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9795A -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및 복구 공법의 적용 기준 제시 장치 - Google Patents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및 복구 공법의 적용 기준 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9795A
KR20230079795A KR1020210166927A KR20210166927A KR20230079795A KR 20230079795 A KR20230079795 A KR 20230079795A KR 1020210166927 A KR1020210166927 A KR 1020210166927A KR 20210166927 A KR20210166927 A KR 20210166927A KR 20230079795 A KR20230079795 A KR 20230079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very
restoration
landslide
type
p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준표
이창우
우충식
유송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to KR1020210166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9795A/ko
Publication of KR20230079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97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땅밀림 현장의 기본 정보를 이용하여 땅밀링 발생 유형을 분류하고 그에 맞는 복구 방안을 설정하고,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땅밀림 발생지에 대해서도 발생 유형을 매칭시키고 신속하게 복구 방안을 결정하는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및 복구 공법의 적용 기준 제시 장치 {APPARATUS FOR SELECTING RECOVERY STRATEGY AND SUGGESTING RECONSTRUCTION METHOD OF SLOW-MOVING LANDSLIDE AREA}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는 땅밀림 발생지에 대해서 복구 방안을 선정하고 복구 공법의 적용 기준을 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 및 화산, 지진 등의 지각활동, 산지개발에 따른 산지토사재해의 증가로 이에 대한 예방과 대응이 최대의 관심사항이다.
땅밀림은 땅속 깊은 곳에 위치한 점토층이나 지하수가 상승하며 토층 전체가 천천히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활동면 위의 토괴가 일체로 미끄러지는 산사태의 한 형태로 이동속도는 0.01~10mm/day의 속도가 느린 특징을 가진다. 산지개발을 위한 벌채, 토석채취 등의 산지전용 증가는 난개발을 야기하며, 이와 동시에 인위적 훼손지에서 땅밀림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땅밀림 발생지는 대부분 생활권과 인접하여 발생하며, 그 피해규모가 커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땅밀림 발생지의 복구 방안 및 복구 공법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부재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39394호 (2021.04.06)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땅밀림 현장의 기본 정보를 이용하여 땅밀링 발생 유형을 분류하고 그에 맞는 복구 방안을 설정하고,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땅밀림 발생지에 대해서도 발생 유형을 매칭시키고 신속하게 복구 방안을 결정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에 의한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방법에 있어서, 땅밀림 지역에 대해 발생 유형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발생 유형에 복구 방안을 매칭하는 단계; 상기 복구 방안에 복구 공법을 매칭하는 단계; 상기 발생 유형, 상기 복구 방안, 상기 복구 공법이 매칭된 복구 기준 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복구 기준 테이블을 기준으로 대상 지역의 기본 정보에 맞는 복구 방안을 선정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복구 유형은 제1 복구 유형, 제2 복구 유형, 제3 복구 유형, 제4 복구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복구 유형은 인장균열, 배부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복구 유형은 표토유실, 표층붕괴, 낙석, 표면침식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복구 유형은 습윤구간, 지하수 용출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복구 유형은 구조물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구 방안은 제1 복구 방안, 제2 복구 방안, 제3 복구 방안, 제4 복구 방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복구 방안은 깊은 심도의 밀림 저지에 해당하고, 상기 제2 복구 방안은 얕은 심도의 표면 보호에 해당하고, 상기 제3 복구 방안은 집수 배제에 해당하고, 상기 제4 복구 방안은 모니터링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복구 공법은 제1 복구 공법, 제2 복구 공법, 제3 복구 공법, 제4 복구 공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복구 공법은 배토공, 억지말뚝, 앵커, 옹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복구 공법은 격자블럭, 비탈다듬기, 흙막이, 떼붙이기, 식생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복구 공법은 지표수배제공, 지하수배제공, 지하수차단공, 수로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복구 공법은 땅밀림 모니터링, 구조물 변위 모니터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구 기준 테이블은 상기 제1 복구 유형, 상기 제1 복구 방안, 상기 제1 복구 공법을 상호 매칭하고, 상기 제2 복구 유형, 상기 제2 복구 방안, 상기 제2 복구 공법을 상호 매칭하고, 상기 제3 복구 유형, 상기 제3 복구 방안, 상기 제3 복구 공법을 상호 매칭하고, 상기 제4 복구 유형, 상기 제4 복구 방안, 상기 제4 복구 공법을 상호 매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땅밀림 지역에 대해 발생 유형을 분류하고, 상기 발생 유형에 복구 방안을 매칭하고, 상기 복구 방안에 복구 공법을 매칭하고, 상기 발생 유형, 상기 복구 방안, 상기 복구 공법이 매칭된 복구 기준 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복구 기준 테이블을 기준으로 대상 지역의 기본 정보에 맞는 복구 방안을 선정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는 땅밀림 발생지 조사 장치로 상기 대상 지역의 기본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땅밀림 발생지 조사 장치로부터 상기 대상 지역의 기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는 땅밀림 발생지 복구 비용 산출 장치로 복구 비용을 요청하고, 상기 땅밀림 발생지 복구 비용 산출 장치로부터 상기 복구 비용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는 땅밀림 발생지 데이터베이스로 권한을 요청하고, 상기 땅밀림 발생지 데이터베이스는 (i) 땅밀림 발생지 조사 장치에 저장된 날짜에 매칭된 위험도 및 날짜 변화에 따른 위험도 변화가 기록된 위험도 테이블에 관한 제1 키, (ii) 상기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에 저장된 복구 기준 테이블에 관한 제2 키, (iii) 땅밀림 발생지 복구 비용 산출 장치에 저장된 복구 비용 테이블에 관한 제3 키, (iv) 사용자 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관한 제4 키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땅밀림 발생지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제1 키, 상기 제2 키, 상기 제3 키, 상기 제4 키를 모두 조합하여 접근 권한을 판단하고, 상기 땅밀림 발생지 조사 장치로 제1 권한, 상기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로 제2 권한, 상기 땅밀림 발생지 복구 비용 산출 장치로 제3 권한,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제4 권한을 분배하며, 상기 제1 권한, 상기 제2 권한, 상기 제3 권한, 상기 제4 권한은 일회적 접근 권한에 해당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땅밀림 현장의 기본 정보를 이용하여 땅밀링 발생 유형을 분류하고 그에 맞는 복구 방안을 설정하고,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땅밀림 발생지에 대해서도 발생 유형을 매칭시키고 신속하게 복구 방안을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땅밀림 현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땅밀림 발생지 조사 복구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가 처리하는 복구 유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가 처리하는 복구 기준 테이블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가 출력하는 지역별 복구 방안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땅밀림 발생지 복구 비용 산출 장치가 처리하는 복구 비용 테이블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땅밀림 현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땅밀림은 땅속 깊은 곳에 위치한 점토층이나 지하수가 상승하며 토층 전체가 천천히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발생 규모가 산사태보다도 커서 적절한 대처가 필요하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존의 영역(S1)에서 일부가 산 아래로 천천히 이동하여 어긋난 영역(S2)을 확인할 수 있다.
땅밀림은 산사태나 토석류와 달리 땅밀림은 비가 오지 않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동속도가 매우 늦어 평소에는 그 발생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땅밀림은 발생 규모가 가장 크고, 그 피해 또한 산사태나 토석류에 비해 대규모로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발생 현상이 확인되는 즉시 적절한 대처가 필요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땅밀림 발생지 조사 복구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땅밀림 발생지 조사 복구 시스템은 땅밀림 발생지 조사 장치(100),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 (200), 땅밀림 발생지 복구 비용 산출 장치 (300), 땅밀림 발생지 데이터베이스(400)를 포함한다.
땅밀림 발생지 조사 장치(100),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 (200), 땅밀림 발생지 복구 비용 산출 장치 (300), 땅밀림 발생지 데이터베이스(400)는 상호 간에 연결되어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땅밀림 발생지 조사 장치(100)는 땅밀림 발생지 관리체계에서 예비조사와 현장조사 이후 위험도 판정과 정밀조사 과정에서 원격으로 상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이용되어 예비조사, 현장조사의 결과를 확인하고 땅밀림 발생과 특성을 기구를 통해 해석하는 장치이다.
땅밀림 발생지 조사 장치(100)는 시간순서대로 촬영된 영상에서 제1 촬영 영상의 POC(Picture Order Count)와 제2 촬영 영상의 POC 간의 차이와 제1 촬영 영상의 POC와 제3 촬영 영상의 POC 간의 차이의 비를 기반으로 땅밀림 지역을 구분한 블록의 땅밀림 벡터(Slow-moving Landslide vector)를 도출하고, 도출한 땅밀림 벡터를 기반으로 현재 블록 내 각 화소 별로 화소 단위의 인터 예측을 적용하여 현재 블록 내 각 화소 별 예측값(predictor)을 도출하여 땅밀림의 발생 상태와 움직임의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땅밀림 발생지 조사 장치(100)는 토층의 내측과 외측에 기 설정된 이격 거리로 설치되어 지반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변위 센서들을 포함하며, 변위 센서들은 토층의 내측을 지표면을 중심으로 지층 구조로 구분하였을 때, 각 층 마다 하나 이상 설치된다.
계측센서는 와이어신축계와 지중경사계 그리고 지하수위계 및 강우량계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계측 값이 권고기준을 초과하면 지자체 또는 알림 대상으로 위험 알림 메시지가 전송된다
변위 센서들로부터 측정된 지반의 변위값을 입력 받아, 지반의 변위값에 따라 토층 밀림을 판단한다. 변위 센서는 대상물의 물리 변화량을 다양한 소자로 검지하여 그 변화량을 거리로 환산함으로써 센서에서 대상물의 거리를 계측한다. 사용하는 소자에 따라 광학식 변위 센서, 리니어 근접 센서, 초음파 변위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200)는 땅밀림 현장의 기본 정보를 이용하여 땅밀링 발생 유형을 분류하고 그에 맞는 복구 방안을 설정하고,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땅밀림 발생지에 대해서도 발생 유형을 매칭시키고 신속하게 복구 방안을 결정할 수 있다.
땅밀림 발생지 복구 비용 산출 장치 (300)는 복구 사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적용 공법에 따른 소요 비용을 분석하고, 각 소요 비용이 해당하는 복구 방안을 분류하고, 복구 방안에 따른 단위 면적당 복구 비용을 도출하고, 발생 현장 면적 데이터에 따른 복구 비용을 산출하여, 예산 확보를 위한 근거 자료를 확보하고 복구를 통한 인명/재산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땅밀림 발생지 데이터베이스(400)는 땅밀림 발생지의 각종 조사 데이터와 복구에 관한 데이터를 땅밀림 발생지 조사 장치(100),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 (200), 땅밀림 발생지 복구 비용 산출 장치 (300)와 별도로 백업 저장하고 보안을 위한 권한을 처리하는 장치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130) 및 통신 버스(17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20)는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110)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110)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30)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나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통해서도 주어질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30)에 저장된 프로그램(140)은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30)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110)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70)는 프로세서(120),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30)를 포함하여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110)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11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및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및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통신 버스(170)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미도시)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11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는 땅밀림 지역에 대해 발생 유형을 분류하고, 발생 유형에 복구 방안을 매칭하고, 복구 방안에 복구 공법을 매칭하고, 발생 유형, 복구 방안, 복구 공법이 매칭된 복구 기준 테이블을 저장하고, 복구 기준 테이블을 기준으로 대상 지역의 기본 정보에 맞는 복구 방안을 선정하여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가 처리하는 복구 유형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가 처리하는 복구 기준 테이블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가 출력하는 지역별 복구 방안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구 유형은 제1 복구 유형, 제2 복구 유형, 제3 복구 유형, 제4 복구 유형을 포함한다. 제1 복구 유형은 인장균열, 배부름을 포함하고, 제2 복구 유형은 표토유실, 표층붕괴, 낙석, 표면침식을 포함한다. 제3 복구 유형은 습윤구간, 지하수 용출을 포함한다. 제4 복구 유형은 구조물 변형을 포함한다.
인장균열은 지반과 토괴 사이의 부정합에 의해 생기는 균일이다. 이 균열은 이동방향과 직교하며, 낙차형과 함몰형이 있다. 지표면 물매에 대하여 활동면 물매가 급한 경우에는 낙차형이 생기며, 반대로 지표면 물매에 비해 활동면 물매가 완만한 경우에는 함몰지형이 발생한다.
배부름은 사면이 볼록하게 튀어나온 지형 상태를 의미한다.
표토유실은 풍화에 의해 생성된 흙이 원위치 또는 침식/붕괴에 의해 운반되어 퇴적된 것이 유실되는 것을 말한다.
표층붕괴는 사면붕괴 중에서 표층토가 지반층의 경계를 따라 활락하는 비교적 규모가 작은 붕괴현상을 말한다.
낙석은 사면으로부터 수차례에 걸쳐 셀 수 있을 정도의 암괴가 박리 혹은 떨어져 낙하하는 현상 및 낙하한 암괴를 말한다.
표면침식은 지표면을 구성하는 토양/토사/암석이 빗방울/파도/바람 등의 침식 영력에 의해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다. 빗방울에 의한 침식을 빗물침식이라고 하며, 빗방울의 작용에 의한 우적침식, 지표류에 의한 면상침식/누구침식/구곡침식이 있다.
습윤구간은 사면을 구성하는 토양/토사/암석이나 구조물 등에 습기가 있고 촉촉한 구간을 의미한다.
지하수 용출은 넓은 의미에서는 주수나 불포화 토양수분도 포함되지만, 좁은 의미에서는 땅속의 포화대수층을 가리키며 이러한 지하수가 지표에서 관찰되는 것을 의미한다.
구조물 변형은 땅밀림 복구공법 등 사방시설과 같은 구조물에 균열, 배부름 등의 변형이 관찰되는 것을 의미한다.
복구 방안은 제1 복구 방안, 제2 복구 방안, 제3 복구 방안, 제4 복구 방안을 포함한다. 제1 복구 방안은 깊은 심도의 밀림 저지에 해당한다. 제2 복구 방안은 얕은 심도의 표면 보호에 해당한다. 제3 복구 방안은 집수 배제에 해당하고, 제4 복구 방안은 모니터링에 해당한다.
밀림저지(깊은심도)은 인장균열, 배부름 등의 상태가 하나 이상 관측되어야 하며, 기본 조사정보에는 균열 및 단차가 있을 경우에 해당됨. 이때 유효 토심이 5m 이상일 경우 심층 붕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표면보호(얕은심도)는 표층유실, 붕괴, 낙석, 우류침식 등의 상태가 하나 이상 관찰되어야 하며, 기본 조사정보에는 균열 및 단차가 있을 경우에 해당된다. 이때 유효 토심이 5m 미만일 경우 표층붕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집수배제는 지하수 유무, 습윤 구간 등의 상태가 하나 이상 관찰되어야 하며, 기본 조사정보에는 지하수 용출 유무가 있을 경우 해당된다.
모니터링은 구조물 균열, 변형 등의 상태가 하나 이상 관찰되어야 하며, 기본 조사정보에는 구조물의 피해 유무가 있을 경우 해당된다.
배토공사, 격자블록, 지하수배제공, 모니터링 등 복구방안에 따른 15개 복구공법 그룹화한다.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는 발생유형을 판단할 수 있는 기본 정보를 통해 3가지 기준을 이용하여 복구방안 도출한다.
(1) 균열 및 단차 수량/규모를 기준으로 유무 및 깊이(5m 기준)에 따라 밀림저지/표면보호 등 복구방안을 선정한다.
(2) 지하수 용출 유무를 기준으로 집수배제 등 복구방안을 선정한다.
(3) 구조물 피해 현황을 기준으로 모니터링 등 복구방안 선정한다.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는 땅밀림 방지와 더불어 인명피해 우려지역을 우선적으로 선정한다. 땅밀림 복구는 정밀 현장조사를 근거로 설계를 실시한다. 땅밀림 발생지 조사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한다.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는 4가지 복구 방안으로 구분하여 설정한다.
(1) 밀림저지(깊은심도)는 인장균열, 배부름 등의 상태가 하나 이상 관측되어야 하며, 기본 조사정보에는 균열 및 단차가 있을 경우에 해당된다. 이때 유효 토심이 5m 이상일 경우 심층 붕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2) 표면보호(얕은심도)은 표층유실, 붕괴, 낙석, 우류침식 등의 상태가 하나 이상 관찰되어야 하며, 기본 조사정보에는 균열 및 단차가 있을 경우에 해당된다. 이때 유효 토심이 5m 미만일 경우 표층붕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3) 집수배제는 지하수 유무, 습윤 구간 등의 상태가 하나 이상 관찰되어야 하며, 기본 조사정보에는 지하수 용출 유무가 있을 경우 해당된다.
(4) 모니터링는 구조물 균열, 변형 등의 상태가 하나 이상 관찰되어야 하며, 기본 조사정보에는 구조물의 피해 유무가 있을 경우 해당된다.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는 복구 방안에 맞는 복구 공법을 설정한다.
복구 공법은 제1 복구 공법, 제2 복구 공법, 제3 복구 공법, 제4 복구 공법을 포함한다. 제1 복구 공법은 배토공, 억지말뚝, 앵커, 옹벽을 포함한다. 제2 복구 공법은 격자블럭, 비탈다듬기, 흙막이, 떼붙이기, 식생을 포함한다. 제3 복구 공법은 지표수배제공, 지하수배제공, 지하수차단공, 수로공을 포함한다. 제4 복구 공법은 땅밀림 모니터링, 구조물 변위 모니터링을 포함한다.
밀림저지(깊은심도)에서 배토공은 땅밀림을 방지하기 위해 땅밀림이 발생하는 비탈머리 부위의 토괴를 제거하는 공법이다. 땅깎기(배토) 후 깎기비탈은 장대한 단일비탈면이 되지 않도록 적당한 간격으로 소단을 설치하며, 소단간의 비탈경사각은 비탈면 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결정한다. 배토 후의 깎기비탈면은 녹화공사를 실시하며, 필요에 따라서 흙막이공사, 수로공사 등을 보완적으로 실시한다. 절취한 흙은 땅밀림 구역 밖으로 이동시켜야 하며, 절취한 토사가 붕괴 또는 유실되지 않도록 조치한다.
억지말뚝은 땅밀림을 억지하기 위하여 땅밀림 비탈에 부동층까지 말뚝을 박아 땅밀림 추력을 저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공법이다. 향타기에 의해서 말뚝을 때려 박는 방법과 대구경 보링머신에 의해서 천공하고 말뚝을 삽입하는 방법(강관말뚝, 철근콘크리트말뚝, H형강 말뚝, 나무말뚝 등)이 있다. 땅밀림 비탈면으로서 하부 지반이 단단하며, 미끄럼면이 수평에 가까운 부분에 시공한다. 말뚝의 규격과 간격은 안정조건 및 시공성을 검토하여 결정하며, 배열은 대체적으로 땅밀림 이동방향에 직각(수평면)이 되게 하며, 일정한 간격(일반적으로 1.5m~4.0m)으로 설치한다.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앵커공법을 병용하는 경우도 있다.
앵커는 지반내에 앵커체를 삽입하고 지표면에 하중을 가하여 가상활동면의 연직응력과 전단저항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불안정한 비탈면의 안정성을 높여주는 보강공법이다. 전단활동력의 감소를 위해 앵커 보강 방향이 전단면에 직각 방향보다 위쪽으로 향하게 설치한다. 시공기술에 따라 품질의 차이가 생기기 쉬우며, 부식에 큰 영향을 받으므로 지하수에 의한 손상을 고려해야 하고, 유지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말뚝에 비해 소규모임에도 불구하고 큰 인발 저항력을 갖고, 소형기계로도 시공이 가능하여 지형의 제약을 받는 협소한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설계 이외의 외력에 대하여 파괴가 급격하게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으나 말뚝이나 옹벽의 공법과 병용하여 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옹벽은 땅밀림 지역에 토압 지반을 고정하여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시공하는 공작물이다. 붕괴위험지 하부 등 토압이 커서 다른 공작물로서는 안정을 기대할 수 없는 땅밀림 지역에 설치한다. 기초지반이 연약하여 부등침하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말뚝기초나 콘크리트기초 등의 방법으로 보강해야 하며, 축대벽의 높이는 토심에 따라 다르나 보통 4m 이하로 하고, 산비탈면에 시공할 경우에는 2m 이내로 시공한다. 물빼기 구멍은 PVC 관으로 크기는 안지름 5~10cm정도로 하고 수평방향으로는 2~3m의 간격, 연직방향으로는 1.5m 이하의 간격으로 설치한다.
표면보호(얕은심도)에서 격자블록은 콘크리트 또는 플라스틱을 땅밀림 표면에 격자식으로 설치하여 비탈면 표면을 안정시키는 공법이다. 쌓기 또는 깎기 작업으로 외부로 노출된 비탈면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격자 모양의 틀 부재를 비탈면에 설치하고 격자 블록 사이를 토사, 흙포대, 돌, 콘크리트블록, 식생 등으로 채워서 땅밀림지의 침식을 방지하고 안정을 도모하는 공법이다. 땅밀림의 표면 보호 목적으로 격자블록 시설을 설치한 땅밀림의 파손 원인은 강우에 의한 침식으로 속채움재가 유실되거나 함몰되어 격자블록과 지반 사이가 들뜨게 되는 등 복합적 요인에 의해 시설물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속적인 손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관리가 필요하다. 격자블록과 함께 앵커를 설치하여 땅밀림지의 얕은 심도와 깊은 심도 모두를 보호할 수 있다.
비탈다듬기는 비탈경사가 불규칙한 비탈면 또는 비탈면에 불안정한 토석층이 있어서 그대로는 줄떼공 또는 파종공을 실시할 수 없는 지역에 적용하는 공법이다. 비탈다듬기 공사를 시공하는 비탈면의 최종 기울기는 안정물매(토사의 안식각)를 한계점으로 하는 것이 안전하다.
흙막이는 주로 누구의 침식 발달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공하거나 수로의 기울기 완화, 수로공의 지지, 부토 고정 등의 역할을 하는 기초 공사로 사용되는 공작물이다. 누구 침식지를 복구하는 대상지에 계획하고, 땅속흙막이 공작물보다 작은 규모의 대상지에 계획한다. 견지반이며 비탈기울기가 비교적 완만한 지역에 설치한다.
떼붙이기(선떼, 평떼 등) 비탈다듬기에서 생단된 뜬흙(부토)을 고정하고, 식생을 조성하기 위한 파식상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기본 공작물이다. 비교적 토양이 좋은 땅깍기 비탈면을 붙여 조기에 녹화하고자 하는 곳에 설치한다. 경사가 급하고 토사유실 방지와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곳에 설치한다.
식생 공사는 산복기초공사 및 녹화기초공사에 의하여 안정된 비탈면에 식생을 도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탈면에 식생을 도입하여 침식을 방지하고 근계의 긴박효과에 의하여 비탈면을 안정시키기 위해 실시하며, 새심기, 씨뿌리기, 나무심기 등이 있다.
집수배제에서 지표수배제공의 종류는 '돌림수로내기', '침투수방지공사', '주입공사' 등이 있으며, 땅밀림 상부 지역의 비탈면으로부터 흘러내려 오는 유출수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분산시켜 안정화를 도모하는 공법이다.
지하수배제공의 종류는 '속도랑배수공', '보링속도랑내기', '터널속도랑내기', '집수정공사', '지하수차단공사' 등이 있으며, 땅밀림 주위로부터 유입되는 심층의 지하수를 배제하거나 강우 및 융설수의 침투에 의한 지하수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공한다.
지하수차단공은 땅밀림을 방지하기 위해 땅밀림 발생지 내에 유입하는 지하수를 차단하거나 배제하는 공법으로, 속도랑내기공사와 지중벽공사가 있다. 땅밀림발생지 밖으로부터 땅밀림 발생지 안으로 유입하는 외부의 지하수를 유입경로에서 횡단적으로 차단하여 속도랑으로서 지표로 유도 배수시킨다. 속도랑내기에 의한 차단공사는 지표면에 가까운 비교적 얕은층의 지하수를 대상으로 시공한다. 지하수가 비교적 깊어서 속도랑내기 공사로 지하수 배제가 어려운 지역에서는 지중에 차수벽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차단하는데, 땅속흙막이, 시트파일공법, 주입공법 등이 있다.
수로공(산복수로공)은 빗물에 의한 산복비탈면 침식을 방지하고, 시공 공작물이 파괴되지 않도록 일정한 수로에 유수를 모아 배수시키는 공작물이다. 산복수로공은 떼/돌/기타의 재료를 사용하여 시공하며 수로공에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떼수로공, 돌수로공, 막돌수로공, 콘크리트수로공, 콘크리트블록수로공 등으로 나누어진다. 산복수로 공작물은 산비탈이 녹화되고 식재목의 뿌리가 발달함에 따라 토양이 긴박되는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의 보조적 수단이므로, 반드시 영구적인 공작물일 필요는 없다.
모니터링에서 땅밀림 모니터링은 땅밀림으로 인한 사면 변위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지표와 지하 변위로 구분하여 계측을 실시할 수 있다. 지표변위에는 지표변위계, 와이어신축계, GPS 등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고, 지하변위에는 지하수위계, 지중경사계 등의 센서를 사용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계측센서, 데이터로거 및 통신장비로 구성되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센서가 계측되며 변형 속도 및 크기를 통하여 땅밀림 진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조물 변위 모니터링은 땅밀림으로 인한 구조물의 손상과 변형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물변위계와 같은 센서 계측을 실시할 수 있다. 계측센서, 데이터로거 및 통신장비로 구성되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센서가 계측되며 변형 속도 및 크기를 통하여 구조물 안정성과 땅밀림 진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는 복구 기준 테이블을 생성하며, 제1 복구 유형, 제1 복구 방안, 제1 복구 공법을 상호 매칭하고, 제2 복구 유형, 제2 복구 방안, 제2 복구 공법을 상호 매칭하고, 제3 복구 유형, 제3 복구 방안, 제3 복구 공법을 상호 매칭하고, 제4 복구 유형, 제4 복구 방안, 제4 복구 공법을 상호 매칭한다.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는 땅밀림 발생지 조사 장치로 대상 지역의 기본 정보를 요청하고, 땅밀림 발생지 조사 장치로부터 대상 지역의 기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는 땅밀림 발생지 복구 비용 산출 장치로 복구 비용을 요청하고, 땅밀림 발생지 복구 비용 산출 장치로부터 복구 비용을 수신할 수 있다.
땅밀림 발생지 복구 비용 산출 장치는 복구 비용 테이블을 생성하며, 제1 복구 방안, 제1 복구 공법, 제1 복구 비용을 상호 매칭하고, 제2 복구 방안, 제2 복구 공법, 제2 복구 비용을 상호 매칭하고, 제3 복구 방안, 제3 복구 공법, 제3 복구 비용을 상호 매칭하고, 제4 복구 방안, 제4 복구 공법, 제4 복구 비용을 상호 매칭할 수 있다.
땅밀림 발생지 복구 비용 산출 장치는 복구 비용을 산정하며, 복수의 복구 지역에 대한 소요 비용을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제1 복구 비용, 제2 복구 비용, 제3 복구 비용, 제4 복구 비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땅밀림 발생지 복구 비용 산출 장치가 처리하는 복구 비용 테이블을 예시한 도면이다.
땅밀림 발생지 복구 비용 산출 장치(300)는 복구 지역의 적용 공법에 따른 소요 비용을 분석하고, 적용 공법에 따른 소요 비용을 기준으로 복구 방안에 따른 단위 면적당 복구 비용을 산출하고, 복구 방안, 복구 공법, 복구 비용이 매칭된 복구 비용 테이블을 저장하고, 복구 비용 테이블을 기준으로 대상 지역의 기본 정보에 맞는 복구 비용을 추정하여 출력한다.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는 땅밀림 발생지 데이터베이스로 권한을 요청한다.
땅밀림 발생지 데이터베이스는 (i) 땅밀림 발생지 조사 장치에 저장된 날짜에 매칭된 위험도 및 날짜 변화에 따른 위험도 변화가 기록된 위험도 테이블에 관한 제1 키, (ii) 상기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에 저장된 복구 기준 테이블에 관한 제2 키, (iii) 땅밀림 발생지 복구 비용 산출 장치에 저장된 복구 비용 테이블에 관한 제3 키, (iv) 사용자 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관한 제4 키를 수신할 수 있다.
땅밀림 발생지 데이터베이스는 제1 키, 제2 키, 제3 키, 제4 키를 모두 조합하여 접근 권한을 판단하고, 땅밀림 발생지 조사 장치로 제1 권한,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로 제2 권한, 땅밀림 발생지 복구 비용 산출 장치로 제3 권한, 사용자 장치로 제4 권한을 분배한다. 제1 권한, 제2 권한, 제3 권한, 제4 권한은 일회적 접근 권한에 해당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방법은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10에서는 땅밀림 지역에 대해 발생 유형을 분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단계 S20에서는 발생 유형에 복구 방안을 매칭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단계 S30에서는 복구 방안에 복구 공법을 매칭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단계 S40에서는 발생 유형, 복구 방안, 복구 공법이 매칭된 복구 기준 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단계 S50에서는 복구 기준 테이블을 기준으로 대상 지역의 기본 정보에 맞는 복구 방안을 선정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로직회로 내에서 구현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정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장치는 고정배선형(Hardwired) 기기, 필드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컨트롤러를 포함한 시스템온칩(System on Chip, SoC)으로 구현될 수 있다.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는 하드웨어적 요소가 마련된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서버에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하는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서버는 각종 기기 또는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장치,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명령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 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8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거나 다른 과정을 추가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실행을 위해 프로세서에 명령어를 제공하는 데 참여한 임의의 매체를 나타낸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기 매체, 광기록 매체, 메모리 등이 있을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에 의한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방법에 있어서,
    땅밀림 지역에 대해 발생 유형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발생 유형에 복구 방안을 매칭하는 단계;
    상기 복구 방안에 복구 공법을 매칭하는 단계;
    상기 발생 유형, 상기 복구 방안, 상기 복구 공법이 매칭된 복구 기준 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복구 기준 테이블을 기준으로 대상 지역의 기본 정보에 맞는 복구 방안을 선정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 유형은 제1 복구 유형, 제2 복구 유형, 제3 복구 유형, 제4 복구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복구 유형은 인장균열, 배부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복구 유형은 표토유실, 표층붕괴, 낙석, 표면침식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복구 유형은 습윤구간, 지하수 용출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복구 유형은 구조물 변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 방안은 제1 복구 방안, 제2 복구 방안, 제3 복구 방안, 제4 복구 방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복구 방안은 깊은 심도의 밀림 저지에 해당하고,
    상기 제2 복구 방안은 얕은 심도의 표면 보호에 해당하고,
    상기 제3 복구 방안은 집수 배제에 해당하고,
    상기 제4 복구 방안은 모니터링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 공법은 제1 복구 공법, 제2 복구 공법, 제3 복구 공법, 제4 복구 공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복구 공법은 배토공, 억지말뚝, 앵커, 옹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복구 공법은 격자블럭, 비탈다듬기, 흙막이, 떼붙이기, 식생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복구 공법은 지표수배제공, 지하수배제공, 지하수차단공, 수로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복구 공법은 땅밀림 모니터링, 구조물 변위 모니터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 기준 테이블은,
    상기 제1 복구 유형, 상기 제1 복구 방안, 상기 제1 복구 공법을 상호 매칭하고,
    상기 제2 복구 유형, 상기 제2 복구 방안, 상기 제2 복구 공법을 상호 매칭하고,
    상기 제3 복구 유형, 상기 제3 복구 방안, 상기 제3 복구 공법을 상호 매칭하고,
    상기 제4 복구 유형, 상기 제4 복구 방안, 상기 제4 복구 공법을 상호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방법.
  6.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땅밀림 지역에 대해 발생 유형을 분류하고,
    상기 발생 유형에 복구 방안을 매칭하고,
    상기 복구 방안에 복구 공법을 매칭하고,
    상기 발생 유형, 상기 복구 방안, 상기 복구 공법이 매칭된 복구 기준 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복구 기준 테이블을 기준으로 대상 지역의 기본 정보에 맞는 복구 방안을 선정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 유형은 제1 복구 유형, 제2 복구 유형, 제3 복구 유형, 제4 복구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복구 유형은 인장균열, 배부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복구 유형은 표토유실, 표층붕괴, 낙석, 표면침식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복구 유형은 습윤구간, 지하수 용출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복구 유형은 구조물 변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 방안은 제1 복구 방안, 제2 복구 방안, 제3 복구 방안, 제4 복구 방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복구 방안은 깊은 심도의 밀림 저지에 해당하고,
    상기 제2 복구 방안은 얕은 심도의 표면 보호에 해당하고,
    상기 제3 복구 방안은 집수 배제에 해당하고,
    상기 제4 복구 방안은 모니터링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 공법은 제1 복구 공법, 제2 복구 공법, 제3 복구 공법, 제4 복구 공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복구 공법은 배토공, 억지말뚝, 앵커, 옹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복구 공법은 격자블럭, 비탈다듬기, 흙막이, 떼붙이기, 식생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복구 공법은 지표수배제공, 지하수배제공, 지하수차단공, 수로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복구 공법은 땅밀림 모니터링, 구조물 변위 모니터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 기준 테이블은
    상기 제1 복구 유형, 상기 제1 복구 방안, 상기 제1 복구 공법을 상호 매칭하고,
    상기 제2 복구 유형, 상기 제2 복구 방안, 상기 제2 복구 공법을 상호 매칭하고,
    상기 제3 복구 유형, 상기 제3 복구 방안, 상기 제3 복구 공법을 상호 매칭하고,
    상기 제4 복구 유형, 상기 제4 복구 방안, 상기 제4 복구 공법을 상호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는,
    땅밀림 발생지 조사 장치로 상기 대상 지역의 기본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땅밀림 발생지 조사 장치로부터 상기 대상 지역의 기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는,
    땅밀림 발생지 복구 비용 산출 장치로 복구 비용을 요청하고,
    상기 땅밀림 발생지 복구 비용 산출 장치로부터 상기 복구 비용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는 땅밀림 발생지 데이터베이스로 권한을 요청하고,
    상기 땅밀림 발생지 데이터베이스는,
    (i) 땅밀림 발생지 조사 장치에 저장된 날짜에 매칭된 위험도 및 날짜 변화에 따른 위험도 변화가 기록된 위험도 테이블에 관한 제1 키,
    (ii) 상기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에 저장된 복구 기준 테이블에 관한 제2 키,
    (iii) 땅밀림 발생지 복구 비용 산출 장치에 저장된 복구 비용 테이블에 관한 제3 키,
    (iv) 사용자 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관한 제4 키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키, 상기 제2 키, 상기 제3 키, 상기 제4 키를 모두 조합하여 접근 권한을 판단하고,
    상기 땅밀림 발생지 조사 장치로 제1 권한, 상기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로 제2 권한, 상기 땅밀림 발생지 복구 비용 산출 장치로 제3 권한,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제4 권한을 분배하며, 상기 제1 권한, 상기 제2 권한, 상기 제3 권한, 상기 제4 권한은 일회적 접근 권한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장치.
KR1020210166927A 2021-11-29 2021-11-29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및 복구 공법의 적용 기준 제시 장치 KR20230079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927A KR20230079795A (ko) 2021-11-29 2021-11-29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및 복구 공법의 적용 기준 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927A KR20230079795A (ko) 2021-11-29 2021-11-29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및 복구 공법의 적용 기준 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795A true KR20230079795A (ko) 2023-06-07

Family

ID=86761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927A KR20230079795A (ko) 2021-11-29 2021-11-29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및 복구 공법의 적용 기준 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979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394B1 (ko) 2019-11-21 2021-04-12 대한민국 땅밀림 발생지 조사 시스템 및 이의 모니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394B1 (ko) 2019-11-21 2021-04-12 대한민국 땅밀림 발생지 조사 시스템 및 이의 모니터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opescu et al. Engineering measures for landslide disaster mitigation
Hung et al. Practice and experience in deep excavations in soft soil of Ho Chi Minh City, Vietnam
Hearn et al. C3 Soil slope stabilization
KR20230079795A (ko) 땅밀림 발생지 복구 방안 선정 및 복구 공법의 적용 기준 제시 장치
KR20230079796A (ko) 땅밀림 발생지 복구 비용 산출 장치 및 방법
Adamo et al. Dam safety: Technical problems of aging embankment dams
Negi et al. Landslide hazard zonation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a case study of Giri Valley, District Sirmaur, Himachal Pradesh
Bromhead Geotechnical structures for landslide risk reduction
Jaisingpure et al. Construction techniques to prevent landslides
Nowak Earthworks design principles
Rahmadania et al. Case study of the causes of failure of combination of gabion and geotextile construction to handle landslides on the slope of kariangau substation, balikpapan, east borneo
Fergason et al. Mitigation Strategies and Engineering Solutions for Infrastructure at Risk from Earth Fissures
Borys et al. River embankments
Jeyatharan et al. Some observations during excavation on the behaviour of old alluvium soils in Singapore
Ghareh The Impact of Extreme Groundwater Recharge and Dewatering Events on the Efficiency of a Deep Anchored Wall
Oosthuizen et al. Environmental geotechnics for an outfall sewer traversing a Ramsar wetland
Naseer A study of rainfall infiltration on slope stability using sand piles to reinforce slopes
Timm Challenges when building on dolomite
District Geotechnical investigation
Waiblinger RE: GEOTECHNICAL INVESTIGATION & LANDSLIDE HAZARD STUDY WAIBLINGER HOMESITE 13195 NW MCNAMEE ROAD MULTNOMAH COUNTY, OREGON
Popescu Risk assessment and treatment in slope stability forensic engineering
Seng et al. A High Speed Expressway Embankment Built over Very Soft Alluvial Clay in Malaysia
AL GEOTECHNICAL INVESTIGATION PALOMAR COMMUNITY COLLEGE DISTRICT PROPOSED TEMPORARY PARKING LOT SAN MARCOS, CALIFORNIA
CN117328892A (zh) 一种基于隧道结构阻滑的隧道洞口山体滑坡病害治理方法
PIERCE et al. GEOTECHNICAL ENGINEERING UPDATE REPORT MULTI-UNIT RESIDENTIAL DEVELOPMENT 301 CAZADOR LA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