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420A -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leveraged ejection mechanism - Google Patents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leveraged ejection mechanis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420A
KR20230080420A KR1020237011735A KR20237011735A KR20230080420A KR 20230080420 A KR20230080420 A KR 20230080420A KR 1020237011735 A KR1020237011735 A KR 1020237011735A KR 20237011735 A KR20237011735 A KR 20237011735A KR 20230080420 A KR20230080420 A KR 20230080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erosol
substrate
lever
aerosol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17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탄 라이엘
모니크 스포에리
마르코 플레브닉
아키라 야마구치
료 하세가와
라이스 슬리만 보우추이귀어
유스케 가야마
Original Assignee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230080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4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렛대를 사용하는 방출 기구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기재(2)를 수용하고 가열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를 덮는 폐쇄된 위치(31), 및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를 노출시키는 개방된 위치(33)에 있을 수 있는 커버(102); 및 레버(1011)를 갖는 방출 기구(101)로서, 커버(102)가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 밖으로 기재(2)의 적어도 일부를 방출하도록 커버(102)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방출 기구(101)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erosol-generating device having a lever-assisted ejection mechanism. More specificall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ncludes an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3 configured to receive and heat a substrate 2 to generate an aerosol; a cover 102 which may be in a closed position 31 covering the aerosol generation chamber 103 and in an open position 33 exposing the aerosol generation chamber 103; and a release mechanism 101 having a lever 1011, at least partially interlocking with the cover 102 to release at least a portion of the substrate 2 out of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3 when the cover 102 is in the open position. It includes an interlocking release mechanism (101).

Description

지렛대를 사용하는 방출 기구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leveraged ejection mechanism

본 발명은 에어로졸 생성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렛대를 사용하는 방출 기구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erosol-generating device for heating an aerosol-generating substrate to form an aerosol;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n aerosol-generating device having a lever-based ejection mechanism.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가열식 비연소형 제품, 기화기 또는 전자 담배라고도 함)의 인기와 사용은 지난 몇 년 동안 급속도로 증가했다. 종래의 담배 제품에서 담배를 연소시키는 것과 달리 에어로졸화 가능한 물질종을 가열하거나 가온시키는 다양한 디바이스 및 시스템이 이용 가능하다. The popularity and use of aerosol-generating devices (also called heated non-combustible products, vaporizers or e-cigarettes) has grown rapidly over the past few years. A variety of devices and systems are available that heat or warm the aerosolizable species other than burning tobacco in conventional tobacco products.

일반적으로 이용 가능한 위험 감소 또는 위험 수정된 디바이스는 가열식 기재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또는 가열식 비연소형 디바이스이다. 이러한 유형의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습한 잎담배 또는 기타 적절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기재를 일반적으로 150℃ 내지 350℃의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여 에어로졸 또는 증기를 생성한다. 에어로졸 기재를 가열하지만 연소시키거나 태우지 않으면 사용자가 원하는 성분을 포함하지만 연소와 태우는 것에 의한 독성 및 발암성 부산물은 포함하지 않는 에어로졸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담배 또는 기타 에어로졸화 가능한 물질을 가열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불쾌할 수 있는 연소하고 태우는 것으로 인한 탄맛 또는 쓴맛을 포함하지 않고, 이에 따라 기재는 연기 및/또는 증기를 사용자의 구미에 맞게 만들기 위해 이러한 물질에 일반적으로 첨가되는 설탕 및 기타 첨가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Commonly available risk reduction or risk modified devices are heated substrate aerosol generating devices or heated non-combustion devices. Devices of this type generally heat an aerosol substrate comprising moist tobacco or other suitable aerosolizable material to a temperature generally in the range of 150° C. to 350° C. to produce an aerosol or vapor. Heating the aerosol substrate but not burning or burning can release an aerosol that contains the components desired by the user but does not contain the toxic and carcinogenic by-products of burning and burning. In addition, aerosols produced by heating tobacco or other aerosolizable materials generally do not contain a burnt or bitter taste resulting from burning and burning that may be objectionable to the user, and thus the substrate dissipates smoke and/or vapors to the user's taste. It does not require sugar and other additives commonly added to these materials to make it fit.

이러한 디바이스에서, 기재는 일반적으로 가열을 위해 실질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챔버 내에 격납되고,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소비한 후 새로운 기재로 교환하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챔버 밖으로 기재를 방출하기 위해 버튼을 누를 필요가 있다. 그러나, 디바이스에 버튼을 배치하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하우징에 틈이 생겨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유입이 줄어들고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조작하는 것이 복잡해질 수 있다. In such devices, the substrate is generally contained substantially within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for heating, and the user generally needs to press a button to expel the substrate out of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to exchange for a new substrate after consumption. However, placing a button on the device can create a gap in the housing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reducing entry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complicating the user's operation of the devic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용 흡연 물품을 제공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moking articles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that address some or all of the foregoing problems.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로서,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기재를 수용하고 가열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생성 챔버,- an aerosol generating chamber configured to receive and heat a substrate to generate an aerosol;

- 에어로졸 생성 챔버를 덮는 폐쇄된 위치 및 에어로졸 생성 챔버를 노출시키는 개방된 위치에 있을 수 있는 커버, 및- a cover which can be in a closed position covering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and in an open position exposing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and

- 레버를 갖는 방출 기구로서, 커버가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에어로졸 생성 챔버 밖으로 기재의 적어도 일부를 방출하도록 커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방출 기구- a release mechanism having a lever, the release mechanism at least partially engaging the cover to release at least a portion of the substrate out of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when the cover is in the open position;

를 포함하고; 방출 기구는 기재의 적어도 일부가 에어로졸 생성 챔버로부터 돌출된 방출된 상태, 및 기재가 에어로졸 생성 챔버에 의해 완전히 격납된 비방출된 상태에 있을 수 있고; contains; The ejection mechanism can be in an ejected stat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ubstrate protrudes from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and a non-ejected condition in which the substrate is completely contained by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방출 기구는 커버가 폐쇄된 위치로부터 개방된 위치로 이동할 때 레버를 회전시켜 기재를 방출함으로써 비방출된 상태로부터 방출된 상태로 전환되는,The release mechanism switches from a non-ejected state to a released state by rotating a lever to release the substrate when the cover is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It relates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방출 기구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기재를 사용하고 교체하는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기재는 단지 커버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자동으로 방출된다. 이것은 기재를 교체하는 직관적이고 견고한 방식을 제공하며, 또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간단한 내부 구조를 허용한다. The release mechanism enhances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o use and replace the aerosol substrate. The substrate is automatically released just by opening the cover. This provides an intuitive and robust way to change the substrate and also allows for a simple internal structur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가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 이동할 때, 레버는 기재가 에어로졸 생성 챔버에 완전히 삽입된 비방출된 상태에 진입하도록 원래 위치로 되 회전한다.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cover in the first embodiment is mov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the lever rotates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to enter the non-ejected state in which the substrate is fully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는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있을 수 있고, 커버가 폐쇄된 위치로부터 중간 위치로 이동할 때 레버는 회전하지 않고, 커버가 중간 위치로부터 개방된 위치로 이동할 때 레버가 회전함으로써 기재를 방출한다.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the cover may be in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open position and the closed position, and when the cover moves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the lever moves. Without rotation, the lever rotates as the cover moves from the intermediate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to eject the substrate.

이러한 배치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챔버가 완전히 노출될 때에만 기재가 방출되어 사용자가 의도치 않게 조작하는 것을 방지한다. This arrangement ensures that the substrate is only released when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is fully exposed, preventing unintentional manipulation by the user.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레버는 에어로졸 생성 챔버의 바닥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lever at least partially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출 기구는 활주 트랙을 갖고, 커버와 레버에 연결된 활주 블록은 레버의 회전을 트리거하기 위해 활주 트랙에서 활주하도록 배치된다.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the release mechanism has a slide track, and the slide block connected to the cover and the lever is configured to slide on the slide track to trigger rotation of the lever. are placed

제6 실시예에 따르면, 제5 실시예에 있어서, 활주 블록이 활주할 때 레버가 회전하도록 그리고 그 반대로도 기능하도록 고정 기구는 레버가 활주 블록과 기계적으로 맞물리게 한다.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in the fifth embodiment, the fixing mechanism mechanically engages the lever with the slide block so that the lever rotates when the slide block slides and vice versa.

제7 실시예에 따르면, 제5 실시예 또는 제6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커버의 돌출부(1021)는 커버가 폐쇄된 위치로부터 개방된 위치로 이동하거나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 이동할 때 레버가 각각 아래로 눌리거나 위로 올라가도록 활주 블록의 돌출부와 활주 가능하게 맞물린다.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in either the fifth or sixth embodiment, the protruding portion 1021 of the cover moves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or moves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The lever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protrusion of the slide block so that the lever is pressed down or raised when the lever is pushed up.

제8 실시예에 따르면, 제5 실시예 내지 제7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커버의 돌출부(1021) 및/또는 활주 블록의 돌출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in any one of the fifth to seventh embodiments, the protruding portion 1021 of the cover and/or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lide block is made of metal.

이러한 배치를 통해 방출 기구와 디바이스의 수명이 연장된다. This arrangement prolongs the lifetime of the ejection mechanism and device.

제9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시예 내지 제8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는 세장형 형상을 갖고, 커버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활주하도록 배치된다.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in any one of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has an elongated shape, and the cover is arranged to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Preferred embodiments will now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on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재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상이한 상태에 있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노출된 개략도를 도시한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substr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3C show exposed schematic views of an aerosol-generating device in different stat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기화기 시스템", "흡입기" 또는 "전자 담배"라는 용어는 흡연용 에어로졸을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구성된 전자 담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의 예시된 실시예는 개략적이다. The terms "aerosol generating device", "vaporizer system", "inhaler" or "electronic cigarette" as used herein may include an electronic cigarette configured to deliver an aerosol comprising a smoking aerosol to a user. An illustrated embodiment of the aerosol-genera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chematic.

도면,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기재를 소비하기 위한 전자 담배(1)가 도시되어 있다. 전자 담배(1)는 종래의 담배의 대체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전자 담배(1)는 커버(102)와 본체(106)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세장형 형상을 갖는다. 커버(102)는 활주 트랙(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본체(106)와 활주 가능하게 맞물린다. 삽입 방향(21)에 수직인 디바이스(1)의 표면을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의 측 표면이라 할 때, 커버는 디바이스(1)의 본체의 측 표면에 배치되고, 기재(2)의 삽입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활주한다. 삽입 방향(21)과 평행한 방향을 횡방향이라 하고, 삽입방향(21)과 수직한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 하면, 커버(102)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의 길이 방향으로 활주하도록 배치된다. 커버(102)는 사용자가 기재(103)를 소비할 때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를 덮는 폐쇄된 위치(31), 및 기재(103)를 삽입하거나 폐기하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에 포함된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의 개구를 노출시키는 개방된 위치(33)를 갖는다. 에어로졸 생성 챔버(33)는 본체에서 수직으로 배향되며, 즉 디바이스(1)의 횡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도 존재한다. 커버(102)가 중간 위치로 활주하면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의 개구가 완전히 노출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버(102)가 폐쇄된 위치로부터 중간 위치로 활주할 때, 커버(102)는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의 완전한 개방을 드러낸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nd in particular to FIG. 1 , an electronic cigarette 1 for consuming a substrate is shown. The electronic cigarette 1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conventional cigarettes. The electronic cigarette 1 has a substantially elongated shape comprising a cover 102 and a body 106 . The cover 102 slidably engages the body 106 via a sliding track (not shown). When the surface of the device 1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 direction 21 is referred to as the side surfac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the cover is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device 1, and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substrate 2 slide along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If a direction parallel to the insertion direction 21 is referred to as a transverse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 direction 21 is referred to as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ver 102 is arranged to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 The cover 102 is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n a closed position 31 to cover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3 when the user consumes the substrate 103, and to insert or discard the substrate 103. It has an open position (33) exposing the opening of the aerosol generation chamber (103). The aerosol-generating chamber 33 is oriented vertically in the body, ie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device 1 . In this embodiment, there is also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The opening of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3 is fully exposed when the cover 102 is slid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when the cover 102 slides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the cover 102 reveals the complete opening of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3 .

에어로졸 생성 기재(2)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기재(2)는 예를 들어 니코틴 또는 담배 및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담배는 조각 담배, 과립 담배, 잎 담배 및/또는 재생 담배와 같은 다양한 물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적합한 에어로졸 형성제는 소르비톨,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트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글리콜과 같은 폴리올; 1가 알코올과 같은 비-폴리올, 락트산과 같은 산, 글리세롤 유도체, 트리아세틴과 같은 에스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글리세린 또는 식물성 글리세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제는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글리세롤과 프로필렌 글리콜의 혼합물일 수 있다. 기재(103)는 또한 겔화제, 결합제, 안정화제 및 습윤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substrate 2 is shown in FIG. 1 . Substrate 2 may include, for example, nicotine or tobacco and an aerosol former. Tobacco can take the form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shredded tobacco, granulated tobacco, leaf tobacco and/or reconstituted tobacco. Suitable aerosol formers include polyols such as sorbitol, glycerol, and glycols such as propylene glycol or triethylene glycol; non-polyols such as monohydric alcohols, acids such as lactic acid, glycerol derivatives, esters such as triacetin, triethylene glycol diacetate, triethyl citrate, glycerin or vegetable glycerin. In some embodiments, the aerosol generating agent may be glycerol, propylene glycol, or a mixture of glycerol and propylene glycol. Substrate 103 may also include at least one of a gelling agent, a binder, a stabilizer, and a wetting agent.

기재(2)는 공기가 기재(2)를 통해 흐를 수 있고 공기가 기재를 통해 흐를 때 에어로졸을 수집할 수 있도록 다공성이다. 기재(2)는 예를 들어 발포체 또는 패킹된 가닥 또는 섬유일 수 있다. 기재(2)는 압출 및/또는 롤링 공정을 통해 안정적인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기재(2)는 하나의 면에 하나의 공기 흐름 채널을 제공하거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양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공기 흐름 채널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채널은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를 통한 공기 흐름을 증가시키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의 공기 흐름 채널과 정렬될 수 있다. 기재(103)는 베어(bare) 외부 표면으로 노출된다. 대안적으로, 기재(103)는 기재(103)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통기성 포장지를 포함할 수 있다. 포장지는 예를 들어 종이 및/또는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bstrate 2 is porous such that air can flow through the substrate 2 and collect aerosols as the air flows through the substrate. Substrate 2 may be, for example, a foam or packed strands or fibers. The substrate 2 may be molded into a stable shape through an extrusion and/or rolling process.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2 may be formed to provide one air flow channel on one side or, in a preferred embodiment, more preferably multiple air flow channels as shown in FIG. 1 on both sides. This channel can be aligned with the air flow channel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to increase the air flow through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3 . Substrate 103 is exposed with a bare outer surface. Alternatively, the substrate 103 may include a breathable wrapper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03 . The wrapper may include, for example, paper and/or nonwoven fabric.

본 실시예에서, 기재는 18 x 12 x 1.2 mm 크기를 갖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직육면체 형상 또는 포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직육면체의 길이, 폭 및 깊이 각각은 예를 들어 +/- 40%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재의 길이는 40mm 내지 10mm, 바람직하게는 30mm 내지 12mm, 보다 바람직하게는 25mm 내지 14mm, 가장 바람직하게는 22mm 내지 15mm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재의 폭은 30mm 내지 6mm, 바람직하게는 25mm 내지 8mm, 보다 바람직하게는 20mm 내지 9mm, 가장 바람직하게는 16mm 내지 9mm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재의 깊이는 3mm 내지 0.5mm, 바람직하게는 2mm 내지 0.6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8mm 내지 0.8mm, 가장 바람직하게는 1.6mm 내지 0.9mm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substrate may have a substantially flat cuboid shape or pod shape having a size of 18 x 12 x 1.2 mm, and each of the length, width and depth of the cuboid is within a range of +/- 40%, for example. is chosen Generally,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substrate is between 40 mm and 10 mm, preferably between 30 mm and 12 mm, more preferably between 25 mm and 14 mm, and most preferably between 22 mm and 15 mm.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width of the substrate is 30 mm to 6 mm, preferably 25 mm to 8 mm, more preferably 20 mm to 9 mm, most preferably 16 mm to 9 mm.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depth of the substrate is 3 mm to 0.5 mm, preferably 2 mm to 0.6 mm, more preferably 1.8 mm to 0.8 mm, most preferably 1.6 mm to 0.9 mm.

에어로졸 생성 기재는 기재가 커버(102)에 의해 완전히 덮이고 커버가 커버(102)의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기재가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 내에 완전히 둘러싸여 격납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21)으로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의 길이보다 짧거나 같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챔버(107)는 예를 들어 20 x 12 x 1.2mm의 크기를 갖는 기재(103)의 형상에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직육면체의 길이, 폭 및 깊이 각각은 +/- 40%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다. 에어로졸 생성 챔버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기재(2)의 길이(여기서는 18mm)보다 크고, 에어로졸 생성 챔버(107)의 폭과 깊이는 각각 12mm와 1.2mm인 기재(2)의 폭과 깊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챔버의 길이는 45mm 내지 11mm, 바람직하게는 35mm 내지 13mm, 보다 바람직하게는 30mm 내지 14mm, 가장 바람직하게는 25mm 내지 15mm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챔버의 폭은 31mm 내지 6mm, 바람직하게는 26mm 내지 8mm, 보다 바람직하게는 21mm 내지 9mm, 가장 바람직하게는 17mm 내지 9mm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챔버의 깊이는 4mm 내지 0.5mm, 바람직하게는 3mm 내지 0.6mm, 보다 바람직하게는 2.8mm 내지 0.8mm, 가장 바람직하게는 2mm 내지 0.9mm이다.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is aerosol-gene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21 such that the substrate can be completely enclosed and contained within the aerosol-generating chamber 103 when the substrate is completely covered by the cover 102 and the cover is in the closed position of the cover 102. It is preferable to be designed to be shorter than or equal to the length of the chamber 103 . In other words,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7 has a substantially cuboi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bstrate 103 having a size of, for example, 20 x 12 x 1.2 mm, and each of the length, width and depth of the cuboid is +/ - Selected within the range of 40%. The length of the aerosol-generating chamber is preferably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substrate 2 (here 18 mm), and the width and depth of the aerosol-generating chamber 107 are greater than the width and depth of the substrate 2, which are 12 mm and 1.2 mm, respectively. desirable. More specifically,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is between 45 mm and 11 mm, preferably between 35 mm and 13 mm, more preferably between 30 mm and 14 mm, most preferably between 25 mm and 15 mm.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width of the chamber is between 31 mm and 6 mm, preferably between 26 mm and 8 mm, more preferably between 21 mm and 9 mm, and most preferably between 17 mm and 9 mm.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depth of the chamber is between 4 mm and 0.5 mm, preferably between 3 mm and 0.6 mm, more preferably between 2.8 mm and 0.8 mm, and most preferably between 2 mm and 0.9 mm.

에어로졸 생성 챔버의 직육면체는 횡방향에 수직인 2개의 표면을 형성하는 2개의 대향 단부에 2개의 개구를 갖는다. 개구 중 하나("제1 개구")는 기재(2)를 삽입하고 폐기하기 위한 개구로 구성되며, 커버(102)에 의해 덮일 수 있다. The cuboid of the aerosol-generating chamber has two openings at two opposite ends forming two surfaces perpendicular to the transverse direction. One of the openings ("first opening") is configured as an opening for inserting and discarding the substrate 2, and may be covered by a cover 102.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는 방출 기구(101)(검게 도시됨), LiPo 배터리(106), 제어기 또는 CPU를 포함하는 PCBA(104), 및 LiPo 배터리(1061)를 충전 및/또는 디바이스(1)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USB-C 커넥터(1063)를 추가로 포함한다. 방출 기구(101)는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의 제2 개구를 통해 기재(2)를 지지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 밖으로 기재(2)를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는 방출 기구와 맞물린다. 이것은 기재(2)가 방출 기구에 의해 방출될 때 기재(2)의 적어도 일부가 에어로졸 생성 챔버의 제1 개구 밖으로 자동으로 튀어나올 수 있고, 커버가 개방된 후 기재(2)가 사용자의 손으로 꺼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 2 , the body includes a discharge mechanism 101 (shown in black), a LiPo battery 106, a PCBA 104 including a controller or CPU, and a LiPo battery 1061 for charging and/or device 1 ) and a USB-C connector 1063 for transmitting data. The releasing mechanism 101 is configured to release the substrate 2 out of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3 by holding the substrate 2 through the second opening of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3 .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3 is engaged with the ejection device. This means that when the substrate 2 is ejected by the ejection mechanism, at least a part of the substrate 2 can automatically pop out of the first opening of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and the substrate 2 can be removed by the user's hand after the cover is opened. means it can be taken out.

디바이스(1)를 사용하고 기재(2)를 소비하기 전에, 사용자는 먼저 중간 위치 또는 개방된 위치까지 길이 방향을 따라 커버(102)를 활주시킴으로써 디바이스(1)의 커버(102)를 개방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삽입 방향(21)을 따라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의 제1 개구 내로 기재(103)를 삽입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커버를 폐쇄된 위치(31)로 활주시킴으로써 커버(102)를 폐쇄한다. 사용자는 디바이스(1)의 버튼에 의해 디바이스를 스위치온하고 기재(2)를 소비하기 시작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커버의 폐쇄 및/또는 디바이스(1) 내에 기재(2)의 존재를 감지하고 기재(2)의 가열을 자동으로 트리거하기 위해 디바이스(1)에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기재(2)의 소비를 마친 후, 사용자는 커버가 개방된 위치(33)로 활주할 때까지 커버(2)를 간단히 개방한다. 기재(2)의 적어도 일부는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의 제1 개구로부터 자동으로 팝업으로 튀어나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센서는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의 가열을 중지시키기 위해 커버(102)의 개방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디바이스(1)로부터 기재(2)를 폐기한다. Before using the device 1 and consuming the substrate 2, the user first opens the cover 102 of the device 1 by sliding the cover 10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n intermediate or opened position. The user then inserts the substrate 103 into the first opening of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3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21 . The user then closes the cover 102 by sliding the cover to the closed position 31 . The user switches on the device by means of a button on the device 1 and starts consuming the substrate 2 .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a sensor may be disposed on the device 1 to sense the closure of the cover and/or the presence of the substrate 2 within the device 1 and automatically trigger heating of the substrate 2 . After the user finishes consuming the substrate 2, the user simply opens the cover 2 until the cover slides to the open position 33. At least a portion of the substrate 2 pops up automatically from the first opening of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3 .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nsor is configured to detect opening of the cover 102 to stop heating of the aerosol generation chamber 103 . Finally, the user discards the substrate 2 from the device 1 .

방출 기구(101)의 특정 구성이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되어 있다.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ejection mechanism 101 is shown in FIGS. 3A-3C.

방출 기구(101)는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 및 커버(102)와 적어도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커버(102)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린다. 방출 기구(101)는 시소(seesaw)와 유사하거나 시소 형태의 레버(1011)를 포함한다. 레버(1011)는 디바이스(1)의 고정 힌지에서 선회하는 2개의 직선 빔(beam) 또는 로드(rod)를 갖는다. 2개의 빔은 하나 피스로 통합되어 미리 정해진 각도를 고정 형성한다. 2개의 빔 중 하나의 빔의 상부 단부는 기재(2)가 가열되는 동안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의 바닥(내부 하부 표면 또는 바닥)으로서 기재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 내로 돌출된다. 따라서, 커버(102)가 활주 가능하게 개방될 때 기재(2)의 적어도 일부가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의 제1 개구 밖으로 방출된다. 레버(1011)의 지렛대 운동은 커버(102)에 의해 트리거되고, 두 가지 상태, 즉 방출된 상태와 비방출된 상태로 분리될 수 있다. 방출된 상태에서 기재(2)는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로부터 돌출되고, 비방출된 상태에서 기재(2)는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에 의해 완전히 격납된다. 방출 기구(101)는 커버(102)가 폐쇄된 위치(31)로부터 개방된 위치(33)로 이동할 때 레버(1011)를 회전시켜 기재(2)를 방출함으로써 비방출된 상태로부터 방출된 상태로 전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버(1011)는 커버(102)가 폐쇄된 위치(31)로부터 중간 위치(32)로 활주할 때 회전하지 않고, 레버(1011)는 커버(102)가 중간 위치(32)로부터 개방된 위치(33)로 활주할 때 지렛대 운동에 의해 기재(2)를 방출한다. The ejection device 101 is at least indirectly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3 and the cover 102 and at least partially engages the cover 102 . The release mechanism 101 includes a seesaw-like or seesaw-shaped lever 1011 . The lever 1011 has two straight beams or rods pivoting on the fixed hinges of the device 1 . The two beams are integrated into one piece to form a fixed predetermined angle. The upper end of one of the two beams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substrate as the bottom (inner lower surface or floor) of the aerosol generation chamber 103 while the substrate 2 is heated and projects into the aerosol generation chamber 103. do. Thus, at least a portion of the substrate 2 is expelled out of the first opening of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3 when the cover 102 is slidably opened. The lever movement of the lever 1011 is triggered by the cover 102, and can be separated into two states, a released state and a non-released state. In the ejected state, the substrate 2 protrudes from the aerosol-generating chamber 103, and in the non-ejected state, the substrate 2 is completely contained by the aerosol-generating chamber 103. The ejection mechanism 101 rotates the lever 1011 to eject the substrate 2 when the cover 102 is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31 to the open position 33, thereby changing the discharged state from the non-ejected state. make a transition More specifically, the lever 1011 does not rotate when the cover 102 slides from the closed position 31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32, and the lever 1011 causes the cover 102 to slide from the intermediate position 32. When sliding to the open position 33, it releases the substrate 2 by means of a lever motion.

방출 기구는 활주 블록(1012)이 레버(1011)의 지렛대 운동을 트리거하기 위해 커버 및 레버와 맞물리도록 배치되고 구성된 활주 트랙(1013)을 추가로 포함한다. 활주 트랙(1013)은 디바이스(1)의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여기서 활주 블록(1012)은 동일한 축을 따라 이동한다. 이 축을 따라 활주 블록은 2개의 대향 단부를 가진다. 제1 단부는 경사진 편평한 표면을 갖고, 제2 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호(arc) 부분을 형성한다. 커버(102)는 중간 위치(32)와 폐쇄된 위치(33) 사이에서 활주 블록(1012)의 경사 표면과 활주 가능하게 맞물려 협력하는 경사진 편평한 표면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커버가 중간 위치(32)로부터 폐쇄된 위치(33)로 이동할 때, 커버(102)의 돌출부의 경사진 표면은 활주 블록(1012)을 눌러 활주 블록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활주 블록(1012)의 호 부분은 레버(1011)의 하나의 빔을 아래로 누르고, 레버(1011)의 다른 빔은 지렛대 운동으로 인해 위로 올려진다. The release mechanism further includes a slide track 1013 arranged and configured such that the slide block 1012 engages the cover and lever to trigger lever motion of the lever 1011 . The sliding track 1013 is arranged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device 1, where the sliding blocks 1012 move along the same axis. Along this axis the sliding block has two opposite ends. The first end has an inclined flat surface and at least part of the second end forms an arc portion. The cover 102 includes a protrusion having an inclined flat surface that slidably engages and cooperates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lide block 1012 between an intermediate position 32 and a closed position 33 . In other words, when the cover moves from the intermediate position 32 to the closed position 33,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rojection of the cover 102 presses the slide block 1012 to move the slide block downward, and the slide block ( The arc portion of 1012 pushes down one beam of lever 1011, and the other beam of lever 1011 is lifted up due to the lever motion.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방출 기구의 적어도 일부는 금속 물질을 포함하거나 바람직하게는 금속 물질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커버(102)의 돌출부(1021) 및/또는 활주 블록(1012)의 경사진 표면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ejection device comprises or preferably consists of a metallic material; Preferably, the protrusion 1021 of the cover 102 and/or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liding block 1012 are made of metal.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활주 블록(1012)이 활주할 때 레버(1011)가 회전하도록 그리고 그 반대로도 기능하도록 고정 기구(도시되지 않음)는 레버(1011)가 활주 블록(1012)의 호 부분과 기계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스프링이 레버(1011)의 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레버(1011)의 빔이 관통 연장되는 링이 활주 블록(1012)에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자석이 레버(1011)와 활주 블록(1012)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고정 기구를 구비하면 레버의 빔은 활주 블록(1012) 및 커버(102)와 함께 회전하고 이동한다. 이에 따라 기재(2)를 지지하는 레버(1011)의 빔이 아래로 회전하면서 기재(2)는 폐쇄된 위치(33)로부터 중간 위치(32)로 가열 챔버(103) 내로 자동으로 삽입된다.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a locking mechanism (not shown) is provided so that the lever 1011 rotates when the slide block 1012 slides and vice versa, so that the lever 1011 is an arc portion of the slide block 1012. It is configured to be mechanically engaged with. More specifically, in one embodiment, a spring may be placed under the beam of lever 1011. In another embodiment, a ring through which the beam of the lever 1011 extends may be configured on the slide block 1012. In another embodiment, magnets may be placed on the lever 1011 and slide block 1012. With this fixing mechanism, the beam of the lever rotates and moves together with the slide block 1012 and the cover 102. Accordingly, the substrate 2 is automatically inserted into the heating chamber 103 from the closed position 33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32 while the beam of the lever 1011 supporting the substrate 2 rotates downward.

다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는 고정 디바이스를 갖도록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커버(102)가 개방된 위치(33)에 있을 때 기재(2)를 에어로졸 생성 챔버(102) 내로 삽입할 수 있다. 가열 챔버에 가까운 레버(1011)의 빔이 위로 올려져 있고 에어로졸 생성 챔버(102) 내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기재(2)는 또한 에어로졸 생성 챔버(102) 밖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된다. 사용자는 커버가 중간 위치(32)로부터 폐쇄된 위치(31)로 활주할 때 기재(2)의 무게로 인해 레버가 중력에 의해 다시 리셋되도록 디바이스(1)를 단순히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In other embodiments, device 1 may not be configured to have a fixed device. A user may insert the substrate 2 into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2 when the cover 102 is in the open position 33 . Since the beam of the lever 1011 close to the heating chamber is raised and projects into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2 , the substrate 2 also projects at least partially out of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2 . The user can simply hold the device 1 horizontally so that when the cover slides from the intermediate position 32 to the closed position 31 the weight of the substrate 2 causes the lever to be reset by gravity again.

이하, 디바이스(1)의 방출 기구(101)에 의해 수행되는 공정과 방출 기구의 상이한 상태, 보다 구체적으로 방출된 상태와 비방출된 상태가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논의된다. Hereinafter, the process performed by the ejection mechanism 101 of the device 1 and the different states of the ejection mechanism, more specifically the ejected state and the non-ejected state, are discussed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C .

비방출된 상태non-emission state

도 3a 및 도 3b에서, 방출 기구(101)는 비방출된 상태에 있다. 기재(2)는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 내로 완전히 삽입된다. 기재(2)를 지지하는 레버(1011)의 하나의 빔은 기재에 의해 아래로 눌려지고, 레버(1011)의 다른 빔은 활주 블록(1012)과 함께 위로 들어올려진다. 3A and 3B, the ejection mechanism 101 is in a non-ejected state. The substrate 2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3 . One beam of the lever 1011 supporting the substrate 2 is pressed down by the substrate, and the other beam of the lever 1011 is lifted up together with the slide block 1012.

사용자가 폐쇄된 위치(31)로부터 중간 위치(32)로 길이 방향으로 커버를 활주시킬 때, 방출 디바이스는 비방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커버(102)의 돌출부와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를 덮는 커버의 단부 사이의 거리(L1)는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의 폭보다 길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레버(1011)는 커버가 중간 위치(32)로 활주할 때 디바이스의 받침점 또는 고정 힌지에서 회전 및 선회하기 시작하여, 비방출된 상태로부터 방출된 상태로의 전이 동안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의 제1 개구와 기재(2)가 완전히 노출된다. When the user slides the cover longitudinally from the closed position 31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32, the ejection device remains in a non-ejected state. The distance L1 between the protrusion of the cover 102 and the end of the cover covering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3 is configured to be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3 . With this arrangement, the lever 1011 begins to rotate and pivot at the fulcrum or fixed hinge of the device when the cover slides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32, thereby opening the aerosol-generating chamber during the transition from the non-ejected state to the ejected state. The first opening of 103 and the substrate 2 are completely exposed.

방출된 상태released state

도 3c는 방출 기구(101)의 방출된 상태를 도시한다. 커버는 개방된 위치(33)로 활주되어 있다. 커버(102)가 더 이상 뒤로 활주하는 것을 정지시키기 위해 디바이스(1)에 정지 구조물(도시되지 않음)이 배치된다. 커버(102)를 쌍안정으로 만들기 위해, 즉 개방된 상태 또는 폐쇄된 상태에서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정 구조물(도시되지 않음)이 디바이스(1)에 배치될 수도 있다. 고정 구조물은 중심 스프링 또는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활주 블록(1012)은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커버(102)의 돌출부에 의해 눌려 아래로 활주한다. 3C shows the released state of the ejection mechanism 101 . The cover is slid to an open position (33). A stop structure (not shown) is arranged in the device 1 to stop the cover 102 from sliding further back. A fixing structure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the device 1 to make the cover 102 bistable, that is, to be able to stably maintain its position in an open or closed state. The stationary structure may consist of a central spring or a magnet. The slide block 1012 slides down as it is pressed by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cover 102 having a trapezoidal shape.

활주 블록(1012)과 연결되는 레버(1011)의 빔은 아래로 눌려지는 반면, 레버(1011)의 다른 빔은 위로 상승되어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 내로 돌출된다. 기재(2)는 지지되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밖으로 튀어나와 사용자가 기재를 디바이스 밖으로 폐기할 수 있도록 한다. The beam of the lever 1011 connected with the slide block 1012 is pushed down, while the other beam of the lever 1011 is raised up and protrudes into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3. Substrate 2 is supported and protrudes out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allowing the user to discard the substrate out of the device.

Claims (9)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로서,
-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기재(2)를 수용하고 가열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
- 상기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를 덮는 폐쇄된 위치(31)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를 노출시키는 개방된 위치(33)에 있을 수 있는 커버(102), 및
- 레버(1011)를 갖는 방출 기구(101)로서, 상기 커버(102)가 상기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 밖으로 상기 기재(2)의 적어도 일부를 방출하도록 상기 커버(102)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방출 기구(101)
를 포함하고,
상기 방출 기구(101)는 상기 기재(2)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로부터 돌출된 방출된 상태, 및 상기 기재(2)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 내에 완전히 격납된 비방출된 상태에 있을 수 있고;
상기 방출 기구(101)는 상기 커버(102)가 상기 폐쇄된 위치(31)로부터 상기 개방된 위치(33)로 이동할 때 상기 레버(1011)를 회전시켜 상기 기재(2)를 방출함으로써 상기 비방출된 상태로부터 상기 방출된 상태로 전환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
A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
- an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3 configured to receive and heat the substrate 2 to generate an aerosol;
- a cover 102 which can be in a closed position 31 covering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3 and in an open position 33 exposing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3, and
- a release mechanism (101) with a lever (1011), such that when the cover (102) is in the open position, the cover (102) relea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substrate (2) out of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3). ) and an ejection mechanism (101) at least partially engaged with
including,
The ejection mechanism 101 is in a discharged state in which the substrate 2 protrudes from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3 and in a non-ejected state in which the substrate 2 is completely contained within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3. can be;
The ejection mechanism 101 rotates the lever 1011 to release the substrate 2 when the cover 102 moves from the closed position 31 to the open position 33, thereby releasing the non-discharge. an aerosol-generating device (1), which is converted from a discharged state to said emitt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02)가 상기 개방된 위치(33)로부터 상기 폐쇄된 위치(31)로 이동할 때, 상기 레버(1011)는 상기 기재(2)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에 완전히 삽입된 상기 비방출된 상태에 진입하도록 원래 위치로 되 회전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cover (102) is moved from the open position (33) to the closed position (31), the lever (1011) moves the substrate (2) to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03). an aerosol-generating device (1), which rotates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to enter said non-ejected state fully inserted into th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02)는 상기 개방된 위치(33)와 상기 폐쇄된 위치(31) 사이의 중간 위치(32)에 있을 수 있고, 상기 레버(1011)는 상기 커버(102)가 상기 폐쇄된 위치(31)로부터 상기 중간 위치(32)로 이동할 때에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레버(1011)는 상기 커버(102)가 상기 중간 위치(32)로부터 상기 개방된 위치(33)로 이동할 때 회전함으로써 상기 기재(2)를 방출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ver (102) can be in an intermediate position (32) between the open position (33) and the closed position (31), and the lever (1011) is When the cover 102 moves from the closed position 31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32, it does not rotate, and the lever 1011 moves the cover 102 from the intermediate position 32 to the open position (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 which ejects said substrate (2) by rotating when moving to 3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011)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챔버(103)의 바닥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4. Aerosol-generating device (1) according to any preceding claim, wherein the lever (1011) forms at least partly the bottom surface of the aerosol-generating chamber (10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기구(101)는 활주 트랙(1013)을 갖고, 상기 커버(102)와 상기 레버(1011)와 활주 가능하게 맞물린 활주 블록(1012)은 상기 레버(1011)의 회전을 트리거하기 위해 상기 활주 트랙(1013)에서 활주하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5. The slide block (1012) slidably engaged with the cover (102) and the lever (1011)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release mechanism (101) has a slide track (1013). is arranged to slide on the sliding track (1013) to trigger rotation of the lever (10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 블록(1012)이 활주할 때 상기 레버(1011)가 회전하도록 그리고 그 반대로도 기능하도록 고정 기구는 상기 레버(1011)가 상기 활주 블록(1012)과 기계적으로 맞물리게 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ock mechanism mechanically engages the lever (1011) with the slide block (1012) so that the lever (1011) rotates when the slide block (1012) slides and vice versa. , aerosol generating device (1).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02)의 돌출부(1021)는 상기 커버(102)가 상기 폐쇄된 위치(31)로부터 상기 개방된 위치(33)로 이동하거나 상기 개방된 위치(33)로부터 상기 폐쇄된 위치(31)로 이동할 때 상기 레버(1011)가 각각 아래로 눌리거나 위로 올라가도록 상기 활주 블록(1012)의 일 단부와 활주 가능하게 맞물리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wherein the protrusion (1021) of the cover (102) moves the cover (102) from the closed position (31) to the open position (33) or the open position (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 slidably engages one end of the slide block (1012) such that when moving from 33 to the closed position (31) the lever (1011) is pushed down or raised, respectively.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기구의 적어도 일부는 금속 물질을 포함하거나 바람직하게는 금속 물질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102)의 돌출부(1021) 및/또는 상기 활주 블록(1012)의 단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ejection mechanism comprises or preferably consists of a metal material, preferably a protrusion (1021) of the cover (102) and/or or the end of the sliding block (1012) is made of metal.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는 세장형 형상을 갖고, 상기 커버(102)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의 길이 방향으로 활주하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has an elongated shape and the cover (102) is arranged to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Aerosol generating device (1).
KR1020237011735A 2020-10-06 2021-10-05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leveraged ejection mechanism KR2023008042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200262.2A EP3981266B1 (en) 2020-10-06 2020-10-06 Aerosol generation device with ejection mechanism using leverage
EP20200262.2 2020-10-06
PCT/EP2021/077457 WO2022074006A1 (en) 2020-10-06 2021-10-05 Aerosol generation device with ejection mechanism using lever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420A true KR20230080420A (en) 2023-06-07

Family

ID=72752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1735A KR20230080420A (en) 2020-10-06 2021-10-05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leveraged ejection mechanism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71591A1 (en)
EP (1) EP3981266B1 (en)
JP (1) JP2023543468A (en)
KR (1) KR20230080420A (en)
TW (1) TW202228535A (en)
WO (1) WO2022074006A1 (e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407627D0 (en) 2004-04-02 2004-05-05 Vectura Ltd Corkscrew pump
CN108367128B (en) 2015-12-22 2022-10-21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Motorized aerosol-generating system
GB201615602D0 (en) 2016-09-14 2016-10-2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Receptacle Section
CN206275171U (en) 2016-12-12 2017-06-27 刘丽丽 A kind of electronic cigarette device
CN109588776A (en) 2017-09-30 2019-04-09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A kind of ultrasonic wave liquid electronic cigarette
KR102521952B1 (en) * 2017-12-14 2023-04-13 차이나 토바코 후난 인더스트리얼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electronic cigarette
KR20210003152A (en) 2018-04-17 2021-01-11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Aerosol generating system
CN208768968U (en) 2018-07-02 2019-04-23 龚忠盘 Portable filtering smoking apparatus
JP7254208B2 (en) 2019-04-29 2023-04-07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Aerosol generator with movably attached mouthpiece
KR102402064B1 (en) 2020-01-31 2022-05-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erosol-generating apparatus with reduced pre-heating time
CN111165894A (en) 2020-02-20 2020-05-19 上海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Aerial fog gener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74006A1 (en) 2022-04-14
EP3981266B1 (en) 2023-07-19
EP3981266A1 (en) 2022-04-13
JP2023543468A (en) 2023-10-16
TW202228535A (en) 2022-08-01
US20230371591A1 (en) 202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0768B1 (en) Aerosol-generating articles with novel tobacco substrates
KR20190008935A (en)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comprising a piston and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US20230240362A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KR20230080420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leveraged ejection mechanism
US20230189883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40007180A (en) An aerosol-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cup-shaped heating chamber defining an open end and a sealed end.
KR20240053045A (en) Tobacco article in flat form comprising a first gap and a second gap, and associated aerosol generating devices and assemblies
EP3981267B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with ejection mechanism
EP3981263B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with sleeve cover
JP2024517083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a push rod
KR20240027615A (en) Flat tobacco articles comprising at least two layers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s having such articles
US20230240361A1 (en) Aerosol Generation System, Device
KR20240027610A (en) Flat tobacco articles comprising at least two layers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s having such articles
KR20240053047A (en)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associated aerosol-generating assembly comprising a heating chamber of planar shape
WO2023031171A1 (en) Flat-shaped tobacco article comprising a gap, and associated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ssembly
KR20240006596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two heating elements
KR20230080433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