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845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845A
KR20230080845A KR1020210168356A KR20210168356A KR20230080845A KR 20230080845 A KR20230080845 A KR 20230080845A KR 1020210168356 A KR1020210168356 A KR 1020210168356A KR 20210168356 A KR20210168356 A KR 20210168356A KR 20230080845 A KR20230080845 A KR 20230080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le
power transmission
hang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욱
서범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8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0845A/ko
Priority to PCT/KR2022/019188 priority patent/WO2023101408A1/ko
Publication of KR20230080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8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9/00Washing machines using vibrations for washing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에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를 흔드는 동력전달부 또는 구동부가 관통하더라도 상기 이너케이스를 실링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거치된 의류에 물리력을 가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가정 및 세탁소에서 의류를 세탁하고 건조하며, 의류에 생긴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개발된 장치를 말한다. 의류처리장치로 분류되는 것에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 세탁기능과 건조기능을 모두 갖는 세탁/건조기, 그리고, 의류를 리프레쉬(refresh)하는 의류관리기,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근자에는 의류를 물에 담궈 세제로 세탁하지 않아도, 의류를 쾌적하고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털어내고, 냄새를 탈취하고, 의류를 건조시키며, 의류에 향기를 더할 수 있다. 또한,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하고 제습된 공기 또는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에 생긴 주름을 제거할 수 있고, 의류를 살균소독할 수 있다.
도1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5568호의 종래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며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50)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하는 이너케이스(T)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60)와, 상기 도어(6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50) 내부로 열풍 또는 스팀을 공급하는 공급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공급부(70)에서 열풍 또는 스팀을 공급하여 상기 캐비닛(50) 내부에 옷걸이(94)를 통해 거치된 의류를 리프레쉬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열풍 또는 스팀 만으로는 의류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어려웠고, 열풍 또는 스팀이 의류에 고르게 노출되지 않아 리프레쉬 성능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옷거리(94)를 흔들어 의류를 진동할 수 있는 구동부(90)를 더 포함하였다.
상기 구동부(90)는 캐비닛에 고정되어 지지되는 프레임(92)과, 상기 프레임(92)에 안착되어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모터(95)와,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전달부(97)와, 상기 전달부로 인해 전달된 회전동력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전환부(977)와, 상기 전환부(977)로 인해 흔들리는 지지바(919)와, 상기 지지바(919)를 고정하는 프레임(92)에 고정하는 지지리브(93)를 포함하였다.
상기 전달부(97)는 모터의 회전축(971)에 결합되는 벨트(975) 및 풀리(97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환부(977)는 회전운동을 왕복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캠 댕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었다.
상기 지지바(919)는 지지대(911)와 옷걸이(94)가 안착되는 지지홈(917)을 포함하였고, 상기 모터(95)가 회전하면 전환부(977)로 인해 캐비닛의 너비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상기 옷걸이(94)도 상기 지지바(919)를 따라 좌우로 진동하며 의류에 묻은 미세먼지를 털어낼 수 있었고, 상기 열풍 또는 스팀이 의류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지지바(919)가 캐비닛의 너비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는 특성상 상기 지지바(919)가 이동방향을 바꾸는 시점에서 관성력을 극복할 때 강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들어, 상기 지지바(919)가 캐비닛의 왼쪽으로 이동하다가 오른쪽으로 이동방향을 바꾸는 시점, 또는 상기 캐비닛의 오른쪽으로 이동하다가 왼쪽으로 이동방향을 바꾸는 시점에 강한 진동이 발생한다.
즉, 상기 지지바(919)는 왼쪽으로 빠르게 이동하다가 오른쪽으로 이동방향을 바꿀 경우에는 속력이 순간적으로 0 이 된 후 다시 오른쪽으로 급가속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919)는 오른쪽으로 빠르게 이동하가가 왼쪽으로 이동방향을 바꿀 경우에는 속력이 순간적으로 0 된후 다시 왼쪽으로 급가속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바(91)가 속력과 방향이 급변하는 과정에서 강한 진동이 발생하고 이러한 진동은 상기 캐비닛(50)까지 전달되어 상기 캐비닛(50)을 흔들어 진동과 소음이 캐비닛(50) 외부로 방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진동은 상기 구동부(90) 자체의 내구성도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의류에도 전달되어 의류가 서로 충돌하거나 강하게 흔들려 의류가 손상되는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등록특허공보 제6355075호와 같은 의류의 운동방향을 급격히 변화시키지 않은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도2는 새로운 구동방식이 적용된 종래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50) 내부에 이너케이스의 너비방향을 따리 연장되는 회전축(95)과, 상기 회전축(95)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플레이트(96)가 구비되었다.
상기 플레이트(96)는 상기 회전축(95)의 축방향과 경사지게 결합되는 경사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96) 내부에 결합된 경사베어링은 회전축(95)을 기준으로 세차운동 하며 회전하되, 상기 플레이트(96)는 상기 회전축(95)과 함께 회전하지는 않고 축방향만 변경되도록 움직일 수 있었다.
상기 플레이트(96)의 축방향은 원뿔형상을 그리듯이 규칙적으로 변경될 수 있고, 운동방향만 바뀔 뿐 운동속도는 크게 달라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96)에 거치된 옷걸이(94)도 운동방향만 바뀔 뿐 운동속력은 균일하거나 크게 달라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옷걸이(94)에 강한 관성력이 발생하지 않아 상기 옷걸이(94)에 강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94)가 상기 플레이트(96)에 거치되는 경우, 상기 옷걸이(94)는 플레이트(96)의 축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흔들릴 수 있었다.
상기 플레이트(96)는 상기 회전축(95)의 연속적인 회전에 의해 축방향이 급격하게 변하는 것이 아니라 균일한 가속도로 변화한다. 이로써, 상기 옷걸이(94)도 균일한 가속도로 움직이면서 흔들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옷걸이(94)는 상기 플레이트(96)의 축방향의 변화에 의해 캐비닛(50)의 측면을 기준으로 연속적으로 비틀어지거나, 상기 플레이트(96)를 기준으로 진자운동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회전축(95)이 의류가 거치되는 공간에 노출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회전축(95)이 열풍 또는 스팀에 노출되어 부식될 가능성이 있었고, 상기 회전축(95)을 사용자가 직접 만질 수 있어 사용자가 과열된 회전축(95)에 화상을 입거나, 움직이는 회전축(95)에 안전사고를 당할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기 회전축(95)에 아이 등이 매달리게 되거나 무거운 의류가 동시에 거치되면, 상기 회전축(95)이 강한 하중에 의해 휘어지게 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지 못하거나, 의류를 흔드는 성능이 급감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이러한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옷걸이(94)는 상기 플레이트(96)에 직접 거치된다. 상기 옷걸이(94)가 별도로 지지되는 부재가 없으므로, 상기 옷걸이(94)는 자체적인 관성력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96)와 일체로는 움직이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1에 도시된 종래 의류처리장치도 옷걸이(94)가 지지바에 거치될 뿐 고정되거나 지지되지는 못하므로, 상기 지지바(911)와 일체로 움직일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도3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에서 옷걸이와 구동부가 일체로 움직이지 못하는 문제점을 도시한 것이다.
도3(a)를 참조하면, 상기 옷걸이(94)는 고리부만 상기 플레이트(96)에 거치될 뿐 별도로 지지되지 않는다.
도3(b)와 도3(b)를 참조하면, 상기 플레이트(96)가 상기 옷걸이(94)를 흔들기 위해 축방향이 변경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옷걸이(94)는 자체적인 관성력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96) 보다 늦게 움직일 수 밖에 없다.
예를들어, 상기 플레이트(96)가 상기 옷걸이(94)를 왼쪽으로 이끄는 경우, 순간적으로 상기 옷걸이(94)는 움직이지 못하므로 상기 플레이트(96)를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치우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옷걸이(94)에 거치된 의류의 하중이 다른 경우, 각각의 옷걸이(94) 전체에 관성력의 차이가 있으므로, 복수의 옷걸이가 다른 방향과 다른 진폭으로 흔들릴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옷걸이(94)가 플레이트(96)를 기준으로 다른 각도만큼 틀어지게 되어 서로 옷걸이(94)가 충돌하거나, 상기 옷걸이(94)에 거치된 의류끼리 충돌하여 의류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상기 옷걸이(94)가 상기 지지바(911)에 거치되어 좌우로 흔들릴때도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옷걸이(94)의 고리부가 단순히 상기 플레이트(96)의 상단에 구비된 홈에 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플레이트(96)의 힘이 상기 옷걸이(94)에 그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옷걸리(94)의 고리부가 상기 플레이트(96)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일정 자유도를 갖고 회전할 수 있도록 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플레이트(96)의 축방향이 전후, 좌우, 상하 방향으로 모두 바뀐다고 하더라도, 상기 옷걸이(94)는 상기 플레이트(96)와 일체로 움직이지 못하고, 자체 하중과 관성력에 따라 좌우방향으로만 흔들리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상기 플레이트(96)가 다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상기 옷걸이(94)가 일방향으로만 움직이게 되어 의류의 전면을 다방향으로 터는 효과를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의류를 수용하는 이너케이스의 너비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이 이너케이스 내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이너케이스의 너비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의류를 동시에 진동시킬 수 있는 회전축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회전축에 결합되어 축방향이 달라지는 동력전달부에 의류 또는 옷걸이가 직접 거치되는 것을 차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동력전달부의 움직임과 대응되는 움직임으로 옷걸이 또는 의류가 움직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의류가 같은 방향으로 진동하거나 움직일 수 있어 의류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의류의 최대진폭을 보장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를 흔들거나 진동시키는 구동부가 운동방향을 급격히 발생시키는 것을 차단하여 진동 및 소음 발생이나, 의류의 손상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너케이스를 실링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실링부는 의류를 거치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를 흔드는 동력전달부 중 어느하나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되, 이너케이스와 상기 거치부 또는 동력전달부 사이에 공간을 밀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이동이나 진동을 허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이너케이스에 직접 안착되거나, 상기 이너케이스에 결합되는 별도의 프레임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너케이스에는 상기 거치부 또는 동력전달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관통홀로 열풍 또는 스팀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가 통과하는 투과홀과, 상기 투과홀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통홀을 밀폐하는 실링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바디는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이너케이스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서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홀과 마주하며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바디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안착되어 상기 통과홀을 밀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은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내주면에 상기 통과홀이 구비되는 지지홀더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바디는 상기 지지홀더에 안착되어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홀더는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함몰되어 구비되어 움직이는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안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바디는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어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하부와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바디는 내주면이 아래로 볼록한 구면 또는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바디는 하부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바디의 너비는 지지하는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하부면 너비 보다 더 넓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은 너비가 깊이보다 더 큰 깔대기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실링바디는 하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안착면에 면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실링바디 또는 상기 투과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통과홀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는 돌출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링의 직경은 상기 통과홀의 직경과 같거나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바디는 상기 통과홀에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실링바디는 상기 통과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주름관 또는 다단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실링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통과홀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통과홀의 내주면에 안착되는 수축부와, 상기 수축부 보다 직경이 더 크게 연장되어 상기 수축부를 상기 통과홀에 고정시키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실링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통과홀에 안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통과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안착되는 확장부와, 상기 획장부 보다 직경이 작게 연장되는 수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를 수용하는 이너케이스의 너비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이 이너케이스 내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이너케이스의 너비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의류를 동시에 진동시킬 수 있는 회전축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회전축에 결합되어 축방향이 달라지는 동력전달부에 의류 또는 옷걸이가 직접 거치되는 것을 차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동력전달부의 움직임과 대응되는 움직임으로 옷걸이 또는 의류가 움직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의류가 같은 방향으로 진동하거나 움직일 수 있어 의류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의류의 최대진폭을 보장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를 흔들거나 진동시키는 구동부가 운동방향을 급격히 발생시키는 것을 차단하여 진동 및 소음 발생이나, 의류의 손상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도1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5568호의 종래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새로운 구동방식이 적용된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에서 옷걸이와 구동부가 일체로 움직이지 못하는 문제점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상기 옷걸이지지부(43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8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동력전달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9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동력전달부의 구동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10과 도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동력전달부로 인해 움직이는 옷걸이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상기 옷걸이(800)가 상기 거치부(400)와 일체로 운동하지 않을 수 있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13는 상기 동력전달부와 거치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4은 도13의 상기 동력전달부와 거치부의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15은 도13의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거치부의 구체적인 구조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6는 상기 동력전달부와 거치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7은 도16의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거치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8는 도16의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거치부의 구체적인 구조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9는 상기 동력전달부 또는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부의 일시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0은 상기 지지홀더(54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1은 상기 지지홀더(540)의 구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22은 상기 지지부(5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3는 도22에 적용된 결합플레이트(413)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4은 상기 결합플레이트(413)가 진자운동을 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25은 상기 지지부(500)가 회전축(210)을 직접 지지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6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실링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27은 상기 실링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8는 상기 제1실링부(701)의 작동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2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실링부(7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30은 상기 제2실링부(702)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를 도시한 것이다.
도4을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11)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의류(L)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1)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200), 상기 이너케이스(200)와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21)에 공급되는 공기(열풍)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기계실(30), 상기 이너케이스(20) 또는 상기 도어(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L)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거치하거나 고정하는 거치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높이가 너비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하의와 같이 길이가 길게 구비되는 의류(L)까지 접혀지지 않고 상기 수용공간(21)에 수용되어 의류(L)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면 강화플레스틱 등 수지 재질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이너케이스(20)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공간(21)을 형성하는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는 의류(L)에서 배출된 이물질이나 공급부에서 공급된 열풍이나 수분에 의해 변형되거나, 화학반응하지 않고 강도가 유지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일례로 ABS, ASA 와 같은 스티렌 수지계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는 일면에 상기 기계실(30)와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기계실(30)에서 열풍이나 수분을 공급받거나, 상기 기계실(30)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너케이스(20)는 상기 기계실(30)과 연통하는 복수의 관통구(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은 상기 캐비닛(10) 내부에서 상기 수용공간(21)과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은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가열된 공기이나 스팀을 상기 수용공간(21)에 공급하기 위해 수용공간(21) 보다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기계실(30)에 의해 수용공간(21)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가열된 공기(heated air, 열풍)이고, 공급부에 의해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수분은 스팀(steam)일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기계실(30)이 수용공간(21)의 하부에 위치되기만 하면 열풍이나 스팀이 별도의 송풍장치 없이도 수용공간(21) 내부에 고르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이너케이스(20)에 연통되는 순환덕트와, 상기 순환덕트 내부에 배치되어 순환덕트를 순환하는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는 히트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는 순환하는 공기의 방향을 기준으로 배치되는 증발기와 응축기, 상기 증발기에서 토출된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에 공급하는 압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하여 냉각하는 팽창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덕트는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와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스팀공급부는 상기 기계실(30)에 장착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거나 진동시켜 스팀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를 통과한 스팀을 순환덕트에 연통하는 스팀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1 또는 도2, 도3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와 동일할 수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도어(11)는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는 상기 이너케이스(20) 뿐만 아니라 상기 기계실(30)의 전방까지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수용공간(21)에 공급된 열풍이나 수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기계실(30)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11)는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전방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이너케이스(20)의 내면들과 상기 도어(11)의 내면은 상기 수용공간(21)의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4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의 내부에서 의류(L)를 수용공간(21)에 거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400)는 의류(L)가 접히지 않고 온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수용공간(21)에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면(22)에 구비되거나,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측면 중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거치부(400)는 의류(L)가 수용공간(21)에 자중에 의해 펼쳐진 상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하여, 기계실(30)에서 공급되는 공기나 수분을 상기 의류(L)에 고르게 노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도어(11)에 결합되어 의류를 압박할 수 있는 압박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박부(40)는 상기 의류(L)를 상기 도어(11)에 거치된 상태에서 압박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압박부(40)는 의류(L)의 구김을 제거하거나, 주름(crease)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거치부(400)를 흔들도록 구비되는 구동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가 상기 거치부(400)를 흔든다는 것은, 상기 구동부(200)가 상기 거치부(400)는 진동시키거나 왕복운동, 진자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상기 거치부(400)가 흔들리면 상기 거치부(400)에 거치된 옷걸이도 흔들려 상기 의류가 움직일 수 있다.
상기 거치부(400)가 흔들리면, 상기 거치부(400)에 거치된 옷걸이(800)도 흔들림에 따라 상기 의류에 먼지를 털어내는 것과 같은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거치부(400)가 흔들림으로 인해, 상기 옷걸이(800)가 흔들리면, 상기 의류가 이너케이스(20) 내부에서 움직임으로써, 상기 수용공간(21)으로 공급되는 열풍 또는 스팀에 더 고르게 노출되어 리프레쉬 성능이 극대화 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10)에 고정될 수 있는 지지부(500)와, 상기 지지부(500)에 안착되는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는 지지부(500)에 안착되는 모터(220)와, 상기 모터(22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210)과, 상기 모터(220)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210)에 전달하는 회전결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축(210)의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전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상기 회전축(210)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직선변환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0)의 하단에는 상기 옷걸이(800)를 거치하는 거치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400)는 상기 지지부(500)의 양측 하부에 결합되어 하단이 좌우로 흔들릴 수 있는 거치플레이트(410)와,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에 지지되는 지지바(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직선변환부(340)에 결합되어 상기 직선변환부(340)에 의해 좌우로 흔들릴 수 있다.
상기 옷걸이(800)는 상기 지지바(440)에 거치되어 상기 지지바(440)에 의해 좌우로 진동하며 흔들릴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부(400)는 상기 옷걸이(800) 본체를 지지하는 옷걸이지지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지지부(430)는 상기 옷걸이(800)의 양면 또는 일면을 면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에 결합되거나 상기 거치플레이트(410) 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지지부(430)는 상기 거치플레이트(410) 또는 지지바(440)와 일체로 움직이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옷걸이지지부(430)는 상기 옷걸이(800)의 적어도 일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옷걸이(800)가 상기 거치부(400)와 일체로 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지지부(430)에 의해 상기 옷걸이(800)는 관성력을 극복하며 상기 거치부(4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800)는 상기 옷걸이지지부(430)에 의해 상기 거치부(400)에서 흔들리는 진폭이나 방향이 일정 수준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옷걸이(800)는 상기 옷걸이지지부(430)에 의해 상기 거치부(400)에서 상대운동 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옷걸이(800)가 복수개로 구비되어도 상기 복수의 옷걸이(800)가 동시에 같은 방향과 같은 진폭으로 움직이게 되어 서로 충돌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옷걸이지지부(430)에 의해 복수의 옷걸이(800)가 일체로 움직이는 것이 유도되어 상기 옷걸이(800)에 거치된 의류들이 충돌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옷걸이지지부(430)에 의해 상기 옷걸이(800)는 거치부(400)에서 임의로 움직이는 것이 제한되어, 구동부(200) 및 거치부(400)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옷걸이지지부(430)가 상기 옷걸이(800)의 일면만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옷걸이(800)의 양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6은 상기 옷걸이지지부(43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거치부(400)는 상기 지지바(440)에 결합되어 상기 옷걸이(8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고정플레이트(4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414)는 상기 지지바(440)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바(440)와 일체로 움직이는 고정바디(4141)와, 상기 고정바디(4141)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바(440)에 거치되는 고정홈(4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4142)는 상기 지지바(440)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440)에 억지끼움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4141)에는 상기 옷걸이(800)의 고리부가 거치되는 걸이부(420)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걸이부(420)를 상기 고정바디(4141)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가 고정될 수 있는 매개바디(441)도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지지부(430)는 상기 고정바디(4141)에 결합되어 상기 옷걸이(800)의 적어도 일면을 면접촉하여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지지부(430)는 상기 거치플레이트(420)에 결합되어 상기 걸이부(420) 보다 더 하부로 연장되는 지지바디(431)와, 상기 지지바디(431)에 결합되어 상기 옷걸이(800)의 일면에 지지될 수 있는 지지부재(4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431)는 금속판으로 구비되어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와의 결합력 및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고, 상기 옷걸이(800)에 하중이 전달되어도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32)는 탄성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옷걸이(800)의 일면에 면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옷걸이(800)와의 접촉력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상기 옷걸이(800)를 이동시키는 힘을 가하면서 상기 옷걸이(8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431)는 상단이 상기 고정플레이트(414)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옷걸이(800)의 본체 일면과 마주할때까지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431)는 상기 고정플레이트(414)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1바디(4311)와, 상기 제1바디(4311)에서 상기 걸이부(420) 보다 하부로 연장되는 제2바디(4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4312)는 상기 걸이부(420) 또는 옷걸이(800)를 향하여 절곡되어 구비되어 상기 옷걸이(800)와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잇다.
상기 제1바디(4311)은 체결부재(450)가 관통할 수 있는 바디홀(4313)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바디홀(4313)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32)는 상기 지지바디(431)에 결합되어 상기 옷걸이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32)는 탄성부재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바디(4312)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32)의 너비는 상기 제2바디(4312)의 너비보다 더 길게 구비되어 상기 옷걸이(800)의 일면을 더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4312)는 상기 지지부재(432)와 결합되는 제2바디홀(43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32)는 상기 제2바디홀(431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돌출부(4322)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지부재(432)는 별도의 체결부재로 인해 상기 제2바디(43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32)는 상기 제2바디(4312)와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제2바디(4312)의 형상에 따라 함몰되어 구비되는 함몰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322)는 상기 함몰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4311)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걸이부(420)와 중첩되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걸이부(420)와 함께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옷걸이(800)는 상기 옷걸이지지부(43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거치부(400)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도7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a)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캐비닛(10)의 외부에 배치된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2)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어 외부에는 캐비닛(10)의 패널이 결합되고, 내부에는 이너케이스(20)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12)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프레임(121)과, 상기 제1프레임(12)에 결합되어 너비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프레임(122)과, 제1프레임(121) 또는 제2프레임(122)에 결합되어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프레임(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121)과 상기 제2프레임(122) 및 제3프레임(123)이 조합되어 직육면체의 뼈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프레임(12)에 결합되어 지지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20)와, 상기 모터(220)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축(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10)은 상기 이너케이스(20)의 너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220)은 프레임(12)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21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210)은 상기 모터(220)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거치부(400)를 흔드는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4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10)은 상기 복수개의 거치부(400)를 전부 지지하면서, 상기 복수의 거치부(400)를 모두 흔들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하나의 모터(220)와 하나의 회전축(210)으로 충분히 복수의 거치부(400)를 모두 흔들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210)은 회전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이너케이스(20) 내부에서 높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의류 또는 옷걸이가 거치되는 거치부(400)를 직접 지지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회전축(210)의 동력을 상기 거치부(400)에 전달하여 상기 거치부(400)를 흔들 수 있는 동력전달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상기 회전축(210)에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400)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상기 회전축(210)과 상기 거치부(400)를 서로 연결하면서, 상기 거치부(400)의 하중을 적어도 일부 상기 회전축(210)에 전달하고, 상기 회전축(210)의 회전동력을 상기 거치부(400)에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부(400)는 상기 동력전달부(300)를 통해 상기 회전축(210)에 지지되므로, 상기 회전축(210)이 상기 이너케이스(20) 내부에 직접 노출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회전축(210)이 이너케이스(20)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210)에 결합된 동력전달부(300)가 상기 이너케이스(20)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거치부(40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210)이 이너케이스(20)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거치부(400)가 상기 회전축(210)에 결합된 동력전달부(300)에 결합되도록 상기 이너케이스(20)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상기 회전축(210)이 상기 이너케이스(20) 외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회전축(210)이 이너케이스(20) 내부에 노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220) 및 상기 회전축(210)은 상기 이너케이스(20)에 직접 지지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이너케이스(20)는 수지계열로 구비되므로, 상기 모터(220)와 상기 회전축(210)를 직접 지지하기에는 강성이나 내구성이 부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모터(220) 및 상기 회전축(210)을 지지하는 지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프레임(12)에 결합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구동부(200)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500)는 제1프레임(121)과 상기 제2프레임(122)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상기 모터(220)은 상기 지지부(500)에 결합되어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케이스(10) 또는 상기 이너케이스(20)에 지지되되 상기 회전축(210) 또는 상기 모터(220)를 지지하는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전축(210) 보다 하부에 배치되면, 상기 회전축(210)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차단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전축(210)을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에서 상기 거치부(400)를 흔드는 동력을 제공하며 이너케이스의 너비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210)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차단되거나 제한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축(210)과 상기 모터 (220)는 상기 이너케이스(20) 내부에 노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축(210)과 상기 모터(220)는 상기 이너케이스(20) 내부에 공급되는 열풍 또는 스팀에 노출되는 것이 차단되어 부식 및 합선 등이 방지될 수 있고, 가열되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축(210)이 사용자에 의해 아래로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회전축(210)에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차단하여 사용자의 신체가 회전축(210)에 의해 부상을 입거나, 과열된 회전축(210)에 화상을 입는 것 등의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200)와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 외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의류 또는 상기 옷걸이가 상기 동력전달부(300) 또는 상기 이너케이스(20)에 거치되거나 접촉되는 것이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부(500)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동력전달부(300)의 일부도 상기 지지부(500)에 지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지지부(500)를 통해 상기 회전축(210)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어 상기 회전축(210)이 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210)의 지속적인 회전이 보장되어 상기 의류를 흔드는 의류처리장치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다.
도7(b)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축(210)과 상기 모터(220)는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10)과 상기 모터(220)는 상기 지지부(50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면(22)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축(210) 또는 상기 모터(220)가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으로 공급되는 열풍 또는 스팀에 노출되는 것이 최소화되거나 방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모터(220)의 합선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210) 또는 상기 모터(210)의 부식이나 가열도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200)가 상기 이너케이스(20)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거치부(4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의 내부에 노출되어 상기 옷걸이(800)가 거치될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이너케이스(20)는 상기 거치부(400)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300)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3)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부(500)에 의해 차폐될 수 있고, 후술하는 실링부(700)에 의해 차폐될 수 도 있다.
도8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동력전달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상기 거치부(400)를 지지하되, 상기 거치부(400)를 흔들 수 있고, (wobble, sway) 그 결과, 상기 거치부(400)를 진자운동 시킬 수 있다.
상기 진자운동은 운동방향이 급격히 달라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운동방향이 바뀌더라도 직선왕복운동과 달리 서서히 바뀌는 운동을 의미한다.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상기 회전축(210)이 관통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210)이 회전할 때 상기 회전축(210)의 동력으로 축이 가변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거치부(400)를 진자운동 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8(a)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상기 회전축(210)에 내주면이 결합되어 회전하지만 외주면은 내주면과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베어링부(310)와, 상기 베어링부(310)에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부(310)와 함께 축방향이 변경될 수 있는 강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베어링부(310)는 상기 회전축(210)과 함께 회전하지만, 상기 강체부(320)는 상기 회전축(210)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거치부(400)는 상기 강체부(320)에 연장되거나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210)과 함께 회전하지 않고 상기 이너케이스(20) 내부에 옷걸이(800)를 거치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강체부(320)는 캠 등의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210)이 회전할 때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강체부(320)는 상기 회전축(210)이 회전할 때, 축방향만 변경되도록 움직이는 일명 워블 플레이트 모션(wobble plate motion)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강체부(320)에 결합된 상기 거치부(400)도 축방향이 변경되도록 움직임으로써 워블플레이트 모션으로 움직일 수도 있고, 진자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강체부(320)가 상기 회전축(210)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으나, 상기 베어링부(310) 자체가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강체부(320)는 상기 베어링부(310)를 수용하며, 상기 베어링부(310)와 일체로 움직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부(310)는 내륜이 상기 회전축(210)에 나란하게 결합되고 외륜이 상기 회전축(210)과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외륜과 대응되는 중심축이 상기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세차운동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기존 베어링 구조를 적용하기 위해, 본 발명 베어링부(310)는 상기 회전축(21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210)과 함께 회전하되 외주면이 회전축과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관(311)과, 상기 경사관(311)을 수용하도록 결합되는 회전베어링(3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베어링(312)은 내륜과 외륜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는 일반적인 베어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강체부(320)는 상기 회전베어링(312)의 외륜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베어링(312) 구조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어 제작비가 절감될 수 있다.
상기 강체부(320)는 직경이 높이 보다 훨씬 큰 원통 또는 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강체부(320)의 직경이 크면 클수록 상기 강체부(320)의 결합된 거치부(400)의 움직임이 더 커지므로 의류의 흔들기 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강체부(320)는 직경이 축방향 두께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도8(b)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관(311)은 상기 회전축(210)을 수용하며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10)의 축방향 또는 연장방향을 기준축방향(B)이라 정의하고, 상기 경사관(311)의 외주면 축방향은 경사축방향(A)이라 정의하면, 상기 경사축방향(A)은 상기 기준축방향(B)과 경사각도(C) 만큼 틀어지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관(311)은 상기 회전축(21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210)과 일체로 회전하지만, 상기 회전축(210)과 경사각도(C) 만큼 틀어져 회전하므로, 상기 경사관(311)은 상기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세차운동(Precessional motion) 하도록 구비된다.
도8(c)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관(311)의 내주면(3112)는 상기 회전축(210)과 나란하게 구비되고, 상기 경사관(311)의 외주면(3113)은 상기 내주면(3112) 또는 상기 회전축(210)과 경사각도(c) 만큼 경사지게 배치된다.
다만, 상기 경사관(311)의 외주면(3113) 자체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회전베어링(312)이 상기 경사관(311)의 외주면(3113)에 경사지게 결합되면, 상기 회전베어링(312)도 상기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경사각도(c) 만큼 세차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체부(320)가 상기 회전베어링(312)에 결합되면, 상기 강체부(320)의 축방향은 상기 경사관(311)의 축방향 및 상기 회전베어링(312)의 축방향과 함께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회전베어링(312)은 상기 경사관(311)의 외주면(3113)을 수용하며 결합되는 내륜(3121)과, 상기 강체부(320)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외륜(3122)과, 상기 내륜(3121)과 상기 외륜(3122)을 독자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회전부재(3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3123)는 상기 내륜(3121)과 상기 외륜(3122)과 동시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복수의 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내륜(3121)과 외륜(3122)를 독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면 유체, 자석 등 어떠한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내륜(3121)은 상기 경사관(311)의 외주면(3113)에 결합되어 상기 외주면(3113)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외륜(3122)은 회전부재(3123)로 인해 상기 내륜(3121)과 함께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외륜(3122)은 상기 강체부(320)에 결합되고, 상기 강체부(320)는 상기 거치부(400)의 하중을 지지하므로, 상기 외륜(3122)은 상기 회전축(210) 및 회전베어링(312)의 내륜(3121)이 회전하여도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외륜(3122)은 내륜(3121)이 상기 경사관(311)과 함께 세차운동할 때 축방향만 변경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강체부(320)도 중심 축의 방향이 변경되도록 워블 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사관(311)은 상기 회전축(210)과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21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거나 상기 회전축(210)의 외주면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회전축(210)은 외주면에 돌출되어 상기 경사관(3111)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부(211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경사관(3111)은 내주면에 상기 돌기부(2111)를 수용하며 결합될 수 있는 경사홈(31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9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동력전달부의 구동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9(a)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관(311)은 지면에서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경사각도(c) 만큼 경사지게 배치되어 단면에서 봤을 때는 상기 기준축방향(A)과 경사축방향(B)이 서로 나란한 것과 같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베이어링부(310)는 축방향이 틀어지므로 왼쪽면이 노출되고 오른쪽면이 안보일 수 있다.
도9(b)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관(311)이 상기 회전축(210)과 함께 90도 회전하면, 상기 경사관(311)의 경사축방향(A)이 경사관(311)의 경사각도(c) 만큼 상부를 향하도록 경사관(311)이 배치될 수 있다.
도9(c)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관(311)이 상기 회전축(210)과 함께 90도 추가로 전하면, 상기 경사관(311)이 지면에서 들어가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경사각도(c) 만큼 경사지게 배치되어 단면에서 봤을 때 단면에서 봤을 때는 상기 기준축방향(A)과 경사축방향(B)이 서로 나란한 것과 같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베어링부(310)는 축방향이 틀어지므로 오른쪽면이 노출되고 왼쪽면이 안보일 수 있다.
도9(d)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관(311)이 상기 회전축(210)과 함께 90도 추가로 전하면, 상기 경사관(311)의 경사축방향(A)이 경사관(311)의 경사각도(c) 만큼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관(31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경사관(311)이 상기 회전축(210)과 함께 회전하면, 상기 경사관(311)의 경사각도(c) 만큼 상기 경사관(311)은 세차운동할 수 있고, 상기 베어링부(310)는 축방향이 상기 경사관(311)의 회전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부(310) 자체가 하나의 구성으로서 외륜이 내륜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베어링부(310)는 축방향이 도면과 같이 변경되며 움직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경사관(311)은 상기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원뿔 형상을 그리며 축방향이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경사관(311)에 결합된 강체부(320)도 축방향이 원뿔 형상을 그리며 축방향이 회전하는 힘을 받을 수 있고, 상기 강체부(320)에 결합된 거치부(400)도 원뿔형상을 그리며 회전운동 또는 진자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베어링부(310)는 상기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세차운동하도록 회전할 수 있고, 상기 베어링부(310)의 외륜은 축방향이 회전축을 기준(210)을 기준으로 원뿔을 형성하며 회전하는 것처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강체부(320)는 상기 베어링부(310)의 외륜(예를들어, 회전베어링(312)의 외륜)에 고정되어 구비되므로, 상기 강체부(320)의 축방향도 상기 베어링부(310)의 축방향과 동일하게 변경된다.
도10과 도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동력전달부로 인해 움직이는 옷걸이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0(a), 도11(a)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상기 회전축(210)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축방향이 틀어지도록 움직일 수 있다.
상기 거치부(400)는 상기 회전축(210) 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케이스(20)의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400)는 상기 동력전달부(300)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300)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옷걸이(800)는 상기 거치부(400)에 안착되므로, 상기 옷걸이(800)도 상기 동력전달부(300)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상기 동력전달부(300)의 축방향이 변경되도록 움직이면, 상기 거치부(400) 및 상기 옷걸이(800)도 이와 대응하여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이 배치된 방향으로 Y축이라고 하고, 상기 전후방향을 X축이라고 하면, 도10(a)의 상태는 동력전달부(300) 왼쪽면이 +X+Y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거치부(400) 및 옷걸이(800)도 왼쪽면이 +X+Y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10(b), 도11(b)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축(210)이 회전하여 상기 동력전달부(300)의 축방향이 Y축 상에서 상부를 향하여 틀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거치부(400) 및 옷걸이(800)도 왼쪽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거치부(400)와 상기 옷걸이(800)는 XY방향을 바라보고 있다가, Y축방향을 바라보도록 틀어지며 상부로 경사각도(C)만큼 들어올려질 수 있다.
도10(c), 도11(c)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축(210)이 더 회전하여 상기 동력전달부(800)의 축방향이 -X+Y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거치부(400)와 상기 옷걸이(800)는 오른쪽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거치부(400)와 상기 옷걸이(800)는 Y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가 -X+Y 방향을 향하도록 틀어질 수 있으며, 경사각도의 만큼 하부로 내려올 수 있다.
도10(d). 도11(d)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축(210)이 더 회전하여 상기 동력전달부의 축방향이 Y축 상에서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거치부(400) 및 옷걸이(800)도 Y축 상에서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거치부(400)와 상기 옷걸이(800)는 -X+Y 방향을 향하다가 Y축 상에서 하부를 향하도록 틀어질 수 있으며, 경사각도만큼 더 하부로 내려올 수 있다.
도10(e), 도11(c)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축(210)이 더 회전하여 총 360도 회전하면 도10(a)의 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 즉, 동력전달부(300) 왼쪽면이 +X+Y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거치부(400) 및 옷걸이(800)도 왼쪽면이 +X+Y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상부로 경사각도만큼 올려질 수 있다.
이를 종합하면, 상기 동력전달부(300)의 축방향은 상기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원뿔 형상을 그리면서 회전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동력전달부는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각각 경사각도(c) 만큼 왕복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부(400)는 상기 강체부(320)에 결합되어 상기 강체부(320)와 일체로 움직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옷걸이(800)도 상기 거치부(400)에 결합되어 상기 강체부(320)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거치부(400) 및 상기 옷걸이(800)도 상하방향으로 각각 경사각도(c) 만큼 왕복이동할 수 있으며, 전후방향으로 각각 경사각도(c) 만큼 왕복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강체부(310)의 축방향이 회전축을 기준으로 세차운동하는 것처럼 변경되면, 상기 거치부(400)와 옷걸이(800)는 왼쪽면 또는 오른쪽 면이 상부 또는 하부를 반복하여 향하도록 움직일 수 있고, 한쪽팔 또는 다른쪽 팔이 왼쪽과 오른쪽을 반복하여 향하도록 움직일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옷걸이(800)의 거치된 의류도 일면을 기준으로 하부와 상부를 반복적으로 향하도록 왕복이동할 수 있고, 일면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을 향하여 틀어지도록 반복적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 전체가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여러 방향을 향해 틀어지므로 상기 수용공간(21)에 공급되는 열풍 또는 스팀에 고르게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400)는 상기 강체부(310)에서 이너케이스(20)의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되므로, 상기 거치부(400)가 진자의 회전축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거치부(400)와 상기 옷걸이(800)는 진자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력전달부(300)의 축방향이 Y축을 기준으로 원뿔 형상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거치부(400)와 상기 옷걸이(800)도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원뿔형상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400)와 상기 옷걸이(800)는 XY축 방향으로 수시로 틀어질 수 있고, 상기 회전축(210)이 회전할 때마다 +Y축-Y축 방향으로 진자운동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거치부(400)와 상기 옷걸이(800)는 원뿔형상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을 때 마다 +X축-X축 방향으로도 진자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인해, 상기 거치부(400)와 상기 옷걸이(800)는 틀어지면서 X축을 기준으로 진자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Y축을 기준으로 진자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치부(400)와 상기 옷걸이(800)는 3차원으로 진자운동 또는 회전운동할 수 있고, 상기 의류의 표면이 각각의 연직방향으로 털려지는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이러한 진자운동은 운동방향이 전후왕복이동과 같이 특정 시점에서 급격히 바뀌지 않는다. 즉, 이러한 진자운동은 전체 시점에서 운동량의 변화가 일정하거나 변화 폭이 매우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강체부(310)에 연결된 상기 거치부(400)와 상기 옷걸이(800)도 전체 시점에서 운동량의 변화가 일정하므로, 특정 시점에서 강한 관성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동력전달부(300), 상기 거치부(400) 및 상기 옷걸이(800) 전체에 갑작스런 관성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의류처리장치(1)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이 크게 절감되며, 구동부(200) 및 동력전달부(300), 거치부(400), 옷걸이(800)의 내구성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옷걸이(800)에 거치된 의류도 운동량의 변화가 일정하거나 완만한 진자운동을 수행하므로, 의류가 이너케이스(20) 등에 갑자기 충돌되거나 의류끼리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11(a)를 참조하면, 상기 강체부(320)는 엄밀하게는 상기 베어링부(310)와 일체로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베어링부(310)가 축방향이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회전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강체부(320)는 상기 베어링(310)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기 때문에, 상기 강체부(320)는 상기 베어링부(310)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즉, 상기 강체부(320)는 상기 거치부(400)와 상기 옷걸이(800) 및 의류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베어링부(310)와 정확히 일체로 움직이지 않고 제자리에 있으려는 관성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링부(310)가 원뿔형상으로 축방향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강체부(320)는 상기 베어링부(31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강체부(320)의 하부 및 상기 거치부(400)는 8자 형상을 그리며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210)이 1회전할 때마다, 상기 베어링부(310)도 회전축을 기준으로 축방향이 원형을 그리며 1회전하지만, 상기 강체부(320)는 상기 거치부(400)와 상기 옷걸이(800)의 하중으로 인해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8자형상을 그리며 진자운동을 할 수 있다.
즉, xy축을 기준으로 8자를 그리면서 진자운동할 수 있고, 이는 x축기준으로만 보면 단순진자운동 및 왕복운동처럼 보이며, y축기준으로만 보면 단순진자운동 및 왕복운동처럼 보일 수 있다.
또한, xy축을 기준으로 진자운동을 하게되면, 상기 거치부(400)의 길이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높이도 주기적으로 달라지게 된다.
그 결과, 상기 동력전달부(300)로 인해, 상기 거치부(400)와 상기 옷걸이(800)는 회전축(210)의 1회전 동안 xyz축의 모든 방향으로 흔들릴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거치부(400)와 상기 옷걸이(800)는 진자운동의 1주기 동안 캐비닛(10)의 너비방향 및 높이방향 뿐만 아니라 전후방향으로도 왕복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전방향으로 미세먼지가 분리되는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한편, 도12는 상기 옷걸이(800)가 상기 거치부(400)와 일체로 운동하지 않을 수 있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12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전달부(300) 및 거치부(400)가 방향에 따라 원호형 진자운동, 또는 8자형 진자운동을 수행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옷걸이(800)는 자체적인 관성력에 의해 상기 거치부(400)와 독립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동력전달부(300)와 상기 거치부(400)는 복잡하게 운동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옷걸이(800)는 고리부(810)만 상기 거치부(400)에 거치되어 있으므로, 의류가 거치되는 본체부(820)는 상기 거치부(400)와 독립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옷걸이(800)가 자체 하중 또는 의류의 하중으로 인해, 거치부(400)와 함께 xy 방향으로 틀어지면서 왕복형 또는 8자형 진자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Y-Y 방향으로 단순 왕복운동 또는 진자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옷걸이(800)가 상기 거치부(400)의 상부나 하부로 들려질 때 관성력에 의해 상기 거치부(400)와 다른각도로 틀어질 수 있고, 상기 옷걸이(800)에 거치된 의류의 하중이 다른 경우, 틀어진 각도는 옷걸이(800) 마다 상이할 수 있다.
그 결과, 복수의 옷걸이(800)가 서로 부딪히거나, 복수의 옷걸이(800)에 거치된 의류가 서로 충돌하여 손상 및 마모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옷걸이(800)를 상기 거치부(400)와 일체로 운동하는 상기 옷걸이지지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동력전달부(300)와 상기 거치부(400)의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기 각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옷걸이지지부(430)의 구체적인 실시예도 함께 설명한다.
도13는 상기 동력전달부와 거치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3(a)는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거치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13(b)는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거치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거치부(400)를 상기 이너케이스(20) 내부에 배치하고,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 외부에 배치하고, 상기 동력전달부(300)가 상기 이너케이스(20)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부(200)와 상기 거치부(400)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 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200)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에 구비되는 관통홀(25)을 관통하여 일단은 이너케이스(20) 외부에서 상기 회전축(210)에 결합될 수 있고, 타단은 상기 이너케이스(20) 내부에 노출되어 상기 거치부(4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프레임(12)에 거치되는 결합바디(512)와, 상기 결합바디(512)에서 연장되어 상기 구동부(200)를 지지하는 메인바디(5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511)는 상기 회전축(21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결합바디(512)는 상기 메인바디(511)의 양측에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12)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511)는 상기 결합바디(512)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됨으로써, 상기 구동부(200)가 안착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511)는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축(210)은 상기 결합바디(512) 사이에서 상기 메인바디(5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모터(220)는 상기 결합바디(512)의 외면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511)와 상기 결합바디(512)는 금속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400)는 상기 메인바디(511) 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상기 메인바디(511)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메인바디(51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동력전달부(300)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홀(550)과, 상기 동력전달부(300)를 지지하는 지지홀더(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과홀(550)은 관통홀(25)과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부(300)와 상기 거치부(400)는 상기 회전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거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홀더(540)는 상기 동력전달부(3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상기 통과홀(550)과 상기 관통홀(25)을 통과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거치부(400)는 상기 지지부(500)의 하부에서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지지부(500) 보다 하부에 배치된 거치부(400)와, 지지부(500) 보다 상부에 배치된 구동부(200)를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이로써, 생산자는 지지부(500)에 상기 구동부(200)와 상기 동력전달부(30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500)를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에 고정하여 상기 동력전달부(300)를 상기 이너케이스(20) 내부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후, 생산자는 상기 거치부(400)를 상기 동력전달부(300)에 결합시켜 상기 거치부(400)를 이너케이스(20)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거치부(400)와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 및 상기 지지부(500)를 통해 결합력,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800)는 상기 거치부(400)에 거치되도록 구비되어 의류를 상기 이너케이스(20)에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모터(220)와 상기 회전축(210)을 연결하여 상기 모터(220)이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210)에 전달하는 회전결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결합부(230)는 상기 모터(220)의 rpm을 변경하여 상기 회전축(210)에 전달하는 기어박스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모터(220)의 구동축과 상기 회전축(210)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220)는 상기 결합바디(512)의 외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회전결합부(230)는 기어박스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바디(512)의 외면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회전축(210)의 양단 중 하나 이상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결합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옷걸이(800)는 상기 거치부(400)에 고정될 수 있는 고리부(810)와, 상기 고리부(810)에 결합되어 의류를 거치하는 옷걸이 본체(8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본체(820)는 삼각형 형태로 구비되되 밑변은 생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리부(810)는 상기 옷걸이본체(82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800)는 상기 옷걸이본체(820)의 하단을 연결하여 의류를 파지할 수 있는 의류집게(8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본체(820)는 일면이 상기 거치부(400)에 접촉지지되어 상기 거치부(400)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도14은 도13의 상기 동력전달부와 거치부의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의 상부에 구비된 축결합부(520)를 통해 상기 회전축(210)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에 모터(220)가 고정되어 상기 회전결합부(230)를 통해 상기 회전축(210)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400)도 상기 동력전달부(300)에 결합되어 지지되므로, 상기 동력전달부(300)와 같이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축(210)이 회전하면 복수의 동력전달부(300)가 움직이게 되어 복수의 거치부(400)가 모두 흔들릴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상기 회전축(210)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회전하는 베어링부(310)와, 상기 베어링부(310)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며 링형상으로 구비되는 강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체부(320)는 상기 베어링부(310)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강체바디(321)와, 상기 강체바디(321)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500)와 상기 이너케이스(20)를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바(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체바디(321)는 외주면이 외부로 볼록한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연결바(322)는 길이가 두께 또는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322)는 상기 지지플레이트(510)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관통홀(550)을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400)는 상기 동력전달부(300)에 결합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의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거치플레이트(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플레이트(410)는 너비 또는 길이가 상기 강체부(320)의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거치플레이트(410)는 의류를 흔드는 진자의 축 역할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거치플레이트(410)는 상기 연결바(322)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30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400)는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에 결합되어 상기 옷걸이(800) 또는 의류가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걸이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이부(420)는 제1체결부재(460)를 통해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의 일면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400)는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에 결합되어 상기 옷걸이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는 옷걸이지지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지지부(430)는 상기 제2체결부재(450)를 통해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의 타면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400)는 상기 걸이부(420)와 상기 옷걸이지지부(430)를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에 결합시켜 고정할 수 있는 매개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개부(400)는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와 상기 옷걸이지지부(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420)와 상기 매개부(440)는 수지계열로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재(460)와 상기 제2체결부재(450)에 결합될 수 있는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거치플레이트(410)가 금속재질로 구비되어도 내부에 나사선을 형성하는 것을 배제할 수 있어 생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재(460)는 상기 걸이부(420)의 외면에서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을 향하여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체결부재(460)는 상기 매개부(44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재(450)는 상기 매개부(440)의 외면에서 상기 거치플레이트(410)를 향하여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체결부재(450)는 상기 걸이부(42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재(460)와 상기 제2체결부재(450)는 각각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체결부재(460)와 상기 제2체결부재(450)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거치부(400)는 거치플레이트(410)와 상기 걸이부(420)를 통해 옷걸이(800) 또는 의류를 이너케이스(20)에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상기 동력전달부(300)에서 전달되는 동력을 정확하게 상기 옷걸이(800) 또는 의류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지지부(430)는 상기 걸이부(420) 보다 더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옷걸이(800)의 일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옷걸이(800)를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와 일체로 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홀더(540)는 상기 강체바디(321)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홀더(540)는 상기 강체바디(321)의 하부면을 접촉하여 지지하는 안착면(54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면(541)의 강성을 보강하고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에서 돌출되는 강화면(543)과, 상기 강화면(543)과 상기 안착면(541)을 연결하는 연장면(5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강체바디(321)의 축방향이 회전축(210)의 둘레를 꼬깔 모양으로 회전하면, 상기 연결바(322)가 방향만 바꾸어 꼬깔 모양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상기 거치플레이트(410) 및 상기 걸이부(420)가 진자운동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322)는 상기 지지부(500) 보다 상부에 있는 영역이 지지부(500) 보다 하부에 있는 영역이 더 길게 구비되어 상기 거치부(400)의 진폭을 더욱 크게 확장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322)의 길이는 상기 강체바디(321)의 직경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도15은 도13의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거치부의 구체적인 구조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5(a)를 참조하면, 상기 강체부(320)는 상기 베어링부(310)를 수용하며 상기 베어링부(310)의 외주면과 일체로 움직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강체부(320)는 상기 베어링부(310)가 축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링(31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322)는 상기 강체부(320)의 하부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은 상기 연결바(322)가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의 일면에는 상기 걸이부(420)가 결합되고, 상기 매개부(440) 또는 상기 옷걸이지지부(430)는 상기 거치플레이트(420)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450)는 상기 걸이부(420) 및 상기 매개부(440), 상기 옷걸이지지부(430)를 거치플레이트(410)에 결합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지지부(430)는 상기 거치플레이트(420)에 결합되어 상기 걸이부(420) 보다 더 하부로 연장되는 지지바디(431)와, 상기 지지바디(431)에 결합되어 상기 옷걸이(800)의 일면에 지지될 수 있는 지지부재(4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431)는 금속판으로 구비되어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와의 결합력 및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고, 상기 옷걸이(800)에 하중이 전달되어도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32)는 탄성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옷걸이(800)의 일면에 면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옷걸이(800)와의 접촉력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상기 옷걸이(800)를 이동시키는 힘을 가하면서 상기 옷걸이(8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15(b)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관(311)은 상기 회전축(210)을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관(311)은 일단에 상기 경사관(311)의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고정링(3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링(3114)은 상기 회전베어링(312)이 상기 경사관(31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경사관(311)의 길이는 상기 회전베어링(312)의 두께 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경사관(311)과 상기 회전베어링(312)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경사관(311)에서 전달된 동력을 상기 회전베어링(312)에 온전히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회전베어링(312)은 상기 경사관(31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경사관(31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베어링(312)은 상기 경사관(311)이 세차운동할 때 상기 경사관(311)의 축이 움직이는것과 동일하게 축이 움직일 수 있다.
상기 강체바디(321)는 상기 회전베어링(312)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베어링(31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강체바디(321)는 두께가 얇은 원형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강체바디(321)는 구형상 또는 외부로 볼록한 곡면으로 구비되는 지지외주면(3213)과, 상기 회전베어링(312)의 외주면과 결합되는 수용내주면(3211)과, 상기 수용내주면(3211)에서 개방된 일면 및 타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베어링(312)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링(32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체바디(321)의 축방향 두께 또는 길이는 상기 베어링부(310)의 축방향 두께 또는 길이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강체바디(321)에 상기 베어링부(310)가 수용되면 상기 베어링부(310)가 상기 강체바디(321)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수용내주면(3211)은 상기 강체바디(321)의 내주면에서 상기 베어링부(31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내주면(3211)은 상기 강체바디(321)의 내주면에 상기 베어링부(310)가 끼워져 결합되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베어링부(310)의 외주면이 상기 수용내주면(3211)의 내주면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강체바디(321)의 축방향 두께는 상기 베어링부(310)의 축방향 두께보다 더 크게 구비되므로, 상기 수용내주면(3211)은 상기 강체바디(321)의 내주면의 개방된 양면에 지지링(321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링(3212)은 상기 베어링부(310)의 양면을 지지하여 상기 베어링부(310)가 상기 강체바디(32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322)는 상기 지지외주면(3213)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강체부(320)는 금속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거치부(400)를 지지하면서 상기 베어링부(310)에서 전달된 동력으로 상기 거치부(400)를 흔들 수 있다.
상기 연결바(322)의 직경은 상기 강체바디(321)의 축방향 두께 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322)는 하부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강체바디(321)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322)의 하부에는 너트 등의 결합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나사선(32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322)는 상기 강체바디(321)에서 연장되어 상기 강체바디(321)가 워블 모션으로 축이 변경되도록 움직일 때, 진자의 축 또는 실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 결과, 상기 연결바(322)의 자유단은 상기 강체바디(321)가 베어링부(310)에 의해 움직이면 원호 또는 8자형을 그리며 진자운동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400)는 상기 연결바(322)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거치플레이트(4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거치플레이트(410)는 금속재질의 판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옷걸이(80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상기 연결바(322)와 일체로 진자운동할 수 있다.
상기 거치플레이트(410)는 상기 연결바(322)의 직경보다 두께가 얇은 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플레이트(410)는 상기 연결바(322)와 관통하여 결합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의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거치플레이트(410)는 길이가 너비 보다 훨씬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연
상기 거치플레이트(410)는 상기 연결바(322)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411)와, 상기 제1플레이트(411)에서 연장되는 제2플레이트(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411)는 상기 연결바(322)와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연결바(322)가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연결바(322)를 기준으로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412)는 상기 제1플레이(411)에서 상기 이너케이스(20)의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412)의 길이는 상기 제1플레이트(411)의 길이 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걸이부(420)를 최대한 상기 강체부(320)에서 멀어지도록 배치하여 상기 옷걸이(800)의 진폭을 확대할 수 있다.
상기 걸이부(420)는 상기 제2플레이트(412)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1플레이트(411) 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420)의 상단은 상기 제1플레이트(411)와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420)는 상기 제2플레이트(412)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420)는 상기 제2플레이트(412)의 상단 보다 하단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420)는 상기 제2플레이트(412)에 결합되는 걸이바디(421)와, 상기 걸이바디(421)의 상부에서 옷걸이(800)의 고리부가 거치될 수 있는 고리홈(42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리홈(4221)은 상기 걸이바디(421)에서 상기 옷걸이(800)의 고리부의 두께보다 더 깊은 깊이로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바디(421)의 상부에서 상기 옷걸이(800)의 고리부와 대응되는 폭으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고리바디(422)가 구비되어 그 사이에 상기 고리홈(4221)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걸이바디(421)는 제1체결부재(460)가 관통하는 걸이홀(412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걸이홀(4121)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옷걸이(800)의 상단에 구비된 고리부는 상기 고리홈(4221)에 파지되어, 상기 옷걸이(800)가 상기 걸이부(420)에 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옷걸이(800) 및 상기 옷걸이(800)에 거치된 의류는 상기 거치부(410) 및 상기 걸이부(420)로부터 진자운동하는 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옷걸이(800)의 상단에 구비되는 고리부만 상기 걸이부(420)에 거치되면, 상기 옷걸이(800)의 본체는 상기 거치부(410)를 기준으로 또다시 진자운동을 할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강체부(320)와 상기 거치부(410) 및 상기 걸이부(420) 까지는 일체로 움직이지만, 상기 옷걸이(800)는 독자적으로 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옷걸이(800)는 진자운동을 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도한, 상기 거치부(410)가 복수개로 구비될 때, 각 거치부(410)에 거치된 옷걸이(800)에 거치된 의류의 길이가 달라지면, 상기 거치부(410) 마다 거치된 의류의 진폭이나 왕복시간이 달라지게 되므로, 의류마다 독자적으로 흔들리게 된다.
이 경우, 의류끼리 충돌되어 의류가 의도했던 진폭으로 움직일 수 없고, 의류끼리 마찰로 인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치부(410)는 상기 옷걸이지지부(430)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옷걸이(800)의 본체를 지지함으로써, 옷걸이(800)가 상기 거치부(410)와 함께 일체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옷걸이(800)와 의류의 하중을 상기 옷걸이지지부(430)가 지지하면서 상기 옷걸이(800)를 밀거나 받치게 되어 상기 옷걸이(800)가 상기 거치부(410)와 독자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옷걸이(800)가 상기 거치부(410)와 함께 진자운동할 수 있고, 복수의 거치부(410)에 거치된 옷걸이(800)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의류의 흔들기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지지부(430)는 상기 제2플레이트(412)에서 상기 걸이부(420) 보다 하부로 더 연장되어 상기 걸이부(420)에 거치된 옷걸이(800)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지지부(430)는 상기 옷걸이(800)의 고리부가 걸이부(420)에 거치될 때, 상기 옷걸이(800)의 본체 일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지지부(430)는 상단이 상기 제2플레이트(412)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옷걸이(800)의 본체 일면과 마주할때까지 연장되는 지지바디(4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431)는 상기 제2플레이트(412)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1바디(4311)와, 상기 제1바디(4311)에서 상기 걸이부(420) 보다 하부로 연장되는 제2바디(4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4312)는 상기 걸이부(420)을 향하여 절곡되어 구비되어 상기 옷걸이(800)와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잇다.
상기 제1바디(4311)은 상기 제2체결부재(450)가 관통할 수 있는 바디홀(4313)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바디홀(4313)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지지부(430)는 상기 지지바디(431)에 결합되어 상기 옷걸이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4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32)는 탄성부재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바디(4312)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32)의 너비는 상기 제2바디(4312)의 너비보다 더 길게 구비되어 상기 옷걸이(800)의 일면을 더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4312)는 상기 지지부재(432)와 결합되는 제2바디홀(43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32)는 상기 제2바디홀(431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돌출부(4322)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지부재(432)는 별도의 체결부재로 인해 상기 제2바디(43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32)는 상기 제2바디(4312)와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제2바디(4312)의 형상에 따라 함몰되어 구비되는 함몰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322)는 상기 함몰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4311)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걸이부(420)와 중첩되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걸이부(420)와 함께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디(431)와,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은 금속판 형상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나사선의 형성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걸이부(420)를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에 결합시키는 제1체결부재(460)와 결합되고, 상기 지지바디(431)도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에 결합시키는 제2체결부재(450)에 결합시키는 매개부(4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개부(440)는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의 타면에서 상기 걸이부(420)와 중첩되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매개부(440)와 상기 걸이부(420) 사이에 상기 제2플레이트(412)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옷걸이지지부(430)와 상기 제2플레이트(412) 사이에 상기 매개부(4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매개부(440)는 상기 제1체결부재(460)와 상기 제2체결부재(4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관통하거나, 적어도 어느하나가 결합되는 매개홀(4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개홀(441)은 상기 걸이홀(4211)과 상기 제1바디홀(4313)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거치부(410)는 상기 걸이부(420)를 통해 상기 옷걸이(800)를 진자운동시킬 수 있다.
도16는 상기 동력전달부와 거치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설명이 생략된 부부은 이전에 서술한 구성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121)과 상기 제2프레임(122) 및 상기 제3프레임(123)이 형성하는 캐비닛(10)의 뼈대에 상기 이너케이스(20)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에 구동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410)는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21) 내부에 배치되되, 나머지 일부가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410)는 상기 이너케이스(410)를 관통하여 동력전달부(300)에 직접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410)는 일단이 상기 강체부(320)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너케이스(20) 내부에 배치되는 결합플레이트(4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와 상기 캐비닛(10)의 상부패널 사이에는 금속재질로 구비된 지지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면에 지지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12)에 결합되어 상기 캐비닛(10)에 지지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500)의 지지플레이트(410)는 상기 회전축(210) 보다 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결합플레이트(412)는 상기 지지플레이트(410)를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22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220)는 프레임(12)에 결합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와 전후방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모터(220)가 지지플레이트(510)로 인해 설치공간을 제약받지 않고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21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와 나란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210)과 상기 모터(220)를 연결하는 회전결합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17은 도16의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거치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모터(220)는 구동축이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와 마주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모터(22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510) 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21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510) 보다 상부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에 구비되는 축결합부(5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회전결합부(230)는 모터(220)의 동력을 상기 모터(220)에서 이격된 회전축(210)에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회전결합부(230)는 상기 구동축(210)에 결합되는 구동풀리(233)와, 상기 회전축(210)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풀리(232)와,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회전풀리를 연결하여 동시에 회전시키는 밸트(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10)에는 상기 동력전달부(300)가 상기 회전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동력전달부(300)마다 상기 거치부(410)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510)는 상기 결합플레이트(413)가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통과홀(5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과홀(550)은 상기 결합플레이트(413)가 통과하도록 구비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강체부(320)와 마주하는 면적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강체부(320)에 결합된 결합플레이트(413)가 진자운동할 때 상기 지지플레이트(510)로부터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결합플레이트(413)는 상기 강체부(320)에 결합되는 결합단부(4131)과, 상기 결합단부에서 상기 이너케이스(420)를 향하여 연장되는 플레이트바디(4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단부(4131)는 상기 강체부(32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단부(4131)는 거치체결부재(4134)가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거치체결부재(4134)는 상기 강체부(320)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단부(4131)를 고정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강체부(320)에서 연장되는 연결바(322)가 생략될 수 있고 상기 결합플레이트(413)를 일자형 판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어 구성이 단순해질 수 있고, 생산공정 및 결합공정도 단순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플레이트(413)가 상기 강체부(320)의 측면 하부에 직접결합되어 상기 강체부(320)와 일체로 움직이면서 회전축(210)의 동력을 더 직접적으로 전달받아 진자운동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800)는 상기 결합플레이트(413)에 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18는 도16의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거치부의 구체적인 구조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8(a)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관(311)과 상기 회전베어링(312) 등 베어링부(310)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강체부(320)는 상기 결합플레이트(413)가 직접 결합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강성이 더 강화되도록 구비되거나 원주면 두께가 더 두껍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강체바디(321)는 베어링부(310)을 수용하는 내주면(3211)과 외주면(3213) 사이를 축방향으로 관통하거나 함몰되어 구비되는 강화홀(3214)과, 상기 내주면(3211)과 외주면(3213)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강화리브(321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강체바디(321)의 내주면과 외주면이 판의 외주면과 내주면에 대항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내주면(3211)과 외주면(3213)이 일정 두께 이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강체바디(321)의 직경방향 두께가 더 증가되어 상기 강체바디(321)의 강성자체가 보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체바디(321)의 직경방향 두께가 더 두꺼워짐으로써, 상기 결합플레이트(413)가 접촉하거나 체결될 수 있는 면적이 확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강체바디(321)는 금속재질이 아닌 강화플라스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강체바디(321)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강체바디(321)의 두께를 관통하여 상기 강화홀(3214)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강화홀(3214)은 상기 강체바디(321)의 둘레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강화홀(3214) 사이에는 강화리브(3215)가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강체바디(321)의 내주면(3211) 또는 외주면(3213)에 전달되는 하중이 분산되어 상기 강체바디(321)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플레이트(413)가 상기 강체바디(321)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강체바디(321)의 측면으로 전달되는 하중이나 부하가 상기 강화홀(3214)와 상기 강화리브(3215)로 인해 분산되어 상기 강체바디(321)의 내구성이 보장될 수 있다.
상기 강체부(320)는 상기 결합플레이트(413)의 결합면적을 더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강체바디(321)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결합바디(3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바디(323)는 상기 강체바디(321)의 외주면(3213)에서 하부로 더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플레이트(413)는 상기 강체바디(321)의 하부 측면과 상기 결합바디(323)의 측면과 마주하며 상기 강체바디(321)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결합바디(323)에는 상기 거치체결부재(4134)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플레이트(413의 일면에는 상기 걸이부(4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이부(420)는 상기 결합플레이트(413)의 하단에서 상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플레이트(413)에서 상기 걸이부(420) 보다 하부에 배치된 영역은 옷걸이지지부(43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플레이트(413)는 상기 걸이부(420) 보다 하부로 연장되는 지지연장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연장부(433)는 상기 플레이트바디(4132)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연장부(433)는 상기 플레이트바디(4132)에서 상기 걸이부(4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걸이부(420)의 상단에 구비되는 고리안착홈(4211)에 상기 옷걸이가 결합되면 상기 지지연장부(433)는 상기 옷걸이의 본체에 면접촉하여 상기 옷걸이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플레이트(413)는 상기 걸이부(42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41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4135)은 상기 결합플레이트(413)의 너 측면이 너비방향으로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4135)은 상기 결합플레이트(413)의 하단에서 상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걸이부(420)는 클립과 같이 상기 결합홈(4135)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플레이트(413)의 양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걸이부(420)는 상기 매개부(440)와 일체로 구비된다고 볼 수 있으며, 상기 걸이부(420)와 상기 매개부(440)의 간격은 상기 플레이트바디(4132)의 두께와 대응될 수 있다.
이로써, 체결부재와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관통홀을 생략할 수 있다.
도18(b)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플레이트(413)는 일단에 상기 강체바디(321)의 결합바디(323)와 마주하며 결합되는 결합단부(4131)과 상기 결합단부(4131)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바디(4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플레이트(413)는 상기 결합단부(4131)와 상기 플레이트바디(4132)를 연결하는 홀더지지부(4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단부(4131)는 상기 강체바디(321)의 측면과 나란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홀더지지부(4133)는 상기 결합단부(4131)의 하단에서 회전축(210)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더지지부(4133)는 상기 플레이트바디(4132)의 두께 또는 너비 보다 더 크게 구비되어 후술하는 실링부(700)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상기 지지홀더(540)에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플레이트(413)는 상기 결합단부(4131)와 상기 홀더지지부(4133)를 연결하는 강화리브(4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화리브(416)는 삼각형 형상으로 구비되어 한면이 상기 결합단부(4131)에서 연장되고 다른한면이 상기 홀더지지부(4133)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강화리브(416)는 상기 결합단부(4131) 또는 상기 홀더지지부(4133)의 너비의 중앙에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너비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체결부재(4134)는 상기 강화리브(416)에 이격되어 상기 결합단부(41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단부(4131)는 상기 강화리브(416)와 이격된 영역에 상기 거치체결부재(4134)가 삽입될 수 있는 단부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부홀과 상기 거치체결부재(4134)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바디(32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와 상기 강체부(320)의 결합력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결합플레이트(413) 중 상기 결합부(420) 및 상기 매개부(400)에서 더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플레이트(4137)은 옷걸이지지부(43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플레이트(4137)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옷걸이(800)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연장부(433)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결합플레이트(413)는 상기 강체바디(321)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상기 강체바디(321)의 축방향이 움직임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21) 내부에서 진자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플레이트(413)는 상기 홀더지지부(4133)의 하부에서 상기 플레이트바디(4132)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함몰홈부(413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홈부(4133a)는 후술하는 실링부(700)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실링부(70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19는 상기 동력전달부 또는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부의 일시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회전축(210)이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거치부(4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이너케이스(20) 내부에 노출되어 상기 의류를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면(22)은 상기 거치부(400) 또는 동력전달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관통홀(23)이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회전축(210)은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면(23)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회전축(210)은 동력전달부(300)가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부(300)에는 거치부(400)가 거치되므로, 상기 회전축(210)에는 동력전달부(300)와 상기 거치부(400)의 하중이 함께 부가된다.
그 결과, 상기 회전축(210)이 직접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면(22)에 지지되면, 상기 이너케이스(20)는 수지계열로 구비되므로 상기 상부면(22)이 과도한 하중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210)은 상기 이너케이스(20)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복수의 동력전달부(300)가 결합되어 복수의 거치부(40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210)의 양단 사이에 과도한 하중이 부가되어 상기 회전축(210)이 휘어지면 상기 회전축(210)의 회전이 보장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른 동력전달부(300)가 아래로 처지거나 설치각도가 변경되어 상기 거치부(400)도 옷걸이(800)를 거치하는 기능 까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210)이 휘어지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가 이너케이스(20) 내부에 의류를 흔드는 것 뿐만 아니라 의류를 거치하는 것까지 보장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지지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0)는 금속재질의 강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210)에 부가되는 모든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210) 또는 상기 이너케이스(20)에 과도한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회전축(210) 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어 상기 회전축(210)의 하부를 직접, 간접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회전축(210)에 부가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회전축(210), 상기 동력전달부(300), 상기 거치부(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500)가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지지부(500)가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면에서 완전히 이격되너나 분리되는 경우, 상기 이너케이스(20)에 어떠한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의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지지부(500)는 일부가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면에 지지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프레임(12)에 결합되어 대부분의 하중을 상기 캐비닛(10)을 통해 지지할 수 도 있다.
상기 지지부(5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전축(2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510)는 금속재질의 강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510)는 상기 캐비닛(10)과 상기 이너케이스 상부면(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510)는 상기 회전축(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210)이 상기 이너케이스(210) 내부에 배치되거나 내부에 노출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회전축(210)을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회전축(210)에 매달리거나 상기 회전축(210)을 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51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전축(2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210)의 하부를 직접, 간접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상기 회전축(210)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회전축(2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결합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52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210)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510)를 관통하여 상기 동력전달부(300) 또는 상기 거치부(400) 중 적어도 일부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홀(55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과홀(550)은 상기 동력전달부(300) 또는 상기 거치부(400)의 개수와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통과홀(550)은 관통홀(23)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3)은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관통하여 구비되는 것이 도시되었지만, 상기 통과홀(550) 또는 상기 통과홀(550) 보다 직경이 더 큰 복수개의 홀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에 구비되어 상기 동력전달부(300) 또는 상기 거치부(40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홀더(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홀더(540)는 상기 동력전달부(30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부(300)의 왕복이동 또는 워블모션이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에서 하부로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홀더(54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의 강성도 보강하며, 상기 지지홀더(540)에 가해지는 하중도 분산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기 회전축(210)에 매달리거나, 상기 옷걸이(800)에 매달리거나, 상기 특정 거치부(400)에 과도한 하중이 부가되는 경우, 상기 지지홀더(540)는 동력전달부(300)를 지지하여 상기 하중을 지지플레이트(510)로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회전축(210)의 변형이나 상기 동력전달부(300) 또는 상기 거치부(4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홀더(540)는 내부에 상기 통과홀(55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통과홀(550)을 차폐하여 통과홀(550)로 열풍 또는 스팀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실링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20은 상기 지지홀더(54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0(a)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홀더(540)는 상기 강체부(320)와 마주하는 영역이 하부로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홀더(540)는 상기 강체부(3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며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홀더(540)는 상기 강체부(320)를 지지하면서 상기 동력전달부(300) 전체 및 상기 회전축(210)에 가해지는 하중도 지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지지홀더(540)는 함몰된 형상에 따라 상기 지지홀더(540)에 가해지는 하중을 다양한 방향으로 분산시켜 상기 하중이 특정영역과 방향으로 집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홀더(54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플레이트(510)가 상기 강체부(320)에서 이격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지지홀더(540)는 상기 강체부(320)의 하부를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홀더(540)가 지지플레이트(510)에서 상부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의 강성이 크게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홀더(540)에 가해지는 하중도 더욱 다양한 방향으로 분산될 수 있고 돌출된 부분이 컨틸레바 와 같은 탄성력도 가해줌으로써 상기 지지홀더(540)의 강성 및 내구성이 크게 증가될 수 있다.
상기 강체부(320)에 상기 연결바(322)가 연장되어 구비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연결바(322)는 상기 지지홀더(540)에 구비되는 통과홀(550)에 통과될 수 있고, 상기 강체부(320)의 하부만 상기 지지홀더(540)에 지지될 수 있다.
도21(b)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홀더(540)는 복수의 강체부(320)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홀더(540)는 상기 회전축(210)에는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강체부(320)의 하부영역을 일부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홀더(540)는 상기 강체부(320)이 하부영역과 면접촉 또는 선접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홀더(540)는 상기 강체부(32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강체부(320)에 과도한 하중이 부가될 때 상기 강체부(320)의 하부와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홀더(540)는 상기 강체부(320)가 일정거리 이하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회전축(210)의 영구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홀더(540)는 상기 강체부(320)를 수용하며 지지하는 상면이 구형의 일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강체부(320)가 축방향이 변경되며 왕복이동 또는 진자운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21은 상기 지지홀더(540)의 구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지홀더(540)는 상기 동력전달부(300)를 지지하여 상기 회전축(210)을 간접적으로 지지할 수 잇다.
상기 베어링부(310)가 상기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세차운동하면, 상기 강체부(320)도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축방향이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강체부(320)의 하부면은 원호를 그리면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홀더(540)는 강체부(320)의 움직임을 허용하면서 상기 강체부(320)를 지지하도록 하부로 함몰되어 구비되는 안착면(5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면(541)의 곡률반경은 상기 강체부(320)의 외주면 곡률반경과 같거나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안착면(541)은 상기 강체부(320)와 접촉하더라도 상기 강체부(320)의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안착면(541)의 너비는 상기 강체부(320)의 축방향 두께 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541)의 너비는 상기 강체부(320)의 외주면(3213)의 축방향 두께 보다 더 넓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안착면(541)은 상기 강체부(320)의 하부면 전체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착면(541)의 깊이는 상기 안착면(541)의 너비 보다는 작게 구비되어 상기 강체부(320)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안착면(541)은 구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구의 일부와 대응되는 곡률반경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면(541)은 내부의 통과홀(550)을 향하여 함몰되는 깔대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541)의 곡률반경은 상기 강체부(320)의 외주면이 움직이는 궤적의 곡률반경보다 크거나 같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541)의 곡률반경은 상기 강체부(320) 외주면의 곡률반경 보다 크거나 같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강체부(320)가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원 또는 구를 그리면서 움직일 때, 상기 안착면(541)은 상기 강체부(320)를 면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고, 상기 강체부(320)의 하중을 더욱 넓은 영역과 다양한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안착면(541)은 상기 지지플레이(510)에서 하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홀더(540)는 상기 안착면(541)을 상기 강체부(320)로 향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에서 상승시킬 수 있는 강화면(5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화면(543)은 상기 지지플레이(510)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안착면(541)은 상기 강화면(543)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강화면(543)은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에서 돌출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의 강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면(541)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의 연직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홀더(540)는 상기 상기 강화면(543)의 내주면에서 상기 안착면(541)으로 연장되는 연장면(5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강화면(543)의 내부에 상기 연장면(542)이 구비되고, 상기 연장면(542)의 내부에 상기 안착면(541)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면(541) 내부에 통과홀(5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면(542)은 내주면에는 상기 안착면(541)이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강화면(54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면(542)는 지지플레이트(510)와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상부로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연장면(542)는 상기 안착면(541)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와 나란하게 방사상으로 분산시켜 상기 안착면(541)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강화면(543)은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에서 상기 안착면(541)의 하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510) 하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강화면(543)이 돌출된 높이는 상기 안착면(541)이 함몰된 깊이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안착면(541)이 지지플레이트(510)의 하부로 돌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사용자가 상기 안착면(541)에 의해 상해 등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통과홀(550)은 상기 안착면(541)의 내주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연결바(322)는 상기 통과홀(550)로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지지홀더(540)는 구형의 안착면(541)과 링형상의 연장면(542)과, 수직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의 강화면(543)으로 인해 상기 강체부(320)에 전달되는 하중을 다방향으로 분산시키면서 지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연장면(542)과 상기 강화면(543)은 컨틸레바와 같이 더 큰 탄성력을 상기 안착면(541)에 제공하여, 상기 지지홀더(540) 전체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22은 상기 지지부(5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2(a)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500)는 거치부(400)를 직접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거치부(400)를 지지하면서 상기 동력전달부(300) 또는 상기 회전축(210)을 간접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510)를 통과하는 상기 거치부(400)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홀더(540)에 구비되는 안착면(541)은 상기 거치부(400)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면(541)은 상기 강체부(320)에 직접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413)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플레이트(413)는 상기 결합단부(4131)에서 상기 통과홀(550)의 직경 보다 더 크게 돌출되어 상기 안착면(541)에 안착되는 홀더지지부(4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플레이트(413)는 상기 안착면(541)에 구비되는 통과홀(550)을 관통하여 구비되지만, 상기 홀더지지부(4133)을 통해 상기 안착면(541)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541)은 상부에서 볼 때 원형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안착면(541)의 중심 부분이 직경이 가장 넓게 구비된다.
이는 상기 강체부(320)의 직경이 상기 결합플레이트(413)의 너비 보다 더 크게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강체부(320)에 대응되는 영역이 상기 안착면(541)에 중심에 배치되는 것이 가장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강체부(320)는 상기 안착면(541)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413)은 상기 강체부(320)의 측면에 결합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통과홀(550)도 상기 결합플레이트(413)의 위치와 대응하여 상기 안착면(541)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541)은 상기 강체부(320)의 세차운동과 같이 축방향이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곡면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지지부(4133)도 상기 안착면(541)에 면접촉되어 지지되기 위해 하부면이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바디(412)는 상기 통과홀(550)의 직경을 과도하게 키우지 않기 위해 판형상보다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레이트바디(4132)는 상기 홀더지지부(4133)에서 상기 걸이부(420)가 결합되는 영역까지 막대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플레이트바디(413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바디(4132a)는 상기 걸이부(420)가 결합되는 플레이트바디(4132)의 본체 보다 너비가 훨씬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플레이트바디(4132)는 통과홀(550)을 통과하고, 진자운동시 안착면(541)에 방해받지 않으면서도, 제1플레이트바디(4132a)의 하부에 배치된 본체를 통해 걸이부(4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23는 도22에 적용된 결합플레이트(413)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홀더지지부(4133)는 상기 결합단부(4131) 보다 두껍게 구비되는 홀더바디(4133a)와, 상기 홀더바디(4133a)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면에 지지되는 곡면으로 구비되는 바디면(413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바디(4133a)는 상기 결합단부(4131)에서 상기 회전축(210)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바디면(4133b)는 상기 안착면(541)의 면적보다 더 작게 구비되고, 상기 안착면(541)의 곡률반경은 상기 바디면(4133b)의 곡률반경 보다 같거나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더지지부(4133)는 상기 바디면(4133b)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단부(4131)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면(4133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면(4133b)은 상기 홀더바디(4133a) 와 상기 연장면(4133c)을 연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420)는 상기 플레이트바디(4132) 중 상기 제1플레이트바디(4132a)의 하부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420)는 상기 플레이트바디(4132)의 일면에 지지되는 제1걸이바디(421)과, 상기 플레이트바디(4132)의 타면에 지지되는 제2걸이바디(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바디(421)와 상기 제2걸이바디(422)는 상기 플레이트바디(4132) 보다 너비가 더 크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걸이바디(421)와 상기 제2걸이바디(422)는 상기 플레이트바디(4132)의 두께만큼 이격되되 일면이 서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걸이바디(421)와 상기 제2걸이바디(422)는 중 어느 하나가 매개부(440)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제1걸이바디(421)에는 상부에 옷걸이의 고리부가 안착될 수 있는 고리결합홈(4211)이 구비될 수 있다.
도24은 상기 결합플레이트(413)가 진자운동을 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24(a)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축(210)에 상기 강체부(32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결합단부(4131)는 상기 강체부(3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홀더지지부(4133)는 상기 결합단부(4131)에서 연장되어 상기 통과홀(550) 주위의 상기 안착면(541)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강체부(320)는 상기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상부를 바라보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거치플레이트(410)는 상기 결합단부(4131)가 결합된 상기 강체부(320)의 일면의 경사와 대응하여 왼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24(b)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축(210)이 회전하여 상기 강체부(320)는 상기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하부를 바라보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지지부(4133)는 상기 안착면(541)에 지지되어 상기 통과홀(550)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거치플레이트(410)는 상기 결합단부(4131)가 결합된 상기 강체부(320)의 일면의 경사와 대응하여 오른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거치플레이트(410)는 진자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홀더(540)는 상기 거치플레이트(410)를 지지함으로서, 상기 동력전달부(300) 및 상기 회전축(21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홀더(540)는 상기 동력전달부(300)와 상기 회전축(210)을 간접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25은 상기 지지부(500)가 회전축(210)을 직접 지지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회전축(210)을 감싸거나 상기 회전축(210)의 하부에 접촉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210)을 지지하는 지지기둥(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기둥(530)은 상기 회전축(210)의 양단 사이에 배치된 상기 회전축(210)의 중간영역을 지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210)이 하부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기둥(530)은 상기 회전축(210)의 하부면을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210)의 하부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210)이 탄성한계 이상으로 휘어지는 영역까지 도달하면 상기 회전축(210)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지지기둥(530)은 상기 회전축(210)을 완전히 회전가능하게 감싸며 상기 회전축(210)을 지지하는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지지기둥(53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에 결합하는 기둥바디(531)와, 상기 기둥바디(53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기둥홈(5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둥홈(532)은 상기 기둥바디(531)의 상단이 함몰되는 홈으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210)을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회전축(210)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둥홈(532)의 내주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회전축(2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지지기둥(530)은 상기 회전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지지기둥(530)은 상기 회전축(210)의 양단을 제외한 영역을 지지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기둥(530)은 상기 통과홀(550) 또는 관통홀(23)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둥홈(532)의 내주면에는 상기 기둥홈(532)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210)을 지지하는 지지돌기(53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5321)은 상기 기둥홈(532)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5321)는 상기 회전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기둥(530)는 상기 지지돌기(5321)를 통해 회전축(210)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상기 회전축(210)이 하부로 휘어질 시 강한 반력을 집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회전축(210)의 양단은 축결합부(520)로 지지하고, 상기 회전축(210)의 양단 사이 영역은 지지기둥(530)을 통해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기둥(530)은 상기 축결합부(5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회전축(210)과 접촉되어 상기 회전축(210)을 직접 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상기 회전축(210)에 결합된 동력전달부(300)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300)에 결합된 거치부(400)를 지지하면서 상기 회전축(210)을 간접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회전축(210) 보다 하부에서 상기 회전축(210)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5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510)는 상기 회전축(210)의 하부와 마주하는 부분만 상기 회전축(210) 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210)의 양단 외의 영역은 상기 회전축(210) 보다 높은 곳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510)는 전체가 금속재질로 구비되어 강한 강성과 일정 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부(200) 및 상기 거치부(400), 상기 동력전달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510)는 상기 회전축(210) 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메인바디(511)와, 상기 메인바디(511)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메인바디(511)를 지지하는 결합바디(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바디(521)는 상기 메인바디(511)의 양단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210)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경사바디(5122)와, 상기 경사바디(5122)에서 상기 회전축(210)와 멀어지도록 연장되어 프레임(12)에 안착될 수 있는 고정바디(51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5121)는 상기 프레임(12)에 볼트 등으로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홀(51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메인바디(511)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210)의 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결합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520)는 상기 메인바디(511)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210)의 양단 중 하나 이상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511)는 상기 축결합부(520)를 통해 상기 회전축(2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511)는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에 지지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메인바디(511)는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면과는 이격되어 상기 결합바디(521)를 통해 상기 캐비닛(10)의 뼈대를 형성하는 상기 프레임(12)에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캐비닛(10)과 상기 이너케이스(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지지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511)는 상기 회전축(210)을 지지하고, 상기 회전축(210)에는 동력전달부(300)가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부(300)에는 거치부(400)가 구비되므로, 상기 회전축(210), 동력전달부(300), 거치부(400)의 하중을 전부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플레이트(510)는 상기 메인바디(511)의 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바디(511)의 연장방향을 따라 절곡되어 구비되는 강화비드(5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플레이트(510)는 메인바디(511)가 상기 회전축(210) 보다 하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회전축(210)에 결합되는 동력전달부(300), 상기 동력전달부(300)에 결합되는 거치부(400) 중 하나 이상이 통과할 수 있는 상기 통과홀(55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축(210)이 상기 지지플레이트(510) 보다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거치부(40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510) 보다 하부에 배치되어도, 상기 거치부(400)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300)가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회전축(210)의 양단 사이 영역을 상기 회전축(210)과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는 지지기둥(53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500)로 인해 상기 회전축(210)에 과도한 하중이 부가되더라도 상기 회전축(210)이 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210)이 휘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강체부(320) 및 상기 베어링부(310)가 축방향이 원을 따라 달라지는 움직임이 유지될 수 있어,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의류를 흔드는 기능이 항상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500)가 상기 회전축(210) 보다 적어도 일부 하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회전축(210)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이 차단되어, 사용자가 상기 회전축(210)에 매달리거나, 상기 회전축(210)을 만지는 등의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도26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실링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관통홀(23)로 열풍 또는 스팀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3)은 상기 지지프레임(510)에 의해 차폐될 수 있고, 상기 통과홀(550)이 상기 관통홀(23)과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통과홀(550)은 상기 동력전달부(300) 또는 상기 거치부(400)의 진자운동을 허용해야 하므로, 상기 통과홀(330)을 관통하는 동력전달부(300) 또는 거치부(400) 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된다.
예를들어, 상기 통과홀(550) 상기 연결바(322) 또는 상기 결합플레이트(413) 보다는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통과홀(550)을 통해 열풍 또는 스팀이 배출될 우려가 있다.
상기 실링부(700)는 상기 통과홀(550)로 열풍 또는 스팀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700)는 상기 지지프레임(510)에 안착되어 상기 통과홀(550)을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700)는 상기 통과홀(550)에서 상기 동력전달부(300) 또는 상기 거치부(400)의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통과홀(550)과 상기 동력전달부(300) 또는 상기 거치부(400) 사이로 열풍 또는 스팀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700)는 상기 거치부(400)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300)가 통과하는 투과홀(720)과, 상기 투과홀(720)에서 연장되어 상기 통과홀(550)을 밀폐하는 실링바디(7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바디(710) 상기 거치부(400)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300)의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바디(710)는 상기 지지프레임(510)에 안착되어 상기 통과홀(550)을 밀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링부(700)는 상기 지지프레임(510) 또는 상기 통과홀(550)에서 이탈하거나 불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27은 상기 실링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실링부(700)는 상기 지지홀더(540)에 안착되어 상기 통과홀(550)로 스팀 또는 열풍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실링부(7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부(701)는 상기 지지홀더(540)에 안착되어 상기 거치부(400)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3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실링바디(7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바디(711)는 상기 지지홀더(540)에 안착되어 상기 거치부(400)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30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바디(711)는 상기 지지홀더(540)에서 상기 안착면(541)에 수용되는 원형 고리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바디(711)의 하부면은 상기 안착면(541)에 안착되고, 상부면은 상기 거치부(400)의 일부 또는 동력전달부(30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부(701)는 상기 제1실링바디(711)를 관통하여 구비되어 상기 통과홀(550)와 연통될 수 있는 제1투과홀(7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바디(711)는 상기 안착면(541)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바디(711)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아래로 볼록한 구면 또는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541)은 너비가 깊이보다 더 큰 깔대기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실링바디(710)도 너비가 깊이보다 더 큰 깔대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안착면(541)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실링바디(71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541)은 외주면에서 상기 통과홀(550)을 향할수록 직경 또는 너비가 작아지게 구비되고, 상기 제1실링바디(710)도 외주면에서 상기 제1투과홀(721)을 향할수록 직경 또는 너비가 작아지게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실링바디(711)는 하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안착면에 면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실링바디(711)는 상기 안착면(541)에 안착되어 상기 지지홀더(540) 외부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바디(711)의 직경 또는 너비는 지지하는 상기 거치부(400)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300)의 하부면 축방향 두께 또는 너비 보다 더 넓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실링바디(711)는 상기 거치부(400) 또는 동력전달부(300)가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움직이는 전체 과정에서 상기 거치부(400) 또는 동력전달부(300)의 하부면을 지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실링바디(711)는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지지홀더(540) 보다 경도, 강도, 비중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큰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바디(711)는 상기 안착면(541)에 안착되어 상기 강체부(320)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바디(711)는 상기 강체부(320)의 하부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통과홀(550)을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강체부(320)에 연결바(322)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실링바디(711)는 내주면에 구비되는 제1투과홀(721)을 통해 상기 연결바(322)를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투과홀(721)은 상기 연결바(322) 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연결바(322)가 상기 제1투과홀(721)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할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바(322)가 진자운동을 하더라도 상기 제1투과홀(721)에 방해받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투과홀(721)의 직경은 상기 강체부(320)의 축방향 두께보다 더 작게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강체부(320)의 하부면은 상기 제1투과홀(721)을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강체부(320)는 상기 제1투과홀(721)을 기준으로 상기 제1투과홀(721)의 상부에서 진자운동을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강체부(320)의 하부면은 항상 상기 제1투과홀(721)을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실링바디(711)는 통과홀(550)을 차폐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강체부(320)는 상기 제1실링바디(711)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제1투과홀(721)을 차폐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통과홀(550) 및 상기 제1투과홀(721)로 열풍 또는 스팀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실링부(700)는 상기 제1실링바디(710)를 상기 지지홀더(540)에서 이탈하거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고정부(7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731)는 상기 제1실링바디(711) 또는 상기 제1투과홀(721)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통과홀(550)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는 돌출링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731)의 직경은 상기 통과홀(550)의 직경과 같거나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고정부(731)는 상기 통과홀(5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731)는 상기 제1실링바디(711)의 하부면 또는 상기 제1투과홀(721)의 내주면에서 하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731)는 단면이 상기 통과홀(550)의 내주면에 지지될 수 있는 후크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제1실링바디(711)가 상기 강체부(720)의 움직임에 의해 가압되거나, 회전축(210) 또는 의류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전달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1고정부(731)가 통과홀(550)의 내주면에 지지되어 상기 제1실링바디(711)가 상기 안착면(541)에서 이탈하거나 미끌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고정부(731)로 인해 상기 제1실링부(701)의 배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731)는 하부면이 상기 안착면(541)의 하부 또는 지지플레이트(510)의 하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731)가 돌출된 길이는 상기 통과홀(550)의 상하방향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고정부(731)가 상기 이너케이스(20) 내부에 있는 구성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28는 상기 제1실링부(701)의 작동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28(a)를 참조하면, 상기 안착면(541)의 상부면의 너비는 상기 강체부(320)가 상기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전체영역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실링부(701)의 전체 직경은 상기 강체부(320)가 상기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는 최대 영역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강체부(320)는 상기 제1실링바디(711)에 항상 지지되어 움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실링바디(711)의 최대반지름은 상기 강체부(320)의 하부면이 상기 제1실링바디(711) 외주면으로 가장 멀리 이동할 때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투과홀(721)의 직경은 상기 강체부(320)의 하부면이 상기 실링바디(711)의 내주면으로 가장 가깝게 이동할 때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강체부(320)는 상기 제1투과홀(721)을 항상 차폐할 수 있고, 상기 제1실링바디(71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28(b)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축(210)이 회전하여, 상기 베어링부(310)의 축이 상부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강체부(320)의 축도 상기 베어링부(310)의 축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강체부(320)의 하부면의 왼쪽 부분은 더 제1실링바디(711)의 외주면을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강체부(320)의 하부면의 오른쪽 부분은 상기 제1실링바디(711)의 투과홀(721)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때에도, 상기 강체부(320)의 하부면 왼쪽부분은 제1실링바디(711)의 외주면 보다 안쪽에 배치되고, 상기 강체부(320)의 하부면 오른쪽 부분은 상기 제1투과홀(721) 보다 바깥쪽에 배치된다.
도28(c)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축(210)이 더 회전하여, 상기 베어링부(310)와 상기 강체부(320)의 축이 높이를 기준으로는 상기 회전축(210)과 나란할 수 있다.
물론 이경우에도,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강체부(320)의 하부면 중 최외각부분은 제1실링바디(711)의 외주면 보다 안쪽에, 상기 강체부(320)의 최내각부분은 상기 제1투과홀(721) 보다 바깥쪽에 배치된다.
도24(d)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축(210)이 회전하여, 상기 베어링부(310)의 축이 하부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강체부(320)의 축도 상기 베어링부(310)의 축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강체부(320)의 하부면의 왼쪽 부분은 상기 제1실링바디(711)의 투과홀(721)을 향하여 이동한고, 상기 강체부(320)의 하부면의 오른쪽 부분은 더 제1실링바디(711)의 외주면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때에도, 상기 강체부(320)의 하부면 오른쪽부분은 제1실링바디(711)의 외주면 보다 안쪽에 배치되고, 상기 강체부(320)의 하부면 왼쪽 부분은 상기 제1투과홀(721) 보다 바깥쪽에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실링바디(711)는 상기 통과홀(550)을 차폐하면서 상기 강체부(320)을 지지할 수 있고, 상기 강체부(320)는 상기 제1투과홀(721)을 지속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도2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실링부(7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실링부(700)는 상기 통과홀(550)에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400)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300)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실링부(7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29(a)를 참조하면, 상기 제2실링부(702)는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에 끼워지면서 상기 통과홀(550)을 차폐하는 실링바디(710)와, 상기 실링바디(710)를 관통하여 상기 거치플레이트(710)가 통과하는 통과홀(720)과, 상기 실링바디(710)을 상기 통과홀(550) 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에 결합시키는 고정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29(b)를 참조하면, 상기 제2실링부(702)는 복수의 거치플레이트(410)에 모두 끼워진 상태에서 복수의 통과홀(550)을 차폐하다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부(702)는 전체가 탄성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통과홀(550)을 기준으로 상기 실링바디(710)의 형태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실링부(702)는 상기 거치플레이트(410)가 진자운동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상기 통과홀(550)을 지속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도30은 상기 제2실링부(702)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모든 실시예에서 공통적으로, 상기 제2실링부(702)는 탄성재질로 구비되는 제2실링바디(7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바디(712)는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에 끼워져 상기 통과홀(550)을 밀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2실링바디(712)는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에 결합되거나 안착되면서 상기 통과홀(550)을 밀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바디(712)는 주름관 구조로 구비되어 형태가 가변되거나 길이가 신장 또는 압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실링바디(712)는 상기 통과홀(550) 보다 면적이 더 크게 구비되어 상기 통과홀(550)을 차폐하며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의 일부를 수용하는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실링바디(712)는 상기 통과홀(550)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주름관 또는 다단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투과홀(722)는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의 면적보다 조금 작게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투과홀(722)은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제2투과홀(722)로 열풍 또는 스팀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부(702)는 상기 제2실링바디(712)에서 연장되어 상기 통과홀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7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732)는 상기 제2실링바디(712)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실링바디(712)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되는 수축부(7322)와, 상기 수축부(7322)의 하부에서 상기 수축부(7322) 보다 직경이 더 크게 연장되는 확장부(73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축부(7322)와 상기 확장부(7321)로 인해 상기 제2실링부(702)는 주름관과 같이 너비방향이나 연직방향으로 모두 일정길이 연장되거나 수축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7321)의 단면적 또는 너비는 상기 통과홀(550)의 면적 또는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실링바디(712)의 단면적 또는 너비는 상기 통과홀(550)의 면적 또는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바디(712)는 내부에서 상기 제2실링바디(712)의 면적을 확장하고 상기 소축부(7322) 보다 면적을 크게 유지시키는 유지링(712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지링(7121)은 상기 제2실링바디(712)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실링바디(712)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바디(712)의 상부면은 상기 홀더지지부(4133)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투과홀(722)의 내주면은 상기 함몰홈부(4133a)에 끼워져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실링바디(712)의 상부면은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에 구비되는 함몰홈부(4133a)에 끼워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거치플레이트(410)는 상기 함몰홈부(4133a)에서 상기 제2실링바디(712)의 상부면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확장부(4133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확장부(4133d)는 상기 함몰홈부(4133a) 보다 직경이 더 크게 될 수 있다.
도30(a)를 참조하면, 상기 확장부(7321)는 상기 통과홀(550)의 외주면에 안착되어 상기 통과홀(550)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수축부(7322)는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거치부(410)와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하중에 의해 지지플레이트(510)를 향하여 가압될 뿐, 상부로 들리는 경우는 없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서, 상기 제2실링바디(712)의 전체 높이는 상기 홀더지지부(4133)와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의 간격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실링부(702)는 상기 통과홀(550)이 배치된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에 안착되어 상기 통과홀(550)을 밀폐하고, 상기 거치부(400)의 진장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도30(b)를 참조하면, 상기 확장부(7321)는 상기 지지플레이트(510)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축부(7322)는 상기 통과홀(550)에 끼워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실링바디(712)는 상기 통과홀(550)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확장부(7321)와 상기 수축부(7322)는 상기 통과홀(550)에 삽입되어 상기 통과홀(55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치플레이트(410)가 진자운동하거나, 일시적인 진동이나 충격이 상기 제2실링부(702)에 전달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2실링부(702)는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에서 분리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닛 11 도어
12 프레임 20 이너케이스 21 수용공간
22 상부면 23 관통홀
30 기계실 31 스팀통 32 수집통 33 히트펌프
331 압축기 332 응축기 333 증발기 334 팽창밸브 335 송풍팬
34 덕트 341 배출덕트 342 흡입덕트
35 스팀발생부 40 압박부
100 무빙행어 200 구동부
210 구동바 211 축홈
220 구동모터 230 회전결합부
300 동력전달부
310 베어링부 311 경사관 3111 경사돌기 3114 고정링
312 회전베어링 3121 내륜 3122 외륜 3123 회전부재
331 경사베어링 320 강체부 321 강체바디
3211 수용내주면 3212 지지링 3213 지지외주면
3214 강화홀 3215 강화리브 322 연장바(bar)
323 결합바디
400 거치부 410 거치플레이트
411 제1플레이트 412 제2플레이트
413 결합플레이트 4131 결합단부
4132 플레이트바디 4133 홀더지지부
420 걸이부 430 접촉부
440 매개부 450 결합부재 460 관통부재
500 지지부 510 지지플레이트 511 메인바디 513 강화비드
512 결합바디 520 축결합부 530 지지기둥
540 지지홀더 541 안착면 542 연장면 543 강화면
700 실링부 710 실링바디(밀폐부)
800 옷걸이 810 고리부 820 옷걸이 본체 830 의류집게

Claims (15)

  1.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이너케이스;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이너케이스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에 공급되는 열풍 또는 스팀을 생성하는 기계실;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에 노출되어 상기 의류 또는 옷걸이가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이너케이스 외부에서 상기 이너케이스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거치부를 흔들도록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케이스는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로 열풍 또는 스팀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가 통과하는 투과홀과,
    상기 투과홀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통홀을 밀폐하는 실링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바디는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케이스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서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홀과 마주하며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가 통과하는 통과홀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바디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안착되어 상기 통과홀을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내주면에 상기 통과홀이 구비되는 지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바디는
    상기 지지홀더에 안착되어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더는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함몰되어 구비되어 움직이는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안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바디는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어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하부와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바디는 내주면이 아래로 볼록한 구면 또는 곡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바디는 하부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바디의 너비는 지지하는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하부면 너비 보다 더 넓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은 너비가 깊이보다 더 큰 깔대기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실링바디는 하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안착면에 면접촉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실링바디 또는 상기 투과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통과홀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는 돌출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링의 직경은 상기 통과홀의 직경과 같거나 작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바디는
    상기 통과홀에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탄성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바디는
    상기 통과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주름관 또는 다단구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실링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통과홀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통과홀의 내주면에 안착되는 수축부와,
    상기 수축부 보다 직경이 더 크게 연장되어 상기 수축부를 상기 통과홀에 고정시키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실링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통과홀에 안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통과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안착되는 확장부와,
    상기 획장부 보다 직경이 작게 연장되는 수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68356A 2021-11-30 2021-11-30 의류처리장치 KR2023008084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356A KR20230080845A (ko) 2021-11-30 2021-11-30 의류처리장치
PCT/KR2022/019188 WO2023101408A1 (ko) 2021-11-30 2022-11-30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356A KR20230080845A (ko) 2021-11-30 2021-11-30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845A true KR20230080845A (ko) 2023-06-07

Family

ID=86612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356A KR20230080845A (ko) 2021-11-30 2021-11-30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80845A (ko)
WO (1) WO202310140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665B1 (ko) * 2004-05-13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KR101456210B1 (ko) * 2008-08-19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2369597B1 (ko) * 2017-12-08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2630196B1 (ko) * 2019-02-28 2024-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00030414A (ko) * 2018-09-12 2020-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1408A1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9067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CN1085270C (zh) 具有减振器的洗衣机
EP238947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6042951B2 (ja) 衣類処理装置
EP2711450A2 (en) Laundry machine having a drying function
US20120159717A1 (en) Control method of laundry machine
EP2387632B1 (en) Laundry machine
AU2011318847B2 (en)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RU2530375C2 (ru)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EP2435623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laundry machine
US20230138542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2391761B1 (en) Laundry machine
KR2023008084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8084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80844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80846A (ko) 의류처리장치
US9003839B2 (en) Laundry machine
US20120151689A1 (en) Control method of laundry machine
EP3556925B1 (en) Suspension arrangement for a top load type laundry apparatus
KR101498081B1 (ko) 세탁장치
JP6807698B2 (ja) ドラム式洗濯機及び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2592052B1 (ko) 회전 가능한 걸이형 의류관리기
KR10184866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752410B1 (ko) 세탁장치
KR20220144288A (ko) 의류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