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7461A - Challenge-up textbook for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 Google Patents

Challenge-up textbook for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7461A
KR20230077461A KR1020210164750A KR20210164750A KR20230077461A KR 20230077461 A KR20230077461 A KR 20230077461A KR 1020210164750 A KR1020210164750 A KR 1020210164750A KR 20210164750 A KR20210164750 A KR 20210164750A KR 20230077461 A KR20230077461 A KR 20230077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learning
management
week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7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05567B1 (en
Inventor
김은주
Original Assignee
김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주 filed Critical 김은주
Priority to KR1020210164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567B1/en
Publication of KR20230077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4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5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9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printed 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 설정된 달의 일정을 계획할 수 있는 달계획관리영역; 및 기 설정된 달의 각 주 마다 주어지는 미션을 확인하고, 각 주에 따른 활동 내역 또는 학습 내역이 표시되는 주계획관리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nth plan management area capable of planning a preset month schedule; And a week planning management area in which missions given for each week of a preset month are checked and activity details or learning details according to each week are displayed; Challenge-up textbooks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comprising can provide.

Description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CHALLENGE-UP TEXTBOOK FOR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Challenge-up textbook for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CHALLENGE-UP TEXTBOOK FOR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본 발명은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llenge-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각 가정에서는 유아 교육의 학습 능력에 따라 적합한 교재를 선택하여 유아들에게 교육을 가르치고 있으며, 이러한 학습은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러 가지 교재 및 방법이 제시되어져 왔다.Each family selects suitable textbooks according to the learning abi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eaches education to young children, and various textbooks and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allow such learning to occur naturally through play.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은 그림책(동화책) 또는 별도의 학습교재 등을 통하여 언어를 학습하고, 그림책을 통해 언어를 학습할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 필요한 의사소통 능력과, 규율 및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 등을 습득하게 된다.In general, children learn language through picture books (children's books) or separate learning materials, and not only learn language through picture books, but also acquire communication skills necessary for daily life, discipline, and a mind to be considerate of others. will do

그러나, 규율 및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이나 창의력, 협응력, 자신감, 성취감 등은 그림책을 읽거나 문제집을 푸는 학습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또한, 체험 활동 없이 문제푸는 학습으로만 이루어지는 경우 유아의 학습에 대한 흥미를 떨어트리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limit to learning discipline and caring for others, creativity, coordination, self-confidence, and achievement by reading picture books or solving problem books. In addition, when only problem-solving learning is performed without experiential activiti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young children's interest in learning is reduc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7682호(2016.12.23.)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47682 (2016.12.23.)

본 발명은, 유아가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미션을 수행하며, 자기 관리, 일정관리, 미션 해결을 통한 성취감 및 자신감을 높일 수 있는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llenge-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in which young children can plan themselves, perform missions, and increase their sense of achievement and confidence through self-management, schedule management, and mission resolution.

또한, 미션과 체험활동을 통해 규율 및 타인을 배려하고 감사하는 마음과 같은 인성 교육이 가능한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rough missions and experiential activities, it is to provide challenge-up textbooks that enable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that can educate character such as discipline and caring for and appreciation for oth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 설정된 달의 일정을 계획할 수 있는 달계획관리영역; 및 기 설정된 달의 각 주 마다 주어지는 미션을 확인하고, 각 주에 따른 활동 내역 또는 학습 내역이 표시되는 주계획관리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nth plan management area capable of planning a preset month schedule; And a week planning management area in which missions given for each week of a preset month are checked and activity details or learning details according to each week are displayed; Challenge-up textbooks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comprising provides

또한, 상기 달계획관리영역은, 기 설정된 달에 해당하는 달력이 표시되는 달력표시영역; 기 설정된 달의 일정을 계획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관리가이드영역; 및 기 설정된 주제에 대해 쓰여진 교육문장표시부를 포함하여 인성교육이 가능한 인성교육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th plan management area may include a calendar display area displaying a calendar corresponding to a preset month; A management guide area that guides you to plan and check a preset monthly schedu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hallenge-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또한, 상기 주계획관리영역은, 각 주의 요일별 미션과, 미션 수행 여부를 체크할 수 있도록, 각 주별로 형성되는 첫째주관리영역, 둘째주관리영역, 셋째주관리영역, 넷째주관리영역; 및 단어 학습, 상식 학습, 인성 학습을 포함하는 학습을 유도하는 학습영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ek planning management area includes a first week management area, a second week management area, a third week management area, and a fourth week management area formed for each week so as to check missions for each day of the week and whether missions are performed; and a learning area that induces learning including word learning, common sense learning, and personality learn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hallenge-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comprising a.

또한, 상기 주계획관리영역은, 게임 또는 미션 활동을 통해 학습이 가능하도록 방법을 안내하는 게임영역; 단어 학습, 상식 학습, 인성 학습을 포함하는 학습 내용을 표시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영역; 및 체험 활동을 통해 학습이 가능하도록 체험 활동 방법을 안내하는 활동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plan management area, a game area for guiding a method to enable learning through game or mission activities; an information provision area that provides information by displaying learning contents including word learning, common sense learning, and personality learn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hallenge-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d an activity area for guiding experiential activity methods so that learning is possible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또한, 상기 주계획관리영역은, 상기 첫째주관리영역, 둘째주관리영역, 셋째주관리영역 및 넷째주관리영역 중 하나와, 학습영역, 게임영역, 정보제공영역 및 활동영역 중 하나 이상이 세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planning management area includes one of the first week management area, the second week management area, the third week management area, and the fourth week management area, and at least one of the learning area, game area, information provision area, and activity area.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hallenge-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characterized by being made.

또한, 상기 첫째주관리영역, 상기 학습영역, 상기 게임영역 및 상기 정보제공영역이 세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둘째주관리영역, 상기 학습영역, 상기 게임영역 및 상기 정보제공영역이 세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셋째주관리영역, 상기 학습영역 및 상기 활동영역이 세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넷째주관리영역, 상기 학습영역 및 상기 정보제공영역이 세트로 이루어지며, 순서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ain management area, the learning area, the game area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area are made of a set, the second main management area, the learning area, the game area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area are made of a set, The third week management area, the learning area, and the activity area are made of a set, and the fourth week management area, the learning area, and the information provision area are made of a set, and the self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performed in order. Challenge-up textbooks that enable management learning can be provided.

또한, 기 설정된 달을 마무리하며 학습을 정리하는 학습마무리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학습마무리영역은, 기 설정된 주제와 관련된 지식 습득이 가능한 내용이 표시되는 이달의학습영역; 및 학습한 내용을 확인하는 이달의학습확인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learning finishing area for arranging learning by finishing a predetermined month, and the learning finishing area includes: a learning area for this month in which contents capable of acquiring knowledge related to a predetermined subject are display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hallenge-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d a learning confirmation area of the month to confirm the learned contents.

또한, 상기 학습마무리영역은, 친구들의 명함을 부착하는 명함부착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rning finishing area can provide challenge-up textbooks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business card attachment area for attaching business cards of friend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유아가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미션을 수행하며, 자기 관리, 일정관리, 미션 해결을 통한 성취감 및 자신감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ants can make plans on their own, perform missions, and increase a sense of achievement and confidence through self-management, schedule management, and mission resolution.

또한, 미션과 체험활동을 통해 규율 및 타인을 배려하고 감사하는 마음과 같은 인성 교육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rough missions and experiential activities, it is possible to educate students on discipline and character, such as caring for and appreciating oth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표지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주미션성공확인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동기부여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추천활동표시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달력표시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관리가이드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인성교육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첫째주관리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학습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게임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정보제공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둘째주관리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학습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게임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정보제공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셋째주관리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학습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활동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정보제공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넷째주관리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학습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정보제공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이달의학습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이달의학습확인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명함부착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자율활동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상장부착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상장제공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자료제공영역을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cover area of a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main mission success confirmation area of a challenge-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motivation area of a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 recommended activity display area of a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alendar display area of a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a management guide area of a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diagrams showing the personality education area of the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first week management area of the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learning area of a challenge-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game area of a challenge-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showing an information provision area of a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week management area of the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 learning area of a challenge-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showing a game area of a challenge-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iagram showing an information provision area of a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the third week management area of the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a learning area of a challenge-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diagram showing an activity area of a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diagram showing an information provision area of a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view showing the fourth main management area of a challenge-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view showing a learning area of a challenge-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diagram showing an information provision area of a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view showing this month's learning area of a challenge-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view showing this month's learning confirmation area of the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diagram showing a business card attachment area of a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view showing an autonomous activity area of a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diagram showing a listing attachment area of a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diagram showing a listing provision area of a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view showing a data provision area of a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one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표지영역(11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주미션성공확인영역(12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동기부여영역(130)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cover area 110 of a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diagram showing the main mission success confirmation area 120 of the challenge-up textbook capable of managed learning, and FIG. 3 is a motivation area 130 of the challenge-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s a drawing showing.

도 1 내지 도 30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는 다양한 체험 활동이나 미션 수행과 같은 활동적인 학습을 통해 학습자의 성취감과 자신감 발달, 감사하는 마음과 배려하는 마음 등 인성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고, 자신의 일정을 계획하고 자기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자기주도학습이 가능하도록 학습시킬 수 있다.Challenge-up textbooks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S. Personality education such as self-esteem and caring mind can be made possible, and self-directed learning can be taught by making it possible to plan one's own schedule and self-management.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는 유아의 연령별로 그림책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가 제작될 수 있다. 일 예로,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는 12권이 제작될 수 있으며, 5세, 6세 및 7세 연령에 따라 제작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challenge-up textbooks capable of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may be produc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icture books for each age of the child. For example, 12 Challenge Up textbooks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may be produced, and may be produced according to the ages of 5, 6, and 7 years old.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는 도 1 내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영역(110), 주미션성공확인영역(120), 동기부여영역(130), 달계획관리영역(140), 주계획관리영역(150), 학습마무리영역(160) 및 자료제공영역(17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동기부여영역(130)에서 동기를 부여하고, 달계획관리영역(140)에서 그 달의 전체적인 일정을 관리하고, 주계획관리영역(150)에서 각 주별로 미션 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0, the challenge-up textbooks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include a cover area 110, a main mission success confirmation area 120, a motivation area 130, and a monthly plan management area (140), the main plan management area 150, the learning finish area 160 and the data provision area 170 may be included. That is, it is possible to motivate in the motivation area 130, manage the overall schedule for the month in the month plan management area 140, and check whether the mission is completed for each week in the week plan management area 150.

표지영역(110), 주미션성공확인영역(120), 동기부여영역(130), 달계획관리영역(140), 주계획관리영역(150), 학습마무리영역(160) 및 자료제공영역(170) 각각은 하나의 각 페이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 영역은 책의 페이지 1장을 구성하는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페이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각 영역을 포함하는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는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책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Cover area 110, main mission success confirmation area 120, motivation area 130, month plan management area 140, week plan management area 150, learning finishing area 160, and data provision area 170 ) can be made up of one each page. In addition, each area is not limited to constituting one page of a book, and may consist of a plurality of pages. Therefore, the challenge-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including each of the above areas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ook including a plurality of pages.

또한,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는 학습방법제시부(1101), 미션제시부(1102), 미션스티커부착부(1103), 블랭크부(1104), 교육이미지표시부(1105), 교육문장표시부(1106), 언어표시부(1107), 이미지표시부(1108), 질문표시부(1109), 선택보기표시부(1110), 게임설명부(1111) 및 스티커카드(1112)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hallenge Up textbook, which allows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includes a learning method presentation part 1101, mission presentation part 1102, mission sticker attachment part 1103, blank part 1104, education image display part 1105, education A sentence display unit 1106, a language display unit 1107, an image display unit 1108, a question display unit 1109, a selection view display unit 1110, a game description unit 1111, and a sticker card 1112 may be included.

학습방법제시부(1101), 미션제시부(1102), 미션스티커부착부(1103), 블랭크부(1104), 교육이미지표시부(1105), 교육문장표시부(1106), 언어표시부(1107), 이미지표시부(1108), 질문표시부(1109), 선택보기표시부(1110), 게임설명부(1111) 및 스티커카드(1112)는, 각 페이지를 구성하는 표지영역(110), 주미션성공확인영역(120), 동기부여영역(130), 달계획관리영역(140), 주계획관리영역(150), 학습마무리영역(160) 및 자료제공영역(170)에 표시되는 구성일 수 있다.Learning method presentation unit 1101, mission presentation unit 1102, mission sticker attachment unit 1103, blank unit 1104, education image display unit 1105, education sentence display unit 1106, language display unit 1107, image display unit ( 1108), question display unit 1109, selection view display unit 1110, game description unit 1111, and sticker card 1112 include a cover area 110 constituting each page, a main mission success confirmation area 120, It may be a configuration displayed in the motivation area 130, the month plan management area 140, the week plan management area 150, the learning finish area 160, and the data provision area 170.

다시 말해, 표지영역(110), 주미션성공확인영역(120), 동기부여영역(130), 달계획관리영역(140), 주계획관리영역(150), 학습마무리영역(160) 및 자료제공영역(170) 각각의 영역에 학습방법제시부(1101), 미션제시부(1102), 미션스티커부착부(1103), 블랭크부(1104), 교육이미지표시부(1105), 교육문장표시부(1106), 언어표시부(1107), 이미지표시부(1108), 질문표시부(1109), 선택보기표시부(1110), 게임설명부(1111) 및 스티커카드(1112)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cover area 110, main mission success confirmation area 120, motivation area 130, month plan management area 140, main plan management area 150, learning finishing area 160, and data provision In each area of the area 170, a learning method presentation unit 1101, mission presentation unit 1102, mission sticker attachment unit 1103, blank unit 1104, education image display unit 1105, education sentence display unit 1106, language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1107, an image display unit 1108, a question display unit 1109, a selection view display unit 1110, a game description unit 1111, and a sticker card 1112 may be displayed.

학습방법제시부(1101)는 각 영역에서 학습자가 학습해야하는 학습 방향, 학습 방법이나 학습을 위한 질문과 같은 학습 방법을 제시하는 내용이 표시되는 부분이다.The learning method presentation unit 1101 is a part displaying content for presenting a learning method such as a learning direction, a learning method, or a question for learning that a learner should learn in each area.

미션제시부(1102)는 각 영역에서 수행해야할 미션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미션제시부(1102)에는 이번달에 수행해야할 미션으로 “김장 담그기”가 제시될 수 있다. 또는 각 주 마다 수행해야하는 미션으로 “사과에게 감사하기”가 제시될 수 있다.The mission presenting unit 1102 may display missions to be performed in each area. For example, “making kimchi” may be presented as a mission to be performed this month to the mission presenting unit 1102 . Alternatively, “Grateful for the apple” may be presented as a mission to be performed each week.

미션스티커부착부(1103)는 미션제시부(1102)에서 제시한 미션을 완료한 경우, 스티커카드(1112)를 부착할 수 있는 부분이다.The mission sticker attachment unit 1103 is a part to which a sticker card 1112 can be attached when the mission presented by the mission presentation unit 1102 is completed.

블랭크부(1104) 학습자가 채워넣을 수 있도록, 각 영역에서 비어있는 부분일 수 있다. 일 예로, 블랭크부(1104)는 스티커카드(1112)가 부착되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글씨를 쓸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비어있는 부분일 수 있다.Blank part 1104 It may be an empty part in each area for learners to fill in. For example, the blank portion 1104 may be an empty portion to which a sticker card 1112 is attached or to draw a picture or write.

교육이미지표시부(1105)는 학습자에게 학습시키기 위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교육이미지표시부(1105)에는 김치를 담그는 모습의 이미지, 농부 아저씨에게 감사하는 이미지 등이 표시될 수 있다.The education image display unit 1105 may provide learners with images for learning. For example, an image of making kimchi, an image thanking the farmer,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on the education image display unit 1105 .

교육문장표시부(1106)는 학습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학습 내용 정보가 쓰여진 부분일 수 있다. 일 예로, 추수감사절의 유래에 대한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The educational sentence display unit 1106 may be a portion where learning content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learners is written. For example, content about the origin of Thanksgiving may be displayed.

언어표시부(1107)는 단어, 문장 등 글자가 쓰여진 부분일 수 있다. 일 예로, 언어표시부(1107)는 학습자가 학습해야 할 언어의 단어나 문구, 표현이 쓰여진 카드 또는 학습자에게 학습 방법을 가이드하기 위한 단어나 문구가 쓰여진 부분일 수 있다.The language display unit 1107 may be a part where characters such as words and sentences are written. For example, the language display unit 1107 may be a card on which words or phrases or expressions of a language to be learned by the learner are written, or a part on which words or phrases for guiding the learner on a learning method are written.

이미지표시부(1108)는 그림이나 사진과 같은 이미지가 표시된 부분일 수 있다. 일 예로, 음식 그림, 사물 그림 등의 이미지가 표시된 부분일 수 있다.The image display unit 1108 may be a portion where an image such as a picture or a photograph is displayed. For example, it may be a portion where an image such as a picture of food or a picture of an object is displayed.

질문표시부(1109)는 각 영역에서 학습자에게 생각하는 것을 유도하고, 의견을 제시하거나 풀어야하는 문제를 제시하는 부분일 수 있다.The question display unit 1109 may be a part that induces learners to think in each area and presents an opinion or problem to be solved.

선택보기표시부(1110)는 문제와 관련된 단어나 문구 또는 문장들이 복수개가 쓰여진 보기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그림책의 주제와 관련된 복수개의 단어들이 표시된 부분일 수 있다. 학습자는 학습방법제시부(1101) 또는 질문표시부(1109)에 따라, 선택보기표시부(1110)에 표시된 복수의 단어나 문구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The selection view display unit 11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view in which a plurality of words, phrases, or sentences related to the problem are written. For example, it may be a portion where a plurality of words related to the subject of a picture book are displayed. The learner may select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words or phrases displayed on the selection view display unit 1110 according to the learning method suggestion unit 1101 or the question display unit 1109 .

게임설명부(1111)는 학습자가 게임영역(156)에서 제시하는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게임 방법에 대해 설명되어 있는 부분일 수 있다. 일 예로, 그림 또는 글로 게임 방법이 설명될 수 있다.The game description unit 1111 may be a part that describes a game method so that learners can play the game presented in the game area 156 . As an example, the game method may be explained in pictures or words.

스티커카드(1112)는 자료제공영역(170)에 포함되는 부분으로, 자료제공영역(170)에서 분리하여 스티커 형태 또는 카드 형태로 학습에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티커카드(1112)는 각 영역에서 필요한 형태의 이미지나 글씨가 표시된 특정 형태의 모양일 수 있다. 스티커카드(1112)는 블랭크부(1104) 또는 미션스티커부착부(1103)에 부착 또는 배치될 수 있다.The sticker card 1112 is a part included in the data providing area 170,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data providing area 170 and used for learning in the form of a sticker or a card. For example, the sticker card 1112 may have a specific shape in which images or letters of a required shape are displayed in each region. The sticker card 1112 may be attached or disposed on the blank part 1104 or the mission sticker attachment part 1103.

이하에서는, 학습방법제시부(1101), 미션제시부(1102), 미션스티커부착부(1103), 블랭크부(1104), 교육이미지표시부(1105), 교육문장표시부(1106), 언어표시부(1107), 이미지표시부(1108), 질문표시부(1109), 선택보기표시부(1110), 게임설명부(1111) 및 스티커카드(111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각각의 표지영역(110), 주미션성공확인영역(120), 동기부여영역(130), 달계획관리영역(140), 주계획관리영역(150), 학습마무리영역(160) 및 자료제공영역(17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learning method presentation unit 1101, a mission presentation unit 1102, a mission sticker attachment unit 1103, a blank unit 1104, an education image display unit 1105, an education sentence display unit 1106, a language display unit 1107, Each cover area 110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mage display unit 1108, a question display unit 1109, a selection view display unit 1110, a game description unit 1111 and a sticker card 1112, a main mission success confirmation area (120), motivation area 130, month plan management area 140, week plan management area 150, learning finishing area 160, and data provision area 17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을 참조하면, 표지영역(110)은 연계된 그림책의 제목과 그와 관련된 그림이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cover area 110 may display titles of linked picture books and pictures related thereto.

도 2를 참조하면, 주미션성공확인영역(120)은 주별로 주어진 미션 수행을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미션성공확인영역(120)은 미션스티커부착부(1103)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주, 둘째주, 셋째주, 넷째주 각 주가 표시된 표에 각 주마다 스티커카드(1112)를 부착할 수 있는 비어있는 영역의 미션스티커부착부(1103)가 형성될 수 있다. 각 주에 주어진 미션을 완료한 경우 각 주에 해당되는 칸의 미션스티커부착부(1103)에 스티커카드(1112)를 부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main mission success confirmation area 120 may check whether a given mission has been completed on a weekly basis. Specifically, the main mission success confirmation area 120 may include a mission sticker attachment portion 1103 . A mission sticker attachment unit 1103 of an empty area to which a sticker card 1112 can be attached may be formed for each week in the table in which each week of the first week, second week, third week, and fourth week is displayed. When the mission given to each week is completed, the sticker card 1112 may be attached to the mission sticker attachment part 1103 of the cell corresponding to each week.

도 3을 참조하면, 동기부여영역(130)은 이달의 미션과 함께 이달의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동기가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달의 미션이 “농부 아저씨께 감사하기”인 경우, 동기부여영역(130)에는 학습자가 농부 아저씨게 감사한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일 예로, 동기부여영역(130)에는 “나는 봄에는 하나의 작은 씨앗이었어. 농부 아저씨께서 나를 땅에 심어주어서 싹을 틔울 수 있었어. 한 여름에 나는 너무 덥고 힘들었단다. 그럴 때마다 농부 아저씨께서는 나에게 물을 주고, 힘내서 열매를 키우라고 사랑도 듬뿍 주셨어. 가을이 되자 나는 힘을 얻었고 이렇게 크고 멋진 모습이 될 수 있었어. 나의 이런 모습을 만들어준 농부 아저씨께 감사를 전하고 싶어.”라는 문구가 표시되어, 유아의 학습자에게 농부 아저씨에게 감사해야하는 이유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motivation area 130 may provide motivation to perform the mission of the month together with the mission of the month. For example, if the mission of the month is “Thank you to the farmer,” the motivation area 130 may motivate the learner to feel grateful to the farmer. For example, in the motivation area (130), “I was a small seed in the spring. The farmer planted me in the ground so I could sprout. In the middle of summer, I was too hot and tired. Every time that happened, the farmer gave me water and lots of love to help me grow the fruit. By fall, I was energized and able to be this big and beautiful. The phrase “I want to give thanks to the farmer who made me look like this” is displayed, which can motivate learners of young children why they should be grateful to the farmer.

또한, 동기부여영역(130)에는 미션제시부(1102)가 표시될 수 있다. 동기부여영역(130)에는 각 주마다 완료해야하는 미션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1주차: 열매에게 감사하기”, “2주차: 곡식에게 감사하기”, “3주차: 채소에게 감사하기”, “4주차: 날씨에게 감사하기”와 같이 각 주에 따른 미션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mission suggestion unit 1102 may be displayed in the motivation area 130 . Missions to be completed for each week may be displayed in the motivation area 130 . For example, “Week 1: Thanking the fruits”, “Week 2: Thanking the grains”, “Week 3: Thanking the vegetables”, “Week 4: Thanking the weather” for each week. can provid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추천활동표시영역(141)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달력표시영역(142)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관리가이드영역(143)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인성교육영역(144)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recommended activity display area 141 of a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shows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calendar display area 142 of the Challenge Up textbook, which enables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self-managed learning, and FIG. ), and FIGS. 7 and 8 are diagrams showing the personality education area 144 of the Challenge Up teaching materials capable of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는 달계획관리영역(14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to 8 , the Challenge Up teaching materials capable of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nth plan management area 140 .

달계획관리영역(140)은 기 설정된 달의 일정을 계획할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다. 즉, 달계획관리영역(140)은 학습자가 한 달의 일정일 계획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한 달 동안의 목표를 세울 수 있도록 하여 일정관리 및 자기관리 능력을 키우도록 할 수 있다.The month plan management area 140 may be an area where a preset month schedule can be planned. That is, the month plan management area 140 enables learners to plan and check a schedule for a month, and to set goals for a month so as to develop schedule management and self-management capabilities.

달계획관리영역(140)은 추천활동표시영역(141), 달력표시영역(142), 관리가이드영역(143) 및 인성교육영역(144)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nth plan management area 140 may include a recommended activity display area 141, a calendar display area 142, a management guide area 143, and a personality education area 144.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활동표시영역(141)은 해당 달에 수행해야하는 이벤트를 추천할 수 있다. 즉,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는 각 달 별로 제작될 수 있고, 해당 달 마다 수행해야하는 이벤트를 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추천활동표시영역(141)에는 “이번달 추천 이벤트: 김장 담그기”가 표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recommended activity display area 141 may recommend events to be performed in the corresponding month. That is, Challenge Up textbooks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can be produced for each month, and events to be performed for each month can be presented. For example, “recommended event for this month: making kimchi” may be displayed in the recommended activity display area 141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력표시영역(142)에는 기 설정된 달에 해당하는 달력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는 매달 수행하도록, 달 별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기 설정된 달은 한 권의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를 수행하는 달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달력표시영역(142)에는 2월달에 해당하는 달력이 표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a calendar corresponding to a preset month may be displayed on the calendar display area 142 . Here, the challenge-up teaching material capable of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may be produced for each month so as to be performed every month. Accordingly, the preset month may mean a month in which a challenge-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one experience activity is performed. For example, a calendar corresponding to the month of February may be displayed on the calendar display area 142 .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가이드영역(143)에는 기 설정된 달의 일정을 계획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학습을 하는 달이 2월달인 경우, 달력표시영역(142)에는 2월달 달력이 표시되어 있고, 관리가이드영역(143)에는 학습자에게 2월달에 맞는 계획을 세우도록 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management guide area 143 may display guiding content to plan and check a preset monthly schedule. For example, when the learning month is February, the calendar for February is displayed in the calendar display area 142, and the management guide area 143 may suggest that the learner make a plan suitable for the month of February.

구체적으로, 관리가이드영역(143)에는 학습방법제시부(1101) 및 블랭크부(110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방법제시부(1101)에는 “내 달력에 행복한날, 즐거운날, 뿌듯한날, 신나는날, 추수감사파티 일정에 스티커를 붙여보세요.” 또는 “나에게 특별한 날이 있다면 동그라미를 표시해보세요.”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학습방법제시부(1101)에는 학습자가 달력표시영역(142)에 일정을 표시하고, 일정 관리를 실천할 수 있도록 일정 관리 및 달력 표시 방법을 제시하고 가이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nagement guide area 143 may include a learning method presentation unit 1101 and a blank unit 1104 . For example, in the study method presentation part (1101), “Put a sticker on my calendar on a happy day, a fun day, a proud day, an exciting day, and a Thanksgiving party schedule.” Or it could be something like “If you have a special day, circle it.” As such, the learning method presenting unit 1101 may display a schedule in the calendar display area 142 and suggest and guide a schedule management and calendar display method so that the learner can practice schedule management.

또한, 학습방법제시부(1101)에는 “이번 달 생일인 친구들 이름을 적어보세요.”라고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방법제시부(1101)와 인접하게 블랭크부(1104)가 형성되어, 학습자에게 친구들의 이름을 적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rning method presentation unit 1101 may display "Write down the names of friends whose birthdays are this month." A blank portion 1104 is formed adjacent to the learning method presentation portion 1101 to provide a space for learners to write down the names of their friends.

이처럼, 관리가이드영역(143)에서는 학습자에게 해당 하는 달의 일정을 확인하고, 달력에 표시하고, 일정을 관리하는 방법을 가이드하여, 계획적으로 일정 관리 및 자기 관리가 가능하도록 일정 관리에 대해 학습시킬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management guide area 143, learners can learn about schedule management so that they can manage schedules and self-management in a planned way by guiding how to check the schedule of the month corresponding to the learner, display it on the calendar, and manage the schedule. can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성교육영역(144)에는 기 설정된 주제에 대해 쓰여진 교육문장표시부(1106)를 포함하여 인성교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인성교육영역(144)에는 해당하는 달에 포함된 큰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학습자에게 감사하는 마음, 배려하는 마음과 같은 인성 교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인성교육영역(144)은 교육이미지표시부(1105) 및 교육문장표시부(1106)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character education area 144 includes an education sentence display unit 1106 written on a predetermined subject so that character education can be made possible. In the personality education area 144, information on big event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month can be provided, and character education such as gratitude and caring mind can be provided to learners. The personality education area 144 may include an education image display unit 1105 and an education sentence display unit 1106 .

예를 들어, 인성교육영역(144)에는 추수감사절의 유래에 대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교육이미지표시부(1105)에는 추수감사절과 관련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교육문장표시부(1106)에는 “가을철 곡식이나 열매를 수확하는 것에 대한 감사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점이 우리나라의 추석과 비슷하답니다. 큰 수확에 대한 감사와 기쁨을 표하고자 추수를 감사하는 축제를 열고 가족들과 곡식과 과일을 나누어 먹는답니다. 추수감사절에 먹는 대표적인 음식은 칠면조 구이나 호박파이가 있습니다.”와 같이 교육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감사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나라의 문화, 기념일 등에 대해 학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rigin of Thanksgiving may be displayed in the character education area 144 . At this time, an image related to Thanksgiving may be displayed on the education image display unit 1105 . In the education sentence display section (1106), “It originated from gratitude for harvesting grains or fruits in the fall, and this is similar to Chuseok in Korea. In order to express gratitude and joy for the great harvest, we hold a harvest festival and share grains and fruits with our families. The typical food eaten on Thanksgiving is roast turkey or pumpkin pie.” By providing educational information, you can not only have a grateful heart, but also learn about the country's culture, anniversaries, etc.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첫째주관리영역(151)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학습영역(155)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게임영역(156)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정보제공영역(158)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둘째주관리영역(152)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학습영역(155)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게임영역(156)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정보제공영역(158)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셋째주관리영역(153)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학습영역(155)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활동영역(157)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정보제공영역(158)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넷째주관리영역(154)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학습영역(155)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정보제공영역(158)을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the first week management area 151 of the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view showing the learning area 155 of the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and FIG. 11 shows the game area 156 of the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area 158 of the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n experi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main management area 152 of the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activities, and FIG. 14 is a learning area of the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5, and FIG. 15 is a diagram showing a game area 156 of a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area 158 of the Challenge Up teaching materials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example, and FIG. 17 is a Challenge Up teaching material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diagram showing the third week management area 153 of, and FIG. 18 is a view showing the learning area 155 of the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t is a view showing the activity area 157 of the Challenge Up textbook in which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and FIG. 21 is a diagram showing the information provision area 158 of possible Challenge Up textbooks, and FIG. 21 is a diagram showing the fourth main management area 154 of Challenge Up textbooks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view showing the learning area 155 of the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3 shows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e information provision area 158 of the Challenge Up textbook that enables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self-management.

도 9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는 주계획관리영역(150)을 포함할 수 있다.9 to 23, the challenge-up teaching materials capable of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planning management area 150.

주계획관리영역(150)은 기 설정된 달의 각 주 마다 주어지는 미션을 확인하고, 각 주에 따른 활동 내역 또는 학습 내역이 표시될 수 있다. 즉, 달계획관리영역(140)에서 한 달에 대한 일정을 확인한 후, 주계획관리영역(150)에서 보다 세부일정을 확인하고 미션을 확인 및 완료할 수 있도록 제시할 수 있다.The week plan management area 150 may check missions given for each week of a preset month, and display activity details or learning details according to each week. That is, after checking the schedule for one month in the monthly plan management area 140, the detailed schedule can be checked in the main plan management area 150, and the mission can be confirmed and presented so that it can be completed.

주계획관리영역(150)은 첫째주관리영역(151), 둘째주관리영역(152), 셋째주관리영역(153), 넷째주관리영역(154), 학습영역(155), 게임영역(156), 활동영역(157) 및 정보제공영역(158)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planning management area 150 includes the first week management area 151, the second week management area 152, the third week management area 153, the fourth week management area 154, the learning area 155, and the game area 156. , an activity area 157 and an information provision area 158 may be included.

여기서, 도 9, 도 13, 도 17 및 도 21을 참조하면, 첫째주관리영역(151), 둘째주관리영역(152), 셋째주관리영역(153) 및 넷째주관리영역(154)은 각 주의 요일 별 미션과, 미션 수행 여부를 체크할 수 있도록, 각 주별로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Here, referring to FIGS. 9, 13, 17 and 21, the first management area 151, the second management area 152, the third management area 153, and the fourth management area 154 are each state. It may be an area formed for each week so that missions for each day of the week and whether missions are performed can be checked.

첫째주관리영역(151), 둘째주관리영역(152), 셋째주관리영역(153) 및 넷째주관리영역(154) 각각은 모두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각 주별 미션과 각 주의 요일별 미션만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week management area 151, second week management area 152, third week management area 153 and fourth week management area 154 are all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and only the missions for each week and the missions for each day of the week are different. can be formed

첫째주관리영역(151)은 언어표시부(1107), 블랭크부(1104), 미션제시부(1102) 및 미션스티커부착부(1103)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ain management area 151 may include a language display unit 1107, a blank unit 1104, a mission presentation unit 1102, and a mission sticker attachment unit 1103.

언어표시부(1107)는 각 요일인 “월, 화, 수, 목, 금”과 각 요일의 날짜를 기재할 수 있도록 “날짜” 및 미션 확인 여부를 학습자가 체크할 수 있는 “미션확인” 단어가 적힌 부분일 수 있다. 즉, 첫째주관리영역(151)에는 복수의 언어표시부(1107)가 형성될 수 있다.The language display unit 1107 has “Mon, Tue, Wed, Thu, Fri”, which is each day of the week, “date” so that the date of each week can be entered, and “Mission Confirmation” word, which allows learners to check whether or not the mission has been confirmed. It may be a written part. That is, a plurality of language display units 1107 may be formed in the first main management area 151 .

블랭크부(1104)는 각 요일이 적힌 언어표시부(1107)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블랭크부(1104)에는 학습자에 의해 날짜가 쓰여질 수 있는 부분이다.The blank part 1104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language display part 1107 on which each day of the week is written. The blank part 1104 is a part where the date can be written by the learner.

미션제시부(1102)는 각 주별 미션과, 각 요일별 미션이 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첫째주 미션은 열매에게 감사하기”, 각 요일이 적혀있는 언어표시부(1107)의 일 측에는 요일별로 “사과야 고마워”, “배야 고마워”, “대추야 고마워”와 같이 각 요일마다 다른 열매에게 고마워하는 마음을 가지는 것이 미션으로 제시될 수 있다.The mission presenting unit 1102 may present missions for each week and missions for each day of the week. For example, “The first week’s mission is to thank the fruits”, and on the side of the language display unit 1107 where each day of the week is written, “Thank you apple”, “Thank you pear”, “Thank you jujube” for each day of the week. It can be presented as a mission to have a grateful heart for fruits.

미션스티커부착부(1103)는 각 요일이 적힌 언어표시부(1107)와 미션제시부(1102) 사이에 배치되며, 미션확인이 적인 언어표시부(1107) 아래에 적힐 수 있다.The mission sticker attachment unit 1103 is disposed between the language display unit 1107 where each day of the week is written and the mission presentation unit 1102, and the mission confirmation can be written below the language display unit 1107.

즉, 요일, 날짜, 미션확인이 표시된 언어표시부(1107)와 블랭크부(1104)와 미션제시부(1102)와 미션스티커부착부(1103)는 행과 열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첫째주관리영역(151)의 일 측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월, 화, 수, 목, 금” 요일의 언어표시부(1107)가 순서대로 배치되고, 각 요일의 타 측방향에 블랭크부(1104)가 각각 형성되고, 블랭크부의 타 측 방향에 미션스티커부착부(1103)가 각각 배치되고, 미션스티커부착부(1103)의 타 측에 각 요일별 미션제시부(1102)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language display unit 1107 displaying the day, date, and mission confirmation, the blank unit 1104, the mission presenting unit 1102, and the mission sticker attachment unit 1103 may be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Specifically, language display units 1107 for “Mon, Tue, Wed, Thu, Fri” are sequentially arranged on one side of the upper first week management area 151 along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nd blanks are placed on the other side of each day. Each part 1104 is formed, a mission sticker attachment part 1103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lank part, and a mission presenting part 1102 for each day of the week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ission sticker attachment part 1103, respectively. there is.

학습자는 각 요일별로 제시된 미션인 열매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학습한 경우, 미션스티커부착부(1103)에 스티커카드(1112)를 부착할 수 있다.The learner can attach the sticker card 1112 to the mission sticker attachment unit 1103 when learning to appreciate the fruit, which is a mission presented for each day of the week.

둘째주관리영역(152), 셋째주관리영역(153) 및 넷째주관리영역(154) 모두 첫째주관리영역(151)과 동일하게 형성되되, 미션 내용만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둘째주관리영역(152)의 주 미션은 “곡식에게 감사하기”일 수 있다. The second main management area 152, the third main management area 153, and the fourth main management area 154 are all formed the same as the first main management area 151, but only mission contents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the main mission of the second main management area 152 may be “Thanks to the grain”.

이처럼, 첫째주관리영역(151), 둘째주관리영역(152), 셋째주관리영역(153) 및 넷째주관리영역(154)은 각 주에 해야하는 주별 미션을 제공하고, 각 주의 요일별 미션을 제공하여 주 별 일정 관리 및 자기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s such, the first week management area 151, the second week management area 152, the third week management area 153, and the fourth week management area 154 provide weekly missions to be performed in each week, and provide missions for each day of the week. You can manage your weekly schedule and self-management.

여기서, 도 10, 도 14, 도 18 및 도 22를 참조하면, 학습영역(155)은 단어 학습, 상식 학습, 인성 학습을 포함하는 학습을 유도할 수 있다.Here, referring to FIGS. 10, 14, 18, and 22 , the learning area 155 may induce learning including word learning, common sense learning, and personality learning.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학습영역(155)은 학습방법제시부(1101), 언어표시부(1107) 및 교육문장표시부(1106)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0 , the learning area 155 may include a learning method presentation unit 1101, a language display unit 1107, and an educational sentence display unit 1106.

학습방법제시부(1101)에는 "나는 가을 열매를 얼마나 알고 있나요? 바구니에 열매 스티커를 붙이며 이름을 익혀보세요."라고 표시될 수 있다. In the learning method presentation unit 1101, "How many fruits do I know in autumn? Attach fruit stickers to the basket and learn the names." may be displayed.

언어표시부(1107)는 열매가 적힌 단어로써, 바구니 그림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언어표시부(1107)는 "사과", "배", "대추", "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anguage display unit 1107 is a word with fruits written thereon, and may be disposed inside the basket picture. For example, the language display unit 1107 may include "apple", "pear", "jujube", and "persimmon".

학습자는 언어표시부(1107)에 표시된 복수의 단어 중 알고 있는 단어에 스티커카드(1112)를 붙이며 알고 있는 단어를 확인하고, 모르는 단어는 다시 한번 보고 익히면서 단어 학습이 가능하다.The learner attaches a sticker card 1112 to a known word among a plurality of words displayed on the language display unit 1107, checks the known word, and learns the word while seeing and learning the unknown word again.

교육문장표시부(1106)에는 학습한 내용과 관련된 지식이나 상식을 표시하여 학습자에게 학습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육문장표시부(1106)에는 "가을 열매는 비타민이 풍부해서 우리 친구들을 건강하게 해준답니다."라는 문장이 표시될 수 있다.In the education sentence display unit 1106, knowledge or common sense related to the learned content may be displayed to provide learners with learning content. For example, the sentence “Autumn fruits are rich in vitamins and make our friends healthy” may be displayed in the educational sentence display unit 1106 .

도 14 및 도 18을 참조하면, 학습영역(155)은 학습방법제시부(1101), 질문표시부(1109), 선택보기표시부(1110) 및 교육문장표시부(1106)를 포함할 수 있다.14 and 18, the learning area 155 may include a learning method presentation unit 1101, a question display unit 1109, a selection view display unit 1110, and an educational sentence display unit 1106.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방법제시부(1101)에는 "가을 들판에 나는 곡식들이 예쁜 색으로 익어가는 모습을 보았나요?"라고 표시되어, 곡식에 대해 학습하도록 주제를 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learning method presentation unit 1101 displays "Have you seen the grains ripening in a beautiful color in the autumn field?", and a subject to learn about grains can be presented.

질문표시부(1109)에는 "내가 좋아하는 가을 곡식은 어떤 것인가요?", "매일 아침 밥으로 우리 식탁에 오르는 곡식은 무엇인가요?"와 같은 곡식과 관련된 질문이 표시될 수 있다.Questions related to grain may be displayed in the question display unit 1109, such as "What kind of autumn grain do you like?" and "What kind of grain is on our table for breakfast every morning?"

선택보기표시부(1110)에는 "흰쌀, 수수, 보리, 팥, 콩"과 같이 복수개의 보기가 표시되어 학습자가 질문표시부(1109)에 표시된 질문에 맞는 정답을 고르도록 할 수 있다.A plurality of options such as “white rice, sorghum, barley, red beans, and beans” are displayed on the selection view display unit 1110 so that the learner can select the correct answer to the question displayed on the question display unit 1109.

교육문장표시부(1106)에는 "가을 곡식에는 우리 친구들이 자라는데 필요한 좋은 영양소가 풍부해요."와 같은 학습한 내용과 관련된 지식이나 상식을 표시하여 학습자에게 학습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In the education sentence display unit 1106, knowledge or common sense related to the learned content, such as "Autumn grains are rich in good nutrients necessary for our friends to grow", can be displayed to learners.

도 22를 참조하면, 학습영역(155)은 학습방법제시부(1101), 질문표시부(1109), 언어표시부(1107), 블랭크부(1104), 선택보기표시부(1110) 및 교육문장표시부(1106)를 포함할 수 있다.22, the learning area 155 includes a learning method presentation unit 1101, a question display unit 1109, a language display unit 1107, a blank unit 1104, a selection view display unit 1110, and an educational sentence display unit 1106. can include

학습방법제시부(1101)는 “시기에 맞는 적절한 날씨는 농작물의 성장에 도움을 줍니다”라고 표시되어, 날씨와 관련된 학습을 하도록 학습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The learning method presentation unit 1101 displays "appropriate weather at the right time helps crop growth", so that a learning method related to weather can be suggested.

질문표시부(1109)에는 “날씨가 어떻게 변하고 있나요? 이번주 날씨를 그려보세요.”, “이번주 가장 따뜻했던 요일은 언제인가요?”와 같은 질문이 표시될 수 있다.In the question display section (1109), “How is the weather changing? Questions such as “Picture the weather this week” or “What was the warmest day this week?” may be displayed.

언어표시부(1107)에는 월, 화, 수, 목, 금과 같이 요일이 적힐 수 있다.Days of the week such as Monday, Tuesday, Wednesday, Thursday, and Friday may be written on the language display unit 1107 .

블랭크부(1104)는 각 요일과 인접하게 형성되어, 각 요일에 맞는 날씨 그림이 그려질 수 있는 비어있는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lank portion 1104 is formed adjacent to each day of the week, and may be formed as an empty portion on which a weather picture suitable for each day of the week can be drawn.

선택보기표시부(1110)에는 월, 화, 수, 목, 금과 같이 보기가 표시될 수 있다.Views such as Mon, Tue, Wed, Thu, and Fri may be displayed on the selection view display unit 1110 .

이처럼, 학습자는 질문표시부(1109)에 표시된 질문에 맞춰 요일 별 날씨를 그리고, 가장 따뜻했던 요일을 고를 수 있다.In this way, the learner can draw the weather for each day according to the question displayed on the question display unit 1109 and select the warmest day.

교육문장표시부(1106)에는 “겨울철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가을 채소를 많이 먹도록 합시다.”와 같은 문장이 표시될 수 있다.A sentence such as "Let's eat a lot of autumn vegetables so as not to catch a cold in winter" may be displayed in the education sentence display unit 1106 .

도 11 및 도 15를 참조하면, 게임영역(156)은 게임 또는 미션 활동을 통해 학습이 가능하도록 방법을 안내할 수 있다. 게임을 통해 학습의 흥미도 및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게임영역(156)에는 게임설명부(1111)가 형성될 수 있다. 게임설명부(1111)에는 각 게임에 대한 게임 방법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토리 게임에 대한 게임 방법이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1 and 15 , the game area 156 may guide a method for learning through games or mission activities. Through games, interest in learning and concentration can be increased. A game description unit 1111 may be formed in the game area 156 . The game description unit 1111 may display game methods for each gam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a game method for an acorn game may be displayed.

도 17을 참조하면, 활동영역(157)은 체험 활동을 통해 학습이 가능하도록 체험 활동 방법을 안내할 수 있다. 일 예로, 활동영역(157)에는 도 4의 추천활동표시영역(141)에서 제시한 이번달 추천 이벤트인 김치 담그기와 관련된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즉, 활동영역(157)에는 겨울 동치미 만드는 법과 같은 김치 담그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 the activity area 157 may guide experiential activity methods so that learning is possible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For example, in the activity area 157, content related to making kimchi, which is a recommended event for this month presented in the recommended activity display area 141 of FIG. 4, may be displayed. That is, a description of how to make kimchi, such as how to make winter dongchimi, may be displayed in the activity area 157 .

도 12, 도 16, 도 20 및 도 23을 참조하면, 정보제공영역(158)은 단어 학습, 상식 학습, 인성 학습을 포함하는 학습 내용을 표시하여, 학습자에게 학습 내용을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12, 16, 20, and 23, the information providing area 158 displays learning contents including word learning, common sense learning, and personality learning to provide learners with information including learning contents. can

일 예로, 도 12과 같이 호박의 효능에 대해 표시되고, 도 16과 같이 잡곡밥의 효능에 대해 표시되고, 도 20과 같이 김치의 종류에 대해 표시되고, 도 23과 같이 교훈을 주는 동화이야기가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efficacy of pumpkin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12, the efficacy of multigrain rice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16, the type of kimchi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20, and a fairy tale story giving a lesson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23 It can be.

이러한 주관리계획영역은 첫째주관리영역(151), 둘째주관리영역(152), 셋째주관리영역(153) 및 넷째주관리영역(154) 중 하나와, 학습영역(155), 게임영역(156), 정보제공영역(158) 및 활동영역(157) 중 하나 이상이 세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각 주별로 순차적으로 계획적 학습이 가능하다.The main management planning area includes one of the first management area 151, the second management area 152, the third management area 153, and the fourth management area 154, the learning area 155, and the game area 156. ), one or more of the information provision area 158 and activity area 157 may be configured as a set. Therefore, planned learning is possible sequentially for each week.

예를 들어, 도 9 내지 도 12와 같이, 첫째주관리영역(151), 학습영역(155), 게임영역(156) 및 정보제공영역(158)이 한 세트를 이루며 순서대로 페이지를 이룰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9 to 12 , a first week management area 151, a learning area 155, a game area 156, and an information provision area 158 form a set and can form pages in order.

또한, 도 13 내지 도 16과 같이, 둘째주관리영역(152), 학습영역(155), 게임영역(156) 및 정보제공영역(158)이 한 세트를 이루며 순서대로 페이지를 이룰 수 있다.13 to 16, the second main management area 152, the learning area 155, the game area 156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area 158 form a set and can form pages in order.

또한, 도 17 내지 도 20과 같이, 셋째주관리영역(153), 학습영역(155), 활동영역(157) 및 정보제공영역(158)이 한 세트를 이루며 순서대로 페이지를 이룰 수 있다.17 to 20, the third week management area 153, learning area 155, activity area 157, and information provision area 158 form a set and can form pages in order.

또한, 도 21 내지 도 23과 같이, 넷째주관리영역(154), 학습영역(155) 및 정보제공영역(158)이 한 세트를 이루며 순서대로 페이지를 이룰 수 있다.21 to 23, the fourth main management area 154, the learning area 155,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area 158 form a set and can form pages in order.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이달의학습영역(161)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이달의학습확인영역(162)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명함부착영역(163)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자율활동영역(164)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상장부착영역(165)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상장제공영역(166)을 나타낸 도면이다.24 is a view showing the learning area 161 of the month of the Challenge Up textbook in which self-managed learning is possible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5 shows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diagram showing the learning confirmation area 162 of the Challenge Up textbook that allows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self-managed learning, and FIG. 163, and FIG. 27 is a diagram showing the autonomous activity area 164 of the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8 is one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diagram showing a listing attachment area 165 of a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It is a diagram showing the listing provision area 166 of textbooks.

도 24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는 학습마무리영역(16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4 to 29 , the Challenge Up teaching materials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earning finishing area 160 .

먼저, 도 24를 참조하면, 학습마무리영역(160)은 기 설정된 달을 마무리하며 학습을 정리할 수 있는 부분이다. 학습마무리영역(160)은 이달의학습영역(161), 이달의학습확인영역(162), 명함부착영역(163), 자율활동영역(164), 상장부착영역(165) 및 상장제공영역(166)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24, the learning finishing area 160 is a part where learning can be organized by finishing a preset month. The learning finishing area 160 includes the learning area of the month 161, the learning confirmation area of the month 162, the business card attachment area 163, the autonomous activity area 164, the award attachment area 165, and the award provision area 166 ) may be included.

이달의학습영역(161)에는 기 설정된 주제와 관련된 지식 습득이 가능한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달의학습영역(161)에는 “이달의 인물 이야기: 씨 없는 수박을 만들어낸 우장춘 박사”에 대한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In this month's learning area 161, content related to a pre-set subject can be displayed. For example, in the learning area 161 of the month, content about "person of the month: Dr. Woo Jang-choon who created seedless watermelon" may be displayed.

이달의학습영역(161)에는 교육이미지표시부(1105) 및 교육문장표시부(1106)가 표시될 수 있다. 교육이미지표시부(1105)에는 우장춘 박사의 사진이 표시되고, 교육문장표시부(1106)에는 “우리가 먹는 채소와 과일들은 처음부터 이런 모습은 아니었다고 해요. 씨앗을 개량해 지금의 모습이 된 거예요. 씨 없는 수박을 만들어낸 우장춘 박사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다양한 씨앗들을 개량 연구를 했어요. 그리고 마침내 우리나라 사람들을 위해 맛있고 병충해에 강한 배추와 무도 개발하고, 채소와 과일의 새로운 품종을 만들어냈어요.”와 같이 학습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month's learning area 161, an education image display unit 1105 and an education sentence display unit 1106 may be displayed. In the educational image display unit (1105), a picture of Dr. Woo Jang-chun is displayed, and in the educational sentence display unit (1106), “The vegetables and fruits we eat are said to have not been like this from the beginning. He improved the seeds and became what he is now. Dr. Woo Jang-choon, who created seedless watermelon, did not give up even in a difficult environment and conducted research on improving various seeds. And finally, we developed cabbages and radishes that are delicious and resistant to diseases and pests, and created new varieties of vegetables and fruits for the people of our country.”

도 25를 참조하면, 이달의학습확인영역(162)에서는 한 달 동안 학습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달의학습확인영역(162)은 질문표시부(1109), 선택보기표시부(1110) 및 블랭크부(1104)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5 , in this month's learning confirmation area 162, it is possible to check what has been learned during the month. For example, this month's learning confirmation area 162 may include a question display unit 1109, a selection view display unit 1110, and a blank unit 1104.

복수의 질문표시부(1109)에는 “가을 열매 이름을 새로 알게 되었나요?”, “날씨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나요?”, “나의 점수는 몇점이라고 생각하나요?”와 같은 질문이 표시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question display units 1109 may display questions such as "Have you learned about the names of autumn fruits?", "Did you learn about the importance of weather?", and "How much do you think my score is?"

선택보기표시부(1110)에는 예, 아니요로 표시되어 학습자가 표시할 수 있다.On the selection view display unit 1110, yes or no is displayed so that the learner can display them.

블랭크부(1104)에는 질문표시부(1109)에 맞는 내용을 학습자가 쓸 수 있는 비어있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학습자는 “나의 점수는 몇점이라고 생각하나요?”의 질문표시부(1109)에 대응하는 대답을 블랭크부(1104)에 적을 수 있다.The blank part 1104 is an empty part in which the learner can write contents suitable for the question display part 1109. For example, the learner may write an answer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display unit 1109 of “What score do you think my score is?” in the blank unit 1104.

이처럼, 이달의학습확인영역(162)에서는 앞에서 배운 학습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In this way, in this month's learning confirmation area 162, the previously learned learning content can be confirmed.

도 26을 참조하면, 명함부착영역(163)에는 친구들의 명함을 부착할 수 있다. 명함부착영역(163)은 학습방법제시부(1101) 및 블랭크부(110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6 , business cards of friends may be attached to the business card attaching area 163 . The business card attachment area 163 may include a learning method presentation unit 1101 and a blank unit 1104.

학습방법제시부(1101)에는 “친구들과 사랑이 듬뿍 담긴 명함을 교환해보세요.”와 같은 학습 방법이 제시될 수 있다.A learning method such as “Exchange a business card full of love with your friends” may be suggested in the learning method presentation unit 1101 .

블랭크부(1104)는 명함을 부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학습자가 블랭크부(1104)에 다른 친구들의 명함을 부착할 수 있다.The blank portion 1104 is formed to a size capable of attaching business cards, so that learners can attach business cards of other friends to the blank portion 1104.

도 27을 참조하면, 자율활동영역(164)은 학습자가 하고싶은 활동을 무엇이든 할 수 있는 비어있는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림그리기, 스티커카드(1112) 부착하기, 글씨쓰기, 편지쓰기, 낙서하기 등 학습자가 원하는 활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영역이다.Referring to FIG. 27, the autonomous activity area 164 may be formed as an empty space where learners can do whatever activities they want to do. For example, this is an area where learners can freely engage in desired activities, such as drawing, attaching sticker cards 1112, writing letters, writing letters, and graffiti.

도 28을 참조하면, 상장부착영역(165)에는 이달에 받은 상장을 부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8 , the certificate received this month can be attached to the certificate attachment area 165 .

상장을 부착하면서 학습자의 자신감이 상승하게 되고, 자신감 상승에 따라 학습에 대한 관심도 및 집중력이 함께 향상될 수 있다.As the certificate is attached, the learner's confidence increases, and as the confidence increases, interest and concentration in learning can also improve.

도 29를 참조하면, 상장제공영역(166)에는 앞서 학습한 내용과 관련된 주제와 관련된 상장 형태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OO어린이는 김치를 사랑하고 김치를 직접 요리할 수 있으며, 김치에 들어가는 여러 채소들의 이름을 알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김치의 효능에 대하여 자세히 알고 이를 다른 친구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김치 홍보대사에 임명합니다.” 라는 상장이 표시되어, 학습자의 이름을 쓴 후 상장을 제공함으로써, 성취감, 자신감 향상의 효과가 있다. Referring to FIG. 29 , in the listing providing area 166 , a listing form related to a subject related to previously learned content may be displayed. For example, “OOO children love kimchi, can cook kimchi themselves, and know the names of different vegetables that go into kimchi. In addition, I have the ability to know in detail about the efficacy of kimchi and pass it on to other friends, so I am appointed as a kimchi ambassador.” is displayed, and by providing a certificate after writing the learner's nam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sense of achievement and confidence.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의 자료제공영역(170)을 나타낸 도면이다.30 is a diagram showing a data provision area 170 of a Challenge 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0을 참조하면, 자료제공영역(170)에는 스티커카드(1112)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스티커카드(1112)는 자료제공영역(170)에서 각각 분리되어, 상술한 각 영역에서 학습 시 이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0 , a sticker card 1112 may be formed in the data providing area 170 . Each sticker card 1112 is separated from the data providing area 170 and can be used during learning in each area described above.

이처럼, 학습마무리영역(160)은 앞서 학습한 내용을 복습하고, 상장 등을 통해 성취감 및 자신감을 향상시켜 학업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다.In this way, the study completion area 160 can increase interest in study by reviewing previously learned content and improving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onfidence through awards and the lik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se claims.

110: 표지영역 120: 주미션성공확인영역
130: 동기부여영역 140: 달계획관리영역
141: 추천활동표시영역 142: 달력표시영역
143: 관리가이드영역 144: 인성교육영역
150: 주계획관리영역 151: 첫째주관리영역
152: 둘째주관리영역 153: 셋째주관리영역
154: 넷째주관리영역 155: 학습영역
156: 게임영역 157: 활동영역
158: 정보제공영역 160: 학습마무리영역
161: 이달의학습영역 162: 이달의학습확인영역
163: 명함부착영역 164: 자율활동영역
165: 상장부착영역 166: 상장제공영역
170: 자료제공영역 1101: 학습방법제시부
1102: 미션제시부 1103: 미션스티커부착부
1104: 블랭크부 1105: 교육이미지표시부
1106: 교육문장표시부 1107: 언어표시부
1108: 이미지표시부 1109: 질문표시부
1110: 선택보기표시부 1111: 게임설명부
1112: 스티커카드
110: cover area 120: main mission success confirmation area
130: Motivation area 140: Moon plan management area
141: recommended activity display area 142: calendar display area
143: management guide area 144: character education area
150: State planning management area 151: First week management area
152: second week management area 153: third week management area
154: fourth week management area 155: learning area
156: game area 157: activity area
158: information provision area 160: learning finishing area
161: learning area of the month 162: learning confirmation area of the month
163: business card attachment area 164: autonomous activity area
165: listing attachment area 166: listing provision area
170: data provision area 1101: learning method presentation unit
1102: mission presentation unit 1103: mission sticker attachment unit
1104: blank part 1105: education image display part
1106: educational sentence display unit 1107: language display unit
1108: image display unit 1109: question display unit
1110: selection view display unit 1111: game description unit
1112: sticker card

Claims (8)

기 설정된 달의 일정을 계획할 수 있는 달계획관리영역; 및
기 설정된 달의 각 주 마다 주어지는 미션을 확인하고, 각 주에 따른 활동 내역 또는 학습 내역이 표시되는 주계획관리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
a lunar plan management area capable of planning a preset lunar schedule; and
A challenge-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comprising a; week planning management area in which missions given for each week of a preset month are checked and activity details or learning details according to each week are display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달계획관리영역은,
기 설정된 달에 해당하는 달력이 표시되는 달력표시영역;
기 설정된 달의 일정을 계획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관리가이드영역; 및
기 설정된 주제에 대해 쓰여진 교육문장표시부를 포함하여 인성교육이 가능한 인성교육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
The method of claim 1,
The lunar plan management area,
a calendar display area displaying a calendar corresponding to a preset month;
A management guide area that guides you to plan and check a preset monthly schedule; and
A challenge-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계획관리영역은,
각 주의 요일별 미션과, 미션 수행 여부를 체크할 수 있도록, 각 주별로 형성되는 첫째주관리영역, 둘째주관리영역, 셋째주관리영역, 넷째주관리영역; 및
단어 학습, 상식 학습, 인성 학습을 포함하는 학습을 유도하는 학습영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planning management area,
1st week management area, 2nd week management area, 3rd week management area, 4th week management area formed for each week so that missions for each day of the week and whether missions are performed can be checked; and
a learning area that induces learning including word learning, common sense learning, and personality learning; Challenge-up textbooks capable of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comprising a.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주계획관리영역은,
게임 또는 미션 활동을 통해 학습이 가능하도록 방법을 안내하는 게임영역;
단어 학습, 상식 학습, 인성 학습을 포함하는 학습 내용을 표시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영역; 및
체험 활동을 통해 학습이 가능하도록 체험 활동 방법을 안내하는 활동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
The method of claim 3,
The main planning management area,
A game area that guides the way to learn through game or mission activities;
an information provision area that provides information by displaying learning contents including word learning, common sense learning, and personality learning; and
Challenge-up textbooks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comprising an activity area that guides experiential activity methods so that learning is possible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주계획관리영역은,
상기 첫째주관리영역, 둘째주관리영역, 셋째주관리영역 및 넷째주관리영역 중 하나와,
학습영역, 게임영역, 정보제공영역 및 활동영역 중 하나 이상이 세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
The method of claim 4,
The main planning management area,
One of the first week management area, second week management area, third week management area, and fourth week management area,
A challenge-up textbook capable of self-manag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learning area, game area, information provision area, and activity area is made up of a se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첫째주관리영역, 상기 학습영역, 상기 게임영역 및 상기 정보제공영역이 세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둘째주관리영역, 상기 학습영역, 상기 게임영역 및 상기 정보제공영역이 세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셋째주관리영역, 상기 학습영역 및 상기 활동영역이 세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넷째주관리영역, 상기 학습영역 및 상기 정보제공영역이 세트로 이루어지며,
순서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week management area, the learning area, the game area and the information provision area are made of a set,
The second main management area, the learning area, the game area, and the information provision area are made of a set,
The third week management area, the learning area, and the activity area are made of a set,
The fourth main management area, the learning area, and the information provision area are made of a set,
A challenge-up textbook that enables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performed in order.
청구항 1에 있어서,
기 설정된 달을 마무리하며 학습을 정리하는 학습마무리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학습마무리영역은,
기 설정된 주제와 관련된 지식 습득이 가능한 내용이 표시되는 이달의학습영역; 및
학습한 내용을 확인하는 이달의학습확인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
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learning finishing area to finish the set month and organize learning,
The learning finish area,
This month's learning area that displays knowledge acquisition related to pre-set topics; and
Challenge-up textbooks capable of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학습마무리영역은,
친구들의 명함을 부착하는 명함부착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 활동을 통한 자기 관리 학습이 가능한 챌린지업 교재.
The method of claim 7,
The learning finish area,
Business card attachment area for attaching friends' business cards; Challenge-up textbooks capable of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210164750A 2021-11-25 2021-11-25 Challenge-up textbook for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KR1026055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750A KR102605567B1 (en) 2021-11-25 2021-11-25 Challenge-up textbook for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750A KR102605567B1 (en) 2021-11-25 2021-11-25 Challenge-up textbook for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461A true KR20230077461A (en) 2023-06-01
KR102605567B1 KR102605567B1 (en) 2023-11-22

Family

ID=86771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750A KR102605567B1 (en) 2021-11-25 2021-11-25 Challenge-up textbook for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567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1678A (en) * 2007-06-19 2008-12-24 강석준 Diary
KR20100084742A (en) * 2009-01-19 2010-07-28 백영수 Diary for student
KR20100011890U (en) * 2009-05-28 2010-12-08 이금리 Diary
KR20110011497U (en) * 2010-06-07 2011-12-14 이승호 Organizer
KR20160147682A (en) 2016-12-05 2016-12-23 김영희 Science learning textbook
KR20210000344U (en) * 2019-08-05 2021-02-17 손기철 System diary structure for easy schedule plan and task management
KR102361270B1 (en) * 2021-08-18 2022-02-09 양윤정 study planner with study feedback func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1678A (en) * 2007-06-19 2008-12-24 강석준 Diary
KR20100084742A (en) * 2009-01-19 2010-07-28 백영수 Diary for student
KR20100011890U (en) * 2009-05-28 2010-12-08 이금리 Diary
KR20110011497U (en) * 2010-06-07 2011-12-14 이승호 Organizer
KR20160147682A (en) 2016-12-05 2016-12-23 김영희 Science learning textbook
KR20210000344U (en) * 2019-08-05 2021-02-17 손기철 System diary structure for easy schedule plan and task management
KR102361270B1 (en) * 2021-08-18 2022-02-09 양윤정 study planner with study feedback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567B1 (en) 202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cManus Worksheet-induced behaviour in the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Callard-Szulgit Parenting and teaching the gifted
Pecaski McLennan “Ready, Set, Grow!” Nurturing young children through gardening
Rogers Urban agriculture as a tool for horticultural education and youth development
Kelly et al. STEA2M camp at the Orchard: A community cultural wealth approach
KR102605567B1 (en) Challenge-up textbook for self-management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Passy et al. Impact of school gardening on learning
Bundschu-Mooney School Garden Investigatio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Education.
Tangen et 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a culturally diverse school
Poole Growing STEM Education on the Playground: A Case Study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Teachers' Use of School Gardens
Howes et al. Between McDonaldization and gardening pedagogy: How teachers negotiate science education in action
Gerald-Goins et al. Food, Energy and Water Learning Module Workbooks: Low-Cost Affordable Inquiry-Based STEM Curricula
Özer et al. A contextualized nature of science classroom activity: junk food!
Mays Health Science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Teacher Implementation and Impact on Child Health Knowledge
Clay Cultivating Community Stewards: Wellbeing, Belonging, and the Campus Garden
Sims et al. Farm To Preschool: A Study on Teacher Support in Nutrition Education
MUFAROH et al. TEACHERS’CRITICAL QUESTIONS IN READING COMPREHENSIONASSESSMENT OF THE TWELFTH GRADE STUDENTS OF MAN2SURAKARTA IN THE ACADEMIC YEAR 2022/2023
Care NEBLINETM
Taylor Elicitation of Teacher Beliefs Related to School Garden Experiences
Eldridge et al. Integration of Food Systems and School Gardens into Michigan K-12 Education
BHAVAN ACADEMIC CALENDAR
Plante Do Plants Play a Part in Student Satisfaction?
DeVivo Growing the Environmental Stewards of Tomorrow: An Analysis of an Urban School Garden
Rezendes Portable School Gardens: Port-A-Plant
Hoar An experiment in supervision by the conferenc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