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8133A - Window frame with improved insulation properties by blocking thermal bridge between concrete and windows of building by integrated gasket - Google Patents

Window frame with improved insulation properties by blocking thermal bridge between concrete and windows of building by integrated gas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8133A
KR20230078133A KR1020210165596A KR20210165596A KR20230078133A KR 20230078133 A KR20230078133 A KR 20230078133A KR 1020210165596 A KR1020210165596 A KR 1020210165596A KR 20210165596 A KR20210165596 A KR 20210165596A KR 20230078133 A KR20230078133 A KR 20230078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gasket
concrete
building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55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9983B1 (en
Inventor
조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보메탈
조영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보메탈, 조영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보메탈
Priority to KR1020210165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983B1/en
Publication of KR20230078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81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9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62Tightening or covering joints between the border of openings and the frame or between contiguous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16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used as a seal between the floor and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일체형 가스켓에 의해 건축물의 콘크리트와 창호 사이의 열교를 차단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킨 창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창틀은 창문이 조립되며 건축물의 구조체와 접촉하여 장착되는 창틀에 있어서, 창틀 본체; 상기 창틀 본체에 배치되며 돌출되어 형성된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ovided is a window frame with improved insulation properties by blocking thermal bridge between a concrete and a window of a building by an integral gasket. The window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ndow frame in which a window is assembled and mounted in contact with a structure of a building, comprising: a window frame body; A gasket disposed on the window frame body and protruding is include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gasket is elastic.

Description

일체형 가스켓에 의해 건축물의 콘크리트와 창호 사이의 열교를 차단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킨 창틀{WINDOW FRAME WITH IMPROVED INSULATION PROPERTIES BY BLOCKING THERMAL BRIDGE BETWEEN CONCRETE AND WINDOWS OF BUILDING BY INTEGRATED GASKET}A window frame with improved insulation properties by blocking the thermal bridge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window of a building with an integrated gasket

본 발명은 일체형 가스켓에 의해 건축물의 콘크리트와 창호 사이의 열교를 차단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킨 창틀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frame having improved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by blocking thermal bridge between a concrete and a window of a building by means of an integrated gasket.

최근 친환경 및 제로에너지 건축물 등과 관련하여, 건축물의 단열 방식이 에너지 효율이 낮은 기존의 내단열 방식(단열재가 외벽의 내측에 배치)에서 에너지 효율이 높은 외단열 방식(단열재가 외벽의 외측에 배치)으로 전환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in relation to eco-friendly and zero-energy buildings, the insulation method of buildings has been changed from the existing internal insulation method with low energy efficiency (insulation material placed on the inside of the outer wall) to the energy efficient external insulation method (insulation material placed on the outside of the outer wall). It is currently being converted to.

한편, 건축물의 외단열 방식의 시공 시, 콘크리트에 직접 창호가 설치되는데, 콘크리트와 창호의 경계는 열교현상이 특히 심한 곳이기 때문에, 단열설계 시 요주의 지점으로 인식된다.On the other hand, when constructing the exterior insulation method of a building, windows and doors are installed directly on concrete, and the boundary between concrete and windows is a place where thermal bridges are particularly severe, so it is recognized as a critical point when designing insulation.

종래에는 콘크리트의 개구에 창호를 시공한 다음 사이 공간의 열교를 방지하기 위해 상온에서 팽창되는 테이프나 단열폼 또는 부착형 투습방수지 등을 콘크리트와 창호의 경계에 끼워넣었다. 그러나 공간을 메우는 폼은 수축 팽창 정도에 따라 미세한 틈이 발생하고 이를 확인하기도 어려웠으며, 상온에서 팽창하는 테이프도 시공오차 등에 의해 열교차단이 제한적이며, 투습방수지의 경우 파손이 쉬워 제대로 된 역할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Conventionally, after constructing windows and doors in the openings of concrete, tapes, insulating foams, or adhesive moisture-permeable waterproofing materials that expand at room temperature are inser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windows in order to prevent thermal bridge between the spaces. However, the foam filling the space has minute gaps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ntraction and expansion, and it was difficult to check them. The tape that expands at room temperature also has limited thermal bridge blocking due to construction errors. I had a difficult problem to deal with.

본 발명이 일체형 가스켓에 의해 건축물의 콘크리트와 창호 사이의 열교를 차단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킨 창틀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 frame with improved insulation properties by blocking thermal bridge between a concrete and a window of a building by means of an integrated gaske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틀은 창문이 조립되며 건축물의 구조체와 접촉하여 장착되는 창틀에 있어서, 창틀 본체; 상기 창틀 본체에 배치되며 돌출되어 형성된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window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window frame in which a window is assembled and mounted in contact with a structure of a building, comprising: a window frame body; A gasket disposed on the window frame body and protruding may be include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gasket may be elastic.

상기 창틀 본체는 건축물의 콘크리트와 접촉하여 장착되며, 상기 가스켓은 상기 창틀 본체와 콘크리트 사이에 탄성 수축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window frame body may be mounted in contact with concrete of a building, and the gasket may be elastically contracted and disposed between the window frame body and the concrete.

상기 가스켓은 상기 창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창틀 본체에 조립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gaske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window frame body, or may be assembled and mounted to the window frame body.

상기 가스켓은 제1파트와, 상기 제1파트에 점착되는 제2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파트는 중공이며 상기 제2파트보다 내화성이 높고, 상기 제2파트는 상기 제1파트보다 점착성과 단열성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gasket includes a first part and a second part adhered to the first part, the first part is hollow and has higher fire resistance than the second part, and the second part is more adhesive and It can be characterized by high thermal insulation.

상기 가스켓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접촉하여 배치되거나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gaskets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dispos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or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창틀은 일체형으로 마련된 가스켓에 의해 콘크리트의 개구에 창호를 시공하는 단계에서 가스켓이 콘크리트에 접촉하여 기밀성이 유지되므로 열교를 적극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window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actively block thermal bridging because the gasket is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to maintain airtightness in the step of constructing windows and doors in the opening of the concrete by means of an integrated gasket.

또한, 본 발명의 창틀은 가스켓의 탄성에 의해, 콘크리트의 접촉부에 설치 시 창틀을 내외부에서 내외로 밀어 끼워서 설치하면 가스켓의 벽체측 접촉부위가 가스켓의 휨, 눌림 현상으로 콘크리트와 강하게 접촉하여 일정한 에어베리어를 형성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window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y pushing the window frame from inside to outside when installed on the contact part of concrete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gasket, the contact part of the gasket on the wall side strongly contacts the concrete due to bending and pressing of the gasket, resulting in constant air There is an advantage of forming a barrier.

나아가 본 발명의 창틀은 가스켓에서 창틀과 연결된 파트(제1파트)를 중공이며 내화성이 높은 재질(일 예로, EPDM 고무)로 형성하고, 가스켓에서 콘크리트에 접촉하는 파트(제2파트)를 점착성과 단열성이 높은 재질(일 예로, 폴리아미드나 EPDM 스펀지)로 형성하여, 가스켓의 휨과 눌림 현상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내화성과 단열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more, in the window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 (first part) connected to the window frame in the gasket is hollow and formed of a material with high fire resistance (eg, EPDM rubber), and the part (second part)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in the gasket is adhesive and It is formed of a material with high insulation properties (for example, polyamide or EPDM sponge), which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bending and pressing phenomena of the gasket and at the same time securing both fire resistance and insulation propertie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창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창틀에서 가스켓이 일체로 형성된 형태와 조립 장착된 형태를 나타낸 개념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도 2의 (a)는 창틀 제작 시에 창틀에 가스켓 장착홈을 매립하여 만들고 가스켓을 창틀제작 시에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낸 그림이며, 도 2의 (b)는 창틀제작 시에 창틀에 가스켓 장착홈을 돌출하여 만들고 가스켓을 창틀제작 시에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낸 그림이며, 도 2의 (c)는 창틀제작 시에 창틀에 가스켓 장착 몰드를 양면 테이프나 스크류로 고정한 후 가스켓을 창틀에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창틀에서 가스켓이 골조 사이에 탄성적으로 장착된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a window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a form in which a gasket is integrally formed and assembled and mounted in a window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2 (b) is a figure showing how to install a gasket during manufacturing, and Figure 2 (b) is a figure showing how to make a gasket mounting groove protrude on the window frame and install the gasket when manufacturing the window frame, Figure 2 (c ) is a picture showing how to install the gasket on the window frame after fixing the gasket mounting mold to the window frame with double-sided tape or screws when manufacturing the window frame).
3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that a gasket is elastically mounted between frames in the window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recited ele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elem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위(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있을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mponent's correlation with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includ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elemen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if you flip a component that is shown in a drawing, a compon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another component will be placed "above" the other component. There may be.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directions of both below and above. Compon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창틀(10)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창틀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창틀에서 가스켓이 일체로 형성된 형태와 조립 장착된 형태를 나타낸 개념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도 2의 (a)는 창틀 제작 시에 창틀에 가스켓 장착홈을 매립하여 만들고 가스켓을 창틀제작 시에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낸 그림이며, 도 2의 (b)는 창틀제작 시에 창틀에 가스켓 장착홈을 돌출하여 만들고 가스켓을 창틀제작 시에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낸 그림이며, 도 2의 (c)는 창틀제작 시에 창틀에 가스켓 장착 몰드를 양면 테이프나 스크류로 고정한 후 가스켓을 창틀에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창틀에서 가스켓이 골조 사이에 탄성적으로 장착된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Hereinafter, the window fra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plan view showing a window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a form in which a gasket is integrally formed and assembled and mounted in the window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2 (b) is a diagram showing how to make a gasket mounting groove by embedding it in a window frame and install the gasket when manufacturing a window frame. Figure 2 (c) is a picture showing a method of installing a gasket to a window frame after fixing the gasket mounting mold to the window frame with double-sided tape or screws during window frame production), Figure 3 is a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that a gasket is elastically mounted between frames in a window frame.

본 발명의 창틀(10)은 창문(w)이 조립되어 장착되기 전 또는 후의 상태로 건축물의 구조체와 접촉하여 건축물에 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창틀(10)은 특히 외단열 건축물의 콘크리트의 개구상에 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적 요청에 따라 내단열 건축물에도 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틀(10)에는 창문(w)이 미닫이 방식이나 여닫이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틀(10)은 창틀 본체(11)와 가스켓(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ndow fra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 building by contacting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before or after the window w is assembled and mounted. On the other hand, the window fra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 the opening of the concrete of an externally insulated build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also be installed in an internally insulated building according to design requirements. In addition, the window w may be mounted to the window fra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liding or casement manner. The window fra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ndow frame body 11 and a gasket 12.

창틀 본체(11)는 본 발명의 창틀(10)의 대략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부재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개폐방식에 적용될 수 있다. 창틀 본체(11)는 건축물의 구조체의 개방구에 장착되어 시공될 수 있다. 가스켓(12)은 창틀 본체(11)에 배치되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는 탄성일 수 있다.The window frame body 11 may be a member that forms a rough appearance of the window fra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opening and closing methods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The window frame body 11 may be installed and installed in an opening of a structure of a building. The gasket 12 is disposed on the window frame body 11 and may protrude, and at least a portion thereof may be elastic.

이에 따라, 일 예로, 외단열 건축물 구조체에 본 발명의 창틀(10)의 시공 시, 창틀 본체(11)는 외단열 건축물의 콘크리트와 접촉하여 장착되며, 가스켓(12)은 창틀 본체(11)와 콘크리트 사이에 탄성 수축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창틀(10)에서는 일반적인 창틀과 비교하여, 결로 발생 집중지역인 창틀과 콘크리트의 접촉면 사이에 가스켓(12)이 기밀하게 배치되어 열교현상을 집중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ly, as an example, when constructing the window fra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n externally insulated building structure, the window frame body 11 is mounted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of the externally insulated building, and the gasket 12 is attached to the window frame body 11 and It can be elastically contracted and placed between concrete. As a result, in the window fra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general window frames, the gasket 12 is airtightly disposed between the contact surface of the window frame and the concrete, which is a condensation concentration area, so that the thermal bridge phenomenon can be intensively blocked.

이 경우, 가스켓(12)은 창틀 본체(11)의 일측 외면 내지 모든 외면 사이에 면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스켓(12)은 다양한 형태와 개수를 가질 수 있으며, 일 예로, 한 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접촉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gasket 12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a surface between one outer surface of the window frame body 11 and all outer surfaces thereof. In addition, the gaskets 12 may have various shapes and numbers, and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o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가스켓(12)은 창틀 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창틀 본체(11)에 조립되어 장착될 수 있다.Meanwhile, the gasket 1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window frame body 11 or may be assembled and mounted on the window frame body 11 .

일 예로, 도 2의 (a)와 (b)를 참조하면, 가스켓(12)은 창틀 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켓(12)은 창틀 본체(11)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인서트 사출 공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스켓(12)의 베이스는 창틀의 면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매입되어 있을 수 있으며(도 2의 (a) 참조; 창틀 본체 몰드 일체형 매입 가스켓) 창틀의 면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매입되어 있을 수도 있다(도 2의 (b) 참조; 창틀 본체 몰드 일체형 돌출 가스켓).For example, referring to (a) and (b) of FIG. 2 , the gasket 1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window frame body 11 . In this case, the gasket 12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window frame body 11, and an insert injection method may be applied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base of the gasket 12 may be embedded inward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window frame (refer to (a) in FIG. 2; an integral embedded gasket in the window frame body mold) or may be protruded outward and embedded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window frame. There is (see (b) of FIG. 2; window frame body mold integrated protruding gasket).

이와 달리, 도 2의 (c)를 참조하면, 가스켓(12)은 별도의 브라켓에 일체로 형성되어 브라켓이 창틀 본체(11)에 조립됨으로써 창틀 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창틀 본체(11)와 브라켓은 다양한 연결요소(일 예로, 스크류, 핀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Unlike this, referring to (c) of FIG. 2 , the gasket 12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window frame body 11 by assembling the bracket to the window frame body 11 by integrally forming a separate bracket. In this case, the window frame body 11 and the bracket may be coupled by various connecting elements (eg, screws, pins, et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창틀(10)은 일체형으로 마련된 가스켓에 의해 콘크리트의 개구에 창호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가스켓이 콘크리트에 접촉하여 기밀성이 유지되므로 열교를 적극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즉, 본 발명의 창틀을 이용하면, 종래의 창틀과 같이 창틀을 콘크리트면에 시공한 다음 상온에서 팽창되는 테이프나 단열폼 또는 부착형 투습방수지를 창틀과 콘크리트면 사이의 틈에 장입하는 방식보다 기밀성이 높음).According to the foregoing, the window fra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tively block thermal bridging because the gasket is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to maintain airtightnes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windows and doors in the opening of the concrete by means of the integrally provided gasket (that is, this If the window frame of the invention is used, the airtightness is higher than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window frame on the concrete surface as in the conventional window frame and then inserting tape, insulation foam or adhesive moisture-permeable waterproofing agent that expands at room temperature into the gap between the window frame and the concrete surface) .

또한, 가스켓(12)은 제1파트(12-1)와 제1파트(12-1)에 점착되는 제2파트(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파트(12-1)는 중공이며 제2파트(12-2)보다 내화성이 높고, 제2파트(12-2)는 제1파트(12-1)보다 점착성과 단열성이 높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파트(12-1)로서 내화성이 높은 재질인 일 예로 EPDM 고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파트(12-2)로서 점착성과 단열성이 높은 폴리아미드 재질이나 EPDM 스펀지 재질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gasket 12 may include a first part 12-1 and a second part 12-2 adhered to the first part 12-1, the first part 12-1 It is hollow and has higher fire resistance than the second part 12-2, and the second part 12-2 may have higher adhesiveness and heat insulation than the first part 12-1. In this case, as an example, EPDM rubber, which is a material with high fire resistance, may be used as the first part (12-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the second part (12-2), a polyamide material with high adhesiveness and heat insulation or EPDM sponge material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파트(12-1)는 창틀 본체(11)의 면에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으며, 제2파트(12-2)는 제1파트(12-1)의 끝단에 점착되어 콘크리트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창틀(10)에서는 가스켓(12)의 휨과 눌림 현상을 극대화(제1파트의 중공)하는 동시에 내화성(제1파트의 재질 성능)과 단열성(제2파트의 재질 성능)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first part 12-1 may be a part connected to the surface of the window frame body 11, and the second part 12-2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first part 12-1 to directly contact the concrete. may be a part of Accordingly, in the window fra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ding and pressing phenomena of the gasket 12 are maximized (hollowness of the first part), and at the same time, fire resistance (material performance of the first part) and heat insulation (material performance of the second part) There are advantages to securing all of them.

이 경우, 제2파트(12-2)의 단부 면(즉, 콘크리트와 접촉하는 면)에는 곡률이 형성되어 있어서 시공 시 콘크리트 면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며 부드럽게 인입되는 동시에, 시공 완료 후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 면적을 늘려 기밀성과 단열성을 높게 확보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창틀(10)의 접촉 면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a curvature is formed on the end surface of the second part 12-2 (ie,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so that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concrete surface is minimized and smoothly drawn in during construction, and at the same time, after construction is completed, Although the contact area can be increased to ensure high airtightness and heat insulati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window fra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달리, 도 3을 참조하면, 가스켓(12)은 건축물의 구조체와 접촉하는 부분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겨우, 가스켓(12)의 경사면의 경사 방향으로 콘크리트의 개구에 인입하면 가스켓(12)의 자연스러운 휨 현상(좌굴 발생이 최소화)과 함께 가스켓(12)의 경사면이 콘크리트의 면에 최대의 접촉면적으로 접촉되어 기밀성과 단열성을 높게 확보할 수 있다.Alternatively, referring to FIG. 3 , the gasket 12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formed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At this time, when the gasket 12 enters the opening of the concrete in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inclined surface, the natural bending of the gasket 12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buckling) and the maximum contact area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asket 12 and the concrete surface It can be contacted to ensure high airtightness and insulation.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Claims (5)

창문이 조립되며 건축물의 구조체와 접촉하여 장착되는 창틀에 있어서,
창틀 본체; 및
상기 창틀 본체에 배치되며 돌출되어 형성된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In the window frame where the window is assembled and mounted in contact with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window frame body; and
It is disposed on the window frame body and includes a gasket formed to protrude,
Window fram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art of the gasket is elasti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 본체는 건축물의 콘크리트와 접촉하여 장착되며, 상기 가스켓은 상기 창틀 본체와 콘크리트 사이에 탄성 수축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According to claim 1,
The window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dow frame body is mounted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of the building, and the gasket is elastically contracted and disposed between the window frame body and the concr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상기 창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창틀 본체에 조립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According to claim 2,
The window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gaske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window frame body, or assembled and mounted to the window frame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제1파트와, 상기 제1파트에 점착되는 제2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파트는 중공이며 상기 제2파트보다 내화성이 높고, 상기 제2파트는 상기 제1파트보다 점착성과 단열성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According to claim 3,
The gasket includes a first part and a second part adhered to the first part,
The window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art is hollow and has higher fire resistance than the second part, and the second part has higher adhesiveness and heat insulation than the first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접촉하여 배치되거나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According to claim 1,
The window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gaskets are provided in pairs and dispos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or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KR1020210165596A 2021-11-26 2021-11-26 Window frame with improved insulation properties by blocking thermal bridge between concrete and windows of building by integrated gasket KR1025399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596A KR102539983B1 (en) 2021-11-26 2021-11-26 Window frame with improved insulation properties by blocking thermal bridge between concrete and windows of building by integrated gas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596A KR102539983B1 (en) 2021-11-26 2021-11-26 Window frame with improved insulation properties by blocking thermal bridge between concrete and windows of building by integrated gask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133A true KR20230078133A (en) 2023-06-02
KR102539983B1 KR102539983B1 (en) 2023-06-05

Family

ID=8675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5596A KR102539983B1 (en) 2021-11-26 2021-11-26 Window frame with improved insulation properties by blocking thermal bridge between concrete and windows of building by integrated gas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98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229U (en) * 1998-11-27 1999-02-25 박번 Windproof Window Frame Using Gasket
KR20120043509A (en) * 2010-10-26 2012-05-04 대양테크 (주) Function-improved gasket for windoors and doo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229U (en) * 1998-11-27 1999-02-25 박번 Windproof Window Frame Using Gasket
KR20120043509A (en) * 2010-10-26 2012-05-04 대양테크 (주) Function-improved gasket for windoors and do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983B1 (en) 202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7787B1 (en) Curtain Wall
KR101153212B1 (en) Composite insulating project window having double pane
KR20090072865A (en) Joint gasket connecting unit curtain wall and window frame
KR102345489B1 (en) Insulation curtain wall
KR101678033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glass curtain wall
KR102539983B1 (en) Window frame with improved insulation properties by blocking thermal bridge between concrete and windows of building by integrated gasket
EP3805507A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glass fixing gasket and window glass panel fixing bracket of fixed window in sliding window system comprising segmented window frame
KR101750695B1 (en) Curtain wall assembly
KR101364129B1 (en) Coupled structure for Guide frame and the sash frame
KR20210081812A (en) Windows with insulating and enclosed structures
KR101833232B1 (en) Curtain wall assembly with improved insulation performance and having structure system for using capture type and hidden type curtain wall both
KR102053956B1 (en) Bracket assembly and window system and window construction structure on external insulation wall having the same
KR101750692B1 (en) Curtain wall assembly
JP5608910B2 (en) sash
JP3074262B2 (en) Insulation panel structure
KR102266276B1 (en) Insulation Curtain-Wall System
KR102669238B1 (en) Window frame stopper with insulation function
JP7378856B2 (en) Two-side support frame of sliding window system Insulation structure in the side section where the window sash and door frame overlap each other
KR20090105516A (en) Window having corner sealing gasket
KR102291093B1 (en) Seismic insulation performance improvement type exterior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the same
KR102585016B1 (en) High insulation windows with efficient seismic shock absorption performance
KR102665576B1 (en) Curtain wall system having heat insulation and construction
CN211923990U (en) Door and window structure
KR20170111959A (en) A sliding window and door
JP3211730B2 (en) Insulated prof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