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2350A - Head array controller - Google Patents

Head array con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2350A
KR20230082350A KR1020210170183A KR20210170183A KR20230082350A KR 20230082350 A KR20230082350 A KR 20230082350A KR 1020210170183 A KR1020210170183 A KR 1020210170183A KR 20210170183 A KR20210170183 A KR 20210170183A KR 20230082350 A KR20230082350 A KR 20230082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pressing
external force
uni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1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38237B1 (en
Inventor
김용철
홍응표
장대진
남기태
김규석
이석민
Original Assignee
근로복지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근로복지공단 filed Critical 근로복지공단
Priority to KR1020210170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237B1/en
Publication of KR20230082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3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2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1Arrangements f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1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head or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nipulator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어레이 조종기는 전동휠체어와 연동되어 전동휠체어의 속도 및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헤드어레이 조종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헤드를 지지하는 헤드지지부; 및 상기 헤드지지부상에 배치되되, 사용자의 헤드와 접촉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외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 내의 소정의 공간에 배치되는 자기부; 상기 헤드 지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내측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가압부와 결합되는 지지부; 및상기 지지부가 형성하는 삽입구에 배치되되, 상기 자기부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자기부의 자기력을 센싱하는 자기센서부;를 포함하는, 헤드어레이 조종기 일 수 있다.A head array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 array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peed and direction of a power wheelchair in conjunction with a power wheelchair, comprising: a head support unit supporting a user's head; and a sensor unit disposed on the head support unit and in contact with the user's head, wherein the sensor unit includes: a pressing unit that is mov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a magnetic part disposed in a predetermined space within the pressing part;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head support portion, forming an inner space therein, and coupled with the pressing portion; and a magnetic sensor unit disposed in an insertion hole formed by the support unit, dispose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magnetic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ensing a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unit.

Description

헤드어레이 조종기{Head array controller}Head array controller {Head array controller}

본 발명은 헤드어레이 조종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신 마비나 중증 환자가 착용하여 탑승한 전동휠체어의 속도 및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헤드어레이 조종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 array control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d array controll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speed and direction of an electric wheelchair worn by a paralyzed or seriously ill patient.

최근, 팔이나 다리가 부자유스러운 사람의 이동을 위한 수단으로서 전동 휠체어의 보급율은 해마다 높아지고 있다.[0002] In recent years, the penetration rate of electric wheelchairs as a means for movement of people with inconvenient arms and legs is increasing year by year.

특히 교통 사고나 재해로 인하여 전신 마비 등의 환자는 전동 휠체어를 제어할 경우, 사람의 호기를 이용한 호기 스위치나 CCD 카메라로 머리 부분의 움직임을 파악해 제어하는 것이 있었다In particular, when a patient with full body paralysis due to a traffic accident or disaster controls an electric wheelchair, the movement of the head part is grasped and controlled using a CCD camera or an expiration switch using human breath.

그렇지만 사람의 호기를 이용한 호기 스위치는 숨의 방법(강약, 장단)에 의한 제어가 어렵고, CCD 카메라를 이용한 제어 방법은 CCD 카메라가 정확하게 머리 부분의 움직임을 인식하기 위해 사용자가 목의 움직임을 크게 하지 않으면 인식이 어렵기 때문에 목이 부자유스러운 사용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exhalation switch using human exhalation is difficult to control by the breathing method (strength and shortness of breath), and the control method using a CCD camera does not require the user to increase the movement of the neck in order for the CCD camera to accurately recognize the movement of the head. If not,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so users with inconvenient necks cannot use it.

한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070355 A호(2001.03.21)에서는 팔이나 다리, 목이 부자유스러운 이용자에게도 부담을 주지 않고 전동차 의자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감압식 조작 스위치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0-070355 A (March 21, 2001) discloses a pressure-sensitive operation switch device that can easily operate a train seat without burdening even a user with inconvenient arms, legs, or neck.

그러나, 감압되는 영역(전진, 후진 등을 명령하는 영역)이 중복 될 경우, 접촉 면적에 의존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제어방식 또한, ON/OFF 방식을 채용하여, 방향이나 속도를 제어함에 있어서 보다 정확히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area to be decompressed (the area commanding forward, backward, etc.) overlap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grasp the user's intention depending on the contact area. However, there was a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control more accurately in controlling the spe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팔과 다리가 불편하거나, 전신 마비 등의 환자(사용자)가 헤드를 사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전동 휠체어의 속도 및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전동 휠체어와 연동된 헤드어레이 조종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electric wheelchair that can more easily control the speed and direction of the electric wheelchair by using a head for patients (users) with inconvenient arms and legs or general paralysis, and the like.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interlocked head array controll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어레이 조종기는 전동휠체어와 연동되어 전동휠체어의 속도 및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헤드어레이 조종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헤드를 지지하는 헤드지지부; 및 상기 헤드지지부상에 배치되되, 사용자의 헤드와 접촉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외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 내의 소정의 공간에 배치되는 자기부; 상기 헤드 지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내측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가압부와 결합되는 지지부; 및상기 지지부가 형성하는 삽입구에 배치되되, 상기 자기부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자기부의 자기력을 센싱하는 자기센서부;를 포함하는, 헤드어레이 조종기 일 수 있다.A head array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 array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peed and direction of a power wheelchair in conjunction with a power wheelchair, comprising: a head support unit supporting a user's head; and a sensor unit disposed on the head support unit and in contact with the user's head, wherein the sensor unit includes: a pressing unit that is mov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a magnetic part disposed in a predetermined space within the pressing part;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head support portion, forming an inner space therein, and coupled with the pressing portion; and a magnetic sensor unit disposed in an insertion hole formed by the support unit, dispose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magnetic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ensing a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어레이 조종기에 의하면, 팔과 다리가 불편하거나, 전신 마비 등의 환자(사용자)가 헤드를 사용하여 사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전동 휠체어의 속도 및 방향을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전동 휠체어의 속도 및 방향을 공지된 ON/OFF 방식의 제어가 아닌, 보다 정밀한 비례적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head array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tients (users) with inconvenient arms and legs or general paralysis can use the head to more easily control the speed and direction of the electric wheelchair,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more precise proportional control of the speed and direction of the electric wheelchair is possible, rather than the well-known ON / OFF method control.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어레이 조종기를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어레이 조종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어레이 조종기가 전동 휠체어의 속도를 비례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어레이 조종기를 구성하는 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어레이 조종기를 구성하는 센서부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어레이 조종기를 구성하는 센서부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어레이 조종기를 구성하는 센서부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generally illustrating a head array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nd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ead array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graph showing that the head array controller proportionally controls the speed of an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nsor unit constituting a head array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a sensor unit constituting a head array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ensor unit constituting a head array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ensor unit constituting a head array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change, delete, etc. other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through other degenerative inventions or the present invention.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idea can be easily proposed, but it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어레이 조종기는 전동휠체어와 연동되어 전동휠체어의 속도 및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헤드어레이 조종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헤드를 지지하는 헤드지지부; 및 상기 헤드지지부상에 배치되되, 사용자의 헤드와 접촉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외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 내의 소정의 공간에 배치되는 자기부; 상기 헤드 지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내측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가압부와 결합되는 지지부; 및상기 지지부가 형성하는 삽입구에 배치되되, 상기 자기부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자기부의 자기력을 센싱하는 자기센서부;를 포함하는, 헤드어레이 조종기 일 수 있다.A head array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 array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peed and direction of a power wheelchair in conjunction with a power wheelchair, comprising: a head support unit supporting a user's head; and a sensor unit disposed on the head support unit and in contact with the user's head, wherein the sensor unit includes: a pressing unit that is mov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a magnetic part disposed in a predetermined space within the pressing part;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head support portion, forming an inner space therein, and coupled with the pressing portion; and a magnetic sensor unit disposed in an insertion hole formed by the support unit, dispose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magnetic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ensing a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unit.

또한, 상기 센서부는, 센서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부로의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사용자의 헤드로부터 외력을 인가받는 가압본체부; 및 상기 가압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돌출 형성되는 가압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돌출부는, 상기 자기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와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되, 상기 탄성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과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제3 돌출부;를 더 구비하며,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2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돌출부를 포위하는, 헤드어레이 조종기 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is disposed in the sensor unit, and an elastic unit for applying a restoring force to the pressing unit; further includes, the pressing unit includes: a pressing body unit receiving an external force from the user's head; and a press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pressing main body and protruding, wherein the pressing protrusion includes: a first protrusion forming a first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magnetic part is inserted; a second protrus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otrusion in a height direction and forming a second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elastic part is inserted; And a third protrusion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to implement positional movement of the pressing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wherein the elastic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space and surrounds the first protrusion. It may be a head array controller.

또한, 상기 가압부는, 사용자의 헤드로부터 외력을 인가받는 가압본체부; 및 상기 가압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돌출 형성되는 가압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가압돌출부와 결합되는 외력전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압돌출부는, 일단이 상기 외력전달부와 결합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되,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과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제2 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가압돌출부로부터 외력을 인가 받는 전달몸체부; 및 상기 전달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돌출 형성되는 전달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달돌출부는, 상기 자기부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전달돌출부; 및 외주면이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외력전달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제2 전달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헤드지지부와 결합되는 지지몸체부; 및 상기 지지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돌출부는, 탄성부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내주면이 상기 외력전달부와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외력전달부의 길이 방항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제1 지지돌출부; 및 내주면이 상기 가압부와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제2 지지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자기부는, 상기 외력전달부에 의해 높이 방향과 수평이 유지되는, 헤드어레이 조종기 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ing unit, the pressing body portion receiving an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user's head; and a press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pressing main body and protruding, wherein the sensor unit further includes an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coupled to the pressing protruding unit, wherein the pressing protrusion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A first protrusion to be coupled; and a second protrus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otrusion in a height direction and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to realize positional movement of the pressing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wherein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comprises the pressurizing portion. a delivery body receiving an external force from the protrusion; and a transfer protrusion extending from and protruding from the transfer body, wherein the transfer protrusion includes: a first transfer protrusion forming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magnetic unit is inserted; and a second transmission protrusion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to realize positional movement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support body portion coupled to the head support portion; and a support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support body and protruding, wherein the support protrusion forms an inner space into which the elastic part is inserted,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coupl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art so as to be appli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art by an external force. a first support protrusion that implements positional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support protrusion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upled to the pressing part to implement positional movement of the pressing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wherein the magnetic part is horizontally aligned with the height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art. It may be a headarray manipulator that is maintained.

또한, 상기 탄성부는, 일단이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헤드어레이 조종기 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part may be a head array controller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또한, 상기 센서부는, 일단이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되, 상기 탄성부를 포위하는 포위부;를 더 구비하는, 헤드어레이 조종기 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may be a head array controller further comprising: an enclosing portion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ertion hole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ertion space and enclosing the elastic part.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appearing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ar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어레이 조종기를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generally illustrating a head array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어레이 조종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nd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head array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 내지 (b)는 공지된 속도 제어 그래프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어레이 조종기가 전동 휠체어의 속도를 비례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그래프이다.3 (a) to (b) are known speed control graphs and graphs showing that the head array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rtionally controls the speed of an electric wheelchai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어레이 조종기를 구성하는 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ensor unit constituting a head array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어레이 조종기를 구성하는 센서부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a sensor unit constituting a head array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어레이 조종기를 구성하는 센서부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ensor unit constituting a head array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어레이 조종기를 구성하는 센서부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ensor unit constituting a head array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more clearly expres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r can be easily derived from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simplified or omitt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ne or more other characteristic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In this specification, a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by one hardwa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or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by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in a terminal or devic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erver.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어레이 조종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head array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

먼저,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자면,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x방향을 길이 방향, y방향을 높이 방향으로 정의한다.First, to define terms for directions, as shown in FIG. 2, the x direction is defined as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is defined as the height direction.

일례로, 헤드어레이 조종기(10)는 도1 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자(환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의한 가압을 센싱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전동 휠체어의 제어부(미 도시)로 송신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수신한 센싱 정보에 대응하여 전동 휠체어에 구비된 구동 모터(미 도시) 또는 조향 장치(미 도시) 등을 제어한다.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head array controller 10 is worn on the user's (patient's) head to sense the pressurization by the user's head,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electric wheelchair. The control unit controls a driving motor (not shown) or a steering device (not shown) provided in the electric wheelchair in response to the received sensing information.

상기 헤드 어레이(10)와 상기 제어부는 공지된 근거리 무선통신 등의 방법으로 센싱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송, 수신하여 전동 휠체어의 속도 및 방향을 제어한다.The head array 10 and the control unit control the speed and direction of the electric wheelchair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sensed in real time through a known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상기 헤드어레이 조종기(10)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다 높이기 위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환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마이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head array controller 10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voice and a microphone unit for recognizing the patient's voice in order to further enhance user convenience.

상기 헤드어레이 조종기(10)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자의 헤드를 지지하는 헤드지지부(100) 및 상기 헤드지지부(100) 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헤드지지부(100) 내에 탑재된 센서부(200)로 구성된다.As can be seen in FIG. 2 , the head array controller 10 includes a head support unit 100 supporting a user's head and a sensor unit 200 disposed on the head support unit 100 or mounted in the head support unit 100. ) is composed of

즉, 사용자는 센서부(200)의 특정 영역(센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반복적으로 가압함으로서, 제어부로 전동 휠체어의 속도에 대한 정보(가속)를 전달 할 수 있으며, 가압을 중지 함으로서, 속도에 대한 정보(감속)를 제어부로 전달하게 된다.That is, the user can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peed (acceleration) of the electric wheelchair to the control unit by repeatedly pressurizing a specific area (a predetermined radius based on the center of the sensor unit) of the sensor unit 200, and stop pressurization. By doing so, information on speed (deceler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상기 센서부(200)는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자가 헤드를 통해 외력을 인가하면 외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가압부(210) 및 상기 헤드지지부(100)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210)와 결합되는 지지부(230)로 외형을 구성한다.As can be seen in FIG. 4, the sensor unit 200 protrudes from the pressing unit 210 and the head support unit 100, which ar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when a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through the head, and the sensor unit 200 protrudes from the pressing unit 210. The outer shape is constituted by the support portion 230 coupled to the portion 210.

상기 가압부(210)는 슬라이딩 돌출부(미 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230)는 슬라이딩 돌출부와 대응되는 슬라이딩 홈(미 도시)을 각각 구비하는 등의 방법으로 상기 지지부(230)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한 상기 가압부(210)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구현된다.The pressing part 210 has a sliding protrusion (not shown), and the support part 230 has a sliding groov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protrusion, respectively.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pressing part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of is implemented.

상기 센서부(200)는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가압부(210) 내의 소정의 공간에 배치되는 자기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자기부(220)는 일종의 자석일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5 , the sensor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magnetic unit 220 disposed in a predetermined space within the pressing unit 210, and the magnetic unit 220 may be a kind of magnet. there is.

또한,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지지부(230)는 내측에 내부 공간(S1)을 형성하며, 상기 자기부(220)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오버랩 되는 위치에 삽입구(S2)를 형성한다.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FIG. 5 , the support part 230 forms an internal space S1 on the inside, and forms an insertion hole S2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magnetic part 2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자기부(220)가 배치되는 위치는 상기 가압부(210)의 중심과 길이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위치일 수 있다.A position where the magnetic part 220 is disposed may be a position overlapping the center of the pressing part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삽입구(S2)에 삽입되며, 상기 자기부(220)의 자기력을 센싱하는 자기센서부(2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기센서부(240)는 상기 자기부(220)가 방출하는 자기력선을 감지하는 등의 공지된 자기 센서 모듈을 이용한다.The sensor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S2 and further includes a magnetic sensor unit 240 that sense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unit 220, and the magnetic sensor unit 240 is the magnetic unit ( 220) uses a known magnetic sensor module, such as detecting the magnetic field lines emitted by the.

여기서, 상기 자기센서부(240)는 상기 지지부(230)에 형성되며 상기 자기부(220)와 길이 방향으로 오버랩 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삽입구(S2)에 삽입되어, 상기 자기부(220)가 방출하는 자기력선을 보다 정밀하게 센싱하게 된다.Here, the magnetic sensor unit 240 is formed on the support unit 230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S2 forme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magnetic unit 2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magnetic unit 220 The emitted magnetic field lines are more accurately sensed.

즉, 사용자는 전동 휠체어의 속도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가압부(210)의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중심을 가압하고, 가압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210)는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자기부(220)가 방출하는 자기력선을 상기 자기 센서부(240)가 센싱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로 송신함으로써, 사용자는 헤드어레이 조종기(10)를 통해 전동 휠체어의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That is, the user presses the center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the pressing unit 210 to transfer information about the speed of the electric wheelchair to the control unit, and the pressing unit 21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caused by the pressurization. As the position is moved, the magnetic sensor unit 240 senses the lines of magnetic force emitted by the magnetic unit 22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electric wheelchair through the head array controller 10. You will control the speed.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드어레이 조종기(10)에 의한 전동 휠체어의 속도 제어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an electric wheelchair by the head array controller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센서부(200)는 센서부(200)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인가한 외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된 상기 가압부(210)로 복원력을 인가하여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게 하여, 상기 가압부(210)가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하는 탄성부(25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250)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일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5 , the sensor unit 200 is disposed inside the sensor unit 200 and applies a restoring force to the pressing unit 210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user to move the sensor unit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elastic part 250 may be further provided to allow the pressing part 210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by being moved, and the elastic part 250 may be an elastic body such as a spring.

상기 가압부(210)는 사용자의 헤드(head)로부터 외력을 인가받는 가압본체부(211) 및 상기 가압본체부(211)로부터 연장되며 돌출 형성되는 가압돌출부(212)를 구비한다.The pressing portion 210 includes a pressing body portion 211 receiving an external force from a user's head and a pressing protrusion 212 extending from the pressing body portion 211 and protruding.

상기 가압돌출부(212)는 상기 자기부(220)가 삽입되는 제1 삽입공간(S3)을 형성하는 제1 돌출부(213)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삽입공간(S3)은 상기 삽입구(S2)와 길이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pressing protrusion 212 further includes a first protrusion 213 forming a first insertion space S3 into which the magnetic part 220 is inserted, and the first insertion space S3 is the insertion hole S2. ) and formed at a position overlapp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가압돌출부(212)는 상기 제1 돌출부(213)와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되, 상기 탄성부(250)가 삽입되는 제2 삽입공간(S4)을 형성하는 제2 돌출부(214)를 더 구비한다.In addition, the pressing protrusion 212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otrusion 213 in the height direction, and further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214 forming a second insertion space S4 into which the elastic part 250 is inserted. provide

또한, 상기 가압돌출부(212)는 상기 지지부(230)의 외주면과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210)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제3 돌출부(215)를 더 구비한다.In addition, the pressing protrusion 212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30 and further includes a third protrusion 215 configured to move the pressing portion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상기 제3 돌출부(215)는 슬라이딩 돌출부(미 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230)의 외주면은 슬라이딩 돌출부와 대응되는 슬라이딩 홈을 구비하여 상기 제3 돌출부(215) 및 상기 지지부(230)에 의해 상기 가압부(210)는 사용자가 인가하는 외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구현된다.The third protrusion 215 is provided with a sliding protrusion (not show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art 230 is provided with a slid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protrusion, so that the third protrusion 215 and the support part 230 provide The pressing part 210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a user.

따라서, 사용자는 전동 휠체어의 속도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가압부(210)의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중심을 가압하고, 가압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210)는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자기부(220)가 방출하는 자기력선을 상기 자기 센서부(240)가 센싱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로 송신함으로써, 사용자는 헤드어레이 조종기(10)를 통해 전동 휠체어의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Therefore, the user presses the center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the pressing part 210 in order to transfer information about the speed of the electric wheelchair to the control unit, and the pressing part 21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caused by the pressing. As the position is moved, the magnetic sensor unit 240 senses the lines of magnetic force emitted by the magnetic unit 22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electric wheelchair through the head array controller 10. You will control the speed.

한편,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탄성부(250)는 상기 제2 돌출부(214)가 형성하는 상기 제2 삽입공간(S4)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자기부(220)가 삽입되는 상기 제1 돌출부(213)를 포위하게 된다.Meanwhile, as can be seen in FIG. 5 , the elastic part 25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space S4 formed by the second protrusion 214, and thus the magnetic part 220 is inserted. It surrounds the first protrusion 213 to be.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250)는 사용자가 인가한 외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된 상기 가압부(210)로 복원력을 인가하여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구현 함과 동시에 상기 자기부(220)를 포위하여 상기 자기부(220)의 외력에 의한 파손 및 훼손을 방지하게 된다.Accordingly, the elastic part 250 applies a restoring force to the pressing part 210, which has been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user, to realize the positional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magnetic part 220 By enclosing the magnetic part 220, damage and damage due to external force are prevented.

따라서, 상기 탄성부(250)에 의해 상기 자기센서부(240)는 상기 자기부(220)가 방출하는 자기력선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elastic part 250 allows the magnetic sensor part 240 to more accurately measure the magnetic field lines emitted by the magnetic part 220 .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헤드어레이 조종기(1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head array controller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가압부(210)는 사용자의 헤드로부터 외력을 인가받는 가압본체부(211) 및 상기 가압본체부(211)로부터 연장되며, 돌출형성되는 가압돌출부(212)를 구비한다.As can be seen in Figure 6, the pressing portion 210 is provided with a pressing body portion 211 receiving an external force from the user's head and a pressing protrusion portion 212 extending from the pressing body portion 211 and protruding. do.

또한, 상기 가압돌출부(212)는 제1 돌출부(213) 및 상기 제1 돌출부(213)와 높이방향으로 이격되되 상기 지지부(230)와 결합되는 제2 돌출부(214)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pressing protrusion 212 includes a first protrusion 213 and a second protrusion 214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otrusion 213 in a height direction but coupled to the support part 230 .

상기 제2 돌출부(214)는 내주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230)는 슬라이딩 돌출부와 대응되는 슬라이딩 홈을 구비하여, 상기 가압부(210)는 사용자가 인가한 외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구현된다.The second protrusion 214 has a sliding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upport part 230 has a slid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protrusion, so that the pressing part 210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a user. Position movement to is implemented.

한편, 상기 센서부(200)는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돌출부(212)와 결합되어 연동되는 외력전달부(260)를 더 구비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 the sensor unit 200 further includes an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260 coupled to and interlocking with the first protrusion 212 .

여기서, 사용자(환자)는 환부에 따라 상기 가압부(210)의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중심을 정확히 가압하지 못할 수 있다.Here, the user (patient) may not be able to accurately press the center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the pressing part 210 depending on the affected part.

따라서, 사용자의 가압에 의한 외력이 정확히 중심을 향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가압부(210)에 특정 방향으로 치우친 편심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인가한 외력에 의한 상기 자기부(220)가 방출하는 자기력선을 상기 자기센서부(240)가 정확히 측정하지 못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external force due to the user's pressing is not accurately directed to the center, the pressing part 210 may be eccentric in a specific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magnetic part 220 due to the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user is released. The magnetic sensor unit 240 cannot accurately measure the line of magnetic force.

사용자가 가압부(210)에 가한 외력을 상대적 수치로 예를 들면, 사용자가 가압부(210)의 중심에 정확히 4N(Newton)을 가한 경우, 4N에 의해 상기 가압부(210)가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전동 휠체어의 속도가 8km/h 증가한다고 가정하면, 사용자가 가압부(210)의 중심에서 특정 방향으로 치우쳐 4N의 힘을 가한 경우, 특정 방향에 따른 편심이 발생하여 상기 가압부(210)는 4N 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외력, 일례로 2N을 통해 상기 가압부(210)가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전동 휠체어의 속도가 4km/h 증가하게 된다.Taking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pressing part 210 by the user as a relative value, for example, when the user accurately applies 4N (Newton) to the center of the pressing part 210, the pressing part 21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4N. Assuming that the position is moved and the speed of the electric wheelchair increases by 8 km/h, when the user applies a force of 4 N from the center of the pressing part 210 in a specific direction, an eccentricity occurs in a specific direction, resulting in the pressing part 210 ) is that the pressure portion 210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an external force relatively less than 4 N, for example, 2 N, so that the speed of the electric wheelchair increases by 4 km/h.

따라서, 사용자는 가압부(210)에 같은 외력을 가하더라도, 전동 휠체어의 속도는 편심이 발생 할 경우 편심이 발생 하지 않은 경우와 다르게 제어된다.Therefore, even if the user applies the same external force to the pressing unit 210, the speed of the electric wheelchair is controlled differently when eccentricity occurs than when eccentricity does not occur.

따라서, 이러한 편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외력전달부(260)를 더 구비하여, 상기 자기부(220)가 상기 외력전달부(260)에 의해 높이 방향과 수평이 유지되도록 한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ch eccentricity from occurring, the sensor unit 200 further includes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260 so that the magnetic unit 220 is horizontally aligned with the height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260. to keep this

다만, 상술한 힘과 속도에 대한 상대적 수치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상대적 수치가 변경 가능 함은 물론이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relative values for force and speed are only examples for helping understanding, and the relative values can be changed, of course.

상기 외력전달부(260)가 상기 높이 방향과 수평이 유지됨을 구현하기 위해,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외력전달부(260)는 상기 제1 돌출부(213)와 결합되어 연동되며, 상기 제1 돌출부(213)로부터 사용자의 외력을 인가 받는 전달몸체부(261) 및 상기 전달몸체부(261)로부터 연장되며, 돌출 형성되는 전달돌출부(262)를 더 구비한다.In order to implement that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260 is maintained horizontally with the height direction, as shown in FIG. 6,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260 is coupled to and interlocked with the first protrusion 213, and the 1 further comprising a delivery body 261 receiving external force from the user from the protrusion 213 and a delivery projection 262 extending from the delivery body 261 and protruding.

상기 전달돌출부(262)는 상기 자기부(220)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S3)을 형성하는 제1 전달돌출부(263) 및 외주면이 상기 지지부와 슬라이딩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외력전달부(260)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제2 전달돌출부(264)를 더 구비한다.The transfer protrusion 262 has a first transfer protrusion 263 forming an insertion space S3 into which the magnetic part 220 is inserted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260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support part.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transmission protrusion 264 that implements positional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상기 지지부(230) 또한,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헤드지지부(100)와 결합되는 지지몸체부(231) 및 상기 지지몸체부(231)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출부(232)를 구비한다.As can be seen in FIG. 6, the support part 230 also includes a support body part 231 coupled to the head support part 100 and a support protrusion part 232 extending from the support body part 231 and protruding from it. do.

상기 지지돌출부(232)는 탄성부(250)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S1)을 형성하며, 내주면이 상기 외력전달부와 슬라이딩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외력전달부의 길이 방항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제1 지지돌출부(233) 및 내주면이 상기 가압부(210)와 슬라이딩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210)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제2 지지돌출부(234)를 더 구비한다.The support protrusion 232 forms an inner space S1 into which the elastic part 250 is inserted,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slidably coupl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ortion to realize positional movement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233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slidably coupled to the pressing portion 210 to further include a second support protrusion 234 for realizing positional movement of the pressing portion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do.

즉, 사용자는 상기 가압부(210)로 외력을 인가하면, 이에 따라, 상기 가압부(210)가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가압부(210)와 연동된 상기 외력전달부(260) 또한 외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된다.That is, when the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pressing portion 210, the pressing portion 210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ortion 260 interlocked with the pressing portion 210 also It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여기서, 상기 외력전달부(260)는 상기 제1 지지돌출부(233)와 슬라이딩 결합 됨으로써, 상기 제1 지지돌출부(233)에 의해 높이 방향으로 수평을 유지하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의 가압에 의한 외력이 정확히 중심을 향하지 못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편심이 발생하지 않아서, 상기 자기센서부(240)는 상기 자기부(220)가 방출하는 자기력선을 보다 정확히 측정하게 된다.Here,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260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233 to maintain a horizontal level in the height direction by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233, and thus, an external force caused by a user's pressure Even if it is not accurately directed to the center, eccentricity does not occur, so that the magnetic sensor unit 240 more accurately measures the magnetic force lines emitted by the magnetic unit 220.

상기 탄성부(250)는 내부 공간(S1)에 삽입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외력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 상기 가압부(210)로 복원력을 인가하여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게 하여, 상기 가압부(210)가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한다.The elastic part 250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S1, and when the user's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a restoring force is applied to the pressing part 210 to move the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pressing part ( 210)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한편, 상기 탄성부(250)는 또 다른 일례로, 일단이 상기 삽입구(S2)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삽입 공간(S3)에 삽입될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example, the elastic part 250 may have one e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S2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3.

이에 따라, 사용자의 가압에 의한 외력이 정확히 중심을 향하지 못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외력전달부(260)에 삽입된 자기부(220)가 스프링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정확히 위치 이동 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자기센서부(240)가 상기 자기부(220)가 방출하는 자기력선을 보다 정확히 측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Accordingly, even when the external force caused by the user's pressure is not accurately directed toward the center, the magnetic part 220 inserted into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art 260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in the spring, This is to allow the magnetic sensor unit 240 to more accurately measure the lines of magnetic force emitted by the magnetic unit 220 .

나아가, 상기 센서부(200)는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일단이 상기 삽입구(S2)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삽입 공간(S3)에 삽입되되 상기 탄성부(250)를 포위하는 포위부(2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Furthermore, as can be seen in FIG. 7 , the sensor unit 200 has one e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ertion hole S2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3 to surround the elastic part 250. A unit 270 may be further provided.

여기서, 포위부(270)는, 공지된 주름관을 의미 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250)와 연동되어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수축하거나, 상기 탄성부(250)의 복원력에 의해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신장될 수 있다.Here, the enclosing portion 270 may mean a known corrugated pipe, and is interlocked with the elastic portion 250 to contra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 user's external force or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portion 250. It can be stretched based on the length direction.

이는, 상기 포위부(270)의 일단이 상기 삽입구(S2)에 삽입되되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 될 수 있고, 타단이 상기 삽입 공간(S3)에 삽입되되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 될 수 있기 때문에 구현 가능하다.This can be implemented because one end of the enclosing portion 27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S2 and fixed by an adhesive, and the other end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3 and fixed by an adhesive.

따라서, 상기 포위부(270)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한 외력이 정확히 중심을 향하지 못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탄성부(250)를 포위하여 상기 탄성부(250) 및 상기 탄성부(250)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상기 자기부(2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외력전달부(260)와 상기 지지부(230)를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외력을 보다 정확히 전달하게 된다.Therefore, the enclosing portion 270 surrounds the elastic portion 250 even when the external force caused by the user's pressure is not accurately directed toward the center, and the elastic portion 250 and the inside of the elastic portion 250 have a length. While preventing the magnetic part 220 from being moved in the direction,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art 260 and the support part 230 are directly connected, so that the user's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more accurately.

따라서, 도 3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어레이 조종기(10)는 공지된 헤드어레이 조종기에 의한 전동 휠체어의 ON/OFF식(계단식) 속도 제어를 하는 것이 아닌, 상기 자기부(220)가 방출하는 자기력선을 상기 자기센서부(240)가 보다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도 3의 (b)와 같은 전동 휠체어의 비례적으로 속도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as can be seen in (a) of FIG. 3, the head array controll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ontrol the ON/OFF type (stepped) speed of the electric wheelchair by the known head array controller, but the self It is possible for the magnetic sensor unit 240 to more accurately measure the magnetic field lines emitted by the unit 220, so that proportional speed control of the electric wheelchair as shown in FIG. 3 (b) is possibl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헤드지지부, 200: 센서부
210: 가압부, 220: 자기부, 230: 지지부, 240: 자기센서부
250: 탄성부, 260: 외력전달부, 270: 포위부
S1: 내부 공간, S2: 삽입구, S3: 삽입 공간
100: head support, 200: sensor
210: pressing part, 220: magnetic part, 230: support part, 240: magnetic sensor part
250: elastic part, 260: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art, 270: enclosing part
S1: inner space, S2: insertion hole, S3: insertion space

Claims (5)

전동휠체어의 속도 및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헤드어레이 조종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헤드를 지지하는 헤드지지부; 및
상기 헤드지지부상에 배치되되, 사용자의 헤드와 접촉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외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 내의 소정의 공간에 배치되는 자기부;
상기 헤드지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내측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가압부와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가 형성하는 삽입구에 배치되되, 상기 자기부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자기부의 자기력을 센싱하는 자기센서부;를 포함하는,
헤드어레이 조종기.
In the head array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peed and direction of the electric wheelchair,
a head support for supporting a user's head; and
Doedoe disposed on the head support, a sensor unit in contact with the user's head; includes,
The sensor unit,
a pressing unit that is mov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a magnetic part disposed in a predetermined space within the pressing part;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head support portion, forming an inner space therein, and coupled with the pressing portion; and
A magnetic sensor unit disposed in the insertion hole formed by the support unit, dispose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magnetic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ens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unit;
Head Array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센서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부로의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사용자의 헤드로부터 외력을 인가받는 가압본체부; 및
상기 가압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돌출 형성되는 가압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돌출부는,
상기 자기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와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되, 상기 탄성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과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제3 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2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돌출부를 포위하는,
헤드어레이 조종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An elastic unit disposed in the sensor unit to apply a restoring force to the pressing unit; further comprising:
The pressing part,
Pressing body portion receiving an external force from the user's head; and
It has a; press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pressing body and protruding,
The pressing protrusion,
a first protrusion forming a first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magnetic part is inserted;
a second protrus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otrusion in a height direction and forming a second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elastic part is inserted; and
A third protrusion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to realize positional movement of the pressing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further comprising,
The elastic part,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space and surrounding the first protrusion,
Head Array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사용자의 헤드로부터 외력을 인가받는 가압본체부; 및
상기 가압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돌출 형성되는 가압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가압돌출부와 결합되는 외력전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압돌출부는,
일단이 상기 외력전달부와 결합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되,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과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제2 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외력을 인가 받는 전달몸체부; 및
상기 전달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돌출 형성되는 전달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달돌출부는,
상기 자기부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전달돌출부; 및
외주면이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외력전달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제2 전달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헤드지지부와 결합되는 지지몸체부; 및
상기 지지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돌출부는,
탄성부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내주면이 상기 외력전달부와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외력전달부의 길이 방항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제1 지지돌출부; 및
내주면이 상기 가압부와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제2 지지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자기부는,
상기 외력전달부에 의해 높이 방향과 수평이 유지되는,
헤드어레이 조종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ing part,
Pressing body portion receiving an external force from the user's head; and
It has a; press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pressing body and protruding,
The sensor unit,
Further comprising an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coupled to the pressing protrusion,
The pressing protrusion,
a first protrusion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and
A second protrus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otrusion in the height direction and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to realize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pressing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a transmission body receiving an external force from the first protrusion; and
A delivery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delivery body and protruding; further comprising,
The delivery protrusion,
a first transmission protrusion forming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magnetic part is inserted; and
A second transmission protrusion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to realize positional movement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further comprising,
the support,
a support body coupled to the head support; and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support body and protruding from the support body;
The support protrusion,
a first support protrusion that forms an inner space into which an elastic part is inserted, and whos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coupl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art to realize positional movement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ar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and
A second support protrusion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upled to the pressing portion to realize positional movement of the pressing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further comprising,
the magnetic part,
The height direction and horizontality are maintained by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Head Array Controll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일단이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헤드어레이 조종기.
According to claim 3,
The elastic part,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Head Array Controll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일단이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되, 상기 탄성부를 포위하는 포위부;를 더 구비하는,
헤드어레이 조종기.

According to claim 4,
The sensor unit,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fixed,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an enclosing portion surrounding the elastic part; further comprising,
Head Array Controller.

KR1020210170183A 2021-12-01 2021-12-01 Head array controller KR1026382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183A KR102638237B1 (en) 2021-12-01 2021-12-01 Head array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183A KR102638237B1 (en) 2021-12-01 2021-12-01 Head array contro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350A true KR20230082350A (en) 2023-06-08
KR102638237B1 KR102638237B1 (en) 2024-02-20

Family

ID=8676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183A KR102638237B1 (en) 2021-12-01 2021-12-01 Head array control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237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355A (en) * 1999-09-03 2001-03-21 Suzuki Motor Corp Electric wheelchair control device using pressure sensitive control switch device
JP2002315787A (en) * 2001-04-24 2002-10-29 Furukawa Co Ltd Traveling apparatus
KR20040084055A (en) * 2003-03-26 2004-10-06 한국과학기술원 A powered wheelchair control sensor by using head motion and implemented system for spinal injured persons
KR20070045747A (en) * 2005-10-28 2007-05-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by teeth-clenching
US20130085632A1 (en) * 2011-10-03 2013-04-04 Kathryn Jeanne De Laurentis Hands-free user interface devices
CN104159771A (en) * 2012-03-05 2014-11-19 波尔莫比尔公司 Adjustable and reconfigurable head array system for a power wheelchai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355A (en) * 1999-09-03 2001-03-21 Suzuki Motor Corp Electric wheelchair control device using pressure sensitive control switch device
JP2002315787A (en) * 2001-04-24 2002-10-29 Furukawa Co Ltd Traveling apparatus
KR20040084055A (en) * 2003-03-26 2004-10-06 한국과학기술원 A powered wheelchair control sensor by using head motion and implemented system for spinal injured persons
KR20070045747A (en) * 2005-10-28 2007-05-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by teeth-clenching
US20130085632A1 (en) * 2011-10-03 2013-04-04 Kathryn Jeanne De Laurentis Hands-free user interface devices
CN104159771A (en) * 2012-03-05 2014-11-19 波尔莫比尔公司 Adjustable and reconfigurable head array system for a power wheel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237B1 (en) 202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2598B2 (en) Bone conduction headset
JP6053059B2 (en) Operating force detection device and walking assist device provided with the operating force detection device
CN102688130B (en) Standing-up motion auxiliary robot
WO2005018523A3 (en) Patient interface assembly and system using same
US20110148669A1 (en) Thimble-type intermedi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finger gesture using the same
WO2002034331A3 (en) Externally worn transceiver for use with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WO2005002194A3 (en) Image-rendering device
KR20230082350A (en) Head array controller
US20190101994A1 (en) Input pen
KR102028610B1 (en) Driving Module for Manual and Power Hybrid Wheelchair
CN104752082A (en) Custom button and terminal device
US10967521B2 (en) Robot and robot system
US10761609B2 (en) User wearable interface device having force feedback
KR102238029B1 (en) Tactile information supply devide
US20190187791A1 (en) Interface device
KR20210001286U (en) Smart Sensor Barrier Calibration Band
WO2003005334A3 (en) Controller with tactile feedback
KR101732147B1 (en) Haptic stylus
WO2009026538A1 (en) Oral controller apparatus and methods
JPH0442141B2 (en)
KR102080648B1 (en) Control device for walking aids
CN218601595U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CN215458874U (en) Pressure button of electric toothbrush
KR101531546B1 (en) Bidirectional pedal for industrial vehicle
JP2020180784A (en) Load sensor unit and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