs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odules other than the driven module and the second driven module is a driving module providing a third coupling part and a fourth coupling part, and the driving module includes a first motor capable of providing power; a first processor controlling the first motor; And a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provided inside the driving module and capable of transmitting the power provided by the first motor through the third coupling portion and the fourth coupling portion by providing the third coupling portion and the fourth coupling portion. and wherein the first coupling part can be coupled to the third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can be coupled to the fourth coupling portion, so that the first driven module and the second driven module are the driving module It may be provided to enabl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by intersecting each other by the power provided.
아울러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3결합부는 상호 맞물리는 평기어로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제4결합부는 상호 맞물리는 평기어로 각각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third coupling portion may be provided as mutually meshing spur gear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the fourth coupl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mutually meshing spur gears, respectively.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면에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더미를 고정 및 적재 가능한 차체;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제2모터; 상기 제2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제2프로세서; 상기 차체의 하부에서 상기 제2모터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하여 상기 차체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차체를 탄성 지지하는 서스펜션부; 및 상기 제2모터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팬은 상기 차체의 하측에 위치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차체의 상측으로 방출함으로써 상기 차체의 지면과의 접지력을 향상시키는 주행 안전성 테스트용 더미 이송로봇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vehicle body capable of fixing and loading the dummy of any one of claims 1 to 3 on the upper surface; A second motor capable of providing power; a second processor capable of controlling the second motor; a moving unit for moving the vehicle body by the power provided by the second motor at a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a suspension unit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vehicle body; and a fan driven by power provided by the second motor, wherein the fan sucks in air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discharges it to the upper side of the vehicle body, thereby improving the ground contact force of the vehicle body. A dummy transfer robot for safety testing may be provided.
상기 차체의 후면 및 양 측면은 각각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팬은 적어도 3개 이상으로 상기 차체의 후면 및 양 측면에 적어도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A rea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vehicle body may be inclined downward, and at least three or more fans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vehicle body.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팬은 각각 마련된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축을 각각 가질 수 있다.The at least three or more fans may each have an axi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vided surface.
아울러 상기 차체의 전면은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hicle body may be inclined downward.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차량의 충돌시 더미가 쉽게 분해되게 하여 충돌에 의한 충격량을 흡수하는 등 더미의 파손을 최소화하여 재활용률을 높인다.First, when a vehicle collides, the dummy is easily disassembled to absorb the impact caused by the collision,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dummy to increase the recycling rate.
둘째, 차량의 충돌시 동력전달구조체의 파손을 최소화하여 유지 및 보수 비용을 절감한다. Second, maintenance and repair costs are reduced by minimizing damage to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when a vehicle collides.
셋째, 자율적으로 거동 가능한 이송로봇에 더미를 적재 및 고정하여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테스트를 위해 테스트용 도로에 레일을 설치하는 등의 준비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결과적으로 테스트 준비 시간이 단축된다.Third, since the test can be performed by loading and fixing the dummy on the transport robot that can move autonomously, there is no need to perform preparation work such as installing rails on the test road for the test, resulting in reduced test preparation time. shortened
본 발명은 상술한 효과를 통해 차량 주행 안전성 테스트의 효율을 상승시키는데 기여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tributes to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vehicle driving safety test through the above effects.
본 발명은 상술한 효과 이외에도 본 명세서에 의하여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들을 발휘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the present invention can exert various effects that can be derived by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기존의 더미를 이용한 테스트 양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기존의 더미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더미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어떤 모듈이 다른 모듈과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구동모듈, 제1피동모듈 및 제2피동모듈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더미의 구동장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더미의 구동장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송로봇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송로봇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송로봇의 평단면도이다.Figure 1 shows a test aspect using a conventional dummy.
Figure 2 shows a conventional dummy.
3 illustrates a dummy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 modul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module is combined with another modu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llustrates the appearance of a driving module, a first driven module, and a second driven modu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a driving scene of a dumm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llustrates a driving scene of a dumm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fer robo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transfer robo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top cross-sectional view of a transfer robo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테스트용 더미에 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dummy for testin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더미(100)를 도시한 것이다.3 illustrates a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테스트용 더미(100)(이하 ‘더미(100)’라 함)는 상호 결합 가능한 복수개의 모듈(M)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모듈(M)은 인체의 각 부위와 대응될 수 있다. 복수개의 모듈(M)은 머리 모듈(Mh), 몸통 모듈(Mb), 오른쪽 팔 모듈(Mra), 왼쪽 팔 모듈(Mla), 오른쪽 다리 모듈(Mrl) 및 왼쪽 다리 모듈(Mll)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a test dummy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dummy 100')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modules M capable of being coupled to each other. Each module M may correspond to each part of the human body. The plurality of modules (M) include a head module (Mh), a body module (Mb), a right arm module (Mra), a left arm module (Mla), a right leg module (Mrl) and a left leg module (Mll). can
한편 각 모듈(M)은 인체의 부위와 대응되면 족하다. 따라서 복수개의 모듈은 머리모듈(미도시), 몸통모듈(미도시), 우상완(右上腕)모듈(미도시), 우전완(右前腕)모듈(미도시), 우수(右手)모듈(미도시), 좌상완(左上腕)모듈(미도시), 좌전완(左前腕)모듈(미도시), 좌수(左手)모듈(미도시), 우대퇴모듈(미도시), 우경(右脛)모듈(미도시), 좌대퇴모듈(미도시), 좌경(左脛)모듈(미도시), 우족(右足)모듈(미도시) 및 좌족(左族)모듈(미도시) 등의 형태로 좀 더 세분화된 인체의 각 부위에 대응되어 마련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전에 소개한 보다 간단한 형태로 구현된 복수개의 모듈(M)을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Meanwhile, it is sufficient if each module M corresponds to a part of the human body. Therefore, the plurality of modules include a head module (not shown), a body module (not shown), an upper right arm module (not shown), a right forearm module (not shown), and a right hand module (not shown). ), left upper arm module (not shown), left forearm module (not shown), left hand module (not shown), right thigh module (not shown), right thigh module (not shown), a left femoral module (not shown), a left knee module (not shown), a right foot module (not shown), and a left foot module (not shown). It is also possible to be prepared to correspond to each part of the subdivided human body. However, in this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plurality of modules M implemented in a simpler form introduced previously will be described.
다시 설명으로 돌아오면, 각 모듈(M)은 하우징(M2) 및 결합부(M1)를 마련할 수 있다.Returning to the description again, each module (M) may provide a housing (M2) and the coupling portion (M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모듈(M)을 도시한 것이다.4 illustrates a module 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어떤 모듈(M)이 다른 모듈(M)과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5 shows a state in which a module (M) is combined with another module (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하우징(M2)은 모듈(M)의 외형을 구성할 수 있다. 모듈(M)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다른 구성들이 하우징(M2)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모듈(M)의 경우 생산 단가를 낮추고 테스트의 준비를 용이하게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housing M2 may configure the outer shape of the module M. The module (M) may be provided to have an empty space therein. It is also possible for other components to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M2 if necessary. In the case of the module M having an empty space therein, it may contribute to lowering the production cost and facilitating the preparation of the test.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결합부(M1)는 하우징(M2)에 마련되어 모듈(M)이 다른 모듈(M)과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결합부(M1)는 하우징(M2)의 내부 빈 공간에 마련되되 일부가 노출되어 다른 모듈(M)의 결합부(M1)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각 결합부(M1)는 자성을 띔으로써 다른 극의 자성을 띄는 다른 결합부(M1)와 자력에 의하여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5, the coupling portion (M1) is provided in the housing (M2) can function so that the module (M) is mutually coupled with other modules (M). The coupling portion M1 may be provided in an empty space inside the housing M2 so that a portion thereof is expos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M1 of another module M. Each coupling portion M1 may be provided so as to be mutually coupled by magnetic force with another coupling portion M1 having a different polarity of magnetism.
예를 들어 도 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몸통 모듈(M)은 상부, 좌상면부, 좌하면부, 우상면부 및 우하면부에 각각 S극의 자석을 포함하는 결합부(M1S)를 포함하고, 머리모듈(Mh), 오른쪽 팔 모듈(Mra), 오른쪽 다리 모듈(Mrl), 왼쪽 팔 모듈(Mla) 및 왼쪽 다리 모듈(Mll)은 각 일단에 N극의 자석을 포함하는 결합부(M1N)를 각각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몸통 모듈(M)은 상부에 머리모듈(Mh)이, 좌상면부에 왼쪽 팔 모듈(Mla)이, 좌하면부에 왼쪽 다리 모듈(Mll)이, 우상면부에 오른쪽 팔 모듈(Mra)이, 그리고 우하면부에 오른쪽 다리 모듈(Mrl)이 N-S극 간 인력(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각 모듈(M)의 결합부(M1)가 가지는 극성은 예시적인 것이다.For example, as referenced in FIG. 1 , the body module M includes a coupling part M1S including an S-pole magnet at an upper part, an upper left part, a left lower part, an upper upper part, and a right lower part, respectively, and a head Module (Mh), right arm module (Mra), right leg module (Mrl), left arm module (Mla), and left leg module (Mll) each have a coupling part (M1N) containing an N-pole magnet at each end. may contain Therefore, the body module (M) has a head module (Mh) on the upper part, a left arm module (Mla) on the upper left part, a left leg module (Mll) on the left lower part, a right arm module (Mra) on the upper right part, In addition, it may be possible that the right leg module (Mrl) is coupled to the right lower surface by attraction (magnetic force) between the N-S poles. Of course, the polarity of the coupling part M1 of each module M is exemplary.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된 각 모듈(M)로 구성된 더미(10)는 차량과의 충돌과 동시에 분해되며 충격력을 분산 및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과 직접 충돌한 모듈(M)에만 충격량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특정 모듈(M)이 손상됨으로써 재활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각 모듈(M)의 결합을 위한 기계적인 결합 구조의 적용을 최소화 함으로써 각 모듈(M)이 충격에 의하여 분해되더라도 결합 구조의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다.The
한편 도 5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각 결합부(M1)는 결합되는 각 모듈(M) 간 상호 대응되는 요철(B, G)을 각각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호 결합하는 모듈(M)의 결합부(M1)간에는 각각 형성한 요철(B, G)이 대응되어 들어맞을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요철(B, G)은 돌기(B) 및/또는 홈(G)을 의미하고, 한 모듈(M)의 결합부(M1)에 형성된 돌기(B)는 그와 결합하는 다른 모듈(M)의 결합부(M1)에 형성된 홈(G)에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됨으로써 상호 결합되는 각 모듈(M)이 올바른 위치에서 결합이 가능하도록 안내 및 그 결합 위치를 고정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Meanwhile, as referenced in FIG. 5 , each coupling part M1 may be provided to form unevennesses B and G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etween the coupled modules M, respectively. The irregularities B and G formed respectively may match and fit between the coupling portions M1 of the modules M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the bumps (B, G) mean a protrusion (B) and / or a groove (G), and the protrusion (B) formed on the coupling part (M1) of one module (M) is another module coupled therewith. It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G) formed in the coupling part (M1) of (M).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exhibit the function of fixing the guidance and the coupling position so that each module M coupled to each other can be coupled at the correct posi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구동모듈(30M), 제1피동모듈(10M) 및 제2피동모듈(20M)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6 shows the appearance of a
복수개의 모듈(M) 중 어느 하나는 구동모듈(30M)이고, 구동모듈(30M)을 제외한 복수개의 모듈(M) 중 어느 둘은 제1피동모듈(10M) 및 제2피동모듈(20M)일 수 있다.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odules M is the driving
한편 구동모듈(30M)은 몸통모듈(Mb)일 수 있다. 제1피동모듈(10M)은 오른쪽 다리 모듈(Mrl)이고, 제2피동모듈(20M)은 왼쪽 다리 모듈(Mll)일 수 있다. 이하에서 이러한 전제 하에 설명한다.Meanwhile, the driving
구동모듈(30M)은 골반의 형상을 포함하되 고관절 부분에 2개의 결합부(M1)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하나의 결합부(M1)는 제3결합부(30M1a), 나머지 중 하나의 결합부(M1)는 제4결합부(30M1b)일 수 있다(후술하겠지만, 제3결합부(30M1a)는 제1피동모듈(10M)에 마련된 제1결합부(10M1)와, 제4결합부(30M1b)는 제2피동모듈(20M)에 마련된 제2결합부(20M1)와 결합될 수 있다.).여기에 따르면 몸통모듈(Mb)의 하부에는 골반의 형상이 마련되어 있고, 2개의 고관절 부분에 2개의 결합부(30M1a, 30M1b)가 각각 마련되어 있어 후술할 제1피동모듈(10M) 및 제2피동모듈(20M)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The driving
구동모듈(30M)은 제1모터(30M10), 제1프로세서(30M20) 및 동력전달구조체(30M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모터(30M10), 제1프로세서(30M20)는 하우징(30M2)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The driving
제1모터(30M10)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모터(30M10)가 제공하는 동력은 동력전달구조체(30M30)에 제공될 수 있다. The first motor 30M10 may provide power. Power provided by the first motor 30M10 may be provided to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30M30.
제1프로세서(30M20)는 제1모터(30M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프로세서(30M20)는 제1모터(30M10)가 적절한 동력을 동력전달구조체(30M30)에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적절한 동력이란 동력전달구조체(30M30)에 전달됨으로써 동력전달구조체(30M30)와 연결된 제1피동모듈(10M) 및 제2피동모듈(20M)이 보행자의 하체와 같은 양상의 움직임을 하도록 하는 동력을 의미할 수 있다. The first processor 30M20 may control the first motor 30M10. The first processor 30M20 may control the first motor 30M10 to provide appropriate power to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30M30. At this time, proper power is transmit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30M30 so that the first driven
동력전달구조체(30M30)는 구동모듈(30M)의 내부에 마련되되, 제1모터(30M10)가 제공하는 동력을 전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동력전달구조체(30M30)는 제3결합부(30M1a) 및 제4결합부(30M1b)를 마련하여 제1모터(30M10)가 제공하는 동력을 제3결합부(30M1a) 및 제4결합부(30M1b)를 통해 제1피동모듈(10M) 및 제2피동모듈(20M)에게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30M30 may be provided inside the driving
한편 구동모듈(30M)을 제외한 복수개의 모듈(M) 중 어느 둘은 각각 제1피동모듈(10M) 및 제2피동모듈(20M)일 수 있다. 제1피동모듈(10M)은 제3결합부(30M1a)와 결합될 수 있는 제1결합부(10M1)를, 제2피동모듈(20M)은 제4결합부(30M1b)와 결합될 수 있는 제2결합부(20M1)를 마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피동모듈(10M) 및 제2피동모듈(20M)은 구동모듈(30M)과 각각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피동모듈(10M) 및 제2피동모듈(20M)은 동력전달구조체(30M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보행자의 하체와 같은 움직임을 구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any two of the plurality of modules M excluding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더미(100)의 구동장면을 도시한 것이다.7 shows a driving scene of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더미(100)의 구동장면을 도시한 것이다.8 shows a driving scene of the
각 도면에서 (a)는 제1피동모듈(10M) 및 제2피동모듈(20M)이 나란히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제1피동모듈(10M)이 전진하고 제2피동모듈(20M)이 후퇴한 상태(보행자의 오른쪽 다리가 앞선 양상)를 도시한 것이고, (c)는 제2피동모듈(20M)이 전진하고 제1피동모듈(10M)이 후퇴한 상태(보행자의 왼쪽 다리가 앞선 양상)를 도시한 것이다.In each drawing,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driven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동력전달구조체(30M30)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30M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
동력전달구조체(30M30)는 캠샤프트(30M31), 제1실린더(30m32), 제1피스톤(30M33), 제1암(30M34), 제1샤프트(30M35), 제2실린더(30M36), 제2피스톤(30M37), 제2암(30M38) 및 제2샤프트(30M39)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30M30 includes a camshaft 30M31, a first cylinder 30m32, a first piston 30M33, a first arm 30M34, a first shaft 30M35, a second cylinder 30M36, and a second cylinder 30M36. A piston 30M37, a second arm 30M38 and a second shaft 30M39 may be included.
이러한 동력전달구조체(30M3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기 위해 제1피동모듈(10M) 및 제2피동모듈(20M)은 그 결합부(제1결합부(10M1) 및 제2결합부(20M1)가 기어의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결합부(10M1) 및 제2결합부(20M1)는 각각 평기어로 마련됨으로써 충격으로 인한 구동모듈(30M)과의 분리시 파손을 최소화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평기어는 원판형상이되 옆면이 아닌 앞면(또는 뒷면)에 톱니를 가져 앞면(또는 뒷면)을 다른 평기어와 맞물리는 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후술할 평기어도 역시 같다.In order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30M30, the first driven
캠샤프트(30M31)는 일단이 제1모터(30M10)에 연결되고 타단에 캠(30M31a)이 마련될 수 있다. 제1모터(30M10)가 제1프로세서(30M20)의 제어를 받아 동력을 제공하면 캠샤프트(30M31)는 회전할 수 있다. 캠샤프트(30M31)가 회전하면 캠(30M31a)은 회전하며 제1피스톤(30M33)과 제2피스톤(30M37)을 선택적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 때 제1피스톤(30M33)은 좌측으로 밀려나고((b) 상태), 제2피스톤(30M37)은 우측으로 밀려난다((c) 상태).The camshaft 30M31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motor 30M10 and a cam 30M31a provided at the other end. When the first motor 30M10 receives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processor 30M20, the camshaft 30M31 may rotate. When the camshaft 30M31 rotates, the cam 30M31a rotates and can selectively push the first piston 30M33 and the second piston 30M37. At this time, the first piston 30M33 is pushed to the left (state (b)), and the second piston 30M37 is pushed to the right (state (c)).
한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캠(30M31a)은 원좌표계(θ, r) 상의 입면도가 r = a*θ(a는 상수)의 형상으로 그려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캠(30M31a)은 일정한 각속도로 회전하므로 제1피스톤(30M33) 또는 제2피스톤(30M37)이 일정한 속도로 밀려나고 복귀하게 되는데, 제1암(30M34) 및 제2암(30M38)이 제1피스톤(30M33) 및 제2피스톤(30M37)과 각각 90도 내외(80도 ~ 110도)를 유지하며 거동하기 때문에 제1암(30M34) 및 제2암(30M38)의 회전 각속도 역시 캠(30M31a)과 같이 거의 일정한 각속도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암(30M34), 제2암(30M38), 제1샤프트(30M35) 및 제2샤프트(30M39) 역시 거의 일정한 속도로 각운동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제1피동모듈(10M) 및 제2피동모듈(20M) 역시 보다 자연스러운 보행자의 양상으로 거동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am 30M31a may be provided so that the elevation on the circular coordinate system θ, r is drawn in the shape of r=a*θ (a is a constant). In this case, since the cam 30M31a rotates at a constant angular speed, the first piston 30M33 or the second piston 30M37 is pushed out and returned at a constant speed, and the first arm 30M34 and the second arm 30M38 Since they move while maintaining the 1st piston (30M33) and the 2nd piston (30M37) within 90 degrees (80 to 110 degrees), the rotational angular velocity of the 1st arm (30M34) and 2nd arm (30M38) is also the cam (30M31a). ) to maintain a nearly constant angular velocity. Therefor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arm 30M34, the second arm 30M38, the first shaft 30M35, and the second shaft 30M39 also repeat angular motion at a substantially constant speed. Therefore, the first driven
제1실린더(30m32)는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여 제1피스톤(30M33)이 중공에 삽입되어 피스톤 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실린더(30m32)는 구동모듈(30M)의 하우징(30M2)에 고정되어 마련되거나 구동모듈(30M)의 하우징(30M2)에 의하여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구동모듈(30M)의 하우징(30M2)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1실린더(30m32)의 역할을 수행토록 마련될 수도 있다.The first cylinder 30m32 may be provided with a hollow inside so that the first piston 30M33 may be inserted into the hollow to perform a piston movement. The first cylinder 30m32 may be provided by being fixed to the housing 30M2 of the
제1피스톤(30M33)은 제1실린더(30m32)에 형성된 중공에 마련되며, 캠(30M31a)의 회전으로 좌측으로 밀려나거나 복귀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piston 30M33 is provided in a hollow formed in the first cylinder 30m32, and may be pushed to the left or returned by rotation of the cam 30M31a.
제1암(30M34)은 일측은 제1피스톤(30M33)으로부터 힘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연장되어 있고, 타단에는 구동베벨기어(30M34a)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암(30M34)은 타단에 마련된 구동베벨기어(30M34a)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암(30M34)은 제1피스톤(30M33)으로부터 받은 힘에 의해 타단에 마련된 구동베벨기어(30M34a)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암(30M34)은 이러한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구동모듈(30M)의 하우징(30M2)에 안착 내지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first arm 30M34 is extended to receive force from the first piston 30M33, and the other end may be provided to form a drive bevel gear 30M34a. The first arm 30M34 may be provided to rotate about the axis of rotation of the drive bevel gear 30M34a provided at the other end. Accordingly, the first arm 30M34 may rotate counterclockwise aroun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drive bevel gear 30M34a provided at the other end by the force received from the first piston 30M33. The first arm 30M34 may be seated or fixed to the housing 30M2 of the
한편 제1암(30M34)이 하우징(30M2)에 안착 내지 고정될 때, 하우징(30M2)과 제1암(30M34) 사이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미도시)는 하우징(30M2)에 지지되며 제1암(30M34)에게 시계방향으로의 토크를 항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 따르면 제1암(30M34)은 제1피스톤(30M33)이 캠(30M31a)에 의하여 힘을 받아 좌측으로 밀려나면 제1피스톤(30M33)이 제공하는 힘에 의하여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한 시계방향으로의 토크를 극복하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면서도, 캠(30M31a)이 다시 회전하면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발생한 시계방향으로의 토크에 기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피스톤(30M33)을 우측으로 밀어내도록 기능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first arm 30M34 is seated or fixed to the housing 30M2, an elastic member (not shown) such as a spring may be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30M2 and the first arm 30M34. The elastic member (not shown) is supported by the housing 30M2 and can always provide clockwise torque to the first arm 30M34. According to this, when the first arm 30M34 receives force from the cam 30M31a and is pushed to the left, the first arm 30M34 is driven by an elastic member (not shown) by the force provided by the first piston 30M33. Although it can rotate counterclockwise while overcoming the clockwise torque, when the cam 30M31a rotates again, it rotates clockwise based on the clockwise torque generated by the elastic member (not shown) and the first piston It can function to push (30M33) to the right.
제1샤프트(30M35)는 일단에 피동베벨기어(30M35a)를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암(30M34)의 타단에 마련된 구동베벨기어(30M35a)가 회전하면 제1샤프트(30M35)의 일단에 마련된 피동베벨기어(30M35a)는 거기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A driven bevel gear 30M35a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shaft 30M35. Therefore, when the driving bevel gear 30M35a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arm 30M34 rotates, the driven bevel gear 30M35a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shaft 30M35 may rotate in engagement therewith.
한편 제1샤프트(30M35)의 타단에는 기어(30M35b)가 마련될 수 있다. 기어(30M35b)는 제1피동모듈(10M)의 제1결합부(10M1)와 결합하여 제1샤프트(30M35)가 회전함으로써 제1피동모듈(10M)을 회전시키도록 기능할 수 있다. 결국 제1암(30M3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피동모듈(10M)은 (b)상태와 같이 전진하게 되고, 제1암(30M3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피동모듈(10M)은 (c)상태와 같이 후퇴하게 된다. Meanwhile, a gear 30M35b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shaft 30M35. The gear 30M35b may function to rotate the first driven
한편 제1샤프트(30M35)의 타단에 마련된 기어(30M35b)는 구동모듈(30M)의 결합부(M1)로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샤프트(30M35)의 타단은 기어의 형태로 제3결합부(30M1a)를 마련할 수 있다. 제3결합부(30M1a)를 마련하는 기어(30M35b)는 제1피동모듈(10M)에 마련된 제1결합부(10M1)가 띄는 자성과 반대 극의 자성을 띔으로써 제1결합부(10M1와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the gear 30M35b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shaft 30M35 may be provided as a coupling part M1 of the
한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3결합부(30M1a)를 마련하는 기어(30M35b)는 평기어일 수 있다. 이 경우 제3결합부(30M1a) 역시 제1결합부(10M1)와 맞물리는 평기어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에 따르면 제3결합부(30M1a) 및 제1결합부(10M1)는 자력에 의하여 결합상태를 유지하며 제1샤프트(30M35)의 토크를 제1피동모듈(10M)에 전달하면서도, 외부 충격에 의하여 분리가 원활하게 되어 분리시 연결구조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gear 30M35b providing the third coupling part 30M1a may be a spur gear. In this case, the third coupling portion 30M1a may also be provided with a spur gear meshed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0M1. According to this, the third coupling part 30M1a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0M1 maintain a coupled state by magnetic force and transmit the torque of the first shaft 30M35 to the first driven
제2실린더(30M36)는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여 제2피스톤(30M37)이 중공에 삽입되어 피스톤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실린더(30M36)는 구동모듈(30M)의 하우징(30M2)에 고정되어 마련되거나 구동모듈(30M)의 하우징(30M2)에 의하여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구동모듈(30M)의 하우징(30M2)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2실린더(30M36)의 역할을 수행토록 마련될 수도 있다.The second cylinder 30M36 may be provided with a hollow inside so that the second piston 30M37 is inserted into the hollow to perform a piston movement. The second cylinder 30M36 may be provided by being fixed to the housing 30M2 of the
제2피스톤(30M37)은 제2실린더(30M36)에 형성된 중공에 마련되며, 캠(30M31a)의 회전으로 우측으로 밀려나거나 복귀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piston 30M37 is provided in a hollow formed in the second cylinder 30M36, and may be pushed to the right or returned by rotation of the cam 30M31a.
제2암(30M38)은 일측은 제2피스톤(30M37)으로부터 힘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연장되어 있고, 타단에는 구동베벨기어(30M38a)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암(30M38)은 타단에 마련된 구동베벨기어(30M38a)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암(30M38)은 제2피스톤(30M37)으로부터 받은 힘에 의해 타단에 마련된 구동베벨기어(30M38a)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암(30M38)은 이러한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구동모듈(30M)의 하우징(30M2)에 안착 내지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second arm 30M38 is extended to receive force from the second piston 30M37, and the other end may be provided to form a drive bevel gear 30M38a. The second arm 30M38 may be provided to rotate about the axis of rotation of the drive bevel gear 30M38a provided at the other end. Accordingly, the second arm 30M38 may rotate clockwise aroun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drive bevel gear 30M38a provided at the other end by the force received from the second piston 30M37. The second arm 30M38 may be seated or fixed to the housing 30M2 of the
한편 제2암(30M38)이 하우징(30M2)에 안착 내지 고정될 때, 하우징(30M2)과 제2암(30M38) 사이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미도시)는 하우징(30M2)에 지지되며 제2암(30M38)에게 반시계방향으로의 토크를 항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 따르면 제2암(30M38)은 제2피스톤(30M37)이 캠(30M31a)에 의하여 힘을 받아 우측으로 밀려나면 제2피스톤(30M37)이 제공하는 힘에 의하여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한 반시계방향으로의 토크를 극복하며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면서도, 캠(30M31a)이 다시 회전하면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발생한 반시계방향으로의 토크에 기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2피스톤(30M37)을 좌측으로 밀어내도록 기능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second arm 30M38 is seated or fixed to the housing 30M2, an elastic member (not shown) such as a spring may be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30M2 and the second arm 30M38. The elastic member (not shown) is supported by the housing 30M2 and can always provide counterclockwise torque to the second arm 30M38. According to this, when the second arm 30M38 receives force from the cam 30M31a and is pushed to the right, the second arm 30M38 is driven by an elastic member (not shown) by the force provided by the second piston 30M37. Although it can rotate clockwise while overcoming counterclockwise torque, when the cam 30M31a rotates again, it rotates counterclockwise based on the counterclockwise torque generated by the elastic member (not shown) and controls It can function to push the 2nd piston (30M37) to the left.
제2샤프트(30M39)는 일단에 피동베벨기어(30M39a)를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암(30M38)의 타단에 마련된 구동베벨기어(30M38a)가 회전하면 제2샤프트(30M39)의 일단에 마련된 피동베벨기어(30M39a)는 거기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A driven bevel gear 30M39a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shaft 30M39. Therefore, when the drive bevel gear 30M38a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rm 30M38 rotates, the driven bevel gear 30M39a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shaft 30M39 may rotate in engagement therewith.
한편 제2샤프트(30M39)의 타단에는 기어(30M39b)가 마련될 수 있다. 마련된 기어(30M39b)는 제2피동모듈(20M)의 제2결합부(20M1)와 결합하여 제2샤프트(30M39)가 회전함으로써 제2피동모듈(20M)을 회전시키도록 기능할 수 있다. 결국 제2암(30M38)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피동모듈(20M)은 (c)상태와 같이 전진하게 되고, 제2암(30M38)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피동모듈(20M)은 (b)상태와 같이 후퇴하게 된다. Meanwhile, a gear 30M39b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haft 30M39. The prepared gear 30M39b may function to rotate the second driven
한편 제2샤프트(30M39)의 타단에 마련된 기어(30M39b)는 구동모듈(30M)의 결합부(M1)로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샤프트(30M39)의 타단은 기어의 형태로 제4결합부(30M1b)를 마련할 수 있다. 제4결합부(30M1b)를 마련하는 기어(30M39b)는 제2피동모듈(20M)에 마련된 제2결합부(20M1)가 띄는 자성과 반대 극의 자성을 띔으로써 제2결합부(20M1)와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the gear 30M39b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haft 30M39 may be provided as a coupling part M1 of the
한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4결합부(30M1b)를 마련하는 기어(30M39b)는 평기어일 수 있다. 이 경우 제4결합부(30M1b) 역시 제2결합부(20M1)와 맞물리는 평기어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에 따르면 제4결합부(30M1b) 및 제2결합부(20M1)는 자력에 의하여 결합상태를 유지하며 제2샤프트(30M39)의 토크를 제2피동모듈(20M)에 전달하면서도, 외부 충격에 의하여 분리가 원활하게 되어 분리시 연결구조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gear 30M39b providing the fourth coupling part 30M1b may be a spur gear. In this case, the fourth coupling portion 30M1b may also be provided with a spur gear engaged wit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0M1. According to this, the fourth coupling portion 30M1b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0M1 maintain a coupled state by magnetic force and transmit the torque of the second shaft 30M39 to the second driven
지금까지의 설명에 따르면 캠(30M31a)은 제1모터(30M10)에 의하여 회전하며 제1피스톤(30M33)과 제2피스톤(30M37)이 교번되어 좌우방향으로 피스톤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피스톤(30M33)이 좌측으로 운동할 때 제2피스톤(30M37) 역시 좌측으로 운동하도록 하고, 그 제1피스톤(30M33)이 우측으로 운동할 때, 제2피스톤(30M37) 역시 우측으로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에 따르면 (b) 상태는 제1피스톤(30M33)이 좌측으로 운동하여 제1암(30M34)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제1샤프트(30M35)는 제1피동모듈(10M)을 회전시킴으로써 전진시킨다. 그와 동시에 제2피스톤(30M37) 역시 좌측으로 운동하면 제2암(30M38)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제2샤프트(30M39)는 제2피동모듈(20M)을 회전시킴으로서 후퇴시킨다. (c) 상태는 제1피스톤(30M33)과 제2피스톤(30M37)이 모두 우측으로 이동하며 제1피동모듈(10M)을 후퇴시키고 제2피동모듈(20M)을 전진시키는 상태이다. 결과적으로 제1모터(30M10)는 일방향으로 계속적인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제1피동모듈(10M) 및 제2피동모듈(20M)이 서로 교차되며 전진 및 후퇴를 반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것은 오른쪽 다리모듈(Mrl) 및 왼쪽 다리모듈(Mll)이 보행자의 보행중인 하체와 같은 양상으로 거동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According to the description so far, the cam 30M31a is rotated by the first motor 30M10, and the first piston 30M33 and the second piston 30M37 alternately move the pist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piston 30M33 moves to the left, the second piston 30M37 also moves to the left, and when the first piston 30M33 moves to the right, the second piston 30M37 also moves to the right. can make you exercise. According to the foregoing, in the state (b), the first piston 30M33 moves to the left to rotate the first arm 30M34 counterclockwise, and accordingly, the first shaft 30M35 rotates the first driven
이러한 동력전달구조체(30M30)는 구동모듈(30M)의 하우징(30M2) 내부에 위치하므로 차량의 충격에 의하여 파손될 가능성이 낮아진다. 물론 이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되어 하우징(30M2) 내부에서 제1모터(30M10)의 동력을 제1피동모듈(10M) 및 제2피동모듈(20M)에 전달할 수 있는 동력전달구조체(30M30)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Since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30M30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30M2 of the
지금까지의 설명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양상은 하체가 보행자의 하체와 같이 거동하는 더미(10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최종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더미(100)는 조립 및 분해가 쉬우며 충돌에 의하여도 파손의 위험이 적으므로 유지 및 보수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더미(100)의 보행자와 같은 거동은 독립적인 모터(후술할 제2모터(210)와 독립된 제1모터(30M1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므로, 더미(100)의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레일(20) 등의 별도의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시험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도 절감되게 된다. Finally, since the
<이송로봇에 관한 설명><Description of transfer robot>
앞서 설명한 주행 안전성 테스트용 더미(100)는 주행 안전성 테스트용 더미 이송로봇(200)(이하 ‘이송로봇(200)’이라 함)에 의하여 이송된다. 물론 이송로봇(200)은 상술한 더미(100)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성인용 더미를 이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자전거를 탄 사람의 형상을 한 더미 등을 이송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The driving
도 9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송로봇(200)의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 10은 도 9에 표시된 바와 같이 A-A방향에서 바라본 이송로봇(200)의 측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도 11은 도 10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B-B 방향에서 바라본 이송로봇(200)의 평단면도이다.FIG. 11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다.See FIGS. 9 to 11 below.
이송로봇(200)은 차체(230), 제2모터(210), 제2프로세서(220), 이동부(240), 서스펜션부(250), 통신부(260) 및 팬(270)을 포함할 수 있다.The
차체(230)는 상면에 더미(100)를 고정 및 적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차체(230)는 더미(100)를 차량 상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다양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차체(230)의 상면이 자성을 띄고 더미(100) 역시 차체(230)와의 결합부(M1)분이 자성을 띔으로써 자력에 의하여 양자가 결합되는 방식도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에는 양자(100, 200)의 결합구조가 충돌로 인한 파손에서 더욱 자유로워 질 것이다. 더미(100)가 이송로봇(200)의 상면에 고정 및 적재되기 위해 더미(100)는 포함하고 있는 어떠한 모듈(M)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스탠드(S)를 마련하고, 해당 스탠드(S)의 연장된 일단(미도시)에 차체(230)와의 결합부분(미도시)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결합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을 쉽게 채용할 수 있을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차체(230)는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차체(230)의 후면 및 양 측면은 각각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체(230)는 하측으로 개방된 흡입구멍(H)이 형성된다. 경사진 면에는 후술할 팬(270)이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마련된 팬(270)은 차체(230)의 후면 및 양 측면에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의 축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팬(270)은 차체(230) 하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차체(230)의 높이를 낮추도록 기능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차체(23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차량의 후상측 및 좌우상측으로 방출함으로써 차체(230) 하측 내지 차체(230) 내부의 기압이 낮아지면, 흡입구멍(H)을 통해 차체(230) 하측의 공기가 흡입구멍(H)으로 공급되며 차체(230) 하측의 기압이 낮아지게 된다. 최종적으로 차체(230)는 기압차에 의하여 아래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므로 차체(230)의 높이는 낮아지게 된다. 물론 이 때 후술할 서스펜션부(250)가 기능하게 된다.The rea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차체(230)의 전면은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의 바람에 대한 저항 계수가 낮아지게 되어 이송로봇(200)의 에너지 효율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The front surface of the
또한 이송로봇(200)이 이동할 때 차체(230)의 전면의 기압이 높아지고, 따라서 차량의 전면부는 하측으로 압력을 받게 되는데, 구동샤프트(후술할 제1이동샤프트(241))가 전면에 위치하는 경우 구동바퀴의 접지력이 높아지므로 이송로봇(200)은 더욱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주행을 할 수 있게 된다(도 10 및 11은 제1이동샤프트(241)가 후측에, 제2이동샤프트(242)가 전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양자의 위치는 반대가 되는 것도 가능함).In addition, when the
제2모터(210)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프로세서(220)는 제2모터(2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통신부(260)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통신부(260)가 외부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제2프로세서(220)는 해당 신호를 처리하고 해당 신호에 따라 제2모터(2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물론 통신부(260)가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미리 입력된 명령에 따라 제2프로세서(220)가 제2모터(210)를 제어하여 이송로봇(200)에 미리 입력된 명령에 따른 동력을 제공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다.The
이동부(240)는 차체(230)의 하부에 마련되어 제2모터(210)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하여 차체(230)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240)는 제2모터(210)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제1이동샤프트(241) 및 제1이동샤프트(241)의 양단에 연결된 바퀴(241W)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ving unit 240 may be provided under the
한편 이동부(240)는 제2프로세서(220)에 의하여 제어받는 제2이동샤프트(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이동샤프트(242) 역시 바퀴(242W)를 마련할 수 있다. 이 바퀴는 제2이동샤프트(242)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프로세서(220)는 통신부(260)를 통해 수신한 신호 또는 미리 입력된 명령에 따라 제2이동샤프트(242)의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이송로봇(200)의 진행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Meanwhile, the moving unit 240 may include a second moving
서스펜션부(250)는 이동부(240)에 연결되어 차체(230)를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스펜션부(250)는 양단이 제1이동샤프트(241) 및 제2이동샤프트(242)와 차체(230)에 각각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서스펜션부(250)은 이송로봇(200)의 주행시 바닥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차체(230)에 전달되는 것을 완화하는 기능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팬(270)에 의하여 차체(230)에 하측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차체(230)의 높이를 낮추도록 기능할 수 있다.The
팬(270)은 제2모터(210)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팬(270)은 차체(230)의 하측에 위치한 공기를 흡입하여 차체(230)의 상측으로 방출함으로써 차체(230)의 지면과의 접지력을 향상시키도록 기능할 수 있다. 팬(270)은 적어도 3개 이상으로 차체(230)의 후면 및 양 측면에 적어도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각 팬(270)은 각각 마련된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축을 각각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차체(230)의 후면 및 각 측면이 하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있는 경우 각 팬(270)은 차체(230)의 하측에 위치한 공기를 흡입하여 차체(230)의 상측으로 내뿜게 된다. The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팬(270)이 동작하면 차체(230) 내부의 공기가 지속적으로 차체(230) 외부로 방출되므로 차체(230) 내부 및 차체(230)의 내부와 흡입구멍(H)을 통해 연결된 차체(230) 하부의 기압은 차체(230) 외부의 기압보다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차체(230)는 서스펜션부(250)의 기능에 의해 아래로 깔리는 양상이 된다. 따라서 이동중의 공기저항이 낮아지고 결과적으로 이송차량의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 more detailed explanation is as follows. When the
구동되는 팬(270) 역시 에너지를 요하므로 통상의 기술자는 간단한 실험을 통해 이송차량의 최적의 에너지 효율을 위한 팬(270)의 개수 및 구체적인 위치를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driven
또한 차체(230)의 후면에 위치한 팬(270)은 공기를 차량의 상-후측으로 방출하므로 후측으로 방출되는 공기가 추진체 역할을 하게 되어 차량의 에너지 효율을 더욱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최종적으로 이송로봇(200)은 높은 에너지 효율을 가져 보다 저사양의 모터를 통한 비용절감이 가능하고, 차체(230)가 낮아지므로 보다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Finally, the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mainly with its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various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o those described in the claim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10 : 더미
20 : 레일
30 : 구동장치
40 : 이송부재
100 : 테스트용 더미
M : 모듈
M1 : 결합부
M2 : 하우징
10M : 제1피동모듈
10M1 : 제1결합부
20M : 제2피동모듈
10M1 : 제2결합부
30M : 구동모듈
30M1a : 제3결합부
30M1b : 제4결합부
30M2 : 하우징
30M10 : 제1모터
30M20 : 제1프로세서
30M30 : 동력전달구조체
30M31 : 캠샤프트
30M31a : 캠
30M32 : 제1실린더
30M33 : 제1피스톤
30M34 : 제1암
30M34a : 구동베벨기어
30M35 : 제1샤프트
30M35a : 피동베벨기어
30M35b : 기어
30M36 : 제2실린더
30M37 : 제2피스톤
30M38 : 제2암
30M38a : 구동베벨기어
30M39 : 제2샤프트
30M39a : 피동베벨기어
30M39b : 기어
200 : 이송로봇
210 : 제2모터
220 : 제2프로세서
230 : 차체
240 : 이동부
241 : 제1이동샤프트
242 : 제2이동샤프트
250 : 서스펜션부
260 : 통신부
270 : 팬10 : Dummy
20: rail
30: driving device
40: transfer member
100: dummy for testing
M: module
M1: connection part
M2: Housing
10M: 1st driven module
10M1: first coupling part
20M: 2nd driven module
10M1: 2nd coupling part
30M: drive module
30M1a: 3rd coupling part
30M1b: 4th coupling part
30M2: Housing
30M10: 1st motor
30M20: 1st processor
30M30: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30M31 : Camshaft
30M31a : Cam
30M32: 1st cylinder
30M33: 1st piston
30M34: 1st arm
30M34a: driving bevel gear
30M35: 1st shaft
30M35a : driven bevel gear
30M35b : gear
30M36: 2nd cylinder
30M37: 2nd piston
30M38 : 2nd arm
30M38a : drive bevel gear
30M39: 2nd shaft
30M39a : driven bevel gear
30M39b : Gear
200: transfer robot
210: second motor
220: second processor
230: body
240: moving unit
241: first moving shaft
242: second moving shaft
250: suspension part
260: communication department
270: fan
Claims (7)
상기 복수개의 모듈은 각각 외형을 구성하는 하우징 및 다른 모듈과의 상호 결합을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부를 마련하고,
상기 각 결합부는 자성을 띔으로써 다른 극의 자성을 띄는 다른 결합부와 자력에 의하여 상호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주행 안전성 테스트용 더미.Including; a plurality of modules that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Each of the plurality of modules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art enabling mutual coupling with a housing and other modules constituting an external shape,
Each of the coupling parts is provided to be mutually coupled by magnetic force with other coupling parts having magnetism of a different polarity by being magnetic
Dummy for driving safety test.
상기 복수개의 모듈 중 어느 하나는 제1결합부를 마련하는 제1피동모듈이고,
상기 제1피동모듈을 제외한 상기 복수개의 모듈 중 어느 하나는 제2결합부를 마련하는 제2피동모듈이고,
상기 제1피동모듈 및 상기 제2피동모듈을 제외한 상기 복수개의 모듈 중 어느 하나는 제3결합부 및 제4결합부를 마련하는 구동모듈이고,
상기 구동모듈은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제1모터;
상기 제1모터를 제어하는 제1프로세서; 및
상기 구동모듈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제3결합부 및 상기 제4결합부를 마련하여 상기 제1모터가 제공하는 동력을 상기 제3결합부 및 상기 제4결합부를 통해 전달 가능한 동력전달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3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4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제1피동모듈 및 상기 제2피동모듈은 상기 구동모듈이 제공하는 동력에 의하여 상호 교차되어 전진 및 후퇴하는 거동이 가능한
주행 안전성 테스트용 더미.According to claim 1
One of the plurality of modules is a first driven module providing a first coupling par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odules other than the first driven module is a second driven module providing a second coupling par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odules other than the first driven module and the second driven module is a driving module providing a third coupling portion and a fourth coupling portion;
The drive module
A first motor capable of providing power;
a first processor controlling the first motor; and
A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provided inside the driving module and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provided by the first motor through the third coupling portion and the fourth coupling portion by providing the third coupling portion and the fourth coupling portion; includes do
The first coupling part may be coupled to the third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fourth coupling portion, so that the first driven module and the second driven module are provided by the driving module. Possi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by intersecting each other by power
Dummy for driving safety test.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3결합부는 상호 맞물리는 평기어로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제4결합부는 상호 맞물리는 평기어로 각각 마련되는
주행 안전성 테스트용 더미.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coupling part and the third coupling part are provided with mutually meshing spur gears,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the fourth coupling portion are respectively provided as spur gears meshing with each other
Dummy for driving safety test.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제2모터;
상기 제2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제2프로세서;
상기 차체의 하부에서 상기 제2모터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하여 상기 차체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차체를 탄성 지지하는 서스펜션부; 및
상기 제2모터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팬은 상기 차체의 하측에 위치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차체의 상측으로 방출함으로써 상기 차체의 지면과의 접지력을 향상시키는
주행 안전성 테스트용 더미 이송로봇.A vehicle body capable of fixing and loading the dummy of any one of claims 1 to 3 on the upper surface;
A second motor capable of providing power;
a second processor capable of controlling the second motor;
a moving unit for moving the vehicle body by the power provided by the second motor at a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a suspension unit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vehicle body; and
A fan driven by the power provided by the second motor; includes,
The fan improves the ground contact force of the vehicle body by sucking in air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discharging it to the upper side of the vehicle body.
Dummy transfer robot for driving safety test.
상기 차체의 후면 및 양 측면은 각각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팬은 적어도 3개 이상으로 상기 차체의 후면 및 양 측면에 적어도 하나씩 마련되는
주행 안전성 테스트용 더미 이송로봇.According to claim 4
The rear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vehicle body ar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respectively.
The fan is at least three, and at least one is provided on the rear and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Dummy transfer robot for driving safety test.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팬은 각각 마련된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축을 각각 가지는
주행 안전성 테스트용 더미 이송로봇.According to claim 5
The at least three or more fans each have an axi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vided surface.
Dummy transfer robot for driving safety test.
상기 차체의 전면은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주행 안전성 테스트용 더미 이송로봇.According to claim 4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is inclined downward
Dummy transfer robot for driving safety tes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1583A KR102600646B1 (en) | 2023-05-12 | 2023-05-12 | Dummy and its transfer robo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1583A KR102600646B1 (en) | 2023-05-12 | 2023-05-12 | Dummy and its transfer robo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3260A true KR20230083260A (en) | 2023-06-09 |
KR102600646B1 KR102600646B1 (en) | 2023-11-14 |
Family
ID=86765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61583A KR102600646B1 (en) | 2023-05-12 | 2023-05-12 | Dummy and its transfer robo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00646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6082Y1 (en) * | 2001-01-19 | 2001-06-01 | 임영균 | moving type toy |
KR101456191B1 (en) * | 2014-06-25 | 2014-10-31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Dummy for driving test and driving test system using the same |
KR101723551B1 (en) * | 2016-11-21 | 2017-04-05 |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 System for simulating car accident of pedestrian |
KR101978817B1 (en) * | 2018-02-05 | 2019-05-15 | (주)에스티엠자동화 | Dummy transfering apparatus for testing autonomous car |
-
2023
- 2023-05-12 KR KR1020230061583A patent/KR10260064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6082Y1 (en) * | 2001-01-19 | 2001-06-01 | 임영균 | moving type toy |
KR101456191B1 (en) * | 2014-06-25 | 2014-10-31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Dummy for driving test and driving test system using the same |
KR101723551B1 (en) * | 2016-11-21 | 2017-04-05 |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 System for simulating car accident of pedestrian |
KR101978817B1 (en) * | 2018-02-05 | 2019-05-15 | (주)에스티엠자동화 | Dummy transfering apparatus for testing autonomous ca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00646B1 (en) | 2023-1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8294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crash avoidance technologies | |
CN101489857B (en) | Wheeled vehicle, hitching method, unhitching method, method for managing said vehicles and resulting train of vehicles | |
US8583358B2 (en)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crash avoidance technologies | |
RU2489269C2 (en) | Articulation between road-train modules | |
CN105857415A (en) | Compact efficient system to quickly raise and slowly lower an air dam | |
CN106414180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energy absorbing end | |
CN108163005B (en) | A kind of tramcar and car collision avoidance System | |
US11934190B2 (en) | Low-profile robotic platform | |
EP2657672A1 (en)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crash avoidance technologies | |
JP6942664B2 (en) | Travel control system for work vehicles | |
WO2021251058A1 (en) | Shock absorption device | |
JP2008194466A (en) | Safety separation system | |
KR101094740B1 (en) | movable robot using caterpillar | |
WO2013070155A1 (en) | A dummy test vehicle | |
KR20230083260A (en) | Dummy and its transfer robot | |
JP6923472B2 (en) | Obstacle detection system | |
JP6916138B2 (en) | Automatic traveling device for work vehicles | |
JP7016747B2 (en) | Collaborative work system | |
JP2021185523A (en) | Driving control system for work vehicle | |
CN213768780U (en) | Natural navigation AGV | |
CN114789704B (en) | Active vehicle collision protection system, vehicle and method | |
CN113478522B (en) | Detection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
JP6953347B2 (en) | Travel control system for work vehicles | |
CN111489586A (en) | Expressway warning robot | |
CN105984516A (en) | Microgravity vertical lifting initiative anti-collision system and anti-collision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