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1522A - Apparatus for mesuring training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monitoring system for training situation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esuring training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monitoring system for training situation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1522A
KR20230081522A KR1020210169615A KR20210169615A KR20230081522A KR 20230081522 A KR20230081522 A KR 20230081522A KR 1020210169615 A KR1020210169615 A KR 1020210169615A KR 20210169615 A KR20210169615 A KR 20210169615A KR 20230081522 A KR20230081522 A KR 20230081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information
heart rate
location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6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31099B1 (en
Inventor
김필영
홍성철
김시국
이건호
Original Assignee
(주)태산전자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산전자,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태산전자
Priority to KR1020210169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099B1/en
Publication of KR20230081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5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0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6Indicators or warning devices, e.g. of low pressure, cont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81Training methods or equipment for fire-figh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6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indoor nav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20Worker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소방훈련에 참여하는 훈련대원들이 착용한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부터 전송된 훈련정보들을 수신하는 제1 통신모듈; 상기 수신된 훈련정보들에 기반하여 상기 훈련대원들이 착용한 산소통의 공기소모량 정보, 훈련대원들의 위치 정보, 및 훈련대원들의 심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하는 제1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프로세서와 연동하여 상기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된 정보들이 저장되는 제1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train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device worn by training members participating in fire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processor that measures and analyzes at least one of air consumption information of oxygen cylinders worn by the training member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s, and heart rate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s in real time based on the received training information; and a first database in which information measured and analyzed in real time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first processor.

Description

실시간 훈련정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상황 모니터링 시스템{APPARATUS FOR MESURING TRAINING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MONITORING SYSTEM FOR TRAINING SITUATION USING THE SAME}Real-time training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and training situation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훈련정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소방훈련에 참여하는 훈련대원들에 대한 공기소모량, 위치정보, 심박측정 정보 등의 훈련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훈련정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training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and a training status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raining information such as air consumption, location information, heart rate measurement information, etc. for training members participating in fire drills in real time It relates to a training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that measures and a training situation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종래의 경우 훈련대원의 화재진압 시 연무나 소음 등으로 소방관 자신의 위치를 분간 못하거나 사고를 당해 위험에 처해 있는 소방관을 구조하는 방법은 일일이 동료 소방관들이 찾아 다녀야만 했다. 그러나, 정확한 위치가 파악 되지 않는 소방관을 구조하다가 동료 소방관들도 위험에 처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In the past, firefighters could not distinguish their location due to smoke or noise during firefighting by drill members or had to find a way to rescue a firefighter in danger due to an accident by fellow firefighters. However, it is a reality that fellow firefighters are also in danger while rescuing a firefighter whose exact location is not known.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건물의 화재진압 시 위험에 빠진 소방관의 위치를 파악하여 쉽게 구조하기 위한 위치파악 시스템이 구현되고 있다.Accordingly, recently,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positioning system for easily rescuing a firefighter in danger by locating a firefighter in a building has been implemented.

그러나, 이와 같이 소방관의 현장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위험 상황에 노출된 소방관을 용이하게 구출할 수 있는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하더라도, 현장에서 순직하는 다수의 소방관은 자신의 위치를 통지함에도 불구하고, 위험상황을 극복하지 못하여 사고로 이어지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일 예로, 소방관은 자신이 보유한 산소량을 지속적으로 인지해야 하는데, 위험 상황에서 산소량 체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어려움에 처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However, even if a system capable of identifying the site location of a firefighter and easily rescuing a firefighter exposed to a dangerous situation based on this is introduced, many firefighters who die on the job are notified of their location. Cases leading to accidents due to failure to overcome dangerous situations frequently occur. For example, a firefighter needs to continuously recognize the amount of oxygen he or she possesses, but in a dangerous situation, the amount of oxygen cannot be properly checked, which can lead to difficulties.

따라서, 소방관들은 실제 화재진압 상황에 투입되기 전에 실제 상황에 근접하는 화재상황을 시뮬레이터를 통해 재현하여 소방관들이 소방훈련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 예로, 소방훈련은 소방법에 의거, 일정규모 이상의 건물은 년 1회 이상 의무적으로 실시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소방훈련은 실제 화재상황을 가정한 위기상황 훈련으로서, 실전 대응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해 실시되고 있다. Therefore, before being put into an actual firefighting situation, firefighters reproduce a fire situation that is close to the actual situation through a simulator so that firefighters can conduct firefighting drills. For example, fire drills are mandated to be conducted at least once a year for buildings of a certain size or larger in accordance with the Fire Service Act, and these fire drills are emergency drills that assume actual fire situations and are conducted to strengthen response capabilities in real battles. It is becoming.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6-0022318호(2006.03.10)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22318 (2006.03.1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방훈련에 참여하는 훈련대원들에 대한 공기소모량, 위치정보, 심박측정 정보 등의 훈련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이러한 훈련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함으로써, 훈련대원 스스로가 실제 화재상황에 대한 대응역량을 키움과 동시에 훈련대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도모할 수 있는 실시간 훈련정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raining information such as air consumption, location information, heart rate measurement information, etc. for training members participating in fire training in real time, and monitors this training information in real time, so that the training members themselves can control the actual fi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al-time training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and a training situation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which can promote the safety of training members as a top priority while developing the ability to respond to situatio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소방훈련에 참여하는 훈련대원들이 착용한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부터 전송된 훈련정보들을 수신하는 제1 통신모듈; 상기 수신된 훈련정보들에 기반하여 상기 훈련대원들이 착용한 산소통의 공기소모량 정보, 훈련대원들의 위치 정보, 및 훈련대원들의 심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하는 제1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프로세서와 연동하여 상기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된 정보들이 저장되는 제1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train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device worn by training members participating in fire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irst processor that measures and analyzes at least one of air consumption information of oxygen cylinders worn by the training member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s, and heart rate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s in real time based on the received training information; and a first database in which information measured and analyzed in real time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first processor.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훈련대원이 착용한 개인 안전장비로부터 전송된 상기 산소통의 잔량 압력 게이지 정보인 상기 산소통의 산소 잔량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상기 산소통의 공기소모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공기소모량 정보 처리부; 상기 훈련대원이 착용한 위치 추적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훈련대원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훈련대원의 이동 위치 및 추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위치정보 처리부; 및 상기 훈련대원이 착용한 심박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밴드로부터 전송된 훈련대원의 심박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훈련대원의 심박, 산소포화도, 및 심박 펄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심박측정 정보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measures the air consumption of the oxygen cylinder in real time by receiving and analyzing the remaining amount of oxygen information of the oxygen cylinder, which is the pressure gauge information of the remaining amount of the oxygen cylinder, which is transmitted from the personal safety equipment worn by the training membe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analyz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tracking terminal worn by the training member and generates moving location and tracking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 in real time; and a heart rate measureme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analyzes the heart rate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 transmitted from the smart band equipped with the heart rate sensor worn by the training member and measures the heart rate, oxygen saturation, and heart rate pulse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 in real time. can

상기 공기소모량 정보 처리부는, 상기 훈련대원의 개인 안전장비에 포함된 산소통의 압력게이지부 및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공기소모량 전송 모듈을 통해 전송된 산소통의 산소 잔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air consumption amou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residual amount of oxygen in the oxygen bottle transmitted through a pressure gauge unit of the oxygen bottle included in the personal safety equipment of the training member and an air consumption amount transmitting module operating in conjunction therewith.

상기 공기소모량 정보 처리부는, 상기 압력게이지부에 의해 측정되는 산소통의 잔량 압력 게이지 정보를 내용적으로 환산하여 산소통의 압력 bar에 따라 훈련대원이 소비한 공기 소모량을 L/min으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The air consumption amou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pplies an algorithm that converts the remaining pressure gauge information of the oxygen cylinder measured by the pressure gauge unit into content and converts the air consumption consumed by the training member into L/min according to the pressure bar of the oxygen cylinder. can do.

상기 위치 추적 단말기는 상기 훈련대원이 직접 착용하는 PDR 센서 및 상기 PDR 센서를 착용한 사용자의 거리 측정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개식 AP(DAP)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ation tracking terminal may include a PDR sensor directly worn by the training member and at least one deployable AP (DAP) providing a signal for measuring a distance of a user wearing the PDR sensor.

상기 위치 정보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위치 데이터 정보를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한 데이터들에 대한 평균값 및 오차율을 계산한 뒤, 에러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배제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개선된 다각측량 기법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보정된 위치 데이터 값을 산출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ilters the received location data information, calculates an average value and an error rate for the filtered data, applies an algorithm to exclude data corresponding to an error, and applies an improved traverse survey technique. Thus, the corrected position data value can be finally calcula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훈련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방훈련에 참여하는 훈련대원들 각각이 착용하여 상기 훈련대원들의 훈련정보를 검출하여 제공하는 훈련정보 제공부; 상기 수신된 훈련정보들에 기반하여 상기 훈련대원들이 착용한 산소통의 공기소모량 정보, 훈련대원들의 위치 정보, 및 훈련대원들의 심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하는 훈련정보 측정 장치; 및 상기 훈련정보 측정 장치에서 측정 및 분석된 상기 산소통의 공기소모량 정보, 훈련대원들의 위치 정보, 및 훈련대원들의 심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도록 처리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한다.A training situ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in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worn by each of the training members participating in a fire drill to detect and provide training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s; A training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that measures and analyzes at least one of air consumption information of oxygen cylinders worn by the training member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s, and heart rate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s in real time based on the received training information; and a monitoring server that processes at least one of the air consumption information of the oxygen cylinder measured and analyzed by the training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s, and heart rate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s to monitor in real time.

상기 훈련정보 제공부는, 상기 훈련대원이 직접 착용하는 PDR 센서 및 상기 PDR 센서를 착용한 사용자의 거리 측정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개식 AP(DAP)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 단말기; 상기 훈련대원이 착용하는 안전장비로서, 산소통, 상기 산소통의 잔여 압력 게이지 정보를 제고하는 압력게이지부 및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공기소모량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개인 안전장비; 및 상기 훈련대원이 직접 착용하는 심박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in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includes a location tracking terminal including a PDR sensor directly worn by the training member and at least one deployable AP (DAP) that provides a signal for measuring a distance of a user wearing the PDR sensor; As safety equipment worn by the training team members, personal safety equipment including an oxygen cylinder, a pressure gauge unit for providing remaining pressure gauge information of the oxygen cylinder, and an air consumption transmission module operating in conjunction therewith; And it may include a smart band equipped with a heart rate sensor that the training member directly wears.

상기 훈련정보 측정 장치는, 상기 훈련대원이 착용한 개인 안전장비로부터 전송된 상기 산소통의 잔량 압력 게이지 정보인 상기 산소통의 산소 잔량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상기 산소통의 공기소모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공기소모량 정보 처리부; 상기 훈련대원이 착용한 위치 추적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훈련대원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훈련대원의 이동 위치 및 추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위치정보 처리부; 및 상기 훈련대원이 착용한 심박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밴드로부터 전송된 훈련대원의 심박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훈련대원의 심박, 산소포화도, 및 심박 펄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심박측정 정보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ining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measures the air consumption of the oxygen cylinder in real time by receiving and analyzing the remaining amount of oxygen information of the oxygen cylinder, which is the pressure gauge information of the remaining amount of the oxygen cylinder, transmitted from the personal safety equipment worn by the training member. consump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analyz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tracking terminal worn by the training member and generates moving location and tracking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 in real time; and a heart rate measureme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analyzes the heart rate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 transmitted from the smart band equipped with the heart rate sensor worn by the training member and measures the heart rate, oxygen saturation, and heart rate pulse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 in real time. can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훈련정보 측정 장치에서 분석하여 생성한 훈련대원들의 실시간 훈련정보들인 각 훈련대원들의 공기소모량 정보, 위치 정보 및 심박 측정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훈련정보 수신부; 상기 훈련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각 훈련대원들의 실시간 훈련정보들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훈련정보 처리부; 및 상기 훈련정보 처리부에 의해 구동되는 훈련대원 훈련정보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생성된 GUI를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력하여 이를 표시하는 훈련정보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nitoring server may include: a train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n real time air consump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heart rate measurement information of each training member, which are real-time training information of each training member generated by analyzing the training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a train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the real-time training information of each training member received from the train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so as to be monitored in real time; and a training information display unit outputting the GUI generated based on the training member training information monitoring program driven by the train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o a display module and displaying the GUI.

상기 훈련정보 처리부는 상기 공기소모량 정보, 위치 정보 및 심박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각 훈련대원들의 공기 소모량, 실시간 위치, 심박 정도를 계산하고, 훈련장의 실내도면 기반에서 훈련대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함과 함께 위치를 추적 및 궤적 경로를 표시하는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train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calculates the air consumption, real-time location, and heart rate of each training member using the air consump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heart rat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checks the condition of the training member in real time based on the indoor drawing of the training ground. It can perform data processing to track the location and display the trajectory path.

상기 훈련정보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GUI는, 상기 훈련대원들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생성되어 상기 훈련대원들의 위치 및 이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제1 GUI; 및 상기 훈련대원들의 실시간 공기소모량 정보 및 심박 측정 정보들 토대로 생성되어 상기 훈련대원들의 심박, 공기 소모량, 실내 온도, 모듈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제2 GUI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 displayed by the training information display unit may include: a first GUI generated based on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s and monitoring the location and movement of the training members in real time; and a second GUI that is generated based on the real-time air consumption information and heart rat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s and monitors information on heart rate, air consumption, room temperature, and module status of the training members in real tim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소방훈련에 참여하는 훈련대원들에 대한 공기소모량, 위치정보, 심박측정 정보 등의 훈련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이러한 훈련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함으로써, 훈련대원 스스로가 실제 화재상황에 대한 대응역량을 키움과 동시에 훈련대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easuring training information such as air consump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heart rate measurement information for training members participating in fire training in real time, and monitoring this training information in real time, You can develop your own response capabilities to actual fire situations and at the same time, put the safety of the training crew members firs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훈련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치추적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훈련대원 개인 안전장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훈련정보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프로세서 내부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모니터링 서버의 내부 구성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2 프로세서 내부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훈련상황 모니터링 표시 화면의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network environment including a training situ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location tracking terminal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ersonal safety equipment of the training crew shown in Figure 1;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training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shown in FIG. 1;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irst processor shown in FIG. 4;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erver shown in Figure 1;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econd processor shown in FIG. 6;
8A and 8B are exemplary diagrams of a training situation monitoring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위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란에 기재된 내용은 오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배경 기술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그것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선행 기술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이해될 수 없다.The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technical background of the above invention is only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ar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as the prior art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ist.

아래의 서술에서, 설명의 목적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많은 구체적인 세부 내용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 내용들 없이 또는 하나 이상의 동등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다른 예시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과 장치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불필요하게 이해하기 어렵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블록도로 표시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to facilitate an understanding of various embodiments. It is evident, however,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or in one or more equivalent manners. In other instances, well-known structures and devices are shown in block diagram form in order to avoid unnecessarily obscuring the various embodiments.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Each block in the accompanying block diagram may be execut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xecution engine), and since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loaded on a processor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special-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a computer or Those instructions executed by the processor of the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will create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that can be directed 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functionality in a particular way, such that the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The instructions stored in are also capable of producing articles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that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be load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a series of operating steps ar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executed process to generate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t is also possible that instructions performing possi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provide functionality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each block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and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functions recited in the blocks or steps may be sequenced. It is also possible that it occurs out of .

즉, 도시된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the two shown blocks may in fact be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executed, and the blocks may also be execut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ir corresponding functions, if necessary.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목적이고 제한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여기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and not for the purpose of limita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훈련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치추적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훈련대원 개인 안전장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network environment including a training status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location tracking terminal shown in FIG. 1 . In addition, FIG.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personal safety equipment for training members shown in FIG. 1 .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훈련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은, 소방훈련에 참여하는 훈련대원들(예: 소방관들) 각각이 착용하는 기기로서, 상기 착용한 훈련대원의 훈련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훈련정보 제공부(110), 네트워크(120), 모니터링 서버(130) 및 훈련정보 측정 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network environment including a training situ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worn by each of the training members (eg, firefighters) participating in a fire drill, and the worn training memb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rain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110, a network 120, a monitoring server 130, and a training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140 that serve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training state of the.

훈련정보 제공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추적 단말기(110_1), 훈련대원 개인 안전장비(110_2), 스마트 밴드(110_3)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train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110 may include a location tracking terminal 110_1, personal safety equipment for training members 110_2, and a smart band 110_3.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훈련정보 제공부(110)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소방훈련에 참여하는 훈련대원들 각각이 착용하는 기기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 훈련정보 제공부(110)는 실제 소방훈련에 참여하는 훈련대원들의 인원 수와 동일하게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train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110 is shown as on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this corresponds to a device worn by each of the training members participating in the fire drill, and the training information Stu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same as the number of training members participating in the actual fire drill.

또한, 상기 훈련정보 제공부(11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추적 단말기(110_1), 훈련대원 개인 안전장비(110_2), 스마트 밴드(110_3)를 포함함을 그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훈련정보 제공부(110)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추적 단말기(110_1), 훈련대원 개인 안전장비(110_2), 스마트 밴드(110_3) 외에 다양한 측정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자이로 센서, 온도 센서, 진동 센서 등을 더 포함하여 보다 구체적인 훈련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train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110,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location tracking terminal 110_1, the training member's personal safety equipment 110_2, and the smart band 110_3 are included. Although described as an examp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refor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training information provider 110 may include various measurement sensors in addition to the location tracking terminal 110_1, personal safety equipment for training members 110_2, and smart band 110_3. . For example, more specific training information may be provided by further including a gyro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vibration sensor, and the like.

상기 훈련정보 제공부(110)에 포함된 위치추적 단말기(110_1)는 착용한 훈련대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훈련대원의 보행에 따른 위치 변화를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위치추적 단말기(110_1)은 와이파이(Wi-Fi) 기반의 전개식 AP (Deployable Access Point, 이하 DAP) 방식을 이용하여 훈련에 참여한 훈련대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이를 추적하여 모니터링 함을 그 예로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측정치로써의 한계를 가지고 있는 와이파이 기반의 DAP 근접 정보와 보행 항법(Pedestrian Dead Reckoning, 이하 PDR)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location tracking terminal 110_1 included in the train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110 may determine the exact location of the worn training member and detect a change in position according to the walking of the training memb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tracking terminal 110_1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of training members participating in training in real time using a Wi-Fi-based deployable access point (DAP) method, and provides this in real time. Tracking and monitoring will be explained as an example. More specifically, it is characterized by using a technology for tracking location using Wi-Fi-based DAP proximity information and pedestrian navigation (Pedestrian Dead Reckoning, hereinafter PDR), which has limitations as a measurement value.

이를 위해 상기 위치 추적 단말기(110_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R 센서(112) 및 전개식 AP(DAP)(1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PDR 센서(112)는 소방훈련에 참여한 훈련대원이 직접 착용하는 구성으로서, 일 예로 발목 등에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AP(114)는 소방훈련이 실시되는 장소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PDR 센서(112)를 착용한 사용자의 거리 측정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To this end, the location tracking terminal 110_1 may include a PDR sensor 112 and a deployable AP (DAP) 114 as shown in FIG. 2 . The PDR sensor 112 is a configuration directly worn by training members participating in fire training, and may be worn on the ankle, for example. In addition, at least one DAP 114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a fire drill is conducted, and performs an operation of providing a signal for distance measurement of a user wearing the PDR sensor 112.

도 2에 도시된 위치 추적 단말기(110_1)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PDR 센서(112)에 의한 보행항법 연산 동작을 통해 상기 PDR 센서(112)를 착용한 사용자의 보폭 거리, 방향, 위치 등의 정보를 1차 연산하고, 초광대역(Ultra Wide Band, 이하 UWB) 전파항법 기술을 적용하여 2차적으로 상기 DAP(114)의 전송 신호를 연산하여 거리측정에 대한 2차 연산을 수행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보다 정밀한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Briefly describing the operation of the location tracking terminal 110_1 shown in FIG. 2, first, through the gait navigation calculation operation by the PDR sensor 112, the user wearing the PDR sensor 112 has a stride length, direction, position, etc. The information of is firstly calculated, and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DAP 114 is secondarily calculated by applying the Ultra Wide Band (UWB) radio navigation technology to perform the second calculation for the distance measurement, Through this, more precis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다음으로 상기 훈련정보 제공부(110)에 포함된 훈련대원 개인 안전장비(110_2)는, 훈련대원의 개별 장비로서, 산소 공급 시스템 예컨대, 소방 산소통 및 소방 헬멧으로 장착되며, 외부 설정이 가능한 고유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Next, the training member personal safety equipment 110_2 included in the train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110 is an individual equipment of the training member, mounted as an oxygen supply system, for example, a firefighting oxygen cylinder and a firefighting helmet, and a unique code that can be set externally. can be granted.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훈련대원 개인 안전장비(110_2)는 통합형 안면부(121), 고압조절/급속충전장치 결합부(123), 압력게이지부(125), 산소통(127), 공기소모량 전송 모듈(129)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personal safety equipment 110_2 for training members includes an integrated face unit 121, a high pressure control/quick charging device coupling unit 123, a pressure gauge unit 125, an oxygen cylinder 127, and an air consumption transmission module. (129) and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훈련대원 개인 안전장비(110_2)는 소방훈련에 참여한 훈련대원 즉, 상기 훈련대원 개인 안전장비(110_2)를 착용한 사용자의 공기소모량을 측정하여 이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현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ining member's personal safety equipment 110_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function of measuring the air consumption of the training member participating in the fire drill, that is, the user wearing the training member's personal safety equipment 110_2 and transmitting it characterized by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사용자의 공기소모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훈련대원 개인 안전장비(110_2)의 압력게이지부(125)의 정보전송체계와, 상기 통합형 안면부(121) 및 상기 압력게이지부(125) 간의 정보전송체계를 분석하여 상기 공기소모량을 측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of the pressure gauge unit 125 of the personal safety equipment 110_2 of the training team, the integrated face unit 121, and the pressure gauge to measure the air consumption of the user. The air consumption may be measured by analyzing a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between branches 125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소통(127)의 공기소모량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상기 산소통(127)의 잔량 압력 게이지를 나타내는 압력게이지부(125)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파형은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있다. More specifically, as a means for measuring the air consumption of the oxygen cylinder 127, the waveform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ressure gauge unit 125 indicating the remaining pressure gauge of the oxygen cylinder 127 has a constant cycle.

또한, 상기 통합형 안면부(121) 및 상기 압력게이지부(125) 간의 정보전송체계는 병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통합형 안면부(121) 및 상기 압력게이지부(125)에서 전송되는 정보의 일체는 하나의 파형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between the integrated face unit 121 and the pressure gauge unit 125 is configured in parallel, and accordingly, all of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tegrated face unit 121 and the pressure gauge unit 125 It is implemented so that a signal can be transmitted in one waveform.

상기 훈련대원 개인 안전장비(110_2)에 적용되는 통신방식은 송신(Tx) 및 수신(Rx) 신호를 단일선을 이용하는 시리얼 통신 방식으로 UART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시리얼 통신 방식인 UART를 이용하여 통신 알고리즘 분석을 진행하고, 이에 따라 예상되는 공식 및 알고리즘 정보를 대입하여 상기 압력게이지부(125)의 잔량에 따라 변화되는 파형을 분석함으로써 잔량정보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산소통(127)의 잔량 압력 게이지를 나타내는 압력게이지부(125)에서 전송되는 일정한 주기의 신호 파형 중 10 및 11번째 데이터비트에 해당하는 신호가 상기 압력 게이지의 산소 잔량 정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ethod applied to the training member's personal safety equipment 110_2 is a serial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single line for transmitting (Tx) and receiving (Rx) signals, and it is common to use a UART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algorithm analysis is performed using the serial communication method UART, and the waveform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remaining amount of the pressure gauge unit 125 is obtained by substituting the expected formula and algorithm information. By analyzing, it is possible to extract data of residual amount inform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through this method,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10th and 11th data bits among the signal waveforms of a certain period transmitted from the pressure gauge unit 125 indicating the remaining pressure gauge of the oxygen cylinder 127 are of the pressure gaug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information is the residual amount of oxyge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훈련대원 개인 안전장비(110_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소모량 전송 모듈(129)이 상기 산소통(127) 하단에 근접 설치되어 상기 검출된 산소통(127)의 산소 잔량 정보를 훈련정보 측정장치(140)에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ersonal safety equipment 110_2 for training mem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 The remaining oxygen amoun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training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140.

일 예로, 상기 공기소모량 전송 모듈(129)은 상기 산소통(127)의 산소 밸브와 체결되거나, 압력게이지부(125)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ir consumption amount transmission module 129 may be engaged with an oxygen valve of the oxygen cylinder 127 or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pressure gauge unit 125 .

다음으로 상기 훈련정보 제공부(110)에 포함된 스마트 밴드(110_3)는, 소방훈련에 참여한 훈련대원이 직접 착용하는 구성으로서, 일 예로 손목 등에 착용할 수 있다. Next, the smart band 110_3 included in the train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110 is directly worn by training members participating in fire training, and may be worn on the wrist, for examp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밴드(110_3)은 이를 착용한 사용자의 심박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심박 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스마트 밴드(110_3)은 훈련 상황의 훈련대원들의 심박 정보를 측정하는 심박 센서의 출력 정보를 네트워크(120)를 통해 상기 훈련정보 측정 장치(140)에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The smart band 110_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heart rat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heart rate information of a user wearing the band. Accordingly, the smart band 110_3 transmits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heart rate sensor for measuring the heart rate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s in the training situation to the training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140 through the network 12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심박 센서는 고속 주변 과도 상태를 제거를 더욱 개선하는 알고리즘을 내장하고 여러 샘플 모드 및 온칩 평균화를 통해 보다 낮은 유효 암전류 잡음 실현이 가능하고, 완벽한 단일 채널, 광학 데이터 획득 모델을 선정하여 구현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heart rate sensor embeds an algorithm to further improve high-speed ambient transient rejection, realizes lower effective dark current noise through multiple sample modes and on-chip averaging, and selects a perfect single-channel, optical data acquisition model. can be implemented.

네트워크(120)는 무선통신망 또는 유선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2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예: 이동통신망, 무선랜망, 유선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방식 뿐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The network 120 may be implement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method is not limited, and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as well as a communication method utilizing a communication network (e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ireless LAN network, a wired Internet, a broadcasting network) that the network 120 may include may be included.

일 예로, 상기 훈련정보 측정 장치(140)는 훈련정보 제공부(110)와 RF 통신을 수행하며, RF 통신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424MHz 대역 또는 447MHz 대역의 주파수가 사용되나, 필요에 따라 모바일 와이맥스용으로 거론되는 2.3GHz, 2.5GHz, 3.5GHz 등이 사용되거나 700MHz, 900MHz, 1.9GHz 등의 3세대 후보 주파수 대역이 적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raining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140 performs RF communication with the train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110, and the RF communication uses a frequency of 424 MHz band or 447 MHz b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f necessary Accordingly, 2.3GHz, 2.5GHz, 3.5GHz, etc. discussed for mobile WiMAX may be used, or 3rd generation candidate frequency bands such as 700MHz, 900MHz, 1.9GHz may be applied.

또한, 상기 모니터링 서버(130)는 소방 차량 또는 통제상황실에 구비됨에 따라, 별도의 관리 컴퓨터(PC)와 접속 가능하고, 이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황을 통제받을 수 있으며, 상기 훈련정보 측정 장치(140) 및/또는 훈련정보 제공부(110)와는 상호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해 근거리 통신 시스템 예컨대, 수 GHz 대의 초광대역을 사용하는 초고속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UWB(Ultra Wide Band), 2.4GHz 기반의 저전력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2.4GHz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LAN규격을 갖는 와이파이(Wi-Fi), 휴대 인터넷에서 사용 가능한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맥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monitoring server 130 is provided in a firefighting vehicle or control situation room, it can be connected to a separate management computer (PC), which can control the situation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and the training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140 ) and/or the train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110 for mutual data communication using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ystem, for example, UWB (Ultra Wide Band) capable of ultra-high-speed wireless data transmission using an ultra-wideband of several GHz, 2.4 GHz-based low-power wireless Zigbee capable of data transmission, Bluetooth, Wi-Fi having a wireless LAN standard using a 2.4 GHz 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usable in portable Internet, and the like can be used.

상기 훈련정보 측정 장치(140)는 상기 네트워크(120)를 통해 상기 소방훈련에 참여중인 다수의 훈련대원들에 대한 훈련정보 즉, 상기 소방훈련에 참여하는 훈련대원들에 대한 공기소모량, 위치정보, 심박측정 정보 등의 훈련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상기 훈련정보 제공부(1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여 상기 모니터링 서버(130)에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한다.The training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140 provides train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training members participating in the fire drill through the network 120, that is, air consumption, location information, It measures training information such as heart rate measurement information in real time, receives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training information provider 110 in real time, analyzes them, and provides them to the monitoring server 130 .

또한, 상기 모니터링 서버(130)는 상기 훈련정보 측정 장치(340)에서 분석된 훈련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함으로써, 훈련대원 스스로가 실제 화재상황에 대한 대응역량을 키움과 동시에 훈련대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도모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onitoring server 130 monitors the training information analyzed by the training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340 in real time, so that the training members themselves develop the ability to respond to actual fire situations and at the same time put the safety of the training members firs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promote.

도 1에서는 상기 훈련정보 측정 장치(140)가 상기 모니터링 서버(130)와 분리되어 구성됨을 그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훈련정보 측정 장치(140) 및 상기 모니터링 서버(130)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In FIG. 1, the training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140 is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monitoring server 130 as an example, but this is an example, and the training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140 and the monitoring server 13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device.

상기 모니터링 서버(130)는 웹서버(Web Serv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웹서버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웹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웹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상기 웹서버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모니터링 서버(13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monitoring server 13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web server, and the web server is generally connected to an unspecified number of clients and/or other servers through an open computer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is connected to clients or other servers. It refers to a computer system that receives a web server's work execution request, derives and provides the work result, and computer software (web server program) installed for it. However,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web server program, it can be understood as a broad concept including a series of application programs that operate on the web server and various databases built therein in some cases. For example, the monitoring server 130 is a web server provid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operating systems such as DOS, Windows, Linux, UNIX, and Macintosh in general server hardware. It can be implemented using a program, and as representative examples, websites, IIS (Internet Information Server) used in a Windows environment, and CERN, NCSA, APPACH, etc. used in a Unix environment can be used.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훈련정보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프로세서 내부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FIG.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training information measurement apparatus shown in FIG. 1 , and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irst processor shown in FIG. 4 .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훈련정보 측정 장치(140)는 제1 메모리(142), 제1 데이터베이스(143) 제1 프로세서(144), 제1 통신모듈(146) 및 제1 입출력 인터페이스(148)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training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140 includes a first memory 142, a first database 143, a first processor 144,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146, and a first input/output interface 148. includes

제1 메모리(142)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 ROM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메모리(142)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제1 메모리(142)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제1 통신모듈(146)을 통해 제1 메모리(142)에 로딩될 수도 있다. The first memory 142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ay include a non-perishable mass storage device such as RAM, ROM, and a disk drive. Also, an operating system and at least one program code may be stored in the first memory 142 . Thes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fro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eparate from the first memory 142 using a drive mechanism. Recording media readable by such a separate computer may include recording media such as a floppy drive, a disk, a tape, a DVD/CD-ROM drive, and a memory card. Also, th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the first memory 142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46 .

제1 통신모듈(146)은 소방훈련에 참여하는 훈련대원들이 착용한 적어도 하나의 기기 즉, 훈련정보 제공부(110)로부터 전송된 훈련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46 performs an operation of receiving in real time train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device worn by training members participating in a fire training, that is, train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110 .

제1 데이터베이스(14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훈련정보 측정 장치(140)로 전송되는 상기 훈련정보 제공부(110)의 출력 신호들을 분석한 정보들이 저장 및 유지될 수 있다. The first database 143 may store and maintain information obtained by analyzing output signals of the training information provider 110 transmitted to the training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프로세서(144)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제1 메모리(142) 또는 제1 통신모듈(146)에 의해 제1 프로세서(144)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프로세서(144)는 제1 메모리(142)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프로세서(144)는 소프트웨어적으로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 에 의해 구현되어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processor 144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commands of a computer program by performing basic arithmetic, logic, and input/output operations. Instructions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processor 144 by the first memory 142 or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46 . For example, the first processor 144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received instructions according to program codes stored in a recording device such as the first memory 142 . That is, the first processor 144 may include a program module implemented by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etc.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in terms of software.

도 5를 참조하면, 훈련정보 측정 장치(140)의 제1 프로세서(144)는 공기소모량 정보 처리부(410), 위치정보 처리부(420), 심박측정 정보 처리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로세서(144)는 훈련정보 측정 장치(140)의 제1 데이터베이스(143)와 연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first processor 144 of the training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140 may include an air consumption amou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10, a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20, and a heart rate measureme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30. In addition, the first processor 144 may interwork with the first database 143 of the training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140 .

여기서, 상기 제1 프로세서(144)는 제1 메모리(142)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제1 프로세서(144) 내의 구성요소들 즉, 공기소모량 정보 처리부(410), 위치정보 처리부(420), 심박측정 정보 처리부(430)는 훈련정보 측정 장치(14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의해 제1 프로세서(144)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을 구분하여 표현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Here, the first processor 144 may be implemented to execute an instruction according to an operating system code included in the first memory 142 and at least one program code. At this time, the components in the first processor 144, that is, the air consumption amou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10, the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20, and the heart rate measureme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30, program codes stored in the training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140 It may be understood that different functions performed by the first processor 144 are separately expressed by the provided control commands.

공기소모량 정보 처리부(410)는, 앞서 도 1 및 도 3을 통해 설명한 훈련정보 제공부(110)에 포함된 훈련대원 개인 안전장비(110_2)로부터 전송된 산소통(127)의 잔량 압력 게이지 정보 즉, 산소통(127)의 산소 잔량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The air consumption amou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10 is the remaining pressure gauge information of the oxygen cylinder 127 transmitted from the personal safety equipment 110_2 included in the train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11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that is, An operation of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oxygen in the oxygen cylinder 127 and analyzing it is perform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소모량 정보 처리부(410)는 상기 훈련대원 개인 안전장비(110_2)에 포함된 산소통(127)의 압력게이지부(125) 및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공기소모량 전송 모듈(129)을 통해 전송된 산소통(127)의 산소 잔량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공기 소모량을 산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air consumption amou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10 uses the pressure gauge unit 125 of the oxygen cylinder 127 included in the personal safety equipment 110_2 of the training team members and the air consumption amount transmission module 129 operating in conjunction therewith. An operation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air consumed by the user may be performed by receiving the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oxygen in the oxygen cylinder 127 transmitted through the oxygen cylinder 127 and analyzing the information.

일 예로, 상기 전송된 산소 잔량 정보를 분석하여 공기소모량 정보로 환산하는 알고리즘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s an example, an algorithm for analyzing the transmitted oxygen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and converting it into air consumption amount inform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산소통 압력 MAX BAR = 300 BAROxygen bottle pressure MAX BAR = 300 BAR

산소통 최고충전 공기량: 300 BAR * 6.8L (내용적) = 2040LOxygen tank maximum charging air volume: 300 BAR * 6.8L (content volume) = 2040L

훈련대원 공기소모량 (예: 45분 동안 훈련 시 250 BAR로 떨어졌을 경우): 250 BAR * 6.8L = 1700L, 즉, 2040L - 1700L = 340LAir consumption of the drill crew (e.g. dropped to 250 BAR while training for 45 minutes): 250 BAR * 6.8L = 1700L, i.e. 2040L - 1700L = 340L

45분 훈련 시간 동안 소모한 공기 소모량: 340LAir consumption during a 45-minute training session: 340L

분당 환산하면 340:45 = x:1, 따라서, x = 7.5L340:45 = x:1 per minute, so x = 7.5L

최종 소모한 분당 소모량: 분당 7.5L씩 사용함.Final consumption per minute: 7.5L per minute.

상기 알고리즘은 산소통(127)의 잔량 압력 게이지 정보를 최대한 내용적으로 환산하여 소방 훈련시 소비한 공기 소모량을 압력 bar에 따라 훈련대원이 소비한 공기 소모량을 L/min으로 변환함을 설명하는 것이다. The algorithm explains that the air consumption consumed during fire drills is converted into L/min according to the pressure bar by converting the remaining pressure gauge information of the oxygen cylinder 127 into contents as much as possible.

위치정보 처리부(420)는, 앞서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훈련정보 제공부(110)에 포함된 위치 추적 단말기(110_1)로부터 전송된 훈련대원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20 performs an operation of analyz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tracking terminal 110_1 included in the train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11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상기 위치 추적 단말기(110_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훈련에 참여한 훈련대원이 직접 착용하는 PDR 센서(112) 및 상기 PDR 센서(112)를 착용한 사용자의 거리 측정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개식 AP(DAP)(1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먼저 PDR 센서(112)에 의한 보행항법 연산 동작을 통해 상기 PDR 센서(112)를 착용한 사용자의 보폭 거리, 방향, 위치 등의 정보를 1차 연산하고, 초광대역(Ultra Wide Band, 이하 UWB) 전파항법 기술을 적용하여 2차적으로 상기 DAP(114)의 전송 신호를 연산하여 거리측정에 대한 2차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추적 단말기(110_1)에서 출력된 신호는 상기 위치정보 처리부(430)에 의해 분석 처리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location tracking terminal 110_1 provides a PDR sensor 112 directly worn by a training member participating in a fire drill and a signal for measuring the distance of a user wearing the PDR sensor 112 It is composed of at least one deployable AP (DAP) 114, and first, through a gait navigation operation by the PDR sensor 112, the user wearing the PDR sensor 112 has a stride length, direction, location, etc. Secondary calculation for distance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by first calculating the information of and secondarily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DAP 114 by applying Ultra Wide Band (UWB) radio navigation technology. . In additi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location tracking terminal 110_1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30 .

일 예로, 상기 전송된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훈련대원의 실시간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s an example, an algorithm capable of tracking the real-time location of a training member by analyzing the transmitted location information is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PDR 센서(112)를 착용한 훈련대원이 훈련을 개시하면, 상기 DAP(114) 및 PDR 센서(112)를 통해 연산된 상기 훈련대원의 위치 데이터 정보가 전송된다. 이에 상기 훈련정보 측정 장치(140)의 제1 통신모듈(146)을 통해 수신되고, 제1 프로세서(144)의 위치정보 처리부(430)에 의해 상기 수신된 위치 데이터 정보를 자체적으로 위치인지 계산 방식을 통해 연산한 뒤 상기 연산된 값을 자체 보정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정보를 보정한다. 또한, 상기 보정된 위치 데이터 정보는 상기 위치정보 처리부(430)에서 추출되어 상기 제1 메모리(142) 및/또는 제1 데이터베이스(143)에 저장된다. 이후 상기 보정된 위치 데이터는 제1 통신모듈(146) 및 네트워크(120)을 통해 모니터링 서버(130)에 전송된다.When a training member wearing the PDR sensor 112 initiates training, the location data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 calculated through the DAP 114 and the PDR sensor 112 is transmitted. Accordingly, the location recognition calculation method of the location data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46 of the training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140 and receiv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30 of the first processor 144 After calculating through , the calculated value is corrected for the data information using a self-correction technique. In addition, the corrected location data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30 and stored in the first memory 142 and/or the first database 143 . Then, the corrected location data is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server 13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46 and the network 120 .

이 때, 상기 위치정보 처리부(420)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수신된 위치 데이터 정보를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한 데이터들에 대한 평균값 및 오차율을 계산한 뒤, 에러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배제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개선된 다각측량 기법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보정된 위치 데이터 값을 산출하게 된다. 즉, 상기 위치정보 처리부(420)는 상기 훈련대원이 착용한 위치 추적 단말기(110_1)로부터 전송된 훈련대원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훈련대원의 이동 위치 및 추적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20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After filtering the received location data information,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and an error rate for the filtered data,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error The corrected position data value is finally calculated by applying an exclusion algorithm and an improved traverse survey technique. That is, the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20 analyz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tracking terminal 110_1 worn by the training member to generate movement location and tracking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

심박측정 정보 처리부(430)는, 앞서 도 1를 통해 설명한 훈련정보 제공부(110)에 포함된 심박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밴드(110_3)로부터 전송된 훈련대원의 심박측정 정보를 분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The heart rate measureme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30 performs an operation of analyzing heart rate measurement information of a training member transmitted from a smart band 110_3 having a heart rate sensor included in the train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11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 do.

즉, 상기 심박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밴드(110_3)는 훈련 상황의 훈련대원들의 심박 정보를 측정하는 심박 센서의 출력 정보를 네트워크(120)를 통해 상기 훈련정보 측정 장치(140)에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That is, the smart band 110_3 equipped with the heart rate sensor transmits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heart rate sensor for measuring the heart rate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s in the training situation to the training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140 through the network 120. carry out

일 예로, 상기 심박측정 정보 처리부(430)는 PPG Evaluation KIT를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상기 전송된 심박 센서를 출력정보를 통해 심박 및 산소포화도, 심박 펄스 등을 추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heart rate measureme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30 may analyze the PPG Evaluation KIT and extract heart rate, oxygen saturation, heart rate pulse, etc. through output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d heart rate sensor by using the PPG Evaluation KIT.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모니터링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2 프로세서 내부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FIG.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monitoring server shown in FIG. 1 , and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econd processor shown in FIG. 6 .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모니터링 서버(130)는 제2 메모리(132), 제2 데이터베이스(133) 제2 프로세서(134), 제2 통신모듈(136) 및 제2 입출력 인터페이스(138)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 the monitoring server 130 includes a second memory 132, a second database 133, a second processor 134,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36, and a second input/output interface 138. do.

제2 메모리(132)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 ROM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메모리(132)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제2 메모리(132)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제2 통신모듈(136)을 통해 제2 메모리(132)에 로딩될 수도 있다. The second memory 132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ay include a non-perishable mass storage device such as RAM, ROM, and a disk drive. Also, an operating system and at least one program code may be stored in the second memory 132 . Thes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fro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eparate from the second memory 132 using a drive mechanism. Recording media readable by such a separate computer may include recording media such as a floppy drive, a disk, a tape, a DVD/CD-ROM drive, and a memory card. Also, th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the second memory 132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36 .

제2 데이터베이스(13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훈련정보 측정 장치(140)로부터 전송되는 훈련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이를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다. The second database 133 may receive, in real time, the train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raining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tore and maintain it.

제2 프로세서(134)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제2 메모리(132) 또는 제2 통신모듈(136)에 의해 제2 프로세서(134)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프로세서(134)는 제2 메모리(132)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프로세서(134)는 소프트웨어적으로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 에 의해 구현되어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processor 134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commands of a computer program by performing basic arithmetic, logic, and input/output operations. Instructions may be provided to the second processor 134 by the second memory 132 or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36 . For example, the second processor 134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received instructions according to program codes stored in a recording device such as the second memory 132 . That is, the second processor 134 may include a program module implemented by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etc.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in terms of software.

또한, 상기 모니터링 서버(130)는 디스플레이 모듈(139)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39)를 통해 훈련대원들에 대한 실시간 훈련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monitoring server 130 further includes a display module 139, and through the display module 139,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real-time training situation for training members.

도 7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서버(130)의 제2 프로세서(134)는 훈련정보 수신부(610), 훈련정보 처리부(620) 및 훈련정보 표시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로세서(134)는 모니터링 서버(130)의 제2 데이터베이스(133)와 연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second processor 134 of the monitoring server 130 may include a train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610 , a train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620 and a training information display unit 630 . In addition, the second processor 134 may work with the second database 133 of the monitoring server 130 .

여기서, 상기 제2 프로세서(134)는 제2 메모리(132)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제2 프로세서(134) 내의 구성요소들 즉, 훈련정보 수신부(610), 훈련정보 처리부(620) 및 훈련정보 표시부(630)는 모니터링 서버(13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의해 제2 프로세서(134)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을 구분하여 표현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Here, the second processor 134 may be implemented to execute instructions according to the operating system code and at least one program code included in the second memory 132 . At this time, the components in the second processor 134, that is, the train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610, the train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620, and the training information display unit 630, control commands provided by the program code stored in the monitoring server 130. It may be understood that different functions performed by the second processor 134 are distinguished and expressed by .

훈련정보 수신부(610)는 앞서 도 4 및 도 5를 통해 설명한 훈련정보 측정 장치(140)에서 분석하여 생성한 훈련대원들의 실시간 훈련정보들 즉, 각 훈련대원들의 공기소모량 정보, 위치 정보 및 심박 측정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The train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610 measures the real-time training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s generated by analyzing the training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14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that is, air consump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heart rate of each training member. It performs an operation to receive information in real time.

또한, 훈련정보 처리부(620) 상기 훈련정보 수신부(610)에서 훈련대원들의 실시간 훈련정보들 즉, 각 훈련대원들의 공기소모량 정보, 위치 정보 및 심박 측정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train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620 performs an operation of processing real-time training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s, that is, air consump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heart rate measurement information of each training member in the train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610 to be monitored in real time. carry out

일 예로, 상기 훈련정보 처리부(620)는 공기소모량 정보, 위치 정보 및 심박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각 훈련대원들의 공기 소모량, 실시간 위치, 심박 정도를 계산하고, 훈련장의 실내도면 기반에서 훈련대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함과 함께 위치를 추적 및 궤적 경로를 표시할 수 있도록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rain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620 calculates air consumption, real-time location, and heart rate of each training member using air consump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heart rat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calculates the state of the training member based on the indoor drawing of the training ground. In addition to checking in real time, data processing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location can be tracked and the trajectory path can be displayed.

훈련정보 표시부(630)는 상기 훈련정보 처리부(620)에 의해 구동되는 훈련대원 훈련정보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생성된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39)로 출력하여 이를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The training information display unit 630 outputs the GUI generated based on the training member training information monitoring program driven by the train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620 to the display module 139 and displays it.

상기 훈련정보 수신부(610), 훈련정보 처리부(620) 및 훈련정보 표시부(630)를 포함하는 제2 프로세서(134)의 동작에 의해 실행되는 GUI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The display screen of the GUI execute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processor 134 including the train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610, the train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620, and the training information display unit 6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훈련상황 모니터링 표시 화면의 예시도이다.8A and 8B are exemplary views of a training situation monitoring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8a는 20m*20m 장방형의 실내 훈련장에서 훈련대원들의 위치 및 이동궤적을 나타내는 제1 GUI(Graphic User Interface)(710)에 의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는 상기 훈련대원들의 실시간 훈련정보들 즉, 각 훈련대원들의 공기소모량 정보, 위치 정보 및 심박 측정 정보들 중 상기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생성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훈련중인 훈련대원들의 위치 및 이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First, FIG. 8A shows an example of a display screen implemented by a first GUI (Graphic User Interface) 710 showing the location and movement trajectory of the training members in a 20m x 20m rectangular indoor training ground, which is It is generat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mong the real-time training information, that is, the air consump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heart rate measurement information of each training member, and through this, the location and movement situation of the training member can be monitored in real time.

또한, 도 8b는 현재 훈련에 참여중인 각 훈련대원들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제2 GUI(720)에 의하여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는 상기 훈련대원들의 실시간 훈련정보들 즉, 각 훈련대원들의 공기소모량 정보, 위치 정보 및 심박 측정 정보들 중 상기 각 훈련대원들의 공기소모량 정보 및 심박 측정 정보들 토대로 생성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훈련중인 훈련대원들의 심박, 공기 소모량, 실내 온도, 모듈의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In addition, FIG. 8B shows an example of a display screen implemented by the second GUI 720 showing status information of each training member currently participating in training, which shows real-time training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 that is, each training Among the members' air consump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heart rate measurement information, it is generated based on the air consumption information and heart rate measurement information of each training member, through which the heart rate, air consumption, room temperature, and module status of the training members are being trained. Information can be monitored in real tim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will be said that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all modifications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se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10 : 훈련정보 제공부 120 : 네트워크
130 : 모니터링 서버 140 : 훈련 정보 측정 장치
410 : 공기소모량 정보 처리부 420 : 위치정보 처리부
430 : 심박측정 정보 처리부 610 : 훈련정보 수신부
620 : 훈련정보 처리부 630 : 훈련정보 표시부
710 : 제1GUI(Graphic User Interface)
720 : 제2GUI(Graphic User Interface)
110: train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0: network
130: monitoring server 140: training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410: air consump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20: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30: heart rate measureme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610: train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620: train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630: training information display unit
710: 1st GUI (Graphic User Interface)
720: 2nd GUI (Graphic User Interface)

Claims (12)

소방훈련에 참여하는 훈련대원들이 착용한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부터 전송된 훈련정보들을 수신하는 제1 통신모듈;
상기 수신된 훈련정보들에 기반하여 상기 훈련대원들이 착용한 산소통의 공기소모량 정보, 훈련대원들의 위치 정보, 및 훈련대원들의 심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하는 제1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프로세서와 연동하여 상기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된 정보들이 저장되는 제1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실시간 훈련정보 측정 장치.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train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device worn by training members participating in fire training;
A first processor that measures and analyzes at least one of air consumption information of oxygen cylinders worn by the training member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s, and heart rate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s in real time based on the received training information; and
A real-time training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comprising a first database in which the information measured and analyzed in real time is stored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process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훈련대원이 착용한 개인 안전장비로부터 전송된 상기 산소통의 잔량 압력 게이지 정보인 상기 산소통의 산소 잔량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상기 산소통의 공기소모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공기소모량 정보 처리부;
상기 훈련대원이 착용한 위치 추적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훈련대원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훈련대원의 이동 위치 및 추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위치정보 처리부; 및
상기 훈련대원이 착용한 심박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밴드로부터 전송된 훈련대원의 심박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훈련대원의 심박, 산소포화도, 및 심박 펄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심박측정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실시간 훈련정보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rocessor,
An air consumption information processor configured to measure the air consumption of the oxygen cylinder in real time by receiving and analyzing the remaining amount of oxygen information of the oxygen cylinder, which is the pressure gauge information of the remaining amount of the oxygen cylinder, transmitted from the personal safety equipment worn by the training member;
a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analyz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tracking terminal worn by the training member and generates moving location and tracking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 in real time; and
A real-time heart rate measureme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analyzes the heart rate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 transmitted from the smart band equipped with a heart rate sensor worn by the training member and measures the heart rate, oxygen saturation, and heart rate pulse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 in real time Training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소모량 정보 처리부는, 상기 훈련대원의 개인 안전장비에 포함된 산소통의 압력게이지부 및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공기소모량 전송 모듈을 통해 전송된 산소통의 산소 잔량 정보를 수신하는 실시간 훈련정보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air consump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receives the oxygen residual amount information of the oxygen cylinder transmitted through the pressure gauge unit of the oxygen cylinder included in the personal safety equipment of the training member and the air consumption transmission module operating in conjunction therewith Real-time training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소모량 정보 처리부는, 상기 압력게이지부에 의해 측정되는 산소통의 잔량 압력 게이지 정보를 내용적으로 환산하여 산소통의 압력 bar에 따라 훈련대원이 소비한 공기 소모량을 L/min으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실시간 훈련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air consumption amou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pplies an algorithm that converts the remaining pressure gauge information of the oxygen cylinder measured by the pressure gauge unit into content and converts the air consumption consumed by the training member into L/min according to the pressure bar of the oxygen cylinder. real-time training measurement devi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 단말기는 상기 훈련대원이 직접 착용하는 PDR 센서 및 상기 PDR 센서를 착용한 사용자의 거리 측정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개식 AP(DAP)를 포함하는 실시간 훈련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location tracking terminal includes a PDR sensor directly worn by the training member and at least one deployable AP (DAP) that provides a signal for distance measurement of a user wearing the PDR sensor.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위치 데이터 정보를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한 데이터들에 대한 평균값 및 오차율을 계산한 뒤, 에러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배제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개선된 다각측량 기법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보정된 위치 데이터 값을 산출하는 실시간 훈련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ilters the received location data information, calculates an average value and an error rate for the filtered data, applies an algorithm to exclude data corresponding to an error, and applies an improved traverse survey technique. A real-time training measurement device that finally calculates the corrected position data value.
소방훈련에 참여하는 훈련대원들 각각이 착용하여 상기 훈련대원들의 훈련정보를 검출하여 제공하는 훈련정보 제공부;
상기 수신된 훈련정보들에 기반하여 상기 훈련대원들이 착용한 산소통의 공기소모량 정보, 훈련대원들의 위치 정보, 및 훈련대원들의 심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하는 훈련정보 측정 장치; 및
상기 훈련정보 측정 장치에서 측정 및 분석된 상기 산소통의 공기소모량 정보, 훈련대원들의 위치 정보, 및 훈련대원들의 심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도록 처리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는 훈련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A train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worn by each of the training members participating in the fire drill to detect and provide training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s;
A training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that measures and analyzes at least one of air consumption information of oxygen cylinders worn by the training member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s, and heart rate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s in real time based on the received training information; and
A training situation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 monitoring server that processes at least one of the air consumption information of the oxygen cylinder measured and analyzed by the training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s, and heart rate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s to monitor in real time.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정보 제공부는,
상기 훈련대원이 직접 착용하는 PDR 센서 및 상기 PDR 센서를 착용한 사용자의 거리 측정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개식 AP(DAP)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 단말기;
상기 훈련대원이 착용하는 안전장비로서, 산소통, 상기 산소통의 잔여 압력 게이지 정보를 제고하는 압력게이지부 및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공기소모량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개인 안전장비;
상기 훈련대원이 직접 착용하는 심박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밴드를 포함하는 훈련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train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A location tracking terminal including a PDR sensor worn by the training member and at least one deployable AP (DAP) providing a signal for measuring a distance of a user wearing the PDR sensor;
As safety equipment worn by the training team members, personal safety equipment including an oxygen cylinder, a pressure gauge unit for providing remaining pressure gauge information of the oxygen cylinder, and an air consumption transmission module operating in conjunction therewith;
A training situation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 smart band equipped with a heart rate sensor worn by the training member directly.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정보 측정 장치는,
상기 훈련대원이 착용한 개인 안전장비로부터 전송된 상기 산소통의 잔량 압력 게이지 정보인 상기 산소통의 산소 잔량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상기 산소통의 공기소모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공기소모량 정보 처리부;
상기 훈련대원이 착용한 위치 추적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훈련대원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훈련대원의 이동 위치 및 추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위치정보 처리부; 및
상기 훈련대원이 착용한 심박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밴드로부터 전송된 훈련대원의 심박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훈련대원의 심박, 산소포화도, 및 심박 펄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심박측정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훈련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training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An air consumption information processor configured to measure the air consumption of the oxygen cylinder in real time by receiving and analyzing the remaining amount of oxygen information of the oxygen cylinder, which is the pressure gauge information of the remaining amount of the oxygen cylinder, transmitted from the personal safety equipment worn by the training member;
a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analyz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tracking terminal worn by the training member and generates moving location and tracking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 in real time; and
Training comprising a heart rate measureme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analyzes the heart rate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 transmitted from a smart band equipped with a heart rate sensor worn by the training member and measures the heart rate, oxygen saturation, and heart rate pulse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 in real time situation monitoring system.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훈련정보 측정 장치에서 분석하여 생성한 훈련대원들의 실시간 훈련정보들인 각 훈련대원들의 공기소모량 정보, 위치 정보 및 심박 측정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훈련정보 수신부;
상기 훈련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각 훈련대원들의 실시간 훈련정보들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훈련정보 처리부; 및
상기 훈련정보 처리부에 의해 구동되는 훈련대원 훈련정보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생성된 GUI를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력하여 이를 표시하는 훈련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는 훈련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monitoring server,
a train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n real time air consump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heart rate measurement information of each training member, which are real-time training information of each training member generated by analyzing the training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a train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the real-time training information of each training member received from the train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so as to be monitored in real time; and
A training situation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 training information display unit that outputs the GUI generated based on the training member training information monitoring program driven by the train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o a display module and displays it.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정보 처리부는 상기 공기소모량 정보, 위치 정보 및 심박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각 훈련대원들의 공기 소모량, 실시간 위치, 심박 정도를 계산하고, 훈련장의 실내도면 기반에서 훈련대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함과 함께 위치를 추적 및 궤적 경로를 표시하는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훈련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0,
The train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calculates the air consumption, real-time location, and heart rate of each training member using the air consump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heart rat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checks the condition of the training member in real time based on the indoor drawing of the training ground. A training situation monitoring system that performs data processing to track position and display trajectory path with.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정보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GUI는,
상기 훈련대원들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생성되어 상기 훈련대원들의 위치 및 이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제1 GUI; 및
상기 훈련대원들의 실시간 공기소모량 정보 및 심박 측정 정보들 토대로 생성되어 상기 훈련대원들의 심박, 공기 소모량, 실내 온도, 모듈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제2 GUI를 포함하는 훈련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0,
The GUI displayed by the training information display unit,
a first GUI that is generated based on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s and monitors the location and movement status of the training members in real time; and
A training situation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 second GUI generated based on the real-time air consumption information and heart rat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training members and monitoring information on the heart rate, air consumption, room temperature, and module status of the training members in real time.
KR1020210169615A 2021-11-30 2021-11-30 Apparatus for mesuring training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monitoring system for training situation using the same KR1026310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615A KR102631099B1 (en) 2021-11-30 2021-11-30 Apparatus for mesuring training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monitoring system for training situation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615A KR102631099B1 (en) 2021-11-30 2021-11-30 Apparatus for mesuring training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monitoring system for training situation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522A true KR20230081522A (en) 2023-06-07
KR102631099B1 KR102631099B1 (en) 2024-01-30

Family

ID=86762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615A KR102631099B1 (en) 2021-11-30 2021-11-30 Apparatus for mesuring training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monitoring system for training situation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099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318A (en) 2004-09-07 2006-03-10 주식회사 디오이 Methode and system of fireman-training simulation
KR20090123041A (en) * 2008-05-27 2009-12-02 강재민 Ubiquitous guard system and service using helmet-type instrument
KR20150134472A (en) * 2014-05-21 2015-12-02 세빈기술주식회사 Monitoring system for a disaster field
KR20180068823A (en) * 2016-12-14 2018-06-22 (주)아센코리아 Integrated navigation system for indoor location tracking using multiple sensors
JP2018147195A (en) * 2017-03-03 2018-09-20 能美防災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210072299A (en) * 2019-12-09 2021-06-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Real fire training center facility for refuge training according to smoke movement, and method for smoke spread experiment using the same
KR102300082B1 (en) * 2020-07-06 2021-09-0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irefighting training program using sensor-based virtual firefighting equipment and realistic firefighting training system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318A (en) 2004-09-07 2006-03-10 주식회사 디오이 Methode and system of fireman-training simulation
KR20090123041A (en) * 2008-05-27 2009-12-02 강재민 Ubiquitous guard system and service using helmet-type instrument
KR20150134472A (en) * 2014-05-21 2015-12-02 세빈기술주식회사 Monitoring system for a disaster field
KR20180068823A (en) * 2016-12-14 2018-06-22 (주)아센코리아 Integrated navigation system for indoor location tracking using multiple sensors
JP2018147195A (en) * 2017-03-03 2018-09-20 能美防災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210072299A (en) * 2019-12-09 2021-06-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Real fire training center facility for refuge training according to smoke movement, and method for smoke spread experiment using the same
KR102300082B1 (en) * 2020-07-06 2021-09-0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irefighting training program using sensor-based virtual firefighting equipment and realistic firefighting training syste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099B1 (en) 202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ltanmohammadlou et al. Real-time locating systems and safety in construction sites: A literature review
CN112291735B (en) Visual chemical engineering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UWB
AU2022204169A1 (en) Wor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compliance system
US8446273B2 (en) Environmental ris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70206534A1 (en) Wor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compliance system
CN106851578B (en) Personnel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in complex unknown indoor environment
Kasebzadeh et al. IMU dataset for motion and device mode classification
CN113724105A (en) Building construction site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thereof
CN102007426A (en) Position-monitoring device for persons
CN203433633U (en) Remote monitoring safety system
CN105938189B (en) Multi-person cooperation type floor positioning method and system
KR100931137B1 (en) Biometric location tracking terminal for fireman, and the method of control thereof
CN108294389A (en) A kind of safety cap
CN107448235A (en) One kind is based on pinpoint mine safety management method
CN207833650U (en) A kind of inside fire alarm system based on personnel positioning
KR102631099B1 (en) Apparatus for mesuring training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monitoring system for training situation using the same
KR20200073825A (en) Wearable Gas Measuring System for Checking Dangerous Condition in The Air
KR102596201B1 (en) Apparatus for mesuring training information and gas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monitoring system for training situation and gas distribution situation using the same
Fang et al. Measuring operator’s situation awareness in smart operation of cranes
Zhang et al. A framework of on-site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using computer vision and real-time location system
US9600698B2 (en) Behavior-based sourc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Shashidhar et al. Smart Helmet-Early Calamity Prediction and Warning System for Coal Miners
CN112155515A (en) Physical stamina aassessment monitoring is with bluetooth short distance transmission system
CN212755619U (en) Vital sign monitoring system based on iBeacons
CN103903397A (en) Personal wireless protective terminal system based on free networ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