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9561A - Combined structure for prefabricated deck rods - Google Patents
Combined structure for prefabricated deck rod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79561A KR20230079561A KR1020210166408A KR20210166408A KR20230079561A KR 20230079561 A KR20230079561 A KR 20230079561A KR 1020210166408 A KR1020210166408 A KR 1020210166408A KR 20210166408 A KR20210166408 A KR 20210166408A KR 20230079561 A KR20230079561 A KR 202300795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plate
- coupling member
- deck board
- fixing ro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2 seas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재로 사용되는 데크보드를 조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크로용 결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데크보드에 나사못이나 볼트 등을 직접적으로 사용하면서 장선부재와 체결하지 않아 데크보드의 손상을 방지하고, 다양한 폭을 갖는 데크보드에 대응하여 조립 및 시공이 가능한 조립식 데크보드용 결합 부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structure for a deck used to assemble a deck board used as a flooring 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ck board that is not fastened with a joist member while directly using screws or bolts on the deck board, resulting in damage to the deck board. It relates to a coupling member for a prefabricated deck board capable of assembling and constructing corresponding to deck boards having various widths.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닥재로 사용되는 데크보드를 조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크로용 결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데크보드에 나사못이나 볼트 등을 직접적으로 사용하면서 장선부재와 체결하지 않아 데크보드의 손상을 방지하고, 다양한 폭을 갖는 데크보드에 대응하여 조립 및 시공이 가능한 조립식 데크보드용 결합 부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structure for a deck used to assemble a deck board used as a flooring 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ck board that is not fastened with a joist member while directly using screws or bolts on the deck board, resulting in damage to the deck board. It relates to a coupling member for a prefabricated deck board capable of assembling and constructing corresponding to deck boards having various widths.
일반적으로, 등산로 또는 호수나 강가의 산책로 및 희귀식물들이 분포되어 있는 자연지역에는 조립식 데크 구조물이 설치되어 여가 공간 및 자연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변 경관을 관찰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In general, a prefabricated deck structure is installed in a hiking trail or a promenade along a lake or river, and in a natural area where rare plants are distributed, and is used as a leisure space and a space where you can observe the surrounding scenery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harm nature.
이때, 조립식 데크 구조물을 이루는 데크보드는 일반적으로 목재가 주로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소재 자체가 일반인들에게 친근감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보행자가 걸을 때 발생하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시각적으로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기 때문에 주로 사용된다. At this time, the deck board constituting the prefabricated deck structure is generally mainly made of wood. The reason is that the material itself conveys familiarity to the general public, can efficiently absorb vibrations generated when pedestrians walk, and is visually soft and comfortable. It is mainly used because it provides a feeling.
이러한 종래 조립식 목재 데크 구조물은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지지프레임을 일정 형태로 설치하고 그 위에 목재의 데크보드를 조립식으로 끼워 맞춘 후, 못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지지프레임과 데크보드를 결합/고정하는 시공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In such a conventional prefabricated wooden deck structure, a support frame is installed in a certain form on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place, and a wooden deck board is prefabricated thereon, and then the support frame and the deck board are combined/attached using fixing means such as nails. The fixing method is mainly used.
이와 같은 종래 목재 데크 구조물은 데크보드의 고정을 위해 각 모서리부위에 4개의 피스를 체결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피스 체결구조로 인해 작업시간이 증가되며, 피스가 외부에 노출되어짐으로 미관을 저해하고 데크의 부식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such a conventional wood deck structure, four pieces are fastened to each corner to fix the deck board, and due to this piece fastening structure, the working time is increased, and the piece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ch impairs the aesthetics and deteriorates the deck. There was a problem of corrosion and durability deterioration.
또한, 계절 변화에 따른 데크보드의 팽창, 수축이 발생되어지게 되는데 종래 기술에서는 양단부가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 팽창, 수축에 대응하지 못하여 크랙 또는 변형 등의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deck board occur according to seasonal changes. In the prior art, since both ends are fix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cracks or deformations do not respond to expansion and contraction.
또한, 데크보드의 다양한 규격으로 인해 데크보드의 폭의 변화에도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한 데크보드용 결합 구조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In addition, due to the various specifications of the deck boa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upling structure for the deck board tha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even when the width of the deck board is change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데크보드에 나사못이나 볼트 등을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않아 데크보드의 손상을 방지하고, 데크보드의 다양한 폭에 따른 규격의 제한없이 시공이 가능한 조립식 데크보드용 결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events damage to the deck board by not using screws or bolts directly on the deck board, and is a prefabricated type that can be constructed without limiting the specifications according to various widths of the deck boar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upling member for deck boards.
본 발명의 조립식 데크보드용 결합부재는 측면에 돌기(11)와 홈(12)이 형성되는 데크보드(10)와 내부가 중공되며 상면에 체결홀(21)이 형성되는 지지부재(20)를 결합한다. Coupling member for a prefabricated deck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0)에 안착되며, 상면에 상기 데크보드(20)가 안착되는 결합부재(100); 상기 결합부재(100)를 상기 지지부재(20)와 결합하도록 상기 결합부재(100)를 관통하며 상기 체결홀(21)에 삽입되는 고정수단(200); 일측에 형성된 제1 고정로드(310)가 상기 돌기(11)와 결합되도록 타측이 상기 결합부재(100)에 슬라이딩되며 삽입되는 제1 브라켓(300); 일측에 형성된 제2 고정로드(410)가 상기 홈(12)에 결합되도록 타측이 상기 결합부재(100)에 슬라이딩되며 삽입되는 제2 브라켓(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본 발명의 상기 결합부재(100)는 상기 지지부재(20)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고정수단(200)이 삽입되는 삽입홀(111)이 관통형성되는 안착판(110); 상기 안착판(110)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300,400) 각각의 타측이 삽입되는 삽입홈(121)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몸체(120); 상기 지지몸체(12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20)의 측면에 지지되는 가이드판(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한편, 본 발명의 상기 고정수단(200)은 상기 안착판(110)에 안착되는 가압판(210); 상기 체결홀(21)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20)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결합클립(220); 상기 가압판(210)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클립(220)과 체결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판(210)과 상기 결합클립(220)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안착판(110)과 상기 지지부재(20)를 밀착시키는 체결볼트(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fixing mean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안착판(110)에는 상기 가압판(210)의 상면과 체결볼트(230)의 상단이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300,400)의 하면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가압판(210)이 안착되는 안착공간(S)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300,400)은 일측에 상기 제1 고정로드(310)와 제2 고정로드(410)가 형성되는 제1 및 제2 삽입플레이트(320,4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고정로드(310)는 상기 돌기(11)를 감싸는 제1 결합판(311)과 상기 제1 결합판(311)을 지지하는 제1 지지대(312)를 포함하고, 제2 고정로드(410)는 상기 홈(12)에 끼워지는 제2 결합판(411)과 상기 제2 결합판(411)을 지지하는 제2 지지대(4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제1 고정로드(310)와 제2 고정로드(410)는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고정로드(310)와 제2 고정로드(410)를 가로지르는 각각의 중심선(C1,C2)이 소정간격(D) 이격되도록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은 못이나, 볼트, 피스 등을 사용하지 않아 데크보드의 인위적인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데크보드의 수축과 팽창에도 원활하게 대응 가능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rtificial damage to the deck board without using nails, bolts, pieces, etc., and can smoothly respond to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deck board,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또한, 본 발명은 데크보드의 폭 변화에도 제약을 받지않는 시공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이점과 더불어 시공자의 작업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construction that is not constrained by a change in the width of the deck board, providing economic benefits and convenience for the constructor.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지지부재에 결합부재가 고정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브라켓의 결합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의 데크보드에 결합된 제1 및 제2 브라켓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브라켓에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로드의 배치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지지부재와 결합부재의 조립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upling member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upling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side views showing one embodiment of first and second brackets coupled to the deck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rrangement of first and second fixing rods formed on first and second brack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ssembly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upl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립식 데크보드용 결합 부재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a coupling member for a prefabricated deck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데크보드(10)와 지지부재(20)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조립식 데크보드용 결합부재에 관한 것이다. 데크보드(10)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되며, 설치되는 현장에 따라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member for a prefabricated deck board for coupling a
복수개의 데크보드(10)는 상호 밀착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적층되며, 이웃한 다른 데크보드(10)와 상호 결합되기 위해 측면에 돌기(11), 다른 측면에 홈(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데크보드(10)의 돌기(11)가 이웃한 다른 데크보드(10)의 홈(12)에 삽입되면서 복수의 데크보드(10)는 밀착되며 적층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지지부재(20)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된 사각파이프 형상을 갖는다. 지지부재(20)의 상면에는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는 체결홀(21)이 형성되며, 체결홀(21)에는 후술하는 고정수단(200)과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22)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지지부재(20)의 연장되는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형성된다. The
데크보드(10)와 지지부재(20)는 서로 교차되며 데크보드(10)가 지지부재(20)의 상면에 안착되고, 데크보드(10)과 지지부재(20)가 접촉되는 부분에 본 발명의 조립식 데크보드용 결합 부재가 위치하여 상호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e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결합부재(100), 고정수단(200), 제1 및 제2 브라켓(300,4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결합부재(100)는 지지부재(20)의 상면에 안착되며, 결합부재(100)의 상면에 데크보드(10)가 안착된다. 이때, 결합부재(100)는 소정 길이로 연장되되, 데크보드(10)의 폭방향의 크기와 비슷하거나 동일하도록 연장형성되며, 복수개로 구성되어 연속적으로 지지부재(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되어 데크보드(10)를 2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The
도 3 을 참조하면 고정수단(200)은 결합부재(100)를 지지부재(20)에 결합시키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즉, 고정수단(200)은 일측이 결합부재(100)를 관통하면서 체결홀(21)에 삽입되어 중공된 지지부재(20)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결합부재(100)에 안착되면서 결합부재(100)와 지지부재(20)를 상호 결속시킨다. Referring to FIG. 3 , the fixing means 200 has the purpose of coupling the
도 2 및 도 4 를 참조하면 제1 브라켓(300)은 결합부재(100)에 안착된 데크보드(10)를 결합부재(100)와 결속시키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제1 브라켓(300)의 일측에는 돌기(11)와 결합되는 제1 고정로드(310)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S. 2 and 4 , the
제1 브라켓(300)이 데크보드(10)의 일측 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브라켓(300)의 타측이 결합부재(100)에 슬라이딩되며 삽입된다. 그리고 제1 고정로드(310)가 돌기(11)와 결합된다. 제1 브라켓(300)이 결합부재(100)의 일측으로 슬라이딩되며 삽입됨에 따라 제1 브라켓(300)은 결합부재(100)에 안착된 데크보드(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In a state where the
제2 브라켓(400) 또한 제1 브라켓(300)과 동일한 목적을 가지며, 일측에 제2 고정로드(410)가 형성된다. 제2 브라켓(400)도 제1 브라켓(300)과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부재(100)의 타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제2 고정로드(410)가 홈(12)에 삽입되된다. 따라서, 제2 브라켓(400)은 데크보드(10)를 결합부재(100)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The
도 2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결합부재(100)는 안착판(110), 지지몸체(120) 및 가이드판(1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2 to 5 , the
안착판(11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지지부재(20)의 상면에 안착된다. 안착판(110)에는 고정수단(200)이 삽입 및 관통되는 삽입홀(111)이 관통형성된다. The
지지몸체(120)는 안착판(110)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지지부재(20)의 상면 모서리 부분에 안착된다. 지지몸체(120) 각각에는 제1 및 제2 브라켓(300,400) 각각의 타측이 삽입되는 삽입홈(121)이 형성된다. 삽입홈(121)은 지지몸체(120)의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도록 연장형성되며, 삽입홈(121)의 일측으로 제1 브라켓(300)의 타측이 삽입되고, 삽입홈(121)의 타측으로 제2 브라켓(400)의 타측이 삽입된다. The
이때, 지지몸체(120)는 안착판(110) 보다 더 두꺼운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5 참조) 이로 인해 지지몸체(120)의 상면에 데크보드(10)가 안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한편, 지지몸체(120)의 상면과 데크보드(10)의 하면 사이에는 완충부재(500)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완충부재(500)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의 소재로 이루어져 지지몸체(120)와 데크보드(10)의 마찰로 인한 소음 등의 발생을 방지해 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가이드판(130)은 지지몸체(12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판(130)은 좌우측 지지몸체(12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며, 지지부재(20)의 측면과 접촉된다. 즉, 한 쌍의 가이드판(130) 사이로 지지부재(20)가 삽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수단(200)이 결합부재(100)를 고정시키기 전에 가이드판(130)이 임시로 지지부재(20)에 결합부재(100)를 고정시키고, 동시에 결합부재(100)와 지지부재(20)의 안착 위치를 가이드해줄 수 있다. The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면 고정수단(200)은 가압판(210), 결합클립(220) 및 체결볼트(2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 the fixing means 200 includes a
가압판(21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안착판(110)의 상면에 안착된다. The
결합클립(220)은 체결홀(21)에 삽입되어 지지부재(20)의 내부에 위치하며, 양단이 지지부재(20)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결합클립(220)의 중앙에는 체결볼트(230)의 일측이 삽입되는 볼트삽입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체결볼트(230)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봉 형상으로 일측이 가압판(210)을 관통하여, 결합클립(220)의 볼트삽입홀(221)에 삽입된다. 체결볼트(23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볼트삽입홀(221)의 내측면에도 이와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볼트(230)가 회전하면 결합클립(220)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결합클립(220)이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조건으로는 결합클립(220)의 양단이 지지부재(20)의 내측면에 지지된 상태이며, 결합클립(220)의 회전이 저지(沮止)되어야 한다. The
한편, 체결볼트(230)의 타측에는 가압판(210)에 안착되는 헤드부(2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헤드부(231)와 체결볼트(230)의 회전방향에 따라 결합클립(220)이 승하강하여 가압판(210)과 결합클립(2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결합클립(220)과 가압판(210)의 간격이 가까워지면 안착판(110)과 지지부재(20)가 밀착되면서 결합부재(100)는 지지부재(20)에 결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결합클립(220)의 일실시예로, 양단이 소정각도 경사를 이루도 중앙에 볼트삽입홀(221)이 형성되는 'V' 형상일 수 있으며, 도 6 의 (a)에 표현된 것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틀 형상으로 대각선의 모서리 부분이 소정의 직경으로 곡률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홀(111)을 관통하여 지지부재(20)의 결합돌기(21)에 결합되는 쐐기 형상으로 제작되어 결합부재(100)를 지지부재(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As one embodiment of the
도 5 를 참조하면, 안착판(110)에는 가압판(210)이 안착되는 안착공간(S)이 하방향으로 함입되면서 마련된다. 안착공간(S)에 가압판(210)이 안착되면 가압판(210)의 상면과 체결볼트(230)의 상단이 제1 및 제2 브라켓(300,400)의 하면과 소정간격 이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브라켓(300,400)이 삽입홈(121)에 슬라이딩되며 삽입될 때 가압판(210)과 체결볼트(230)의 상단, 즉 헤드부(231)로 인해 간섭이 발생하여 제1 및 제2 브라켓(300,400)의 원활한 삽입이 수행될 수 없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a seating space S in which the
한편, 안착판(110)이 소정간격 함입되어 지지몸체(120)의 하면과 지지부재(20)의 상면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발생하는데, 이때 지지몸체(120)의 하면에 안착판(110)이 함입되는 간격만큼 돌출되는 보강부재(122)가 돌출 형성되어 지지몸체(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도 2 및 도 7 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브라켓(300,400)은 일측에 제1 고정로드(310)와 제2 고정로드(410)가 형성되는 제1 및 제2 삽입플레이트(320,420)를 더 포함한다. 제1 및 제2 삽입플레이트(320,420)는 삽입홈(121)에 삽입된다. Referring to FIGS. 2 and 7 , the first and
한편, 제1 및 제2 삽입플레이트(320,420)의 연장되는 각각의 길이값(d1,d2)의 합은 데크보드(10)의 폭 길이값(d)는 보다 작은 길이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및 제2 삽입플레이트(320,420)의 마주보는 양단은 삽입홈(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항상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데크보드(10) 폭의 길이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다. (도 7 참조)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m of length values d1 and d2 of the first and
제1 고정로드(310)는 제1 결합판(311)과 제1 지지대(312)를 포함한다. 제1 결합판(311)은 돌기(11)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돌기(11)를 감싸며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대(312)는 삽입홈(121)과 돌기(11)의 이격된 간격만큼 연장되어 일측과 타측이 제1 결합판(311)과 제1 삽입플레이트(320)에 연결된다.The
제2 고정로드(410)는 또한 제2 결합판(411)과 제2 지지대(412)를 포함한다. 제2 결합판(411)이 홈(12)에 끼워지면서 데크보드(10)를 결속한다. 제2 지지대(412)는 제1 지지대(312)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갖는다. The
도 8 및 도 9 를 참조하면 제1 고정로드(310)와 제2 고정로드(410)는 평면을 기준으로 (도 9 기준) 제1 고정로드(310)와 제2 고정로드(410)를 가로지르는 각각의 가상의 중심선(C1,C2)이 소정간격(D) 이격된다. 즉, 가상의 중심선 C1,C2는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 위치한다. (도 9 기준) Referring to FIGS. 8 and 9 , the
제1 및 제2 고정로드(310,410)의 지그재그 배치로 인해 데크보드(10)가 수평방향으로 적층될 때 제1 고정로드(310)와 제2 고정로드(410) 상호간 겹쳐지면서 데크보드(10)와 이웃한 다른 데크보드(10)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해줄 수 있다. 또한, 데크보드(10)와 다른 데크보드(10) 사이를 더욱 밀착시킬 수 있는 다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ue to the zigzag arran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도 10 을 참조하여 지지부재(20)와 결합부재(100)가 조립되는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사각파이프 형상을 갖는 지지부재(20)의 상면에 결합부재(100)가 안착된다. 결합부재(100)의 안착판(110) 하면이 지지부재(20)의 상면에 밀착되며, 별도의 고정피스가 안착판(110)과 지지부재(20)의 상면을 관통하면서 결합부재(100)를 지지부재(20)에 고정시킨다. 이후 데크보드(10)가 결합부재(100)에 안착되고, 제1 및 제2 브라켓(300,400)이 결합부재(100)에 슬라이딩되면서 삽입홈(121)에 끼워져 데크보드(10)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체결홀(21)이 형성되지 않은 단순한 사각파이프 형상을 갖는 지지부재(20)에도 결합부재(100)가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조립식 데크보드용 결합 부재는 데크보드(10)를 못이나, 피스 등으로 고정시키지 않아 수축과 팽창에도 대응 가능하고, 데크보드(10)의 다양한 규격에도 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이점 및 시공자의 작업 편의성을 제공해줄 수 있다. The coupling member for the prefabricated deck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can respond to contraction and expansion without fixing the
100 : 결합부재
200 : 고정수단
300 : 제1 브라켓
400 : 제2 브라켓100: coupling member 200: fixing means
300: first bracket 400: second bracket
Claims (6)
상기 지지부재(20)에 안착되며, 상면에 상기 데크보드(20)가 안착되는 결합부재(100);
상기 결합부재(100)를 상기 지지부재(20)와 결합하도록 상기 결합부재(100)를 관통하며 상기 체결홀(21)에 삽입되는 고정수단(200);
일측에 형성된 제1 고정로드(310)가 상기 돌기(11)와 결합되도록 타측이 상기 결합부재(100)에 슬라이딩되며 삽입되는 제1 브라켓(300);
일측에 형성된 제2 고정로드(410)가 상기 홈(12)에 결합되도록 타측이 상기 결합부재(100)에 슬라이딩되며 삽입되는 제2 브라켓(4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보드용 결합 부재.In a coupling member for prefabricated deck boards that combines a deck board 10 having protrusions 11 and grooves 12 on the side and a support member 20 having a hollow inside and having a fastening hole 2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
A coupling member 100 seated on the support member 20 and on an upper surface of which the deck board 20 is seated;
a fixing means 200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member 100 and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1 to couple the coupling member 100 with the support member 20;
A first bracket 300, the other side of which is slid and inserted into the coupling member 100 so that the first fixing rod 310 formed on one side is coupled to the protrusion 11;
a second bracket 400, the other side of which is slid and inserted into the coupling member 100 so that the second fixing rod 410 formed on one side is coupled to the groove 12;
Coupling member for a prefabricated deck board comprising a.
상기 결합부재(100)는 상기 지지부재(20)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고정수단(200)이 삽입되는 삽입홀(111)이 관통형성되는 안착판(110);
상기 안착판(110)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300,400) 각각의 타측이 삽입되는 삽입홈(121)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몸체(120);
상기 지지몸체(12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20)의 측면에 지지되는 가이드판(1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보드용 결합 부재.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member 10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20, the mounting plate 110 through which the insertion hole 111 into which the fixing means 200 is inserted is formed;
A pair of support bodies 120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ing plate 110 and having insertion grooves 121 into which the oth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300 and 400 are inserted, respectively;
A guide plate 130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120 and support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member 20;
Coupling member for a prefabricated deck board comprising a.
상기 고정수단(200)은 상기 안착판(110)에 안착되는 가압판(210);
상기 체결홀(21)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20)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결합클립(220);
상기 가압판(210)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클립(220)과 체결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판(210)과 상기 결합클립(220)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안착판(110)과 상기 지지부재(20)를 밀착시키는 체결볼트(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보드용 결합 부재.According to claim 2,
The fixing means 200 includes a pressing plate 210 seated on the seating plate 110;
A coupling clip 220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1 and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20;
It passes through the pressure plate 210 and is fastened with the coupling clip 220, and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pressure plate 210 and the coupling clip 220 according to rotation so that the seat plate 110 and the support member 20 ) Tightening bolt 230 for close contact;
Coupling member for prefabricated deck board comprising a.
상기 안착판(110)에는 상기 가압판(210)의 상면과 체결볼트(230)의 상단이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300,400)의 하면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가압판(210)이 안착되는 안착공간(S)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보드용 결합 부재.According to claim 3,
In the seating plate 110, the seating space in which the pressing plate 210 is seat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210 and the upper end of the fastening bolt 230 are separated from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300 and 4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Coupling member for prefabricated deck boards, characterized in that (S) is provided.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300,400)은 일측에 상기 제1 고정로드(310)와 제2 고정로드(410)가 형성되는 제1 및 제2 삽입플레이트(320,4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고정로드(310)는 상기 돌기(11)를 감싸는 제1 결합판(311)과 상기 제1 결합판(311)을 지지하는 제1 지지대(312)를 포함하고,
제2 고정로드(410)는 상기 홈(12)에 끼워지는 제2 결합판(411)과 상기 제2 결합판(411)을 지지하는 제2 지지대(4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보드용 결합 부재.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300 and 400 further include first and second insertion plates 320 and 420 on one side of which the first and second fixing rods 310 and 410 are formed,
The first fixing rod 310 includes a first coupling plate 311 surrounding the protrusion 11 and a first support 312 supporting the first coupling plate 311,
The second fixing rod 410 is a prefabricated dec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coupling plate 411 fitted into the groove 12 and a second support 412 supporting the second coupling plate 411 Joining member for boards.
상기 제1 고정로드(310)와 제2 고정로드(410)는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고정로드(310)와 제2 고정로드(410)를 가로지르는 각각의 중심선(C1,C2)이 소정간격(D) 이격되도록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보드용 결합부재.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xing rod 310 and the second fixing rod 410 have respective center lines C1 and C2 crossing the first fixing rod 310 and the second fixing rod 410 based on a plane. Coupling member for prefabricated deboard,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different horizontal line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distance (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6408A KR102583319B1 (en) | 2021-11-29 | 2021-11-29 | Combined structure for prefabricated deck rod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6408A KR102583319B1 (en) | 2021-11-29 | 2021-11-29 | Combined structure for prefabricated deck rod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9561A true KR20230079561A (en) | 2023-06-07 |
KR102583319B1 KR102583319B1 (en) | 2023-09-26 |
Family
ID=8676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6408A KR102583319B1 (en) | 2021-11-29 | 2021-11-29 | Combined structure for prefabricated deck rod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331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27618B1 (en) * | 2024-04-17 | 2024-11-08 | 주식회사 그린산업개발 | Landscape deck road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83015A (en) * | 2003-09-05 | 2005-03-31 | Shin Nikkei Co Ltd | Deck material fixture |
KR20180013630A (en) | 2016-07-29 | 2018-02-07 | (주) 토모우드 | One-touch elastic fixing type wood deck plate without screw |
KR102028889B1 (en) | 2018-09-20 | 2019-10-07 | 정기영 | sliding rail insert type deck assembly system |
KR102044164B1 (en) * | 2019-04-08 | 2019-11-13 | 주식회사 혁신 | Elevator Emergency Operator |
-
2021
- 2021-11-29 KR KR1020210166408A patent/KR10258331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83015A (en) * | 2003-09-05 | 2005-03-31 | Shin Nikkei Co Ltd | Deck material fixture |
KR20180013630A (en) | 2016-07-29 | 2018-02-07 | (주) 토모우드 | One-touch elastic fixing type wood deck plate without screw |
KR102028889B1 (en) | 2018-09-20 | 2019-10-07 | 정기영 | sliding rail insert type deck assembly system |
KR102044164B1 (en) * | 2019-04-08 | 2019-11-13 | 주식회사 혁신 | Elevator Emergency Operato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27618B1 (en) * | 2024-04-17 | 2024-11-08 | 주식회사 그린산업개발 | Landscape deck road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83319B1 (en) | 2023-09-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18693B2 (en) | Flooring assembly and fastener therefor | |
CA2094349A1 (en) | Resilient floor system | |
US20060169965A1 (en) | Pre-fabricated fencing panels | |
KR101702348B1 (en) | Structural system for floor deck | |
KR101887183B1 (en) | folding type floor frame | |
CA3031898C (en) | Acoustic sleeper | |
KR20230079561A (en) | Combined structure for prefabricated deck rods | |
KR102188413B1 (en) | Easy installation Deck plate assembly | |
KR20100056595A (en) | Construction materials deck assembly | |
KR20220026192A (en) | Prefabricated tile deckroad structure | |
KR101537762B1 (en) | A panel and the manufacture method thereof and the construction method for structures using the panel | |
KR200465616Y1 (en) | An assembling bookcase furniture extended to desk and bed | |
KR102293376B1 (en) | Rail type deck rod system | |
KR20120065772A (en) | Connector of deck panel | |
JP4709592B2 (en) | Pillow structure | |
KR101663825B1 (en) | Wood panel combination structure using magnet | |
KR20040033618A (en) | Water Tank | |
KR101612376B1 (en) | Deck Assembly using Middle Connector and Constructing Method | |
KR102120382B1 (en) | Synthetic wood deck system with easy construction | |
KR20210027053A (en) | Deck board fixing clip and deck board fixing clip installation structure | |
KR20120065771A (en) | Corner bar of deck panel | |
KR102706768B1 (en) | Deck road that is easy to adjust the longitudinal inclination and prevents deform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deck road | |
KR102590835B1 (en) | Deck structure to prevent deformation of deck materials and improve fixing power | |
KR200374089Y1 (en) | Combination structure of prefabricated floor structure | |
KR102480059B1 (en) | Tile deck block connector and prefabricated tile deck block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304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9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9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