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3256A - Aerosol generating device - Google Patents
Aerosol genera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83256A KR20230083256A KR1020220167138A KR20220167138A KR20230083256A KR 20230083256 A KR20230083256 A KR 20230083256A KR 1020220167138 A KR1020220167138 A KR 1020220167138A KR 20220167138 A KR20220167138 A KR 20220167138A KR 20230083256 A KR20230083256 A KR 202300832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erosol
- heating
- processor
- forming article
- valu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5000019504 cigaret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571 electronic cigaret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391 smo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SNICXCGAKADSCV-JTQLQIEISA-N (-)-Nicotine Chemical compound CN1CCC[C@H]1C1=CC=CN=C1 SNICXCGAKADSCV-JTQLQIEI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125 Nicot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37 Nicotiana taba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 but recent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715 nicot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SNICXCGAKADSCV-UHFFFAOYSA-N nicotine Natural products CN1CCCC1C1=CC=CN=C1 SNICXCGAKADSC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실시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가열 공간으로 삽입 및 미삽입을 판단하여 삽입 시에만 또는 기설된 온도 변화 특성에 대응할 시에만 본가열 동작을 자동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relate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particular, determining whether an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or not inserted into a heating space, and automatically or continuously performing a main heating operation only when inserted or when 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change characteristic. It relates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공기 중의 미세 입자, 즉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것으로 흔히 말하는 흡연과 같은 기호 물질 흡입이 달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궐련 형태의 담배가 이러한 기호 물질 흡입의 거의 유일한 수단이었으나 최근에는 전자 담배라는 것도 또 하나의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전자 담배는 흡입 물질이 액체 형태로 담긴 카트리지에 열이나 초음파를 가하여 흡입 물질을 증기로 기화시켜 미세 입자를 발생시키므로 연소를 시켜 연기를 발생시키는 종래의 궐련 형태의 담배와는 방식 면에서 완전히 차별되며, 그로 인한 장점, 특히 연소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유해 물질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보유한다.Inhalation of fine particles in the air, ie aerosols, commonly referred to as smoking, can be achieved. In the past, cigarettes in the form of cigarettes were almost the only means of inhaling these preference substances, but recently, electronic cigarettes have also been established as another means. Electronic cigarettes vaporize the inhaled material into vapor by applying heat or ultrasonic waves to the cartridge containing the inhaled material in liquid form to generate fine particles, which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conventional cigarettes that generate smoke by burning. ,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various harmful substances that can be generated by combustion, in particular.
또한, 궐련 형태의 통상의 담배를 선호하는 수요자들의 요구에 따라, 통상의 담배의 필터부와, 궐련부의 모양을 갖는 전자 담배도 제안되고 있는데, 이 전자담배는 궐련부에 포함된 흡입물질을 전자히터로 기화시키면서 통상의 담배와 동등한 구성을 갖는 필터부를 통해 사용자가 흡입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전자 담배에서는, 건조 담배잎이 채워지는 궐련부의 구성을 갖는 통상의 담배와는 다르게, 흡입 물질이 함침되거나 표면에 묻혀진 종이로 채워진다. 전자 담배를 홀더에 끼우고 홀더 내부의 히터가 가열되어 궐련부 내부의 흡입물질을 기화시키면 사용자가 필터부를 통해 기화되는 흡입 물질을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종전의 전자 담배와 마찬가지로 연소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장점은 가지면서 통상의 담배를 피울 때와 똑같은 메커니즘으로 필터부를 통해 기화된 흡입 물질을 흡입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통상의 담배를 피우는 것과 같은 기분을 느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mand of consumers who prefer cigarette-type conventional cigarettes, an electronic cigarette having a filter part of a conventional cigarette and a cigarette part in the shape of a cigarette part has been proposed. I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ser inhales through a filter unit having a configuration equivalent to that of a conventional cigarette while vaporizing with a heater. In such an electronic cigarette, unlike a conventional cigarette having a configuration of a cigarette part filled with dry tobacco leaves, the inhalation material is impregnated or filled with paper embedded on the surface. When the electronic cigarette is inserted into the holder and the heater inside the holder is heated to vaporize the inhaled material inside the cigarette part, the user can inhale the vaporized inhaled material through the filter part. As with conventional electronic cigarettes, it has the advantage of not burning, and vaporized inhalation substances can be inhaled through the filter unit with the same mechanism as when smoking a conventional cigarette, so the user can feel the same feeling as smoking a regular cigarette. there will be
이러한 종래의 전자 담배 장치에서, 궐련부를 홀더에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히터에 의해 가열되거나 입력 버튼의 잘못된 조작이나 물리적 영향이나 충격에 의해 히터가 동작될 경우(비정상적인 가열 동작 상태)에 불필요한 전력 소모나 장치의 과열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전자 담배 장치는 이러한 비정상적인 가열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중단시키기 전까지는 가열 동작을 중단시키는 방법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In such a conventional electronic cigarette device, when the heater is heated by the heater in a state where the cigarette is not inserted into the holder, or when the heater is operated by erroneous manipulation of the input button or physical influence or impact (abnormal heating operation stat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or Problems such as overheating of the device may occur. However, the conventional electronic cigarette device does not provide a method of stopping the heating operation until the user stops such an abnormal heating operation state.
실시예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가열 공간으로 삽입 및 미삽입을 판단하여 삽입 시에만 가열 동작을 계속 수행하도록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Embodiments aim to provide an aerosol-generating device that determines whether an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into a heating space or not, and continues to perform a heating operation only when inserted.
또한, 실시예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의 온도 변화 특성을 확인하여, 기설정된 기준 온도 변화 특성에 대응할 경우에 에어로졸 발생 기능을 위한 본 가열 동작을 사용자의 다른 입력(예를 들면, 본 가열 동작의 시작 입력 등) 없이 자동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confirms the temperature change characteristic of the aerosol-forming article, and when it corresponds to the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change characteristic, the present heating operation for the aerosol generating function is selected by the user's other input (eg, the start input of the present heating operation). etc.),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erosol-generating device that performs automatically or continuously.
실시예는 가열 공간으로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의 삽입 및 미삽입을 자력 변화 감지와 온도 변화 감지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accurately determining insertion or non-insertion of an aerosol-forming article into a heating space using magnetic force change detection and temperature change detection.
실시예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측이 개방되며 삽입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삽입 공간 내에 장착되며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는 중공으로 이루어진 가열 공간이 형성되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가열 공간에 대한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히팅 디바이스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프로세서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전원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히팅 디바이스에 공급하거나 공급 차단하는 전원 공급부와, 히팅 디바이스의 온도에 대응하는 온도 감지값을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온도 감지부와, 히팅 디바이스의 가열 공간으로의 물체의 삽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물체 감지값을 생성하여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물체 감지부와, 히팅 디바이스의 가열 동작에 의한 에어로졸 발생 기능을 수행하되, 물체 감지부로부터의 물체 감지값과 온도 감지부로부터의 온도 감지값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가열 공간으로의 물체의 삽입 여부를 판단하고, 물체가 가열 공간에 삽입된 상태인 경우, 가열 공간으로의 기설정된 특성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된 상태(존재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자동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가열 동작 또는 본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 embodimen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es a case with an open top and an insertion space, a heating space mounted in the insertion space of the case and a hollow into which an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and a heating operation for the heating space under the control of a processor. A heating device that performs a heating device,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or cuts of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unit to the heating devic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processor, and a temperature detec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device to the processor. A temperature sensor applied to the heating device generates an object detection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an object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of the heating device and applies it to the processor, and an aerosol generating function is performed by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heating device. However, if at least one of the object detection value from the object detection unit and the temperature detection value from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n object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and the object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and a processor for automatically or continuously performing a heating operation or main heating operation by determining whether an aerosol-forming article having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is inserted (existing) into the heating space.
또한, 프로세서는 물체 감지부로부터의 물체 감지값과 기준 물체 감지값을 비교하여 물체가 가열 공간에 삽입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the processor may compare an object detection value from the object detection unit with a reference object detection value to determine whether an object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또한, 물체 감지값과 기준 물체 감지값 각각은 색상값이나 자기력의 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object detection value and the reference object detection value is a color value or strength of magnetic force.
또한, 프로세서는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히팅 디바이스가 준비 가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준비 가열 동작에서의 온도 감지부로부터의 온도 감지값의 온도 변화값을 산정하고, 산정된 온도 변화값과 제 1 기준 온도 변화값을 비교하여 물체가 가열 공간에 삽입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ocessor controls the power supply so that the heating device performs a preheating operation, calculates a temperature change value of the temperature detection valu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in the preheating operation, and calculates the temperature change value and the first reference It is preferable to compare the temperature chang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또한, 프로세서는 준비 가열 동작에서 물체 또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으로부터 에어로졸이 발생되지 않도록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ocessor preferably controls the power supply so that no aerosol is generated from the object or aerosol-forming article in the preheating operation.
또한, 프로세서는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히팅 디바이스가 준비 가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준비 가열 동작에서의 온도 감지부로부터의 온도 감지값의 온도 변화값을 산정하고, 산정된 온도 변화값과 제 2 기준 온도 변화값을 비교하여 가열 공간으로의 기설정된 특성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된 상태(존재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ocessor controls the power supply so that the heating device performs a preheating operation, calculates a temperature change value of the temperature detection valu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in the preheating operation, and calculates the temperature change value and the second reference It is preferable to compare the temperature change values to determine whether an aerosol-forming article of predetermined characteristics into the heating space is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a state in which it exists).
또한,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특성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된 상태인 경우, 준비 가열 동작에 이어서 본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ocessor preferably performs the main heating operation following the preheating operation when the aerosol-forming article having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is inserted.
또한,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특성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본 가열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processor preferably does not perform this heating operation when an aerosol-forming article of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is not inserted.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특성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기설정된 특성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을 삽입할 것을 표시부를 통하여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preferably has a display unit, and the processor guides insertion of an aerosol-forming article of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through the display unit when the aerosol-forming article of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is not inserted.
또한, 프로세서는 물체 감지부로부터의 물체 감지값에 따라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가열 동작을 시작하여 수행하되, 복수의 시간 지점들 사이의 제 1 및 제 2 시간 구간들에서의 제 1 및 제 2 온도 변화율들을 기준으로 하여 가열 공간에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ocessor starts and performs a heating operation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object detection value from the object detection unit, and sets first and second temperatures in first and second time intervals between a plurality of time points. Based on the rates of change,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whether an aerosol-forming article has been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또한, 프로세서는 제 1 온도 변화율과 제 2 온도 변화율의 차이값을 산정하고, 산정된 차이값과 기준 차이값을 비교하여 가열 공간에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preferably determines whether the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by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change rate and the second temperature change rate and comparing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with the reference difference value.
또한, 산정된 차이값이 기준 차이값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가열 공간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가열 동작을 계속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difference value, the processor determines that the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and continues to perform the heating operation.
또한, 산정된 차이값이 기준 차이값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가열 공간에 삽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가열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difference value, the processor determines that the aerosol-forming article is not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and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stop the heating operation.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표시부를 통하여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지 않음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red that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has a display, through which the processor indicates that no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또한, 제 1 시간 구간과 제 2 시간 구간은 중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time interval and the second time interval do not overlap.
또한, 가열 공간에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된 경우에, 가열 동작의 시작 시점부터 복수의 시간 지점들 각각까지의 기울기는 기준 기울기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the slope from the start of the heating operation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ime points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reference slope range.
또한, 에어로졸 형성 물품은 그 내부나 표면에 자력체나 자력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aerosol-forming article preferably includes a magnetic body or magnetic material on or inside the article.
실시예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가열 공간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히터에 의해 가열되거나 입력 버튼의 잘못된 조작이나 물리적 영향이나 충격에 의해 히터가 동작될 경우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가열 동작 상태를 신속하게 확인하여 가열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나 장치의 과열 등의 발생을 방지하여, 안전한 가열 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embodiment, in a state where an aerosol-forming article is not inserted into a heating space, an abnormal heating operation state, such as when heated by a heater or when a heater is operated by an erroneous operation of an input button or a physical influence or impact, is quickly identified and heated. By stopping the opera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safe heating function by prevent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or overheating of the device.
실시예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의 온도 변화 특성을 확인하여, 기설정된 기준 온도 변화 특성에 대응할 경우에 에어로졸 발생 기능을 위한 본 가열 동작을 사용자의 다른 입력(예를 들면, 본 가열 동작의 시작 입력 등) 없이 자동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사용 상의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embodiment confirms the temperature change characteristic of the aerosol-forming article, and when it corresponds to the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change characteristic, the user's other input (eg, start input of the main heating operation, etc.) for the heating operation for the aerosol generating function It is performed automatically or continuously without the use, and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user convenience in use.
실시예는 가열 공간으로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의 삽입 및 미삽입을 자력 변화 감지와 온도 변화 감지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판단하여, 가열 동작을 제어하여 불필요한 전원 소비를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embodiment has an effect of prevent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y controlling the heating operation by accurately determining the insertion or non-insertion of the aerosol-forming article into the heating space using magnetic force change detection and temperature change detection.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3d는 외부의 자력체와 에어로졸 형성 물품의 삽입 여부에 따른 온도 그래프들이다.1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2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3a to 3d are temperature graphs depending on whether an external magnetic body and an aerosol-forming article are inserted.
이하에서, 실시예는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and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or alternatives of the embodiments.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like elements.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has", "may have", "includes", or "may include" refer to the presence of a corresponding feature (eg, numerical value,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such as a part). , which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f additional features.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A or B", "at least one of A and/and B", or "one or more of A or/and B"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 For example,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or "at least one of A or B" includes (1) at least one A, (2) at least one B, Or (3) may refer to all cases including at least one A and at least one B.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as used herein may modify various elements, in any order and/or importance, and may refer to one element as another. It is used to distinguish from components, but does not limit the components. For example, a first user device and a second user device may represent different user devices regardless of order or importance.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a first element may be call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the second element may also be renamed to the first element.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When referred to as "connected t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ertain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eg, a first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eg, a second element), the element and the above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eg, third components) do not exist between the other components.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As used in this document, the expression "configured to" means "suitable for", "having the capacity to", depending on the situation. ", "designed to", "adapted to", "made to", or "capable of" can be used interchangeably. The term "configured (or set) to" may not necessarily mean only "specifically designed to" hardware. Instead, in some contexts, the phrase "device configured to" may mean that the device is "capable of" in conjunction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For example, the phrase "a processor configured (or set) to perform A, B, and C" may include a dedicated processor (eg, an embedded processor) to perform those operations, or one or more software programs stored in a memory device that executes By doing so, it may mean a general-purpose processor (eg, CPU or application 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corresponding operations.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on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may not be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described in this document. Among 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the terms defined in general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or similar meaning to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document,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not interpreted In some cases, even terms defined in this document cannot be interpreted to exclude th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물품은 일련의 적층 구조인 필터부와, 냉각부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층(예를 들면, 각초, 향료, 니코틴, VG(식물성 글리세린), PG(프로필렌 글리콜)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물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에어로졸 형성 물품은 종래의 전자담배용 궐련, 필터 등을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the aerosol-forming article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lter unit having a series of laminated structures, a cooling unit, and an aerosol-forming base layer (eg, cut wax, fragrance, nicotine, VG (vegetable glycerin), PG (propylene glycol), etc.) It is a mixed substance including the above). Aerosol-forming articles include conventional e-cigarettes, filters, and the like.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측이 개방되며 원통형의 삽입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삽입 공간 내에 장착되며 중공으로 이루어진 가열 공간이 형성된 히터 파이프와, 케이스에 장착되며 히터 파이프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장착되는 발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히터 파이프와 발열부는 히팅 디바이스로 통칭되며, 히팅 디바이스는 저항 발열 또는 유도 발열 중의 어느 하나의 발열 동작을 수행한다.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ase with an open upper side and a cylindrical insertion space, a heater pipe mounted in the insertion space of the case and formed with a hollow heating space, and a heater pipe mounted on the case and installed on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heater pip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eating unit mounted on the side. In this embodiment, the heater pipe and the heating unit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heating device, and the heating device performs either resistance heating or induction heating operation.
케이스는 삽입 공간 및 가열 공간의 저면 또는 측면과 외부 공간을 연통하도록 하는 기류 패스를 구비한다. 가열 공간 및 삽입 공간으로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거나 분리 이탈된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위와 같은 기구적 구성 이외에, 하기의 도 1 또는 도 2와 같은 제어적 구성을 포함한다.The case has an air flow path that communicates the bottom or side surfaces of the insertion space and the heating space with the external space. The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heating space and the insertion space. In addi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es a control element as shown in FIG. 1 or 2 below in addition to the above mechanical element.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예를 들면, 전원 온/오프 등)을 획득하여 프로세서(20)에 인가하는 입력부(1)와, 프로세서(20)로부터의 정보(예를 들면, 에어로졸 형성 물품의 삽입/분리, 본 가열 동작의 수행 여부, 감지 동작 수행 여부 등)을 인가 받아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또는 촉각적으로 표출하는 표시부(3)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와, 프로세서(20)의 제어 신호(예를 들면, 온 동작, 오프 동작)에 따라서 전원부(5)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발열부(9)에 공급하거나 공급 차단하는 구동부(7)(예를 들면, FET 스위치 등)와, 구동부(7)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열 에너지를 생성하여 가열 공간을 가열시키는 발열부(9)와, 발열부(9) 또는 히터 파이프에 직접적으로 접촉되거나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발열부(9) 또는 히터 파이프의 온도에 대응하는 온도 감지값을 프로세서(20)에 인가하는 온도 센서(11)와, 히터 파이프의 가열 공간으로의 물체의 삽입 여부(삽입 상태 및 미삽입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물체 감지값을 생성하여 프로세서(20)에 인가하는 물체 감지부(13)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발열부(9)의 가열 동작에 의한 에어로졸 발생 기능을 수행하되, 물체 감지부(13)로부터의 물체 감지값과 온도 센서(11)로부터의 온도 감지값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가열 공간으로의 물체의 삽입 여부를 판단하고, 가열 공간으로의 기설정된 특성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된 상태(존재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자동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본가열을 수행하는 프로세서(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입력부(1), 표시부(3), 전원부(5), 구동부(7) 등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기술에 해당하여,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1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es an
발열부(9)는 전원이 인가될 때 저항 발열을 수행하는 저항체 소자 등을 포함하며, 필름 형태나 코일 형태나 평판이나 곡면 또는 관 모양의 면상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발열부(9)는 히터 파이프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항 가열을 위해, 구동부(7)는 프로세서(20)의 제어에 의해 직류 전원을 발열부(9)에 인가한다.The
발열부(9)는 히터 파이프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나선형을 둘러 감싸는 유도 가열을 위한 유도 가열 코일로 이루어지며, 히터 파이프는 서셉터로 구현될 수 있다. 유도 가열을 위해, 구동부(7)는 프로세서(20)의 제어에 의해 교류 전원을 생성하여 발열부(9)에 인가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발열부(9)와 히터 파이프는 히팅 디바이스로 통칭될 수 있으며, 히팅 디바이스는 프로세서(20)의 제어에 의해 가열 공간 및 에어로졸 형성 물품에 대한 가열(저항 가열 또는 유도 가열) 동작을 수행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온도 센서(11)는 이미 널리 알려진 온도 센서나, 써머 와이어 등과 같이 히팅 디바이스(발열부(9)나 히터 파이프)에 직접적으로 접촉되거나, 적외선이나 자외선 등과 같은 비접촉식 감지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온도 센서(11)는 히팅 디바이스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 감지값을 프로세서(20)에 반복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인가한다.The
물체 감지부(13)는 가열 공간으로의 물체의 삽입 및 분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컬러 센서, 홀센서, 근접센서, 압력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프로세서(20)는 에어로졸 발생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예를 들면, CPU, MCU 등)와, 에어로졸 발생 기능을 위한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 알고리즘과, 가열 공간으로의 물체의 삽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 1 판단 정보와, 가열 공간으로의 기설정된 특성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된 상태(존재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제 2 판단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저장 공간(예를 들면,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하는 전기적 및 전자적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실시예에서의 가열 동작은 물체의 삽입 여부 및/또는 가열 공간으로의 기설정된 특성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된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준비 가열 동작과, 준비 가열 동작 중에 또는 준비 가열 동작 이후에 가열 공간 내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이 발생되도록 하는 본가열 동작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가열 동작에서의 히팅 디바이스(또는 발열부(9))에 인가되는 전원의 크기 및/또는 발열부(9)의 목표 온도는 준비 가열 동작에서의 히팅 디바이스(또는 발열부(9))에 인가되는 전원의 크기 및/또는 발열부(9)의 목표 온도보다 크거나 같다. 다만, 준비 가열 동작 중에 물체 또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으로부터 에어로졸이 발생될 수 있을 정도의 전원이 히팅 디바이스(또는 발열부(9))에 인가되지 않도록 프로세서(20)는 구동부(7)를 제어한다.The heating operation in the embodiment includes a pre-heating oper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an object is inserted and/or whether an aerosol-forming article having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and heating during or after the pre-heating operation. and a main heating operation of heating the aerosol-forming article in the space to generate an aerosol. The size of the power applied to the heating device (or the heating unit 9) in the present heating operation and/or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제어 알고리즘은 준비 가열 동작의 수행 시간 및/또는 히팅 디바이스(또는 발열부(9))에 인가되는 전원의 크기와, 본가열 동작의 시간 및/또는 히팅 디바이스(또는 발열부(9))에 인가되는 전원의 크기 등을 포함한다.The control algorithm is applied to the execution time of the preheating operation and/or the amount of power applied to the heating device (or heating unit 9), the time of the main heating operation and/or the heating device (or heating unit 9). Including the size of the power supply, etc.
다음으로, 제 1 판단 정보는 가열 공간으로의 물체의 삽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물체 감지값 및/또는 제 1 온도 변화값을 포함한다. 기준 물체 감지값은 물체 감지부(13)로부터의 물체 감지값에 따라서 물체의 삽입 및 분리 이탈을 판단하기 위한 값들이 되며, 색상값이나 자기력의 세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기준 온도 변화값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포함하는 물체가 가열 공간에 삽입된 경우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포함하는 물체가 가열 공간에 미삽입된 경우 각각을 구별하기 위한 값들에 해당된다. 준비 가열 동작 중에, 발열부(9)가 동일한 기준 시간(예를 들면, 1초, 10초 등) 동안 동일한 전원 크기에 따른 가열 동작을 수행할 경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포함하는 물체가 가열 공간에 삽입된 경우의 온도 변화값(온도 상승값)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포함하는 물체가 가열 공간에 미삽입된 경우의 온도 변화값보다 작거나 상이한 점을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온도 변화값의 차이는 가열 공간에 물체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보다 가열 공간에 물체가 삽입된 경우에 히팅 디바이스 또는 발열부(7)의 열 에너지가 에어로졸 형성 물품으로 열전도에 의해 보다 많이 공급되기 때문에, 히팅 디바이스 또는 발열부(7)의 온도 변화가 작게 일어나기 때문일 수 있다. 즉, 이러한 온도 변화값들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제 1 기준 온도 변화값이 설정되면 물체가 가열 공간에 삽입되었는지와 분리 이탈되었는지가 판단될 수 있다. 제 1 기준 온도 변화값은 특정 수치일 수도 있고, 2개 수치들 사이의 범위일 수도 있다. Next, the first determination information includes a reference object detection value and/or a first temperature change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an object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The reference object detection values are values for determining the insertion and detachment of an object according to the object detection value from the
다음으로, 제 2 판단 정보는 가열 공간으로의 기설정된 특성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된 상태(존재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제 2 기준 온도 변화값을 포함한다. 물체가 가열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준비 가열 동작 중에 물체 중에서 기설정된 특성(예를 들면, 온도 변화 특성)을 지닌 에어로졸 물품이 삽입된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20)가 사용자로부터의 다른 입력 없이 본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사용 상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제 2 기준 온도 변화값은 복수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들의 특성들을 식별하기 위한 수치나 수치 범위이거나, 특정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의 특성을 식별하기 위한 수치나 수치 범위일 수 있다. 제 2 기준 온도 변화값은 제 1 기준 온도 변화값과 동일하거나, 제 1 기준 온도 변화값에 포함되는 수치나 수치 범위이다.Next, the second determination information is for determining whether an aerosol-forming article having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a state in which it exists), and includes a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change value. In the state where the object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when an aerosol article having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eg, temperature change characteristic) is inserted among the objects during the preheating operation, the
다음으로, 프로세서(20)가 수행하는 에어로졸 발생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이 설명된다. Next, a process of performing the aerosol generating function performed by the
먼저, 입력부(1)로부터의 전원 온 입력에 따라서, 전원부(5)의 전원이 프로세서(20) 등에 공급되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활성화된다. 온도 센서(11)는 기설정 시간 간격으로 온도 감지값을 프로세서(20)에 인가하고, 물체 감지부(13)는 기설정 시간 간격으로 또는 물체 삽입에 대응하는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 물체 감지값을 프로세서(20)에 인가한다.First, power from the
프로세서(20)는 가열 공간으로 물체가 삽입되었는지를 물체 감지값 및/또는 온도 감지값을 이용하여 제 1 판단 과정을 수행한다. 제 1 판단 과정에서 물체 감지값을 이용할 경우, 프로세서(20)는 제 1 판단 정보의 기준 물체 감지값과 인가된 물체 감지값을 비교하여 물체의 삽입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인가된 물체 감지값이 기준 물체 감지값과 같거나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근접하면, 프로세서(20)는 가열 공간에 물체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서(20)는 가열 공간에 물체가 삽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프로세서(20)는 가열 공간으로의 물체의 삽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3)를 통하여 알린다.The
제 1 판단 과정에서 온도 감지값을 이용할 경우, 프로세서(20)는 구동부(7)를 제어하여 준비 가열 동작을 수행하고, 기준 시간 동안 인가되는 온도 감지값으로부터 온도 변화값을 산정하고, 산정된 온도 변화값과 제 1 판단 정보의 제 1 기준 온도 변화값을 비교한다. 예를 들면, 산정된 온도 변화값이 제 1 기준 온도 변화값보다 작거나 제 1 기준 온도 변화값에 포함되면, 프로세서(20)는 가열 공간에 물체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서(20)는 가열 공간에 물체가 삽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When the temperature detection value is used in the first determination process, the
프로세서(20)는 가열 공간에 물체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본가열 동작을 자동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기설정된 특성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프로세서(20)는 상술된 제 1 판단 과정과 같이, 온도 감지값을 이용한다. 프로세서(20)는 제 1 판단 과정에서 산정된 온도 변화값과 제 2 기준 온도 변화값을 비교한다. 예를 들면, 산정된 온도 변화값이 제 2 기준 온도 변화값보다 작거나 제 2 기준 온도 변화값에 포함되면, 프로세서(20)는 기설정된 특성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구동부(7)를 제어하여 준비 가열 동작에 이어서 본가열 동작을 자동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서(20)는 기설정된 특성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본가열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기설정된 특성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을 삽입할 것을 표시부(3)를 통하여 안내할 수 있다.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object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the
상술된 프로세서(20)가 수행하는 에어로졸 발생 기능은 방법이나 알고리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aerosol generating function performed by the
하기의 제 2 실시예를 위한 에어로졸 형성 물품은 그 내부나 표면에 자력체나 자력 물질(예를 들면, 자석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erosol-forming article for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below is configured to include a magnetic body or magnetic material (eg, magnet, etc.) inside or on its surface.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측이 개방되며 원통형의 삽입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삽입 공간 내에 장착되며 중공으로 이루어진 가열 공간이 형성된 서셉터와, 케이스에 장착되며 서셉터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교류 장기장을 생성하여 서셉터에서 와전류가 발생되도록 하여 유도 가열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도 가열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는 삽입 공간 및 가열 공간의 저면 또는 측면과 외부 공간을 연통하도록 하는 기류 패스를 구비한다. 가열 공간 및 삽입 공간으로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거나 분리 이탈된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위와 같은 기구적 구성 이외에, 하기의 도 2와 같은 제어적 구성을 포함한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case with an open upper side and a cylindrical insertion space, a susceptor mounted in the insertion space of the case and formed with a hollow heating space, and a susceptor mounted on the cas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sceptor. It is insulated and includes an induction heating coil that generates an alternating long-term field so that eddy currents are generated in the susceptor to perform an induction heating operation. The case has an air flow path that communicates the bottom or side surfaces of the insertion space and the heating space with the external space. The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heating space and the insertion space. In addi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es a control structure as shown in FIG. 2 below in addition to the above mechanical structure.
도 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2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예를 들면, 전원 온/오프 등)을 획득하여 프로세서(290)에 인가하는 입력부(210)와, 프로세서(290)로부터의 정보(예를 들면, 에어로졸 형성 물품의 미삽입 등)를 인가 받아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220)와, 전원을 프로세서(290)와 전원 공급부(240) 등에 인가하는 전원부(230)와, 전원부(230)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프로세서(290)로부터의 제어 또는 제어 신호에 따라 유도 가열 코일(242)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거나 공급 차단하는 전원 공급부(240)(예를 들면, FET 소자, 스위치 등)와, 전원 공급부(240)로부터 교류 전원을 인가 받아 교류 자기장을 발생시켜 서셉터(244)에 와전류가 발생되도록 하여 유도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유도 가열 코일(242)과, 에어로졸 형성 물품에 장착된 자력체나 외부 자력체로부터의 자력에 대응하여 자력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프로세서(290)에 인가하는 자력 감지부(248)와, 히팅 디바이스(서셉터(244)나 가열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고 온도 감지값을 프로세서(290)에 인가하는 온도 센서(250)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자력 감지부(248)로부터의 자력 감지 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부(240)를 제어하여 서셉터(244)에서의 가열 동작에 의해 에어로졸 발생 기능을 수행하되, 온도 센서(250)로부터의 온도 감지값을 이용하여 에어로졸 형성 물품의 삽입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서 전원 공급부(240)를 제어하여 에어로졸 발생 기능을 계속 수행하거나 중지하는 프로세서(29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입력부(210)와, 표시부(220)와, 전원부(230)와, 전원 공급부(240)와, 유도 가열 코일(242), 서셉터(244) 등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기술에 해당하여,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The
제 2 실시예에서의 유도 가열 코일(242)와 서셉터(244)는 히팅 디바이스로 통칭된다. 제 2 실시예는 히팅 디바이스가 유도 가열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재되고 있으나, 제 1 실시예에서의 히팅 디바이스와 동일하게 저항 가열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의 서셉터(244)는 도 1의 히터 파이프로 대체될 수 있으며, 전원 공급부(240)는 도 1의 구동부(7)로 대체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동부(7)와 전원 공급부(240)는 전원 공급부로 통칭될 수 있다.The
도 1의 물체 감지부(13)의 일실시예인 자력 감지부(248)는 예를 들면, hall ic 등으로 구현되며, 가열 공간의 인접하여 케이스에 장착되어 에어로졸 형성 물품의 자력체의 자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자력에 대응하는 자력 감지 신호를 프로세서(290)에 인가한다. 다만, 케이스 외부에 외부 자력체가 인접하고, 그 자력의 세기가 강할 경우에, 자력 감지부(248)는 그 자력에 대응하는 자력 감지 신호를 프로세서(290)에 인가할 수도 있다.The magnetic
온도 센서(250)는 아날로그 신호인 온도 감지값을 프로세서(290)에 인가하고, 프로세서(29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를 구비하여, 온도 감지값을 인가 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하기에서의 가열 동작의 제어 과정에서 이용할 수 있다.The
프로세서(290)는 도 1의 프로세서(20)가 수행하는 기능도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the
프로세서(290)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에 대한 에어로졸 발생 기능을 위한 온도 프로파일에 따라서, 전원 공급부(240)로 가열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서셉터(244)의 가열 동작을 제어하여 에어로졸 발생 기능을 수행하고, 전원 공급부(240)로 가열 중지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서셉터(244)의 가열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The
프로세서(290)는 에어로졸 발생 기능을 수행하기 이전에 자력 감지부(248)로부터의 자력 감지 신호에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 기능이 시작하되, 전원 공급부(240)로 가열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인가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자력 감지 신호는 외부 자력체로부터의 자력에 의해서도 발생되므로, 온도 감지값을 이용하여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가열 공간에 삽입된 경우인지를 판단하여, 가열 동작의 지속 여부를 결정한다. 제 2 실시예는 상술된 제 1 실시예에서의 제 1 판단 과정에서 자물체 감지값과 온도 감지값을 모두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물체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의 삽입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The
먼저, 하기에서, 프로세서(290)가 온도 센서(250)로부터의 온도 감지값을 이용하기 위한 과정이 설명된다.First, in the following, a process for the
도 3a 내지 3d는 외부의 자력체와 에어로졸 형성 물품의 삽입 여부에 따른 온도 그래프들이다.3a to 3d are temperature graphs depending on whether an external magnetic body and an aerosol-forming article are inserted.
도 3a는 서셉터(244)의 가열 공간 내에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지 않고, 외부에 자력 발생부가 위치되지 않은 경우로, 다수의 횟수들에서의 서셉터(244)의 가열 동작 중에서의 온도 그래프들이다. 도 3a에서는, 자력 감지부(248)가 자력 감지 신호를 프로세서(290)에 인가하지 않아서, 가열 동작이 수행되지 않으나, 이해를 위해 프로세서(290)가 전원 공급부(240)를 제어하여 가열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 것임이 인식되어야 한다. 도3a의 경우는 서셉터(244)의 가열 공간 내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다수의 횟수들에서도 거의 유사한 온도 그래프들이 확인된다.3A is a temperature graph during a heating operation of the susceptor 244 for a number of times, in a case where no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of the susceptor 244 and no 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is located outside. . In FIG. 3A , the
도 3b는 서셉터(244)의 가열 공간 내에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지 않고, 외부에 자력 발생부가 위치된 경우로, 서로 다른 개수의 자석체들(또는 서로 다른 세기의 자력을 지님)이 자력 감지부(248) 및 서셉터(244)에 인접하여 자력 감지부(248)가 자력 감지 신호를 프로세서(290)에 인가하여 전원 공급부(240)를 제어하여 서셉터(244)에서의 가열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의 온도 그래프들이다. 서셉터(244)에 인접하는 자석체들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즉 자력의 세기가 증가할 수록,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유도 가열 코일(242)의 교번 자기장에 의해 서셉터(244)에 생기는 와전류가 더욱 약해져서 서셉터(244)의 온도가 점차 지연되어 상승됨이 확인된다. 도 3b의 경우가 외부의 자석체들에 의해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가열 공간에 삽입된 것으로 오인식되는 경우이다.3B shows a case in which an aerosol-forming article is not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of the susceptor 244 and a 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is located outside, and different numbers of magnet bodies (or magnetic forces of different strengths) detect magnetic force. Adjacent to the
도 3c는 서셉터(244)의 가열 공간 내에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어 있고, 외부에 자력 발생부가 위치되지 않은 경우의 다수의 횟수들에서의 온도 감지값들의 온도 그래프이다.3C is a temperature graph of temperature detection values at multiple times when an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of the susceptor 244 and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is not located outside.
도 3d는 서셉터(244)의 가열 공간 내에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어 있고, 외부에 자력 발생부가 위치된 경우로, 서셉터(244)에 인접하는 자석체들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즉 자력의 세기가 증가할 수록,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유도 가열 코일(242)의 교번 자기장에 의해 서셉터(244)에 생기는 와전류가 더욱 약해져서 서셉터(244)의 온도가 점차 지연되어 상승됨이 확인된다. 3D shows a case where an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of the susceptor 244 and a 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is located outside, as the number of magnet bodies adjacent to the susceptor 244 increases, that is,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As R increases, it is confirmed that the eddy current generated in the susceptor 244 by the alternating magnetic field of the
도 3a와 3b에서와 같이, 서셉터(244) 내의 가열 공간에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온도 센서(250)로부터 인가되는 온도 감지값들은 가열 시간에 따라서 선형적으로 증가되는 점을 지니고 있다. 즉, 서로 다른 3개의 시간 지점들(t1<t2<t3) 사이의 서로 중첩되지 않는 제 1 및 제 2 시간 구간들(t1~t2), (t2~t3)에서의 온도 변화율들(온도 그래프의 기울기)이 동일하거나 거의 차이가 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t1은 가열 동작 시작 후 0.2초이고, t2는 가열 동작 시작 후 0.5초이고, t3은 가열 동작 시작 후 1초이다. 또한, 온도 감지값의 인가 시점(또는 가열 동작의 시작 시점)부터 시간 지점(t1)까지의 기울기와, 온도 감지값의 인가 시점(또는 가열 동작의 시작 시점)부터 시간 지점(t2)까지의 기울기 및 온도 감지값의 인가 시점(또는 가열 동작의 시작 시점)부터 시간 지점(t3)까지의 기울기는 서로 같거나 거의 차이가 없게 된다.As shown in FIGS. 3A and 3B, when an aerosol-forming article is not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in the susceptor 244, the temperature detection values applied from the
도 3c와 3d에서와 같이, 서셉터(244) 내의 가열 공간에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열 시간에 따라서, 서로 다른 3개의 시간 지점들(t1<t2<t3) 사이의 서로 중첩되지 않는 제 1 및 제 2 시간 구간들(t1~t2), (t2~t3)에서의 온도 변화율들(온도 그래프의 기울기)이 감소되는 경향을 지닌다. 도 3d와 같이, 서셉터(244)가 인접한 자석체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경우의 온도 변화율이 도 3c에서의 온도 변화율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감소되는 경향을 지닌다. 또한, 온도 감지값의 인가 시점(또는 가열 동작의 시작 시점)부터 시간 지점(t1)까지의 기울기 > 온도 감지값의 인가 시점(또는 가열 동작의 시작 시점)부터 시간 지점(t2)까지의 기울기 > 온도 감지값의 인가 시점(또는 가열 동작의 시작 시점)부터 시간 지점(t3)까지의 기울기인 관계와 같이, 그 기울기들 각각이 서로 다르다. As shown in FIGS. 3C and 3D, when an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in the susceptor 244, three different time points (t1<t2<t3) overlap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heating time. The temperature change rates (slope of the temperature graph) in the first and second time intervals (t1 to t2) and (t2 to t3), which do not become normal, tend to decrease. As shown in FIG. 3D , the temperature change rate when the susceptor 244 is affected by adjacent magnet bodies tends to be relatively more reduced compared to the temperature change rate in FIG. 3C . In addition, the slope from the point of application of the temperature detection value (or the start time of the heating operation) to the time point t1 > The slope from the application time of the temperature detection value (or the start time of the heating operation) to the time point t2 > Each of the slope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such as the relationship of the slope from the point of application of the sensed temperature value (or the start point of the heating operation) to the time point t3.
상술된 바와 같이, 온도 변화율들을 이용하여 외부 자력체나 자력의 영향이 있을 지라도, 에어로졸 형성 물품의 삽입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90)는 제 1 시간 구간들(t1~t2)에서의 제 1-1 온도 변화율(ΔT1)과 제 2 시간 구간들(t2~t3)에서의 제 1-2 온도 변화율(ΔT2)을 각각 산정하고, 제 1-1 및 제 1-2 온도 변화율들(ΔT1), (ΔT2) 간의 차이값 (ΔT1-ΔT2)을 산정하여, 서셉터(244)의 가열 공간 내에 물체 또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의 삽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90)는 서셉터(244)의 가열 공간 내에 물체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된 경우의 최소값인 기준 차이값을 저장한다. 프로세서(290)는 산정된 차이값(ΔT1-ΔT2)이 기준 차이값 이상이면 가열 공간에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서(290)는 가열 공간에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지 않으며, 외부 자력체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에 인접하여 위치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프로세서(290)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지 않음 및/또는 외부 자력체가 인접함을 표시부(22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using the temperature change rates, whether or not the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can be confirmed even if there is an influence of an external magnetic force body or magnetic force. 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프로세서(290)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의 삽입 여부에 의하여 차이값(ΔT1-ΔT2)이 더욱 크게 발생 되도록 하기 위해, 3개의 시간 지점들(t1, t2, t3)을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3a에서의 온도 그래프의 기울기가 도 3c와 3d에서의 온도 그래프의 기울기보다 더 큰 점을 이용하기 위해, 프로세서(290)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된 경우의 기준 기울기 범위에 온도 감지값의 인가 시점(또는 가열 동작의 시작 시점)부터 시간 지점(t3)까지의 기울기가 포함되는 시간 지점(t3)을 선정하여 저장한다. 기준 기울기 범위는 도 3a에서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지 않은 경우의 온도 기울기보다 작게 된다. 또한, 프로세서(290)는 시간 지점(t3) 이전의 시간 지점으로 t1, t2를 각각 선정하여 저장한다. 온도 감지값의 인가 시점(또는 가열 동작의 시작 시점)부터 시간 지점(t1)까지의 기울기와, 온도 감지값의 인가 시점(또는 가열 동작의 시작 시점)부터 시간 지점(t2)까지의 기울기도 기준 기울기 범위에 포함된다.In addition, it is important for the
상술된 기준 차이값 및/또는 기준 기울기 범위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기구적 차이나 가열 동작의 차이 등이 반영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가열 동작의 수행에 의해서, 기준 차이값 및/또는 기준 기울기 범위가 보정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reference difference value and/or reference slope range are set to reflect mechanical difference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r differences in heating operation. For example, the reference difference value and/or the reference inclination range may be corrected by performing a plurality of heating operations.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는 하기와 같이 동작된다.The
먼저, 전원부(230)가 프로세서(290)와 전원 공급부(240)에 전원을 공급한 상태에서 시작된다. First, the
자력 감지부(248)에 자력체가 인접할 경우, 자력 감지부(248)는 자력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프로세서(290)에 인가하고, 프로세서(290)는 자력 감지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가열 공간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전원 공급부(240)를 제어하여 유도 가열 코일(242)로 교류 전원을 인가하여 가열 동작을 시작한다. When a magnetic body is adjacent to the magnetic
가열 동작의 시작부터, 온도 센서(250)는 온도 감지값을 기준 시간(예를 들면, 10ms)마다 프로세서(290)에 인가한다. 프로세서(290)는 온도 센서(250)로부터 온도 감지값을 인가 받으며, 서로 상이한 시간 지점들(t1), (t2), (t3) 각각에서의 온도 감지값들로부터 제 1 시간 구간들(t1~t2)에서의 제 1-1 온도 변화율(ΔT1)과 제 2 시간 구간들(t2~t3)에서의 제 1-2 온도 변화율(ΔT2)을 각각 산정한다. From the start of the heating operation, the
또한, 프로세서(290)는 제 1-1 및 제 1-2 온도 변화율들(ΔT1), (ΔT2) 간의 차이값 (ΔT1-ΔT2)을 산정하여, 기준 차이값과 비교한다. 만약 차이값 (ΔT1-ΔT2)이 기준 차이값 이상이면, 프로세서(290)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가열 공간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전원 공급부(240)를 지속적으로 제어하여 에어로졸 발생 기능을 계속 수행하여 완료한다. 만약 차이값 (ΔT1-ΔT2)이 기준 차이값 미만이면, 프로세서(290)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가열 공간에 삽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전원 공급부(240)를 제어하여 전원 공급부(240)가 유도 가열 코일로 교류 전원을 인가하지 않도록 하여 가열 동작을 중지시켜, 불필요한 전력 소비나 화재를 방지시킨다. 또한, 프로세서(290)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지 않음 및/또는 외부 자력체가 인접함을 표시부(220)를 통하여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In addition, the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프로세서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가 될 수 있다.At least a part of a device (eg, a processor or functions thereof) or a method (eg, 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in the form of a program module. Can be implemented as stored instructions. When the command is executed by a processor, the one or more processors may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may be, for example, a memory.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hard disks, floppy disks, magnetic media (eg magnetic tape), optical media (eg CD-ROM, DVD (Digital Versatile Disc), magnetic- It may include optical media (e.g., a floptical disk), hardware devices (e.g., ROM, RAM, or flash memory, etc.), etc. In addi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the same as generated by a compiler. It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The above-described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operations of various embodiments, The reverse is the same.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에 의한 기능들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Processors or functions by processor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aforementioned elements, some may be omitted, or additional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Operations performed by modules, program modules, or other component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be executed in a sequential, parallel, repetitive, or heuristic manner. Also, some actions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omitted, or other actions may be add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실시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anyon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embodiment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s (17)
케이스의 삽입 공간 내에 장착되며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는 중공으로 이루어진 가열 공간이 형성되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가열 공간에 대한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히팅 디바이스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프로세서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전원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히팅 디바이스에 공급하거나 공급 차단하는 전원 공급부와;
히팅 디바이스의 온도에 대응하는 온도 감지값을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온도 감지부와;
히팅 디바이스의 가열 공간으로의 물체의 삽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물체 감지값을 생성하여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물체 감지부와;
히팅 디바이스의 가열 동작에 의한 에어로졸 발생 기능을 수행하되, 물체 감지부로부터의 물체 감지값과 온도 감지부로부터의 온도 감지값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가열 공간으로의 물체의 삽입 여부를 판단하고, 물체가 가열 공간에 삽입된 상태인 경우, 가열 공간으로의 기설정된 특성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된 상태(존재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자동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가열 동작 또는 본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a case with an open upper side and an insertion space formed therein;
a heating device mounted in the insertion space of the case, having a hollow heating space into which an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and performing a heating operation on the heating space under the control of a processor;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or cutting off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heating devic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processor;
a temperature sensing unit for applying a temperature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device to the processor;
an object detection unit generating an object detection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an object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of the heating device and applying the generated object detection value to a processor;
The aerosol generating function is performed by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heating device, but using at least one of the object detection value from the object detection unit and the temperature detection value from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determines whether an object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 When the object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the heating operation or main heating operation is automatically or continuously performed by determining whether an aerosol-forming article having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is inserted (existing) into the heating space. An aerosol-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processor.
프로세서는 물체 감지부로부터의 물체 감지값과 기준 물체 감지값을 비교하여 물체가 가열 공간에 삽입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by comparing the object detection value from the object detection unit with the reference object detection value.
물체 감지값과 기준 물체 감지값 각각은 색상값이나 자기력의 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According to claim 2,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object detection value and the reference object detection value is a color value or strength of magnetic force.
프로세서는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히팅 디바이스가 준비 가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준비 가열 동작에서의 온도 감지부로부터의 온도 감지값의 온도 변화값을 산정하고, 산정된 온도 변화값과 제 1 기준 온도 변화값을 비교하여 물체가 가열 공간에 삽입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ntrols the power supply so that the heating device performs a preheating operation, calculates a temperature change value of the temperature detection valu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in the preheating operation, and calculates the temperature change value and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chang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bject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by comparing the values.
프로세서는 준비 가열 동작에서 물체 또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으로부터 에어로졸이 발생되지 않도록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According to claim 4,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processor controls the power supply so that no aerosol is generated from the object or aerosol-forming article during the preheating operation.
프로세서는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히팅 디바이스가 준비 가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준비 가열 동작에서의 온도 감지부로부터의 온도 감지값의 온도 변화값을 산정하고, 산정된 온도 변화값과 제 2 기준 온도 변화값을 비교하여 가열 공간으로의 기설정된 특성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된 상태(존재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ntrols the power supply so that the heating device performs a preheating operation, calculates a temperature change value of the temperature detection valu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in the preheating operation, and calculates the temperature change value and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change and comparing the values to determine whether an aerosol-forming article having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state where it exists).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특성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된 상태인 경우, 준비 가열 동작에 이어서 본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According to claim 6,
The processor performs the main heating operation following the preheating operation when the aerosol-forming article having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is inserted.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특성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본 가열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According to claim 6,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processor does not perform the heating operation when an aerosol-forming article having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is not inserted.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특성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기설정된 특성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을 삽입할 것을 표시부를 통하여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According to claim 8,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has a display uni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processor guides insertion of an aerosol-forming article having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through a display unit when the aerosol-forming article having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is not inserted.
프로세서는 물체 감지부로부터의 물체 감지값에 따라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가열 동작을 시작하여 수행하되, 복수의 시간 지점들 사이의 제 1 및 제 2 시간 구간들에서의 제 1 및 제 2 온도 변화율들을 기준으로 하여 가열 공간에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rocessor starts and performs a heating operation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object detection value from the object detection unit, and determines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change rates in first and second time intervals between a plurality of time point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an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on the basis of a criterion.
프로세서는 제 1 온도 변화율과 제 2 온도 변화율의 차이값을 산정하고, 산정된 차이값과 기준 차이값을 비교하여 가열 공간에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According to claim 10,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by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change rate and the second temperature change rate and comparing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with the reference difference value.
산정된 차이값이 기준 차이값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가열 공간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가열 동작을 계속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According to claim 11,
When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difference value, the processor determines that the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and continues the heating operation.
산정된 차이값이 기준 차이값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가열 공간에 삽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가열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According to claim 11,
When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difference value, the processor determines that the aerosol-forming article is not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and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stop the heating operation.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표시부를 통하여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지 않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According to claim 13,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has a display unit,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processor indicates through the indicating portion that no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제 1 시간 구간과 제 2 시간 구간은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According to claim 10,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ime period and the second time period do not overlap.
가열 공간에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된 경우에, 가열 동작의 시작 시점부터 복수의 시간 지점들 각각까지의 기울기는 기준 기울기 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According to claim 10,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an aerosol-forming article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space, a slope from the start of the heating operation to each of a plurality of time points is included in the reference slope range.
에어로졸 형성 물품은 그 내부나 표면에 자력체나 자력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According to claim 10,
An aerosol-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erosol-forming article comprises a magnetic body or magnetic material therein or on its su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1360 | 2021-12-02 | ||
KR20210171360 | 2021-12-02 | ||
KR20220103438 | 2022-08-18 | ||
KR1020220103438 | 2022-08-1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3256A true KR20230083256A (en) | 2023-06-09 |
Family
ID=86612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67138A KR20230083256A (en) | 2021-12-02 | 2022-12-02 | Aerosol generating devic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83256A (en) |
WO (1) | WO2023101527A1 (en)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1228B1 (en) * | 2017-05-26 | 2021-03-24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erosol having cigarette insertion detection function |
CN111386054B (en) * | 2017-12-13 | 2023-10-17 |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feedback control |
KR102323786B1 (en) * | 2018-06-18 | 2021-11-09 | 주식회사 이엠텍 | Fine particle generator |
JP6577113B1 (en) * | 2018-10-03 | 2019-09-18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Aerosol generating device, control unit, method and program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
KR20210092082A (en) * | 2020-01-15 | 2021-07-23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performing heating operation automatically |
-
2022
- 2022-12-02 WO PCT/KR2022/019545 patent/WO2023101527A1/en unknown
- 2022-12-02 KR KR1020220167138A patent/KR20230083256A/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101527A1 (en) | 2023-06-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01939B1 (en) |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CN108851233B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13747804B (en) | Aerosol supply device | |
AU2018347775B2 (en) | Vapour provision systems | |
KR102503549B1 (en) | Aerosol-forming substrate det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portable aerosol generating device | |
JP7211684B2 (en) | Aerosol delivery device | |
JP7381172B2 (en) | Aerosol delivery device | |
KR102323786B1 (en) | Fine particle generator | |
KR20230083256A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20220111441A (en) | Portable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102658264B1 (en) | Heating controlling method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20240050600A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102729540B1 (en) | Aerosol generator with cigarette discrimination function | |
KR20230143379A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20240047541A (en) | Malfunction-proof aerosol-generating device | |
US20240260674A1 (en) | Aerosol provision device | |
KR20240147019A (en) |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 |
RU2812298C2 (en) | Aerosol-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erosol-generating apparatus | |
KR20240021381A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RU2812392C1 (en) | Failure-proof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20240174332A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performing multiple heating modes | |
KR20230120298A (en) | Aerosol generator with cigarette discrimination function | |
KR20230089881A (en) | Heating controlling method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20240168540A (en) |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 |
KR20240151342A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