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9705A -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9705A
KR20230079705A KR1020210166755A KR20210166755A KR20230079705A KR 20230079705 A KR20230079705 A KR 20230079705A KR 1020210166755 A KR1020210166755 A KR 1020210166755A KR 20210166755 A KR20210166755 A KR 20210166755A KR 20230079705 A KR20230079705 A KR 20230079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e
loan
farmhouse
certification
sa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5394B1 (ko
Inventor
전희태
Original Assignee
전희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희태 filed Critical 전희태
Priority to KR1020210166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394B1/ko
Publication of KR20230079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9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인 정보를 입력 받는 복수의 농가 단말과, 상기 와인 정보를 저장하는 재고 현황 DB와, 상기 농가의 와인에 품질 인증을 부여하는 인증 모듈과, 인증된 와인의 수출 또는 내수 판매로 인한 매출액을 저장하는 판매 현황 DB를 포함하는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 및 상기 농가 단말의 대출 신청이 접수되면 대출 신청 농가의 대출 가액을 산출하는 심사 모듈과, 상기 와인 매출액에 기초한 인증기관의 와이너리 크레딧을 담보로 상기 대출 신청 농가에 상기 대출 가액의 대출을 실행하는 실행 모듈을 포함하는 금융기관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apitalization using Winery Credit}
본 발명은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인 농가에서 제조된 와인에 품질 인증을 부여하여 와인의 가치를 인정받음으로써 높은 수익 창출이 가능하며, 수익 중 일부를 농가에서 대출을 신청할 때 금융기관에 신용 자산으로 공여하여 안정적인 자금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고품질 와인의 지속적인 제조가 가능한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인은 서구권에서 가장 대중화되고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주류로서, 잘 익은 포도의 당분을 발효시켜 만든 알코올 음료를 뜻하지만, 최근에는 머루나 사과, 감, 복분자 등과 같은 다양한 과일을 발효시켜 만든 알코올 음료에도 와인이라 명칭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와인의 시장적 동향은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과 같은 전통적으로 와인을 생산해온 기존 와인강국들과, 미국, 호주, 칠레, 아르헨티나 등 신흥 와인생산국들로 양분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중국, 러시아, 일본 등 아시아의 와인 시장이 성장 가속도를 내고 있다. 예를 들면, 아시아 국가 중 일본의 경우에는 전체 소비와인 중 자국 와인의 시장점유율이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도 와인의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와인을 제조하는 농가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와인 농가에서 제조된 와인은 체계적인 유통이 이루지지 않고 또한, 높은 품질을 가졌더라도 품질을 인정받기 때문에 해외 수출은 물론이고 국내에서의 판매량도 저조한 형편이다.
뿐만 아니라 와인은 오크통에서 수년간의 발효과정을 거친 후 판매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조부터 판매로 인한 수익까지 오랜 시간이 걸려 현금의 유동성을 확보하지 못해 와인 농가에서는 와인을 제조하기 위한 과일의 수매가 어렵기 때문에 동일한 품질의 와인을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코셔(Kosher) 유대교 율법에 의해 식재료를 선정하고 조리 등의 과정에서 엄격한 절차를 거친 음식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미국, 유럽에서 코셔 인증 음식이 안전하고 깨끗한 음식으로 인식돼 관련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추세로, 와인에 코셔 인증이 부여되며 와인의 품질이 인정받아 와인의 판매율 및 판매금액이 높아져 농가의 수익이 증가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43108호(이하 종래기술)에는 와인의 온라인 거래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와인을 제조하는 농가에서 판매 가능할 정도로 와인의 숙성이 이루어지기까지 와인 농가에 자금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9-0043108호(2019.04.25)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와인 농가에서 제조된 와인에 품질 인증을 부여하여 와인의 가치를 인정받음으로써 높은 수익 창출이 가능하며, 수익 중 일부를 농가에서 대출을 신청할 때 금융기관에 신용 자산으로 공여하여 안정적인 자금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고품질 와인의 지속적인 제조가 가능한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시스템은 재배하는 과실의 품종, 수확량 및 수확 연도를 포함하는 과실 정보와, 상기 과실로 제조된 와인의 생산량 및 재고량을 포함하는 와인 정보를 입력 받는 복수의 농가 단말(farmer terminals)과, 상기 농가 단말들이 전송한 과실 정보 및 와인 정보를 저장하는 재고 현황 DB와, 상기 농가의 와인에 품질 인증을 부여하는 인증 모듈(certifying module)과, 인증된 와인의 수출 또는 내수 판매로 인한 매출액을 저장하는 판매 현황 DB를 포함하는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cosher platform server) 및 상기 농가 단말의 대출 신청이 접수되면 상기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에 요청하여 제공받은 상기 농가의 와인 재고량, 인증 등급, 와인 매출액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대출 신청 농가의 대출 가액을 산출하는 심사 모듈(appraisal module)과, 상기 와인 매출액에 기초한 인증기관의 와이너리 크레딧을 담보로 상기 대출 신청 농가에 상기 대출 가액의 대출을 실행하는 실행 모듈(executing module)을 포함하는 금융기관 서버(financial serv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인 재고량은 와인이 채워진 오크통의 개수를 입력 단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는, 상기 과실 정보, 와인 정보, 품질 인증 정보 및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와인 상품 카탈로그를 온라인 상에 게재하고, 고객의 주문에 따라 온라인 결제를 수행하며, 결제가 완료된 와인 상품의 농가에 대한 와인 재고량과 와인 매출액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판매 플랫폼 모듈(sales platform modul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는, 과실의 품종 및 수확 연도, 상기 과실로 제조된 와인의 재고량, 품질 인증 등급, 수출 및 내수 판매량, 고객의 품평 및 수상 이력을 기초로 와인 상품의 가격을 주기적으로 산정하는 평가 모듈(evaluating modul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관 서버의 심사 모듈은, 대출을 신청한 농가의 재배 환경 인증 획득 및 갱신 횟수, 와이너리 시설 인증 획득 및 갱신 횟수, 상기 판매 플랫폼 모듈을 통해 발생한 와인 매출액, 인증기관이 인정한 교육 프로그램 이수 여부를 더 고려하여 상기 대출 신청 농가의 대출 가액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관 서버의 실행 모듈은, 상기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의 와이너리 크레딧을 기초로 상기 대출 신청 농가의 대출 금리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관 서버는, 대출이 실행된 농가의 상환 기한이 도과한 경우, 상기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에 대출 농가의 상환 미실행을 통지하고, 미상환 금액을 상기 인증기관의 계좌로부터 상환 받는 상환 실행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는, 상기 상환 실행 모듈에 의해 대환된 미상환 금액이 충당될 때까지 상기 대출 농가의 와인 상품의 판매 결제액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인증기관 계좌로 수금하는 추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방법은 금융기관 서버의 심사 모듈(appraisal module)이 농가 단말로부터 대출 신청을 접수받는 단계와, 상기 심사 모듈이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에 대출 신청한 농가의 와인 재고량, 인증 등급, 와인 매출액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심사 모듈이 상기 농가의 와인 재고량, 인증 등급, 와인 매출액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대출 신청 농가의 대출 가액을 산출하는 단계 및 금융기관 서버의 실행 모듈(executing module)이 상기 와인 매출액에 기초한 인증기관의 와이너리 크레딧을 담보로 상기 대출 신청 농가에 상기 대출 가액의 대출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인 재고량은 와인이 채워진 오크통의 개수를 단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는, 상기 과실 정보, 와인 정보, 품질 인증 정보 및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와인 상품 카탈로그를 온라인 상에 게재하고, 고객의 주문에 따라 온라인 결제를 수행하며, 결제가 완료된 와인 상품의 농가에 대한 와인 재고량과 와인 매출액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심사 모듈은, 대출을 신청한 농가의 재배 환경 인증 획득 및 갱신 횟수, 와이너리 시설 인증 획득 및 갱신 횟수, 상기 판매 플랫폼 모듈을 통해 발생한 와인 매출액, 인증기관이 인정한 교육 프로그램 이수 여부를 더 고려하여 상기 신청 농가의 대출 가액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실행 모듈은, 상기 인증기관의 와이너리 크레딧을 기초로 상기 신청 농가의 대출 금리를 결정할 수 있다.
상환 실행 모듈이 대출이 실행된 농가의 상환 기한이 도과한 경우, 상기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에 대출 농가의 상환 미실행을 통지하고, 미상환 금액을 상기 인증기관의 계좌로부터 상환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인 농가에서 제조된 와인에 품질 인증을 부여하여 와인의 가치를 인정받음으로써 높은 수익 창출이 가능하며, 수익 중 일부를 농가에서 대출을 신청할 때 금융기관에 신용 자산으로 공여하여 안정적인 자금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고품질 와인의 지속적인 제조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시스템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시스템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는 와인 농가에서 제조된 와인에 품질 인증을 부여하고, 품질 인증이 부여됨에 따라 발생된 수익 중 일부를 신용 공여 자산으로 활용하여 와인 농가가 금융기관으로부터 안정적인 자금을 확보(대출)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시스템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증기관은 플랫폼 서버(200)를 통해 국내에 분포된 와인 농가들을 관리하여 각각의 농가들에서 제조되는 와인의 생산량 및 재고량을 파악하고, 농가에서 생산된 와인에 품질 인증을 부여한다.
인증기관은 농가에서 금융기관에 대출을 신청하면 플랫폼 서버(200)를 통해 금융기관 서버(300)에 농가의 대출에 필요한 담보(예를 들면, 와인 크레딧)를 제공하여 현금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와이너리 크레딧은 품질 인증이 부여된 후 판매된 와인의 수출 또는 내수 판매로 인한 매출의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인증기관에서 부여하는 품질 인증은 코셔(Kosher) 인증일 수 있다. 코셔는 유대교 율법에 의해 식재료를 선정하고 조리 등의 과정에서 엄격한 절차를 거친 음식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미국, 유럽에서 코셔 인증 음식이 안전하고 깨끗한 음식으로 인식돼 관련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추세로, 와인에 코셔 인증이 부여되며 와인의 품질이 인정받아 와인의 판매율 및 판매금액이 높아져 농가의 수익이 증가될 수 있다.
코셔 인증을 부여하는 절차는 아래와 같다.
양식 신청서를 접수받고, 신청서 내용에 근거하여 인증에 필요한 견적 비용을 제시하고, 신청 농가의 제품이 코셔 인증기준에 부합되는지 확인하는 절차를 거쳐 농가 방문 검사를 통한 인증 적합성 여부를 확인한다. 최초 인증 검사는 해외본부에서 파견한 코셔 인증 전문가가 현지의 인증희망 농가에 직접 방문하여 진행하게 된다. 계약서 및 인증확인 검사보고서, 1차년도의 인증 비용 납부확인 후 해외본부에서 인증서 발급을 위한 심사를 진행한다. 심사 완료 후 코셔 인증서(Kosher Certification)를 발급한다.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는 품질 인증이 부여된 후 판매된 와인의 매출 중 일부를 인증기관을 운영하기 위한 자금 및 농가에서 대출을 신청할 때 금융기관에 신용 공여(즉, 담보)할 와이너리 크레딧으로 사용한다. 예컨대,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는 와인의 매출의 일부를 적립금 형태로 적립하여 와이너리 크레딧으로 사용할 수 있다.
금융기관 서버(300)는 대출, 수신 등을 주요 업무로 하고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 또는 기업에서 운영된 서버를 의미한다.
금융기관 서버(300)는 농가로부터 대출이 신청되면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농가의 와인 재고량, 인증 등급, 와인 매출액 중 적어도 하나를 대출 신청 농가의 대출 가액을 산출하고,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와이너리 크레딧을 담보로 설정하여 대출 신청 농가에 대출을 실행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농가 단말(farmer terminals)(100),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cosher platform server)(200) 및 금융기관 서버(financial server)(300)를 포함한다.
농가 단말(100)은 전국에 분포된 와이너리 농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단말로서, 농장주 또는 관리직원에 의해 관리된다.
농가 단말(100)은 농장주로부터 재배하는 과실(fruit)의 품종, 수확량 및 수확 연도를 포함하는 과실 정보와, 상기 과실로 제조된 와인의 생산량 및 재고량을 포함하는 와인 정보를 입력받는다. 농가 단말(100)에 입력된 품종 및 수확 연도에 따라 생산된 와인의 가치가 달라질 수 있다. 참고로 농가 단말(100)은 와인의 재고량을 와인이 채워진 오크통의 개수를 입력단위로 사용한다. 오크통에 채워진 와인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가치가 높게 평가될 수 있으며, 농가가 금융기관에 대출을 신청할 때 변동된 가치를 반영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농가는 포도, 배, 사과 등 다양한 과실을 통해 와인을 생산할 수 있다. 농가는 직접 과실을 재배하여 와인을 수 있으며, 과실은 수매하고 수매한 과실을 통해 와인을 생산할 수 있다. 농가 단말(100)은 농가에서 과실을 수매하여 와인을 제조하는 경우 수매한 과실의 품종, 수매량 및 해당 과실의 수확 연도를 입력받는다.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는 국내에 분포된 와이너리 농가들을 관리하여 각각의 농가들에서 생산되는 와인의 생산량 및 재고량을 파악하고, 농가에서 생산된 와인에 품질 인증을 부여한다. 또한, 인증기관은 농가에서 금융기관에 대출을 신청하면 플랫폼 서버(200)를 통해 금융기관 서버(300)에 농가의 대출에 필요한 담보(와인 크레딧)를 제공하여 농가에서 발생된 매출에 기초하여 현금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는 재고 현황 DB(210), 인증 모듈(certifying module)(220) 및 판매 현황 DB(230)를 포함한다.
재고 현황 DB(210)에는 전국에 분포된 농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농가 단말(100)로부터 해당 농가에서 재배하는 과실의 품종, 수확량 및 수확 연도를 포함하는 과실 정보와, 그 과실로 제조된 와인의 생산량 및 재고량을 포함하는 와인 정보가 저장된다. 재고 현황 DB(210)에는 품질 인증 완료된 와인의 현황도 저장되며, 품질 인증 완료된 와인에는 별도의 일련 번호를 기입된다.
인증 모듈(220)은 농가로부터 와인 샘플을 매수 또는 제공받고, 와인의 샘플을 통해 품질 인증을 등급별로 부여한다. 또는 인증 모듈(220)은 와인의 샘플을 통해 해당 와인의 품질 인증을 부여하기 위한 절차를 진행한다. 와인의 품질 인증을 위한 절차를 진행할 경우, 인증 모듈(220)은 농가로부터 제공받은 와인의 샘플을 품질 인증이 진행되는 다른 기관에 제공한다. 여기서 와인에 부여하는 품질 인증은 코셔(Kosher) 인증일 수 있다. 인증 모듈(220)에 의해 품질 인증이 완료되면, 농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와인 중 품질 인증을 받은 와인과 동일한 과실로 제조된 와인은 모두 같은 품질 인증을 부여받는다.
판매 현황 DB(230)에는 인증 모듈(220)을 통해 부여된 품질 인증된 와인의 판매로 인한 매출액, 판매일자, 판매수량, 판매처 및 구매처 등이 저장된다. 판매 현황 DB(230)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 농가 별로 월별, 분기별, 연도별 매출액을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미리 정해진 기간에 대한 매출 증감액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판매 현황 DB(230)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 구매율이 높은 구매처를 확인할 수 있다.
판매 현황 DB(230)에 저장된 와인의 판매로 인한 매출액은 와인의 수출 또는 내수 판매로 인한 수익이다. 예컨대,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는 수출 판매 플랫폼(미도시)을 통해 해외 바이어와 연결되고, 해외 바이어로부터 주문된 와인을 농가로부터 확보하여 수출할 수 있다.
또한,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는 내수 판매 플랫폼(미도시)을 통해 국내의 와인 수요자로부터 와인의 주문을 받고 주문된 와인을 농가로부터 확보하여 판매할 수 있다. 내수 판매 플랫폼은 온라인 오픈 마켓 형태로 운영될 수 있다.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는 미리 구축된 오픈 마켓과 협업하여 농가에서 제조된 와인을 내수 판매하거나 또는 인증기관에서 자체 운영되는 판매 플랫폼을 통해 와인을 판매할 수 있다.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는 품질 인증이 부여된 후 판매된 와인의 수출 또는 내수 판매로 인한 매출의 일부를 인증기관을 운영하기 위한 자금 및 와이너리 크레딧(예를 들면, 적립금 형태)으로 보유한다.
예를 들면, 품질 인증이 부여되기 전 와인 한 병의 판매 수익이 1만원이고 품질 인증이 부여된 후 와인 한 병의 판매 수익이 10만원일 경우, 차액에 대한 수익 9만원 중 50%를 인증기관의 운영자금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50%를 와이너리 크레딧으로 사용한다. 여기서, 퍼센트율(%)은 예로 들었을 뿐이며, 인증기관의 운영자금으로 사용되는 퍼센트율(%)과 와이너리 크레딧으로 사용되는 퍼센트율(%)은 조정가능하다.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는 와이너리 크레딧을 적립금 형태의 자산으로 보유할 수 있다.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는 보유하고 있는 와이너리 크레딧을 농가에서 대출을 신청할 때 금융기관에 해당 농가에 대한 담보액으로 제공한다.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는 농가의 재배 환경 인증 획득 정보 및 갱신 횟수, 와이너리 시설 인증 획득 및 갱신 횟수, 판매 플랫폼을 통해 발생한 와인 매출액, 인증기관이 인정한 교육 프로그램 이수 여부를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DB에 저장한다. 예컨대, 재배 환경 인증은 해썹 인증(HACCP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을 포함할 수 있다. 해썹 인증은 식품의 안전성을 보증하기 위해 식품의 원재료 생산, 제조, 가공, 보존, 유통을 거쳐 소비자가 최종적으로 식품을 섭취하기 직전까지 각각의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위해한 요소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과학적인 위생관리체계를 의미한다.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는 주류에 대하여 부과되는 조세 즉, 주세를 정확히 파악하고 농가의 와인 제조, 판매 회계를 감사(audit)하여 세수를 정확히 확보하고 농가와 은행 간에 발생하는 금융거래가 용이하게 한다.
금융기관 서버(300)는 농가 단말(100)로부터 대출 신청이 접수되면,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대출 신청 농가의 정보를 기초로 해당 농가에 대출을 실행한다.
금융기관 서버(300)는 심사 모듈(appraisal module)(310) 및 실행 모듈(executing module)(320)을 포함한다.
심사 모듈(310)은 농가 단말(100)로부터 대출 신청이 접수되면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에 대출 신청 농가의 와인 재고량, 인증 등급, 와인 매출액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한다. 참고로, 대출 신청의 접수는 농가 단말(100)을 통해 금융기관 서버(300)에 접속하여 신청하거나 또는 농장주가 직접 금융사에 방문하여 접수할 수도 있다. 농장주가 금융사에 방문하여 대출을 접수하면 금융기관 직원에 의해 금융기관 서버(300)에 업로드된다.
심사 모듈(310)은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대출 신청 농가의 와인 재고량, 인증 등급, 와인 매출액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대출 가액을 산출한다. 예컨대, 심사 모듈(310)은 대출 신청 농가의 와인 재고량이 많을 수록, 인증 등급이 높을 수록,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의 매출액이 높을수록 대출 가액을 높게 산출한다.
심사 모듈(310)은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농가의 재배 환경 인증 획득 정보 및 갱신 횟수, 와이너리 시설 인증 획득 및 갱신 횟수, 판매 플랫폼을 통해 발생한 와인 매출액, 인증기관이 인정한 교육 프로그램 이수 여부를 제공받고, 이를 더 고려하여 대출 신청 농가의 대출 가액을 산출한다.
실행 모듈(320)은 대출 신청 농가에 대출을 실행하기 위한 담보를 설정한다. 실행 모듈(320)은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에 대출 신청 농가에 대한 와이너리 크레딧을 요청한다. 실행 모듈(320)은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대출 신청 농가의 와이너리 크레딧을 담보로 설정하여 심사 모듈(310)에서 산출된 대출 가액을 미리 설정된 일자에 실행한다.
실행 모듈(320)은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에서 보유중인 대출 신청 농가에 대한 와이너리 크레딧을 기초로 대출 신청 농가의 대출 금리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실행 모듈(320)은 대출 신청 농가에 대한 와이너리 크레딧이 높을수록 대출 신청 농가의 미래 가치를 높게 평가하여 대출 금리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실행 모듈(320)은 최초 대출 실행된 후 미리 설정된 기간 후에 대출 금리를 변동할 수 있다. 실행 모듈(320)은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로부터 대출 신청 농가의 와이너리 크레딧을 주기적으로 제공받고, 와이너리 크레딧의 변동률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간이 경과된 후 대출 금리를 변동할 수 있다, 만약, 와이너리 크레딧의 증가율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실행 모듈(320)은 미리 설정된 기간이 경과된 후 대출 금리를 낮게 조정한다.
상기와 같이 농가는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를 통해 부여된 품질 인증을 통해 제조 와인의 가치를 인정받음으로써 높은 수익 창출이 가능하며,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를 통해 수익에 따른 일부를 금융기관에 신용 자산으로 공여하여 안정적인 자금을 확보할 수 있어 고품질 와인의 지속적인 제조가 가능하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시스템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는 전국에 분포된 농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농가 단말(100)로부터 해당 농가에서 재배하는 과실의 품종, 수확량 및 수확 연도를 포함하는 과실 정보와, 그 과실로 제조된 와인의 생산량 및 재고량을 포함하는 와인 정보를 제공받는다.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는 농가로부터 와인 샘플을 매수 또는 제공받고, 와인의 샘플을 통해 품질 인증을 등급별로 부여한다. 또는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는 와인의 샘플을 통해 해당 와인의 품질 인증을 부여하기 위한 절차를 진행한다. 와인의 품질 인증을 위한 절차를 진행할 경우,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는 농가로부터 제공받은 와인의 샘플을 품질 인증이 진행되는 다른 기관에 제공한다. 여기서 와인에 부여하는 품질 인증은 코셔(Kosher) 인증일 수 있다.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는 품질 인증이 부여된 후 판매된 와인의 수출 또는 내수 판매로 인한 매출의 일부를 인증기관을 운영하기 위한 자금 및 와이너리 크레딧으로 보유한다.
금융기관 서버(300)는 농가 단말(100)로부터 대출 신청이 접수되면,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로 대출 신청 농가의 와인 재고량, 인증 등급, 와인 매출액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한다.
금융기관 서버(300)는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대출 신청 농가의 와인 재고량, 인증 등급, 와인 매출액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대출 가액을 산출한다.
금융기관 서버(300)는 대출 신청 농가에 대출을 실행하기 위한 담보를 설정하기 위해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로부터 대출 신청 농가에 대한 와이너리 크레딧을 제공받는다.
금융기관 서버(300)는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대출 신청 농가의 와이너리 크레딧을 담보로 설정하여 심사 모듈(310)에서 산출된 대출 가액을 미리 설정된 일자에 실행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는 와인 농가에서 제조된 와인을 판매 플랫폼을 통해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2 실시예의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500)는 재고 현황 DB(510), 인증 모듈(520), 판매 현황 DB(530), 판매 플랫폼 모듈(540), 평가 모듈(550)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의 재고 현황 DB(510), 인증 모듈(520), 판매 현황 DB(530)는 제1 실시예의 재고 현황 DB(210), 인증 모듈(220), 판매 현황 DB(230)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며, 판매 플랫폼 모듈(540), 평가 모듈(55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2 실시예의 금융기관 서버(600)는 심사 모듈(610), 실행 모듈(620)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의 심사 모듈(610), 실행 모듈(620)은 제1 실시예의 심사 모듈(310), 실행 모듈(320)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판매 플랫폼 모듈(540)(sales platform module) 및 평가 모듈(550)(evaluating module)을 더 포함한다.
판매 플랫폼 모듈(540)은 전국에 분포된 농가에서 제조된 와인을 온라인을 통해 판매하기 위한 플랫폼이다.
판매 플랫폼 모듈(540)은 온라인 오픈 마켓 형태로 운영될 수 있다. 판매 플랫폼 모듈(540)에서 제공되는 온라인 오픈 마켓은 웹 상에서 구현되거나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판매 플랫폼 모듈(540)은 회원제 및 비회원제로 운영되며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에게는 구매량에 따른 적립금을 지급하거나 할인 쿠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판매 플랫폼 모듈(540)은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와인의 검색 화면을 제공한다. 예컨대, 판매 플랫폼 모듈(540)에서 제공된 검색 화면을 통해 고객이 와인의 종류, 가격대, 연도별 제품 또는 테마(예를 들면, 치즈에 어울리는 와인)를 입력하면 판매 플랫폼 모듈(540)은 조건에 맞는 제품을 웹 페이지에 출력한다.
판매 플랫폼 모듈(540)은 판매하는 제품(즉, 와인)에 사용된 과실 정보, 품질 인증 정보 및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와인 상품 카탈로그를 온라인 상에 게재한다.
판매 플랫폼 모듈(540)은 온라인 결제 시스템을 도입하여 고객의 주문에 따라 온라인 결제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판매 플랫폼 모듈(540)은 구매의 간편화를 위해서 온라인 계좌 송금, 카드 결제, 간편 결제(즉, 신용카드나 계좌 정보를 스마트폰 앱 등에 미리 등록해 지문인식이나 비밀번호 입력만으로 돈을 지불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판매 플랫폼 모듈(540)은 고객의 주문 및 결제가 완료되면 판매된 와인 상품의 농가에 대한 와인 재고량과 와인 매출액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한다.
판매 플랫폼 모듈(540)은 플랫폼을 통해 판매된 수익 중 일부를 대출 원금으로 상환할 것을 농가 단말(400)로 요청한다.
판매 플랫폼 모듈(540)은 해당 플랫폼을 통해 실제 와인을 구매한 구매자로부터 와인의 품평(즉, 리뷰)을 입력받는다. 판매 플랫폼 모듈(540)은 품평을 작성한 구매자에게 소정의 적립금을 제공할 수 있다.
평가 모듈(550)은 판매 플랫폼 모듈(540)에서 판매중인 와인을 제조할 때 사용된 과실의 품종 및 수확 연도, 와인의 재고량, 품질 인증 등급, 수출 및 내수 판매량, 고객의 품평 및 수상 이력을 기초로 와인 상품의 가격을 주기적으로 산정한다.
예를 들면, 평가 모듈(550)은 와인의 품질 인증 등급이 상향되거나, 농가에서 오크통에 담긴 와인의 재고량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와인의 가치가 높아지면 판매되고 있는 와인 상품의 가격을 다시 산정하고, 판매 플랫폼 모듈(540)은 다시 산정된 가격으로 와인을 판매한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은 판매되고 있는 와인의 가치를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와인의 판매 가격에 반영한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는 대출이 실행된 농가의 상환 기한이 도과한 경우 미상환 금액을 상기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로부터 상환받고, 인증 기관은 농가의 와인 상품의 판매 결제액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추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3 실시예의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800)는 재고 현황 DB(810), 인증 모듈(820), 판매 현황 DB(830), 판매 플랫폼 모듈(840), 평가 모듈(850) 및 추심 모듈(860)을 포함한다. 제3 실시예의 재고 현황 DB(810), 인증 모듈(820), 판매 현황 DB(830), 판매 플랫폼 모듈(840), 평가 모듈(850)은 제2 실시예의 재고 현황 DB(510), 인증 모듈(520), 판매 현황 DB(530), 판매 플랫폼 모듈(540), 평가 모듈(550)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며, 추심 모듈(86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3 실시예의 금융기관 서버(900)는 심사 모듈(910), 실행 모듈(920) 및 상환 실행 모듈(930)을 포함한다. 제3 실시예의 심사 모듈(910), 실행 모듈(920)은 제2 실시예의 심사 모듈(610), 실행 모듈(620)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며, 상환 실행 모듈(93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금융기관 서버(900)는 상환 실행 모듈(930)을 더 포함한다.
일 예로, 상환 실행 모듈(930)은 와인의 재고량 또는 와이너리 크레딧을 담보 중 적어도 하나로 대출을 실행한 농가에서 와인을 판매하게 되면, 그 판매 수익 중 일부를 대출 원금으로 상환할 것을 요청한다. 이때, 상환 실행 모듈(930)은 판매 수익 중 일부 즉, 대출 원금에 대해 상환할 금액을 농가 단말(700)로 전송하여 상환받는다. 만약, 농가에서 원금을 상환하지 않을 경우 상환 실행 모듈(930)은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800) 대출 농가의 상환 미실행을 통지하고, 미상환 금액을 인증기관의 계좌로부터 상환받는다.
예컨대, 와인 농가는 품질 인증을 부여받은 와인을 판매할 때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800)에 판매 사실을 확인받아야 하며,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800)의 판매현황 DB(830)는 농가 단말(700)로부터 입력받은 판매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재고를 관리한다.
또한,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800)는 와인 농가에서 판매한 수익을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보유한 뒤 와인 농가의 계좌로 송금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상환 실행 모듈(930)은 대출이 실행된 농가의 상환 기한이 도과한 경우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800)에 대출 농가의 상환 미실행을 통지한다.
상환 실행 모듈(930)은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800)에 대출 농가의 상환 미실행을 통지한 후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대출 실행 농가로부터 상환되지 않으면 미상환 금액을 인증기관의 계좌로부터 상환받는다. 예컨대, 금융기관 서버(900)는 대출 신청 농가에 대출을 실행하기 위한 담보를 설정할 때, 농가에서 미상환 시 지급받을 인증 기관의 계좌도 제공받는다.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800)는 추심 모듈(860)을 더 포함한다.
추심 모듈(860)은 금융기관 서버(900)의 상환 실행 모듈(930)에 의해 대환된 미상환 금액이 충당될 때까지 대출 농가의 와인 상품의 판매 결제액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인증기관 계좌로 수금한다. 참고로, 농가의 와인 상품의 판매 결제액은 판매 플랫폼 모듈(840)에서 구축된 온라인 오픈 마켓을 통해 판매된 결제액을 의미한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는 와인 농가에서 제조된 와인에 품질 인증을 부여하고, 품질 인증이 부여됨에 따라 발생된 수익 중 일부를 신용 공여 자산으로 활용하여 와인 농가가 금융기관으로부터 안정적인 자금을 확보(대출)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법은 대출 신청을 접수받는 단계(S110),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120), 대출 가액을 산출하는 단계(S130) 및 대출을 실행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농가 단말 및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는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농가 단말 및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금융기관 서버는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금융기관 서버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대출 신청을 접수받는 단계(S110)는 금융기관 서버의 심사 모듈이 농가 단말로부터 대출 신청이 접수받는다. 참고로, 대출 신청의 접수는 농가 단말을 통해 금융기관 서버에 접속하여 신청하거나 또는 농장주가 직접 금융사에 방문하여 접수할 수도 있다. 농장주가 금융사에 방문하여 대출을 접수하면 금융기관 직원에 의해 금융기관 서버에 업로드된다.
대출 신청을 접수받는 단계(S110) 이후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120)가 수행된다.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120)는 심사 모듈이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에 대출 신청 농가의 와인 재고량, 인증 등급, 와인 매출액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한다.
대출 가액을 산출하는 단계(S130)는 금융기관 서버의 실행 모듈이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대출 신청 농가의 와인 재고량, 인증 등급, 와인 매출액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대출 가액을 산출한다. 예컨대, 심사 모듈은 대출 신청 농가의 와인 재고량이 많을 수록, 인증 등급이 높을 수록,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의 매출액이 높을수록 대출 가액을 높게 산출한다.
심사 모듈은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농가의 재배 환경 인증 획득 정보 및 갱신 횟수, 와이너리 시설 인증 획득 및 갱신 횟수, 판매 플랫폼을 통해 발생한 와인 매출액, 인증기관이 인정한 교육 프로그램 이수 여부를 제공받고, 이를 더 고려하여 대출 신청 농가의 대출 가액을 산출한다.
대출을 실행하는 단계(S140)는 금융기관 서버의 실행 모듈이 대출 신청 농가에 대출을 실행하기 위한 담보를 설정한다. 실행 모듈은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에 대출 신청 농가에 대한 와이너리 크레딧을 요청한다. 실행 모듈은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대출 신청 농가의 와이너리 크레딧을 담보로 설정하여 심사 모듈에서 산출된 대출 가액을 미리 설정된 일자에 실행한다.
실행 모듈은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에서 보유중인 대출 신청 농가에 대한 와이너리 크레딧을 기초로 대출 신청 농가의 대출 금리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실행 모듈은 대출 신청 농가에 대한 와이너리 크레딧이 높을수록 대출 신청 농가의 미래 가치를 높게 평가하여 대출 금리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실행 모듈은 최초 대출 실행된 후 미리 설정된 기간 후에 대출 금리를 변동할 수 있다. 실행 모듈은 인증기관 플랫폼으로부터 대출 신청 농가의 와이너리 크레딧을 주기적으로 제공받고, 와이너리 크레딧의 변동률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간이 경과된 후 대출 금리를 변동할 수 있다, 만약, 와이너리 크레딧의 증가율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실행 모듈은 미리 설정된 기간이 경과된 후 대출 금리를 낮게 조정한다.
[제5 실시예]
제5 실시예는 대출이 실행된 농가의 상환 기한이 도과한 경우 미상환 금액을 상기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로부터 상환받고, 인증 기관은 농가의 와인 상품의 판매 결제액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추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대출 신청을 접수받는 단계(S210),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220), 대출 가액을 산출하는 단계(S230), 대출을 실행하는 단계(S240) 및 인증기관의 계좌로부터 상환 받는 단계(S250)를 포함한다. 제5 실시예의 대출 신청을 접수받는 단계(S210),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220), 대출 가액을 산출하는 단계(S230), 대출을 실행하는 단계(S240)는 제4 실시예의 대출 신청을 접수받는 단계(S110),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120), 대출 가액을 산출하는 단계(S130), 대출을 실행하는 단계(S140)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며, 인증기관의 계좌로부터 상환 받는 단계(S25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인증기관의 계좌로부터 상환 받는 단계(S250)는 상환 실행 모듈이 대출이 실행된 농가의 상환 기한이 도과한 경우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에 대출 농가의 상환 미실행을 통지한다.
상환 실행 모듈은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에 대출 농가의 상환 미실행을 통지한 후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대출 실행 농가로부터 상환되지 않으면 미상환 금액을 인증기관의 계좌로부터 상환받는다. 예컨대, 금융기관 서버는 대출 신청 농가에 대출을 실행하기 위한 담보를 설정할 때, 농가에서 미상환 시 지급받을 인증 기관의 계좌도 제공받는다.
한편,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는 판매 플랫폼 모듈을 통해 농가에서 제조된 와인을 온라인 오픈 마켓을 통해 판매할 수 있다. 판매 플랫폼 모듈에서 제공되는 온라인 오픈 마켓은 웹 상에서 구현되거나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판매 플랫폼 모듈은 회원제 및 비회원제로 운영되며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에게는 구매량에 따른 적립금을 지급하거나 할인 쿠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판매 플랫폼 모듈은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와인의 검색 화면을 제공한다. 예컨대, 판매 플랫폼 모듈에서 제공된 검색 화면을 통해 고객이 와인의 종류, 가격대, 연도별 제품 또는 테마(예를 들면, 치즈에 어울리는 와인)를 입력하면 판매 플랫폼 모듈은 조건에 맞는 제품을 웹 페이지에 출력한다.
판매 플랫폼 모듈은 판매하는 제품(즉, 와인)에 사용된 과실 정보, 품질 인증 정보 및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와인 상품 카탈로그를 온라인 상에 게재한다.
판매 플랫폼 모듈은 온라인 결제 시스템을 도입하여 고객의 주문에 따라 온라인 결제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판매 플랫폼 모듈은 구매의 간편화를 위해서 온라인 계좌 송금, 카드 결제, 간편 결제(신용카드나 계좌 정보를 스마트폰 앱 등에 미리 등록해 지문인식이나 비밀번호 입력만으로 돈을 지불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판매 플랫폼 모듈은 고객의 주문 및 결제가 완료되면 판매된 와인 상품의 농가에 대한 와인 재고량과 와인 매출액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한다. 판매 플랫폼 모듈은 플랫폼을 통해 판매된 수익 중 일부를 대출 원금으로 상환할 것을 농가 단말로 요청한다.
판매 플랫폼 모듈은 해당 플랫폼을 통해 실제 와인을 구매한 구매자로부터 와인의 품평(즉, 리뷰)을 입력받는다. 판매 플랫폼 모듈은 품평을 작성한 구매자에게 소정의 적립금을 제공할 수 있다.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의 추심 모듈은 금융기관 서버의 상환 실행 모듈에 의해 대환된 미상환 금액이 충당될 때까지 대출 농가의 와인 상품의 판매 결제액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인증기관 계좌로 수금한다. 참고로, 농가의 와인 상품의 판매 결제액은 판매 플랫폼 모듈에서 구축된 온라인 오픈 마켓을 통해 판매된 결제액을 의미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몇 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농가 단말
200: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
210: 재고 현황 DB
220: 인증 모듈
230: 판매 현황 DB
300: 금융기관 서버
310: 심사 모듈
320: 실행 모듈

Claims (12)

  1. 재배하는 과실의 품종, 수확량 및 수확 연도를 포함하는 과실 정보와, 상기 과실로 제조된 와인의 생산량 및 재고량을 포함하는 와인 정보를 입력 받는 복수의 농가 단말(farmer terminals);
    상기 농가 단말들이 전송한 과실 정보 및 와인 정보를 저장하는 재고 현황 DB와, 상기 농가의 와인에 품질 인증을 부여하는 인증 모듈(certifying module)과, 인증된 와인의 수출 또는 내수 판매로 인한 매출액을 저장하는 판매 현황 DB를 포함하는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cosher platform server); 및
    상기 농가 단말의 대출 신청이 접수되면 상기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에 요청하여 제공받은 상기 농가의 와인 재고량, 인증 등급, 와인 매출액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대출 신청 농가의 대출 가액을 산출하는 심사 모듈(appraisal module)과, 상기 와인 매출액에 기초한 인증기관의 와이너리 크레딧을 담보로 상기 대출 신청 농가에 상기 대출 가액의 대출을 실행하는 실행 모듈(executing module)을 포함하는 금융기관 서버(financial server)
    를 포함하는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 재고량은 와인이 채워진 오크통의 개수를 입력 단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는,
    상기 과실 정보, 와인 정보, 품질 인증 정보 및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와인 상품 카탈로그를 온라인 상에 게재하고, 고객의 주문에 따라 온라인 결제를 수행하며, 결제가 완료된 와인 상품의 농가에 대한 와인 재고량과 와인 매출액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판매 플랫폼 모듈(sales platform module)을 더 포함하는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는,
    과실의 품종 및 수확 연도, 상기 과실로 제조된 와인의 재고량, 품질 인증 등급, 수출 및 내수 판매량, 고객의 품평 및 수상 이력을 기초로 와인 상품의 가격을 주기적으로 산정하는 평가 모듈(evaluating module)을 더 포함하는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기관 서버의 심사 모듈은,
    대출을 신청한 농가의 재배 환경 인증 획득 및 갱신 횟수, 와이너리 시설 인증 획득 및 갱신 횟수, 상기 판매 플랫폼 모듈을 통해 발생한 와인 매출액, 인증기관이 인정한 교육 프로그램 이수 여부를 더 고려하여 상기 대출 신청 농가의 대출 가액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기관 서버의 실행 모듈은,
    상기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의 와이너리 크레딧을 기초로 상기 대출 신청 농가의 대출 금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기관 서버는,
    대출이 실행된 농가의 상환 기한이 도과한 경우, 상기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에 대출 농가의 상환 미실행을 통지하고, 미상환 금액을 상기 인증기관의 계좌로부터 상환 받는 상환 실행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는,
    상기 상환 실행 모듈에 의해 대환된 미상환 금액이 충당될 때까지 상기 대출 농가의 와인 상품의 판매 결제액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인증기관 계좌로 수금하는 추심 모듈을 더 포함하는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시스템.
  8. 금융기관 서버의 심사 모듈(appraisal module)이 농가 단말로부터 대출 신청을 접수받는 단계;
    상기 심사 모듈이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에 대출 신청한 농가의 와인 재고량, 인증 등급, 와인 매출액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심사 모듈이 상기 농가의 와인 재고량, 인증 등급, 와인 매출액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대출 신청 농가의 대출 가액을 산출하는 단계; 및
    금융기관 서버의 실행 모듈(executing module)이 상기 와인 매출액에 기초한 인증기관의 와이너리 크레딧을 담보로 상기 대출 신청 농가에 상기 대출 가액의 대출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 재고량은 와인이 채워진 오크통의 개수를 단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는,
    상기 과실 정보, 와인 정보, 품질 인증 정보 및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와인 상품 카탈로그를 온라인 상에 게재하고, 고객의 주문에 따라 온라인 결제를 수행하며, 결제가 완료된 와인 상품의 농가에 대한 와인 재고량과 와인 매출액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심사 모듈은,
    대출을 신청한 농가의 재배 환경 인증 획득 및 갱신 횟수, 와이너리 시설 인증 획득 및 갱신 횟수, 상기 판매 플랫폼 모듈을 통해 발생한 와인 매출액, 인증기관이 인정한 교육 프로그램 이수 여부를 더 고려하여 상기 신청 농가의 대출 가액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모듈은,
    상기 인증기관의 와이너리 크레딧을 기초로 상기 신청 농가의 대출 금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환 실행 모듈이 대출이 실행된 농가의 상환 기한이 도과한 경우, 상기 인증기관 플랫폼 서버에 대출 농가의 상환 미실행을 통지하고, 미상환 금액을 상기 인증기관의 계좌로부터 상환 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방법.
KR1020210166755A 2021-11-29 2021-11-29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65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755A KR102565394B1 (ko) 2021-11-29 2021-11-29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755A KR102565394B1 (ko) 2021-11-29 2021-11-29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705A true KR20230079705A (ko) 2023-06-07
KR102565394B1 KR102565394B1 (ko) 2023-08-08

Family

ID=86761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755A KR102565394B1 (ko) 2021-11-29 2021-11-29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3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2884A (ja) * 2007-11-14 2009-06-04 Dainippon Printing Co Ltd 動産担保融資支援システム、サーバ、プログラム
JP2018185789A (ja) * 2017-04-27 2018-11-22 株式会社ブロードエッジ・リキュエール ワインを顧客に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そのシステムにおいて用いられる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37397B1 (ko) * 2017-09-29 2019-01-11 주식회사 그린랩스 농축산업금융제공장치
KR20190043108A (ko) 2018-11-19 2019-04-25 카르마네트웍스 주식회사 와인 온라인거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2884A (ja) * 2007-11-14 2009-06-04 Dainippon Printing Co Ltd 動産担保融資支援システム、サーバ、プログラム
JP2018185789A (ja) * 2017-04-27 2018-11-22 株式会社ブロードエッジ・リキュエール ワインを顧客に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そのシステムにおいて用いられる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37397B1 (ko) * 2017-09-29 2019-01-11 주식회사 그린랩스 농축산업금융제공장치
KR20190043108A (ko) 2018-11-19 2019-04-25 카르마네트웍스 주식회사 와인 온라인거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394B1 (ko) 202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hmad et al. Are GDP and productivity measures up to the challenges of the digital economy?
Crinò et al. Financial imperfections, product quality, and international trade
López Do firms increase productivity in order to become exporters?
US20110022485A1 (en) Tax transaction system
Zhao et al. Bank deregulation and performance in Nigeria
Simon‐Elorz et al. Economic performance and the crisis: strategies adopted by the wineries of Castilla‐La Mancha (Spain)
Chowdhury et al. How does CEO age affect firm risk?
US10102582B2 (en) Streamlining application using a social network platform
CN107180301A (zh) 商品及消费信息处理方法及系统
Wang Retail return policy, endowment effect, and consumption propensity: an experimental study
Gashaw et al. The role of Ethiopian commodity exchange (ECX) in crop value chain development in Ethiopia
Petrick Credit rationing of Polish farm household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Muthitachareon et al. The role of uncertainty stemming from product monetary value in online auctions: The case of search goods
KR102565394B1 (ko) 와이너리 크레딧을 이용한 유동성 제공 시스템 및 방법
Gündüz et al. CDS and Credit: The Effect of the Bangs on Credit Insurance, Lending and Hedging
Blouin et al. Tropical lending: international prices, strategic default and credit constraints among coffee washing stations
CN110992145B (zh) 农产品远期交易方法
Schwartz et al. Factors influencing housing equity withdrawal: Evidence from a microeconomic survey
US20140180964A1 (en) Method for displaying current disparate ratio for enterprise value using difference between market value for enterprise and basic analysis
Holzmann Budgetary subsidies in centrally planned economies in transition
Judijanto et al. Analysis Of Fixed Financing, Profit Sharing Financing And Non Performing Financing On Profit Gain Of Banking Industries In Indonesia
Andriansyah et 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CRYPTOCURRENCY RETUR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o et al. SUB: SUBMISSION OF ANNUAL REPORT OF FINANCIAL YEAR 2022-23.
Jensen Bones of Contention-What drives mergers and acquisitions in emerging markets?
US20160267596A1 (en) Streamlining application for customer money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