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9674A - Traffic Light Mounted Non-contact Switch System - Google Patents

Traffic Light Mounted Non-contact Switch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9674A
KR20230079674A KR1020210166693A KR20210166693A KR20230079674A KR 20230079674 A KR20230079674 A KR 20230079674A KR 1020210166693 A KR1020210166693 A KR 1020210166693A KR 20210166693 A KR20210166693 A KR 20210166693A KR 20230079674 A KR20230079674 A KR 20230079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dule
display module
switc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6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영근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리에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리에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리에소프트
Priority to KR1020210166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9674A/en
Publication of KR20230079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967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Abstract

본 발명은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접촉하는 보행자용 신호등 스위치를 접근을 감지하는 비접촉식으로 구성하여 위생적이고 안전한 운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출되도록 하여 시인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킨 신호등 설치형 비접촉식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a traffic light switch for pedestrians contacted by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in a non-contact type that detects approach, so that sanitary and safe operation is performed, but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operation is visually expressed to improve visibility and convenience. Traffic light installation type It relates to a contactless switch system.

Description

신호등 설치형 비접촉식 스위치 시스템 {Traffic Light Mounted Non-contact Switch System}Traffic Light Mounted Non-contact Switch System}

본 발명은 신호등 설치형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접촉하는 보행자용 신호등 스위치를 접근을 감지하는 비접촉식으로 구성하여 위생적이고 안전한 운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출되도록 하여 시인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킨 신호등 설치형 비접촉식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ffic light installation type switch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configures a pedestrian traffic light switch that is contacted by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in a non-contact type that detects approach so that hygienic and safe operation is performed, but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is visually expressed. It relates to a traffic light installation type non-contact switch system with improved visibility and convenience.

보행자 통행이 적은 일부 도로의 보행자용 신호등에 대하여 보행자의 편의를 위해서 신호변경을 지시하는 버튼이 설치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외에도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 스위치나, 각종 범죄 발생시 긴급 신고를 위한 스위치 등 보행자의 편의와 안전을 위한 다양한 스위치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다.For pedestrian traffic lights on some roads with little pedestrian traffic, a button instructing the signal to change may be installed for the convenience of pedestrians. Various switch systems are in operation for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users.

이러한 스위치는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신호등이나 가로등의 기둥이나 교차로 근처의 전신주 등 적당한 지지체에 고정되고, 야간 식별을 용이하게 하면서 눌림으로 인한 활성화나 평상시 비활성화 상태를 설정된 색상으로 출력하는 기능 등이 부여된다.These switches are fixed to a suitable support such as a traffic light or a pole of a street lamp or a telephone pole near an intersection that users can easily recognize, and have functions such as outputting the activation due to pressing or the normally inactive state in a set color while facilitating identification at night. is granted

이러한 스위치는 기본적으로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가 쉽게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병원균이나 바이러스의 다양한 전염병의 감염매개가 될 수 있으며, 관리 인력이 상주하는 건물 내 구조체와는 달리 외부에 설치되는 스위치의 소독을 위한 방안이 실질적으로 없는 상황이다.As these switches are basically configured so that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users can easily contact them, they can become infection mediators of various infectious diseases such as pathogens or viruses. Unlike structures inside buildings where management personnel reside, disinfection of switches installed outside There is practically no plan for this.

이에 필름 등 항균특성의 소재를 활용한 방안도 검토되었으나 외기 중 이물질로 인한 오염이나 우천시 빗물에 접촉될 뿐 아니라 다수의 사용자의 접촉으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항균기능이 빠르게 저하되어 실질적인 효과를 볼 수 없었다.Therefore, a plan using materials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such as films was also reviewed, but contamination due to foreign substances in the outdoor air or contact with rainwater in case of rain, as well as contact with many users, rapidly degraded the antibacterial function over time, and practical effects could not be seen. There was no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8-0013973호 (2018.02.07)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8-0013973 (2018.02.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직접 접촉하지 않고 접근을 인식하는 것을 통해 활성화되는 스위치를 통해 각종 감염성 질병에 대해 안전한 운용이 가능하고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출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신호등 설치형 비접촉식 스위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safe operation against various infectious diseases through a switch activated by recognizing an approach without direct contact and to provide operation-related information. It is to provide a traffic light installation type non-contact switch system that visually expresses and improves visibility.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기둥구조체에 설치되며 전면에 투명커버가 형성된 방수구조의 몸체를 구비하는 스위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투명커버 내측에 설치되며 전면을 향해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상기 몸체의 전면 테두리에 설치되며 손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모듈; 상기 몸체의 한쪽에 설치되며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모듈; 동작과 관련된 영상신호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감지모듈의 감지결과를 분석하여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판단부와, 인접한 교통신호체계와 연계하여 신호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교통신호체계에 인가하는 연동부와, 상기 동작신호 및 신호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로 출력하는 영상제어부를 구비하는 제어모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r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witch system installed on a pillar structure and having a waterproof structure body with a transparent cover formed on the front surface, comprising: a display module installed inside the transparent cover and outputting an image signal toward the front surface; A sensing module installed on the front edge of the body and detecting the approach of a hand; a sound output modul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outputting a sound signal; A storage unit for storing motion-related video signals, a determination unit for generating motion signals by analyzing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detection module, and collecting signal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adjacent traffic signal systems and requesting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motion signals. a control module including an interlocking unit for generating and applying to the traffic signal system and an image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n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ignal and signal information to the display module;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이때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신호는 활성화 및 비활성화 상태에 따른 영상신호를 구분하여 저장하되, 상기 영상제어부는 타이머 및 상기 신호정보와 연계하여 신호대기 시간의 변화을 시각화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video signal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re stor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activation and inactivation states, and the video control un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visualize and output a change in signal waiting time in association with a timer and the signal information.

또한, 상기 영상제어부(164)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이 현재시간, 관련 지자체 심볼, 스위치표시를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전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mage control unit 164 is preferably configured so that the display module converts and outputs the current time, related local government symbol, and switch display according to a set time in an inactive state.

또한,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주변의 밝기를 측정하는 조도센서;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설정된 시간 및 측정된 주변밝기를 반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밝기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 illuminance sensor installed on the body to measure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s; Further, the control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that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module by reflecting the set time and the measured ambient brightness.

또한, 상기 몸체 전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설정된 시간 압력감지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및 음향출력모듈을 통해 경고신호를 표시하고 이후 설정된 시간 압력지속시 설정된 대응 기관으로 신고정보를 전송하는 비상연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front of the body; Further comprising, but the control module, when the set time pressure is sens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 displays a warning signal through the display module and the sound output module, and then transmits emergency report information to a set response agency when the set time pressure continues. A contact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을 통해 스위치를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접근을 인식하는 것을 통해 활성화됨에 따라 위생적이면서도 각종 감염성 질병에 대해 안전한 운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sanitary and safe operation against various infectious diseases can be achieved as the switch is activated through recognizing the approach without directly contacting the switch.

또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인성을 대폭 향상시키면서 동작상태 및 신호대기 시간 등 각종 동작과 관련된 사항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다양한 주변 시설 및 기관과 연계한 정보를 출력하며 시민 편의를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greatly improving visibility through the display,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check various operation-related matters such as operation status and signal waiting time, and to support citizen convenience by outputting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various nearby facilities and institu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설치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 출력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영상신호 출력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connec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video signal output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image signal outp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신호등 설치형 비접촉식 스위치 시스템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traffic light installation type non-contact switc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설치모습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도로상에 설치된 다양한 기둥구조체(P)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그 중 보편적인 적용 대상으로 보행자 신호 전환용 스위치를 실시예로 함께 따라 첨부된 도 1에서는 신호등의 기둥구조체(P)에 본 발명의 몸체(100)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various pillar structures P installed on a road and is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a pedestrian, and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Figure 1 attached along with a pedestrian signal conversion switch as an embodiment as a universal application target, the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column structure P of the traffic light.

상기 몸체(100)는 후술되는 스위치 시스템 구성을 내장하는 케이스로서 외기에 노출됨에 따라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여 전자적인 구성이 손상되지 않도록 전면에 투명커버(101)가 형성된 방수구조로 이루어지게 되며, 다양한 방식으로 기둥구조체(P)에 설치될 수 있으나 종래 보행자 신호용 스위치를 위해 철제 밴드 등을 통해 튼튼하면서도 쉽게 설치할 수 있다.The body 100 is a case containing a switch system configuration described later, and is made of a waterproof structure with a transparent cover 101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as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air and damaging the electronic configuration, It can be installed on the pillar structure P in various ways, but it can be installed easily and firmly through a steel band for a conventional pedestrian signal switch.

이러한 보행자 신호용 스위치는 신호등을 제어하는 교통신호체계(S)와 연동하여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기 전 눌러 차량 정지신호 및 보행자 횡단신호로의 바꿔주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These pedestrian signal switches are used in conjunction with a traffic signal system (S) that controls traffic lights to change the vehicle stop signal and pedestrian crossing signal by pressing the pedestrian before crossing the crosswalk.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은 상기 몸체(100)에 내장되는 주요 구성으로 디스플레이모듈(110)과, 감지모듈(120)과, 음향출력모듈(130)과, 제어모듈(160) 및 전원부(170)를 비롯하여 운용효율 및 편의를 위해 조도센서(140) 및 압력센서(150)를 구비하게 된다.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figuration and connec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y module 110, a sensing module 120, a sound output module 130, a control module 160 and a power supply unit as main components embedded in the body 100 ( 170), an illuminance sensor 140 and a pressure sensor 150 are provided for operational efficiency and convenience.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상기 투명커버(101) 내측에 설치되며 전면을 향해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소형의 LED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어떤 영상정보를 전달하기보다는 동작상태를 비롯하여 스위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용도이므로 비교적 소형의 낮은 해상도의 패널을 적용할 수 있으며 설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경우 그 크기 및 해상도를 크게 하여 다양한 영상정보의 전달도 가능하다.The display module 110 is installed inside the transparent cover 101 and outputs an image signal toward the front, and may be composed of a small LED panel. Since this i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the switch including operation status rather than transmitting any image information, a relatively small and low resolution panel can be applied, and if a sufficient installation space is secured, the size and resolution can be increased to provide a variety of image information. delivery is also possible.

또한, 비접촉식 스위치라는 본 발명의 취지에 따라 터치 기능이 없는 스크린으로 구성되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투명커버(101)로 덮여 방수성능을 확보하면서 이물질로 인한 오염 및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it is composed of a screen without a touch func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called a non-contact switch, and as mentioned above, it is covered with a transparent cover 101 to prevent contamination and damage due to foreign substances while securing waterproof performance.

상기 감지모듈(120)은 상기 몸체의 전면 테두리에 설치되며 손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비접촉 동작을 기본으로 함에 따라 5㎝ 이내로 접근하는 보행자의 손을 감지하기 위한 근접 레이더 센서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즉 전파를 송신하는 발신부(121) 및 보행자의 손으로부터 반사되는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부(122)를 구비하되 송신된 전파의 반사시간을 통해 손의 형태 및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몸체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스위치 동작의 활성화가 이뤄지도록 한다.The detection module 120 is installed on the front rim of the body and is configured to detect the approach of a hand. As mentioned above, based on non-contact operation, proximity for detecting a pedestrian's hand approaching within 5 cm It can be configured through a radar sensor. That is, a transmitter 121 for transmitting radio waves and a receiver 122 for receiving radio waves reflected from the pedestrian's hand are configured to measure the shape and distance of the hand through the reflection time of the transmitted radio waves. The activation of the switch operation is made even in the non-contact state.

상기 음향출력모듈(130)은 스피커로서 상기 몸체의 한쪽에 설치되며 음향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몸체(100)에 내장되어 보호되되 몸체의 외부로 관통되는 관통공을 통해 음향신호가 외측으로 원활히 출력될 수 있도록 하며, 우천시 상기 관통공을 통해 우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 하측으로 관통공을 형성하되 음향신호는 통과하며 수분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박막이나 유입차단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und output module 13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as a speaker and outputs a sound signal. That is, it is built into and protected in the body 100 so that the sound signal can be smoothly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that passes through the outside of the body, and the through hole is provid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so that rainwater does not flow through the through hole in case of rain. However, it is preferable to have a thin film or an inflow blocking structure capable of passing through the acoustic signal and preventing the inflow of moisture.

상기 제어모듈(160)은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과 감지모듈(120) 및 음향출력모듈(130)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주요 세부구성으로 저장부(161)와, 판단부(162)와, 연동부(163)와, 영상제어부(164)를 구비한다.The control module 160 is a component for receiving power and controlling the display module 110, the detection module 120, and the sound output module 130, and the main detailed components include a storage unit 161 and a determination unit. 162, an interlocking unit 163, and an image control unit 164.

상기 저장부(161)는 메모리로서 동작과 관련된 영상신호가 저장된다. 기본적으로 스위치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이미지를 비롯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활성상태와 비활성상태를 구분할 수 있는 이미지와, 필요에 따라서는 간단한 홍보용 로고 등이 저장되어 활용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취지를 반영하여 비접촉, 언택트와 같은 문구 및 관련 이미지를 출력하여 보행자가 비접촉 방식으로 동작하는 스위치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 구체적인 이미지의 예시는 후술한다.The storage unit 161 is a memory and stores video signals related to operations. Basically, an image that can intuitively know that it is a switch, an image that can distinguish an active state from an inactive state as described later, and a simple logo for promotion can be stored and used if necessary. At this time, reflect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output phrases such as non-contact and untact and related images so that pedestrians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switch operates in a non-contact manner, and examples of other specific images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판단부(162)는 상기 감지모듈의 감지결과를 분석하여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즉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비활성화 상태에서 보행자의 손이 몸체 중앙을 향해 5㎝ 이내로 접근시 스위치를 누르려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나 의도와는 다른 보행자나 다른 사물의 접근으로 스위치가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판단부(162)는 접근상태를 설정된 시간 이를테면 1 ~ 2초가량 유지되는 것을 통해 스위치를 동작시킬 의도를 파악하거나 상기 감지모듈(120)의 종류에 따라서는 스위치를 누르고자 하는 사용자의 손 모양을 감지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감지결과 분석 후 스위치를 누르고자 하는 의도로 판단시 활성화를 위한 동작신호를 생성하고, 그 외는 잘못된 동작으로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동작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162 is a component that generates an operation signal by analyz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module. In other words, as mentioned above, when the pedestrian's hand approaches the center of the body within 5 cm in the disabled state, it is recognized as trying to press the switch. There is a need. To this end, the determination unit 162 determines the intention to operate the switch through maintaining the proximity state for a set time, for example, 1 to 2 seconds, or the user's hand who wants to press the switch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detection module 120. After analyzing the detection result by using the method of detecting the shape, an operation signal for activation can be generated when the intention to press the switch is determined, and an operation signal for maintaining the inactive state due to an incorrect operation can be generated at other times.

이외 필요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스위치를 보행자 신호제어용이 아닌 방범용 비상신고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비상사용 상황을 고려하여 접근이 아닌 정면 디스플레이모듈(110)을 덮어 누르는 등 스위치를 누르려는 동작과 차별화된 설정된 동작을 인식하여 대응하여 동작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the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emergency reporting means for crime prevention rather than for pedestrian signal control. An oper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in response to recognizing a set operation differentiated from the above.

상기 연동부(163)는 인접한 교통신호체계(S)와 연계하여 신호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교통신호체계에 인가하게 된다. 즉 활성화를 위한 동작신호에 따라 수집된 신호정보를 반영하여 보행자 신호등은 적색에서 녹색으로, 이에 대응하는 차량통행 신호는 녹색에서 황색을 거쳐 적색으로 바뀌도록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교통신호체계에 인가하게 된다.The interlocking unit 163 collects signal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an adjacent traffic signal system (S), generates a reques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ignal, and applies it to the traffic signal system. That is, by reflecting the signal information collec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for activation, a request signal is generated and applied to the traffic signal system so that the pedestrian traffic light changes from red to green, and the corresponding vehicle traffic signal changes from green to yellow to red. will do

이때 상기 교통신호체계(S)는 기본적으로 설정된 시간 및 이전 보행자 신호변경 이후 경과 시간 등을 감안하여 설정된 시간 후 신호를 변경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traffic signal system (S) changes the signal after a set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basically set time and the elapsed time after the previous pedestrian signal change.

상기 영상제어부(164)는 상기 동작신호 및 신호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로 출력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비활성화 상태의 이미지에서 활성화를 나타내는 이미지로 변경하여 보행자가 정상적으로 동작의 활성화가 이루어진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image controller 164 outputs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ignal and signal information to the display module 110 . Basically, the image in the inactive state is changed to the image indicative of activation so that the pedestrian can easily check whether or not the motion is normally activated.

이를 위해 상기 저장부(161)에 저장된 영상신호는 활성화 및 비활성화 상태에 따른 영상신호를 구분하여 저장하되, 상기 영상제어부(164)는 타이머 및 상기 신호정보와 연계하여 신호대기 시간의 변화를 시각화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video signal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1 are stor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activation and inactivation states, and the video control unit 164 visualizes the change in signal waiting time in conjunction with the timer and the signal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output.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 출력모습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도 5(a)는 보행자가 스위치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으며, 평상시 스위치의 비활성화 상태에서는 전원이 꺼진 상태를 의미하는 적색을 유지하고 활성화가 이루어진 경우 이를 의미하는 청색으로 변경되는 방식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 상태에 따른 영상신호를 구분할 수 있다.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utput of a video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 shows an image intuitively showing that a pedestrian is a switch, and in a normally inactive state of the switch, the power is turned off.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video signals according to activation and inactivation states in such a way that the red color is maintained and the color is changed to blue when activation is performed.

또한, 종래 보행자 신호용 스위치의 경우 단순 푸쉬버튼 형태로 구성되어 보행자가 누르더라도 즉각적으로 신호가 바뀌는 것이 아닌 설정된 시간 후 신호가 바뀜에 따라 정상적으로 버튼이 눌려 신호변환 기능이 활성화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이에 확인차 여러번 스위치를 누르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pedestrian signal switch, i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imple push button, so even if a pedestrian presses it, the signal does not change immediately, but as the signal changes after a set time, it was not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signal conversion function was activated by pressing the button normally, As a result, there was a problem such as pressing the switch several times for confirmation.

이에 대해 첨부된 도 2에서는 앞서 언급한 신호변경까지의 대기 시간을 반영하여 남은 시간을 보행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타이머와 연계한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통해 보행자에게 신호변경 준비에 따른 심리적 안정과 여유를 줄 수 있다.In response to this, attached FIG. 2 shows an image associated with a timer so that pedestrians can easily know the remaining time by reflecting the waiting time until the aforementioned signal change, which gives pedestrians psychological stability and relaxation according to preparation for signal change. can

첨부된 도 5(b)는 현재 관할 지자체의 심볼이 출력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비활성화 상태에서 출력할 수 있는 이미지로 간단한 광고 등을 출력할 수도 있으나 교통신호체계는 해당 지자체 관할이 됨에 따라 지자체 이미지 홍보용으로 활용될 수 있는 이미지를 예시하였으며, 도 5(c)는 시계로서 비활성화 상태에서 현재시간을 출력함으로 보행자의 편의를 도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Attached Figure 5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symbol of the current competent local government is output. Simple advertisements can be output as images that can be output in a deactivated state, but as the traffic signal system becomes the jurisdiction of the local government, an image that can be used for publicizing the image of the local government is exemplified, and FIG. It can be configured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pedestrians by outputting the current time in .

이처럼 상기 영상제어부(164)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이 현재시간, 관련 지자체 심볼, 스위치표시를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전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uch, the image control unit 164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display module converts and outputs the current time, a related local government symbol, and a switch display according to a set time in an inactive state.

상기 전원부(170)는 앞서 언급한 일련의 구성들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 등을 통해 구성될 수도 있으나 기본적으로 교통신호체계와 연계동작이 이뤄짐에 따라 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교통신호체계의 경우 실질적으로 비상상황이 아닌 이상 상시 전원이 공급될 뿐 아니라 만약 교통신호체계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배터리를 통해 본 발명의 제어모듈에 전원이 공급되더라도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The power supply unit 170 is a component for supplying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series of components mentioned above, and may be configured through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but is basically linked to the traffic signal system. It is desirable to have it supplied with power. That is, in the case of the traffic signal system, not only is power supplied at all times except in an emergency situation, but if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traffic signal system, even if power is supplied to the control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battery, the func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because there is no

또한, 주간과 야간을 비롯하여 기상상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의 시인성이 달라질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몸체에 주변의 밝기를 측정하는 조도센서(140)를 설치사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모듈은 설정된 시간 및 측정된 주변밝기를 반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밝기를 조절하는 조절부(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visibility of the display module 110 may vary depending on weather conditions including daytime and nighttime, the control module is installed in response to an accident in which the illuminance sensor 140 for measuring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s is installed on the body.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165 that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module by reflecting the time and the measured ambient brightness.

즉 주간과 같이 주변이 밝은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모듈(110)의 밝기도 밝게 해야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반대로 야간과 같이 주변이 어두운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디스플레이모듈(110)의 밝기를 어둡게 하여도 시인성이 유지됨에 따라 불필요하게 밝기를 높이지 않고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므로 상기 조절부(165)는 조도센서(140)를 통해 측정된 주변밝기를 반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의 밝기를 조절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surroundings are bright, such as during the day,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module 110 must also be bright to ensure visibility. Therefore, the control unit 165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module 110 by reflecting the ambient brightness measured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140, since it is possible to operate efficiently without increasing the brightness unnecessarily.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영상신호 출력모습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행자 신호변경 용도 외에 방범용 비상신고용도로 활용하여 각종 범죄 예방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손을 접근시키기보다는 비상상황에서 급하게 스위치를 누르게 될 가능성이 크므로, 상기 몸체(100) 내부에는 전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50)가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압력센서(150)를 통해 설정된 시간 압력감지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 및 음향출력모듈(130)을 통해 경고신호를 표시하고 이후 설정된 시간 압력지속시 설정된 대응 기관으로 신고정보를 전송하는 비상연락부(166)를 더 포함하게 된다.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image signal outp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mentioned above, it can be used for crime prevention and emergency reporting purposes in addition to pedestrian signal change purposes to have various crime prevention effects. In this case, sinc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pressing the switch in an emergency rather than approaching the hand, a pressure sensor 150 is installed inside the body 100 to detect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front, and in response to this, the control module When the set time pressure is sens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 150, a warning signal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odule 110 and the sound output module 130, and then, when the set time pressure continues, an emergency that transmits report information to a set corresponding institution. A contact unit 166 is further included.

이는 사고접수와 출동이 이루어지기 전 사전 범죄의지를 꺾어 범죄진행을 중단시키고, 오동작에 따른 잘못된 신고를 막기 위한 용도로 1차 설정된 시간 압력감지시 상기 비상연락부(166)는 신고 전 단계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을 통해 도 6과 같은 시각적 경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방범용 사이렌이나 신고 및 출동이 이루어짐을 알리는 경보음을 상기 음향출력모듈(130)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이는 범죄의지를 크게 저하시킬 뿐 아니라 만약 의도치 않은 조작에 따른 동작일 경우 신고전 압력을 해제하도록 유도하게 된다.This is to stop the criminal progress by breaking the criminal will before the accident reception and dispatch, and to prevent false reports due to malfunctions. A visual alarm signal as shown in FIG. 6 is output through the display module 110, and at the same time, an alarm sound indicating that a crime prevention siren or a report and dispatch is made is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module 130. This not only significantly lowers the criminal will, but also induces the release of the neoclassical pressure if the action is due to unintentional manipulation.

이후 2차로 설정된 시간 압력지속시 상기 비상연락부(166)는 설정된 대응 기관으로, 경찰서, 지구대, 방범초소 등으로 해당 위치를 포함하는 신고정보를 상용 이동통신망의 긴급신고 기능을 활용하여 전송하여 신고접수 및 대응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Afterwards, when the second set time pressure continues, the emergency contact unit 166 transmits and reports report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to the set response agency, police station, police station, crime prevention post, etc. using the emergency report function of the commercial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Receipts and countermeasures are made.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by what is described in the claim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rights described in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100: 몸체 101: 투명커버
110: 디스플레이모듈 120: 감지모듈
121: 발신부 122: 수신부
130: 음향출력모듈 140: 조도센서
150: 압력센서 160: 제어모듈
161: 저장부 162: 판단부
163: 연동부 164: 영상제어부
165: 조절부 166: 비상연락부
170: 전원부 P: 기둥구조체
S: 교통신호체계
100: body 101: transparent cover
110: display module 120: detection module
121: transmitter 122: receiver
130: sound output module 140: illuminance sensor
150: pressure sensor 160: control module
161: storage unit 162: determination unit
163: interlocking unit 164: video control unit
165: control unit 166: emergency contact unit
170: power supply P: columnar structure
S: traffic signal system

Claims (5)

기둥구조체(P)에 설치되며 전면에 투명커버(101)가 형성된 방수구조의 몸체(100)를 구비하는 스위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투명커버(101) 내측에 설치되며 전면을 향해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110);
상기 몸체(100)의 전면 테두리에 설치되며 손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모듈(120);
상기 몸체(100)의 한쪽에 설치되며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모듈(130);
동작과 관련된 영상신호가 저장되는 저장부(161)와, 상기 감지모듈(120)의 감지결과를 분석하여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판단부(162)와, 인접한 교통신호체계(S)와 연계하여 신호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교통신호체계에 인가하는 연동부(163)와, 상기 동작신호 및 신호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로 출력하는 영상제어부(164)를 구비하는 제어모듈(160);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설치형 비접촉식 스위치 시스템.
In the switch system installed on the pillar structure (P) and having a body 100 of a waterproof structure formed with a transparent cover 101 on the front side,
a display module 110 installed inside the transparent cover 101 and outputting an image signal toward the front;
A sensing module 120 installed on the front edge of the body 100 and detecting the approach of a hand;
a sound output module 13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100 and outputting a sound signal;
A storage unit 161 for storing motion-related video signals, a determination unit 162 for analyz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module 120 and generating a motion signal, and a signal in conjunction with an adjacent traffic signal system (S). An interlocking unit 163 that collects information, generates a reques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ignal, and applies it to the traffic signal system, and outputs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ignal and signal information to the display module 110 A control module 160 having an image control unit 164; Traffic light installation type non-contact switch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161)에 저장된 영상신호는 활성화 및 비활성화 상태에 따른 영상신호를 구분하여 저장하되,
상기 영상제어부(164)는 타이머 및 상기 신호정보와 연계하여 신호대기 시간의 변화를 시각화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설치형 비접촉식 스위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video signal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1 are separately stored according to activation and inactivation states,
The video control unit 164 is configured to visualize and output a change in waiting time for a signal in association with a timer and the signal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어부(164)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이 현재시간, 관련 지자체 심볼, 스위치표시를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전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설치형 비접촉식 스위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image control unit 164,
In the inactive state, the display module 110 is configured to switch and output the current time, related local government symbols, and switch indications according to the set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에 설치되어 주변의 밝기를 측정하는 조도센서(14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160)은, 설정된 시간 및 측정된 주변밝기를 반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밝기를 조절하는 조절부(16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설치형 비접촉식 스위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n illuminance sensor 140 installed on the body 100 to measure ambient brightness; Including more,
The control module 160 further comprises an adjusting unit 165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module by reflecting the set time and the measured ambient brightn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 전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5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160)은, 상기 압력센서(150)를 통해 설정된 시간 압력감지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 및 음향출력모듈(130)을 통해 경고신호를 표시하고 이후 설정된 시간 압력지속시 설정된 대응 기관으로 신고정보를 전송하는 비상연락부(16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설치형 비접촉식 스위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pressure sensor 150 for sensing pressure applied from the front of the body 100; Including more,
The control module 160 displays a warning signal through the display module 110 and the sound output module 130 when the pressure for the set time is detect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 150, and then, when the set time pressure continues, the set corresponding institution Traffic light installation type non-contact switch system further comprising an emergency contact unit 166 for transmitting report information to.
KR1020210166693A 2021-11-29 2021-11-29 Traffic Light Mounted Non-contact Switch System KR2023007967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693A KR20230079674A (en) 2021-11-29 2021-11-29 Traffic Light Mounted Non-contact Switch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693A KR20230079674A (en) 2021-11-29 2021-11-29 Traffic Light Mounted Non-contact Switch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674A true KR20230079674A (en) 2023-06-07

Family

ID=86761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693A KR20230079674A (en) 2021-11-29 2021-11-29 Traffic Light Mounted Non-contact Switch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967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973A (en) 2015-05-29 2018-02-07 코이토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sh button box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973A (en) 2015-05-29 2018-02-07 코이토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sh button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3644B1 (en) Traffic monitoring device attached to a traffic sign
KR101383563B1 (en) Traffic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bollard
CN107316476B (en) Intelligent warn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traffic road
KR20090054360A (en) Apparatus for notifying accident and method of notifying accident
KR20170095496A (en) Multi-function type streetlamp
KR101565003B1 (en) Safety fence for crosswalk
JP2013164695A (en) Evacuation guidance system
KR20110012017A (en) Street light
JP2016057719A (en) Sign for road surface
JP5363272B2 (en) Regional security system
KR20110011893A (en) Parking management and moving guide system for specified parking space
US20110227728A1 (en) Deterrent Alarm System
CN113380002A (en) High-altitude parabolic intelligent early warning device and method
WO2010105825A1 (en) Escape guidance apparatus
KR20230079674A (en) Traffic Light Mounted Non-contact Switch System
KR101819420B1 (en) Highway Shelter Entry and Exit Notification System
KR102033922B1 (en) Safety alarm system for pedestrians and vehicle drivers
EP3100650A1 (en) Smart mailbox
KR20180013076A (en)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Obstacle
KR20210012282A (en) Multifunctional street light apparatus and its operation method
KR20190127205A (en) system for warning a driver of a parking violation
KR200336511Y1 (en) a outdoor fire fighting water institution location indication alarm installation
KR100923759B1 (en) Streetlight control cabinet panel of built-in of video recorded function and remote monitoring
KR102444762B1 (en) Smart safety information board with emergency alert function
JPH0935162A (en) Parking violation war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