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772A - brew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brew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772A
KR20230080772A KR1020210168239A KR20210168239A KR20230080772A KR 20230080772 A KR20230080772 A KR 20230080772A KR 1020210168239 A KR1020210168239 A KR 1020210168239A KR 20210168239 A KR20210168239 A KR 20210168239A KR 20230080772 A KR20230080772 A KR 20230080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fermented beverage
cleaning
fermented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2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창훈
김윤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더케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더케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더케그
Priority to KR1020210168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0772A/en
Publication of KR20230080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77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3/00Brew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C12C1/00 - C12C12/04
    • C12C13/10Home brew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1/00Fermentation processes for beer
    • C12C11/003Fermentation of beerwort
    • C12C11/006Fermentation tank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3/00Brew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C12C1/00 - C12C12/04
    • C12C13/02Brew ke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22Pressurised rigid containers, e.g. kegs, fig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41Do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주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문적인 지식이나 양조설비가 없더라도 수제 발효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발효음료 제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발효음료를 저장한 케그를 각각 수용하도록 내부에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를 갖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동시에 상기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메인도어; 상기 챔버 내부에 구비되는 케그와 연결되어 다른 케그와는 독립적으로 발효음료를 제조하도록 케그마다 구비되는 복수 개의 유로모듈; 상기 복수 개의 유로모듈 각각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발효음료 유로; 상기 메인도어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에 수용된 발효음료를 외부로 취출하는 단일 코크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어셈블리; 상기 복수 개의 발효음료 유로와 상기 단일 코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발효음료 유로로부터 유입되는 발효음료를 상기 단일 코크로 제공하는 취출유로; 그리고 상기 메인도어의 전방에서 상기 단일 코크 하부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트레이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유로모듈의 세척은 개별적으로 수행되며, 세척 후의 세정액은 상기 발효음료 유로와 취출유로를 거쳐 상기 단일 코크를 통해서 상기 트레이 탱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음료 제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producing a homemade fermented beverage without professional knowledge or brewing equipmen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binet having an upper chamber and a lower chamber therein to accommodate kegs storing fermented beverages, respectively; a main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simultaneously open and close the upper chamber and the lower chamber; A plurality of flow path modules provided for each keg to be connected to kegs provided inside the chamber to produce fermented beverages independently of other kegs; a plurality of fermented beverage passage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assage modules; a dispenser assembly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of the main door and including a single cock for dispensing the fermented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upper chamber and the lower chamber to the outside; a take-out passag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fermented beverage passages and the single coke to supply the fermented beverage flowing from the plurality of fermented beverage passages to the single coke; And a tray tank provided at a distanc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ingle cock in front of the main door, the plurality of flow path modules are individually washed, and the washing solution after cleaning passes through the fermented beverage flow path and the discharge flow path to the single flow path module. A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discharged to the tray tank through the coke may be provided.

Description

발효음료 제조장치{brewing apparatus}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brew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발효주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문적인 지식이나 양조설비가 없더라도 수제 발효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발효음료 제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producing a homemade fermented beverage without professional knowledge or brewing equipmen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맥주는 보리를 싹 틔워 만든 맥아로 즙을 만들어 여과한 후에 홉(hop)을 첨가하고 효모로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Beer is an alcoholic drink made by making juice from malt made by sprouting barley, filtering it, adding hops, and fermenting it with yeast.

이러한 맥주의 제조방법은 맥아를 끓여서 맥즙(wort)을 제조하는 단계와, 맥즙에 효모(yeast)를 공급하여 발효시키는 단계와, 발효된 맥주를 숙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슈퍼나 마트 등에서 판매되는 맥주는 위와 같이 제조된 맥주를 유통 및 보관을 위해 살균처리를 한 후 병이나 캔에 담겨지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This beer manufacturing method consists of a step of boiling malt to produce wort, a step of fermenting by supplying yeast to the wort, and a step of aging the fermented beer. Beer is sterilized for distribution and storage, and then goes through a process of being bottled or canned.

그러나, 숙성된 맥주를 살균처리하게 되면 효모가 죽게 되기 때문에, 현재 유통되고 있는 맥주는 살균처리 과정에서 효모가 죽은 상태의 맥주들이다.However, since the yeast is killed when the aged beer is sterilized, currently distributed beers are beers in which the yeast is killed during the sterilization process.

반면, 수제 맥주는 효모가 살아있는 상태의 맥주로서, 맥주의 맛과 향을 높이기 위해 직접 생산하는 특색 있는 맥주를 말하는데, 이러한 수제 맥주는 양조 생산 설비가 있는 특별한 곳에서만 맛볼 수 있으며, 어떠한 효모와 홉(hop)을 첨가하느냐에 따라 10만 종 이상의 다양한 종류의 수제 맥주 제조가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craft beer is a beer in which yeast is alive, and refers to a unique beer produced directly to enhance the taste and aroma of beer. Such craft beer can only be tasted in special places with brewing production facilities, and any yeast and hops Depending on whether hops are added, more than 100,000 different types of craft beer can be made.

그러나, 수제 맥주는 복잡하고 다양한 제조과정을 거쳐야만 가능하며, 특히 발효와 숙성 과정에서 막대한 설비투자와 긴 제조시간, 많은 노동인력 등이 필요하며, 제조 전 과정을 전문인력이 직접 관리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제조시스템이다.However, craft beer can only be made through complex and diverse manufacturing processes. In particular, huge equipment investment, long manufacturing time, and a lot of labor are required in the fermentation and maturation process. It is a manufacturing system.

또한, 맥즙 제조 후 발효를 위해서는 맥즙통에 담겨진 맥즙을 발효를 위한 발효통으로 옮겨 담는 공정이 필요하며, 이때 외부 접촉으로 인한 오염 및 산소 접촉으로 인한 맥주 품질 저하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발효시 효모 외에 다른 균이 없도록 모든 접촉면과 유로를 세척살균해야 하며, 그에 따라 많은 시간과 노동 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for fermentation after wort production, a process of transferring the wort contained in the wort to the fermentation vat for fermentation is required. At this time, contamination due to external contact and deterioration in beer quality due to oxygen contact may occur. All contact surfaces and passages must be washed and sterilized so that there are no other germs, an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t of time and labor are required.

즉, 종래 수제 맥주 제조를 위해서는 막대한 설비투자와 장비 및 인력이 필요하며, 수제 맥주 제조를 소규모로 하고자 할 때에도 수억의 설비투자 및 많은 인력을 고용하여야 하며, 특히 수제 맥주 제조에 관한 전문지식 또는 전문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In other words, conventional craft beer manufacturing requires enormous investment in equipment, equipment, and manpower, and even when craft beer manufacturing is to be carried out on a small scale, hundreds of millions of investment in equipment and a large number of manpower must be employed, especially expertise or expertise in craft beer manufacturing. There is a problem with the need for manpower.

한편, 종래의 맥주 제조장치는 한 번에 많은 양의 맥즙을 만들어 대용량의 맥주를 하나의 탱크에서 발효하여 생산하였으나, 이러한 공정은 맥주에 약간의 오염이라도 생기면 전체 맥주가 오염되어 쓸 수 없거나 팔리지 않을 때 장기간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맥주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beer manufacturing apparatus, a large amount of beer is produced by fermenting a large amount of beer in one tank by making a large amount of wort at onc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quality of the beer deteriorated because it had to be stored for a long tim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17-0119868 (이하 "선행특허1"라 한다)에서는 적정한 양의 수제 맥주를 제조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수제 맥주를 제조할 수 있는 맥주 제조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7-011986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Patent 1") discloses a beer manufacturing device capable of producing an appropriate amount of craft beer and various kinds of craft beer. has initiated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는 수제 맥주의 제조 관점을 고려할 뿐 제조된 맥주가 어떻게 취출되는지 등 디스펜서 관점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선행특허는 맥주가 취출되는 유로 그리고 이러한 유로의 세정이나 살균 관점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However, the above prior patent considers only the viewpoint of manufacturing craft beer and does not consider the viewpoint of the dispenser, such as how the manufactured beer is dispensed. Therefore, the prior patent does not consider the viewpoint of cleaning or sterilizing the channel through which the beer is dispensed.

선행특허에 따른 제조장치는 육각 단면을 가지고 상하로 총 12개의 챔버를 갖는다. 그리고 사용자는 이동하지 않고 제조장치를 좌우로 회전시켜 원하는 챔버에 접근할 수 있다. The manufact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patent has a hexagonal cross section and has a total of 12 chambers vertically. In addition, the user can access the desired chamber by rotating the manufacturing device left and right without moving.

일례로 케그의 용량은 대략 18 리터이므로, 선행특허에서 개시된 제조장치는 부피가 상대적으로 클 수밖에 없다. 또한, 제조장치가 좌우로 회전하기 때문에 복수 제조장치가 나란히 구비되는 경우, 설치 공간이 상대적으로 넓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업용으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For example, since the capacity of the keg is approximately 18 liters, the manufacturing apparatus disclosed in the prior patent is bound to be relatively bulky. In addition, since the manufacturing apparatus rotates left and right, when a plurality of manufacturing apparatuses are provided side by side, the installation space is bound to be relatively wid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suitable for commercial use.

이러한 이유로, 선행특허에 따른 제조장치는 가정용이나 소형 업소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선행특허들에 따른 제조장치는 상업용이라 하더라도 고객이 직접 맥주를 취출할 수 있는 셀프 업소용이나 동시에 여러 종류의 맥주가 취출되어 소비되어야 하는 업소용으로도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For this reaso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patent may not be suitable for home use or small businesses. In addition, even i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patents is commercial, it may not be suitable for a self-service store where customers can take out beer directly or for a business where several types of beer must be taken out and consumed at the same time.

그러므로, 종래 수제 맥주 분야의 문제 그리고 선행특허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craft beer field and the problems of prior patents.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ai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가정용 또는 소형 상업용에 적합한 발효음료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suitable for home use or small commercial us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복수 개의 발효주를 서로 독립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독립적으로 세정할 수 있는 발효음료 제조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코크 내부 세정 빈도를 줄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코크 내부를 세정할 수 있는 발효음료 제조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apable of independently producing and independently cleaning a plurality of fermented liquors. In particula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apable of effectively cleaning the inside of the coke while reducing the frequency of cleaning the inside of the cok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디스펜서와 공용챔버를 메인도어에 구비되도록 하여 공간활용 및 사용이 매우 편리한 발효음료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fermented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that is very convenient to use and utilize space by providing a dispenser and a common chamber to the main doo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메인도어에 서브도어 및 공용챔버가 구비되도록 하여, 메인도어의 개방이 없이도 공용챔버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발효음료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can easily access the common chamber without opening the main door by providing a sub-door and a common chamber to the main doo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세정 시 사용한 세정수를 용이하게 배출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용이한 발효음료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별도의 드레인탱크를 생략하여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직관적으로 유로들의 세정이 가능한 발효음료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is easy to use by easily discharging and treating the washing water used during washing. In particula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fermented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capable of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and intuitively cleaning channels by omitting a separate drain tank.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발효음료를 저장한 케그를 각각 수용하도록 내부에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를 갖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동시에 상기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메인도어; 상기 챔버 내부에 구비되는 케그와 연결되어 다른 케그와는 독립적으로 발효음료를 제조하도록 케그마다 구비되는 복수 개의 유로모듈; 상기 복수 개의 유로모듈 각각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발효음료 유로; 상기 메인도어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에 수용된 발효음료를 외부로 취출하는 단일 코크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어셈블리; 상기 복수 개의 발효음료 유로와 상기 단일 코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발효음료 유로로부터 유입되는 발효음료를 상기 단일 코크로 제공하는 취출유로; 그리고 상기 메인도어의 전방에서 상기 단일 코크 하부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트레이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유로모듈의 세척은 개별적으로 수행되며, 세척 후의 세정액은 상기 발효음료 유로와 취출유로를 거쳐 상기 단일 코크를 통해서 상기 트레이 탱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음료 제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binet having an upper chamber and a lower chamber therein to accommodate kegs storing fermented beverages, respectively; a main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simultaneously open and close the upper chamber and the lower chamber; A plurality of flow path modules provided for each keg to be connected to kegs provided inside the chamber to produce fermented beverages independently of other kegs; a plurality of fermented beverage passage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assage modules; a dispenser assembly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of the main door and including a single cock for dispensing the fermented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upper chamber and the lower chamber to the outside; a take-out passag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fermented beverage passages and the single coke to supply the fermented beverage flowing from the plurality of fermented beverage passages to the single coke; And a tray tank provided at a distanc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ingle cock in front of the main door, the plurality of flow path modules are individually washed, and the washing solution after cleaning passes through the fermented beverage flow path and the discharge flow path to the single flow path module. A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discharged to the tray tank through the coke may be provided.

상기 취출유로는 상기 복수 개의 발효음료 유로와 각각 연결되도록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취출유로의 말단들은 상기 단일 코크의 말단 내부 인근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일 코크 내에서 서로 다른 유로를 통세 서로 다른 음료가 취출될 수 있다. 이는 비록 단일 코크를 통해서 복수 개의 음료가 취출되지만 실질적으로 취출 시 단일 코크 내에서 유로의 공유가 배제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빈번한 코크 세척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The take-out passage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ermented beverage passages. It is preferable that ends of the plurality of take-out passages extend to an inner vicinity of an end of the single cock. Accordingly, different beverages can be dispensed through different channels within a single cock. This means that although a plurality of beverages are dispensed through a single cock, the sharing of flow channels within a single cock is substantially excluded during dispensing. Thus, frequent caulk washing is not required.

상기 유로모듈은 상기 케그와 결합되는 커플러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모듈의 세척 시에 상기 케그를 대신하여 상기 커플러와 결합되어 상기 유로모듈을 폐루프 유로로 형성하는 커플러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발효음료의 제조 및 보관 시에 커플러는 케그와 결합되며, 발효음료 제조 전 또는 발효음료 소비 완료 후 유로모듈의 세척 시 커플러는 커플로 홀더와 결합될 수 있다. The flow path module may include a coupler coupled to the keg, and may include a coupler holder coupled to the coupler instead of the keg to form the flow path module into a closed loop flow path when cleaning the flow path module. That is, the coupler may be combined with the keg during production and storage of the fermented beverage, and the coupler may be coupled with the holder as a couple when cleaning the flow module before manufacturing the fermented beverage or after consuming the fermented beverage.

상기 유로모듈은 상기 유로모듈을 순환하는 세정액을 수용하는 중간탱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탱크는 발효음료의 제조 및/또는 보관 시 인퓨징 성분을 제공하는 인퓨징 탱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효모를 제공하는 효모 탱크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Preferably, the flow path module includes an intermediate tank accommodating the cleaning liquid circulating through the flow path module. The intermediate tank may function as an infusing tank for providing infusing ingredients during production and/or storage of fermented beverages. Of course, it can also serve as a yeast tank for providing yeast.

상기 유로모듈은 정역으로 구동되어 상기 세정액이 상기 유로모듈을 정역방향으로 순환시키는 펌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flow path module includes a pump that is driven forward and reverse to circulate the washing liquid through the flow path module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상기 복수 개의 유로모듈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유로모듈의 세척 후 상기 유로모듈이 플러싱되도록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a carbon dioxide flow path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low path modules and supplying carbon dioxide so that the flow path module is flushed after cleaning the flow path module.

상기 이산화탄소 유로는 발효음료의 제조 및/또는 보관 시에는 케그 내부와 연결되어 케그 내의 압력을 유지하고 발효음료 취출 시 취출 압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carbon dioxide flow path may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keg during production and/or storage of the fermented beverage to maintain pressure in the keg and provide an extraction pressure when dispensing the fermented beverage.

상기 플러싱을 위한 이산화탄소는 상기 발효음료 유로와 취출유로를 거쳐 상기 단일 코크를 통해서 상기 트레이 탱크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arbon dioxide for the flushing is preferably discharged to the tray tank through the single cock through the fermented beverage passage and the take-out passage.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는 상기 단일 코크를 상기 메인도어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이격시키는 디스펜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 바디는 취출 위치와 세정 위치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dispenser assembly includes a dispenser body that separates the single cock forwardly from the front of the main door, and the dispenser body is movable up and down between a take-out position and a cleaning position.

즉, 세정 시에 디스펜서 바디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코크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액이 곧바로 트레이 탱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at is, during clean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enser body moves downward so that the cleaning liquid discharged from the cork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tray tank.

상기 디스펜서 바디가 세정 위치로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세정 위치 감지부를 포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a cleaning position detector for sensing whether the dispenser body is moved to a cleaning position is included.

취출 위치에서 세정액이 코크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별도의 용기를 코크에 위치시켜 세정 완료까지 사용자가 용기를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용기가 없는 경우, 배출되는 세정액이 트레이 탱크로 유입되지만 많은 부분이 트레이 탱크 주변으로 튈 수 있다. In the drawing position, the washing liquid can be discharged into the coke. However, in this case, since a separate container is placed on the cork, the user has to hold the container until the cleaning is completed, which is inconvenient. If there is no container, the discharged cleaning liquid flows into the tray tank, but a large portion may splash around the tray tank.

따라서, 세정 위치 감지부를 통해서 디스펜서 바디가 세정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에만 세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cleaning may be performed only when the dispenser body is moved to the cleaning position through the cleaning position detector.

즉, 사용자가 세정 시작을 입력하면 세정 위치 감지부를 통해서 디스펜서 바디가 세정 위치로 이동된 것을 확인하고, 이후 세정이 시작될 수 있다. 또한, 세정 위치 감지부를 통해서 디스펜서 바디가 세정 위치로 이동된 경우에만 세정 시작 입력이 가능하고 이후 세정이 시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That is, when the user inputs the start of cleaning, it is confirmed through the cleaning position sensor that the dispenser body has moved to the cleaning position, and thereafter, cleaning may begin. In addition, the washing start input may be performed only when the dispenser body is moved to the washing position through the washing position detector, and then washing may be started.

마찬가지로, 상기 트레이 탱크가 상기 메인도어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탱크 장착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정액을 수용할 트레이 탱크가 미장착된 상태로 세정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Similarly, a tank mounting detector for sensing whether the tray tank is mounted on the main door may be included. This is because cleaning can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tray tank for accommodating the cleaning liquid is not mounted.

어느 경우에나, 상기 디스펜서 바디가 상기 세정 위치로 이동된 경우에 상기 유로모듈을 세척하는 세정모드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ny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cleaning mode for cleaning the flow path module is performed when the dispenser body is moved to the cleaning position.

상기 디스펜서 바디는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엑츄에이터를 통해서 디스펜서 바디가 자동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엑츄에이터는 기어 박스를 포함하고, 디스펜서 바디에 종동 기어를 구비하여 디스펜서 바디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dispenser body may be automatically moved. That is, the dispenser body may be automatically moved up and down through the actuator. The actuator may include a gear box and may automatically move the dispenser body by providing a driven gear to the dispenser body.

상기 유로모듈을 세척하는 세정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펜서 바디가 자동으로 상기 세정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세정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세정이 완료되면 디스펜서 바디는 자동으로 취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When a cleaning mode for cleaning the flow path module is selected, the cleaning mode may be performed after the dispenser body is automatically moved to the cleaning position. When cleaning is completed, the dispenser body may be automatically moved to a take-out position.

상기 취출유로는 취출되는 발효음료에서 거품 발생을 저감하기 위하여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거품저감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 바디의 상하 이동 시 상기 거품저감유로가 탄성 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dispensing passage includes a foam reducing passage formed in a coil shape to reduce foaming in the fermented beverage to be dispensed, and the foam reducing passage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dispenser body moves up and down.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발효음료를 저장한 케그를 각각 수용하도록 내부에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를 갖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동시에 상기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메인도어; 상기 챔버 내부에 구비되는 케그와 연결되어 다른 케그와는 독립적으로 발효음료를 제조하도록 케그마다 구비되는 복수 개의 유로모듈; 상기 복수 개의 유로모듈 각각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발효음료 유로; 상기 메인도어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에 수용된 발효음료를 외부로 취출하는 단일 코크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어셈블리; 상기 복수 개의 발효음료 유로와 상기 단일 코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발효음료 유로로부터 유입되는 발효음료를 상기 단일 코크로 제공하는 취출유로; 그리고 상기 메인도어의 전방에서 상기 단일 코크 하부에 구비되는 트레이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유로모듈의 세척은 개별적으로 수행되며, 세척은 상기 상기 코크가 취출 위치에서 상기 트레이 탱크와 인접하는 세정 위치로 이동된 후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음료 제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binet having an upper chamber and a lower chamber therein to accommodate kegs storing fermented beverages, respectively; a main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simultaneously open and close the upper chamber and the lower chamber; A plurality of flow path modules provided for each keg to be connected to kegs provided inside the chamber to produce fermented beverages independently of other kegs; a plurality of fermented beverage passage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assage modules; a dispenser assembly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of the main door and including a single cock for dispensing the fermented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upper chamber and the lower chamber to the outside; a take-out passag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fermented beverage passages and the single coke to supply the fermented beverage flowing from the plurality of fermented beverage passages to the single coke; and a tray tank provided under the single cock in front of the main door, wherein the plurality of flow path modules are individually cleaned, and the cleaning is performed at a cleaning position adjacent to the tray tank at the cock take-out position. A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after moving to may be provided.

세척 후의 세정액은 상기 발효음료 유로와 취출유로를 거쳐 상기 단일 코크를 통해서 상기 트레이 탱크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washing liquid after washing is discharged to the tray tank through the single cock via the fermented beverage passage and the take-out passage.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유로들을 세척한 후의 세정액은 모두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트레이 탱크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로 드레인 탱크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는 드레인 탱크를 장착시킬 공간 확보의 불필요, 드레인 탱크의 넘침 방지 제어 불필요 그리고 드레인 탱크로의 접근 불필요라는 매우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ll of the cleaning liquid after cleaning the channels may be discharged to the tray tank provided in the dispenser.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drain tank. This means that a very large effect can be expected, such as no need to secure a space for mounting the drain tank, no need to control the overflow of the drain tank, and no need to access the drain tank.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ai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가정용 또는 소형 상업용에 적합한 발효음료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suitable for home use or small commercial us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복수 개의 발효주를 서로 독립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독립적으로 세정할 수 있는 발효음료 제조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코크 내부 세정 빈도를 줄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코크 내부를 세정할 수 있는 발효음료 제조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ermented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apable of independently producing and independently cleaning a plurality of fermented liquor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apable of effectively cleaning the inside of the coke while reducing the frequency of cleaning the inside of the cok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디스펜서와 공용챔버를 메인도어에 구비되도록 하여 공간활용 및 사용이 매우 편리한 발효음료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ermented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that is very convenient to use and utilize space by providing a dispenser and a common chamber to the main doo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메인도어에 서브도어 및 공용챔버가 구비되도록 하여, 메인도어의 개방이 없이도 공용챔버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발효음료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can easily access the common chamber without opening the main door by providing a sub-door and a common chamber to the main doo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세정 시 사용한 세정수를 용이하게 배출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용이한 발효음료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erment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that is easy to use by easily discharging and treating the washing water used during washing.

특히, 별도의 드레인탱크를 생략하여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직관적으로 유로들의 세정이 가능한 발효음료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particular, by omitting a separate drain tank,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ermented beverage that can increase space utilization and intuitively clean channel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전면을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측면을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수직 단면을 도시하고,
도 4는 유로모듈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고,
도 5는 코크를 통한 발효음료의 취출과 세정수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 구성을 도시하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에서 메인도어 전면의 전면 패널과 보조 도어가 생략된 장치의 전면을 도시하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평면을 도시하고, 특히 메인도어와 캐비닛 사이에 유로링크를 통한 유로 연결을 도시하고,
도 8은 유로모듈을 포함한 유로들을 세정하는 제1세정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9는 유로모듈을 포함한 유로들을 세정하는 제2세정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10은 유로모듈을 포함한 유로들을 세정하는 제3세정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효음료 제조장치의 제어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1 shows a front view of a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side view of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vertical cross-section of a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flow path module;
5 shows a flow path configuration for taking out fermented beverages through coke and discharging washing water;
6 shows the front of the device in which the front panel and the auxiliary door are omitted from the device shown in FIG. 1;
FIG. 7 shows a plan view of the device shown in FIG. 1, and in particular shows a flow path connection through a euro link between a main door and a cabinet;
8 schematically shows a first cleaning process for cleaning channels including a channel module;
9 schematically shows a second cleaning process for cleaning channels including a channel module;
10 schematically shows a third cleaning process for cleaning channels including a channel module;
11 shows a control configuration of a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발효주는 맥주 또는 막걸리와 같이 맥즙과 같은 원액을 발효시켜 제조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맥주를 발효음료의 일예로 상정하여 설명한다. 맥주를 전제로 한 용어들이 설명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는 발효음료의 일례인 맥주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fermented liquor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prepared by fermenting an undiluted liquid such as wort, such as beer or makgeolli. In this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be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fermented beverage. Terms based on the premise of beer may be described, but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beer, which is an example of a fermented beverag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효음료 제조장치는 발효음료 취출장치일 수도 있다. 즉, 발효음료를 제조하고 취출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발효음료를 제조하지 않고 제조된 발효음료를 취출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ermented beverage dispensing device. That is, it may be a device for producing and dispensing a fermented beverage, or may be a device for dispensing a fermented beverage produced without producing a fermented beverag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효주 제조장치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fermented win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장치의 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Figure 1 shows the front side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Figure 2 shows the side of the device.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메인도어(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the device 1 may include a cabinet 2 and a main door 3 forming an outer shape.

메인도어(3)에는 메인도어 핸들(3a)이 구비될 수 있다. 메인도어 핸들(3a)은 메인도어의 측면이 일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인도어 핸들(3a)을 잡고 용이하게 메인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The main door 3 may be provided with a main door handle 3a. The main door handle 3a may be formed by partially recessing a side surface of the main door. The user can easily open and close the main door by holding the main door handle 3a.

캐비닛(2)은 기계실 하우징(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 하우징(9)은캐비닛(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 하우징(9)은 상기 캐비닛(2)과 별도로 제작된 후 상기 캐비닛(2) 상부에 장착되어 내부에 기계실을 형성할 수 있다. The cabinet 2 may include a machine room housing 9 . The machine room housing 9 may be located above the cabinet 2 . The machine room housing 9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cabinet 2 and then mounted on top of the cabinet 2 to form a machine room therein.

기계실은 캐비닛(2) 후방에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캐비닛(2)의 하부 후방에 구비될 수도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계실은 냉동 사이클을 이루는 구성들을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있다. The machine room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abinet 2 , and may be particularly provided at the lower rear of the cabinet 2 .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machine room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components constituting a refrigeration cycle.

캐비닛(2)의 내부에는 챔버(10, 도 3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내부가 상하로 구획되어 복수 개의 챔버(10)가 구비될 수 있다. 챔버(10) 내부에는 발효음료를 저장하는 케그(keg)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챔버 내부에서 발효음료가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된 발효음료가 냉장 저장될 수 있다. A chamber 10 (see FIG. 3)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2. The interior of the cabinet may be partitioned vertically to include a plurality of chambers 10 . Inside the chamber 10, a keg for storing a fermented beverage may be accommodated. A fermented beverage may be prepared inside the chamber, and the prepared fermented beverage may be refrigerated.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냉장실과 냉동실을 하나의 메인도어로 개방하는 가정용 냉장고와 유사한 캐비닛 타입 장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챔버(10)는 저장실이라 할 수 있으며, 상하로 구획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cabinet type device similar to a household refrigerator that opens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through a single main door. Accordingly, the chamber 10 may be referred to as a storage compartment and may be partitioned vertically.

맥즙과 같은 원액이 케그에 수용되어 상기 챔버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발효 과정을 거쳐 맥주가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조된 맥주는 메인도어(3)의 전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 어셈블리(100)를 통해서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물론, 제조된 맥주가 케그에 수용되어 상기 챔버 내부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100)를 통해서 외부로 취출될 수도 있다. Raw liquid such as wort may be accommodated in a keg and stored inside the chamber. Thereafter, beer may be produced through a fermentation process. In addition, the manufactured beer may be taken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penser assembly 100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main door 3 . Of course, the manufactured beer may be accommodated in a keg and stored in the chamber, and may be taken out through the dispenser assembly 100 to the outside.

디스펜서 어셈블리(100)는 디스펜서 바디(105)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펜서 바디(105)에는 맥주가 취출되는 코크(110)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펜서 바디(105)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맥주가 취출되는 취출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취출유로는 각각의 케그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코크(110) 내부에는 케그 개수와 같은 취출유로가 구비되며, 취출유로는 세정수 탱크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취출유로의 세정이 수행될 수 있다. The dispenser assembly 100 may include a dispenser body 105, and the dispenser body 105 may include a cork 110 through which beer is dispensed. The dispenser body 105 is provided to protrude forward and may have a dispensing passage for dispensing beer therei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take-out passage may be connected to each keg. Accordingly, a take-out flow path equal to the number of kegs is provided inside one cock 110, and the take-out flow path may be connected to the washing water tank. Through this, cleaning of the ejection passage may be performed.

또한, 디스펜서 바디(105)에는 버튼(130)이 구비될 수 있다. 버튼(130)을 누르면 맥주가 취출될 수 있다. 버튼(130)이 아닌 레버 형태로 취출 입력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Also, a button 130 may be provided on the dispenser body 105 . When the button 130 is pressed, beer may be dispensed. A take-out input un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lever instead of a button 130 .

상기 버튼(13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즉, 챔버별로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1번 버튼을 누르면 상부 챔버에 수용된 케그의 발효음료가 취출되고 2번 버튼을 누르면 하부 챔버에 수용된 케그의 발효음료가 취출될 수 있다. 각각의 챔버에 수용된 발효음료 정보는 디스플레이(150)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The button 13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hat is, a button may be provided for each chamber. When button 1 is pressed, the fermented beverage of the keg accommodated in the upper chamber can be taken out, and when button 2 is pressed, the fermented beverage of the keg accommodated in the lower chamber can be taken out. Fermented beverage information accommodated in each chamber will be able to check through the display 150.

디스펜서 어셈블리(100)는 메인도어(2)에서 후방으로 함몰된 디스펜서 리세스(1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맥주를 담는 맥주잔은 일부가 리세스(15)에 삽입된 후, 상기 맥주 잔에 맥주가 취출될 수 있다. The dispenser assembly 100 may include a dispenser recess 15 recessed backward from the main door 2 . Therefore, after a part of the beer mug containing beer is inserted into the recess 15, beer can be dispensed into the beer mug.

상기 리세스(15)는 메인도어의 전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 패널(121)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The recess 15 may be formed through the dispenser panel 121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door.

디스펜서 어셈블리(100)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15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전체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각 챔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각 케그에 수용된 맥주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취출되는 케그를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1번 케그에는 A 맥주 2번 케그에는 B 맥주가 수용된 경우, A 맥주 취출을 원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에서 1번 케그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맥주잔은 코크(100) 하부에 위치시킬 후 버튼(130)을 누르면 A 맥주가 취출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0)를 통해서 맥주 정보를 확인하고, 취출하고자 하는 맥주가 저장된 챔버에 해당되는 버튼(130)을 누를 수도 있을 것이다. A display 150 may be provided on top of the dispenser assembly 100 . A user may check the status of the entire device or each chamber through the display 150 . The display may display beer information accommodated in each keg, and may be provided to select a keg to be taken out. For example, when beer A is accommodated in keg No. 1 and beer B is accommodated in keg No. 2, and beer A is desired to be taken out, keg No. 1 can be selected from the display. After the beer mug is placed under the cork 100, beer A can be taken out by pressing the button 130. Of course, as described above, beer information may be checked through the display 150 and the button 130 corresponding to the chamber storing the beer to be taken out may be pressed.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캐비닛(2) 내부에 구비되는 케그로부터 메인도어(3)의 전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 어셈블리(100)를 통해 맥주가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케그로부터 하나의 코크를 통해 맥주가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After all,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eer can be taken out from the keg provided inside the cabinet 2 through the dispenser assembly 100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door 3. That is, beer may be taken out from a plurality of kegs through one cork.

상기 메인도어(3)는 단일 도어임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메인도어(3)가 전체 캐비닛(2)에 대응될 수 있다. 메인도어(3)가 개방됨으로써 캐비닛(2) 내부의 복수 개의 챔버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챔버가 동시에 개방되어 외부에서 케그를 수용하는 챔버들 전체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도어(3)는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main door 3 is preferably a single door. That is, one main door 3 may correspond to the entire cabinet 2 . When the main door 3 is opened, a plurality of chambers inside the cabinet 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at is, a plurality of chambers are simultaneously opened to allow access to all of the chambers accommodating kegs from the outsid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door 3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디스펜서 어셈블리(100)는 사용자가 맥주를 용이하게 취출하기 위하여 메인도어(3)의 전방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펜서(3)의 하부에는 트레이 탱크(5)가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 탱크(5)에는 잔류 맥주 등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 탱크(5)는 메인도어(3)에 착탈이 용이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트레이 탱크(5)의 비움 및 세척 시 트레이 탱크(5)가 메인도어(3)로부터 분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The dispenser assembly 100 may be located in the front upper part of the main door 3 so that the user can easily take out the beer. Also, a tray tank 5 may be provided under the dispenser 3 . Residual beer or the like may be accommodated in the tray tank 5 .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y tank 5 is easily detachable from the main door 3 . This is because the tray tank 5 must be separated from the main door 3 when the tray tank 5 is emptied and wash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레이 탱크(5)는 발효음료를 취출하고 나서 코크(110)에 떨어지는 잔류 발효음료의 저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유로들을 세정하고 난 세정액 내지 세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사항은 후술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y tank 5 is configured to store not only the residual fermented beverage falling into the coke 110 after taking out the fermented beverage, but also the cleaning liquid or cleaning water after cleaning the flow channels. can Details 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상기 트레이 탱크(5)는 일부분이 상기 리세스(15)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트레이 탱크(5)를 리세스(15)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트레이 탱크(5)의 뒷부분이 리세스(15)의 하부에 형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tray tank 5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ss 15 and mounted. When the tray tank 5 is positioned above the recess 15 and moved downward, the rear portion of the tray tank 5 may be molded a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recess 15 .

상기 트레이 탱크(5)는 리세스(15)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위치된다. 왜냐하면 트레이 탱크(5)의 전후좌우 중심이 대략 코크(110)의 직하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The tray tank 5 is positioned protruding forward from the recess 15. This is becau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ay tank 5 be positioned directly below the caulk 110.

또한, 트레이 탱크(5)는 코크(110)에 소정 거리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다양한 크기의 맥주 잔을 들고 맥주를 취출할 수 있도록 여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tray tank 5 is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the coke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is is to secure a free space so that beer can be taken out while holding beer glasses of various sizes.

맥주 잔에 잔류하는 소량의 맥주를 그대로 트레이 탱크로 버리거나 소량의 맥주가 코크를 통해 트레이 탱크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트레이 탱크 주위로 맥주가 튀는 경우가 없다. 그러나, 코크를 통해서 상당한 양의 액체가 트레이 탱크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주위로 많은 양의 액체가 튈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 탱크(5) 주위가 오염될 여지가 많다. When a small amount of beer remaining in the beer glass is dumped into the tray tank as it is or when a small amount of beer flows into the tray tank through the cork, the beer does not splash around the tray tank. However, when a considerable amount of liquid flows into the tray tank through the cork, a large amount of liquid may splash around. Therefore, there is a lot of room around the tray tank 5 to be contaminated.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110) 특히 디스펜서 바디(105)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취출 위치와 세정 위치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cock 110 and, in particular, the dispenser body 105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That is, it is preferable to be movable up and down between the take-out position and the cleaning position.

이를 위해서, 상기 디스펜서 바디(105)는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러한 슬라이딩 이동은 디스펜서 패널(121)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20)을 통해서 이뤄질 수 있다. To this end, the dispenser body 105 is provided to slide vertically, and this sliding movement can be performed through a guide rail 120 formed on the dispenser panel 121 .

상부의 취출 위치(실선으로 도시된 디스펜서 바디, 도 2 참조)에서 발효음료의 취출이 수행될 수 있으며, 하부의 취출 위치(점선으로 도시된 디스펜서 바디, 도 2 참조)에서 세정수 내지 세정액이 코크를 통해 트레이 탱크(5)로 유입시킬 수 있다. 세정액은 세정 후 버려지는 액체이므로 코크를 최대한 트레이 탱크 상부로 위치시키거나 트레이 탱크 내부로 위치시킴으로써, 세정액이 주위로 튀지 않고 용이하게 트레이 탱크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Fermented beverage can be taken out at the upper dispensing position (dispenser body shown in solid line, see FIG. 2), and washing water or washing liquid is coke at the lower dispensing position (dispenser body shown in dotted line, see FIG. 2) It can be introduced into the tray tank (5) through. Since the cleaning liquid is a liquid that is discarded after cleaning, the cleaning liquid can be easily accommodated in the tray tank without splashing to the surroundings by positioning the cork as much as possible above the tray tank or inside the tray tank.

상기 메인도어(3)에는 서브도어(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4)는 메인도어(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도어에 다른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4)는 상기 트레이 탱크(5)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The main door 3 may be provided with a sub door 4. The sub door 4 may be rotatably provided on the main door 3 . That is, one door may be provided with another door. The subdoor 4 may be located below the tray tank 5 .

서브도어(4)는 메인도어(3)의 하부에서 메인도어(3)의 전후 두께 중 전방 부분의 일부를 이루므로 상대적으로 그 두께가 얇다. 따라서, 메인도어 핸들(3a)과 같이 메인도어에 형성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서브도어(4)는 누름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서브도어를 밀면 탄성력에 의해서 서브도어가 일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sub-door 4 forms part of the front part of the front and rear thickness of the main door 3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door 3, its thickness is relatively thin. Therefore, it is not easy to be formed on the main door like the main door handle 3a. Accordingly, the subdoor 4 may be formed as a push type. It is preferable to partially open the subdoor by an elastic force when the subdoor is pushed in a closed state.

상기 서브도어(4)는 상기 메인도어(3)의 내부 특히 메인도어(3)의 하부에 구비되는 보조 챔버(20, 도 3 참조)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챔버(20)는 케그가 수용되는 챔버(10)와 구분하기 위해 공용챔버(20)라 할 수 있다. 케그가 수용되는 챔버는 그 위치에 따라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라 할 수 있다. The sub-door 4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an auxiliary chamber 20 (see FIG. 3) provided inside the main door 3, particularly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door 3. Here, the auxiliary chamber 20 may be referred to as a common chamber 20 to distinguish it from the chamber 10 in which the keg is accommodated. The chamber in which the keg is accommodated may be referred to as an upper chamber and a lower chamber depending on its location.

캐비닛(2)의 하부에는 장치(1)를 지면에 대해서 지지하기 위한 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전방 좌우에는 지지 패드(6)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 좌우에는 캐스터(7)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 패드(6)는 지지 레그라 할 수도 있으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2) 전방을 상부로 들어올리면 후방 양쪽의 캐스터(7)만으로 캐비닛(2)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캐스터(7)의 구름을 이용하여 캐비닛을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Components for supporting the device 1 on the ground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abinet 2 . For example, support pads 6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In addition, casters 7 may be provided on the rear left and right sides. The support pad 6 may be referred to as a support leg and may be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able. When the front of the cabinet 2 is lifted upward, the cabinet 2 can be supported only by the casters 7 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At this time, the cabinet can be easily moved to a desired position using the roll of the caster 7 .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장치의 수직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3,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3 shows a vertical section of the device.

캐비닛(2)의 내부에는 상하 두 개의 챔버(10)가 구비되며 상기 챔버(10)의 후방에는 상기 챔버(2) 내부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챔버 후방에는 냉기가 유동하는 덕트(30)가 구비되며, 덕트(30)와 각 챔버를 연통시키는 연통구(31, 32)가 구비될 수 있다. Two upper and lower chambers 10 ar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2, and components for supplying cold air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2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hamber 10. Specifically, a duct 30 through which cold air flows is provided behind the chamber, and communication ports 31 and 32 communicating the duct 30 and each chamber may be provided.

연통구는 챔버의 후방 상부와 연결되는 상부 연통구(31)와 챔버의 후방 하부와 연결되는 하부 연통구(32)가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연통구(32)에는 팬(33)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챔버 내부에 냉기 공급 및 냉기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팬(33)이 구동될 수 있다. 팬이 구동되면 냉기는 하부 연통구(32)를 통해 챔버(10) 내부로 유입된 후 챔버 내부를 냉각시키고 상부 연통구(33)를 통해서 챔버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된 냉기는 덕트(30)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냉기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hole may include an upper communication hole 31 connected to the rear upper part of the chamber and a lower communication hole 32 connected to the rear lower part of the chamber. A fan 33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communication port 32 . Accordingly, the fan 33 may be driven to supply cool air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and adjust the amount of cool air. When the fan is driven, cold air flows into the chamber 10 through the lower communication hole 32, cools the inside of the chamber,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hamber through the upper communication hole 33. The discharged cold air flows into the duct 30 . Thus, circulation of cold air can be achieved.

상기 덕트(30) 내부 또는 덕트(30)의 후방에는 증발기(40)가 구비될 수 있다. 팬(33)이 구동되면 덕트(30) 내부의 공기가 유동하므로, 증발기(40)와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져 공기가 냉각될 수 있다. An evaporator 40 may be provided inside the duct 30 or behind the duct 30 . Since the air inside the duct 30 flows when the fan 33 is driven, heat exchange occurs between the evaporator 40 and the air so that the air can be cooled.

기계실(50)은 캐비닛(2)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기계실(50) 내부에는 압축기(60), 응축기(51) 그리고 응축기 팬(52)이 구비될 수 있다. 냉동사이클을 구동하면 압축기(60)와 응축기 팬(52)이 구동되며, 응축기에서 냉매와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져 냉매가 응축될 수 있다. 응축된 냉매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후 증발기(40)로 공급된다. The machine room 50 may be located above the cabinet 2, and a compressor 60, a condenser 51, and a condenser fan 52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chine room 50. When the refrigeration cycle is driven, the compressor 60 and the condenser fan 52 are driven, and heat is exchanged between the refrigerant and air in the condenser so that the refrigerant can be condensed. The condensed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evaporator 40 after being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한편, 기계실(50)과 덕트(30) 사이에는 전원공급장치(70)가 구비될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70)는 장치(1)에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전환하여 각종 제어 구성들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전원공급장치(70)를 방열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냉기 순환 과정에서 외부 공기가 전원공급장치(70)로 유입되어 전원공급장치(70)를 용이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Meanwhile, a power supply 7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achine room 50 and the duct 30 . The power supply device 70 performs a function of converting commercial AC power input to the device 1 into DC power and supplying it to various control components. In this process, it is necessary to dissipate heat from the power supply device 70 . Therefore, in the cold air circulation process,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power supply device 70 to easily cool the power supply device 70 .

각각의 챔버(10)에는 유로모듈(200)이 구비될 수 있다. 유로모듈(200)은 케그와 연결되어 케그 내부의 맥주를 발효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유로모듈(200)에서 맥즙의 이동 그리고 탄산가스의 이동을 제어하여 맥주를 제조할 수 있다. 유로모듈(200)은 챔버(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다른 유로모듈(200)과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3에는 유로모듈(200)을 구성하는 중간탱크(260)가 도시되어 있다.A flow path module 200 may be provided in each chamber 10 . The flow module 200 may perform a function of fermenting beer inside the keg by being connected to the keg. Beer can be manufactured b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wort and carbon dioxide gas in the flow path module 200 . The flow path module 200 may be located above the chamber 10, and may be provided independently from other flow path modules 200 and independently controlled. 3 shows an intermediate tank 260 constituting the flow path module 200 .

캐비닛(2)의 상부에는 유로링크(90)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기계실(50) 내부에 유로링크(9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로링크(90)는 메인도어(3)와 캐비닛(2) 사이에서 유체가 이동되는 유로를 안내하고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들은 맥주가 취출되기 위해 이동하는 취출유로와 이산화탄소가 이동하는 이산화탄소유로일 수 있다. 또한, 유로모듈(200) 내부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유로일 수도 있다. 유로링크(90)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An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2 may be provided with a euro link 90 . In particular, at least a portion of the euro link 90 may be located inside the machine room 50. The flow path link 90 may be provided to guide and support a flow path through which fluid moves between the main door 3 and the cabinet 2 . These passages may be a dispensing passage through which beer is dispensed and a carbon dioxide passage through which carbon dioxide is moved. Also, it may be a washing water passage for cleaning the inside of the passage module 200 . Details of the Eurolink 90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유로모듈(200)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flow path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케그(80)는 원액을 수용하고 상기 원액을 발효 등의 제조과정을 거쳐서 발효주로 제조하게 된다. 그리고, 발효주는 케그(80)에 수용된다. 즉, 원액으로부터 제조된 발효주가 모두 소비될 때까지 원액 및 제조주는 항상 동일한 케그(80)에 구비된다. 물론, 일부의 원액은 발효주 제조과정에서 유로모듈 내에서 이동되지만 결국 발효주로 제조 완료된 상태에서는 모두 케그 내부로 회수된다. The keg 80 accommodates the stock solution and manufactures the stock solution into fermented liquor through a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fermentation. Then, the fermented liquor is accommodated in the keg 80. That is, the stock solution and the brewed liquor are always provided in the same keg 80 until all of the fermented liquor produced from the stock solution is consumed. Of course, some of the stock solution is moved in the flow path module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ermented liquor, but all of them are recovered into the keg when the fermented liquor is finished.

케그(80)에는 케그 캡(500)이 구비되며, 원액이 수용되고 케그 캡이 장착된 상태로 케그(80)가 챔버 내부에 위치된 후, 케그 캡은 커플러(27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그(80) 내부에는 원액이 완전히 채워지지 않고 케그 내부의 상부에는 공기 내지는 이산화탄소가 채워질 수 있다. 물론, 질소가 채워질 수도 있다. The keg 80 is provided with a keg cap 500, and after the undiluted solution is accommodated and the keg 80 is positioned inside the chamber with the keg cap mounted, the keg cap can be combined with the coupler 270. The inside of the keg 80 may not be completely filled with the undiluted solution, and air or carbon dioxide may be filled at the top of the inside of the keg. Of course, nitrogen can also be filled.

상기 케그 캡(500)에는 원액호스(510)가 장착되어 있으며, 원액호스(510)는 케그(80) 내부에서 케그 바닥면 인근까지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The keg cap 500 is equipped with a undiluted hose 510, and the undiluted hose 510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inside of the keg 80 to the vicinity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keg.

케그 캡(500)은 케그 내외부 사이에서 원액(액상)이 출입되기 위한 유로와 가스(기상)가 출입되기 위한 유로 구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원액이 출입되는 유로는 원액호스와 직접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가스가 출입되는 유로는 케그의 최상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양자가 서로 독립적인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270)는 케그의 캡(500)과 결합 시, 케그 내부를 원액유로(210) 및 가스유로(230)와 독립적으로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The keg cap 500 may be formed to divide a flow path through which raw liquid (liquid phase) flows in and out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gas (gas phase) flows in and out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keg.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undiluted solution comes in and ou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undiluted solution hose. And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gas comes in and out communicates with the uppermost part of the keg. Therefore, both can form flow paths independent of each other. When coupled with the cap 500 of the keg, the coupler 270 is provided to independently connect the inside of the keg to the undiluted liquid flow path 210 and the gas flow path 230 .

원액유로(210)는 원액이 유동되는 유로이며, 가스유로(230)는 가스가 유동되는 유로이다. 특히, 발효주 제조과정에서 원액이나 발효주가 이동하는 유로를 원액유로(210)라 하고, 발효주 제조과정에서 가스가 유동되는 유로를 가스유로(230)라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스유로(230)는 발효주의 취출 시 이산화탄소를 케그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로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The crude liquid flow path 210 is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liquid flows, and the gas flow path 230 is a flow path through which gas flows. In particular, a flow path through which undiluted liquor or fermented liquor mov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fermented liquor may be referred to as a crude liquid flow path 210,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gas flow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fermented liquor may be referred to as a gas flow path 230. Of course, the gas passage 230 may form a part of a passage through which carbon dioxide is introduced into the keg when the fermented liquor is taken out.

커플러(270)를 기준으로 원액유로(210)와 가스유로(230)가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중간탱크(260)를 기준으로 원액유로(210)와 가스유로(230)가 구분될 수 있다. 도 4에는 원액유로(210)는 실선 그리고 가스유로(230)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Based on the coupler 270, the crude liquid flow path 210 and the gas flow path 230 may be distinguished. In addition, the crude liquid flow path 210 and the gas flow path 230 may be divided based on the intermediate tank 260 . In FIG. 4 , the crude liquid flow path 210 is a solid line and the gas flow path 230 is a dotted line.

발효주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케그에 수용된 원액의 적어도 일부를 케그 외부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일례로, 원액에 효모를 공급하는 과정이나 원액을 인퓨징하는 과정 등에서 원액의 적어도 일부가 케그 외부로 이동된 후 다시 케그 내부로 이동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원액이 이동되는 유로를 원액유로(210)라 할 수 있다. In order to manufacture fermented liquor, it is necessary to move at least a part of the stock solution contained in the keg to the outside of the keg. 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supplying yeast to the stock solution or infusing the stock solu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tock solution needs to be moved out of the keg and then moved back into the keg. A channel through which the stock solution is moved may be referred to as a stock solution channel 210 .

케그(80) 내의 원액을 케그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펌프(219)가 구비될 수 있다. 펌프(219)는 원액유로(210)에 구비되며, 펌프(219)를 통해 유입된 원액은 중간탱크(260)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커플러(270)로부터 펌프를 경유하여 중간탱크(260)까지를 원액유로(210)라 할 수 있다. 또한, 펌프(219)의 역방향 구동 시 중간탱크(260) 내부의 원액이 펌프(219)를 통해서 케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커플러(270)와 펌프(219) 사이의 유로를 제1원액유로(211) 그리고 펌프(219)와 중간탱크(260) 사이의 유로를 제2원액유로(220)라 할 수 있다. A pump 219 may be provided to move the stock solution in the keg 80 out of the keg. The pump 219 is provided in the undiluted solution passage 210, and the undiluted solution introduced through the pump 219 may be supplied to the intermediate tank 260. Therefore, the undiluted solution flow path 210 may be referred to as the intermediate tank 260 from the coupler 270 via the pump. In addition, when the pump 219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raw liquid inside the intermediate tank 260 may flow into the keg through the pump 219. The flow path between the coupler 270 and the pump 219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rude liquid flow path 211 and the flow path between the pump 219 and the intermediate tank 260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rude liquid flow path 220 .

상기 제1원액유로(211)는 원액호스(510)와 직접 연결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펌프(219)가 케그 내의 원액을 흡입할 때 제1원액유로(211) 상에 공기나 가스가 유입되지 않고 원액만 흡입될 수 있다. 즉, 펌프(219)를 원액유로(210) 상에 구비시킴으로써, 펌프의 구동 시 원액유로 내부에 음압이 발생되는 탱크와 같은 구성이 배제될 수 있다. 즉, 펌프 제어와 음압 해제와의 시간상 딜레이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원액 이동을 위한 펌프의 제어가 정밀하게 되며, 원액유로 상에서의 압력 편차가 완만하게 발행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펌프의 정밀 제어 및 펌프 내구성 증진이 가능하게 된다. The first undiluted solution passage 21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undiluted solution hose 510 . In other words, when the pump 219 sucks the undiluted solution in the keg, only the undiluted solution can be sucked without introducing air or gas into the first undiluted solution passage 211 . That is, by providing the pump 219 on the undiluted solution flow path 210, a configuration such as a tank in which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side the undiluted solution flow path when the pump is driven can be excluded. That is, there is no time delay between pump control and negative pressure release. Therefore, the control of the pump for moving the stock solution becomes precise, and the pressure deviation on the stock solution flow path can be issued gently.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precisely control the pump and improve pump durability.

펌프(219)를 구동하여 케그 내부의 원액을 중간탱크(260)로 이동시킬 때, 본 실시예에서는 케그(80)와 중간탱크(260) 사이에 펌프(219)가 구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펌프가 구동되면 즉각적으로 원액이 흡입되어 펌프를 통해서 중간탱크로 이동될 수 있다. When the pump 219 is driven to move the liquid inside the keg to the intermediate tank 260, in this embodiment, it can be said that the pump 219 is provided between the keg 80 and the intermediate tank 260. Therefore, when the pump is driven, the undiluted solution is immediately sucked in and can be moved to the intermediate tank through the pump.

제1원액유로(211)에는 유량계(213)와 펌프밸브(216)가 구비될 수 있다. 펌프(219)가 구동되면서 케그 내부로부터 원액이 유량계 및 펌프밸브를 거쳐 펌프(219)로 유입될 수 있다. 펌프밸브(216)는 원액유로(210)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이며, 펌프(219) 구동 시 개방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A flow meter 213 and a pump valve 216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crude liquid passage 211 . While the pump 219 is driven, the raw liquid from the inside of the keg may be introduced into the pump 219 through the flow meter and the pump valve. The pump valve 216 is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ndiluted solution passage 210, and is preferably controlled to open when the pump 219 is driven.

상기 유량계(213)는 정량의 원액이 유동되도록 유량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감지된 유량을 통해서 펌프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컴팩트한 제1원액유로(211)를 구성하기 위해, 유량계의 양단에 각각 엘보(212, 214)가 연결될 수 있으며, 엘보는 일방향 엘보일 수 있다. The flow meter 213 performs a function of detecting a flow rate so that a fixed amount of stock solution flows, and pump control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detected flow rate. In order to configure the compact first crude liquid flow path 211, elbows 212 and 214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lowmeter, respectively, and the elbow may be a one-way elbow.

피팅에서 양 방향은 양쪽에서 튜브가 연결될 수 있는 소켓이 구비된 것을 의미하고, 일 방향은 한쪽에만 튜브가 연결될 수 있는 소켓이 구비된 것을 의미한다. 소켓이 없는 쪽에는 관 형태로 노출되어 이러한 관이 다른 피팅의 소켓과 연결되거나 플렉서블 튜브 내부에 삽입되어 플렉서블 튜브와 결합될 수 있다. In the fitting, both directions mean that sockets to which tubes can be connected are provided on both sides, and one direction means that sockets to which tubes can be connected are provided only on one side. The side without the socket is exposed in the form of a tube so that the tube can be connected to the socket of another fitting or inserted into the flexible tube to be combined with the flexible tube.

엘보(214)는 티(215)와 연결되고, 티(215)는 펌프밸브(213)와 연결되고, 펌프밸브(213)는 엘보(217)를 통해서 'U'자형 곡관(218)과 연결될 수 있다. 곡관은 펌프(219)와 연결될 수 있다. The elbow 214 is connected to the tee 215, the tee 215 is connected to the pump valve 213, and the pump valve 213 can be connected to the 'U' shaped bend pipe 218 through the elbow 217. there is. The bend may be connected to the pump 219.

상기 티(215)는 제1원액유로(211)가 분지되는 분지점을 형성하고, 상기 분지점에 발효주를 취출하기 위한 발효음료 유로(330)와 연결될 수 있다. 발효음료 유로(330)에는 발효음료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취출밸브(331)가 구비되며, 취출밸브(331)는 엘보(332)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발효주가 맥주인 경우 상기 발효음료 유로는 맥주유로라 할 수 있다. 이후의 발효음료 유로(330)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tee 215 may form a branch point at which the first undiluted liquid flow path 211 is branched,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ermented beverage flow path 330 for dispensing fermented liquor at the branch point. The fermented beverage flow path 33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valve 331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ermented beverage flow path, and the discharge valve 331 may be connected to the elbow 332. Here, when the fermented beverage is beer, the fermented beverage flow path may be referred to as beer oil. The subsequent configuration of the fermented beverage flow path 330 will be described later.

따라서, 분지점을 기준으로, 펌프밸브(216)는 제1원액유로에서 분지점과 펌프(219) 사이에 구비된다. 그리고, 분지점을 기준으로, 유량계는 분지점과 커플러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분지점을 기준으로, 분지점의 하류측에는 발효음료 유로(3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취출밸브(331)가 구비될 수 있다. Therefore, based on the branch point, the pump valve 216 is provided between the branch point and the pump 219 in the first raw liquid flow path. And, based on the branch point, the flow meter is provided between the branch point and the coupler. In addition, based on the branch point, a discharge valve 331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ermented beverage flow path 330 may be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branch point.

한편, 펌프(219)에서 토출된 원액은 제2원액유로(220)를 통해서 중간탱크(260)의 용기(26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2원액유로(22)에는 수위센서(221)가 구비될 수 있다. 수위센서는 엘보(22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원액유로(220)는 탱크 커플러(250)의 원액연결구(252)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원액은 제2원액유로(220)로부터 원액연결구(252)를 거쳐 용기(261)로 유입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tock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pump 219 may flow into the container 261 of the intermediate tank 260 through the second stock solution passage 220 . A water level sensor 221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liquid flow path 22 . The water level sensor may be connected to the elbow 222. The second undiluted solution passage 220 may be connected to the undiluted solution connector 252 of the tank coupler 250 . That is, the stock solution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261 from the second stock solution passage 220 through the stock solution connector 252 .

여기서, 용기(261)의 용량은 상대적으로 케그의 용량보다 작다. 따라서, 용기 내부에 과도한 양의 원액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2원액유로(220) 상에 수위센서(221)를 설치하여 펌프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Here, the capacity of the container 261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capacity of the ke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an excessive amount of stock solution from flowing into the container. Accordingly, the driving of the pump can be controlled by installing the water level sensor 221 on the second liquid flow path 220 .

구체적으로, 상기 수위센서(221)는 중간탱크 내부의 수위를 센싱하는 것이 아니라 수위센서(221) 내부에 액체가 흐르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전극을 이용하여 액체를 감지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중간냉크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의 수위를 간접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water level sensor 221 is not for sensing the water level inside the intermediate tank, but for sensing the flow of liquid inside the water level sensor 221. The water level of the liquid flowing into the middle tank may be indirectly calculated based on the point of time when the liquid is sensed using the electrode.

즉, 인퓨징을 위해서는 원액이 적정한 수위를 갖도록 중간탱크(260) 내부에 유입되어야 한다. 반면에 효모를 투입하는 과정에서는 중간탱크 내부로 원액이 투입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수위센서(221)가 액체를 감지한 후 일정 시간 원액이 중간탱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인퓨징 과정에서이다. 반면에, 효모 투입 과정에서는 수위센서(221)가 액체를 감지하기 전에 펌프의 구동을 멈추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위센서가 액체를 감지하면 즉각적으로 펌프의 구동을 멈추도록 제어될 수 있다. That is, for infusing, the undiluted solution must flow into the intermediate tank 260 to have an appropriate water level. 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adding yeast, there is no need to add the undiluted solution into the intermediate tank. Therefore, after the water level sensor 221 detects the liquid, the stock solution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termediate tank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is is during the infusing process. On the other hand, in the yeast input process, it is preferable to stop driving the pump before the water level sensor 221 detects the liquid, and when the water level sensor detects the liquid, the pump can be controlled to immediately stop driving.

펌프의 정방향 구동일 때, 케그 내부의 원액은 원액유로(210)를 통해서 중간탱크(260)로 공급된다. 펌프의 역방향 구동일 때, 중간탱크(260) 내부의 원액은 원액유로(210)를 통해서 케그 내부로 유입된다. 즉, 펌프의 정역 구동을 통해서 원액의 이동 방향은 바뀌게 되며, 이 과정에서 원액에 효모를 공급하거나 원액에 인퓨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펌프의 구동 방향과 원액의 유동 방향은 반대일 수도 있다. When the pump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stock solution inside the keg is supplied to the intermediate tank 260 through the stock solution passage 210. When the pump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stock solution inside the intermediate tank 260 is introduced into the keg through the stock solution passage 210. That i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ock solution is changed through forward and reverse driving of the pump, and in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supply yeast to the stock solution or infuse the stock solution. Of cours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pump and the flow direction of the stock solution may be opposite.

상기 중간탱크(260)와 탱크 커플러(250)의 연결관계는 커플러(270)와 케그 캡(500)의 연결관계와 동일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mediate tank 260 and the tank coupler 250 may be the same as that between the coupler 270 and the keg cap 500.

즉, 액상은 원액연결구(252) 및 이와 직결되는 탱크호스(265)를 통해서 탱크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탱크 커플러(250)의 가스연결구(251)는 중간탱크의 캡(162)과 연결된다. 즉, 탱크 내부의 상부 공간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탱크 커플러(250)는 중간탱크(260)와 연결되면서 원액유로(210)와 가스유로(230)를 독립적으로 연결한다. 결국, 케그 내부와 중간탱크 내부는 액체와 기체 사이에서 버퍼링이 수행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That is, the liquid phase is introduced into the tank through the undiluted solution connector 252 and the tank hose 265 directly connected thereto. And, the gas connector 251 of the tank coupler 250 is connected to the cap 162 of the intermediate tank. That is,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space inside the tank. Accordingly, the tank coupler 250 independently connects the raw liquid flow path 210 and the gas flow path 23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tank 260 . After all, the inside of the keg and the inside of the intermediate tank can be said to be a space in which buffering is performed between liquid and gas.

여기서, 펌프(219)는 유로모듈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즉, 위치 에너지가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U'자형 곡관(281)은 펌프(219)의 역 구동시 펌프 양단에서 급격한 압력차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펌프의 역 구동시 실질적으로 중간탱크 내부에 수용되는 원액이 모두 배출될 수 있는데, 원액이 모두 배출되는 시기에 펌프의 양단에 급격한 압력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Here, the pump 219 is preferably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flow path module. That is, potential energy can be positioned high. The 'U'-shaped bend pipe 281 can prevent a sudden pressure difference from occurring at both ends of the pump 219 when the pump 219 is driven in reverse. When the pump is driven in reverse, substantially all of the stock solution accommodated in the intermediate tank may be discharged, and a sudden pressure difference may occur at both ends of the pump at the time when all of the stock solution is discharged.

따라서, 'U'자형 곡관을 통한 수두차를 인위적으로 형성하여 펌프(219)의 양단에서 급격한 압력차이의 발생을 방지하여 펌프를 보호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pump by preventing a rapid pressure difference from occurring at both ends of the pump 219 by artificially forming a water head difference through the 'U'-shaped bend pipe.

원액을 통해서 발효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펌프밸브(215)는 펌프(219)의 작동과 연동되어 개폐될 수 있다. 반면에, 제조 과정에서는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발효주 전의 원액을 취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발효음료 유로(330) 상의 취출밸브(331)는 발효주 제조 과정에서 항상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취출을 위해서, 펌프밸브(215)가 폐쇄되어 원액유로(210)에서의 유동은 배제되고, 취출밸브(331)가 개방되어 발효음료 유로에서의 유동이 발생될 것이다.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fermented liquor through the undiluted solution, the pump valve 215 may be opened and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pump 219. On the other han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undiluted solution before fermentation is not taken out unless there is a special reas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ake-off valve 331 on the fermented beverage flow path 330 is always closed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Of course, for dispensing, the pump valve 215 is closed to exclude the flow in the undiluted liquid flow path 210, and the dispensing valve 331 is opened to generate flow in the fermented beverage flow path.

케그 내부의 원액은 발효되며, 이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이산화탄소가 발생된다. 물론, 적정한 이산화탄소 압력이 유지될 필요가 있지만, 과도한 이산화탄소에 의한 압력은 해소될 필요가 있다. The undiluted solution inside the keg is fermented, and carbon dioxide is inevitably generated during this process. Of course, an appropriate carbon dioxide pressure needs to be maintained, but the pressure caused by excessive carbon dioxide needs to be relieved.

과도한 가스 압력을 해소하는 과정에서 원액의 일부가 가스와 함께 배출될 수 있으며, 특히 거품이 가스와 함께 배출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relieving excessive gas pressure, a part of the raw liquid may be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gas, and in particular, bubbles may be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gas.

따라서, 이산화탄소와 같은 가스를 적절히 처리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원액유로(210)와 가스유로(230) 사이의 혼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스 배출 시 거품이나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어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필요가 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perly treat gas such as carbon dioxide, and in this process, i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prevent mixing between the raw liquid flow path 210 and the gas flow path 230.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prevent contamination caused by the discharge of bubbles or foreign substances to the outside during gas discharge.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탱크(260)와 커플러(270) 사이에 가스유로(230)를 형성할 수 있다. 커플러(270)를 통해서 케그 상부 공간이 원액호스(510)와 독립적으로 가스유로(230)와 연통될 수 있다. To this e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gas flow path 230 may be formed between the intermediate tank 260 and the coupler 270 . The upper space of the keg may communicate with the gas flow path 230 independently of the undiluted solution hose 510 through the coupler 270 .

구체적으로, 커플러(270)로부터 제1가스유로(231)가 형성되며 분지점을 지나 제2가스유로(242)는 탱크 커플러(250)의 가스연결구(251)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가스연결구(251)는 탱크의 캡(262)을 통해 용기(261)의 상부 공간과 연통된다. 상부 공간은 탱크호스(265)와 독립적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중간 탱크는 원액유로 및 가스유로와 각각 연결되어 양자를 연통시키지만, 액상과 기상의 버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중간탱크(260)는 원액유로 및 가스유로를 직결시키지 않고 버퍼링을 통한 간접 연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gas flow path 231 is formed from the coupler 270 and the second gas flow path 242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gas connector 251 of the tank coupler 250 after passing through the branching point. The gas connector 251 communicates with the upper space of the container 261 through the cap 262 of the tank. The upper space is located independently of the tank hose 265. Therefore, the intermediate tank is connected to the crude liquid flow path and the gas flow path, respectively, to communicate the two, but can perform a buffer function of the liquid phase and the gas phase. That is, the intermediate tank 260 may perform an indirect connection function through buffering without directly connecting the raw liquid flow path and the gas flow path.

제1가스유로(231)의 분지점은 티(232)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지점에는 이산화탄소유로(30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유로는 가스유로(230) 내부의 압력이 낮은 경우 압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유로(300)는 발효주의 취출 시 취출 압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A branch point of the first gas flow path 231 may be formed through a tee 232 . A carbon dioxide flow path 300 may be connected to the branch point. The carbon dioxide flow path may be provided to supply pressure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gas flow path 230 is low. In addition, the carbon dioxide flow path 300 may be provided to supply an extraction pressure when the fermented liquor is taken out.

상기 이산화탄소유로(300)는 체크밸브(301)를 포함하고 이산화탄소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이산화탄소밸브(30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유로(300)는 티 또는 엘보(303)를 통해서 이격되어 위치되는 이산화탄소탱크와 연결되어 있다. 전체 이산화탄소유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carbon dioxide passage 300 may include a check valve 301 and a carbon dioxide valve 302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arbon dioxide passage. The carbon dioxide flow path 300 is connected to a carbon dioxide tank located at a distance through a tee or elbow 303. The entire carbon dioxide flow path will be described later.

케그 내부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는 제1가스유로(331)를 지나 가스밸브(238)를 거쳐 중간탱크(260)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가스밸브(238)는 가스유로(2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keg may be discharged into the intermediate tank 260 through the first gas flow path 331 and the gas valve 238 . The gas valve 238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gas flow path 230 .

원액의 발효 시 발효 압력을 적절히 제어해야 한다. 즉, 발효 시 발생되는 가스 압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가스유로(230)에는 가스압력계(237)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계(237)는 커플러(270)와 가스밸브(238) 사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가스밸브(238)를 통해서 가스유로(230)가 닫힌 상태에서 압력을 센싱할 수 있다. When fermenting raw liquid, the fermentation pressure must be properly controlled. That is, in order to detect the gas pressure generated during fermentation, it is preferable that a gas pressure gauge 237 is provided in the gas flow path 230. The pressure gauge 237 is preferably provided between the coupler 270 and the gas valve 238. That is, the pressure can be sensed through the gas valve 238 while the gas flow path 230 is closed.

또한, 상기 압력계는 가스유로(230)에서 이산화탄소유로가 분지되는 분지점의 하류(downstream)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ressure gauge is preferably located downstream of a branch point where the carbon dioxide flow path is branched off from the gas flow path 230.

한편, 압력계는 제2가스유로(231)에서 분지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가스유로(230) 상에서 압력계는 가장 수두가 높은 위치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ure gauge is branched from the second gas flow path 231. That is, the pressure gauge on the gas flow path 230 is preferably located at the highest head.

이를 위해서, 이산화탄소의 분지점(232)과 압력계 분지점(235) 사이에는 반원형의 곡관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곡관(234)은 수직으로 세워져 있으며, 양단 사이에 수두차가 최대가 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a semicircular bend pipe is provided between the branch point 232 of carbon dioxide and the branch point 235 of the pressure gauge. This bend pipe 234 is erected vertically and may be positioned so that the head difference between both ends is maximized.

분지점(235)에서 엘보(236)가 연결되고 이후 압력계(237)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분지점(235)의 양쪽에 각각 압력계(237)와 가스밸브(238)가 위치하게 된다. 이후, 2 개의 엘보(240, 241)가 서로 직결된 후 튜브를 통해서 제2가스유로는 중간탱크(260)와 연결되게 된다. An elbow 236 is connected at the branch point 235 and then a pressure gauge 237 may be provided. That is, the pressure gauge 237 and the gas valve 238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branch point 235, respectively. Then, after the two elbows 240 and 241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econd gas flow path is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tank 260 through the tube.

도 4에는 탱크 커플러(250)와 커플러(270) 사이에 서로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원액유로(210)는 실선 그리고 가스유로(230)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중간탱크(260)와 케그(80)의 내부는 각각 원액유로 및 가스유로와 구분되도록 연통된다. 4, the crude liquid flow path 210 provid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between the tank coupler 250 and the coupler 270 is shown as a solid line and the gas flow path 230 is shown as a dotted line. Here, the insides of the intermediate tank 260 and the keg 8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raw liquid flow path and the gas flow path.

여기서, 중간탱크(260) 및 커플러(270)를 포함한 유로모듈(200)은 매우 컴팩트하게 구성 및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튜브를 최소화하여 엘보나 티와 같은 피팅들을 다수 개 사용하여 유로모듈(200)을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모듈(200)의 대부분의 구성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모듈 케이스(201)에 수용되거나 이와 연결되어, 컴팩트하게 챔버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Here, the flow path module 200 including the intermediate tank 260 and the coupler 270 can be configured and manufactured very compactly.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flow module 200 by using a plurality of fittings such as elbows and tees by minimizing the number of required tubes. As shown in FIG. 3 , most components of the flow path module 200 can be accommodated in or connected to the flow path module case 201 and compactly mounted inside the chamber.

한편, 도 4에는 유로모듈이 케그와 연결되는 모습이 도시되고, 이는 발효주 제조 과정 또는 발효주 제조 완료 후 보관 과정의 모습일 수 있다. 제조된 발효주가 모두 취출되어 소비되는 경우, 새로운 케그가 장착되어 다시 발효주 제조 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때, 유로모듈 내부를 살균, 세정 또는 세척하는 과정(이하에서는 세정 과정이라 함)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flow module is connected to the keg, which may be a state of the fermented liquor manufacturing process or the storage process after completion of the fermented liquor manufacturing process. When all of the produced fermented liquor is taken out and consumed, a new keg must be installed and the fermented liquor manufacturing process must be performed agai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process of sterilizing, cleaning or cleaning the inside of the flow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leaning process).

왜냐하면, 유로모듈 내부에 혹시 남아 있을 잔류물을 제거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종류의 발효주를 제조하는 경우 이전 발효주의 풍미가 새로운 발효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remove residues that may remain inside the flow module. In addition, this is because the flavor of the previous fermented liquor may affect the new fermented liquor when a different type of fermented liquor is prepared.

살균, 세정 또는 세척 과정에서는 증류수 또는 정수를 사용하며, 살균이나 세정 성분을 갖는 물질이 용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살균이나 세정 성분을 통한 살균이나 세정 후 증류수 또는 정수만을 이용하여 헹굼이 수행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sterilization, cleaning or cleaning, distilled water or purified water is used, and substances with sterilization or cleaning components can be dissolved. In addition, rinsing may be performed using only distilled water or purified water after sterilization or cleaning through sterilization or cleaning components.

따라서, 유로모듈을 효과적으로 세정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refore, the process of effectively cleaning the flow path module is very important.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케그 내부에 구비되는 발효주를 하나의 디스펜서 어셈블리(100)를 통해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취출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발효주들끼리 섞일 수 있다. 또한, A라는 발효주가 취출된 후 풍미가 전혀 다른 B라는 발효주가 취출될 수 있다. 이때, A 발효주의 풍미가 B 발효주에 가미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발효주들 사이에 풍미가 섞이는 것을 배제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ermented liquor provided inside the plurality of kegs can be taken out through one dispenser assembly 100. Therefore, different fermented liquors can be mixed with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being taken out. In addition, after the fermented liquor A is taken out, the fermented liquor B, which has a completely different flavor, can be taken out. At this tim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flavor of fermented liquor A will be added to fermented liquor B. Therefore, a way to exclude the mixing of flavors between fermented liquors should be sought.

또한, 하나의 디스펜서를 통해서 복수 개의 발효주를 효과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취출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한정된 공간에서 복수 개의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경우, 발효주 제조 용량이 낮아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effectively and efficiently extract a plurality of fermented liquors through one dispenser. This is because, when a plurality of dispenser assemblies are provided in a limited space, the production capacity of the fermented liquor is inevitably lowered.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코크(110)에 2개 또는 3개의 취출유로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코크(110)를 통해 맥주가 취출되기 직전까지 서로 다른 맥주가 유로 상에서 섞이지 않게 된다. 즉, 케그가 2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케그와 연결된 취출유로(370)의 말단이 하나의 코크(110) 내부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wo or three discharge passages may be connected to one cock 110 . Therefore, different beers are not mixed on the flow path until just before the beer is taken out through the cork 110. That is, when two kegs are provided, the end of the take-out passage 370 connected to each keg can be inserted and mounted into one cock 110.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펜서 구조와 코크 세정을 위한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5, a dispenser structure applicable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a structure for cleaning cok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실시예에서는 발효주를 취출하기 위하여 케그 내부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이산화탄소 공급 압력을 통해서 발효주가 취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펌프 등과 같은 구성이 없이 가스 압력으로 발효주가 취출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carbon dioxide may be supplied into the keg to take out the fermented liquor. That is, the fermented liquor can be taken out through the carbon dioxide supply pressure. In other words, the fermented liquor can be taken out with gas pressure without a configuration such as a pump or the like.

이를 위해서, 이산화탄소탱크(308)가 구비되며, 상기 이산화탄소탱크는 공용챔버(2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점선으로 표시된 영역을 공용챔버 영역이라 할 수 있다. To this end, a carbon dioxide tank 308 is provided, and the carbon dioxide tank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mmon chamber 20 . An area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5 may be referred to as a common chamber area.

이산화탄소탱크(308)는 이산화탄소유로(300)를 통해서 가스유로(230)와 연결됨을 설명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 압력조절기(307), 압력계(306), 체크밸브(309) 그리고 유로밸브(305)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이산화탄소탱크(308)로부터 복수 개의 가스유로(230)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할 수 있다.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carbon dioxide tank 308 is connected to the gas flow path 230 through the carbon dioxide flow path 300. Specifically, a pressure regulator 307, a pressure gauge 306, a check valve 309, and a flow valve 305 may be included, and carbon dioxide may be supplied from one carbon dioxide tank 308 to a plurality of gas flow passages 230. can

상기 이산화탄소탱크는 발효 과정 그리고 취출 과정에서 일정한 압력을 공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압력조절기(307)가 메인 유로 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발효 과정이나 취출 과정에서 기본적으로 유로밸브(305)는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arbon dioxide tank supplies a constant pressure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and the extraction process. To this end, a pressure regulator 307 is located on the main flow path. In addition, the flow valve 305 may be basically open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or the extraction process.

복수 개의 이산화탄소밸브(302)는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독립적으로 이산화탄소를 가스유로로 공급하게 된다. The plurality of carbon dioxide valves 302 ar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independently supply carbon dioxide to the gas flow path.

한편, 이산화탄소유로는 체크밸브(301)를 통해서 역류가 방지된다. 따라서, 이산화탄소유로는 이산화탄소만 유동되는 유로이다. 따라서, 별도로 유로의 내부를 세정할 필요가 없다. On the other hand, reverse flow through the check valve 301 is prevented in the carbon dioxide flow path. Therefore, the carbon dioxide passage is a passage through which only carbon dioxide flows.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clean the inside of the passag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발효주 취출 시 해당하는 이산화탄소밸브(302)가 개방되어 이산화탄소는 가스유로(230)를 통해서 케그(80) 내부로 유입된다. 즉, 취출 압력을 제공한다. 이때, 가스밸브(240)와 펌프밸브(216)는 닫히게 된다. 그리고 취출밸브(331)는 개방된다. 4 and 5, when the fermented liquor is taken out, the corresponding carbon dioxide valve 302 is opened, and carbon dioxide is introduced into the keg 80 through the gas flow path 230. That is, it provides an ejection pressure. At this time, the gas valve 240 and the pump valve 216 are closed. And the take-off valve 331 is opened.

취출 압력에 의해, 케그 내부의 발효주는 원액유로 특히 제1원액유로(211)를 따라 유동하며 발효음료 유로(330)로 유동한다. 발효음료 유로(330)로 유동되는 발효주는 코크유로(370)를 따라서 유동하다가 코크(110)를 통해서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By the extraction pressure, the fermented liquor inside the keg flows into the undiluted oil, particularly along the first undiluted liquid flow path 211 and flows into the fermented beverage flow path 330. The fermented beverage flowing into the fermented beverage passage 330 may flow along the coke passage 370 and then be taken out through the coke 110.

여기서, 단일 코크(110)를 통해서 1회 취출되는 발효주는 동일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취출을 원하는 발효주가 선택되면, 해당 발효주와 연결된 발효음료 유로가 개방될 수 있다. Here, the fermented liquor taken out once through the single coke 110 must be the same. In other words, when the fermented liquor desired to be taken out is selected, the fermented beverage flow path connected to the fermented liquor may be opened.

하나의 취출유로를 통해 서로 다른 발효주가 취출되는 경우, 특정 발효주의 잔류물이나 풍미가 코크(110)에 잔류되어 다른 발효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취출유로(370)의 말단이 코크 내부 말단까지 연장되므로, 발효주가 서로 섞이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 When different fermented liquors are taken out through one extraction passage, residues or flavors of a specific fermented liquor may remain in the coke 110 and affect other fermented liquors.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end of each take-out passage 370 extends to the inner end of the coke, mixing of the fermented liquor is prevented in advance.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크 말단 또는 취출유로(370)의 말단은 공기 중에 노출이 되므로 오염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코크 내부 또는 취출유로 내부를 세정 또는 세척할 필요가 있다. Nevertheless, since the end of the cock or the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370 is exposed to the air, there is a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ean or wash the inside of the cork or the inside with the extraction oil.

이를 위해서, 세정액이 수용되는 세척탱크(351)가 구비될 수 있고, 세척탱크(351)에 세정수유로(350)가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세정수유로(350)는 분지되어 각각의 취출유로(370)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취출밸브(331)의 하류측에 상기 세정수유로(350)가 연결될 수 있다. To this end, a washing tank 351 accommodating a washing liquid may be provided, and a washing water passage 350 may be connected to the washing tank 351 . One washing water passage 350 may be branched and connected to each discharge passage 370 . In particular, the washing water passage 350 may be connected to a downstream side of the discharge valve 331 .

세척탱크에 구비된 세정수는 펌프(352)의 구동에 의해서 세정수유로(350) 내부로 유입된 후 취출유로(370)로 유입되고 코크(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배출된 세정수는 트레이 탱크(5)로 배출될 수 있다. The washing water provided in the washing tank may flow into the washing water passage 350 by driving the pump 352, flow into the discharge passage 370, an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ck 110. At this time, the discharged washing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tray tank 5 .

전술한 바와 같이, 케그에 수용된 발효주를 모두 소비하면 새로운 발효주를 제조해야 한다. 이때, 코크 세정 후 발효주 제조가 수행될 수 있으며, 발효주 제조 완료 직후 코크 세정이 수행될 수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all of the fermented liquor accommodated in the keg is consumed, a new fermented liquor must be produced. At this time, fermented liquor production may be performed after coke washing, and coke washing may be performed immediately after completion of fermented liquor preparation.

한편, 케그에 수용된 발효주를 모두 소비하면 새로운 발효주를 제조하기 전 유로모듈(200)을 세정할 필요가 있다. 유로모듈 내부에는 이전 발효주의 풍미 또는 잔류물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로모듈을 세정한 후 새로운 발효주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f all the fermented liquor contained in the keg is consumed, it is necessary to clean the flow path module 200 before manufacturing a new fermented liquor. This is because the flavor or residue of the previous fermentation liquor remains inside the Euromodul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prepare a new fermented liquor after cleaning the flow module.

전술한 바와 같이, 유로모듈(200)은 폐유로를 구성한다. 특히, 커플러(270)에 케그 캡이 아닌 커플러 홀더를 장착하여 유로모듈(200) 세정을 위한 폐유로를 구성할 수 있다. 커플러 홀더는 커플러(270)와 결합하여 맥주유로와 가스유로를 연통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low path module 200 constitutes a waste flow path. In particular, a waste flow path for cleaning the flow path module 200 may be configured by mounting a coupler holder instead of a keg cap on the coupler 270 . The coupler holder may be coupled to the coupler 270 to communicate the beer flow path and the gas flow path.

도 4를 참조하면, 중간탱크(260)에 인퓨징 성분이 아닌 세정액을 담고, 펌프(219)를 정역방향을 구동시킬 수 있다. 세정액은 유로모듈(200) 내부 전체를 순환할 수 있다. 이러한 순환을 통해서 유로모듈 전체가 세정될 수 있다. 세정이 완료되면 세정액은 중간탱크(26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후, 중간탱크는 세척되고 새로운 인퓨징 성분이 중간탱크 내부에 담길 수 있다. 물론, 세정용 중간탱크와 인퓨징용 중간탱크는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intermediate tank 260 may contain a cleaning liquid, not an infusing component, and drive the pump 219 in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e cleaning liquid may circulate throughout the inside of the flow path module 200 . Through this circulation, the entire flow path module can be cleaned. When cleaning is completed, the cleaning liquid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termediate tank 260 . Thereafter, the intermediate tank may be cleaned and new infusing ingredients may be contained in the intermediate tank. Of course, the intermediate tank for cleaning and the intermediate tank for infusing may be provided separately.

유로모듈(200) 내부의 세정이나 코크 세정 후 일부 세정 수가 유로 내부에 잔류할 수 있다. 이러한 잔류물은 이산화탄소 플러싱을 통해서 제거될 수 있다. After cleaning the inside of the passage module 200 or cleaning the cork, some cleaning water may remain inside the passage. These residues can be removed through carbon dioxide flushing.

먼저 유로모듈(200)은 이산화탄소 탱크(308)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이산화탄소를 유로모듈(200) 내부로 공급하여 플러싱함으로써 유로모듈 세정이 종료될 수 있다. First, since the flow path module 200 is connected to the carbon dioxide tank 308, cleaning of the flow path module can be completed by finally supplying carbon dioxide into the flow path module 200 and flushing the flow path module 200.

또한, 유로모듈 세정 시 코크 세정도 수행될 수 있다. 유로모듈 세정 종료 전에 이산화탄소 플러싱을 수행할 때, 취출밸브(331)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이산화탄소는 취출유로를 거쳐 코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코크 플러싱 또한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coke cleaning may also be performed during the cleaning of the flow module. When carbon dioxide flushing is performed before cleaning of the flow path module is finished, the discharge valve 331 may be opened. At this time, carbon dioxide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ke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Thus, coke flushing can also be performed.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발효주가 제조되고 취출되는 유로들 내부를 세정수로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발효주가 제조되고 취출되는 유로들 내부를 이산화탄소로 용이하게 플러싱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asily clean the inside of the passages in which the fermented liquor is produced and taken out with washing wat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flush the inside of the channels in which the fermented liquor is produced and taken out with carbon dioxide.

한편, 취출유로(370) 상에는 거품저감유닛(371, 도 6 참조)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품저감유닛은 코크를 통해 취출되는 발효주의 거품을 감소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즉, 유로 저항을 증가시켜 거품을 감소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a foam reducing unit (371, see FIG. 6) is provided on the take-out passage 370. The foam reduction unit may be provided to reduce the foam of the fermented liquor taken out through the coke. That is, it may be provided to reduce bubbles by increasing flow resistance.

상기 거품저감유닛(371)은 취출밸브(331)의 하류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취출밸브로부터 토출되는 발효주의 압력이 코크에 이르기까지 급격히 변하지 않고, 상기 거품저감유닛(371)을 통해서 서서히 변하게 된다. 따라서, 거품이 코크를 통해서 취출되는 양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The foam reduction unit 371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discharge valve 331. The pressure of the fermented liquor discharged from the take-off valve does not change rapidly until it reaches coke, but gradually changes through the foam reducing unit 371.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amount of bubbles taken out through the cork.

반면에, 거품저감유닛이 취출밸브의 상류측에 구비되는 경우, 취출밸브로부터 코크 사이에는 급격한 압력 변화가 발생된다. 따라서, 거품저감유닛(371)의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oam reducing unit is provided upstream of the take-off valve, a rapid pressure change occurs between the take-off valve and the cock. Thus, the effect of the foam reducing unit 371 may be halved.

상기 거품저감유닛(371)은 코일 형상으로 복수 회 감긴 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거품저감유닛(371)의 양단 사이의 최단 거리는 매우 짧지만 실제로 유동이 발생되는 거리는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로 저항에 의해서 압력 구배가 완만하게 형성되어, 거품이 토출되는 것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The foam reduction unit 371 may include a tube wound in a coil shape a plurality of times. That is,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foam reducing unit 371 is very short, but the distance at which flow actually occurs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ly, the pressure gradient is gently formed by the resistance of the flow path, and the discharge of bubbles can be remarkably reduced.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메인도어(3)에 구비되는 유로 구성들과 메인도어(3)로부터 캐비닛까지 유로 구성들이 연결되는 특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the flow path components provided in the main door 3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necting the flow path components from the main door 3 to the cabine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은 메인도어(3)의 전면패널과 서브도어(4)가 제거된 장치(1)의 전면 모습을 도시하고, 도 7은 장치(1)의 상면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FIG. 6 shows a front view of the device 1 with the front panel of the main door 3 and the sub door 4 removed, and FIG. 7 shows a top view of the device 1 .

생략된 전면패널은 캐비닛(2)보다 더욱 상부까지 연장되어 기계실(50)의 전면까지 커버할 수 있다. 전면패널과 기계실 전면 사이에는 부가 패널(3b)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부가 패널(3b) 하부에는 메인도어(3)의 상부 패널(3c)이 구비될 수 있다. The omitted front panel extends further up the cabinet 2 and can cover up to the front of the machine room 50 . An additional panel 3b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ront panel and the front of the machine room. An upper panel 3c of the main door 3 may be provided under the additional panel 3b.

도시된 바와 같이, 공용챔버 내부에는 이산화탄소 탱크(308)와 세정수 탱크(35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탱크(308)는 이산화탄소 유로(300)와 연결되며, 세정수 탱크(351)는 세정수유로(350) 과 연결된다. 물론, 세정수를 펌핑하는 펌프도 공용챔버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a carbon dioxide tank 308 and a washing water tank 351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mmon chamber. The carbon dioxide tank 308 is connected to the carbon dioxide flow path 300, and the washing water tank 351 is connected to the washing water flow path 350. Of course, a pump for pumping washing water may also be provided inside the common chamber.

이산화탄소 유로(300)는 상부로 연장되고 유로챔버(140) 내부를 거쳐 메인도어(3) 상부까지 더욱 연장될 수 있다. The carbon dioxide passage 300 extends upward and may further extend to the top of the main door 3 through the inside of the passage chamber 140 .

세정수유로(350)는 상부로 연장되고 유로챔버(140) 내부에서 취출유로(37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washing water passage 350 may extend upward and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ssage 370 inside the passage chamber 140 .

여기서, 이산화탄소는 복수 개의 케그에 공급되고 세정수는 복수 개의 취출유로에 공급된다. 그러나, 이산화탄소 유로와 세정수유로는 각각 단일 유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어느 시점에서 분지될 수 있다. Here, carbon dioxide is supplied to a plurality of kegs and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a plurality of take-out passages. However, the carbon dioxide passage and the washing water passage may each be provided as a single passage. That is, they can branch at any point.

세정수유로(350)는 유로챔버(140) 내부 상부까지 연장된 후 좌우로 분지되어 각각 취출유로(370)와 연결된다. 이산화탄소 유로(300)는 메인도어(3)의 상부 특히 상부 패널(3c)에 형성된 유로 통과홀(3d)를 관통하게 된다. The washing water passage 350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passage chamber 140 and then branches to the left and right to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ssage 370, respectively. The carbon dioxide passage 300 passes through a passage hole 3d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door 3, particularly in the upper panel 3c.

취출유로(370)는 유로챔버(140) 상부에서 각각의 발효음료 유로(330)와 연결될 수 있다. 케그가 2개인 경우 발효음료 유로(330)도 2개 일 수 있다. The take-out passage 370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fermented beverage passages 330 above the passage chamber 140 . If there are two kegs, the fermented beverage flow path 330 may also be two.

일례로, 하나의 이산화탄소 유로(300)와 2 개의 발효음료 유로(330)는 유로 통과홀(3d)을 통과하여 메인도어 힌지(8) 인근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도어 힌지(8) 상부를 가로질러 캐비닛(2)까지 연장될 수 있다. For example, one carbon dioxide flow path 300 and two fermented beverage flow paths 330 may pass through the passage hole 3d and extend to the vicinity of the main door hinge 8. And it can extend to the cabinet (2) across the top of the main door hinge (8).

메인도어(2)가 닫힌 상태에서 발효음료 유로(330)와 이산화탄소 유로(300)는 메인도어(3)에서 캐비닛(2)으로 넘어갈 때 대략 90도로 굽혀지게 된다. 이때, 유로들을 수용하고 안내하는 유로링크(90)가 구비될 수 있다. When the main door 2 is closed, the fermented beverage passage 330 and the carbon dioxide passage 300 are bent at about 90 degrees when passing from the main door 3 to the cabinet 2. At this time, a euro link 90 for accommodating and guiding the passages may be provided.

유로링크(90)를 통해 연장되는 유로들(300, 330)은 기계실(50) 중앙 부근까지 연장되고, 이후 캐비닛 하부로 연장되어 각각의 유로모듈(200)과 연결되게 된다. The flow paths 300 and 330 extending through the euro link 90 extend to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machine room 50 and then extend to the lower part of the cabinet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flow path modules 200 .

기계실(50) 내부에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 제어부(56)가 구비될 수 있다. Inside the machine room 50, a main control unit 56 for controlling the device may be provided.

유로링크(90)는 유로의 굽힘 부분을 가이드 하기 위한 굽힘 가이드(96)를 포함할 수 있다. 굽힘 가이드(96)의 둥근 모서리 부분에 유로들의 굽힘 부분이 가이드 될 수 있다. The euro link 90 may include a bending guide 96 for guiding the bending portion of the passage. Bending portions of the channels may be guided to the rounded corners of the bending guide 96 .

유로링크(90)는 유로들의 굽힘 부분을 지나 직선으로 캐비닛까지 연장되는 부분을 수용하는 유로 커버(9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uro link 90 may include a flow path cover 91 accommodating a portion extending straight to the cabinet through the bent portions of the flow paths.

굽힘 가이드(96)는 유로 커버(91)의 일단(메인도어 측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굽힘 가이드(96)와 유로 커버(91)는 제1연결부(94a, 95)를 공유할 수 있다. The bending guide 96 may be coupled to one end (main door side end) of the flow path cover 91 . The bending guide 96 and the flow path cover 91 may shar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s 94a and 95 .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통해서, 유로모듈 및 코크를 청소하기 위한 구성 및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configurations and structures for cleaning the flow path module and the cock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

도 8 내지 도 10에는 유로모듈을 포함한 유로들이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 폐쇄된 밸브는 밸브 아이콘이 채워진 형태로 도시되어 있고, 개방된 밸브는 밸브 아이콘이 빈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액체의 유동이 발생되는 유로는 실선 그리고 액체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 유로는 점섬으로 도시되어 있다.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 유로 상의 밸브는 편의 상 밸브 아이콘이 빈 형태로 도시하였다. 8 to 10 briefly show flow paths including a flow path module. A closed valve is shown with a filled valve icon, and an open valve is shown with an empty valve icon. A flow path in which liquid flow occurs is shown as a solid line, and a flow path in which liquid flow does not occur is shown as a dotted line. For convenience, the valve on the flow path where no flow occurs is shown as an empty valve icon.

발효주의 소비가 완료되면 케크(80)는 커플러(270)로부터 분리된다. 대신 커플러(270)는 커플러 홀더(275)와 결합하게 된다. 상기 커플러 홀더(275)는 상기 커플러(270)와 결합됨에 따라 원액유로(210)와 가스유로(230)를 직접 연결하게 된다. 즉, 케그와 같은 기액 버퍼가 수행되는 탱크가 생략되므로, 원액유로와 가스유로 사이에 직접적인 세정액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When consumption of the fermented liquor is completed, the keke 80 is separated from the coupler 270. Instead, the coupler 270 is coupled with the coupler holder 275. As the coupler holder 275 is coupled to the coupler 270 , the undiluted solution flow path 210 and the gas flow path 230 are directly connected. That is, since a tank in which a gas-liquid buffer such as a keg is performed is omitted, direct flow of the washing liquid between the crude liquid flow path and the gas flow path is possible.

또한, 발효음료의 소비가 완료되면, 중간탱크(260)는 교체되거나 내부에 세정액이 채워질 수 있다. 이때, 중간탱크는 인퓨징 탱크가 아닌 세정액 탱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세정액은 유로모듈(200) 내부를 세정하기 위한 액체라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consumption of the fermented beverage is completed, the intermediate tank 260 may be replaced or filled with a cleaning liquid therein. In this case, the intermediate tank may be referred to as a washing liquid tank rather than an infusing tank. This cleaning liquid may be referred to as a liquid for cleaning the inside of the flow path module 200 .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탱크(260) 내부에 수용된 세정액이 펌프(219)가 구동됨에 따라 유로모듈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펌프는 역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8 , the washing liquid contained in the intermediate tank 260 may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flow path module as the pump 219 is driven. At this time, the pump may be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용기(262)의 내부에 구비되는 탱크호스(265)를 통해 흡입된 세정액은 펌프(219)로 유입되며 커플러(270)를 통해 커플러 홀더(275)로 공급된다. 즉, 원액유로(210) 내부를 유동하게 된다. 이때, 펌프밸브(216)는 개방되고, 취출밸브(331)는 폐쇄된다. The washing liquid sucked through the tank hose 265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262 flows into the pump 219 and is supplied to the coupler holder 275 through the coupler 270 . That is, it flows inside the undiluted solution flow path 210 . At this time, the pump valve 216 is opened and the discharge valve 331 is closed.

커플러 홀더(275)로 공급된 세정액은 펌프 압력에 의해서 가스유로(230)로 공급된 후 중간탱크(260)로 공급된다. 따라서, 펌프의 역구동이 지속되면, 중간탱크(260) 내부의 세정액은 원액유로와 가스유로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중간탱크 내부로 회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구동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유로모듈 내부 전체가 세정액에 의해 세정될 수 있다. 즉, 커플러 홀더에 의해서 유로모듈(200)은 하나의 폐루프 즉 폐유로를 구성하게 되며, 세정액이 순환될 수 있다. 이 과정을 제1세정과정이라 할 수 있다. The cleaning liquid supplied to the coupler holder 275 is supplied to the gas flow path 230 by pump pressure and then to the intermediate tank 260 . Therefore, when the reverse driving of the pump continues, the washing liquid inside the intermediate tank 260 is returned to the inside of the intermediate tank after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raw liquid flow path and the gas flow path. As shown, substantially the entire inside of the flow path module can be cleaned with the cleaning liquid by this driving. That is, the flow path module 200 constitutes one closed loop, that is, a waste flow path by the coupler holder, and the cleaning liquid can be circulated. This process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leaning process.

이후, 펌프(219)는 정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모듈 내에 잔류하는 세정액을 중간탱크로 회수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제2세정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The pump 219 can then be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That is, as shown in FIG. 9, a process of recovering the cleaning liquid remaining in the flow path module to the intermediate tank may be performed. That is, the second cleaning process may be performed.

이 과정에서 펌프는 중간탱크와 연결된 가스유로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흡입되는 공기는 가스유로, 커플러 홀더 그리고 원액유로를 따라 유동하여 중간탱크의 탱크호스를 통해서 탱크 내부로 배출된다. In this process, the pump sucks air through the gas flow path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tank. Inhaled air flows along the gas flow path, the coupler holder, and the crude liquid flow path and is discharged into the tank through the tank hose of the intermediate tank.

여기서,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서 유로모듈 내부에 잔료되는 세정액이 매우 효과적으로 중간탱크(260) 내부로 회수될 수 있다. Here, the cleaning liquid remaining inside the flow path module can be recovered into the intermediate tank 260 very effectively by the pressure of the air that is sucked in.

한편, 제2세정과정이 종료된 후, 가스유로(230)로 이산화탄소가 공급될 수 있다. 즉, 이산화탄소 공급 압력을 통해 유로 내의 잔류 세정액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보조세정과정이라 할 수 있다. Meanwhile, after the second cleaning process is finished, carbon dioxide may be supplied to the gas flow path 230 . That is, it is possible to remove residual cleaning liquid in the passage through the carbon dioxide supply pressure. This may be referred to as an auxiliary cleaning process.

제1세정과정과 제2세정과정은 반복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세정이 수행되는 과정은 제1세정과정이므로, 제1세정과정 수행 시간이 제2세정과정 수행 시간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cleaning process and the second cleaning process may be repeated. Since a process in which cleaning is substantially performed is the first cleaning process, it is preferable that the execution time of the first cleaning process is longer than the execution time of the second cleaning process.

한편, 제1세정과정과 제2세정과정이 종료하면 유로모듈(200) 내부는 세정이 완료될 수 있다. 그러나, 발효음료 유로(330)의 세정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3세정과정을 통해 발효주유로(330)를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즉, 추가적인 유로나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중간탱크, 유로모듈 그리고 발효주유로(330)를 통해서 발효주유로(330)를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3세정과정에서 취출유로(370) 및 및 코크(110)를 세정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first cleaning process and the second cleaning process are finished, cleaning of the inside of the flow path module 200 may be completed. However, since cleaning of the fermented beverage channel 330 may be requ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rmented main channel 330 can be effectively cleaned through the third cleaning process. That is, the main fermentation passage 330 can be cleaned through the intermediate tank, the passage module, and the main fermentation passage 330 without requiring an additional passage or configuration. Also, in this third cleaning process, the take-out passage 370 and the coke 110 may be cleaned.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세정과 제2세정이 종료하면, 중간탱크 내의 세정수를 배출하면서 발효주유로 등을 세정하는 제3세정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 , when the first cleaning and the second cleaning are completed, a third cleaning process of cleaning the fermenting oil passage and the like may be performed while discharging the cleaning water in the intermediate tank.

이때, 펌프(219)가 역방향 구동을 하면서 취출밸브(331)가 개방될 수 있다. 중간탱크(260)의 탱크호스로부터 흡입된 세정액은 펌프에서 토출된 후 펌프밸브(216)와 취출밸브(331)를 거쳐 취출유로(370) 내부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펌프로부터 토출된 세정액은 수두차에 의해서 유량계 방향이 아닌 발효음료 유로 및 취출유로(370)으로 유동된다. At this time, the discharge valve 331 may be opened while the pump 219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washing liquid sucked from the tank hose of the intermediate tank 260 is discharged from the pump and flows into the discharge passage 370 via the pump valve 216 and the discharge valve 331 . At this time, the washing liquid discharged from the pump flows to the fermented beverage flow path and the discharge flow path 370, not in the direction of the flow meter, due to the water head difference.

발효음료 유로(330)로 공급된 세정액은 취출유로(370)으로 공급되고 최종적으로 코크(110)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유로모듈 세정 과정에서 유로모듈뿐만 아니라 코크 내부까지 세정할 수 있다. The washing liquid supplied to the fermented beverage passage 330 is supplied to the take-out passage 370 and finally discharged to the coke 110.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process of cleaning the euro module, not only the euro module but also the inside of the cork can be cleaned.

한편, 제3세정과정이 종료된 후, 가스유로(230)로 이산화탄소가 공급될 수 있다. 즉, 이산화탄소 공급 압력을 통해 유로 내의 잔류 세정액을 제거할 수 있다. 즉, 혹시 잔류하는 세정액을 중간탱크에서 회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보조세정과정이라 할 수 있다.Meanwhile, after the third cleaning process is finished, carbon dioxide may be supplied to the gas flow path 230 . That is, it is possible to remove residual cleaning liquid in the passage through the carbon dioxide supply pressure. That is, it is possible to recover the remaining washing liquid from the intermediate tank. This may be referred to as an auxiliary cleaning process.

세정이 모두 종료하면, 중간탱크를 교체하고 커플러에 원액을 수용하는 케그를 장착하여, 새로운 발효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When all cleaning is complete, a new fermented beverage can be prepared by replacing the intermediate tank and attaching a keg for accommodating the undiluted solution to the coupler.

전술한 실시예에서, 탱크 커플러와 연결되는 중간탱크는 생략되고, 탱크 커플러에 탱크 커플러 홀더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케그와 같은 세정탱크가 커플러와 연결될 수 있다. 탱크 커플러 홀더는 커플러 홀더와 마찬가지로 원액유로와 가스유로를 직결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intermediate tank connected to the tank coupler may be omitted, and the tank coupler holder may be coupled to the tank coupler. Also, a cleaning tank such as a keg may be connected to the coupler. Like the coupler holder, the tank coupler holder can directly connect the liquid flow path and the gas flow path.

케그와 같은 세정탱크를 사용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많은 용량의 세정액을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세정과정들을 반복하면서 세정이 수행될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a washing tank such as a keg, a relatively large capacity of washing liquid can be accommodated. Therefore, cleaning may be performed while repeating the cleaning processes described above.

한편 유로모듈의 세정모드 수행과 코크 세정모드 수행에서 세정액은 최종적으로 트레이 탱크(5)로 배출될 수 있다. 코크(110)의 취출 위치에서 코크와 트레이 탱크 사이의 상하 거리는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코크로 배출되는 세정액이 주위로 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세정모드에서는 코크가 세정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동은 전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수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cleaning mode of the euro module and the coke cleaning mode, the cleaning liquid may be finally discharged to the tray tank 5.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coke and the tray tank at the ejection position of the coke 110 is relatively large. Therefore, the cleaning liquid discharged into the coke may splash around. In order to avoid this problem, it is preferable that the cock be moved to the cleaning position in the cleaning mode. This movement may be motorized or may be performed manually.

세정액의 배출은 별도의 드레인 탱크가 아닌 트레이 탱크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Discharge of the washing liquid is very convenient by using a tray tank instead of a separate drain tank.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음료 제조장치의 제어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메인 디스플레이(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서 구비될 수 있다. 단말기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에 OS가 탑재된 하나의 자체 컴퓨터일 수 있다.The main display 150 may be provided for a user interface.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erminal, and may be a single computer with an OS installed therein.

메인 디스플레이는 내부에 프로세서와 무선통신모듈이 탑재되어 있으며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150)는 메인피씨비(25)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유선 통신 연결될 수 있다.The main display has a processo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therein, and may basically include a display. The main display 15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ain PCB 25 . Wire communication can be connected.

메인 피시비(25)는 메인 디스플레이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전체 제조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씨비(25)는 각각의 셀 피씨비(35)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유선 통신 연결될 수 있다.The main PCB 25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in display and basical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ntire manufacturing apparatus. The main PCB 25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each cell PCB 35 . Wire communication can be connected.

셀 피씨비(35)는 케그챔버마다 구비되며, 각각의 케그챔버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로모듈(20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케그챔버 내부의 온도제어, 발효주 제조제어 그리고 셀 세정을 시작하기 위한 시작 입력부(202)와 연결될 수 있다.The cell PCB 35 is provided for each keg chamber and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keg chamber. It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uro module 200. In particular, it can be connected to the start input unit 202 for starting temperature control inside the keg chamber, fermented liquor production control, and cell cleaning.

여기서, 셀 피씨비는 별도의 프로세서를 갖고 있으며, 펌 웨어(firmware)가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 웨어는 발효주의 제조 프로세스와 보관 프로세스 그리고 세정 프로세스를 갖고 있을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ell PCB has a separate processor and is loaded with firmware. Firmware may have a manufacturing process, a storage process, and a cleaning process of fermented liquor.

발효음료의 제조 프로세스와 보관 프로세스는 발효주의 레서피와 무관하게 동일할 수 있다. 다만 구체적인 제어 변수만 다를 수 있다. 즉, 발효 시간이나 발효 온도 또는 보관 온도와 같은 변수들만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구체적인 제어 변수는 레서피에 따라 결정되며, 레서피는 메인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입력된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는 레서피 정보를 메인 피시비를 통해서 셀 피씨비로 전달하게 된다.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storage process of the fermented beverage may be the same regardless of the recipe of the fermented beverage. However, only specific control variables may be different. That is, only variables such as fermentation time or fermentation temperature or storage temperature may differ. These specific control variables are determined according to a recipe, and the recipe is input through the main display. Accordingly, the main display transfers the recipe information to the cell PCB through the main PCB.

셀 피씨비(35)는 레서피 정보를 펌웨어에 반영하여 발효주 제조과 발효주 보관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ell PCB 35 may reflect recipe information to firmware to perform fermented liquor manufacturing and fermented liquor storage.

한편, 증발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냉각 사이클의 구체적인 구성들은 메인 피씨비와 연결되어 메인 피씨비에서 제어한다. 압축기(55), 응축기팬(52), 삼방밸브(471)과 같은 냉각 사이클 구성들은 메인 피씨비에서 전체 냉각 부하를 판단하여 제어하게 된다.Meanwhile, specific components of the cooling cycle including the evaporator assembly are connected to the main PCB and controlled by the main PCB. The components of the cooling cycle, such as the compressor 55, the condenser fan 52, and the three-way valve 471, determine and control the overall cooling load in the main PCB.

조명장치(472, 473)은 각각 취출챔버와 공용챔버 내부를 비추도록 구비될 수 있다. 홈모드에서 조명장치 아이콘을 통해서 온/오프될 수 있다. Lighting devices 472 and 473 may be provided to illuminate the inside of the take-out chamber and the common chamber, respectively. It can be turned on/off through the lighting device icon in home mode.

버튼(130)을 사용자가 조작하면 취출 신호가 발생하며, 취출 신호는 취출스위치(111)에 의해서 발생된다. 취출스위치는 두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액상 취출 스위치와 거품 취출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거품 취출 스위치는 생략될 수 있다.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button 130, a take-out signal is generated, and the take-out signal is generated by the take-out switch 111. Two ejection switches may be provided, and a liquid ejection switch and a foam ejection switch may be provided. Of course, the foam ejection switch may be omitted.

전원공급장치(70)은 상용전원(일례로 220V, 교류)와 연결되어 메인 피씨비(25)와 셀 피씨비(35)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device 70 may be connected to a commercial power source (for example, 220V, alternating current) and connected to the main PCB 25 and the cell PCB 35 to supply power.

셀 피씨비(35)는 케그챔버 각각에 대해서 구비되며 총 2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셀 피씨비는 모두 메인 피씨비(25)와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셀피씨비는 각각의 셀에 대한 상태 정보를 메인 피씨비로 전달한다. 메인 피씨비는 상태 정보를 메인 디스플레이로 전달한다. 메인 디스플레이는 상태 정보를 표시하고 서버로 전달하게 된다.The cell PCB 35 is provided for each keg chamber and may be provided with a total of two. All of the cell PCBs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PCB 25 . Each cell PCB transfers state information about each cell to the main PCB. The main PCB delivers status information to the main display. The main display displays status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셀 피씨비(35)는 유로모듈(200)을 구성하는 펌프(219), 유량계(213), 레벨센서(212), 압력센서(237), 밸브들(215, 332, 238, 302)과 연결되어 이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cell PCB 35 is connected to the pump 219, the flow meter 213, the level sensor 212, the pressure sensor 237, and the valves 215, 332, 238, and 302 constituting the flow module 200. You can control their operation.

스위치는 도어스위치(73)와 커플러 스위치(27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스위치는 메인도어의 닫힘 여부를 센싱하고 커플러 스위치는 커플러가 케그의 캡이나 커플러 홀더와 결합되어있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The switch may include a door switch 73 and a coupler switch 273. The door switch may sense whether the main door is closed, and the coupler switch may sense whether the coupler is coupled to the cap of the keg or the coupler holder.

히터(96)와 세정 시작을 입력하는 시작 입력부(202)도 셀 피씨비와 연결되어 이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세정 시작을 입력하는 시작 입력부(202)는 메인 도어를 열면 해당 셀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The heater 96 and the start input unit 202 for inputting the start of cleaning may also be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the cell PCB. When the main door is opened, the start input unit 202 for inputting the start of cleaning may be located above the corresponding cell.

셀 피씨비(35)는 챔버 내부의 온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온도센서(97)과 히터(96)는 셀 피씨비의 제어를 받는다.The cell PCB 35 independently controls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Accordingly, the temperature sensor 97 and the heater 96 are controlled by the cell PCB.

셀 피씨비는 냉각 부하라 모자라는 경우 메인 피씨비로 이를 알려, 메인 피씨비에서는 전체 냉각 부하를 반영하여 냉각 구성들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When the cell PCB is insufficient for the cooling load, the main PCB is notified of this, and the main PCB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components by reflecting the entire cooling load.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와 외부 통신을 담당하는 패드(150), 전체 제어와 패드와 셀피씨비 사이를 중계하는 메인 피씨비(25) 그리고 각 케그챔버의 작동을 제어하는 셀 피씨비(35)로 3 개의 프로세서로 구분하여 배치함으로써, 매우 효율적인 제어방법이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pad 150 in charge of external communication with the display, the main PCB 25 that relays overall control and between the pad and the cell PCB 25, and the cell PCB 35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keg chamber. By dividing and arranging two processors, a very efficient control method can be configured.

메인 피씨비(25)는 엑츄에이터(472)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엑츄에이터는 디스펜서 바디(105)를 전동 구동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세정모드가 입력되면 자동으로 디스펜서 바디(105)를 취출 위치에서 세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엑츄에이터(472)가 배제되고 수동으로 디스펜서 바디(105)를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The main PCB 25 may be provided to control driving of the actuator 472 . The actuator may be a component for electrically driving the dispenser body 105 . When the washing mode is input, the dispenser body 105 may be automatically moved from the take-out position to the washing position.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manually move the dispenser body 105 without the actuator 472.

여기서, 디스펜서 바디(105)가 취출 위치로 이동하였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세정 위치 감지부(387)이 구비될 수 있다. 감지부(387)은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스위치일 수 있으며 이동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일 수 있다. Here, a cleaning position detecting unit 387 for detecting whether the dispenser body 105 has moved to the dispensing position may be provided. The detector 387 may be a switch that detects movement or a sensor that senses movement.

한편, 세정모드에서 세정액은 트레이 탱크(5)로 유입되므로 트레이 탱크가 제대로 장착되어야 한다. 따라서, 트레이 탱크가 메인도어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탱크 장착 감지부(383)이 구비될 수 있다. 탱크 장착 감지부(383)은 디스펜서 패널(121)의 후방에 장착될 수 있다. 즉, 트레이 탱크(5)가 장착되는 부분에 누름 스위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센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cleaning mode, the cleaning liquid flows into the tray tank 5, so the tray tank must be properly installed. Accordingly, a tank mounting detecting unit 383 for sensing whether the tray tank is mounted on the main door may be provided. The tank mounting detector 383 may be mounted on the rear of the dispenser panel 121 . That is,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ush switch at a portion where the tray tank 5 is mounted. Of course,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ensor.

메인 피씨비(25)는 세정모드를 수행할 때, 감지부(387, 383)을 통해서 트레이 탱크(5)가 제대로 장착되었고 디스펜서 바디(105)가 세정 위치로 이동하였음을 확인한 후 세정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main PCB 25 performs the cleaning mode, after confirming that the tray tank 5 is properly mounted and the dispenser body 105 has moved to the cleaning position through the detection units 387 and 383, the cleaning mode is performed. can

1 : 발효음료 제조장치 2 : 캐비닛
3 : 메인도어 4 : 서브도어
5 : 트레이 탱크 6 : 패드
7 : 캐스터 8 : 메인도어 힌지
90 : 유로링크 91 : 유로커버
100 : 디스펜서 150 : 메인 디스플레이
200 : 유로모듈 210 : 원액유로 230 : 가스유로 250 : 탱크 커플러(중간 커플러)
260 : 중간탱크 261 : 중간탱크 용기 262 : 탱크 캡(커넥터) 300 : 이산화탄소유로 330 : 발효음료유로 350 : 세정수유로
370 : 취출유로
1: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2: Cabinet
3: main door 4: sub door
5: tray tank 6: pad
7: caster 8: main door hinge
90: Eurolink 91: Eurocover
100: dispenser 150: main display
200: flow path module 210: undiluted flow path 230: gas flow path 250: tank coupler (intermediate coupler)
260: Intermediate tank 261: Intermediate tank container 262: Tank cap (connector) 300: Carbon dioxide flow path 330: Fermented beverage flow path 350: Washing water flow path
370: take-out flow

Claims (15)

발효음료를 저장한 케그를 각각 수용하도록 내부에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를 갖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동시에 상기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메인도어;
상기 챔버 내부에 구비되는 케그와 연결되어 다른 케그와는 독립적으로 발효음료를 제조하도록 케그마다 구비되는 복수 개의 유로모듈;
상기 복수 개의 유로모듈 각각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발효음료 유로;
상기 메인도어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에 수용된 발효음료를 외부로 취출하는 단일 코크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어셈블리;
상기 복수 개의 발효음료 유로와 상기 단일 코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발효음료 유로로부터 유입되는 발효음료를 상기 단일 코크로 제공하는 취출유로; 그리고
상기 메인도어의 전방에서 상기 단일 코크 하부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트레이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유로모듈의 세척은 개별적으로 수행되며, 세척 후의 세정액은 상기 발효음료 유로와 취출유로를 거쳐 상기 단일 코크를 통해서 상기 트레이 탱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음료 제조장치.
A cabinet having an upper chamber and a lower chamber therein to accommodate kegs storing fermented beverages, respectively;
a main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simultaneously open and close the upper chamber and the lower chamber;
A plurality of flow path modules provided for each keg to be connected to kegs provided inside the chamber to produce fermented beverages independently of other kegs;
a plurality of fermented beverage passage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assage modules;
a dispenser assembly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of the main door and including a single cock for dispensing the fermented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upper chamber and the lower chamber to the outside;
a take-out passag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fermented beverage passages and the single coke to supply the fermented beverage flowing from the plurality of fermented beverage passages to the single coke; and
Including a tray tank provide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ingle cock in the front of the main door,
The plurality of flow path modules are individually washed, and the cleaning liquid after cleaning is discharged to the tray tank through the single cock through the fermented beverage flow path and the discharge flow pa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유로는 상기 복수 개의 발효음료 유로와 각각 연결되도록 복수 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음료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ake-out flow path is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plurality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ermented beverage flow passag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취출유로의 말단들은 상기 단일 코크의 말단 내부 인근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음료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2,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take-out passages extend to the inner vicinity of the end of the single cock.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모듈은 상기 케그와 결합되는 커플러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모듈의 세척 시에 상기 케그를 대신하여 상기 커플러와 결합되어 상기 유로모듈을 폐루프 유로로 형성하는 커플러 홀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음료 제조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flow path module includes a coupler coupled to the keg, and a coupler holder coupled to the coupler instead of the keg to form the flow path module as a closed loop flow path when cleaning the flow path module.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모듈은 상기 유로모듈을 순환하는 세정액을 수용하는 중간탱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음료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flow path module is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termediate tank for accommodating the cleaning liquid circulating through the flow path modu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모듈은 정역으로 구동되어 상기 세정액이 상기 유로모듈을 정역방향으로 순환시키는 펌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음료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flow path module is a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ump that is driven forward and reverse to circulate the washing liqui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through the flow path modu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유로모듈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유로모듈의 세척 후 상기 유로모듈이 플러싱되도록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유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음료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6,
A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carbon dioxide flow path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low path modules and supplying carbon dioxide so that the flow path module is flushed after cleaning the flow path modu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을 위한 이산화탄소는 상기 발효음료 유로와 취출유로를 거쳐 상기 단일 코크를 통해서 상기 트레이 탱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음료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carbon dioxide for the flushing is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discharged to the tray tank through the single coke via the fermented beverage flow path and the take-out flow path.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는 상기 단일 코크를 상기 메인도어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이격시키는 디스펜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 바디는 취출 위치와 세정 위치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음료 제조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dispenser assembly includes a dispenser body that separates the single cock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main door,
The dispenser body is a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between the take-out position and the washing posi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바디가 세정 위치로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세정 위치 감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음료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9,
Fermented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comprising a cleaning position sensor for sensing whether the dispenser body is moved to the washing posi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탱크가 상기 메인도어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탱크 장착 감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음료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0,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ank mounting detector for sensing whether the tray tank is mounted on the main doo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바디가 상기 세정 위치로 이동된 경우에 상기 유로모듈을 세척하는 세정모드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음료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9,
When the dispenser body is moved to the cleaning position, a cleaning mode for cleaning the flow path module is perform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모듈을 세척하는 세정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펜서 바디가 자동으로 상기 세정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세정모드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음료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9,
When the cleaning mode for cleaning the flow path module is selected, the dispenser body is automatically moved to the cleaning position, and then the cleaning mode is perform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유로는 취출되는 발효음료에서 거품 발생을 저감하기 위하여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거품저감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 바디의 상하 이동 시 상기 거품저감유로가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발효음료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discharge flow path includes a foam reduction flow path formed in a coil shape to reduce foam generation in the fermented beverage to be taken out,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am reduction flow path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dispenser body moves up and down.
발효음료를 저장한 케그를 각각 수용하도록 내부에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를 갖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동시에 상기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메인도어;
상기 챔버 내부에 구비되는 케그와 연결되어 다른 케그와는 독립적으로 발효음료를 제조하도록 케그마다 구비되는 복수 개의 유로모듈;
상기 복수 개의 유로모듈 각각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발효음료 유로;
상기 메인도어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에 수용된 발효음료를 외부로 취출하는 단일 코크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어셈블리;
상기 복수 개의 발효음료 유로와 상기 단일 코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발효음료 유로로부터 유입되는 발효음료를 상기 단일 코크로 제공하는 취출유로; 그리고
상기 메인도어의 전방에서 상기 단일 코크 하부에 구비되는 트레이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유로모듈의 세척은 개별적으로 수행되며, 유로모듈의 세척은 상기 코크가 취출 위치에서 상기 트레이 탱크와 인접하는 세정 위치로 이동된 후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음료 제조장치.
A cabinet having an upper chamber and a lower chamber therein to accommodate kegs storing fermented beverages, respectively;
a main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simultaneously open and close the upper chamber and the lower chamber;
A plurality of flow path modules provided for each keg to be connected to kegs provided inside the chamber to produce fermented beverages independently of other kegs;
a plurality of fermented beverage passage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assage modules;
a dispenser assembly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of the main door and including a single cock for dispensing the fermented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upper chamber and the lower chamber to the outside;
a take-out passag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fermented beverage passages and the single coke to supply the fermented beverage flowing from the plurality of fermented beverage passages to the single coke; and
Including a tray tank provided under the single cock in front of the main door,
The cleaning of the plurality of flow path modules is performed individually, and the cleaning of the flow path module is performed after the coke is moved from the take-out position to the cleaning position adjacent to the tray tank.
KR1020210168239A 2021-11-30 2021-11-30 brewing apparatus KR2023008077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239A KR20230080772A (en) 2021-11-30 2021-11-30 brew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239A KR20230080772A (en) 2021-11-30 2021-11-30 brew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772A true KR20230080772A (en) 2023-06-07

Family

ID=86761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239A KR20230080772A (en) 2021-11-30 2021-11-30 brew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077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28800A1 (en) Refrigerator
US10947485B2 (en) Beverage maker
US10883072B2 (en) Beverage maker
US11629316B2 (en) Beverage maker
EP3246391B1 (en) Beer maker
KR20230080772A (en) brewing apparatus
KR20230080775A (en) brewing apparatus
KR20230070668A (en) Brewing apparatus
KR20230080771A (en) brewing apparatus
KR102534866B1 (en) brewing apparatus
KR102534864B1 (en) control method of a brewing apparatus
KR102534862B1 (en) brewing apparatus
KR102534860B1 (en) brewing apparatus
KR102534858B1 (en) brewing apparatus
KR102534867B1 (en) brewing apparatus
KR102534855B1 (en) brewing apparatus
KR102534863B1 (en) brewing apparatus
CN115885029A (en) Fermented beverage producing device
KR20220076547A (en) brewing apparatus
CN111009078A (en) Bulk liquid beverage vending machine with steam intelligent online cleaning and sterilizing system
KR102038196B1 (en) Beverage distribution device
KR102025672B1 (en) Beverage cooling device
KR20190016301A (en) Beverage maker and method for making beverage
KR20220073903A (en) brewing apparatus, a brewing system incldu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brew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20073904A (en) brewing apparatus, a brew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