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7494A - Apparatus for determinating drunken condi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eterminating drunken condi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7494A
KR20230077494A KR1020210164813A KR20210164813A KR20230077494A KR 20230077494 A KR20230077494 A KR 20230077494A KR 1020210164813 A KR1020210164813 A KR 1020210164813A KR 20210164813 A KR20210164813 A KR 20210164813A KR 20230077494 A KR20230077494 A KR 20230077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drinking
control unit
image data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8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명철
강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나
Priority to KR1020210164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7494A/en
Publication of KR20230077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49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8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for vehicle drivers or machine op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2Determining colour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Gait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45Toxicology, e.g. by detection of alcohol, drug or toxic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90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 A61B90/94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coded with symbols, e.g. tex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20Workers

Abstract

본 발명의 음주 상태 판단 장치는 대상자를 촬영하여, 대상자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부, 대상자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판단 제어부, 작업자에 대한 음주 관련 정보, 작업자 신원 정보와 작업자의 현재 담당 작업을 포함하는 작업자 관련 정보 및 작업 종류에 따른 필수 장비의 종류와 장착 위치, 그리고 작업 종류 및 위험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음주 측정 필요 여부를 포함하는 작업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 및 상기 판단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판단 제어부는 대상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자의 대상자 신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대상자 신원 정보와 상기 작업자 신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상자가 등록되어 있는 작업자인지 판단하고, 상기 대상자가 등록되어 있는 작업자이면, 상기 대상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의 신체 상태에 관련된 신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대상자에 대한 신체 정보, 현재 담당 작업 종류 및 위험도 중 적어도 하나, 그리고 음주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가 음주 측정이 필요한 음주 측정 대상자인지 판단하고, 상기 대상자가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되면, 상기 대상자에 대한 음주 측정을 요청한다. The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drink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nd generating subject image data, a determination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subject image data, drinking-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operator, operator identity information, and the operator's current task. A storage medium that stores work-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worker-related information, the type and mounting location of essential equip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and whether or not a breathalyzer test is requir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type and risk of work and a storage medium connected to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Including an output unit, and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when the subject identity information of the subject is received from the subject terminal, compares the subject identity information and the operator identity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subject is a registered worker, and determines whether the subject is registered If it is a worker, body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ject's physical condition is obtained using the subject image data, and at least one of the subject's body information, the current job type and risk level, and drinking-related information are used to obtain the subject's body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subject for a breathalyzer test is required, and if the subject is classified as a subject for a breathalyzer test, a breathalyzer test is requested for the subject.

Description

음주 상태 판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FOR DETERMINATING DRUNKEN CONDI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음주 상태 판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음주 상태를 예비 진단할 수 있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capable of preliminary diagnosing a worker's drinking stat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생체 정보 측정 기술은 보안 시스템뿐만 아니라 각 개인의 건강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technology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is widely used not only for security systems but also for checking health information of each individual.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obtain user's biometric information using a smart phone or a wearable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smart phone.

따라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자신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현재 건강 상태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user can easily obtain his or her own biometric information,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current state of health and the like.

하지만, 생체 정보의 이용 범위는 단순하게 사용자의 건강 상태 확인이나 보안 시스템 등과 같이 한정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However, the use range of biometric information is used for a limited purpose, such as simply checking a user's health condition or a security system.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16136호(공개일자: 2017년 02월 13일, 발명의 명칭: 생체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16136 (published date: February 13, 2017, title of inventio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biological condi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30911호(공개일자: 2013년 03월 28일, 발명의 명칭: 생체신호를 이용한 상황판단 장치 및 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30911 (published date: March 28, 2013, title of inven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situations using biosignal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7088호(공고일자: 2006년 11월 23일, 발명의 명칭: 생체측정 정보 확인장치 및 그 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647088 (Public date: November 23, 2006, title of invention: Biometric information verification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장에서의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n a workpla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작업자의 음주 여부를 예비 진단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liminarily diagnose whether a worker is drinking.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음주 상태 판단 장치는 대상자를 촬영하여, 대상자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대상자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판단 제어부, 상기 판단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작업자에 대한 음주 관련 정보, 작업자 신원 정보와 작업자의 현재 담당 작업을 포함하는 작업자 관련 정보 및 작업 종류에 따른 필수 장비의 종류와 장착 위치, 그리고 작업 종류 및 위험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음주 측정 필요 여부를 포함하는 작업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 및 상기 판단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 제어부는 대상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자의 대상자 신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대상자 신원 정보와 상기 작업자 신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상자가 등록되어 있는 작업자인지 판단하고, 상기 대상자가 등록되어 있는 작업자이면, 상기 대상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의 신체 상태에 관련된 신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대상자에 대한 신체 정보, 현재 담당 작업 종류 및 위험도 중 적어도 하나, 그리고 음주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가 음주 측정이 필요한 음주 측정 대상자인지 판단하고, 상기 대상자가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되면, 상기 대상자에 대한 음주 측정을 요청한다.An apparatus for determining a drinking state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nd generating subject image data, a determination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photographing unit and receiving the subject image data, and connected to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and alcohol-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worker, worker-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worker identity information and the worker's current job, the type and installation location of essential equip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and alcohol measurement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type of work and risk level. A storage medium for storing task-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or not a job is stored and an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wherein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when receiving the target person ident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person from the target person terminal, displays the target person identity information and the operator Identity information is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 subject is a registered worker, and if the subject is a registered worker, body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ject's body condition is obtained using the subject image data, and the subject's bod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ubject is a subject for a breathalyzer test requiring a breathalyzer test, using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the type of current task and the degree of risk, and alcohol-related information, and when the subject is classified as a subject for a breathalyzer test, the subject is tested for alcohol. ask for

상기 특징에 따른 음주 상태 판단 장치는 상기 판단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음주 측정을 실시하여 음주 측정 수치를 생성하여 상기 판단 제어부로 출력하는 음주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s may further include a drinking alcohol measurement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measures alcohol consumption, generates a drinking measurement value,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음주 측정부로부터 음주 측정 대상자에 대한 음주 측정 수치가 입력되면, 상기 대상자 신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음주 측정 대상자에 대한 작업 종류와 위험도를 판정하고, 판정된 작업 종류 및 위험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정해진 상기 음주 측정 대상자에 대한 허용 음주 수치를 판정하여 상기 음주 측정 수치와 비교하고, 상기 음주 측정 수치가 상기 허용 음주 수치를 초과하면 상기 음주 측정 대상자는 해당 작업이 불가능한 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determines the type of work and the degree of risk for the person to be tested for alcohol using the subject's identity information when the breathalyzer measurement value of the person to be tested for alcohol is input from the breathalyzer, and determines at least one of the determined type of work and the degree of risk. Determines an allowable drinking level for the subject to be tested for alcohol consumption, which is determined according to one, and compares the alcohol level with the measured level of alcohol, and if the measured level of drinking alcohol exceeds the allowable level of drinking, the subject for measuring alcohol level may be determined to be in a state in which the corresponding task is impossible. there is.

상기 신체 정보는 심박수, 피부색 및 걸음걸이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information may include heart rate, skin color, and gait.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의 심박수가 상기 대상자의 나이에 따른 정상 심박수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대상자를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may classify the subject as a person subject to a drinking test when the heart rate of the subject is out of a normal heart rate rang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subject.

상기 작업자 관련자 관련 정보는 상기 대상자에 대한 작업자 얼굴 영상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 영상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특정 부위의 부피색이 상기 대상자에 대한 작업자 영상 데이터에 비해 설정 크기 이상으로 상기 특정 부위의 색상이 빨갛고 넓게 분포되는 경우, 상기 대상자를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할 수 있다.The worker-related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worker face image data for the target person, and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compares the volume color of a specific part obtained from the target image data with respect to the worker image data for the target individual. When the color of the specific region is red and widely distributed over a set size, the subject may be classified as a subject to be tested for alcohol consumption.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 영상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상기 대상자의 걸음걸이와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비음주 상태의 일반인에 대한 걸음걸이를 비교하여 흔들림 정도를 판정하고, 판정된 흔들림 정도가 설정 흔들림 정도 이상이면 상기 대상자를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compares the gait of the target person obtained from the subject image data of the subject with the gait of an ordinary person in a non-drinking st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to determine the degree of shaking, and determines the degree of shaking If the degree of shaking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shaking level, the subject may be classified as a subject for a drinking test.

상기 음주 관련 정보는 음주사고 이력 및 알코올중독 치료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가 음주사고 이력이나 알코올중독 치료 이력이 존재하면 상기 대상자를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할 수 있다. The drinking-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rinking accident history and an alcoholism treatment history, and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may classify the subject as a drinking test subject if the subject has a drinking accident history or an alcoholism treatment history. there is.

상기 대상자 신원 정보는 QR 코드로 전송될 수 있다. The subject identity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as a QR code.

상기 작업자 관련자 관련 정보는 작업자 얼굴 영상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가 등록되어 있는 작업자이면, 상기 대상자 영상 데이터에서 얼굴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얼굴 영상 데이터와 상기 작업자 얼굴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대상자와 작업자의 얼굴이 동일하면, 상기 대상자는 등록된 작업자임을 최종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worker-related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worker face image data, and if the target is a registered worker, the determination controller extracts face image data from the target image data, and the extracted face image data and the worker By comparing the face image data, if the faces of the subject and the operator are the same, it may be finally confirmed that the subject is a registered operator.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음주 상태 판단 장치의 제어 방법은 판단 제어부는 대상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대상자 신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 신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판단 제어부는 촬영부로부터 입력되는 대상자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의 신체 상태에 관련된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에 대한 신체 정보, 현재 담당 작업 종류 및 위험도 중 적어도 하나, 그리고 음주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가 음주 측정이 필요한 음주 측정 대상자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가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되면, 상기 대상자에 대한 음주 측정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method of a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includes the step of receiving, by a determination control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ubject capable of confirming the identity of the subject, wherein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confirms the identity of the subject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ubject. The step of receiving, by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image data of the target person inputt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the step of the determination controller obtaining body information related to the physical state of the target person by using the image data of the target person, the step of the determination controller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 is a subject for a breathalyzer test by using at least one of physical information about the subject, a type of current job and a risk level, and alcohol-related information, and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subject is a subject for a breathalyzer test. If classified, requesting a drinking test for the subject.

상기 특징에 따른 음주 상태 판단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판단 제어부가 음주 측정부로부터 음주 측정 대상자에 대한 음주 측정 수치가 입력되면, 상기 대상자 신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음주 측정 대상자에 대한 작업 종류와 위험도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판단 제어부는 판정된 작업 종류 및 위험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정해진 상기 음주 측정 대상자에 대한 허용 음주 수치를 판정하여 상기 음주 측정 수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음주 측정 수치가 상기 허용 음주 수치를 초과하면 상기 음주 측정 대상자는 해당 작업이 불가능한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control method of the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when the alcohol level measurement value for the alcohol measurement target is input from the alcohol measurement unit,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determines the type of work and the degree of risk for the alcohol measurement target using the subject's identity information. determining, by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an allowable drinking level for the person to be tested for alcohol, which is determin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determined type of work and the level of risk;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that the drinking alcohol measurement target is in a state in which the corresponding task is impossible when the alcohol consumption level exceeds the allowable drinking level.

상기 신체 정보는 심박수, 피부색 및 걸음걸이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information may include heart rate, skin color, and gait.

상기 음주 측정 대상자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자의 심박수가 상기 대상자의 나이에 따른 정상 심박수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대상자를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 is subject to the alcohol test, if the heart rate of the subject is out of a normal heart rate rang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subject, the subject may be classified as a subject for the alcohol test.

상기 음주 측정 대상자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 영상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특정 부위의 부피색이 상기 대상자에 대한 작업자 영상 데이터에 비해 설정 크기 이상으로 상기 특정 부위의 색상이 빨갛고 넓게 분포되는 경우, 상기 대상자를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할 수 있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 is subject to a drinking test, the volume color of a specific part obtained from the subject image data for the subject is red and widely distributed at a set size or more than the color of the worker image data for the subject, The subject may be classified as a drinking test subject.

상기 음주 측정 대상자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 영상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상기 대상자의 걸음걸이와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비음주 상태의 일반인에 대한 걸음걸이를 비교하여 흔들림 정도를 판정하고, 판정된 흔들림 정도가 설정 흔들림 정도 이상이면 상기 대상자를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 is subject to a drinking test compares the gait of the subject obtained from the subject image data of the subject with the gait of an ordinary person in a non-drinking st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to determine a degree of shaking, If the determined shaking degre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shaking degree, the subject may be classified as a sobriety test subject.

상기 음주 측정 대상자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자가 음주사고 이력이나 알코올중독 치료 이력이 존재하면 상기 대상자를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할 수 있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 is subject to the alcoholism test, if the subject has a drinking accident history or a history of treatment for alcoholism, the subject may be classified as a subject for the alcoholism test.

상기 대상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QR 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QR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In the step of confirming the identity of the target person, the identity of the target person may be confirmed by reading a QR code transmitted from the target person terminal and us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R cod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음주 상태 판단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판단 제어부가 상기 대상자가 등록되어 있는 작업자이면, 상기 대상자 영상 데이터에서 얼굴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판단 제어부가 추출된 얼굴 영상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작업자 얼굴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제어부가 상기 대상자와 작업자의 얼굴이 동일하면, 상기 대상자는 등록된 작업자임을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apparatus includes extracting face image data from the target person image data when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is a registered worker, and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extracting the extracted face image data. Comparing the face image data of the worker stored in the database with the step of comparing, and finally confirming that the target is a registered worker if the face of the subject and the worker are the same as the determination controller.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대상자의 신체 정보, 신체 정보, 현재 담당 작업 종류 및 위험도 중 적어도 하나, 그리고 음주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대상자가 담당 작업의 수행을 위한 음주 측정 대상자인지를 분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se characteristics,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subject's body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task, the body information, the type of current task and the degree of risk, and alcohol-related information, it is classified whether the subject is a drinking alcohol measurement target for performing the task in charge. can do.

따라서, 음주 상태에서 담당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방지되어, 음주로 인한 작업장에서의 안전 사고의 위험이 방지되거나 크게 줄어들 수 있다.Therefore, it is prevented from performing the task in a drunken state, so that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at the workplace due to drinking can be prevented or great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주 상태 판단 시스템의 개념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대상자 단말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음주 상태 판단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주 상태 판단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1 is a conceptual block diagram of a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subject terminal shown in Figure 1;
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device for determining a drinking state shown in FIG. 1;
4 and 5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device for determining a drinking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특별한 인과관계에 의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In this application, each step described can be performed regardless of the listed order, except for the case where it must be performed in the listed order due to a special causal relationship.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주 상태 판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예에 따른 음주 상태 판단 장치(30)를 구비한 음주 상태 판단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First, a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system equipped with the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음주 상태 판단 시스템은 생체 상태를 판단하는 대상자(10)가 휴대하는 대상자 단말(20) 및 대상자 단말(20)과 통신하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30)를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system may include a subject terminal 20 carried by the subject 10 that determines the biological condition and a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30 communicating with the subject terminal 20. .

본 예에서, 대상자(10)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30)에 의해 신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해진 동작을 수행해야 하는 사람으로서, 일 예로, 작업장에서 정해진 업무를 수행하는 작업자일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target person 10 is a person who needs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for acquiring body information by the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30, and may be, for example, a worker who performs a predetermined task at a workplace.

본 예에서, 신체 정보는, 일 예로서, 대상자의 음주 여부를 예비 판단하여 대상자를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하여, 담당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정식으로 음주 측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일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body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information for preliminar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target person has been drinking, classifying the target person as a target for alcohol testing, and formally measuring the alcohol level before performing the task in charge.

이러한 신체 정보는 해당 대상자의 심박수, 피부색(즉, 특정 부위에 대한 피부색) 및 걸음걸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Such body information may be at least one of heart rate, skin color (ie, skin color for a specific part), and gait of the subject.

대상자 단말(20)은 대상자(10)의 단말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휴대 단말일 수 있다.The subject terminal 20 may be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s a terminal of the subject 10 .

이러한 대상자 단말(20)은, 일 예로서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 입력부(21), 사용자 입력부(21)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22), 동작 제어부(22)에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23), 동작 제어부(22)에 연결되어 있는 통신부(24) 및 동작 제어부(22)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부(25)를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s an example, such a subject terminal 20 includes a user input unit 21, an operation control unit 22 connected to the user input unit 21, and a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22. (23), a communication unit 24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22, and an output unit 25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22.

사용자 입력부(21)는 사용자인 대상자(10)가 해당 단말의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 등에 관련된 신호를 발생시켜 동작 제어부(22)로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21 may generate a signal related to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by the target user 10 and input the signal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22 .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21)는 키 패드(key pad), 터치 패드(touch pad), 또는 마우스(mous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Such a user input unit 21 may be composed of a key pad, a touch pad, or a mouse.

동작 제어부(22)는 해당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로서 프로세서(processor)일 수 있다.The operation control unit 22 may be a processor as a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저장부(23)는 대상자 단말(2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동작 중에 생성된 데이터 등의 저장을 위한 것으로서, 메모리(memory) 등의 저장 매체일 수 있다.The storage unit 23 is for storing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subject terminal 20 and data generated during operation, and may be a storage medium such as a memory.

통신부(24)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30)와 같은 다른 장치와의 유선 및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것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4 may be for at least one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devices such as the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30 .

이러한 통신부(24)는 인터넷 통신을 위한 인터넷 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이동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4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for internet communication,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d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인터넷 통신 모듈은 인터넷 모듈은 무선 또는 유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인터넷 통신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네트워크),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or wired Internet access. Internet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e WLAN (Wireless LAN) (Wi-Fi network), Wibro (Wireless broadband), or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etc. can be used.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자기 유도방식 또는 공진 유도 방식과 같이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magnetic induction or resonance induction. It may be a module for communication.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신호(즉,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단문 메시지나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ie, radio signals)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hort messages or multimedia messages.

출력부(25)는 시각, 청각 및 촉각에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영상 출력 모듈, 음향 출력 모듈 및 햅틱 발생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25 is for generating output related to sight, hearing, and touch, and may include a video output module, an audio output module, and a haptic generation module.

영상 출력 모듈은 대상자 단말(20)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22)의 동작에 따라 동작 제어부(22)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The video output module display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video data output from the operation controller 22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ler 22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ubject terminal 20 .

이로 인해, 영상 출력 모듈은 대상자 단말(20)의 동작 상태에 따른 영상(예, QR코드)을 표시할 수 있다.Due to this, the image output module may display an image (eg, QR code)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subject terminal 20 .

이러한 영상 출력 모듈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Such an image output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display device among a 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 flexible display, and a 3D display.

음향 출력 모듈은 동작 제어부(22)의 동작에 의해 동작 제어부(22)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audio data)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may output audio data output from the operation control unit 22 as voice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22 .

따라서, 동작 제어부(22)는 대상자(10)의 작업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인 관리자 단말로부터 음성 호신호나 화상 통화 호 신호가 수신되어 관리자 단말과의 전화 통화를 실시할 때, 관리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통화 내용을 음향 출력 모듈로 출력할 수 있다. Therefor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2 receives a voice call signal or a video call signal from the manager terminal, which is a terminal of the manager who manages the work of the target person 10, and transmits the signal from the manager terminal when making a phone call with the manager terminal. The contents of the call may be output to the audio output module.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은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또는 버저(buzzer) 등을 구비할 수 있다. Such an audio output module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or a buzzer.

햅틱 발생 모듈(haptic module)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본 예에서, 햅틱 발생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는 진동이 있다.A haptic generating module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a user can feel. In this example, the tactile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generation module is vibration.

따라서, 이러한 햅틱 발생 모듈은 동작 제어부(22)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모터(motor) 등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ly, such a haptic generating module may include a motor operated by the control of the motion control unit 22 .

음주 상태 판단 장치(30)는 대상자 단말(20)을 이용하여 대상자(10)의 신원 정보인 대상자 신원 정보를 확인하고, 대상자(10)의 신체 정보를 판단하고, 신체 정보, 담당 작업 및 작업자에 대한 음주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대상자(10)가 음주 측정 대상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30 uses the subject terminal 20 to check the subject identity information, which is the subject person 10's identity information, determine the subject's body information, and determine the body information, the task in charge and the operato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target person 10 is a drinking measurement target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drinking-related information about.

본 예에서, 음주 측정 대상자는 대상자가 담당하고 있는 현재 담당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음주 측정을 받아야 하는 대상자일 수 있다. In this example, the subject for a sobriety test may be a subject to be tested for sobriety before performing the current task in which the subject is in charge.

이러한 음주 상태 판단 장치(30)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촬영부(311), 음주 측정부(312), 사용자 입력부(32), 촬영부(311), 음주 측정부(312) 및 사용자 입력부(32)에 연결되어 있는 판단 제어부(33), 판단 제어부(33)에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34), 판단 제어부(33)에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35), 그리고 판단 제어부(33)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부(36)를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30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311, a drinking measuring unit 312, a user input unit 32, a photographing unit 311, a drinking measuring unit 312, and a user.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connected to the input unit 32, the storage unit 34 connected to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the database 35 connected to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and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It may have an output unit 36 connected thereto.

촬영부(311)는 대상자(10)를 촬영하여 대상자(10)의 신체 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대상자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판단 제어부(33)로 출력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311 may acquire subject image data for determining body information of the subject person 10 by photographing the subject person 10 and output the obtained subject image data to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

(311)이러한 촬영부(311)는 정지 영상뿐만 아니라 동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311) The photographing unit 311 may capture a moving image as well as a still image.

본 예의 촬영부(311)는 영상 촬영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렌즈, 렌즈의 초점 조절을 위한 모터,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촬영 제어부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311 of the present example may include at least one lens for capturing an image, a motor for adjusting a focus of the lens, and a captur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photographing operation.

또한, 본 예에서, 촬영부(311)는 QR 코드를 스캔하는 QR코드 스캐너를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QR 코드 스캔 동작에 의해, 판단 제어부(33)는 대상자(10)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is example, the photographing unit 311 may include a QR code scanner that scans a QR code, and by such a QR code scanning operation,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can confirm the identity of the target person 10 .

음주 측정부(312)는 대상자 중에서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된 대상자에 대한 음주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The sobriety measurement unit 312 is for performing a sobriety test on a subject classified as a sobriety test subject among subjects.

이러한 음주 측정부(312)는 본 예와 같이 음주 상태 판단 장치(30)에 일체로 장착되어 판단 제어부(33)와 연결되어 있거나, 음주 상태 판단 장치(30)와 별개로 구성되어 음주 상태 판단 장치(30)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The drinking measuring unit 312 is integrally mounted on the drinking state determining device 30 and connected to the determining control unit 33, as in the present example, or is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drinking state determining device 30 and is a drinking state determining device. (30) and can communicate wirelessly.

음주 측정부(312)는 음주 측정 대상자에 대한 음주 측정으로 인해 획득된 음주 측정 수치를 판단 제어부(33)로 입력할 수 있다.The breathalyzer tester 312 may input a breathalyzer measurement value obtained by measuring a drinker to the determination controller 33 .

음주 측정부(312)와 음주 상태 판단 장치(30)가 서로 무선으로 연결될 경우, 음주 측정부(312)는 음주 측정 수치를 판단 제어부(33)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When the drinking measuring unit 312 and the drinking state determining device 30 are wireless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drinking measuring unit 312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rinking measurement value to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

사용자 입력부(32)는,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 사용자 입력부(32)와 동일하게, 음주 상태 판단 장치(30)의 사용자(예, 관리자)가 음주 상태 판단 장치(30)의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 각 작업자에 대한 현재 담당 작업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한 각 작업자에 관련된 정보(이하, 작업자에 관련된 정보는 '작업자 관련 정보'라 칭함)등에 관련된 신호를 발생시켜 판단 제어부(33)로 입력할 수 있다. Like the user input unit 32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user input unit 32 i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30 by a user (eg, a manager) of the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30 . , Information related to each worker (hereinafter, worker-related information is referred to as 'worker-related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suitability of the current job for each worker is generated and inputted to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there is.

사용자 입력부(32)로부터 입력되는 작업자 관련 정보는 해당 작업자에 대한 음주사고 이력 및 알코올중독 치료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음주 관련 정보와 각 작업자의 현재 담당 작업일 수 있다. The worker-related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32 may include drinking-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drinking accident history and an alcoholism treatment history of the corresponding worker, and the current job of each worker.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32) 역시 키 패드(key pad), 터치 패드(touch pad), 또는 마우스(mous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Such a user input unit 32 may also be composed of a key pad, a touch pad, or a mouse.

판단 제어부(33)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로서, 역시 프로세서일 수 있다.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is a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30 and may also be a processor.

본 예에서, 판단 제어부(33)는 대상자 단말(20)로부터 대상자(10)의 대상자 신원 정보가 수신되면, 대상자 신원 정보와 데이터베이스(35)에 저장되어 있는 작업자 신원 정보를 비교하여, 작업자 신원 정보중에서 대상자 신원 정보와 동일한 신원 정보를 갖는 작업자가 등록되어 있는 지 판단함으로써, 대상자가 작업자 중 한명인지 판단할 수 있다.In this example, when the subject identity information of the subject person 10 is received from the subject terminal 20,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compares the subject identity information with the operator identity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35, the operator identity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target person is one of the workers by determining whether a worker having the same identity information as the target person's identity information is registered.

작업자 신원 정보는 국적, 성별, 이름, 생년월일, 주민등록번호나 외국인 등록번호와 같은 식별번호 및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nationality, gender, name, date of birth, identification number such as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or alien registration number, and address.

대상자(10)가 등록되어 있는 작업자이면, 판단 제어부(33)는 대상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자(10)의 신체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If the target person 10 is a registered worker, the determination controller 33 may extract data related to the body condition of the target person 10 using the image data of the target person 10 .

판단 제어부(33)는 추출된 신체 상태에 관한 데이터로부터 대상자(10)의 신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자(10)가 현재 음주 상태로 의심되거나 음주 측정을 의무적으로 받아야 되는 작업을 수행중인 음주 측정 대상자인지 판정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may obtain body information of the subject 10 from the data on the extracted physical state, and by using the acquired body information, the subject 10 is suspected of being in a current drinking state or a sobriety measurement is mandator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person is subject to a breathalyzer test while performing a task to be received.

따라서, 해당 대상자가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되면, 음주 측정 대상자는 음주 측정부(312)를 이용하여 음주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if the subject is classified as a drinking test subject, the drinking test subject may perform a drinking test using the sobriety measuring unit 312 .

저장부(34)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3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동작 중에 생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로서, 메모리일 수 있다.The storage unit 34 is a storage medium for storing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30 and data generated during operation, and may be a memory.

따라서, 일 예로 저장부(34)는 촬영부(311)의 촬영 동작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예, 대상자 영상 데이터), 대상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단된 대상자(10)의 신체 정보, 나이에 따른 정상 심박수 범위, 비음주 상태의 일반인에 대한 걸음걸이, 설정 흔들림 정도, 영상 출력 모듈(361)과 음향 출력 모듈(362)로 출력되는 안내 메시지에 관련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Therefore, as an example, the storage unit 34 stores image data generated by the photographing opera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311 (eg, subject image data), body information of the subject 10 determined using the subject image data, and age. The normal heart rate range according to the condition, the gait of an ordinary person in a non-drinking state, the degree of shaking set, and data related to a guide message output to the video output module 361 and the audio output module 362 may be stored.

판단 제어부(33)에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35)는 각 작업자 관련 정보와 작업에 관련된 정보(이하, 작업에 관련된 정보는 '작업 관련 정보'라 칭함)를 저장할 수 있다.The database 35 connected to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may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each operator and information related to a job (hereinafter, information related to a job is referred to as 'job related information').

각 작업자마다 식별정보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각 작업자 관련 정보는 해당 식별정보에 대응되게 데이터베이스(35)에 저장될 수 있다. Since each worker may ha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related to each worker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35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작업자 관련 정보는, 한 예로서, 해당 작업자의 음주 관련 정보(예, 음주사고 이력 및 알코올중독 치료 이력 중 적어도 하나). 작업자 신원 정보, 작업자 얼굴 영상 데이터 및 현재 담당 작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Worker-related information is, for example, alcohol-related information of the worker (eg, at least one of a drinking accident history and alcoholism treatment histor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worker identity information, worker face image data, and a current job.

작업자 얼굴 영상 데이터는 현재 작업장에서 작업자로 등재되어 있는 각 작업자의 얼굴을 촬영한 영상의 데이터일 수 있다. The worker's face image data may be image data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face of each worker registered as a worker in the current workplace.

따라서 작업자로 등재되어 있는 작업자는 신체 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대상자(10)일 수 있다. 본 예에서, 신체 정보의 획득 여부는 작업자가 맡고 있는 담당 작업의 종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Therefore, a worker registered as a worker may be a subject 10 for determining body information. In this example, whether or not to acquire body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job the worker is in charge of.

현재 담당 작업은 각 작업자에게 현재 부여된 업무일 수 있다.The current assigned task may be a task currently assigned to each worker.

담당 작업의 종류는 고소 작업, 화기 취급 작업 및 단순 잡일로 나눠질 수 있다.The type of work in charge can be divided into height work, firearms handling work, and simple chores.

판단 제어부(33)에 의해 판단되어 대상 관련 정보에 저장되는 신체 정보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심박수, 피부색 및 걸음걸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ody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controller 33 and stored in the object-related information may be at least one of heart rate, skin color, and gait.

작업 관련 정보는 현재 작업장에서 행해지고 있는 각 작업에 관한 정보로서, 작업 종류 및 작업 종류 및 위험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음주 측정 필요 여부를 구비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작업 종류에 따른 허용 음주 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 종류는 고소 작업, 화기 취급 작업 및 단순 잡일로 나눠질 수 있다.The work-related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each work currently being performed in the workplace, and may include whether or not a breathalyzer test is requir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type of work, the type of work, and the degree of risk, and may additionally include an allowable drinking level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there is. Work types can be divided into height work, fire handling work, and simple chores.

고소 작업은 정해진 높이(예, 1m) 이상에서 행해지는 작업일 수 있고, 화기 취급 작업은 용접 작업 등과 같이 불을 이용하는 작업일 수 있다.The height work may be a work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eg, 1 m) or higher, and the fire handling work may be a work using fire such as a welding work.

단순 잡일은 전문성을 요구하지 않는 작업으로서, 작업장 쓰레기 정리 및 수거, 제설 작업, 교통 정리 등일 수 있다. Simple chores are tasks that do not require specialization, and may include cleaning and collecting workplace garbage, removing snow, and directing traffic.

작업 종류에 따른 음주 측정 필요 여부는 작업의 위험도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Whether or not a breathalyzer test is necessary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isk of the work.

따라서, 본 예의 경우, 판단 제어부(33)는 고소 작업과 화기 취급 작업인 경우 해당 작업자를 음주 측정이 필요한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할 수 있고, 단순 잡일의 경우에는 음주 측정 필요 여부를 판단하지 않아 무조건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case of this example,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may classify the corresponding worker as a breathalyzer subject requiring a breathalyzer test in case of work at heights and work handling firearms, and in the case of simple chores, it does not determine whether a breathalyzer test is necessary, so it is unconditional. You can do that.

또한, 허용 음주 수치 역시 작업의 위험도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정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단순 잡일과 같이 작업의 난이도가 제일 낮은 경우, 허용 음주 수치의 범위 역시 제일 낮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allowable drinking level may also be determ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isk of the work, and for example, when the difficulty of the work is the lowest, such as simple chores, the range of the allowable drinking level may also be the lowest.

작업 종류는 공정 진행 정보에 따라 해당 작업의 세부 사항이 정해져 데이터베이스(35)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작업자의 현재 담당 작업은 공정 진행 정보에 따라 정해진 세부 사항에 관련된 작업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소 작업의 경우, 금주는 3층 이하의 높이에서 작업이 진행되고, 차주에는 10층 이상의 높이에서 작업이 진행되는 것과 같이, 정해진 기간 단위로 작업의 높이가 정해질 수 있다.For the type of work, details of the corresponding work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process progress information and stored in the database 35 . Accordingly, the current job of each worker may be a job related to detail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ocess progress inform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high-altitude work, the height of the work may be determined in units of a fixed period, such as work being carried out at a height of 3 floors or less during this week, and work being performed at a height of 10 floors or more during a car week.

또한, 화기 취급 작업의 경우, 오늘은 야외에서의 화기 작업, 익일 오전은 실내 지상에서의 화기 작업, 익일 오후는 실내 지하에서의 화기 작업 등과 같이 세부 사항이 정해져 있을 수 있다. Further, in the case of fire handling work, details such as fire work outdoors today, fire work indoors on the ground the next morning, and fire work indoors underground the next afternoon may be determined.

단순 잡일의 경우, 금주는 실외에서의 잡일이고 차주는 실내에서의 잡일로 세부 사항이 정해져 있을 수 있다.In the case of simple chores, the sobriety may be outdoor chores and the car owner may be indoor chores.

이러한 각 작업 종류의 세부 사항에 따라, 해당 작업에 대한 위험도가 변경될 수 있고, 이러한 위험도 변경에 따라 해당 작업에 대한 음주 측정 필요 여부나 허용 음주 수치 등이 변경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details of each type of work, the risk level of the work may change, and depending on the change of risk level, whether or not a breathalyzer test is required for the work or the allowable alcohol level may be changed.

이러한 세부 사항은 음주 상태 판단 장치(30)의 통신부와 통신하는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거나 사용자 입력부(32)를 통해 입력될 수 있고, 판단 제어부(33)의 제어에 따라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35)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se details may be transmitted from a management server that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30 or may be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32, and in real time under the control of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such as the database 35 It can be stored on a storage medium.

대안적인 예에서, 데이터베이스(35)는 생략될 수 있고, 이런 경우, 데이터베이스(35)에 저장된 정보는 저장부(34)와 같이, 음주 상태 판단 장치(30)에 구비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출력부(36)는 시각 및 청각에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영상 출력 모듈(361)과 음향 출력 모듈(362)을 구비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xample, the database 35 may be omitted, and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35 may be stored in a storage medium provided in the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30, such as the storage unit 34. there is. The output unit 36 generates output related to sight and hearing, and may include a video output module 361 and an audio output module 362.

영상 출력 모듈(361)과 음향 출력 모듈(362)은 도 2을 참고하여 이미 기술한 것과 유사하게 판단 제어부(33)의 제어에 따라 판단 제어부(33)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예, 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과 음성을 각각 출력할 수 있다. The video output module 361 and the audio output module 362 are similar to those alread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and data (e.g., video data and audio) output from the determination controller 33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determination controller 33 data) can output video and audio respectively.

따라서, 영상 출력 모듈(361)은 촬영부(311)에 의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 관련된 영상, 예 대상자(10)의 피부색과 걸음걸이의 촬영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image output module 361 may output an image related to the image data acqui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311 , eg, a photographed image of the skin color and gait of the subject 10 .

또한, 영상 출력 모듈(361)과 음향 출력 모듈(362)은 대상자(10)의 촬영 자세를 안내 및 정해진 위치로 대상자(10)의 위치 이동 안내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이 대상자(10)의 촬영 동작 등에 필요한 안내 메시지를 영상(예, 문자)와 음성으로 각각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output module 361 and the sound output module 362 guide the subject 10's shooting posture and guide the subject 10's position movemen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such as at least one of the subject's 10's shooting operation, etc. Necessary guide messages can be output in video (eg, text) and audio respectively.

영상 출력 모듈(361)과 음향 출력 모듈(362)에서 출력되는 각 안내 메시지는 저장부(34)에 이미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Each guide message output from the video output module 361 and the audio output module 362 may be already stored in the storage unit 34 .

다음, 도 4a 내지 도 5을 참고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음주 상태 판단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5 , the operation of the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system having this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여, 해당 대상자가 음주 측정 대상자인지 판정하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30)의 동작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4A and 4B , the operation of the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30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 is a subject to be tested for alcohol consump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어 음주 상태 판단 장치(30)의 동작이 시작되면(S10), 음주 상태 판단 장치(30)의 판단 제어부(33)는 대상자 단말(20)로부터 대상자 신원 정보를 수신한 후 저장할 수 있다(S11).First, when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is supplied and the operation of the drinking state determining device 30 starts (S10),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of the drinking state determining device 30 receives the su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ubject terminal 20. After that, it can be stored (S11).

이를 위한 대상자(10)는, 한 예로서, 자신의 단말인 대상자 단말(20)에서 QR코드를 생성한 후, 음주 상태 판단 장치(30)의 촬영부(311)에 위치한 QR 코드 스캐너가 판독할 수 있도록 한다.For this purpose, the subject 10, as an example, generates a QR code in the subject terminal 20, which is his terminal, and then the QR code scanner located in the photographing unit 311 of the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30 reads it. make it possible

이때, QR 코드에는 대상자(10)의 신원을 알 수 있는 식별번호(예, 주민등록번호나 외국인 등록번호)가 저장될 수 있고, 국적 등이 추가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QR code may store an identification number (eg, a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or an alien registration number) for identifying the subject 10, and may additionally store nationality.

QR 코드 스캐너에 의해 대상자 단말(20)의 출력부(36)로 출력된 QR 코드가 판독되면, QR 코드 스캐너는 판독된 QR 코드를 해석한 후, QR 코드에 저장된 정보를 추출하여 판단 제어부(33)로 출력할 수 있다. When the QR code output to the output unit 36 of the subject terminal 20 by the QR code scanner is read, the QR code scanner analyzes the read QR code and then extracts information stored in the QR code to determine the control unit 33 ) can be output.

따라서, 판단 제어부(33)는 QR 코드 스캐너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대상자신원 정보로서 저장부(34)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may store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QR code scanner in the storage unit 34 as subject identity information.

다음, 판단 제어부(33)는 대상자 단말(20)로부터 전송된 대상자 신원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자(10)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S12).Next,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may confirm the identity of the target person 10 using the target pers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arget person terminal 20 (S12).

이미 기술한 것처럼, 데이터베이스(35)에는 작업장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작업자에 대한 신원 정보인 작업자 신원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As already described, the database 35 stores worker identity information, which is identity information for all workers registered in the workplace.

따라서, 판단 제어부(33)는 데이터베이스(35)에 저장되어 있는 작업자 신원 정보와 판독된 대상자 신원 정보를 비교하여, 판독된 대상자 신원 정보가 작업자 신원 정보 중 하나와 동일한 지 비교할 수 있다(S13).Accordingly, the determination controller 33 may compare the operator identity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35 with the read subject identity information, and compare whether the read subject identity information is the same as one of the operator identity information (S13).

따라서, 데이터베이스(35)에 저장되어 있는 작업자 신원 정보 중 하나와 대상자 신원 정보가 동일한 경우, 판단 제어부(33)는 해당 대상자(10)를 현재 등록되어 있는 작업자 중의 한명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one of the worker identity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35 and the subject identity information are the same,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may determine the subject 10 as one of the workers currently registered.

이러한 동작에 의해, 해당 대상자(10)가 현재 데이터베이스(35)에 등록되어 있는 작업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S13), 판단 제어부(33)는 저장부(34)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대상자(10)는 등록된 작업자가 아니라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부(36)로 출력될 수 있다(S14). 이때, 판단 제어부(33)는 영상 출력 모듈(361)과 음향 출력 모듈(362)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문자와 음성 중 적어도 하나로 해당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By this oper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arget person 10 is not a worker currently registered in the database 35 (S13),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uses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34 to The target person 10 may output a guide message that is not a registered operator to the output unit 36 (S14). 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controller 33 may output the corresponding guide message using at least one of text and voice using at least one of the video output module 361 and the audio output module 362 .

이로 인해, 해당 대상자(10)는 정상적인 작업자인 경우 작업자로의 등록 절차를 확인하여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을 수 있게 된다. Due to this, if the target person 10 is a normal worker,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wrong part by checking the registration procedure as a worker.

하지만, 해당 대상자(10)가 정상적인 작업자가 아닌 경우, 경비원 등에 의해 해당 대상자(10)는 작업장의 출입이 제한될 수 있다.However, if the target person 10 is not a normal worker, the target person 10 may be restricted from entering the workplace by security guards or the like.

하지만, 해당 대상자(10)가 이미 작업자로서 등록되어 있는 정상적인 작업자인 경우(S13), 판단 제어부(33)는 해당 대상자(10)가 부여 받은 자신의 담당 작업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However, if the target person 10 is a normal worker already registered as a worker (S13),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determines whether the target person 10 is in a state in which he can normally perform his assigned task. can do.

따라서, 판단 제어부(33)는 촬영부(3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해당 대상자(10)에 대한 촬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15).Accordingly,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311 to control the photographing operation of the target person 10 (S15).

이로 인해, 촬영부(311)는 판단 제어부(33)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대상자(10)의 신체 촬영을 진행하여 대상자(10)에 대한 영상 데이터인 대상자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photographing unit 311 may obtain subject image data, which is image data of the subject 10, by performing body imaging of the subject 1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

이때, 해당 대상자(10)의 위치가 촬영 범위를 벗어난 장소에 위치한 경우, 촬영부(311)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촬영 제어부는 해당 대상자(10)가 정해진 촬영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저장부(34)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안내 메시지를 출력부(36)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문자와 음성 중 적어도 하나로 해당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location of the target person 10 is located in a place outside the shooting range, the shoot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hooting operation of the shooting unit 311 stores the target person 10 so that it can be located at a predetermined shooting position ( A corresponding guide message stored in 34) may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36. In this case, the corresponding guide message may be output using at least one of text and voice.

이와 같이, 촬영부(311)에 의해, 대상자(10)의 촬영 동작이 완료되면, 촬영부(311)는 촬영 동작에 의해 생성된 대상자 영상 데이터를 판단 제어부(33)로 출력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photographing operation of the target person 10 is completed by the photographing unit 311 , the photographing unit 311 may output the subject image data generated by the photographing operation to the determination controller 33 .

판단 제어부(33)는 촬영부(311)로부터 입력된 대상자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34)에 저장할 수 있다(S16).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may store the subject image data input from the photographing unit 311 in the storage unit 34 (S16).

촬영부(311)에 의한 촬영 동작은 적어도 한 번 수행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각 촬영 동작 시마다 생성되는 대상자 영상 데이터의 개수 역시 적어도 한 개일 수 있다.The photographing operation by the photographing unit 311 may be performed at least once, and thus, the number of subject image data generated for each photographing operation may also be at least one.

예를 들어, 촬영 동작에 의해 생성되는 대상자 영상 데이터는 얼굴 정면에 대한 영상 데이터, 상체 정면에 대한 영상 데이터 및 정해진 장소를 걷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subject image data generated by the photographing operation may be at least one of image data for a front of the face, image data for a front of the upper body, and image data for walking in a predetermined place.

이와 같이, 촬영부(311)에 의해 해당 대상자(10)에 대한 촬영 동작이 완료되어 획득된 대상자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판단 제어부(33)는 대상자 영상 데이터 중에서 얼굴에 관련된 영상 데이터인 얼굴 영상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S17).In this way, when the photographing operation of the subject 10 is completed by the photographing unit 311 and the acquired subject image data is input, the determination controller 33 performs facial image data, which is image data related to a face among the subject image data. can be extracted (S17).

다음, 판단 제어부(33)는 데이터베이스(35)에 저장되어 있는 작업자 얼굴 영상 데이터 중에서 판단된 작업자 신원 정보(즉, 대상자 신원 정보와 동일한 신원 정보를 갖는 작업자의 신원 정보)를 갖는 해당 작업자에 대한 작업자 얼굴 영상 데이터를 선택한 후, 선택된 해당 작업자 얼굴 영상 데이터와 단계(S17)에서 추출된 얼굴 영상 데이터를 서로 비교할 수 있다(S18).Next,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determines the operator's identity information (ie, the identity information of the operator having the same identity information as the subject's identity information) among the operator's face imag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35. After selecting the face image data, the selected worker's face image data and the face image data extracted in step S17 may be compared with each other (S18).

따라서, 판단 제어부(33)는 두 얼굴 영상 데이터의 유사도가 설정 범위 이상으로 두 얼굴, 즉, 대상자의 얼굴과 선택된 해당 작업자의 얼굴이 동일하여 두 사람의 얼굴이 동일인의 얼굴인지 판단할 수 있다(S19).Therefore, the determination controller 33 can determine whether the two faces are the same person because the similarity of the two face image data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range, that is, the subject's face and the selected worker's face are the same ( S19).

두 얼굴 영상 데이터가 동일인의 얼굴 영상 데이터가 아닌 경우(S19), 즉 해당 대상자(10)가 판단된 작업자 신원 정보를 갖는 작업자가 아닌 경우, 판단 제어부(33)는 저장부(34)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대상자(10)는 신원 확인된 작업자가 아니라는 안내 메시지를 문자와 음성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할 수 있다(S110).When the two face image data are not face image data of the same person (S19), that is, when the target person 10 is not a worker having the determined worker identity information,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34 Using the data there is, the corresponding target person 10 may output a guide message that is not an identified operator as at least one of text and voice (S110).

이와 같이, QR 코드를 이용한 작업자 신원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뿐만 아니라 판정된 작업자 신원 정보를 갖는 작업자의 실제 얼굴 영상을 이용하여 해당 대상자(10)가 실질적으로 해당 작업자인지 판단하게 된다.In this wa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arget person 10 is actually the corresponding worker by using not only the operation of checking the worker's identity information using the QR code but also the actual face image of the worker having the determined worker's identity information.

이로 인해, 본 예에서는 대상자(10)의 신원 확인의 정확도 및 신뢰도가 크게 향상되므로, 작업자로 등록되지 않은 사람이 노출된 작업자 신원 정보를 이용하여 정상적인 작업자로서 작업장에 출입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장의 안전이 보장되고 기밀 등의 보안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Due to this, in this example, sinc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target person 10 is greatly improv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erson who is not registered as a worker from entering the workplace as a normal worker using the exposed worker identity information. Thus, the safety of the workplace is guaranteed and security such as confidentiality can be maintained.

하지만, 두 얼굴 영상 데이터가 동일인의 얼굴 영상 데이터로 판단되면(S19), 판단 제어부(33)는 해당 대상자(10)를 정상적으로 등록된 작업자임을 최종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S111). 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wo face image data are the face image data of the same person (S19), the determination controller 33 can finally confirm that the target person 10 is a normally registered worker (S111).

이와 같이, 본 예에서는 작업자 신원 정보뿐만 아니라 실제 대상자(10)의 얼굴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정상적인 작업자인지를 확인하므로, 작업자의 인증 과정에 대한 정확도가 크게 증가한다. As such, in this example, since it is finally confirmed whether the worker is a normal worker using the face of the actual target person 10 as well as the worker identity information, the accuracy of the worker's authentication process is greatly increased.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얼굴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자 확인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이런 경우, QR 코드 등을 이용한 대상자 신원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대상자(10)가 등록되어 있는 작업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However, in an alternative example, the operation of identifying the target person using face image data may be omitt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target person 10 is a registered worker by using the su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ing a QR code or the like.

해당 대상자(10)가 정상적인 작업자로 판단되면(S111), 판단 제어부(33)는 데이터베이스(35)에 저장되어 있는 작업자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작업자 신원 정보를 갖는 작업자(즉, 해당 대상자(10))에게 할당된 현재 담당 작업을 읽어와 해당 담당 작업을 판정할 수 있다(S112).When the corresponding target person 10 is determined to be a normal worker (S111),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determines the operator using the worker-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35, the worker having the determined worker identity information (ie, the corresponding target person 10 )))), it is possible to read the assigned task and determine the corresponding task (S112).

다음, 판단 제어부(33)는 단계(S15)에서 진행된 촬영 동작에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신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13).Next, the determination controller 33 may obtain body information of the subject using image data acquired through the photographing operation performed in step S15 (S113).

이미 기술한 것처럼, 신체 정보는 심박수, 피부색 및 걸음걸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예에서는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필요한 신체 정보를 획득하지만, 이와 달리, 심박수 측정기와 같이 촬영부(311) 이외에 심박수 측정기와 같이 별도의 장비를 추가하여 필요한 신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s already described, the body information may be at least one of heart rate, skin color, and gait. In this example, necessary body information is acquired using acquired image data, but, on the other hand, necessary body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adding a separate device such as a heart rate monitor in addition to the photographing unit 311 such as a heart rate monitor.

다음, 판단 제어부(33)는 획득된 심박수, 피부색 및 걸음걸이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 상태를 갖는 것이 존재하는 지 판단할 수 있다(S114).Next, the determination controller 33 may determine whether at least one of the obtained heart rate, skin color, and gait has an abnormal state (S114).

이때, 심박수는 나이에 따라 정상 심박수 범위가 서로 상이하게 정해져 있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normal heart rate ranges may be se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age of the heart rate.

따라서, 판단 제어부(33)는 대상자의 나이를 판정하여 정상 심박수 범위를 저장부(34)에서 읽어온 후, 획득된 심박수와 판독된 해당 정상 심박수 범위를 비교하여 획득된 심박수가 정상 심박수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determines the age of the subject, reads the normal heart rate range from the storage unit 34, compares the obtained heart rate with the read normal heart rate range, and the obtained heart rate is included in the normal heart rate range. can determine whether

획득된 심박수가 판독된 정상 심박수 범위를 벗어나면, 판단 제어부(33)는 해당 대상자를 음주 측정 대상자로서 분류할 수 있다.If the obtained heart rate is out of the read normal heart rate range, the determination controller 33 may classify the subject as a subject for the alcohol test.

피부색은 음주 상태인 경우, 얼굴, 목 및 귀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이 특정 부위가 빨개지는 경우를 이용하여 음주 측정 필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Skin color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a drinking test is necessary by using a case in which a specific part, such as at least one of the face, neck, and ear, becomes red when in a drinking state.

따라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서 특정 부위(예, 얼굴, 목 및 귀)에 대한 계조값 및 분포 상태를 이용하여 얼굴에서 특정 부위에 대한 피부색인 색상을 판정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lor, which is the skin color of a specific part of the face, can be determined using the gradation value and distribution state of the specific part (eg, the face, neck, and ear) in the captured image data.

이를 위해, 판단 제어부(33)는 작업자 얼굴 영상 데이터에서 특정 부위(예, 얼굴, 목 및 귀)에 대한 계조값 및 분포 상태와 획득된 특정 부위에 대한 피부색을 비교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may compare the gradation value and distribution state of a specific part (eg, face, neck, and ear) in the operator's face image data with the obtained skin color of the specific part.

따라서, 판단 제어부(33)는 해당 대상자(10)의 대상자 영상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특정 부위의 피부색이 데이터베이스(35)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작업자(즉, 해당 대상자(10))에 대한 작업자 얼굴 영상 데이터에 비해 설정 크기 이상으로 특정 부위의 색상이 빨갛고 넓게 분포되어 있는 경우, 해당 대상자(10)를 음주 측정 대상자로서 분류할 수 있다.Therefore, the determination controller 33 determines the operator's face image data for the corresponding worker (ie, the corresponding target person 10) in which the skin color of a specific part obtained from the subject image data of the subject 10 is stored in the database 35. In comparison, if the color of a specific part is red and widely distributed over a set size, the subject 10 may be classified as a subject for drinking.

또한, 음주 시 걸음걸이가 올바르지 않고 비틀거리는 경우가 존재하므로, 걸음걸이를 이용하여 음주 측정 대상자를 분류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a case where the gait is not correct and staggers when drinking, 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 subjects for the alcohol measurement using the gait.

따라서, 판단 제어부(33)는 대상자 영상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대상자(10)의 걸음걸이와 이미 저장부(34)에 저장되어 있는 비음주 상태의 일반인에 대한 걸음걸이를 비교하여 흔들림 정도(예, 비틀거림 정도)를 판정하고, 판정된 흔들림 정도가 설정 흔들림 정도 이상인 경우 해당 대상자(10)를 음주 측정 대상자로서 분류할 수 있다.Therefore,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compares the gait of the subject 10 obtained from the subject image data with the gait of the general public in the non-drinking state already stored in the storage 34 to determine the degree of shaking (eg, staggering). degree of shaking) is determined, and when the determined degree of shaking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shaking degree, the subject 10 may be classified as a subject for a drinking test.

이와 같이, 판단 제어부(33)는 획득된 신체 정보 중에서 비정상적인 신체 정보가 존재할 경우, 해당 대상자(10)를 음주 측정 대상자로 판정할 수 있다(S115).In this way, if there is abnormal body information among the acquired body information, the determination controller 33 may determine the target person 10 as a drinking test subject (S115).

하지만, 현재 대상자(10)가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되지 않는 경우(S114), 판단 제어부(33)는 현재 담당 작업이 음주 측정 필요 여부를 판단해야 하는 위험성이 있는 작업인지 판단할 수 있다.However, if the current subject 10 is not classified as a subject for a breathalyzer test using body information (S114),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task in charge is a risky task for determining whether a breathalyzer test is required or not. can

따라서, 판단 제어부(33)는 판단된 현재 담당 작업과 작업 관련 정보에 기재된 작업 종류에 따른 음주 측정 필요 여부를 비교하여, 현재 담당 작업이 음주 측정이 필요한 작업인지 판단할 수 있다(S116).Accordingly, the determination controller 33 may compare the determined current task and whether or not a breathalyzer measurement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type of task described in the task-related information, and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task requires a breathalyzer test (S116).

판단된 현재 담당 작업이 음주 측정이 필요한 작업인 경우(S116), 판단 제어부는 해당 대상자를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할 수 있다(S117).If the determined current job is a job requiring a sobriety test (S116),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may classify the subject as a sobriety test subject (S117).

하지만, 판단된 현재 담당 작업이 음주 측정이 필요한 작업이 아닌 경우(S116), 판단 제어부(33)는 해당 대상자(10)의 작업자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대상자(10)가 음주 관련 정보를 갖고 있는 지, 즉 해당 대상자(10)가 음주사고 이력이나 알코올중독 치료 이력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S118).However, if the determined current task is not a task requiring alcohol measurement (S116),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uses the worker-related information of the subject 10 to determine whether the subject 10 has drinking-related information. 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ubject 10 has a drinking accident history or a history of alcoholism treatment (S118).

해당 대상자(10)가 음주 관련 정보를 갖고 있는 상태로 판단되면(S118), 판단 제어부(33)는 해당 대상자(10)를 음주 측정 대상자로서 분류할 수 있다(S119).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arget person 10 has drinking-related information (S118),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may classify the target person 10 as a drinking measurement target (S119).

이와 같이, 판단 제어부(33)는 해당 대상자의 신체 정보, 현재 담당 작업 및 음주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대상자(10)가 음주 측정 대상자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장에 투여되는 작업자가 음주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음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 사고의 위험 및 부실 공사에 대한 우려가 크게 감소하거나 해소될 수 있다.As such,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may determine whether the subject 10 is a subject to be tested for alcohol consumption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subject's body information, current task, and drinking-related information. As a result, since the worker who is administered to the workplace is prevented from performing work while intoxicated,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nd concerns about poor construction caused by drinking can be greatly reduced or eliminated.

이와 같이, 해당 대상자가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되면(S115, S117, S119), 판단 제어부(33)는 출력부(36)를 이용하여 해당 대상자는 음주 측정 대상자로서 해당 작업을 바로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고 음주 측정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음성과 문자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여 해당 대상자(10)에게 음주 측정부(312)를 이용한 음주 측정을 요청할 수 있다(S120).In this way, when the subject is classified as a subject for a sobriety test (S115, S117, S119),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uses the output unit 36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task immediately as a subject for a sobriety test. It is possible to request a sobriety measurement using the sobriety measurement unit 312 to the target person 10 by outputt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a sobriety measurement is not required by at least one of voice and text messages (S120).

이에 따라,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된 대상자는 음주 측정부(312)를 이용하여 음주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a subject classified as a drinking test subject may perform a drinking test using the alcohol measuring unit 312 .

하지만, 단계(S118)에서, 해당 대상자(10)에 대한 음주 관련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판단 제어부(33)는 해당 대상자(10)가 음주 관련 문제가 없는 사람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판단 제어부(33)는 해당 대상자(10)는 별도의 음주 측정이 불필요한 사람인 정상 대상자로 분류한 후(S121), 출력부(36)를 통해 본 대상자(10)는 정상 대상자로서 음주 측정 없이 바로 해당 작업에 투입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122).However, in step S118, when there is no drinking-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person 10, the determination controller 33 may determine that the target person 10 has no drinking-related problem. Therefore,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classifies the subject 10 as a normal subject who does not need a separate alcohol measurement (S121), and then the subject 10 viewed through the output unit 36 is a normal subject without alcohol measurement. It is possible to output a message prompting immediate input into the corresponding task (S122).

이러한 판단 제어부(33)의 동작에 의해, 작업장에 투입되는 작업자는 자신의 신체 상태, 작업의 위험도 또는 음주 관련 정보에 따라 음주 측정 여부를 판정 받으므로, 음주 상태에서 위험성이 높은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By the operation of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the worker who is put into the workplace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measure alcohol consumption according to his or her physical condition, work risk, or drinking-related information, so it is better to perform high-risk work while intoxicated. may be blocked.

다음, 도 5를 참고하여, 음주 측정 대상자에 대한 음주 측정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30)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5 , the operation of the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30 that performs the alcohol measurement control operation for the drinking test subject will be described.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된 대상자(10)는 음주 측정부(312)를 이용하여 음주 측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음주 측정을 실시하는 대상자는 음주 측정 전에 자신의 식별번호와 같은 대상자 신원 정보를 사용자 입력부(32) 등을 이용하여 입력한 후, 음주 측정을 실시할 수 있다.The target person 10 classified as a drinking test subject may perform a drinking test using the breathalyzer 312 . In this case, the subject to be tested for alcohol consumption may perform the alcohol measurement after inputting the subject's identity information such as his or her identification number using the user input unit 32 or the like before the alcohol measurement.

따라서, 판단 제어부(33)는 입력된 대상자 신원 정보는 판독하여 저장부(34)에 저장할 수 있다(S21).Therefore,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may read the input su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34 (S21).

또한, 음주 측정부(312)는 음주 측정 대상자에 대한 음주 측정이 완료되면, 해당하는 음주 측정 수치를 생성한 후,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생성된 음주 측정 수치를 판단 제어부(33)로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eathalyzer 312 may generate a corresponding breathalyzer measurement value when the alcohol measurement of the alcohol test subject is completed, and then output the generated breathalyzer measurement value to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through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there is.

따라서, 판단 제어부(33)는 음주 측정부(312)로부터 음주 측정 수치가 입력되면, 음주 측정 수치를 판독하여 입력된 대상자 신원 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부(34)에 저장할 수 있다(S22).Accordingly, when the drinking measurement value is input from the drinking measurement unit 312, the determination controller 33 may read the drinking measurement value and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34 corresponding to the input su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22).

이와 같이, 음주 측정을 실시한 대상자인 음주 측정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 신원 정보와 음주 측정 수치가 저장되면, 판단 제어부(33)는 대상자 신원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작업자 즉, 해당 음주 측정 대상자의 작업 종류 및 작업의 위험도를 판정할 수 있다(S23).In this way, when the subject identity information and the breathalyzer measurement value of the subject who performed the breathalyzer test are stored,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uses the subject identity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type and task of the corresponding worker, that is, the breathalyzer test subjec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egree of risk (S23).

그런 다음, 판단 제어부는 판정된 작업 종류 및 작업의 위험도에 따라 해당하는 허용 음주 수치를 판단할 수 있다(S24).Then,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may determine a permissible drinking level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ype of work and the degree of risk of the work (S24).

허용 음주 수치는 작업 종류나 작업의 위험도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정해질 수 있으므로, 대상자마다 서로 다른 허용 음주 수치를 가질 수 있다.Since the allowable drinking level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or the risk of the work, each subject may have a different allowable drinking level.

예를 들어, 작업 종류가 고속 작업이나 화기 취급 작업인 경우, 담당 작업의 위험도에 무관하게 동일한 허용 음주 수치가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type of work is high-speed work or firearms handling work, the same permissible drinking level may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risk level of the work in charge.

하지만, 고속 작업의 경우, 위험도에 따라 서로 다른 허용 음주 수치가 적용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high-speed work, different permissible drinking levels may be appli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risk.

또한, 작업 종류가 단순 잡일의 경우, 위험도에 따라 서로 다른 허용 음주 수치가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ype of work is a simple chore, different allowable drinking levels may be appli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risk.

이와 같이, 작업 종류 및 위험도 적어도 하나에 따른 허용 음주 수치가 판정되면, 판단 제어부(33)는 측정된 음주 측정 수치와 해당 대상자(10)에 대한 허용 음주 수치를 비교할 수 있다(S25).In this way, when the allowable drinking level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and at least one degree of risk is determined,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may compare the measured drinking level with the allowable drinking level for the target person 10 (S25).

음주 측정 수치가 허용 음주 수치 이하인 경우경우(S25), 판단 제어부(33)는 해당 대상자(10)는 담당 작업이 가능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S26).If the drinking measurement value is less than the allowable drinking value (S25),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may determine that the target person 10 is in a state in which the task in charge is possible (S26).

따라서, 판단 제어부(33)는 출력부(36)의 영상 출력 모듈(361)과 음향 출력 모듈(36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작업 가능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27).Accordingly,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may output an operation availability messag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video output module 361 and the audio output module 362 of the output unit 36 (S27).

하지만, 음주 측정 수치가 허용 음주 수치를 초과한 경우(S25, 판단 제어부(33)는 해당 대상자(10)의 현재 음주 수치가 담당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S28).However, if the drinking measurement value exceeds the allowable drinking value (S25),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may determine that the current drinking level of the target person 10 cannot safely perform the task in charge (S28).

따라서, 판단 제어부(33)는 출력부(36)의 영상 출력 모듈(361)과 음향 출력 모듈(36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작업 불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29).Accordingly,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33 may output an operation disable messag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video output module 361 and the audio output module 362 of the output unit 36 (S29).

이와 같이,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된 대상자(10)에 대한 음주 측정을 실제로 수행하므로, 음주 측정 대상자가 실제로 현재 음주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담당 작업에 대한 수행 여부가 정해질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alcohol measurement is actually performed on the subject 10 classified as a drinking test subjec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rinking test subject is actually in a current drinking state, and accordingly, whether or not to perform the task in charge can be determined.

따라서, 음주 상태로 작업을 수행할 때, 발생하는 수 있는 사고의 위험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Therefore, the risk of accidents that may occur when performing work in a drunken state can be greatly reduced.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rresponding embodiment, and unless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may be merged and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refore, in each embodiment, each technical feature is mainly described, but each technical feature may be merged and applied to each other unless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from the viewpoi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of this specification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se claims.

10: 대상자 20: 대상자 단말
30: 음주 상태 판단 장치 311: 촬영부
312: 음주 측정부 33: 판단 제어부
34: 저장부 35: 데이터베이스
36: 출력부 361: 영상 출력 모듈
362: 음향 출력 모듈
10: subject 20: subject terminal
30: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311: photographing unit
312: alcohol measurement unit 33: determination control unit
34: storage unit 35: database
36: output unit 361: video output module
362: sound output module

Claims (19)

대상자를 촬영하여, 대상자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대상자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판단 제어부;
상기 판단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작업자에 대한 음주 관련 정보, 작업자 신원 정보와 작업자의 현재 담당 작업을 포함하는 작업자 관련 정보 및 작업 종류에 따른 필수 장비의 종류와 장착 위치, 그리고 작업 종류 및 위험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음주 측정 필요 여부를 포함하는 작업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 및
상기 판단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 제어부는,
대상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자의 대상자 신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대상자 신원 정보와 상기 작업자 신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상자가 등록되어 있는 작업자인지 판단하고,
상기 대상자가 등록되어 있는 작업자이면, 상기 대상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의 신체 상태에 관련된 신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대상자에 대한 신체 정보, 현재 담당 작업 종류 및 위험도 중 적어도 하나, 그리고 음주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가 음주 측정이 필요한 음주 측정 대상자인지 판단하고,
상기 대상자가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되면, 상기 대상자에 대한 음주 측정을 요청하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nd generating subject image data;
a determination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photographing unit and receiving the subject image data;
Connected to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at least one of worker-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lcohol-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worker, worker identity information, and the worker's current task, the type and mounting position of essential equip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and the type of work and the degree of risk a storage medium that stores work-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or not a breathalyzer test is required; and
An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including,
The decision control unit,
When the subject identity information of the subject is received from the subject terminal, the subject identity information and the worker identity information are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 subject is a registered worker,
If the subject is a registered operator, obtaining body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ject's physical condition using the subject image data;
Using at least one of physical information about the subject, the type of job currently in charge and the level of risk, and alcohol-related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 is a subject for a sobriety test requiring a sobriety test,
When the subject is classified as a sobriety test subject, requesting a sobriety test for the subject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음주 측정을 실시하여 음주 측정 수치를 생성하여 상기 판단 제어부로 출력하는 음주 측정부
를 더 포함하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breathalyzer measuring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performs a sobriety test, generates a sobriety measurement value,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음주 측정부로부터 음주 측정 대상자에 대한 음주 측정 수치가 입력되면,
상기 대상자 신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음주 측정 대상자에 대한 작업 종류와 위험도를 판정하고,
판정된 작업 종류 및 위험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정해진 상기 음주 측정 대상자에 대한 허용 음주 수치를 판정하여 상기 음주 측정 수치와 비교하고,
상기 음주 측정 수치가 상기 허용 음주 수치를 초과하면 상기 음주 측정 대상자는 해당 작업이 불가능한 상태로 판정하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decision control unit,
When a breathalyzer measurement value for a person to be tested for alcohol is input from the breathalyzer,
Determining the type of work and the degree of risk for the person subject to the sobriety test using the su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termining an allowable drinking level for the subject for the sobriety test, which is determin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determined type of work and the degree of risk, and comparing it with the alcohol level;
If the breathalyzer measurement value exceeds the allowable drinking value, the alcohol measurement target is determined to be in a state in which the corresponding task is impossible.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정보는 심박수, 피부색 및 걸음걸이를 포함하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information includes heart rate, skin color, and gait.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의 심박수가 상기 대상자의 나이에 따른 정상 심박수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대상자를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하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classifies the subject as a sobriety test subject when the heart rate of the subject is out of a normal heart rate rang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subject.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관련자 관련 정보는 상기 대상자에 대한 작업자 얼굴 영상 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 영상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특정 부위의 부피색이 상기 대상자에 대한 작업자 영상 데이터에 비해 설정 크기 이상으로 상기 특정 부위의 색상이 빨갛고 넓게 분포되는 경우, 상기 대상자를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하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worker-related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worker face image data for the target person,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measures the subject's sobriety when the volume color of a specific part obtained from the subject image data of the subject is red and widely distributed by a set size or more than the worker image data of the subject. A drinking state judgment device that classifies as a subject.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 영상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상기 대상자의 걸음걸이와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비음주 상태의 일반인에 대한 걸음걸이를 비교하여 흔들림 정도를 판정하고, 판정된 흔들림 정도가 설정 흔들림 정도 이상이면 상기 대상자를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하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compares the gait of the target person obtained from the subject image data of the subject with the gait of an ordinary person in a non-drinking st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to determine the degree of shaking, and determines the degree of shaking A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for classifying the subject as a sobriety measurement subject if the shaking degre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shaking degre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주 관련 정보는 음주사고 이력 및 알코올중독 치료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가 음주사고 이력이나 알코올중독 치료 이력이 존재하면 상기 대상자를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하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rinking-relate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drinking accident history and an alcohol addiction treatment history,
Wherein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classifies the subject as a sobriety test subject if the subject has a drinking accident history or alcohol addiction treatment histor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자 신원 정보는 QR 코드로 전송되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in which the su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as a QR code.
제1 항에서,
상기 작업자 관련자 관련 정보는 작업자 얼굴 영상 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가 등록되어 있는 작업자이면, 상기 대상자 영상 데이터에서 얼굴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얼굴 영상 데이터와 상기 작업자 얼굴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대상자와 작업자의 얼굴이 동일하면, 상기 대상자는 등록된 작업자임을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
In paragraph 1,
The worker-related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worker face image data,
The decision control unit,
If the subject is a registered worker, extracting face image data from the subject image data,
Comparing the extracted face image data with the operator's face image data, and finally confirming that the subject is a registered operator if the faces of the subject and the operator are the same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판단 제어부는 대상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대상자 신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 신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판단 제어부는 촬영부로부터 입력되는 대상자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의 신체 상태에 관련된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에 대한 신체 정보, 현재 담당 작업 종류 및 위험도 중 적어도 하나, 그리고 음주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가 음주 측정이 필요한 음주 측정 대상자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가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되면, 상기 대상자에 대한 음주 측정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의 제어 방법.
Receiving, by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su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confirming the subject's identity;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confirming the identity of the subject based on the identity information of the subject;
receiving, by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subject image data input from a photographing unit;
acquiring, by the determination controller, body information related to a physical state of the subject using the subject image data;
determining, by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whether the subject is a subject for a sobriety test requiring a sobriety test, by using at least one of body information, a current job type and a risk level, and alcohol-related information; and
requesting, by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a sobriety measurement for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classified as a subject for alcohol consumption measurement;
Control method of a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comprising a.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제어부는 음주 측정부로부터 음주 측정 대상자에 대한 음주 측정 수치가 입력되면, 상기 대상자 신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음주 측정 대상자에 대한 작업 종류와 위험도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판단 제어부는 판정된 작업 종류 및 위험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정해진 상기 음주 측정 대상자에 대한 허용 음주 수치를 판정하여 상기 음주 측정 수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음주 측정 수치가 상기 허용 음주 수치를 초과하면 상기 음주 측정 대상자는 해당 작업이 불가능한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determining, by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a work type and a degree of risk for the sobriety measurement target using the subject's identity information when the sobriety level of the sobriety measurement target is input from the sobriety measurement unit;
determining, by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an allowable drinking level for the person to be tested for drinking, which is determin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determined type of work and the level of risk, and comparing the drinking level with the measuring level; and
Determining, by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that the alcohol measurement subject is in a state in which the corresponding task is impossible when the drinking level exceeds the allowable drinking level.
A control method of a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정보는 심박수, 피부색 및 걸음걸이를 포함하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The body information includes heart rate, skin color and gait.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주 측정 대상자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자의 심박수가 상기 대상자의 나이에 따른 정상 심박수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대상자를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하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lcohol is subject to measurement is
If the heart rate of the subject is out of the normal heart rate rang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subject, the control method of the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classifies the subject as a sobriety test subject.
제13에 있어서,
상기 음주 측정 대상자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 영상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특정 부위의 부피색이 상기 대상자에 대한 작업자 영상 데이터에 비해 설정 크기 이상으로 상기 특정 부위의 색상이 빨갛고 넓게 분포되는 경우, 상기 대상자를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하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의 제어 방법.
In the thirteenth,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lcohol is subject to measurement is
When the volume color of a specific part obtained from the subject image data for the subject is red and widely distributed by a set size or more than the operator image data for the subject, classifying the subject as a drinking test subject A control method of a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주 측정 대상자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 영상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상기 대상자의 걸음걸이와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비음주 상태의 일반인에 대한 걸음걸이를 비교하여 흔들림 정도를 판정하고, 판정된 흔들림 정도가 설정 흔들림 정도 이상이면 상기 대상자를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하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 is subject to a drinking test compares the gait of the subject obtained from the subject image data of the subject with the gait of an ordinary person in a non-drinking st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to determine a degree of shaking, A control method of a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for classifying the subject as a sobriety test subject if the determined shaking degre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shaking degree.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주 측정 대상자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자가 음주사고 이력이나 알코올중독 치료 이력이 존재하면 상기 대상자를 음주 측정 대상자로 분류하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 is a drinking alcohol test subject, if the subject has a drinking accident history or a history of alcoholism treatment, classifying the subject as a drinking test subject.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QR 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QR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The step of confirming the identity of the target person reads the QR code transmitted from the target person terminal and uses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R code to confirm the identity of the target person.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가 등록되어 있는 작업자이면, 상기 대상자 영상 데이터에서 얼굴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판단 제어부는 추출된 얼굴 영상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작업자 얼굴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와 작업자의 얼굴이 동일하면, 상기 대상자는 등록된 작업자임을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주 상태 판단 장치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extracting face image data from the subject image data if the subject is a registered worker;
Comparing, by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the extracted face image data with operator's face image data stored in a database; and
When the face of the subject and the operator is the same, the determination controller finally confirms that the subject is a registered operator.
A control method of a drin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KR1020210164813A 2021-11-25 2021-11-25 Apparatus for determinating drunken condi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07749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813A KR20230077494A (en) 2021-11-25 2021-11-25 Apparatus for determinating drunken condi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813A KR20230077494A (en) 2021-11-25 2021-11-25 Apparatus for determinating drunken condi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494A true KR20230077494A (en) 2023-06-01

Family

ID=86770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813A KR20230077494A (en) 2021-11-25 2021-11-25 Apparatus for determinating drunken condi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7494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088B1 (en) 2004-07-20 2006-11-23 최진관 An apparatus For Identify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KR20130030911A (en) 2011-09-20 2013-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condition by using bio signal
KR20170016136A (en) 2015-08-03 2017-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to determine a biological sta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088B1 (en) 2004-07-20 2006-11-23 최진관 An apparatus For Identify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KR20130030911A (en) 2011-09-20 2013-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condition by using bio signal
KR20170016136A (en) 2015-08-03 2017-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to determine a biological st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5210B1 (en) Passenger management device and passenger management method
CN108986245A (en) Work attendance method and terminal based on recognition of face
CN112749413B (en) Authority verification device and method based on intelligent park management
JP5151931B2 (en) Authentication system, authentication device, authentication target terminal, authentication method, authentication device program, and authentication target terminal program
CN110096974A (en) A kind of sight spot tourist based on recognition of face enters the method and system of garden veritification
JP7111531B2 (en) relief system
US11277741B2 (en) Authentication system for an at least partly autonomous vehicle
CN109800656B (en) Positioning method and related product
US20180089500A1 (en) Portable identification and data display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230077494A (en) Apparatus for determinating drunken condi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3129334A (en) Object track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wearable electronic equipment
KR102234164B1 (en) Drinking accident prevention system using contact type drinking measurement sensor and the method of preventing drinking accident using the same
JP2006235865A (en) Support instruction system, support instruction decision apparatus, support instruction method and support instruction decision program
KR20130134334A (en) Mover tracking system and a method using the same
KR20160100740A (en) Missing child loca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498087B1 (en) Method for providing pass including QR code and management server for the same
KR20230077492A (en) Apparatus for determinating physical condi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06132A (en) Chair for drawing blood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drawing blood using thereof
JP2019121259A (en) Entrance/exit management apparatus and entrance/exit management system
KR20160131815A (en) Identity and the current position of inpatient Authentication Method
JP7226464B2 (en) Face authentication destination floor registration device, elevator system
KR102360549B1 (en)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work site
KR10248153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alking assistance service
TWI824593B (en) Intelligent access control monitoring method
US20230206712A1 (en) Store-entry management apparatus, store-entry manag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