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238A - 셀프레벨링 헤라 - Google Patents

셀프레벨링 헤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238A
KR20230080238A KR1020210167776A KR20210167776A KR20230080238A KR 20230080238 A KR20230080238 A KR 20230080238A KR 1020210167776 A KR1020210167776 A KR 1020210167776A KR 20210167776 A KR20210167776 A KR 20210167776A KR 20230080238 A KR20230080238 A KR 20230080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lade
hera
leveling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7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삼
Original Assignee
김종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삼 filed Critical 김종삼
Priority to KR1020210167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0238A/ko
Publication of KR20230080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10Hand tools for removing partially or for spreading or redistribut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colour touch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셀프레벨링 헤라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블레이드; 및 상기 연결부재의 양 단부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보다 더 돌출되는 지지대;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지지대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동되어 방수제 등의 평탄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셀프레벨링 헤라{Self Leveling Hera}
본 발명은 도막방수와 셀프레벨링에 사용되는 헤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균일한 두께의 방수제 도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시공 후 청소가 용이하고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셀프레벨링 헤라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이나 토목구조물의 시공시에는 주요 부위에 방수 처리를 하게 되어 있으며, 방수 처리를 할 때 도막방수를 주로 하는데 일정한 두께를 형성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블레이드의 단부가 민자형으로 되거나 톱니형으로 이루어진 헤라가 주로 사용되었다.
여기서 사용되는 헤라는 일반적으로 손잡이에 우레탄이나 고무 등으로 되는 탄성재질의 블레이드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헤라는 블레이드를 보수작업면에 직접 접촉하여 적절한 압력으로 누르면서 이동시키는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접촉면이 쉽게 마모되어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종래의 헤라는 블레이드를 보수작업면에 직접 접촉하여 적절한 압력으로 누르면서 이동시키는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상당한 숙련도가 요구되었고, 손이나 팔에 상당한 무리가 가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종래 셀프레벨링 헤라의 일례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손잡이(1)의 단부에 연결부재(2)가 연결되고, 연결부재(2)에 블레이드(3)가 설치되어 있으며, 블레이드(3)의 하단부는 연속반복적인 요철로서 톱니부(4)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톱니 형태를 갖춘 방수용헤라는 청소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를 지니고 있어 1회나 2회 작업 후 폐기하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폐기된 방수용 헤라는 그 수량이 상당하여 환경오염에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된다.
더욱이 두께 조절이 불가능하여 정해진 두께로만 작업이 가능하고, 톱니자국이 그대로 남아서 작업의 품질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 등록특허 10-2262600(2021.06.02.등록) 2. 한국 등록특허 10-2305112(2021.09.16.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편리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두께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고, 기존 헤라에서와 같은 톱니자국이 형성되지 않아 평활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셀프레벨링 헤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헤라만으로 도막의 두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셀프레벨링 헤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너링이 용이하여 코너 부분의 작업도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된 셀프레벨링 헤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블레이드; 및 상기 연결부재의 양 측단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보다 더 돌출되는 지지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를 작업면의 표면에 직접 접촉시킨 상태에서 헤라를 이동시키게 되면, 지지대에 의해 작업표면과 블레이드의 이격된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이 간격만큼 방수제가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지지대는 측면에 장공이 형성되고, 이 장공으로 나사가 삽입되어 연결부재의 측면에 형성되는 나사구멍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블레이드에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장공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장공에 대응되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나사에 의해 조립됨으로써, 지지대의 내측에서 블레이드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장공에 끼워지는 지지핀이 더 구비됨으로써 지지대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연결부재의 양 측단에 관 형태의 지지부재가 고정 설치되고, 이 고정부재 내부로 상기 지지대가 인입 및 인출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지지대에는 눈금이 형성되어 블레이드와 지면과의 간격을 수치화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연결부재의 양 단부에서 측벽이 후방으로 연장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측벽에 의해 밀려지는 방수제가 외측으로 흩어지지 않고 일정한 공간내에 모아지면서 균일한 도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벽은 지지대와의 사이에 하단이 개구된 개구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지지대는 바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손잡이는 중간이 절곡되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셀프레벨링 헤라에 의하면, 블레이드의 양 측으로 지지대가 하향 돌출되어 있어서 이 지지대를 지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이동함으로써 블레이드와 지면간의 이격된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균일한 방수제의 도포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숙련된 기술이 없이도 편리한 작업이 가능하면서 고품질의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조건에 따라 지면과 블레이드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양 측으로 측벽을 구성함으로써 충진재의 도포작업 시 방수제가 외측으로 흩어지지 않고 내측으로 모아주면서 깔끔하게 정리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양측에 지지대로서 바퀴를 설치하여 지면과의 마찰을 줄여서 보다 원활하고 용이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아울러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셀프레벨링 헤라의 일례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라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지지대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상기 도 9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상기 도 11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라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지지대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헤라는 손잡이(10)와, 상기 손잡이(10)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20)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블레이드(30) 및 상기 연결부재(20)의 양 단부에서 상기 블레이드(30)의 하단보다 더 돌출되는 지지대(40)로 이루어진다.
손잡이(10)는 일반적인 자루형태의 것으로서 짧은 형태와 긴 형태의 것이 선택될 수 있다.
연결부재(20)는 합성수지나 금속 등으로 이루어져서 손잡이(10)의 하단에 설치되며, 블레이드(30)를 견고하게 홀딩한다.
블레이드(30)는 고무, 우레탄 등의 탄성재질은 물론 금속 등의 재질로도 적용되는 것으로서 폭 넓은 하단부를 가지고 상기 연결부재(20)에 설치된다.
지지대(40)는 지면과 지속적으로 마찰되는 것으로서 금속과 같이 경질의 재료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부재(20)의 양 측면 또는 전면이나 후면의 양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지지대(40)는 판형 또는 원형이나 사각의 단면을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지지대(40)는 연결부재(2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연결부재(20)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나사구멍(21)을 형성하여 나사(50)에 의해 조립 설치한다.
지지대(40)는 연결부재에 설치되었을 때 그 하단이 블레이드(30)의 하단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된다. 따라서 본 헤라를 작업 상태에서 지면에 접촉시키면 블레이드(30)의 하단과 지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지지대(40)는 블레이드(30)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부재(20)에 나사구멍(21)을 다수 형성하고, 이 나사구멍(21)에 선택적으로 나사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와 같이 지지대(40)에 장공(41)을 형성하여 이 장공(41)을 통해 나사(50)를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장공(41)에 의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연결부재(20)에는 상기 지지대(40)의 장공(41)에 끼워지는 지지핀(22)을 더 형성하여 나사(50)와 함께 지지대(40)가 틀어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헤라는 지지대(40)가 블레이드(30)의 양 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지면에 접촉하였을 때 블레이드(30)의 하단부가 지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헤라를 이용하여 방수제나 에폭시코팅 또는 수평몰탈 등을 도포할 경우, 헤라의 지지대(40)를 대상 부위의 양쪽으로 지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이동시키게 되면, 지면과 블레이드(30)의 이격된 간격만큼 방수제층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방수제층을 일정하게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무리한 조작을 할 필요없이 간편한 평탄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지지대(40)는 작업 도중 직선 구간을 지나 코너링 구간에서 회전축 기능도 할 수 있다.
또한 작업 대상에 따라 방수제층의 두께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나사(50)를 이용하여 지지대(40)의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블레이드(30)의 하단과 지면과의 간격을 임의대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지지대(40)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간격의 눈금(42)을 형성함으로써 필요한 돌출 길이를 수치적으로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대(40)에 형성된 눈금(42)을 이용하여 정확한 두께의 방수제를 도포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연결부재(20)의 양 측단에 관 형태의 지지부재(45)를 설치 고정하고, 이 지지부재(45)의 내측으로 지지대(40)를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삽입하여 나사(50)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도 지지대(40)에는 눈금(42)이 표시되어 인출되는 길이를 정확하게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연결부재(20)의 양 측단에 관 형태의 지지부재(45)를 설치 고정하고, 이 지지부재(45)의 내측으로 지지대(40)를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삽입하되, 지지부재(45)의 측면으로 장공(46)이 형성되어 이 장공(46)을 통해 나사(50)로써 지지대(40)를 고정하도록 된 것이다.
도 8은 지지대의 또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지지대가 연결부재(20)의 양 측면에서 바퀴(60)의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바퀴로 설치되면 지면과의 접촉 시 마찰을 줄이고 더욱 신속하고 원활한 평탄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손잡이(10) 하단에 설치된 연결부재(20)의 양 측부에 지지대(40)가 설치되고, 연결부재(20)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블레이드(30)가 상ㆍ하 높이 조절이 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블레이드(30)에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장공(31)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0)에는 상기 장공(31)에 대응되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나사(50)에 의해 조립됨으로써, 블레이드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이 경우에는 양 측의 지지대(40)가 고정되고 블레이드(30)를 상ㆍ하로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보여준다.
이 경우에도 지지대(40)에 눈금을 형성하여 정확한 수치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손잡이(10) 하단에 설치된 연결부재(20)의 하측으로 블레이드(30)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20)의 양 측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지지대로서의 측벽(70)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벽(70)은 그 하단이 상기 블레이드(30)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되어 측벽(70)의 하단이 지면에 놓였을 때 블레이드(30)의 하단은 지면과 이격된 상태로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20)의 양 측단에는 별도의 지지대(40)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지지대(40)는 하단부가 상기 블레이드(30)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도 9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블레이드(30)는 연결부재(20) 상에서 상ㆍ하로 이동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벽(70)이 구비되면 평탄 작업 시 블레이드(30)에 의해 밀리는 방수제가 양 측으로 흩어지지 않고 내측으로 모이면서 진행되어 미려한 작업 표면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30)와 측벽(70) 사이의 모서리 하단부분 또는 지지대(40)와 측벽(70) 사이의 하단부분에는 개구부(7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개구부(71)는 방수제의 도포 작업 시 코너링과 같은 회전 구간에서 방수제가 측벽(70)에 의해 쓸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손잡이(10)의 중간에 절곡부(11)를 형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손잡이(10)의 자루를 임의대로 절곡 및 고정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0 ; 손잡이 11 ; 절곡부
20 ; 연결부재 21 ; 나사구멍
22 ; 지지핀 30 ; 블레이드
31 ; 장공 40 ; 지지대
41 ; 장공 42 ; 눈금
50 ; 나사 60 ; 바퀴
70 ; 측벽 71 ; 개구부

Claims (7)

  1.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블레이드; 및
    상기 연결부재의 양 측단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보다 더 돌출되는 지지대; 를 포함하는 셀프레벨링 헤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에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장공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장공에 대응되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나사에 의해 조립됨으로써, 상기 지지대의 내측에서 블레이드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레벨링 헤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장공에 끼워지는 지지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레벨링 헤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양 측단에 관 형태의 지지부재가 고정 설치되고, 이 고정부재 내부로 상기 지지대가 인입 및 인출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레벨링 헤라.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눈금이 형성되어 지지대의 단부와 블레이드의 단부와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레벨링 헤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양 단부에서 측벽이 후방으로 연장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레벨링 헤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바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레벨링 헤라.
KR1020210167776A 2021-11-29 2021-11-29 셀프레벨링 헤라 KR202300802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776A KR20230080238A (ko) 2021-11-29 2021-11-29 셀프레벨링 헤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776A KR20230080238A (ko) 2021-11-29 2021-11-29 셀프레벨링 헤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238A true KR20230080238A (ko) 2023-06-07

Family

ID=86760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776A KR20230080238A (ko) 2021-11-29 2021-11-29 셀프레벨링 헤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023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600B1 (ko) 2020-11-13 2021-06-07 이다지 건축물 및 토목 구조물 크랙보수용 헤라
KR102305112B1 (ko) 2021-04-06 2021-09-27 포에이시스템 주식회사 균열 보수 피복 두께 품질을 위한 기능성 헤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600B1 (ko) 2020-11-13 2021-06-07 이다지 건축물 및 토목 구조물 크랙보수용 헤라
KR102305112B1 (ko) 2021-04-06 2021-09-27 포에이시스템 주식회사 균열 보수 피복 두께 품질을 위한 기능성 헤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3272B1 (en) Measur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03101084A (zh) 一种板材切割装置
KR20230080238A (ko) 셀프레벨링 헤라
US7252456B1 (en) Portable form and method for using same for concrete strike-off
CA2863869C (en) A tool for finishing an outside corner
US3947916A (en) Trowel for masonry steps
JP3194600U (ja) 床用ガイドマーカー
US7959978B2 (en) Drywall mud hopper for inside and outside corners
CN110146049A (zh) 一种用于混凝土叠合板预制底板表面粗糙度的测评方法
CN206385436U (zh) 一种铺砖机刮平装置的稳定机构
CN209509425U (zh) 一种墙面找平工具
JP5016147B1 (ja) タイル接着剤張り工法に用いる左官鏝
US7357596B2 (en) Concrete screed with movable leading edge
US20220325535A1 (en) Adjustable screed board
JP2012122232A (ja) 側溝用カッター装置及び側溝の改修方法
CN204649128U (zh) 混凝土测厚尺
CN209228082U (zh) 一种精准控制灰缝的砌筑铺浆辅助器
CN108680072B (zh) 一种桥梁路面用多功能折叠尺
CN220790463U (zh) 一种建筑阳角移动式抹灰控制工具
CN213831138U (zh) 应用于建筑设计的专用绘图辅助工具
JP3076123U (ja) 舗装用均し具の柄
CN104963510B (zh) 一种弧形结构翼板中心线的定位装置及方法
CN218658510U (zh) 一种圆弧阳角打磨砂架
CN219604780U (zh) 一种便于清洗的墙面抹平工具
CN214467222U (zh) 一种绿色建筑工程用激光水准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