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9806A - 침해물품 판정 장치 및 침해물품 판정 방법 - Google Patents

침해물품 판정 장치 및 침해물품 판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9806A
KR20230079806A KR1020210166950A KR20210166950A KR20230079806A KR 20230079806 A KR20230079806 A KR 20230079806A KR 1020210166950 A KR1020210166950 A KR 1020210166950A KR 20210166950 A KR20210166950 A KR 20210166950A KR 20230079806 A KR20230079806 A KR 20230079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gn
list
infringing
rights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웅
박준현
김동섭
Original Assignee
라온피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온피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온피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6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9806A/ko
Priority to PCT/KR2021/017847 priority patent/WO2023095979A1/ko
Publication of KR20230079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98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2Query formulation, e.g. graphical 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8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r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7/22Arrangements for sorting or merging computer data on continuous record carriers, e.g. tape, drum, disc
    • G06F7/24Sorting, i.e. extracting data from one or more carriers, rearranging the data in numerical or other ordered sequence, and rerecording the sorted data on the original carrier or on a different carrier or set of carriers sorting methods in gener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6/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dditional aspects of information retrieval not explicitly covered by G06F16/00 and subgroups
    • G06F2216/11Patent retriev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12Applications of a database
    • Y10S707/923Intellectual property
    • Y10S707/937Intellectual property intellectual property sear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침해물품 판정 장치 및 침해물품 판정 방법을 제시하며, 침해물품 판정 장치는, 대상물품의 촬영을 위한 모바일단말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 및 상기 대상물품을 촬영한 촬영이미지를 획득하면 상기 촬영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물품이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침해물품 판정 장치 및 침해물품 판정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JUDGING INFRINGEMENT}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침해물품 판정 장치 및 침해물품 판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물품이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AI융합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 구축 사업의 연구결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다음과 같다.
[과제번호] A2101-20-1009
[부처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제관리(전문)기관명]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연구사업명] AI융합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 구축
[연구과제명] AI 앙상블 기법과 머신비전 광학계를 이용한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 사업
[과제수행기관명] 라온피플(주)
[연구기간] 2021.01.01. ~ 2021.12.31.
최근 들어, 제조사 또는 유통사들은 자신이 제작, 판매하는 물품을 시장에서 보호받기 위해 디자인권을 등록해두는 경우도 많다. 다만 제조사나 유통사가 많고 또한 각 제조사나 유통사가 제작하는 물품의 종류와 개수도 많아지고 있다. 더욱이 같은 종류, 같은 제조사라 하더라도 모델이 다양한 경우가 있어, 제조사나 유통사가 각 모델에 대해 디자인권을 확보해둔 상태라면 침해 판단 시 검토해야 할 디자인권의 개수가 매우 많아진다.
한편 해외 직구가 용이해지고 물품의 수입이 용이해짐에 따라 수입품이 증가하고 있다. 이때 위조된 물품이 유통되는 경우도 있어 관세청 등은 통관되는 물품이 지식재산권을 침해하지 않는지를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
그러나 워낙 다양한 종류, 모델의 물품이 쏟아져나오고 있는 상태에서 관세청이 디자인권 침해 여부를 판단하기란 쉽지 않다.
관세청의 제한된 인력만으로 그 많은 물품의 디자인권 침해 판단을 수행하기가 어렵고, 모니터링 인력 개인의 기억력에 의존하여 디자인권 유무에 따라 침해 판단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더군다나 침해 여부 판단을 사람이 육안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그 정확성이 낮을 수 있고 사람별로 판단의 편차가 있을 수밖에 없다. 더욱이 디자인권의 데이터베이스도 최신화됨에 따라 등록되거나 삭제되는 디자인권이 많아지는데, 이는 대상물품이 침해물품인지를 정확히 판단하는데 걸림돌이 된다.
따라서 등록 디자인권을, 예를 들어, 수입 통관 물품이 침해하는지 여부를 정확하고 빠른 시간 내에 판단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01849 호에서는, 정품인증 대상에 부착되는 스티커의 한 면에 도포되고, 입사된 빛을 반사시킬 때 특정 스펙트럼을 포함시켜 반사시키는 광학물질, 상기 정품인증 대상에 부착되는 스티커의 한 면에 패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정품인증 대상 제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정보, 그리고 상기 정품인증 대상에 부착되는 스티커의 한 면에 형성되는 무작위 패턴으로서 상기 정품인증 대상의 정품을 인증하는 패턴을 포함하는 인증 수단에 대해 제안하고 있다. 선행기술은 정품 인증을 위한 스티커 부착을 요하는바, 선행기술로 특정 물품이 디자인권을 침해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등록 디자인권을 대상물품이 침해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침해물품 판정 장치 및 침해물품 판정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관세청에서 대상물품이 침해물품인지를 판단하는데 있어 참고할 수 있는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할 수 있는 침해물품 판정 장치 및 침해물품 판정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사용자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모바일단말로 대상물품을 촬영하고, 대상물품이 디자인권으로 보호되고 있는 디자인을 침해하였는지를 판정받을 수 있는 침해물품 판정 장치 및 침해물품 판정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대상물품이 디자인권을 침해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수많은 이미지를 학습하지 않아도 구현 가능한 침해물품 판정 장치 및 침해물품 판정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대상물품이 디자인권을 침해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맵핑이미지의 개수가 적어도, 강건하게 물품의 특징을 학습하고 정확한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는 침해물품 판정 장치 및 침해물품 판정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새로운 디자인권이 특허청에 등록되더라도 빠르게 침해물품 판정 장치에 반영할 수 있어, 정확한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할 수 있는 침해물품 판정 장치 및 침해물품 판정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침해물품 판정 장치는, 대상물품의 촬영을 위한 모바일단말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 및 상기 대상물품을 촬영한 촬영이미지를 획득하면 상기 촬영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물품이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물품의 촬영을 위한 모바일단말과 통신하는 침해물품 판정 장치가 침해물품 판정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대상물품을 촬영한 촬영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물품이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침해물품 판정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침해물품 판정 방법은, 대상물품을 촬영한 촬영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물품이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침해물품 판정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침해물품 판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침해물품 판정 방법은, 대상물품을 촬영한 촬영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물품이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침해물품 판정 장치 및 침해물품 판정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관세청에서 대상물품이 침해물품인지를 판단하는데 있어 참고할 수 있는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할 수 있는 침해물품 판정 장치 및 침해물품 판정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모바일단말로 대상물품을 촬영하고, 대상물품이 디자인권으로 보호되고 있는 디자인을 침해하였는지를 판정받을 수 있는 침해물품 판정 장치 및 침해물품 판정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침해물품 판정을 위한 추가 장비 구매 없이 사용자는 용이하게 침해물품을 식별해낼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대상물품이 디자인권을 침해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수많은 이미지를 학습하지 않아도 구현 가능한 침해물품 판정 장치 및 침해물품 판정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침해물품 판정을 위한 시스템의 구축에 많은 시간을 요하지 않으므로, 침해물품의 식별이 필요한 현장에서 빠른 시일 내에 적용 가능하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대상물품이 디자인권을 침해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맵핑이미지의 개수가 적어도, 강건하게 물품의 특징을 학습하고 정확한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는 침해물품 판정 장치 및 침해물품 판정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새로운 디자인권이 특허청에 등록되더라도 빠르게 침해물품 판정 장치에 반영할 수 있어, 정확한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할 수 있는 침해물품 판정 장치 및 침해물품 판정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판정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침해물품 판정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침해물품 판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침해물품 판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
‘디자인권’이란 소정의 물품에 대한 외관이나 형상에 대해 허용된 권리를 의미하며, 특허청에 등록된 등록디자인공보의 등록번호로 표현될 수 있다. 디자인권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서지정보, 도면정보, 권리자정보 등은 후술되는 제어부(240)에 의해 특허청으로부터 api등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대상물품’이란 해당 물품의 외관이나 형상이 디자인권을 침해하는지 여부를 판단받고자 하는 물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관세청에서 검사하고자 하는 물품일 수 있다. 따라서 침해물품 판정을 수행한다는 것은, 대상물품이 디자인권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물품인지를 판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맵핑이미지’는 판정모델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이미지를 지칭한다. 맵핑이미지는 사전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크롤링되어 수집될 수 있다.
위에 정의한 용어 이외에 설명이 필요한 용어는 아래에서 각각 따로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침해물품의 판정을 위한 판정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판정시스템(100)은 모바일단말(10) 및 침해물품 판정 장치(20)를 포함하며, 모바일단말(10) 및 침해물품 판정 장치(2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모바일단말(10)은 대상물품을 촬영가능한 장치로서, 카메라, 휴대용 단말기, 스마트폰, 포터블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단말(10)을 통해 대상물품을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이미지는 침해물품 판정 장치(20)로 전달될 수 있다.
침해물품 판정 장치(20)는 대상물품을 촬영한 촬영이미지를 모바일단말(1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촬영이미지에 기초하여 대상물품이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디자인권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침해물품 판정 장치(20)는 전이학습(transfer learning)을 위한 사전학습 모델이 저장될 수 있고, 또한 전이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침해물품 판정 장치(20)는 구동된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침해물품 판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침해물품 판정 장치(20)는 사용자와 인터랙션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전자단말기, 또는 서버로 구현되거나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전자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거나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를 포함하거나 제 3의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침해물품 판정 장치(20)는 전자단말기, 서버 또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될 경우 침해물품 판정 장치(20)는 PC와 서버로 구현되어, 대상물품이 침해가능한 디자인권 목록을 서버가 추출하고 디자인권 목록을 PC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침해물품 판정 장치(20)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침해물품 판정 장치(20)는 입출력부(210), 통신부(220), 메모리(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작업의 수행 결과 또는 침해물품 판정 장치(10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2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및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 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출력부(21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침해물품 판정을 요청하는 조작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대상물품이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디자인권 목록을 연산의 결과로서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22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20)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가 지원하는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220)는 모바일단말(10)과 통신할 수 있으며 모바일단말(10)로부터 촬영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침해물품 판정 방법에 따른 연산 결과를 모바일단말(10)로 전달할 수 있다.
메모리(230)에는 파일,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후술될 제어부(24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메모리(23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메모리(230)에는 침해물품 판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는 전이학습을 위한 사전학습 모델이 하나 이상 저장할 수 있고, 또한, 맵핑이미지를 하나 이상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맵핑이미지는 디자인권에 대응되는 실제물품을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으며, 관련하여 실제물품은 디자인권을 확보한 권리자(또는 출원인 또는 실시권자)가 제작 판매하는 물품일 수 있다. 맵핑이미지는 예를 들어, 실제물품이 가려지거나 가려지지 않은 경우, 실제물품이 포장되거나 포장되지 않은 경우, 다양한 조도 및 각도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40)는 침해물품 판정 장치(2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G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가 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입출력부(2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침해물품 판정 장치(2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230)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출력부(2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침해물품 판정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제어부(24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침해물품 판정 방법을 수행한다.
제어부(240)는 대상물품을 촬영한 촬영이미지에 기초하여 대상물품이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관련하여 ‘디자인권 목록’은 촬영이미지에 포함된 대상물품의 형상, 모양, 색채 또는 이들의 결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을 갖는 디자인권을 하나 이상 포함하며, 해당 디자인권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예를 들어 등록번호, 공개번호, 출원번호 등)를 포함하며, 각 디자인별 유사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사도’은 대상물품을 촬영한 촬영이미지와 디자인권에 포함된 도면 간의 유사한 정도를 나타낸 수치이며, 양 이미지가 유사할수록 유사도는 높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디자인권 목록을 생성하기 위해, 제어부(240)는 전이학습 기법을 이용하여 전이학습된 판정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230)에는 사전학습 모델이 하나 이상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240)는 사전학습 모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모델에 레이블링 데이터를 맵핑시킴으로써 사전학습 모델을 전이학습(transfer learning)시킬 수 있다.
이때 사전학습 모델로, VGG (Simonyan & Zisserman 2014), Inception (Szegedy et al. 2015), 또는 ResNet5 (He et al. 2015)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240)는 맵핑이미지에 기초하여 레이블링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40)는 맵핑이미지 그 자체를 레이블링 데이터로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후술될 테스트이미지 그 자체를 레이블링 데이터로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맵핑이미지와 함께, 맵핑이미지에 관한 기타정보, 또는 맵핑이미지에 대응되는 디자인권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레이블링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240)는 맵핑이미지와 해당 맵핑이미지에 매칭되는 디자인권을 토대로, 레이블링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으며, 레이블링 데이터는, 예를 들어, “ID {회사코드}_{설정년도}_{제품}_{촬영}_{조도}_{순번}) / 파일명 / 획득방법 / 브랜드코드 / 제품명 / 분류기준(한국) / 분류기준(국제) / 대상체면 / 촬영각도 / 조도 / 디자인등록번호 / 디자인연관성”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파일명’은 맵핑이미지에 관한 파일 이름일 수 있으며, ‘획득방법’은 맵핑이미지를 획득한 방법에 관한 정보일 수 있고, ‘브랜드코드’는 실제물품을 제작한 회사명, ‘제품명’은 실제물품이 속하는 카테고리일 수 있고, ‘분류기준’은 ‘국내 물품류, 르카르노 분류’일 수 있으며, ‘대상체면’은 디자인권에서 맵핑이미지와 유관한 도면번호일 수 있으며, ‘촬영각도’ 및 ‘촬영조도’는 맵핑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실제물품이 촬영되었을 때의 각도 및 조도를 의미하고, ‘디자인등록번호’는 맵핑이미지와 유관한 디자인권의 등록번호, 그리고 ‘디자인연관성’은 ‘디자인등록번호’로 등록된 디자인권에서의 도면과 맵핑이미지와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으며 유사하다면 1, 유사하지 않다면 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레이블링 데이터는 다음의 표 1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제어부(240)는 복수 개의 맵핑이미지 각각에 대해 레이블링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관련하여 제어부(240)는, 판정모델이 편향되어 전이학습되지 않도록 레이블링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40)는 소정의 항목에 대해 맵핑이미지가 갖는 값에 기초하여 해당 맵핑이미지를 기반으로 레이블링 데이터를 설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240)는 소정의 항목에 대해 맵핑이미지가 갖는 값에 기초하여 레이블링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맵핑이미지에는, 해당 이미지의 설정 시의 촬영각도 또는 촬영조도, 초점거리, 실제물품의 포장 여부 등의 기타정보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기타정보는 예를 들어 메타데이터 포맷으로 맵핑이미지에 매칭되어 메모리(230)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항목에 대해 맵핑이미지는 대응되는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 맵핑이미지는 특정 항목으로서 ‘초점거리’에 관한 값을 매칭하여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40)는, 하나의 실제물품에 관한 복수의 맵핑이미지에 관한 레이블링 데이터를 설정할 때, 소정 항목에서의 값들이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레이블링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맵핑이미지 각각에 대한 ‘각도’을 통계내어 각도별로 맵핑이미지의 개수가 균등하게 분포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균등하다고 판단되면 복수의 맵핑이미지 전체를 레이블링 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고, 또는 균등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소정의 맵핑이미지를 제외시키거나 특정 맵핑이미지에 기초하여 설정된 테스트이미지에 기초하여 레이블링 데이터를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각도의 맵핑이미지가 많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40)는 해당 각도의 맵핑이미지를 제외시키고 레이블링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특정 각도의 맵핑이미지가 없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40)는 일 각도의 맵핑이미지를, GAN 기법 등을 이용하여 변경시키고 그 결과 특정 각도의 맵핑이미지인 테스트이미지를 설정할 수 있으며, 테스트이미지에 기초하여 레이블링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하나의 실제물품에 관해 정투상도법 및 사시도에 따른 각도로 촬영함에 따라 총 1,400개의 맵핑이미지가 존재할 때, 각 맵핑이미지를 ‘정면도’,’배면도’,’좌측면도’,’우측면도’,’평면도’,’저면도’,’사시도’에 관한 이미지로 분류할 수 있고 각 각도에 대해 약 200개 정도로 골고루 분포되면 제어부(240)는 맵핑이미지에 기초하여 레이블링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하나의 실제물품에 관한 맵핑이미지가 1,400개일때, 각 맵핑이미지를 ‘정면도’,’배면도’,’좌측면도’,’우측면도’,’평면도’,’저면도’,’사시도’에 관한 이미지로 분류하였을 때 500개의 맵핑이미지가 ‘정면도’로 분류되고, 나머지 각도의 맵핑이미지가 각각 150개라면, ‘정면도’로 분류된 맵핑이미지 중 350개를 레이블링 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하나의 실제물품에 관한 맵핑이미지가 1,400개일때, 각 맵핑이미지를 ‘정면도’,’배면도’,’좌측면도’,’우측면도’,’평면도’,’저면도’,’사시도’에 관한 이미지로 분류하였을 때 ‘저면도’로 분류된 맵핑이미지가 10개밖에 되지 않는다면, ‘저면도’에 관한 맵핑이미지가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제어부(240)는 ‘저면도’로 분류된 맵핑이미지에 기초하여 테스트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저면도’의 맵핑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획득된 테스트이미지 또는 맵핑이미지 그 자체를 레이블링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40)는 전이학습에 이용될 전체 맵핑이미지 각각이 특정 항목에 대해 갖고 있는 값을 토대로, 맵핑이미지의 개수가 균일한 분포를 갖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특정 항목의 값이 많으면 해당 항목에서 특정값을 갖는 맵핑이미지를 제외시키거나 특정값 이외의 값을 갖는 맵핑이미지를 추가로 요청하거나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이학습에 이용될 전체 맵핑이미지를 300, 1000, 1800, 2400lux 로 ‘조도’별로 분류하여 조도 각각에서의 맵핑이미지의 개수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더라도 그 차이가 소정의 값 이내임을 확인하면 맵핑이미지 전체를 토대로 레이블링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예를 들어, 특정 조도를 갖는 맵핑이미지의 개수가 적다면 제어부(240)는 해당 조도를 갖는 맵핑이미지를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맵핑이미지를 추가로 생성할 때 제어부(240)는, 예를 들어 1000lux를 갖는 맵핑이미지를, GAN 기반 자기지도 학습(self-supervised learning)된 모델에 입력하여, 300lux를 갖는 맵핑이미지인 테스트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테스트이미지에 기초하여 레이블링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설정된 레이블링 데이터를, 제어부(240)는 사전학습 모델에 맵핑시킴으로써 사전학습 모델을 전이학습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전학습 모델에 맵핑시킴으로써 전이학습시킬 수 있는데 레이블링 데이터를 입력값으로 하고 출력값으로서 디자인권을 맵핑시킴으로써 제어부(240)는 모델을 전이학습시킬 수 있다.
관련하여 제어부(240)는 사전학습 모델에 레이블링 데이터를 입력하였을 때의 특징벡터를 군집화(clustering)시켜 군집 영역을, 일 클래스(예: 디자인권)로 설정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3은 침해물품 판정 장치(20)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사전학습 모델에 입력된 맵핑이미지를 토대로 출력된 특징벡터를 벡터공간(vector space)에 위치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복수 개의 맵핑이미지에 대응되는 특징벡터들이 벡터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의 벡터공간에서 표시된 각각의 별, 오각형 및 원 형상의 점은 특징벡터를 나타낸다.
이러한 도 3을 참조하면 특징벡터들이 군집화됨에 따라 하나의 군집(310, 320) 각각이 각 하나의 클래스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군집(310)에 속하는 맵핑이미지들은, 해당 맵핑이미지가 입력되었을 때의 출력으로 설정된 디자인권에 개시된 도면과 유사한 맵핑이미지로 볼 수 있다.
또한 새로운 맵핑이미지가 모델에 입력됨에 따라 출력된 특징벡터(330)와 군집(310, 320) 간의 거리를 제어부(240)는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유클리디안 거리 또는 코사인유사도를 이용하여 거리를 산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어부(240)는, 군집(310,320)의 중심점과 특징벡터(330) 간의 거리를 산출하거나, 군집(310,320)을 구성하는 각 특징벡터와 특징벡터(330) 간의 거리의 평균값을 거리로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산출된 거리가 더 가까운 거리의 군집에 해당 특징벡터를 분류하거나, 또는 산출된 거리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면 해당 특징벡터를 새로운 클래스로 분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새로운 디자인권이 특허청에 등록되더라도 빠르게 침해물품 판정 장치(20)에 반영할 수 있어, 제어부(240)는 보다 정확한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전이학습된 모델을,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판정모델’이라 칭한다.
판정모델을 이용하여 제어부(240)는 대상물품이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240)는, 판정모델로 대상물품을 촬영한 촬영이미지를 입력하여 출력된 값에 기반하여, 대상물품이 대응되는 디자인권을 하나 이상 결정하면서 각 디자인권에 대응되는 유사도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이미지가 판정모델에 입력됨에 따라 출력되는 특징벡터가 속하는 클래스의 디자인권을, 제어부(240)는 결정하면서, 해당 디자인권과 특징벡터 간의 거리를 산출하여 산출된 거리를 토대로 유사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촬영이미지가 대응되는 디자인권과, 촬영이미지의 특징벡터 간의 거리가 짧을수록 유사도 값을 더 높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대상물품이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디자인권이 복수 개이면, 디자인권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선정된 디자인권으로 디자인권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40)는 유사도가 높은 순으로 디자인권을 정렬하여 소정 개수의 디자인권을 선정하고 선정된 디자인권으로 구성된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판정모델을 이용하여 대상물품에 대응되는 5개의 디자인권을 획득하면, 유사도가 높은 순으로 정렬하여 3개의 디자인권을 추출하고 추출된 디자인권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40)는 유사도가 소정의 값 이상인 디자인권을 선정하고, 선정된 디자인권을 정렬하여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치 0.5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디자인권만을 선정할 수 있고 0.5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디자인권이 1개라면 1개의 디자인권으로 구성되는 디자인권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디자인권 목록을 제어부(240)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한다는 것은 전자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사용자 계정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로 제어부(240)는 디자인권 목록에 포함된 디자인권의 정렬 순서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유사도에 기초하여 정렬된 디자인권 목록을, 제어부(240)는 목록에 포함된 디자인권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40)는 디자인권 목록에 포함된 디자인권 간의 유사도 차이가 소정의 값 이하일 때에 정렬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위에서부터 3위의 순서로 정렬된 디자인권 목록에서, 1위와 2위의 디자인권의 유사도의 차이가 0.1이고, 2위와 3위의 디자인권의 유사도의 차이가 0.1이라면, 제어부(240)는 디자인권 목록의 정렬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40)는 디자인권 목록에 포함되는 디자인권 서지정보(bibliography)에 기초하여 정렬 순서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관련하여 디자인권 서지정보는, 디자인권 명세서를 기반으로 추출된 텍스트 정보로서, 헤이그 출원 여부, 유사디자인(또는 관련디자인) 유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OCR 등의 기법을 통해 디자인권 명세서로부터 디자인권 서지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디자인권 명세서에 국제등록번호가 존재하면 해당 디자인권이 헤이그 출원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디자인권 명세서에 기본디자인정보가 포함되면 유사디자인 또는 관련디자인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고, 또는 디자인권 명세서에 포함된 디자인등록번호를 기본디자인정보로 갖는 타 디자인권을 탐색하였다면 유사디자인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240)는 헤이그 출원된 디자인권, 또는 유사디자인이나 관련디자인이 존재하는 디자인권의 우선순위를 최상위로 올릴 수 있다.
또는 제어부(240)는 유사도를 조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헤이그 출원된 디자인권에 대해서는 유사도에 소정의 배율을 곱하거나 또는 소정의 값을 더할 수 있고, 또는 유사디자인이나 관련디자인이 존재하는 디자인권에 대해서는 유사도에 소정의 배율을 곱하거나 값을 더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정된 유사도에 기초하여 디자인권 목록을 재정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40)는 디자인권 목록에 포함되는 디자인권의 도면정보에 기초하여 정렬 순서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관련하여 디자인권의 도면정보는, 도면 개수, 도면에 포함된 참고도면이나 부가도면의 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디자인권 명세서에 포함된 이미지의 개수를 계수함으로써 총 도면의 개수를 계수할 수 있고, 또는, 도면에 포함된 텍스트를 분석함으로써 참고도면 또는 부가도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240)는 참고도면 또는 부가도면이 존재하는 디자인권 또는 도면의 개수가 가장 많은 디자인권의 우선순위를 최상위로 올릴 수 있다. 또는 제어부(240)는 유사도를 조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참고도면 또는 부가도면이 존재하는 디자인권에 대해서는 유사도에 소정의 배율을 곱하거나 또는 소정의 값을 더할 수 있고, 또는 디자인 도면 개수에 비례하여 결정된 배율을 곱하거나 값을 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조정된 유사도에 기초하여 디자인권 목록을 재정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다르면 제어부(240)는 디자인권 목록에 포함되는 디자인권의 권리자정보에 기초하여 정렬 순서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기설정된 권리자의 디자인권의 우선순위를 최상위로 올리거나, 유사도를 상향 조정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디자인권 목록에 포함된 디자인권자들이 특허청에 등록시킨 디자인권 보유 개수가 많은 순으로 또는 적은 순으로 디자인권 목록을 재정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40)는 디자인권 목록에 포함되는 디자인권의 서지정보, 도면정보 및 권리자정보에 따라 산출된 배율을 유사도에 곱함으로써 조정된 유사도가이 높은 순으로 디자인권 목록을 재정렬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240)는, 디자인권 서지정보, 디자인권 도면정보 및 디자인권의 권리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자인권 목록을 재정렬할 수 있다. 즉 촬영이미지와 디자인권 도면 간의 유사성을 토대로 선정된 디자인권 목록을, 사용자가 더 관심을 가질만한 순서로 재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제출원한 디자인권과 관련된 실제물품에 대해 모방품이 발생할 확률이 더 높을 수 있고, 또는 디자인권자들이 보호에 더 노력을 기울인 실제물품일수록 모방품이 발생할 확률이 더 높음을 고려하여, 촬영이미지와 디자인권 도면 간의 유사성에 더하여 다른 요소들도 함께 고려함으로써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받는 사용자가 더 빠르고 편리하게 문제가 되는 대상물품을 판별해낼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40)는 사용자에게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하면서, 목록에 포함된 디자인권 각각과 관련된 추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추가정보로서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할 때, 디자인권에 포함된 어떤 도면과 유사한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해당 디자인권의 도면 중 유사하다고 판단된 도면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40)는 디자인권의 명세서에서 촬영이미지와 가장 유사한 이미지를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자인권 명세서에 기재된 복수개의 도면 각각과, 촬영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고 유사도가 가장 높은 도면을 하나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40)는 이미지들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도록 학습된 딥러닝 모델에, 디자인권 목록에 포함된 디자인권의 도면과, 촬영이미지를 입력하여, 촬영이미지에 대한 각 도면별 유사도를 산출하고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갖는 도면을 선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촬영이미지를 획득한 제어부(240)는 디자인권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추가로 디자인권 목록에 포함된 디자인권의 도면 중에서, 촬영이미지와 가장 유사도가 높다고 판단된 도면 예를 들어 정면도를 추가정보로서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추가정보로서 예를 들어 선택된 디자인권의 유사디자인 또는 선택된 디자인권의 기본디자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추가정보로서, 주의를 요하는 디자인권인지 여부를 표시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자인권의 권리자가 관세청의 적극적인 모니터링을 요청한 경우 또는 국내 시장에서 디자인권을 침해하는 가품이 유통되어 문제가 되고 있는 경우 해당 디자인권에 대해 주의가 요함이 관세청DB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관세청DB를 참조하여 디자인권 목록에 포함되는 디자인권이 주의를 요하는 디자인권이라면, 해당 디자인권을 표시하는 색상을 변경하는 등과 같이, 해당 디자인권을 보다 면밀히 확인하도록 하는 경고문을 추가로 표시해줄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0)는 디자인권 목록을 생성하기 어려우면 모바일단말(10)로 재촬영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40)는 촬영각도 또는 촬영조도를 변경하여 재촬영할 것을 요청할 수 있는데, 기촬영된 촬영이미지를 분석하여 촬영각도 또는 촬영조도를 추출하고 추출된 촬영각도나 촬영조도를 변경하여 재촬영할 것을 요청하는 문구를, 모바일단말(10)로 전송할 수 있고, 모바일단말(10)로 촬영을 진행하는 사용자는 해당 문구를 확인하여 촬영환경을 조정할 수 있다.
상술된 바에 따라 제어부(240)는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40)가 입출력부(210)를 통해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하면 사용자는 PC 화면을 통해 디자인권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예를 들어 통신부(220)를 통해 디자인권 목록을 모바일단말(10)로 송신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모바일단말(10)의 화면을 통해 디자인권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 따른 침해물품 판정 장치(20)에 따르면, 대상물품이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디자인권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디자인권 목록에 포함된 디자인권과 대상물품을 육안으로 비교해보면서 해당 대상물품이 등록된 타인의 디자인권을 침해하는 침해물품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대상물품이 침해물품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침해물품 판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침해물품 판정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침해물품 판정 장치(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침해물품 판정 장치(2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침해물품 판정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침해물품 판정 장치(20)는 맵핑이미지에 기초하여 레이블링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S410).
예를 들어, 침해물품 판정 장치(20)는 소정의 항목에 대해 맵핑이미지가 갖는 값에 기초하여 레이블링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침해물품 판정 장치(20)는 맵핑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테스트이미지에 기초하여 레이블링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침해물품 판정 장치(20)는 레이블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전학습 모델을 전이학습시킬 수 있다 (S420).
전이학습된 판정모델을 이용하여 침해물품 판정 장치(20)는, 대상물품이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S430).
단계 S430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침해물품 판정 장치(20)는 대상물품의 촬영을 위한 모바일단말로부터, 대상물품을 촬영한 촬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510).
침해물품 판정 장치(20)는 촬영이미지에 기초하여 대상물품이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침해물품 판정 장치(20)는 전이학습된 판정모델에 촬영이미지를 입력함으로써 디자인권 목록을 획득할 수 있다 (S520).
이때 침해물품 판정 장치(20)는 대상물품이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디자인권이 복수 개이면, 촬영이미지에 대한 디자인권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선정된 디자인권으로 디자인권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디자인권 목록을 침해물품 판정 장치(20)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추가로 디자인권 목록을 재정렬한 이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침해물품 판정 장치(20)는 디자인권 목록에 포함된 디자인권 간의 유사도 차이가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에 한해서만 디자인권 목록을 재정렬할 수 있다. 재정렬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침해물품 판정 장치(20)는, 디자인권 목록에 포함되는 디자인권의 서지정보, 도면정보 및 권리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자인권 목록을 재정렬할 수 있다.
상술된 바에 따라 재정렬된 디자인권 목록을 침해물품 판정 장치(20)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른 침해물품 판정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침해물품 판정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침해물품 판정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판정시스템
10: 모바일단말
20: 침해물품 판정 장치
210: 입출력부 220: 통신부
230: 메모리 240: 제어부

Claims (12)

  1. 대상물품의 촬영을 위한 모바일단말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 및
    상기 대상물품을 촬영한 촬영이미지를 획득하면 상기 촬영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물품이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침해물품 판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물품이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디자인권이 복수 개이면, 상기 복수의 디자인권 각각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선정된 디자인권으로 상기 디자인권 목록을 설정하는, 침해물품 판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자인권 목록에 포함되는 디자인권의 서지정보, 도면정보 및 권리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디자인권 목록을 재정렬하는, 침해물품 판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자인권 목록에 포함된 디자인권 간의 유사도 차이가 소정의 값 이하이면 상기 디자인권 목록을 재정렬하는, 침해물품 판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이학습된 판정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디자인권 목록을 획득하는, 침해물품 판정 장치.
  6. 대상물품의 촬영을 위한 모바일단말과 통신하는 침해물품 판정 장치가 침해물품 판정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대상물품을 촬영한 촬영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물품이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침해물품 판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물품이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디자인권이 복수 개이면, 상기 복수의 디자인권 각각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선정된 디자인권으로 상기 디자인권 목록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침해물품 판정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디자인권 목록에 포함되는 디자인권의 서지정보, 도면정보 및 권리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디자인권 목록을 재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침해물품 판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권 목록을 재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디자인권 목록에 포함된 디자인권 간의 유사도 차이가 소정의 값 이하이면 상기 디자인권 목록을 재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침해물품 판정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권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는,
    전이학습된 판정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디자인권 목록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침해물품 판정 방법.
  11. 제6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2. 침해물품 판정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6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66950A 2021-11-29 2021-11-29 침해물품 판정 장치 및 침해물품 판정 방법 KR202300798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950A KR20230079806A (ko) 2021-11-29 2021-11-29 침해물품 판정 장치 및 침해물품 판정 방법
PCT/KR2021/017847 WO2023095979A1 (ko) 2021-11-29 2021-11-30 침해물품 판정 장치 및 침해물품 판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950A KR20230079806A (ko) 2021-11-29 2021-11-29 침해물품 판정 장치 및 침해물품 판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806A true KR20230079806A (ko) 2023-06-07

Family

ID=86539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950A KR20230079806A (ko) 2021-11-29 2021-11-29 침해물품 판정 장치 및 침해물품 판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79806A (ko)
WO (1) WO202309597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491B1 (ko) * 2017-09-07 2019-07-08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기기로 구현되는 이미지 어노테이션 방법
KR102200701B1 (ko) * 2019-02-12 2021-01-11 이용규 딥러닝을 활용한 3d 모델링 디자인의 지식재산권 분석 시스템
KR102222564B1 (ko) * 2019-03-22 2021-03-05 이득기 인공지능 기반의 유사 디자인 검색 장치
KR102444141B1 (ko) * 2020-04-06 2022-09-15 (주)비타소프트 멀티 레이블 분류 기반 상표 이미지 검색 방법과 이 방법을 적용한 상표 이미지 검색 시스템
KR102204829B1 (ko) * 2020-06-12 2021-01-1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 기반의 어노테이션 툴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5979A1 (ko)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5120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dentifying objects in video images and displaying information of same
US10467674B2 (en) Visual search in a controlled shopping environment
EP2662831B1 (en) Comparing virtual and real images of a shopping planogram
US1043072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ivacy-preserving generation of models for estimating consumer behavior
US9336459B2 (en) Interactive content generation
US11093748B2 (en) Visual feedback of process state
US201401726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tegorizing an image
CN108961157B (zh) 图片处理方法、图片处理装置及终端设备
WO2019148729A1 (zh) 奢侈品辨别方法、电子装置及存储介质
US88051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recognition based on visual image matching
US201502134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US1106862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80131621A (ko) 상표 이미지의 콘텐츠 기반 서치 및 검색
US202003205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Future Behavior of a Consumer
CN108961267B (zh) 图片处理方法、图片处理装置及终端设备
WO2016038901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画像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US20210117987A1 (en) Fraud estimation system, fraud estimation method and program
CN108932704B (zh) 图片处理方法、图片处理装置及终端设备
KR20230079806A (ko) 침해물품 판정 장치 및 침해물품 판정 방법
KR20230079808A (ko) 침해물품 판정 장치 및 침해물품 판정 방법
CN115661624A (zh) 一种货架的数字化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140092261A1 (en) Techniques for generating an electronic shopping list
CN114360057A (zh) 数据处理方法及相关装置
US2016011763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modity sales system, and commodity sales method
JP202201479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