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897A -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897A
KR20230080897A KR1020210168441A KR20210168441A KR20230080897A KR 20230080897 A KR20230080897 A KR 20230080897A KR 1020210168441 A KR1020210168441 A KR 1020210168441A KR 20210168441 A KR20210168441 A KR 20210168441A KR 20230080897 A KR20230080897 A KR 20230080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osmetic container
pump structure
bushing
vertic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펌텍코리아 (주) filed Critical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to KR1020210168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0897A/ko
Publication of KR20230080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B05B11/1069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the valve being made of a resiliently deformable material or being urged in a closed position by a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4Springs located outside pump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7Spring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30Dip tub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는 누름버튼의 가압에 의해 스템이 이동되면서 하우징 내에 임시 저장된 화장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싱에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체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탄성체와 고정부싱의 중앙으로 스템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Pump Structure for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체가 고정부싱에 일체로 형성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상기 탄성체가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수직으로 압축 또는 복원되면서 원활하게 작동되는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또는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을 말한다.
상기 화장품을 사용목적에 따라 분류해보면 피부표면의 피지, 노폐물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안화장품과, 피부에 수분과 유분을 적절히 공급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기초화장품과, 아름다운 색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색조화장품과, 모발 또는 두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시에 모발을 보호하고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발화장품 및 향료를 알코올 등에 녹여서 타인에게 향기를 풍기기 위해 사용되는 향수 등으로 분류된다.
상기 화장품들이 개발됨에 따라 화장료를 담을 수 있는 다양한 화장품 용기의 개발도 필요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중에서 로션, 크림, 젤, 샴푸, 린스 등과 같이 액상, 겔상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화장료를 보관하고 사용하는 데에 종래에는 단순히 개폐 기능을 가지고 있는 용기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용기로부터 화장료를 주걱 또는 손가락으로 덜어내어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화장품용기는 토출되는 화장료의 양을 항상 일정하게 조절하지 못하여 화장료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76050호로 화장품용 펌프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의 화장품용 펌프는 펌프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싱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수직이동되는 피스톤받침과, 상기 피스톤받침의 외측에 끼워져 피스톤받침과 함께 수직 이동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받침의 상부에 결합되어 버튼에 의해 눌려지는 스템과, 상기 스템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버튼의 가압에 의해 화장품용 펌프가 펌핑되면서 정량의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화장품용 펌프는 스프링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펌프의 제조 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를 초래하였다. 또한, 펌프가 합성수지재와 금속재의 이종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재활용을 위해 이를 분리하여 폐기해야 하고, 이로 인해 재활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97607호로 펌핑식 용기의 스프링구조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버튼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버튼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함께 움직이는 스템을 감싸며 설치되어 버튼부를 통한 펌핑부재의 반복적인 펌핑이 가능하도록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펌핑식 용기의 스프링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되, 링 형상의 하부지지체 및 상부지지체와, 상기 하부지지체와 상부지지체 사이에 연결형성되어 상기 버튼부의 가압 여부에 따라 탄성 변형되며 상기 펌핑부재의 펌핑작동을 유도하도록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탄성체를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실린더의 상부에 실린더캡을 결합하고, 상기 실린더캡의 외측 또는 상부에 나선형 탄성체를 씌워 고정시킨 다음, 상기 나선형 탄성체의 상부에 펌핑부재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조립해야 하므로, 조립 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원가가 증대되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버튼부의 가압 시 나선형 탄성체가 눌리면서 상기 나선형 탄성체의 양측을 지지하는 상부지지체와 하부지지체가 서로 엇갈리게 회전되고, 이로 인해 상기 상, 하부지지체와 맞닿은 펌핑부재 부분에 마찰이 발생되어 스프링의 작동에 방해됨은 물론,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보다 조립 공정이 간소화되고, 나선형 탄성체와 다른 부품 사이에 마찰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압축 또는 복원되는 화장품 용기 펌프 구조체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6050호(2014. 03. 19. 공고). "수동식 분사펌프"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97607호(2016. 08. 18. 공개) "펌핑식 용기의 스프링구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펌프의 실린더에 결합되는 고정부싱과 탄성을 제공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체가 서로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조립공정이 간소화되어 생산원가가 절감됨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체가 회전되지 않으면서 펌프의 작동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압축 또는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체와 다른 부품 간의 마찰이 방지되면서 보다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펌핑 작동되도록 한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누름버튼의 가압에 의해 스템이 이동되면서 하우징 내에 임시 저장된 화장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싱에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체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탄성체와 고정부싱의 중앙으로 스템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싱과 스템에는 각각 제1, 2수직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적어도 일부분이 고정부싱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펌프의 작동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압축 또는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싱의 제1수직가이드부는 고정부싱의 내주연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펌프의 작동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템의 제2수직가이드부는 스템의 외주연에 펌프의 작동방향으로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수직가이드부가 제1수직가이드부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싱의 제1수직가이드부 사이의 공간은 제2수직가이드부의 이동통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싱의 내주연과 스템의 외주연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되, 상기 고정부싱의 내주연과 스템의 제2수직가이드부가 서로 접촉되거나, 상기 스템의 외주연과 고정부싱의 제1수직가이드부가 서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싱과 탄성체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한 번에 하우징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고정부싱의 상면으로부터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곡선 형상으로 연장된 적어도 둘 이상의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단부에 링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체의 탄성부는 고정부싱과 지지부를 일체로 연결하되, 적어도 둘 이상의 곡선구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펌프의 실린더 내부를 밀폐하는 고정부싱과 탄성을 제공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체가 서로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조립공정이 간소화되어 생산원가가 절감됨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체가 회전되지 않으면서 펌프의 작동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압축 또는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체와 다른 부품 간의 마찰이 방지되면서 보다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펌핑 작동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 구조체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 구조체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 구조체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 구조체가 가압되는 모습을 예시한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 구조체가 가압되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 구조체의 가압이 해제되는 모습을 예시한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은 펌프 구조체의 가압이 해제되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 구조체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 구조체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 구조체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10)는 용기본체(20)에 설치되어 누름버튼(30)의 가압에 의해 펌핑되면서 상기 용기본체(20) 내부에 저장된 화장료를 외부로 토출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의 도면에서는 용기본체(20)가 내부 공간을 갖는 원통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의 편의성 또는 구매자의 기호 또는 유행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2에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20)는 내부에 액상 또는 겔상의 화장료가 수용된다. 상기 용기본체(20)의 상부에는 입구부(22)가 형성되는데, 상기 입구부(22)를 관통하여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1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20)의 상부에는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10)의 외측을 감싸는 펌프캡(40)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펌프캡(40)은 양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 용기본체(20)에 설치되는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10)를 외측으로 감싸면서 보호하고, 고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누름버튼(30)은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10)의 상부에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10)를 가압하면서 작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버튼(30)의 일측에는 화장료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구(32)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32)의 안쪽에는 화장료를 토출구(32)로 이동시키는 토출유로(34)가 형성되어 상기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10)와 연결된다.
상기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10)는 적어도 일부분이 용기본체(20)의 입구부(22)와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본체(20)에 수용된 액상 또는 겔상의 화장료를 펌핑하여 외부로 토출시킨다.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10)는 일측에 화장료흡입구(11a)가 형성된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화장료흡입구(11a)로부터 연장되어 용기본체(2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흡입관(12)과, 상기 하우징(11)의 화장료흡입구(11a)를 개폐하는 흡입밸브(13)와, 상기 하우징(11)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싱(14)과, 상기 하우징(11) 내측에 형성되어 직선으로 왕복 이동되는 피스톤받침(15)과, 상기 피스톤받침(15)의 외측에 끼워져 하우징(11)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피스톤링(16)과, 상기 피스톤받침(15)에 결합되는 스템(17) 및 상기 스템(17)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체(18)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은 펌프캡(40)의 중앙을 관통하여 용기본체(20)의 입구부(22)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11)의 화장료흡입구(11a)는 용기본체(20)의 내측을 향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과 용기본체(20) 사이에는 용기본체(20) 내의 밀폐력 유지를 위해 밀폐링(19)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밸브(13)는 용기본체(20)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를 하우징(11)으로 유입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고정부싱(14)은 하우징(11)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1) 내부를 밀폐하는 동시에, 스템(17)의 외주연을 감싸 상기 스템(17)이 흔들리지 않고 직선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 피스톤받침(15)은 하우징(11)의 내측에서 펌핑 작동 방향을 따라 직선이동되며, 상기 피스톤링(16)은 피스톤받침(15)의 외측에 끼워져 상기 피스톤받침(15)과 일정한 시간차를 두고 함께 상, 하 이동되고, 상기 스템(17)은 누름버튼(30)과 피스톤받침(15)을 연결하여 누름버튼(30)의 직선 운동을 피스톤받침(15)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탄성체(18)는 중공(中空)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써, 스템(17)을 탄력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18)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며, 종래 화장품용 펌프의 금속스프링을 대신하여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10)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체(18)는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에폭시(epoxy) 수지, 아미노(amino) 수지, 페놀(phenol)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수지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아크릴수지(Acrylic),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테프론(Teflon), 나일론(Nylon), 폴리아세탈(polyacetal) 수지, TPE(Thermo Plastic Elastomer), 폴리케톤(Polyketone)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폴리케톤(Polyketone)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탄성체(18)는 상술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일정한 탄성을 갖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10)의 주요 핵심 구성을 이루는 고정부싱(14)과 스템(17) 및 탄성체(18)의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10)는 상기 하우징(11)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싱(14)에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체(18)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탄성체(18)와 고정부싱(14)의 중앙으로 스템(17)을 끼워지되, 상기 고정부싱(14)과 스템(17)에는 각각 제1, 2수직가이드부(14c, 17c)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18)의 적어도 일부분이 고정된 상태로 회전되지 않으면서 펌프의 작동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압축 또는 복원된다.
상기 탄성체(18)는 스템(17)의 외주연을 감싸면서 결합되고, 고정부싱(14)의 상면으로부터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곡선 형상으로 연장된 적어도 둘 이상의 탄성부(18a)와, 상기 탄성부(18a)의 단부에 링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18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18a)는 부드럽게 휘어진 곡선 형상으로써, 적어도 둘 이상의 곡선구간(18c)을 가지며,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싱(14)과 지지부(18b)를 일체로 연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곡선구간(18c)은 외력에 의해 접혔다가, 자체 탄성에 의해 다시 원래의 형태로 펴지게 되는 것을 반복하면서 상기 스템(17)에 탄성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8b)는 스템(17)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돌륜(17b)를 지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18a)는 고정부싱(14)과 일체로 연결되어 누름버튼(30)의 가압 시 그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종래에는 실린더의 상부에 실린더캡을 결합한 후, 상기 실린더캡의 외측 또는 상부에 탄성체를 씌워 고정시키고, 이와 같이 탄성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의 상부에 펌핑부재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조립해야 하므로, 그 조립 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10)는 펌프의 실린더(11)에 결합되는 고정부싱(14)과 스템(17)에 탄성을 제공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체(18)를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펌프 구조체(10)의 조립 공정이 간소화되어 생산원가가 절감됨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싱(14)과 탄성체(18)는 동시에 사출 성형된 하나의 부품으로써, 한 번에 하우징(11)과 결합하게 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싱(14)은 하우징(11)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며, 하부로 연장 형성된 내측하부연장돌륜(14a)과 상기 내측하부연장돌륜(14b)의 바깥쪽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부로 연장 형성된 외측하부연장돌륜(14b)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하부연장돌륜(14a)과 외측하부연장돌륜(14b)의 사이로 하우징(11)의 상단이 끼워져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싱(14)의 내측하부연장돌륜(14a) 내주연에는 다수의 제1수직가이드부(14c)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펌프의 작동방향 즉, 고정부싱(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템(17)은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으로써, 일측이 누름버튼(30)의 누름면 반대편에 결합되고, 타측에 피스톤받침(15)이 끼워지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고정부싱(14)의 중앙으로 삽입된다. 상기 스템(17)은 누름버튼(30)의 누름 작동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스템(17)에 결합된 피스톤받침(15)을 하우징(11) 내부로 직선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스템(17)의 상부 외주연에는 지지돌륜(17b)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18)의 지지부(18b)는 상단에 안착된다.
상기 스템(17)의 외주연에는 제2수직가이드부(17c)가 펌프의 작동방향으로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싱(14)의 제1수직가이드부(14c)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상기 제2수직가이드부(17c)가 스템(17)의 외주연에 두 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수직가이드부(17c)의 개수는 스템(17)의 안정적인 직선 이동 및 원활한 작동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싱(14)의 제1수직가이드부(14c) 사이의 공간은 제2수직가이드부(17c)의 이동통로가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싱(14)의 내주연과 스템(17)의 외주연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되, 상기 고정부싱(14)의 내주연과 스템(17)의 제2수직가이드부(17c)가 서로 접촉되거나, 상기 스템(17)의 외주연과 고정부싱(14)의 제1수직가이드부(14c)가 서로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고정부싱(14)과 스템(17) 간의 접촉 면적을 줄여 상기 스템(17)이 고정부싱(14) 내에서 이동될 때 마찰이 덜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펌프 구조체(10)가 보다 부드럽게 작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부싱(14)과 스템(17)에 제1, 2수직가이드부(14c, 17c)가 형성되지 않아 서로 완전히 면 접촉될 경우 상기 고정부싱(14)과 스템(17) 사이의 넓은 접촉 면적에 의해 마찰이 커지면서 펌프 구조체(10)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고정부싱(14)과 스템(17)이 서로 일정 간격 떨어질 경우 상기 고정부싱(14)과 스템(17) 사이의 간격에 의해 스템(17)이 좌, 우로 흔들리면서 펌프 구조체(10)가 불안정하게 작동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10)는 고정부싱(14)의 제1수직가이드부(14c)가 스템(17)의 외측을 감싸면서 상기 스템(17)이 흔들리지 않게 지지하는 동시에, 스템(17)과의 접촉 면적을 줄이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템(17)이 고정부싱(14) 내에서 안정적이면서 원활하게 작동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부싱(14)과 탄성체(18)가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부싱(14)과 스템(17)에 각각 형성된 제1, 2수직가이드부(14c, 17c) 구성에 따라, 상기 탄성체(18)의 회전 방지 및 펌프 구조체(10)의 안정적인 작동을 가져오게 된다.
즉, 종래에는 버튼의 가압 시 나선형 탄성체가 눌리면서 상기 나선형 탄성체의 양측을 지지하는 상부지지체와 하부지지체가 서로 엇갈리게 회전되고, 이로 인해 상기 상, 하부지지체와 맞닿은 펌핑부재 부분에 마찰이 발생되어 스프링의 작동에 방해됨은 물론, 나선형 탄성체가 마모되고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10)는 누름버튼(30)의 가압에 의해 스템(17)이 눌려질 때, 상기 스템(17)의 외주연에 형성된 제2수직가이드부(17c)가 고정부싱(14)의 내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제1수직가이드부(14c)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템(17)의 제2수직가이드부(17c)가 고정부싱(14)의 제1수직가이드부(14c) 사이 공간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하게 됨은 물론, 위와 같은 스템(17)과 고정부싱(14)의 회전 방지 구조에 의해 상기 고정부싱(14)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체(18)가 제자리 회전되지 않으면서 펌프의 작동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압축 또는 복원되고, 이에 따라 상기 탄성체(18)와 다른 부품 간의 마찰 및 작동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으로써,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 구조체가 가압되는 모습을 예시한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 구조체가 가압되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 구조체의 가압이 해제되는 모습을 예시한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은 펌프 구조체의 가압이 해제되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10)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버튼(30)을 눌러 상기 누름버튼(30)과 결합된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10)의 스템(17) 및 상기 스템(17)과 결합된 피스톤받침(15)을 동시에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10)의 스템(17)과 피스톤받침(15)이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스템(17)을 탄력지지하고 있는 탄성체(18)가 스템(17)의 외측에서 압축된다. 이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싱(14)과 탄성체(18)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고, 상기 스템(17)의 외주연에 형성된 제2수직가이드부(17c)가 고정부싱(14)의 내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제1수직가이드부(14c)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움직이게 됨에 따라, 상기 스템(17)이 고정부싱(14)의 중앙에서 안정적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위와 같은 고정부싱(14)과 스템(17)의 회전 방지 구조에 의해 상기 고정부싱(14)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체(18)가 제자리 회전되지 않으면서 펌프의 작동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압축 또는 복원된다.
한편,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10)의 피스톤링(16)은 하우징(11) 내측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피스톤받침(15)만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피스톤받침(15)과 피스톤링(16)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어 피스톤받침(15)의 이동통로(15a)가 개방된다.
이후, 계속 누름버튼(30)을 누르면 상기 누름버튼(30)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던 스템(17)의 하단이 피스톤링(16)을 눌러 상기 피스톤링(16)이 피스톤받침(15)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하우징(11) 내부의 체적이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11) 내의 토출 압력에 의해 흡입밸브(13)가 화장료흡입구(11a)를 폐쇄시키는 동시에, 하우징(11) 내에 수용되어 있던 화장료가 피스톤받침(15)의 개방된 이동통로(15a)와 누름버튼(30)의 토출유로(34)를 지나 토출구(32)로 배출된다.
이후, 도 6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누름버튼(30)의 가압을 해제하면 화장품 용기용 펌프(10)의 스템(17)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체(18)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그 반발력에 의해 상기 스템(17)과 피스톤받침(15)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받침(15)의 걸림턱(15b)이 피스톤링(16)을 위로 끌어올려 피스톤받침(15)과 피스톤링(16) 사이의 틈새가 막히고, 이동통로(15a)가 폐쇄된 상태로 상기 피스톤받침(15)과 피스톤링(16)이 함께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하우징(11) 내부의 체적이 커져 진공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발생된 진공압에 의해 흡입밸브(13)가 들리면서 하우징(11)의 바닥면에 형성된 화장료흡입구(11a)가 개방되어 흡입관(12)을 통해 용기본체(20)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화장료가 화장료흡입구(11a)를 거쳐 하우징(11) 내부로 유입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 11: 하우징
12: 흡입관 13: 흡입밸브
14: 고정부싱 14c: 제1수직가이드부
15: 피스톤받침 16: 피스톤링
17: 스템 17c: 제2수직가이드부
18: 탄성체 19: 밀폐링
20: 용기본체 30: 누름버튼
32: 토출구 40: 펌프캡

Claims (9)

  1. 누름버튼의 가압에 의해 스템이 이동되면서 하우징 내에 임시 저장된 화장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싱에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체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탄성체와 고정부싱의 중앙으로 스템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싱과 스템에는 각각 제1, 2수직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적어도 일부분이 고정부싱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펌프의 작동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압축 또는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싱의 제1수직가이드부는 고정부싱의 내주연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펌프의 작동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템의 제2수직가이드부는 스템의 외주연에 펌프의 작동방향으로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수직가이드부가 제1수직가이드부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싱의 제1수직가이드부 사이의 공간은 제2수직가이드부의 이동통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싱의 내주연과 스템의 외주연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되, 상기 고정부싱의 내주연과 스템의 제2수직가이드부가 서로 접촉되거나, 상기 스템의 외주연과 고정부싱의 제1수직가이드부가 서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싱과 탄성체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한 번에 하우징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고정부싱의 상면으로부터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곡선 형상으로 연장된 적어도 둘 이상의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단부에 링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탄성부는 고정부싱과 지지부를 일체로 연결하되, 적어도 둘 이상의 곡선구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
KR1020210168441A 2021-11-30 2021-11-30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 KR20230080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441A KR20230080897A (ko) 2021-11-30 2021-11-30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441A KR20230080897A (ko) 2021-11-30 2021-11-30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897A true KR20230080897A (ko) 2023-06-07

Family

ID=86761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441A KR20230080897A (ko) 2021-11-30 2021-11-30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089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050B1 (ko) 2008-01-14 2014-03-19 주식회사 종우실업 수동식 분사펌프
KR20160097607A (ko) 2015-02-09 2016-08-18 (주)연우 펌핑식 용기의 스프링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050B1 (ko) 2008-01-14 2014-03-19 주식회사 종우실업 수동식 분사펌프
KR20160097607A (ko) 2015-02-09 2016-08-18 (주)연우 펌핑식 용기의 스프링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5228B1 (en) Two-liquid mixing container provided with pressing pocket
US8517225B2 (en) Rotary actuated lotion pump
KR20210047557A (ko) 합성수지제 스프링을 갖는 펌프 구조
US20200376509A1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push button blocked from being pushed within regulation angle
EP3711626A1 (en) Cosmetic container provided with pump including part made of polyketone material
KR20230080897A (ko)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
KR20210097351A (ko)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
KR102534074B1 (ko) 합성수지 탄성체를 갖는 펌프 구조체
KR102354313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WO2021246681A1 (ko)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
US11344099B2 (en) Dropper type cosmetic container
WO2009054612A1 (en) Dispenser receptacle
KR20210056637A (ko)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20230162307A (ko)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
KR200380074Y1 (ko) 배출노즐이 구비된 프라스틱형 용기
KR102636712B1 (ko) 노즐 차단 구조를 갖는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KR102527875B1 (ko) 화장품용 디스펜서
KR102495236B1 (ko) 화장품 용기
US20230117210A1 (en) Cosmetic case having refill structure
EP4357268A1 (en) Container for discharging liquid contents
KR20210006762A (ko) 심미감이 증대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CN215902011U (zh) 泵式容器
KR102456614B1 (ko) 버튼의 승강 구조를 갖는 이중 화장품용기
KR20230106888A (ko) 이중탄성체를 갖는 펌프 구조체
KR102549913B1 (ko) 튜브형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